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견을 좋아하는 한국과 각자도생 일본의 문화 차이 | 한민 문화심리학자 [라이프IN넘버스]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9 พ.ค. 2024
  • 참견을 좋아하는 한국과 각자도생 일본의 문화 차이 | 한민 문화심리학자 [라이프IN넘버스] #한국 #일본 #문화
    00:00 하이라이트
    00:57 오프닝
    01:27 한국과 일본의 문화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숫자 11
    06:44 건축에서 볼 수 있는 한국과 일본의 문화 차이
    09:42 일부는 사람들은 현재 한국이 20세기의 일본이라고 하는데?
    14:10 일본은 선을 긋고, 한국은 선을 없애는 이유?
    19:01 공연 볼 때도 다른 한국과 일본의 문화
    23:54 앞으로 내가 넘어서고 싶은 숫자가 있다면?
    25:06 일본인들이 한국인들에게 갖고 있는 오해?
    --------------------------------------------------------------------------------------------------
    🎬 LIFE IN NUMBERS(라이프 인 넘버스)미술, 스포츠, 음악, 미식의 분야의 사람들을 만나, 숫자를 초월하는 놀라운 인사이트와 그보다 더 진한 라이프 스토리를 듣습니다. 많은 기대 바랍니다💙
    *이 영상은 한화생명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
    [안내 말씀]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에 출연하시는 분들은 문자/카톡/전화를 통해 절대 주식 리딩방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 클릭하시어 스미싱 또는 사기 피해 받지 않으시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789

  • @user-pl5wr1yu9q
    @user-pl5wr1yu9q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63

    안녕하세요. 본편에 출연한 문화심리학자 한민입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5분심리학'에서 더 많은 이야기를 만나보세요^^.

    • @ssg6796
      @ssg6796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일본거주자 입니다. 여러가지 일본문화 분석을 해주셨는데 그 한계가 보여 좀 안타깝네요. 책이나 기타 자료로 책상에서 공부한 느낌.. 직접 현지에 가서 그 사람들과 부대끼며 살아봤으면 더 좋은 통찰이 나올듯

    • @ChrisTennis
      @ChrisTenni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무척 흥미로운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이웃이 친하기 어렵지만, 그래도 같은 자유세계의 일원으로 도와가며 갔으면 합니다

    • @user-kd5ww5uf3i
      @user-kd5ww5uf3i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젓가락을 가로로놓는 부분과, 밥그릇을 들고 먹을 때 앞에 대면하는 상대방과 사소한 벽을 만드는것이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네요.
      밥그릇을 식탁에 놓고 떠먹으면 상대적으로 오픈 되어잇는 느낌이 나고요 ㅎ

    • @sungyelcho3810
      @sungyelcho381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ssg6796어떤 부분이 아쉬우셨나요? 저는 공감된 부분들이
      많은데, 정정해주실 부분 있으면 말씀해주세요~ 워낙 자주 일본여행 오는지라… 참고하려고요!

    • @jungking4033
      @jungking4033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교수님 말씀이 정확하죠.토쿄장기거주민.

  • @taeseongkim250
    @taeseongkim25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6

    젓가락 이야기를 하자면....음식과 자신을 나눈다는 개념보다는 일본은 사무라이 문화가 강하고 한국은 선비문화가 강하다보니...일본은 젓가락을칼방향, 한국은 붓방향으로 놓는 것에서 모양이 이어진것으로 판단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 @jiwonlee4037
      @jiwonlee403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호 그렇네요.,kim250님 말이 더 일리가 있는데요

    • @seeuncho2776
      @seeuncho277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그게 더 그럴싸한 해석인 듯요

    • @user-ok7xh8df6o
      @user-ok7xh8df6o 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일리 있는 해석인거 같아요

  • @andykim1646
    @andykim1646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2

    과일 쏟아지면 도와주지.
    호주에 사는데 차 퍼지면 바로 도와주는 사람 나타납니다. 그게 참견이고ㅠ오지랖이 아니라 도와주는 특징이지 왜 참견이라고 생각하는지 이해불가.

    • @trueroughly1691
      @trueroughly1691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거의 대부분 나서서 도와주죠 ㅋㅋ 저도 전에 눈길에 미끄러져서 도로 이탈 했을 때 지나가던 차 다 멈춰서 어떻게든 도와주려고 해서 너무 고마웠던 기억이 ㅋㅋ

    • @user-ih5lp5qd6s
      @user-ih5lp5qd6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전세계에 같은 민족을 노예로 부린 몇 없는 나라가 조선이고 북한임. 참견을 넘어 같은 민족의 자유를 빼앗는 민족이 한민족임.

    • @user-fd4qb9sk6c
      @user-fd4qb9sk6c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맞습니다.
      저는 오지랖이라기 보다
      내 일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라 봅니다.
      인간사가 돌고 돈다는 법칙을 깨달았기에요...
      내 차도 고장 날 수 있다 고로 사고난 차를 내 일 같이 도울 수 있다는거죠.
      우리나라 사람들의 인생관이 훨 철학적으로 보입니다
      ,

    • @c.d.friedrich9268
      @c.d.friedrich9268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그니까요. 냉소주의의 반대가 참견인가요.

    • @machomachoman6764
      @machomachoman676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사전적 의미로는 참견이 맞습니다 내 일 아닌 남 일에 끼어드는 것은 그것이 바람직한 일이든 경우에 벗어나는 일이든 모두 다 참견인 것이죠
      왜 님께선 참견이란 말에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계신 겁니까? 저는 한국에서 60년을 살았어도 그렇지 않은데요 호주 사시는 게 문제일까요?

  • @yhsongoo
    @yhsongoo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젓가락 방향에 대해서 일본 분에게 물어본 적이 있습니다.
    그 분은
    일본에서는 젓가락 방향이 상대방을 가르키면 공격적이라고 느끼기 때문에 횡으로 놓는다고 합니다.

    • @user-mi4yy1dd4v
      @user-mi4yy1dd4v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예전에 칼들고 다니던 사무라이시대 분위기를 생각해보면, 젓가락이 상대방을 가르키면 찌르고 죽일수 있기에, 나는 당신을 헤치고자 하는 마음이 없다라는 표현이라고 일본 교수님에게서 얘기들었습니다. 이런것은 왜 우리가 악수할때 두손으로 하느냐와 같습니다. 예전 한복 온소매가 넓으니 한손으로는 옷소매를 잡아야 하니 결국 악수를 두손으로 하는 분위기가 현대 한국사람들에게 전달 되었다는 얘기와 비슷한것 아닐까요?

  • @qordn100
    @qordn10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4

    이제 교수님의 한국에 대한 분석도 과거의 이야기가 되는 것 같습니다. 특히 회사에서는 점심도 각자 먹는 경우가 많고 서로의 개인 영역을 침범하는것을 싫어하는 사람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요.

    • @user-ot6we9vm5c
      @user-ot6we9vm5c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디아픈지는 왜아셔야하는건데요 약지어주시게요? @@user-qe6pb5gn8m

    • @user-gy2iy1yc9d
      @user-gy2iy1yc9d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user-qe6pb5gn8m알고 있어도 다른 부서분에게 같은 부서원의 개인사를 나눌 필요는 없어서 그럴수도 있죠

    • @user-qe6pb5gn8m
      @user-qe6pb5gn8m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user-gy2iy1yc9d
      일본사람들이 남의일에 참견 안하는 것도 같은 이유 입니다.
      내개인사에 왜 남이 관심을 가져? 남의 부서 개인사에 왜 관심을 가져? 나도 남개인사에 참견을 하지 말아야지!
      님과 같은 분들이 한국에도 많이 늘어 나고 있습니다.

