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촬영 초반에는 천천히 말을 하려고 노력했으나, 촬영본을 보니 , 또 말이 너무 빨라졌네요. 전달하고자 하는 바가 너무 많다 보니, 조금이나마 영상 시간을 줄이고자 욕심을 부린 거 같습니다. 말이 너무 빨라서 이해하시는데 방해가 되시거든 설정에서 재생속도를 조절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다음엔 더 신경써서 천천히 전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신규 방문자분들을 위해서 [커뮤니티 탭] 에 제 채널의 영상시청 가이드라인을 남겨뒀으니, '채널 사용설명서' 많은 활용 부탁드립니다. 3. 조동사 사용설명서 링크 : th-cam.com/video/hZpPkcKEEN4/w-d-xo.html (1편) ~ 1:06 영어문법에서 부정사는 to 와 쓰이는게 기본값처럼 여겨지다 보니, 영어로는 이 to 부정사를 full infinitve, 즉 ‘완전 부정사’ 라고 부르기도 하고, 같은 이유로 원형 부정사는 이 앞에 있어야할 to 가 없다는 의미로, bare infinitve, 즉 아무것도 걸치지 않은 부정사,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영상에서 설명드렸듯이 원형부정사는 TO가 생략된 게 아니고 처음부터 그 형태였습니다. 2:21 고대영어에서 부정사 어미는 -an 뿐 아니라, -on ,- a 의 형태도 존재했습니다. (e.g., be 동사 부정사 - ‘bēon’ ) 3:26 조동사가 TO 부정사와 쓰이지 않는 이유 중 하나로, TO 부정사가 이미 modal verb의 의미를 전달하고 있기에 중복되서 고대영어 형태 그대로 TO 없이 동사원형으로 사용한다는 설도 있습니다. +조동사 be 와 have 가 같은 조동사이더라도, 동사원형과 쓰이지 않는 이유는 이녀석들은 단지 문장역할만 본동사를 돕는 조동사로, 화자의 심적태도 (mood) 를 나타내는 법조동사 (modal verb)의 역할은 없기 때문입니다. 5:11 고대영어 TO 부정사 어미는 -enne 외에도 -anne, - an 형태 등도 to 뒤에서 사용됐었고, 중세영어에서는 순차적으로 ’n’ 을 소실, ‘e’ 도 소실하고 현재의 형태가 되었습니다. 5:35 동일한 건 아니지만 비슷한 예를 들어보자면,, 현대의 look forward to (~을 학수 고대하다) 나, be used to (~에 익숙하다) 는 전치사 to 뒤에 명사 뿐 아니라, 동명사도 함께 사용되고 있는데, (look forward to the party / look forward to seeing you) 어떤 이유로, 후대에 이 동명사 뒤 ing 를 떼어내고 그냥 ‘look forward to see you’ (X) 와 같이 사용하기 시작하게 됐다고 상상해보시면 얼추 이해가 되실 거 같아요. 7:14 ‘사역’ 이라는 단어의 뜻은 ‘남을 부리어 일을 시킨다’ 는 단어인데 왜 ‘허가’ 의 의미를 지닌 let 이 포함되어있는지 의아하게 생각하신 분들이 많으셨 거에요. 이 ‘사역동사’ 라는 용어는 일본의 영어학자가, 일본어의 ‘사역형’ 이라는 문법용어에서 옮겨온 것으로 추측되는데, 사실 이 일본어의 ‘사역형’ 이라는 용어는 단지 “남이 뭐뭐하게 하다” 라는 개념으로 ‘강제,뿐 아니라, 허용, 허가, 방임, 유발’ 등 다양한 의미와 뉘앙스를 다 포함하고 있는 개념이다 보니, 일본어 화자들 입장에서는 이 ‘사역동사’ 라는 용어에 ‘let’ 이 들어가있는게 전혀 이상한게 없었을 거고, 그 용어가 그대로 한국영문법에 소개되서 지금처럼 쓰고 있는 현실인거죠. 13:48 Don’t allow me fall 이라는 표현이 가능한 문맥이 있는데, 신에게 “유혹이 빠지지 말게 하옵소서 / Don’t allow me fall into temptation” 와 같이 신이 내 의지를 통제한다는 전제에, 신에게 내가 그런 그릇된 행동을 하는 것을 허락하지 말라는 뉘앙스를 전달합니다. 14:42 force, persuade 와 같은 동사의 경우, 그 뉘앙스 상 ‘그런데 안했다’ 는 부자연스럽긴 하지만, 여러 위협에도 불구하고, 그 강요를 거부하는 경우, ‘He was forced to stop the machine, but he refused.’ 와 같은 문장이 불가능한 건 아닌 거로 보여집니다. 추가로, 이 force 나 persuade 역시 주어가 먼저 그 방법을 취하고, 후에 목적어가 그걸 실행한다는 비동시성의 뉘앙스를 전달합니다. 26:08 법정에서 증인이 증언을 할 때는 본인이 직접 봤음에도, He was seen to ~ 와 같이 수동태를 사용하는데, 주관적인 견해를 배제하고 3자의 입장, 즉 객관성을 강조하고자 함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추가 : 과거 고대영어시기에는 do 가 make의 의미처럼 causative 동사의 역할로 쓰였었는데요, 후에, make가 그 자리를 대체하며 지금은 그 역할을 잃었는데, 흥미롭게도, 연구에 따르면 그 causative 동사 do 의 역할 중 일부가 지금 우리가 쓰는 조동사 do 의 형태로 남아서 내려오고 있고, 그래서 이 조동사 do 역시 원형부정사를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대한 설명은 간략하게 설명드리기가 어려워서, 관련 논문 (한글) 링크를 남겨놓을테니, 혹시 관심있으신 분은 고정댓글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docs.google.com/viewer?url=cm620.cafe24.com/data/thesis/1102103157184.pdf
강의를 다 듣고 나니 절대 잊혀지지 않을 것 같은 느낌이 들정도입니다. 사역동사 지각동사 시험치러 가면 그냥 술술 풀릴거 같은 느낌이 드네요. 이 강의를 준비하시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하셨을지 감히 짐작하지 못할 정도로 많은 고생을 하셨을 것 같습니다. 좋은 강의 듣게[ 해 주셔서 정말 감사 합니다.
