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동시다발적으로 지방대가 문 닫는 이유 | ‘제2의 수도’ 부산도 속수무책.. 현 상황에서 너무나도 당연한 지방의 몰락 | 지방 소멸 | 다큐멘터리 K |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6 มิ.ย. 2023
  • ※ 이 영상은 2023년 2월 22일에 방송된 <다큐멘터리 K - 교육격차 3부 : 인(in)서울이 뭐길래>의 일부입니다.
    입시-대학 진학-취업의 연결고리 속에서 거의 대부분의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수도권, 특히 서울로의 인구 이동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는 ‘대한민국 제2의 수도’라는 부산 역시 피해 가지 못했다. 수험생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서연고 서성한 중경외시...’로 이어지는 대학 서열은 1970년대에는 ‘서부연고...’로 시작했다. 한때 누구나 가고 싶은 대학 서열 2위였던 부산대의 지위는 오늘날 수험생들에게 ‘서부연고’가 그렇듯 낯선 모습이다. 교육, 특히 입시와 관련된 모든 인프라가 수도권에 몰려있는 상황 속에서 지방대와 지방의 몰락은 너무나도 당연한 결과이기도 하다.
    ✔ 프로그램명 : 다큐멘터리 K - 교육격차 3부 : 인(in)서울이 뭐길래
    ✔ 방송 일자 : 2023.02.22
    #골라듄다큐 #다큐멘터리K #교육격차 #교육 #다큐 #인서울 #대학 #부산 #해운대 #학업 #수능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3.1K

  • @ypj5275
    @ypj5275 ปีที่แล้ว +1503

    재밌는건... 지방대 교수들도 그렇고 지역 국회의원들도 대부분 서울 살고 있음.... 즉, 지식인이나 정치인 모두 지역을 살리자는 생각은 있지만 실천할 마음은 없음.

    • @user-eo5ko2xh7i
      @user-eo5ko2xh7i ปีที่แล้ว +71

      이거지

    • @leehyangje
      @leehyangje ปีที่แล้ว +1

      ● 2023년 5월 31일? 저기 감히 상상 : 이번 미사일 파편이 서울을 둘러싼 산에 자유낙하 되어서(다친사람은 없고) 서울에 긴장감이 강해져서 = 서울백성 500만명(500만명이 빠져도 = 그래도 인서울에 500만명이나 사는 거대도시임)이 비교적 안전한 경남과 전남으로 이사와주면 좋겠습니다. 전남과 경남의 지방소멸 군 1개를 밀어버리고 신도시 세워도 좋구에. 죄송.

    • @security_shield
      @security_shield ปีที่แล้ว +67

      부산 시장이라는 인간이 부산경제가 폭망하고 있는데, 엑스포 유치한다고 해외출장만 다니고 있음.ㅎ

    • @raviahn9369
      @raviahn9369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팩폭 지렸

    • @user-jw9uq8oq8k
      @user-jw9uq8oq8k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본인도 서울 살지 않음?😂😂😂

  • @user-nl9vf1kw6x
    @user-nl9vf1kw6x ปีที่แล้ว +2546

    부산대가 위기면 다른 국립대는 끝났다고 본다

    • @user-so9qv5vg5v
      @user-so9qv5vg5v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7

      ​@@tv-ox3jk그나마 경북대 부산대가 알아주지 않음?

    • @Gasaki3033
      @Gasaki303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3

      부산대 경북대 전남대는 그래도 건동홍급임

    • @chriskim7123
      @chriskim712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8

      건동홍급이라고 생각은 한다지만 막상 사람들은 관심없음... 설사 사람들이 그렇게 받아들여준다고 치자, 그래도 건동홍급에 밖에 못미치니까 더 관심도 떨어지는거임. 그나마 대전은 카이스트가 그래도 광역시+서울 접근성+설포카 라는 프리미엄급 네임밸류라도 있지... 부산대? 경북대? 그래서 어쩔건데,... 지금 포항공대도 설포카 중에 위치 흔들리는 상황이라던데.

    • @Espresso_crema
      @Espresso_crema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3

      30대까지만하더라도 지거국 괜찮다고봤는데 20대쪽 내려와보니 인서울과의 갭차이가 더 커진것 같네요... 저도 지방 살지만 앞으로 지방과 수도권격차 더 벌어질것은 자명한 사실이라고 봅니다. 어릴때만해도 인구 1/3이 서울 경기권 살았는데 지금은 1/2이죠

    • @jhjung498
      @jhjung498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국립대가 끝난게 아니라 한국이 끝난것이다
      무슨 명문 대학이 줄줄이 서울에만 있나? 어느나라가 이런 왜곡된 구조를 가지고 있지? 끝났다 내리막길만 남은게 한국의 미래다
      인서울 탈지방 하듯이 능력되면 탈한국 시작될것이다

  • @user-ve2gm6cr6f
    @user-ve2gm6cr6f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34

    제2 도시인 부산이 취업률 16등.......정말 충격입니다. 부산에서 정치하시는 분들이 꼭 봐야 할 내용이 아닐까 싶습니다.

    • @oo-mo7kq
      @oo-mo7kq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9

      어느 시대에 살고 계신겁니까
      제2의 도시는 인천입니다

    • @dwes8537
      @dwes853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6

      부산 너무 후져요.제 2도시라고 하지만 노인비율이 어마어마하던데요.20 30대들이 번화가말고는 없어요.

    • @user-gp1bx9vj1u
      @user-gp1bx9vj1u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부산 살다 서울왔는데 수준차이 너무 난다.취업해보면 안다. 일단 학벌이 진짜 부산에서 2~3개 제외하고는 다 ㅂㅅ이라 거기서 근무하는 사람들 수준도 비슷하다. 애초에 정시퇴근 개념없는곳이 허다하다.서울와봐라.정시퇴근 못하게 만든게 잘못이라한다.문화충격급이다.

    • @oo-mo7kq
      @oo-mo7kq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gp1bx9vj1u 니 혹시 고딩이가?

    • @Ssean_choi
      @Ssean_cho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저포함 친구들 공대생인데 부산에 1명도 없음ㅋㅋㅋ 다 서울 울산 창원 경기도로 흩어짐

  • @user-ud7qh8cz4w
    @user-ud7qh8cz4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5

    서울살이 30년이 됐지만
    부산이 고향입니다
    몇년 전 자녀들 입시 치루면서 부산대 입시컷을
    확인해보며 이제 부산이든 지방이든 끝이구나를 실감했어요 ...
    수도권 하위권 대학 컷보다도 낮은 과들이 수두룩했어요
    부산대 경북대 등등 예전과 너무 달라진 현상황들이 아쉽네요

    • @ulthera
      @ulthera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거기 원래 지잡이엇는데요 ㅋㅋ옛날이라고 다르지 않앗는데 감성팔이 ㄴ ㄴ

    • @user-sx2kt6jo4r
      @user-sx2kt6jo4r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부산대 괜찮았음 뭔소리. 지역에서 상위권애들이 갔음

    • @ulthera
      @ulthera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sx2kt6jo4r 부산지역 상위권 = 서울지역 하위권 ㅋㅋ ㅇㅋ ? 부산대 입결 제일높던 60년대에 잠깐 서성한 밑이었고 지금은 광명상가? 도 비비기 어려움ㅋㅋ

    • @user-ew1bf7qd2d
      @user-ew1bf7qd2d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저는 울산에서 대학을 나왔어요. 제가 대학을 갈 때는 최상위권 아이들은 스카이를 가고, 상위권 아이들은 부산대,경북대,울산대 높은 학과 순위로 원서를 썼던 기억이 나네요. 지금은 상황이 많이 바뀌어 참 안타까워요ㅠㅠ

    • @user-pm7lm8yv6s
      @user-pm7lm8yv6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ulthera 무식한소리 그만하시고요
      정확하게 90년초중반까지는 부산대 꽤 높았던건 기정사실입니다. 지금도 부산공대는 건동홍급입니다.
      인서울 인서울 하고 이렇게 님처럼 지방국립대 까는 댓글이난무하니 많이 내려가니 학생들이 인서울인서울하지.
      별다른이유없고요
      대기업에서는 부산공대생 선호많이합니다
      생활비 대학등록비 2배드는데 부산대랑 비교해서 억울하나요?

  • @andykim9536
    @andykim9536 ปีที่แล้ว +1744

    사람들은 부산에 정말 일자리만 있으면 안 떠난다고 하는데 정말 원하면 부산시나 시청이 나서서 어떤 일자리 및 인프라가 필요한지 철저히 조사하고 기업들과 협업해서 만들어나가야 한다.

    • @MinJae_Kim_3
      @MinJae_Kim_3 ปีที่แล้ว +188

      강제로 해야해요 진짜 지금 산업은행 옮긴다고 해도 들고 일어나서 시위하니.... 물론 그 사람들 입장도 이해는 되는데 너무 심각한 문제라....

