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7 ธ.ค. 2017
  • tvN 알쓸신잡2 (2017)
    : 분야를 넘나드는 잡학박사들의 지식 대방출 향연!
    국내를 여행하면서 다양한 관점의 이야기를 펼쳐 딱히 쓸데는 없지만 알아두면 흥이 나는 신비한 '수다 여행'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알쓸신잡1] 보러가기 ▶️ • 다시보는 [#알쓸신잡] 시즌1
    🔮[#알쓸신잡2] 보러가기 ▶️ • 다시보는 [#알쓸신잡] 시즌2
    📜[#알쓸신잡3] 보러가기 ▶️ • 다시보는 [#알쓸신잡] 시즌3
  • บันเทิ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02

  • @tvNOfficial
    @tvNOfficial  2 ปีที่แล้ว

    언제 봐도 유익한 [#알쓸신잡] 시즌2 정주행하기😎
    👉 th-cam.com/play/PLgbB1gJhmG7BW2B6lZ4NFGLlzZTBjzfGH.html

  • @user-ym1vg2sy5x
    @user-ym1vg2sy5x 4 ปีที่แล้ว +806

    도시도 눈덮인게 왜이쁜지 생각하다
    알쓸신잡 에서 본게 떠올랐다
    눈이오면 건물이 눈으로 재료가 통일되서 이쁜것같다
    밤도시가 이쁜거도 빛으로 통일되서그런가

    • @sunmilee1931
      @sunmilee1931 4 ปีที่แล้ว +16

      미냉 오오!!

    • @donghaesung3848
      @donghaesung3848 4 ปีที่แล้ว +12

      공감합니다^.^

    • @goulissh
      @goulissh 4 ปีที่แล้ว +10

      돼서

    • @goulissh
      @goulissh 4 ปีที่แล้ว +3

      @@user-tj2jm7fb1p 제발 뭐?

    • @Aidan_Yoon
      @Aidan_Yoon 4 ปีที่แล้ว +6

      @@yongwoogoon 해석 ㅅㅌㅊ

  • @user-cu5ex2lh9z
    @user-cu5ex2lh9z 4 ปีที่แล้ว +196

    진짜 저런 똑똑한 사람이 하는 지적인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나도 같이 똑똑한 사람이 되는듯한 기분이듬 ㅋㅋ 이래서 사람은 배워야 한다는건가...

  • @user-sy9wy1xp5n
    @user-sy9wy1xp5n 4 ปีที่แล้ว +368

    서울야경이 아름다운 이유는 재료는 보이지않고 그저 불빛만 반짝이며 통일되어 있기 때문이었군요

    • @zotolee2621
      @zotolee2621 2 ปีที่แล้ว +23

      되게 의미 있는 의견이에요..

    • @user-vw8vf4op2x
      @user-vw8vf4op2x 2 ปีที่แล้ว +1

      와..

    • @unka2007
      @unka2007 ปีที่แล้ว +2

      서울의 야경이 예쁘군요 .... 한번도 느껴보지 못했음

    • @seansky2615
      @seansky2615 ปีที่แล้ว +2

      빛과 어둠이라는 동일 재료라고 봐도 되겠어요

  • @warweekuser
    @warweekuser 4 ปีที่แล้ว +301

    진지하게 보다가 호두껍질에 무너졌네

  • @decainguranium
    @decainguranium 3 ปีที่แล้ว +27

    의외로 이게 마인크래프트로 마을건축할때도 발견할 수 있음ㅋㅋㅋㅋㅋㅋㅋ
    전경에서 편안함을 느끼는 마을은 비슷한 텍스쳐와 색깔을 가진 재료의 건물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는게 많고,
    뭔가 위화감이 느껴지는 마을은 보면 엔더블록집 옆에 양털집 있고 그옆에 석영집 있음.
    심지어 텍스쳐라곤 하나도 없는 콘크리트 집이라도 비슷한 건축양식으로 여러개가 모여있으면 안정감이 느껴짐

  • @user-hk7jb1jw1s
    @user-hk7jb1jw1s 4 ปีที่แล้ว +225

    야경이 아름다운이유가 이것이군요. 빛으로 지어진 건물이 복잡하고 불규칙한 형태로 지어져있어서...

