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독 일본에 오래된 기업이 많은 이유 [이창민의 일본정독 2화]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2 เม.ย. 2024
  • 일본의 역사를 이야기해주는 이창민 교수의 일본정독🚩
    매주 일요일 오전 8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삼프로TV의 교육 브랜드 - 위즈덤 칼리지
    위즈덤 칼리지는 "삼프로TV" 앱과 웹사이트에서 만나실 수 있습니다.
    ■ 모바일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TV"를 검색하시어 설치하세요.
    ■ PC : apps.3protv.com/ 로 접속하세요.
    네이버에 "삼프로TV"를 검색하셔도 됩니다.
    📞고객센터 : 02-2118-0707
    ★ 광고문의 : ad@3protv.com
    ★ 광고문의 : 010-2090-6748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1

  • @ytking6427
    @ytking642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정말 좋은 내용입니다

  • @user-vh1oz8px4t
    @user-vh1oz8px4t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경제공부로 좋은 내용이네요!

  • @lidayemang
    @lidayem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다음이야기기대합니다.👏👏👏👍

  • @freddiebae2080
    @freddiebae208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일본역사 책 보면 맨날 인물중심이어서 몰입도 안되고 재미도 없었는데, 이렇게 경제사로 풀어 가니 너무 재미있습니다.

  • @mukjjang2
    @mukjjang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재밌어요

  • @user-lc2ls8cx6j
    @user-lc2ls8cx6j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도쿄에서 20년 이상 살고 있습니다.이렇게 경제적 역사를 구체적으로 알게해줘서 감사합니다.

  • @user-ux6dv7lq1c
    @user-ux6dv7lq1c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역시 남달라요~ 탁월합니다

  • @acadclinton
    @acadclinto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조선과 일본을 조선시대 앞의 200년만 잘라보면 조선이 훨씬 성공적인 국가였고 뒤에200년만 잘라보면 일본이 훨씬 성공적인 국가였다. 아즈모을루가 “좁은 회랑” 에서 말하듯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은 무엇하나 정답이 있는게 아니라 그사이에서 줄타기하는게 중요하다. 지방분권이 과했던 일본은 전국시대백년의 대참사를 맞게되고 중앙집권이과한 조선은 시장경제가 발달하지못하고 국치를 맞이한다. 따라서 통치세력은 중앙집권 지방분권 한쪽을 고집할게아니라 현재상황에맞게 판단을 해야한다. 시장경제가 발달한 강호시대 덕천막부의 역할은 지방분권을 더 강화한게아니라 오히려 중앙집권을 강화한 것이다 그때 그나라는 지방분권을 더 강화했다간 다시 백년 내전시대로 되돌아가기때문.

    • @jiseo6298
      @jiseo629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조선과 일본이 다른길을 가는 가장 강하고 큰이유이죠. 영상의 다른 설명은 그냥 곁가지이죠.

    • @sunglee3935
      @sunglee393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덕천막부는 자기가 잡았으니까 중앙집권을 강화한거지 계속 권력 잡고있으려고

    • @153wonchi
      @153wonch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아쉬운것은 조선은 지금까지도 중앙집권을 버리지못하고 지방소멸이란 망국병을 이겨내지 못하고 있음. 일본의 지방개발과 비교가 안됨.

  • @user-uv1kc1pd8x
    @user-uv1kc1pd8x 15 วันที่ผ่านมา

    미곡 선물시장이 일제시대 조선에서 성행하고 있었다. 삼성의 이병철 등이 미곡선물 거래를 했다. 미곡선물거래 시장에서 팔려나간 미곡을 일본으로 실어갔고, 이걸 지금은 일제의 미곡수탈이라고 부른다.

  • @chanukchoi4413
    @chanukchoi4413 8 วันที่ผ่านมา

    한국하고 일본 상속세가 50%이상으로 전세계에서 가장 높은데, 어떻게 상속세를 내면서 살아남을 수 있나요

  • @WQW75share-vh5my
    @WQW75share-vh5my 19 วันที่ผ่านมา +1

    진주만 이후로 핵이 더 필요했지.

  • @user-dq4it7nl9q
    @user-dq4it7nl9q 29 วันที่ผ่านมา +4

    와 저 시대에 주식이랑 선물거래를 벌써 햇네..
    조선통신사 오는거 보면 얼마나 한심해 보였을까....

  • @user-jj6em1is3v
    @user-jj6em1is3v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정조가 요절하지 않았어도 일본에 비비기는 어림없었을듯

    • @user-me8nb2uw7c
      @user-me8nb2uw7c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정조 자체도 훌륭한 임금이 아닙니다.

    • @sovereigntylux
      @sovereigntylux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user-me8nb2uw7c 과대평가되었죠 ㅋ

    • @seosSEO
      @seosSEO 28 วันที่ผ่านมา +2

      @@sovereigntylux 맞습니다. 정조 뿐만 아니라 그의 핳아버지 영조 또한 현대에 들어와서 과대 포장된 인물 입니다.

