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공부하게 만드는 '세 가지 핵심 키워드' / 그렇게 말해주니 공부하고 싶어졌어요 / 한혜원 상담가 (통합본)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6 มิ.ย. 2024
  • 스스로 공부하게 만드는 '세 가지 키워드'/ 그렇게 말해주니 공부하고 싶어졌어요 / 한혜원 상담가 (통합본)
    안녕하세요.
    지난 번에 1,2부로 나누어 올렸던
    초등 심리전문가 한혜원 선생님의 영상이
    뜨거운 반응이었는데요.
    실제 아이들을 만나면서 얻은 생생한 상담경험이
    많은 부모님들의 마음에 와닿았던 것 같습니다.
    제가 만나본 그 어떤 분보다
    마음이 따뜻하고,
    정말 말을 너무나 예쁘게 하는 분이세요.
    이렇게 말을 해주는
    교사, 부모가 있다면
    아이들은 공부 뿐 아니라 그 어떤 분야에서건
    너무나 잘 해낼 수 있는 자존감을 얻을 수 있을거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이 영상이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한혜원 #공부정서 #자기주도학습
    -------------------------------------------------------------------------------------------------
    00:00 인트로
    01:19 연애, 친구 문제도 사실은 다 공부문제?
    02:53 모든 아이가 공부를 정말 잘하고 싶어 하나요?
    04:44 스스로 공부하게 만드는 '세 가지 키워드'
    05:34 키워드 #1) 자율성
    15:52 키워드 #2) 유능감
    12:09 키워드 #3) 관계성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35

  • @tv-oe3fy
    @tv-oe3fy ปีที่แล้ว +7

    10:48 "숙제를 빨리 끝내버려야지~"
    이 표현은 좀 위험한 표현인거 같아요.
    이게 닭이 먼저인지 달걀이 먼저인지 좀 저도 헷갈리는 부분입니다.
    숙제는 했지만 정말 설렁설렁 대충대충 완성도가 떨어지게 할 때도 굉장히 많습니다.
    이 숙제를 빨리 해치워버리고 끝내버려야 내가 하고싶은 걸(게임, 놀이, 기타 활동등) 할 수 있기 때문이죠. 마음은 벌써 콩밭에 가 있는데 하기 싫은 걸 하느라 몸만 책상에 있는 느낌
    그럼에도 불구하고(완성도가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책상에 앉아 있었다는 것 만으로 칭찬을 해줘야 하는건지...이런 부분이 답답할 때가 많아요.ㅠㅠ

    • @babylab
      @babylab  ปีที่แล้ว +14

      네, 안녕하세요. 이지민아나운섭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빨리' 라는 것이 살짝 오해를 살 수 있는 단어인거 같아요. 숙제를 빨리 하라는 것은 얼른 끝내버리고(대충이라도) 놀라고 하는 것이 아닌, 할일을 미루지 않고 시간내에 끝내고 마음편히 휴식을 즐기는 것을 가르치고 싶은 의도인데요. 선생님이 영상속에서 언급하신 것처럼... 아이가 미리 숙제를 하지 않았을 경우 미루고 미루다가 밤에는 피곤하고 지쳐서 숙제하는 시간이 길어지니 부모가 미리 차단하고 못하게 하는 경우가 있고요. 아니면, 그런 미래가 부모는 예상이 되지만, 아이가 그렇게 시도하게 두어서.. 결국 밤에 피곤하게 숙제하다가, 이것이 별로라고 스스로 깨닫게 하는 방법이 있는데... 후자를 강조하시려고 꺼낸 예시입니다.
      하지만, 그렇다면 과연 숙제나 과제를 먼저하고 그 다음에 휴식을 하는 것이, 항상 옳은 것이냐...? 는 저는 개인적으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성인들도... 뒤에 휴식이나 게임이 있다면 그걸 먼저 하고 과제를 하고 싶은 사람도 있죠. 내가 너무 좋아하는 무언가를 앞두고는 오히려 설레서 일에 집중이 잘 안되기도 합니다. 저는 저희 초2 아들과 해본 결과, 말씀하신 것처럼 게임을 앞두고 엉망으로 과제를 하는 경향이 있어서. 아들과 대화 후, 게임을 먼저 끝내고 여유있게 과제를 하는 것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도 현재 상황(아들의 나이와 성향)에 맞춘 것일뿐.. 하면서 또 상황에 맞게 아이를 관찰해보고 또 아이와 대화해보고 맞춰나가려고 합니다.
      선생님께서 강조하신 부분은 숙제를 꼭 먼저, 빨리 끝내야한다가 아닌... 어떤 일이든 어른들은 미리 다 결과가 예견되어 아이에게 실패를 경험하게 하고 싶지 않고 미리 다 예방하기 위해 어른들 말을 따르라고 지시하지만, 직접 아이가 부딪혀보고 깨닫는것이 좋다, 입니다... 영상 속에서 충분히 설명되지 못한 부분을 글로 풀어서 적어봤습니다.. !

