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없는 와이델타 결선방법 알아보기

แชร์
ฝั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37

  • @user-mt3ww4bo5e
    @user-mt3ww4bo5e 2 ปีที่แล้ว +13

    전기에 기초상식이 있는 분이면 이영상은 이해 하시리라 믿습니다.
    위아래 구분마져 없는 경우는 이런식으로 결선하면 절대로 안됍니다.
    우연히 맞을 수 있지만 모험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특히 대형 고마력 모터는 이렇게 하시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정밀하게 설명하면 복잡하고 삼상전원의 상간 각도와 유도원리를 생각하시면 왜 이렇게 하면 안되는지 알겁니다.
    이것을 이해하시는 분은 당연히 아시겠지만 영상에서 1번과 4번, 2번과5번, 3번과6번이 바뀌었는지 모르고 와이기동 델타운전을 하게되면 당연히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겠죠.
    영상의 아래위선이 구분된 경우는 123번과 456번이 구분이 되었다는걸 의미합니다.
    그래서 코일의 저항및 통전실험으로 찾을 수 있지만 구분이 없는 경우는 위의 영상대로 테스터 후 모터 운전전에 와이델타 결선을 임의로 하여 결선을 바꾸어가면서 결선하여 선간저항(코일저항)이 같도록 만들어 전원을 인가해야 됩니다.
    즉, 아래위 구분이 없는 모터의 선은 위의 통전실험만으로 코일의 끝단 순서는 알 수 없습니다.

    • @okgoodtime
      @okgoodtime 2 ปีที่แล้ว

      문외한이라 잘 모르겠어요
      여하튼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언제가 이해할 날이 오겠죠

    • @user-li9zo1so4n
      @user-li9zo1so4n 2 ปีที่แล้ว

      맞는 말씀 입니다 코일의 감기 방향에 따라 처음하고 끝이 중요 합니다

  • @blueksj7
    @blueksj7 ปีที่แล้ว +2

    영상 감사드립나다. 쉽게 설명해 주시네요

  • @bonsaistory-jg7fv
    @bonsaistory-jg7fv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상중 최고입니다 응원합니다

  • @user-pe8lm2qk8u
    @user-pe8lm2qk8u 2 ปีที่แล้ว +4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 @ycj3202
    @ycj3202 2 ปีที่แล้ว +3

    잘 가르처 주어서 감사합니다.

  • @user-dz6fm1ge5f
    @user-dz6fm1ge5f 2 ปีที่แล้ว +4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jungsikpark4076
    @jungsikpark4076 2 ปีที่แล้ว +36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전기파트 유지 보수 일을 10년 넘게 하다보니 위에 더이상 가르침을 받을 사람이없었는데 너무 유익하게 가르침 잘~받고있네요^^

    • @TV-bt1gl
      @TV-bt1gl  2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user-fp4me6ty9e
    @user-fp4me6ty9e 2 ปีที่แล้ว +4

    소중한 실무 영상 감사합니다 ~~^^

  • @because7562
    @because7562 2 ปีที่แล้ว +1

    잘보고 있습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user-ob4ps3jg6x
    @user-ob4ps3jg6x ปีที่แล้ว +2

    오늘도 잘배우고갑니다 ~^^

  • @engineerr5734
    @engineerr5734 2 ปีที่แล้ว +1

    오늘도 잘배우고 갑니다

  • @user-ry6kq6uw6t
    @user-ry6kq6uw6t 2 ปีที่แล้ว +6

    어제 간만에 20마력 15킬로와트 짜리 결선 했네요.처음엔 단자 표시가 없어서 약간 당황했지만 한번에 성공. 분전반에서 오는선 6가닥 ,모터열면 위아래 포함 6가닥.효성모터는 내부 고무 판막이로 해서 위 3가닥 아래 3가닥 ,아무튼 잘 찾아서 연결했네요

  • @user-jp8ge5kv6u
    @user-jp8ge5kv6u 2 ปีที่แล้ว +2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ㅎㅎ

  • @sanghapark5596
    @sanghapark5596 2 ปีที่แล้ว +4

    현장감있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동영상 들도 볼께요 바로 구독합니다.

  • @user-jp8ck8br4z
    @user-jp8ck8br4z 23 วันที่ผ่านมา

    2년전에 배기휀 와이델타 결선했었는데 최근에 급기도 해볼까해서 봤는데 까먹어서 애먹었습니다. 이 영상 하나로 곧바로 기억나네요. 감사합니다.

  • @user-ud7zu7sd3m
    @user-ud7zu7sd3m 2 ปีที่แล้ว +4

    감사합니다 ^^

  • @user-xl6dd7hl4m
    @user-xl6dd7hl4m 2 ปีที่แล้ว +2

    정말 필요했던 건데 ㅎㅎㅎㅎ 우연히 보게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 @TV-bt1gl
      @TV-bt1gl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user-eo5ko2xh7i
    @user-eo5ko2xh7i ปีที่แล้ว +1

    교수님 감사합니더

  • @cleaner1004
    @cleaner1004 2 ปีที่แล้ว +2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잘배웠습니다

    • @TV-bt1gl
      @TV-bt1gl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user-ke8bx3xo9c
    @user-ke8bx3xo9c 2 ปีที่แล้ว

    감사 드립니다 ~~^

  • @user-cv8he3fh4x
    @user-cv8he3fh4x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최고입니다

  • @lknam2797
    @lknam2797 ปีที่แล้ว +6

    유익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건강하세요 응원합니다 👍👍👍

    • @TV-bt1gl
      @TV-bt1gl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ccj34-naver
    @ccj34-naver 2 ปีที่แล้ว +2

    감사합니다. 정말 도움이 되었습니다.