감사합니다. 이 강의 어제부터 지금까지 3번을 들었습니다. 표현위주의 감각적(?) 영어공부로 시작했는데 그러다 보니 문법적 베이스가 다시 또 필요함을 느껴서 문법서적과 온라인문법 강의를 전전하다 어제 이렇게 선생님의 이 원형부정사 강의를 접하고 뭔가 새롭게 신대륙을 발견한 느낌이 들어 정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정댓글에서도 helping verb 역할을 하지만 modal verb 가 be / have 와 어떻게 다른지 왜 뒤에 원형부정사 또는 변화된 동사가 오는지 알게 되어 정말 기쁩니다. 이 lecture 제작하시느라 큰 수고를 해주심에 진심으로 존경과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PS) 그리고 선생님 이 강의 탐독하고 더 느낀것이 있는데요. 영어에서 문법 공부라는 것이 어떤 즉흥적 기계적 암기나 조건반사식 지식습득이 아니라 어떤면에서는 논리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철학적이고 사변적인 인문학이라는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먼저 소중한 후원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렇게 제 컨텐츠들의 가치를 알아봐주시고 높게 평가해주시니 큰 보람을 느낍니다. 추가로 PS 부분 관련하여, Bolinger 라는 언어학자는 "모든 언어 요소는 형태가 있으면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고 주장을 하는데, 말씀하신대로 우리가 기계적으로만 암기하고 있던 문법 요소들 역시, 사실은 다 각각의 고유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이 점을 한국의 영어교육에서는 간과하는듯 하여 참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한 번 더 소중한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그동안 영어배울때 마다 영어는 무슨 예외가 더 많은건지 하고 의심이 많아서 공부하기가 정말 싫었었는데... 이 강의는 정말 속이 뻥 뚫리는 시원한 과학적이어서 너무 재밌고 이해도 잘됩니다. 참고로 전 수학은 100점 영어는 50점이었었습니다...(처음으로 논리적으로 설명을 해주시는 분을 뵙게 되어서 영광입니다~~)
제가 영어를 설명하는 방식이 도움이 됐다니 정말 기쁘네요. 말씀하신 바와 관련해서 개인적으로 안타까운 점이 있는데요. 사실 수많은 언어학자들이 말씀하신대로 영어를 연구하고 논리적으로 분석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들을 학계에서만 공유하고, 일반 영어학습자들에게 알기쉽게 전달하려 하는 시도가 거의 없습니다. 반면에 영어교육에 있으신 분들은 언어학자들이 정리한 이지식들을 공부하려하기보다는, 직접적으로 영어를 티칭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들 (티칭 방법, 기술활용, 환경 등) 위주로 집중해서 연구하고 발전시키려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죠. 참고로, 영어의 예외사항들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룬 영상이 하나 있어서 링크를 공유해드립니다. th-cam.com/video/qd8otK68RAM/w-d-xo.htmlsi=Grew6_Q9t3Zg56r9 감사합니다.
저도 매번 영상을 만들고 보면, 한 영상에서 너무 많은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게 보여서 시청자분들께서 소화하기 어려우실까봐 항상 걱정입니다;; 그 와중에 시간이라도 줄여보겠다고 말도 빨라지고... 조금 더 천천히 그리고 더 쉽게 소화시킬 수 있는 양으로 나눠서 제작하는 방향도 고려 중입니다.
쌤~ 여~~ 이젠 너무 자주 얼굴을 보니깐 친근감이 너무 생기네요 ㅎㅎ 관계대명사 , 관계부사 싹다 정도 3번씩 하고 왔습니다. 역쉬 영어 또한 앞에서 순차씩이지 후치수식 이라는 건... 쌤 너무 간단한것 처럼 느껴지지만 정확히는 좀 헷갈리는 것 좀 여쭤 보고 싶어요. it , that , the , this , there is , there are , 왜 이걸 물어보냐면요. it 이 주어로 사용할때 아무 뜻이 없다 라고 하더라고요. 정확히 알고 싶어서요. 그리고 there is 또한 there 이 뜻이 없다라고 배우잖아요. 왠지 아닌것 같은거죠. ^^;;; 그리고 이건 제가 또 궁금증을 가지고 있는 건데요. 외국인이 한국에 수업을 할때. 특히 동사 부분에서 한국어론 / 공부하다 라고 쓰여있고 / 영어론 to study 라고 되여있더라고요. 흠..... 왠지 공부하기 위해 , 공부할려고 , 공부하기를 , 이렇게 해석이 되는건데 말이죠..
