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압과 전류 중 어느것이 더 위험할까?(9만특집)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5 มิ.ย. 2024
  • 9만 특집입니다! 오래 기다리셨습니다.
    전압과 전류 중 어느것이 더 위험할까 1부를 공개합니다.^^
    구독과 좋아요!는 지속적인 영상 제작의 원동력입니다.
    0:00 인트로
    0:45 미리보기
    1:21 강의시작
    3:01 정전기에 죽지 않는 이유
    7:14 사람을 죽일 수 있는 전기에너지의 크기
    7:41 번개의 전기에너지는 얼마나 클까?
    8:21 정전기의 전류가 큰 이유
    9:10 정전기의 전압이 높은 이유
    11:19 전압과 전류는 동시에 생기는가?
    --------------------BGM 배경음악 정보--------------------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GO Korea - • [Royalty Free Music] G... ​
    -----------------------------------------------------------------------------
    #전압 #전류 #감전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341

  • @user-yb5ns6md7l
    @user-yb5ns6md7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6

    학부 때 이런 놀라운 강의를 들었더라면, 나의 전기 지식은 감당이 안될정도로 뛰어났을텐데...
    감사합니다. 전기혁명님

    • @user-wc1ym1bx3e
      @user-wc1ym1bx3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10V도 위험함 ㅈ나게 뜨겁잖음

  • @user-zo7vy6tc8y
    @user-zo7vy6tc8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8

    주님 한분 더 올라감니다

    • @shadowform_
      @shadowform_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2부에서 올라갑니다

    • @user-nc6ih3hr6h
      @user-nc6ih3hr6h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제가 주께 가옵니다

    • @polarisfoxs
      @polarisfox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분덕에 저는 살았읍니다🙏

    • @user-zh8dy8fc2p
      @user-zh8dy8fc2p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주)교회?

    • @ssssss7112
      @ssssss711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마호멧이나 부처는 안됩니까?

  • @kapsookim1744
    @kapsookim174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항상 느끼지만 정말 자세한 강의가 너무 도움이 됩니다. 고맙습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깃발이 움직이는가 바람이 움직이는가" 구독자분들께서 본 영상을 보고 답을 찾으면 좋겠습니다. :)

  • @user-ju8cs2es7s
    @user-ju8cs2es7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대학다닐때 교수님들 강의보다 훨씬 내용이 알차시네요... 덕분에 많이 배웁니다...

  • @Fintech0088
    @Fintech008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9만 10만 기원합니다.
    영상 항상 감사드리면서 잘 보고 있습니다.

  • @jin917kim2
    @jin917kim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전기배우기 최고다~ 영상 감사합니다

  • @Solar51377
    @Solar5137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고품질 강의 영상 감사합니다 ^^

  • @kyungminkim6930
    @kyungminkim693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좋고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잘봤습니다.

  • @jkmaster5938
    @jkmaster5938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전기를 모르면 위험하지만 알고있어면 정말 편리하고 유용한 생활 필수품입니다 감사합니다 이런 자료를 만들어 주셔서

  • @user-zo3dx9iy3c
    @user-zo3dx9iy3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유익한 시간 감사요

  • @jiktong
    @jikton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와우~!! 기다렸습니다

  • @ulmuhide
    @ulmuhid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와 ~ 퀄리티 미쳤네요 .. 최고의 강의 입니다!

  • @gmk5801
    @gmk580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jkpan
    @jkpa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 @user-nw7rz1vk4i
    @user-nw7rz1vk4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와 설명 잘 들었습니다. 정말 유익했습니다.

  • @bravosung
    @bravosun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아요 구독을 한 번 밖에 누를 수 없어서 아쉽네요. 잘 봤습니다~

  • @ohlaksil
    @ohlaksi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접할 수 없는 것을 영상으로 보다니 감사합니다.

  • @user-tc2mz2wd3h
    @user-tc2mz2wd3h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역시 전기강의 최고임다.

