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란 침략 이후 또다시 찾아온 위기. 세계 최강국 몽골은 왜 강화도를 점령하지 못했을까?│고려 대몽항쟁 역사 바로알기│한국사│다큐프라임│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0 มี.ค. 2024
  • ※ 이 영상은 2018년 1월 31일에 방송된 <다큐프라임 - 한국사 오천년, 생존의 길 3부 몽골제국과의 이상한 전쟁>의 일부입니다.
    정권의 정당성과 국가안보의 상관관계
    교과서에서 반쪽만 알려준 대몽항쟁의 진실
    역사를 통틀어 보통 쿠데타로 무신들이 권력을 잡으면 최소한 국가안보에는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인식이 있다. 그러나 세밀하게 들여다보면 결과는 그 반대일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EBS 다큐프라임 <한국사 오천년, 생존의 길> 제3부 ‘몽골제국과의 이상한 전쟁’ 편은 사료를 통해 입증한다.
    13세기는 동아시아의 질서가 급격히 재편되던 패권교체기였다. 몽골 제국이 들불처럼 일어나며 100년 사이에 인류역사상 가장 거대한 제국을 건설했던 시기였고 한반도 역시 그 흐름을 피해가지 못했다.
    1231년 8월,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고 있었던 몽골군이 압록강을 건넜고 의주성은 당일로 함락됐다. 이후 벌어지는 철산성, 자주성, 구주성 전투 등에도 중앙으로부터의 지원군은 없었다. 개경에서 지원군이 출발한 것은 이미 황해도에 몽골군이 등장한 9월 중순이었다.
    권력의 정점에는 왕이 아니라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최이(최우)가 있었다. 언제 일어날지 모르는 배신을 두려워한 무신정권 지도자들은 국가안보에 써야할 힘을 정권안보에 썼다. 정예병을 자신의 호위병으로 삼고 전쟁터에는 허약한 노약자들 위주의 군대를 파견했다. 고려군은 참패 후 항복한다.
    몽골군과 정면대결에서 승산이 없다고 판단한 최이는 강화도로 수도를 옮긴다. 넓은 뻘과 거센 물살로 몽골군의 침입을 막으면서도 해상 물류가 집결하는 강화도는 최씨 무신정권에게 천혜의 요새였다. 조운망을 통해 거둬들인 세금으로 고려의 귀족들은 그 안에서 호의호식했다. 반대로 백성들은 몽골군의 침략에 그대로 노출됐고 고려 조정에 대한 가혹한 세금까지 더해져 이중고를 겪어야만했다.
    그 와중에서도 백성들은 국가의 도움 없이 살기 위해 몽골군과 싸웠다. 충주성에서는 노비들로 구성된 노군별초가 몽골군을 물리쳤고 처인성에서는 승려 김윤후 외 부곡민들이 적장 살리타이를 사살해 몽골군을 전군 퇴각시키는 전공을 세우기도 한다. 민초들의 대몽항쟁은 후대에 고려를 ‘자주의 나라’로 만들었다.
    몽골 침입기의 고려 무신정권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최씨 무신정권은 정권의 유지를 위해 항복을 하고 싶어도 항복할 수 없는 딜레마에 있었고 이는 고스란히 백성들의 고통으로 전가됐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당연히 정권의 정통성 결여에서 비롯된 것이다. 고려 무신정권과 몽골제국간의 ‘이상한 전쟁’은 정권의 정통성이 국가안보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후대에 전한다.
    ✔ 프로그램명 : 다큐프라임 - 한국사 오천년, 생존의 길 3부 몽골제국과의 이상한 전쟁
    ✔ 방송 일자 : 2018년 1월 31일
    #골라듄다큐 #다큐프라임 #역사 #한국사 #고려 #거란 #몽골 #전쟁
  • บันเทิ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746

  • @zirve7614
    @zirve7614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에도 제승방략제를 고집했던 이유 중 하나가 진관체제로 갈 경우 지방에 거대한 군사조직이 형성되서 쿠데타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해서 굳이 제승방략제를 채택했다는 웃픈 현실이 있었더랬습니다🧐국가 안보의 중요성은 시대를 초월해서 지극히 소중한 국가의 당면과제 임을 다시한번 절감하게 되네여🤔

  • @user-vk2jp5fi83
    @user-vk2jp5fi8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0

    무자비하고 잔인한 적보다 무능한 지휘관이 더 큰 적이죠.

    • @user-qv5vb3de9e
      @user-qv5vb3de9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리나라는 국민에게 유독강햇던 장군들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가 잇습니다.수틀리면 찌르고 쏴버립니다.

  • @testbox99999
    @testbox9999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지금 우리가 사는 시대 흐름에 아주 귀감이 되는 내용이네요

  • @user-oq3th4mf4d
    @user-oq3th4mf4d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감사해요👍👍👍

  • @corea.
    @core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결국 권력을 놓지 않으려고 백성들 희생... 과연 항복 했어도 백성들은 행복 했을까? 지금도 기득권들을 위해 국민들이 열심히 국방 납세 근로 교육의 의무

  • @user-rz5jl3ex3b
    @user-rz5jl3ex3b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잠들기좋은 목소리톤 좋은 asmr찾았당.

  • @user-tw4ln2sk6b
    @user-tw4ln2sk6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

    강화도가 여기가 아니야 ㅋㅋㅋ

  • @wlaks9792
    @wlaks979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지금 정치인들도 전쟁나면 제일 먼저 도망갈 것. 남아서 싸우는건 일반 시민들

    • @Happy-shot
      @Happy-shot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가장 최근 역사가 625때 살인마 이승만이죠..