안녕하세요~ 먼저, it 이나 there 를 의미 없이 문법적 자리만 차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고 해서, 허사 (虛辭) 혹은 dummy pronoun 이라고 부르는 건 사실 언어학계에서는 중론입니다. 다만, 거기에 반대하는 의견도 적지 않게 있는데요. 그에 따르면 비인칭 주어 (날씨, 시간, 거리 등) 은 사실 의미 없이 자리만 차지하는 게 아니라, 문장 혹은 문맥 상에서 지시하는 바를 나타내는 거라고 주장합니다. 더 자세히 말하자면, 그건 문장 내에서는 명시적인 구성 요소로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암시적인 ‘전체적인 환경 혹은 상황’일 수도 있다는 거고, 그 건 온전히 화자의 언어직관 (머릿속) 에 기초를 둔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명백한 지시대명사의 예시인데요. 1. Stop it! (what you are obviously doing - 지금 니가 하고 있는 그거를). 2. Don't do it! (what you are obviously about to do- 지금 니가 하려고 하는 거를). 와 같이 it은 무엇을 가리키는 지 쉽게 파악이 가능하죠. 그러나 아래 예시들은 그게 문맥 상에서 혹은 화자의 머릿속에서 유추가 가능한 암시적인 ‘전체적인 환경 혹은 상황’ 을 it 을 통해 전달한다는 거죠. 1. It's 8:50 in the morning. (the moment when you are obviously looking at the time - 시계를 보고 있는 순간은). 2. It's raining. (wherever you obviously are - 지금 내가 있는 장소가). 3. It's an hour's drive from Liverpool to Manchester. (the obvious distance between these two cities - A에서 B 의 거리가). 추가로, 우리가 흔히 외치 / 도치락 말하는 문장의 it 역시 허사라고 말하는데, 그에 반대하는 언어학자들도 있습니다. It is an ill bird that fouls its own nest. - ‘자기 둥지를 더럽히는(망치는) 병든 (미치) 새다’. 라는 문장도 사실은 It that fouls its own nest is an ill bird. 와 같이 관계대명사를 사용한 문장인데 전달에 용이하게 단순히 복잡한 주어를 뒤로 옮긴 거 뿐이고, 이 it 역시 문장 내에서 지칭하는 바가 있다는 거죠. 하지만, 아무래도 이런 주장들이 모든 it 과 there 허사들의 활용들을 다 설명하긴 어렵다 보니, 어디까지나 이런 주장이 있다는 것만 알아두셨으면 좋겠습니다. 참고 문헌 Bolinger, D. (1973). Ambient it is meaningful too. Journal of Linguistics, 9(2), 261-270. Declerck, R. (2011). Studies on copular sentences, clefts and pseudo-clefts (Vol. 5). Walter de Gruyter. Mathurin, É. (2023). Is ambient it truly non-referential?. Reference: From conventions to pragmatics, 228, 53. 두번째로 영영사전에 나와있는 to 는 우리가 아는 to 부정사의 의미들을 나타내는게 아니라 영상에서 보여드린 ‘부정사’ 그 자체를 나타냄으로, 이 단어는 [1. 동사 이고 2. 그 원형은 to 이하와 같다] 라는 것을 밝히기 위한 수단으로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제가 고정댓글에 남긴 부분인데 현대에는 ‘부정사’ 는 to를 취하는 걸 일반적으로 여기기 때문에, to 부정사의 또 다른 이름이 full infinitive, 원형 부정사의 이름은 to 가 없다고 해서 bare infinitive (벌거벗은?) 과 같이 표현합니다. 즉, 바꿔말해 영어권 문법에서는 동사의 원형을 밝힐 때 기본적으로 to 를 같이 사용한다는 거죠. 수영하다 - to swim 과 같이 말이죠.
@@BilingualLAB 일단 한번에 이해를 못해서 여러번 읽어봤습니다. to 부정사에 대한 언급은 한번에 이해했고요. it / there 은 오~~ 그렇구나 ~ 하면서 읽었습니다. 이렇게 장문에 답변을 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TMI = 솔직히 물어볼때가 여기 밖에 없어요. ㅎㅎ
안녕하세요? 안그래도 영상을 제작하면서 이 talk 목적어 into 의 예문이 생각났었는데요, 더 많은 조사가 필요하겠지만, 이 표현은 그 짝이 되는 talk 목적어 out of 와 함께 일종의 비유적인 표현으로 보입니다. 즉, into -ing / out of -ing 와 같이 보통 부정적인 것의 안에 ‘빠지도록’ / 그 안에서 ‘빠져 나오도록’ - 말로 꼬셨다 / 설득했다 와 같은 뉘앙스를 나타내는 표현하게 위해 into / out of 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모든 강의 내용이 30년 동안 제가 궁금해 하던 부분이 많습니다. 일본의 영문법을 여과없이 받아들어 잘못된 영문법용어까지도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더욱 혼란스럽게 하니 안타깝습니다. 동영상 강의 하나하나 정리해서 자녀들에게 가르쳐주고 있는데 시각적인 자료는 한계가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자료를 책으로 엮어 발간해 주셨으면 합니다.
제가 다른 댓글에서 설명드린대로, “동사원형 (원형부정사) 의 기원이 동사적 명사 (특히 목적어)” 라는 건, 이미 수 많은 언어학자들이 밝혀내고 검증한 “사실” 이니, 그에 대한 코멘트는 생략하고, 명령문에 대해서는 몇가지 설이 있는데, 그 중 첫번째로, 명령문의 동사원형은 사실은 애초에 '동사원형' 즉 원형 부정사의 형태가 아니고 뒤에 어미를 떼어낸 명령법 (imperative mood) 의 흔적이라는 겁니다. 과거 고대영어시절부터 영어에는 말하는 화자의 심적 태도에 따라 indicative mood (직설법), subjunctive mood (가정법), imperative mood (명령법) 으로 나누고, 그에 따라 다른 동사의 어미를 사용했는데, 그중 명령법의 경우는 원형부정사 형태에서 -an 어미를 떼어낸 형태를 사용했고, 그 형태를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는 겁니다. 다만 이 경우는 앞서 설명드린 대로, 애초에 "동사원형 (원형부정사" 의 형태가 아닌 어미가 없는 동사의 형태라고 보는 게 적절합니다. 또 다른 설은 do 조동사에서 do 가 생략되었다는 설입니다. do 역시 고대영어부터 사용하던 사역동사로 현재의 make 와 같은 의미로 사용됐었는데 make 가 그 자리를 잃고 do는 사역동사로는 쓰이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do 가 사역동사로 쓰이던 활용이 현재의 조동사 do 와 같이 내려와서, (You) do be quiet! - 너 스스로를 조용하게 만들어라 - (현재도 사용되고 있는 형태) 와 같이 사용됐고, 그 do 가 생략되고, be quiet 로만 쓰인다는 설입니다. 혹시나 사역동사로 쓰이던 do 가 조동사 do 로 사용된 바에 대해서 근거없는 얘기로 받아들이실까봐, 관련 논문 링크를 남겨드리니 참고해주세요. docs.google.com/viewer?url=cm620.cafe24.com/data/thesis/1102103157184.pdf 혹은 You’ll be quiet 에서 'you will' 이 생략되었다 와 같은 방식으로, 그게 will 이 아니더라도, must 나 should 같은 말하는 사람의 심적태도를 나타내는 modal verb 가 생략된 의미라는 겁니다.
