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복귀 안 하면 벌어질 정해진 미래 f.박종훈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심층 인터뷰]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6 พ.ค. 2024
  • 의대 정원을 늘리겠다는 정부의 발표 이후 수개월이 지난 지금, 환자들이 병원에서 겪는 불편은 생각보다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의 병원장을 지낸 박종훈 교수가 의대 정원 이슈와 더불어 대한민국이 수십년간 유지해온 의료 시스템에 대해 이야기하는데요. 지금의 시스템이라면 대한민국 의료가 2028년, 즉 5년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 붕괴할 것이라 말합니다. 어떤 근거로, 왜 그런 미래를 예상하는지 박종훈 교수의 말을 들어보시죠.
    📢 삼프로 앱에서 영상과 오디오를 한 번에!
    - 삼프로 앱이 "확" 달라졌어요! 영상을 시청하다가 자유롭게 오디오로 들을 수 있어요.
    - 삼프로TV, 언더스탠딩, 지구본 연구소, 위즈덤 칼리지(구.일프로TV), 압권 등 모든 3PRO 유니버스의 방송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어요.
    - 지금 바로 3PRO 앱 또는 웹을 만나보세요!
    👉🏻 3protv.page.link/S7cX
    💎 각 분야 최고의 투자 마스터들과 함께 하는 '삼프로 멤버십'
    - 오직 멤버십 회원들만을 위한 비밀 콘텐츠
    - 품격있는 투자 소통이 이뤄지는 전용 커뮤니티 공간
    - 투자에 진심인 분들과 함께 건강한 투자 습관을 만들어 보세요!
    👉🏻 10일간 무료 체험하기 : bit.ly/3QmOuP7
    ❤️당부 말씀
    - 삼프로TV는 시청자의 다양한 해석과 의견을 존중합니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비판과 평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 하지만, 출연자에 대한 근거없는 비난, 욕설, 인신공격, 비하성 표현이 담긴 댓글은 안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삼프로TV가 건강한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늘 감사합니다^^
    📢아래 프로그램은 3/4(월) 부터 [삼프로 머니]에 업로드 되고 있습니다.
    👉삼프로 머니 바로가기 : / @3promoney
    -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中 월가 뉴스레터
    - 오프닝벨 라이브
    - 클로징벨 라이브
    -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 뉴스룸
    📺 평일 라이브 프로그램 안내
    [06:00-07:15]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월가 뉴스레터, 글로벌 인터뷰)
    [07:15-09:00] 오늘아침 라이브 (뉴스3, 마켓 인사이드, 인뎁스60)
    [09:00-10:00] 오프닝벨 라이브
    [10:00-11:00] 맞동산 (부동산)
    [15:20-16:30] 클로징벨 라이브
    [16:30-17:10] 뉴스룸
    [17:10-18:00]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18:00-19:00] 퇴근길 라이브
    [19:00-21:00] 언더스탠딩
    🗂️ 영상에서 언급된 자료를 찾으시나요?
    웹사이트 : apps.3protv.com/original/pds
    모바일 앱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를 검색하세요.
    앱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오리지널] - [신의자료] 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3PRO 고객센터
    - (전화) 02-2118-0707, 010-3898-2324
    - (메일) edu.help@3protv.com
    - (1:1 문의 게시판) apps.3protv.com/myqna/write
    - 평일 09:00-18:00 운영됩니다.
    - 주말에는 메일 혹은 3PRO 앱/웹에서 1:1 문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비즈니스 문의 채널 안내
    - 광고/협업/유튜브 제작대행 문의 : (메일) ad@3protv.com, (전화) 010-2090-6748, (설문지 제출) url.kr/yi4rpg
    - 전문가(연사) 섭외 및 기업교육 문의 : (메일) edu@3protv.com, (전화) 02-2118-0096, (웹사이트) zrr.kr/lRQq
    - 언더스탠딩 문의 : (메일) gygesring@naver.com
    - 삼프로TV IR 문의 : ir@3protv.com
    📢사칭 주의
    -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 출연자는 문자메시지/카카오톡/전화/텔레그램 등을 통해 절대 개인적인 투자권유 및 리딩방, SNS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를 클릭하지 마시고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7K

  • @3protv
    @3protv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94

    의대 정원을 늘리겠다는 정부의 발표 이후 수개월이 지난 지금, 환자들이 병원에서 겪는 불편은 생각보다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의 병원장을 지낸 박종훈 교수가 의대 정원 이슈와 더불어 대한민국이 수십년간 유지해온 의료 시스템에 대해 이야기하는데요. 지금의 시스템이라면 대한민국 의료가 2028년, 즉 5년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 붕괴할 것이라 말합니다. 어떤 근거로, 왜 그런 미래를 예상하는지 박종훈 교수의 말을 들어보시죠.

    • @pepepepe1657
      @pepepepe1657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6

      피부미용쪽으로 전부 빠지니까 생기는 문제입니다 의사들은 한결같이 필수과 문제가 걱정된다고하면서 왜 피부미용 개방은 절대 반대하시나요?

    • @user-mw8bp3mv4j
      @user-mw8bp3mv4j 21 วันที่ผ่านมา +49

      @@pepepepe1657그건 건보에서 삭감때려대니 정작 필요한분야에서 도망가는겁니다 채찍질보다 인센티브가 생산성이 높죠 인류의 유구한 역사가 증명합니다

    • @MrYu119
      @MrYu119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2

      @@pepepepe1657피부미용 개방 반대하지 않습니다. 필수의료가 망해가고 있다는 게 문제라는 거죠.

    • @MrYu119
      @MrYu119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2

      @@young1151호기롭게 그렇게 지내시고 가족 중에 중환자 안생기게 건강 관리 잘하세요. 중환자 생기면 이제 어쩔 수 없습니다. 중환자 생겨도 지금처럼 호기롭게 지내세요.

    • @Borderboy-yz3ne
      @Borderboy-yz3ne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7

      헬조선 이제 시작임 ㄷㄷㄷ

  • @user-vf5ez7nl7m
    @user-vf5ez7nl7m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63

    의학전문대학원을 만들었을때 여러 목적중 하나가 기초의학을 하는 기초교수가 많아지리라 기대한 부분도 있었으나, 오히려 기대효과는 미미하였다는 것을 알기 바랍니다. 지금 의전원은 사라졌다는 것도 알기 바랍니다.

    • @mys8143
      @mys8143 17 วันที่ผ่านมา +38

      그때도 모든 의과대학 & 교수& 의사들은 반대했지만, 정부에서는 밀어붙였고
      군대 갔다가 ( 미국은 군대 안가니 ) 30 살 즈음에 늦게 의대 들어온 졸업생들이 힘든 내외산소를 피하고 일반의 혹은 피부미용으로 빠지면서 필수의료 지원자가 더 줄었죠.
      지금은 다시 의과대학 시스템으로 다 바뀌었는데, 정부는 의사들이 아무리 근거를 대고 반대해도 저지릅니다. 사춘기도 아니고,,, 똥을 꼭 먹어봐야 똥인 줄 아는지,,,

    • @MrLbh0718
      @MrLbh0718 16 วันที่ผ่านมา +26

      그때도 정책 결정에 책임 진 사람 하나 없었어요

    • @mbvw1718
      @mbvw1718 15 วันที่ผ่านมา +21

      조금만 생각하면 웃긴 일이죠.
      이미 자연과학, 공대를 버리고 의대 온 사람들이 기초의학을 한다? 그냥 망상으로 정책을 만드는 거죠

    • @user-or5gs2pj4n
      @user-or5gs2pj4n 14 วันที่ผ่านมา +2

      의전원 과 의학전문대학원이 사실상 같은 곳이죠. 본과때부터 의학전문대학ㅇ ㅓㄴ에서 배워요. 4년을 예과때는 다른곳에서 배우고요. 어느 대학 의대든 비슷함 분리된곳이 많죠. 의전원학생들은 그냥 바로 본과둘어가기때문에 그런거죠.예과시절이 없고

    • @user-or5gs2pj4n
      @user-or5gs2pj4n 14 วันที่ผ่านมา +1

      미래 직업으로 선택을 안가는게 문제 ㅠㅠ 의대에서는 모든 세부적인거 모든 인체 학문을 배우지만 평생 직업으로 안할려는게 안타까움 ㅠ

  • @user-ef7yf5fi6r
    @user-ef7yf5fi6r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99

    인구 많을때 연금부터 건보료까지 인상하는게 해답이였는데… 이젠 돈낼사람도 없으니 각자도생 헬파티다

    • @KSB-sz5nw
      @KSB-sz5nw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2

      세계적인 추세대로 연금수령 나이를 올리고 건보료 해택을 줄이면 되는거.

    • @EMShch
      @EMShch 20 วันที่ผ่านมา

      혜택은 이미 정부가 줄이고 있어요. 신포괄수가제와 가치기반수가제 만들고 있어요. 그제도로 의사들이 늙거나 중증인 환자를 받으면 돈을 안줘서 적자나게 함으로써 그런환자를 안받게 유도하는거죠~ 솔직하게 건보재정없다고 말하지않고 이런방법을 쓰는것이 정치인들 수법!

    • @user-in1je1mx8w
      @user-in1je1mx8w 20 วันที่ผ่านมา +4

      ​@@KSB-sz5nw그러니 더 저출산으로 더 가속화 나라 망하는 거죠
      그게 최악의 해결이라는 게 문제인 거죠
      그러기 전에 미리미리 올려서 의료진의 임금을 제대로 보상하고
      연금도 더 많이 내서 후세에 피해를 덜 주게 했어야죠

    • @KSB-sz5nw
      @KSB-sz5nw 20 วันที่ผ่านมา +6

      @@user-in1je1mx8w 연금수령 나이 올리고 건보료 해택 줄이면 저출산이 가속화 된다구요??? 소설 쓰세요?

    • @user-sg8ze7bm8k
      @user-sg8ze7bm8k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6

      @@KSB-sz5nw 투표권을 가진 노인들, 결제권, 임명권을 가진 노인들이 절대 그렇게 하지 않는다는거. 이번에 국민연금 개혁안 결과 못봤음? 노인협회에서 손자걱정 합니까?

  • @user-rc4gh8xu8b
    @user-rc4gh8xu8b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59

    심각하군요
    대학병원 붕괴 무섭습니다

  • @amadeus8197
    @amadeus8197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32

    대한민국 의료가 붕괴 직전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붕괴직전인 것 같습니다.
    요즘은 종종 우리 세대는 그렇다 치고 자식놈들 세대는 어찌 될꼬라는 생각만 납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답이 없네요.
    포기하고 맘 비우기로 했습니다.

    • @StoneHyeon
      @StoneHyeon 17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럼 니네세대가 잘했어야죠 😂😂

    • @user-xh6vt2ge6u
      @user-xh6vt2ge6u 16 วันที่ผ่านมา

      @@StoneHyeon 돌같은 소리하네.

