창덕궁 약방 복원 현장/임진왜란으로 불탄 후, 광해군 때 재건, 다시 일제강점기에 헐렸다가 문화재청에서 2000년 ~ 2004년에 복원했다/한옥의 향기/부산mbc 020628방송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9 เม.ย. 2021
  • 창덕궁 약방은 1592년(선조 25년)에 임진왜란으로 불탄 후, 광해군 때 재건했다. 왕실 의원 기능은 일제강점기에 순종의 침전 대조전 근처에 있는 성정각으로 옮겨갔고, 기존 내의원 건물은 헐렸다.
    문화재청에서 2000년 ~ 2004년에 복원했고 2005년에 일반에 개방하여 오늘에 이른다.
    1층 목조 건물로 남향이다.
    장대석 3단으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다. 기단 상부에는 전돌을 깔고 기단 앞에는 3단 짜리 계단을 하나 두었다. 기둥과 주춧돌은 사각이다.
    한옥의 향기 5부 도편수의 수리
    ==================================
    * 좋아요 와 구독 꼭! 눌러주세요~
    * 우측 상단에 종 그림이 알림버튼 입니다.
    눌러서 켜놓으시면 생방송 알림이 갑니다.
    ==================================
    * 부산MBC 홈페이지
    www.busanmbc.co.kr
    =================================
    #부산MBC다큐 #부산MBC다큐멘터리 #명품다큐멘터리
    #부산MBC #부산문화방송 #문화방송
    =================================
  • บันเทิ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85

  • @user-is2vy5jl2u
    @user-is2vy5jl2u 2 ปีที่แล้ว +36

    지금이야 레지저 수평계, 각종 목공용 공구, 중장비, 전기톱이 있지만 예전에는
    정말 어마어마한 작업이고 그야말로 기술 입니다.

  • @younghovan
    @younghovan 3 ปีที่แล้ว +39

    대단한 한옥기법을 잘 보전하고 전승해야 하겠네요. 감동입니다!

    • @britemiso
      @britemiso 2 ปีที่แล้ว +3

      전북대에 한옥학과가 이미 생겨있어요. 얼마나 다행인지... 심지어 미국 죠지아 주에 한국 단지를 짓기로 했지요. 여러나라에 한옥, 정자등 이미 수출한 곳도 있구여.

  • @cheiflou5552
    @cheiflou5552 ปีที่แล้ว +3

    와아 감탄사가 😮😮😮 절로나온다 과학 그 잦체 임 대한민국 🇰🇷 한옥👍👍👍

  • @user-vf2so2cb6f
    @user-vf2so2cb6f 3 ปีที่แล้ว +26

    감동 감동 감동
    이 엄청난 한민족의 위대하고 위대한 예술을 자손만대 이어지길 간곡히 기원합니다 !

  • @user-qd4yw8ek7b
    @user-qd4yw8ek7b 3 ปีที่แล้ว +19

    좋은 영상 감사해요

  • @user-vb1sv5tc8e
    @user-vb1sv5tc8e ปีที่แล้ว +17

    유럽의 건물을 보고 예술적이라 했는데 오히려 한옥이 과학적이고 최고의 목공예 건축물이라고 느껴집니다.

    • @user-hr1vg8if8z
      @user-hr1vg8if8z ปีที่แล้ว +2

      프랑스 건축작가가 우리나라 건축은 겸손하고 웅장하며 전세계 어디에도 이런 건축물은 없다며 금탄을 금치 못하고 온가족 며느리까지 다시 데리고 여행와서 다 보고 갔다고 함.

    • @Pocari413
      @Pocari413 ปีที่แล้ว

      @@user-hr1vg8if8z 종묘 말씀하시는 듯.

    • @user-hr1vg8if8z
      @user-hr1vg8if8z ปีที่แล้ว

      @@Pocari413 이그잭틀니

  • @gentleman4491
    @gentleman4491 ปีที่แล้ว +5

    2002년 영상이네요.
    엄청 오래된 듯 보이는데
    작업복이 전통식으로 된 탓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못 등은 사용하지 않고
    특히 주춧돌위에 기둥을 그대로 세우는 기술은
    정말 대단하고 기이하다고 여겨지네요. ㅎ

  • @import1134
    @import1134 ปีที่แล้ว +3

    돌위에 나무 기둥은 어떻게 올리나 궁금했었는데 돌의 모양대로 나무를 깍는 거였군요.. 신기하네..