    • @c.h.7875
      @c.h.7875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user-qe6pb5gn8m 적당히 알고 적당히 모르는 척 하는 게 요즘의 매너 같습니다.
      회사에서 친하지도 않은 사람들까지 누가 암이네 불쌍하네 뭐네 말 나오는 것 자체가 당사자가 좋아할 만한 일은 아닌 것 같더라고요. 평소에 친하고 서로 챙기던 관계면, 알아서 조심스럽게 챙기니까 다르겠지만요.

    • @user-qe6pb5gn8m
      @user-qe6pb5gn8m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c.h.7875
      쓸데 없는 충고는 안하는 것도 매너이지요.
      일본 문화와 한국 문화를 이야기 하는 공간에서 까지 굳이 ~~~

  • @user-le5nh8uf7z
    @user-le5nh8uf7z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1

    학폭도 때린 인간은 잘살고 기억도 못함 피해자는 평생 트라우마에 힘들어함

  • @user-ll6jm6vn3r
    @user-ll6jm6vn3r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5

    일본에 규칙과 표준이 많은건 그걸 따르기만 하면 자신의 책임이 면제될수 있는 핑계가 될수 있기 때문이 아닌가요? 그리고 이건 또 전국시대부터 내려온 무언가 잘못하면 영주 또는 사무라이 계층에 의해 혹독한(자결 또는 참수 같은) 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는 불안에서부터 기인되었을 수도 있다고 생각되는데.

    • @user-dn3if6zi7k
      @user-dn3if6zi7k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정확하네요. 일본 물건이 완벽하게 나오는것도 저런거에 기인하죠.. 대신에 일본 물건이 비쌀수 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규칙, 표준을 지키고, 검수를 완벽하게 하면.. 인건비가 천장부지로 뛰어오르죠. 중국은 검수를 아예 안해서.. 인건비를 최저로 낮추고
      한국은 검수를 띄엄띄엄해서 대량 불량만 막습니다. 일본은 일단 팔기 시작하면.. 무상수리가 없어요.. 대신 검수를 완벽하게 합니다.

    • @user-ih5lp5qd6s
      @user-ih5lp5qd6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user-dn3if6zi7k 일본 제조업은 미국이 플라자합의로 슈퍼엔고로 만든 이후부터 단가가 엄청비싸졌지 85년전만 하더라도 가격은 싼데 품질은 월등히 좋았습니다.

    • @bnp6572
      @bnp657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한국인도 제발 그 규칙과 표준좀 지켰으면

  • @strusinskakasia2831
    @strusinskakasia283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한국도 제 세대만 해도. 프라이버시 침범에 관대하지 않아요..
    참견하는건 주로 장년층에서 주로 벌어지는 일이라 생각해요

  • @TheHaze0738
    @TheHaze0738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Hassan.2-ej9ec
    @Hassan.2-ej9ec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한국과 일본의 문화 차이 많이 감사합니다.
    알아야 이해할수 있고
    오해를 넘어갈수 있는 3을 나눌수 있는 좋은 미래를 기대합니다

  • @user-ll6jm6vn3r
    @user-ll6jm6vn3r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5

    젓가락 놓는 방향의 차이는 공격성에 대한 해석 차이지 싶습니다. 일본은 젓가락도 칼과 같이 의식해서 우리와 같이 젓가락을 놓으면 공격하는 것 같이 느낄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는데요.

    • @user-se7tg4jb6t
      @user-se7tg4jb6t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말도 안되는 소리는 그만

    • @user-vf9pz5ws6h
      @user-vf9pz5ws6h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저도 그런 이야기를 일본인에게서 직접 들은적이 있네요. 과거 사무라이 시대부터 전해져 온 것 같다는...정답은 없겠지만요^^

    • @hunterjoe6062
      @hunterjoe6062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너무 확대해석할 필요없음.
      손가락이 쥐는 방향으로 놔진 것. 사실 가로로 뇌두는게 집기편함.

    • @_chobi3248
      @_chobi3248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젓가락을 왜 칼로 인식해요?
      그게 더 궁금하네..
      우린 젓가락을 화살로 인식 한건가?

    • @user-mo2uv5mk4n
      @user-mo2uv5mk4n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버겁다

  • @alexandralee7906
    @alexandralee7906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4

    예전에 미국에서 운전하다가 앞쪽에서 교통사고가 난 적 있는데 수많은 일반 차들이 옆에 세우고 교통정리도 하고 같이 동행하던 외국 친구들도 자연스럽게 세우고 뭐라고 도울거 있으면 돕자고 찾는 모습에 놀란 적이 있었어요. 그래서 저는 오히려 우리나라는 아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선을 넘는 참견의 문화지만 모르는 사람에 대해서는 도움의 손길이 적다고 느꼈었는데, 제가 본 문화가 대중적이지 않은 상황이었을까요?

    • @user-gh3ye2kf9h
      @user-gh3ye2kf9h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관계문화니 우리는 😊

    • @jhyun237
      @jhyun23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예..

    • @skitakaujou
      @skitakaujou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선을 넘는 참견 오지랖 문화는 무례한거지 상대방은 원하지도 않는데. 미국이나 일본의 개인주의가 차라리 낫다. 모르는 남을 도와주는 사회가 선량하지 한국인의 내가 아는 사람에게 도와주려는건 쓸데없는 오지랖이고 불편함을 부른다.

    • @holidaysummer9256
      @holidaysummer9256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님이맞어요 자기테두리안에서 미친듯 돕고 모르면 가벼운인사도 안하는 한국 이 교수 말은 이어령교수님때 수준의 통찰 느낌 재미로봐야할듯

    • @jeongahkim3327
      @jeongahkim332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전 미국에 오래 살았지만 그런 모습 본적이 단 한번도 없네요. 사고 났는데 돕겠다 차에서 나오면 경찰한테 너 자리로 돌아가라고 욕처먹음. 위험할 수 있으니.

  • @user-mw4xe2to8b
    @user-mw4xe2to8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잼있게 잘 들었습니다.

  • @lotusp.3159
    @lotusp.315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다른 국가에 대해서도 비슷한 주제의 자리를 마련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상대를이해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편견을, 돌아보고 곱씹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유익한 주제 선정과 교수님 말씀에 감사드립니다.

    • @wsjy
      @wsj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

  • @seungwoolee5143
    @seungwoolee514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오랫만에 신선한 이야기와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어 감사를 표합니다😊

  • @user-tz4xd7ue3m
    @user-tz4xd7ue3m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ㅋㅋㅋㅋㅋ 참견! 오지랖의 나라죠!~~ 제목이 확 와 닿네요~~ `

  • @aoh653
    @aoh653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우리나라 원래 전통밥상 차림에는 오른쪽에 가로로 수저를 놓습니다. 오래전에 그렇게 배운 기억이 있네요

  • @Emily-qs9dr
    @Emily-qs9d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4

    옛날 얘기를 하시는듯.
    한국도 분위기가 많이 변했고
    일본에 15년 이상 거주하며서 느끼는 건, 모든 사례가 과거의 일본과는 많이 바뀌었습니다.
    현지에 사는 사람으로서는 동의하기 어려운 얘기도 참 많은듯…

    • @user-sx6el7lc1g
      @user-sx6el7lc1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20년대생은 모르겠는데 90년생이면 아직까지도 너무 과한 참견이 많은것 같아요. 저도 일본 8년차지만 한국갈때마다 느끼네요.

  • @user-st1yf1vb4y
    @user-st1yf1vb4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교수님 일본과의 차이를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 @ontariorecord
    @ontariorecord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도와드릴까요? 먼저 물어보고 상대방 대답에 따라 행동을 하는데요. 예를 들어 가방을 떨어져 내용물이 흩어졌을때 '도와드릴까요' 물어봅니다. 함부로 주워드리는게 실례일수 있을거같고 상대방이 자기물건 건드리는거 꺼려할수 있으니깐요.
    근데 어떤 분들은 당연히 나서서 주워드려야한다고 말해요. 겉으로 아니요 라고 해도 속으로 도움을 원하기 때문이래요.
    상황마다 다를거 같긴 합니다😂

  • @jang5ifty8
    @jang5ifty8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오늘도 참 재미있게 잘 들었습니다

  • @user-ng5df8ie5y
    @user-ng5df8ie5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재미있었다. 구독.