    • @TV-bt1gl
      @TV-bt1gl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cms780208
    @cms780208 2 ปีที่แล้ว +4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모타를 많이쓰는데 항상 궁굼했던 정보였습니다. 구독누르고 갑니다

  • @user-ge8st9xp2c
    @user-ge8st9xp2c 2 ปีที่แล้ว +12

    항상 감사히 시청하고 있어요.
    전기안전관리 선임걸고 건물 시설관리만 수십년간 했습니다만. 그동안 3상 모터를 직접 결선해본 일은 없었어요^^
    혹, 모터를 결선할 일이 있어도 모터 결선은 전문 엔지어니 업체 몫이라서 함부로 손데지 않습니다.ㅎ

    • @user-ye6nr5yf9q
      @user-ye6nr5yf9q ปีที่แล้ว +1

      넘버링 없이 결선이 되나요?

  • @jj.f.my.5466
    @jj.f.my.5466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구독합니다

  • @user-ov5ry4gf1t
    @user-ov5ry4gf1t 2 ปีที่แล้ว +3

    오늘 처음 들어와서 구독 신청했네요
    번호 표시없는 선찿는 방법 잘배웠습니다
    앞으로 하나하나 배우다 보면 고수가 되겠죠?
    좋은 샘을 만나서 그렇게 될것이라 의심치 않습니다
    감사하구요 유튜브 발전을 기원합니다

    • @TV-bt1gl
      @TV-bt1gl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이해하기 쉬운 영상 만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boyoncho1914
    @boyoncho1914 2 ปีที่แล้ว

    링크 감사드립니다.

  • @user-xb7qq2zv6k
    @user-xb7qq2zv6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50~120마력의 모터가 장착된 집진기,에어콤프가 많다 보니 넘버링도 없거나 맞지않는게 대부분이라 꼼꼼하게 체크하면서 설치합니다. 이런거 모르는 사람이 손대면... 모터 다 태워먹고 몇백키로짜리 다시 바꾸고 난리나죠.

  • @user-ig4ig5oy5y
    @user-ig4ig5oy5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구독하고 갑니다

  • @grapekang176
    @grapekang176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많이 궁금한 했던점 해결합니다

    • @TV-bt1gl
      @TV-bt1gl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romedodo
    @romedodo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유익한 정보입니다

    • @iijjii-fh6uv
      @iijjii-fh6u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문제는 Y-델타 6선이 나와있고 시퀜스를 떠올리면 될듯. 그리고 영상 감사드리고 추가하자면 영상처럼하면 타입1이 될수도있고 타입2가 될수도 있을듯. 어차피 번호가 원래없는것을 돌아가게 만들어주는것만해도 할일 다한것이고 타입1이 대서라지만 타입2가 규정에 위배되는것도 아니니 .타입2는 돌입전류의 미세한 문제가 있다고 나와있습니다. 다만 직관적으로 선을 그을적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선을 그어야 타입1에 맞는 결선입니다. 그리고 선의번호를 코일위쪽에서부터123보다는 코일아래쪽에서부터 123을 붙이는 것이 옳다고봅니다. 그래야 번호를 알고있다는 가정하에 바른 타입1결선이 나옵니다. 지금 상황이 누가 Y3선이고 누가델타3선인지 조차 모르고 선의 번호도 모르므로 타입1이건 타입2이건 뭐가 될지 모르고 알려면 시간만 들고 규정상 위배도 아니니 그냥 해도 무방하다고 봅니다. 저 중의3선은 모터 입력에서 따온 델타3선으로보고 델타3선이 차려로 좌에서 우로 Y3선과 결선되어지는것이 타입1이니까요.

  • @rusau-rc3it
    @rusau-rc3i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오늘 전원측 cv 3가닥, 블로워 모터측 6가닥, 쇼트로 타버림. 재결선 하려고 테잎 까보니 번호가 없더라구요. 눈 오고 추운데 블로워 커버 까야되나 짜증나던중 선생님의 영상 덕분으로 쉽게 해결했내요. 많은 도움 주셔서 감사합니다. 🙏

  • @forsythiabeagle8946
    @forsythiabeagle8946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user-hw2yc2mc7k
    @user-hw2yc2mc7k 2 ปีที่แล้ว

    수고하셨습니다 😊 감사합니다..

  • @user-iq6he5xc3l
    @user-iq6he5xc3l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선생님

    • @TV-bt1gl
      @TV-bt1gl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user-ef7gk1ij2e
    @user-ef7gk1ij2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개씩 꼬아서 반대쪽에서 쇼트체크 하시면 간단합니다

  • @user-cm8qh9wh9s
    @user-cm8qh9wh9s ปีที่แล้ว

    도통테스터로 체크 하여 도통이되면 1,4번. 다음은 2,5번. 또 다음은 3,6번으로 표시 하면 빠르지요.

  • @duhyunyun9494
    @duhyunyun9494 2 ปีที่แล้ว +2

    좋은영상 잘 보고 갑니다.
    구독과 좋아요~ 했습니다.