  • @tv-uq3bh
    @tv-uq3bh 3 ปีที่แล้ว +20

    엄청나네 진짜 한옥은 과학이다

  • @sirenk3126
    @sirenk3126 3 ปีที่แล้ว +13

    부산 mbc 다큐가 좋은거 처음 알았네요! 구독 눌렀어요~

  • @user-xt1ie9pr8c
    @user-xt1ie9pr8c 2 ปีที่แล้ว +5

    소름돋게 멋있다.

  • @woody5109
    @woody5109 2 ปีที่แล้ว +4

    Master craftsmen, well done 👍

  • @user-we1zt1zo2e
    @user-we1zt1zo2e 2 ปีที่แล้ว +7

    진짜 명품 다큐네

  • @cbyhinx1068
    @cbyhinx1068 2 ปีที่แล้ว +3

    Magnifique vidéo.

  • @radish9017
    @radish9017 2 ปีที่แล้ว +2

    화질 엄청 좋아요.

  • @sformld
    @sformld 2 ปีที่แล้ว +4

    아름다운 한옥 처마의 곡선을 만들기 위해 그 곡선의 곡률값을 미분으로 계산해야 한다는 사실은 처음 알았읍니다 미분 공식까지 계산해야 나오는 한옥 처마의 곡선....햐~~~~~~`

  • @user-ll1op3rp9d
    @user-ll1op3rp9d 2 ปีที่แล้ว +7

    한옥에 기술은 과학과 예술이다

  • @user-nl2bu4wd9t
    @user-nl2bu4wd9t 3 ปีที่แล้ว +7

    팔만대장경 보관 건물만 봐도 얼마나 건출기술이 뛰어 난지를
    아직도 현대건축으로 팔만 대장경 보관할 수 있는 기술이 없다고 함,,,
    가령 한다 해도 유지비가 엄청 나다고 함,,
    그러니 원조 대장경 보관건물에 유지 한다고 들었음,,

  • @funjust7839
    @funjust7839 2 ปีที่แล้ว +1

    와 맨손으로 하는거봐 ㄷㄷ

  • @307signal
    @307signal 3 ปีที่แล้ว +6

    예날엔 저렇게 굽는게 아니라 나무를 메달고
    간솔을 태워서 구웠죠.
    찌는것은 땅에 묻어서 하구요

  • @njimkolgutyu
    @njimkolgutyu 2 ปีที่แล้ว +2

    아니 진짜 예전에는 어떻게 저걸 다 손으로.. ㅠ

  • @ppko-wf6wo
    @ppko-wf6w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나무베는데 맘이 아프네요ㅠ

  • @Bangcheolkyun1971
    @Bangcheolkyun1971 ปีที่แล้ว

    벌목해서 건조시키지않고 바로 사용하나봐요?

  • @hotewang
    @hotewang ปีที่แล้ว +2

    나도 나중 한옥을 짓고 살고싶다. 크진 않지만 적당한 크기로....

  • @pkim5992
    @pkim5992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중국과 일본에 없는 긴 처마 곡선을 만드는 과정이 인상적임. 이 비디오는 자료로서 가치가 큼.

  • @soongum
    @soongu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성우분 이름이 뭔가요?

  • @rjadms12
    @rjadms12 3 ปีที่แล้ว +3

    안전모들 안 쓰나요?

  • @user-zb1lk5kr4k
    @user-zb1lk5kr4k 3 ปีที่แล้ว +12

    여기댓글왜.이래????안타까움.니들이가서해

  • @danh6432
    @danh6432 ปีที่แล้ว +2

    세금은 이런곳에 쓰는것 !

  • @307signal
    @307signal 3 ปีที่แล้ว +3

    어릴적보면 저 자귀질 하는사람이 제일 정교한듯하더군요
    저렿게 가각으로 깍아내는데 어린 나이에도 입이 다물어지지 않더군요

  • @izoldasnezhnaya1389
    @izoldasnezhnaya1389 2 ปีที่แล้ว

    Да, у нас мужики за пять минут спилили бы бензопилой или двуручнойп пилой. И на станке распилили бы все за минуту.