  • @ST-tb2qz
    @ST-tb2qz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전통적으로 수저는 상의 우측편에 가로로 놓아둡니다 편의상 현대에서 상자리 앞에 세로로 두는거지

  • @sangleigh1895
    @sangleigh1895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4

    와 한민 교수님.
    빵 터지는 건 아니더라도 소소하게 크득크득 웃다보면 수업이 끝나있었어요.
    은근한 이야기꾼이심
    졸업하고도 이렇게 다시 뵐 수 있어서 정말 반갑고 좋네요.

    • @user-jj6ms2kl4m
      @user-jj6ms2kl4m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일본은 경쟁교육없음 한국은 나치즘교육 조선인구 멸망 빨리정신차려야됨

  • @seogian2794
    @seogian2794 28 วันที่ผ่านมา +2

    밥그릇 크기는 왜 따지지 않을까 과거 밥그릇을 보면 그 무게와 재질로 인한 온도 때문에 들기도 어렵고 그 많은 양을 들고 먹다가 엎었을 때를 생각하면 절대 들고 먹는 방향으로 갈 수 없었을 거 같은데

  • @user-ed3qh2ji6p
    @user-ed3qh2ji6p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한 교수님 말씀 잘 들었습니다!
    저의 젊은 시절,한국인과 일본인의 정체성에 관한 궁금증과 의문을 가장 잘 풀어준 책은 "한일민족의 원형(김용운교수,1987)"
    이었습니다.
    베네딕트의 '국화와 칼',이어령교수의 '축소지향형의 일본인' 도
    훌륭한 저서이지만, 직업상 수많은 일본인을 접해보고서
    김용운 교수의 *통찰이 가장
    가슴에 와 닿았습니다.
    *민족의 정체성은 공동운명체 단위의 집단무의식에 기인한다는..

  • @user-bi6ii8kp1d
    @user-bi6ii8kp1d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8

    아이들이랑 일본가서 길을 가다가 소나기가 오니까 여자분이 와서 아이들 비맞는다고 우산 쓰라고 주고 가셨어요.
    일본 사람들도 주위를 잘보고 따뜻한 마음씨가 있다는 골 알았습니다.

    • @user-dn3if6zi7k
      @user-dn3if6zi7k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짧게 살아서는 그나라 문화 전혀 모릅니다. 일본인 특유의 뒤에서 엿먹이는게 있어요. 한국인은 그에 비하면 진짜 착한거라고 느낄겁니다.

    • @2023MooHyeon
      @2023MooHyeon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5

      @@user-dn3if6zi7k 어디 피해의식 있으세요? 어디가나 착한 사람있고, 못된 사람있고 그게 당연한거지. ㅎㅎㅎ.

    • @user-dn3if6zi7k
      @user-dn3if6zi7k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23MooHyeon 일본사람들이라고 일반화 하는 글입니다
      초등학교 다시 다녀야 하는 지능이시네요

    • @stivejin9281
      @stivejin9281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dn3if6zi7k 통수의 민족이 한국인데 무슨 ㅋㅋ

    • @yumihanda2896
      @yumihanda2896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dn3if6zi7k 열등감이 쩌시네요.

  • @acadclinton
    @acadclinto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일본에 살아보면 옆집이 피아노치는거 쓰레기내놓는날짜까지 트집잡는게 일본임. 일본이 남에신경안쓴다는건 남으로 간주하기때문이고 자기네 내부라고 간주되는순간 엄청나게 다층적인 관습과 규율로 통제받음

  • @93hooni
    @93hooni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문화는 그 나라의 역사적인 배경과 전통위에서 생겨난 것이라 어느 것이 우월하다 할수 없습니다. 맞다 틀리다가 아니라 서로 다른 것입니다.

    • @user-dh6gf2bp7x
      @user-dh6gf2bp7x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

      누가 우월하다고 한적 없는데? 왜 혼자 급발진을?? 일본 좋게 얘기안해줘서 불만인 토착왜구니?

  • @chl2779
    @chl2779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우리가 정말 조심해야 할 일은
    타인들의 자유의지를 침해하지 말아야 하는 일입니다.

  • @hunterjoe6062
    @hunterjoe6062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우리나라의 참견하는 문화는 간단함. 가뜩이나 유교 조선에서 조광조의 향약 4대덕목 보면 알수있음. 4가지보면 다 서로를 참견하는거임. 과실상규. 덕업상권.예속상교. 환난상휼.

    • @skitakaujou
      @skitakaujou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쵸 유교때문인거구나. 난 모여서 살다보니 전쟁도 겪고 하다보니 참견할수밖에 없고 과도하면 오지랖이고. 한국인의 정이란것도 이런 어지랖일수 있고 상대방은 원하지도 않는데

    • @user-zb1zw6ho1k
      @user-zb1zw6ho1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와 이분 배운분. 기억나네요. 네가지 덕목.

  • @user-vf6hj4dy9v
    @user-vf6hj4dy9v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4

    미국에서 15년 거주했습니다. 트럭에서 떨어진 과일 사례는 서양에서 반드시 일어나는 일은 아닌 듯 합니다. 미국에서 차가 고장나거나 길거리에서 어려움이 있을 때 한국사람들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돕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물론 20년전 돌아와서 현재 상황은 다를 수도 있겠습니다.

    • @user-ih5lp5qd6s
      @user-ih5lp5qd6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민족성? 조선의 민족성을 제일 단적으로 보여주는게 북한임. 핵으로 협박하는 미친국가. 한국은 교육, 행정, 사법시스템 미국, 일본따라가서 이정도지. 북한처럼 중국, 러시아따라갔으면 지구최악의 나라가 됐을거다.

    • @naldalion
      @naldalion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미국인도 잘 도와준다는것도 아니고 한국사람 보다 잘 도와준다는걸 어떻게 증명하지?

    • @user-gh3ye2kf9h
      @user-gh3ye2kf9h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그긴나라가크고 사람이잘없으니 서로돕겠죠

    • @skitakaujou
      @skitakaujou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naldalion 미국인은 원래 잘 도와줘. 한국인은 남일이니까 신경안쓰고 20년전만해도 중국인 수준이었지. 길가는 미국인한테 도움청해봐 잘해줄걸 길가는 한국인한테 해봐 좀 다를걸.

    • @sieun_oh
      @sieun_oh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미국에서 유모차 끌고다니면 민망할 정도로 주변 사람들이 많이 도와줍니다. 한국과는 매우 달랐고, 일본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이런저런 행동들의 이유를 한 가지로 정리할 수 없겠지만 영상 재미있게 봤고 공감되는 부분도 많았습니다.

  • @uonly5740
    @uonly5740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2

    '참견'이 아니라 '오지랖'이 맞는 듯하네요.
    우리나라는 오지랖을 부리죠.
    일본인들도 도움이 필요한 때나 정의롭지않은 경우엔 참견해줍니다.
    제가 일본살면서 일본인할아버지가 한국인이라고 부당하게 대할때, 그걸보던 생판 모르는 젊은 일본인들이 대신 싸워주기도 하더군요.
    그런 도움이 필요한 상황에서 도움을 주려노력하는건 유럽영어권서도 마찬가지였고요.
    일본에 살면서 일본이라는 사회가 괜히 선진국이 아니라 느꼈습니다.
    그리고 일본인들만 내공간.이란것을 나눈다하셨는데, 서양인들도 자기만의 공간이 있고, 상대방의 공간도 있기에 서로 그 공간을 침범하면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한국인들이 상대개개인의 공간을 침범하는 경우가 있죠.
    젓가락 위치얘기도 참 해석하기 나름이란 생각이 드네요.
    좀 공감가지않는 부분들이 있어서...댓글달게 되네요.

