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만 알고 계시면 진짜 다 고쳐집니다. 절대 공개하지 않는 AS센터의 전설의 기술 100% 다 공개합니다.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3 มี.ค. 2023
  • 오늘은 전자회로 만능테스터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정말 이 기술만 알고 계시면 왠만한거 다 고칩니다. 아무도 알려주지 않고 누구도 설명해 주지 않는 업계에만 쉬쉬 전해지는 비밀의 기술, 오늘 전부 공개합니다. 놀랄준비 되신분만 봐주세요. #메인보드수리 #테스터기 #인두기
    제 채널을 통해 제품 구입하신 분들이 잘 활용하시도록 영상 만들어봤습니다.
    제품 판매링크 입니다.
    1. 만능테스터기
    s.click.aliexpress.com/e/_De0...
    2. TS1200A 인두
    s.click.aliexpress.com/e/_DCo...
  • วิทยาศาสตร์และเทคโนโลยี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2K

  • @combrother
    @combrothe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5

    리페어... 현제엔.. 진짜.. 생각이 많아지는 직업군입니다.. 저는.. 손놓은지 좀 됬습니다.. 제꺼나 가끔 사부작 할정도이구... 늘 이 리페어의 재미를 잊지 않았지만 현생에선 워낙에 저가형들이 많다보니.. 고생해서 수리하는게.. 업이 되기 어렵다는게 함정이겠죠... 그래도 자신의 분야에서 최선을 다하시는 모습이 정말 보기 좋습니다 늘 발전하시고 늘 건승하시길 기원합니다...

  • @user-kd5uu4ez4q
    @user-kd5uu4ez4q ปีที่แล้ว +40

    본인이 가진 기술을 유튜브로 올리시는 분들이 흥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채널 번창하시길

  • @christy0113
    @christy011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영상 잘 보았습니다. 확실히 고장난건 전문가에게 맡기는게 좋다는 걸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것만 알면 다 고쳐진다고하는 말에 호다닥 들어왔다가 역시나 하고 봤네요..ㅎㅎ

  • @user-ln2dc7db7n
    @user-ln2dc7db7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설명 잘듣고갑니다^^
    사용하시는 장비종류와 구매처등도 리뷰해주시면 좋을듯 합니다
    설명쉽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런영상 많이올려주세요^^

  • @user-fk9ml5ed5c
    @user-fk9ml5ed5c ปีที่แล้ว +29

    확실히 이런 영상에서 전문가의 노하우가 다르다는걸 알게되네요 ㅎㅎ
    쇼트난 부분 찾는게 가장 힘든데 이런 방법으로 하면좀더 빠른 시간안에 해결할수 있군요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3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문가라고 칭해주셔서 부끄럽습니다. 항상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user-py4po8lc4b
    @user-py4po8lc4b ปีที่แล้ว +14

    깔끔한 정보 잘 보았습니다. 수리채널 중에서 복구천재 꼬마신발의 편집이 가장 깔끔한 것 같아요. *^^*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3

      칭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리 전문은 아니지만, 그래도 도움이 되는 영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 @user-lc4xh2em5g
    @user-lc4xh2em5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납땜 인두질 이것도 장비랑 기술이 있어야되는 거라. 이걸 알았다고 해서 다 된 거는 아니지만 스스로 디지털회로를 수리할 수 있다는 게 정말 대단합니다.

  • @jjin1262
    @jjin1262 ปีที่แล้ว +33

    와 전자기기 A/S 엔지니어 경험자로서 이 설명은 교본같은 느낌이네요..설명을 너무 잘해주셔요!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2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쉽고 재미있는 영상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당~>_

  • @Akirasakae
    @Akirasakae ปีที่แล้ว +122

    잘 봤습니다!
    as센터에 맡겨야겠다는 확신이 드는 영상이었어요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4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쉽고 재미있는 영상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당~>_

    • @user-cx4qy4ld1v
      @user-cx4qy4ld1v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현명함은 호평ㅋㅋ

    • @user-qs2jj7nc6c
      @user-qs2jj7nc6c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ㅋㅋㅋ 저도 그 생각했네요 ^^

    • @Zarathustra69
      @Zarathustra6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중공산을 구입하면 국내 as가 가능합니까?

    • @user-ko7gl7dq3z
      @user-ko7gl7dq3z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ㅋㅋㅋ A/S 센터로 ㄱㄱ 합시다~

  • @Johndoe-mq8er
    @Johndoe-mq8e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정말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tv 보드를 수리해보려고 안버리고 있는데. 한번 적용해보겠습니다

  • @user-ob9yx5jd8f
    @user-ob9yx5jd8f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정말 소중한 공유 감사 드립니다. 멋지십니다.. 유익한 정보 ,알찬 정보 잘 얻어 갑니다~~

  • @chrislee8003
    @chrislee8003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

    이걸 일반인이 따라한다고?

  • @user-ko8fd3he7g
    @user-ko8fd3he7g ปีที่แล้ว +24

    상대적으로 구하기 쉬운 부품으로 고치는법을 알려주신게 되게 인상적입니다. 전자제품 수리해볼려고.. 열화상 살려고했는데 이게 중국제품인데도 또 가격이 꽤 되더라구요. 설명도 되게 쉽게해주시네요 어떤 원리인지는 어렴풋이 짐작이 가긴하는데요 뭔가 회로도 같은걸 보여주면서 좀 더 자세하게 알려주시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은 듭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8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좀 더 많은분들이 이해하시기 쉬운 영상을 만들고자 노력하겠습니다.

    • @user-lq5yj1qo2i
      @user-lq5yj1qo2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Little_Shoes 도면이 없는 상태에서 고장난 부품 규격등을 알수있나요? 저항이나 tr등 훼손되면 알수 없는데??

  • @skagns125
    @skagns125 ปีที่แล้ว +86

    첫번째 콘덴서(MLCC)는 극성이 없습니다. PCB Layer 상에 극성이 있는 겁니다. 알고 계시겠지만 모르는 분이 보면 헷갈릴수있으니😅
    실제로 제품 개발 후 시험할때, DC 서플라이로 전원인가시, Load current 를 limit 까지 확 땡기면 열화상 카메라로 발열 포인트를 찾곤 했는데, 송진으로 발열 파악하는게 굉장히 인상적이네요. 배워갑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17

      넵, 제가 설명 과정에서 실수한 부분이 맞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주 방문해 주시고 좋은 말씀 많이 부탁 드립니다.

    • @hwangsuyoung9883
      @hwangsuyoung988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MLCC극성정보 좋은정보 한수 배우고갑니다.