    • @amadeus8197
      @amadeus8197 10 วันที่ผ่านมา

      @@StoneHyeon 니네세대라고 하는 것을 보니 우리 밑의 세대라는 말이네.
      그래, 네가 말하는 니네세대인 우리는 너희 세대 먹여살리기 위해 모든 것 희생하며 정말 코피 터지게 열심히 일하며 살아왔다.
      그런데 살면서 보니 우리 밑의 세대는 열심히 일하지도 않고 뺀질거리며 우리 세대 골수 빼먹고 사는 인간들 많더라.
      그래서 얄밉지만 그래도 자식들 세대니까 연민을 가지고 걱정해 주는 것일 뿐. 너희들이 엔간히 잘해서 그런 마음 가지는 것으로 착각마라.
      요즘 종종 보는 이 말이 딱 어울리네.
      "배려가 반복되니 권리인줄 착각한다"

  • @slee4681
    @slee4681 21 วันที่ผ่านมา +725

    진심으로 조언합니다. 핈구의료 붕괴, 지방의료 붕괴, 응급실뺑뺑이 , 소아과 붕괴 , 간호사 부족 등등 이 모든 문제들의 원인은 돈입니다 . 낮은 의료비로 유지하려하니 각 분야 인력들이 힘들고 하기 싫어지는겁니다 그런데 힘드니깐 많이 늘려 준다는거다 라는 식의 비아냥은 해결책도 아니고 자제 해야 합니다 . 인원이 부족한게 아니라 그 인원들이 그 일을 하기 싫게 만드는 겁니다 . 간호사 절반이 일을 안하고 있는데 간호사 부족하다고 간호대생을 또 증원 하고 있으면 되는겁니까? 많이 배출하면 싸게 일 시킬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게 60년대 방식입니다 .. 인구는 줄어드는데 인적자원 밖에 없는 대한민국에서 그 인력을 저런식으로 낭비하는게 남 잘되는거 배아파하는 심보 외에 뭐가 더 있습니까?

    • @vxzxcx
      @vxzxcx 21 วันที่ผ่านมา +62

      의사 평균임금이 얼만줄은 아시나요? 맞아요 돈 때문에 필수의료 안 가죠. 피부과 차리면 몇억씩 버니까. 피부과 처리면 몇억씩 벌 수 있는 이유는 국가에서 의사공급을 제한해주기 때문이구요. 저는 의사들의 평균임금이 충분히 높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의사수를 늘려서 경쟁을 통해 필수의료 외 분야에서의 기대수익을 낮춰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지방 응급실은 몇억을 준다고해도 안 간다잖아요.

    • @user-nm2ub5kc5n
      @user-nm2ub5kc5n 21 วันที่ผ่านมา

      @@vxzxcx 그런식으로 기대수익을 낮추면 상위권 학생들은 차라리 의사를 안하고 말겠죠- 지금보다 기대수익 낮아져도 할 사람 줄섰다, 의사 일이 그렇게 똑똑하지 않아도 할수 있다 이런 얘기는 아무것도 모른다는거 인증이고- 이미 노후대비가 되어있는 연령대의 의사들은 은퇴하면 그만이고 현재 활동 중인 젊은 의사들이 어거지로 하다가 은퇴하고 나면 그 후에는요? 지금보다 수준 떨어지는 의사들한테 나와 내 가족의 몸을 맡기고 싶지는 않네요-

    • @Gloria-jf4oh
      @Gloria-jf4oh 21 วันที่ผ่านมา +40

      의사들은 생각해보세요.필수의료를
      미.성형처럼 높은 수가를 줘서 과연 운영할수 있을까요? 국민들은 건보료로 수입의 30%는 내야할듯 하네요..본인들이 원하는 수입의 기준이 국민 눈높이가 아닌 미.성형의 수입이 기준 아닙니까?

    • @user-nm2ub5kc5n
      @user-nm2ub5kc5n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0

      ​@@Gloria-jf4oh감기, 배탈 같은 경증치료에 의료보험 적용을 안해주면 충분히 가능합니다- 경증치료 1건당 의료보험재정은 얼마안나가지만 건수가 워낙 많으니까요-

    • @user-hy3nk7wh1k
      @user-hy3nk7wh1k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0

      문제가 돈인데 의사 연봉이 기본 3억 이상이라는건 돈 문제가 아닌거지. 간호사도 부족이라는데 의사가 파업하니 간호사들이 무급휴가 간다는건 의사 수가 부족한거야.

  • @user-gx7qe3bh1u
    @user-gx7qe3bh1u 11 วันที่ผ่านมา +15

    박종훈 교수님 말씀너무잘하시고
    공갑합니다

  • @user-gl8lh1ot9j
    @user-gl8lh1ot9j 21 วันที่ผ่านมา +97

    서로를 존중하면서 발언하는 모습이 너무 보기 좋습니다. 왜 우리나라 의료는 이지경까지 온걸까요...

  • @user-vv7jy5yq8g
    @user-vv7jy5yq8g 21 วันที่ผ่านมา +88

    충북대 현 정원 49명 증원된 정원 200명(올해는 조금 깎아서). 이게 교육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나요?
    당장 충북대 병원 건물 4배로 더 지어야 하고 충북대 병원 규모 4배로 커져야 하고 그러려면 거기 환자 4배로 늘어야 하고. 인구는 급감하는데?
    아니 도저히 받을 수 없는 안을 근거도 없이 급하게 던져놓고 이제 확정되었으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화하라구요?? 장난하시나요?? 도대체 2,000이 왜 늘어야 하는지도 설명을 못하면서 그건 기본으로 깔고 대화를 왜 안하냐고요? 참 너무들 하시네요..

    • @user-ss6qj7gb2i
      @user-ss6qj7gb2i 6 วันที่ผ่านมา +2

      학생과교수님들 의대증원막으려고사방팔방뛰어다니는모습눈물겹더군요...정부가그렇게 의대증원하고싶다먼..빨리지원금을내놓아야죠...건물하나에 1조가들어간다하니...충북대에 정부는 4~5조늘 투자를해야하겠네요

  • @hikim1948
    @hikim1948 21 วันที่ผ่านมา +95

    의료가 없어질수 없다. 의료수요는 항상 존재하고 의료공급은 생길수 밖에 없으니. 문제는 어떤 시스템이냐의 것이다. 전국민이 벤츠를 탈수 없고 전국민이 매주 토요일 저녁 신라호텔 뷔페를 먹을수 없는것처럼 모든 국민이 모든 병에 대해서 가격은 싸고 접근은 쉽고 최고수준의 의료질을 누리는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어느정도 의료가격과 접근성과 의료질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야 한다. 지금 그게 붕괴되고 있다. 현재의 의료시스템은 지속가능하지 않고 시간의 문제일뿐 언젠가 붕괴될것이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의료시스템을 구축해야한다. 물론, 현재의 의료시스템이 붕괴된다고 의료가 없어지지는 않을께다. 문제는 의료가격은 비싸고 의료접근성은 떨어지고 의료의 질이 형편없어지는 상황은 피해야 한다. 정부는 의사숫자만 늘리면 많은 문제가 해결될것이라 말하지만, 박종훈 교수는 건강보험재정이 감당할수 없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것이다. 건강보험재정이 고갈되는순간 건강보험이라는 제도가 최소한의 싸구려 보장성만 제공하는 수준에서 연명되던지 (의료질 저하, 의료접근성 저하 - 국민들이 만족못하는 의료서비스), 아니면 민간영리병원(의료질 향상, 의료접근성 향상, 의료가격 폭등 - 가난하거나 중환자들 소외됨. 총 지출된 의료비 대비 의료서비스의 양 감소) 도입이 되던지 다른 변화가 올것이다.

  • @user-yd5xi7ff9o
    @user-yd5xi7ff9o 19 วันที่ผ่านมา +29

    이 의료문제는 정말 복잡하고 여러 직역이 관계되어있고 복잡 예민한 부분이라 의료전문가들과 정부가 머리를 싸매고 논의를 해야할 문제인데 정부는 증원에 혈안이 되어있네요 저 나이드신 교수님이 뭔 부귀영화를 누리겠다고 저리 핏대를 세우면서 말씀하시겠어요 무지 복집한 영역입니다. 졸속 증원ㅠㅠ 말도 안되는 정책이지요.. 일반인인 저는 들어도 질 모르고 어렵네요

  • @user-hg2bi2gk9v
    @user-hg2bi2gk9v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00

    마지막 이프로님 말씀처럼 의사재배치 등을 하려면 의사양성부터 공공재원해야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의료인력 양성은 각 가정의 부모님들이 책임지고 있어요. 그런 상황에서 의사들보고 환자를 생각해서 니들이 희생하라는 말은 정말 이기적인 의견입니다.

    • @user-yi7dm7ze8x
      @user-yi7dm7ze8x 21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래서 지금 의사들이 국민골수에 빨대 꽂고 있지않습니까??? 증원 안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 이거죠????? 웃깁니다

    • @KSB-sz5nw
      @KSB-sz5nw 21 วันที่ผ่านมา +6

      의료인력 양성을 왜 부모들이 책임지나요?

    • @Asdfhl2846
      @Asdfhl2846 21 วันที่ผ่านมา

      @@KSB-sz5nw 처참한 청년.

    • @galaxyc1668
      @galaxyc1668 20 วันที่ผ่านมา +48

      4:40 ​@@KSB-sz5nw 의대가는데 정부가 1원이라도 보태줬나요? 각 가정에서 학원비 학비 대가며 의사로 만든거잖아요 의사는 공공재가 아닌거죠

    • @KSB-sz5nw
      @KSB-sz5nw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3

      다른 전공도 대학가는데 정부가 1원이라도 보태줬나요? 다른 정공자들도 학원비 학비 대가며 졸업하고 자격증 땄죠? 본인은 도대체 어떤 부모밑에서 어떤 교육을 받았길래 의대에만 그렇게 도그피그처럼 개흥분하는건가요?

  • @shinesun6968
    @shinesun6968 20 วันที่ผ่านมา +52

    비급여없는 과가 망하고있죠
    비급여를 통제할게 아니라 급여를 정상가격을 매겨줘야죠

    • @LeeGH12
      @LeeGH12 12 วันที่ผ่านมา

      비급여를 박살내야지ㅋㅋㅋ

    • @user-ho5cd9nv7k
      @user-ho5cd9nv7k 12 วันที่ผ่านมา

      @@LeeGH12 비급여를 박살낼 수 있을까? 비급여는 말그대로 정부가 가격을 조절할 수 없음. 조절하게 된다면 그게 급여가 되버리는 거임 ㅋㅋ 그리고 솔직히 비급여 없애는 방법은 소비자가 안쓰면 되는데 우리나라 특성상 피부과 ㅈㄴ 가고 성형외과 ㅈㄴ 감. 비급여 죽이고 싶으면 국민을 바꿔라 ㅋㅋ

    • @user-ever33
      @user-ever33 11 วันที่ผ่านมา

      ​@@LeeGH12
      비급여로 피부미용다들 미친듯이 다들 다니더만.뭐...
      성형중독민국.

    • @user-gp3bu1dd7u
      @user-gp3bu1dd7u 3 วันที่ผ่านมา

      @@LeeGH12 니 머리는 장식품이구나...