    • @TV-bt1gl
      @TV-bt1gl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user-ud5tx5mx7l
    @user-ud5tx5mx7l 2 ปีที่แล้ว

    최고입니다..

    • @TV-bt1gl
      @TV-bt1gl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user-en5ng6id5z
    @user-en5ng6id5z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자주 들르겠습니다.

    • @TV-bt1gl
      @TV-bt1gl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보내세요

  • @user-rj2uf3op3k
    @user-rj2uf3op3k 2 ปีที่แล้ว

    도통시험하니깐 소리는 안나던데 ..코일이너무 많이 감겨잇어서그런지..인덕턴스 상태여서..
    메거로는 0오옴이 뜨면서 단락상태로 도통이되고요,
    모타집에 물어보기도 힘들엇는데ㅡ잘알려주셔서 매우 유용합니다..농형 3상 유도전동기 ~~

  • @user-xq3xg2tj5h
    @user-xq3xg2tj5h ปีที่แล้ว

    뭐가뭔지는 모르지만 잘보았습니다.

  • @user-xd3ij6jf8h
    @user-xd3ij6jf8h 2 ปีที่แล้ว +3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오뚜기수위계 결선방법도 올려주세요

    • @TV-bt1gl
      @TV-bt1gl  2 ปีที่แล้ว

      영상을 잘 보시면 알수있습니다. 참고바랍니다.

  • @TV-bulgguljoa
    @TV-bulgguljoa 2 ปีที่แล้ว +1

    좋아해 ~

  • @sangjunpack
    @sangjunpack 2 ปีที่แล้ว

    오 감사드립니다

    • @TV-bt1gl
      @TV-bt1gl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user-qm4gr7wv2z
    @user-qm4gr7wv2z ปีที่แล้ว

    그렇게 하시면 기존에 리더에 번호가 없어도 결선을 할수있습니다.

  • @user-xk6eb1ty2l
    @user-xk6eb1ty2l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TV-bt1gl
      @TV-bt1gl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user-oo8yy8sx2r
    @user-oo8yy8sx2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모터 단자함 6가닥과 판넬에서 오는
    전원선과 와이결선은 어떻게 하는지
    델타결선은 어떻게 하는지 모터 단자함 박스에서
    결선하는 실무 영상이 있으면
    좋겠네요
    이론적으로 아무리 설명해 봤자 실제로
    결선 하는 거랑 눈으로 그냥 보는 거랑 차이가 크더라구요 ㅜㅡㅜ
    와이결선이든 델타결선이든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거 말고
    모터 단자함에서 어떻게 결선하는지랑
    판넬 단자함에서 어떻게 결선하는지 영상 같이
    찍어주면 와이델타 결선에 대해서 더 쉽게 이해가 갈거 같습니다

  • @user-op3ns8sb8p
    @user-op3ns8sb8p 2 ปีที่แล้ว

    잘배우고 갑니다^^

  • @94hyuk
    @94hyuk 2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영상 보는데 이해가 쏙쏙 잘되네요! 감사합니다.
    궁금한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저는 초보전기 실무자입니다
    와이델타 기동방식 전동기는 마지막 후반부에 1~6번 단자대처럼 되어있잖아요?
    저럴 때 절연저항 메거측정 시 모든 선 하나하나씩 측정하는게 맞는건가요?
    아니면 1,4 2,5 3,6 코일에 감긴 한선이나 마찬가지이니 3군데만 측정해도될까요?
    그리고 컨디션 괜찮은 모터의 절연저항(M옴)은 얼마인가요...?
    380V이면 이론대로 0.3M옴 이상이면 정상모터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ㅠㅠ

  • @cpark1590
    @cpark1590 2 ปีที่แล้ว +4

    감사히 잘 배웠습니다~
    위 아래 구분이 없는 것도 동일한 방법을 쓰면 되겠군요!
    이해하기 쉽게 정말 잘 가르치시네요!!
    (모터가 잘 안돌아가니 바로 끝내시는 모습
    대박 재밌어요.ㅎㅎㅎㅎㅎ)

    • @TV-bt1gl
      @TV-bt1gl  2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user-gh5rt6zl7f
      @user-gh5rt6zl7f ปีที่แล้ว +2

      123번이라는것이 확정적이지 아니지요.
      126번도 될수 있고,153번도 될수 있지요,
      그러면 모타가 안돌아 갑니다.
      처음끝,처음끝 처음끝 을 알면 쉬운데..
      처음끝인지 끝 처음인지 모를땐..ㅎㅎ

    • @user-ji3kl2ws2w
      @user-ji3kl2ws2w ปีที่แล้ว +1

      한구멍에서 6가닦 번호 없을땐 위 방법대로 하면 큰일날수있어요..정확한 번호를 모르기때문이죠..예를든다면.1번과4번이 바뀌었을수있고 다른번호도 바찮가지입니다

    • @cpark1590
      @cpark1590 ปีที่แล้ว

      @@user-ji3kl2ws2w
      한 구멍에서 나오면 곤란하겠네요.
      감사합니다!

