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융 : 동시성 현상과 홀로그램 우주이론 (feat. 데이비드 봄, 파울리, 스웨덴보그)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6 มิ.ย. 2019
  • 융의 동시성 현상을 데이비드 봄의 숨겨진 질서로 간단하게 정리하였습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7K

  • @user-pw8no6ni8x
    @user-pw8no6ni8x 4 ปีที่แล้ว +265

    흥미로운 이야기들로 가득차 있지만 뭐랄까... 일련의 extrapolation들로 여겨지는군요. 물론 저같은 보수 기독교인들에게는 기본적으로 초자연적 현상의 존재를 전제하고 있으니, 칸트가 스웨덴보그에 대하여 말했다는 '정신병원 candidate'이라는 식으로 반응할 생각은 없습니다. 헌데 주류물리학에서 그 자체적 모순에 대한 정리를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보니 흥미로운 건 다 갖다 쓰신 것 같다는 느낌이 들기도 하네요.
    예를 들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Bohm의 Implicate Order의 Hidden Variable까지 포함하여)과 two slit 현상에 대한 Copenhagen 해석은 서로 양립하지 않고 있거든요. 아예 아인슈타인의 상대론이 애시당초 틀린 것일 수도 있지요.
    이중슬릿에 대한 물리학계의 이해가 아마도 잘 설명된 영상을 원하시면 김상욱이라는 젊은 교수의 영상 (th-cam.com/video/V5ws36U7wiw/w-d-xo.html)을 참고하셔도 좋겠습니다만, 이 분이 말씀하시는 것은 이중슬릿 현상이 원칙적으로 전자와 같은 작은 입자들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는 겁니다. 아마도 이 실험이 시사하는 가장 중요한 점은 아마도 입자들이 빛보다 어마어마하게 빠른 속도로 서로 교신할 수 있다는 점일 겁니다.
    하지만 이 이중슬릿 현상도 어쩌면 고전전자동력학에 의해 설명이 될 수도 있다고 봅니다. 관측을 하는 경우에는 이중슬릿을 지나가는 전자들이 언제그랬냐는듯 시치미 뚝떼고 각각의 슬릿만을 통과하면서 더 이상 중첩된 패턴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그래서 전자들이 어쩌면 유령일지도 모른다는... 뭐 그런... 그게 말이 되겠습니까마는... 관측을 받지 않는 동안에 한개씩 쏘아지는 따라서 매번 중첩이 될 다른 전자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전자들이 마치 서로 약속이라도 한듯 결과적으로 중첩패턴을 드러내는 것도 마치 도깨비 현상처럼 보이지요.
    김상욱 교수가 말하는 고분자들을 통한 이중슬릿 실험에서 과연 그런 패턴이 나타난다면 이 고분자들이 혹시 일말의 전하를 띠지는 않을까 좀 들여다 봐야할지도 모르겠어요. 전기적 중성의 입자들의 행동에가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는 슈로딩어 방정식이 실은 전하들의 입자들의 운동을 지배하는 맥스웰의 파동방정식에서 유도되는 걸 아는 물리학자분들이 많지 않은 것 같더군요.
    이중슬릿실험에서 전자들이 중첩된 패턴을 나타내는 것은 각각의 전자들이 운동하면서 공간에 이미 존재하는 빛의 전달 매질 (주류물리학에서 그 존재가 부정되고 있는 에테르)과의 간섭과 관련이 있을 겁니다. 측정을 할때는 측정이 입자들과 에테르 간의 상호작용과 관련되는 환경에 주는 영향이 너무 크기 때문이 아닐까…
    아인슈타인의 상대론이 틀릴 가능성에 관하여는 E=mc^2자체가 고전 전자동력학 차원에서 몇가지 다른 방법으로 유도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놀랍게도 주류물리학계에서는 이 점을 완전히 무시하고 있는 듯 해요.
    수학적 상상의 결과가 물리적 세계의 현실을 항상 적절하게 나타내는 것이 아닐 수도 있으니, 상상의 점프를 위해 수학을 사용하다보면 소경이 소경을 인도하는 일이 일어날수도 있다고 봐요.

    • @navidad800
      @navidad800 4 ปีที่แล้ว +106

      영상도 어렵고 댓글은 더 어렵다ㅠㅠ우앙

    • @playafter2974
      @playafter2974 4 ปีที่แล้ว +8

      관련 전공자가 아니라 상대성이론이 틀릴 가능성이 있다는 건 처음 알았네요! 사실 글의 내용이 너무 어려워서 하나 여쭤보고싶은게 있는데 이중슬릿 실험 자체에 오류가 있다고 보고 계신건가요?

    • @user-pw8no6ni8x
      @user-pw8no6ni8x 4 ปีที่แล้ว +26

      @@playafter2974 이중슬릿 실험 자체에 오류가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그 해석들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이죠.

    • @uio86a
      @uio86a 4 ปีที่แล้ว +3

      이분이 쓴글 더볼려면 어디로가야하나요

    • @user-iz1kd5ho2h
      @user-iz1kd5ho2h 4 ปีที่แล้ว +14

      이중슬릿실험에서 간섭패턴이 에테르(중성미자?)로 여겨지는 물질에 영향을 받았다면 관측을 시도할 때는 왜 간섭이 나타나지 않는지 의문입니다

  • @kbs__
    @kbs__ 4 ปีที่แล้ว +17

    불교의 ≪법화경≫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인간은 하나하나 별개의 존재가 아니고 근원에 있어서는 모두 일체(一體)라는 것을 모든 사람들이 깨닫고 그 깨달음이 진정으로 몸에 갖추어졌을 적에, 비로소 우애에 의해 서로 관통된 인간관계가 성립하여 참으로 평화적인 세계가 출현하게 되는 것입니다. 법화경은 궁극에 있어서 이 자타일체를 가르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습니다.
    유익한 영상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 @user-ku9hj9er6e
    @user-ku9hj9er6e 10 วันที่ผ่านมา +3

    자연의 이치는 정해졌고 그것이 팔정도와 맞물려 팔을 옆으로 눕혀서 지속적으로 뜨게질을 해나가는 형태입니다.
    자연의 이치는 서로 중첩될수도 있으며 누군가는 순간 동시에 같은 생각을 할수 있는것입니다.❤❤❤

  • @gem3659
    @gem3659 4 ปีที่แล้ว +64

    자신이 지은 업은 깊은바다속에, 산속에 숨는다고 피해갈수 있는게 아니라는 말이 떠오르네요
    다른차원에서 보면 다 연결돼있으니

  • @evening_is
    @evening_is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이런거 보면, 문학가들의 직관력,통찰력은 정말 대단하네요.
    김춘수 시인의 꽃 이라는 시가
    바로 양자물리학, 동시성 이론이랑 똑같은 것 같은데요
    ' 내가 그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 @sarah-sz1vl
      @sarah-sz1v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양자역학 설명 들으면 이 시가 떠오름

  • @madstormlee4778
    @madstormlee4778 4 ปีที่แล้ว +85

    우리가 아직 모른다에 동의합니다. 앎의 기본은 우리가 많이 모른다는것을 아는 거죠.
    세상을 경외의 눈으로 바라볼 때 과학이 피어납니다.