  • @user-fm1tk5mw9j
    @user-fm1tk5mw9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풀버전 오랫동안 기다렸다

  • @nyuks
    @nyuks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퀄리티 너무 좋네요

    • @user-fq2ur1bi8h
      @user-fq2ur1bi8h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고려거란전쟁 보다 좋음

  • @user-th2po6tg3n
    @user-th2po6tg3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4

    관직을 가진놈들은 고려나 지금이나 같네요ㅎㅎ

  • @user-xd2ph2er4r
    @user-xd2ph2er4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강화도가 버틴게 중요한거야?
    강화도 밖에 있는 국민들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기득권들은 서민들 관심없고
    지들 권위만 지킬려고 노력해온 거지.

  • @YoooooTube
    @YoooooTube 27 วันที่ผ่านมา +1

    모든 역사 프로그램과는 차별된, 제대로의 시각으로 우리를 일깨우는 프로그램이네요~!

  • @user-fn9go4ec5e
    @user-fn9go4ec5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2

    이제 유투브의 일상화로 고려시대의 강화도와 조선의 강화도가 다름을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습니다.
    저도 이렇게 프로그램을 보는 이유가 검증 차원에서 보고 있습니다.

    • @seromijh146
      @seromijh146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아는 만큼 보입니다. 조금만 공부해보면 먼저왔다감 202406

  • @user-fr9gq7dd2q
    @user-fr9gq7dd2q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몽골 이 이길려면 몇년이내로 강화도를 꽁꽁 묶을수가 있었겠지 강화도로가는 보급료를 차단하면 뻔한건데 36년동안 이겨내지를 못한다.

  • @user-iq3ix4rg6k
    @user-iq3ix4rg6k 9 วันที่ผ่านมา

    도망이 최고요.
    저도 도망가리다

  • @youngjoon88
    @youngjoon8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역사의 사실을 통해 배우는 계기가 되길 간절히 바랍니다.
    세계 역사를 즐겨 공부하는 학자로서 우리 민족 2000여년을 돌이켜 봐야겠읍니다.
    우리 민족은 지도자, 리더들이 항상 너무도 유약하고, 지도력을 상실해서 국가적, 왕가의 위기를 불러왔죠.
    외국에서 오래살면서도 우리 정치가들이 너무도 나약하고, 국민들이 나라를 늘 지켜왔음을 국민들이 알아야......

  • @user-fl6qt2qy5w
    @user-fl6qt2qy5w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이거재밌음!!

  • @kKkK-gt5sg
    @kKkK-gt5s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6

    버틴거보다는 몽골이 사실상 본토는 정복했고 섬하나는 관심이 없었던거 아닌가

    • @ggjs9561
      @ggjs956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정답일수도..전세계적으로 옛역사보면 당시 고려도 정복했다고들 하는데..우리 나라만 국권 유지했고 몽골간섭기 라고함

    • @sksinfndkxk7
      @sksinfndkxk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ggjs9561
      우리나라도 역사조작 은근 많이 함…
      최근에 기억나는 건 석굴암 시멘트로 조져놨다고 하던데 사실상 폐허로 방치된 석굴암을 일본이 당시 최고기술인 시멘트로 복구해준 거….
      근데도 자동 습도 조절이 되던 걸 일본이 시멘트 바르고 원형을 부숴서 이슬이 맺히고 곰팡이가 생겼다고 하는 거 보고 기가 찼는데….

    • @user-pv8ts4kp7c
      @user-pv8ts4kp7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미륵사지석탑도 돌무지상태를 일제때 쌓아서 세멘발라놓았죠~그걸. 훼손이라고 가르치죠

    • @dfdfdf-gu9kd
      @dfdfdf-gu9kd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상 뒷부분까지 다 보세요;; 뭔 역사왜곡 얘기까지 나오네

    • @user-xl8fb6ow5y
      @user-xl8fb6ow5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sksinfndkxk7시멘트는 콜로세움만들때도 쓰던건데 뭔 최신기술 ;;;

  • @kairos521
    @kairos52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고려는 한반도에 있던 나라가 아님
    강화도 지금의 강화가 아님

  • @user-et1lr4ng7o
    @user-et1lr4ng7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0

    다 좋은데 최충헌이 고려왕에게 '전하' 라고 하는 호칭은 잘못된 게 최소 고려는 몽골에게 굴복하기 직전까지는 황제국이였습니다. 따라서 '전하'가 아니라 '폐하' 라는 칭호가 맞죠. 그러나 몽골에게 굴복하고 나서는 부마국으로 추락하고 더이상 황제국이 아닌 속국이 되어서 그 때부터 고려왕의 경칭이 '전하' 라고 강등됩니다.
    심지어 통일신라만 해도 신라 왕들의 경칭도 '폐하'였습니다. 명색이 어찌되었든 통일신라도 황제국이였거든요.
    보통 전하라는 칭호는 거대한 강대국의 제후국, 신하의 나라의 왕이나 그 거대한 강대국 황제의 황태자, 황태자비의 경칭들로 쓰여지는 칭호이고 폐하보다는 서열이 한참 낮은 칭호입니다.
    조선의 경우도 스스로 명나라의 신하 나라라고 자처하면서 절대 왕의 경칭을 '폐하'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500년 내내 말이죠. 단, 대한제국이 탄생하기 직전까지는 그랬죠.
    물론 고종이 세운 자칭 대한제국이라는게 허울좋은 자칭 제국이라 얼마 못가 일제에게 먹혀버렸지만요.
    고려는 그래도 황제국이라 몽골한테 항복할 때까지는 일부러 신하의 나라라고 자처하는 수준까지는 안 갔습니다.
    거란이나 금나라한테 사대는 했다고는 하나 몽골에게 짓밟힌 이후부터 스스로 강대국의 신하 국가, 속국이라고 자처하지는 않았으니 아직 몽골에게 짓밟히기 전까지는 고려왕의 경칭은 '폐하'가 맞고 조선시대의 모든 왕들 경칭은 '전하'가 맞습니다.
    '폐하'라는 경칭과 '전하'라는 경칭의 근본적 차이점은 자주성이 어느 정도 충분한 제국이냐 아니면 스스로를 낮춰서 신하의 나라가 되거나 몽골과 병자 정묘 호란의 청나라한테 짓밟혀서 신하의 나라고 강등당한 나라의 왕이냐 그 기준이죠.

