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시험 만능주의를 한방에 보여주는 소름 실험 / 스브스뉴스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5 พ.ย. 2018
  • 공짜로 받은 10만 원을 옆 사람과 가장 공정하게 나누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각자 5만 원씩 나눠가지던 사람들이 '이것'을 하고 나자 돌변하기 시작합니다! 대체 무슨 일이 발생했던 걸까요? [SBS 창사 특집 대기획 운인가 능력인가]에서 사람들의 심리 속에 담긴 비밀을 파헤쳤습니다
    기획 SBS 창사 특집 대기획 운인가 능력인가 / 편집 박경흠 / 도움 남영주 엄희철 인턴
    ✔ 뉴스에는 위아래가 없다, 스브스뉴스
    - 스브스뉴스 링크 -
    Facebook : / subusunews
    Instagram : / subusunews
    홈페이지 : news.sbs.co.kr/news/subusuNews...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3.4K

  • @SUBUSUNEWS
    @SUBUSUNEWS  5 ปีที่แล้ว +1542

    11월 18일 밤 11시 5분, "SBS 창사 특집 대기획 2부 불운을 피하는 방법"도 많은 시청 바랍니다!

    • @hihihihihi739
      @hihihihihi739 5 ปีที่แล้ว +1

      @@kik310 일요일 9시에 1부도 다시 하는듯요

    • @user-vj3dr2gt2g
      @user-vj3dr2gt2g 5 ปีที่แล้ว +26

      너네나 잘하고 말해라 스브스야

    • @user-qb4ex2xn4s
      @user-qb4ex2xn4s 5 ปีที่แล้ว

      ㅇ ㅣ

    • @user-od2fm9qz5f
      @user-od2fm9qz5f 5 ปีที่แล้ว

      오우 광고 지려보리네

    • @user-lm1jn8dz4h
      @user-lm1jn8dz4h 5 ปีที่แล้ว +1

      시험잘봐서 출세한 사람들 대부분 다른 잣대를 준비하라고하면 그것도 잘 준비함

  • @beefran5286
    @beefran5286 5 ปีที่แล้ว +22202

    스브스 이러고도 지들은 시험으로 사람뽑음

    • @trunyre8037
      @trunyre8037 5 ปีที่แล้ว +4484

      이게 팩트다

    • @megasoulbeats
      @megasoulbeats 5 ปีที่แล้ว +1436

      ㅋㅋㅋㅋㄹㅇ;;

    • @user-gx6tn2it2e
      @user-gx6tn2it2e 5 ปีที่แล้ว +1733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받아들여지는게 힘든 현실이니...ㅎ 그래도 이런 시도를 한다는게 좋은데

    • @user-rq9fn8my8m
      @user-rq9fn8my8m 5 ปีที่แล้ว +66

      개웃굨ㅋㅋㅋㅋㅋ

    • @hh8655
      @hh8655 5 ปีที่แล้ว +3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KHan-nf3yu
    @KHan-nf3yu 4 ปีที่แล้ว +3750

    우리나라의 무한루프
    1. 시험을 치지 않는 다른 방법을 제안
    2. 우리나라는 학연, 지연, 그리고, 혈연 3가지 콤비네이션을 이용하여 누군가를 채용하게 함.
    3. 누군가 내부고발로 사회적 이슈가됨.
    4. 공정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하자. 나는 금수저가 아니라서 못하는거냐, 흙수저에게도 동일한 기회를 주는 시험으로 돌아가자!
    5. 결국 다시 시험을 치게됨.
    6. 유례없는 지원자가 몰리기 시작됨. 인원은 한정되어 있기에, 문제가 점점 변형됨. 기형적인 문제가 생겨남. 이유는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서.
    7. 다른 나라 학생이나 공무원에게 시험지를 나눠주며 인터뷰. 이런거 왜함?
    8. 다시 새로운 또는 창의적인 방법을 모색하게됨.
    9. 다시 1번으로

    • @user-fj7kj6gg6u
      @user-fj7kj6gg6u 4 ปีที่แล้ว +138

      ㅇㅈ그냥시험이제일 공정하고 평등함

    • @user-pm2qv3dy5t
      @user-pm2qv3dy5t 4 ปีที่แล้ว +238

      @@user-fj7kj6gg6u 시험말고 평가할 수단이 있긴함? 시험의 공정성과 적절성이 중요한거지 시험을 까내리는건 그냥 무지한데 신념만 그득한거임

    • @andrew3870ify
      @andrew3870ify 4 ปีที่แล้ว +31

      특기 발굴하고 키워서
      듣보잡에 빠져서 밀고 나가면
      남이 보이기엔 잡것이라도
      잡것이 눈에 안뵈는 사람보다 통계적으로 잘 살 확률 높
      이라지만 망하면 한도 끝도 없이 할게 없어져서 기초수급 받고 살게됨
      와! 서울대 공대!
      200만원도 못받는 직장 ㅡㅡ

    • @user-it3uv8ed5m
      @user-it3uv8ed5m 4 ปีที่แล้ว +94

      100년 교육제도 변화 다봤네

    • @jwh9811
      @jwh9811 4 ปีที่แล้ว +48

      @@user-fj7kj6gg6u 자꾸 공정하고 평등이라고 말하는데 ㅋㅋㅋ 그것보다 효율 및 혁신을 추구 해야 발전하지 않을까 ㅋㅋ? 왜 미국에서 직장 잡을때 시험으로 잘 안뽑겟니 ㅋㅋ

  • @rudckf1295
    @rudckf1295 4 ปีที่แล้ว +4367

    자 여러분도 봤듯이 대한민국은 시험 못치면 ㅈ되는 나라입니다 실험에서만 봐도 시험만 잘치면 저사람 보다 내가 더 잘났으니까 하는 마인드가 깔려있는데 인성교육이 더 시급해 보인다 ㅋㅋ

    • @user-ke4qp1jg5z
      @user-ke4qp1jg5z 4 ปีที่แล้ว +146

      근데 전 저 실험은 좀 끼워넣는 느낌이드네요.. 시험잘봤다고 더 내가 누구보다 뛰어나다는걸 보여주는거 같진않은데.., 처음 십만원을 가지는데에 서로 아무것도 한것없이 그것을 가질 기회를 가졌지만 두번째서는 제안자를 선택하는데 시험이 있었고 그 시험을 통해 얻은 자격이니까 내 노력에 대한 보상이 주어진다고 생각하는건 당연하지않은지.. 아무것도 한것없이 받을때랑 내가 노력해서 받은것은 다르잖아요. 단지 저 실험에선 그 노력이 시험이었던거고.
      실제 사회에서 시험결과나 학벌, 돈, 지위같은걸가지고 남을 자기보다 낮다고 평가하는건 말씀하신대로 인성교육 부재 인정..

    • @user-iy1xr9sr3t
      @user-iy1xr9sr3t 4 ปีที่แล้ว +69

      @@user-ke4qp1jg5z 그 실험을 보여 주려고 지금 실험을 했는데 무슨 끼워넣는거임;;ㅋㅋ

    • @suganatsu
      @suganatsu 4 ปีที่แล้ว +1

      rudckf129 공감👏🏻👏🏻👏🏻👏🏻👏🏻

    • @bananaorange3114
      @bananaorange3114 4 ปีที่แล้ว +27

      이걸 만약 유대인이 했다면 거래의 기술이라고 칭찬했을걸?

    • @user-ti7gc4hs4v
      @user-ti7gc4hs4v 4 ปีที่แล้ว +24

      애초에 공부말고 다른거 ㅈㄴ파서 성공할자신 있으면 그걸로 하셈 ㅋㅋㅋ꙼̈ 근데 그거는 시험안보냐 모든게 시험이고 시험은 그사람이 얼마나 노력하고 잠재력이 얼마나 우수한가를 알려주는건데 그거말고 더 효율적인 평가방법이 있으면 천조국인 미국은 달랐겠지 미국도 수능 비스무리한거 있는데 말다했지

  • @user-gi9gm4bn8q
    @user-gi9gm4bn8q 4 ปีที่แล้ว +2382

    근데 저거 생각해보면 제안자가 만원만 줘도 받을수밖에 없는게
    만원만 주더라도 거절하면 아예 못 받는 거니까 비교적 적던 많던 받아야 이득임

    • @user-ng6vv2ki9w
      @user-ng6vv2ki9w 4 ปีที่แล้ว +35

      오 그렇네

    • @uglyteacher
      @uglyteacher 4 ปีที่แล้ว +270

      @@_Mackerel_A 공평한것을 추구한다면 거절 순 돈 즉 현실을 추구한다면 돈을 선택하겠죠.참고로 저는 둘이 돈을 받는게 다를시 거절합니다 왜냐면 시험을 잘본다고 계급이 올라가는게 아닌데 시험이 이 상황에서 아무상관없는데 다를 이유가 없죠 다르게 받으면 기분 좇같아서 안받습니다 ㅇㅈ?

    • @user-tt4no2xl5w
      @user-tt4no2xl5w 4 ปีที่แล้ว +48

      ㅋㅋㅋ 책에서 읽었는데 의외로 1~2달러를 제안한 사람들의 제안을 거절한 경우가 많다고 하더라구요. 이유는 위에같은 사람들이 존재해서?

    • @user-zx4rd3vw6v
      @user-zx4rd3vw6v 4 ปีที่แล้ว +15

      이거 유명한 실험인데

    • @user-fn2ln9zx1l
      @user-fn2ln9zx1l 4 ปีที่แล้ว +15

      갑: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에 대한 원리에 부합해야 함을 간과하고 있다.

  • @Wlwldms
    @Wlwldms 5 ปีที่แล้ว +4657

    나레이션 목소리 나만 이종석 같냐..?

    • @sergei_rahmaninoff
      @sergei_rahmaninoff 5 ปีที่แล้ว +341

      맞음

    • @user-NOZI
      @user-NOZI 5 ปีที่แล้ว +221

      이종석같아서 댓글쓰려했는데 이미 있네 ㅋ

    • @user-gy4cu1qn1i
      @user-gy4cu1qn1i 5 ปีที่แล้ว +14

      ㅇㅈ

    • @0c539
      @0c539 5 ปีที่แล้ว +5

      @@user-NOZI ㅋㅋㅋㅇㅈ

    • @user-ks2rw4zr3g
      @user-ks2rw4zr3g 5 ปีที่แล้ว +3

      소 소 어떻게 앎?

  • @user-ge8wu2hs4c
    @user-ge8wu2hs4c 5 ปีที่แล้ว +3640

    시험으로 사람을 평가하려면 일단 시험을 취지에 맞게 내야 하는건데 현재 우리나라 시험은 그딴거 없다

    • @user-to1ue5bd5j
      @user-to1ue5bd5j 5 ปีที่แล้ว +29

      변별력 얘기하시는거같은데, 시험밖에 평가할 자료가 없어서 난이도 높일수밖에 없는듯

    • @Mmzz__
      @Mmzz__ 5 ปีที่แล้ว +206

      난이도고 변별도도 뭐고 국어면 국어답게 수학이면 수학답게 영어면 영어답게 사탐이면 사탐답게 내줬으면 좋겠다

    • @Mmzz__
      @Mmzz__ 5 ปีที่แล้ว +37

      잘한다 잘한다 ? 님은 님인생 걱정만 잘하심 되실듯 ㅎㅎ 쓸데없는 남걱정해주는게 무슨 마더테레사급 따뜻한마음 ㅠㅠㅠㅠ 너무 따뜻하자나 ~~~

    • @Mmzz__
      @Mmzz__ 5 ปีที่แล้ว +11

      잘한다 잘한다 간디 ❤️❤️

    • @shineleaf8362
      @shineleaf8362 5 ปีที่แล้ว +12

      만점자 적게 내야되니까, 죽도록 열심히 한 애들 좋은 학교 보낼려고

  • @geochoi165
    @geochoi165 3 ปีที่แล้ว +599

    이 실험과 결론이 그다지 유의미하지 않은 이유
    1. 실험군이 너무 작았다.
    2. 사람과 옷이 같은 것을 보아 두 실험이 같은 실험군을 대상으로 망각없이 연속 된것 같은데 각 실험의 결과와 과정이 서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3. 시험을 푸는 행위와 그 점수가 대조 실험과는 다른 결과를 불러왔다고 시험 만능주의라는 것은 대단한 논리적 제약이다. 만약 게임하고 이겨서 돈 주는 사람과 돈 받는 사람을 정하는 실험에서 이런 결과가 나오면 게임 만능주의라 할 것인가? 아닐거다. 실험자들은 시험을 단순하게 유리한 입지를 선점하는 수단으로써 받아들였을 수도 있는 것이다.
    4. 결정적으로 한국인에 대한 대조군이 없다. ‘대한민국 사람’이 시험 만능주의라는 것에서 중요한 ‘대한민국 사람’과 대조과는 실험군이 없다. 개인적인 가정이지만 이런식의 실험과 결론이라면 ‘시험만능주의’가 아닐 국가가 별로 없을 것 같다

    • @user-lz9ql2vm4h
      @user-lz9ql2vm4h 3 ปีที่แล้ว +27

      실험이라길래 최소 20팀은 잡아서 할줄알았는데 5팀이라길래 상당히 놀랐음
      유튜브 영상이라 예산이 부족한가?