  • @heesookim1228
    @heesookim1228 4 ปีที่แล้ว +68

    어떤 사람들에게는 허황된 이야기이겠지만, 우주의 모든 것이 연결 되어 있다는 것은 제가 가장 좋아하는 이야기 중 하나에요 ㅎㅎ
    내가 있는 공간과 시간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것만으로도 훌륭한 철학이 되는 것 같습니다.

  • @user-hg4ex4fm8x
    @user-hg4ex4fm8x 4 ปีที่แล้ว +217

    붓다가 2천5백년전에 우리에게 가르쳐준 인과의 법칙이 요즘시대에 조금씩 우리에게 밝혀지는 과학의 모습인것을 보면 정말 정신의 세계는 완성된 길을 찾는것이고 과학의 길은 우리가 설명할수 없는 정신의 세계를 실제화하는 것 같읍니다. 붓다가 그랬지요 모든것은 서로 연관성이 있다고. 잘 봤읍니다.

    • @csi2203
      @csi2203 2 ปีที่แล้ว +2

      같읍니다X같습니다O

    • @angel9526
      @angel9526 ปีที่แล้ว

      불교는 진리 입니다. 과학은 불교가 2600년전 발견한 원리의 발자국을 따르고 있을 뿐입니다.

    • @user-ll7nb4wo9x
      @user-ll7nb4wo9x ปีที่แล้ว +3

      당신도 다 알고있습니다 단지 모른척할뿐...

    • @user-ob5tx4fd4x
      @user-ob5tx4fd4x ปีที่แล้ว +1

      인드라망

    • @user-lv6jy2in8u
      @user-lv6jy2in8u ปีที่แล้ว +5

      인과의 법칙이 아니라 연기의 법칙이죠. 인과는 브라만교가 원조입니다.

  • @pluto-fm5ig
    @pluto-fm5ig 3 ปีที่แล้ว +8

    오늘 아주 오래전 큰스님의 이야기가 생각납니다.. 우연은 없다고요 시종이없는 우주는 씨줄과 날줄로 이어진 인간이 알수없는 질서가 있다는 말씀이 생각납니다.

  • @gineatripto
    @gineatripto 4 ปีที่แล้ว +100

    우주만물 모두가 연결되어 있죠. 의미없는 우연도 없고 간절함이 길을 보여줄때가 무수히 많습니다. 과학으로 해석할수없다고 존재하지 않는건 아니죠.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orangesky8161
    @orangesky8161 4 ปีที่แล้ว +49

    제가 물리학에 대해 알면 알수록 불교에서 하는 이야기와 너무 닮았다고 해야하나 그래서 깜짝깜짝 놀라는데 바로 딱 오늘 영상 이 부분이 그렇네요 일반대중도 알기 쉽게 풀어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가 물질이라고 인식하는건 우리 인식이 있어서 가능한 것 아닌가 싶네요

  • @whdgh635
    @whdgh635 4 ปีที่แล้ว +82

    모든것에는 이유가 있고 우리의 삶에 일어나는 모든 일에는 원인이 있죠. 이것을 알아가는게 과학이자 도의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바른 법을 찾아 행하는 도반으로써 즐거운 세상을 만들어요!☺️

    • @JH-qr6wu
      @JH-qr6wu 4 ปีที่แล้ว +4

      👍👍👍☺

  • @user-yamaejisik
    @user-yamaejisik ปีที่แล้ว +19

    시간도 코펜하겐 해석이 맞는 것 같습니다. 가령 여자들은 시간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지만, 내가 물어보는 순간 결정되더군요. "시간 없어요."

    • @streetcar-pq1zs
      @streetcar-pq1zs ปีที่แล้ว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bz5gm8st6p
      @user-bz5gm8st6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주 공감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YK-hi3bl
      @YK-hi3bl 22 วันที่ผ่านมา

      당신은 천재

  • @joony2096
    @joony2096 3 ปีที่แล้ว +80

    제가 지금까지 들었던 것 중에서 동시성에 대한 가장 단순하고 명료한 설명이네요. 거기다 봄의 홀로그램 우주론, 이중 슬릿 실험에서 양자 얽힘까지 통짜로 한방에 설명이 하시다니 그저 놀라울 뿐입니다. 감사합니다.

  • @illiya8377
    @illiya8377 4 ปีที่แล้ว +242

    TV 안본지 오래다, TV는 이런 좋은 유튜브 채널 큰 화면으로 보는 용도

  • @waterexisting9651
    @waterexisting9651 4 ปีที่แล้ว +9

    칼 융, 제 정신적 멘토, 그가 남긴 말 중에 "우리가 하늘 위를 신으로 채우는 활동을 멈추자, 신들은 우리의 정신 속으로 들어왔다"는 말을 정말 좋아합니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칼 융에 대해 깊이있게 공부해보고 싶은데, 혹시 재밌게 접근할 만한 칼융의 저작 아시는 분 있으시면 소개부탁드려요~

    • @pleia777
      @pleia777 4 ปีที่แล้ว

      우선 이 영상 추천드립니다
      th-cam.com/video/UOdo9JTVN4Q/w-d-xo.html
      그리고 여기 채널 운영자가 융에 대해서 아주 많은 걸 알고 있더라구요
      책이나 그 밖의 것들을 물어보면 좋은 답변 들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 @user-cc2gb3pu9r
    @user-cc2gb3pu9r ปีที่แล้ว +3

    예지몽이 맞을 때 참 신기한데.. 그 이유가 이렇게 설명이 되다니! 오빠가 네살에 죽었는데... 동생이 결혼하겠다고 데려온 남자가 죽은 오빠와 생년월일이 똑같았죠 게다가 사돈부부의 결혼 기념일과 저희 부모님 결혼 기념일이 똑같아요. 제 여동생의 양력 생일과 저의 음력 생일이 똑같구... 요런 건 양자역학으로도 설명이 불가능하겠죠? 미래의 일을 조금 본 것과는 차원이 다른 우연으로 일어난 일이니! 동생이 그 남자를 부모님에게 데려온 날 집에 초록색 아기 뱀이 들어왔어요. 죽은 오빠가 뱀띠....! 화가나네요. 이상한 우연들의 의미를 알 수가 없는데 우연이 반복되니

  • @user-bj4ju7ix4m
    @user-bj4ju7ix4m 4 ปีที่แล้ว +108

    이렇게 쉽게 설명할 수 있는건 이론들을 겉핥기가 아니라 완벽히 이해했다고 볼 수 있을듯... 정말 대단하십니다. 무언가를 완벽히 자기것으로 이해했을 때 나오는 영상 그저 존경을 표합니다. 구독과 좋아요는 당연히 필수

    • @csi2203
      @csi2203 2 ปีที่แล้ว

      뚝딱철학이라고 쓰고 철학박사라고 읽는다?