    • @taejogo
      @taejog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이거지~ 역사를 잘아시네요~

    • @doroshi99
      @doroshi9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그당시 호칭이 그게 맞는지는 어케 앎? 전하 폐하 합하 각하라는 말의 기원은 알고 말하는거임? 그당시에 그 단어로 말했다는 기록은 있음? ㅋㅋㅋ 어이가없네

    • @chardri8660
      @chardri866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송나라와의 교역때문이라도 고려는 사실 계속 속국이었음. 실상 황제국이라고 칭한시기는 고려초 밖에 없음

    • @redzonecar
      @redzoneca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황상'입니다.

    • @user-oi9le9xu9i
      @user-oi9le9xu9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폐하고 나발이고 태자 착봉조차 대대로 허락받고 하던 나라가 뭔 그리 강대국으로 포장을 하려고 하냐~ 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자주 침락받던 그냥 작은 나라일뿐이었다

  • @user-gb5yq8du4k
    @user-gb5yq8du4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전쟁은 지극히 작은불씨로 시작한다 산불두 처음엔 작은 불씨였다.
    모든전쟁의 시작은 그러게시작 하는것이다.

    • @user-wc7nl6xy5u
      @user-wc7nl6xy5u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작은 불씨가 반복되다가 커지겠쬬

    • @user-in5np7lf7r
      @user-in5np7lf7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무슨 멍멍이 소리야 갑자기

  • @MrDoctorlee2
    @MrDoctorlee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

    이게 나라냐?
    낯설지 않다.

    • @user-by9xj7cg2u
      @user-by9xj7cg2u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각자도생의 시대, 2024년 대한민국

    • @OrangeCounty2023
      @OrangeCounty202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역사는 되풀이.... 지금도 나라는 뒷전이고 자신만 살려는 자들이 정치, 경제와 군대에도 있으니...

  • @Happy-shot
    @Happy-shot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섬과 섬 사이에 제방을 쌓아 농지를 간척하기전 강화는 크게 별립산과 봉천산권,고려산권(고려궁지가 있는 섬)과 혈구산권,진강산권,마니산권,길상산권으로 크게 다섯개의 섬으로 나뉘어져 있었고 썰물이 되면 광활한 갯벌이 드러나는 지형이었습니다. 지도 띄워 놓고 보시면 쉽게 이해 가실 거에요..
    만약 항전시기가 제방 공사 전이라면 그많은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안됩니다. 당연히 산과 뻘 뿐이라 농사를 지을만한 땅이 없으니 식량 자급자족은 언감생심이고요..
    강화에서 자라면서 어려서부터 가졌던 합리적 의문이었습니다.
    중학교때 하점면 부근리에 있는 지석묘에 올라가서 도시락 까 먹은적도 있다고하면 아무도 안 믿어요...😊

    • @user-iz2wc4ci6m
      @user-iz2wc4ci6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산동반도가 당시 강화도입니다. 거기에 한자가 완벽하게 동일한 오련산이 있고 "제주" "우산" (신라가 정복했다는 그 우산국)이라는 지명도 산동반도 태산의 서쪽과 남쪽에 현존합니다.

  • @user-sd9yu3my4k
    @user-sd9yu3my4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제고향이 나오네요

    • @wingbadi
      @wingbad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고향이기도합니다^^

  • @user-rp6ew8pg2z
    @user-rp6ew8pg2z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6

    각자도생의 시대.
    낯설지 않다.
    .

    • @user-tt3pt3rq3p
      @user-tt3pt3rq3p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ㅋㅋㅋ월급처받고 살면서 각자도생 ㅇㅈㄹㅋㅋㅋㅋ

    • @interfrenz98
      @interfrenz9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tt3pt3rq3p 국가와 사회가 해야 할 역할을 외교나 무역, 복지, 언론의 자유 등 예전만큼 못하고 있기 때문에 각자도생의 상황인거죠.

    • @user-in3vc3si7w
      @user-in3vc3si7w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interfrenz98대체 뭐가 예전보다 못한건지 ㅋㅋㅋㅋ 10년전보다 지금이 더 좋구만

    • @interfrenz98
      @interfrenz9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in3vc3si7w 극단적 외교때문에 수출실적 곤두박질, 예산빵꾸나서 기초생활수급자 탈락 최대, 과학기술 예산 말도 안되는 이유로 삭감 이밖에도 넘쳐납니다.

    • @sksinfndkxk7
      @sksinfndkxk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tt3pt3rq3p
      말투가 왜케 건방집니까

  • @user-rj8ko6cf7w
    @user-rj8ko6cf7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우리민족이 이렇게 살아남아서 그분들 기억해드리니 그나마 조금 위안이 됩니다.

    • @user-vh4mm2hk4h
      @user-vh4mm2hk4h 22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때 피해 입은 사람들 언제 기억함? 최우 최항 최충헌 이런사람들 기억하지

  • @user-fj8nh6px1o
    @user-fj8nh6px1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지금도 각자도생의 시대... 투표권 있다고 뭐가 되는지 알지만.., 실상은 돈있고 권력있는 자들에게는 그냥 하루살이

    • @over-the-time
      @over-the-tim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절대불변의 진리입니다 !!!

    • @dogmon3165
      @dogmon316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배우고 알고 중립적이게 각자도생 해야함

  • @syl6058
    @syl605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이래서 삼별초 난을 긍정적으로 볼 수가 없는.

  • @Phd-gp1kw
    @Phd-gp1kw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그때나 지금이나 각자도생은 변함이 없구나

    • @user-yv9sx9rg5c
      @user-yv9sx9rg5c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위기때마다 편갈라서 싸우다가 자멸하는게 그냥 우리나라 종특임. 조상들부터 이어져온 DNA.