    • @Yeulyeul2
      @Yeulyeul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극성이 없는게 맞지요. 저두 예전 이쪽일 할때 인두기로 mlcc주변 문대서 깨지거나 mlcc양쪽에 리드 부분에 떨어진 정도 보고 파악 했었는데 전부 칼팁으로 대 보면서 찾았는데요. 오래전일이라 이제는 쓸일이 별로 없지만 새록새록 기억이 나는게 정말 좋은 정보 배워 갑니다.

  • @user-qf7st1qs6m
    @user-qf7st1qs6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야 신박하고 맘에 드네요
    일반인이 고치기는 쉽지 않지만 너무나 유익한 채널입니다. 좋아요와 구독 누르고 갑니다

  • @duk6046
    @duk6046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업계 비밀은 둘째고 촬영도 편집도 설명도 뭐하나 쉬운게 없을텐데 그저 대단하시네요 공식적으로는 거의 교환 리퍼만 받고 수리는 받아본게 언제인지도 모르고 살다보니 어디까지 수리가 가능한지도 모르는데 이렇게 추적해서 살릴 수가 있군요 칩셋문제 빼고는 불가능한건 없는듯? 수리를 해주는 사람도 맡기는 사람도 적정 마진/금액이여야 시장 유지가 될텐데 난이도도 높고 쉬운 직업은 아닐 것 같은데 이런분들이 계속 있어서 자원 낭비를 줄이고 조금이나마 선순환이 가능하지 않나 싶군요...

  • @user-fn4px4cb3s
    @user-fn4px4cb3s ปีที่แล้ว +829

    영상 볼 때마다 느끼는거지만 AS센터가 망할 일은 확실히 없겠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user-py4po8lc4b
      @user-py4po8lc4b ปีที่แล้ว +49

      그러게요. *^^* 그런데, repair에 취미가 있으시다면 알리에서 수리 공구들을 구입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열풍기가 포함되어 있는 납땜 스테이션하고 파워서플라이, 테스터기 등만 구입하시면 될 듯 합니다. 한 15만원 안쪽에서 구입이 가능할 것 같네요. 단, 장비를 구입하고 나면 이것 저것 뜯어보게 되는 '부작용'이 생깁니다. *^^*

    • @ReySeeze
      @ReySeeze ปีที่แล้ว +21

      금액을 떠나서 만족감에서 차이가 많이 날듯.

    • @user-py4po8lc4b
      @user-py4po8lc4b ปีที่แล้ว +42

      @@ReySeeze 생산적인 취미랄까요? ^_^
      고장난 것이 없어서 고장난 것들을 당근에서 구입하는 수준에 이르게 되면 어느정도는 제동을 걸어야할 때가 온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실은 제가 그랬습니다만.. 흠흠..)
      취미는 취미답게 하는 것이 좋겠지요. ^_^

    • @user-kq3dp1oo3h
      @user-kq3dp1oo3h ปีที่แล้ว +10

      @@user-py4po8lc4b 장비를 초저가로 맞추느냐 좋은걸로 맞추냐에 따라 금액차이는 엄청 벌어질듯요 ㅎㅎ 일반인이 가장 좋은방법은 새거 사는거죠 ㅋ

    • @eupa_premium
      @eupa_premium ปีที่แล้ว +15

      ㅋㅋㅋㅋ 아는사람만 쉽죠

  • @jeehoonlee3256
    @jeehoonlee3256 ปีที่แล้ว +5

    테스터기 반응 속도가 좋아서 호기심에 끝까지 보았습니다. 구독과 좋아요 추천 입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힘내서 좋은 영상 팍팍 만들겠습니다.

  • @user-mm9vq3dc6w
    @user-mm9vq3dc6w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영상 잘봤어요. 어떤 일이든 노하우가 있는법이죠. 근데 고장 원인 알아내더라도 전문직업 아닌이상 사실 부품 구하기도 힘들고 그냥 의뢰 하는게 편하겠네요. 꿀팁 잘봤습니다.

  • @koreancougar
    @koreancougar ปีที่แล้ว +39

    일반인이 쉽게 할 수준은 아닌데 설명은 친절하게 해주셔서 잘 봤습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1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쉽고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을 만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user-zt4rn7hk3d
    @user-zt4rn7hk3d ปีที่แล้ว +229

    와.......
    진짜 와........
    완전............
    어렵다.........
    100만 이상 테크 유튜버들보다도 훨씬 도움되는 정보가 많은 채널 같습니다.
    언제나 감사드립니다.

    • @dltkd7008
      @dltkd7008 ปีที่แล้ว +17

      그런 유튜버들은 “테크 유튜버”아니고 “가전제품 리뷰어”죠 사실... ㅎㅎㅎㅎ

    • @user-xp1mn8lq3n
      @user-xp1mn8lq3n ปีที่แล้ว +18

      걔넨 맨날 협찬받고 입만 나불나불 거리는 장사꾼들이고 . 기술자랑 장사꾼으로 구분해서 생각하면 됨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10

      헉 부담이 늘고 있지만, 더 좋은 영상으로 고민해서 올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Sungchan-oj1pq
      @Sungchan-oj1pq ปีที่แล้ว +3

      진짜 깔끔하시다.
      설명도 너무 잘하시고
      하지만 문제는... 역시 준비물값이 조금 ㅠㅠ

    • @maranta0214
      @maranta0214 ปีที่แล้ว +1

      ​@@Little_Shoes 궁금한게 있는데요. -단자에 +집게 물리고 -프로브로 점검하는것을 봤는데요. -단자에 - 집게 물리고 +프로브로 점검하면 안되나요?

  • @user-ru2yh3gc7j
    @user-ru2yh3gc7j ปีที่แล้ว +22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요즘 처럼 전자제품 넘처나는 시대에 수리해서 최대한 쓰는게 환경오염도 줄이는거 아닌가 생각해 봤네요.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2

      맞습니다. 고쳐쓸 수 있다면 그것 또한 환경을 위한 일이라 생각 합니다.

  • @rokinia1
    @rokinia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말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근데 기억이 안나요. 너무 멋진 컨텐츠 감사합니다.

  • @worrang
    @worrang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어쩌다가 들어왔는데.. 유익한 정보가 많네요!. 좋아요 구독 하고 갑니다!!