  • @cmm4583
    @cmm4583 2 ปีที่แล้ว

    초보분들을 위한거군요

  • @user-kj2iy5zm3h
    @user-kj2iy5zm3h ปีที่แล้ว

    처음부터 잘

  • @user-gv4fv4lf8x
    @user-gv4fv4lf8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실무로 기르쳐 주시어 고맙습니다

  • @user-jq7ip3ex9p
    @user-jq7ip3ex9p 2 ปีที่แล้ว

    참 어렵게 배웠는데. 중요한게 123 456이 섞여 있을때. 아~ 좀 먹습니다. ㅎ

  • @user-uc9xj3xv9r
    @user-uc9xj3xv9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 보았습니다. 많은 도움 됩니다. 전기현장실무"전기통"도 방문 부탁드립니다.

  • @user-hr8eg7ux5k
    @user-hr8eg7ux5k ปีที่แล้ว +6

    모터리드선 상하분리가 있는 경우는 전기업 하시는 분들은 금방 찾죠.
    여섯가닥이 한번에 나와있을때 찾는법을 알려주셔야죠.

    • @user-mt3ww4bo5e
      @user-mt3ww4bo5e ปีที่แล้ว +1

      이런 것 다 가르쳐 드리면 남는 것이 없을 것 같네요 ㅎ
      이 영상의 교수님도 가르쳐 주지 않는데 천기누설??이 아닐까 싶어 조심스럽네요.실수 없이 결선 하시려면 기본적으로
      첫번째, 와이,델타 결선의 회로를 이해 하셔야 하고
      두번째, rst 상의 각도 개념을
      세번째 ,각도 개념을 이해 하셨으면 회로 내에서 와이, 델타로 결선 할 때 선간전압 .상전압과 함께 선전류,상전류를 머리에 그리거나 종이에 그려서 생각하시면 저항치가 어떻게 나오는지 금방 이해가 될 겁니다.
      이런 이론이 정립되지 않으신 분은 설명해봐야 소용이 없을 듯 합니다.
      이해 되지 않은 분은 부근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 결선하기 바랍니다.
      대충하시면 필히 모터가 타거나 이상한 장면이 연출 됩니다.

  • @leeky1981
    @leeky1981 ปีที่แล้ว

    이 영상 보고 바로 구독 눌렸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립니다.

    • @TV-bt1gl
      @TV-bt1gl  ปีที่แล้ว

      소중한 구독 감사합니다 늘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 @user-qq2di8zm1k
    @user-qq2di8zm1k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벨트도 교환해야겠네요

  • @user-ee9cz2jm5j
    @user-ee9cz2jm5j 2 ปีที่แล้ว +3

    구독자 입니다!
    정말잘보고 만이배우고있읍니다.
    저는60대중반이고 전기입문자입니다.
    선생님도면을 프린터로그리셨던데 컴퓨터의 어떤 기능으로그릴수있는지 저도해보고싶은데 가르켜주실수있으신지요?
    항상건강하시고 많은가르킴 부탁드립니다!
    고맙읍니다!

    • @TV-bt1gl
      @TV-bt1gl  2 ปีที่แล้ว +2

      도면은 오토캐드로 그리고 있습니다. 저도 아주 초보적인 수준의 직선및 복사 정도로 쓰고 있습니다. 저 보다는 사무실에 계신 분들에게 부탁하시는 것이 훨씬 좋다고 생각됩니다. 제 영상을 좋게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항상 행복하시고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 @user-pl4mq1iw5g
    @user-pl4mq1iw5g 2 ปีที่แล้ว +5

    혹시 차단기2차측에서 회전 방향을 못바꿀시
    mc에서 방향 정방향으로 바꾸는 방법좀
    영상 가능하실까요? mc끼리 테스터기로 체크했을때 저항이 어느정도가 나와야되는지도요
    와이델타는 항상 어렵네요ㅜㅜ

    • @user-xn4th5pw5e
      @user-xn4th5pw5e ปีที่แล้ว +1

      간단합니다.
      단자대에 1 2 3 4 5 6 결선되어 있으면
      2 1 3 5 4 6 으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보통 회전 방향이 바뀌었을경우 이렇게 합니다.
      단자대에 1 2 3 6 4 5 결선되어 있으면
      2 1 3 4 6 5 바꿔주시면 됩니다.
      위에서 봤듯이 두선을 바꿔주면 회전방향이 바뀝니다.

  • @PPsmaurf
    @PPsmaurf ปีที่แล้ว +1

    123번조차 정할수 없을때 123 선정 기준은 뭘까요?
    일부 수리한 모터에 경우 과열이나 오래되서 고무판이 삭아버려서 123과456을 위아래로 특정할수 없는 경우도 더러 있더라구요

  • @chl2779
    @chl2779 2 ปีที่แล้ว

    아이디어
    만약 테스트기가 해당 전선을 어떤식으로든
    대서 두개의 테스트기가 동작하면 맞는 선이고
    동작 안하면 다른 선이 아닐지.........

  • @yjljami7850
    @yjljami7850 ปีที่แล้ว

    3상 델타결선 인것같습니다. 3상4선에서 Y결선의 중성선은? 접지와 다른건가요?

  • @user-ds7sz1mp7r
    @user-ds7sz1mp7r ปีที่แล้ว

    코일3뭉치 6가닥.상하3가닥씩 나뉘져잇네요.10마력은 와이델타안해요.직입기동이지..소리나면코일1뭉치여.그게3뭉치.