  • @shoyamada-sd9ij
    @shoyamada-sd9ij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조가 바뀌면서 엄청난 변화로인하여 엄청난 국력을 소모하였고, 국가 재건에 엄청난 시간이 소요되었으니..
    어느정도 국가가 정비 되었을때 조선 전지역이 임진왜란으로 황폐화 되어버려 국가 재건에 모든 시간을 쏟아 부어야 했으니..
    일본은 전국시대와 임진왜란을 거치며 지역 번주들이 약화되어 에도막부가 통일하여 통치하기 좋은 시대가 되었고, 전장이 일본 국내가 아닌 조선이었기에 모든 농업기반은 전혀 피해를 입지 않았으니.. 또한 전국시대라 하여도 농인과 농지에서의 전쟁은 없었으니..
    견제세력이 없는 에도막부 통일로인하여 평화로운 시대가 이어졌고, 지금도 고향, 출신을 국(国 쿠니)이라고 표현을 사용하듯, 일본열도내에 여러 국가가 존재하는것과같은 번주사이에 상거래가 왕성하게 이루어지면서.. 상업이 발달할 수 있게 된듯..
    조선은 임진왜란의 전장으로 폐허가된 국토를 재건하여야 했고, 강한 유교문화로 인하여 상업이 발달 할 수가 없었고... 어느정도 국가정비가 되었을때는 이미 일본에 많이 뒤쳐저 있는 상황이 되어 있었으니..
    에도시대의 일본 동경(에도)의 규모는 세계에서 제1도시 크기까지 성장하였고 인구, 경제 규모가 우리나라와는 엄청난 격차를 보이는 엄청난 국가가 되어버렸으니..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가면서 국력을 소모하였고, 임진왜란으로 국토는 폐허가 되었고 엄청난 국력을 소모 하였으니.. 고려 이후 거의 500년간 발전할 시간이 없었으니..국가 재건을 위해 어쩔 수 없이 폐쇄적이고 강력한 관리감독을 하게되어 더더욱 발전을 할 수가 없게 되어버렸으니..
    그 이후, 일제식민지로 빠른 시대변화에서 뒤쳐지게 되었고.. 일제의 패전의 결과로 남북이 분단되어 625발발로 인하여 또다시 전국토가 폐허가 되었으니..
    1600년 이후, 일본에 의해 조선, 한국은 발전의 기회를 잃게 되었고 전국토가 폐허가 되었으니..

    • @user-xm6wr6cf9w
      @user-xm6wr6cf9w 21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럴싸하게 일반화하셨네요.

    • @shoyamada-sd9ij
      @shoyamada-sd9ij 21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xm6wr6cf9w ㅋㅋ 이정도 수준이면 쓸만한듯한데...ㅋㅋ 너정도가 대충 그럴싸하게 알아들은걸 보면..ㅋㅋ

    • @shoyamada-sd9ij
      @shoyamada-sd9ij 21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xm6wr6cf9w ㅋㅋ 이정도면 그럴싸한듯하네... 너같은게 그럴싸하게 알아들은걸 보면...ㅋㅋ

    • @shoyamada-sd9ij
      @shoyamada-sd9ij 21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xm6wr6cf9w ㅋㅋ 그럴싸한게 쓴듯 하네.. 너같은게 대충 알아 들은것 같으면....ㅋ

    • @user-kn8zf2vh4h
      @user-kn8zf2vh4h 19 วันที่ผ่านมา

      갈!!!!!!!!!!! 변명은 추할뿐이다.... 朝鮮人

  • @user-xm6wr6cf9w
    @user-xm6wr6cf9w 21 วันที่ผ่านมา

    오래된 기업이 일본에 많다가 아니었군요.
    한 가지 부탁이 있습니다.
    '노포'란 용어를 쓰시던데 외래어표기법에 따라 '시니세'라고 하심이...
    시니세의 한자 '老舗'를 음독한 것이 '노포'이지 않겠습니까?
    일본인에게 '노포'라고 알아듣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겠습니까?

  • @cometfi2298
    @cometfi229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솔직히 상업은 발달했어도 세밀한 기술은 한국에서 넘어간게 많았지
    임진왜란전까지도 도자기 하나 못만들던곳이니
    그러니 한번배운 기술을 잃어버리지않을려고 장인 장수기업들이 많은거 아닌지

  • @rainbowsea9679
    @rainbowsea967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대륙에서 떨어져 홀로 폐쇄된 공간인 섬이라는 것으로 인해 치열한
    경쟁이 없었다고 봐야 . . .
    그런 이유로 특별히 장인정신이 필요없는 품목이나 업종이 수천년 존속하는
    독특한 장수기업들이 많다고 봐야 . . .

    • @rockugotcha
      @rockugotcha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다 보신 거 맞아요?

    • @utlandboy
      @utlandbo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영상 내용과 전혀 동떨어진 ㅋㅋㅋㅋㅋ

    • @wannasleep44
      @wannasleep4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영상 내용은 걍 기업들이 존나게 많이 나와서 개중 1%만 살아남았는데도 숫자가 많더라 그런 이야기 아님?

  • @user-yj1zc3ly2d
    @user-yj1zc3ly2d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이프로말고 정프로가 잼나는데...

    • @user-yc1mf4wj3f
      @user-yc1mf4wj3f 19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럼 정프로꺼만 봐 여기다 글 적지 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