  • @user-ms9lq8ko9p
    @user-ms9lq8ko9p ปีที่แล้ว +7

    제가 평소에 왠만하면 다 셀프 인테리어에 가전들도 왠만한건 부품교체로 자가수리해서 쓰는데 이런 메인보드같은거 자가 수리 하는 것은 처음 보네요. 구독박고 갑니다. 굳굳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더더더 좋은 영상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 @chinaphonefixteam6300
    @chinaphonefixteam6300 ปีที่แล้ว +6

    정비 지식이 가득한 이런 정비 영상이 정말 마음에 들어요. 계속해서 관심을 가져주세요! !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1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 @user-mc3lv9bf2x
    @user-mc3lv9bf2x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영상 보니 참 쉽네요..
    복구천재 님한테 보내기만 하면 되겠어요...
    글카수리도 기대해봅니다.

  • @user-qb9zo7fu8v
    @user-qb9zo7fu8v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쉽게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iu2pi7ft1g
    @user-iu2pi7ft1g ปีที่แล้ว +5

    찾아내는 방법이 탐정이 뭐 찾는 거 같네요.
    재미있습니다.
    수리는 기판에 인쇄 된 값 보고 부품을 교환하면 되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인쇄 글자가 없으면 어려울 거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ㅎㅎ
    잘 봤습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재미있고 쓸모있는 기술들을 공유하겠습니다. ^^

  • @mifasoul9627
    @mifasoul9627 ปีที่แล้ว +72

    이마를 탁 치고 말았습니다. 문과 출신이지만 나름 전자관련 부분에 관심과 호기심이 많아 전자부품 및 실장보드 등 고장에 대하여 AS를 DIY로 수행했었는데 이번 강의에서 빨간봉을 접지에 연결하고 검정봉을 체크봉으로 쓰는(물론 보드전원의 허용치 언더로 세팅) 방법이 있다는 것은 '문과생출신'은 전혀 알 수 없는 비법이었네요 ㅎㅎㅎ 설명이 너무 좋습니다(물론 전자지식이 없는 분들에겐 여전히 장벽)
    이제까지 멀티테스터 '비프음'으로만 체크해서 한계를 느꼈거든요. 😀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3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좀 더 쉽고 재미있는 영상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 @user-ec1bn3kz9c
      @user-ec1bn3kz9c ปีที่แล้ว +8

      저는 인문계 문과 출신입니다 상경계열 4년제 나왔습니다 전기기사 자격증획득하고 공공기관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전기 경력은 20년 다 되어갑니다
      2007년까지 문과라도 4년제 대학졸업자는 전기가사 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을 주었습니다 자격증에 계열 제한은 없어져야 합니다

    • @gogogogoogh
      @gogogogoogh ปีที่แล้ว +1

      일반적으로 불알을 탁 친다고 하는데 이마를 치시는 군요

    • @yumyumboink3262
      @yumyumboink3262 ปีที่แล้ว +1

      ​@@user-ec1bn3kz9c 와 형 공부 하지마요. 저도 문과 4년제 어문계열 출신인데 이런 사람 있으면 밸런스 박살이야유..

    • @whowascoughing
      @whowascoughing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yumyumboink3262 경력보면 나이가 형이 아니라 아저씨 아닌가요? ㅋㅋㅋㅋ

  • @loelwest1056
    @loelwest105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집에 있는 멀티 미터로 고장 부위를 어떻게 찾는지 방법을 몰라 건전지 전압 체크 할 때만 사용했는데 덕분에 알게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구독 박고 가요~

  • @luckyguy101079
    @luckyguy101079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알지 못하지만 쉽게 설명해주시는 듯~~
    그냥 전문가에게 수리 맡기는게 젤 쉽겟네여 ^^

  • @danielpark8256
    @danielpark8256 ปีที่แล้ว +4

    좋은영상 감사드립니다. 한 가지 질문사항이 있습니다. 24v DC 10인치 어군탐지기의 메인보드?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거의 침수수준으로 내부에 물기가 보드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잘 건조시키고 영상에서 알려주신 방법으로 점검을 하고 있습니다. 쌀알 크기의 MLCC적층형 콘덴서 하나는 검게 탄듯하고 살짝 건드리니 떨어져 나갔습니다. +를 은색단자에 물리고 - 봉으로 컨덴서들을 찍어보니 모두 한쪽에서 소리가 납니다. 단, 위에서 말한 검게 타서
    떨어져나간 쌀알크기의 적층형컨덴서 주변, 앞면 뒤면 각각 7개 정도의 적층형컨덴서에서는 어느쪽에 찍어봐도 소리도 없고 반응도 없습니다. 그쪽 부분이 신호선이 꼽히는 소켓단자 부근인데~ 콘덴서에서 반응/소리가 안날수 있는건가요? *** 답답해서 글을 올려봤는데, 직접보셔야 아실텐데, 난감한 질문드려 죄송합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5

      우선 MLCC가 타버렸다는건, 그곳에 높은 전압이 걸린다는 거고, 침수후 대부분은 전원이 꺼져 버리기 때문에 부식이 된건 아마도 스탠바이쪽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털어져 나간 MLCC의 고장일수도 있겠으나 이런 경우 해당 회로는 부하가 걸린 칩셋이 떨어지면서 끝난거기 때문에, 다른쪽 회로를 점검해 봐야 할거 같습니다. 사실 침수 점검의 경우엔, 타버리거나, 부식된 칩들이 많은 곳에 위치한 BGA 칩셋의 핀쪽 부식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평소 육안으로 식별이 안되서, 최악의 경우는 하나하나 분해하고, 문제가 없다면, 다시 리볼링 후 장착하고, 다른 부품들을 찾아 나갈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침수로 인한 파워 관련 IC가 고장났을 확률도 배재할 순 없습니다. 말씀해 주신데로 회로도가 없는 제품은 직접 봐야 정확히 알 수 있고, 파악하는데 시간이 걸리는게 사실입니다.>_

    • @danielpark8256
      @danielpark8256 ปีที่แล้ว +2

      @@Little_Shoes 상세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올려주시는 영상보면서 많이 배우겠습니다.

  • @user-kq3dp1oo3h
    @user-kq3dp1oo3h ปีที่แล้ว +8

    필요한 장비 하나씩 소개해주시고 링크주시면 좋을꺼 같아요 ㅎ 디지털확대경(현미경), smd열풍기, 사용하시는 지그들 ,납,파워서플라이,각종 부자재들 넘 많네요 ㅋㅋ;;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1

      넵 그렇게 한번 준비해 보겠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narang-
      @narang- ปีที่แล้ว +4

      기기 사진으로보이는데 무엇2.0으로보이는 테스터기 이름이 무언지 알고 싶어요 -

  • @tjriver6653
    @tjriver665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런 분야는 전혀 모르는데 추천으로 떠서 보게되었는데요. 알아둬서 나쁠게 없는 영상인듯 ㅋ

  • @Saxophone_EWI
    @Saxophone_EW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 영상보고 확실히 깨달았습니다.
    고장나면 A/S시도하고 불가능하면 미련없이 갖다버려야 한다는걸요.
    열적외선 카메라 언급부분에서 하탈하지만 말씀하시는 의도는 위와같다는걸 공감하고 갑니다.