    • @eneh_
      @eneh_ 3 ปีที่แล้ว +2

      거의 야동 안 본 남자 찾기

    • @MrDochisarang
      @MrDochisarang 3 ปีที่แล้ว +2

      애초에 control group 없기때문에 의미없어요

    • @idealizate
      @idealizate 3 ปีที่แล้ว +34

      아주 좋은 설명이네요. SBS에서는 경제학과 출신이 없는건지 게임이론을 이렇게 써먹을 줄은 생각도 못했네요. 이 게임의 결과를 그대로 가져가서 제안자 그룹과 수용자 그룹을 맞바꾸고 진행하면 비슷하거나 더 불공평한 제안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시험성적이 결정하는게 아니라 전 게임의 결과가 현 게임의 결과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죠.

    • @user-bb3fr3hy8w
      @user-bb3fr3hy8w 3 ปีที่แล้ว

      저도 보면서 불편했는데 문제있는 부분을 딱 집어서 설명해주시니 속이 시원하네요

  • @superdory
    @superdory 3 ปีที่แล้ว +178

    지들이 이렇게 만들어놓고 우리보고 바꿔보라는건 무슨심보냐?

    • @user-oy6et8kn1l
      @user-oy6et8kn1l 3 ปีที่แล้ว +2

      안 바꾸는 것보단 낫지........

  • @JiwonSong95
    @JiwonSong95 5 ปีที่แล้ว +3324

    SBS가 시험에 대해서 얘기한다 방송사 필기시험 진짜 NCS급 적폐시험이잖아 왜 너네가 그 얘기를 해? 너네만 정의로운 척해? 더 오랜 시간 쓰레기같은 시험으로 수만명을 울게 한 너네가 그딴 얘기하니까 화만 난다
    내로남불이 사람들이 제일 싫어하는 것이라고들 하잖아 지금 너네가 그래 역겨워

    • @user-to1ue5bd5j
      @user-to1ue5bd5j 5 ปีที่แล้ว +72

      이런목소리 굿굿

    • @Rimwah
      @Rimwah 5 ปีที่แล้ว +366

      그런 적폐시험을 보고 들어간 사람들이 그런류의 시험에 회의감을 가지고 사회 모두에게 경각심을 가지도록 이런 콘텐츠를 만든거아닐까요?

    • @user-vh4qm1zy8f
      @user-vh4qm1zy8f 5 ปีที่แล้ว +163

      ;; 왜그렇게 화를 내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주위에서 이런사람이 있다면 당장 도망가고 싶은 유형이네요....

    • @bigstar94111
      @bigstar94111 5 ปีที่แล้ว +7

      @@Rimwah 그런 목소리는. 괜찮으나 깔려면 스브수부터 먼저 까는게 타당하죠

    • @user-xr7qz4fz5n
      @user-xr7qz4fz5n 5 ปีที่แล้ว +8

      현재 상황이 나쁘지만 자정의 목소리를 내면서 조금씩 변해간다는 정도로 보면 좋을 거 같아요ㅠㅠ 인사권을 쥔 자들이 바뀌어야 달라지겠죠ㅜ 정말 합리적이고 공정한 시험을 치루게 됐으면 좋겠습니다

  • @user-ed7yh2rq7b
    @user-ed7yh2rq7b 5 ปีที่แล้ว +1893

    교육부는 지들이 만든 교육과정 경험하지 않을꺼여서 막 만들고 막 바꾸는걸까

    • @user-pd2fe6rh3o
      @user-pd2fe6rh3o 5 ปีที่แล้ว +37

      02생 재수하면 개망합니다^^ 02년생만 이렇게 고통스러울까

    • @user-nj8rv3uc7z
      @user-nj8rv3uc7z 5 ปีที่แล้ว +5

      @@user-pd2fe6rh3o 01 아님?

    • @wltntls4041
      @wltntls4041 5 ปีที่แล้ว +29

      @@user-nj8rv3uc7z 20 21 22 수능 다 다름. 근데 현 고2는 교육과정자체가 빠진 것도 너무 많고 걍 ㅈ같이 바껴서 그리

    • @infernoultimatedemise5289
      @infernoultimatedemise5289 5 ปีที่แล้ว +1

      당연한 수순

    • @user-kk5ue9my2v
      @user-kk5ue9my2v 5 ปีที่แล้ว +1

      @@user-pd2fe6rh3o 저 02년생ㅠㅠ
      내신도 조졌는데ㅋㅋㅋㅋ

  • @user-xv9xb1wf7q
    @user-xv9xb1wf7q 3 ปีที่แล้ว +1098

    한국은 시험이 사람의 인생을 결정한다.
    제발 님들;; 싸우지 마시고 저의 의견은 시험이 없어져야 한다는게 아님니다;

    • @앵코
      @앵코 3 ปีที่แล้ว +3

    • @앵코
      @앵코 3 ปีที่แล้ว +1

      @김채호 이사람 닉이 대한민국 이잖아요ㅋㅋ

    • @nitric_nitrogen
      @nitric_nitrogen 3 ปีที่แล้ว +9

      그게 우리나라가 더 이상 발전 불가능한 이유

    • @user-be9kw7zk8l
      @user-be9kw7zk8l 3 ปีที่แล้ว +4

      한국에선 시험이 인생을 결정합니다!

    • @Unkind_F1ow
      @Unkind_F1ow 3 ปีที่แล้ว +12

      @@앵코 닉만보고 바로 욕때려버리네;; 나쁜 댓글 투척이다 씨바라마

  • @baby_gomxy
    @baby_gomxy 4 ปีที่แล้ว +641

    4:10 얘는 운빨 맞네

    • @user-fh2qj6uv6t
      @user-fh2qj6uv6t 4 ปีที่แล้ว +25

      ㅋㅋㅋㅋㅋㅋㅋㅋ하늘 맞죠?

    • @KaInt02
      @KaInt02 3 ปีที่แล้ว +8

      @@user-fh2qj6uv6t 쟤가 누구임?

    • @Bkbkbkbkbkbkbkbkbkbk
      @Bkbkbkbkbkbkbkbkbkbk 3 ปีที่แล้ว +2

      예쁘면 학폭해도 됨

    • @user-ed2vq1pq5u
      @user-ed2vq1pq5u 3 ปีที่แล้ว

      @@Bkbkbkbkbkbkbkbkbkbk 느그 가족을 느그가족이라고 생각해봐라!

    • @lifereversal2288
      @lifereversal2288 3 ปีที่แล้ว

      @@Bkbkbkbkbkbkbkbkbkbk 숨겨진 도전 과제 를 해금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 @user-gr5xs6io1f
    @user-gr5xs6io1f 5 ปีที่แล้ว +2282

    초:지금 공부하면 중학교때 편해!
    중:지금 공부하면 고등학교때 편해!
    고:지금 공부하면 대학때 편해!
    대학:지금 공부하면 직장얻을때 편해!

    • @user-mv5ng2ql3f
      @user-mv5ng2ql3f 5 ปีที่แล้ว +599

      직딩 : 지금 공부하면 이직/승급할때 편해!

    • @user-fz6kg7uh1c
      @user-fz6kg7uh1c 5 ปีที่แล้ว +387

      이게 나라냐

    • @user-eq1ck4bu1c
      @user-eq1ck4bu1c 5 ปีที่แล้ว +308

      원래 인생에 공부는 끝이 없는건데

    • @yousung3999
      @yousung3999 5 ปีที่แล้ว +90

      진짜 다들 어려서 공부하는게 세상에서 제일 쉬운 건지 모르구나...

    • @user-ml2ku1kv6x
      @user-ml2ku1kv6x 5 ปีที่แล้ว +70

      재밌네. 40대, 공부에미쳐라 라는 책이 있는데 읽어봐라.
      물론 우리나라 초중고교육 시험은 문제가 있는 건 확실하고 네가 하고 싶은 공부를 해라 정 학교 때문에 네가 하고 싶은 공부를 못한다면 자퇴해라 그게 답이다. 그런데 네가 그 분야에 미칠 수 있어야만 효력을 얻는다.

  • @user-gu4yt2uv5y
    @user-gu4yt2uv5y 5 ปีที่แล้ว +2523

    진짜 한국 교육정책 바뀌면 좋겠다 제발

    • @user-zt7nk9iw7y
      @user-zt7nk9iw7y 5 ปีที่แล้ว +125

      한국교육정책 책임자 찾아가서 머리 화분으로 깨버려요

    • @user-gu4yt2uv5y
      @user-gu4yt2uv5y 5 ปีที่แล้ว +136

      @@user-zt7nk9iw7y 이성적으로 생각하자 그럼 나 철컹철컹이야

    • @user-gu4yt2uv5y
      @user-gu4yt2uv5y 5 ปีที่แล้ว +48

      @@username59121 ㅇㅈ 우리가 보기엔 교육부장관이 무슨일하는지 모르겠음 바꾸라는 얘기 많이들었을텐데...

    • @user-xl2gl3zo6v
      @user-xl2gl3zo6v 5 ปีที่แล้ว +36

      일단 교육부 고위급들이 대한민국 교육위 문제점을 모름 그리고 그 다음은 강남엄마들이라고 할 수있지

    • @ashbrown-vm2sj
      @ashbrown-vm2sj 5 ปีที่แล้ว +11

      정말 공감합니다... 물론 현실적인 어려움도 따르겠지만 지금 교육정책은 정말 아니라고 봅니다
      현재 상태에서 바꾸기 위해 굉장한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조금씩이라도 시작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user-im7vi5wv3s
    @user-im7vi5wv3s 4 ปีที่แล้ว +735

    시험을 못보면 능력이 부족하다
    시험을 못보면 실패자다
    이런말이 가득..

    • @Dj-Park
      @Dj-Park 4 ปีที่แล้ว +34

      국영수만 백날 공부하는 것도 문제임

    • @user-hm9ri5hl5q
      @user-hm9ri5hl5q 4 ปีที่แล้ว +2

      남들이 똑같이 공부하고 붙으니까 학을 떼는 거죠. 인간은 우월함을 사랑하니까...
      정작 그게 인생을 바뀌어 주는 것도 아닐텐데도...

    • @user-hm9ri5hl5q
      @user-hm9ri5hl5q 4 ปีที่แล้ว +2

      @@user-rr3ly3ub4o 개인에 따라 다르죠. 공부도 성공할 길은 맞으나 그것을 다른 이들에게 정당화 시키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 @kyungtaeklee5811
      @kyungtaeklee5811 4 ปีที่แล้ว +4

      학력이 부족해서 못 사는건 아닌데 학력이 높으면 보통이상으로 사는건 맞음.

    • @laoposicioncritica9568
      @laoposicioncritica9568 4 ปีที่แล้ว +3

      @@Dj-Park 국영수는 사고력과 독해력을 기르는 수단임 절대 목적이 아니라 물론 자신이 원하는 분야에 관심도 가져야하지만

  • @user-yf2sq3hy2x
    @user-yf2sq3hy2x 4 ปีที่แล้ว +835

    우리나라는 인성보다 이제 스팩이 우선인나라 아닌가 인성 개같아도 공부만 잘하면 된다고 가르치고있잖아 부모들이 멀 세삼 스럽게 그니까 애들도 줄세우기하지

    • @user-jz4bs1ik7k
      @user-jz4bs1ik7k 4 ปีที่แล้ว +22

      ㅋㅋ 해외도 똑같아요 돈만 내면 명문 대학 가는 곳이 해외인데 뭘

    • @jooyoungson510
      @jooyoungson510 4 ปีที่แล้ว +51

      @@user-jz4bs1ik7k 문제는 돈 내고 들어간 애들은 졸업이 안됀다는거지..한국은 대학 들어가면 거의 무조건 나오는데 외국은 다름. 내 주위에 사람들 돈 많이 내고 대학 들어가서 졸업했다는건 들어본적 없음

    • @user-hm9ri5hl5q
      @user-hm9ri5hl5q 4 ปีที่แล้ว +4

      하하. 국민이 국가의 거울이라 하였는거늘
      우리의 밝은 미래를 장차 이끌어줄 인재의 표본이 인성이 X같은데 공부만 잘한다라...
      아주 좋은 나라 아닙니까. 다들 이 나라의 안녕을 위해 조의를 표합시다. 하핫.

