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옛적, 사하라 사막이 푸른 초원이었던 시절의 이야기^.^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4 ก.ย. 2020
  • 과학드림은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성장합니다.
    멤버십 가입!▶ bitly.kr/ZDqKr1WUG
    과학드림의 식구가 되어 주세요! :)
    다른 후원 방법!▶toon.at/donate/sciencegive
    =============================================
    미국 면적보다 더 큰 크기를 자랑하는
    사하라 사막!
    그런데 이런 거대한 사막이
    불과 5천 년 전까지
    나무와 풀 그리고 호수가 있는
    푸른 초원이었다면 어떤가요?
    상상이 가시나요?
    사하라 사막이 푸른 초원이었던 시절의 이야기!
    영상을 통해 만나 보세요!
    #사하라 #사막 #초원
    =============================================
    [참고 자료]
    - J. E. Kutzbach et al., (1997). "Response of the African Monsoon to Orbital Forcing and Ocean Feedbacks in the Middle Holocene."
    - Karen A. Hudson-Edwards et. al., (2014). "Solid-phase phosphorus speciation in Saharan Bodele Depression dusts and source sediments."
    - David McGee et al., (2016). "Glacial to Holocene changes in trans-Atlantic Saharan dust transport and dust-climate feedbacks."
    - Wim Van Neer et al., (2020). "Aquatic fauna from the Takarkori rock shelter reveals the Holocene central Saharan climate and palaeohydrography."
    [사진 및 영상]
    - 셔터스톡, NASA
    [음악]
    (1)American Travel - envato
    (2)Dark Acoustic Western Groove - envato
    (3)Atlantic Tunes Funk - envato
    (4)Once and for all by Ian Post
  • วิทยาศาสตร์และเทคโนโลยี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2K

  • @user-mj6cr7wb5r
    @user-mj6cr7wb5r 3 ปีที่แล้ว +80

    아랍에 파병 갔을때 놀랐던게 지금은 완전 사막에 돌산인데 관심있게 보면, 하천형태의 지형과 물흐른 형태로 진흙이 돌처럼 굳어있는데 '여기가 예전에는 강이였구나'라는 느낌이 팍오더라구요. 동영상 내용이 가설이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 @freeman_24
      @freeman_24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오호, 거기도 1년에 드물게 비가 오면 건천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긴한데 재미진 느낌을 받으셨나보네요

    • @nondam_4u
      @nondam_4u 13 วันที่ผ่านมา +1

      그건 와디. 지금도 우기에 강이 흘러요.

  • @kangfam3
    @kangfam3 3 ปีที่แล้ว +658

    너무 재밌어요 진짜 ㅎㅎ

    • @Siba_dog969
      @Siba_dog969 3 ปีที่แล้ว +3

      오호

    • @cbr125fromanyang
      @cbr125fromanyang 3 ปีที่แล้ว +11

      형이 왜 여기서나와?

    • @Sowon23
      @Sowon23 3 ปีที่แล้ว

      오?

    • @ScienceDream
      @ScienceDream  3 ปีที่แล้ว +31

      어머 강과장님!!ㅋㅋ 진짜 강과장님이셨네요~!ㅋㅋ 이과장 채널과 더불어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 @chong_inhee
      @chong_inhee 3 ปีที่แล้ว

      앗 형 반갑~

  • @user-eh9tw4rc6y
    @user-eh9tw4rc6y 3 ปีที่แล้ว +1237

    사하라에서 날라가는 먼지는 열대우림을 비옥하게 하는데
    왜 중국에서 해마다 날라오는 먼지는 우리를 못살게 하냐ㅋㅋㅋㅋ

    • @user-un8xk6mt2x
      @user-un8xk6mt2x 3 ปีที่แล้ว +400

      자연먼지 VS 오염된 인공먼지

    • @kururu4873
      @kururu4873 3 ปีที่แล้ว +204

      황사가 비슷한 작용을 할지는 몰라도 미세먼지는 중금속이라 이로울수가 없음 ㅜ

    • @yosmbooks
      @yosmbooks 3 ปีที่แล้ว +90

      인이 없고 인공만 있음

    • @cogentenvisage1212
      @cogentenvisage1212 3 ปีที่แล้ว +44

      공장먼지라서

    • @user-he7fb5ux1w
      @user-he7fb5ux1w 3 ปีที่แล้ว +36

      @@angimothy 이딴걸 주제와 상관없이 여기다 왜달음?

  • @iwasborntosurvive5396
    @iwasborntosurvive5396 3 ปีที่แล้ว +98

    남미대륙의 아마존과 아프리카대륙의 사하라 사이에 저런 중요한 공생 관계가 있는줄 처음 알았어요. 게다가 사하라가 세차운동주기마다 다시 초원으로 돌아가고 사막으로 돌아가는 순환을 반복한다는 것도.. 자연의 정교한 시스템에 그저 감탄..

    • @bellajuelk.4156
      @bellajuelk.4156 ปีที่แล้ว +4

      하지만 아프리카 대륙의 북상으로 인해 지브롤터가 막히면 이 순환루프도 스탑될 거라는..

  • @user-kz1mp3oe6x
    @user-kz1mp3oe6x 3 ปีที่แล้ว +400

    사람과 비슷하네요
    젊을 때는 풍성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빠지는 것이..

    • @user-rb6gz7er7p
      @user-rb6gz7er7p 3 ปีที่แล้ว +61

      그런말 하지마요!!!!!!