    • @helenlee6137
      @helenlee6137 3 ปีที่แล้ว +1

      빛을 빚으로 봤네..하하

    • @bumang
      @bumang 3 ปีที่แล้ว +1

      오 정말 통찰있는 얘기네요

  • @user-dh1lc5qn3j
    @user-dh1lc5qn3j 3 ปีที่แล้ว +43

    이 영상을 3번봤는데 볼 때마다 얻어가는 게 다르네요. 생각을 정리할 겸 발자취를 남겨봅니다.
    17년 미학 "아 맞아 재료의 통일이 안정을 형태의 다양이 자유를 느끼게해줘"
    19년 존재론 "아 역시 본질은 좁고 변화는 다양하지"
    21년 인식론 "한정된 현실(재료)속에서 다양한 이상(형태)을 구현하면 아름답지만 한정된 이상(형태)속에서 다양한 현실(재료)을 추구하면 흉측한거구나."

    • @user-xu5ti2kh7g
      @user-xu5ti2kh7g 2 ปีที่แล้ว

      이제 현상론까지 오셨습니까?

  • @byeongwooko6877
    @byeongwooko6877 4 ปีที่แล้ว +46

    독일같은 경우는 건물 지붕을 같은 재료와 색상으로 통일해서 우리가 흔히 느끼는 유럽풍 건물을 느낄수있었군요.

  • @user-pr6fd8xt4g
    @user-pr6fd8xt4g 4 ปีที่แล้ว +14

    유현준님 너무좋으심 ㅠㅠ

  • @user-pn7vv2lw1l
    @user-pn7vv2lw1l 3 ปีที่แล้ว +6

    교수님의 맞는 말씀 감동입니다

  • @user-wq3fb4eu6o
    @user-wq3fb4eu6o 4 ปีที่แล้ว +1

    지중해마을 밥먹으러 갈때만 갔는데 이렇게 보니깐 반갑네

  • @o.o_m
    @o.o_m 4 ปีที่แล้ว +47

    명쾌하네

  • @InOS-ex6hb
    @InOS-ex6hb 2 ปีที่แล้ว +4

    저런 상업지구에 광장도 있었으면 좋겠다

  • @user-pn7vv2lw1l
    @user-pn7vv2lw1l 3 ปีที่แล้ว +11

    우리나라도 외국처럼 도시가 괘적하고 건축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benjaminchi4483
    @benjaminchi4483 4 ปีที่แล้ว +11

    또 반대로 생각하면 모든게 통일한다는것은 일반화를 시킨다는 거죠. 건물은 사람을 위한건데 사람 스케일 반대로 도시 전체미만을 보기에는 사람들이 작은 공간안에서 시간을 보내는 시간이 더 길고. 매일 다른 기분 또는 목적 안에 다른 공간들을 경험할수 있는 기회들이 없다는거죠. 두개의 발란스가 맞는게 아마 좋은 방향이겠지만.. 조화만 너무 보면 사람들의 개개인의 삶을 노칠수 있다는 위험성이 항상 있겠죠

    • @user-pv2rh2ou2e
      @user-pv2rh2ou2e 4 ปีที่แล้ว +3

      그렇기 때문에 형태는 다르게 하는 거잖아요 1.4 얘기하면서 충분히 설명했는데

    • @tecialist
      @tecialist 3 ปีที่แล้ว

      @@user-pv2rh2ou2e 사실 형태도 중요하지만 소재도 건물 용도에 따라 달려질 수 밖에 없습니다.

    • @user-pv2rh2ou2e
      @user-pv2rh2ou2e 3 ปีที่แล้ว +2

      @@tecialist 이건 또 뭔 소리입니까? 지금 예시로 나오는 건축물 안보셨나요 대부분 주택가 상업지구 그쪽인거같은데 소재가 바뀔 이유가 있나요? 뭐 감옥이랑 집이랑은 다를 수도 있겠는데 에초에 그런건 논점을 벗어난 거죠;님이 한 말은 영상은 커녕 여기 댓글에도 영 상관없는 말이네요

  • @Ay_ran_ni_reuk
    @Ay_ran_ni_reuk 3 ปีที่แล้ว +12

    2:22 명언 제조
    2:26 명언 철퇴

  • @hyk79281518
    @hyk79281518 4 ปีที่แล้ว +6

    재료는 일괄적이게.. 벌써 미관지구 법에 재료청해진지가 어언 15년이 넘음
    미관지구 가면 벽돌 색,지붕모양 다 정해져있음

  • @qwertysburg
    @qwertysburg 4 ปีที่แล้ว +39

    우리나라는 초록색 옥상을 봐야하는데

    • @gamja0121
      @gamja0121 4 ปีที่แล้ว +3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nnaacc217
    @nnaacc217 3 ปีที่แล้ว +15

    일단 한국은 너무 급격하게 발전해서 아름다운 도시를 만들 시간을 잃어버린 큼....ㅠ

    • @uenncc0781
      @uenncc0781 10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렇다기엔 급격하게 발전해놓고 만드는도시도 그모양이라..