  • @yeeunjo8929
    @yeeunjo892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4

    산동성 산동반도 이곳이 강화 라는
    이야기도 .....

    • @user-li5uj4kv2b
      @user-li5uj4kv2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미국도
      왕이 사냥했다도 하지

    • @user-dv4dt1eb9q
      @user-dv4dt1eb9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li5uj4kv2b멍청한데 에는 약도없다.

    • @user-it2gb1mb7l
      @user-it2gb1mb7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100heawon 그럼 몽골은 남송멸망 이전에 고려부터 확실히 조지고 갔어여함 그럼 그때정도의 병력규모로 그정도 쓸고 돌아가는게 개연성이 전혀없음 ㅇㅇ 고려를 살려둔것도 어불성설이고 애초에 고려랑 접점도 훨씬 빨라야하고 아예 중원진출할때 큰틀에서의 계획부터 기록이랑은 결이 달라야함 그리고 고려도 남송이 침략받고 있으면 인접국가로써 송나라랑 연대를 하던지 같이 연합이 됐어야겠지 금나라 다 쳐망하고 송나라 두들겨 맞을동안 모르고 있었다는게 말이안됌 중원에 있는국가가 ㅇㅇ 지명하나로 그렇게 장난질하기엔 역사의 모든 흐름에서 개연성이 사라짐

    • @yeeunjo8929
      @yeeunjo892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li5uj4kv2b 강화나 우산 이나
      거기서 거기 입니다
      북으로 가면 우산이고
      남으로 가면 강화이고
      전부 산동반도 인근
      왜 우산 이냐면 철광이 미친듯이
      나오는 지역이며
      철광은 고대 패권에
      막대한 영향을 줍니다
      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
      차례로 우산을 귀히 여기고
      거란은 고려의 철광의 숨통을
      틀어쥐기 위해 우산을 공격
      지금의 몽골초원 발원의
      거란 . 그들 스스로 고구려의
      서쪽 땅에서 발원 했기에
      자신들이 고구려의 정통성이
      있다고 고려에 통보한 그 거란
      거란의 공주 무덤에
      성씨가 고씨라 각인되어 있고
      고려가 화친 예물을 보냈을때
      거란왕은 고씨례를 보냈다며
      크게 기뻐했다 라는 기록도 있는 거란
      고구려의 성채는 멀게는 몽골넘어
      키르기스탄 에서도 발견되고
      내몽골 에서도 발견되며
      중공이 고대 성채 구조를 갈아업기
      전에는 자금성도 같은양식
      산동성의 성채도 같은양식
      산서성 핑야오성채 (평양성)
      핑야오 성채 남쪽에는
      다 허물어저 부스러지고 있는
      성문과 하나된 현판에 쓰어있는
      (금성)
      핑야오와 금성 사이에는
      안시성으로 추정되는
      괴 산성과 토산
      끼워 맞춘다고 해도 이정도면
      진실입니다
      요즘 과학 기술로
      고대 삼국
      과거 천문관측 기록을
      역산하면
      하북성 산서성 산동성
      나옵니다
      고려만 해도 츠펑 인근으로
      나오며
      이씨조선 초기 역시 츠펑
      인근으로 나옵니다

  • @user-ur1pt8xr9n
    @user-ur1pt8xr9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때나 지금이나 여전히 다르지않다에 좋아요
    지금은 다르다면 싫어요

  • @user-ji5hc8lu8m
    @user-ji5hc8lu8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이해가 됩니다

  • @user-zq2ii3oq6e
    @user-zq2ii3oq6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강화도는 버텼지만 .. 본토는 초토화 되고 백성들은 갈려나갔는데.. 버틴게 맞냐? 제목만 봐도 승질나는 영상임

    • @user-oc4oh3ng3l
      @user-oc4oh3ng3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지금 우리가 처한 상황과 너무나 흡사... soft power 랄까, 내용도 실력도 개혁 의지도... 그 아무것도 없는 자가 과연 나라를 위해 무엇을 할까?? 한심해 터진 지금의 참담한 실정들 ...ㅠ...

  • @SK-gz3qt
    @SK-gz3qt 6 วันที่ผ่านมา +1

    이걸 우리 고려는 최강 몽골을 상대로 몇십년간 버텨왔다면서 포장해서 중고등학교때 가르쳤었죠

  • @friedrich_wilhelm_ii
    @friedrich_wilhelm_i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40여년을 버틴 강화도를 쥐구멍 만한 한반도에 찾는 역사적 무지함......몽골제국을 호구로 보는건가?

    • @user-pw5xc5xy6i
      @user-pw5xc5xy6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개웃기네ㅋㅋ 그럼 강화도가 어딨는데?

    • @bgkhan4475
      @bgkhan447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pw5xc5xy6i대륙에 있지요. 이제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알아. 혹시 궁금하면 유튭"책보고" 검색 해보는거 추천. 사서와 지도 교차검증

    • @lancychung8993
      @lancychung8993 29 วันที่ผ่านมา +1

      ​@@user-pw5xc5xy6i 산동 반도에 있는 강화(江華)가 고려의 수도 강화입니다.

  • @tsgmkang553
    @tsgmkang55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31:33... 열개의돌이 외치는 소리 아닌가!?
    내 귀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구나!