  • @user-do7ev9hp2d
    @user-do7ev9hp2d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존경하는 전기혁명님 안녕하세요
    늘 좋은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이건 영상과는 별개의 질문인대 너무너무 궁굼해서 질문드려요
    우리는 일반적으로 단상으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대
    3상3선식 기계장치들은 어떻게 전력을 공급받는거인가요~~?
    3상평형교류는 합이0이되는대 전력공급이 안되는거 아닌가요?
    가끔 공장같은곳에서 모터같은것들을 보면 L1L2L3 세가지상을 물려서 380볼트로 사용하는 모터를 봐서 든 생각입니다!!
    이렇게되면 L1L2L3세가지 상을 같이 물리는게아니라 L1L2 ,L2L3, L1L3 이렇게 선간으로 물려야 하는것 아닌가요??
    왜 L1L2L3 세가지 상을 물리게되서 380볼트를 사용하게 되는지 궁굼해요
    그리고 이렇게 3가지상을 물리게될경우 폐회로는 어떻게 형성되는지도 궁굼합니다

    • @user-mm3nq5of3l
      @user-mm3nq5of3l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렇게 생각하면 단상도 누설전류가 없다면 L1과 접지의 전류합도 0입니다. 그래도 세탁기는 잘 돌죠.

  • @user-xv1xg2oi8s
    @user-xv1xg2oi8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이렇게 친히 목숨을 걸어주시고...감동적입니다...ㅠㅠ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2부 영상도 기대 많이 해주세요. :)

  • @user-dr3fd9nm6o
    @user-dr3fd9nm6o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ㅠㅜ 너무 유익해요
    전기기사 공부할때 다 공부했던건데 선생님께서 설명해주신거처럼 실생활에 그렇게 공부한걸 적용해서 생각하신다는게 정말 대단하십니다. 많이 배워갑니다.

  • @ekfjlsrl
    @ekfjlsrl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완전한 초보가 듣기에도 매우 유익

  • @user-ke9vk6mr3c
    @user-ke9vk6mr3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말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고장(단락 지락)이 발생했을때 한전 배전선로 고장전류 흐름을 알고 싶습니다

  • @expert0509
    @expert050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시간(분모)가 작으면 값이 무지 커 보이네요. 고맙습니다^^

  • @user-zv1fx3rc4b
    @user-zv1fx3rc4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오 역시 이형 최고임

  • @user-fp5sq2kw3g
    @user-fp5sq2kw3g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너무 재미있게 잘 보고 있습니다. 도움이 많이됩니다. 공기의 절연파괴의 스파크아크에 대하여 직류에서는 이해가 되는데 교류의 공기의 절연파괴는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 까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아크는 곧 대단히 큰 저항이기도 합니다, 한편 교류의 절연파괴는 기체에 가해진 대단히 큰 전기력에 의해 기체를 이루는 분자들의 이온화 내지는 플라즈마화로 도전성을 띈 것으로 무난히 볼 수 있습니다.

  • @user-pn1bp7cr6w
    @user-pn1bp7cr6w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원장님 감사드립니다
    상식이 늘어나는 느낌이네요

  • @xavi109
    @xavi109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너무 훌륭한 영상

  • @user-lp1or6dt4f
    @user-lp1or6dt4f 12 วันที่ผ่านมา +1

    지금까지 기계적으로 학습만 했지 정말로 유익합니다

  • @user-qf2wb9ge9i
    @user-qf2wb9ge9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 @factFOX65
    @factFOX6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에전부터 봐왔지만 끝가지보다보니 참 대단하신분이다 싶어요
    전기 일하시거나 관심있는분들에게는 커다란 팬덤이 되실듯해요~~

  • @donghyunkim5875
    @donghyunkim587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기본적으론 다 아는내용이지만, 구체적으로 생각해보진 않았는데 너무 재미있습니다.

  • @user-jj6sq3ei1o
    @user-jj6sq3ei1o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말 재미있고 놀라운 정보 배우고 갑니다. 이런 영상을 어디에서 촬영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6000V 후덜덜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절대로 따라하시면 안됩니다, 매우 위험한 실험입니다.

  • @user-kv4lt2cv4m
    @user-kv4lt2cv4m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현재 이렇게 쉽게 들어도 어려운데,
    최초 공식을 만든 분들은 정말 위대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수학과 과학은 역시 어려워 ㅜㅜ

  • @user-cc1eg8ze2g
    @user-cc1eg8ze2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최고

  • @user-ji2xv9fj8b
    @user-ji2xv9fj8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기인으로써 이 유투브를 구독안할수있을까?... 항상 감사드립니다 너무 유용합니다.