  • @BANG4444
    @BANG4444 4 ปีที่แล้ว +393

    양자역학 핵심을 정말 쉽게 설명해주셨다.. 이공계 물리학 전공자들도 제발 인문학 책 좀 읽고 표현력 좀 늘렸으면 좋겠음.. 진짜 엄청나게 많은 양자역학 관련 영상을 찾아봤는데 이 분의 설명이 제일 깔끔했다.. 심지어 이 분은 관련 전공자도 아님.. 어떤 분야에 대해서 정말 빠삭하게 아는거랑. 그걸 강의할 수 있는 거랑은 다른 능력이라는 걸 다시 한번 느낀다. 진짜 대부분이 횡설수설 정리도 안되고 뭐라는지 볼때마다 개답답했는데.. 역시 철학자는 달라

    • @itzimotal9298
      @itzimotal9298 4 ปีที่แล้ว +35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한다'는 얘기가 있죠.
      전공자들은 일반인들이 무엇을 모르고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쉽게 설명을 못해 주는 것 같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착각하거나 오해하게 되는 이상한 설명까지...ㅋ
      이중슬릿과 양자얽힘에 대한 설명 중에 이해하기 쉽고 정확했던 것 같습니다.

    • @SKYBLUE-oo2ld
      @SKYBLUE-oo2ld 4 ปีที่แล้ว +8

      저도 양자역학 보다가 이분영상 보니까 이해가 되네요... 과학이란 인간이 모르는부분이 아직도 무궁무진하다고 생각됩니다

    • @SKYBLUE-oo2ld
      @SKYBLUE-oo2ld 4 ปีที่แล้ว +12

      길은 하나로 통한단말이 있죠 결국 우리가 아는신이라든가 우주라든가 유령이라든가 이런거는 과학이 좀 더 발전하면 어느정도 밝혀질것 같네요

    • @user-bt2tu8pm4o
      @user-bt2tu8pm4o 4 ปีที่แล้ว +35

      과학의 언어는 수학입니다.
      양자역학의 이론은 수학적으로 확립되었고 다시 수학으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결국 말로 설명해봐야 한계가있고 진정으로 이해하길 원한다면 수학적으로 접근해야됨

    • @dongwonkim1223
      @dongwonkim1223 4 ปีที่แล้ว +5

      100% 이해한 지식을 설명하시는 분과 자신도 잘 모르면서 자신의 기억력으로 나불나불대는 것의 차이일까?

  • @user-ku9hj9er6e
    @user-ku9hj9er6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그런 느낌을 알수있습니다.메세지는 항상 있습니다. 나자신은 어릴때 부터 세상을 가져다 준다는 말을 자주 하곤 했습니다.
    나의 메서지는 세상을 가져다 줍니다.
    지금도 그것을 알수 있습니다.
    알수없지안 알아 차림 입니다.
    사람들은 정신병이라는 것을 확실히 알지 못합니다.
    그들이 가족을 생각할때 나는 나라를 생각합니다.
    그들이 나라를 생각하면 나는 지구를 생각합니다.
    그들이 지구를 생각하면 나는 우주를 생각합니다.
    그런 느낌 뿐입니다.
    우ㅡㅡㅡ와❤❤❤돌아오는 성질은 매우 아름다운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ljs91389142
    @ljs91389142 4 ปีที่แล้ว +103

    지나가다 우연히 발견한 채널
    완전 내가 좋아하는 고퀄영상이네요
    왜 이제야 발견했을까
    👍👍👍👍👍

    • @user-rz4kr9ep3x
      @user-rz4kr9ep3x 4 ปีที่แล้ว +1

      왜요

    • @user-nb3os5gd4m
      @user-nb3os5gd4m 4 ปีที่แล้ว +3

      저두요. 이런 채널을 오늘에서야 알게 되었네요.

    • @dakagaya5643
      @dakagaya5643 4 ปีที่แล้ว +1

      구독 좋아요~했어요~
      마치 모래에서 보석을 본듯

  • @user-ws3kb3bo1x
    @user-ws3kb3bo1x 4 ปีที่แล้ว +43

    우리는 누구로부터 관찰을 당하고있네요.
    관찰하면 빛이 입자로 변하고, 관찰하지 않으면 빛이 파동으로 변하고...그러면 우리의 세계를 누군가 관찰을하고 있다는 말이네요.
    그 관찰자를 물리학자들은 ‘우주’라고 말했다던데...

    • @user-ys7wo1bu6t
      @user-ys7wo1bu6t 4 ปีที่แล้ว +10

      그 누군가는 나 입니다. 우리의 고도의 의식

    • @user-sn4jm9gv8q
      @user-sn4jm9gv8q 4 ปีที่แล้ว +3

      원자 입장에서 관찰자는 우리가 생각하는 사람,외계인이 아닌ㅎㅎ 예를들어 빛의 작은 입자 정도가 스치기만 해도 관찰이 된 것 으로 결과값이 나온다고 하네요

    • @user-ws3kb3bo1x
      @user-ws3kb3bo1x 4 ปีที่แล้ว

      잠부나무 아~~그럴수도 있겠네요~!좋은 답변 고맙습니다~^^

    • @wgm7279
      @wgm7279 3 ปีที่แล้ว

      @@user-ys7wo1bu6t 강철의 연금술사 진리의 문이 생각납니다. 오래전에 봤던거라..

  • @Deusimagination
    @Deusimagination 4 ปีที่แล้ว +64

    러시아 물리학자가 쓴 리얼리티 트랜서핑 이란 책이 떠오르네요 같은 내용이에요 심리학자도 물리학자도 철학자도 종교도 결국엔 같은것을 이야기하고 있는걸 보면 이게 진리이지 싶습니다

  • @user-tz5hs5lo8n
    @user-tz5hs5lo8n 3 ปีที่แล้ว +94

    와.. 칼 융의 동시성 이론, 불교의 시간관, 양자역학의 얽힘 현상 이 세가지에 관심이 생겨 여기저기 설명을 들었지만 손에 잡히지 않는 느낌이었는데 오늘 세가지가 동시에 이해되네요. 대박

  • @user-co2ll7gc6w
    @user-co2ll7gc6w ปีที่แล้ว +3

    각자의 판단은 각자의 수준안에서 펼쳐진다 그러니 결론도 각자의 몫이다 우주는 이렇게 각자의 측면이다 그러나 그 모든 우주는 결국은 하나로 귀결된다 하나 안에서 펼쳐지는 다수의 인과다

  • @user-rq5ib6vq4j
    @user-rq5ib6vq4j 4 ปีที่แล้ว +118

    동시성에서 오는 영감을 잘받기위해 우리는 텅비우는것이 중요한것같습니다 잘보았습니다 :)