    • @user-ri2vv3fc9s
      @user-ri2vv3fc9s ปีที่แล้ว

      @@flo7226ㅋㅋ ㅇㅇ 부산 좆소 특이 가족을 위한 좆소만존재 타광역시 좋소들 경기도 좋소들 보다 급여자체가 존나 짬 ㅋㅋㅋㅋ

    • @Ffjciemxcc
      @Ffjciemxcc ปีที่แล้ว +149

      일본가보면.. 각 지역마다 그 지역을 대표하는 대기업이 있죠. 도요타는 도요타시 닛산은 요쿄하마 소니는 도쿄 파나소닉은 오사카 스즈키 시즈오카 등등 일본도 수도권 집중화가 물론 심하지만 한국만큼 심하진 않습니다. 수도권 집중화 멱살잡고 끌고내려와야 합니다. 부산이 아니더라도 균형성장을 해야하는데.. 기업이 움직여야 인재가 따라오고 인재가 따라와야 지역이 살아나고 지역이 살아나야 함께 성장하죠.

    • @nummer3161
      @nummer3161 ปีที่แล้ว +64

      @@MinJae_Kim_3 산업은행이 가면 부산에 일자리가 생기나요? 임시방편이지 오히려 산업은행 경쟁력만 약화시키는 꼴

    • @MinJae_Kim_3
      @MinJae_Kim_3 ปีที่แล้ว +111

      @@nummer3161 부산에 일자리 생기죠.... 산업은행이 부산으로 옮겨가면 거기서 일하는 직원들이 어디서 살아요 부산에서 살지.... 지금 혁신도시에 들어간 공공기관이나 공기업에서 일하는 직원들이나 세종시에서 일하는 공무원들 어디서 거주하는데요? 그리고 그렇게 혁신도시로 간 기관들 경쟁력 약화 됐나요? 아니 애초에 공공기관을 가지고 경쟁력을 이야기 하는 것 자체가 웃겨요.... 오히려 공공기관의 경쟁력을 키우게 목적이면 서울에 본사를 두는게 중요한게 아니고 민영화 시키는게 경쟁력을 키우는거임....

  • @kim57885
    @kim57885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6

    부산일자리 요약 : 1. 관광서비스 산업 : 연봉이 낮다 200 초반. 2. 제조업 : 녹산공단 장림공단등이 있지만 대부분 2~3교대 열악한 생산직 일자리 이고 월급도 300만원을 넘기기 힘들다. 3. 항만물류업 : 그나 이쪽으로 일자리가 있긴하나 해양대학교 카르텔이 존재하고 항만쪽 일자리 또한 밤낮 공휴일이 존재하지 않는 일자리 이기에 열악한 일자리임.
    결론 : 부산은 2차산업 위주의 한세대 지난 일자리가 대다수이고 4차산업과 관련되고 워라밸이 어느정도 보장된 일자리는 수도권에 있기 때문에 실제로 많이 수도권으로 옮겨감

    • @user-hm4mn1cq4z
      @user-hm4mn1cq4z 8 วันที่ผ่านมา

      리노산업 지원해 보세요.

  • @user-yk6nv8ft5q
    @user-yk6nv8ft5q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6

    인구 감소로 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학교 정원 미달도 많아지고
    앞으로 수도권 쏠림 현상이 더 심화될 수 있다고 생각되네요

    • @seeitfar
      @seeitfa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인구 감소도 선진화 영향보다는 수도권 과밀화가 더 문제임
      칼훈 박사가 좁은 공간에 쥐를 몰아넣으니 포화 상태가 된 이후로는 공동체 전체가 출생도 없이 죽어갔음
      지방에 일자리, 자본, 학교만 퍼트려도 웬만한 국가적 문제는 해소 됨

    • @user-ip5iy9tp9f
      @user-ip5iy9tp9f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seeitfar 매우 공감합니다

  • @user-wr6hm7gh8f
    @user-wr6hm7gh8f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기업이 지방에도 많이 있다면 연고지로 옮기고 싶네요. 연고지로 가고싶은데 문과생이라 선택지가 너무 적습니다. 서울에서 사는게 너무 춥네요 시작과 동시에 빚을 이고지고 사는 느낌이 너무 숨이 막혀요. 매일 출퇴근길마다 어딜가든 사람에 치이고 서울살이가 쉽지 않네요. 연고지에는 양질의 일자리가 적고 선택지는 공무원 아니면 공기업 밖에는 답이 없어 서울로 올라와서 계약직을 돌며 버티고 있는데 정규직 가는것도 쉽지가 않네요. 최저임금에 월세내고나면 남는돈이 별루 없네요 ㅠㅠㅠ

    • @joy-yh4gm
      @joy-yh4g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저도 일자리때문에 서울에서 지내다 고향으로 내려왔어요.
      월급이 남는게 없었던..

  •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ปีที่แล้ว +36

    제 지도교수님이 말씀하셨었죠.
    동국제강같은 기업들 못 붙잡고 거다 아파트나 세우고 앉았으니 애들 취직할 곳이 없어졌다고

  • @bkl5744
    @bkl5744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7

    이미 늦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수도권 과밀 못풀면 출산율 회복도 어려울거고. 전체유권자의 절반이상이 수도권 거주라 현실적으로 수도권의 집중을 이전하는게 정치적으로도 힘들어졌죠. 극단적인 최악의 상황이 닥치고나서야 겨우 변화가 시작되겠지요. 그시대를 사는 사람들에겐 힘든 시기가 될듯.

    • @user-ss4ed3pd6k
      @user-ss4ed3pd6k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수도 완전이전부터...

  • @korkk
    @kork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8

    이미 수년전부터 나온 문제점이였는데 아직까지 별다른 해결방법이 안나온이상
    앞으로는 더 나빠질 상황만 남은거죠. 괜히 관광하기에 좋은 도시 노인과 바다
    소비하기에 좋은 도시 부산이라는 오명만 받으면서 말이죠. 부산 시장 지역구 의원들이 나서서 해결 할려는 의지가 있어야만 조금이라도 희망이 있지 않을까요.

    • @user-ps6zi1tu9w
      @user-ps6zi1tu9w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뭐가문제인디?
      서울살고싶다구
      살수있냐
      능력없으면
      부산가서 사는거지

    • @seeitfar
      @seeitfa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방 도시가 발버둥 치면 뭐함
      수도권, 중앙정부가 착악같이 수도권 과밀화를 포기 안 하는데 ㅋㅋㅋ
      강원도도 회생하려고 해외자본까지 끌어서 레고랜드 했는데 망한 거 못 봄? 지방도시 탓을 하네

    • @olivialee4343
      @olivialee434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ps6zi1tu9w이런 못난 인식때문에 서울공화국 이모양이 됐구만

    • @user-oz1ol2nd2k
      @user-oz1ol2nd2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중요한건 그런 부산시장 마져 SKY출신의 교수님. 정확히는 서울시장과 동문이죠.

    • @user-hf5fx2ce3w
      @user-hf5fx2ce3w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seeitfar레고랜드는 김진태가...

  • @user-md8ck8it8p
    @user-md8ck8it8p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0

    안타깝게도 인구 감소로 앞으로 뭐든지 중심지로 더 더 더 집중화 될 수 밖에 없다.. 의료, 교육, 직장, 문화, 오락, 쇼핑 하다 못해 좋은 배우자 감들 까지도... 😢 부산, 제주, 강원도, 충청도 이런데 정말 살고 싶은데 방법이 없음.. 노인이 되어도 의료 격차 때문에 경기도가 마지노선.. ㅜㅜ

  • @user-fc6ni1hg5z
    @user-fc6ni1hg5z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1

    부산 참 살기좋은 도시인데...
    일자리때문에 소멸되어가는게 안타깝네요ㅠㅠ
    근데 일자리가 진짜 없긴하죠ㅠㅠ
    제2의 도시라는 타이틀이 인천으로 바뀌어가고 있다는 말을 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 @stellaand2132
      @stellaand213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2

      부산 별명이 노인과 바다래요.

    • @ililiiliiililiili
      @ililiiliiililiili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부산이 살기좋은도시는 아니죠! 고지대가 너무 많음

    • @user-yj3xo5bn3e
      @user-yj3xo5bn3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ililiiliiililiili금관구가 서울 취급 못 받듯이 부산도 해수동만 살기 좋다는거임 ㅋㅋㅋ

    • @user-jf4gj3bh7f
      @user-jf4gj3bh7f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부산에 살았던 사람들한테나 좋지 부산이 살기 좋은 도시는 아닌거 같습니다.