  • @nickkunst952
    @nickkunst95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기차 기술이 궁금합니다. 회생제동을 강력하게 하는게 왜 어려운지, C rate 등등..

  • @user-vh9oc1mv7c
    @user-vh9oc1mv7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전기기사 준비중인 비전공자 입니다 매번 영상의 정성과 퀄리티에 감탄하게 되네요 10개 국어로 번역되어 전세게로 퍼져나가서 전세계인이 전기혁명님이 창안한 무공을 봐야합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유일하게 본 영상에서 무공(일의 수행)의 의미를 깊이 이해(다른 에너지로의 등가변환)하셔서 감동했습니다.ㅜㅜ 청출어람!!!

  • @user-hk2gu4xg4f
    @user-hk2gu4xg4f 16 วันที่ผ่านมา +1

    잘 보고갑니다 !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그렇지만 전기는 늘 무서운걸요 ㅠㅠㅠ
    전기업에 종사하지만 배전반이나 분전반만 열어도 늘 한발작멀리서 열고닫습니다 ㅠㅠ(겁쟁이)

  • @kingchobo
    @kingchobo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무슨 내용인지 잘 이해는 못했지만, 끝까지 보다니 희한한 상황입니다.

  • @gg-xb6fn
    @gg-xb6fn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와............ 기술사수준이시네요

  • @user-mo5oj2tw1w
    @user-mo5oj2tw1w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만 가즈아~

  • @ohsungc2
    @ohsungc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오.. 뭔가 상상은 해봤는데 신기하네요. 몇암페어든 전위차가 작거나 0이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 까닭인걸까요

  • @Dontlookback337
    @Dontlookback33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번강의는 정말 재밌네요 ᆢ 감사합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즐겁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ermdjoo
    @ermdjoo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의료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심셀세동기가 있는데요. 요즘 기계는 Biphasic 모드로 150-200J로 선택을 해서 제새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인체에 전달되는 전압은 얼마인지 궁금합니다. 강의영상 잘 보았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user-vj6pd6yq8n
      @user-vj6pd6yq8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w= 1J 1W= 1V×1A V=IR

    • @user-vj6pd6yq8n
      @user-vj6pd6yq8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200J = 200V 1A가 1초동안 몸에흐른값

  • @jocosilco
    @jocosilco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동영상과 무관한 질문이지만 부탁 드려 봅니다. 후크메타 rms기능에 대해서 여쭤보고 싶어서요.. 서플라이 모터가 있는데 22kw 짜리 입니다. 전압은 비슷합니다. rms기능있는걸로 전류치는 y-d 기동 32.5정도 인버터60hz 기동시 39정도 rms기능이 없는 걸로 전류치는 y-d 기동 32.5정도 인버터 60hz기동시 22정도 나옵니다. 어떤값이 실제 전력치에 맞는 값일까요?
    인터넷에 아무리 찾아봐도 나오지를 않습니다. 전기혁명님의 도움의 절실히 필요합니다.ㅠㅠ
    rms로는 인버터기동시 전류치가 높게 나오고 일반후크메타는 인버터 기동시 전류치가 작게 나옵니다. 어떤값이 실제 전력값이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 @user-do3pp3ez8x
      @user-do3pp3ez8x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True RMS 기능을 갖고 있는 후크메타의 값이 정확할 확률이 더 높습니다.
      RMS기능이 없는 후크메타는 고주파의 전류를 측정하지 못합니다. 인버터의 출력이 정현파가 아닌 구형파로 이뤄진 파형이라면 고조파성분이 많이 함유되어있어 값 차이가 크게 날것으로 예상됩니다. 해당 장비와 상황을 잘 몰라 틀린 부분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True RMS 기능을 갖춘 후크메타의 값을 신뢰하시는게 좋다고 생각됩니다.

  • @yonuj6811
    @yonuj681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전압과 전류 개념은 물 호스로 이해하면 되는것 같습니다. 물 호스가 아주 굵어서 물이 많이 흘러도 수압이 약하면 인체에 아무 피해도 안주지만 호스가 아주 가늘어서 물의 흐름가 아주 작더라도 수압이 높으면 금속도 자를 정도로 위험한 것과 같다고 봅니다.