  • @user-lr9ys7tm4q
    @user-lr9ys7tm4q 4 ปีที่แล้ว +80

    와.. 이런 머리 아픈 내용을 정말 재미있게 설명해주시네요. 15분이 금방 지나갔네요.
    이런 내용을 가지고 15분 동안 집중하게 만드시다니 ㅋㅋ

  • @user-hm1nu3qg5g
    @user-hm1nu3qg5g 4 ปีที่แล้ว +125

    물리학과 4학년 학부생인데 진짜 설명 엄청 잘 하시네요! 저는 가능성이 분명 존재하는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

    • @user-hm1nu3qg5g
      @user-hm1nu3qg5g 4 ปีที่แล้ว +25

      사실 저 두 분들이 말하는 것들은 사이비다! 라고 하는 게 아니라 이런 가설도 세워볼 수 있구나로 보는게 맞아요. 실험적으로 증명될 수 없는 영역에 대해서 세워보는 여러가지 가정들이 저는 의미가 없다고 보진 않습니다. 이런 방법들으로 세상에 대한 정답에 다가가는 게 인류가 해야할 일이지요. 그리고 어떤 의견에 대하여 비판적인 관점 또한 필수로 가져야 합니다. 비판을 위한 논리적 근거 또한 당연히 필요하구요 :)

    • @noah_son
      @noah_son 2 ปีที่แล้ว +6

      너무 신기해요..

    • @user-cn8ef7mv3p
      @user-cn8ef7mv3p ปีที่แล้ว

      @@user-hm1nu3qg5g 가설이 아니라 실제고 진실입니다.

  • @user-dh9lp8hn4g
    @user-dh9lp8hn4g 4 ปีที่แล้ว +13

    신비한것이라기보다 우리가 보지 못하는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부처님이 설하신 연기론 모든것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말씀으로 불이, 남과 내가 둘이 아니다. 는 말씀이 생각나네요. 이러한 말씀을 그대로 현대물리학이 증명하는것 같습니다.

  • @du-hocheon1878
    @du-hocheon1878 4 ปีที่แล้ว +269

    융의 동시성 현상과 양자역학을 이어주는 강의! 정말 잘 봤습니다!

  • @gun1695
    @gun1695 4 ปีที่แล้ว +182

    만물이 하나의 점에서 시작한게 맞다면 서로가 얽혀있지 않은게 오히려 이상할 것 같아요. 과학과 철학의 연결고리는 볼수록 신기합니다 :)

    • @caramelo6154
      @caramelo6154 ปีที่แล้ว +5

      오 박건 님 관점도 신선합니다. 어떻게 보면 당연하네요.

    • @user-sp2xl6xu8e
      @user-sp2xl6xu8e ปีที่แล้ว +2

      맞아요 저도 그리 생각합니다

    • @BOBSEONGSOO
      @BOBSEONGSOO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거 명쾌하네요!

  • @user-xf7th5of9b
    @user-xf7th5of9b ปีที่แล้ว +3

    1759년인데 1579년 오타네요. 스웨덴보그가 화재를 천리안으로 보았다는 첫 장면이 오타입니다. 하이브리드 스키마를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rainysun85
    @rainysun85 2 ปีที่แล้ว +3

    우리의 의식이 우주의 일부 차원만 인식하기 때문이라는 부분에서 아...하는 감탄사가 나왔습니다. 3차원으로 존재하는 원기둥을 2차원만 인식하는 존재는 네모나 원으로 보이는 것 같겠네요

  • @user-og4kd4pj8b
    @user-og4kd4pj8b 4 ปีที่แล้ว +40

    우와~ 이건 마치 불교철학과 유사하네요~~^^

  • @Duck-ug2iw
    @Duck-ug2iw 5 ปีที่แล้ว +92

    한번쯤 머리속에서 스쳐지나간 생각인데 이런 이론을 만들어서 지금까지 누군가에게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있는 그들이 참 대단하게 느껴지네요. 쉽게 설명해줘서 감사합니다.

  • @user-si9bv1sh8z
    @user-si9bv1sh8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재미있게 보고있는데요
    감사합니다^^
    양자물리학의 핵심은
    심은대로 거두는구나
    로 이해했습니다
    쌓은 선에서 선을 내고
    쌓은 악에서 악을 내는 법칙
    상상한대로 되는데
    좋은 상상을 할 수 있으려면
    좋은 것을 쌓아야하는구나
    쉽게 생각했습니다 ㅎ
    양자역학
    어려운 학문인데
    이렇게 쉽게 생각하니
    그런것같다요
    기뻐하며 선을 행하다면서
    행복하게 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si9bv1sh8z
      @user-si9bv1sh8z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생은 심은 것을 거둔다
      대접받고 싶은대로 대접하고
      내가 당해서 싫은 일 남에게 하지 않기
      만고불변의 진리♡

  • @user-kt8my1zm5k
    @user-kt8my1zm5k 4 ปีที่แล้ว +80

    세상은 파동이고
    파동에의해 입자가 결정됩니다
    인간의 의식으로 들어온 파동은
    입자로 보이죠
    빛, 촉감도, 소리도 파동아닌게 없죠
    그것이 인간으로 들어온 순간
    형상화되는것일뿐
    지금 이 찰나가 아니면
    모든 건 꿈입니다
    1초전 지나간 과거도
    꿈과다를바없고
    1초후 미래도 꿈과다를바가 없죠
    불확정하게 있는것입니다
    지금 이 찰나가 현실처럼
    생생한것은 파동이 입자화 된것이죠
    파동이 입자입니다
    잠재의식이 현실화된 것이죠
    생각이라는 파동이 현실화된거이죠
    죽기전 직전만 있고 직후는 이제 없습니다
    의식이 없는 상태서 다시 불확정의 상태가 되는것이죠
    불확정의 지금 이마음입니다
    참나입니다
    1초전의 1초후의 상상력입니다
    우린 이찰나만 존재하며
    찰나 아닌 시간에는 또 죽은거고,
    지금이순간엔 산것이죠
    동시에 존재합니다
    지금 이순간도
    눈에보이는것만 형상화되며
    나머지는 미지의 불확정의 영역입니다
    산것이란개념은
    티비가 작동하듯이
    기계가 작동하는것이랑 같죠
    100년을 사나 1000년을 사나
    죽기전에 떠올려보면 찰나밖에 기억이 안나게됩니다
    현실화되는 파동은 바로 찰나이기때문입니다
    99.9999퍼센트가 꿈인 이세상
    어떻게살아야 할까요?
    인생이 찰나임을 깨달아야죠
    해도 한바없이
    재미를 추구하고
    힘을빼면 됩니다
    집착하며 억지로 사는것도한방법이고
    즐기면서 집착없이 사는것도 한방법이라면
    후자가 낫겠죠
    집착이 곧 성취라는 고정관념을 없애는것이죠
    꿈이 형상화된게 지금 현실일수도 있습니다
    불확정함 속에 형상화가되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보는 세상은 티비입니다
    전자, 리모콘같은 전파가 티비의 영상을 보여주듯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는 불생불멸입니다
    빅뱅이전의 우리의 기원을 안다면 말이죠
    시간의 개념도 지금 입자화된 세상에서만 존재하죠
    건물넘어의 시간은 없죠
    그냥 꿈입니다
    꿈속에서 시간이 없는것처럼