  • @maengsookang3300
    @maengsookang3300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48

    아니, 지금 불이 나서 집과 숲이 불타고 있는데 불을 끌 생각은 안 하고, 누가 불냈냐고만 아직도 따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 @JinnYoungKim
      @JinnYoungKim 17 วันที่ผ่านมา +10

      이미 불타 잿더미된것같은데요 교수님들도 사직하는것보면
      이나라 완전 아프리카 수준으로 전락하는듯

  • @DZ4GOX7
    @DZ4GOX7 16 วันที่ผ่านมา +21

    이미 의료 붕괴는 확정입니다.
    제가 암진단과 치료에 필수인 과를 하는 의사인데...
    저희과도 만년 미달과죠.
    그래도 메이저 병원을 중심으로 해마다 20-30명 정도는 전공의 지원자가 있었고,
    이 정도의 전문의가 배출됐습니다.
    이 전문의들이 여기저기로 퍼져 각자의 자리에서 역할을 하고 있죠.
    그런데 이번 사태로 인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병원에서 (모든 연차 합쳐서) 20여명의 전공의들이 거의 다 나가고 4명 남았습니다.
    그나마 최근에 2명 돌아와서 6명이 됐다고 합니다.
    다른 메이저 병원도 사정이 많이 다르지 않습니다.
    앞으로 전공의들이 돌아올까요?
    제 생각에는 안돌아올 것 같습니다.
    고작 3개월 정도 밖에 안되는 기간이었지만,
    그 동안 팽팽한 긴장감에 살았던 전공의들이 쉬면서 다른 진로를 많이 알아봤고,
    그런 쪽에서 나름 나쁘지 않게 살 수 있다는 가능성을 많이 봤습니다.
    저희과 전문의들 중에서도 이 일이 더 이상 하기 싫으면 전공 다 포기하고 피부미용으로 개원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물며 아직 전문의도 아닌 전공의들은 방향 전환 하기가 더 쉽죠.
    그리고 의사는 대학병원을 나가서 좀 더 편하고 돈 잘 버는 쪽으로 가면, 원래 있던 치열하고 돈은 적게 벌지만 보람으로 살았던 곳으로 돌아오기 어렵습니다.
    어떤 직업이나 마찬가지일겁니다.
    왠만한 각오나 개인 선호도가 있지 않은 이상 편하고 돈 잘 버는 곳에서 불편하고 돈 못 버는 곳으로 가는 사람 거의 없잖아요.
    그리고 교수님들은 이렇게 병원이 무너지고, 일이 힘들어지고, 월급마저 깎이면 대학병원을 그만두고 개원의나 봉직의 쪽으로 흘러올 것입니다.
    저희 과에서는 이미 몇 년 전부터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었습니다.
    대학병원 교수님들의 처우가 봉직의들보다 많이 안좋거든요.
    그래서 지방 중소 대학병원 중에서는 교수가 없는 곳도 있습니다.
    전공의들은 없고, 교수님들이 그만 두게 되면....
    우리과는 기존의 전문의들로 겨우겨우 버티는 상태가 되겠죠.
    이런 의료가 과연 질이 좋을까요?
    안좋을 것이 자명합니다.
    그리고 비교적 가까운 미래에 국민들이 질이 안좋아진 것을 크게 체감하게 될 것입니다.
    이미 돌이킬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참담하네요.

    • @sgk4711
      @sgk4711 12 วันที่ผ่านมา

      정말 몰라서 이런 소리만 하는건가요? 알면서도 딴소리 하는 건가요?
      왜 그쪽과가 미달나는지 정말 몰라요?
      실손보험 때문에 그쪽이나 필수과가 미달 나고 있잖아요.
      로컬에서 실손보험을 통한 과잉진료 가라진료로 쉽게 월 2천3천씩 땡기는데 뭐하려 전공의들이 실손이 별로 없는 응급이니 소아과를 하겠소?
      전공의들이 지금 돌아오지 않는 이유도 실손을 빨리 빼먹어야 한다는 생각에 안돌아 오는거구. 지방한지의 의사가 부족해 진 것도 실손이 별로 없는 시골이니까 다 떠나간거잖아요.
      만악의 근원이 실손보험이고, 건보재정도 빨리 빵꾸난것도 실손보험 때문인거 다 알면서 그런 소리만 해요? ㅉㅉ

  • @user-gy7uh1mr2s
    @user-gy7uh1mr2s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21

    의보비로 달에 몇천억씩 긴급충당하는 정부는 무슨생각일까 궁금하네
    이런사태를 생각이나 하는걸까 뜬금없는 인원 들이 밀듯이 생각없이 던지고
    알아서 흘러가게 만들고 3년 흐르면 나몰라라 하려나 아파서 병원 가바야
    지금 사태가 얼마나 심각한지 알텐데 ..암이라는데 수술할수도 없다는데
    누굴 원망해야 하는건지 ..피부로 느끼고 피해를 보는건 국민인데 정작 대부분 국민은 사촌이 땅사면.배아파하는 꼴이라니

    • @user-pu1jk8lf3t
      @user-pu1jk8lf3t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9

      지방 의대병원들의 도산 + 건보 고갈 => 지방병원 인수자들의 보험 강제 조항 삭제 요구 (민영화 시작)
      여기까지는 거의 확정사안... 이번 사건은 누군가 돈먹지 않고서는 일어날수 없는일임.

    • @user-vm1rw9yi9r
      @user-vm1rw9yi9r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9

      민영화하고 국민들 죽어나가게 만들려는거죠

    • @user-pu1jk8lf3t
      @user-pu1jk8lf3t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2

      @@user-yc5jp4he1d 하루 48시간 ㅋㅋㅋㅋ 돌려까는거져? ㅋㅋㅋㅋ

    • @user-bq6lj1ck9u
      @user-bq6lj1ck9u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6

      OECD 모든 영역, 세계최고의료수준 누리는 국민에게,
      대통령이 얘기한, 의사많은 영국처럼,참담한 삼류의료나라 만들겠다니, 암환자도 의사대기 1년중 사망율 높은 나라,
      아니면 OECD 의사많은 나라의 평균인, 의사대기 평균 4개월
      의사수만 비교하는게, 지능이 있는이인가 의문

    • @KSB-sz5nw
      @KSB-sz5nw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의대증원해서 의료붕괴가 오는게 아니라 세계 어디에도 없는 K의사들 밥그릇 지키기위해 집단사직해서 의료붕괴가 오는거죠. 본인은 이런 의사들한테 수술 받고 싶으세요? 이참에 집단사직한 의사면허를 전부 박탈해 사람 살리는 의사들로 새로 더 증원하면 되는겁니다.

  • @user-tt3ed4dq6f
    @user-tt3ed4dq6f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28

    박종훈 교수는, 산전 수전 공중전까지 다 겪어본 분으로 보인다.
    앵커들은 일말의 희망을 찾아, 문제 해결을 위한 질문을 해 보지만
    박교수는 이젠 답이 없다고 딱 잘라 말한다.
    가보지 않은 길 그 끝에서, 결과를 함께 지켜보는 수밖에 없다고 한다. 이게 정부와 우리 국민들이 선택한 길이다.

    • @user-nz3gs2mi8z
      @user-nz3gs2mi8z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7

      답이 언뜻 들렸는데요. 정부가! 시스템을 초기화해야한다, 정부가!전문가와 원점부터 재논의해야한다. 안그러면 전공의 안돌아온다. 안그러면 5년 이내 의료붕괴는 답정이다..저만 들었나요?

    • @user-tt3ed4dq6f
      @user-tt3ed4dq6f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8

      @@user-nz3gs2mi8z 그건 앞으로 풀어나갈 방향이고요, 지금 당장은 무엇을 해도 답이 없다는 뜻입니다. 타협점이나 접점이 안 보인다는 것입니다. 결국 최상위 의료 시스템의 붕괴를 보고 난 후에, 방향을 정하게 될 꺼라는 것이지요.

    • @sj-pd9jr
      @sj-pd9jr 20 วันที่ผ่านมา

      저 패널들이 아직도 밥그릇논리에 갇혀서 못나오고 있기 때문임. 은연중에 계속 '의사들이 남들보다 사정이 더 낫다고 하니 그사람들꺼 뺏어버리면 울며겨자먹기로 섬 가서 그지같은 일 하지 않겠냐'라는, 지한테 시키면 절대안할 그럴 소리를 아무렇지도 않게 함ㅋㅋㅋㅋㅋ 이사람들 자본주의 꿀따먹으려고 방송하는 사람들 아님? 근데 생각하는거 보면 불로소득에 미쳐있지만 공산주의를 못들여와서 안달난 인간들로 보임.

    • @sj-pd9jr
      @sj-pd9jr 20 วันที่ผ่านมา +20

      어떻게든 의사 밥그릇 탓하고 또다른 의료수요자로서의 자신들의 책임은 모두 회피하고 손쉽게 해결되길 바라니 의사 패널하나 앉혀놓고 답 내놔라 내놔라 이러고있음.

    • @Bear19873
      @Bear19873 20 วันที่ผ่านมา +4

      병원비를 올려야 환자들이 아파도 참고 병원을 이용하지않으며 의사대란이 일어날일이 없다!

  • @user-wg5yy8bv9w
    @user-wg5yy8bv9w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15

    경증에 너무 쉽고 싸게 병원을 이용할수있는환경을 바꿔야해요

    • @noonenows-of9cp
      @noonenows-of9cp 21 วันที่ผ่านมา

      그것을 윤이 할까요? 어쩌면 곧 할 수밖에 없을 겁니다. 윤은 역사가 지속되는한 욕을 들어야 합니다. 의료개혁을 가장한 위선적인 선거용 표퓰리즘정책으로 나라를 혼란하게 만든 죄.

    • @jongtaikim621
      @jongtaikim621 16 วันที่ผ่านมา

      그것도 답이 아닙니다.
      누가 경증인지 중증인지 의사가 아니고는 모릅니다. 감기증세와 중병의 초기증세가 같은 경우가 많습니다

    • @user-yj9do2yj4g
      @user-yj9do2yj4g 16 วันที่ผ่านมา

      그것도 장기간에 걸쳐 조금씩 바꿔야죠. 지금 강제적으로 바꾸고 있어요. 빅5 병원은 직원부터 대량해고해야합니다

    • @mbvw1718
      @mbvw1718 15 วันที่ผ่านมา

      @@jongtaikim621 그니까 의원급에서 진짜 경증인 환자를 걸러내서 그런 환자들이 병원급은 이용하지 못하도록 해야죠

    • @jongtaikim621
      @jongtaikim621 15 วันที่ผ่านมา

      @@mbvw1718 의원급에 그럴 능력이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 @user-le8xi2gc5g
    @user-le8xi2gc5g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48

    시스템 자체가 문제가 있다는것에 설득이 됩니다.
    우리 사회가 짧은시기에 너무 급속히 발전했고 빠르게 달라지는데
    그걸 담고 있는 교육,의료등의 시스템이나 제도는 낡은것을 쓰고 있으니 붕괴되거나 고통을 겪고 있는것같네요.

    • @user-sx1rh1hq2k
      @user-sx1rh1hq2k 18 วันที่ผ่านมา +5

      시스템 문제에 동의 합니다
      그런데 2차병원으로 전공의가 노예로 들어가냐는거죠
      필요하면 필수이고 필수적으로 돈을 써야 합니다
      돈안쓰고 필수의료 잘되는 나라 있나요?