  • @hangulsarang9685
    @hangulsarang968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랑조 나올때보다 더 짜릿하네요

  • @user-tx8tn6ne8d
    @user-tx8tn6ne8d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류 전압을 어떻게 해석을 해줄까 기다렸는데, 이렇게 충전용량으로 해석해서 해결 하시네요. ^^
    감전원리 해석 감사합니다 ^^

  • @user-ei3we6vy4w
    @user-ei3we6vy4w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전기혁명님 영상으로 많이 도움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약 1년 전 영상에 궁금한 점을 댓글로 작성했는데 오래된 영상이라 답을 얻지 못했습니더 ㅜ
    혹시 실례가되지 않는다면 궁금한 점을 물어볼 수 있는 메일을 알 수 있을까요??
    불편하시다면 답장 안해두셔도 됩니다!!

  • @user-nu4cn8fw7k
    @user-nu4cn8fw7k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류가 크고 전압이 작을 때는 케이블 두께가 두꺼워졌기 때문에 전체 케이블에 흐르는 전류는 증가하지만 병렬 연결이므로 실제로 만지는 부분은 전체 전류보다 훨씬 적은 부분을 만지게 되고 VIt=E에서 I가 줄어들었으므로 30개 중에서 3개 정도를 만진다고 가정하면 1초에 180N을 받기 때문에 약 20kg의 물체가 손에 중력을 받아 힘을 가하는 것과 같은 힘이므로 죽지 않는다고 생각해도 되겠죠?
    그럼 케이블을 다 접촉하게 되면 타격이 클까요?
    궁금하네요 ㅎㅎ

  • @sunghwanpark2396
    @sunghwanpark239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살아 계시니 너무 기쁩니다.
    만수 무강 하세요

  • @flycanfly
    @flycanfl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기 완전 쉽고 재밌게 설명하시낟

  • @_otto_art__Officia
    @_otto_art__Officia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세상에...접압이 모여 뭉탱이로 흐른다고 생각하니 전류가 더 위험해 보였는데...저는 전기구이가 될뻔 했네요...

  • @user-rd9uo5eu4q
    @user-rd9uo5eu4q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절연파괴가 있어야 전류가 흐르겠군요!

  • @TeK-ph1qw
    @TeK-ph1qw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지나가던 문과
    그대로 지나가야겠습니다

  • @user-tt1zu8nq7w
    @user-tt1zu8nq7w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기관련 컨텐츠는 단연 1등 입니다

  • @suzume_doordansoc
    @suzume_doordansoc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총알을 가지고 던지는 거랑 총구에 넣어서 방아쇠 당기는 거랑 비슷한 예라고 볼 수 있죠.
    총알 무게(전류)보다 총알을 나아가게 하는 힘 즉 전압이 더 무시무시하죠.

  • @jhkim9915
    @jhkim991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특고압 위험 문구는 많이봐도 대전류 경고문은 본 적이 없듯이 부하저항(인체저항)은 일정하기 때문에 인체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전압의 크기에 의해 결정됩니다.
    단, 인체의 감전 전류의 크기는 가지고 있는 저항 이외에도 접촉저항(대지와 인체의 바닥면 절연상태 및 신발 등) 조건에 따라 달라지겠지요

  • @ppoong119
    @ppoong119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처음 문제를 접했을때,
    몸에 해를끼치는건 전류이지만 10V의 전압에 180A가 흐른다는것은 회로저항이 거의 없다는것을 의미하니 인간이 손을 가져다 대도 문제가 없을거라 생각했습니다. 게다가 10V의 낮은 전압은 자체로 인간의 저항을 뚫기 어렵죠.
    6600V인데 10mA라면 회로내부저항이 상당히 높은 상태이므로 몸의 저항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인간의 몸을 타고 전류가 흐를 가능성이 높다 생각했습니다. 게다가 6600V의 고압이라면 인간의 저항을 뚫고 많은량의 전류가 흐르게 될 것이라 생각되었습니다. ㅎㅎ

  • @sportstoto12
    @sportstoto1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전기산업기사 난이도인가요?

  • @TV-pk1kq
    @TV-pk1kq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조금더 심오하게 들어가면 고주파가 되었을 경우 1Kv 경우라도 안전 하죠 오히려 이경우는 전류가 올라가면 위험합니다.