    • @mastermind4197
      @mastermind4197 4 ปีที่แล้ว +1

      어렵게 말하네요
      그래서
      결론이 뭐예요

    • @user-oq1uw9pq2v
      @user-oq1uw9pq2v 4 ปีที่แล้ว +9

      우리가 타인과 마주하며 살아가는 이유도 그 때문이것 같아요. 한 개인의 세계는 하나의 단독적인 파동을 가지고
      우리는 그 파동의 부딪힘으로 이 전과는 다른 형태의 삶을 살아가게 되니까요. 꼭 실제 만남이 아니더라도
      문학, 노래, 그림 등 하나의 작품 또한
      하나의 파동인 것 같아요. 그러한 '마주침'들은 크게 때로는 작게 제 삶을 바꿔 놓았으니까요. 본인께서 쓰신 글이
      저에게는 그런 마주침이였어서 간밤에
      장황하게 늘어 놓았네요ㅎ
      잘 읽었습니다.

    • @nuvovevo9489
      @nuvovevo9489 4 ปีที่แล้ว +10

      어렵게도 늘어놓으셨네.
      부처님이 이미 2500년전에 한마디로 표현해놓으신것을.
      '색즉시공 공즉시색'
      물질이 공(에너지)이고,
      공이 곧 물질이다.
      부처님은 2,500년전에 어떻게 아셨을까? 양자물리학도 없던시절인데.
      불교에서도 항상 지금.현재.여기를 강조합니다.

    • @skyinthe908
      @skyinthe908 4 ปีที่แล้ว +5

      본인의 앎과 생각에 너무 힘을 빼시길..

    • @user-vt9pq2qc6w
      @user-vt9pq2qc6w 4 ปีที่แล้ว +4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됩니다^^

  • @david-ji8tw
    @david-ji8tw 5 ปีที่แล้ว +21

    물리학 공부하면서 느끼는게 물리학이 불교쪽으로 가고 있다는 점이에요. 우주가 다 하나라는 점도 그렇고, 연기론 인과가 있는 것도 그렇고, 만물이 공이고 비어있다는 것고 결국 물질이 원자 전자사이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도 그렇고, 감각을 믿지 말라는 것도 실제로는 사물의 원본, 본성을 이루가 감각하는게 아니라 빛의 반사를 통해 인간의 눈이 관측가능한 수준만 보이는거고, 도형의 형태나 물질 형태 또한 보이는것과 실제가 다른 것이고. 물질이 또한 파동으로 이루어져있다면, 서로간에 어떻게든 영향을 주는 것이고. 실제로 이 이론이 어느정도 맞다면 일체 유심조에 의해 심적 상상이 현 물리계에서도 영향을 주게 되있는건데. 물리학 공부하면서 불교철학을 공부할수밖에 없는 ㅎㅎ

    • @KuAhAk
      @KuAhAk 4 ปีที่แล้ว

      공감합니다.

    • @hohohi864
      @hohohi864 4 ปีที่แล้ว

      불교로 해석 하는 사람들이 있으시네요, 저는 오히려 깊은 신학과 연관이 되었다고 생각해요, 서양철학의 틀이 기독교에서 시작되었고 융과 스베덴보그는 물론이구요. 물리학도 중세와 근대로 발전과정에서 신학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합니다. 제 자신이 환상과 꿈으로 예지 능력을 경험한 적이 있고 스베덴보그 선생님의 깊은 영적 체험도 어느정도 받아들일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 @user-jr2jo5xs7h
      @user-jr2jo5xs7h 4 ปีที่แล้ว +2

      표현만 다를뿐 깊게 들어가면 다 같은소리. 아닐가요 진실을 거짓으로 덮어 두려움을 만들어 인간세상을 통치하는 위선자들이 있어서 문제지만 그것또한 과정이 아닐지 생각합니다

    • @user-eg4jc7tk9w
      @user-eg4jc7tk9w 4 ปีที่แล้ว

      네 불교는 양자역학을 넘어섭니다

  • @hyakins
    @hyakins ปีที่แล้ว +3

    2차원눈은 3차원을 못 보고 3차원눈은 4차원을 못 보듯..
    시간도 우리 개념으로 앞에서 뒤로 흐르지만 사실은 모두 한공간 일수도 있다는데 ..그 옛날에 이런 발상이 대단한듯..

  • @Miragee248
    @Miragee248 4 ปีที่แล้ว +1

    불교를 양자역학이 잘 설명해줍니다. 일체유심조를 양자역학이 설명해 주는 영상 최고입니다. 보는 관찰자가 전자를 입자라고 생각하면 입자로 행동하고 파동이라고 생각하면 전자가 파동으로 변하기도 한다는 것이 실험으로 입증됨.

  • @pp-1954
    @pp-1954 4 ปีที่แล้ว +28

    물리학까지 다루시다니!
    물리전공생 잘보고 갑니다
    이 세계에는 저희가 보고 만질 수 있는 것 외에도 아직 모르는 것들이 많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게 과학으로도 밝혀질 수 있다면 정말 인류는 진화하겠죠

  • @luckyluck4457
    @luckyluck4457 4 ปีที่แล้ว +28

    지식을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광고 건너뛰기 않는걸로 지식공유가 계속되기에 동참합니다~

  • @mmnnoomn
    @mmnnoomn 4 ปีที่แล้ว +14

    외국에서 대학생때 취업활동 때문에 면접을 10시간 거리에 있는 지역에 갔어야 했거든요. 근데 면접 전날 제가 사는 지역 전철 플랫폼에서 면접보러 가는 회사 사장님을 바로 앞에서 마주친적이 있어요 이거 말고도 이런 일을 정말 자주 겪는데 이게 좋고 나쁘고를 떠나서 정말 신기한것 같아요

  • @user-gn6ru5ee2b
    @user-gn6ru5ee2b 3 ปีที่แล้ว +1

    공감합니다. 건강챙기십시요 응원하며 시작한편 보냅니다
    나무와 함께 춤을/철수 김원태.
    구름꽃은 달려가 손잡고 날아가고 서서있는 고독한 풀어논 바람이이는
    숲속의 나무들이 들썩들썩 춤을춘다
    4/3월츠로 붙잡고 원으로 너풀너풀 추더니 불이붙어 사쁜사쁜 8/6스케팅 월츠로 날개짖을 빠르게하며 춤을춘다.
    쿵짝짝 쿵짝짝 리듬에 맞추어 흔드는
    나뭇잎도 잡은손이 젖는다
    햇살에 쫓기어 뒤따르는 그림자도
    월츠춤을 배우고 있나보다 스텝을
    쫓는다
    흙속에다 뿌리넣고 이파리만 흔들어대는 나무들도 근육의 발달에 좋겠다
    정서를 다듬는 사교나 운동에도 좋겠다고 입을연다.