  • @Kangs8008
    @Kangs8008 2 ปีที่แล้ว +9

    선이 아래 위로 3가닦씩 나누어 졌을때는 식은죽 먹기지만
    위 아래 6선이 하나로 섞여 있을때 찿는 방법을 알려 주셔야죠~ ㅎ
    코일 감기시작 과 감기끝을 찿는방법~ ㅎ
    어렵진 않지만요~ ㅎㅎ

    • @TV-up6ii
      @TV-up6ii 2 ปีที่แล้ว +1

      한가닥잡는다나머지5가닥찍어본다.삑소리나면 그놈이1조유그러키3조차자서 123/456나눠유.알것지유

    • @user-xn4th5pw5e
      @user-xn4th5pw5e ปีที่แล้ว

      허기자TV 님이 얘기하신대로 나누면 됩니다.
      모터 내부 결선을 동영상보고 정확하게 이해해보세요.

  • @user-ji3kl2ws2w
    @user-ji3kl2ws2w ปีที่แล้ว +2

    잘보았습니다...완벽한 방법은 아님 만약 저상태에서 1번과 4번이 바뀌었을때는요? 위아래 확실히 구분이 되어있는상태에서만 가능한 방법이고..한번에 6가닦 나온경우엔 저렇게 하면 안됨.

    • @TV-bt1gl
      @TV-bt1gl  ปีที่แล้ว

      네~감사합니다

  • @user-bs1mz4dq9d
    @user-bs1mz4dq9d ปีที่แล้ว +1

    혹시 임의 잡고 1,2,3을 돌렸을 경우 모터가 역회전하는 경우도 있습니까?

  • @jslee5148
    @jslee5148 2 ปีที่แล้ว +7

    1.2.3은 R.S.T결선하고
    4,5,6다묵으면 380V결선이며
    1.6 2,4 3,5 결선하면220V결선입니다

    • @user-yh6lg7di9m
      @user-yh6lg7di9m 2 ปีที่แล้ว

      OK

    • @user-yh7fv1ex2v
      @user-yh7fv1ex2v 2 ปีที่แล้ว +6

      그건 모터마다 다릅니다
      작성자님께서 말씀 하신 모터는
      220/380볼트 겸용의 경우입니다
      쉽게 220볼트 전용모터 6선 이죠
      다른경우는 380볼트 전용 6선일 경우는
      직입기동 R-1,6 S-2,4 T-3,5
      Y델타기동판넬이 있는경우 Y델타 기동 가능합니다
      380볼트 전용모터를 Y로 기동했을때는
      660볼트의 전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Y로 380볼트 기동시 모터가 힘이 안나오고
      결국 소손으로 이어집니다

    • @user-yh6lg7di9m
      @user-yh6lg7di9m 2 ปีที่แล้ว +1

      @@user-yh7fv1ex2v 220V~380v 겸용일 때에 사용. 그래서 OK. 이런 것을 가지고 메일을 보냅니까 ? jc lee 씨가 글을 올린 것은 220v~380v 겸용일 때 .

    • @user-yh7fv1ex2v
      @user-yh7fv1ex2v 2 ปีที่แล้ว +2

      @@user-yh6lg7di9m무슨 말을 하시는지요?
      뭐 안풀리는 일있나요? 시비거시는것같네요?

    • @Hongpotato.
      @Hongpotato. ปีที่แล้ว

      그럼 영상에 나온 결선은 3상220V에 사용하는 모터인가요?

  • @user-ij2gz3fd9v
    @user-ij2gz3fd9v ปีที่แล้ว

    위쪽을 임의로 번호 설정해주신다는데 123번을 임의로 하고 UVW에서 오는선이랑 구분이 안되어도 결선은 되나요?

  • @user-ry6kq6uw6t
    @user-ry6kq6uw6t 2 ปีที่แล้ว

    Y결선 누구나 쉽게 하는데 이런건 상이 바뀌면 아마도 꽝나겠죠.

  • @Littlewings_P
    @Littlewings_P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모터가 붙어도, 즉 모터의 절연이 0이어도 모터가 가동되는것이 가능한가요? 상식적으로 모터절연이 0인상태라면 당연히 쇼트이니 차단기가 바로 트립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MC 교체후 정상작동이 되고 있는데 이건 무슨 경우일까요? 메거측정은 단자대 3선 분리 후 했습니다.

  • @user-hi3oi4xs8v
    @user-hi3oi4xs8v 2 ปีที่แล้ว +3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
    어떤 상황일때 와이결선을 해야 하고.. 델타결선을 선택해야 하는지 .. 그게 참 헛갈리더군요..
    현장에선 고장난 모터하고 똑같은거 구해와서 조립해놨다고
    기존처럼 연결해달라는 요청이 가끔와서 해주긴 하는데.. 여긴 모든 모터가 와이결선이더군요..
    다른 조건에서는 모터 결선방법 선택을 어떻게 결정해야 하는지.. ^^;
    아시는 지식 있으시면 부탁 드려봅니다 ^^;

    • @TV-bt1gl
      @TV-bt1gl  2 ปีที่แล้ว

      모터의 명판에 보면 알수 있습니다, 명판이 없으면 저도 알수없고 그 전에 사용했던곳에서 물어봐서 결선을 해줍니다. 3상이고 220V인것도 있고 380V일수도 있고 3상220V와 380V 겸용인 모터도 있습니다. 모터 용량이 크다고 무조건 와이델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가 직기동 가장 큰 용량은 250마력 185KW 모터까지 봤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며 감사합니다~~