    • @jonicho4004
      @jonicho4004 5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래서 제도를 잘 바꿔야하는데 제도를 바꿀수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똥을 주고 있으니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이 받죠

  • @user-ub1ld1bh4y
    @user-ub1ld1bh4y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54

    대학병원은 낮은수가를 희석하기위해 전공의들을 싼 인력으로 녹여서 수익을 냈는데 전공의들 입장은 잠 못자고 노예처럼 고생해도 수련이 끝나면 보상을 받는다고 생각하며 버텼을텐데.. 이제 대학병원이 붕괴되고 정부가 좋아하는 oecd 기준에 맞게 암걸려도 1년이상 기다려야할듯요 피부에 안와닿겠지만 나는 암에 걸려본적이 있어서 우리나라의 의료시스템에 굉장히 신뢰하고 과하게 말해서는 대한민국에 태어난걸 감사할정도 였는데 왜 멀쩡한 의료시스템을 선거에 이용하니 2000명이라는 숫자가 나오고 이미 쏴질러놔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해 여기까지 온듯.. 이제 다들 아프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그때는 의료붕괴로 끔찍한 상황이 될수도

    • @PETBOY
      @PETBOY 21 วันที่ผ่านมา +6

      전공의는 인턴이다 인탄한테 연봉을 8천 가까이 준다는건 개혜자임 인탄한테 월급주는거 봤캬

    • @user-ub1ld1bh4y
      @user-ub1ld1bh4y 21 วันที่ผ่านมา +47

      @@PETBOY 그럼 본인은 하루 20시간씩 기본급 받으면서 일 하고 있냐? 5분만 더 시켜도 개거품 물거나 노동청에 신고할꺼면서..

    • @cloudjang5380
      @cloudjang5380 21 วันที่ผ่านมา +46

      ​@@PETBOY전공의는 레지던트고 이미 의사면허 있는 사람들이에요.

    • @user-hy3nk7wh1k
      @user-hy3nk7wh1k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

      ​@@cloudjang5380​ 학사, 석사도 자격증있어도 인턴은 인턴이에요.

    • @Hihihijun
      @Hihihijun 21 วันที่ผ่านมา +47

      ​@@user-hy3nk7wh1k인턴 최저시급 안주고 100시간 넘게 굴려도 된단는건 어느나라 마인드인가요? 엄연한 의사자격증있는 의사인데

  • @user-ct4sp6js7u
    @user-ct4sp6js7u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05

    공감되는 말씀이네요. 무식한 누구 땜에 의료가 망가지는 것 같아 슬프네요.

    • @hllee5628
      @hllee5628 21 วันที่ผ่านมา +8

      누구 한 사람이 아니라 인기떨어질까봐 의료시스템을 확대만하고 손보지 않고 끌어온 전 정부들이 잘 못 한거죠... 이참에 어설프게라도 드러난 문제점을 나서서 해결해 주는 누군가..... 이프로 같은 똑똑한 슈퍼맨이 필요한 대한민국입니다 ㅠ

    • @user-dq8ze6tn3p
      @user-dq8ze6tn3p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1

      윤뚱 무직쟁이 잘못뽑아 이게 뭔꼴인지

    • @user-gs7od4cx3x
      @user-gs7od4cx3x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

      진짜 답답합니다

  • @user-kp3cw7ex1u
    @user-kp3cw7ex1u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66

    그동안 불편했던 대한민국의료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히 계세요! 이런 분위기 이네요!

    • @hawk9938
      @hawk9938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

      의사들 주장에 의하면 의료접근성 최상위권으로 매우 편리한 의료서비스 아니였음??

    • @earthduckhoo
      @earthduckhoo 21 วันที่ผ่านมา +43

      @@hawk9938 편하고 저렴한 의료서비스인데 소비자들은 항상 징징거림. 치킨값, 통신비, 차값, 집값.. 그들에겐 안비싼게 없음. 그걸 들어주는 정치권이 더 문제.

    • @Hihihijun
      @Hihihijun 21 วันที่ผ่านมา +60

      @@earthduckhoo 100시간 넘게 근무하는 전공의들 악마화하는데 누가 전공의 하고싶겠냐 ㅋㅋㅋ

    • @MrYu119
      @MrYu119 21 วันที่ผ่านมา +48

      @@hawk9938 의료라는 게 그렇게 슈퍼마켓처럼 만들수 없는 것임을 이해못하는 사람들이 문제임. 다른 나라보다 의료접근성이 최상위권임에도 더 나은 서비스를 원함. 그럴려면 돈을 더 많이 내야 하는데 돈은 내기 싫은 국민. 그럼 여기서 판을 깨야지 뭐. 아무튼 이젠 그냥 다 망했슴. 이 공백은 채워지긴 불가능.

    • @user-bk8gt2vh7q
      @user-bk8gt2vh7q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4

      편하고 싸고 질좋은 서비스를 누렸으면서 더한걸 원하는게 문제아냐..물가는 오르는데도 여태 수가조정 안하고 100사간에 300만원주는건 정상이야 감사한줄 모르고 꼴좋다

  • @wolfk3893
    @wolfk3893 20 วันที่ผ่านมา +33

    건강보험을 급여항목
    수가는 쥐어짜며, 보장범위만 무작정 확대하는
    포퓰리즘에 국민들이 환호해온 대가...

    • @user-sp3in2fi2f
      @user-sp3in2fi2f 9 วันที่ผ่านมา

      윤석열과 박민수 생각은 군사작전 하드시 의사 의대생 마구 겁박, 협박하면 10000명 뽑든20000명증원히든 짹소리못하고 따를줄 알았겟지 ! 무식한건지?용감한건지!

  • @user-tt3ed4dq6f
    @user-tt3ed4dq6f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80

    논리의 문제가 아니라 감정의 문제로 보는데, 이건 감정의 문제가 아니라 신뢰의 문제라고 본다.
    정부가 어떤 말을 해도, 이제 의사단체는 정부와는 말 자체를 섞고 싶지 않은 거다.
    최상위 의료 생태계를 다 태워먹고, 그리고 새 시스템을 다시 세워야 하는 처지란다.
    그런데 그게 가능할까? 아마 불가능하지 않을까? 참으로 암울하다. 그런데 정부는 여전히 태평하다. 이게 현실이다.

    • @KSB-sz5nw
      @KSB-sz5nw 21 วันที่ผ่านมา +8

      논리적으로 의대증원을 의사와 전공의집단이 정하자고하니 앞으로 공대증원도 엔지니어들이 경영대증원도 경영인들이 정해야합니다. 치킨집 개업도 치킨집 사장들이 정하도록 합시다. 어디 비전문가들이 알겠어요 안그래요?

    • @EMShch
      @EMShch 20 วันที่ผ่านมา +24

      아이고~ 어느 직업이 자기가 빚내서 장사하는 가게에 적자나는 가격을 강제로 정해줍니까? 의료는 정부가 의료사회주의를 실현하기위해 그런 불합리한것을 의사들에게 강요했기때문에 지금까지 협의했던것인데 무식한 정부가 그룰을 깬거에요~ 그럼 그 강제 가격제도 유지되지 않는 쪽으로 가겠죠~

    • @KSB-sz5nw
      @KSB-sz5nw 20 วันที่ผ่านมา +5

      @@EMShch 그니까 다른 직종도 강용하지 말아야겠지? 엔지니어가 공대증원 정하고 경영인들이 경영대증원 정하자는데 왜 개발작인거? 왜 의사는 브라만 신분제라 차별대우하남?

    • @user-tt3ed4dq6f
      @user-tt3ed4dq6f 20 วันที่ผ่านมา

      @@KSB-sz5nw 의대 증원 여부 정부가 최종 결정권자가 맞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아무리 급해도 그렇지 동결되었던 것을 한꺼번에 60% 증원을 결정합니까? 이게 탈이 안 날까요? 미치지 않고는 국가운영을 이렇게 할 수 없는 겁니다. 준비되지 않은 의료개혁은 비극의 결말을 불러 올 뿐입니다. 솔직히 정부가 이 사태를 수습할 능력이 있다고 보십니까? 지난 2년동안 그런 모습 본 적이 없습니다.

    • @user-hc4tr5ij5x
      @user-hc4tr5ij5x 20 วันที่ผ่านมา

      @@EMShch 건강보험 재정적자 나면 형님이 내주시나요?

  • @minsunpark5554
    @minsunpark5554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10

    의료시스템의 리셋이 정말 필요합니다. 의료전달체계를 살리려면 차등숫가가 필요. 지역병원들이 제대로 발전하도록 하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이건 국가가 정책으로 보완해야 한다는 것. 동의합니다.

    • @user-jt3gc1ni4y
      @user-jt3gc1ni4y 21 วันที่ผ่านมา +8

      ​@@user-yc5jp4he1d 누구돈으로요?

    • @lezmaniac
      @lezmaniac 19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yc5jp4he1d아니 한해에 3천명씩 늘어나서 10년이면 3만명이 더 늘어났는데 문제는 더 심해지기만 했구만 무슨 소리를 하는 거냐고요. 간호사는 매년 증원을 더 해오고 있는데 간호사 인력 문제 해결은 안 되고 문제는 훨씬 더 커지고 간호사 처우만 개판 됐잖아요.

    • @today23915
      @today23915 18 วันที่ผ่านมา +1

      ​@@user-yc5jp4he1d 이 생각이 근거도 없는 쓰래기라는걸 왜 모를까.
      왜 증원되면 해결될것같냐?
      소아과 전문의는 한국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데
      그전에 출산률 높던 시절도 소아과 모자르단 소린 없었다
      관료들이 니같은 초딩에게나 통할 수준이니
      의료붕괴가 2024년에 펼쳐지는거야.
      차라리 모르면 조용해라

    • @user-yx2ti1lw5u
      @user-yx2ti1lw5u 16 วันที่ผ่านมา +1

      ​@@user-yc5jp4he1d증원이 되면 알아서 풀리는게 뭔진 모르겠지만 확실한건 현재의 핵심문제인 필수중증의료를 담당하는 의사의 수와 그 의사가 일할 수 있는 일자리는 안 늘어나고 당연히 필수중증의료를 담당하는 의사가 없으니 그 의사가 지방으로 갈 일도 없음
      위 문제를 증원으로 해결 할 수 있다고 하는건 대졸자를 현재의 2배로 늘리면 지방 중소기업의 구인난 문제가 해걸된다고 하는것과 같은 소리임

    • @mbvw1718
      @mbvw1718 15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yc5jp4he1d 뭐 맞는 말일 수도 있는데, 정부가 그럼 의료전달체계를 바꾼다, 인두제나 총액계약제로 전환할 거다, 병원이용을 제한할거다, 뭐 이런 얘기를 해서 비전을 보여줘야 하는데 그게 없으니까 문제죠

  • @clova3955
    @clova3955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9

    공공의료를 위해 최저시급도 못받는 노예 전공의를 계속하라는 건가요? 소송법적책임은 개인이지고요? 전공의누가 돌아오고 어떤 의대생이 돌아가겠습니까? 판사가 전혀 현실도 조사하지않고 내린 결론이네요. 과학적 근거도 없고요.

  • @Barbielania
    @Barbielania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33

    전 진짜 늘 느끼지만 이프로 때문에 삼프로 봅니다 항상 국민대신 가려운곳을 빡빡 긁어주는 날카로운질문이 좋아요

    • @KSB-sz5nw
      @KSB-sz5nw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8

      박종훈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는 MC들이 지속적으로 물어본 해결책에는 하나도 대답을 못하고 의료붕괴 협박하러 나온듯

    • @leejungwoo2725
      @leejungwoo2725 20 วันที่ผ่านมา

      진짜 멍청이네........답 없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멍청이 보소 가려운 것을 긁는단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EMShch
      @EMShch 20 วันที่ผ่านมา +4

      답글들에 그 답 다 달려있으니 읽어보세요.