    • @user-yk6nv8ft5q
      @user-yk6nv8ft5q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종업원 뽑는 업체의 자세에도 좀 문제가 있어요.
      부산은 더 빡세게 일해주길 원하고 더 단기간에 더 많이 노동력을 뽑을 계산만 해요

  • @asdfadf11
    @asdfadf11 ปีที่แล้ว +50

    EBS다큐멘터리 편집자님 안녕하십니까? 저는 다큐멘터리K 시리즈를 모두 봤던 시청자인데요. 이대로 남은 4부 5부를 내놓기에 앞서, 이후 방영되었던 대학혁신 2부 '서울대 10개 만들기' 의 편집본을 우선적으로 지금의 타이밍에 올리신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 @user-fj3sc6vq4g
    @user-fj3sc6vq4g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2

    서울에만 모든게 집중돼 있는건 국가 전체로 봤을때 너무 큰 손실같아요

    • @user-cp9wj2ps4c
      @user-cp9wj2ps4c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후진국의 전형적인 현상이죠 아직 한국은 후진국 입니다.

    • @chulsoogo3180
      @chulsoogo3180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오히려 좋을 수도 있다고 봅니다

    • @kkk-is3jl
      @kkk-is3j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한국은 그게 맞아요

    • @jy6637
      @jy663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chulsoogo3180뭐가 좋은지
      제대로 설명좀 해주실래요?ㅋ

    • @seeitfar
      @seeitfa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답글 한 명 빼고 수준 봐라 ㅋㅋㅋ
      교육 무너졌나

  • @user-uu1zm1nb1t
    @user-uu1zm1nb1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부산대 졸업생으로서 너무 공감되는 얘기입니다...

  • @user-oz3qi6cu9b
    @user-oz3qi6cu9b ปีที่แล้ว +142

    과거 지방에서 고등학교를 다닐땐 서울이 좋다 최소 인서울은 해야한다고 선생님들이 그러셨죠. 서울에 비해 발전도 더디고 인프라도 덜한 지방을 떠나라고 한 건 오히려 지방사람입니다. 이미 알고 있었던거죠 지방의 몰락을...

    • @ilri2114
      @ilri2114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인서울이라는 마케팅 전략과 사회적 불안이 큰 영향을 준 듯요

    • @CrayonPop2
      @CrayonPop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ilri2114근데 팩트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ilri2114
      @ilri211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CrayonPop2 결국에 사실로 만든걸지동

  • @doctorbaesh
    @doctorbaesh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부산사람으로서 속상하지만..
    현실이네요😢

  • @user-hc3nu0in6f
    @user-hc3nu0in6f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내 모교 부산대가 멸망하는거 실시간으로 보고있는데 너무 가슴이 아프다..

  • @olivialee4343
    @olivialee434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서울 진짜 사람이 많아도 너무많다 어딜가도 차막히고, 지하철 출퇴근은 정말 다신 하고싶지 않다.. 사정이 있어서 지방소도시에 와서 서울 밖에서 처음 살아보는데 인간적으로 생활할 환경은 훨씬 좋다.
    예를 들면 천변길 잘돼있는데 한적해서 맘놓고 산책하고,(서울같았음 주말에 데이트나 가족 인파로 드글드글했을 것) 차 끌고 다니기도 좋다 길은 있고 막히지는 않으니. 주차도 걱정없고.
    요즘 시대에 기본적인 인프라는 대부분 갖춰져 있으니 일자리만 지역별로 분담이 되면 서울공화국, 집값으로 인한 여러 문제들 한꺼번에 잡을 수 있지 싶은데..

    • @user-hm4mn1cq4z
      @user-hm4mn1cq4z 8 วันที่ผ่านมา

      너나 가라. 부~~~산
      난 몬간다.

  • @user-mp6ij6lp5m
    @user-mp6ij6lp5m ปีที่แล้ว +206

    여기 부산대 선후배님들 많이 계시는 거 같은데요. 제가 현 국립대 교직원으로써 한 말씀 드리겠습니다. 국립대 교직원들 아직까지도 등록금 횡령이 극심합니다. 학생들에게 가야할 돈이 지들 주머니 채우려고 조직적으로 집단횡령을 하고 있고 교육부 이것들도 쉬쉬하고 덮습니다. 이게 국립대의 현실이죠. 친인척들이 과거 불법적으로 채용되어 교직원으로 많이 박혀있으니 똘똘 뭉쳐서 등록금 야금야금 쳐먹고 있네요. 안 망할 수가 없어요.
    국립대 부패를 박멸시키려면 국립대 출신들이 발벗고 나서야 될 때 입니다.

    • @illijllillj4477
      @illijllillj447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지방대 교수들 강의 질도 수준 떨어지고 즤들 밥그릇 채우려고 안달났지.. 지방 대학교는 싸그리 없애버려야

    • @user-sn1yt4vp2t
      @user-sn1yt4vp2t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ㅋㅋㅋ

    • @-Vergil-
      @-Vergi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님은 왜 안나섬?

    • @user-ig9kv2wi4u
      @user-ig9kv2wi4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나서면 본인이 힘들잖아... 밖에서 해줘야지..

    • @user-ec7ul4di6c
      @user-ec7ul4di6c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너무나 큰 카르텔로 뭉쳐있어 개인이 안다해도 힘들지~
      도둑들이 떼거지로 해먹고 있으니...
      답글들 봐도 알수 있듯이~ㅋ

  • @user-zf6ko6on9i
    @user-zf6ko6on9i ปีที่แล้ว +45

    현실이 힘드네요.
    젊은 우리 청소년들 화이팅 하세요.

  • @user-uu6wd5hs6s
    @user-uu6wd5hs6s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행정수도를 관습법이라는 이유로 막은게 마지막 기회였던듯.....

  • @user-jl7fd5fv2e
    @user-jl7fd5fv2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국제그룹이 해체안되고 현재까지 존재되었다면 어느정도 해결되지않았을까생각됩니다. 국내굴지의 대기업본사가 부산에 존재하는거자체만으로도 취업난해결이 도움되었을텐데

  • @MinJae_Kim_3
    @MinJae_Kim_3 ปีที่แล้ว +121

    사실 서울 와도 서울 나름인데..... 뭔가 서울에 대한 환상이 좀 있다는 느낌도 드네요....

    • @pm-vy7lv
      @pm-vy7lv ปีที่แล้ว +12

      지방은 지옥이에요 ㅋㅋ 거의 신안이라 보면됨 조선시대,,전생에 큰죄를 지으면 지방에서 평생 유배생활을 하는것입니다

    • @user-mm6tl4cb4e
      @user-mm6tl4cb4e ปีที่แล้ว +20

      지옥까지는 아님ㄲㅋㅋ. 일자리가 없어서 그렇지

    • @MinJae_Kim_3
      @MinJae_Kim_3 ปีที่แล้ว +29

      @@pm-vy7lv 저는 직장만 아니면 지방 살고 싶네요 사람이 너무 많고 집값이 너무 비싸서 ㅋㅋㅋ

    • @ShootingKitty121
      @ShootingKitty121 ปีที่แล้ว +15

      서초 강남 송파 생각하면 서울에 대한 환상 가질 만함

    • @MinJae_Kim_3
      @MinJae_Kim_3 ปีที่แล้ว +12

      @@ShootingKitty121 그래서 서울 나름 ㅋㅋㅋㅋ 부산 생각하면서 마린시티만 부산이라고 생각하는거랑 똑같음....

  • @jolibee461
    @jolibee461 ปีที่แล้ว +522

    서울에 모든게 집중되니 우수한 인력도 서울에 집중되고 그러니 기업도 수도권에 몰리고 그러니 학생들도 서울로 가야하고 그럴수록 더더더 수도권에 집중되고