  • @changyongkang7651
    @changyongkang7651 ปีที่แล้ว +5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1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좋은 영상으로 준비하겠습니다. ^^

    • @bbsksoo
      @bbsksoo ปีที่แล้ว +2

      치과원장님~
      이곳에서 보네요^^
      환자중심의 치과진료 유튜브 잘 보고 있습니다~

    • @changyongkang7651
      @changyongkang7651 ปีที่แล้ว +1

      @@bbsksoo 님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user-hm2ui8ds6q
    @user-hm2ui8ds6q ปีที่แล้ว +5

    그래 이거지. 보통 문제가 되는 부분 보여주고 (삐~화면 한번 나오고) 예 잘됐습니다. 하고 넘어가는데.... 그리고 이쪽 문외한을 위해서 문제가 된 부품(아주 작은 소자라도) 혹은 고장 잘나는 부품도 한번 전반적으로 설명하는 영상도 있었으면 합니다. 아니 이미 있나? 끝으로 어디서 구매하는지도... 오늘 영상 아주 유익했습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넵, 알겠습니다. 말씀해 주신 내용 잘 기억해서 다음에 영상 만들때 참고하겠습니다.~

  • @user-nu9gy3xq7p
    @user-nu9gy3xq7p ปีที่แล้ว +1

    약간 어렵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정보 감사드리며 좋은 나날들 되십시요!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1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좀 더 쉽고 재미있는 영상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 @rea_kr
    @rea_kr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수리 맡겨야 겠네요.

  • @user-tl7ch8lm9m
    @user-tl7ch8lm9m ปีที่แล้ว +3

    관심 있으셨던분은 도움이 많이 되겠어요. 테스터기랑 전압인가할 기기가 좀 애매한데 일단 있는걸로 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조만간 하나하나 세트 맞출 수 있도록 행사 준비해 보겠습니다.

  • @sunbaeha666
    @sunbaeha666 ปีที่แล้ว +3

    수리해서 사용할수 있는 영상들이 많았으면 합니다 고쳐지지 않던가 실수 했던 영상도 좋을수 있을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실수했던 영상은 항상 있습니다. 실제 작업을 하다 보니, 중간 중간 변수가 발행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 좀더 좋은 영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ry4fp1eq9d
    @user-ry4fp1eq9d ปีที่แล้ว +2

    집에 저런 장비들 다 가지고 있으신거죠?? 너무 친절하게 설명해주시네요.^^

  • @user-oe8pz7sn6f
    @user-oe8pz7sn6f 28 วันที่ผ่านมา

    아주 유용한 팁이네요 잘보고가요~

  • @kkooddoo7364
    @kkooddoo7364 ปีที่แล้ว +8

    부품단종 되서 못고치는 전자제품이 많은데 사설수리점들이 흥했으면.. 좋겠습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1

      그러게요. 우리나라는 특히나 성공했을때는 모르겠으나 실패했을때 시간에 대한 보상이 없기 때문에, 이쪽 분야가 점점 쇠퇴하는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 @DIY-vj1uo
      @DIY-vj1uo ปีที่แล้ว +1

      저도 이말에 동감함 예전처럼 순돌이 아빠 전기전자 수리점 많이 생기길 바랍니다

    • @Yeulyeul2
      @Yeulyeul2 ปีที่แล้ว

      경제 관점에서 소비자들은 고쳐 쓰는것 보다 새로 사는게 이익이 되는 경우가 많아서 새제품 사시는 분들이 많지요.

  • @korea1304
    @korea1304 ปีที่แล้ว +10

    보기에는 쉬워 보이는데 막상 일반인들이 접근하기에는 어렵다는 ...개인 pc용 말고 산업용 고가의 pcb 기판에도 이렇게 작은 소자 몇몇 부분이 주로 문제겠죠? 얼마전 엘리베이터와 소방용 기판 고쳤는데 몇백에서 최소 몇십만원 ,..... 부르는게 값이니... 요증은 수리 안하고 통째로 바꾸는 추세던데요... 재료값은 몇십원에서 몇백원인데 통째로 바꾸면 몇백만원. 어디가 고장인지 수리비용이 얼마나 드는지 모르니 달라는 대로 줘야 하는 경우가 많아요. 동영상 잘 뵜습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두가 접근하기 쉬운 영상을 만들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ele-tv
    @ele-tv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어려운 내용인데 정말 쉽게 설명해주셔서 도움되었습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더 쉽고 재미있는 영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 @user-zp1bf2do1j
    @user-zp1bf2do1j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일반인이 하기엔 장비가 없어 못하겠지만 유용한 정보이네요.

  • @user-dk1vn8sc1t
    @user-dk1vn8sc1t ปีที่แล้ว +3

    97년에 엘쥐직업훈련소에서 수료하고 지역센타로 실습나갔더랬죠.... 전자전기에 최~~소한의 기본지식만 교육받고 실습하려하니 망막.... 근데 바로 imf터져서 저포함 동기들 다 짤렸어요...
    암튼 이건 쓸데없는소리고 꼬마님처럼 전기전자쪽 지식 해박한분들보면 존경스럽고 부럽습니다... ㅎ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2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97년도 부터 전자업무를 하셨다면 대선배님이시네요.

  • @user-mt2pe4ov7f
    @user-mt2pe4ov7f ปีที่แล้ว +3

    배울 것이 너무 너무 많네요. 잘 배우고 갑니다. 꾸~욱 누르고 갑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기분이 좋아지는 댓글 감사합니다. 더 좋은 영상으로 준비하겠습니다.