    • @user-jz4bs1ik7k
      @user-jz4bs1ik7k 4 ปีที่แล้ว

      @@jooyoungson510 재벌들이 스펙 쌓으라고
      명문 대학 비싼 돈과 빽으로 입학시키는 건데 졸업이 안된다니요
      그리고 미국 같은 경우 합법입니다..

    • @jooyoungson510
      @jooyoungson510 4 ปีที่แล้ว +10

      @@user-jz4bs1ik7k 입학은 돈 많이 내면 되지요. 하지만 졸업은 능력따라 다르죠. 들어가서 공부못하고 F맞으면 당연히 졸업 못하죠 누가 졸업시킵니까. 입학과 졸업은 별개의 문제입니다

  • @mjimlhp7
    @mjimlhp7 5 ปีที่แล้ว +1872

    처음에 나온 실험 이상함. 그냥 마음대로 끼워맞춘거지 제대로 된 실험이라 생각되지 않음.
    제안받는 사람은 거절하면 어차피 한푼도 못받게 되니 감정적인 이유로 거절하기보다는 얼마라도 받는게 낫지. 어차피 공짜로 받는돈인데.. 그런데 그것을 시험성적이 안좋으니 불공정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실험자가 결과를 자기맘대로 해석하는것이지.. 그게 시험결과와 연관성이 있다는 증거가 어디있지? 시험치기 전에는 불공정하다고 거부했는데 시험친 후에 결과가 바꼈다.. 뭐 이런것도 아니고.. 아무런 대조군이 없는데 시험때문에 불공정을 받아들였다고 결론 내리는 것은 억지.
    그리고 제안하는 사람도 시험치기 전후가 다른 사람이 아니고 같은 사람이던데.. 똑같은 룰로 나눠갖기를 하는데 시험친 뒤 다시 하라고 하면.. 실험의 의도를 추측하고 금액을 다르게 할 가능성이 있지.
    차라리 시험전후 서로 다른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되 실험자 수를 늘리고, 또 시험도 트릭을 써서 실험자의 의도를 피실험자가 눈치채지 못하도록 다른 이유로 시험치는 것처럼 만들던지 해야지 신빙성이 있지..
    이 실험은 단지 끼워맞추기밖에 안됨.
    영상 자체의 의도는 좋지만.. 맨앞의 실험은 신빙성이 없음.

    • @user-sg5yn4df5z
      @user-sg5yn4df5z 5 ปีที่แล้ว +41

      Kpop Mania Jenny 저 실험이 어떻게 신빙성 없다는 건지? 개유명한 실험인데..

    • @mjimlhp7
      @mjimlhp7 5 ปีที่แล้ว +136

      @@tic8260 시험에 따라서 계급을 설정하는 일이 현실에서 많이 발생한다는 것은 저도 동의합니다. 하지만 그러한 현실과 이 실험은 별개의 것이에요. 실험의 타당성은 우선 이 실험 자체로 판단해야하죠.
      실험자들이 시험을 잘봤기 때문에 5만원보다 적은 금액을 제시했다고 하기에는 그 근거가 부족하다는거죠. 물론 중간에 시험을 보긴 했습니다만, 두번째 실험이기 때문에 첫번째와 다른 시도를 해볼수도 있는것이고.. 다른 금액을 제시한 이유가 시험때문이라는 연결성이 부족해요. 물론 시험 성적 때문에 그랬다고 인터뷰한 사람들이 있죠.
      하지만 기니피그 효과라고 들어보셨나요? 연구자의 기대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연구참여자가 반응하는 현상을 지칭합니다. 연구자가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 인식하게 되면 연구참여자는 그대로 반응하려는 경향성이 있다는거죠. 실험자의 의도가 명확히 드러나기 쉬운 실험절차일수록 기니피그 효과가 발생하기 쉽다고 합니다.
      이 실험은 어떤가요? 제가 볼때 이 실험은 실험자의 의도가 너무 드러나있고, 그래서 참가자들이 무의식적으로 그 의도에 부응하는 행동과 얘기를 했을 가능성이 크다는거죠.
      게다가 제안받는 사람의 행동에 대한 해석은 더욱더 납득이 안가죠. 시험을 못쳤기 때문에 당연히 덜받아야지라고 생각했다 라는 것은 실험자의 바람이자 추측일뿐.. 근거가 부족해요.
      제안받는 사람 입장에서는 거절하면 어차피 자신도 한푼도 받지 못하기 때문에.. 기분이 좀 나쁘더라도 조금이라도 자신에게 이득되는 방향으로.. 그러니까 제안을 받아들이는 선택을 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
      그것을 시험을 못쳤기 때문에 불공정을 받아들이 것으로 결론내리는것은 실험자의 의도가 반영된 근거가 부족한 추측이라는 것이죠.

    • @mjimlhp7
      @mjimlhp7 5 ปีที่แล้ว +159

      @@user-sg5yn4df5z 유명한 실험이라고 해서 찾아보았습니다.
      우선, 유명한 실험이라고 해서 무조건 다 비판없이 받아들여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유명한 실험의 결과가 나중에 다른 실험이나 연구에 의해서 타당성을 잃고 번복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죠.
      마치 시험 결과만으로 사람의 가치를 판단해서는 안되는 것저럼, 유명한 실험이기 때문에 비판할수 없고 받아들여야 한다는것은 잘못된 것이죠.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 실험이 잘 알려진 최후통첩 게임이라고 영상에서는 소개하고 있지만..
      이 실험은 최후통첩 게임의 양식을 참조로 하고 있을뿐.. 실험의 목적도.. 세부조건도 다른, 다른 실험입니다.
      사소한 조건의 변화로도 실험의 결과는 판이하게 달라질수 있는데.. 마음대로 조건을 바꿔놓고서는 최후통첩 게임이라고 사람들이 오해하도록 말을 해서는 안되는거죠.
      최후통첩 게임은 인간의 공정성에 대한 실험이고 게임은 단 한번밖에 할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실험은 공정성과 시험과의 상관관계를 위한 실험으로 목적이 다르고.. 게임도 두번 진행을 하죠. 그렇다면 이 게임은 최후통첩 게임을 응용한 다른 실험이지 같은 실험이 아닙니다. 그런데 마치 여러사람들에게 인정받은 최후통첩게임과 같은것인냥 말을 하는 것은 잘못되었죠. 그러한 제작진의 실수에 박태건 님도 속은 것이구요.
      결론은 이 실험은 최후통첩 게임의 양식을 활용한 전혀 다른 실험이고, 이 새로운 실험의 설계조건은 신빙성이 부족하다는 것이죠.

    • @user-qw9cr3qt9e
      @user-qw9cr3qt9e 5 ปีที่แล้ว +47

      애초에 이 실험은 경제학에서 인간의 비합리성을 나타내기 위해 만든 실험인데 이렇게 끼워맞추는 것은 말도 안되죠 인간이 합리적이라면 제안자가 돈을 주겠다고 하면 수용자는 동의하는 것이 양측에게 경제적인 이익이 되니까요

    • @user-sg5yn4df5z
      @user-sg5yn4df5z 5 ปีที่แล้ว +3

      Kpop Mania Jenny 근데 왜 “처음에 나온 실험이 이상함” 이라고 하셨죠? 그리고 근거는 그 “첫 실험”의 이상함에 대해 이야기를 안하고 두 번째 실험의 이상함에 대해 얘기 하는지? 그리고 유명한 실험을 반박 못 할 거면 애초에 말을 꺼내면 인되죠

  • @jdjsismsms4406
    @jdjsismsms4406 4 ปีที่แล้ว +1630

    맞잖아 한국에서는 공부로 모든걸 평가하잖아 ㅋㅋㅋㅋㅋ 근데 시기한건 아이돌이 공부잘하면 놀랜다? 왜? 아이돌은 공부안하고 놀다가하는건가? 모든게 공부긴하지 국영수만 공부인게 아니야 망할 한국아

    • @user-dw5mz8pi5j
      @user-dw5mz8pi5j 4 ปีที่แล้ว +193

      자기분야 하나에만 집중해서 전문적으로 잘하게 되는 데도 엄청난 노력이 필요한데 거기다 학교공부까지 잘하는 게 더 대단해 보여서 놀라는 것도 있지 않을까요? 못하는 게 없네.. 이런 느낌으로다가ㅎㅎ

    • @jdjsismsms4406
      @jdjsismsms4406 4 ปีที่แล้ว +10

      유하 그래도 강요하는건 아니라고 봐서 그래요 대단하고 좋긴하죠 ㅎㅎ

    • @YN-xt1bb
      @YN-xt1bb 4 ปีที่แล้ว +23

      공부가 잘못된게 아니라 평가하는 방법이 시험밖에 없는게 잘못된거지.

    • @Siksa_villain
      @Siksa_villain 4 ปีที่แล้ว +19

      어린나이에 공부말고 할게뭐가있을까?
      게임?싸움? ???
      평가하는방식과 시험성적을 바라보는 시선이 잘못된거지

    • @user-iq6bn8mz1y
      @user-iq6bn8mz1y 4 ปีที่แล้ว +3

      탐탐도있다 틀딱아

  • @user-hj2nn6iu6b
    @user-hj2nn6iu6b 4 ปีที่แล้ว +444

    ncs문제지를 대학생한테 보여줘서 인터뷰 딴게 난 왜 이상해보이지. 보여줄거면 기업체 사람들한테 보여주는게 맞는거 아닌가. 우리나라 대학생도 NCS문제 풀면서 '이런거 왜 하는거야' 한숨쉬는데

    • @user-vs9li8oo2y
      @user-vs9li8oo2y 4 ปีที่แล้ว +2

      후카 논점이 그게아님;;

    • @gogleryoman
      @gogleryoman 4 ปีที่แล้ว +30

      @@user-vs9li8oo2y 논점맞음

    • @user-kp3ys5dl6f
      @user-kp3ys5dl6f 4 ปีที่แล้ว +7

      핵구 님이생각하는 논점은 뭔데요

    • @ayj4759
      @ayj4759 4 ปีที่แล้ว +25

      기업체의 시험 방식이 그릇됐다는 주장에 공신력을 얻기 위해선, 대학생에게 보여주는 게 아니라 똑같이 타 기업체 관계자들에게 보여줌으로써 논리를 확보해야 한다는 말임
      고로 논점은 첫 대댓이 잘못 짚었다

    • @SQRT9824
      @SQRT9824 4 ปีที่แล้ว

      저런
      ....

  • @user-ch8yt4df2j
    @user-ch8yt4df2j 4 ปีที่แล้ว +409

    똑같은 실험을 두번하면 점점 전략적으로 바뀌는거 아닐까. 반대로 시험점수 하위팀을 제안자로해도 동일할거 같은데.

    • @JaeYook
      @JaeYook 4 ปีที่แล้ว +74

      ㄹㅇ 제안권 자체가 작용한거 같은데ㅋㅋ 이 실험자체가 실험이라 불릴 자격이 없음 ㅋㅋㅋ

    • @parknanafan
      @parknanafan 4 ปีที่แล้ว +1

      ㄹㅇ

    • @november_1st
      @november_1st 4 ปีที่แล้ว +16

      저 실험은 인간이 합리적인지 비합리적인지를 실험한건데 갑자기 시험의 폐혜에 끼워넣으니 참.. ㅋㅋ 인간이 합리적이면 주는사람은 9만원 가지고 받는사람은 만원을 줘도 받겠다고 해야 합리적이라는 내용의 실험인데 갑자기 시험얘기가 나와버리네..

    • @user-mt8jz8sr8r
      @user-mt8jz8sr8r 4 ปีที่แล้ว +2

      시험결과 상관없이 두번째에 제안자면 약간 배짱부려서 3~4만원 제안할듯 나라면

    • @gambit_7285
      @gambit_7285 3 ปีที่แล้ว

      악플러 나라면 첨부터 4만원 받아가시라 할듯 엌ㅋㅋ

  • @windmorgen3083
    @windmorgen3083 5 ปีที่แล้ว +785

    ㄹㅇ ncs가 적폐 중에 하나다 진짜 관련 업종 사람들도 문제 보면 하나 같이 연관없고 이딴걸 왜 하냐고함

    • @seo533481
      @seo533481 5 ปีที่แล้ว +198

      슬픈건 시험제도에 저항할 여유따윈없음. 그리고 일단 통과하면 저항할 이유가 사라짐. 통과못한자들이 난리치면 다른사람들이 볼땐 실패자들로밖에 안보임.