    • @user-yr2nb1rx4n
      @user-yr2nb1rx4n 3 ปีที่แล้ว +54

      아프리카의 사막이 모두 풍성해질수 없기 때문에 탈모 치료제도 나올수 없다 이말이야

    • @kyw2183
      @kyw2183 3 ปีที่แล้ว +3

      아..앗..

    • @taehyeon901
      @taehyeon901 3 ปีที่แล้ว +1

      + 새치의 빈도가 증가해서 두피에서 비중이 100%로 변하죠.

    • @---xb6fx
      @---xb6fx 3 ปีที่แล้ว +16

      지금 전쟁하자는거냐

  • @HoodBooks
    @HoodBooks 3 ปีที่แล้ว +365

    제 머리도 울창한 숲에서 사막화가 진행중인데
    과학드림에서 꼭 한번 다뤄주시길 바랍니다

    • @user-ed1ss8yx1b
      @user-ed1ss8yx1b 3 ปีที่แล้ว

      @@angimothy 이 ㅅㄲ 딴 채널에서도 이러더니 여기서도 ㅈㅈㄹ 하네

    • @official_niko
      @official_niko 3 ปีที่แล้ว +29

      이건 해결 불가하네요ㅠㅠ

    • @jaywonlee5125
      @jaywonlee5125 3 ปีที่แล้ว +19

      앗..그건..ㅠ

    • @il4033
      @il4033 3 ปีที่แล้ว +6

      앗.. 아아..

    • @user-yi1bc6bb2y
      @user-yi1bc6bb2y 3 ปีที่แล้ว +3

      데오하롸스 얌마 아무리 먹고살자고 하는 일이긴 하지만 사람이 경우가 있지 이런 안타까운 댓글에도 도배를 하냐

  • @lovefio
    @lovefio 3 ปีที่แล้ว +26

    과학드림만큼 목소리 좋고 내용 좋고 영상 눈에 쏙쏙 귀에 쏙쏙 들어오는 유익한 채널 없을듯.... 과학드림님 번창하시고 채널 오래오래 유지해주세욥♡

  • @malaemong
    @malaemong 3 ปีที่แล้ว +18

    과학은 세상을 보는 창이라는 말이 정말 감동적이고 멋진말 같습니다 보면볼수록 감탄만 나오게 하시네요 좋은 영상 늘 감사합니다

  • @akaling7233
    @akaling7233 3 ปีที่แล้ว +65

    고대 이집트 시대에도 사하라 사막은
    숲이었다고 합니다
    근데 사하라 사막 서쪽에 아틀란티스
    있다고 하던데 사하라의 눈

    • @user-kh8ul5xo3l
      @user-kh8ul5xo3l 2 ปีที่แล้ว +4

      그래서 그 카르타고의 한니발이 사하라에 살던 북아프리카 코끼리로 만든 부대를 운영해 알프스를 넘었던 것이죠

  • @SS-nk5or
    @SS-nk5or 3 ปีที่แล้ว +33

    신석기 시대 사람들 그림 예술이네 ㄷㄷ

  • @sunung0110
    @sunung0110 3 ปีที่แล้ว +87

    6:49 사하라와 아마존이 번갈아가며 지구의 허파 역할을 하고 있던 건가?

    • @user-qm8qt7he4e
      @user-qm8qt7he4e 3 ปีที่แล้ว

      어묵팝니다 하나에 500원 .

    • @sunung0110
      @sunung0110 3 ปีที่แล้ว +8

      @@user-qm8qt7he4e 꺼1지세요

    • @user-ol3mb4ij2s
      @user-ol3mb4ij2s 3 ปีที่แล้ว

      @@user-qm8qt7he4e 이름부터 극혐

    • @user-ye4ew2zx9s
      @user-ye4ew2zx9s 2 ปีที่แล้ว +4

      지구의 허파는 바다입니다.

    • @user-js4xb5mg1l
      @user-js4xb5mg1l 2 ปีที่แล้ว

      @@user-ye4ew2zx9s 학교에선 아마존이 지구허파라 배웠는데
      이젠 다 뭐가뭔지 모르겠어요

  • @304sus7
    @304sus7 3 ปีที่แล้ว +297

    사하라가 세차에 의해 7퍼 더받아서 초원이 됐다면 반대로 남반구 어디는 에너지를 덜받게 되서 지형이 변한곳이 있을수 있겠네요

    • @user-yb3lc2yw8r
      @user-yb3lc2yw8r 3 ปีที่แล้ว +27

      1. 세차운동으로 북부아프리가가 몬순~사막기후로 바뀐다면 다른 대륙들의 기후는 어떻게 바뀌나요?
      2. 남미 아마존이 사하라발 먼지의 인에 의존한다면 남미 자체의 인만으로는 생명유지력이 부족하다는 건가요?

    • @ngt578
      @ngt578 3 ปีที่แล้ว +5

      남반구는 대륙 비율이 적고 바다의 비율이 높아 저정도의 기후변화는 아닐거같고 인이 떨어져 영양이 부족해지면 열대몬순 정도가 되지 않을까요?

    • @ksuwshshysuoeldn
      @ksuwshshysuoeldn 3 ปีที่แล้ว +1

      그래서 남반구에도 사막이 있죠. 호주나 나미브 사막.

    • @user-mk1rb4nb9m
      @user-mk1rb4nb9m 3 ปีที่แล้ว

      @@user-yb3lc2yw8r 우리나라에 황사불어오듯이 그런건가......?