  • @user-ec4dk6iy8i
    @user-ec4dk6iy8i ปีที่แล้ว +1

    항상 잘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ㅎ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항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dabin9528
    @dabin9528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진짜 수준높은 채널

  • @pocketoy
    @pocketoy ปีที่แล้ว +19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영상을 보니까 문제가 된 부품을 떼어냈는데 떼어낸 곳에 새로운 부품을 달지 않고 그대로 놔둬도 수리가 완료된 상태인건가요? 캐패시터면 괜찮을 가능성도 있을 것 같은데 저항이면.. 아마 저항처럼 보이던데 저항이면 문제있는거 아닌가요? 저항 부품이 파손된 경우 원래 저항값을 어떻게 알아내나요?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3

      저항이 아니라 케페시터 입니다. 작은 케페시터 하나 정도는 없어도 동작에 문제가 생기진 않습니다. 혹 오동작이 생기면 비슷한 용량으로 장착해 보고, 절대 완벽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1:1로 더미 보드 추출교체를 진행합니다. 저항의 경우는 꼭 붙여놔야 합니다. 저항값을 모를때는 회로도가 필수적으로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을때는 쇼트시켜 놓고 상황을 봅니다.(과부하 발생시 끊어지도록 연선가닥을 사용해 쇼트시킵니다)

    • @ministratorful
      @ministratorful ปีที่แล้ว +29

      캐패시터 작은 걸 떼 놔도 왜 괜찮나면요.
      캐패시터는 직렬 연결일때 용량이 줄고.
      병렬일때 용량이 늘어요.
      보드에서 캐패시터를 큰걸 붙여놓고 용량을 일부러 줄일 이유가 없어서. 보통은 병렬이거든요.
      병렬이면 딴애가 있으니까 괜찮은 거에요.
      만약 큰놈이면. 안찍어봐도 부푼다던가 해서 티가 확 나는데. 그 녀석이 단독으로 일하는 경우는 용량 비슷한걸로 붙여줘야해요. 그런데 캐패시터는 데미지먹을때 병렬이면 가장 작은 소자부터 나가게끔 전기법칙이 그래요. 그래서 작은 거 나간거면 그냥 안심하고 것만 날려도 무방하긴 할거에요.
      아. 지나가겠습니다.
      아. 맞다. 그래도 특성은 안좋아지긴 할거에요. RLC회로 중에서도 필터회로 들어가면 특성에 따라 통과되는 주파수가 달라져서 문제생기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는데, 그래서 값이 오동작 나기에는 이건 아날로그아니라 디지털회로라... 아. 말 길어졌다...

    • @user-rx4xr1do1r
      @user-rx4xr1do1r ปีที่แล้ว +1

      ​@@ministratorful 혼잣말 금지!!

    • @user-pw8ho7xp2r
      @user-pw8ho7xp2r ปีที่แล้ว +6

      @@ministratorful상세한 설명 더 길어져도 괜찮습니다(엄지척)

    • @user-df3uz8yo4b
      @user-df3uz8yo4b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도 궁금했던 부분인데, 답글이 너무 친절하시네요^^

  • @user-nd1np9nz1r
    @user-nd1np9nz1r ปีที่แล้ว +3

    와 ㅡ 기술강의 대단하십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더 쉽고 재미있는 영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 @user-vs4uo3ye9v
    @user-vs4uo3ye9v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비스므리한 장비로 해볼수 있겠네요ㅎㅎ 송진으로 하는방법은 많은 분들이 하는거 같아요 잘봤습니다

  • @CharlesKing007
    @CharlesKing007 ปีที่แล้ว +2

    영상 보기전에는 "영상보고 diy로 내가 하면 되겠네!" 라고 생각했는데
    시청 후에는 "as센터 돈줄만하네!" 라고 생각드네요 ㅋㅋㅋ 잘봤습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엔 더 대단한 영상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 @Leetw302
    @Leetw302 ปีที่แล้ว +5

    하드웨어 수리를 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깔끔하게 너무 잘 설명해주시네요.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자주 방문해 주시고 교류 부탁 드립니다.>_

  • @user-rs1ih6qf2c
    @user-rs1ih6qf2c ปีที่แล้ว +3

    장비가 없어서 못하겠네요.
    잘 봤습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영상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myungsookim6662
    @myungsookim666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와.. 이런 것도 이렇게 쉽게 가능하다니요??? 감사합니다. 구독과 좋아요 했습니다.

  • @user-tc5sd3iz2g
    @user-tc5sd3iz2g ปีที่แล้ว +1

    좋은 꿀팁 감사합니다~~^^😊

  • @freeceps244
    @freeceps244 ปีที่แล้ว +5

    영상 너무 잘보고있습니다
    그리고 한가지 질문있는데요
    본영상에서 문제가 된부분을 찾고 인두기로 문제녀석을 떼어낸걸로 수리가 그냥끝난건가요?
    아님 떼어낸 자리에 새부품같은걸로 다시 연결시켜야 하나요?
    아니면 원래 없어도 작동이 그냥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3

      해당 케페시터는 다른 케페시터와 병렬 연결된 소자로 없더라도 회로동작엔 문제가 없지만 만약 문제 발생시 비슷한 크기의 소자를 붙여주거나 같은제품에서 분리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회로도 없이는 제거된 케페시터값을 알 수 없습니다

    • @freeceps244
      @freeceps244 ปีที่แล้ว +1

      @@Little_Shoes 느므느므 감사합니다
      궁금증이 싹 풀렸어요
      영상도 감사히 잘보고있습니다~~^^

  • @sexmaster
    @sexmaster ปีที่แล้ว +15

    전문가: 잘 설명하시네!
    일반인: 완벽히 이해했어!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1

      시청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lakc1545
      @lakc1545 ปีที่แล้ว +2

      일반인 그럼 as보내고 치킨이나 뜯어야겠다. 왜 뜯어서 고생을함. 조립할때먀나 하나씩 없어지는데.

  • @user-jg7te5lv1n
    @user-jg7te5lv1n ปีที่แล้ว +2

    깔끔한 설명 보기좋네요, 메인보드 고장 발생시 캐패시터 고장으로 인한 쇼트가 많은 편인가요? 그 외 부품의 고장 발생 비중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증상에 따라 다르겠지만, 전원 인가후 바로 꺼지거나, 전원이 안들어 가는 경우 꼭 케페시터가 아니더라도, 쇼트로 인한 문제가 잦은 편입니다.

  • @sunsan2425
    @sunsan242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말로 정말로 많은 도움이 됩니다. 무릎을 탁치는 팁이 많습니다. 그리고, 전원이 안 켜지는 TV 및 모니터 수리 영상도 부탁 합니다. 빨간색 대기불도 안 들어오는데 자가 수리 해 볼려고 합니다.
    기본지식이 조금밖에 없고 의욕만 앞섭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실 TV 나 모니터의 경우 전원부 불량과 펌웨어 불량이 많은 편입니다. 종류도 다양하고 어느정도 해당 제품의 이해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일단, 소개 리스트에는 올려놓고 조만간 썰을 풀겠습니다.