    • @user-je7ri8qq2w
      @user-je7ri8qq2w ปีที่แล้ว +6

      지방대든 방통대든 ~~대학 졸업은 아주 중요 하다 허나 세상은 만만치 안다 ~~기술대 과학대도 만찬가지 과학자도 만찬가지다 ~~과학자도 누군가의 조종당한다 참으로 안타 갑다 ~~법대 인간의 죄를 다루고 그것으로 인간을 다루려 하고 있다 ~~현존 가장 무서운 힘이다 그리고 고통스런 집단이기도 하다 법을 재대로 정도 정으로 올바로 시행하면 최고 강력한 나라가 댈것이다 당현희 그들이 권력자가 대어서는 안대지만 그들도 인간 이므로 권력을 추구 하는 것은 당현 하다 극짐당의 법대출신 대표들 모두 갸소리만 하잔느냥 그것 세상 물정 모르니 개소리 하는 것이다 그런자가 대통이 대스니 당현희 나라는 거구로 가겟지 과연 윤통이 약자를 위하여 얼마나 노력하여 성공하엿겟나 절대 없다 허나 적어도 약자를 위하여 노력 그들의 억울함을 풀어준자는 만치 안다 나베는 약자에 대하여 모르며 윤통 약자에 대하여 모른다 그외 이전의 대표도 약자를 이해 못하며 그런 그들이 세상을 이해 할까 절대 이해 못한다 그저 권력이 최고인줄 아는 자들이다 권력만 휘두르고 싶어 하는 자들일뿐이다 자신의 재산 부풀리는것만 아는 자들이다~어처구니 없게 후쿠시마 마실수 있게 희석한것 난 마실수 있댄다 당현희 누구나 마실수 있다 한병에 한해서 허나 후쿠시마 방류수를 마시겟다고 절대 말하지 아는구낭 이유가 뭘까 당현희 마시면 수명에 지장이 있깃 때문이다 바로 죽을수도 있깃 때문이다~종교 인간의 정신을 지배 하나 근본적으로 신자채가 사술이므로 법보다 약하다 허나 그단결력이 너무 높아 법을 이길 날이 올것이다 법은 강력하나 모래알 같다 서로 융합이 어렵다 중심댄자 죽으려 모두 자기가 최고라 우긴다 ~~독제 그것 어느 단채의 강력한 힘이다 ~~허나 그 단채가 언재나 올바르지 안으며 언재간 단한명에 의해 그 댄채 모두가 그 하사람의 말에 복종하게 댄다 그것은 그 한사람이 영구희 올바른 그리고 강력한 힘이 지속대지 안고 인간의 수명이 있으므로 그 인간의 죽음과 함게 자멸하기도 한다 억압받는자들의 갈역한 저항에 부디치거나 아니면 외부 힘을 이길수 없다 국민을 억압하고 눈귀 막아야 사는 단채가 대므로 당현희 국민을 그들을 밑지 안게 댄다 전쟁 터저도 고통이 댄다 전쟁 이겨도 고통이 댄다 당현희 그 나라는 멸망할수 박에 없다 외부 힘에 의존 하는것은 곳 그 외부 힘에 지배 받게 댄다 자신의 나라의 힘이 아니 외부힘에 의존하여 권력을 행사 하는 어리석은 짓이 댄다 당현희 권력이 외부 힘에 있으므로 국가를 다스릴수 없는 것이다

    • @PaektuMountain
      @PaektuMountain ปีที่แล้ว

      수도권에 부동산 투기해놓은 세력은 돈 벌고 억지로 가서 살아야하는 사람들은 집값내면 남는게 없고~ 전세라는거에 눈 돌아가서 전세 들여놨더니
      사기당하고 악순환 반복.

    • @user-rd2zz2yy5l
      @user-rd2zz2yy5l ปีที่แล้ว

      맞아 부산 살면 돌려차기 맞고 강간이나 당하는데 왜저기살아 ㅋ

    • @user-fg3wo8hi4z
      @user-fg3wo8hi4z ปีที่แล้ว +1

      내말이

    • @sylee481
      @sylee481 ปีที่แล้ว +3

      악순환.

  • @user-tz9zv7tx6m
    @user-tz9zv7tx6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서울 살지만 지방에 일자리만 생기면 내일 당장이라도 짐싸고 내려가고 싶음. 사람 속에 치여사는거 지긋지긋해 죽겠음.

  • @user-wd1uq6dl5k
    @user-wd1uq6dl5k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4

    학생이 말 잘했다. 한국인의 지역에 대한 인식 자체가 "수도vs지방" 이라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 내가 가본 어떤 나라도 이러한 수도 판타지가 강한 나라는 없었음.

    • @user-bk1uv9dy7f
      @user-bk1uv9dy7f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4

      ㄹㅇ 미국만 봐도 시카고, 시애틀, 엘에이, 산호세, 샌프란시스코, 텍사스, 뉴욕 etc. 척박하다는 중부도시도 중부만의 낭만이 있음. 한국은 진짜 기괴함.

    • @flsclvls9800
      @flsclvls980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js_4984ㄴㄴ 일본도 이러진 않음. 명문대도 도쿄에만 몰려 있는게 아니라 지방 여러군데 분포해 있는데

    • @user-ln1xe1wv6t
      @user-ln1xe1wv6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국이랑 우리랑 같냐 미국은 모든 주가 자치적인 성격이 ㅈㄴ 강하고 미국도 돈 벌라고 대도시로 몰려듬 ㅋㅋㅋ 미국 일리노이 주의 대부분이 시카고에 몰려 산다. 즉 거기서도 사실상 수도vs지방 의 개념이 성립되어 있어 잘 알지도 못하는 놈이 떠드노@@user-bk1uv9dy7f

    • @bbase290
      @bbase29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생각해보니 그렇네 ㄷ

    • @user-wo2pz9gc4k
      @user-wo2pz9gc4k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그만큼 개성이 없으니깐. 부산 목포 전주 대구 광주 특색 말해봐 없지. 사투리 이런 거 빼고 시카고 공업 도시 뉴욕 금융 도쿄 수도권 금융 다들 특색있다

  • @hyeonlyekim4146
    @hyeonlyekim4146 ปีที่แล้ว +362

    수시전형의 대입제도 문제가 심각한 것 같아요. 이력을 채우기 위한 각종 교과외활동이 결국 부모의 재력과 투자, 소속된 지역의 인프라에 따라 좌지우지되고 있어요. 지방에 있는 수험생들이 불리하고 불안할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그 과정에서 온갖 부정과 편법이 난무하는 것도 큰 문제입니다. 교육 면에서 이 점이 수도권 집중화와 지방 소멸을 더욱 부추기네요... 대한민국은 더욱 청년들이 가정을 이루고 살아갈 수 없는 곳이 되어가고 있네요... 너무 안타깝습니다.

    • @Anthony_Davis
      @Anthony_Davis ปีที่แล้ว +33

      근데 이게 또 정시가 공교육을 붕괴시키고 사교육을 조장한다고 해서 수시 중심으로 바뀌어간 역사가 있어서.. 뭘 해도 교육 격차는 해결하기 힘든것같습니다.

    • @buythedeep9145
      @buythedeep9145 ปีที่แล้ว +21

      그런데 차별화가 없어진다 해도 이미 수도권 인재들로만 해도 충분히 인력을 확보함. 100대 기업의 91퍼센트가 인서울인데 굳이 지방인재를 뽑을 필요가 없잖아.. 게다가 과거의 제조업 위주의 성장은 끝났고 플랫폼 기업과 같이 서비스업종은 인원이 그리 필요하지 않음.. 고로 안타깝지만 인서울 인재들만해도 차고 넘침..

    • @user-lk8dy3fg5l
      @user-lk8dy3fg5l ปีที่แล้ว +46

      그냥 수시완전폐지가 답
      이러나 저러나 경쟁이 치열한 대한민국에서 공교육은 사교육을 절대 못 이김..
      이미 인터넷 강의 인프라도 잘되어있어서 정보격차도 거의 없는데
      자기주도학습으로 충분히 역전이 가능한 환경이어야지
      부모 잘만나야 대학 잘가는 이런 것보다는 …

    • @heesupjung6541
      @heesupjung654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뭔소리여... 수시 폐지하면 지역에서 무슨 수로 SKY를 가나? 그나마 수시가 있고 지역인재 전형이 있으니 지역에서도 인서울할 수 있는건데... 현실을 모르는 사람들이 너무 많네 쯧쯧. 강남에서 내신 2등급 이하 받는 친구들은 죄다 정시 지원하고, 안되면 재수해서라도 정시로 의대가는 것이 현실임. 수능시험을 기준으로 하면 강남 사교육을 이길 방법이 없음

    • @user-dj9lv9xh9m
      @user-dj9lv9xh9m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의대랑 SKY 정시 합격자 중에서 서울 및 수도권 학생이 매년 45~48퍼센트로 유지되는구만ㅋㅋㅋㅋㅋㅋ
      이래도 정시가 공정해?????????

  • @user-sw2qo1qr1y
    @user-sw2qo1qr1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그래도 부산은 교통 인프라도 잘되어있고 관광지로도 유명한데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이유만으로 사람들이 빠져나가는게 아쉽네요

  • @llll39464
    @llll39464 1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최근에 부산 여행 정말 잘 다녀왔고, 10년 전만 해도 부산대 기계공학 가면 잘 간 거라고 생각했는데 이래저래 인프라가 서울에만 집중된 게 정말 안타깝네요… 부산 분들은 일자리만 있으면 아이도 낳고 부산에 쭉 살고 싶으실 것 같은데 말이죠 ㅠㅠ

  • @kuma0193
    @kuma019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교통이 발전하면서 거점 도시 집중화가 더 심화되는 거 같아요.. 이제 글로벌 시대다 보니까 서울에 국한되지 않고 인재들이 이제는 해외로 빠져나갈 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탈출구는 두 가지 정도라고 생각되네요.. 관광 산업의 개발 or 다문화를 적극 받아들여 인구를 늘리던가 사실 둘 다 해도 미래가 암울한 건 사실이네요.

  • @user-te2kx4jj2n
    @user-te2kx4jj2n ปีที่แล้ว +14

    부산토박이고 부산에 계속 살고 싶지만.... 쓸만한 회사가 너무 없습니다.....