  • @user-xz3gr2vv4b
    @user-xz3gr2vv4b 3 ปีที่แล้ว +3

    좋은영상 좋되 안마옛날식 한옥공사되 머리에안전모 미착용이내

  • @user-hd9db7wb3j
    @user-hd9db7wb3j ปีที่แล้ว

    저렇게 큰 나무를 땡글르 굴려서 퍼즐처럼 딱 맞추는게 너어무 신기하다 옛날에는 저걸 다 어떻게 햇을까

  • @user-bk8ed5tg4w
    @user-bk8ed5tg4w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MBC every1 제작진입니다. 다름이 아니고 해당 영상을 출처를 남기고 저희 영상의 자료 화면으로 사용해도 괜찮을지 여쭤보려고 댓글 남깁니다. 답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busan_mbc
      @busan_mbc  ปีที่แล้ว

      무상으로 사용하실 수는 없습니다. 저희 방송사 내부 지침에는 사용처에 따라 판매가격이 다르게 책정되어 있습니다. 저희 내부 담당자와 연락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051)760-1413

  • @Han-ws8he
    @Han-ws8he 2 ปีที่แล้ว +2

    선자연 깎는게 정말 인상적이네요

  • @ahmed9eldjaza3isti9ni
    @ahmed9eldjaza3isti9ni 2 ปีที่แล้ว

    😍😘🏯🇰🇷💖🇩🇿👏👏👏

  • @user-qy6pf2bc2u
    @user-qy6pf2bc2u 2 ปีที่แล้ว +1

    저 큰나무를 도끼로 와우 ~~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ปีที่แล้ว

      도끼로 하는 척, 하다가 체인톱 가져다 쓰잖아.
      도끼질 하는 꼬락서니 보니, 도끼 써본적도 없는 인간들인데.

    • @daebak1
      @daebak1 ปีที่แล้ว

      @@davidjacobs8558 지랄하네 한참 도끼질했구만 ㅋ

  • @user-hw1xp2rs5i
    @user-hw1xp2rs5i ปีที่แล้ว +2

    88년 자료를 짬뽕을 시켜놨네유....

  • @user-zt4yo2re2h
    @user-zt4yo2re2h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런 대목수의 제자가 많이 양성됬어야했는데 요즘 오리지날 대목수분들이 흔치 않겠죠. 기술전수도 어렵고..

  • @vyiuegtvsyeibf965
    @vyiuegtvsyeibf965 2 ปีที่แล้ว

    이것도 날림으로 복원하지 않았을까? 숭례문복원처럼

  • @saejongdaewang
    @saejongdaewang ปีที่แล้ว

    조선시대 사람들의 기술력은 참으로 놀랍구만...저걸 다 설계하고 만들어 냈을거 아냐...

  • @Bobbydonothing
    @Bobbydonothing 2 ปีที่แล้ว +2

    근데 참 한옥은 안타까운게 저렇게 심혈을 기울여 지으면 뭐하나….불 한번 나면 그냥 가루가 돼 버리는데

    • @daebak1
      @daebak1 ปีที่แล้ว

      지랄하네 불나면 안그런게 있냐?으이 머든 바라보는 시각이 부정적으로 보나보네.이걸보고 감동하지는 못할망정. 아파트 시멘트안에 사니 시름시름 앓다가 죽는거다 한옥서 살아봐 죽을때까지 기가 충만하게 살다 죽는다 어느게 좋노 드시야 으이 ㅋ

  • @michascarberry3435
    @michascarberry3435 2 ปีที่แล้ว +1

    어느나라에도 없는
    어른신들.역사에 기리기리.남겨 어른산들이.국보에 오려 후손들에게 알려야 합나다.못하나 없는
    우라한옥.댜단한.목수.작업압나다.우주나라가가.감탄할겁니다.