  • @user-hp1kn3px7r
    @user-hp1kn3px7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주머니 손꼽고 있는게 젤웃기네.ㅋ

  • @jey4751
    @jey475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지금 이나라랑 비슷하네.... 부패한 정치꾼과 기득권들이 나라를 망치고있다

  • @hyuna4267
    @hyuna426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금정세와 딱 비슷하군요

  • @user-ko9bo2bz6c
    @user-ko9bo2bz6c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강화도에서 39년을 그냥 버텄다는게
    이상함 몽골이 물에 약하다는 이유로
    기록에 보면 몽골 이 베트남 침공할때
    수군을 이용 했다는데
    강화도로 들어갈려고 마음 먹었으면
    수단 방법을 안가리고 들어 갔을건데
    고려사는 조선시대에 쓴 역사서라
    편향적이지 아니었을까 당시 무관독재 시대이라 조선시대 문관 이랑 반대되는 정부
    무관지배 의 단점을 부각 시켜야 하니
    편향적으로 고려사를 쓰지 않았을까

    • @user-sh4ee5hp8h
      @user-sh4ee5hp8h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몽골 입장에서는 본토는 이미 장악한대다가, 궂이 배타고 위험 무릎쓰고 상륙전 할필요가 없었지.

    • @user-nw7yl7iu2f
      @user-nw7yl7iu2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베트남 두번 뱃길로 공격해서 모두 실패한걸로 앎. 당시 베트남 수군대장이 몽골침략을 막아내 영웅이 됨.

    • @bincho6185
      @bincho6185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sh4ee5hp8h 장악 못했음. 베트남전처럼 고려가 청야전술 게릴라전으로 나왔음. 심지어 몽골 총사령관도 게릴라전에서 암살당함

    • @shh3543
      @shh354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맞습니다.
      이성계와 명이 고려의 광활한 영토를 나누어 먹고 고려사를 반도 안에 쑤셔 넣어 역사공정을 했다고 보이네요. 조선 초기 에서 성종까지 책과 역사서들을 계속 불태웠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조선판 분서 갱유죠.
      이성계가 명과 손잡고 고려를 나눠 먹고 명에 사대하며 명을 상국으로 모신 까닭은 그때까지 여진세력과 후원세력이 남아 있기 때문에 쿠테타의 명분이 없는 이성계가 살아 남으려면 명에게 귀속되는 방법 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이성계 이후 성종까지 조선판 분서갱유 역사왜곡이 일어난 겁니다.
      삼국은 물론이거니와 고려까지의 반도에서는 나오지 않는 역사적 지명이 북경에서 산동성을 지나 남경까지 우수수 쏫아져 나오는 이유가 있으며 동이족 성의 특징, 특히 고구려의 성에는 돌출구조물인 치 라는 것이 있는게 중국의 성들중 화하족이 만든 성들에는 치가 없는 반면 고구려의 옛땅이라 추정되는 성들에는 어김없이 치가 있습니다.
      북경 자금성의 외곽의 성인 외성을 중국인 스스로 철거해버렸습니다. 마치 우리 스스로 한양도성의 성벽들을 철거해버린 것과 같은 이야기이죠. 북경 일부에 자금성의 외성이 남아 있는 곳이 몇군데 있는데 거기에 치 라는 구조 물이 있습니다. 화하족들 입장에서는 자신들의 선조들이 만들지 않은 자신들이 지켜야 할 것이 아니기 때문에 또 역사왜곡을 위하여 자금성의 외성을 갈아 엎어 버린 거라 생각됩니다. 어찌 자랑스러운 선조들의 유산을 스스로 철거해버리겠습니까?

    • @user-cb9xp1bd8m
      @user-cb9xp1bd8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좀패이이성게

  • @sungchunchoi4817
    @sungchunchoi481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현재의 강화도가 고려의 수도 천도지라고 공영방송에서 떠들고 있네요. 역사공부도 하고 사료검토만 해봐도 이곳이 아니라는 것을 알텐데요. 현재 중국의 산동반도에 그 지명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오련산을 비롯한 강화도의 모든 지명이 그대로 있습니다. 심지어 제주까지...

    • @user-gv3nc5nh7x
      @user-gv3nc5nh7x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 얼치기 역사덕후의 주화입마된 모습을 보고계십니다.

    • @sungchunchoi4817
      @sungchunchoi481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gv3nc5nh7x 댁이야 말로 심마를 다스리지 못하나보네요.

    • @JW-lz9ws
      @JW-lz9w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삐뚤어진 국뽕으로 만드는 뇌피셜은 정신병자의 망상과 동일 하다

    • @dghiufdxssfvg67tjc
      @dghiufdxssfvg67tjc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그럼 쿠빌라이가 방문한 제주가 현재 제주도가 아니라 산둥반도의 제주란 말씀이신가요? 좀 말이 되는 부분이 있네요. ㅎㅎㅎ

    • @user-iz2wc4ci6m
      @user-iz2wc4ci6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gv3nc5nh7x 모르면 당신 처럼 무식한 소리 찍찍 내뱉는거야. 조선시대 때 강화도 간척사업을 해서 그나마 농경지가 만들어진 것이고 고려 시대 때는 산이 대부분이었는데 도대체 거기서 30년을 넘게 어떻게 항쟁을 할 수 있겠나? 산동반도에 증거들이 나오고 있는데 어짜피 당신같은 인간은 이런거에 관심도 없을테니 그냥 썩어빠진 한국사나 물고 빨고 사시게나

  • @JJ-uq8lp
    @JJ-uq8l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살려준 몽골 관원 대단하네

  • @user-oq3th4mf4d
    @user-oq3th4mf4d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 @user-kb4ek2eo5r
    @user-kb4ek2eo5r 4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예나 지금이나 똑 같은 일들의 반복입니다

  • @user-mt4pn5nz8m
    @user-mt4pn5nz8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 강화도가 아니라 요동지역에 있는 강화도가 진짜야

  • @Sollantert
    @Sollanter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고거전보다 퀄리티 좋네

  • @user-db6hg9qx7u
    @user-db6hg9qx7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잘했어요 😂😂😂😂😂😂😂😂

  • @howardkim5856
    @howardkim585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지금의 이 나라를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러다 나라 망할까봐 무척 걱정되네요

    • @ongochian
      @ongochi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댁이나 간수하슈

    • @user-si5xh2di4c
      @user-si5xh2di4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미 여러곳이
      부서지고 있습니다
      지금이라도 멈추게하고
      복구해야합니다.
      개같은 것들의 잡소리는
      관심치 마세요.