  • @bombom5197
    @bombom5197 ปีที่แล้ว +171

    진짜 현실적이고 파악잘한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감사합니다
    지자체.교육부.정부 고위직이 이영상을 꼭보고 계획 구상만한다면 미래가 있을텐데요

    • @Congarsear
      @Congarsea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들은 한낮 표를 얻기위한 활동을 할 뿐 국가의 안위 따위는 안중에 없죠
      개돼지 비유는 정말 적절했습니다.
      친일파 잔재들은 북한처럼 깔끔히 처리했어야 했는데

  • @limsob
    @limsob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나도 이전 부산에 살다 지금은 타지역에 살지만 부산에는 대기업이 없습니다. 다양한 일자리도 없고 소규모 중소기업만 모여있죠! 그래서 친구들도 타지역에 가있네요. ㅠㅠ

  • @user-qb6fu5py4s
    @user-qb6fu5py4s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후배님들 스스로 이겨내야하는 부분도 분명히 있습니다. 매일 매일 나의 시간을 충실하게 채워보세요!

  • @user-hb6ox6xw8q
    @user-hb6ox6xw8q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

    저도 부산에서 나고 자랐고 부산에서 취직하여 부모님을 모시며 살고싶었습니다.. 그런데 부산은 정말 일자리가 너무 없습니다... 부산에 제 전공으로, 꽤 괜찮은 일자리가 4-5개 정도가있다면 수도권에는 60개이상이 있거든요.. 또 그마저도 직장의 매출규모나, 미래전망이 수도권에 위치한 기업들이 훨씬 높구요... 이건 청년들에게는 제대로 된 일자리를 찾기위한 생존의 측면에서 부산을 떠날 수밖에 없는거죠.. 부산이 이러한데 대구나 광주 강원지역은 안봐도 뻔하겠죠. 수도권으로 가는게 당연해질수밖에 없습니다. 미세먼지없고, 먹고 즐길것 많고, 나이들어가시는 부모님과 함께할수있고, 내가 지금껏 살아왔던 부산을 떠날수밖에 없는 이 현실이 참 안타깝네요. 지방을 살리려면 지방에 과하다 싶을 정도로 지방으로 이전하는 기업들에 특혜를 주는 수밖에 없습니다. 기업이 있어야, 사람들이 있고, 그 지역의 경제가 돌아가고 그 지역이 유지될수있는거죠

  • @user-no9sd3lt8r
    @user-no9sd3lt8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부산대 멀쩡히 잘 다니고 있는데 언론에 나오는 것만 보면 당장 간판 박살나서 사라질 학교 같음

  • @user-pm3ff2cm8q
    @user-pm3ff2cm8q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말로만 지방문제 지방문제 하지 말고 실질적으로 현실적인 대책을 세워서 실천했으면 좋겠다

  • @iilllllililiiiill
    @iilllllililiiiil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대학로 주변에 볼일 있어서 돌아다녀봤더니 옛날이랑 다르게 많이 휑한 느낌😅

  • @matthewlee9054
    @matthewlee9054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부산에 기업이 없다... 회사사 없으니 대기업이 집중된 서울로 갈수 발에 없는거 같다. 부산에 살고 싶지만 살수가 없는게 슬프다.

  • @vov952
    @vov952 ปีที่แล้ว +5

    부모님 직장 때문에 초중을 지방에서 보내고 중2때 목동으로 다시 올라왔는데 지방에 있을 땐 전교 1등만 계속 했었는데 목동 첨 올라왔을 때 전교 64등인가 했었음. 물론 둘 다 학원 과외 안한 기준이고 학기중이라 친구 무리 다 나눠져 있고+시험 기간에 전학와서 오자마자 시험 봄+부적응해서 스트레스 영향도 있긴 함.

  • @davidjeong2566
    @davidjeong2566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나도 파주에서 부산대 졸업했는데 참 지금 현실이 막막하네요...

  • @user-lz5qt6wo7e
    @user-lz5qt6wo7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나라가 진짜 바껴야 한다...!!
    모든게 다~!!!
    아이들이 행복하게 살 수 있게~~!!

  • @99999aa
    @99999aa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기가막힌일이든 아니든 꽤오래전부터 벚꽃피는순서대로
    대학사라진다했다
    서울 수도권들도 지방사람들 올라오는거좋을까
    제발 각 지방도 발전되어야할것을...

    • @user-hf5fx2ce3w
      @user-hf5fx2ce3w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젠 대학뿐만 아니라 지역도 사라질 듯

  • @AK-ob3zt
    @AK-ob3zt ปีที่แล้ว +78

    ebs도 심하네ㅋㅋ 그래서 대안 제시하는것도 아니고 안좋은 얘기만 인터뷰 따와서 지방이 망해가고 있어요!!! 하는 논조 인거 같은데 하고 싶은 얘기가 대체 뭔가요?

  • @9andhalfweeks
    @9andhalfweek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다큐멘터리k 교육 격차
    총 5부작이던데 풀버전은1부 4부만
    있고 나머진 요약본만 있던데
    풀버전 올려주시면 좋겠어요😊

  • @sjkim4455
    @sjkim4455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도 부산에서 초중고, 대학까지 나왔으나...
    제 친구들 중 부산에 살고 있는 경우는...거~~의 없습니다.
    대학 졸업과 동시에 모두 서울로...
    세월이 갈수록 부산 출신인데 친구도 지인도 모두 서울에 있으니 부산...낯설 뿐입니다.
    씁쓸한 현실...

  • @AsherS.B.
    @AsherS.B. ปีที่แล้ว +43

    9년전 부산에서 ㅈ소 면접볼때 연봉 2800만원이라고 하더니 계약서 쓸땐 연봉 1800만원으로 후려치는 회사 3일만에 때려치고 연봉 6300만원주는 수도권 대기업으로... 부산에서 살고 싶었지만 부산은 양질의 일자리가 없어서 살 수가 없음ㅜ

  • @Bang480220
    @Bang48022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지금이거보다.. 기후변화로인한 식량문제로 인하여
    가장 핫해야하는 낙농업 그리고 우리나라만이 가지고있는 기술 양성 을 어떻게할지 ..
    보통일이아닙니다. 교육은 무너지고 가장중요한식량문제와
    인구감소 앞으로10년후가 정말 많은 변화가있을것같습니다.
    경쟁만한 아이들에게 함께살일을 궁리하라그러면
    할수있을지...

  • @kms-to7em
    @kms-to7em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일자리도 그렇치만 취업해도 월급수준도 차이가 납니다. 지방은 거의 시급수준.서울 대기업하고는 차이가 많이나죠

  • @re_bean4976
    @re_bean4976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기본적으로 지방자치 설계가 잘못 되어있는데 나빠지지 않을 이유가 없죠
    이 좁은 땅에 미국식 연방제도처럼 만드니 시설과 예산이 전국으로 뿌려지는건데요
    독일 프랑스 영국처럼 규모가 비슷한 영토의 국가 방식으로 변경해야하는것이 좋지 않을까합니다
    공항문제와 KTX역 생각하면 뭐가 문제인지 바로 이해가능할테네
    역시 방법은 알지만 이해당사자들간의 협의가 ...

    • @moonsangsong3142
      @moonsangsong314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독일, 이탈리아 등은 1870년대에 통일 국가가 됐고, 그 이후에 계속 지역별로 산업이 발달했으니 그게 계속 이어지는 것 같구요.
      우리나라는 중앙집권 국가가 오래전에 만들어졌고, 지방은 왕을 위해서 존재했던 것으로 봐야 될까요?
      일제 강점기는 일본을 위해서 근대산업 시설이 들어오고, 해방후 한국전쟁으로 모든 산업이 초기화됐고,
      이후로 먹고 살려고 다들 서울로 몰리고, 교통이 좋아지면서 서울뿐만 아니라 용인 수원까지 출퇴근권이 되면서 수도권집중이 더 가속화 됐다고 봅니다.
      독일이나 미국처럼 교통이 발달하기전에 지역별로 특색있는 산업이 발달했다면 계속 이어졌을 수도 있지만, 우리나라는 그렇지 않다는 게 이유인것 같네요.

  • @iamkangnaru
    @iamkangnaru ปีที่แล้ว +17

    좋은 기관 좋은 시설은 전부 서울로 경기도로, 혐오 시설은 그외 지역으로... 그러면서 균형 발전이 되기를 바라는게 어불성설이죠. 혐오 시설을 서울로 경기도로 이전하는건 쉽지 않겠지만 좋은 기관과 시설을 각 지역으로 분산 이전해야 합니다.