    • @user-mk1rb4nb9m
      @user-mk1rb4nb9m 3 ปีที่แล้ว

      남반구는 대부분이 바다이니.......

  • @user-us2lx8fn9o
    @user-us2lx8fn9o 3 ปีที่แล้ว +15

    우리학교와서 과학쌤좀해줘요...
    그쪽 과학쌤하면 딱이야..
    설명이 귀에 쏙쏙 들어옴 신기..

    • @user-ds1uh2ks6n
      @user-ds1uh2ks6n 3 ปีที่แล้ว +2

      배경음악이 있고 그림과 자막이 있어서 그런겁니다

  • @oho2741
    @oho2741 3 ปีที่แล้ว +32

    진짜 영원히 유튜브 해줬으면 좋겠다ㅋㅋ 진짜 너무 재밌어

    • @ScienceDream
      @ScienceDream  3 ปีที่แล้ว +13

      ㅠㅠ댓글 감동 폭풍!! 10년만 해도 원이 없겠어여 ㅠ

    • @user-to3jy8li5d
      @user-to3jy8li5d 3 ปีที่แล้ว +1

      @@ScienceDream 10년이고 20년이고 볼 테니까 계속해줘요

  • @hyeonii8692
    @hyeonii8692 3 ปีที่แล้ว +2

    새로운 정보 좋은 영상으로 알아갑니다!
    매번 고퀄리티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pi6or5xm2f
    @user-pi6or5xm2f 3 ปีที่แล้ว +2

    과학이 이렇게 재밌고 호기심이 생기는 거인줄은 몰랐어요!덕분에 재미와 지식 얻고 갑니다❤️

  • @E_Tang
    @E_Tang 3 ปีที่แล้ว +3

    이야 진짜 영상 너무 재밋고 쉽게 잘 만들어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너무 유익하네요

  • @phj89327
    @phj89327 3 ปีที่แล้ว +376

    와 신기하네.
    근데 아마존은 자연적이 아니라 인공적으로 사라지는게 빠를것 같습니다.

    • @user-hm9qz6iu7i
      @user-hm9qz6iu7i 3 ปีที่แล้ว +50

      방화로 아직까지 산불이 퍼지고 있다는데 세계의 육류 소비량이 늘어나서 목초지(목장) 또는 콩 옥수수등 곡물 재배지로 사용한다고 ...지금의 브라질 대통령은 환경에 관심도 없는 인물이라 .. 우리도 간접적인 ...

    • @user-zj4mz9kk1p
      @user-zj4mz9kk1p 3 ปีที่แล้ว +5

      아마존이 지구 공기 생산 3분의 1정도 되지않음

    • @HJJJO302
      @HJJJO302 3 ปีที่แล้ว +89

      @@user-hm9qz6iu7i 브라질 입장에선 ㅈ같지 ㅋㅋ 선진국들은 이미 다 처 쓰고 발전했는데 우리는 쓰지 말라고 협박하니까 ㅋㅋ

    • @yhansookim7850
      @yhansookim7850 3 ปีที่แล้ว +21

      @Taehyun Heo ㅋㅋ.
      그러면 선진국들이 산소이용료 내야죠.
      위에서 한분도 말햇듯이 유럽이나 북미 등 선진국들은 산업혁명과 기술발전으로 이제 1,2차산업은 안하고 3,4,5차 산업 위주로 가니 환경오염도 덜 시키지만
      중도국이나 후진국은 전혀 그렇지 못하죠.
      그나라들도 먹고 살아야하고,
      그리고 후진국들이 만드는 값싼제품 2배로 비싸게 팔고 제품생산 줄인다고 하면 선진국들이 그러자고할까요?
      ㅋ 바로 다른나라에서 제품사죠.
      미국도 파리기후협약 탈퇴햇는데 초패권국한테는 찍소리도 못하면서 중도국이나 후진국한테만 제재하는 선진국들 클라스.

    • @yhansookim7850
      @yhansookim7850 3 ปีที่แล้ว +1

      @@user-hm9qz6iu7i ㅎ, 그럼 선진국들 시멘트 다 걷어내고 나무 심으라고 한다면요?
      아마존 보존하면 선진국들이 신소이용료 낸답니까?
      중국같은 제품대량생산 환경오염,
      가격 2배로 올리고 제품 절반만 생산한다고 하면 선진국들이 게속 사줄까요? 바로 다른나라 제품사죠.
      미국도 그렇듯이 자국의 이익만을 위할뿐
      지구를 위해서는 개뿔.
      지구를 위해서면 핵보유국색히들 핵부터 완전폐기.
      쓰레기같은 npt.

  • @Rrrrllllloooo
    @Rrrrllllloooo 3 ปีที่แล้ว +2

    오늘도 감사합니다 ❣

  • @jrlee7643
    @jrlee7643 3 ปีที่แล้ว

    항상 신박한 재미를 주는 과학드림!!!

  • @user-ju5qk1wb8q
    @user-ju5qk1wb8q 2 ปีที่แล้ว +3

    와.. 보고싶다 1만년 후...
    신비로운 지구 고맙소

  • @user-iq6zn4cc3j
    @user-iq6zn4cc3j 3 ปีที่แล้ว +17

    영상 자체가 어렵게 설명하지않고 쉽게풀어서 설명함으러서 모르는 사람이봐도 귀에 쏙쏙들어오네ㅎㅎ

  • @fire_tip
    @fire_tip 3 ปีที่แล้ว +2

    좋은 정보입니다! 아주 좋은 컨텐츠네요~ 감사합니다!