    • @JSH-do5qf
      @JSH-do5qf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감합니다.

    • @JSH-do5qf
      @JSH-do5qf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ongochian무지한 2찍

    • @JSH-do5qf
      @JSH-do5qf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ongochian무지한 2찍

  • @user-jb8nf4hv4h
    @user-jb8nf4hv4h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5

    몽골이 강화를 점령하지못한것은
    지금의 강화도가 아닌것이다
    강화도에 있는 고려궁궐을 가보고 말해라 장기간 항전이 가능한지

    • @user-ej8mn8xs9x
      @user-ej8mn8xs9x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역사는 사실과 검증이 필요한 작업인데
      그걸 모두 생략하고 조선사편수회에서 만든걸 그대로 역사라고 지금도 배우고 있으니 답답합니다

    • @user-gv3nc5nh7x
      @user-gv3nc5nh7x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얼치기 역사덕후의 주화입마된 모습을 보고계십니다.

    • @user-it2gb1mb7l
      @user-it2gb1mb7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단순히 지명몇개갖고 말장난치기엔 너무 개연성이 없지않아? ㅋㅋㅋ 고려가 중원에있었다면 전쟁이 저렇게 흘러갈수가 없음 ㅋㅋ 금나라 집어삼키고 송나라 원정와중에 와서 툭툭 건드려보는나라겠어? 송나라 이전에 멸망시키려고 총력전을 해야하는나라가 고려겠지 송나라&고려는 반드시 연합을 해서 몽골에 대항하는게 압도적으로 유리했을테고 ㅋㅋㅋ 그냥 역사적으로 고려가 한반도땅에만 박혀있었다는게 훨씬 개연성있구만 지명몇개가지고 말장난치면서 중원드립 참 ㅋㅋㅋㅋ

    • @user-dy6li1cc8u
      @user-dy6li1cc8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강화에 고려궁 없습니다.
      고려궁지 옛터

    • @dghiufdxssfvg67tjc
      @dghiufdxssfvg67tjc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산둥성일대 이고 산둥성이 19세기 말까지 섬처럼 가로지르는 큰 폭의 강이 있었다는 것은 유명하죠. 이곳을 강화로 보고 해석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하북성, 현재 북경 근처, 그리고 산둥성 그 근처에 갖다 놓고 고려 거란 전쟁과 몽고항전 역사 해석하면 잘 된다고 그러더라구요. 누구의 말이 맞는지 모르겠는데 현재까지 고려사의 군사 스케일 상 조선의 3배는 될 것 같습니다. ㅎㅎㅎ
      세종실록에 세종이 고구려 평양이 어디냐고 물었는데 신화들도 모르겠다고 그러고 세종도 알길이 없다고 그렇게 대화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것으로 봐서 적어도 고구려 평양이 현재의 한반도 평양은 아니였다는 것은 조선초에도 인지했다는 거죠. 그리고 원사에 고구려 평양과 고려 서경이 같은 거고 어디에 있었는지 잘~~~ 묘사되어 있습니다. ㅎㅎㅎ

  • @user-oi1xl9eo2j
    @user-oi1xl9eo2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지금2024년 대한민국의 소프트파워가 무너지고 있습니다 정말 안타까운 마음입니다!

    • @user-si5xh2di4c
      @user-si5xh2di4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느시대나
      무능하고 소프트파워가
      미개한 리더가
      한시대를 망쳐버립니다.
      안타깝습니다.

  • @kimminseok11
    @kimminseok1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열받네...지금과 다를봐 없는거 같아서...

  • @MicheleKim-iz2cl
    @MicheleKim-iz2c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지금 시대에 구글지도 만 찾아도 알수있는 압록강 강화도 조차도 왜 우리는 우리 조상들 고조선 고구려 백제 통일 신라 발해 고려의 역사를 축소 시키려 하나요 .지형들이 지금도 중국에 우리 동이민족의 역사의 자국들이 현재에도 현존 하고 있다함 .많은 고려의성들 조차도 해저와 함께 아직도 많히 남아 있다함.

    • @user-bi5vh2qm8m
      @user-bi5vh2qm8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대체 무슨 역사를 보는 것....

  • @user-cx1ne9gp9s
    @user-cx1ne9gp9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강화도로 숨어들어서 백성들은 내팽겨치고 싸우지도 않고 자기 안위만 챙겼네 항복하지 않은 이유도 기가 막히고;; 이게 다 실제로 기록된 내용인거겠지?

  • @seunghyunkim8274
    @seunghyunkim8274 14 วันที่ผ่านมา

    지금도 핵무기를 버려야 한다는 이땅의 족속들이 후손들을... 또다시 힘들게 한다.

  • @5분순삭한국사
    @5분순삭한국사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거란과 싸울 때는 국가가 나서서 싸우기라도 했지, 몽골과 싸울 때는 빤스런 하느라 바빴다는 게 차이점임.

  • @user-sn8ix7jz5r
    @user-sn8ix7jz5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나라가 있어야 국민이있고 국민은 나라가있어야 뭉칠수. 있는데 평가는 국민들의 판단에 맡기는것이 맞는것 같다

  • @user-il2lu8bv6c
    @user-il2lu8bv6c 9 วันที่ผ่านมา +1

    역사는 반복된다.

  • @user-zl4gk8nl7b
    @user-zl4gk8nl7b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내가 어릴 때는 강화조약이 강화도에서 조약해서 강화조약인 줄..ㅋㅋ

  • @user-cp9iv9nu2r
    @user-cp9iv9nu2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백성들은 도망 갈 곳이 없어 수탈을 당했다는데 강화도에서 세금은 잘 걷을수 있어 궐력층이 잘먹고 잘 살았다는데 뭔 소린지. 이해가 안되네요
    누가 세금을 냈다는 것인지.....

