ㅋㅋ열심히 정보 그래도 전달하시려고 힘들게 영상만드시는거같은데 다른 분들은 쉽게 지 주장 내세우면서 댓글로 까기 바쁘네요 이래서 키보드워리어들 무섭다더니 ㅋㅋ 다들 저분처럼 얼굴이랑 직업이라도 까고 반박영상을 만들던가 ㅋㅋ 더 신뢰안가고 터무니없는 목조주택, 건축 관련 유튭도 있는데 그래도 이분은 영상올리고 다른분들이 댓글 달면 소통하려고 노력하시는게 보여서 더 믿음가요
전단력을 가했을때 형상을 유지하는가를 시험하는게 접착력시험입니다. 집중 정적하중검사가 휨하중검사랑 검사내용이같고요..휨하중이 목조에 중요하지 않은게 아니라 휨하중에따라 시트의 하지 각재의 간격이 더 좁아져야할 수 있습니다. 쉽게 생각해서 바닥 OSB시트(T&G)가 벽체보다 더 두꺼운 이유가 그것입니다. 물론 APA도장이 KS도장보다 믿음직스러운건알겠지만..같은말도 영어로 적은게 더 좋아보이는건지.. KS도장도 APA도장처럼 디자인을 더 좋게 만들어야되는건가 싶네요...
@SEOYOONJAE 영상에는 없지만, 구조용 합판에는 12미리 두께에 1220, 2440 규격도 없습니다. ks 인증 대로라면 1220에 2440 쓰려면 18t를 써야합니다. 이건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못 접합부에 대한 실험두요. 못접합부 실험은 아예 3110과 3010에 빠져 있습니다. 도장을 찍는게 문제가 아니고, ks로 부터 인증을 받는 실험을 하는게 돈입니다. 이건산업 쪽에서도 그건 수지타산 생각했을 때 기업에서 안한다는 거죠. 그리고, 그냥 접착력 실험에서 얻어진 값과 북미식 목조주택 집과 같은 모듈화된 실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실험값이 똑같이 설계의 구조적 물성치를 갖을 수 있다고 보는 건가요?
@@WoodandSpace 선생님 일단 선생님이 원하시는 그 전단력에 버티는 힘이 접착력이고... 휨감성이 뭐 목조주택에 무슨의미냐는 내용부터가.. 뭔가 잘못된확신을 갖고있어서 제가 무슨말을하든 안들으시겠지만 뭐 규격이없는게아니라 변형량 기준이 없다는건데 그냥 그건 유통되는거에 따라서 적은거라서 그렇습니다. 그냥 편의상 유통되는 크기만 적혀있는겁니다 뭐 거푸집 이라는 단어를보고 기분이나쁘고 KS도장이 APA 도장만큼 안이쁜게 문제인거같은데. 미국에 유통되는 좋은 자재를 쓰는건 좋은데. 뭐 지금 사용되는 자재들이 무자료에 근거없는 자료 라는 비판이 합리적이지 않다는 이야기를 드리고싶네요. 조금 진정하시고 영상 많은분들이 보면 부끄러우실것 같은데.. 내리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SEOYOONJAE 휨 강성에 대한 말은 저도 납득이 됩니다. 근데 그것도 바닥용에 한정된 이야기 아닌가요. 벽체용 쉬딩에서는 전체 면에 대한 휨강성 보다는 전단력에 대한 값이 의미 있다고 봅니다. apa의 racking 실험 같은 거요. 그러니까 racking 실험과 우리나라 ks 의 접착력 값이 동일한 구조적 물성치가 될 수 있다는 소리시죠? 그리고 내수합판을 바닥용으로 쓰는 시공자는 제가 봤을 때는 없습니다. 그냥 osb tng쓰지요.. 제가 흥분한게 아니구요.;; 저도 공학 전공은 아니라서 답변해주시니, 궁금하고 제가 틀린 부분은 배우려고 댓글 다는 부분입니다! 이렇게 댓글 달아주셔서 제가 감사하구요.