  • @user-zc2ei1tn7l
    @user-zc2ei1tn7l ปีที่แล้ว +5

    쇼트 측정할 때 GND에 붉은색(+)을 연결하고 각 부품들을 찍어볼 때 검정색 마이너스 프로브를 사용하신 이유가 있을까요? 상식적으로 GND에 검정색(-)을 연결해야 할 것 같은데 이렇게 작업 진행한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궁금해요~~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8

      검은색 프로브를 GND에 연결하는건 전원이 인가 됐을때 각 소자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며 빨간색 프로브를 GND에 놓는건 각 회로에 걸리는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입니다. 반대로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측정이 되지 않습니다. ^^

    • @user-ec6wq6lb3n
      @user-ec6wq6lb3n ปีที่แล้ว +1

      혹 테스터 내부전지의 극성 때문 아닐까요
      실제로 +리더에는 -가, -리더에는 +가 걸려 있거든요

    • @user-qy5pn9jt4m
      @user-qy5pn9jt4m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모스펫 회로라서 그렇습니다 모스펫회로가아니면 그라운드에 검정으로해도상관없습니다

    • @user-vx2mw1nv7l
      @user-vx2mw1nv7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qy5pn9jt4m 모스펫회로의 어떤 특성때문에 접지단자에 +를 연결해야하나요? 검색해봐도 도통 알수가 없네요.

  • @mininimS2
    @mininimS2 ปีที่แล้ว +6

    메인보드는 보통 오래되면 콘덴서 부터 나가요 콘덴서 부풀어 오르는게 눈에 보이면 그거 갈아주면 대부분 살아나요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1

      컴퓨터 메인보드 구형제품이나 그래픽카드 오래된 제품은 육안으로 식별되게 부풀어 오르거나 터지기도 하지만, 외부 육안 식별 불가 상태로 기능저하로 인한 전압 부족 현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좋은 팁 감사합니다.

  • @ktypewriter
    @ktypewriter ปีที่แล้ว +2

    노하우 공개 덕분에 만능 테스터기를 사서 해외에서도 수리를 포기하는 전자 타자기 고장을 아주 쉬게 잘 고쳤습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1

      와~!!.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조만간. 더 신선한 노하우 공개 예정 이니 꼭 시청해 주세요~!!

  • @pylon3491
    @pylon349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우와.. 정말 전문가의 세계는 깊고도 깊군요... 정말 대단하십니다!!

  • @user-in4hz8cb5y
    @user-in4hz8cb5y ปีที่แล้ว +3

    대글들중에 이상한 맥빠지는 테클들있던데 신경쓰지 마시고 좋은거 많이 올려주세요.. 이런 현실적인 정보 너무 감사합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응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더더 좋은 영상으로 모두에게 인정받는 IT 유튜버가 되어 보겠습니다.

  • @ideabank7
    @ideabank7 ปีที่แล้ว +6

    심박한 측정장비를 소개해 주신것 같네요!~원래 부품이 실장된 상태에서 다이오드 모드보다는 저항값 측정을 하는 x1 모드로 놓고 수리하는 기판의 그라운드(GND)에 측정기의 플러스(적색봉)을 연결하고 마이너스(흑색봉)을 부품의 단자에 접촉시켜서 부품의 이상 유무를 판단합니다.소개해 주신 장비는 매우 간단하게 실장 상태의 부품의 손상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요즘은 디지털 멀티미터 보다는 아날로그 테스터를 사용해서 실장 상태의 부품의 이상 유무와 쇼트여부를 판단하고 수리를 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외국분들도 실제 수리에 어떻게 쓰는지 정확히 설명한 분이 없었는데 복구천재님이 이렇게 소개 영상 올려주셔서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1

      실력자님들이 많이 방문해 주시고 좋은 말씀 해주시면 더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다시한번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py3bi7wn6w
    @user-py3bi7wn6w ปีที่แล้ว +1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1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 @user-py3bi7wn6w
      @user-py3bi7wn6w ปีที่แล้ว +1

      화이팅입니다 😀

  • @2aherj24naedt42t
    @2aherj24naedt42t ปีที่แล้ว +1

    그라운드가 넓어서 방열될때는 밑에 핫에어를 불어주면서 하면 인두온도를 높이지 않고도 깔끔하게 납땜할 수 있어요.. 뜨겁지만..😊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제가 스마트폰 위주로 작업하는경우가 많아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전 시원한게 좋아용>_

  • @granada0531
    @granada053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와..... 업체에 맡겨야겠습니다.

  • @hspark8850
    @hspark8850 ปีที่แล้ว +6

    쇼트인 콘덴서가 정상인 이유에 대해서 간략히
    회로도로서 설명해주시면 이해에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고장인 콘덴서가 발열하는 이유 포함) 그리고 그라운드에 왜 꼭 적색선을 연결해야하는지도 궁금합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4

      IC나 소자 들의 고장의 특징은 발열이고 발열은 곧 과전류 혹은 단선을 의미합니다. 흑색선을 그라운드에 연결하고 테스트 하면, 전류가 순방향으로 체크되서 한쪽 다리는 오픈으로 나오게 되며 어떤 상태인지 확인이 안됩니다. 흑색선을 그라운드에 연결했을때는 메인보드에 전원을 인가 한 다음, 각 소자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할때 주로 사용 합니다.

    • @hspark8850
      @hspark8850 ปีที่แล้ว +1

      @@Little_Shoes 예. 감사합니다. 전자회로에 대해서 좀더 공부 해봐야 겠네요. ^^

  • @yoogood
    @yoogood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자쪽 엔지니어로 일하는데 대박이네요 ㅋㅋ 디버깅할 때 매우 유용할 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rl8pv6tn8m
    @user-rl8pv6tn8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귀한 영상 제작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메인보드에 전원이 안들어 오는 경우도 동일한가요? 인텔 nuc 컴퓨터(미니pc)를 사용하는데 led 신호는 들어오는데 전원이 눌러도 반응이 없어서 고치질 못했습니다.

  • @user-ij4ht1wm6d
    @user-ij4ht1wm6d ปีที่แล้ว +2

    고가 인두기를 구하셔도
    손재주 없는 분들은 보드 회로 다 해먹기 일쑤입니다
    제가 그랬거든요
    결국 회로재건까지 가야했습니다
    그래서 결국은 이런 걸 알아도
    전문가분에게 맡기게 되죠
    이런 사정을 잘 아시기에 이런 노하우를 방출하셔도
    큰 부담이 없으실 거란 생각도 듭니다
    물론 이런 정보공유는 매우 감사할 따름이죠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2

      저도 초반엔 비슷했지만, 방법을 배운 다음엔 결과물이 180도 달라졌습니다. 전 지식은 공유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화이팅 입니다^^

  • @user-re7pk4ef3z
    @user-re7pk4ef3z ปีที่แล้ว +3

    앞으로 전문적으로 발전 시키기에 핵심 있는 영상 이였습니다. 회사에 사달라고 해야겠어요ㅋ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2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더 좋은 영상으로 준비하겠습니다.