  • @user-oj1mn6ub2b
    @user-oj1mn6ub2b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방 혁신도시 이후 수도권 과밀을 풀 정책이 뚜렷하게 무엇이 있는건지 모르겠습니다. 원하는 일자리가 다 위에 있다고 하는데 해결책이 안나오면 지방 소멸화 뿐이지😢

  • @kevingineman3745
    @kevingineman3745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이런 방송도 지방대의 몰락을 부추기고 있다는걸 알아야 한다.

  • @user-to8uf4bj6e
    @user-to8uf4bj6e ปีที่แล้ว +101

    공대는 울산이랑 창원에 대기업 많아서 부산대 나쁘지 않음. 한양대 경희대 공대 나온 내 친구들 울산이랑 창원에서 일하는데 들어보면 부산대/경북대가 절반 조금 안된다고 하더라. 울산/창원 소재 기업에서 인턴 같은 대외활동 기회도 있고.. 아마 그런 이유로 방송에선 공대생 인터뷰를 안한거 같네 ㅋㅋ

    • @user-vkfvjfdl
      @user-vkfvjfdl ปีที่แล้ว +1

      차라리 공기업할당제 받으려면 충청권이 더 좋을꺼같던데

    • @user-ft3qg6nq6u
      @user-ft3qg6nq6u ปีที่แล้ว +42

      서울애들은 인정하고 싶지 않은거죠 막상 삼성 현대 엘지 입사해보면 자기위의 상사의 반우 부산대 경북대고 그들 파워가 얼마나 막강한지

    • @Moonkindom
      @Moonkindom ปีที่แล้ว +25

      그렇게 좋은 부산대가 있으니 거기에 만족하고 살아라ㅋㅋ 그럼 되겠네ㅋ 아득바득 서울 올라와서 경박한 사투리 뜨고 다니는 애들 보면 기분 나빠진다

    • @user-xd3qr8kr9n
      @user-xd3qr8kr9n ปีที่แล้ว +3

      현재는 다 서울 상위권

    • @user-zo5yb9bv5s
      @user-zo5yb9bv5s ปีที่แล้ว

      ㅋㅋ 그건 부산쪽사는사람만드얼자

  • @user-ch4pj4mq9b
    @user-ch4pj4mq9b ปีที่แล้ว +40

    지방대몰락은 요즘 EBS가 알게모르게주도하고있다
    마치절대 지방대가면 안되는것처럼!
    2부에나오는 아이 해운대 부산촤고부촌에살고있는데
    무슨 ~~ 도대체 뭘방송하고싶은거지?
    이방송만든분 자녀들은 어디사는데?
    당신들은 어디지방사나?
    당신들자녀는 EBS로만 공부하나?
    잘살고있는 지방대생들 멘탈흔드는건 너희들이니 이런방송하지마라!!

  • @user-nv9qr1wy7c
    @user-nv9qr1wy7c 15 วันที่ผ่านมา +1

    대부분 꿈과 로망을 가지고 상경을 하지만, 지방과 크게 다를것없는 임금, 꿈꿔왔던 것보다 좋지못한 생활환경과 그럼에도 높은 주거비용으로 고통을 겪게되는 청년들이 엄청나게 많다는 사실임. 무슨 대책을 마련해야하긴 해야함.

  • @tripchoe
    @tripchoe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부산이 정말 다시 좋아 질까 ?, 일단 서울 살면서 고민 해봐야 겠다

  • @user-lj4fx8ox6e
    @user-lj4fx8ox6e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4

    부산에서 20살에 떠나서 10여년째 결혼도 하고 다시 부산경남으로 돌아가고 싶지만 취업할 곳이 없어서 반포기 상태에요ㅠ 공무원시험도 컷트도 다른지역보다 높은편이고 정말 취업의 장벽이 해결되지 않으면 고향땅은 노인이 되어야 비로서 밟아볼것 같습니다 ㅠ

    • @user-rz2mi2ge7e
      @user-rz2mi2ge7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꼭 취업을해야하나요..

    • @Scare_team
      @Scare_team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rz2mi2ge7e그럼 돈은 누가 벌어다주나요 선생님;

    • @user-rz2mi2ge7e
      @user-rz2mi2ge7e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care_team 뭔 멍청한 소리를 하세요...

  • @nemobin
    @nemobin ปีที่แล้ว +154

    내가 대학생때 만난 부산대생들은 정말 스마트하고 자신감에 차 있었는데 왜 이렇게 되었는지...

    • @user-ft3qg6nq6u
      @user-ft3qg6nq6u ปีที่แล้ว +99

      지금도 그렇습니다. 기업인사팀으로 말하면 부산대출신들이 자기지역에서 탑이라는 자존감도 있고 리더쉽도 있는데 또 저렇게 전국구가 아니라는 자기객관화도 잘되어 있어 겸손함도 갖추었죠.
      조직에 잘 융화하는 타입들이고 기업내에서 성장도 빠릅니다.

    • @netinquietepasdutout
      @netinquietepasdutout ปีที่แล้ว +1

      대학 어디임 그래서

    • @Tozan-fn7xl
      @Tozan-fn7xl ปีที่แล้ว +33

      부산대생이 스마트하게 느껴질 정도면 도대체 학창시절 얼마나 공부를 안 했다는 말이지 ㄷㄷ;;

    • @user-ho7qi6gb2h
      @user-ho7qi6gb2h ปีที่แล้ว +1

      @@Tozan-fn7xl부산대 떨어졌나보네 욕만하고 다니는거보니

    • @user-ft3qg6nq6u
      @user-ft3qg6nq6u ปีที่แล้ว +1

      @@Tozan-fn7xl 최소한 너처럼 인성 빻지는 않은듯

  • @ehakdrk
    @ehakdr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9

    부산 진짜 날씨나 교통이나 여러모로 살기는 편한 곳인데 슬프네요 ㅠㅠㅠㅠ

    • @sportsbrand101
      @sportsbrand10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교통??????????????

    • @mjimlhp7
      @mjimlhp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sportsbrand101 버스, 지하철 다 있잖아요. 지하철 있는 도시들이 생각보다 얼마 안돼요.
      대중교통으로 못가는곳 없으니 교통 잘돼있는거 맞죠.

    • @seeitfar
      @seeitfa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sportsbrand101 교통이 뭔지 몰라서 묻는 거야
      공감을 못해서 묻는 거야

    • @jeonzol
      @jeonzo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도로가 개판이라서 의아한듯

    • @IHATECHINA
      @IHATECHINA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seeitfar 도로가 개판이라서 공감 못하는 듯

  • @cleanjin1
    @cleanjin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부산은 바다와 노인뿐이다... 참 와닿는 말이네요..거리에 나가보면 실제로 그래요..

  • @user-vf4ri8pu3o
    @user-vf4ri8pu3o ปีที่แล้ว +156

    지방대생들 기죽이는 상황. 전국민이 동참해서 하고있네

    • @dkdhakzm
      @dkdhakzm ปีที่แล้ว

      서울 중상위권 대학이랑 동급이라 착각하고 열등감에 찌들어든 애들 기좀 죽여나도 됨

    • @user-dn9sn1rv6u
      @user-dn9sn1rv6u ปีที่แล้ว +2

      인구줄면모던기획ㅇ줄어야한다.학생반줄어다면.학교.코사.교육세모두가줄어야한다.교육세는학생주는대늘어가는게나라망할판.공사립주인들돌려주고교육부는페쇠하고.과기부로넘겨라.윤통삼대개혁입어하니다

    • @Moonkindom
      @Moonkindom ปีที่แล้ว +20

      이걸 기죽이는 거라고 인식하는건 너무 심한 피해의식인데?

    • @Han_ush
      @Han_ush ปีที่แล้ว +3

      그럼 기 죽여야지ㅋㅋ 경쟁에서 도태됬으면서도 행복하길 바람?

    • @user-vf4ri8pu3o
      @user-vf4ri8pu3o ปีที่แล้ว +13

      @@Moonkindom 보셨죠? user-us5cb9vg5j 이런 애들이 존재하니까요.

  • @bjbae3510
    @bjbae351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전국모의고사 보면 전국 등수 알수 있지 않나요? 지방에 있어도 시험상 자기위치는 알수 있을듯

  • @456.studio
    @456.studio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수도권 집중화 문제 심각하네요..

  • @user-uk3yt8ji5u
    @user-uk3yt8ji5u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지방소멸 문제랑 저출산 문제는 반드시 국가에서 심혈을 기울여서 해결해야할 난제이지만 정작 실효성 있는 정책은 아무것도 없는 현실... 왜냐면 정책결정권자는 서울에 살고 먹고살만하거든

  • @user-gl1qe9kc1j
    @user-gl1qe9kc1j ปีที่แล้ว +17

    어떻게 하면 지방 도시를 살릴 수 있을까요....국회의원들 제발 관심 좀 가집시다.