  • @user-pe9jy1od7j
    @user-pe9jy1od7j 3 ปีที่แล้ว +143

    옛날 옛적 내 머리결이 풍성했던 시절...ㅠ....ㅠ

  • @user-kp9ef8xn8j
    @user-kp9ef8xn8j 3 ปีที่แล้ว +6

    하..ㅠㅠ 이런거 너무좋아♡

  • @user-hc5fx7px2m
    @user-hc5fx7px2m 3 ปีที่แล้ว +145

    이 영상대로 처럼 사하라사막을 포함하고도 고대 이집트나 여러 아프리카 국가들은 농작물 재배등에 굉장히 발달해있었습니다. 과거 기록으로만 봐도 이집트에서 상추를 키우면서 여러나라에 대대적으로 수출했을정도로 농업이 발달할 만큼의 환경이 됬었죠.

    • @user-dh7vj3ii8g
      @user-dh7vj3ii8g 2 ปีที่แล้ว +2

    • @user-jc3is2ke8b
      @user-jc3is2ke8b 2 ปีที่แล้ว

      농작물이 발달되었던것은 사실, 근데 사하라 사막 영상처럼 동식물이 풍부할수는 없음. 말도안되는소리임. 대기 대순환이 그럼 변화했다는 건데, 대기 대순환이 크게 변한 기록은 없음

    • @Edhilues
      @Edhilues 2 ปีที่แล้ว +7

      @@user-jc3is2ke8b 이집트고왕국 기상청 자료를 더 잘 찾아보세요

    • @quitquit9397
      @quitquit9397 2 ปีที่แล้ว

    • @shgdudeehdduuu9807
      @shgdudeehdduuu9807 ปีที่แล้ว

      @@quitquit9397 이

  • @user-xh9nj7vv7z
    @user-xh9nj7vv7z 3 ปีที่แล้ว +1

    매번 잘 듣고 보고 갑니다 기분좋은 하루 즐겁게 잘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

  • @park5532009
    @park5532009 3 ปีที่แล้ว +1

    너무 유익한 과학이었습니다.^^

  • @JamesBond-xu7vx
    @JamesBond-xu7vx 3 ปีที่แล้ว +6

    이런 컨텐츠 좋습니다
    교육적으로도 훌륭하고
    앞으로도 좋은 자료 계속 기대할게요!!

  • @user-gt2ru8lr8l
    @user-gt2ru8lr8l 3 ปีที่แล้ว +3

    이런거 너무 좋습니다 ㅎㅎ

  • @freeman_24
    @freeman_24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지리, 지질을 탐구하는 사람으로서 이거 고퀄 영상이네요. 자료 수집하시고 재미지게 편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학생들한테도 보여주면 재밌을 것 같아요

  • @heonjoosuh635
    @heonjoosuh635 3 ปีที่แล้ว +2

    온라인 클래스에 과학드림 영상나온 담에 끝나고 재밌어 보여서 보는데 개꿀잼이어서 구독까지 하게 됐네욤ㅎ

  • @user-yn3up4hn5o
    @user-yn3up4hn5o 3 ปีที่แล้ว +9

    인간이 저 사막을 어떻게 건넜을까 신기하게 생각했었는데 초원이었다면 진짜 너무간단하게 해석이 되네요 ㅋㅋ

    • @YMtv321
      @YMtv321 ปีที่แล้ว

      맞내요 ㅋㅋ

  • @---CHAOS---
    @---CHAOS--- 3 ปีที่แล้ว +35

    이집트 피라미드 지을 때 그 지역은 사막이 아니고 숲이 우거진 살기 좋은 기후였던거죠.
    그래서 문명이 발달한거고요.
    마찬가지로 메소포타미아 문명도 지금은 사막이지만 당시에는 살기좋은 숲이 우거진 지역이었던 겁니다.
    참고로 그 시절은 빙하기라 해수면도 지금보다 낮아서 지중해도 지금처럼 크지 않아 유럽까지 가기도 쉬웠고요.
    당시 한반도 주변도 중국 상해부터 제주도를 지나 일본열도까지 모두 육지로 연결되어 우리 조상은 지금은 서해와 남해에 해당하는 지역에 거주했던겁니다.
    실제 황하문명은 중국땅이 아니고 서해바다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발달했어요.
    최초 벼농사 지역이 한반도 주변(실제로는 현재의 서해바다 속입니다)으로 밝혀진 것도 이런 당시 기후 때문입니다.

  • @samsam33221
    @samsam33221 3 ปีที่แล้ว

    신기 너무 명확하게 이해되여 대단하심!!!

  • @vivaho4313
    @vivaho4313 3 ปีที่แล้ว

    와우~~~ ! 새로운 사실 알게되서 넘 좋네요 감사합니다^^

  • @frostywind04
    @frostywind04 3 ปีที่แล้ว +502

    사하라 사막: 내가 옛날에 푸른 초원이었던 썰 푼다.