    • @WriterNakwanjong
      @WriterNakwanjong 5 ปีที่แล้ว +60

      교육이라는 함정임 ㅎㅎ 우르르 몰아놓고 획일적으로 제품 찍어내 듯 사람을 찍어내죠. 그래야 적은 투자 비용으로 많은 이득이 나오죠. 우리나라 교육은 배우는 사람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파는 사람의 편위를 위해 맞추어진 교육입니다.

    • @nikin1775
      @nikin1775 5 ปีที่แล้ว +37

      @@seo533481 핵인정;; 같은 수험생일땐 다같ㅇ이 개같은시험을 욕하는데 그중 합격자가 나오면 내가 멍청했나 아닥하게됨

    • @user-co3iy6qe6u
      @user-co3iy6qe6u 5 ปีที่แล้ว

      그래서 저거 답이 뭐임?

    • @user-kj7zi8rz8d
      @user-kj7zi8rz8d 5 ปีที่แล้ว +4

      NCS 정말 쓸대없긴 하죠. 기술직을 가려고 해도 NCS.. 연관성 1도 없는데 왜 보는지 이해가 안가죠

  • @user-vd9he2jz7r
    @user-vd9he2jz7r 4 ปีที่แล้ว +53

    우리나라는 만능인을 원한다
    한가지만 잘해서는 무시당하기 딱 좋다
    뭐든지 깍아 내려서 나의 우월함을 어필하고 싶어한다 혹은 친구나 지인과 함께 누군가를 무시함으로 인해 친해지기도 한다
    언제부터 이런 세상이 된거지?
    남녀노소 할거 없이 다 이따위로 행동하던데 이런 행동들은 자존감이 낮을때 나오는 행동들 아닌가?

    • @chatnoir5378
      @chatnoir5378 3 ปีที่แล้ว +1

      우월함을 들어내고 싶은건 우리나라 말고도 다른나라도 마찬가지일듯.. 인간이 그렇게 생겨먹은것..

    • @user-wh4lz2uu5n
      @user-wh4lz2uu5n 3 ปีที่แล้ว

      불쌍한 인간들이죠. 정신승리에 도취된 정신병자들

    • @user-uc2ht9qb9y
      @user-uc2ht9qb9y 3 ปีที่แล้ว +2

      지내다보면 우리나라에 특히 자존감 낮은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요 열등감에 가득차서 칭찬해줄 줄은 모르고 깎아내리기 밖에 못하는 사람들 진짜 많아요... 근데 막상 당하는 사람은 그게 열등감 때문이라는 걸 눈치채기 힘들다는 사실

  • @user-gp2uh5fy2q
    @user-gp2uh5fy2q 3 ปีที่แล้ว +106

    정시가 수시보다 나은것처럼 우리나라에서는 시험아니면 어느 공정한 방법이 있을수가없음 ㅇㅇ 시험안치면 또 뒷빽으로 어떻게 하려고 하는게 현실

  • @user-cj9oc8fb6q
    @user-cj9oc8fb6q 4 ปีที่แล้ว +80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만약 자신이 차이가 나도록 배당한 돈을 받은 순간 그 사람이 차별을 두는 것에 순응하는 것이고 그걸 배당한 사람과 별 다를게 없다는 것이다 순수히 이익이란 관점에 현혹되어 저런 사회를 부추기는 것은 배급자와 배급받는 자 둘다 매한가지다

  • @user-sr8nb1qz7q
    @user-sr8nb1qz7q 5 ปีที่แล้ว +753

    우리나라의 시험만능기조가 발생한 이유가 다른 정성적인 평가시스템의 신뢰성이 너무 떨어지기 때문 아닌가요? 학연, 지연, 기타등등 ....외국같은 경우는 교수추천이나 다른 사람의 추천을 받는다는 것에 대한 신뢰성이 높으며 큰 가치를 가지는 지표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고등학교 때, 학교장추천은 그냥 공부잘하는 애들 몰아주거나 학부모 입김 쌘 집안의 아이, 그리고 그놈의 학연, 지연, 정이 뭔지 추천서같은거도 왔다갔다하니.... 이런 상황에서 사람을 평가하는 유일한 지표가 정량적인 시험점수이고, 한정된 자리에 수많은 지원자가 몰리니 점점 사람을 평가하는 시험문제가 아닌 사람을 떨어뜨리기 위한 시험으로 만드는 것 아닌가요?? 무조건 이상한 시험문제를 왜 내는지?? 출제위원들 ㅆㄹ ㄱ!!! 라고 말하기 전에 다른 평가기준을 공정하게 세우지 못한 사회 모습을 조금씩 고쳐나가야 되지 않을까요?? 그리고 추가로 최후통첩게임은 경제학에서도 나옵니다. 게임이론파트에서요. 공부할때는 흥미가는 부분이긴한데... 시험문제로 나오면 교수님이 원망스러운 부분입니다.

    • @lee1949
      @lee1949 5 ปีที่แล้ว +1

      경제학과 다니시는 군요

    • @user-sr8nb1qz7q
      @user-sr8nb1qz7q 5 ปีที่แล้ว +21

      @@lee1949 지금은 아닙니다~~ 경제학은 고딩때 멋져서 들어갔다가 고등학교 때보다 수학을 더 많이 했죠~~ 이 글 보시는 고등학생분들은 참고하세요~ 경제학과 가시면 고등학교때보다 미분을 더 하십니다....

    • @namu_lee
      @namu_lee 5 ปีที่แล้ว +1

      다른건 모르겠는데 학교장 추천 몰아주는게 잘못된건가요?

    • @dkim5341
      @dkim5341 5 ปีที่แล้ว +19

      주입식교육의 폐해와 피해

    • @pr9519
      @pr9519 5 ปีที่แล้ว

      @@user-sr8nb1qz7q 수학인거 미리 파악하고 공학이랑 복전중이에요!

  • @user-ov6se4bm5u
    @user-ov6se4bm5u 5 ปีที่แล้ว +865

    나레이션 이종석같다

    • @user-sm8eq9oz8n
      @user-sm8eq9oz8n 5 ปีที่แล้ว +10

      오..진짜

    • @BB-np2gl
      @BB-np2gl 5 ปีที่แล้ว +4

      코코ᄏ 아니었어요?? 헐..

    • @user-od8pw7zg8b
      @user-od8pw7zg8b 5 ปีที่แล้ว

      그니까요

    • @user-wn3yg9td5q
      @user-wn3yg9td5q 5 ปีที่แล้ว +44

      이종석 맞아요 저 이거 방송 봤어요~

    • @user-wu3cd5ep1q
      @user-wu3cd5ep1q 5 ปีที่แล้ว +14

      목소리 개섹시하다ㅠㅠ

  • @user-pq6bj2hv1f
    @user-pq6bj2hv1f 4 ปีที่แล้ว +270

    시험이 판별하기 좋은 방법이지
    기업은 결국 기업에 이익이 되는사람을 뽑아야지 먼 문제를 내든 그걸통해 기업에 이익이 되는사람을 걸러낼 수 있다면 ㅇㅋ
    걸러내지 못했다면 이제 그건 또 출제자 탓이되지않을까

    • @limbaksa
      @limbaksa 4 ปีที่แล้ว +5

      시험 갑자기 안친다고하면 뭘로 거름...또 수행평가같은거 하겠지... 그나마 시험이 낫다....

    • @sdeisme8004
      @sdeisme8004 4 ปีที่แล้ว +3

      시험은 물론 좋은 수단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건 시험 잘 보고 못보고가 상대방을 깎아내리는 판단이 된다고 말하는 것 같아요 단순히 나보다 시험을 못봤으니 넌 내 이하다라고 보고가는 수준낮은태도,, 이러한 잘못된 태도를 유발할 수 있음을 전하는 듯 합니다

    • @user-mp6vm2qd4h
      @user-mp6vm2qd4h 4 ปีที่แล้ว

      시험제도 중국에서부터 시작했는데.. 중국만 없었어도.. ㅠㅠ

  • @user-td5bv8np7j
    @user-td5bv8np7j 4 ปีที่แล้ว +384

    저 돈실험 저거 재밌는게 저게 대학교에서 하면 학생들 과마다 결과가 완전히 다르게 나온데요...
    제가 사회복지학과인데 저희과에선 돈을 주운 사람쪽에서 (받는사람과) 반띵하자고 말하는(주운사람으로 선정된 사람들이 먼저 그렇게 말했어요) 사람이 거의 90퍼 이상은 됐었는데 똑같은거 경제학과 애들 대상으로 했을땐 주운사람이 90퍼 가져야 한다고(즉 먼저 주운사람이 90퍼 받는사람이 10퍼) 고른사람들도 겁나 많았다고.....
    동영상을 보진 않았고 뎃글에 최후통첩게임(돈실험 풀네임) 이야기가 나오길래 반가워서 썰좀 풀었는데 너무 들뜬 나머지 글을 다소 두서없게 적게 된것 같네요...
    영상에선 이미 주인이 있던 돈을 둘중 한사람이 받는다는 설정이었나 보군요..저희는 길바닥에서 둘중 하나가 만원짜리를 주워서 나눠준다는 설정이었습니다

    • @user-td5bv8np7j
      @user-td5bv8np7j 4 ปีที่แล้ว +38

      @@user-iw9ic3wd3i 돈을 주운 사람이라는 이야긴데 이게 또 이렇게 ㅋㅋㅋㅋ

    • @user-md9iv2ue2z
      @user-md9iv2ue2z 4 ปีที่แล้ว

      @@user-td5bv8np7j ㅌ

    • @user-fs3hz2yy2i
      @user-fs3hz2yy2i 4 ปีที่แล้ว +1

      뭔말이에요,,.? 경제학과는 뭘 주워요??

    • @user-td5bv8np7j
      @user-td5bv8np7j 4 ปีที่แล้ว +2

      @@user-fs3hz2yy2i 돈이요 ㅋㅋㅋㅋ

    • @user-ol5km5xr1o
      @user-ol5km5xr1o 4 ปีที่แล้ว +1

      돈을 줍는 장면이 나왔었나요?

  • @An0ha_say_yo
    @An0ha_say_yo 5 ปีที่แล้ว +569

    받는 사람이 수동적으로 바뀐것도 충격임. 실험상황은 분명 합의가 가능한 상황이잖음

    • @user-yv8mc6re3q
      @user-yv8mc6re3q 5 ปีที่แล้ว +111

      저기 안나온 실험조건이 있는데 실험자끼리의 대화는 금지입니다.

    • @user-dv4bj9jg7z
      @user-dv4bj9jg7z 5 ปีที่แล้ว +9

      ㅋㅋㅋㅋㅋㅋㅋㅋ바보네 바보 영상에 안나온 조건인데 뭔 영상타령? 영상도 댓글로 어느것 하나 제대로 못 보고 진정한 바보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

    • @thoonk9991
      @thoonk9991 4 ปีที่แล้ว

      @@user-yv8mc6re3q ㄹㅇ?

    • @whatimlookingfor9293
      @whatimlookingfor9293 4 ปีที่แล้ว

      아니 그럼 받기라도 하는개 낫지 자존심 때문애 거절하냐...

    • @user-kn1sd4gh5i
      @user-kn1sd4gh5i 4 ปีที่แล้ว

      게임이론상 받아들이는게 서로 이득입니다.거절하면 둘다 0이니까요

  • @user-fz9es8df7u
    @user-fz9es8df7u 5 ปีที่แล้ว +602

    이종석 목소리다

  • @txt.1723
    @txt.1723 4 ปีที่แล้ว +223

    이건 실험결과를 해석을 잘못했다 질문자든 대답자든 꽁돈인데 않받으면 손해가 아니던가 물론 특정 상황은 다룰수도 있지 이상적인것은 반반 이지만 현실은 약간이라도 얻는게 이득이지 만약 저 돈이 실험 참가비라면 거부하는 사람도 많이 나올터

    • @user-qy1ew5ns1e
      @user-qy1ew5ns1e 4 ปีที่แล้ว +17

      이 분 말씀이 일리가 있는게 확실히 이 실험이 표방하는 일명 최후통첩게임에서 원래 증명하고자 했던 바는 오히려 이 영상의 주제와 반대로 애덤 스미스의 철저한 이성으로서의 경제학을 비판하려고 했죠.