그러게말입니다 뭐든지 설명하는것처럼 말하면 자신이 잘 알고있는것처럼 생각하나봐요 젓가락으로 코를 쑤시면 절대그러면 안된다고하고 면봉으로 떡볶이 찍어 먹어도 그것도 안된다고 하는 문법예요 원인을 근본적으로설명하지못하고 비슷한걸 가져다가 맞춰봐서 맞으면 그게 답이라고하네요 언어의 근본이 드러나지못하고있어서그래요 천명의 강사들이 천개의 설명을 하고있죠
@@user-globalgrammar2752 먼저, 더 쉬운 방법을 놔두고 복잡하게 설명한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굳이 그 기원을 밝혀 현상을 설명하려는 제 접근방식, 혹은 제 전달력의 문제일 수 있으니 겸허히 받아드릴 수 있는 부분이라 굳이 코멘트를 안했지만, 태석님께서 말씀하신, “뭐든지 설명하는것처럼 말하면 자신이 잘 알고있는것처럼 생각한다”, “원인을 근본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 등과 같은 코멘트에는 한마디 해드려야 할 거 같아서 글을 남깁니다. 제가 영상에서 말씀드린 “동사원형 (원형부정사) 의 기원이 동사적 명사 (특히 목적어)” 라는 건, 제 개인적인 생각이 아닌 이미 수 많은 언어학자들이 밝혀내고 검증한 “사실” 입니다. 뭐 일반 영어강사들은 잘 모르는 사실이다 보니, 말씀하신 대로 천명의 강사들이 천개의 설명을 하고있겠지만, 언어학자들은 100명 중 100명이면 다 아는 사실입니다. 굳이 이런 트집을 잡으실 분들이 계실까봐, 영상설명란에 제가 참고한 논문들의 출처를 나열해놨음에도, 근본도 없는 생각들을 현상에 끼워맞춘다는 식으로 매도하시는 건 적절치 않다 판단됩니다. 이해하시기 쉽도록 한글로 된 관련 논문 링크를 드리니, 잘 한 번 읽어보시고 무엇이 동사원형의 근본인지 배우시는 시간이 됐으면 좋겠네요. dl.nanet.go.kr/SearchDetailView.do?cn=KDMT1201249891#none ‘원문보기’ 를 누르시면 논문을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p.6)
1. 촬영 초반에는 천천히 말을 하려고 노력했으나, 촬영본을 보니 , 또 말이 너무 빨라졌네요. 전달하고자 하는 바가 너무 많다 보니, 조금이나마 영상 시간을 줄이고자 욕심을 부린 거 같습니다. 말이 너무 빨라서 이해하시는데 방해가 되시거든 설정에서 재생속도를 조절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다음엔 더 신경써서 천천히 전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신규 방문자분들을 위해서 [커뮤니티 탭] 에 제 채널의 영상시청 가이드라인을 남겨뒀으니, '채널 사용설명서' 많은 활용 부탁드립니다.
3. 조동사 사용설명서 링크 : th-cam.com/video/hZpPkcKEEN4/w-d-xo.html (1편) ~
1:06 영어문법에서 부정사는 to 와 쓰이는게 기본값처럼 여겨지다 보니, 영어로는 이 to 부정사를 full infinitve, 즉 ‘완전 부정사’ 라고 부르기도 하고, 같은 이유로 원형 부정사는 이 앞에 있어야할 to 가 없다는 의미로, bare infinitve, 즉 아무것도 걸치지 않은 부정사,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영상에서 설명드렸듯이 원형부정사는 TO가 생략된 게 아니고 처음부터 그 형태였습니다.
2:21 고대영어에서 부정사 어미는 -an 뿐 아니라, -on ,- a 의 형태도 존재했습니다. (e.g., be 동사 부정사 - ‘bēon’ )
3:26 조동사가 TO 부정사와 쓰이지 않는 이유 중 하나로, TO 부정사가 이미 modal verb의 의미를 전달하고 있기에 중복되서 고대영어 형태 그대로 TO 없이 동사원형으로 사용한다는 설도 있습니다.
+조동사 be 와 have 가 같은 조동사이더라도, 동사원형과 쓰이지 않는 이유는 이녀석들은 단지 문장역할만 본동사를 돕는 조동사로, 화자의 심적태도 (mood) 를 나타내는 법조동사 (modal verb)의 역할은 없기 때문입니다.
5:11 고대영어 TO 부정사 어미는 -enne 외에도 -anne, - an 형태 등도 to 뒤에서 사용됐었고, 중세영어에서는 순차적으로 ’n’ 을 소실, ‘e’ 도 소실하고 현재의 형태가 되었습니다.