    • @user-jp3zo3jz2k
      @user-jp3zo3jz2k 3 ปีที่แล้ว +1

      ㅋㅋㅋㅋㅋ

    • @user-bc8ry5fq6p
      @user-bc8ry5fq6p 3 ปีที่แล้ว +57

      사바나:응 너지금 탈모

    • @user-mk1rb4nb9m
      @user-mk1rb4nb9m 3 ปีที่แล้ว +41

      @@user-bc8ry5fq6p 사하라 : 지구새끼 휘청거려서 탈모온 썰 푼다

    • @Tyran-rex
      @Tyran-rex 3 ปีที่แล้ว +1

      이집트: 그때는 ㅠㅜ

    • @user-ni8bt8uk1e
      @user-ni8bt8uk1e 3 ปีที่แล้ว

      여기 답글 왜캐웃겨 ㅋㅋㅋㅋ

  • @user-fs4fo6dp4b
    @user-fs4fo6dp4b 3 ปีที่แล้ว +383

    ㅅㅂ 원시인들 그림 졸라 잘그렸네..코끼리 하마 기린 똑같네....
    와 ㅅㅂ 난 원시인보다 그림을 못그리다니.. 난 원시인만 못하다는 생각에 자괴감 오지네.

    • @user-it4dx1hn1k
      @user-it4dx1hn1k 3 ปีที่แล้ว +142

      원시인이 우리보다 능력이 뒤떨어질 거라는 것도 고정관념이죠

    • @user-ef6ps7bz2q
      @user-ef6ps7bz2q 3 ปีที่แล้ว +9

      돌에그린 그림이 그시절 어린이들이 레이져 포인터 같은걸로 깎아내는 장난친 그림이라면?

    • @user-bn8yn4ix8y
      @user-bn8yn4ix8y 3 ปีที่แล้ว +35

      그러게요 걍 옛날에살았을 뿐일걸요

    • @user-uo9hv5jl2q
      @user-uo9hv5jl2q 3 ปีที่แล้ว +32

      잘 그렷기 때문에 그 당시 사람도 못그린 그림보다 더 잘 보관할려고 노력햇을거고 그중 하나를 우리가 본거죠

    • @mhgim3092
      @mhgim3092 3 ปีที่แล้ว +75

      원시인무리중에 미술전공자가 그린듯

  • @noorungdog
    @noorungdog 3 ปีที่แล้ว +2

    이 분 채널은 노우! 와우! 오우! 막 이런 효과음 나오면서 사람이나 동물 눈이 동그랗게 바뀌는게 매력포인트

  • @leechanghyun
    @leechanghyun 3 ปีที่แล้ว +2

    형형 오느ㄹ도 재밌게 잘봤엉 ㅎㅎㅎㅎ 역시 형 영상은 너무 재밌자너 ㅋㅋㅋㅋ 다음에는 사하라 사막을 했으니 사하라 사막과 접하는 사우디 지역에서 나오는 석유에 대한 영상도 해조 ㅎㅎㅎㅎ

  • @mistral476
    @mistral476 3 ปีที่แล้ว +15

    지구과학 너무 좋다 ㅋㅋㅋㅋ ㅠㅠ

  • @user-pm3xi1ur4d
    @user-pm3xi1ur4d 3 ปีที่แล้ว +10

    신석기~고대이집트 초기에는 사막화가 진행되는 푸른초원이였군요..

  • @TuftedCloud
    @TuftedCloud 3 ปีที่แล้ว +2

    정보 감사합니다

  • @user-rk5pu9mm9y
    @user-rk5pu9mm9y 3 ปีที่แล้ว +1

    캬 박제됐당♥유익한 내용 너무 좋네요♥♥♥오래오래 해주셔서 4살배기 아들내미 크면 같이 주말드라마 기다리듯 기다려서 보고싶습니다.

    • @ScienceDream
      @ScienceDream  3 ปีที่แล้ว +1

      주말드라마로 비교해 주시다니~! 크~ 감사합니다! 강언님의 댓글이 영상 기획의 아이디어가 됐습니다!

  • @doeob
    @doeob 3 ปีที่แล้ว +12

    구독은 애기가 누르고 시청은 내가 하고 있네 ㅋㅋㅋ

  • @user-ni7yo6rc9s
    @user-ni7yo6rc9s 3 ปีที่แล้ว +5

    엌ㅋㅋ 아 그럼 이건 나중에 이렇게 될수도 있나 생각하면 갑자기 영상에서 다 알려주시네ㄷㅋㅋㅋ

  • @byul_22
    @byul_22 3 ปีที่แล้ว +2

    과학으로 세상을 보는 인간이지만
    그 지식을 바탕으로 정복하고 극복하려고 하죠.. 지구가
    배푸는 만큼 저희도 소중히 해야할 '지구' 죠. ㅎㅎ
    영상 재밌게 보고 갑니다.

  • @user-um1xb5et4q
    @user-um1xb5et4q 3 ปีที่แล้ว

    영상 자주올라와서 좋네요

  • @TV-cl9ot
    @TV-cl9ot 3 ปีที่แล้ว +14

    이집트 문명을 배경으로 한 영화를 보면 황량한 모래사막위에 있던데... 초록의 초원이었을 수도 있겠네요~ 재밌게 잘봤습니다~^^

  • @REA__chan
    @REA__chan 3 ปีที่แล้ว +4

    라떼는 말이야! 사하라 사막에서 고기도 잡고 조개도 뜯으면서 배부르면 거북이 등딱지로 연주도 했어~!

  • @user-qw9ri9uz3d
    @user-qw9ri9uz3d 3 ปีที่แล้ว

    너무 재밌어요!

  • @_-_v
    @_-_v 3 ปีที่แล้ว +2

    근거들과 적절한 그래픽으로 같이 설명해주니 이해가 잘 가요. 땡큐!