    • @user-gz1jp5uw6k
      @user-gz1jp5uw6k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뭐가 맞다 틀리다 한정지으시는거 같네요. 때로는 오지랖일 수도 있고, 간섭 참견일 수 있고, 관심일 수 있고 사랑일 수도 있습니다. 좀 더 넓게 이해하시면 좋을 듯 하네요. (좋아요는 눌렀슴다ㅎ)

    • @uonly5740
      @uonly5740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user-gz1jp5uw6k 영상에서 교수님 말씀이 너무 '한계'를 두고 '단편적'으로 말씀하시는 듯해서 그렇게만은 아니다 의견 쓴거에요~ 즐하루보내세요~

    • @hyunmijin
      @hyunmijin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젓가락을 저렇게놓는건 상대를 공격할 의사가 없다는 뜻이라더라구요

    • @user-np3zx8hb3r
      @user-np3zx8hb3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참견이라는게 양면적이죠
      지금보다 예전이 훨씬더 참견하는 사회였지만 또 그만큼 상대방이 나에게 끼치는 폐도 이해하고 넘어가는 사회였죠 그시기를 그리워하는 사람도 있는거보면 확실히 참견과 공존하는 정이 있는시기기도 했어요 결국 말하자면 일장일단이 있는거라고 생각해요 개개인이 서로 선을 넘으니 넘어서 불편하게 하기도 하고 선을 넘어서 많이씩 도와주고 베풀기도 하고 그런거죠 내가 원하는 만큼만? 그런거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는게..ㅋㅋㅋ

    • @user-gz1jp5uw6k
      @user-gz1jp5uw6k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only5740 그러신 거군요
      이해했네요ㅎㅎ답글 감솨~^^

  • @dobedobedo94
    @dobedobedo94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그러고보니 일본사람들은 빈집이라도 집에 들어서면 ‘타다이마’라고 인사했었네요~ 전 빈집에 그렇게 인사하는게 마치 집에 있는 귀신에게 인사하는 것만 같아 일부러라도 안하거든요(귀신 많이 무서워하는 편 ㅠㅠ) 저에게 뼈에 박힌 한국인의 습성이 있었다는 걸 오늘 알게됐네요 ㅎㅎ 재밌었습니다

  • @user-zs4zp1wx4m
    @user-zs4zp1wx4m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한국인이 정이 많치만 ..오지랍또한 넘쳐 흐름니다..서로 오지랍 관리 못하면 진짜 불필요한 감정손해 봅니다..피차가 ..

  • @bernard5914
    @bernard5914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81

    트럭에서 과일이 쏟아지면 일본인은 지켜보고, 한국인은 도와주고, 중국인은 훔쳐가지.

    • @ssg6796
      @ssg6796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7

      한 나라의 전문가로 자신을 소개하려면 최소한 그 나라에 살아봐야 한다. 책상머리에서 자료로 연구한 것은 한계가 보인다. 요즘이 어떤 세상인데..

    • @user-xl1kf7ts1g
      @user-xl1kf7ts1g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0

      삼풍 기억 안나노 ㅋㅋㅋ 한국인은 눈치보지

    • @user-ou7nx7pb4v
      @user-ou7nx7pb4v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삼풍ㅋㅋㅋㅋㅋ 우월감 바로 뚜까패버리네

    • @user-df9lr7id9d
      @user-df9lr7id9d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ㅡㅡ지좋을대로해석하는구만

    • @user-yh3jd5uc3j
      @user-yh3jd5uc3j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1

      사람마다 다릅니다.

  • @user-jn3kl8yl5f
    @user-jn3kl8yl5f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쌈싸거나 비비거나 말아먹는 우리 문화는 농경, 일제후 6,25 전쟁후 식문화가 어렵고 단촐해 지면서의 아픔의 역사라 생각합니다.
    조선시대나 반가의 문화는 아니라 생각되네요...

    • @_chobi3248
      @_chobi3248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맞음, 그쪽이 훨씬 설득력 있죠.

    • @myoungsiknoh1761
      @myoungsiknoh1761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예전에 어른들이 밥을 국에 말거나 이것 저것 넣고 비비거나 하면 그러지 말라고 주의를 주었죠 그리고 국밥이나 쌈은 반찬이 부족한 서민들에게 저렴한 재료를 사용하여 값싸게 한 끼를 때우기 위한 방책이었죠.

    • @skitakaujou
      @skitakaujou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비비는거나 덮밥이나 쌈이나 또르띠아나 중요한건 식사예절. 일본인의 라면 후르륵 소리 한국인의 후르륵 짭짭소리 팔을 괴고 탕먹기 이런건 글로벌 예절에 어긋나죠

    • @user-dw3ff6hg1w
      @user-dw3ff6hg1w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왕가에서 먹었답니다
      사실 비빔밥에 들어가는 고명만 보더라도 서민이 먹기엔 무리가 있지않나요

    • @jinhalee
      @jinhale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쌈싸먹는거 손 많이가고 귀찮은 일입니다. 단촐한 식문화로 보기 어려워요.

  • @user-rr6st6fe2b
    @user-rr6st6fe2b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참견의 민족....😂😂😂
    맞네 맞어...보통 억울한 일 당하면 관공서나 견찰 도움보다 더 효과 좋은게 뉴스 제보해서 국민들이 십시일반 참견해서 조회수 높아지고 취재가!!!!!이뤄지면 해결이 된다
    😂😂😂😂🎉🎉🎉🎉

  • @user-tm7fj9my8h
    @user-tm7fj9my8h 12 วันที่ผ่านมา

    감사합니다.

  • @andykim1646
    @andykim1646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도와주는거는 참견이 아니지

  • @user-zk5zx9sz7x
    @user-zk5zx9sz7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우리 딸이 일본 유치원에서 급식먹을 때 된장국(미소시루)에 밥 넣어서 말아 먹었더니 식사예절에 어긋나다고 하지말라고 지적받음

  • @ryuusungrune4285
    @ryuusungrune4285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우리나라는 솔직히 50대 이상까지 있던 '정'을 기반한 서로 돕고 돕는 오지랖 문화가 있었지... 요즘 젊은 세대는 여기에 이기주의까지 더해져서 도와줄 생각도 없으면서 참견에 평가질까지 하니 답이 없죠. 일본도 외곽 지방지역일수록 마을 공동체 네트워크로 서로 오지랖 철저하다곤하던데 이 문화라는게 의외로 세대별로 차이가 있는게 아닐지.

  • @user-hz3hy9cl3h
    @user-hz3hy9cl3h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근데 오래산건아니지만 세상 혼자사는거 아니더라
    언젠간 도와주고 도움받고사는거임

  • @user-to8vz3yk6k
    @user-to8vz3yk6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어마~ 실제로는 젓가락이 가로로 놓여있어야 손가락으로 바로 집을수 있지요. 함 해보세요

  • @juwon388
    @juwon38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남녀노소 한국인의 참견질과 긴섭질은 기가맥히지 그거 안하고는 못배겨

  • @shootingStar236
    @shootingStar236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2:53 밥그릇 놓고 먹으면 개처럼 먹는다 라고 일본 사람들은 그렇게 보는 경향이 있죠
    3:07 제가 생각하기에는 한국은 일본과 달리 한식에는 항상 국이 있어야 하죠 근데 일본은 국이 없이 한가지 메뉴로 먹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일본은 숟가락이 잘 안쓰게 되는 거죠 한국은 밥 뿐만 아니라 국을 떠먹어야 하기에 숟가락이 항상 필요한거죠
    그리고 국에 밥을 말아먹는 문화도 있기에 밥그릇을 들고 먹기에는 오히려 불편하죠

    • @Kenny-fh3om
      @Kenny-fh3om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국에서는 그릇들고 먹으면 거지라고 혼나잖아..