    • @user-jq7ip3ex9p
      @user-jq7ip3ex9p 2 ปีที่แล้ว +2

      380V 220V 모터를 Y 델타 결선을 이용해 많이 활용하구요. 같은 전압에서는 기동전압을 줄여 기동하고 정격 전압으로 운전하여 사용한답니다. 루트3만큼의 효과를 보거든요. 큰모터를 정격으로 바로 돌리려면 무리가 많이 생기구 그동중 타기도 싼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 @user-hi3oi4xs8v
      @user-hi3oi4xs8v 2 ปีที่แล้ว

      @@user-jq7ip3ex9p 감사합니다

    • @user-rb1tw1cz2u
      @user-rb1tw1cz2u 2 ปีที่แล้ว

      @@TV-bt1gl 좋은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이해가 정말쉬워요
      한가지 질문이 있어서요
      380v220v겸용
      델타결선에서
      단상 220v일경우는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요?
      변환기가 꼭 필요한가요?

    • @user-ur4mm8ld9v
      @user-ur4mm8ld9v 2 ปีที่แล้ว

      @@user-rb1tw1cz2u 꼭 필요합니다.

  • @vaughansung
    @vaughansung 2 ปีที่แล้ว

    후라시 건전지을 빼서 위아래 대보고 모터가 윙돌면 정상적인 결선이 아닐까?

  • @user-uq8fw5ci9l
    @user-uq8fw5ci9l ปีที่แล้ว

    삐삐삐 소리로 뭐랑 뭐가 연결된건지 알수는 있지만 저 영상만 보고 123 묶고 와이결선 기동하다가 쇼트납니다 ㅋㅋㅋ

  • @user-eu3sj9wp4t
    @user-eu3sj9wp4t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델타결선이고 스타결선은 456을 같이 묶어버리나요?

  • @user-fi1zu1ef1h
    @user-fi1zu1ef1h 2 ปีที่แล้ว +1

    아래위 구분없이 여섯가닥 나온모터도 많습니다 그것도 설명을

    • @user-ul4vi1bj5g
      @user-ul4vi1bj5g 2 ปีที่แล้ว

      이런 경우는 현장에서는 할 수 없습니다, 구지 할려고 하면.저전압 50볼트를 만들어서 운이 좋으면 한 번에 맞지만 그렇지 못 하면 3번의 경우의 방법으로 합니다. 보통은 이런 경우는 모터수리점에 맡깁니다.

  • @user-lx2ii1ci5m
    @user-lx2ii1ci5m ปีที่แล้ว

    만일에 모터선이 위아래로 구분되지않고 6선이 뭉처 있으면 1,2,3번을 어떻게 구분하나요 모터 코일 감긴것을 확인해야하나요 그부분을어덯게 하는지 설명좀해주세요

  • @jong585
    @jong585 ปีที่แล้ว

    한 구녕에 6개 전선이 있는거 영상이 있나요?

  • @user-gf7ue1lg5r
    @user-gf7ue1lg5r 2 ปีที่แล้ว

    14 25 36
    서로 이어주는 순서
    편마끼 도이스 ....

  • @user-vg2nc4xf2h
    @user-vg2nc4xf2h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가닥이 모두 섞여서 있을겨우는 어떻게하나요?

  • @user-zu2db9gf7h
    @user-zu2db9gf7h ปีที่แล้ว +1

    모터 결선방식도 Y--D기동 모터가 따로있고, 와이델타 겸용 모터가 있는데, 지금 영상에 나온 모터 추측해보면 380/220V 겸용모터 같네요 사용전압이 220V이니 델타결선 하신 거구요

    • @modumat
      @moduma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모터 돌리기 전 영상에 메인 전원 380V로 보여졌고 Y-D 결선과 타이머도 있었어요. 그리고 380/220V 겸용 모터는 모터 터미널 박스에서 결선을 하지 외부로 나와서 결선하지는 않아요

  • @user-li9zo1so4n
    @user-li9zo1so4n 2 ปีที่แล้ว

    두구멍에 세선씩 나오면 쉬운데 한구멍에 6가닥 나오면 ?
    코일이 처음하고 끝이 틀리면 안되는지 알고 있는데

  • @leelee5490
    @leelee5490 ปีที่แล้ว +2

    모터 역상 결선 16 24 35 위쪽 입력 아래쪽 출력 인출이면 괜찮은데 61 24 35 역상 걸렸을때 추가 설명 부탁드려요

    • @user-xn4th5pw5e
      @user-xn4th5pw5e ปีที่แล้ว +2

      모터 보면 6개의 선이 위/아래로 3개씩 나눠서 나옵니다. 인입과 출력이 바뀌지 않게 하기 위함이죠. 그래도 모르겠으면 1-4, 2-5, 3-6번 임의로 찾아놓고 4,5,6번 와이결선 해놓습니다. 모터 잠깐잠깐 돌리면서 테스터기로 전류 측정하면 바뀐 상에 더 많은 전류가 흐름을 볼 수 있습니다. 2번선이 전류가 높으면 5번선과 바꿔주세요. 그러면 소리도 조용해지고 모터 열도 적게 납니다. 현장에선 잠깐씩 돌리면서 소리로도 알 수 있습니다. 모터소리가 크면 1,2,3번 선 한선씩 4,5,6번과 바꿔가면서 확인하기도 합니다.
      참고하세요.

