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氣)의 과학적 근원을 밝히다 | 한국한의학연구원 [ENG] Reveal the scientific origin of 'Qi'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7 ก.พ.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0

  • @kiomvideo
    @kiomvideo  2 ปีที่แล้ว +3

    우리는 종종 피로가 심할 때 '기가 허하다'라는 말을 사용하고는 합니다. 그렇다면 '기' 무엇일까요?

  • @박기석-x6u
    @박기석-x6u ปีที่แล้ว +2

    기(氣)의 과학적 근원을 밝히다 | 한국한의학연구원 [ENG] Reveal the scientific origin of 'Qi 기가 허하다 잘 보고 갑니다

  • @LH인생의행복달리기
    @LH인생의행복달리기 ปีที่แล้ว +2

    제가 생각하는 기는 이렇습니다. 기란 것은 물질처럼 실체를 정의할 수 없는 하나의 흐름이라고 생각합니다. 바람은 공기의 흐름이고 바람이 정지되어 존재하지 않듯이 기도 실체는 없고 흐름같은 것이 아닐까요? 기는 에너지라고 표현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에너지의 종류는 천차만별이기도 하고 기도 하나로 정의할 수 없다고 봅니다. 기가 허한것은 흐름이 약해지면 나타나는 증상인것 같습니다.
    바람도 안불면 사라지고 존재가 희미해지듯이 기도 흐름이 약해지면 기가 약해지는게 아닐까 싶네요 즉 기의 흐름과 기의 강약은 둘이 아닌 하나로 볼 수도 있다고 해야겠네요. 운동을 하면 건강해지는 이유는 기의 흐름이 빨리지도록 하여 기를 강하게 해주기 때문이 아닐지요.
    그렇다면 기가 너무 실해도 문제가 되고 허해도 문제가 되는데 왜 그런지는 활성산소에 비유할 수도 있을것 같네요 활성산소는 너무 강해서 온몸을 돌아다니면서 안좋은것도 파괴하지만 좋은것도 파괴하니까 말이죠. 또한 오장육부 중 하나의 기가 너무 강하면 다른 장부를 극하게 되는 현상을 강대국이 약대국을 침범하는 전쟁에 비유를 둘 수 있겠네요 또한 운동선수들이 활성산소가 많은 이유도 기가 강해져서 일수도 있겠네요
    약초를 먹어서 인체에 효과가 있는것은 그 약초의 영양물질 이전에 성질에 의해 내가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때 효과가 있다고 봅니다.
    사람도 각자 다 성질이 다르듯이 약초도 그 약초만이 갖고 있는 성질이 있는데 사람도 나랑 맞는 사람이 있듯 약초도 나랑 맞는 약초를 먹으면 내 성질이 균형이 생겨 건강해진다고 봅니다.
    물이란 것은 물질적인 물 말고도 물의 성질이 있습니다 물은 물렁하고 딱딱하지 않는 성질이 있고 부드러운 성질이 있습니다. 한의학에서 말하는 기란 것이 어떤 물체적 실체가 아닌 이러한 성질을 말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한의학에서 말하는 정기가 사기를 물리쳐야 건강하다는 것에서 정기의 의미는 바를정 자를 쓰는데 바를 정자는 총 5획으로 오행의 균형을 말하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사기는 삿된 기운의 줄임말으로 한쪽으로 지나치게 편중된 탁한 기운이 아닐까 싶습니다. 활성산소가 생기는 이유도 산소가 짝을 찾지 못하여 짝을 찾으러 홀로 돌아다니는 것입니다. 바르다는 것은 짝이 있고 균형이 있는 것입니다. 짝이 없고 한쪽으로 치우치면 누군가에게는 해가 됩니다. 맑다는 것은 1 에서 -1을 하여 0 이 되면 아무것도 없어져 비우고 투명해지듯 깨끗해지는 것이고 탁하다는 것은 짝이 없어 1 - 1이 되지 못하고 비우지 못하여 탁하게 되는 것입니다. 욕심이 병을 만들듯 마음을 비우는 것이 마음을 바르게 먹는 것이며 그것이 건강하기 위한 지름길이 아닐까 싶습니다.
    제가 한의대생도 아니고 한의사도 아니지만 나름 오랫동안 한의학에 대한 사랑으로 연구해온 사람으로써 어디 한의학에 관한 토론이나 커뮤니티 같은 사이트가 있으면 알려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 @NSunshine_18899
    @NSunshine_18899 2 ปีที่แล้ว +1

    Great. Traditional medicine is very good. Hope to grow more and more.

  • @포프리-w7b
    @포프리-w7b ปีที่แล้ว

    연구원님 덕분에 많은 공부됩니다.^^

  • @김상궁-z7t
    @김상궁-z7t ปีที่แล้ว

    정말 너무나도 잘 보고 갑니다

  • @강강강-b2s
    @강강강-b2s ปีที่แล้ว

    영상 잘 봤습니다.

  • @hllee1795
    @hllee1795 2 ปีที่แล้ว +1

    동양의학의
    기에 대하여 확실한 규명이 되면
    좋겠습니다.

  • @안진사
    @안진사 ปีที่แล้ว

    정말 너무나도 잘 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