  • @user-pm5st2yj1q
    @user-pm5st2yj1q ปีที่แล้ว

    이제 나도 전자 기술자가 될것 같은데요
    잘 들었습니다
    다시 또 들어서 정확히 습득 해야 겠습니다

  • @ghb8569
    @ghb8569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값지게 잘 봤습니다. 단선으로 인한 고장도 보고싶습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조만간 다뤄보겠습니다

  • @BreadTip
    @BreadTip ปีที่แล้ว +36

    와 ㅋㅋㅋㅋ 미리 꼬마신발님 구독한 나자신이 자랑스럽다.. ㅋㅋㅋㅋ 전문가적인 시선으로 만들어진 영상이라 재밌네요.. 차량 자가정비센터처럼 이런 공구들 모아놓은 정비센터 있으면 한번 고쳐보고 싶을정도로 ㅋㅋ 감탄하고 갑니다이대로 쭉쭉10만 20만 30만 돌파 해주시길!~~~!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2

      감사합니다. 더더더더 좋은 영상으로 준비해 보겠습니다~~!!! 화이팅~!!!

  • @user-ht3mn5xs9u
    @user-ht3mn5xs9u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문과 출신이지만 나름 전자관련 부분에 관심과 호기심이 많아 전자부품 및 실장보드 등 고장에 대하여 AS를 DIY로 수행했었는데 이번 강의에서 빨간봉을 접지에 연결하고 검정봉을 체크봉으로 쓰는(물론 보드전원의 허용치 언더로 세팅) 방법이 있다는 것은 '문과생출신'은 전혀 알 수 없는 비법이었네요 ㅎㅎㅎ 설명이 너무 좋습니다. 그래서 전 오늘23년10월6일 구독&좋아요를 쿡눌러습니다. 현재도 전기담당자로 회사에 근무중입니다.(전기기사자격증소유) 참고로 많이 배우고 싶네요!

  • @user-vk8dd6qg3z
    @user-vk8dd6qg3z ปีที่แล้ว +1

    복구천재님 매우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추후 테스터기와 열화상 구입하고 시험해 봐야겠어요. ㅎㅎ 추가로 그 불량 콘덴서와 동일한 규격의 정상 콘덴서로 교체해야 하지 않나요? 그럴려면 그 불량콘덴서의 용량을 알아야 할 것 같은데 ...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데이터 시트를 구하기도 어려울 것 같은데요.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해당 케페시터는 다른 케페시터와 병렬 연결된 소자로 없더라도 회로동작엔 문제가 없지만 만약 문제 발생시 비슷한 크기의 소자를 붙여주거나 같은제품에서 분리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회로도 없이는 제거된 케페시터값을 알 수 없습니다

  • @user-vy5bs3qx4q
    @user-vy5bs3qx4q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내용 너무 좋네요^^
    궁금한게 브레드보드 처럼 일반 회로를 특정 부품을
    넣다 뺐다 할수 있게 개조도 가능 할까요?!
    가능 하다면 어떤식으로 하는게 가장 유리할지 조언 부탁 드립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일단, 특정 부품이라고 하시면 범위가 너무 넓습니다. 부품의 핀 배열이나 핀의 두께 등등 여러가지를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고 PCB에 설치할건지 외부로 빼야 하는지 등등이 가장 큰 변수가 아닐까 생각 됩니다. 사실 기성품이 있는 경우가 아니기 때문에 미니브레드보드 로 검색해서 대체 가능한 제품을 찾아보셔야 할 듯 합니다.

  • @gimjade733
    @gimjade733 ปีที่แล้ว +4

    해당영상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려요.
    저렇게 캐패시터가 문제가 생기면 대체품은 보통 어디서 구매해야 되나요? 또한 문제가 생긴 모델의 모델명이나 기타 데이터시트 확인하시는 방법도 궁금합니다

    • @namjungcho9937
      @namjungcho9937 ปีที่แล้ว +3

      사실 똑같은 제품을 찾기는 쉽지 않아요. 하지만... 큰놈 옆에 붙은 작은 놈들은 대부분 103인 경우가 많습니다. (10개가 있으면 8개는 103=10nF)
      옆의 8핀 칩이 TR류라면 아닐 가능성이 있는데 IC라면 거의 확실합니다.
      참고로.. 저런 보드류를 설계하다보면 거의 절반이 104고 그다음이 103입니다. 대부분의 제품에서 권장하는 Bypass가 그렇거든요.
      특히 IC(보드상 U1, U12 등등 U로 시작하는 것들)는 핀수에 따라서 칩 1개에 2개에서 10여개 까지 사용합니다.
      수리를 자주 하시면 104와 103만 사이즈 별로 100개 정도 사놓으면 꽤나 편리합니다. 1개씩은 안팔고 보통 최소 100개씩 파는데 소매라면 1000원 정도씩 받을 것 같네요.

    • @gimjade733
      @gimjade733 ปีที่แล้ว +1

      좋은 답글 감사합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작은 케페시터 하나 정도는 없어도 동작에 문제가 생기진 않습니다. 혹 오동작이 생기면 비슷한 용량으로 장착해 보고, 절대 완벽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1:1로 더미 보드 추출교체를 진행합니다.

  • @wijinnam
    @wijinnam ปีที่แล้ว +4

    송진을 사용하는 게 꿀팁이네요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넵. 송진이 정말 신의한수 입니다. 그런데 조만간 더 대단한 팁을 공개하겠습니다. 꼭 지켜봐주세요.

  • @user-yc2tg9qc7h
    @user-yc2tg9qc7h 9 วันที่ผ่านมา

    파워서프라이 추천과 구매 링크 부탁드립니다

  • @user-hc5nv3cx9n
    @user-hc5nv3cx9n ปีที่แล้ว +1

    아주 재미 있네요.잘봤습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시청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_

  • @user-iv6cy3nm5f
    @user-iv6cy3nm5f ปีที่แล้ว +6

    일반적으로 캐패시터는 칩의 전원핀 또는 입출력 핀에 연결되는데 칩의 핀 내부에는 ESD 방지용 다이오드가 연결되 있고 영상에서 빨간 테스트봉을 그라운드에 연결하고 까만삭 테스트봉으로 쇼트를 찾아내는건 정상 다이오드를 찾아내는 방법이네요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1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부족한 영상이지만 지적해 주시고 좋은 말씀 많이 부탁 드립니다.

    • @chjw2806
      @chjw2806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Little_Shoes
      안녕하세요. 좋은 정보 잘 배우고 있습니다. 테스터기 어떤 모델인지 궁금해서요.