  • @user-cs8py8lk3o
    @user-cs8py8lk3o 3 ปีที่แล้ว +18

    실제로 사하라 사막이 형성되면서 식량이 많이 부족해져서 아프리카에 있던 초기 인류가 다른 대륙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는게 학계의 정설

  • @SJH_CHR_1127
    @SJH_CHR_1127 3 ปีที่แล้ว +63

    아마존... 최근 1년간 산불이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ㅠㅠㅠ 자연의 힘이 아닌 인재로 인한 사막화는 이다지도 빠르고 무섭네요...ㅜㅜ

    • @user-gp4pu3cd3o
      @user-gp4pu3cd3o 3 ปีที่แล้ว +1

      꼬우면 브라질한테 재정적 지원해줘야지 ㅋㅋ

    • @user-sj3qn7mq9r
      @user-sj3qn7mq9r 3 ปีที่แล้ว

      @@user-gp4pu3cd3o 머 여기 브라질 욕은 없으니까요

    • @user-ox7wd9zf8h
      @user-ox7wd9zf8h 3 ปีที่แล้ว

      이다지라는 말보고 잠깐 흠칫

    • @user-fk5kr9gx6q
      @user-fk5kr9gx6q 3 ปีที่แล้ว +2

      @@venecia9430 아마존 협약에 따라 아마존 면적의 20%이상은 벌목이 금지돼 있슴니다.
      그랬더니 사람들은 실수인 척 불을 낸 다음 꺼놓고 그 지역을 개발하고 있죠.

    • @user-ke8jk7cr5x
      @user-ke8jk7cr5x 3 ปีที่แล้ว +1

      FAO 2020년 세계산림평가서에 따르면 아마존 산림이 줄어드는대신에 다른 국가에서 나무를 많이 심으면서 전체산림량 감소가 완만한 곡선으로 바뀌고 있는중임 브라질이 그만큼 개발을 하지만 다른 국가에서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나무를 심으면서 산림량의 총 증감률은 오히려 점점 좋게 변화하는중이라 괜찮음. 그리고 지구의 허파가 아마존이라고 하지만 지구대기층의 산소의 생산은 바다가 해주는게 압도적으로 많아서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진 우리나라는 아마존 다 파괴해도 산소걱정 없습니다 걱정마세요

  • @user-ml9pg5jt5t
    @user-ml9pg5jt5t 3 ปีที่แล้ว

    와우~ 좋은정보 좋은영산 감사합니다
    잘보고 갑니다~

  • @jihobae1855
    @jihobae1855 3 ปีที่แล้ว +2

    정말 빅 브레인 이시네요

  • @user-zs5yq1sy5t
    @user-zs5yq1sy5t 3 ปีที่แล้ว +3

    와우 신기하다 타임머신이 게발 되면 사하라 사막을 가봐야 겠구만.

  • @dotol79
    @dotol79 2 ปีที่แล้ว +12

    만 2천년 전쯤엔 사하라 사막이 푸른 초원이었네요. 한 때 그런 적이 있다는 건 알았지만 정확한 시기나 원인은 모르고 있었는데 지구의 자전축, 바닷바람 등의 요인이 있었네요. 다시 사하라가 푸른 초원이 됐을 때의 모습을 우리는 볼 수 없다는 것이 아쉽습니다. 아마존과의 관련성도 잘 봤습니다!

  • @user-zd9mm9vh6e
    @user-zd9mm9vh6e 3 ปีที่แล้ว

    너무 멋진 얘기네요

  • @user-ms4gf7se3d
    @user-ms4gf7se3d 3 ปีที่แล้ว

    영상이 전혀 질리지 않아 아주 재밌어 아주 짜릿해

  • @user-vv5kk9jf1j
    @user-vv5kk9jf1j 3 ปีที่แล้ว +6

    사하라 사막 서쪽땅이 아틀란스였습니다 지금은 땅속에 묻히고 사막화되서 사람들이 모름...
    .1만년전에 초원일때 아틀란스인들이 아프리카 서쪽에서 번성하고 지중해까지 영양줬음
    에게해가면 옛 아틀란티스 유물들이 땅속에 있음

  • @8620sl
    @8620sl 3 ปีที่แล้ว +14

    이건 진짜 신기하네ㄷ

    • @user-qm8qt7he4e
      @user-qm8qt7he4e 3 ปีที่แล้ว

      어묵팝니다 하나에 500원 ..

  • @user-uo8dr8fx9g
    @user-uo8dr8fx9g 3 ปีที่แล้ว +2

    이런 거 너무 재밌다 진짜 ㅎ

  • @user-ju6dx7fi7g
    @user-ju6dx7fi7g 3 ปีที่แล้ว +1

    유익유익 🤵‍♀️👍

  • @user-lr1kz1ky2b
    @user-lr1kz1ky2b 3 ปีที่แล้ว +10

    한마디로 사하라 사막은 아주 오래전에 초원이었고 지금은 사막인 이유는 바람때문이었다는거네요?(+지구의 세차운동)

  • @user-tg8zg9fy9d
    @user-tg8zg9fy9d 3 ปีที่แล้ว +6

    그럼 지구는, 사하라나 남미 지역은 사막화, 우림화를 계속 반복하고 있던건가요?