    • @seeitfar
      @seeitfa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 자본가 + 수도권 인구도 문제임 ㅋㅋㅋ
      수도권에서 이득 보는 거, 자기 자본이 조금이라도 가치가 떨어지기 싫어서 자식들의 미래를 좀먹는데

    • @user-hm4mn1cq4z
      @user-hm4mn1cq4z 8 วันที่ผ่านมา

      수도권도 어렵다. 부산이 웬말이냐...

  • @user-qj9sh9nb1e
    @user-qj9sh9nb1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90년대부터 서울 왔음 아파트 지어서 학교 증축하고 중학교 교실가서 반 빌리거나 다른곳에서 수업들었음 꾸준히 지방에서 서울로전학오거나 이사왔어요 갑자기 서울이 집중되어가는거 같아요 전학오는 아이들 많았어요 서울에서 태어나서사는 사람보다 지방에서 올라오는 분들이 더 많았어요 서울에서 태어나서 사는 사람들 별로 없어요 계속 반복이지요

  • @user-kv4rf1dn6o
    @user-kv4rf1dn6o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민간기업이 지방에 가도록 정부 차원의 지방화 육성 정책이 만들어져야 되는데... 인구수가 투표수로 연결되는 현상황에서는 가능성이 적을듯

    • @seeitfar
      @seeitfa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수도권에 자본을 가진 인간들이 욕심에 쩔어 있는데
      바뀔 수 있을리가..

    • @user-ln1xe1wv6t
      @user-ln1xe1wv6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럼 지방 자본가들은 욕심이 없냐?ㅋ

  • @sleepyheadinerror
    @sleepyheadinerror ปีที่แล้ว +4

    저출산의 가장 큰 원인이라 보는데 이젠 그 어떤 사회문화행정적 시도도 의미가 없을것같다. 그냥 하이퍼루프 상용화로 서울 부산의 물리적 출퇴근이라도 가능하기를 기도하는게 더 빠를듯.

  • @user-xy6jq5ie2w
    @user-xy6jq5ie2w ปีที่แล้ว +30

    지방 명문고 명문대 가 선생들이 뭘 잘 가르쳐서 그런줄 착각해서 그런거지...명문고가 명문인 이유는 우수한 학생이 모인것 뿐인데.... 이제 알겟지...학생이 없으니 명문고의 타이틀도 없어지는거야... 원래 교육의 본질이 없으니 우수한 학생이 빠져나간 학교는 그냥 껍데기만 남은것일듯... 인 서울 참 열받지만 지방 다니는 학생의 입장에선 그냥 학교 안 다니고 수능만 파서 정시 보던지 아님 그냥 다른길 알아봐야지 ㅜ...

    • @Bbrilliantttt
      @Bbrilliantttt ปีที่แล้ว +7

      맞음.. 명문대는 교수가 잘 가르치기 보다는 우수한 인재들이 모인 집합체임

  • @chulhokim431
    @chulhokim43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말 심각합니다!

  • @user-JIHO1129
    @user-JIHO112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학력은 부모님 소득수준에 비례하니까 훨씬 많은 기회를 가질수 있죠~

  • @mtyuns
    @mtyuns ปีที่แล้ว +12

    참 슬프네..ㅜㅜ 알고도 못 바꾸는건가..

  • @Dingo7423
    @Dingo7423 ปีที่แล้ว +5

    지방대를 직업학교로 전환시키는게 바람직. 구인난 겪고있는 산업분야 있는데.. 괴상한 학과 졸업후 학력 인플레이션땜에 눈만 높아져서 구직난 겪고 있는것 같음.

  • @sungsojang
    @sungsojang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서울공화국이란 단어가 아프게 와닿네요 😢

  • @user-tp8ut8my4t
    @user-tp8ut8my4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개인적으로 부산은 문화예술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적고 워라벨의 개념이 약한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미술관을 많이 유치한 다음에 문화예술로 밀고나간 다음 그에 따른 부과효과로 스타트업에 유리한 도시로 바꾸고 다문화 도시로 나아가는게 좋지 않을까요..이미 초고령화사회에서 이미 고령화 된 인구만 생각하는 정책이 많더라구요! 약간 베를린이 모델이였으면 하는 바람이 있는데 정치인들이 생각하는 방향성은 너무 개념적이기만 한 것 같아요..ㅠㅠ 그래도 부산 나름 살기 좋은데 말이쥬..

    • @user-gq9ue1fi4v
      @user-gq9ue1fi4v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관심이 적은 것도 있을 수 있겠지만 누릴 수 있는 문화생활이 수도권에 비해 현저히 적습니다... 부산 대구 서울 전부 살아봤는데 개인적으로는 부산이 문화생활 면에서 인프라가 제일 적다고 느낄 정도로 부족합니다...ㅜㅜ 노출될 기회가 적으니 관심도 부족할 뿐더러 청년 인구가 이미 다 빠져나가고 있으니 기존 세대만 남아서 워라밸의 개념이 부족할 수 밖에요ㅜㅜ 신생기업이나 대기업들도 많이 없으니 선도하는 기업들도 잘 없고... 이런 문제들에 오래 노출되다보니 자연스럽게 따라온 결과같습니다

    • @qhadloo22
      @qhadloo22 17 วันที่ผ่านมา

      관심이 적은게아니고 문화예술분야가 서울보다 많이 부족한편입니다

  • @dbwl
    @dbwl ปีที่แล้ว +5

    지방뿐아니라 수도권 경기,인천도 다 입결 망해가는중 인하대가 대표적인 예

  • @namsukim9601
    @namsukim960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부산대도 좋은 학교이지만 서울에 있는 대학과는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건 사실.

    • @qec5925
      @qec5925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22년 입결 공대]
      화학공학 홍>부>건동
      전자공학 건>홍>숭부동
      기계공학 홍>건>동부국
      [22년 입결 상경]
      경영학과 홍건>부동국
      경제학과 건>부동>홍

    • @user-qp8gq6fm1z
      @user-qp8gq6fm1z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홍대는 좀 빼라 다군에 추가모집으로 입결 뻥튀기하는 사기꾼들인데 ㅋㅋㅋㅋㅋ

  • @minchaekim9333
    @minchaekim9333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진짜 부산 다시 가고싶다... 그런데 일자리도 문화도 없어서 못 간다 ㅠㅜㅠ

  • @user-ok2ig3xn4n
    @user-ok2ig3xn4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디스크 재발병으로 휴학을 했다가
    1-2년전부터 지방 대학들이 조금씩 문닫는다 소리듣고 급하게 복학해서 회복도안된상태에서 다니고있네요

    • @user-mp4re1bx3g
      @user-mp4re1bx3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도 디스크인데 아픈 건 알지만, 걍 휴학하고 편입공부하세요. 지방대는 답도 없어요

  • @user-yp2nn3ux1m
    @user-yp2nn3ux1m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나 대학다닐때 (98학번)
    교수님들이 예견하던 일들이 이제서야 일어나기 시작하는구나.

  • @jbmjbm-pw2ln
    @jbmjbm-pw2l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고등학생때 여러 학원을 다니면서 선생님들이 항상 인서울, 하다못해 인경기라도 해야 먹고살 수 있다고 계속 얘기했었습니다
    저는 수시 성적 좋았는데 정시준비한다고 깝치다가 결국 망해서 이도저도 아니게 되어 지방대 공대로 왔는데, 여기도 살만합니다.
    생각보다 훨씬 살만해요. 그래서 인서울 인경기 아직도 가고싶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하고 싶습니다.

  • @user-if2yg8yo1v
    @user-if2yg8yo1v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13학번 사범대 출신.
    우리과는 워낙 소수과라 비슷한 계열 중앙대 경희대를 안 쓰고 부산대 오기 위해서 노력한 친구들이 전부였고
    (그보다 잘한 친구들은 스카이)
    국교 영교 수교는 연고대 인문이나 연고대 자연대 붙고도 교사하려고 부산대 선택했는데ㅠ
    사범대라는 특수성이 있어서 인서울 집중을 좀 덜 받았을 거라는 생각은 하지만 씁쓸하네요.

  • @user-hc1jv5xj9n
    @user-hc1jv5xj9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분단국가인데 ㅜㅜ 전쟁나면.... 답없는데 수도권에 몰리면...

  • @waterproof5966
    @waterproof5966 ปีที่แล้ว +25

    이런거 보면 노무현 대통령이 정말 시대를 앞선본 미래에서 온 대통령이었는데....행정수도 이전이 대통령 공약이기도 했건만, 현재의 국짐당이 반대, 그런 당을 갱상도는 지지...한심해... 국민들 수준이 노무현 대통령을 못따라 갔어.