    • @jungsunhahn8133
      @jungsunhahn813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앉아있는것만으로도 우선은 칭찬해줘야죠. 우리도 일하고 좀 쉬려는데 또 뭐하라고 하면 짜증나지 않겠어요

  • @gracesharon3516
    @gracesharon3516 ปีที่แล้ว +12

    1. 자율성 욕구: 자유X, 어떠한 기준에 따라 아이가 스스로 행동하고 싶어하는 마음.
    아이가 경험을 하여 느낌으로써 기준을 같이 세울 수 있다. 아이들은 잘 잊으므로 써서 시각화 해준다.
    2. 신뢰감 욕구: 계속 믿어주는 마음으로 과정에서의 노력과 실수를 인정해준다. 하지만 언제나 솔직, 정직할 수 있도록 잘 훈계해준다.
    3. 유능감: 성취감 느끼게 해주기 위해 인정해줄때는 노력의 과정과 마음을 알아주지 너무 큰 기대로 부담을 주지는 않는다.
    좌절감의 마음을 공감하고 알아준다.
    지시대신 다음에는 어떻게 하는것이 좋을지 열린질문을 습관화해서 아이가 생각하고
    입을 열게 만들자. 답정너는 안된다.
    아이들은 불안할때 짜증을 낼꺼다. 그때 아이의 잘하고 싶고 간절한 마음을 읽고 공감해주자 그리고 불안이 우리를 더 열심히 하게 만든다는것을 이야기하자
    * 관계성을 끌어올리는 방법
    먼저 아이의 관심분야를 함께 이야기 해 보아라
    * 아무데나 옷을 벗어놓는 아이에게 힘든 마음을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도움을 요청해보아라

  • @user-mv5eu7yz6w
    @user-mv5eu7yz6w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스스로 시행착오를 격어보라고 늦게까지 숙제하도록 둬보기도했는데 애도 불편해하면서도 계속반복해서 미루다가하고 미루다가 다못해가요. 지각도 해보고 스스로 민폐이고 창피하고 그런걸 느껴보게 둬봤는데 몇번겪더니 오히려 무뎌져서 지각도 대수롭지않게 생각하구요,,,, 잔소리를 해도 안고쳐지고 불편함을 스스로 경험해보게 놔둬도 안고쳐지네요ㅠ 참 난감합니다.

  • @-yooning
    @-yooning ปีที่แล้ว +6

    실패경험을 하게 해줘도 아이들 마다 반응은 제 각각이예요. 초5까지 숙제는 무조건 미루고 보는!!! 애를 키우고 있습니다..칭찬안받아도 어쩔수없지..나는 칭찬보다 노는게 더 좋아!! 라는 아이 참 어렵습니다

  • @youngheecha5683
    @youngheecha5683 ปีที่แล้ว +22

    숙제안해와도 등교시간이 늦어도 선생님께서 혼내지않아요ㅡㅡ 그래서 숙제 안하고 늦는걸 대수롭지않게 생각하더라구요

    • @user-nu4tm7oj2u
      @user-nu4tm7oj2u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요즘엔 선생님이 학생 혼내면 부모님들이 가만 계시질 않으니까요. 다음엔 해 와라~ 타이르기만 할 수 밖에요.

    • @youngheecha5683
      @youngheecha568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user-nu4tm7oj2u 그니까요 부모님들도 마음개선이 필요한것같아요. 아이들이 바르게 크려면 부모부터 바뀌어야

  • @user-iw7uc9ui4x
    @user-iw7uc9ui4x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이런 좋은 상담샘들이 학교마다 계셨음

  • @leekelly6511
    @leekelly6511 ปีที่แล้ว +3

    오늘 영상은 진짜 두고두고 새겨둘만큼 너무 좋았어요

  • @shimfly5169
    @shimfly5169 ปีที่แล้ว +4

    정말 가슴에 와닿는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merrago
    @merrago ปีที่แล้ว +3

    아 예전에 봤을때도 너무 인상깊게 봤던 내용인데 오랜만에 봤더니 또 처음 듣는 얘긴줄 알고 집중해서 봤네요 ㅋㅋㅋㅋ 거의 끝날때쯤 깨달았어요. 안까먹게 주기적으로 자꾸 봐야겠어요

  • @KJ-nq5rm
    @KJ-nq5rm ปีที่แล้ว +1

    한혜원 선생님 넘 고맙습니다 ❤

  • @Pinecone-tx2jb
    @Pinecone-tx2jb ปีที่แล้ว +2

    도움 많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 @miak5653
    @miak5653 ปีที่แล้ว +1

    알고 있었지만 잊어버리고 잔소리를 하는 엄마에요. 반성하고 있어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그리고 선생님께서 학생들을 사랑하고 관심을 많이 가지시고 학생이 좋아지면 선생님도 보람차 하시는 모습이 자연스레 보여요. 천직인듯 하시네요!