  • @ioo5788
    @ioo578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영상 너무 잘봤습니다.
    현장일 하는 사람인데 이론이 쌓여갈수록 그냥 답답해요.
    호주에서 전기 하는 친구는 활선작업에 기겁을 하더라구요.
    저는 울나라에서 전기일 하면서 활선작업에..슬프게도 익숙해 졌지만 아직도 무섭네요 ㅜㅜ

  • @nikaily9340
    @nikaily9340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번개가 일반적으로 10~30kA로 많이 알려져있지만 보통~약한강도의 정도가 이정도이고(정말 약한게 10kA) 아주 강한 낙뢰는 200~300kA를 넘기기도 한다네요. (전체 낙뢰의 5% 미만)
    이정도 낙뢰는 순간적으로 엄청난 전기가 흐르다보니 나무는 그냥 폭발하듯이 쪼개지고, 전봇대의 전선에 맞게되면 수십미터 길이의 전선이 말그대로 폭발하듯 증발하게 되는 엄청난 파워죠 ㄷㄷ

  • @spellzero
    @spellzero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극성이 바뀌면 전류 흐름이 반대로 바뀌잖아요? 그런데 배터리는 극성이 바뀌지 않아도 방전할때 전류 흐름이 바뀌잖아요? 역극성과 방전의 전류 흐름 차이를 알수있을까요?

  • @bruceomca
    @bruceomca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단순한 Ohm법칙에 의거 인체저항은 대체로 수 kilo Ohm이므로 전류원이 아무리 많더라도 수십(20~40쯤) volt 이하의 전압에 노출된 상태에서 잠을 자도 안전합니다.

  • @user-sp6lw5em3y
    @user-sp6lw5em3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단연 혁명님은
    전기 유튜버 1타이심...

  • @user-io6jd6zx7r
    @user-io6jd6zx7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안올라오길래 돌아가신줄 알았어요ㅠㅠㅠㅠ

  • @whcjftns-hb5rw
    @whcjftns-hb5rw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헉 이렇게 끊으시다니~~~
    드라마 끊듯이 ㅠㅠ
    넘 하세요.
    언제 다음편 볼 수 있나요?

  • @ambitiousnam
    @ambitiousnam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부 언제 올려주시나요

  • @playdon9792
    @playdon979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기에너지도 생물학적 손상을 정도를 나타내지 못해요. 밥 먹고 화학에너지로 다치셨나요? ㅎㅎ

  • @Jamie-st1up
    @Jamie-st1up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유익한 내용 감사합니다. 근데 무술하시는거 밖에 기억이 안나요 ㅋㅋ

  • @hwan2909
    @hwan2909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관점의 차이가 아닐까 합니다.
    예를 들면 사람에게는 교류가 직류보다 훨씬 위험한데 그 이유는 사람의 커패시턴스 성분때문에 직류의 경우 전류가 잘 흐르지 못하지만 교류의 경우 전류가 잘 흐르기 때문입니다.
    또 직류의 경우에 한정해서 살펴보면, 사람과 저항이 0인 도선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모든 전류는 도선으로 흐르기 때문에 전압이 높더라도 사람은 죽지 않을것입니다.(물론 현실에서는 저항이 0이 아니기 때문에 고전압이면 위험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전압=전류를 만들어내는 원인이고 결국 위험한건 사람을 통해 직접 흐르는 전류라고 할 수 있지않을까요?

  • @ChickenTerminal
    @ChickenTermina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압, 전류도 중요하지만 정전용량과 감전 시간도 중요하군요
    결국 전기에너지 전달량이 중요한거네요 J = C * V ... J = I * t * V

  • @user-hs2ge7wd3t
    @user-hs2ge7wd3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아직도 막연하긴 하지만 조금씩 느낌이 오네요