    • @user-qy1ew5ns1e
      @user-qy1ew5ns1e 4 ปีที่แล้ว +8

      설명을 덧붙이자면 애덤 스미스의 경제학에 의하면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최대한의 이익을 얻으려 합니다. 고로 애덤스미스의 이론대로라면, 위와 같은 실험에서 돈을 받는 사람은 어떤 금액을 제시하더라도 그 금액을 받아들여야하죠.
      그런데 지나치게 가격이 낮게 측정되면 돈을 받는 입장에 쳐해진 사람이 제안을 거부하게 되는 결과가 높은 비율로 나타나게되죠.

    • @user-qy1ew5ns1e
      @user-qy1ew5ns1e 4 ปีที่แล้ว +8

      그래서 원래 이 실험의 본 목적은 애덤스미스의 이론에서 이기적이고 이성적이기만한 인간상을 부정하는 것인데 영상에서의 전재는 스미스의 경제학과는 또 정반대로 윤리적인 관점에서 실험을 바라보고 있는 것 같네요.
      서두가 굉장히 길어졌지만 제가 하고 싶었던 말은 이 실험의 본 목적과 영상에서 얻으려고 하는 실험의 목적이 서로 모순되어 있어서 시험에 대한 어두운면을 보여주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는 것 입니다.

    • @user-iz3tj2in3p
      @user-iz3tj2in3p 4 ปีที่แล้ว +1

      동의ㅇㅇ 저 실험에서 시험 대신 나이순이나 제비뽑기로 제안자를 정했어도 결과는 비슷했을 거임. 실험결과 해석이 좀 멍청한 수준이네,..

    • @user-cj1de8vg9r
      @user-cj1de8vg9r 4 ปีที่แล้ว

      지랄들허네; 지들이 배운거 가지고 사리판단하는 건 인간종특인가봄. 확증편향이랑 말이 왜있나를 여기 댓글 보면 각 나옴. 꼭 지들이 배운 시각으로, 내용으로, 지식으로 생각하는거 보면 역겨움. 아닌가 이런 댓글을 만드는게 저 프로젝트의 최종형태인가? 자신들이 쌓아올린 편향대로 다른 이들을 가르며 깍아내리는게?
      이 단편적 영상만 보고 지들 아는내용 다 가져다 붙이고 해석이 잘못됬네 어쨋네 ㅇㅈㄹ하는거 보면 쥰나 역겨움. 애초에 이 영상, 아니 저 프로젝트 1부 운인가 능력인가 2부 불운을 피하는 법은 오찬호 작가의 와 기반과 전언을 같이함. 왜 우리는 한국 특유의 주입식교육과 시험을 계층이동의 수단으로 다루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상대로 나누며 차별하는지, 과연 그것은 운인가 능력인가? 를 다루는 프로젝트임. 그런 면에 있어 애덤스미스 최통실을 가지고 약간의 변수 , 즉 시험성적의 유무를 처치한거임. 그랬을때 과연 인간은 어찌 행동할까? 를 보여주는 아주 좋은 단순실험설계의 예인데, 영상하나보고 지들 아는거 다 가져다 붙이는 한국 종특은 여전한거같음. 저 프로젝트에서 단면을 찌르는 말이 이 댓글에 알맞는듯함. 프사부터 나치모영 쥰나 비슷한게 각나옴

  • @RiumT73
    @RiumT73 5 ปีที่แล้ว +70

    시험에 관한 실험이 아닌거 같은데...

  • @user-kh4lb7mc6s
    @user-kh4lb7mc6s 5 ปีที่แล้ว +63

    역시 방송사들은 멍청한 실험을 멈출수가 앖나보다. 일단 제안자가랑 응답자는 동등한 권력을 가지고있지않다. 왜냐면 이 경우는 단 만원을 받아도 게이득인 상황이다. 솔직히 말해서 9대1을 제안한다고 해도 꽁돈 만원이 생긴다면 거의 누구든 수락할것이다.
    만약 상황을 약간 바꿔서 단번에 제안하고 결정내리는것이 아닌 반복하여 협상을 거친다고 해보자. 그러면 응답자는 5:5가 아니면 수락하지 않을거라고 통보할 수 있고 또한 응답자는 제안자가 5:5로 제시하지 않으면 거절할 수 있고 다음 제안을 기다릴수 있다고하자.그렇다면 대부분의경우에 제안자는 결국엔 5:5를 제안할수밖에 없을것이다.
    이렇듯이 첫번째 상황은 제안자가 더 큰 권력을 가진 상황임이 확실하고 두번째 경우는 응답자의 권력을 보완하여 제안자와 비슷한 수준으로 올려놓은 경우이다. 만약에 첫번째 경우에서 어떤 시험이라도, 혹은 가위바위보라도 봐서 제안자와 응답자를 선정한다면 협상의 유리한 고지에 있는 제안자를 하겠다고 선택할것이라는것은 자명하다. 이 경우는 시험을 통해서 더 큰 권력을 가진 사람을 뽑을때 공평한 절차를 거쳤으므로 상식상의 하자가 없다. 그냥 말 그대로 가위바위보 해서 누가 돈을 더 많이 가져갈것이냐를 정한것과 다름없다. 이것은 시험만능주의를 말하기에는 너무 부적절한 멍청한 실험일뿐만 아니라 좋은 자리를 시험으로 결정하는것은 부적절한것이 아니다. 시험만능주의를 비판하기전에 먼저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제대로 된 실험으로 하길 바란다.

    • @sorr.s5787
      @sorr.s5787 4 ปีที่แล้ว

      원래 게임 이론에서도 가장 합리적인 선택은 1원만 주는것임

  • @designyoutuber
    @designyoutuber 3 ปีที่แล้ว +104

    4만원 이하라면 그냥 나도 ㅈ되바라 하고 안받는다 존심상해 그리고 1년전껄 보여주는 너란 알고리즘

    • @user-ht9kh8my2w
      @user-ht9kh8my2w 3 ปีที่แล้ว +6

      남 망하라고 4만원을 포기한다? 이득 보는 게 뭔지 판단 못 하고 남 잘 되는 꼴 못 봐서 배 앓이 하며 찌질하게 객기만 부리는 거지.

    • @qgrhrrsadwf9481
      @qgrhrrsadwf9481 3 ปีที่แล้ว +19

      객기는 아니지 누가 부당하게 하면 어떻게 되는지 날려줄 필요가 있음 3만원이하부터는 못참지

    • @user-xw6ej1pm8f
      @user-xw6ej1pm8f 3 ปีที่แล้ว +5

      ㅇㅇ내가 시험 잘 봤어도 3만원이하는 안줄듯;; 1:47 여자분도 3만원받고 표정 개떨떠름해보이는데;; 애초에 시험보기전에는 대부분 5:5로 나눈상황에서 시험보고나서 아 내가 시험 얘보다 더 잘봤으니까 3만줘도되겠지?헤헤헤 이건 인성터진거같음

    • @shdbfbjdjfjdjsj3253
      @shdbfbjdjfjdjsj3253 3 ปีที่แล้ว +6

      만원 2만원은 그렇다쳐도 4만원부터 ㅈ같다고 안받는거는 남잘되는꼴을 못보는거임ㅋㅋ 사상검증완료

    • @flinklin234
      @flinklin234 3 ปีที่แล้ว +9

      근대 이것도 반대로 생각해볼 필요있음 그냥 반반 나눠서 윈윈하면되지 시험은 시험일뿐이고 난 7~8만원 갖고 너 2~3만원 가져라는 마인드도 문제있음

  • @Keeukseeot
    @Keeukseeot 4 ปีที่แล้ว +318

    시험으로 평가하는건 당연한데. 그 시험을 잘치기 위한 능력과 시험을 통해 얻게 되는 직책에게 필요한 능력이 동떨어져있는게 엄청 비효율적인거지 . 국민이 5000만명인데 개개인의 재능과 능력을 시험말고 뭘로평가하냐

    • @user-sv1sp2ze4t
      @user-sv1sp2ze4t 4 ปีที่แล้ว +4

      이게 맞는거같다

    • @user-qc1mh3yk6m
      @user-qc1mh3yk6m 4 ปีที่แล้ว +10

      3:45

    • @Y-NOT-
      @Y-NOT- 4 ปีที่แล้ว +19

      솔직히 시험없이 자기어필 하는것 보다 그냥 시험쳐서 들어가는게 더 쉽습니다.

    • @myamyaOwO
      @myamyaOwO 4 ปีที่แล้ว

      ㄹㅇㅋㅋ

    • @user-hs3jd9yy1n
      @user-hs3jd9yy1n 4 ปีที่แล้ว +3

      맞아요.시험 못친 등신들이 하는 소리

  • @user-ee9eh2rb4g
    @user-ee9eh2rb4g 4 ปีที่แล้ว +66

    같은 표본이 다른 조건의 실험을 두 번 연달아 한다..... 이거 결과를 믿을 수가 있을지... 게임이론 배울 때는 (시험 없는 임의의 상황에서) 제안자가 9:1을 제안해도 받아들이게 된다고 배웠는디.... 애초에 첫 실험에서 전부 5:5로 제안한 게 더 이상함...

    • @user-bk4jv6pz7s
      @user-bk4jv6pz7s 4 ปีที่แล้ว

      김 나도 5:5 준다고 생각했는뎅

    • @hangaunde
      @hangaunde 4 ปีที่แล้ว

      @@user-bk4jv6pz7s 왜요? 9ㄷ1 로 주면, 상대는 1이라도 받는게 이득인데

    • @36213
      @36213 4 ปีที่แล้ว +9

      @@hangaunde 상대가 로봇이 아니기 때문에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간거죠 저같으면 지는 9만원 갖고 나한텐 만원 준다고 하면 존심상하고 재수없어서 안받을듯

    • @user-bk4jv6pz7s
      @user-bk4jv6pz7s 4 ปีที่แล้ว +3

      김일중 9:1로 해서 상대가 거절하면 둘 다 못 받으니까 안전하게 5:5로 가는거지 애초에 서로 모르는 사람인데 갑 을이 없다생각함

    • @C_Cham
      @C_Cham 4 ปีที่แล้ว +2

      난 받는입장으로 1이라도 받을거임. 없는 것보단 있는 게 낫잖아..? 배알꼴리긴 하지만 내가 제안자가 아니니 1이라도 받을 수밖에

  • @pescatariancashewnuts8761
    @pescatariancashewnuts8761 5 ปีที่แล้ว +106

    아까 그 직무상황 문제.. 영국에서도 똑같이 칩니다..맞는 답이 있는 게 아니라 회사에 맞는 성향을 가진 답을 고른 사람들을 뽑기위해서구요.. 그리고 비교를 핀란드로 하셨는데 핀란드는 한국과 문화 잡마켓 취업 교육 및 초중등 교육 모두다 완전 다른 케이스입니다 시험이 아니면 어떻게 그 많은 사람들에 능력성향을 평가하겠습니까? 시험방식방향을 바꾸면 몰라도 영상 자체가 시험의 존재 자체에 의문점을 두니... 참..

    • @venividivitch8765
      @venividivitch8765 5 ปีที่แล้ว +17

      인정합니다. 유수의 기업체나 공기업, 행정고시, 외교관 공채 시험 등등 고난이도의 시험이 필요한 직종은 당연히 존재합니다. 시험 존재 자체에 대해서 의구심을 가지는건 정말 이도 저도 아닌 사람들이 할 법한 발언에 불과해요.

    • @elizabethlize9548
      @elizabethlize9548 5 ปีที่แล้ว +4

      그래보이지만은 않은데요 문제에 대한 비판을 하고있기도하고 딱히 그렇게 느껴지지는 않습니다 더 정확한 내용을 알려면 이 다큐를 18일날 보게 되면 알게 되지 않을까요

    • @user-ck3sr2xb7p
      @user-ck3sr2xb7p 5 ปีที่แล้ว +7

      그죠 무엇보다 핀란드는 인구가 우리나라 10분의 1 수준이라서 사실상 두 나라의 제도를 1대1로 비교하는 것은 거의 의미가 없습니다.

    • @harvestmark3972
      @harvestmark3972 5 ปีที่แล้ว

      인정

  • @leejack5152
    @leejack5152 5 ปีที่แล้ว +26

    공부 싫으면 안하면 되긴 하죠.
    근데 그러면 주변 시선 이상해질까봐
    어쩔 수 없이 공부하는 사람도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 @user-qy4rj2bd2x
    @user-qy4rj2bd2x 4 ปีที่แล้ว +353

    여기서 한국사화의 학벌주의에 열내는 사람 특: 공부못함
    근데 그게 나네 시발ㅋㅋㅋㅋ

    • @Siksa_villain
      @Siksa_villain 4 ปีที่แล้ว +9

      공부못한다X
      공부제대로안함O

    • @user-zu7jw8wt7s
      @user-zu7jw8wt7s 4 ปีที่แล้ว +32

      @@Siksa_villain 공부를 제대로 안해서 못하는거죠...