5:35 동일한 건 아니지만 비슷한 예를 들어보자면,, 현대의 look forward to (~을 학수 고대하다) 나, be used to (~에 익숙하다) 는 전치사 to 뒤에 명사 뿐 아니라, 동명사도 함께 사용되고 있는데, (look forward to the party / look forward to seeing you) 어떤 이유로, 후대에 이 동명사 뒤 ing 를 떼어내고 그냥 ‘look forward to see you’ (X) 와 같이 사용하기 시작하게 됐다고 상상해보시면 얼추 이해가 되실 거 같아요.
7:14 ‘사역’ 이라는 단어의 뜻은 ‘남을 부리어 일을 시킨다’ 는 단어인데 왜 ‘허가’ 의 의미를 지닌 let 이 포함되어있는지 의아하게 생각하신 분들이 많으셨 거에요. 이 ‘사역동사’ 라는 용어는 일본의 영어학자가, 일본어의 ‘사역형’ 이라는 문법용어에서 옮겨온 것으로 추측되는데, 사실 이 일본어의 ‘사역형’ 이라는 용어는 단지 “남이 뭐뭐하게 하다” 라는 개념으로 ‘강제,뿐 아니라, 허용, 허가, 방임, 유발’ 등 다양한 의미와 뉘앙스를 다 포함하고 있는 개념이다 보니, 일본어 화자들 입장에서는 이 ‘사역동사’ 라는 용어에 ‘let’ 이 들어가있는게 전혀 이상한게 없었을 거고, 그 용어가 그대로 한국영문법에 소개되서 지금처럼 쓰고 있는 현실인거죠.
13:48 Don’t allow me fall 이라는 표현이 가능한 문맥이 있는데, 신에게 “유혹이 빠지지 말게 하옵소서 / Don’t allow me fall into temptation” 와 같이 신이 내 의지를 통제한다는 전제에, 신에게 내가 그런 그릇된 행동을 하는 것을 허락하지 말라는 뉘앙스를 전달합니다.
14:42 force, persuade 와 같은 동사의 경우, 그 뉘앙스 상 ‘그런데 안했다’ 는 부자연스럽긴 하지만, 여러 위협에도 불구하고, 그 강요를 거부하는 경우, ‘He was forced to stop the machine, but he refused.’ 와 같은 문장이 불가능한 건 아닌 거로 보여집니다. 추가로, 이 force 나 persuade 역시 주어가 먼저 그 방법을 취하고, 후에 목적어가 그걸 실행한다는 비동시성의 뉘앙스를 전달합니다.
26:08 법정에서 증인이 증언을 할 때는 본인이 직접 봤음에도, He was seen to ~ 와 같이 수동태를 사용하는데, 주관적인 견해를 배제하고 3자의 입장, 즉 객관성을 강조하고자 함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추가 : 과거 고대영어시기에는 do 가 make의 의미처럼 causative 동사의 역할로 쓰였었는데요, 후에, make가 그 자리를 대체하며 지금은 그 역할을 잃었는데, 흥미롭게도, 연구에 따르면 그 causative 동사 do 의 역할 중 일부가 지금 우리가 쓰는 조동사 do 의 형태로 남아서 내려오고 있고, 그래서 이 조동사 do 역시 원형부정사를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대한 설명은 간략하게 설명드리기가 어려워서, 관련 논문 (한글) 링크를 남겨놓을테니, 혹시 관심있으신 분은 고정댓글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docs.google.com/viewer?url=cm620.cafe24.com/data/thesis/1102103157184.pdf
강의를 다 듣고 나니 절대 잊혀지지 않을 것 같은 느낌이 들정도입니다.
사역동사 지각동사 시험치러 가면 그냥 술술 풀릴거 같은 느낌이 드네요.
이 강의를 준비하시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하셨을지 감히 짐작하지 못할 정도로 많은 고생을 하셨을 것 같습니다.
좋은 강의 듣게[ 해 주셔서 정말 감사 합니다.
사실 이 동사원형은 다른 주제들에 비해서 정말 많은 조사가 필요해서 영상제작에 많은 시간이 걸렸네요. 그래도 이렇게 제가 들인 정성과 노력을 알아봐주시니 정말 보람있네요. 감사합니다~:)
유튜브를 통해 이런 고퀄 강의를 들을 수 있음에 정말 행복한 1인입니다.쌤 감사하고 또 감사합니다~^^
저야말로 제 영상의 가치를 알아봐주시니 정말 감사합니다~
영상 퀄리티가 진짜.. 대단하십니다!
@@섭호-r1n 안녕하세요? :) 어렵고 지루할 수도 있는 내용인데 제 컨텐트의 가치를 알아봐주시니 정말 기쁘고 보람을 느낍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선생님의 강의는 쉽게 만드신 강의가 아니라 공부하시고 고민하시고 애써서 만드신 느낌이 들어서 매번 너무 감사한 마음입니다!! 휴가로 밀린 영상들 중에 선생님 강의를 제일 먼저 눌러서 시청하게 됩니다^^
와.. 제 채널이 1순위라니 정말 감동이네요 :) 항상 따뜻한 댓글을 남겨주셔서 제게 큰 힘이 됩니다. 정말 감사드려요
영상 덕분에 영문법에 대한 이해가 퀀텀 점프 한거 같아요~~감사합니다..다음 영상이 또 기다려집니다~~~
와~퀀텀 점프라니! 제 영상이 근본적으로 영문법을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됐다니 정말 보람있네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이 강의 어제부터 지금까지 3번을 들었습니다. 표현위주의 감각적(?) 영어공부로 시작했는데 그러다 보니 문법적 베이스가
다시 또 필요함을 느껴서 문법서적과 온라인문법 강의를 전전하다 어제 이렇게 선생님의 이 원형부정사 강의를 접하고
뭔가 새롭게 신대륙을 발견한 느낌이 들어 정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정댓글에서도 helping verb 역할을 하지만 modal verb 가 be / have 와 어떻게 다른지 왜 뒤에 원형부정사 또는 변화된 동사가 오는지 알게 되어 정말 기쁩니다.