  • @user-kq2vx5bp4u
    @user-kq2vx5bp4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렇죠 .. 자동차 베터리가 12v에 100에서 120A정도 되는데.. 맨손으로도 많이 만지기도 하고 청소도하고 .. 교체도 하고 하는데..아무런 이상이 없었는데..이제까지 .. 전류는 량이라면 ..양이 많다고 해서 전기가 잘 통과 하지는않겠죠.. 12V에 한에서 많은양이지 .. 고압의 많은양은 아니니깐요.. 저항도 통과를 하려면 전류가 아니라 전압이 높아야 통과가 되겠지요.. 우리몸도 저항체이니 어느이상 전압이 되지 않으면 통과를 못하겠지요.. 예전에 호기심에 110V 220V 380V를 만저 봤는데.....110V는 손가락에서 좀 짜릿하게 느껴지고 .. 220V는 팔목까지 온듯하고.. 380V는 팔의 근육이 수축이되면서 전기가 점점 온몸으로 퍼지려하더군요.. 전기 잡은 팔근육이 전기로 수축되면서 굳어 버려 ..안움직여 .. 전기를 잡았던 손은 땔수가 없었는데.. 안되겠다 싶어서 반대손으로 차단기를 내려 서 다행히 살았던적이 있네요... 이처럼 몸을 통과 하려면 전압이높아야 통과가 된다고 봐요...ㅠ

  • @tedlee821
    @tedlee82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6

    제가 변압기 공장 생산직으로 있으면서 낙뢰 충격시험관련 테스트 사고를 당한 선배를 본적이 있어서 경험을 공유합니다.
    낙뢰시험에 사용되는 전압이 13만2천V로 어렴풋이 기억합니다.
    그런데 낙뢰시험 준비 과정 중 준비가 완료되지 않은 상황에서 전압이 걸려 사고를 당한 선배는 큰 쇼크를 받았지만 사망하지 않고 몇시간 기숙사에 누워있다가 나왔습니다.
    본인이 설명해주신 것과 동일한 이론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전류를 제로에 최대한 가깝게 세팅하여 안전사고시 인체 충격에 대비한 결과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220V기준에서는 사람이 죽는데 필요한 전류량이 0.04A이상이라고 기억하는데요.
    에너지량의 개념으로 설명을 해주시니 전압이 더 위험하다는 것은 말이 안됩니다.
    결론적으로 전압이던 전류던 어느 한쪽이 극소레벨이 되면 치명적이지 않다가 맞습니다.
    그러니 전압이던 전류던 최소 인체 안전 레벨(얼마인지 알수는 없으나) 이하가 되면 반대값이 커지더라도 인체 쇼크는 줄어들 수 있다가 맞을 것 같습니다.

    • @jiyeol1
      @jiyeol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변압기 하신다니 도블테스트도 아실꺼라 생각하고 도블 테스트 1000v 몇번 먹어도 억 소리나고 버틸수 있는 이유였습니다ㅎㅎㅎㅎ

    • @user-oz7kk2dc4r
      @user-oz7kk2dc4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제가 하고 싶었던 말이네요.
      굿

    • @gwjun1472
      @gwjun147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이게 정답임 둘중 어느 하나라도 약하면 안전해짐

    • @user-jb1cx4bz3g
      @user-jb1cx4bz3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현직교수들도 의견갈리는 내용을 이 유튜브에서는 "단연코"라는 말을 쓰면서 확신으로 설명하는게 그저 웃깁니다

    • @user-ez5xg2rj1s
      @user-ez5xg2rj1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저도 동의하는 의견입니다. 비교 자체가 불가능한 걸 이런저런 예시로 설득하려 하는데 전혀 설득이 안되네요. 전압이든 전류든 어느 기준점 이상이면 다른 쪽인 고전압, 고전류 둘 다 위험한 게 맞지요. 다른 이들에게 설명할 때 전류가 더 위험하다라고 설명하는 전기 전문가가 많은 건 일상에서 고전압 저전류는 쉽게 넘어가는 경우가 많지만 일정 이상 전압 고전류는 위험한 경우가 더 많아서고요.
      비교를 10V, 150A가 아니라 일상에서 쓰는 220V에 비슷한 전력인 7A로만 잡아도 저런 비교는 못하지요.

  • @user-oi3zd4lb1t
    @user-oi3zd4lb1t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동영상 처럼 병렬 형태로 잡으면 당연히 전압이 낮으니 안전하겠지만, 반대로 전선 중간을 끊고 양손을 한선씩(직렬) 잡으면 어떻게 될까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결과는 똑같습니다.^^ 영상과 마찬가지로 6600V에 사망하고, 10V에는 생존합니다. 전압은 전류보다 더욱 위험합니다.