    • @Siksa_villain
      @Siksa_villain 4 ปีที่แล้ว

      @@user-zu7jw8wt7s 제대로 공부+공부량(시간) 매우중요

    • @kiky_witch
      @kiky_witch 4 ปีที่แล้ว +24

      그 사상 자체가 공부만능 주의잖아 말귀를 못알아 쳐먹나 ㅋㅋㅋㅋ 공부하기 싫고 다른거 하면 죄인취급하는 나라가 딱 이 전재가 깔려있음 공부할 마음만 있음 공부잘한다. 공부못하는 얘들은 놀고 싶어서 공부안한다 이거아니냐? ㅋㅋㅋ 어? 나고 공부못하네 ㅎ

    • @user-qy4rj2bd2x
      @user-qy4rj2bd2x 4 ปีที่แล้ว

      @@kiky_witch 남 얘기가 아니라 내 얘기라 더 슬픔

  • @joo6490
    @joo6490 4 ปีที่แล้ว +13

    와 아무생각없이 들어왔는데 이종석 목소리.. ㅜㅜㅠㅜㅜ💘

  • @qh6660
    @qh6660 5 ปีที่แล้ว +97

    진짜 목소리 이종석같은데 ... ??....

    • @user-gy4cu1qn1i
      @user-gy4cu1qn1i 5 ปีที่แล้ว +1

      ㅇㅈ

    • @user-nf7cn1md2y
      @user-nf7cn1md2y 5 ปีที่แล้ว

      이종석씨가 내레이션 하셨어요~

    • @user-li7pm5rl7v
      @user-li7pm5rl7v 5 ปีที่แล้ว

      뚠 오이! 뚠 오이! 뚠 오이! 뚠 오이! 아아~ ○○님 노각오이쾌척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 @jooooooe
    @jooooooe 5 ปีที่แล้ว +169

    비문학에서 본 내용이네요 ㅎㅎㅎ...

    • @user-vr9jh3gn4f
      @user-vr9jh3gn4f 5 ปีที่แล้ว

      혹시 몇학년도 몇월문제인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궁금하네요

    • @user-hy9eh2vq8s
      @user-hy9eh2vq8s 5 ปีที่แล้ว +3

      영어 수특에서 본듯

  • @yiojung
    @yiojung 4 ปีที่แล้ว +7

    3:50 괴롭히려고 내는 시험 맞음. 괴롭힘을 어떻게 견딜 수 있는가를 보는 게 목적이니까.

  • @adaquate9137
    @adaquate9137 4 ปีที่แล้ว +6

    저는 해외에서 대학 졸업하고 한국 대기업 인적성 처음 쳤을때 정말 충격이였습니다. 정말 회사와의 fit을 보기위한 시험이라 창의력 질문이 있을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그냥 수능같은 시험이라고 하더군요..여러군데 시험 보면서 왜 질문들이 비슷하지? 라는 생각을 하며 회사마다 각자 추구하는 인재가 있는게 아닐까? 라고 생각했는데 그냥 걸러내기 위한 수단이라는걸 알고 처음으로 그냥 반복적으로 달달 연습했습니다. 영상속에 외국인과 비슷하게 놀랐던거 같네요. 인적성 공부하면서 느낀게 한국 고등학생들이 수능 이라는 시험때문에 얼마나 고생할지 상상이 안갑니다..

  • @BYOLlife
    @BYOLlife 5 ปีที่แล้ว +240

    그럼 뭘로 평가함?
    내신? 입학사정관제? 대학 논술시험?
    전부 돈많은 부자들만 유리하다고 길길히 날뛸텐데?

    • @tangiblemark
      @tangiblemark 5 ปีที่แล้ว +32

      바깔로레아 같은 시험은 어떨까요? 한국시험의 문제는 결과만본다는겁니다. 결과가 맞으면 풀이과정에 대한 부분점수따윈없죠.

    • @user-rw7jk8yz9h
      @user-rw7jk8yz9h 5 ปีที่แล้ว +92

      없음. 여기서 핀란드식 교육제도를 99% 차용한다고 하더라도 사회전반적인면에서 대대로 뜯어고치지 않는이상, 또 이것은 소수 기득권층들을 위한 부패의 온상이 될것.

    • @user-fq9xz6rf6d
      @user-fq9xz6rf6d 5 ปีที่แล้ว +40

      입시제도를 개선하려면 대학서열부터 과감하게 백지화해야됨 하지만 기득권의 상징인 학벌을 내려놓으려는사람이 얼마나될까

    • @clould-yx2xr
      @clould-yx2xr 5 ปีที่แล้ว

      인성으로 뽑힘 월 350 상여포함 일년중 한두달 600

    • @user-ck3sr2xb7p
      @user-ck3sr2xb7p 5 ปีที่แล้ว +15

      @@user-fq9xz6rf6d 난 솔직히 대학 서열 자체를 백지화하는 건 너무 이상적인 대안이라고 생각함. 오히려 독일이 그런 것 처럼 대학을 가기전에 아이들의 진로를 일정 부분 정하게 하는 거임. 물론 원한다면 대학을 갈 수는 있게 해야겠지만 차라리 이렇게 해서 경쟁을 분산시키는 게 차선책으로 나은 것 같음

  • @ShrimpRoyalNewRoyal
    @ShrimpRoyalNewRoyal 5 ปีที่แล้ว +435

    애초에 저런게 존나 웃김 ㅋㅋㅋㅋ 남의 숨겨진 능력은 무시하면서 지들 기준과 잣대로 사람을 뽑겠다는것. 수능도 비슷함. 공정? 과연 공정할까? 그렇게 공정한 시험이라서 사교육이 늘어나냐?

    • @user-tx3wj3lr7t
      @user-tx3wj3lr7t 5 ปีที่แล้ว +59

      지랄하짐 ㅏ 그냥 니가 공부하기 싫은거를 왜 수능탓하냐 꼬우면 니가 숨겨진 능력을 찾을수있는 시험 만들어봐 수능보다 더 효과적인 대책이 있나 이미 있었으면 그제도를 이미 했겠지 그 많은 수의 학생들을 일일히 숨겨진능력을 찾아준다고 생각하고말하자 좀;

    • @user-uh9le8si3w
      @user-uh9le8si3w 5 ปีที่แล้ว +2

      능력 찾아보는데 노력은 해보시고 그런 말씀 ?ㅋㅋㅋㅋㅋ

    • @donghwan3172
      @donghwan3172 5 ปีที่แล้ว +16

      그럼 학생부종합 비리 존나 심한데 이건 공정할까

    • @donghwan3172
      @donghwan3172 5 ปีที่แล้ว +10

      그리고 내신도 족보 받던가 준비하려면 학원 다녀야 하고
      수시 입시전형 많아서 컨설팅 받아야 하는데
      그돈이 수능 준비 사교육 비용보다 많이 들껄

    • @user-hl7yu3ju9j
      @user-hl7yu3ju9j 5 ปีที่แล้ว +2

      @@user-mo5yu5oe3t ㅇㅈ

  • @user-de5mx1vt2z
    @user-de5mx1vt2z 5 ปีที่แล้ว +8

    대한민국은 저런 부당한.. 부당한것을 당연하게 여기게 될 교육과정은 진짜 봐뀌어야 함. 난 아직 중1인데도 순간 저게 당연하게 여겨졌다. 초딩때까지만해도 저건 공정하지 않은거였는데.

  • @johnswanson217
    @johnswanson217 ปีที่แล้ว +3

    결론은 전부 대기업 독식하는 경제구조가 문제다. 일본처럼 아무 대학이나 나오기만 하면 월 200 받더라도 정상적인 회사에 들어갈 수 있는 시스템이 있어야하는데, 이건 무슨 대기업 몇개 아니면 다 망해가는 중기밖에 없으니까 선택지가 어딨겠냐.

  • @user-uk6dm8yw1g
    @user-uk6dm8yw1g 5 ปีที่แล้ว +117

    저 문제는 개인차 아닌가... 자신이 돈 벌고 싶으면 다시 돌아가는가서 일하고 나 자신이 더 중요하면 어우 저건 시험문제도 아니야

    • @user-zu1mz7zk4g
      @user-zu1mz7zk4g 5 ปีที่แล้ว

      매우 어려운 시험을 통과하는 사람들이 사회적 지위를 얻었을때 어떻게 하는지 보면 된다. 개인차도 있지만 환경이 사람이 만들죠.

    • @woorihwang6827
      @woorihwang6827 5 ปีที่แล้ว +2

      그렇죠 시험문제도 아닌데 마치 '정답'이 있는것마냥 치부하는게 현실

  • @user-jl7zc1pe8m
    @user-jl7zc1pe8m 5 ปีที่แล้ว +79

    뭐지 나레이션 누가봐도 이종석인데??? 아니면 대박,,,,

  • @jaehwna
    @jaehwna 4 ปีที่แล้ว

    뜨끔하게 만드는 영상이었습니다. 좋은 영상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user-pw5hu3nd4w
    @user-pw5hu3nd4w 4 ปีที่แล้ว +8

    시험말곤 그 사람의 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이 한국에는 없습니다
    그나마 시험이란 제도가 형평성에서는 깨끗하지만 지금 현시대는 그 시험이라는 것이 과열되어 과거와 다르게 나날히 그 수준이 올라가며
    취업과 학업 성취또한 더 어려워졌다는 것입니다. 자원이 없는 나라 땅덩이가 좁디 좁은 나라이기에 그 경쟁은 치열하지요.
    시험 자체가 아니라
    이 사회 시스템의 문제인것입니다
    베이비 부머들의 자리를
    현 시대 한국 청년들이 비집고 들어갈 자리가 없다는겁니다
    너무나 많이 사람들이 너무나 많은 자리를 다 부여잡고 있기때문이죠
    그리고 나날히 자동화 시스템도입이 가속화 됨에 따라 사람이 필요가 없어지고 있구요

    • @roreken9641
      @roreken9641 4 ปีที่แล้ว

      @성이름 시험으로ㅋ

    • @user-pm2qv3dy5t
      @user-pm2qv3dy5t 4 ปีที่แล้ว

      @성이름 한국 한국 거릴게 아니라 간단하게 생각하면 답이 나오는데.. 인류문명에서 시험말고 남의 능력 평가할 수단이 뭐가있음?

    • @user-me8zn2xi8p
      @user-me8zn2xi8p 4 ปีที่แล้ว

      @성이름 미국을 완전히 유토피아마냥 생각하나

  • @user-cc5qx2tr3z
    @user-cc5qx2tr3z 5 ปีที่แล้ว +120

    무언가를 비판하고 바뀌야한다고 주장하려면 당연히 그에 대한 대안책도 내놓아야 함. 그런데 지금의 입시제도를 비판하는 영상,사람들 중에서 단순히 다른선진국과 비교하는 것 말고는 대안책이 있는 경우가 거의 없음. 그리고 선진국처럼 따라한다고 모든게 되는가? 라는 것도 생각해봐야 함. 교육부 하는게 어설프게 다른선진국 따라 한다고 욕 먹는데. 쨌든 결론은 이렇게 깔거면 대안책도 같이 내노라는 거임. 합리적이고 수용할 만한.

    • @freedomhello9946
      @freedomhello9946 5 ปีที่แล้ว +22

      본인은 대안책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대안을 내놓지 못하면 문제를 문제라고 하지못하나요? ncs에 대해서 이렇다할 문제 자각이 없었는데 저는 이 영상보고 (오늘 ncs 시험보고 왔습니다) 좀 황당한 문제가 있어서 이상하다고만 생각했었는데 이 영상이 문제를 잘 짚었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러면 누구든 계속 이 문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할 것이고 고쳐 나가기 위해서 노력하겠죠. 문제를 제시하는 사람과 대안을 제시하는 사람이 꼭 같아야 한다는 건 그럴 필요는 없는 것 아닐까요?