  • @user-cb7vq3cr7h
    @user-cb7vq3cr7h ปีที่แล้ว +2

    찐으로 도움이 되요^^ 감사합니다

  • @user-xi7zm1rw4f
    @user-xi7zm1rw4f ปีที่แล้ว +1

    정말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KINGKONGAIN2
    @KINGKONGAIN2 ปีที่แล้ว +5

    🙏재미있는 컨텐츠들이 넘쳐나는 시대라,
    점점 더 아이들이 공부에 눈을 돌리기 어려워지더라구요.
    공부라는 큰 산을 넘어가는 아이들에게 곁에서 해줄 수 있는 말들을 많이 알아가네요.
    정말 감사드립니다.🍀

  • @user-lt2ee2zu4u
    @user-lt2ee2zu4u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상보면서 많이 반성하고, 좋은팁도 얻어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cd1yq3zh8o
    @user-cd1yq3zh8o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user-gi5lk2rs2p
    @user-gi5lk2rs2p ปีที่แล้ว +4

    정말 도움많이 되었어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쉽지많지만 따라해보도록 노력해볼려구요^^

    • @babylab
      @babylab  ปีที่แล้ว

      응원합니다👍👍

  • @sjyoun5194
    @sjyoun5194 ปีที่แล้ว +2

    아버님 멋지십니다 ^^

  • @kea218
    @kea218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너무 뜬구름...
    학교에서는 숙제를 내지 않으며
    아이의 속상해할때 딱 저렇게 공감하며 마음 읽어주었더니 기분만 풀리고 안 하는 건 똑같던데..
    아시겠지만 엄마와 선생님은 달라요..
    저도 사교육분야에서 오래 일했고 저랑 공부한 아이들의 결과가 매우 좋아서 나름 유명했는데, 내 아이는 다르던데요..

  • @mintbene7404
    @mintbene7404 ปีที่แล้ว +2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시니 참 도움되고 좋아요!!
    참 감동적인 시간이였어요
    감사합니다

    • @babylab
      @babylab  ปีที่แล้ว +1

      감동이 있는 선생님이신거 같아요. 저도 현장에서 들으면서 눈물이 글썽거렸어요 ㅠ.... 아이들에게 이렇게 좋은 선생님이 계시다는 것이 참 다행입니다..!

  • @user-sv1qo3kp8j
    @user-sv1qo3kp8j ปีที่แล้ว +1

    숙제를 빨리하고-> 제대로 끝내놓고 이부분을 유념하셔야 할 것같아요^^

  • @user-sh5df7op4n
    @user-sh5df7op4n ปีที่แล้ว +5

    복습 도장 찍어요~ 그동안 아이와 충돌이 있을때면 혜원쌤 책에 수시로 밑줄치며 읽으며 마음을 다지곤 했어요. 그래도 나 이제 너 못믿겠다라는 큰 상처를 주는 말을 했네요. 혜원쌤의 말이 제 머릿속에 콕 새겨졌으면 좋겠어요~~

    • @babylab
      @babylab  ปีที่แล้ว +1

      항상 육아연구소 봐주시는 쏭님... 정말 요정처럼 말을 예쁘게 하시는 선생님이시죠. 저도 영상 다시 보면서... 닮고 싶다고 생각이 들었어요. 얼마전에 아이에게 큰 상처를 주는 말을 했다고 하셨는데. 가끔은 사랑하는 사이에서도 마음과 다르게 그런 말을 하게 되는거 같아요. 하고나서 후회되고 속상한 마음 아이에게 잘 전하시면, 단단한 사랑을 기반으로 다시 상처는 아물수 있을거에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 @user-vh5pz3pe9g
    @user-vh5pz3pe9g ปีที่แล้ว +3

    어? 이 책의 작가님이시군요!! 책 신작 나왔을 때 도서관 신청해서 읽었는데 도움 많이 받았어요, 선생님~~

  • @user-uq9xg4pp4d
    @user-uq9xg4pp4d ปีที่แล้ว +4

    언제할께 라고 해서 그래 라고 해주면 그때 하더라고요 초 저학년이예요 늦어도 몇시까지는 끝내야되 라는 가이드라인정도는 이야기해줘요

  • @keunockkim6879
    @keunockkim6879 ปีที่แล้ว +2

    초등5학년 아들이랑 매일 전쟁인데 선생님 말씀하신것 처럼 해봐야겠어요.

  • @choisuwls
    @choisuwls ปีที่แล้ว +1

    우주산업에 답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뜬금 없을 수 있지만 우주에서 들을 수 있는 적막하고 싸한 소리가 뇌파를 일정하게 만들어주고, 이 일정한 뇌파상태에 있을 때 집중력이올라갑니다. 이 몰입을 경험해 본 사람은 집중력을 유지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정수리가 아픈느낌 바로 그 느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