  • @chaeyunitv
    @chaeyunitv 4 ปีที่แล้ว +14

    동시성현상 정말 일상생활에서 많이 생기는데 그때마다 신기하고 뭔가 있다라고 생각했었어요. 진짜 신기하네요. 앞으로 동시성현상이 생길따마다 적어놔야겠어요!

  • @user-kj3wb3sp5q
    @user-kj3wb3sp5q 4 ปีที่แล้ว +18

    무슨말인지 하나도 모르겠지만 글리세린과 잉크 실험은 엄청 놀랍네요!

  • @kutapark
    @kutapark 4 ปีที่แล้ว +25

    유튜버에서 보기 드문 아주 좋은 채널입니다.

  • @snfsong
    @snfsong 4 ปีที่แล้ว +120

    인간의 운명과 우주에는 우연이란 없는것. 우리가 보고 느끼는 이 모든것은 우리의 의식의 촛점이 어느 특정차원 특정 주파수에 집중된것.
    따라서 우리의 촛점을 근원으로 돌리게 되면 과거와 미래 현재가 동시에 펼쳐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는데...
    현재는 과거로부터 기인하지만 현재를 내가 바꿈으로써 미래와 지난 과거조차 바 꿀 수 있다는...
    불안증,강박증... 등등은 스스로 경험하기를 원해서 또는 그런 상태를 극복하는 자신을 바라보는 모습을 원하는 무의식을 넘어 있는 또 다른 의식의 촛점...

    • @sangyongpark2137
      @sangyongpark2137 4 ปีที่แล้ว +36

      횡설수설하는듯 하지만 심오한 내용을 담고 있네요. 현재를 바꾸면 과거마저 바뀐다는 말씀은 보통 이야기가 아니죠. 자신의 과거에 대한 이해가 바뀌게 되고 거기서 어떤 도약이 일어나죠.

    • @oceank9154
      @oceank9154 4 ปีที่แล้ว +7

      지능은 스스로를 과대 평가하곤 하죠.
      조금 뛰어난 상상력을 가졌다는 이유 만으로 말이죠.
      자기 복제를 목적으로 하는 생물 중에 가장 큰 지적 처리능력을 가졌지만,
      동시에 자신들을 뛰어넘을 무기물을 탄생시킨 생물이기도 하죠.
      놀라운 성취인 동시에, 한계도 명확하죠.

    • @dakagaya5643
      @dakagaya5643 4 ปีที่แล้ว +5

      마치 나의 과제를 말해주는것 같습니다

    • @berckyblue
      @berckyblu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현재의 무의식을바꾼다면 과거와 미래의 무의식이 바뀐다는거겠죠 무의식은 차원을 뛰어넘어 영향을 끼치니까😂

  • @volatilemessage7025
    @volatilemessage7025 4 ปีที่แล้ว +34

    이런 고급 영상이 있었다니. 채널 지금 발견하고 구독했습니다.

  • @ilnam-ft4lh
    @ilnam-ft4lh 4 ปีที่แล้ว +14

    융 이론과 책 왓칭을 접했을 때의 흥미로움..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영역은 우주의 극히 일부분인 것 같아요.

  • @user-kh1ew9ub2d
    @user-kh1ew9ub2d 4 ปีที่แล้ว +21

    불교의 인연법이네요. 예로부터 정신적으로 깨달으신 분들이 알고 있던 것들이 과학적으로 증명되어 밝혀지니 흥미롭습니다. 제 경우에는 종교를 믿지 않았는데 양자물리학 내용이 담긴 책을 읽고 합리적으로 이해가 되어 지금은 의지하게 되었어요. 좋은 자료와 설명 감사합니다😊

    • @user-dy8mj9yh7r
      @user-dy8mj9yh7r ปีที่แล้ว +1

      기독교는 종교,신앙
      불교는 철학!

  • @user-po6pt2lp6e
    @user-po6pt2lp6e 2 ปีที่แล้ว +2

    과학이 깊어지면 오히려 종교를 갖게 되겠네요.
    저는 어떤 문자에 대해 계속 생각하면 빠르면 그날 저녁이라도 신문이나 책에서 그 문자가 보인적이 자주 있었습니다.
    오래전 얘기 입니다.
    잼있게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ct3jo8vh7h
    @user-ct3jo8vh7h 4 ปีที่แล้ว

    간단하게 정리해주시니 이해가 빨리 되네요. 감사합니다~~^^

  • @cammy7742
    @cammy7742 5 ปีที่แล้ว +8

    항상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user-nx6nl2xb9m
    @user-nx6nl2xb9m 4 ปีที่แล้ว +3

    너무 쉽게 설명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 @ttt4270
    @ttt4270 4 ปีที่แล้ว +35

    와이프를 만나기 몇년 전 장인어른과 일할때 딱 한번 만났는데 그땐 그분이 내 장인어른이 될지 몰랐습니다..
    근데 첫갓집에 첫 인사가서.. 그분을 보곤..... 와이프와 인연이될거라 확신했죠.
    그때 안싸우길 잘했네요ㅋㅋㅋ..

    • @user-ct2wm3kw4b
      @user-ct2wm3kw4b 4 ปีที่แล้ว

      그 눈 그림 일루미나티인가요

    • @user-ct2wm3kw4b
      @user-ct2wm3kw4b 4 ปีที่แล้ว +1

      아 근데 일루미나티 영향을 받은 만화일수도 있겠단 생각이드네오

    • @user-qr5zh1zc3g
      @user-qr5zh1zc3g 3 ปีที่แล้ว

      @@user-ct2wm3kw4b 영향을 안 받을수가 없죠 ㅎㅎ
      복잡계니까요

    • @Harmony_Korea
      @Harmony_Korea 2 ปีที่แล้ว

      와 정말 신기하네요..
      인연법이라는 게 정말 있나봐요

  • @jakechoi150
    @jakechoi15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깔끔한 설명 감사 드립니다. 하나님의 은햬를 발견하시기를 축복합니다.

