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눗셈의 두 가지 의미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 ก.พ.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5

  • @Hellowhatwhatttpo
    @Hellowhatwhatttpo ปีที่แล้ว +3

    문득 나누기에 대해서 찾아보다가 우연히 영상 봤는데 되게 좋은 수업이네요.. 저 아이들 운이 되게 좋은 것 같습니다

    • @kdy
      @kdy  ปีที่แล้ว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ㅎㅎㅎ

  • @ur.t5127
    @ur.t5127 2 ปีที่แล้ว +2

    나눗셈 두가지 상황만 늘 소개했는데 곱셈으로도 두가지 생각할 수 있다는 방법 좋네요..많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 @kdy
      @kdy  2 ปีที่แล้ว +1

      어디서도 안 가르쳐주길래 직접 해보았습니다.ㅎㅎ 도움 되었다니 다행이네요😊

  • @오재희-h2f
    @오재희-h2f ปีที่แล้ว +2

    와 ncs풀다가 나눗셈이.직관적으류 이해가 되지않앗는데 저런식으로 생각하니까 조금 더 이해하기 쉬워졋어요 ㅜㅜㅜ 감사합니다

    • @kdy
      @kdy  ปีที่แล้ว +1

      설명이 도움이 되었다니 저도 기쁘네요! 감사합니다.😊

  • @하비야-u3o
    @하비야-u3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런 수업!! 이 진짜 수학수업이죠!!! 멋지십니다. ❤❤❤

    • @kdy
      @kd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조정의-s1v
    @조정의-s1v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개념을 알려주시고 아이들의 생각을 끌어내주시는 선생님의 수업에 감사드립니다

    • @kdy
      @kd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wlswnh4657
    @wlswnh465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저 반 애들 복 받았네 저런 설명하는 선생님 학원에서도 못 찾음 ㅋㅋㅋ

  • @hklee3416
    @hklee341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가 아이한테 이걸 딱 설명해주고 싶었는데, 선생님 설명이 명쾌해서 같이 봤어요 종종 수학영상 올려주시면 좋을 것 같아욬 감사합니다.

    • @kdy
      @kd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도움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 @김형욱-y4s
    @김형욱-y4s 2 ปีที่แล้ว +2

    오.. 존경합니다 선생님 !!

    • @kdy
      @kdy  2 ปีที่แล้ว +1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prdkdud100
    @prdkdud10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국에서 애 키우면서 집에서 숙제를 봐주다가 내가 외운걸 아이에게 설명하려니 어렵더라규요
    그러다 찾게 되었어요.
    너무 좋은 설명입니다. 감사합니다

    • @kdy
      @kd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도움 되었다니 다행이네요!ㅎㅎ

  • @소준모
    @소준모 2 ปีที่แล้ว +1

    역시 고쌤...!! 많이 배웁니다.

    • @kdy
      @kdy  2 ปีที่แล้ว +1

      도움 되었다니 뿌듯하네요 ㅎㅎ

  • @jonTX_2024
    @jonTX_2024 ปีที่แล้ว +12

    사과 하나가 있는데 반쪽씩 가져가면 몇명이 먹을수 있을까.

  • @jeju3267
    @jeju3267 ปีที่แล้ว

    와, 확률 때문에 나누기의 직관적인 의미를 찾다 들어왔는데, 본질적인 생각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영상 감사합니다! 4칙연산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법 부터 다시 공부해야겠네요 .

    • @jeju3267
      @jeju3267 ปีที่แล้ว

      궁금한건 확률에서 이벤트의 경우의 수를 샘플링 s로 나누는건 어떤 의미인가요?

    • @jeju3267
      @jeju3267 ปีที่แล้ว

      그리고 말로 잘 설명은 안되지만, 어떤 특정 상황을 배제하고 싶을때
      전체 가능성 / 특정 상황
      왜 자연스럽게 나누기를 제가 했는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

    • @jeju3267
      @jeju3267 ปีที่แล้ว

      예를들어 n choose k(nCk) 에서 순서를 없애기 위해서 nPk / k!를 해주는데
      k그룹의 순서의 경우의 수가 k!라는 건 이해되지만, 어째서 나눗셈을 하면 이 경우의 수들이 배제가 되는지 직관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네요 😢

    • @jeju3267
      @jeju3267 ปีที่แล้ว

      아! nCk = nPk ÷ k!이니까 k개의 순서가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의 단위로, (순서가 고려된 n에서 k를 뽑은 모든 경우의 수)들을 k개의 그룹이 순서를 가질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로 쪼개서 하나만 취한 것이네요!