  • @yoy9365
    @yoy9365 4 ปีที่แล้ว +32

    통일성이라고는 하나도 없는 무지막지하게 큰 간판들이 다 망치는 느낌..색도 조화가 없어서 전체로 보면 자잘자잘하게 다 섞여서 회색도시로 보임

    • @cali9042
      @cali9042 2 ปีที่แล้ว

      ㄹㅇ

  • @MNBN87
    @MNBN87 3 ปีที่แล้ว

    여기서 엔트로피까지 알기쉽게 가져오시네 ㅎㅎㅎ

  • @user-rg1os7ms3i
    @user-rg1os7ms3i 3 ปีที่แล้ว +2

    제주도 여행 갔을 때 보도블럭이 현무암처럼 구멍이 나 있던 게 개성있어 보여서 좋았습니다. 영상 보다가 그 생각이 나네요.

  • @Charlie-uf1gi
    @Charlie-uf1gi 2 ปีที่แล้ว +5

    건축도 작품보다 상품으로 보기때문이 아닐까? 그저 빨리 지어서 분양하고 수익만 나면 그만이고 건축물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나 주변 지형과의 관계따위는 싹 다 무시해버리는 천박한 자본주의의 산물이 아닐까요?
    건축주가 돈은 적게 들이고 공간은 넓게 뽑아서 수익성을 극대화 하는것만을 추구하면 이런 성냥갑. 담배갑 도시가 되는것이 아닐까 합니다.
    철학과 문화가 없는 사회의 슬픈 단면 같네요

  • @bumang
    @bumang 3 ปีที่แล้ว

    그래도 형태가 중요하다는 댓글들은 영상을 제대로 안 본 것 같아요.
    통일된 자재와 다양한 '형태'가 제일 아름답게 여겨진다고 영상에 나와있습니다.
    자재의 다양성의 필요성을 말하시는거라면 이견으로 볼 수 있겠죠.

  • @sheldonyoon1123
    @sheldonyoon1123 ปีที่แล้ว

    나머지 세 가지 이유는 뭔가요?

  • @hje2515
    @hje2515 3 ปีที่แล้ว +2

    외국인들은 반대로 우리 서울을 보고 놀람
    도시속에서 지나치면서 보는 옛날건물에서 엄청난 감격을한다고 하는데
    특히 경복궁 나도 오히려 이게 좋은데
    모든나라가 다 그 전통 양식을 지키고 그 지역을 유지하는데 한국만
    유독 반대로 되어 있음. 조선과 현대가 어울러져 있는 기분이랄까

  • @kbumboo1
    @kbumboo1 4 ปีที่แล้ว +11

    우리나라 도시가 안 이쁜건 단순히 안 이쁜 건물들이 많아서임. 재료 다양하고 형태 복잡해도 이쁜 곳이 많고, 재료 단순하고 형태 단순해도 이쁜데 많음.

  • @Bobbydonothing
    @Bobbydonothing 2 ปีที่แล้ว +2

    그래서 갈수록 더 야경이 유명해지는것일 수도…아름다운 도시일수록 야경은 별로 힘을 못쓰지ㅋㅋㅋㅋㅋㅋㅋㅋ사실 야경이라는것은 까만 바탕에 색색깔 빛들이라는 점에서 아주 단순한 장식에 지나지 않음

  • @user-ld4lh5xp2e
    @user-ld4lh5xp2e 2 ปีที่แล้ว +2

    0:36 비지엠이 불한당이네

  • @user-rr3oi7on3q
    @user-rr3oi7on3q 4 ปีที่แล้ว +1

    배경음악 불한당 ost다!!

  • @user-oc4qy9tb2i
    @user-oc4qy9tb2i 3 ปีที่แล้ว +1

    난 현대 도시가 더 이쁜데 한국은 간판들만 줄이면 이쁠듯

  • @scynada
    @scynada 3 ปีที่แล้ว +4

    어릴때 대학 휴학기 원룸전문 이사업체에 아르바이트로 취직했음.
    당시 일산에 원룸이 많았기에 일산에 자주 갔었는데
    ㅅㅂ 도시 자체가 재미가 없어!
    어느 골목 어느 사거리 어느 삼거리던 다 똑같아!
    대른것은 창문 크기 정도뿐이지 건물의 높이나 내부 복도의 인테리어나 다 거기서 거기임.
    서울 출신이지만 그나마 서울에서 가장 개발도가 낮은 구에서 태어나서, 서울이라는 수도의 바깥과 내부를 둘러보며 자란 이로서
    그나마 서울의 변두리에서 태어나 자란것에 대해 너무나 감사함.