이 lecture 제작하시느라 큰 수고를 해주심에 진심으로 존경과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PS) 그리고 선생님 이 강의 탐독하고 더 느낀것이 있는데요.
영어에서 문법 공부라는 것이 어떤 즉흥적 기계적 암기나 조건반사식 지식습득이 아니라
어떤면에서는 논리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철학적이고 사변적인 인문학이라는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먼저 소중한 후원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렇게 제 컨텐츠들의 가치를 알아봐주시고 높게 평가해주시니 큰 보람을 느낍니다.
추가로 PS 부분 관련하여, Bolinger 라는 언어학자는 "모든 언어 요소는 형태가 있으면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고 주장을 하는데, 말씀하신대로 우리가 기계적으로만 암기하고 있던 문법 요소들 역시, 사실은 다 각각의 고유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이 점을 한국의 영어교육에서는 간과하는듯 하여 참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한 번 더 소중한 후원에 감사드립니다!
평생 헷갈리던 내용을 이렇게 한번에 정리해주고 이해할수 있도록
강의는 처음 입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도움이 됐다니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 :)
짝짝짝! 한방에 이해했어요~ 감사합니다.
어려운 주제라 영상제작을 하면서도 걱정이 많았는데, 잘 전달된듯해서 다행이네요. 감사합니다~
그동안 영어배울때 마다 영어는 무슨 예외가 더 많은건지 하고 의심이 많아서 공부하기가 정말 싫었었는데... 이 강의는 정말 속이 뻥 뚫리는 시원한 과학적이어서 너무 재밌고 이해도 잘됩니다. 참고로 전 수학은 100점 영어는 50점이었었습니다...(처음으로 논리적으로 설명을 해주시는 분을 뵙게 되어서 영광입니다~~)
제가 영어를 설명하는 방식이 도움이 됐다니 정말 기쁘네요. 말씀하신 바와 관련해서 개인적으로 안타까운 점이 있는데요.
사실 수많은 언어학자들이 말씀하신대로 영어를 연구하고 논리적으로 분석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들을 학계에서만 공유하고, 일반 영어학습자들에게 알기쉽게 전달하려 하는 시도가 거의 없습니다.
반면에 영어교육에 있으신 분들은 언어학자들이 정리한 이지식들을 공부하려하기보다는, 직접적으로 영어를 티칭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들 (티칭 방법, 기술활용, 환경 등) 위주로 집중해서 연구하고 발전시키려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죠.
참고로, 영어의 예외사항들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룬 영상이 하나 있어서 링크를 공유해드립니다.
th-cam.com/video/qd8otK68RAM/w-d-xo.htmlsi=Grew6_Q9t3Zg56r9
감사합니다.
최고 최고 최고 최고 최고 최고
와 어마어마하다
선생님
하느님의 은총과 축복이 함께 하시길
와~ blessing 정말로 감사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한 일만 가득하시길 ~
항상 믿고 듣는 강의입니다. ^^ 오늘도 좋아요❤입니다. 고대 영어의 어미 변화가 현대 독일어와 비슷한 것 같습니다. 같은 게르만 계열언어라 그러한 것이겠지요. 선생님의 연구와 노력에 경의를 표합니다. 감사합니다.
네, 말씀하신대로, 고대영어자체가 기본적으로 Proto-West German 언어에서 기원했기에 현대 독일어와 유사한 부분들이 참 많았죠. 이번 조사를 위해 적지않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는데, 그걸 알아봐주시니 기쁘네요 :) 감사합니다~
항상 드는 감사의 작은 성의 표시로 더운데 아이스 아메리카노 라도 드시라고 보내드립니다.
아니, 세상에!! 제가 유튜브 시작하고 처음으로 받은 Super Thanks 입니다. 정말 역사적인 순간이네요... 말로 표현하기 힘들정도로 감동이고 감사드립니다. 선물과 응원에 정말로 감사드리고, 더욱 힘내서 계속 좋은 영상으로 보답하겠습니다.
쌤~~ 관계대명사 관련 영상도 너무 듣고 싶어요. 후치수식이 존재하는게 맞는건지 아니면 설명하는건지 너무 궁금해요.
@@배우기-j2y 전에 다룬 관계대명사 영상이 있어서 링크 공유해드립니다~ :)
th-cam.com/video/FBrefwdbwr4/w-d-xo.htmlsi=QjEvbgdBvqoOtD_H
이렇게 좋은 강의를 다 소화 못하는 내가 미울 뿐이네요. ㅠ_ㅠ 항상 감사드립니다.
저도 매번 영상을 만들고 보면, 한 영상에서 너무 많은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게 보여서 시청자분들께서 소화하기 어려우실까봐 항상 걱정입니다;; 그 와중에 시간이라도 줄여보겠다고 말도 빨라지고... 조금 더 천천히 그리고 더 쉽게 소화시킬 수 있는 양으로 나눠서 제작하는 방향도 고려 중입니다.
쌤~ 여~~ 이젠 너무 자주 얼굴을 보니깐 친근감이 너무 생기네요 ㅎㅎ 관계대명사 , 관계부사 싹다 정도 3번씩 하고 왔습니다. 역쉬 영어 또한 앞에서 순차씩이지 후치수식 이라는 건...
쌤 너무 간단한것 처럼 느껴지지만 정확히는 좀 헷갈리는 것 좀 여쭤 보고 싶어요.
it , that , the , this , there is , there are , 왜 이걸 물어보냐면요. it 이 주어로 사용할때 아무 뜻이 없다 라고 하더라고요. 정확히 알고 싶어서요. 그리고 there is 또한 there 이 뜻이 없다라고 배우잖아요. 왠지 아닌것 같은거죠. ^^;;; 그리고 이건 제가 또 궁금증을 가지고 있는 건데요.