  • @user-km4zz8zh5t
    @user-km4zz8zh5t 4 ปีที่แล้ว +3

    쉽게 설명을 잘해주셔서 재밌게 보았어요 감사합니다^^

  • @peach10221022
    @peach10221022 4 ปีที่แล้ว +26

    과학채널보다 과학을 잘설명하시네요 대박이에요 진짜 뚝딱이었어요 진짜 재밌고 유익해요

  • @user-bg4jh2kb8x
    @user-bg4jh2kb8x ปีที่แล้ว +2

    동시성을 수없이 경험한 저로서는 열광합니다. 보고 또 봅니다. 감사합니다

  • @user-yh8ne7gf3s
    @user-yh8ne7gf3s 4 ปีที่แล้ว

    정말 흥미롭게 알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욱 더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이런 분들이 많아 졌으면 좋겠어요.

  • @joypraythanks
    @joypraythanks 4 ปีที่แล้ว +10

    이 이야기에서 빠질 수 없는 이야기가 슈뤠딩거의 고양이? 아닌가요?
    제가 들었던 설명 중 가장 편하게 넘길 수 있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everlastinglife6381
    @everlastinglife6381 4 ปีที่แล้ว +92

    불법의 연기론이네여~~
    불법의 위대함을 다시한번 느끼게 되네여..
    우주만물이 다연결되어 있다는
    하나의 모래알에 삼천대천세계가 들어있다는..
    ()

    • @jhintomang2290
      @jhintomang2290 4 ปีที่แล้ว +12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융은 목사인 아버지 덕에 종교적인 분위기에서 성장해서 동양의 종교에도 조예가 깊어서 그의 학문에는 불교ㆍ도교 등
      의 요소도 풍부합니다 ㆍ

    • @user-gt4hh2xv3r
      @user-gt4hh2xv3r 4 ปีที่แล้ว

      @@jhintomang2290 감사합니다.

    • @user-gt4hh2xv3r
      @user-gt4hh2xv3r 4 ปีที่แล้ว +2

      저도 요즘 양자역학과 불교의 관계를 해설한 책을 보며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 @user-om1if7xr2z
      @user-om1if7xr2z 4 ปีที่แล้ว +1

      @@user-gt4hh2xv3r 어떤 책이 있나요?? 저도 읽고싶어서요 ㅎㅎ

    • @hackjun4914
      @hackjun4914 3 ปีที่แล้ว +1

      개쩐다요, 양자역학에 빠져 모든 강의 듣고있을때 , 부처가 말했던 우주는 다 연결되어있다는 그 구절에 새벽까지 전률이 돋아 잠못잤어요, 모든 입자는 쪼개지고 합쳐지고 서로 얽혀이있다는걸 그 옛날 어떤 깨달음으로 이해한건지....

  • @user-lr3wm1px5l
    @user-lr3wm1px5l 4 ปีที่แล้ว

    너무 이해 쏙쏙
    구족좋아요
    감사합니다♡

  • @davidp.4268
    @davidp.4268 4 ปีที่แล้ว +3

    어려운 내용을 무척 쉽게 설명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a333338
    @a333338 4 ปีที่แล้ว +7

    설명이 이해되기 쉬워서 매우 좋았습니다. 고맙습니다

  • @user-ej1cm9dz7k
    @user-ej1cm9dz7k 4 ปีที่แล้ว +5

    어려운 내용을 너무 쉽게 잘 설명해주시네요
    흥미로운 주제라 너무 잘 보고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jh9vo7sm4h
    @user-jh9vo7sm4h 4 ปีที่แล้ว +1

    영상자료가 풍부하고 설명도 적확해서 이해가 잘되요. 궁금한 점이 더 명확해졌어요. 감사합니다

  • @user-kf3py9jt4q
    @user-kf3py9jt4q 4 ปีที่แล้ว +2

    좋네요. 다양한 이론이 함께 등장하여 잘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 @user-gd5dy5dn4s
    @user-gd5dy5dn4s 5 ปีที่แล้ว +5

    새로운 지식을 알게 되어 너무 신나네요~ 감사합니다^^

  • @user-ex9ng5kn7q
    @user-ex9ng5kn7q 4 ปีที่แล้ว +3

    어려운 소재를 간단하고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ck7cx6nh1j
    @user-ck7cx6nh1j ปีที่แล้ว +1

    열광 ~~~~합니다
    동시성 이론~숨겨진질서 깜놀 ㅎ
    납득이 이제야 갑니다
    왜 꿈이 담날 현실에서 경험될수있었던것인지~~
    감사해요

  • @hyunsukhong2496
    @hyunsukhong2496 2 ปีที่แล้ว +2

    어려운 내용을 참 쉽게 잘 설명해 주시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ty3tm5it4j
    @user-ty3tm5it4j 4 ปีที่แล้ว +7

    우연히 발견했습니다
    보물같은 영상이네요
    저같은 주부는 알수없는
    어떤 세계가 담겨져 있네요
    무슨 EBS과학방송 보는줄알았습니다
    목소리도 좋으시고 어려운 내용인데 귀에쏙쏙들어오네요
    좋아요와 구독 누르고 갑니다

  • @crescendo_999
    @crescendo_999 4 ปีที่แล้ว +7

    개인적인 뇌피셜 판타지스러운 생각인데,
    테슬라가 그랬죠. 만물은 파동의 움직임이라고. 이론적으로 지금 여기 생긴 작은 파동 하나도 온 우주에 퍼져 있는 것이고, 의식활동 역시 뇌파로 읽어지니 역시 하나의 파동. 이게 온 우주에 걸쳐 얽히고 섥혀 있는 상태인 듯. 가능한 많은 설명 중에 하나일 수도?
    저도 어릴 때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고 텔레파시 비슷한 현상이라든지 예지몽이라든지, 헛것을 보듯 가까운 미래를 내다보는 일이 자주 있어서 단순히 신끼가 있었다고 치부할라다가도 신기하고 재밌어서 그냥 지나치지 않고 관심을 좀 갖고 조사를 해보기도 했더랬네요. 근데 엄마도 좀 그런 끼가 있음 ㅋㅋㅋ 그러다가 자연스레 융을 알게 되기도 했었고.
    아무튼, 이런 현상들도 결국은 과학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발전하면 다 자연 현상의 일부로 밝혀 질거라고 봐요. 예지몽들의 해몽을 살펴보노라면 그 해석과 그 속에 규칙들이 중구난방 우연의 산물은 아닌 것 같더라구요. 어쩌면 기술적 특이점이 오기 전에 개똑똑한 인공지능에 의해 이런 현상들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그런 기대를 걸어보기도 하고 있음.