    • @scynada
      @scynada 3 ปีที่แล้ว

      일산같은 신도시는 너무 획일화되어서 살고싶지 않고,
      강남같은 자본집중지역에서 태어났다면 지금과는 다른 관점을 가졌을거임.
      어릴적 서울 시민이면서 국민학교 뒷편에 논농사 짓는 땅을 본 적 있음?
      새해가 될때마다 어릴적의 흔적이 지워져가는 자신의 고향을 본 적 있음?
      다른 한편으로는 서울 주위의 다른 행정구역을 드나들며
      그나마 내가 서울 시민인것이 다행이다. 라는 감상을 느껴본 적 있음?
      바로 몇km 바깥의 도시인데, 차로 몇십분 달린 것 뿐인데, 행정구역이 다른것 뿐인데
      내가 살던 곳과 너무나 다르다는 느낌을 느낀 사람 있음?
      그 날 기득권이라는게 달리 있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음.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자라 서울에서 성인이 되었다는 그것 하나만으로
      기득권을 손에 넣었다는것을 서서히 느끼게 되었음.

  • @maisonhan
    @maisonhan 3 ปีที่แล้ว

    다 달라도 그만에 매력이있는거같은데 ..

  • @MrKitipp
    @MrKitipp 4 ปีที่แล้ว +9

    교익님은 식문화의 기원 같은 얘기나오면 재밌게 푸시던데 껀수를 잘 못 잡는거같은느낌인..

    • @yerinnnn0626
      @yerinnnn0626 4 ปีที่แล้ว +1

      Auwar Shin 그러니까 나가야지 ㅋㅋ

  • @lordhi4236
    @lordhi4236 ปีที่แล้ว +6

    현대 도시가 아름답지 않은게 아니라 한국의 도시가 아름답지 않은거죠

  • @gge10
    @gge10 2 ปีที่แล้ว +8

    우리나라 도시가 진짜 못생김. 세계에서 손에들게 못생긴듯.

  • @user-wm8tm4kk2d
    @user-wm8tm4kk2d 3 ปีที่แล้ว +1

    호두를 많이먹어야 되겠네

  • @waterthink7
    @waterthink7 3 ปีที่แล้ว +4

    우리나라는 옥상이 다 초록색 빼인트인데 왜 안 예쁜거냐 ㅋㅋㅋㅋ

  • @user-zu3lf4ug3f
    @user-zu3lf4ug3f 3 ปีที่แล้ว

    저런 장소들을 볼때 아직 갑갑한듯

  • @duekim1146
    @duekim1146 ปีที่แล้ว +2

    최악의 도시 !!!! 진짜 대한민국은 건축통일성도없구 조화도 안이루어지구~~!!!!일단 국가 건축정책이 문제임!!!!~~~~

  • @rerk
    @rerk 4 ปีที่แล้ว +10

    빨간벽돌 다세대 빌라촌은 왜

    • @kellyje11y
      @kellyje11y 4 ปีที่แล้ว +13

      다 빨간벽돌인게 아닐껄요? 중간중간 이상한 타일, 돌판, 이런거 있....

    • @theAstronaut-wt5mm
      @theAstronaut-wt5mm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재료는 같은데 형태도 똑같음 ^

  • @user-qx2od1vi7b
    @user-qx2od1vi7b ปีที่แล้ว +3

    응 닭장 센파트 ㅋㅋ

  • @user-ub7vl1th7m
    @user-ub7vl1th7m 2 ปีที่แล้ว +6

    우리나라 도시 너무 못생김

  • @yonghan1mint617
    @yonghan1mint617 4 ปีที่แล้ว +2

    취향 문제 아니려나...

    • @user-oc7ki5yl3l
      @user-oc7ki5yl3l 3 ปีที่แล้ว +2

      취향으로 치부할 문제가 아닌것 같습니다

    • @uenncc0781
      @uenncc0781 10 วันที่ผ่านมา

      뉴욕,파리,런던 vs 서울 취향문제인가요?

  • @lightandsoul86
    @lightandsoul8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치인들 시장들 일 안하냐!!!