    • @jeju3267
      @jeju3267 ปีที่แล้ว

      그게 순서를 가지지 않는다의 의미구나

  • @K동동둥둥
    @K동동둥둥 2 ปีที่แล้ว +4

    와우 대학원 느낌..! 애들이 엄청 잘하네요. 수학적 사고력!

    • @kdy
      @kdy  2 ปีที่แล้ว +2

      ㅎㅎ 맞아요. 수학적 사고력을 길러주고 싶었습니다.^^

  • @anneshirly1
    @anneshirly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너무 좋은 수업이네요 기본에 충실하고 중요한 내용 아이들 복받았네요

    • @kdy
      @kd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 @Jalynn-ampm
    @Jalynn-amp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1나누기 1/2은 “1을 1/2개씩 가질때 몇명이 가질수 있는가”=2명
    ”1에서 1/2을 몇 번 덜어낼 수 있는가?“=2번
    이렇게도 앞서 설명하신 두가지 다른 개념이 될수 있나요?

    • @kdy
      @kd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두 상황은 모두 첫 번째 상황(포함제)에 해당됩니다.
      1을 '한 묶음에 1/2'로 묶으면 '□묶음'이 나오는지 구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덜어내는 상황도 한 묶음씩 덜어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정리하자면,
      1/2×□=1 → 포함제
      □×1/2=1 → 등분제
      입니다.
      포함제는 □개씩 묶는다는 의미로 볼 때, 분수에서도 그대로 적용하여 생각할 수 있습니다.
      즉, 1/2×□=1 은 1/2개씩 □묶음을 해서 1개가 되는지 보기 때문에 포함제입니다.
      하지만 등분제는 사실 분수에서 언어 그대로 이해가 안 되는 게 당연합니다.
      일상생활에서 2등분, 3등분이라는 말은 사용하지만
      1/2등분, 2/3등분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죠.
      대신, 등분제를 식으로 이해하고 분수로 확장하여 생각하면
      □×1/2=1 가 등분제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등분제는 결국 한 묶음에 들어가는 양을 구하는 건데
      □×1/2 = 1에서, 1/2 묶음의 양이 1이라면 한 묶음의 양은 1의 두 배인 2가 됩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게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세요.😊

  • @소라양-h7z
    @소라양-h7z ปีที่แล้ว

    공부하러들어왓다쌤얼굴보고끝나는영상.

  • @디원-n1f
    @디원-n1f 11 วันที่ผ่านมา

    우와

  • @-Namul
    @-Namul ปีที่แล้ว

    너무 베이직적인걸 정의를보니까 머리때리는 기분이네 ㅋㅋ 기분좋당

  • @정양호-u7t
    @정양호-u7t 2 ปีที่แล้ว

    1÷1/2=2에서 1/2×□=1 과
    □×1/2=1에서 어떤게 등분제고 포함제입니까?
    헷갈리네요.자연수는 이해가 됐는데 분수는
    머리가 안 돌아갑니다.

    • @kdy
      @kdy  2 ปีที่แล้ว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1/2×□=1 → 포함제
      □×1/2=1 → 등분제
      입니다.
      포함제는 □개씩 묶는다는 의미로 볼 때, 분수에서도 그대로 적용하여 생각할 수 있습니다.
      즉, 1/2×□=1 은 1/2개씩 □묶음을 해서 1개가 되는지 보기 때문에 포함제입니다.
      하지만 등분제는 사실 분수에서 언어 그대로 이해가 안 되는 게 당연합니다.
      일상생활에서 2등분, 3등분이라는 말은 사용하지만
      1/2등분, 2/3등분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죠.
      대신, 등분제를 식으로 이해하고 분수로 확장하여 생각하면
      □×1/2=1 가 등분제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등분제는 결국 한 묶음에 들어가는 양을 구하는 건데
      □×1/2 = 1에서, 1/2 묶음의 양이 1이라면 한 묶음의 양은 1의 두 배인 2가 됩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게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세요.🙂

  • @SE18389
    @SE18389 ปีที่แล้ว

    1:15 에 2x?=6 이라는 식이 왜 떠오르나요

    • @kdy
      @kdy  ปีที่แล้ว

      6÷2를 풀 때 2×'3'=6을 생각하고 답이 3임을 알아내기 때문입니다.^^

  • @로코시
    @로코시 2 ปีที่แล้ว

    헐 저 자석지우개 뭐에요?

    • @kdy
      @kdy  2 ปีที่แล้ว +1

      하고로모 칠판지우개 특대형입니다~

    • @로코시
      @로코시 2 ปีที่แล้ว

      @@kdy 하고로모가 분필만 나오는게아니군요

  • @jaysong3256
    @jaysong3256 ปีที่แล้ว

    마지막 학생이 제대로 했구만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