  • @SeoyongLee
    @SeoyongLe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식탁에서 가위를 쓰는 유일한 인족. 경계를 허뭅니다.

  • @user-jq9in3it2g
    @user-jq9in3it2g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6

    남이 잘했건 못했건 참견이 많은 민족인것에 동의합니다. 제발 남들인생 참견하지말고 본인 인생에 집중하는 민족이 됩시다.

    • @mochalatte04
      @mochalatte04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그게 잘될까요? 계속 참견민족으로 남을겁니다.ㅋ

    • @aro232-ob7re
      @aro232-ob7re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님부터나참견하지마시죠 내가뭔차타든뭘하든먼상관

    • @user-gt3fb3ej8x
      @user-gt3fb3ej8x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참견이 아니고....도울일은 도와주는 게 인지상정...

    • @user-gt3fb3ej8x
      @user-gt3fb3ej8x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참견이 아니고....도울일은 도와주는 게 인지상정...

    • @user-ih5lp5qd6s
      @user-ih5lp5qd6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전세계에 같은 민족을 노예로 부린 몇 없는 나라가 조선이고 북한임. 참견을 넘어 같은 민족의 자유를 빼앗는 민족이 한민족임.

  • @skhan-ge2io
    @skhan-ge2i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일본인들도 사람 나름이죠
    제가 올 2월, 비가 조금 오는 날 ,후쿠오카에서 걸어 가다, 우산에 손가락을 다쳐 손가락에 조금 피가 나서..들고있던 ,우산을 떨어트려는데, 옆에 있던 젊은이가 우산을 집어 주면서,괜찮아요, 하기에 괜찮다고 했죠
    그리고 다른 쪽에 있던 아가씨가 가방에서 밴드를 꺼내 저에게 주면서 이것 쓰세요 하더라구요, 그때 그들의 호의에 가슴이 따뜻해지는 느낌을 받았죠,
    솔직히 한국놈들이 말로는 어려운 상황에 놓인 사람을 돕는 것 처럼 말하지만 실제 그런 상황이 생기면 모른척 하고 지나가는 놈들이 대부분임,

    • @user-jc3gw4hj7d
      @user-jc3gw4hj7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어느 나라든지 사람 나름대로 다 다르지요~!
      착한 사람 ,못된 사람 골고루 섞여있습니다 ~!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 기본 품성은 비슷한데~,,, 굳이 세세히 다른 점을 분별해서 말거리를 만드는 것입니다 ~!😝

    • @sooyounglee3275
      @sooyounglee3275 8 วันที่ผ่านมา +4

      역사공부좀해라..역사 즉 일본놈들이 한짓을 역사에서배우면 치가떨려서 일본칭찬안한다.

    • @idontknowwhatlifeis
      @idontknowwhatlifeis 4 วันที่ผ่านมา

      네 류석춘 교수님.

    • @zdfregtfyuhvgf
      @zdfregtfyuhvgf 4 วันที่ผ่านมา

      @@sooyounglee3275한국에서 역사 안 배운 사람 있을까요? 지금은 서로 죽인는 시대는 아니잖아요? 그런 태세라면 미래가 없어요... 주의는 하되 현실을 살아야죠

  • @user-tn1ts2tz5b
    @user-tn1ts2tz5b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5

    후쿠오카 다녀왔습니다. 엊그제 호텔 두군데 머물렀는데, 카운터 젊은애가 짐좀 맡겨달라고 하니 원래 안되는데 자기 라커가 있다고 빌려주겠다고 하더라구요. 카페 일본여자 영어로 질문하니 한국인이냐며 한국말하면서 자기 한국 좋아한다고 돈이 없어서 대학 못가고 해서 이참에 한국에 내년봄에 워킹 홀리데이 같은거로 한국에 다녀온다고 하더라구요...
    돈키호테 위치 물으니, 30분동안 그림 그리면서 당황될 정도로 친절히 설명해줌...
    후쿠오카에 놀이기구 비슷한거 타는데... 페이페이돔 옆에있는거... 일하는 남자직원이 한국인이냐며 먼저 물어보고
    자기 테러라이브 영화 좋아한다고 하정우 좋아한다고 한국영화 팬이라고 하고, 옆 일본여자는 kpop좋아한다고 말을 먼저 걸어주더라구요.
    물론 다른 곳 직원들 좀 차갑게 느껴지는 부분의 직원도 있었지만 대부분 말도 걸고 한국말도 엄청 혼자 배운사람도 많고 많이 놀랐음.
    우리나라 식의 무조건 강요까지 내비치는 정이라는 것이 마냥 좋은것은 아니라 봅니다. 제 지인들 정으로 연대보증 및 사기를 얼마나 당했는지....
    기본적으로 남한테 피해 안끼치는 거가 매우 좋은 매너이고 문화입니다.
    나쁘게만 볼게 아니라 생각되네요. 일본도 젊은층은 이전하고 많이 달라지고 있어요. 다양한 시각으로 볼 필요가 있습니다.

    • @fall4u574
      @fall4u574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오지라퍼가 많아서 사기치기 좋은건가 싶기도 하네요 ㅎ

    • @user-fr8tq8in3c
      @user-fr8tq8in3c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저는 관광지를 다녀서 그런가 별로 친절한지 모르겠더라구요. 커피숍에서 잠시 앉아서 일행 기다리다가 쫓겨나고 식당에서 무슨 메뉴 없냐고 물어보니 그거 파는 가게로 꺼지라고 그러고 ㅡㅡ 너무 불쾌했네요.

    • @b.8551
      @b.8551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가 다녀왔던 일본하고는 많이 달라졌나보네요. 좋은 현상이네요^^

    • @user-jp1pt6bx9u
      @user-jp1pt6bx9u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빠가야로 고노시야르 칙쑈!

    • @user-fd4qb9sk6c
      @user-fd4qb9sk6c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글을 보니 일본과 한국이 이제는 뒤바뀌어 가나봅니다.

  • @user-zc1cy2yf6r
    @user-zc1cy2yf6r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30년 전에나 들었으면 오 그렇구나 할만한 이야기네요. 오늘의 한국인은 극단의 개인주의로 달려가는데, 미래의 이야기를 해주길 바랍니다.

    • @user-rz7il5kb9i
      @user-rz7il5kb9i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확실히 맞는 말씀인듯. 한국인은 ’가족‘ 을 굉장하게 중요하게 생각하죠.