    • @user-ed8ji2iq7b
      @user-ed8ji2iq7b ปีที่แล้ว

      @@user-xn4th5pw5e 와~이거 궁금해서 물어보니 모터 뜯어야 알 수 있다더라고요 고급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 @kkojang72
    @kkojang7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모터 결선시 번호가 없을경우 영상처럼 최소한 1,2,3과 4,5,6이 구분은 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약 1~6번이 완전 뒤죽박죽으로 있으면 정확한 결선이 안되죠.

  • @user-zb8kv5rz6d
    @user-zb8kv5rz6d 2 ปีที่แล้ว

    R S T 표기가 L1, L2, L3로 바뀌었습니다.

  • @user-uh5gi1mz7v
    @user-uh5gi1mz7v ปีที่แล้ว

    제가 이번에 유튜브에 올린 것을 한번 보시고 조언부탁합니다.
    국내특허는 올해 4월에 등록되었고 국제특허를 들록하려고
    PCT 등록이 되어있는 상태입니다.
    amazing contactors 라고 이름을 붙였으며 스타델타의
    구성을 간소화 했습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 @user-cp1fn8mu7i
    @user-cp1fn8mu7i ปีที่แล้ว

    위 아래 3개씩 구분도안되있고 다섞여잇는건 어찌합니까?

  • @user-on8tm6cj6d
    @user-on8tm6cj6d ปีที่แล้ว

    위 아래 구별이 없을때에는 어떻게 하는지요

  • @oow4422
    @oow4422 ปีที่แล้ว

    단자대에서 도통테스트하실때 델타 결선으로 이루어졌으니 1,6/2,4/3,5에서도 도통이 될꺼 같은데 왜 소리가 안날까요

    • @user-xn4th5pw5e
      @user-xn4th5pw5e ปีที่แล้ว

      단자대에서 1-4, 2-5, 3-6번 해야 도통 소리가 납니다. 결선방법이 1-6,2-4,3-5 인것이죠.
      그려보면서 이해를 하시는게 좋습니다.
      모터에 선이 6가닥 아무렇게나 표시없이 나와도 이해만 하신다면 쉽습니다.

  • @user-zg7vw7nq1d
    @user-zg7vw7nq1d ปีที่แล้ว

    영상 잘봤습니다!
    123/456 위아래로 구분되어 있지 않으면 찾을수있는방법이 있나요??

    • @TV-bt1gl
      @TV-bt1gl  ปีที่แล้ว

      구분이 되어 있지 않아도 내부에 잘보면 3가닥씩 묶여 있기에 한선을 흔들어 보면 보통은 알수 있습니다.

    • @user-mt3ww4bo5e
      @user-mt3ww4bo5e ปีที่แล้ว

      이런 것 다 가르쳐 드리면 남는 것이 없을 것 같네요 ㅎ
      이 영상의 교수님도 가르쳐 주지 않는데 천기누설??이 아닐까 싶어 조심스럽네요.실수 없이 결선 하시려면 기본적으로
      첫번째, 와이,델타 결선의 회로를 이해 하셔야 하고
      두번째, rst 상의 각도 개념을
      세번째 ,각도 개념을 이해 하셨으면 회로 내에서 와이, 델타로 결선 할 때 선간전압 .상전압과 함께 선전류,상전류를 머리에 그리거나 종이에 그려서 생각하시면 저항치가 어떻게 나오는지 금방 이해가 될 겁니다.
      이런 이론이 정립되지 않으신 분은 설명해봐야 소용이 없을 듯 합니다.
      이해 되지 않은 분은 부근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 결선하기 바랍니다.
      대충하시면 필히 모터가 타거나 이상한 장면이 연출 됩니다.

  • @user-ff5jf8xz1s
    @user-ff5jf8xz1s 2 ปีที่แล้ว

    문제는 6가닥 다 섞여있을때인데 그럴때는 모터결선부분 카바를 열어서 확인해야 하지요.

    • @user-li9zo1so4n
      @user-li9zo1so4n 2 ปีที่แล้ว +2

      맞습니다 한구멍에 여섯가닥일때는 번호를 임의대로 매겨 결선 할시 토크에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 @user-xn4th5pw5e
      @user-xn4th5pw5e ปีที่แล้ว

      모터 보면 6개의 선이 위/아래로 3개씩 나눠서 나옵니다. 인입과 출력이 바뀌지 않게 하기 위함이죠. 그래도 모르겠으면 1-4, 2-5, 3-6번 임의로 찾아놓고 4,5,6번 와이결선 해놓습니다. 모터 잠깐잠깐 돌리면서 테스터기로 전류 측정하면 바뀐 상에 더 많은 전류가 흐름을 볼 수 있습니다. 2번선이 전류가 높으면 5번선과 바꿔주세요. 그러면 소리도 조용해지고 모터 열도 적게 납니다. 현장에선 잠깐씩 돌리면서 소리로도 알 수 있습니다. 모터소리가 크면 1,2,3번 선 한선씩 4,5,6번과 바꿔가면서 확인하기도 합니다.
      참고하세요.