  • @user-lg9ow6kp1w
    @user-lg9ow6kp1w 3 ปีที่แล้ว

    이해가 쏙쏙 되요

  • @hannahtv7097
    @hannahtv7097 3 ปีที่แล้ว

    최고에요 공부 많이 하시네요 짱

  • @sws-dl8ki
    @sws-dl8ki 3 ปีที่แล้ว +4

    와 역대 본 가설중에 제일 설득력있고 겁나 신기합니다. 역시 자연은 위대합니다

  • @user-ch1bh4cl4z
    @user-ch1bh4cl4z 3 ปีที่แล้ว +6

    뜬금없지만 암각화의 동물그림 엄청 잘 그렸다... 진짜 같아

  • @hiii1143
    @hiii1143 3 ปีที่แล้ว +2

    1일 1업데이트 해줬음 좋겠다.... 과학드림 너무 조아

  • @moonriver4115
    @moonriver4115 3 ปีที่แล้ว

    와우! 설명 너무 멋져요!! 구독 누르고 갑니다 👍

  • @richnq
    @richnq 3 ปีที่แล้ว +29

    지금 그 지역에 흔이 아틸란티스라고 알려진 고대 문명이 번성했다는 썰이 이집트, 그리스, 메소포타미아? 에 기록이 있는데 그것도 한번 다뤄주시죠..

    • @user-pe4sy4bt2g
      @user-pe4sy4bt2g 3 ปีที่แล้ว +1

      어디서 myth를 들고오누

    • @user-it4dx1hn1k
      @user-it4dx1hn1k 3 ปีที่แล้ว +1

      저기 디바제시카 같은 채널에 가서 물어봅시다

    • @einradida-doba-badida8813
      @einradida-doba-badida8813 3 ปีที่แล้ว +1

      고대 페니키아인들이 북아프리카에 카르타고를 건설했듯이, 지중해를 넘어 대서양까지 진출하여 오늘날 '카리브 제도'에 아틀란티스라는 도시를 건설했을 가능성이 가장 합리적인 것 같습니다. 옛날에는 해수면이 낮아 카리브 제도가 더 넓었고, 지금 바다 밑으로 가라앉은 부분이 많죠. 페니키아인과 접촉한 플라톤 같은 고대 그리스인들이 대충 주워 듣고 전하다보니 '1만년 전의 거대 대륙'으로 부풀려진 것이구요. 적어도 아틀란티스 신화를 전한 고대 그리스인들이 아프리카 정도는 알고 있었으니 아프리카와 햇갈렸을 가능성은 없습니다.

    • @hypernomad
      @hypernomad 3 ปีที่แล้ว

      과학이 아니잖니

    • @user-ij7wu1im1q
      @user-ij7wu1im1q 3 ปีที่แล้ว

      아틸란티스는 대홍수때 가라 앉았음.

  • @pokpa33
    @pokpa33 3 ปีที่แล้ว +4

    와우..황허 코뿔소, 코끼리 이야기도 부탁 합니다.

  • @dudoongsil
    @dudoongsil 2 ปีที่แล้ว

    내용, 구성, 나레이션 모두 깔끔하다

  • @ejp4568
    @ejp4568 3 ปีที่แล้ว

    너무 재밌어요!!! 왕신기

  • @joop3928
    @joop3928 3 ปีที่แล้ว +12

    나이가들면 점점 원시가되는데, 어릴때 근시였던 사람들은 나이가들면서 정시로 교정이될까요? 평소에 궁금했어요

    • @user-wh3kx8wy7h
      @user-wh3kx8wy7h 3 ปีที่แล้ว

      어릴때 원시인 경우는 자라면서 교정될 여지가 있어요. 근데 어릴때 근시인 경우는 그냥 선천적으로 시력이 안 좋은 거여서..

    • @user-qm8qt7he4e
      @user-qm8qt7he4e 3 ปีที่แล้ว

      어묵팝니다 하나에 500원 .

  • @싹뚝
    @싹뚝 3 ปีที่แล้ว +34

    반대로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도 5천년뒤엔 사막이 될수도 있다는 뜻이 아닐까요

    • @user-fq5uy9yu2o
      @user-fq5uy9yu2o 3 ปีที่แล้ว +2

      ? 그건 아닌데..ㅋㅋ

    • @worldbig1599
      @worldbig1599 3 ปีที่แล้ว +6

      5천년 뒤는 택도 없고 다만 시간이 진짜 많이지나서 북상하는 호주대륙이 아시아에 붙으면 그때는 우리나라가 몽골처럼 초원지대가 될거임

    • @user-qm8qt7he4e
      @user-qm8qt7he4e 3 ปีที่แล้ว +1

      어묵팝니다 하나에 500원 .

    • @user-hc8mt4tu8u
      @user-hc8mt4tu8u 3 ปีที่แล้ว

      북한은 사막이다 나무를다 배버려서

    • @wonlee3336
      @wonlee3336 3 ปีที่แล้ว +2

      뭐 우리나라 100년전만해도 산에 나무같은거 없어서 거의 사막이었을듯

  • @lkofficeinc.5126
    @lkofficeinc.5126 3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q.sun3702
    @q.sun3702 3 ปีที่แล้ว

    몰랐던 내용
    감사합니다.

  • @user-vk7fb1to1v
    @user-vk7fb1to1v 3 ปีที่แล้ว +30

    진짜 과학은 알다가도 모르겠닼ㅋㅋ

  • @user-rd9mr9wv9w
    @user-rd9mr9wv9w 3 ปีที่แล้ว +7

    그럼 우리가 알고 있는 옛 문명들은 저런 숲속에 존재했던건가

  • @abcdefghi__li
    @abcdefghi__li 3 ปีที่แล้ว

    과학드림 넘죠음ㅎㅎ 어릴때 과학동아 보는기분!!