    • @MelodySorrow
      @MelodySorrow 5 ปีที่แล้ว +5

      선진국이 시도한 제도는 성공과 실패의 결과가 이미 나와있으니 완전 새로운걸 시도하는 것보다 비용과 리스크가 적음. 고로 따라하는거고 교육 입시에 관한 대안책은 이미 무수히 나와있는데도 국회의원들 법 안바꿈 ㅋ 왜냐면 중고등학생들은 투표권이 없거든 ㅋㅋㅋ 유권자가 중요한 의원들이 이미 기득권에게 유리한 입시제도를 뭐하러 바꾸겠음? 청렴도가 높은 나라라면 모를까 한국은 부정부패 지수를 뒤에서 세야 할정도로 썩어빠진 나란데 ㅋ

    • @freedomhello9946
      @freedomhello9946 5 ปีที่แล้ว

      @@MelodySorrow 그렇네요 맞네요 !!

    • @peekabooreveluv
      @peekabooreveluv 5 ปีที่แล้ว +6

      문제해결의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 어떻게 문제인가를 정확히 인식하는 것이고 그건 결국 수많은 비판을 제기함으로 이루어지는 것임. 문제제기야 말로 문제해결을 위한 첫걸음이자 가장 중요한 비중임. 지금 우리는 가장 중요한 것을 꾸준히 하고 있음. 그 다음으로 안넘어가서 문제지. 고작 방송 하나 의견 하나로 해결방안을 내놓을 수 있으면 그게 애초에 문제임?

    • @user-oh7ml6ok1q
      @user-oh7ml6ok1q 5 ปีที่แล้ว +1

      그래도 대안이 없는 문제제기는 힘이 없죠. 공허한 외침일 뿐이니... 선진국 따라하자라는 결론 말고 뭐가 나오겠습니까?

  • @user-xd4qq7tx4k
    @user-xd4qq7tx4k 5 ปีที่แล้ว +5

    이거 원본 실험도 어디서 봤던 것 같네요😃 일정 이상의 불공정한 비율을 제시받았을 시 자신이 받는 돈이 0원이 됨에도 불구하고 거절하는 비율이 높아서 신기했던 기억이 있었죠. 이 실험에서는 극단적으로 이기적인 비율은 없었지만 다들 결과에 만족했다는 점과 시험에 합격하고 제시 금액이 달라졌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 @user-pl3gn7uj2u
    @user-pl3gn7uj2u 3 ปีที่แล้ว +52

    그래서 시험을 없애면 뭘로 평가 할건데?
    어떤 기준으로 평가할래?
    ㅈㄴ웃긴게 공정을 외치는 인간들이 제일 공정한 시험은 축소하자고 난리임

    • @user-rm8pn8ft9s
      @user-rm8pn8ft9s 3 ปีที่แล้ว +5

      인정
      시험 안보면 대체 뭘보란건지
      얼굴을 봐야되나..

    • @psh830
      @psh830 3 ปีที่แล้ว

      @@modri1314 이거 존나 인정ㅋㅋㅋ 공부 못하는 학생들 존중해서 주관식 늘린다는데 주관식 만큼 불공정한게 어딨음? 나 예전에 서술형 시험에서 엄청 좋은 아이디어 시험에서 냈는데
      담임 쌤이 그 아이디어에 공감 못해서 b받은거 생각하면 아직까지 존나 화남 ㅋㅋㅋㅋ

    • @user-nt8wb7tk8i
      @user-nt8wb7tk8i 3 ปีที่แล้ว

      뭐 존나 웃긴 얘긴 아니지만 맞는 말이네요

  • @user-gf8cd6on9h
    @user-gf8cd6on9h 4 ปีที่แล้ว +4

    시험이 지금으로선 그나마 그 사람이 성실했단걸 보여주는 정확한 척도니까 어쩔수 없음. 물론 자기노력보단 옆에서 떠먹여주는대로 살았던 금수저들이 시험 잘쳐서 여기저기 들어가서 사고친다는 맹점이 있긴 하지만...

  • @user-th5py1ji4u
    @user-th5py1ji4u 5 ปีที่แล้ว +27

    저 상황에서 안 받으면 뻘쭘해지고, 조금이라도 받는게 이득인데 당연히 받는다고 하는게 맞는데....뭐지

  • @user-hk5ex6ne8e
    @user-hk5ex6ne8e 5 ปีที่แล้ว +18

    나레이션 이종석 맞죠?!!! 우와아아앙

  • @user-wk6ie4pm4s
    @user-wk6ie4pm4s 4 ปีที่แล้ว +1

    이 실험 앞부분을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도 한 걸 기억하는데 이런식으로도 응용될수도 있었군요 누가 실험 고안을 했는지눈 모르겠지만 정말 창의적이네요

  • @pyounggangkim8356
    @pyounggangkim8356 3 ปีที่แล้ว +1

    개인적인 생각으로 서열이랑 관련 있을듯
    서열이 정해지지 않은 관계에선 공평하게 나눠갖지만
    시험을 통해 서열이 정해지면 본능적으로 서열에 따라 받아들이는것 같음
    여기서 문제는 서열을 정하는 방식인데
    우두머리를 정하는 방식은 시대마다 다르니 옳다 그르다 하기 어려운듯 결국 공동체의 번영과 생존에 유리한 방식으로 결정하니까..
    그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지 않으면 대부분 도태되는게 사실이기도 하고

  • @user-zk8qz7zn5o
    @user-zk8qz7zn5o 5 ปีที่แล้ว +67

    고전학파 경제학이론에 따르면, 원래 1만원만 나눠줘도 받습니다.

    • @marionkkk196
      @marionkkk196 4 ปีที่แล้ว +6

      고전학파 경제이론이니까요. 고전학파 경제 이론의 전제는 인간은 “이기적이고 극도로 합리적이다” 합리적으로는 천원을 줘도 0원보단 이득이니 수락한다는 이론이지만 실제로 인간은 그렇지 않죠.

    • @DB-kz6mi
      @DB-kz6mi 4 ปีที่แล้ว

      @허동아 나같으면 안받을 듯 상대도 거절당할수 있다는 생각을 했을텐데... 날 호구로 봤다는거 아닌가? ㅋㅋㅋㅋ 엿먹어보라고 안받을듯

  • @olivenam5504
    @olivenam5504 5 ปีที่แล้ว +4

    와~ 거의 완벽한 딕션! 이종석배우님 진심 대단하시네요. 놀랐습니다. 최고예요~~!!!

  • @maho_world
    @maho_world 2 ปีที่แล้ว +2

    시험이 문제가 아니다.
    개인 성취도와 능력평가를 하는데 일정한 규칙을 정해놓고 풀이를 해서 점수를 얻는 방식은 사실 지극히 당연한거다.
    근데 우리나라는 시험의 평가제도가 잘못되었다.
    도대체 왜 수능같은 시험을 상대평가로 하는지?? 도통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이다. 이 사람이 대학에 진학하여 수학능력을 잘 발휘할 수 있는가를 묻는 시험인데, 각 대학에서 원하는 기준점을 제시해서 그것만 통과하면 되는 것인데, 시험만 봤다하면 전국에 모든 아이들을 줄세워놓고 누가 더 잘했네 못했네를 따지면서... 그러니까 모두가 서로의 경쟁상대가 되고 인생이 피곤해지는 것이지...나도 수능 봤지만, 그저 다른 사람과의 경쟁에서 잠깐 진 것일 뿐 또 어느 날은 이기기도 하고 인생이 원래 이기기도 지기도 하는건데 너무 큰 스트레스로 너무나 일찍 본인 스스로를 낙오자로 생각해버리는 친구들이 안타깝다. 인생은 마라톤이다. 빨리 달릴 때도 천천히 달려야 할 때도 있고, 넘어질 수도 있지만 어쨌든 중요한 건 ㅠ 방향성... 수능 본지 얼마 안된 친구들 중 좋은 결과가 안나온 친구들은 착잡할 수도 있겠지만 힘내서 견디고 또 다른 인생의 시험에서 좋은 결과를 얻으시길

  • @user-tf8ts3nb4z
    @user-tf8ts3nb4z 4 ปีที่แล้ว +58

    말죽거리 잔혹사 천호진씨 명대사
    대학 안가면 잉여인간이야 잉여인간!!

  • @fhlmgmgd
    @fhlmgmgd 5 ปีที่แล้ว +430

    미국이랑 우리나라랑 교육 비교 좀 해봐요 왜 우리나라 청소년 자살률이 높은지 생각해봐요
    어른들이 만든 기준에 나를 맞추려니 힘든거죠

    • @vinacorea
      @vinacorea 5 ปีที่แล้ว +68

      그 어른들이 만들어놓은 기준을 엎고 바꾸려 노력해야 하는데
      그냥 타성에 젖어서 결국 경쟁사회에서 승리하면 똑같이 꼰대되고 갑질,
      부조리한 사회를 유지하려고 하는 헬조선 되풀이 되는게 문제인거죠 ㅋ

    • @lionlee7180
      @lionlee7180 5 ปีที่แล้ว +53

      참고로 미국은 총기사유가 허락되므로 우리나라도 총기사유가 되면 진짜 청소년 자살률 최소 몇배는 넘음...

    • @user-bi1lb2nv4g
      @user-bi1lb2nv4g 5 ปีที่แล้ว +15

      @@vinacorea 어른이 그렇게 가르치니깐그렇지

    • @allwoo5482
      @allwoo5482 5 ปีที่แล้ว +12

      @d sfh 그게 꼰대 마인드야 꼰대야 ㅋ

    • @user-hz5lv9uu9e
      @user-hz5lv9uu9e 5 ปีที่แล้ว +19

      보맨 이게 젊은꼰대인가 능력이 안된다고 말하는것조차 꼰대짓이라니

  • @dduringddu
    @dduringddu 5 ปีที่แล้ว +7

    오 컨텐츠 좋네요 기대됩니다

  • @user-jd9rp8rz9v
    @user-jd9rp8rz9v 4 ปีที่แล้ว +25

    나레이션 하는 사람 약간 목소리 이종석 같다

    • @user-jd9rp8rz9v
      @user-jd9rp8rz9v 3 ปีที่แล้ว

      @@user-qe8lp1my6d 엥 진짜요?? 듣다보니 아닌거 같은데..

  • @user-wj7ht2ss4z
    @user-wj7ht2ss4z 4 ปีที่แล้ว +1

    시험보고 뽑는건 개인적으로 맞는것 같다고 생각하고
    다만 그 시험이 진짜 그 일을 하는더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어야 할 것 같다는거죠!!

  • @swh6395
    @swh6395 5 ปีที่แล้ว +3

    하나부터 열을 넘어 백까지 오류로 범벅된 실험 결과와 내용이지만 취지만 골라서 찰떡같이 알아듣고 갑니다^^

    • @bgm-A-ha
      @bgm-A-ha 5 ปีที่แล้ว

      SW H 어떤..?

  • @user-yx3oj8ii5o
    @user-yx3oj8ii5o 5 ปีที่แล้ว +72

    수시,로스쿨은 미국식 귀족제도입니다. 음서제죠 이걸 왜 우리나라에 도입합니까? 우리나라 사람은 평등에 욕구가 강한데

    • @user-kw4qm6px2f
      @user-kw4qm6px2f 4 ปีที่แล้ว

      라임왕자 한국이 평등에 욕구가 가능하다고...? 대체 어느 집단에 소속 되어 있는지는 모르겠는데 전문직 사람들만 봐도 평등은 개뿔 자신들이 귀족이라고 알고 있는데... 의사 변호사 있는 가족이라 그런지 그런 꼴 많이 봄

    • @user-gj8uy7jq3y
      @user-gj8uy7jq3y 4 ปีที่แล้ว

      @@user-kw4qm6px2f 상당히 부정적인가봐 귀족마인드가?

    • @user-hm9ri5hl5q
      @user-hm9ri5hl5q 4 ปีที่แล้ว

      @@user-gj8uy7jq3y 귀족제는 옛말입니다. 부정적인게 당연하죠. 우리는 민주주의 국가에서 살고 있습니다. 똑같은 국민이에요.

  • @anaodaro2384
    @anaodaro2384 3 ปีที่แล้ว +1

    다른 나라가 뭐라하든 대한민국에서 살거면 대한민국의 교육 시스템에 맞춰서 죽이 되든 밥이 되든 순응하며 사는게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이거에 관해서 매우 부당하단 생각도 많이 해봤고, 교육에 혁신이 필요하다고 느꼈지만 이미 굳혀진 입시와 시스템을 바꾸기에는 버겁다고 생각해요.. 입시에 도전하시는 분들께 하고 싶은 말은 대한민국에서 살거면 교육입시에 순순히 받아들이라는 겁니다...