외국인이 한국에 수업을 할때. 특히 동사 부분에서
한국어론 / 공부하다 라고 쓰여있고 / 영어론 to study 라고 되여있더라고요.
흠..... 왠지 공부하기 위해 , 공부할려고 , 공부하기를 , 이렇게 해석이 되는건데 말이죠..
안녕하세요~
먼저, it 이나 there 를 의미 없이 문법적 자리만 차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고 해서, 허사 (虛辭) 혹은 dummy pronoun 이라고 부르는 건 사실 언어학계에서는 중론입니다. 다만, 거기에 반대하는 의견도 적지 않게 있는데요. 그에 따르면 비인칭 주어 (날씨, 시간, 거리 등) 은 사실 의미 없이 자리만 차지하는 게 아니라, 문장 혹은 문맥 상에서 지시하는 바를 나타내는 거라고 주장합니다. 더 자세히 말하자면, 그건 문장 내에서는 명시적인 구성 요소로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암시적인 ‘전체적인 환경 혹은 상황’일 수도 있다는 거고, 그 건 온전히 화자의 언어직관 (머릿속) 에 기초를 둔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명백한 지시대명사의 예시인데요.
1. Stop it! (what you are obviously doing - 지금 니가 하고 있는 그거를).
2. Don't do it! (what you are obviously about to do- 지금 니가 하려고 하는 거를).
와 같이 it은 무엇을 가리키는 지 쉽게 파악이 가능하죠. 그러나 아래 예시들은 그게 문맥 상에서 혹은 화자의 머릿속에서 유추가 가능한 암시적인 ‘전체적인 환경 혹은 상황’ 을 it 을 통해 전달한다는 거죠.
1. It's 8:50 in the morning. (the moment when you are obviously looking at the
time - 시계를 보고 있는 순간은).
2. It's raining. (wherever you obviously are - 지금 내가 있는 장소가).
3. It's an hour's drive from Liverpool to Manchester. (the obvious distance between
these two cities - A에서 B 의 거리가).
추가로, 우리가 흔히 외치 / 도치락 말하는 문장의 it 역시 허사라고 말하는데, 그에 반대하는 언어학자들도 있습니다.
It is an ill bird that fouls its own nest. - ‘자기 둥지를 더럽히는(망치는) 병든 (미치) 새다’. 라는 문장도 사실은
It that fouls its own nest is an ill bird. 와 같이 관계대명사를 사용한 문장인데 전달에 용이하게 단순히 복잡한 주어를 뒤로 옮긴 거 뿐이고, 이 it 역시 문장 내에서 지칭하는 바가 있다는 거죠.
하지만, 아무래도 이런 주장들이 모든 it 과 there 허사들의 활용들을 다 설명하긴 어렵다 보니, 어디까지나 이런 주장이 있다는 것만 알아두셨으면 좋겠습니다.
참고 문헌
Bolinger, D. (1973). Ambient it is meaningful too. Journal of Linguistics, 9(2), 261-270.
Declerck, R. (2011). Studies on copular sentences, clefts and pseudo-clefts (Vol. 5). Walter de Gruyter.
Mathurin, É. (2023). Is ambient it truly non-referential?. Reference: From conventions to pragmatics, 228, 53.
두번째로 영영사전에 나와있는 to 는 우리가 아는 to 부정사의 의미들을 나타내는게 아니라 영상에서 보여드린 ‘부정사’ 그 자체를 나타냄으로, 이 단어는 [1. 동사 이고 2. 그 원형은 to 이하와 같다] 라는 것을 밝히기 위한 수단으로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제가 고정댓글에 남긴 부분인데 현대에는 ‘부정사’ 는 to를 취하는 걸 일반적으로 여기기 때문에, to 부정사의 또 다른 이름이 full infinitive, 원형 부정사의 이름은 to 가 없다고 해서 bare infinitive (벌거벗은?) 과 같이 표현합니다. 즉, 바꿔말해 영어권 문법에서는 동사의 원형을 밝힐 때 기본적으로 to 를 같이 사용한다는 거죠. 수영하다 - to swim 과 같이 말이죠.
@@BilingualLAB 일단 한번에 이해를 못해서 여러번 읽어봤습니다. to 부정사에 대한 언급은 한번에 이해했고요. it / there 은 오~~ 그렇구나 ~ 하면서 읽었습니다. 이렇게 장문에 답변을 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TMI = 솔직히 물어볼때가 여기 밖에 없어요. ㅎㅎ
질문 있습니다.
he pursuades me to buy the things.
he convinces me to buy the thing.
그런데 왜 he talks me INTO buying the things?? talk은 into를 쓰나요?
안녕하세요? 안그래도 영상을 제작하면서 이 talk 목적어 into 의 예문이 생각났었는데요, 더 많은 조사가 필요하겠지만, 이 표현은 그 짝이 되는 talk 목적어 out of 와 함께 일종의 비유적인 표현으로 보입니다. 즉, into -ing / out of -ing 와 같이 보통 부정적인 것의 안에 ‘빠지도록’ / 그 안에서 ‘빠져 나오도록’ - 말로 꼬셨다 / 설득했다 와 같은 뉘앙스를 나타내는 표현하게 위해 into / out of 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책을 내시면 구매해볼게요
감사합니다! ❤
모든 강의 내용이 30년 동안 제가 궁금해 하던 부분이 많습니다. 일본의 영문법을 여과없이 받아들어 잘못된 영문법용어까지도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더욱 혼란스럽게 하니 안타깝습니다. 동영상 강의 하나하나 정리해서 자녀들에게 가르쳐주고 있는데 시각적인 자료는 한계가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자료를 책으로 엮어 발간해 주셨으면 합니다.