  • @minsookchoi9168
    @minsookchoi9168 3 ปีที่แล้ว +3

    황교익, 수준떨어져.
    ‘아 그러네’소리밖에 못해

  • @Jay-Bco
    @Jay-Bco 14 วันที่ผ่านมา +1

    일본 도시는 아름답던데

  • @mieljean5492
    @mieljean5492 6 ปีที่แล้ว +21

    여기서 황교익씨가 있다는 것이 조금 어리둥절한 이유가 황교익씨를 제하면 모든 전문가분들은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의견을 주장을 하는데 황교익씨는 음식에 대한 말씀의 70퍼센트 정도는 정말 개인적인 의견을 사실인것 처럼 말씀하시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나영석 피디님의 정치적 성향과도 맞는 인사이시기도 하겠고 만약에 본인의 의사로 출연을 계속하시는 것이라면 저기에 계시는 이유는 당연히 앞으로 정치적 활동을 하기 위함이시겠죠.
    전문가들에게 외면받고 질타만 받는 전문가를 전문가라고 출연시키는 것은 조금 아이러니하다 생각합니다..

    • @user-bv6rn2iw6e
      @user-bv6rn2iw6e 5 ปีที่แล้ว +8

      지금은퇴출~~^^

    • @user-xf5dz1yf2i
      @user-xf5dz1yf2i 4 ปีที่แล้ว +13

      그런 아이러니함도 사실은 일본에서 건너온 것이거든요. 근데 우리들은 그걸 너무 쉽게 사용해요. 원래 그 진짜 원류는 이 교토...의 사이비르안 현에서...가장 먼저 나타난 단어거든요?

    • @brabbit1149
      @brabbit1149 4 ปีที่แล้ว

      pierre jean 왜냐면 다른것들은 틀이있는데 음식은 입맛따라서 다 다르기때문에

    • @MrKitipp
      @MrKitipp 4 ปีที่แล้ว

      교익님은 식문화의 기원 같은 얘기나오면 재밌게 푸시던데 껀수가 별로 없거니와 껀수를 잘 못 잡는거같은느낌인..

    • @eiliosice
      @eiliosice 4 ปีที่แล้ว

      @@brabbit1149 음식도 틀이 있음. 인문학적으로는 음식의 역사, 문화, 재료의 생태, 가공, 지역성, 보편성. 과학적으로는 조리 방법, 계량법, 영양학, 화학, 물리학. 예술적으로는 심미성까지. 조리학이나 영양학은 취미로 만들어진 거냐.

  • @user-pp1nj3ep1q
    @user-pp1nj3ep1q ปีที่แล้ว +2

    개서울이 못생긴거지 도쿄 싱가포르 뉴욕 가봐라 ㅋㅌ

    • @Jay-Bco
      @Jay-Bco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똥쿄는 씹 ㅋㅋㅋㅋㅋㅋ

    • @user-pp1nj3ep1q
      @user-pp1nj3ep1q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ay-Bco 개조선 도시보다야 훨낫지 ㅋㅋㅋ

    • @user-em5yw1yi5i
      @user-em5yw1yi5i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니 근데ㅋㅋ 서울이 발전할때 도쿄를 벤치마킹했는데 도쿄는 이쁘고 서울이 못생겼다는게 프사랑 글부터 냄새가나는데

    • @user-pp1nj3ep1q
      @user-pp1nj3ep1q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em5yw1yi5i 전세계1위도시 도쿄를 뭘로 보는거임?
      도쿄 한번가봐라 도시콘크리트로 관동평야를 덮어놨는데 그 장엄함은 똥서울론 절대 구현못함

    • @user-pp1nj3ep1q
      @user-pp1nj3ep1q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em5yw1yi5i 마루노우치만가봐라건물 떼깔이 전세계 어디랑 비교해도 안밀린다 단순히 고층건물많다고 좋은게아니라 건물의 퀄리티를 느껴봐 서울은 객관적으로 후진도시애 차라리 중국도시가 났겠다

  • @user-qj7pn8zv1x
    @user-qj7pn8zv1x ปีที่แล้ว

    그렇게 통일이 좋으면 유신시대로 돌아가

  • @user-vk2bw7pn4w
    @user-vk2bw7pn4w 4 ปีที่แล้ว

    재료나 형태가 다양하다고 아름답지 않다고 말하는것은 단순한 편견이고 개인적인 의견인 것 같습니다.

    • @Gsh114
      @Gsh114 4 ปีที่แล้ว +4

      이미 학계이론으로 자리잡고 실무에서도 의도대로 동작하는 내용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