    • @user-ff5jf8xz1s
      @user-ff5jf8xz1s ปีที่แล้ว

      @@user-xn4th5pw5e 이렇게 여러번 하는사이에 모터에 과전류가 흘러 모터권선에 무리를 주겠죠

    • @JANG8SAMO
      @JANG8SAMO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섞여있을때 도 똑같이하면되잖아 설명 잘했는데 ㅉㅉㅉ

    • @user-om1zi5ij6z
      @user-om1zi5ij6z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ANG8SAMO6가닥이 완전 섞여있을때는 똑같은 방법으로 하면 안됩니다 모터 수리점에 맡기셔서 123하고 456 구분해서 빼달라고 해야합니다
      도통은 똑같이 되지만 126 , 453 이렇게 묶어서 델타 결선 할 수 있기때문이에요

  • @user-fe8wq8ng7e
    @user-fe8wq8ng7e 2 ปีที่แล้ว +3

    시작-끝, 시작-끝. 시작-끝

  • @hunipodo7008
    @hunipodo7008 2 ปีที่แล้ว

    영상 잘봤습니다 좋은 기술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근데 궁금한게 14 25 36이 내부가 연결돼서 소리나는건 이해했는데요
    16 24 35를 그림에서는 왜 이어주신건가요 ??? 그리고 왜 결선이름이 와이델타 결선이라고하나요 ???

    • @TV-bt1gl
      @TV-bt1gl  2 ปีที่แล้ว +3

      16 24 35는 전선의 번호를 1~6번까지 정해진 번호에서 결선을 그렇게 하는 것입니다. 결선방식을 설명보다는 그림으로 이해시키기 위해서 가장비슷한 모양을 찿다보니 와이는Y로표기하고 델타는 삼각형으로 표현합니다. 안보이는 전기를 시각화 하려니 그렇게 한것 같습니다. (저의생각) 그리고 와이결선을 스타결선이라고도 부릅니다. 멀리서 보면 별모양으로 보여서 그렇가 봅니다. 자동차 벤츠 엠블럼도 Y모양인데 별모양이라 부르는 것처럼... 16 24 35를 그림에서 이어준 것은 델타(삼각형)모형이 된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입니다. 이해하시기에 설명이 부족할수 있는점 이해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user-xn4th5pw5e
      @user-xn4th5pw5e ปีที่แล้ว +1

      1-6,2-4,3-5로 결선하는것이 델타 결선 입니다. 모터 용량 5-15kw 정도 되는것은 최초 기동시 기동전류가 높아 감전압 기동(y결선 기동)을 합니다. 그래서 y결선 기동했다가 t초후 델타결선으로 넘어갑니다. y결선 기동은 판넬 보시면 MC 에서 R,S,T common 잡아준 부분입니다. 시퀀스 제어에 의해 y기동 MC가 붙었다가 델타 MC로 붙는 것. 이렇게 작동되는것이 와이델타 기동이라고 합니다.
      참고하세요.

    • @hunipodo7008
      @hunipodo7008 ปีที่แล้ว

      @@user-xn4th5pw5e 무슨 말인지 70% 정두 이해가 된 것 같습니다. 대충 감은 오는데 눈으로 직접 봐야 될 것 같아요 설명 정말 잘하시네요 감사합니다 !!

  • @user-wk9tl3rd5m
    @user-wk9tl3rd5m 2 ปีที่แล้ว

    1.6.×2.4×3.5 y델타 220v

  • @user-zu2db9gf7h
    @user-zu2db9gf7h ปีที่แล้ว

    만약 모터에 명판이 없는 경우 Y결선을 해야하는지 D결선을 해야하는지요?

    • @TV-bt1gl
      @TV-bt1gl  ปีที่แล้ว

      그런 경험이 없어서 잘 모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yellowbreeze4142
    @yellowbreeze4142 ปีที่แล้ว +2

    주먹구구식이네요. 1-4번이 진짜 1-4인지 4-1번인지는 확인을 어떻게 하면 될까요?

  • @user-oi5rg1dp7h
    @user-oi5rg1dp7h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선이8개인 경우는 빨강선2개 묶은후 같은 방법으로 하는지요.

    • @TV-bt1gl
      @TV-bt1gl  2 ปีที่แล้ว

      8선은 경험이 없어 제가 드릴말씀이 없습니다. 많은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 @user-yh7fv1ex2v
      @user-yh7fv1ex2v 2 ปีที่แล้ว

      8선은 없습니다
      삼상모터는
      3선 6선 9선 12선 있습니다

    • @user-ul4vi1bj5g
      @user-ul4vi1bj5g 2 ปีที่แล้ว

      제가 보기엔 두선은 브레이크(dc)인듯 합니다.

    • @chriskim6914
      @chriskim6914 ปีที่แล้ว +1

      모터 내부온도 과열보호장치에 선을 빼내서 밖에서 control 하는게 아닌지...주로 plc 에 연결되어 보통은 두선이 붙어있다가 무슨이유로 모터에 열이 높아 그 두선이 단락되면
      Plc 나 다른 control 장치에 에 error 를 걸어 더이상 운전을 못하도록 하는게 아닌가 생각듭니다.
      다른선보다는 좀 가느다란...

    • @user-oi5rg1dp7h
      @user-oi5rg1dp7h ปีที่แล้ว

      @@chriskim6914 감사 합니다ᆢ

  • @user-mk5tm6qt1r
    @user-mk5tm6qt1r 2 ปีที่แล้ว

    리드선이 상하 구분이 되어 있다면..아주 간단한 문제..하지만 상하 구분 없이 그냥 6 가닥이 나와있을 때는 어떻게 찾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