  • @user-mp2ho7xt6r
    @user-mp2ho7xt6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0:49 패러데이의 법칙.. 다른건 법칙 이름을 얘기하시는데 왜 이거만😅

  • @blackrainstorm1
    @blackrainstorm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우왕... 무슨말인지 하나도 모르겠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다봤당;0;

  • @user-yi4ch3sw4e
    @user-yi4ch3sw4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머리 아프네요 선생님

  • @user-qw3om4lg4x
    @user-qw3om4lg4x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혹시 인체에 전류가 흐르려면 몇 V정도의 전압이 있어야 가능 할까요?

    • @user-vj6pd6yq8n
      @user-vj6pd6yq8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볼트만 있어도 충분히 흘러요 다만 물기없는 몸의 저항이 백만옴 단위로 놀아서 우리가 느끼지도 못할만큼 적은 전류가 흘러서 그렇지

  • @user-im5cs9vg5u
    @user-im5cs9vg5u วันที่ผ่านมา +1

    전압과 전류중 위험한건 그것이 갖고있는 에너지다?

  • @discipleofjesus4138
    @discipleofjesus4138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흥미로운 제목에 끌려 든 문과생 1인..전기는 "기사님 부르자"

  • @user-ou7yu7ch7m
    @user-ou7yu7ch7m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어떻게 쉽게 이해되게 설명할 수 있는거지

  • @user-ei9rq7no7z
    @user-ei9rq7no7z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앞으로 전기를 더 조심하겠습니다

  • @speed.Nomuhyun
    @speed.Nomuhyun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극에서 -극으로 전류가 흐른다는데 실제론 전자가 -극에서 +극으로 이동하잖아요???
    그렇다면 만약 +극, -극 중에서 어느쪽에 더 가까운 사람이 먼저 감전이 되나요???

  • @coachigochi
    @coachigoch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거 헷갈리는 이유가 몸에 흐르게 되는 전류와 도선을 흐르고 있는 전류를 구분하지 못해서 그런것 같아요.

  • @user-xx5pq8hg3k
    @user-xx5pq8hg3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결국 전류 전압 뭐가 더 위험한지는 결국 에너지로 따져야한다는 말.
    다른 조건 통일시킨 '전류 vs 전압'에선 에너지량이 같을테니 똑같다

  • @user-bm7td7dp6r
    @user-bm7td7dp6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결국 전압이 전류를 발생시키니 무엇이 더 위험한가? 보다는 “인간” 이라는 특정 저항을 가진 도체를 기준으로 특정 전압에서는 심장의 기동을 멈추는 전류가 발생합니다.
    허나 산업안전 표기상 전기의 위험 수치를 나타내는 기준이 전류인 것은 인체의 부위마다 저항이 다르니 전압의 표기보다는 전류의 표기가 좀 더 정확하다는 판단입니다.

  • @joojoo3566
    @joojoo356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내가 행한 일은 다른 형태(에너지)로 저장된다.열역학 제2법칙이라고 하셨는대 그렇다면 영상의 사진속 반포대교 주변 떨어졌던 낙뢰의 어마무시한 전기에너지는 어디에 무슨 형태로 갔을까요?
    1.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한강물의 수온을 높였다.
    2. 물타고 물밑 땅속으로 모조리 흡수된다.
    전 2가지가 떠오르는데 정답을 아시는 형님들 댓글 부탁드립니다.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훌륭한 질문에 감탄합니다, 첫째, 낙뢰가 하늘에서 땅으로 내리 꽂는 음전하낙뢰의 경우 낙뢰의 전기에너지는 땅에 꽂히는 순간 땅의 표면으로 방사형으로 흩어지고(낙뢰의 전기장이 미치는 곳까지), 만약 이 때 꽂히는 경로에 나무나 사람같은 저항 성분이 있으면 줄열에 의해 나무나 사람을 태워버리게 되고, 만약 그 곳이 매우 넓고 평평한 바다나 강인 경우 바다나 강의 표면으로 낙뢰의 전기장이 미치는 곳까지 방사형으로 흩어집니다. 물 밑이나 땅 속으로 들어가거나 '흡수되는' 개념은 아닙니다(뇌운 등에 의해 정전기유도로 만들어진 물 표면이나 땅 표면이 중화될 때까지 말 그대로 음전기와 양전기가 만나면서 표면으로 흩어지죠. 물론 이 때, 낙뢰의 하늘과 땅의 경로를 따라 엄청난 섬광과 소리에너지로 주방전(번개, 천둥) 등이 이루어집니다.). 고로 물이나 땅이 데워지는 것과도 거리가 멉니다.(물론 방해물(저항)에 따라 줄열에 의해 국부적으로 데워질 순 있겠죠) 따라서, 땅 속 두더지나 물 속 고래가 죽느냐 죽지 않느냐 라는 명제가 생깁니다. 이것은 숙제로 드리겠습니다.(제가 여기까지 설명드렸다면 충분히 답변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ㅎ). 답변 부탁드릴게요. 특히 구독자 10만 특집 때 언급되는 '일-에너지정리' 를 보시면 깊은 이해에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위 제 답글에 이어 힌트를 드리자면, 자유전자들은 도체든 대전체든(땅이나 물, 강 포함) '표면'으로 몰리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것은 물질의 내부에서는 '자체 내부 전기장의 평형'을 유지하려는 성질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리고 번개와 낙뢰는 마찰전기, 정전기 유도, 대전 현상의 멋진 작품이죠.