  • @user-bg3fj9kw4o
    @user-bg3fj9kw4o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한국인이지만 금속 젓가락(나무 젓가락에 비해 미끄러운)으로 콩자반을 하나씩 집어먹는 묘기를 하면서 밥을 먹죠

  • @gunheejo6681
    @gunheejo668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한국에 사는 한국인은 못 느끼겠지만 한국도 갈라파고스화 엄청 심함
    휴대전화나 공인인증서 없는 사람이 한국 전산체계를 이용하려면 그냥 할 수 있는게 없음

  • @user-tn1ts2tz5b
    @user-tn1ts2tz5b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한국도 이전하고 다릅니다. 갈수록 바뀌고 있습니다. 가족이나 정으로 우린 하나다... 라고 어설프게 접근해서 나중에 뒤통수 때리는거 보다,
    좀 정이 없어보여도 남한테 피해 안끼치는 것만으로도 그 자체가 진짜 정이고 남을 존중하고 사회적 시스템이 좋은 겁니다.
    어설픈 공통문화 가족문화를 드리대면서 우월적 지위를 남용하거나 가스라이팅하거나 사기치는 것도 엄청나게 많습니다. 입체적으로 평가를 해야합니다.
    정치적성향에 따라 위인이나 정치인 및 다른나라를 단편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단순논리입니다. 다양한 시각으로 분석해야 합니다.
    그리고 10년전 일본 20년전 일본 지금 일본도 다 다른거구요. 그 삼프로 패널 나오시는 김현철 소장님인가 그분은 맨날 일본이 위험이라고해요.
    1980년도 일본이나 2000년도 일본이나
    2010년도 일본이나 지금 일본이나 미래 2300년 일본이나 생각없이 다 일본은 적이다라는 멘트....
    일본에서 공부하시는 분이 어떻게 그렇게 단편적으로 분석을 하는 것인지...
    시기에 따라 어느나라와 협력하고 경계하고를 다 다르게 가져가야 하는거지... 무슨 쌍팔년도 사고만 가지고 국가외교를 논하는 건지...
    세계적 추세에 따라 국가간 이익을 도모하는것도 시시각각으로 다변화되는 세상입니다.
    입체적인 분석과 어제의 적이지만 새로운 강력한 위협이 나타나면 그 정황에 맞게 협력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프랑스와 영국도 서로 죽자고 전쟁했지만 독일 나치가 나타나서 그때는 협력해서 나치 히틀러를 막아내잖아요.
    제발 좀 일본도 좀 미래 지향적으로 분석을 좀 해주세요. 미워만 말고... 일본의 문제점도 끌어당겨서 우리한테 유리한 입장으로 세계외교를 끌어당기는 전략도 좀 펼치구요.
    맨날 유니클로 옷 안사고 일본여행 가지 말라는 1차원적인 소리 좀 그만하구요.
    1970-80년대에 삼성 LG가 반일운동만 맨날 하고, 도시바 아이와 소니 그때 물건 사다가 분석하고 일본인들과 협력안하고, 반일만 주장하고 교류도 전혀 안하고 자체노력만 했으면
    지금 삼성 LG가 전세계를 평정했겠습니까?
    유니클로 불매운동만 죽어라고 하겠습니까? 아님 스파오나 탑텐처럼 철저히 배워서 유니클로 마켓을 뺏어올 생각을 하실 건가요?

    • @kokekuka24
      @kokekuka2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남한테 피해 안주려고 적당히 거리두는걸 굳이 '정이 없다' 라고 표현하는 것도 쌍팔년도스러운 감성이죠

    • @albertB215
      @albertB215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소귀에 경읽기죠 어차피 외부의 적을 찾지않으면 본인의 존재의의 자체가 없어지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 어쩔수가 없어요 ㅋㅋ

  • @tory8561
    @tory856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우리나라가 유튜브 월 평균 시간이 약 40시간이라고 합니다. 세계 평균은 약 23시간, 미국 평균은 약 24시간인데 이 지표를 긍정적으로 보면 창의적인 콘텐츠들을 탐색할 수 있고 새로운 지식 정보 습득이 빠르지만 부정적으로 보면 한 가지에 몰입하고 집중하기 보다는 여러 일에 참견하고 오지랖을 부리는 것 같습니다.

  • @ohby14
    @ohby1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일본은 시디플레이어. 낸드플레시. 등등 세계최초로 만든게 수두룩하지. 뭐가 도전을 주저한다는건지.

  • @sallyh3431
    @sallyh343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일본의 MBTI분석 하심..어떤 사람을 이해하는데 MBTI가 도움되는 것처럼.. 일본이든 어디든 그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경제 교류 정치 협상등에 엄청 도움될 것 같아요

  • @seanyi3200
    @seanyi320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다름에 대한 참신한 정보!! 인상깊고 재미있게 시청했습니다~
    유익했어요^^

  • @user-fx4cw1sf8w
    @user-fx4cw1sf8w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감사합니다

  • @user-ml3yp2rp5h
    @user-ml3yp2rp5h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진욱 캡틴
    매력 있어용~☆

  • @usikgeudrijvx
    @usikgeudrijvx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한국은 밥그릇이 열전도가 높은 스텐이고 갖지은 뜨끈뜨끈한 밥을 좋아하고 탕 위주이니 뜨거워서 들고 먹을수가 없지않나요 ? 대만도 일본영향을 받아서 대만 가정집에서 밥먹을기회가 있었는데 밥그릇 들고 먹으라고 하더군요 일본인들 유럽가서 왜 접시들고 밥안먹나 모르겠네 그게 예의라면서 ? 각 나라의 음식에 따라서 먹는법이 다른것이고 편한대로 먹으면 되는것이지

  • @user-ab5ai9cd4e
    @user-ab5ai9cd4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말이참견이지 도넘는 시에미질과 간섭질 거기다 더해 커뮤니티 맨상단에 걸어놓고 잘잘못을 공개적으로 심판까지 하는 민족성.....진짜 이민을 심각하게 고려해봐야됨

  • @Woney_GoodLife
    @Woney_GoodLif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김정태 배우님 심리학 내용 잘 들었습니다.

  • @eq2509
    @eq2509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질문 한가지 드릴께요
    서울의 한 식당에 갔는데
    손님 음식을 불에 탄 플라스틱 그릇에 담아 오던데. 이거 정말
    문제 아닌가요? 일본은 5백엔 짜리
    음식을 먹어도 예쁜 그릇에 나오는데.

    • @_chobi3248
      @_chobi3248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문제 맞아요.
      손님들이 아무말 없이 그냥 먹어주면
      계속 그래요.

    • @eq2509
      @eq2509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_chobi3248 이제는 장사치덜 앓는소리 듣지말고 소비자가 일어납시다

    • @user-dn3if6zi7k
      @user-dn3if6zi7k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일본이였으면 다 쳐먹고.. 마지막에 나갈때 위생이 더러워서 돈 못준다고 할겁니다 ㅋㅋㅋ
      식당 클레임은 일본애들이 지능적으로 철저합니다.

  • @maronie
    @maroni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일본인들은 공연에서 아티스트의 목소리로 부른 노래를 듣고싶어합니다
    일본에서 한국아티스트 공연에 갔는데 옆에서 악을 지르는 분들때문에 누구 공연을 온건지 모르겠더라고요 귀만 아프고..
    저도 공연가보기전까지는 일본인들이 그저 공연을 즐길 줄 모른다고 생각했는데, 아티스트의 녹음이 이닌 생목소리를 듣는것에 가치를 두는 이유를 알았습니다

    • @Oizman
      @Oizma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젓가락 가로로 놓는건 위협을 조금이라도 방지하기 위한거라고 저는 생각했습니다..이 외도 굉장히 많은 습관이 공포와 위협에 관련된것들이 많아요..세로 문살로 벽을 만드는것 부터 백화장 소리나는 복도 등등 굉장히 많은 습관습이 기저에 깔려있는게 공포에서 왔다고 봅니다.

  • @user-kt5io6cy1d
    @user-kt5io6cy1d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젓가락 방향이 가로로 변화한건 상대에게 "널 죽이지않겠다"라는 의미라고 알고있네요.
    고대부터 일본국 자체가 죽이고 주임당하는 쇼군,영주들이 많았기에 서로에게 안심해하라는
    이유로 이렇게 변화한것 같음.
    젓가락이나 살상용 칼을 상대쪽으로 식탁에 놓고 식사중 죽이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 @user-wr2lc1db7v
      @user-wr2lc1db7v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런것도 있군요. 혹시 그럼 한젓가락하고 다시 가로로 놓나요? 아니면 식기를 들고 입에 퍼담는 용도라 한번 잡으면 내려놓질 않나요?