말씀하신 부분들에 대해 100프로 공감합니다. 현재 책은 작업 중에 있습니다.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
정리하여 책으로 출판하면 더 보기 쉬월하리라 생각합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교재 준비 중에 있습니다. :)
조금은 어렵네요 ㅜ..ㅜ
네, 맞아요 ㅠㅠ 왜 동사원형을 쓰게 됐는지 영어의 변천사로 설명드리다 보니, 굳이 알지 않아도 되는 정보들이 많아서 되려 혼란을 드린 부분도 있는 거 같아요.
동사원형이 목적어라구요?
그럼 명령문의 동사원형도 목적어인가요?
제가 다른 댓글에서 설명드린대로, “동사원형 (원형부정사) 의 기원이 동사적 명사 (특히 목적어)” 라는 건, 이미 수 많은 언어학자들이 밝혀내고 검증한 “사실” 이니, 그에 대한 코멘트는 생략하고,
명령문에 대해서는 몇가지 설이 있는데,
그 중 첫번째로, 명령문의 동사원형은 사실은 애초에 '동사원형' 즉 원형 부정사의 형태가 아니고 뒤에 어미를 떼어낸 명령법 (imperative mood) 의 흔적이라는 겁니다. 과거 고대영어시절부터 영어에는 말하는 화자의 심적 태도에 따라 indicative mood (직설법), subjunctive mood (가정법), imperative mood (명령법) 으로 나누고, 그에 따라 다른 동사의 어미를 사용했는데, 그중 명령법의 경우는 원형부정사 형태에서 -an 어미를 떼어낸 형태를 사용했고, 그 형태를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는 겁니다.
다만 이 경우는 앞서 설명드린 대로, 애초에 "동사원형 (원형부정사" 의 형태가 아닌 어미가 없는 동사의 형태라고 보는 게 적절합니다.
또 다른 설은 do 조동사에서 do 가 생략되었다는 설입니다. do 역시 고대영어부터 사용하던 사역동사로 현재의 make 와 같은 의미로 사용됐었는데 make 가 그 자리를 잃고 do는 사역동사로는 쓰이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do 가 사역동사로 쓰이던 활용이 현재의 조동사 do 와 같이 내려와서, (You) do be quiet! - 너 스스로를 조용하게 만들어라 - (현재도 사용되고 있는 형태) 와 같이 사용됐고, 그 do 가 생략되고, be quiet 로만 쓰인다는 설입니다. 혹시나 사역동사로 쓰이던 do 가 조동사 do 로 사용된 바에 대해서 근거없는 얘기로 받아들이실까봐, 관련 논문 링크를 남겨드리니 참고해주세요.
docs.google.com/viewer?url=cm620.cafe24.com/data/thesis/1102103157184.pdf
혹은 You’ll be quiet 에서 'you will' 이 생략되었다 와 같은 방식으로, 그게 will 이 아니더라도, must 나 should 같은 말하는 사람의 심적태도를 나타내는 modal verb 가 생략된 의미라는 겁니다.
감복했습니다😮😮😮 선생님 그냥 유료로 전환하세요.
제 컨텐츠의 가치를 알아봐주시니 정말 기쁘네요. 😄 감사합니다.
알림 취소합니다 더쉬운 방법을 놔두고 뭘이렇게 복잡하게스리
그러게말입니다
뭐든지 설명하는것처럼 말하면 자신이 잘 알고있는것처럼 생각하나봐요
젓가락으로 코를 쑤시면
절대그러면 안된다고하고
면봉으로 떡볶이 찍어 먹어도 그것도 안된다고 하는 문법예요
원인을 근본적으로설명하지못하고
비슷한걸 가져다가 맞춰봐서 맞으면 그게 답이라고하네요
언어의 근본이 드러나지못하고있어서그래요
천명의 강사들이 천개의 설명을 하고있죠
@@user-globalgrammar2752
먼저, 더 쉬운 방법을 놔두고 복잡하게 설명한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굳이 그 기원을 밝혀 현상을 설명하려는 제 접근방식, 혹은 제 전달력의 문제일 수 있으니 겸허히 받아드릴 수 있는 부분이라 굳이 코멘트를 안했지만,
태석님께서 말씀하신, “뭐든지 설명하는것처럼 말하면 자신이 잘 알고있는것처럼 생각한다”, “원인을 근본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 등과 같은 코멘트에는 한마디 해드려야 할 거 같아서 글을 남깁니다.
제가 영상에서 말씀드린 “동사원형 (원형부정사) 의 기원이 동사적 명사 (특히 목적어)” 라는 건, 제 개인적인 생각이 아닌 이미 수 많은 언어학자들이 밝혀내고 검증한 “사실” 입니다. 뭐 일반 영어강사들은 잘 모르는 사실이다 보니, 말씀하신 대로 천명의 강사들이 천개의 설명을 하고있겠지만, 언어학자들은 100명 중 100명이면 다 아는 사실입니다.
굳이 이런 트집을 잡으실 분들이 계실까봐, 영상설명란에 제가 참고한 논문들의 출처를 나열해놨음에도, 근본도 없는 생각들을 현상에 끼워맞춘다는 식으로 매도하시는 건 적절치 않다 판단됩니다. 이해하시기 쉽도록 한글로 된 관련 논문 링크를 드리니, 잘 한 번 읽어보시고 무엇이 동사원형의 근본인지 배우시는 시간이 됐으면 좋겠네요.
dl.nanet.go.kr/SearchDetailView.do?cn=KDMT1201249891#none
‘원문보기’ 를 누르시면 논문을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p.6)
조용히 꺼지세요. 아낌없이 지식 나눠주시는 강사님께 무례하게 굴지 마십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