    • @mcs9103
      @mcs9103 2 ปีที่แล้ว +1

      못 많이 씁니다

    • @user-uy1cn6sm7j
      @user-uy1cn6sm7j ปีที่แล้ว

      @@mcs9103 서까래 위 부터는 많이 쓰지요

    • @user-de1mu2pd6x
      @user-de1mu2pd6x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옛날에는 못을 쓰고싶어도 귀하고 구할수도 없어서 있는데로 조금만 사용한것이지요

  • @user-dc5uw3hk3c
    @user-dc5uw3hk3c 2 ปีที่แล้ว

    나무를 불에 직접 그을리는게 아니고 연기에 그을려야 합니다.

  • @user-kg2jg7if7q
    @user-kg2jg7if7q 3 ปีที่แล้ว +9

    여하튼 두번다 왜구들 때문에..

  • @kmngkkim7124
    @kmngkkim7124 3 ปีที่แล้ว +2

    무슨 도끼질로 벌목을?

  • @davidjacobs8558
    @davidjacobs8558 3 ปีที่แล้ว +1

    12:30 귀솟슴은 지붕이 크고 넓게 보이기 때문에 하는게 아니고,
    집의 양쪽 지붕끝이 쳐져 보일까봐 하는것이지. 2300년전 고대 그리스 신전도 다 사용하던 기법이지.
    중국 자금성 건물들은 지붕 용마루가 일직선인데, 한옥은 다 곡선으로 중간이 좀 낮지.
    일직선은 약간만 건물이 비뚤어지거나 쳐지면 금방 눈에 띄지만, 곡선은 잘 모르니까. 눈속임 이지.

  • @user-kr6bz5hh7y
    @user-kr6bz5hh7y 3 ปีที่แล้ว

    ㅂ1

  • @jy2998
    @jy2998 3 ปีที่แล้ว

    ㅂㄱ

  • @user-hj3zb2go5g
    @user-hj3zb2go5g ปีที่แล้ว +1

    한옥구조의 단점은 지붕이 너무 무겁다는거다.

  • @user-rv2ep8nd7s
    @user-rv2ep8nd7s 3 ปีที่แล้ว +1

    그냥 동네 아저씨들이 다했다. 면장질하는 넘들이 너무 많아

  • @lauther58285
    @lauther58285 ปีที่แล้ว +1

    도구는 그렇다치지만 옷까지 재현해야했나 ㅋㅋㅋㅋ😂

  • @user-ys7kr8jc6h
    @user-ys7kr8jc6h 2 ปีที่แล้ว

    도끼질은 폼이고 나중에 다엔진톱으로 하는듯
    방송나온다고 사기치지말고.
    고무신신고 일하는 사람도 있는 듯

  • @Jeong-eun
    @Jeong-eun ปีที่แล้ว

    구라청 문화재청

  • @Bobbydonothing
    @Bobbydonothing ปีที่แล้ว

    4:46 에휴 방송 찍으니 옛날 목수 흉내 좀 내주세요 하고 요청했나보다 평소에 맨날 차던 시계도 빼달라고 했나보네…요즘은 저렇게 하면 바로 주작방송 한다고 욕 뒤지게 얻어먹음 진짜 유치하다 유치해

    • @diamolee559
      @diamolee559 ปีที่แล้ว +1

      한심하다. 비아냥의 달인일세.
      일하는데 불편하고 방해되는 시계를 스스로 벗은 것인지 어찌 아냐

    • @daebak1
      @daebak1 ปีที่แล้ว

      드시나 옛날 전통기법을 알려주는거자나 치매와서 분간이 안되냐?ㅋ 이걸보고 약점을 찾을 생각하냐?선조들의 기술이 멋있고 한옥이 멋있다는걸 알아야지. 넌 저런 한옥에 살수있을거같냐?으이 ㅋ 시멘트 집에 살고있겠지

  • @user-hv8xw2tr4m
    @user-hv8xw2tr4m 3 ปีที่แล้ว +2

    안정밀한거 같은데

  • @wusongyang7751
    @wusongyang7751 3 ปีที่แล้ว

    나무베는 모습이 정말 성의 없이 보이내요... 도끼도 날을 세우지 않은것 같고 ... 왜 한복이 저기에... 라고 생각했더니 그냥 보여주기 식이군요 .. 그냥 재대로 된 작업복입고 장갑 작업구두신고 안전모 쓰고 해서 안전에 신경쓰고 현대공구를 사용하더라도 옛공법을 그대로 사용해 지으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괜히 시멘트 철근 콘크리트 사용하지 말고요...