    • @user-uh4xf5sr1w
      @user-uh4xf5sr1w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wr2lc1db7v
      밥릇들고 먹다가 내려놓고 물을 마시거나 간단한 반찬을 집어먹고 나선
      젓가락을 다시 가로로 놓습니다

    • @wind747
      @wind74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저도 이렇게 알고있습니다. 전국시대부터 이해관계와 전쟁이 많으니 젓가락방향이 세로로 놓여 상대방을 찌르는듯한 방향은
      상대에게 긴장감과 불안함을 줄 수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하여 현대에 이르기까지 습관화된것이 맞는것 같습니다.

    • @user-uh4xf5sr1w
      @user-uh4xf5sr1w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일본거주중이라 일본문화에 대해 일본인에게 물어본적있는데
      댓글쓰신분의 말씀이 맞다고합니다
      역사적 이유도 맞고 ,현재까지도 젓가락을 가로로 놓는것은 식사할때 상대를 공격하는 느낌을 주지않기위해서랍니다

    • @wind747
      @wind74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참고로 쇼군은 에도시대부터 시작된것이라 고대국가에서 부터 시작되진 않았습니다. 에도시대 이전의 천황아래에 있던 계급은 관백이라하여 군 통수권자이며 대표적인 예로는 전국시대말기에 우리에게도 친숙한 이름인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있습니다. 그를 오사카전투에서 무너뜨리고 에도(옛 도쿄지명)에 성을 지어 도시를 번창시킨 인물은 초대 쇼군인 도쿠가와 이에야스이지요. 그래서 지금 일본 수도는 동경이 된것입니다.

  • @user-ee3sh9vh2e
    @user-ee3sh9vh2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일본이든 한국이든 다들 자기들의 생활방식을 터득하여 살아 나가고 있는거고 그게 자리잡아서 문화가되었고 사회현상이 된거겠지요
    그냥 다른거로 인정하고 서로 다른가보다 하고 받아들이면 되겠지요
    다른건 틀린게 아니 라는 의식을 가지고 왜다른지 알고 이해하면 되겠지요

  • @michael122r
    @michael122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일본에 대한 관심을 줄일 필요가 있다. 뭘 비교해서 조금이라도 우위에 있고 싶은 마음이 낮은 자존감에 대한 방증이기에 좀 K,K 거리면서 자위하지 말자. 남들이 알아주는건 그리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 @kunheechoi6331
    @kunheechoi6331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제목보고 놀람!! 내가 왜 이리 참견인가 했는데!!!

  • @user-jj7nj6ie3t
    @user-jj7nj6ie3t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유트브가있으니 그나마 알게됐지 아니면 지금도 편견속에살았을겁니다

  • @parkpark392
    @parkpark392 16 วันที่ผ่านมา

    정말 이 영상을 보면 다른나라에서 다른나라의 문화를 분석하는게 얼마나 의미없는 일인지 다시 한번 깨닫게 됩니다 그 나라 문화는 그 나라 관점에서 보는게 맞습니다

  • @jeongahkim3327
    @jeongahkim332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미국에 오래 살았습니다.
    중국이나 일본에서 그릇을 들고 먹는 문화는 미개하다고 조롱하는데,
    그걸 좋지 표현하니 이상하네요.
    서양도 식사예절이 대단히 중요한데 그릇을 들고 먹는건...

  • @ksmb2333
    @ksmb233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맞아요.. 한국과 일본이 혈통상으론 뿌리가 같은데도 기질이 달라진 건 땅이 흔들리냐 아니냐의 여부 같습니다.

  • @user-to7pb9ey8d
    @user-to7pb9ey8d 8 วันที่ผ่านมา +1

    변화를 못하는것은 변화에 문제있는것을 알기 때문이고 다른나라들에게는 방치하는 것이다.
    선을 넘는다=참견의 민족이기보다 정의롭고 사랑이 있어서 인것 같다. 잔소리는 시간지나면 감사한것들이 많다. 잔소리 듣는 훈련이 필요하다.
    역사를 배우지 않는다=현재 우리나라도 드러내어 역사를 왜곡시키는것이 역사를 없애려 하는 것인가, 잘못된것은 배우지 말자.

  • @nobuta201
    @nobuta20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일본문화 핵심은 군사문화임. 그래서 획일적인거고 정확하게 구분하는거고 융통성 용납 안하는거고 개인들도 전체 규칙서 튀면 죽임을 당하니 조심조심 상대방에게 아주 과도할만큼 친절한거고. 속마음 숨기는것도 그래서고.

    • @itmasspeaker684
      @itmasspeaker68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내가 살기 위해서...무리의 규율.규칙을 지켜야지.......튀면. 아웃.

    • @niendeiv9898
      @niendeiv989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걍 징병제만 봐도 한국얘기를 먼 일본얘기로 둔갑해서 얘기하시네

  • @user-uf5dj1lm6f
    @user-uf5dj1lm6f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참견은 쓰잘데 없는 짓이다.... 다른 말로하면 간섭이다...남의 일에 간섭 하려드는 심리가 바로 그순간은 자신을 잃어버린 행위다.. 남의 일에 간섭하는 자신은 어떤 인간인가를 잊어 버린 것이다.. 자신의 일부터 충실해야 된다... 자신의 일에 충실한 다음 남을 돕는 일을 해야 된다.. 그런데 자신의 일은 접어두고 자신의 잘못된 생각과 행위는 깨닫지 못하고 남의 일에 간섭하려는게 틀린 짓이다. 소크라테스가 말하여 가르친 바 --너 자신을 알라 ---고 했으니 자신부터 돌아 볼 줄 알아야 된다... 선을 넘는 다는 짓은 탈선했다고 하면 된다.. 탈선하지말고 지켜야 될 선을 지키며 살아야 된다... 위험을 감지하고 일러주며 좋은 방법을 가르쳐 주는 것은 함께 살아가는 구성원으로서 해야 될 일 이지만 자신의 분수를 넘어 선 탈선적 간섭은 삼가야된다..
    또 젖가락을 사용하는 게 무슨 큰 기술인것처럼 생각 하는건 착각이다... 젖가락 아닌 포크와 나이프를 사용하던 서양인들이 기능과 기술이 발달 했던 과거를 보면 젖가락 사용과는 아무 관련 없는 것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 @cornwall706
    @cornwall706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저도 비비는 걸 안좋아하는데 여러가지 식재료가 섞여서 각각의 재료자체의 맛이 사라지는 것도 싫고 비벼서 지저분해지는 것도 싫어서요~ 그들도 그렇지 않을까요?

  • @byungchanlee2131
    @byungchanlee2131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그런데, 지금 다시 보니 일본식으로 젓가락을 놓는 게 오히려 집어 들기가 더 편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젓가락이 앞에 가로로 놓여 있으면, 손목을 비틀지 않고도 젓가락을 들어올릴 수 있으니까요.

    • @wind747
      @wind74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도 이생각했어요 손목꺾임없이 바로 들기에는 가로로 놓여있는것이 편하더라구요.

  • @user-re2vo4pv9x
    @user-re2vo4pv9x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그래서 한국 사람인데도 일본이 살기 편하다는 사람도 있음 한국사람들 무례하고 예의없는 경우 많음

  • @yujeonglee1365
    @yujeonglee1365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두레, 품앗이
    지금은 거의 없어졌지만 예전 시골에서는 결혼식이나 상을 당하면 동네 사람들이 와서 다 도와 줌

  • @gracekwak6666
    @gracekwak6666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In my young cays, General Manager took me and my co-worker to dine out at Chinese restaurant. I was picking peas up with long bamboo chopsticks off my plate. J was amazed at it, saying how possibly can I do it?