    • @jinhong3668
      @jinhong366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러게요.

    • @user-yh5ri2pz1c
      @user-yh5ri2pz1c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바다가 열려있어 세금은 잘 걷었답니다

  • @winnie_love_honey00
    @winnie_love_honey0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무신정변 이후 고려는 시한부 선고 받은거죠 왕권이 없으니 몽골과의 전쟁에서 초동대응도 못하고...

  • @vaughansung
    @vaughansun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최소한 몽골에 " i am sorry" 라고 엽서 한장이라도 보내야지...

  • @user-kg3jl5qn6k
    @user-kg3jl5qn6k 22 วันที่ผ่านมา +2

    그럼 강화도에서 못 나오면 육지에 있던 사람들은 엄청 핍박받았다는 애기네....자랑이다...

  • @user-pq5ye7nd3l
    @user-pq5ye7nd3l 18 วันที่ผ่านมา

    지금 우리의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네

  • @user-qn5rt8dv2k
    @user-qn5rt8dv2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징기즈칸은동이의후예?,대륙의역사.안타갑네요

  • @shtk1590
    @shtk159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5 와 주머니에 손을 넣고 존댓말하는데
    나만 적응안됨?

  • @syunsuketakasiro1592
    @syunsuketakasiro159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아니 주머니에 손은 왜! ㅋㅋㅋㅋ 차라리 책을 한권 들고 있지..

  • @user-jj8hw7lt1g
    @user-jj8hw7lt1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어마어마한 돈 .... 외계인들이 준듯한 돈...

  • @user-ej9ms9bj7q
    @user-ej9ms9bj7q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3

    그러니 국방력 강화가 중요합니다. 다 필요없습니다. 힘에 의한 평화가 정답입니다.

    • @1q2w3e4r.-
      @1q2w3e4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영상좀 보고 댓들 달자

    • @user-gl6tq1xl2y
      @user-gl6tq1xl2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아휴 윤석열 지지자냐?

    • @Nochannel_ld6hh
      @Nochannel_ld6hh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어떤 의미인지는 알겠지만 내용관 거리가 먼데요..?

    • @charlieshin9513
      @charlieshin951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gl6tq1xl2y 문죄인처럼 삥 뜯기는면서 지키는 평화가 좋으냐 ?

    • @ci9849
      @ci984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gl6tq1xl2y너는 그러면 삶은 소대가리 지지자냐? 아니면 형보수지 찢지지자냐?

  • @61yunhr
    @61yunh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약 700년이 흐른 지금도 그 과정에서도 반복되고 있다는게 있었다는게 안타까울 따름이다...ㅠㅠ

  • @acidholic
    @acidholic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저 와중에 세금이 제대로 걷히는게 신기함.. 지방세력의 독립 시도는 없었을까?

  • @user-sp2iv4mf8m
    @user-sp2iv4mf8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당시에 강화는 지금에 한반도 강화 아닌것 같아.

  • @samz188
    @samz18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반도 몇천년 역사 교육을 제대로 하여야 후대들이 역사의 경험 교훈을 잘 이어 받을수 있고 거기에 맞추어 어떻게 나라를 지켜야 하겠다는것을 알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tokyuja
    @tokyuj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강화도 = 현재 산동반도

    • @user-by9xj7cg2u
      @user-by9xj7cg2u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오잉? 뭔소리~~

    • @user-pv8ts4kp7c
      @user-pv8ts4kp7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국토가 유린당해서 씨가 바뀐마당에 왕이 숨어있든 뭔상관이요~

    • @user-si5xh2di4c
      @user-si5xh2di4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산동반도라면
      바다건너 먼곳인데ᆢ
      어찌 천도가능?
      천도가 아니라
      해외망명 이네ᆢ

    • @tokyuja
      @tokyuja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si5xh2di4c 모르면 그렇게 생각할수 있습니다.

    • @user-si5xh2di4c
      @user-si5xh2di4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tokyuja
      그러게요 처음접한
      정보인데ᆢ
      강화의 센 물길이
      몽고군을 막아주었고
      서쪽은 갯벌이라
      상륙이 어려웠기때문에
      삼별초의 저항이
      가능했다는 설을 믿었는데
      그 강화가 산동반도라니
      너무 멀다는 생각도
      드는군요,..
      강화도. 몽고침입을
      다시 공부해야겠군요
      ^^♡

  • @user-jd5mn1bq9o
    @user-jd5mn1bq9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현재가 중요하다 옛날에 제국이면 뭐하나 지금 중국과 러시아사이에 끼여 눈치보고 사는 형편인데

  • @bgkhan4475
    @bgkhan447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6

    지금의 강화도는 반나절이면 털 수 있습니다. 그걸 조선시대 후금이 증명을 했죠...몽골이 침입한 강화는 산동반도에 있습니다. 거기 오련산도 있고요.

    • @DltptkddldnldpsirkdlTek
      @DltptkddldnldpsirkdlTe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빙고.

    • @user-jh6kb6gl6w
      @user-jh6kb6gl6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후금이 강화를 정벌한건 만주족에게는 당시 명에서 귀순한 공유덕과 경중명의 수군이 있었기 때문이다….좀 알려면 제대로 알고 주장하던지..무식하면 용감하다더니…

    • @sniper-lk7uc
      @sniper-lk7u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비과학적인 창조론을 옹호하기 위해 미국 개신교의 창조과학이란 유사과학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시는지. 중국의 동북공정, 일본의 임나일본부 노골적인 역사 왜곡을 보면 어떤 마음이신지.
      거울을 보고 자신을 돌아보셨으면 좋겠네요.

    • @user-lm5st9yd7r
      @user-lm5st9yd7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나 0:05 ​@@DltptkddldnldpsirkdlTek

    • @bgkhan4475
      @bgkhan447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jh6kb6gl6w양쯔강폭이 강화 앞바다보다 더 넓을걸?