    • @daebak1
      @daebak1 ปีที่แล้ว

      드시나 전통한옥 선조들 기술보여주는거자나? 방송목적을 이해못하는 드시냐? 으이 ㅋ 이렇게 선조들이 하던 전통적인 방법으로해야 외국도 보고 좋을꺼아냐. 저거 만들면서 외노자에 친일파놈들도 일하는거 보여주나 ㅋ

  • @astellra
    @astellra 3 ปีที่แล้ว +1

    안전복 입혀야지 저게 뭐임 ㅡㅡ 위험하게
    븅신같이 사람 복장 재현은 왜하냐

  • @kamchatka5144
    @kamchatka5144 3 ปีที่แล้ว +2

    종이 한 장 드나들 틈 없이 완벽하게 맞물리는 일본 목조 건축 현장과
    뭔가 엉성해 보이는 우리 목조 건축 현장의 차이는 왜 일까?

    •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3 ปีที่แล้ว +5

      왜냐면 일본은 지형 특성상 빽빽히 안지으면 지진에 다 무너지니까.
      그리고 거의다 목조인데.
      조선은 목조만 쓰는게 아니고 돌이나 흙도 같이 써서 그래요.

    • @tae_gun
      @tae_gun 3 ปีที่แล้ว +9

      일본 건축 기술은 백제에서 건너간 것입니다.
      섬나라의 특성상 습기가 많기에 아귀를 탄탄하고 촘촘하게 지어야 튼튼합니다.
      온돌이 없고 다다미가 있는 이유입니다.
      상대적으로 엉성해보이신다는 조선의 건축술도 결국에는 중국에서 온 건축술이지만 우라나라의 사계절과 지형에 맞게 발전되어 온것입니다. 더구나 사계절이 뚜렸하기에 수축팽창을 고려하여 지었지요.

    • @user-hj3zb2go5g
      @user-hj3zb2go5g ปีที่แล้ว +1

      뭐가 중국에서온 건축술이냐?
      제대로 알고서 얘기해라.

    • @user-uy1cn6sm7j
      @user-uy1cn6sm7j ปีที่แล้ว

      저 결구에 종이 한장 넣어보고 말하는거임? 일본 결구에 종이 넣어보긴 함?

    • @daebak1
      @daebak1 ปีที่แล้ว

      지랄하네 일본 목조의 원조가 우리나라다 다다미싸이즈가 왜 지금의 싸이즈인줄아냐? 다 우리 한옥의 싸이즈 가져간거다. 글고 일본 건죽가들 공부할수록 원조가 어딘줄 알아서 한국에 몰래 보러와서 배우고 간다 원형을 알아야 자기들도 창조 설계가능하니 이건 내가 일본 건축가.교수한테 들은거다 드시나 우릴꺼 먼저배우고 외국을봐라 .복사본보고 좋다고 하는 너도 참 못배운거 티난다 드시나 .친일파냐 윤건처럼 ㅋ

  • @user-gr6gb6mi1g
    @user-gr6gb6mi1g ปีที่แล้ว +1

    쇼 히지 말고 일반 작업복 입고 해라 쇼도 정도껏 하는것이다.

    • @user-uy1cn6sm7j
      @user-uy1cn6sm7j ปีที่แล้ว

      쇼? 방송이 쇼 하는 곳인데 쇼를 하지 말라니 ㅋㅋㅋ 별걸 다 트집이네.. 취업이나 해라

    • @daebak1
      @daebak1 ปีที่แล้ว

      선조들의 전통을 보여주는거자나 드시나 .싸구려 한옥아닌이상 아주 고급 전통한옥 요즘도 저런다 . 드시나 ㅋ

  • @ranajhkim3977
    @ranajhkim3977 ปีที่แล้ว

    MBC에서 이런 방송도 기획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이 놀랍기만 하네요. 좌빨들이 상대적으로 적은 부산MBC라 가능했던 것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