    • @Barbielania
      @Barbielania 20 วันที่ผ่านมา +5

      @@KSB-sz5nw 그니까요 진짜 사람 협박하는 느낌이두만요 몇번을 물어봐도 ㅋㅋ교수로써 그게 할소리냐고요

    • @user-rq3yv4je6u
      @user-rq3yv4je6u 20 วันที่ผ่านมา +8

      ​@@KSB-sz5nw협박인지 아닌지는 두고보면 알수 있겠죠

  • @user-ol9ke6fv6d
    @user-ol9ke6fv6d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2

    교수님 말씀 감사합니다.
    국민들도 교수님 말씀에 귀를 기울이면 좋겠습니다.

  • @user-su3vn1vf4n
    @user-su3vn1vf4n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2

    김프로님 지방에서 진료 검사하고 다시 서울가서 검사 또 합니다. 그리고 그런 중복된 검사 및 진료비가 모두 의료 보험으로 지급됩니다.

  • @user-lp9bp4zm3m
    @user-lp9bp4zm3m 21 วันที่ผ่านมา +82

    교수님 클 났습니다
    잔공의쌤들 레지던트 포기한답니다
    시간과 공부 노력의 댓가가 고생한 만큼 너무 허무하게 무너졌습니다

    • @user-xs7eu2xe4s
      @user-xs7eu2xe4s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지금아무일없음

    • @user-xs7eu2xe4s
      @user-xs7eu2xe4s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지금아무일업음

    • @user-jy8ol3kz1g
      @user-jy8ol3kz1g 19 วันที่ผ่านมา +1

      ​@@user-xs7eu2xe4s지금 종합 병원 망하는 중

    • @user-ds3bg6ln6q
      @user-ds3bg6ln6q 15 วันที่ผ่านมา

      포기해 할사람 많아

    • @user-ever33
      @user-ever33 11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ds3bg6ln6q
      너가 해~~
      공부해서 꼭 의대가~~~

  • @user-eb6gf8mc8p
    @user-eb6gf8mc8p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45

    그래도 정부는 굳건하게 한약 급여화 확장 해 나가고 있는 이유가?

    • @user-gx4iw6gg4z
      @user-gx4iw6gg4z 21 วันที่ผ่านมา +75

      자생한방병원 사위가 이원모이고 공직기관비서관입니다.그 부인이 민간인인데 건희랑 해외나갔던 미ㅊ사람들이구요

    • @user-lr1dk2es8m
      @user-lr1dk2es8m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

      한의 개원의들은 한약급여화 반대입니다

    • @sunghoonkim4048
      @sunghoonkim4048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3

      국민들이 무속을 좋아해서

    • @user-in1je1mx8w
      @user-in1je1mx8w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user-lr1dk2es8m왜 반대하나요 더 비싸게 못 받으니 그런 건가요

    • @mcs4239
      @mcs4239 17 วันที่ผ่านมา +1

      이건 개소리지 몇년전부터 진행된거고
      경증진료급여화는 양방 수천개 생길때 한방 몇개 생긴거임...
      한방으로 알약만드니까 양의사들이 한의사들 못쓰게하고 지들이 쓰고 건보료 존나게 빼먹어서 이번에 한약으로 급여화 해본거임

  • @user-em3cq7ww9n
    @user-em3cq7ww9n 21 วันที่ผ่านมา +60

    비의료인이지만 관련된 일을 하고 있습니다.
    박교수님 말씀에 절대 공감합니다.

  • @adgse4537
    @adgse4537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54

    기초의학 뽑는게 아니라 본인들이 하고싶어야 하는거죠

    • @EMShch
      @EMShch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7

      기초의학은 그동안 취직할 자리가 없어서 그거하면 실업자 되니까 못한거에요~ 누가 뽑아주나요? 환자보는 의사는 최소한 돈을 벌어주지만 기초의사는 대학에서 월급이 나가야하니까 최소로 1명~2명밖에 자리가 없었어요. 그자리 하나 퇴직을 바라보고 그학문을 하고 손가락빨고 있을수는 없으니 못하거에요.

    • @MH-wt5zl
      @MH-wt5zl 19 วันที่ผ่านมา +1

      해부학 교수가 1~2명?
      말도 안됨. 내가 다닐때만해도 5분

    • @MH-wt5zl
      @MH-wt5zl 19 วันที่ผ่านมา +1

      그리고 지원자가 없음 실제로

    • @MH-wt5zl
      @MH-wt5zl 19 วันที่ผ่านมา +3

      자리는 있지만 지원자가 없어서 해부학 교수 자체가 줄었음

    • @kihong100
      @kihong100 19 วันที่ผ่านมา +6

      이미 우리나라의 기초 의학, 필수의료의 첨단 의학은 다 무너졌어요. 지금이 우리 의료의 정점입니다. 이제 급속히 쇠퇴할 거에요. 문제는 이런 흐름이 의료 쪽만이 아니라 과학기술계, 산업계에도 이미 굳어져 있다는 거에요. 실상을 보고 실질적 인재를 대접하지 않고, 정치인과 탁상공론 관료들의 공허한 레토릭과 정치적 슬로건들만 넘쳐나니 나라가 이렇게 되는 거죠. 안타까울 뿐이에요. 다시 나라가 옛날 조선을 닮아가는 것 같습니다.

  • @bsy6998
    @bsy6998 21 วันที่ผ่านมา +81

    교육할 여건이 안되는데..
    2000명 증원이 아니라
    증원없는 의대만 시험 볼 여건이 될수도..

  • @user-sm2jo1hc1l
    @user-sm2jo1hc1l 21 วันที่ผ่านมา +49

    이번일로 28년전에 다 고갈될겁니다
    지금 이 시스템은 유지불가능하다는걸 인정 안하니 이사단이 난겁니다.

  • @seunghyunpark9087
    @seunghyunpark9087 21 วันที่ผ่านมา +63

    건강보험제도를 개혁하지 못하고 지지율에 눈치만 보던 정치인들이 그 동안의 고름을 의료계에 짊어지게 한 게 가장 큰 문제 아닌가요? 의협도 정신차려요 다른 기득권을 유지하려고 암묵적 합의한 것들이 비수로 돌아온 거니까

  • @user-wg5yy8bv9w
    @user-wg5yy8bv9w 21 วันที่ผ่านมา +93

    3차병원 경증이용을 줄이고
    경증 본인부담을 늘려서
    병원을 덜가도록해야 건보파탄안갑니다
    감기로 병원가는 나라 거의 없습니다

    • @Snowflake_tv
      @Snowflake_tv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그 감기가 코비드면?

    • @jnhxhdhhdhxhhx662
      @jnhxhdhhdhxhhx662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

      @@Snowflake_tv 코비드에 병원가면 감기약 주는데?

    • @user-sj1hz9kt6g
      @user-sj1hz9kt6g 20 วันที่ผ่านมา

      감기로 병원 안 가고 집에서 맘 편히 쉴 수 있으면 누가 병원가서 돈 쓰고 항생제 먹을라고 할까요?

    • @morming94
      @morming94 20 วันที่ผ่านมา +2

      3차 병원 환자가 줄어들면 뭔 돈으로 경영합니까..그리 단순한 문제가 아닙니다

    • @user-rb3sw8ri7p
      @user-rb3sw8ri7p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치료의 기본은 초창기에 제어하는 것이다. 그런데 감기의 주증상인 기침, 고열등은 상당수 질환들이 가지는 일반적 증상이란 것이다. 즉 병원체 침입에 대응한 면역반응이지. 실제로는 심각한 질환의 전구증상일수도 있는데 육안으론 판단이 안된다. 또 감기를 몇주 방치하면 폐질환등 중증으로 전이되는 경우도 상당하다. 견디는 것도 체력에 비례하는 것이니 대증요법이 필요한 사람도 상당하다. 그러니 질환에 걸리면 초기에 의원에 가야한다. 단 바로 3차로 가지못하도록 강제적 의료전달체계확립이 필요하다

  • @user-wg5yy8bv9w
    @user-wg5yy8bv9w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0

    우리나라 의사가 공무원입니까
    우리나라는 공공비용으로
    민간이 의료를 책임지는구조인데요

    • @user-zn7du9ez5b
      @user-zn7du9ez5b 10 วันที่ผ่านมา

      교수님 이시대를 살려주세요

  • @user-bg6ye9mk4h
    @user-bg6ye9mk4h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7

    걱정돼서 우울해 집니다,강의 감사합니다,

  • @user-ju6mo5ws3h
    @user-ju6mo5ws3h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6

    4년전 이슈는 공공의전 이었고
    시민단체 추천, 사명감중심 전형, 짧은의무복무기간 등의 문제점과 이역시 마찬가지로 청사진이 없었습니다.
    의약분업 당시는 이전 수십년간 계속 늘려와서 당시는 의사과잉의 지표들이 분명했고 협상타결안에 의사수급조절이 들어가 있었고 실제 감원은 2년후, 의사단체는 30프로 감원 요구했으나 정부가 (졸정제로 늘어났던 인원) 10프로 감원 결정했습니다. 당시 의사들은 의대정원에는 관심이 없었습니다.

  • @user-ud1id6kv7y
    @user-ud1id6kv7y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4

    이번에 정부정책에 있어 가장 잘못한 점은 이겁니다.
    첫째, 만일 의사들이 정부정책에 찬동하고 아무도 의료현장을 떠나가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이번 정책을 실제로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둘째, 협상의 카운터파트를 정부는 정하질 못했습니다. 의협과 원만히 합의되었다 가정해도 전공의들이 반대하면 실행할 수 없다는 것이 전정부에서 겪은 일인데 정부는 정말 학습능력이 없네요.
    세째, 의사들은 기본적으로 의사이기 이전에 과학자입니다. 과학자들에게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논거 근거가 정확히 제시되면 비록 자신들의 생각과 다르다 해도 수긍할 수 밖에 없는데 지금 정부의 접근 방법은 과학적이라고 주장만 할뿐 도저히 설득이 안돼요. 넘버쓰리 영화에서 송강호가 말하는 것처럼 "내가 과학적이라하면 과학적인거야"라며 말하는 것 같습니다.
    누구나 공감하고있는 연금개혁도 이렇게 힘든데 연금개혁이 방안의 코끼리라면 지금의 의료개혁이라고 밀어붙이는 정책은 작은 방에 그냥 다 큰 코끼리를 집어넣으려는 겁니다.

    • @yeesaemmmm
      @yeesaemmmm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

      예리하시네요. 상황을 정확히 보시네요.

  • @clova3955
    @clova3955 21 วันที่ผ่านมา +94

    사회자들이 전공의들의 현실도 모르고 그리고 대학병원이 무너진다는 의미가 무엇인지 모르는 듯.

    • @Asdfhl2846
      @Asdfhl2846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6

      사회자가 상황에 대한 이해도가 좀 떨어지는듯...

    • @hyun4154
      @hyun4154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0

      ㅋㅋ진짜 멍청함

    • @waxleafs
      @waxleafs 11 วันที่ผ่านมา

      사회자들의 인식에 문제가 있네요.

  • @kangminlee4340
    @kangminlee4340 21 วันที่ผ่านมา +65

    의약분업 때 300여명을 줄인 건.. 그 전에 지방에 선심성으로 신설의대를 늘리면서 과도해진 정원을 정상화 시킨 거고, 그 때 김윤이 줄여야 한다고 했습니다.