  • @unbalancekiss
    @unbalancekiss 3 ปีที่แล้ว +1

    놀라워요!

  • @SamuelSmith1221
    @SamuelSmith1221 3 ปีที่แล้ว +21

    5000년 전이면 엊그제(지구입장)인데.. 진짜 다시 회복할 수 없을까?! 결국 세차운동이 역전해야 가능한가?!

    • @Republic_of_China_No.1
      @Republic_of_China_No.1 3 ปีที่แล้ว

      2만 5천 772년을 기다리면 가능합니다(세차운동 주기)

    • @user-qm8qt7he4e
      @user-qm8qt7he4e 3 ปีที่แล้ว

      어묵팝니다 하나에 500원 .

    • @user-cz5cy1ud1k
      @user-cz5cy1ud1k 3 ปีที่แล้ว

      그리고 아마존은 사막이 되죠

  • @user-tw6qn6nu1l
    @user-tw6qn6nu1l 3 ปีที่แล้ว +5

    매번 이집트 사람들이 나일강 주변을 제외하면 사막이 대부분인 곳에서 나무로 된 물건, 거대한 석조물을 어디서 구해와서 만들었나 궁금했는데 이집트 문명이 번성할 당시에는 숲이 있었겠군요.

  • @iljoongkim9291
    @iljoongkim9291 3 ปีที่แล้ว

    정말 잘 만들었네요...

  • @profighter2364
    @profighter2364 3 ปีที่แล้ว

    그림이나 편집이나 발성이나 내용이나 미쳤다 미쳤어

  • @llllIIIIlllIIIlll
    @llllIIIIlllIIIlll 3 ปีที่แล้ว +4

    그리스만 봐도 지금은 좀 황량해보이지만.. 신전이나 옛터를 보고 있다 보면.. 그 당시만 해도 지금보다는 멋진 초원에 푸른 풀과 물이 흐르는 아름다운 곳이 였을꺼라고 생각듬. 점점 사막화 되어가고 있다는거지..

  • @malyoo2487
    @malyoo2487 3 ปีที่แล้ว

    오호.. 좋은 정보 알아갑니다.

  • @user-vs9cl8bj8m
    @user-vs9cl8bj8m 3 ปีที่แล้ว

    넘모 신기해...나두 이런 거 즐겁게 공부하면서 배우고 싶다...

  • @bookstoremaster1023
    @bookstoremaster1023 3 ปีที่แล้ว +4

    어렸을 때 붉은 모래 사막이랑 열대우림이 같이 있던 꿈을 꾼 적이 있었는데 지구에도 이런 곳이 있었던 적이 있구나.... 듄에서는 물을 모으는 슈트를 입었는데 꿈에서는 좀 풍족하게 자랐었음

  • @Gwangpen
    @Gwangpen 3 ปีที่แล้ว +5

    ?? : 나때는 말이야~~ 사하라가 푸른 초원이었다~~ 이말이야~

    • @LKLAAADPLIOI
      @LKLAAADPLIOI 3 ปีที่แล้ว

      ???:나때는 말야 사하라가 사막이었단 말야

    • @LKLAAADPLIOI
      @LKLAAADPLIOI 3 ปีที่แล้ว

      ???:어? 알아? 모르면 저어어기(태평양)가있어!

  • @user-lq4ee8cy1g
    @user-lq4ee8cy1g 3 ปีที่แล้ว

    흥미롭네요

  • @gle_Goo
    @gle_Goo 3 ปีที่แล้ว +1

    와~~신기해~~

  • @junhasung4226
    @junhasung4226 3 ปีที่แล้ว +19

    그러면 과거 사하라사막이 숲이었을때 아마존은 정글이 아니었나요???

    • @uricpa
      @uricpa 3 ปีที่แล้ว +38

      아마 존이였을껍니다

    • @bibittubi2
      @bibittubi2 3 ปีที่แล้ว +1

      @@uricpa ㅋㅋㅋㅋㅋ

    • @junhasung4226
      @junhasung4226 3 ปีที่แล้ว +1

      한국세무사회 ㅋㅋㅋㅋㅋㅋㅋ 처음에 뭔가 했네 ㅋㅋㅋㅋ

    • @ScienceDream
      @ScienceDream  3 ปีที่แล้ว +7

      지금보다 우림이 덜 울창했을 것 같습니다:)

  • @einradida-doba-badida8813
    @einradida-doba-badida8813 3 ปีที่แล้ว +9

    사막은 늘 '망한 땅'이라고만 생각했고 낙타나 오아시스 이외에는 생태학적인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적이 없는데, 사하라 사막에서 날아간 먼지가 아마존의 인(phosphorus) 공급원이라는 사실은 정말 놀랍네요. 식물이 없으니 인이 소비되지 않고 그냥 먼지로 쌓여 있나 봅니다.

  • @sokheejung
    @sokheejung 3 ปีที่แล้ว

    대박.. 최고

  • @hannahtv7097
    @hannahtv7097 3 ปีที่แล้ว

    정성이 많이 들어간 체널 좋아요 구독꾹

  • @user-vf5ss8ow5v
    @user-vf5ss8ow5v 3 ปีที่แล้ว +4

    사하라가 초원 지역이었다니. 굉장히 신기한 사실이군요.
    덕분에 지구의 대기와 그에 대한 물질순환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