    • @pleia777
      @pleia777 4 ปีที่แล้ว +1

      님의 '신기'라는 것도 홀로그램 이론으로 설명이 된다더군요
      우주가 파동,진동, 에너지라고 하는 것은 이미 고대에서 부터 숨겨져서 내려오는 우주의 법칙 중 하나이죠
      테슬라나 융은 우리가 생각하는 그 이상의 능력이 있고 비상한 사람들이에요
      기회 되면 융의 red book 을 꼭 한번 보세요
      예전에는 작가미상으로 나왔던 책이에요

  • @mayo5734
    @mayo5734 4 ปีที่แล้ว +1

    15분 안에 정말 많은 것을 배워갑니다. 너무 유익한 영상👍🏻👍🏻

  • @composer004
    @composer004 4 ปีที่แล้ว +1

    어려운 양자역학을 깔끔하게 설명해주신 영상입니다
    설명력이 갑 오브 갑입니다

  • @user-yj3wr9ho4w
    @user-yj3wr9ho4w 4 ปีที่แล้ว +10

    3시간전쯤 아들과 통화중
    칼융의 풍뎅이와 스웨덴보그 이야기를
    했었고 유튜브에서 이 방송을 첨봅니다 ㅋ
    구독합니다

    • @Harmony_Korea
      @Harmony_Korea 2 ปีที่แล้ว

      ㄷ ㄷ…부럽습니다
      가족하고 칼융의 충뎅이와 스웨덴 보리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니…!

    • @O_Ori
      @O_Ori 2 ปีที่แล้ว +1

      1년 전 댓글이지만 지나가다 글 남깁니다~ 이것이 바로 싱크로 현상 이죠? 신기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한 하루하루 되십시오 🙏🏻

    • @sarah-sz1vl
      @sarah-sz1v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구글의 생체정보수집

  • @user-mw6kq1zq7q
    @user-mw6kq1zq7q 5 ปีที่แล้ว +3

    유익한 강의
    참 고맙습니다

  • @nowandhere5627
    @nowandhere5627 ปีที่แล้ว

    명석하게 말씀해주셔서 감사해요. 귀에 쏙쏙!!! 들어옵니다.

  • @user-lg4tj4ih6l
    @user-lg4tj4ih6l ปีที่แล้ว +2

    학문적으로 어떤 건지 몰라도
    장소에 관한
    미래는 꿈으로 꾸어요
    몇달전에 꿈속 환경
    낯설어 개꿈이지하고
    지냈는데 지금은 꿈속
    그 풍경을 보고 있어요
    미국 올거라 전혀 예상하지
    못 했습니다

  • @dawngwak1590
    @dawngwak1590 4 ปีที่แล้ว +7

    지금 이해하기 힘든 양자역학 공부하는 중에 이 모든 것이 너무나 머리에 와닿는데요.
    아주 좋아요

  • @ComedianZorba
    @ComedianZorba 4 ปีที่แล้ว +11

    이런 훌륭한 유튜브 채널을 이제서야 알게 되다니.채널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필영 박사님.

  • @user-wu8lm7vo6n
    @user-wu8lm7vo6n ปีที่แล้ว

    흥미진진한 영상 잘봤습니다~
    이해가 쉽게 되요~
    감사합니다~

  • @lkjlkj963
    @lkjlkj963 4 ปีที่แล้ว +2

    선생님, 너무 알기쉽게 잘 설명해주시고 목소리에 긍정 애너지 뿌뿜뿜이에요 ~ 사랑합니다 ^^

  • @hojai74
    @hojai74 4 ปีที่แล้ว +26

    저는 이 얘기를 과거에는 황당한 얘기라고 생각했는데, 최근 우주가 11차원으로 연결된 세계라는 이론을 접하고는, 꼭 황당하지는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됐습니다. 인간의 인지로는 알 수가 없는 세계가 있긴 하겠더군요.

  • @jongminkim4702
    @jongminkim4702 4 ปีที่แล้ว +10

    적절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동시성에 관한 개념보다는 우주의 전체성에 대해서 더 시선이 가네요. 생각하면 할수록 세계는 필연적으로 완전한 통일체로서 인지할 수밖에는 없는 것 같아요. 신비롭네요!

  • @user-hi2gz7vq8g
    @user-hi2gz7vq8g ปีที่แล้ว +2

    알기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내용 잘 들었습니다.

  • @cadet264
    @cadet264 4 ปีที่แล้ว +1

    대박이다 정말 어려운 이론이지만 쉽게 설명해 주셔서 이해할수 있었네요
    감사합니다

  • @annak4284
    @annak4284 4 ปีที่แล้ว +13

    우와~~대박 ~너무 재밌어요 ^^
    어렵고 복잡한 이론을 쉽게 이해할수있도록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런 재밌는 영상을 계속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sunmihan76
    @sunmihan76 4 ปีที่แล้ว +56

    우리 무의식의 세계는 어쩌면 과학은 영원히 증명하지 못할수도.. 있겠다란 생각이 드네요. 순수한 무의식의 세계..

    • @universe1214
      @universe1214 4 ปีที่แล้ว +3

      블랙홀과 무의식의 세계가 같은 공간일수도 있을것같아요!

  • @dhi9683
    @dhi9683 4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너무 깔끔한 설명이네요. 앞으로도 계속 구독하겠습니다~

  • @user-he7xj2gh4i
    @user-he7xj2gh4i 4 ปีที่แล้ว +7

    대박!! 너무 좋아요 저 지금부터 팬😍😍😍 감사합니다^^♡

  • @p89981886
    @p89981886 4 ปีที่แล้ว +22

    아, 정말 궁금했던 부분이 명쾌하게 풀렸네요
    끌어당김의 법칙은 이런 이론을 바탕으로 훨씬 정확히 설명되네요
    이 영상이 내 추천영상으로 뜬것도 또한 나와의 연결고리, 무의식이 끌어당긴것이겠네요~~
    정말 알찹니다
    번창하세요^^

  • @user-uw9ce7sv7l
    @user-uw9ce7sv7l 4 ปีที่แล้ว +4

    수준 높은 내용 잘보고 많이 배워 도움 받고 갑니다.

  • @yes_thepeople
    @yes_thepeople 2 ปีที่แล้ว +2

    정말 놀랍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간간히 어렴풋이 경험했던 일들이 이해가 되네요!

  • @user-by7qn8no6d
    @user-by7qn8no6d 4 ปีที่แล้ว +4

    과학을 넘 재밌게 잘 설명해 주셨네요. 어느날 우주의 모든 것들은 분리되어 있지 않다, 우리는 도미노게임을 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우주에너지에 관심이 많아졌어요. 고맙습니다~^^

  • @user-qi3qd6zh4d
    @user-qi3qd6zh4d 3 ปีที่แล้ว +5

    설명할수 없는 일이 현실에서 발생하면 그건 '숨겨진질서'를 파악하지 못했기에 설명할수 없는거란 뜻이구나.

  • @user-pe5ws1bz6s
    @user-pe5ws1bz6s 3 ปีที่แล้ว +3

    말씀 하신대로 엄청난 댓글 토론들이 이어지네요. 대단하세요. 철학을 그래도 제일로 쉽고 재밌게 가까이할수있는 배움이구나 알도록 설명해주셔셔 감사합니다~

  • @user-yy1se1xs1l
    @user-yy1se1xs1l 4 ปีที่แล้ว +2

    훌륭한 영상 감사합니다~ 다음에도 이런 주제로 영상이 올라왔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