  • @giljongan96
    @giljongan9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정말 자세한 설명과 부족함 없는 영상까지 교수님이시네요 ㅎㅎ 근데 고장난 부품은 교체가 아니라 제거하면 수리가 완료된건지 궁금하네요

    • @Little_Shoes
      @Little_Shoe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해당 케페시터는 다른 케페시터와 병렬 연결된 소자로 없더라도 회로동작엔 문제가 없지만 만약 문제 발생시 비슷한 크기의 소자를 붙여주거나 같은제품에서 분리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회로도 없이는 제거된 케페시터값을 알 수 없습니다

  • @jaewoongchoi850
    @jaewoongchoi85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상 매우 재미있게 보있습니다!
    문제가 있어 제거한 조그만 부품이 무었이고, 그것을 제거 후 교체 해주지 않아도 정상 작동 하는지 궁금합니다.

  • @user-cm9xl2ps1t
    @user-cm9xl2ps1t ปีที่แล้ว +1

    컴퓨터 가게할때 간단한 메인보드 수리는 했는데 수리하시는분 어깨 너머로 배웠었죠 납땜이 몸에 안좋아서 지금은 거의 안하지만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넵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gu2xx5ti1w
    @user-gu2xx5ti1w ปีที่แล้ว +3

    제가 센터 근무할때 쇼트가 난 캐패시터 찾을때는 카드영수증으로 해당 부위 찾고는 했습니다....ㅎㅎ
    감열지 특성상 열이 많이 나는곳은 검게 변하거든요...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3

      와.. 영수증은 정말 신박하네요. 요즘은 냉각 스프레이 뿌려놓고 찾기도 합니다. 해당 제품이 스프레이라 가져오기 쉽지 않네요 ^^;

  • @user-tb6xu1gu9s
    @user-tb6xu1gu9s ปีที่แล้ว +7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사용하고 있는 부자재나 공구들도 리뷰해주시면 안되나요? 영상에서 나오는 DC 전원 공급기라던지 등등 사용하고 있으신 공구들이 궁금합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1

      넵. 관련 자료 준비해서 조만간 오픈하겠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tb6xu1gu9s
      @user-tb6xu1gu9s ปีที่แล้ว +1

      ​@@Little_Shoes답변 엄청 빠르네요ㅎㅎ 감사합니다!
      리뷰하면서 비교 추천해주실 장비도 같이 해주시면 더 좋을거 같습니다!

  • @Dolby_Cinema
    @Dolby_Cinema ปีที่แล้ว +2

    역시 세상은 넓고 고수는 많다
    또 하나 배워갑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쉽고 재미있는 영상을 만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syuang
    @syuang ปีที่แล้ว +2

    궁금했는데 신기하네요 감사합니다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좋은 영상으로 준비하겠습니다~~

  • @user-iu2cv6rv9p
    @user-iu2cv6rv9p ปีที่แล้ว +4

    고딩때 생각나네요.
    공고 나와서, 전자 , 전기 , cad .. 오목판에 회로도도 그리고, 무선설비쪽 자격증도 취득하고;;
    이때 배운걸로 pcb기판이라던가 간단한 것들은 고치며 살고 있습니다 ㅎㅎ
    캐패시터나 저항 같은경우 간단한 스팩정도만 알면 구매해서 교체 가능합니다.
    다만 영상에 나온것처럼 고장난 부품 찾는게 일인데, 정말 간단하게 찾는 방법 알려주셨네요!!
    취미로 고장난 것들 고치는데.. 오실로스코프 부터 여러게 사다보니 취미가 아니라, 핸드폰as센터에서 일 했을때 쓰던 장비만큼 구매해서 와이프 눈치 보며 살고있습니다 ㅎㅎ

    • @moon-pk2ty
      @moon-pk2ty ปีที่แล้ว +3

      와이프도 고치면서 살아야겠네요.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1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쉽고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을 만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user-yl4ou3qf2d
    @user-yl4ou3qf2d ปีที่แล้ว +3

    꼬마신발님 영상 잘보고 있었는데 이번영상은 정말이지 가슴뛰는 영상입니다! 구독해놓고 영상을 보기만했었지만 저도 질문하나 있습니다. . 불량캐패시터를 제거하는것으로 수리가 해결되기도 하지만 수리자가 캐패시터를 교체하는것을 목표로 한다면 비슷한 용량의 캐패시터를 넣어본다고 하셨고 도면과 완전히 똑같아야 하는경우에는 1대1로 매칭하며 확인한다고 하셨습니다. 그렇다면 다른용량의 케페시터를 넣으면 어떤일이 일어나고, 또 도면과 완전히 같아야할 경우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용량이 아주약간이라도 차이나면 뻥 ! 터지는건가? 하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또 제품의 회로도는 어디서 구하는지도 궁금합니다.
    긴 질문 죄송합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사실, 터지진 않겠지만 과전류 혹은 저전류 현상으로 회로가 동작하지 않거나, 장기적으로 특정 소자나 IC에 과전류가 흘러 발열이 생기거나, 전기 소모가 커지는등 여러 현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너무 경우의 수가 많기 때문에, 회로를 보며 말하는게 맞지만 이정도로 정리해 드려도 어느정도는 적용 된다 보셔도 됩니다.

    • @user-yl4ou3qf2d
      @user-yl4ou3qf2d ปีที่แล้ว

      @@Little_Shoes 말씀하신부분 완벽하게 이해했습니다! 당장 동작은 되지만 장기적으로는 또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말씀이시군요. 정말 없느니만 못할수도있겠네요. 감사합니다 ㅎㅎㅎ 좋은하루되세요

  • @user-cv4ek3lu6m
    @user-cv4ek3lu6m ปีที่แล้ว

    우연히 보고 구독신청했습니다. 저도 일반인으로 diy를 좋아하긴하는데 아우~^^ 설명이 너무 좋네요

    • @Little_Shoes
      @Little_Shoes  ปีที่แล้ว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쉽고 재미있는 영상을 만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 @user-yv9vf5ub3l
    @user-yv9vf5ub3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양쪽에 쇼트나는 부근에 전압을 흘려보니 열로 인해 빨리 녹는 부분이 보이네요. ^^ 사용 전압은 3볼트 청소기가 14.4v라 안될줄 알았는데 가능하네요. 아쉬운 것은 mlcc가 아니고 ic칩 부분이라 교체가 힘들 것 같네요. ㅠㅠ
    이제 사용방법을 정확히 이해 했습니다. 쇼트나는 부분 근처에 전류를 흘려주는게 맞죠? 이제 자심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