  • @Handlewish
    @Handlewish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누군가 생각나네요 ㅋㅋ

  • @ssmpower
    @ssmpowe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지리적으로 강원도는 산넘어 산이야 진짜 힘들어 ㅋㅋ. 산잘타면 가능

    • @user-ow3td4tn8e
      @user-ow3td4tn8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일리있네요^^ 이제야 조금식 사람들이 눈을 뜨는게 그나마 다행이라고 할까요 문화재가 많이 없어진게 문제지만요....
      역사는 장점과 단점을 모두 안고가야할 숙제인데도 장점만 바라보면 안돼죠^^

  • @SungminKhan
    @SungminKha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생각보다 강화가 지금 한반도의 강화가 아닌것을 알고 계신 깨어있는 분들이 많네요 희망을 가져봅니다. 역사를 되찾길

  • @acidholic
    @acidholic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고거전을 ebs가 만들었어야해

  • @user-mi7zh2sv9n
    @user-mi7zh2sv9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세계에서 역사상 한나라에 지도자가 국민을 저버리고 도망가는 훌륭한 역사을 가지고 있죠 지살려고 방어도하고 대단해요

  • @user-wo6jw1nl6k
    @user-wo6jw1nl6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지금 이랑 똑같네

  • @user-ks3xx9yy6h
    @user-ks3xx9yy6h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참 비참한 역사네요

  • @user-qc8ld1tn4y
    @user-qc8ld1tn4y 17 วันที่ผ่านมา

    어떻게 버티긴
    잘~~

  • @user-id8dd9ol8q
    @user-id8dd9ol8q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다인철소 대장장이 충주 대소원면 지씨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user-wk7ry2bm7h
    @user-wk7ry2bm7h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대하드라마 로 가자

  • @user-te3cz4ks4t
    @user-te3cz4ks4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역사는 되풀이된다

  • @jungjaejong7317
    @jungjaejong731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아직도 조그만한 강화도에서 39년을 버텼다고 믿는다고? 진짜 그 강화도가 그곳일까?

  • @samsuh1845
    @samsuh184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몽골은 왕을 강화도에 가둬놓고 전국을 유린했는데 뭔 국뽕에 취해서 강화도를 점령못했다고 개소릴 하는건지
    몽골의 작전을 사실이라 말하지못하고 귝뽕에 취한 개소리는 그만해라

    • @daehokim3697
      @daehokim369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몽골이나 거란같은 나라는 왕을 잡아야 전쟁이 끝난다고 생각합니다.
      몽골이 전국토를 유린하면서 38년동안 고려에 신경쓰는게 좋을까요? 고려왕 잡아서 속국으로 만들고 다른지역 점령에 신경쓰는게 훨씬 나은거죠.

  • @djddltoa1217
    @djddltoa121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25 강화도 천도

  • @user-cc1wk2ns8x
    @user-cc1wk2ns8x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

    대륙의 산동반도가 고려의 강화도다 육지를 통해 산동반도로 들어가려면 장대한 뻘이 드러난다 들물이 들어오면 질퍽질퍽 어찌 몽골이 들어올수가 있을까? 유튜버 책보고를 참고하세요

    • @해피에용
      @해피에용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산둥반도 관통하는 물길이 지도로 남아 있습니다. 뻘과 물길이 있었기에 방어가능.

    • @dbwognl103
      @dbwognl10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양광도 강화현인데
      산둥반도가 왜나오냐....?

    • @zirimong
      @zirimon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세기 강화도갯벌을 7세기간 조선시대부터 간척사업으로 일궈서 지금의 강화도가 된겁니다
      먼 산둥반도 ;;; 가도 너~~~무갔다

    • @jhg7661
      @jhg766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책보고채널은 역사왜곡이 심합니다

    • @sungchunchoi4817
      @sungchunchoi4817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zirimong 강화도에서 고려왕궁의 주춧돌 하나라도 발굴했나요? 충청도나 하남위례성에서 백제 왕성의 주춧돌 하나라도 발견했나요? 그랬다면 역사교과서를 믿겠습니다.

  • @DIY-vj1uo
    @DIY-vj1u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

    저 강화도가 지금 경기도 강화일리가 있나 거기서 무슨수로 그렇게 버텨? ㅉㅉㅉ 산둥반도인데

    • @Tripleaxelyang
      @Tripleaxelyan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강화도가 삼국시대 이후로 고려 조선을 거쳐 꾸준히 간척된건 알고는 있냐?

    • @user-cx1ne9gp9s
      @user-cx1ne9gp9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경기도 강화라니요 인천입니다

  • @taeinyi2123
    @taeinyi212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버틴게 아니라 걍 다른지역은 방치한거지 털리던 말던 ㅋㅋ 기득권들은 지들만 살고 백성들은 개고통받고 차라리 조선마냥 사대를 하지 개고통받고 항복할빠엔 ㅉㅉ

  • @skyten21
    @skyten2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현종이었으면 그냥 막았을 것 같네

  • @kibool79
    @kibool7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나도검증차원에서보러왔지만 역시나 산둥반도져

  • @user-qz5sm3kr9b
    @user-qz5sm3kr9b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반도는 참 북방유목민족 침략 많이 받아서 한민족 민족성이 그만큼 독해진것 같습니다

  • @user-wx1md7kg5e
    @user-wx1md7kg5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나라가 아직까지 유지한게 신기하네

  • @jowoohada
    @jowoohad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심한 최씨 무신가문...
    그리고 5:35초 몽골군 방패에 卍 왜 새겨져 있는건가요?

  • @user-pu2li3jz6t
    @user-pu2li3jz6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그니까 몽골군 침입 이후 우리 혈족이 바뀌지 않았을까? 거의 나라가 멸망한 정도인데.. 쩝

  • @mrlej2
    @mrlej2 6 วันที่ผ่านมา

    어째 지금 이야기랑 비슷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