  • @yunmungsil6318
    @yunmungsil6318 5 ปีที่แล้ว +20

    그래서 ncs 이문제가 이상한거지^^ 이걸로 쳐 물고늘어질려하네 ㅋㅋㅋㅋㄲㅋㅋㅋㅋㄱㄲㅋㅋ

  • @Gaslighting_man
    @Gaslighting_man 5 ปีที่แล้ว +34

    수능은 대한민국에서 몇 없는 공정하고 깨끗한 제도이죠.
    근데 시1발 왜이래

    • @user-sy8ps3eo7l
      @user-sy8ps3eo7l 5 ปีที่แล้ว +4

      물수능보다는 불수능이 더 좋은듯

    • @shn7401
      @shn7401 5 ปีที่แล้ว

      ㅇ수능이 공정하다고????
      내가 보기엔 아닌거 같은데
      공정한 시험은 공무원 밖에 없다.

    • @user-jl1uj8zz6k
      @user-jl1uj8zz6k 5 ปีที่แล้ว +11

      @@shn7401 공무원 시혐은 사교육이 없나요? 다 똑같습니다.

  • @hangs7669
    @hangs7669 5 ปีที่แล้ว +10

    스브스가 시험을 보고 뽑는다고 해도
    이 영상만은 만들어져야 할 의미가 있다고 봄
    (물론 맞다고 볼 수는 없지만...)

  • @hannakim7034
    @hannakim7034 4 ปีที่แล้ว +3

    옛날 과거시험의 잔재라고 생각하는게 시험을 위해 공부한 지식이 업무기간 내내 유용하지 않을 가능성이 점점 커짐에도, 여전히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이 페이퍼를 통한 시험이라는게 많은 청년들을 획일화된 틀에 가두고 있는 비효율적 악순환이라고 생각함

  • @user-pi2sm5kj3l
    @user-pi2sm5kj3l 4 ปีที่แล้ว +5

    시험... 저는 사실 이전 사회, 고려의 음서 제도와 같이 혈통 등이 권력을 재분배 했기 때문 ‘시험’이라는 제도의 사회적 의미가 크다고 생각합니다만... 과열 경쟁이 극에 다달아 ‘시험’의 부작용을 야기하지 않았나...

    • @user-hm9ri5hl5q
      @user-hm9ri5hl5q 4 ปีที่แล้ว

      결국 계급을 나누기 위한 수단에서 민주주의로 발전하면서 똑같은 인간의 직무를 공정하게 나누는 제도로 바뀌었다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공정과 공평 평등은 각 개인에 따라 다르니까요. 양날의 검과도 같아요. 어찌보면.

  • @user-hu6bb4ru3f
    @user-hu6bb4ru3f 5 ปีที่แล้ว +8

    근데 애초에 시험을 보고 돈을 나누어 가졌으니까 참가들도 무의식적으로 시험에 따라서 돈을 나누어야겠다라고 생각을 했겠지

  • @user-vh5gz8uh8p
    @user-vh5gz8uh8p 5 ปีที่แล้ว +4

    시험망치면 꾸중듣고 인격적인 모독도 당연하다생각하면서 이때까지 들어왔으니
    당연히 기가죽고
    시험을 잘보면 어디서든지 칭찬을 들어왔으니
    당연히 기가 사는듯

  • @rule1518
    @rule1518 4 ปีที่แล้ว +11

    말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제안자가 오히려
    갑이 아닌 을이될수도 있을것 같은데...?

  • @revi0083
    @revi0083 4 ปีที่แล้ว +2

    자기들이 입학하거나, 입사시즌 때 불합격을 수긍할 수 있는 게 바로 시험인데.......
    솔직히 지금 입학사정관도 능력있는 부모 두면 공동저자로 명문대보내고, 기부해서 보내고, 등등 분명 나보다 못한 대답에 능력도 그다지 출중하지 않고, 나보다 절실해보이지 않는데 합격하고 내가 떨어지면 뭘로 수긍할래요???
    인성은 인성교육을 할 문제고, 공정성에 대한 시험평가 기준은 다른 문제임

  • @user-vx4lk2ju7x
    @user-vx4lk2ju7x 5 ปีที่แล้ว +13

    요즘은 공부보단 기술임.
    전문가 자격증공부하세요.

  • @user-ur7db3cn1o
    @user-ur7db3cn1o 5 ปีที่แล้ว +53

    나레이션 이종석이여?

  • @user-go9pi5ki9z
    @user-go9pi5ki9z 4 ปีที่แล้ว

    좋은 영상이라고 생각해요

  • @user-zp2ff2vl9q
    @user-zp2ff2vl9q 2 ปีที่แล้ว +3

    시험 만능주의를 보여주는 실험인데 연대 시험에 나왔네요 이번에 ..

  • @user-ez1bd6hy4g
    @user-ez1bd6hy4g 5 ปีที่แล้ว +10

    우리나라 시험은 일단 오지게 몰리는 사람들을 어느정도 떨구기 위함이지 직무능력이 있냐없냐를 가르는건 아님

    • @user-wr4oz7jg7g
      @user-wr4oz7jg7g 5 ปีที่แล้ว

      회사에서 직무적성테스트나 외 시험들로 시험많이봄... 꼭 떨구기 위함만은 또 아님... 님이 아직 경험이 없어서 그럼...

    • @user-wr4oz7jg7g
      @user-wr4oz7jg7g 5 ปีที่แล้ว

      그리고 님같으면 님 회사직원 뽑는데 몰리는 사람 떨구려고 시험제, 테스트, 면접 넣었겠음? 당연히 직무능력과 실무경험 테스트지... 그런 목적을 가지고 운영해서 인재를 뽑지..많아서 떨구려곸ㅋㅋㅋㅋㅋ학벌로 어느정도 거르는건 있어도... 지원자가 많아서 떨구는 용도라는건 진짜..얼마나 구시대적 발상인가... 내가 볼때 님은 인사담당쪽은 절대 취업 못할듯

    • @lpsand8522
      @lpsand8522 5 ปีที่แล้ว +2

      여기서 말하는 시험은 그런시험이 아닌거같은데. 윗놈 답도없네

  • @gostnflable
    @gostnflable 4 ปีที่แล้ว +3

    공무원 시험문제만 봐도 업무랑 아무 상관없는 암기시험이니까. 결국 많은 시험들이 잘 외우는 사람을 뽑는 시험.

  • @user-bm6hm1br5m
    @user-bm6hm1br5m 4 ปีที่แล้ว

    최근 인국공 사태를 떠올리게하네요. 하지만 그 시스템이 시키는방향으로 노력했던 사람들을 마냥 이기적이라고 하는것도 개인에게 책임을 돌리는것같고.. 어려운 문제임.

  • @coffee.summon
    @coffee.summon 3 ปีที่แล้ว +1

    저 실험이 정말 올바른 실험인지부터가 의심스러운데요. 내가 제안에 동의하면 무조건 이익이 생기는 구조인데 그게 시험만능주의를 붙였다고 큰 상관이 있는건가 싶음.

  • @SCLee-yg1ol
    @SCLee-yg1ol 5 ปีที่แล้ว +20

    시험이든, 내신이든, 논술이든 뭐든 결국 전부 사람의 가치에 순위를 매기기 위한 제도들. 결국 어떤 제도를 채택해도 가치가 낮게 매겨진 사람들은 불만을 토로할 수 밖에 없지 않나? 그리고, 그 어떤 제도보다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적용되는 시험이야말로 이런 제도들 중 최선이라고 생각되는데? 최선인 차악이 마음에 안든다고 불평하려면 적어도 그보다 나은 차악을 주장할 기지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user-qm5rk3zu4g
    @user-qm5rk3zu4g 5 ปีที่แล้ว +3

    진짜..우리사회는 눈치만보고있네
    실력때문에 인간관계도 무너지고
    좋은 자리가져봤자 잘하지못하면
    그데로 끝나는거....이럴라고 우리국민이 열심히 공부하냐...

  • @withrim6257
    @withrim6257 3 ปีที่แล้ว

    엉엉 ㅠㅠㅠ 종석님 목소리 미쳤다ㅠㅠㅠㅠ헝 깜짝놀랐네 정말.....

  • @user-um6sm7np5w
    @user-um6sm7np5w 4 ปีที่แล้ว +2

    뜬금없는데 목소리 이종석 같다 너무 좋다ㅠㅠ 이종석 맞아요...?

  • @bittchy.
    @bittchy. 5 ปีที่แล้ว +39

    SBS는요?

  • @LoveLove-ii1fx
    @LoveLove-ii1fx 5 ปีที่แล้ว +4

    사람이 자리를 만들고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
    사람이 시험을 만들고 시험이 사람을 만든다
    사람이 돈을 만들고 돈이 사람을 만든다

  • @user-mp6vm2qd4h
    @user-mp6vm2qd4h 4 ปีที่แล้ว

    와 진짜 좋은 실험이다 많이 깨닫고가요

  • @user-xv4dl3ng8e
    @user-xv4dl3ng8e 3 ปีที่แล้ว

    사람마다 잘하고 좋아하는 분야가 다른데 시험 결과로 사람 판단하기.. 그리고 원하는 길을 막아버리는 크나큰 벽이 되어버리는게 문제다..진짜 원하는 길만 막히고 사용은 하지도 않는 건데 난 뭘 그리 열심히 한건지

  • @nuleng2
    @nuleng2 5 ปีที่แล้ว +120

    음? 타이밍이? 수능 저격?

    • @user-to1ue5bd5j
      @user-to1ue5bd5j 5 ปีที่แล้ว +1

      정시100프로 저격일껄요?

    • @pqjbrhdj
      @pqjbrhdj 5 ปีที่แล้ว +4

      @@user-to1ue5bd5j ㅎ뭔개소리야

    • @user-to1ue5bd5j
      @user-to1ue5bd5j 5 ปีที่แล้ว +1

      @@pqjbrhdj 국민이 원하는 정시100프로 즉 온리 수능으로만 평가하자는거 저격 아닐까요?ㅎㅎ

    • @yousung3999
      @yousung3999 5 ปีที่แล้ว

      수시 욕한 친구들이 정시망하니까 예비고3보고 수시 놓지마라고 하던데..

    • @eujeanhan1988
      @eujeanhan1988 5 ปีที่แล้ว

      ㅇㅈ
      수능도 계속 절평 과목늘어나는 추세이고
      수능의 변별력을 약하게 하는중인데, 그럼 결국 수능으로 학생뽑는 학교들은 줄어들고 대학별 본고사(수능대체 시험 느낌) 같은게 부활하고 +거기에다 학생의 포트폴리오(수시 학종 느낌)를 요구하는 식으로 될 가능성이 큼. 근데 그런 대학별 본고사는 학교 공교육으로 커버가능한가?절대아님ㅋㅋ수능보다 더더욱 커버안됨. 상위권대학 본고사 수학문제는 일본 도쿄대 시험에서 차용해오거나 그이상 수준으로 낼껄?

  • @user-hm9ri5hl5q
    @user-hm9ri5hl5q 4 ปีที่แล้ว +17

    나는 진리를 사랑한다. 모든 용어와 서적, 전문적인 시선들은 공통적으로 다같은 인류가 만든 것이다. 시험도 마찬가지다. 나와 그대들과 같은 한 인간이 만든 것이다. 헌데 왜 그렇게 매달리는가. 왜 자신이 시험을 못보면 하등하다고 생각하는가. 모든 것이 완벽한 인간은 없다. 천을 따지기 전에 지를 따지라는 말처럼 우리는 또다른 해답을 찾아가면 될 뿐이다. 남들과 같은 고리와 쇠사슬에 묶여 살지 마라. 가슴이 시키는 대로 움직여라.
    그대 자신이 오로지 진리이자 답일지어다.

  • @user-syu4
    @user-syu4 4 ปีที่แล้ว +1

    과학은 인간에게 윤택하고 편안한 삶을 제공했지만 반면에 핵과 전쟁같은 쟁앙도 선물함...
    시험도 똑같음 그 자체는 공정하지만 시험문제의 변별력 또는 시험정보 노출 비리등 악용하면 끝임...
    그리고 제안자 응답자 실험은 시험결과에 무관하게 핵심만 본다면
    응답자가 5만원 안주면 제안을 거절하겠다라고 말하면 끝임...
    (제안자도 손해볼 짓은 안할테니까요..)
    제안자가 나보다 셤을 잘본거지 내보스가 아니기때문이죠~
    왜냐면 보스든 동료든 상사든 이해관계가 필요하지만 그렇지 않고 셤만 잘본사람이라면 나랑 동등한 입장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조건이라면 협상에서 유리해질것도 불리해질것도 없으니까요~
    별 실험같지 않은걸 실험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