  • @yong637360
    @yong63736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우리나라는 밥그릇이 쇠로 되있어니 뜨겁고 무겁지,,그래서 안들고 먹지,,사람사는대는 똑 같다 자전거로 일본 일주 한 적 있는 일본 이줌마 아저씨 진짜 참견 많이 하더라 ,,어디서 왔느냐 한국에서 왓다 하면 우르르 모여 이것 저것 물아보고 때론 용돈도 주고 음식도 주고,,정이 한국보다 훨신 많아

  • @user-jq5hg5jc9b
    @user-jq5hg5jc9b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선 넘으면 사무라이 한테 칼 맞지 않음?

  • @user-de1by5fh4d
    @user-de1by5fh4d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꿈보다 해몽이네요~

  • @truth1087
    @truth1087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채널로 번 돈으로 이렇게 고쿼리티로 보답하는 삼프로TV.
    이런 프로그램은 고퀄리티지만 큰 수입은 안될 것 같은데......
    우연히 지난번에 미국에 거주하는 셰프님과 대담하는 걸 봤는데 아주 깊이 있는 고퀄리티였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user-zf9ne4zs4q
    @user-zf9ne4zs4q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나는 이런게 편견을 더 부추키는것 같아요

  • @cjpark3001
    @cjpark3001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한국인은 뭘 먹어도 한입에 보쌈 먹는식으로 후루룩쩝쩝 10~15분이면 직장인 점심식사 끝.
    상대방,외국인은 어떻게 먹고 마시는지 관찰도 좀하고 보조를 맞출 여유가 필요함.

  • @suz-io8qp
    @suz-io8qp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일본도 참견 많이 하던데 한국보단 안하지만 젊은 사람보다 아주머니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참견하셨음 길가는데 할아버지가 저기 공짜로 음료수 나눠주고 있다고 빨리 기서 받으라고.. 우리나란줄

  • @user-wd2gc1bq3u
    @user-wd2gc1bq3u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한국인이 형 동생 언니 선배 후배와 같은 서열 문화를 버리면 창조적 역량은 수십 배 커질 것이다.

  • @user-pl5wr1yu9q
    @user-pl5wr1yu9q 13 วันที่ผ่านมา

    안녕하세요. 본편에 출연한 문화심리학자 한민입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많은 문화심리학 이야기를 ‘5분심리학’에서 만나실 수 있습니다^^.

  • @user-zf7wg6qm2q
    @user-zf7wg6qm2q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국인은 정확하게 말하면 타인에게 관심이 많은거뿐이다 최근엔 무관심도 유행이다 안타까운 일이다 관심을 참견으로 매도하다니

  • @rii220
    @rii220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아니 일본 엄청 친절하던뎈ㅋㄱ요즘은 오히려 한국사람들이 더 개인적이고 선 안넘으려고 하는듯

  • @pierxen1177
    @pierxen1177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국가는 영토가 크고 인구는 많고 봐야함 좁아터진데다 인구는 많으니 좋은 점도 있겠지만 참견 비교질 특화됨 사람 만나 나이부터 물어서 서열 정리하고 한 인간을 분석하는 민족은 한국인 밖에 없을껄?글고 선진국 소리 오래 들은 국가들은 타인이나 국가의 문화적 우월감?이딴거 관심이 없음 이제 막 뭔가 가지고 성취한 인간들이 요란하지 가끔 베트남이 뭔가 경제 축구 방면에서 한국보다 잘나간다고 큰소리 칠때 마치 우리를 보는것 같았다

    • @user-Griezman
      @user-Griezman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국은 여전해요 70대이상 인구가
      천만명정도인데 주도세력이 70대들임
      그 자식들도 고대로 배워서 사촌들도 참견 심해요 그래서 사촌들도 니들 인생이나 신경 쓰라고 했죠 연락도 하기 싫음

  • @Jake-superman
    @Jake-superm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한국도 금방 일본처럼 됩니다. 일본도 고성장 시대에는 남 신경 많이 쓰는 민족이었습니다.

  • @hunterjoe6062
    @hunterjoe6062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우리나라 갑질문화도 사실 유교의 부작용임.

  • @user-pv6vh4gt8s
    @user-pv6vh4gt8s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젓가락은 우리나라도 교잣상일 경우 저렇게 놓습니다.
    우리는 원래 독상문화입니다.
    젓가락의 경우 독상일때는 상을 받는 사람과 수평으로 놓습니다.
    물론 끝부분은 잡기 편하게 놓긴합니다만.
    독상일 경우와 교잣상일경우로 나뉩니다

  • @BLESS_you_0
    @BLESS_you_0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일본은 메뉴얼사회인것같고..메뉴얼에서 크게 벗어나는 걸 안하는듯.개인주의 각자도생이라곤 하지만 보면 단결력이 필요한 상황에선 누구보다 단결력이 좋음 공동의 목표에대한 목표의식이 뚜렷한듯
    한국은 남들에 관심 많은것 사실.비교하면서 서로 피곤하지만 그힘으로 발전하는듯
    공동의 목표보단 개인의 목표가 더 중요하고
    공동의 목표를 만들어도 개개인의 불만 쓴소리 훈수 까지 난리라 목표 도달전 잘 깨지는듯

  • @yeongm1531
    @yeongm1531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일본은 헤이안 시대부터 한반도, 당나라와의 교류를 줄이고 일본만의 '국풍'문화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일본의 문화적 자부심이란 건 상상을 초월해요. 그런 자부심이 때로는 지나치게 뻣뻣해서 융통성이 떨어지기도 하죠. 수용은 빠른데 변화가 느리다고 할까요. 대신 한번 크게 변하면 대변혁을 일으킵니다. 지속적인 변동은 작은 대신 크게 도약해요.

    • @user-dn3if6zi7k
      @user-dn3if6zi7k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국은 먼가 쎄게 얻어맞아야.. 정신차리고 국민적으로 바꾸기 시작하죠.. 그런식으로 경제, 문화가 발전했으니..두 나라 바뀌는 스타일이
      좀 틀리긴 해요.

    • @user-dn3if6zi7k
      @user-dn3if6zi7k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그리고 국뽕 국뽕 하는데.. 실상 국뽕은 일본이 훨씬 심합니다. 우리나라는 장점을 부각시키고 단점을 얘기 안하는 국뽕인데..
      쟤네는 단점도 장점으로 승화해서 국뽕이 되버리는.. ㅋㅋㅋ

    • @theonelifejourney_mrjj
      @theonelifejourney_mrjj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ㅋㅋ 일본이 한국을 식민화한 나라이고 한국이라는 나라로 세워진게 1948년.
      일본국은 언제인지 아세요??

    • @c.d.friedrich9268
      @c.d.friedrich9268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이거 뉴라이트 주장.
      뭐가 1948 광복이 곧 정부수립인가?
      우리는 임시정부가 엄연히 있어. 1919년!

  • @kmkj5281
    @kmkj528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일본문화를 말씀하시는분들보면 관가하시는부분이있는데 바로 사무라이 문화임니다 이사무라이문화는 일본에서 엄청난 문화현상을고착화를시켯을것임니다 소위 선을지키는일은 옛날 사무라이들은 일반국민을 마음대로 베일수있는(죽일수있는)권한이있었다고들엇음니다 그러니 그들은 선 혹은참견을하지안는 문회로고착된것아닐까요 사실 사무라이 문화가 일본에 끼친 영향은 엄청날것인데 이를 설명하시는분들을 못보겠더라구요

  • @bandaid5613
    @bandaid5613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전제주의에 세뇌된 상태를 관계주의로 해석할려 하니 무리가 많이 생기는군요. 😢 한국인의 심리는 전체주의 국가 국민에서 나타나는 심리와 거의 비슷 합니다. 심리학자라면 과학과 믿음을 구분 했으면 합니다.

    • @user-lb7vy3uw7s
      @user-lb7vy3uw7s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체주의는 일본이 더 가깝지 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