ㅋㅋ열심히 정보 그래도 전달하시려고 힘들게 영상만드시는거같은데 다른 분들은 쉽게 지 주장 내세우면서 댓글로 까기 바쁘네요 이래서 키보드워리어들 무섭다더니 ㅋㅋ 다들 저분처럼 얼굴이랑 직업이라도 까고 반박영상을 만들던가 ㅋㅋ 더 신뢰안가고 터무니없는 목조주택, 건축 관련 유튭도 있는데 그래도 이분은 영상올리고 다른분들이 댓글 달면 소통하려고 노력하시는게 보여서 더 믿음가요
전단력을 가했을때 형상을 유지하는가를 시험하는게 접착력시험입니다. 집중 정적하중검사가 휨하중검사랑 검사내용이같고요..휨하중이 목조에 중요하지 않은게 아니라 휨하중에따라 시트의 하지 각재의 간격이 더 좁아져야할 수 있습니다. 쉽게 생각해서 바닥 OSB시트(T&G)가 벽체보다 더 두꺼운 이유가 그것입니다. 물론 APA도장이 KS도장보다 믿음직스러운건알겠지만..같은말도 영어로 적은게 더 좋아보이는건지.. KS도장도 APA도장처럼 디자인을 더 좋게 만들어야되는건가 싶네요...
거푸집용합판과 구조용합판이 같은수종과 같은 접착재로 같은형식으로 만들어지기때문에 차이를 안두는겁니다. 거푸집용합판은 알카리성에 좀더 저항을주는 접착재를 사용하는정도가 다른거고요. 판매를위해 도장을찍는다고해서 갑자기 구조적성능이 낮아지진않아요..
실험값이 있는자재.. 키워드(월데크,루프데크) 일반적으로 징크나 외장재 하지용으로 각관과함께 사용하는자재지만 선생님이 원하시는 실험자료를 제공하는 제품입니다. 또 제공안하더라도 강성1급 도장이 찍혀있는 합판은 선생님이 원하시는 전단력을 버티는 인증을 받은 합팝입니다 휨강도1급~ 뭐 강성특급 휨강도특급 받은 합판도 얼마든지 유통되고요.
@SEOYOONJAE 영상에는 없지만, 구조용 합판에는 12미리 두께에 1220, 2440 규격도 없습니다.
ks 인증 대로라면 1220에 2440 쓰려면 18t를 써야합니다. 이건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못 접합부에 대한 실험두요. 못접합부 실험은 아예 3110과 3010에 빠져 있습니다.
도장을 찍는게 문제가 아니고, ks로 부터 인증을 받는 실험을 하는게 돈입니다. 이건산업 쪽에서도 그건 수지타산 생각했을 때 기업에서 안한다는 거죠.
그리고, 그냥 접착력 실험에서 얻어진 값과 북미식 목조주택 집과 같은 모듈화된 실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실험값이 똑같이 설계의 구조적 물성치를 갖을 수 있다고 보는 건가요?
@@WoodandSpace 선생님 일단 선생님이 원하시는 그 전단력에 버티는 힘이 접착력이고... 휨감성이 뭐 목조주택에 무슨의미냐는 내용부터가.. 뭔가 잘못된확신을 갖고있어서 제가 무슨말을하든 안들으시겠지만 뭐 규격이없는게아니라 변형량 기준이 없다는건데 그냥 그건 유통되는거에 따라서 적은거라서 그렇습니다. 그냥 편의상 유통되는 크기만 적혀있는겁니다 뭐 거푸집 이라는 단어를보고 기분이나쁘고 KS도장이 APA 도장만큼 안이쁜게 문제인거같은데. 미국에 유통되는 좋은 자재를 쓰는건 좋은데. 뭐 지금 사용되는 자재들이 무자료에 근거없는 자료 라는 비판이 합리적이지 않다는 이야기를 드리고싶네요. 조금 진정하시고 영상 많은분들이 보면 부끄러우실것 같은데.. 내리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SEOYOONJAE 휨 강성에 대한 말은 저도 납득이 됩니다. 근데 그것도 바닥용에 한정된 이야기 아닌가요.
벽체용 쉬딩에서는 전체 면에 대한 휨강성 보다는 전단력에 대한 값이 의미 있다고 봅니다. apa의 racking 실험 같은 거요.
그러니까 racking 실험과 우리나라 ks 의 접착력 값이 동일한 구조적 물성치가 될 수 있다는 소리시죠?
그리고 내수합판을 바닥용으로 쓰는 시공자는 제가 봤을 때는 없습니다. 그냥 osb tng쓰지요..
제가 흥분한게 아니구요.;; 저도 공학 전공은 아니라서 답변해주시니, 궁금하고 제가 틀린 부분은 배우려고 댓글 다는 부분입니다!
이렇게 댓글 달아주셔서 제가 감사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