  • @user-vf5dd1mr5q
    @user-vf5dd1mr5q ปีที่แล้ว +33

    서울>수도권>지방대도시>지방시골의 산업용전기세 법인세 폐기물처리비용을 차등적용해야 기업들이 알아서 흩어지고 수도권 인구 밀집 현상이 완화되어 지역발전에도 기여된다

  • @ryuoscar7258
    @ryuoscar725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애들이 저런 이야기 할때
    정말 안타까운 생각이 드네요
    힘내세요

  • @myunggo6575
    @myunggo6575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공기업 이전시키는것도 좋지만, 사기업들중 규모있는 본사가 공장이 서울에 있으면 법인세나 각종 혜택에서 최대한 배제시키던지 지방가면 법인세 인하 확실히 해줘야 한다. 그래야 기업들이 지역으로 내려온다..

    • @user-ln1xe1wv6t
      @user-ln1xe1wv6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그러면 기업본사는 싱가폴이나 뉴욕가면 그만 ㅋㅋ

    • @yeongbaekkim1013
      @yeongbaekkim101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공산당 해법 논리 입니다.

    • @user-fh7bp3ep5z
      @user-fh7bp3ep5z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yeongbaekkim1013 인센티브가 공산당이네

    • @moonsangsong3142
      @moonsangsong314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금도 법인세 혜택 많이 주고 있지만, 양질의 인력 확충을 하려면 경기도가 마지노선.
      삼성, 하이닉스, LG가 용인, 평택에 계속 확장 하는 이유가 인력확보때문입니다.

  • @pkwhitelove2012
    @pkwhitelove201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0

    부산대 96학번인데…참 세상이 많이 변했군요..수도권 과열 문제..정치권에서 위기감을 가지고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데..참

    • @user-sf9bk2iv8n
      @user-sf9bk2iv8n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년놈들이 꿀빠는데 뭔 위기감? ㅋ

    • @OPR-ye6ei
      @OPR-ye6e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그 시절 부산대면 공부 참 잘하셨을텐데 지금 후배들 보면 안타깝겠네요 물론 지금도 부산대 경북대는 좋은 대학이지만..

    • @user-dw3wk8hh9c
      @user-dw3wk8hh9c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금도 준수 하지 않나요?

    • @proxima_alpha
      @proxima_alpha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도 10학번인데 갈수록 뚝뚝 떨어지나봐요, 저때도 고등학교때 공부 조금 하는애들 정도엿는데, 몇년전에 기사보니 정시 7등급이 합격했다더라고요 지원자가적어서요

    • @kankel2355
      @kankel2355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부대 아직도 쌘데 이런 뉴스 때문에 낮은걸로 오해하시네... 화공이랑 쌘과는 아직도 1점 후반대인데

  • @ukp3044
    @ukp3044 ปีที่แล้ว +11

    지방소멸 인구소멸 국가소멸은 정해진 길

  • @user-ri3mp6pr8r
    @user-ri3mp6pr8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동안 지역 균형발전 외치면서 혁신도시 건설, 공공기관 지역(지방) 이전한 결과가 이렇다면 그 정책들이 효과가 있나?

  • @Juungmin_Sohn
    @Juungmin_Soh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2010년대 초반 부산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한 사람으로 부산의 교육의 추락은 생기부 전형이랑 함께 시작됐습니다. 특유의 상남자스러운 문화랑 합쳐져서 서울 수도권에서는 개떡같은 수능점수로도 수십장씩 되게 생기부 포장해서 좋은 학교 많이 보냈는데, 부산은 전교권 아닌 이상에야 학년 당 달랑 두 세 장에 정시 몰빵식 대입 준비로 피 많이 봤죠. 솔직히 정시로 대학가고 나서 수시출신들이 같은 취급 받는게 어찌나 싫던지요

    • @user-qq1zb6ke1k
      @user-qq1zb6ke1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수시충이라고 말하는데서
      님의 인격이 느껴집니다

    • @Juungmin_Sohn
      @Juungmin_Soh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user-qq1zb6ke1k 거짓으로 대학에 합격한 자격이 없는 사람들을 욕한 것이 그리 잘못이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 @user-iy2yp6lf5o
      @user-iy2yp6lf5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수시충... ㅜㅜ 아... 수시충 .. 너무하네요... 정시나오셔서 성공 하셨나봅니다 ^^

    • @Juungmin_Sohn
      @Juungmin_Soh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iy2yp6lf5o 죄송합니다 홧김에 댓글을 작성했는데 다시보니 표현이 조금 과했네요.. 제도가 문제이지, 사람에 무슨 죄가 있겠습니까

    • @user-pq1ix5or1j
      @user-pq1ix5or1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Juungmin_Sohn누가 수시준비 하지 말라고 협박함? ㅋㅋ

  • @ksh3561
    @ksh356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내가 대학교 다닐때 2005년도에도 이미 부산대 학생들의 상당수가 9급 공무원 공부하고 있었음..;; 그때도 우와 그래도 지방 국립대중에 알아주는 부산대갔는데 공무원되는게 꿈이라고?? 이랬었는데…..

    • @illijllillj4477
      @illijllillj447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노문과, 중문과, 일문과, 독문과, 국문과 학생들 중 상당수였겠지.. 부산대 공대생이 그런 짓거리하고 있었을 리가 없음.

    • @user-ik5wk7co7b
      @user-ik5wk7co7b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부산에 중견기업도 손에 꼽아서 그럼

    • @HP-zs3ll
      @HP-zs3l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지방 붙박이로 살려면 공무원 말고 일자리 없음

    • @user-pq1ix5or1j
      @user-pq1ix5or1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문과충이면 살길이 좁긴 해

  • @user-wb1hc2rh2l
    @user-wb1hc2rh2l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대기업 임원들의
    출신대학중에 부산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꽤
    높던데 그만큼 인재풀이
    높은바인데 ᆢ
    다들 수도권 거주 대기업
    이었죠ᆢ
    30년전엔 연고대 수준의
    학교 였습니다
    지금은 왜이리됐는지
    기가 막힘니다
    국가장래를 봐서
    대기업 은행등 들이 부산에 많이 와야 합니다
    정치인들이 문젠니다

  • @user-jr2um3sc9e
    @user-jr2um3sc9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서울가면 사람이 너무 많아서 불쾌한 적이 한두번이 아님

  • @user-zc8zy3by4j
    @user-zc8zy3by4j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대학포기하고 공장취직하신분들도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자.약자편에 서고싶어요 ㅎㅎ

  • @doeremi6160
    @doeremi616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8

    사실 이 문제는 20년 전부터 예고되었던 문제였죠. 그런데 몇몇 기관과 기업을 보내고 할 일을 다 했다고 생각한 정치권이나 정부도 문제였죠. 이제는 진짜로 지방을 발전 시킬 방안을 찾아야 합니다. 적어도 광역시 급 도시에는 일자리와 함께 교통과 문화 시설과 병원 같은 의료 시설이 잘 갖춰져야 합니다. 그런 것이 안 갖춰지면 젊은 청년 세대를 지방에 잡아 두는 것은 앞으로 더욱 힘들어 질 겁니다. 그리고, 지방에서 의대나 로스쿨을 지역 할당으로 입학해서 졸업 후 의료인, 법조인이 되었으면 최소 그곳에서 10년은 활동하게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게 없으니 졸업 후 서울에서만 일하려고 하니 생각해볼 문제라고 봅니다. 그런데, 아직도 입학하려면 수능 2~3등급은 받아야 하는 전통의 명문인 부산대가 저 정도로 힘든데 다른 학교들은 더 하겠네요..

    • @jhjang1249
      @jhjang124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조금 생각해보면 답은 나와 있어요. 큰 기업들이 지방으로 가야 합니다. 그리고 정부와 지자체가 기업이 지방가는 게 더 이득인 이유를 만들어줘야 하고.

    • @user-fh7bp3ep5z
      @user-fh7bp3ep5z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미래 대한민국의 균형 발전을 위한 수도 이전을 관습헌법? 인가 뭔가로 반헌법 결정 내린게 진짜 마지막 기회를 차버린것임.

    • @user-fq2co3ik6m
      @user-fq2co3ik6m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진짜 지방에 일자리 너뮤 없어요,, 저는 그나마 전문직이라 남아잇을수있었지 아니였으면 어쩔수없이 서울로 갓을듯요,,,

    • @user-hf5fx2ce3w
      @user-hf5fx2ce3w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hjang1249지금도수도권에 몰린 인재 찾기 위해 기업들은 지방 탈출 러시하는 상황인데 퍼준다시피 해도 과연 내려올지

  • @user-bp4pk2iw4w
    @user-bp4pk2iw4w ปีที่แล้ว +61

    교육문제 심각하지요. 교육관련 연구하는 사람들이 많을텐데, 왜 학생, 학부모 모두 고통받는 입시제도, 교육제도가 계속 유지되는지, 정말 한심하네요.

    • @user-eq6ci1su2l
      @user-eq6ci1su2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가진자들은 절대 못놓죠. 그들 입장에서 없는자들은 이미 아웃오브안중임. 현재 교육은 가진자들끼리 경쟁해서 살아남기위한 시스템이고, 기업도 그 성질을 이용해먹고 있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