    • @joojoo3566
      @joojoo356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lectric_revolution 자유전지들이 표면에 몰리는 성질이 있다면 물속 고래나 땅속 두더지들은 무사할거 같습니다. 그렇다면 지표면에 발을 딛고 있는 인간의 경우 표면의 대지저항에 생사가 달려 있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 @electric_revolution
      @electric_revolutio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oojoo3566 정확합니다, 낙뢰가 떨어진 근처 지표면에 발을 딯은 인체는 낙뢰가 만든 지표면의 전위에 의해 보폭전압이 발생해 또한 죽게 됩니다.

    • @joojoo3566
      @joojoo356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electric_revolution가르침 주셔서 감사합니다!!!!!

  • @Zam_bo
    @Zam_b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왜 2부 영상 없음?

  • @user-qh5eu3wt8c
    @user-qh5eu3wt8c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전기를 계속 일으키면 에너지 자립 가능 안할까여...전압은 테슬라코일있응게..ㅋㅋ암튼 저는 기냥 가끔 구경오는 에너지 독립에 관심 많은 뭣도 모르는 일반인임ㅋㅋㅋㅋ영상 재밌게 잘보고있슴당~

  • @SBBaek0313
    @SBBaek031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런 혁명적인곳을 이제야 알게되다니....

  • @user-gn7fz2pv7k
    @user-gn7fz2pv7k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제가 중학교 3학년때 배운 쿵후 동작이네요.

  • @YeoNl211
    @YeoNl21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가장 중요한건 인간에게 전달되는 와트와 방전 시간일 뿐..

  • @201306061817
    @20130606181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압과 전류의 물리량이 직관적이지 않다 보니 비전공자들에겐 거의 양자역학이죠
    쉽게 표현하자면 전압은 질량, 전류는 속도로 생각하면 편합니다.
    시속30킬로미터로 떨어지는 빗물로 다칠수 없지만
    1500kg에 해당되는 자동차로 부딪히면 다치듯이
    제일 중요한건 절대적인 운동량[ 전력=전류x전압,운동에너지=1/2x질량x속력제곱 ]입니다.

  • @runa0083
    @runa008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 @Role_playing_comment
    @Role_playing_comment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고압선의 코로나와 절연파괴전압이란 게 있듯이 신체의 저항값을 고려한 실제 신체를 통한 전류량이 높은 쪽은 전압 높은쪽이겠지요.

    • @Role_playing_comment
      @Role_playing_comment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V= IR 옴의 법칙에 따라서
      신체 저항을 100킬로옴으로 봤을 때
      10V에서는 신체를 통할 수 있는 최대 전류량이 0.1mA밖에 안됩니다.
      6600V에서는 신체를 통할 수 있는 최대 전류량이 0.066A(66mA)입니다.
      10V 180A중에 0.1mA만 흘러서
      몸을 통해 흐르는 전력은 0.001W이고
      6600V 10mA 중에 10mA가 모두 흘러서 몸을 통해 흐르는 전력은 66W가 됩니다.
      (위의 계산은 몸의 저항을 직렬저항으로 계산했을 때 얘기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