  • @yskimu
    @yskimu 21 วันที่ผ่านมา +91

    2천년 의약 분업하면서 약필요하면 무 조건 병원진료받게 관성을 만들어놨자나 의사수가 늘던줄던 건보재정 파산하고 의료시스템 붕괴는 시간문제였다 보건복지부 그 누구도 이러한 근원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지않는다. 한마디로 스스로 자멸이다.

    • @cloudjang5380
      @cloudjang5380 21 วันที่ผ่านมา +9

      의약분업 전엔 감기하나걸려도 약사들이 조제약 얼마나 쓸데없이 많이 지어줬는지 모르시네. 약사는 약 많이 팔아야 돈을 버니 그때도 문제가 많았어요.

    • @waniz8851
      @waniz8851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1

      병원에서 곧바로 약을 받을수 있었는데 다시 약국 가서 약을 사야 함. 건보도 더 나가고 환자 부담도 커지고 불편.약사의 이득이 커졌을 뿐.

    • @user-vm1rw9yi9r
      @user-vm1rw9yi9r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0

      개혁할수록 더 나빠짐ㅠ

    • @nameoh1904
      @nameoh1904 21 วันที่ผ่านมา +8

      의약분업의 폐해를 잘못 이해하고계신듯 ㅋㅋㅋ 뭔 관성타령입니까 국민들이 의사한테 진료비내고 약사한테 조제비를 또내니까 비용부담만 커지고 굳이 약국을 들러야하는 불편함만 더 생긴거지

    • @user-gz8bl9y459m
      @user-gz8bl9y459m 20 วันที่ผ่านมา +3

      약받는건 똑같아도 건보료에선 나가지 않았음

  • @qwqwqwqwqw458
    @qwqwqwqwqw458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0

    1. 인기과와 비인기과의 궁극적 차이는 결론적으로 비급여를 뻥튀기 해서 돈을 벌어들일 수 있냐 없냐의 차이-> 미국은 외과의사의 대우과 좋기 때문에 우리만큼 기피되지 않음
    2. 원래는 인기과와 비인기과의 상대적차이가 이렇게 까지 부풀려지는 건 말이 안되나 실비보험때문에 말도안되게 그 간극이 벌어지게됨.
    3. 상대적 차이와는 별개로 비인기과의 수가는 비정상적으로 낮아서 외가의사선생님 등 비인기과 선생님들 방송에 나오시면 피를토함...
    4. 지방의료시스템의 붕괴 문제는 근본적으로 수가의 문제는 아니나 분명 위의 문제가 기름을 부은것은 맞음. 근본적인 문제는 진료를 위해 타지역을 이동할 수 있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
    박종훈교수님은 큰소리를 치실 수 있는 분임. 왜냐하면 평생을 의료현장에서 헌신하셨으니까. 그렇다고 의사들을 대변할 수 있냐하면 절대 그렇지는 않기 때문에 대답을 못하시고 빙빙 도시는데 그래도 계속 말씀하시는 건 "수가 정상화"임. 대학 병원에 대부분 책임지는 비인기과에 대해서 수가를 계선하면 당연히 급여도 올라가고 충원율도 올라갈 것이라는 것. 반대쪽의 인기과에 대해선 과도하게 부풀려서 비급여를 강요하는 의료행태를 못하게 해야된다는 것. 인기과의 의료행태를 막는 것은 비인기과의 형평성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일이고 또한 건전한 의료문화를 위해서도 필요한 일이고. 근데 박종훈 교수님이 이걸 직접 언급 못하시지 어떻게 본인 입으로 말함? 본인이 몸담고 있었던 집단이 어떻게 보면 피해자 집단이니까 본인 일이야 말씀하시는 거지.

    • @qwqwqwqwqw458
      @qwqwqwqwqw458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사실 이건 본질적인 현재의 문제고 사태는 언제나 알 수 없는 방향으로 가기 마련임. 만약 이사태가 강대강으로 부디쳐서 진짜 의료가 파탄지경에 이르면 국민들만 죽어 나갈까? 그럴리가? 원격진료 가능분야를 대폭 늘리고 AI진단을 허용하고 인기과의 개원을 불허하고 전공한 대로만 개원을 허용하고 이런일이 극단적인 상황까지 가면 안일어 날거 같음?

    • @qwqwqwqwqw458
      @qwqwqwqwqw458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수가 문제가 증원과도 연결된 이유가 비정상적의료행태로 쓸데없는 의료행위에 의사의 노동을 쓰기 때문임. 과잉진료를 줄이고 비인기과로 인력이 가는 것만으로도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될 거나 이걸 뭔저 해결해본 상태에서 증원을 따져봐야할 문제라는 것.

    • @qwqwqwqwqw458
      @qwqwqwqwqw458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생각해보면 수가 문제는 단순하지 않은게 이걸 또 건드린다고 하면 개업한의사들이 또 들고 일어날텐데 그쪽은 그렇게 치열하지 않더라도 훨씬 더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고 관련자들도 많아서 지금이랑 반발이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 않을거라는 점임.

  • @shinpark1428
    @shinpark1428 21 วันที่ผ่านมา +73

    박원장님 말씀을 체험하고 있습니다
    노모의 골절치료비를 2016년과 2023년을 비교하면 10배 올랐어요
    왜냐하면 2023년에는 비급여인 검사비가 80%이고 이런 검사없이는 골절치료가 불가능하다고 해요

    • @user-cq4zy3ec5q
      @user-cq4zy3ec5q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2

      급여로 정해놓은 골절수술료 수가가 미용실 파마비용보다 싸서 그렇습니다.

    • @sunminlee209
      @sunminlee209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3

      그나마 골절치료에 몇천만원 드는 미국이 아닌게 얼마나 다행입니까.
      그나마 골절치료에 6개월 기다려야하는 유럽이나 캐나다 아닌게 얼마나 다행입니까.
      그나마 의사인지 사이비인지 치료인지 아닌지 구분이 모호한 동남아가 아닌게 얼마나 다행입니까..

    • @KSB-sz5nw
      @KSB-sz5nw 21 วันที่ผ่านมา

      비급여가 늘어나는게 공정한거. 왜 우리 노모는 건강해서 골절치료도 안받는데 당신 노모 치료비까지 내야 합니까? 당신도 내 노모가 백내장 녹내장치료 전부 급여신청하게 돈좀 더 내실래요? 건강도 개인의 노력과 업보이니 소득대비 건보료 징수가 아닌 의료비지출대비 건보료 징수가 공정하고 합리적인 겁니다. 차 굴리는 모든 사람들이 가입한 자동차보험도 그렇게 돌아가죠?

    • @user-in1je1mx8w
      @user-in1je1mx8w 20 วันที่ผ่านมา +3

      ​@@sunminlee209그건 맞는 말인데 미국은 저소득층은 거의 무료로 비용을 절감시켜주든지 해서 복지로 채워 주니 그나마 살 수 있더군요
      그런 것만 보완되었으면 비싸도 덜 반감이 들 것 같아요

    • @user-bp9vx1eq1k
      @user-bp9vx1eq1k 20 วันที่ผ่านมา +2

      아이 발목 골절로 수술했어요.
      400만원나왔습니다.
      적은치료비가아니더군요

  • @johngoodlim7393
    @johngoodlim7393 21 วันที่ผ่านมา +48

    의료소비자들의 도덕적해이와 과소비도 문제입니다. 그리고 교수님은 본인이 속한 대학병원 입장에서만 말씀하시는 듯...
    만약 정부 맘대로 하고 싶다면 당연지정제를 없애면 된다. 공무원 아닌 의사들을 공무원처럼 대우하고 부려 먹으려니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 @shy-oc2ku
      @shy-oc2ku 20 วันที่ผ่านมา +2

      ㅇㅇ 당연지정제부터 없애야 지방의료가 사는데 이걸 할 정치인은 없지 ㅋㅋ 지부터 서울로가는데

  • @user-tb4cf4zr5w
    @user-tb4cf4zr5w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2

    다음으로 실손제도를 손봐야합니다. 갱신계약서를 못하게 막아야죠

  • @user-ou1pg4bn5j
    @user-ou1pg4bn5j 21 วันที่ผ่านมา +72

    의약분업때 의사수 줄인건 의약분업이전에 결정된겁니다.
    무분별한 미니 의대 증원으로 의사수 급증을 예측하고 줄이기로 한것입니다.

    • @msbdvsieigecishsvndk
      @msbdvsieigecishsvndk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

      의약분업이랑 맞바꾼 정치적 협의아닌가요? 그렇게 따지자면 의약분업도 사실 계속 이야기나오고 협의되던겁니다.

    • @lezmaniac
      @lezmaniac 19 วันที่ผ่านมา

      ​@@msbdvsieigecishsvndk의약분업과 상관 없이 몇년 내 대학병원 설립을 조건으로 신규 의대 설립 허가해줬는데 계속 병원을 안 만들고 있어서 폐지시켰던 겁니다. 그러면서 의사 수 증가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 신규 의대 설립 허가제로 바꾸고 계속 허가를 안 내줬죠.

    • @labelle5433
      @labelle5433 19 วันที่ผ่านมา

      의약분업과 맞바꾸어서 의사수 줄인다는 정부의 말은 가짜 뉴스입니다. 아직도 그당시 뉴스가 다 남아있습니다. 그당시 미국, 일본의 의사수와 비교하면서 우리나라 의사수가 많아 건보료 재정에 문제가 된다고 줄여야한다고 정부 보건부 과장이 직접 뉴스에 나와서 브리핑합니다. 정치인들이 무분별하게 의대 만들어서 교육을 못했습니다. 그리고 의대가 있으면 당연히 대학병원도 짓기로 했는데 긴 세월이 지냐도 병원도 없었습니다. 이번 정부의 발언에는 대부분 거짓말이 가득합니다. 과거 뉴스 한번 찾아보시면 알 수 있으실겁니다

    • @user-ic7qb1xg1g
      @user-ic7qb1xg1g 19 วันที่ผ่านมา +3

      어느때인지 복지부장관이 의사과잉이라고뉴스에서까지함요
      ㅡ.ㅡ27년동안 의사증원반대햄ㅅ다느뉴사실아님.

    • @camerata8165
      @camerata8165 18 วันที่ผ่านมา +3

      그 때 기사보면 의사 공급 과잉이 염려되어 정부와 학계가가 나서서 줄였음. 기사도 버젓이 있음. 그 전에 정치적으로 증원하는 바람에 의대 교육 완전 부실화돼서 한번 난리 났었더만.

  • @Erai100
    @Erai100 18 วันที่ผ่านมา +5

    진짜 패널들 반성해라 질문 수준 처참하다

  • @user-ng5lr4nc2b
    @user-ng5lr4nc2b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4

    결국은 돈이 문제임.
    각자 제 값 내고 진료 받으면 됨.

  • @kks50388594
    @kks50388594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4

    싸고 좋은줄 아는게 얼마나 답답한일인지요....
    직장의료보함은 그나마 절반만 내지만 지역의료보험비도 무지비쌉니다 싼거아니에요 의무적으로 의료보험 내는게 만만치않아요
    그나마 그 의로보험을 제대로 쓰면되지만 의료보험은 앞으로 재정이 무너질거에요 인구가 모자라 그 의료보험체계를 유지하려면 무진장한 사회보험비용을 감당해야합니다 의료인을 늘리는건 그 의료체계의 규모를 늘리는건데 그런체계는 의료비용이 더 증가하게 만들겁니다
    우리나라 의료가 우수한건 진짜 열심히 공부하고 노력하는 한국인이 어려운 주증진료에 남다른 재능을 보였기때문에 기술력이 높아졌기때뫈이지 아무때나 병원가서 이것저것 진료를 막하는게 좋은게 아닙니다
    어쨌든 우리나라 의료는 미래가 없습니다 체곅무너지고있어요

  • @user-zi8ow2er4q
    @user-zi8ow2er4q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9

    전국을 KTX SRT로 연결하고 자랑해놓고 왜 이제와서 서울로 치료하러 가면 안됨? KtxSrt 없애면 지역의료 삽니다.

    • @camerata8165
      @camerata8165 18 วันที่ผ่านมา +1

      OECD국가들은 그렇게 안 해.

    • @user-yx2ti1lw5u
      @user-yx2ti1lw5u 16 วันที่ผ่านมา +3

      ktx를 없애는게 아니라 환자가 1차, 2차 병원을 거치지 않고는 3차병원으로 가지 못하게 하면 됨

  • @user-ke6zb9dh2t
    @user-ke6zb9dh2t 17 วันที่ผ่านมา +5

    제대로 된 논의와 진단.
    좋은 프로 제작감사합니다.
    의사 증원에 따른 문제와 해결방법등을 많은 국민들에게 알려주십시요~~

  • @hamasun1
    @hamasun1 21 วันที่ผ่านมา +67

    2000흔들어1000하자식의 의료를 시장바닥장돌뱅이같은 생각 가지고 정책 집행하는 미개한 나라가 어디 있습니까?
    증원이 답이 아니라 시스템의 재구축이 먼저 입니다.
    지금 사태가 얼마나 심각한거지 의사외는 잘모르고 있는겁니다.

    • @user-tn4oc9tl9o
      @user-tn4oc9tl9o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알빠노

    • @user-yp3iv1nl8p
      @user-yp3iv1nl8p 18 วันที่ผ่านมา

      의사 외에도 아는 사람이 많긴한데 유독 정부만 모르는 것 같아요...

  • @user-qw5ob7to2s
    @user-qw5ob7to2s 21 วันที่ผ่านมา +6

    현문제의 많은 부분이 이해가 가네요 감사합니다.

  • @vksryeowkdfh
    @vksryeowkdfh 21 วันที่ผ่านมา +75

    한국 모든 시스템 모든 요소 모든 부분들이 전부 아슬아슬하게 진행되고 있어요. 의료계만 그럴거라는건 대단한 착각입니다

    • @hikim1948
      @hikim1948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8

      다른 모든 분야가 그렇다는데 동의합니다. 그래서 의료계에서 방법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는데 정부는 엉뚱한짓을 한다는거죠. 안그래도 붕괴될것이 예정되어있긴했지만 정부의 잘못된 처방으로 그 시간이 앞당겨지는거죠. 모든 분야가 아슬아슬하고 모든 분야를 바로잡아야하고 특히 연금 교육 의료 등 더 중요한 분야일수록 정책의 영향력이 더 크겠죠.

    • @sunghoonkim4048
      @sunghoonkim4048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

      그니까 윤이 뚜벅뚜벅 책임지고 박살내주심 ㅎㅎ 경험하심 됨

    • @kihong100
      @kihong100 18 วันที่ผ่านมา +2

      그래서 걱정입니다. 인재 유출, 나라 후진화, 우리가 갖고 있는 기술과 역량의 유출... 모든 소중한 것들이 다 사라지고 있어요.... 문화대혁명이 따로 없습니다.

    • @camerata8165
      @camerata8165 18 วันที่ผ่านมา

      의사들이 대단한 착각에라도 빠져 있다는 말인 건지? 난데없이 뭔 소리를 하는지 모르겠네

  • @Yoon-yq6fc
    @Yoon-yq6fc 20 วันที่ผ่านมา +4

    너무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hyungjoolee5583
    @hyungjoolee5583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4

    3월부터 사직서 결의한 교수들 퇴직금 챙겨서 나가야 파국이 오고 붕괴된다.
    당신들이 말에 책임지고 빨리 나가야 합니다.
    붕괴와 파국이 와야 서서히 정상화가 시작됩니다.

  • @user-ms1vz8op8f
    @user-ms1vz8op8f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7

    안경 안 쓰신분 발언 중 증원을 위해서라도 증원을 했어야하지 않았냐.. 라는 발언 왠지 갑갑함을 느꼈습니다. 이래서 대한민국의 의료가 뉴노멀을 맞이하는구나라는 느낌입니다. 국민들은 증원이 의료개혁이라고 생각하니까요.

    • @symphssymphs1286
      @symphssymphs1286 19 วันที่ผ่านมา +5

      사회자들이 너무 무지하네요
      이런 주제를 다루면서 공부를 좀 해와야지
      유튜브 몇개만 봐도 질문 수준이 저런 수준은 아닐텐데 쯧쯧

  • @noname-gm3hh
    @noname-gm3hh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1

    이미 망했다고 생각함. 난 의사아니고 집안에 의사도 없음... 이번 사태로 대한민국 인구 고령화가 좀 완화될듯 : 원영적 사고

  • @jeong7824
    @jeong7824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3

    이제 2,000명 증원이 아닌 진정한 의료개혁을 위해서 언론이 나서야 합니다.

    • @kmyungsic
      @kmyungsic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언론? 무식함 ㅡ.ㅡ

    • @user-mu3oh4bm3d
      @user-mu3oh4bm3d 20 วันที่ผ่านมา

      ​@@kmyungsic
      대한민국 최고의 쓰레기.
      언론 풉~ 😮

  • @joshuapark9856
    @joshuapark9856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5

    어차피 미래를 모르니 근거를 요구하는게 무의미하다는 말을 삼프로에서 한다는게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미래를 모르지만 경제상황을 분석하고 예측해서 투자를 고민하는 채널이 삼프로 아닌가요? 동네 점방 운영할때도 중요한 사항들에 대해서는 나름대로 고민하고 근거를 찾아가며 결정하는데 하물며 국가 의료정책을 결정하는데 미래 예측하는게 불가능하니 되는데로 던지는게 무슨 문제냐는 식으로 이야기 하는 것은 정말 아닌 것 같습니다.

  • @hyojongkim8268
    @hyojongkim8268 19 วันที่ผ่านมา +10

    박종훈 교수가 말을 정확하게 안하고 슬슬 돌리지만, 미국과 달리 흉부외과 신경외과 인기 없는이유? 수가가 작아서지요... 왕창올려야합니다. 투자없이 성과를 거둘려는 답이 없지요. 사회자가 얘기하는 편하게 언제든지, 값싸게 의료이용이 좋다고 생각한다구요? 그럼 누군가는 피해를 봐야합니다. 지속가능하지 않아요, 그동안은 비급여 실손 등으로 연명해왔지만, 젊은 의사들은 이미 정부가 불을 지른 이상, 값싸게 이용당하지 않겟다는 마인드 입니다. 미국처럼 대우를 받으려 할겁니다.

  • @user-vp5ve6uc5o
    @user-vp5ve6uc5o 17 วันที่ผ่านมา +4

    보는내내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더많은 사람들이 볼수있도록 전해야겠네요

  • @user-iz8lx1ku7f
    @user-iz8lx1ku7f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0

    우리나라에 지성이 사라진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아무리 설명하고 이해시키려고 하고 하지 말자는 것도 아니고 천천히 논리적인 근거를 가지고 청사진을 그린 뒤에 진행하자고 해도 결국에 돌아오는 대답은 의사들 돈 많이 버는데 양보하라는 말과 응급실 뺑뺑이 같은 감성팔이 뿐입니다.
    교수님의 답답한 마음 이해합니다. 저도 주변 사람들을 설득하고 세상을 바꾸는데에는 지쳐버렸습니다.
    결국 우리나라는 각자 도생의 나라를 향해 가네요.. 다들 열심히 삽시다...ㅎㅎ

  • @user-xf4ex5fm7i
    @user-xf4ex5fm7i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3

    몇달 을 버틸수있을지..
    대학병원파산은 정해진수순 참 답답하다 하....

  • @user879p
    @user879p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9

    대학병원의 수련의, 전공의 착취는 유명하죠. 의료 교육은 뒷전이고 온갖 잡일만 시키니까요. 의사 증원되면 아마 대학병원 청소부 숫자를 줄이고 수련의와 전공의에게 청소일을 시킬 가능성이 큽니다.

  • @user-em3cq7ww9n
    @user-em3cq7ww9n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

    나라를 위해 2부 만들어주시죠!

  • @sum3739
    @sum3739 20 วันที่ผ่านมา +5

    삼프로가 제대로,,공정하게 애정갖고 의료문제 잘 취재해주십시오. 그런 후에 패널들 질문해주세요,,제발.

  • @user-eq6wn4ps5m
    @user-eq6wn4ps5m 19 วันที่ผ่านมา +1

    잘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adamblue3435
    @adamblue3435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5

    교수님께서 중요한 핵심을 빠뜨리고 말씀하시는것 같네요
    질문은 날카로운반면 대답이 쬐금 아쉽습니다
    바이탈과의 의사들에게 생기는 문제를 말씀하셔야 하는데 의료소비자의 문제에 대해서만 말씀하시네요.

    • @user-wp5rw3oz8c
      @user-wp5rw3oz8c 20 วันที่ผ่านมา +5

      저도 교수님이 경증진료로 의사를 피곤하게 하는게 잘못이다
      6분의1로 줄여도 동네의료가 돌아가게 수가를 책정해야한다는 발언을 들으며 결국 의사들의 이익대변이구나 라고밖에 안들렸습니다

  • @user-qv6by8qg1z
    @user-qv6by8qg1z 16 วันที่ผ่านมา +4

    전문가가 열변을 토하는데도 얼굴에 의사가 뭘 속이면서 이야기하고있구나 라고 쓰여져잇네

  • @user-wk4rl7of1v
    @user-wk4rl7of1v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8

    의료숫가만 정상화되면 되요

    • @EMShch
      @EMShch 20 วันที่ผ่านมา

      공감

  • @user-zr9de5fk6w
    @user-zr9de5fk6w 20 วันที่ผ่านมา +7

    그때350명줄인건
    복지부가 의사가 남을거같다고
    점진적으로
    줄엿다.
    줄이는것도 점진적인데
    증가를2000씩하는게정상일까요?

  • @kimjinho1284
    @kimjinho1284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7

    와 무섭다 안돌아온다 붕괴된다 도산한다 재앙이온다

    • @user-wz1nn3yn8l
      @user-wz1nn3yn8l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1

      대학병원에 몸담고있는 수많은직옵군듷도 다 실직하는거죠~~

    • @user-xs7eu2xe4s
      @user-xs7eu2xe4s 20 วันที่ผ่านมา

      윈래 겁 먹어서 ~~
      돈을 사용하는 곳

    • @user-sf1du1sz8d
      @user-sf1du1sz8d 18 วันที่ผ่านมา +1

      사실인데

  • @user-uv8hm7pi2q
    @user-uv8hm7pi2q 21 วันที่ผ่านมา +9

    눈물납니다~

  • @user-ci3ro1ip3b
    @user-ci3ro1ip3b 21 วันที่ผ่านมา +63

    의사증원하면 의료보험이 오른다니 걱정되네요 지금도 보험료 부담됩니다~

    • @user-mq4mb1ib3s
      @user-mq4mb1ib3s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

      건보료는 계속 오르고 있음

  • @user-tt1ts3bg8l
    @user-tt1ts3bg8l 19 วันที่ผ่านมา +3

    공감합니다!!❤❤❤

  • @sindylim7556
    @sindylim7556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0

    제가 말씀드릴께요.실손보험이 의료수요 늘린거 맞아요. 10년전 온가족 실손보험 가입한 이후로 한달에 병원 한번갈거. 5번씩 갑니다. 손해보는 느낌때문에 무조건 월납입 보험료 이상 병윈비 청구하려고 합니다. 솔직히 사소한거라도 안아픈 사람이 어디있나요. 아들은 피부염증. 딸은 안면홍조. 저는 디스크.남편은 당뇨인데. ㅠ 병원은 사소한 증상도 무조건 대학병원가서 비급여 포함 진료받습니다 매번 천문학적으로 오르는 실손보혐료 당해보면 다들 이렇게 변합니다

    • @user-tu3pi2jt6e
      @user-tu3pi2jt6e 12 วันที่ผ่านมา +1

      다른 사랑들은 님처럼 안 합니다. 실손보험 남들도 다 가입했구요. 의보재정 고갈되는데에 일조하고 계시군요.

  • @Proudman13579
    @Proudman13579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2

    영상에서 왜 그런 정책이 불가피 했는지 따져보는게 사실 무슨 의미일까 싶습니다. 왜냐면 이미 이 시스템은 망했어요. 이미 취약할 대로 취약했던 시스템이 정책 한방에 제대로 & 비가역적으로 망가졌습니다. 다리로 치면 구조 안정성이 기준치 한참 이하로 냐려가서 무너져 내리기 일보 직전 입니다. 무너져 내린거 물에서 끌어올려서 다시 용접해서 쓸 수 있나요? 어쩔 수 없이 리셋해야 할 겁니다. 그리고 세계 최고의 의료라는 말 하는 분들 보면 저는 헛웃음이 납니다. 한국 의료는 가성비 의료 & 패스트푸드식 의료였지 최고였던 적이 없습니다. 그냥 빨리빨리 싸게 해주니 편하니까 최고라 느끼신 겁니다. 전 전직 한국 의새, 현직 미국 의사로서 이 사태에서 벗어나 있는 사람이지만 먼 곳에서 진행 상황을 보며 답답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 @deokhonam4001
    @deokhonam4001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3

    의료기구 약품 대금 지급 중단하면 의료기기는 공급을 중단할 수 밖에 없고, 그러면 수술이 불가능하고, 악순환은 이미 실현됐는데. 그럼 정부는 의료기기와 제약회사에 납품지속하라 명령내릴건가?

  • @user-kw5it5zs9e
    @user-kw5it5zs9e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

    감사합니다.`~~~~~~

  • @user-rk5pi3mu8c
    @user-rk5pi3mu8c 20 วันที่ผ่านมา +8

    54:00 영국, 프랑스처럼 의사를 늘리려면 우선 영국, 프랑스 같은 의료시스템을 구축하고 늘려야죠.. 영국 프랑스는 사회주의 의료시스템에 의사는 공무원같은 존재로 하루에 환자 많아야 20명씩 보고 의사가 많아질 수록 일을 적게하는 거라 의사들이 찬성하는 거구요. 영국 시스템 nhs는 그나마 인도, 파키스탄 의사들이 영국으로 가서 유지 중입니다…
    그리고 인구대비 의사 증가율은 한국이 가장 높아요

  • @shin-ez8tl
    @shin-ez8tl 13 วันที่ผ่านมา +4

    진행자분들께서 의료문제에 대해 공부를 못하고 진행하시는 듯한 느낌입니다.
    말하자면 전문분양에 대해 감성적으로 접근하시는 듯해요. 이 번 의료대란이 일어난 뒤에 관련 영상을 매우 꼼꼼히 공부하듯이 찾아보고 있는데 공부할수록 지금의 문제가 소름돋을 정도로 심각하다는 것이 느껴집니다.
    게다고 저는 10년째 환자를 돌보고 있다보니 피부로 느껴지는 것이 더해져 더욱 두렵습니다.
    동네병원은 이래나저래나 운영될 겁니다. 그러나 빅5병원에서 간신히 이어지고 있는 첨단의료는 올해안에 무너질겁니다. 첨단의료는 한 분야에 겨우 의사 한 명 정도가 형사고발의 위험을 무릅쓰고 명맥을 잇고 있지만 이렇게 의사를 짓밟는 문화로 말미암아 무너질겁니다. 미국의 신경외과가 어려움에도 유지되는 것은 노고에 대한 적당한 사회적 인정과 보상이 맞습니다.
    그렇다고 의사들이 검찰과 같은 권력을 갖는 것도 아니지않습니까?

  • @mamison4988
    @mamison4988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0

    앞으로 일어날 일
    1.전공의, 학생 안 돌아옴
    2.교수 이탈 가속화
    3. 3차 대학병원 줄도산
    4. 대학병원 일반 직원실직
    5.병원 협력업체 및 제약사 줄도산
    6. 병원 근처 약국 줄폐업
    7.의대생단체 유급
    8. 공보의, 군의관 배출 zero
    9. 신규의사배출zero
    근데 이게 중요한 게 아니라
    회피가능 사망환자 폭증.
    이제 한국의료는 끝났다.

    • @user-bt2cl2bc5x
      @user-bt2cl2bc5x 20 วันที่ผ่านมา

      김원장기자는 기승전 의사나빠요.
      지금 큰 일 났다는데도 그래서 의사나빠요.

    • @user-dv8fc9ku9s
      @user-dv8fc9ku9s 16 วันที่ผ่านมา

      다죽자 !
      중증병에 걸리면 다죽자 !
      하늘의 명이라 생각하고 다죽자 !
      함께 다죽으면 억울한것도 별로없다
      다죽자 !

    • @MiNi-ql7jl
      @MiNi-ql7jl 11 วันที่ผ่านมา

      똑똑하십니다 찐찐공감요

  • @josw00
    @josw00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1

    교수님이 말씀하시는 의료체계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20년전에는 지금만큼 인터넷이 보급되지 않았고 정보의 격차도 컸던시기입니다. 20년전에 됐는데 지금 왜 안되냐고 할게 아니라 달라진 상황의 반영해서 시스템을 보완할 필요도 있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 @user-en5ic7uu4l
    @user-en5ic7uu4l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0

    차라리 옛날처럼 약국에서 감기약 지을 수 있게 해주는게 그나마 해결책일 것 같습니다. 답이 없는게 답답합니다. 초등생 부터 의사만 되겠다는 이상한 대한민국 !!!

  • @user-zl1ks3bu4h
    @user-zl1ks3bu4h 12 วันที่ผ่านมา +3

    그나마 대학병원이 과잉진료를 하지 않는데
    앞으로 어디 병원을 가야할지 암담합니다.

  • @user-vm1rw9yi9r
    @user-vm1rw9yi9r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9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좋은 의료시스템 맞아요
    의사가 좀 손해받지만 그냥저냥 만족할만하고
    국민들은 젤 좋아요
    나라가 카바해 줬으니까

    • @earthduckhoo
      @earthduckhoo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3

      건강보험료 많이 내는 고소득자와 의사들은 그렇게 생각 안할겁니다. 즉, 본인과 꽤 다수에게 좋은 시스템인건 맞지만 자본주의 정의에 어긋나는 시스템은 지속가능하지 않습니다.

  • @user-os4qu2jy4n
    @user-os4qu2jy4n 9 วันที่ผ่านมา +1

    교수님 의견을 듣고 감동 받았어요 응원합니다

  • @hbk6779
    @hbk6779 20 วันที่ผ่านมา +6

    교수님깨서 처음부터 끝까지 잘못된 시스템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해주셨는데 증원이 무조건 맞다는 전제하에 시스템을 고치기 전에 그럼 몇명이면 과학적인 것이냐는 질문은 교수님 설명을 조금이라도 듣고나서 할 수가 있는 질문인가?? 에혀…

    • @hbk6779
      @hbk6779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

      지금 몇명 증원이냐 그런 문제보다 당장 눈 앞에 직면한 대병파산으로 시작되는 의료 붕괴와 건보재정을 기반한 시스템의 붕괴 가속화가 가장 핵심인데 질문 수준이 너무 편협하다

  • @taesungyoon1624
    @taesungyoon1624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3

    김원장 기자는 본인이 원하는 답이 있는것 같고 조급해 보여요. 시청이 불편하게 만드는 면이 있네요

  • @user-vf8fi5im5m
    @user-vf8fi5im5m 20 วันที่ผ่านมา +6

    왜이렇게 전정부 400명을 저렇게 묶지 전정부 공공의대는 의대 선발과정을 무려 '시민단체'가 하겠다고 해서 그 사단 난건데

  • @user-su3vn1vf4n
    @user-su3vn1vf4n 21 วันที่ผ่านมา +21

    33:20 앵커님 MRI를 선심쓰시듯이 하셨다니요? 의료진에게 모욕적인 발언입니다.

    • @universe8442
      @universe8442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치매에 뇌 mri 꼭 필요합니다

    • @universe8442
      @universe8442 20 วันที่ผ่านมา

      치매에 mri진단에 필수에요

  • @user-jn6gr5np1f
    @user-jn6gr5np1f 19 วันที่ผ่านมา +4

    지금까지 아슬아슬하게 버티고 있었고 겉보기만 멀쩡하지 어차피 붕괴할거 의사들잘못으로 떠넘기기 좋은 기회로 삼은듯 의대증원하면 전공의들 난리날거 예상하고 국민들 악 감정은 전공의들로 향하게 만들었네~

  • @freeinfo0923
    @freeinfo0923 21 วันที่ผ่านมา +5

    어떤직역에서 전공의 같이 전체의7프로가 사직했다고 마비되나요?

  • @user-te8vz5nl7u
    @user-te8vz5nl7u 21 วันที่ผ่านมา +15

    이 상황의 배면에 수도권6600병상 2028년도 증원 진행중인것은 먼가요
    거기 때려넣기 위한 음모로서의 2000명인가요?

    • @user-fb2ln7nf1w
      @user-fb2ln7nf1w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저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어요.
      수도권에 이미 6600 병상 허가해줬는데 거기 부려먹을
      노예들 양산해야죠.
      이미 똥은 싸질러 놨는데 수습해야하니 카데바를 수입하네마네 전세기를 띄우네 마네 외국의사를 수입하네마네...
      진짜 비상식적인 말들을 쏟아냈잖아요.
      그 병원들 노예 안보내주면 망할텐데 뒷돈 받아먹은 놈이 누군지 모르겠지만 똥줄 탔겠죠.
      그러니 무조건 2천명 고집.
      저는 그렇게 생각해요.
      무슨...지방의료 살리기?
      그래서 야당대표가 사소한 수술도 헬기 띄워서 서울대 병원까지와서 수술받나요?
      야당이든 여당이든 의사 노예화 시키려고 안달이죠

  • @user-qq3bz5xi9n
    @user-qq3bz5xi9n 20 วันที่ผ่านมา +11

    문정부때 반대는 공공의대 학생 뽑는 방식때문 이었음. 학생선발에 시민단체가 참여한다는데에 큰 반대가 있었음.

  • @user-qp5mb9ed9u
    @user-qp5mb9ed9u 8 วันที่ผ่านมา

    미래 의료에 대한 청사진!
    격하게 공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