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버스와 보잉의 진짜 차이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9 ก.พ. 2025
  • 보잉 비행기와 에어버스 비행기는 어떻게 다를까요?
    객실 좌석과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갤리 등 기내의 모든 시설은 항공기를 구매할 때 선택하는 옵션일 뿐입니다.
    두 항공기의 진짜 차이는 조종 시스템에 숨어 있습니다.
    보잉의 창시자와 에어버스의 설계자에서 출발한 두 회사의 DNA가 만들어내는 뿌리 깊은 차이.
    일반인은 물론, 조종사들도 잘 모르는 보잉과 에어버스의 진짜 차이를 알기 쉽게 풀어 드립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399

  • @닥터킴라이프
    @닥터킴라이프 ปีที่แล้ว +134

    기장님께서 스스로 보잉과 에어버스 기종 운항을 직접 다 해보시고, 정보들을 더해서 시청자들께 편견없이 쉽게 그 철학에 대해 설명해 주시려는 부분이 너무 인상깊습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18

      안녕하세요? 의미있게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leesoo1999
    @leesoo1999 ปีที่แล้ว +85

    보잉과 에어버스는 어떤 비행기이며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한 종지부를 찍는 영상이네요.
    비행기에 컴퓨터를 단 보잉, 컴퓨터에 날개를 단 에어버스라는 말이 딱 느껴지는...
    실 경험치에서 나오는 유연함의 내용들, 영상 감사합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7

      안녕하세요? 깊이 있는 시청과 댓글 감사합니다.

  • @jeong830523
    @jeong830523 ปีที่แล้ว +27

    아니 설명이 이렇게 detail 할 수 있단 말이에요.?
    교과서에서 나오는것이 아닌 경험에서만 나올수 있는 내용같네요.. 잘봤습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재미있게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ddkj1219
    @ddkj1219 ปีที่แล้ว +65

    유튜브의 순기능의 확실한 예를 보여주는 채널입니다. 기장님 책도 정말 인상 깊게 잘 읽어보았습니다 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2

      안녕하세요? 애독자셨군요. 감사합니다.

  • @victolee5043
    @victolee5043 ปีที่แล้ว +118

    두 회사가 경쟁 잘 해서 안전한 뱅기가 계속 출시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 @captaintony9918
    @captaintony9918 ปีที่แล้ว +16

    누군지 영상 참 잘만들었다 생각했는데...
    목소리들으니 선배님인줄 알겠네요...ㅎ
    건승하십시요~~^^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3

      으음...토니 기장님, 누구실까요? 힌트 플리즈~

  • @joshua1203byun
    @joshua1203byun ปีที่แล้ว +70

    감사합니다. 제가 들어본 설명 중 가장 명확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보잉 창시자와 같은 기질을 가진 사람에 가깝지만 그럼에도 에어버스의 철학과 관점에 한표를 던지고 싶네요.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korea-lily
    @korea-lily ปีที่แล้ว +57

    그라운드 직원 입장에서 보면 보잉 비행기는 제작사 편의적으로 만들어진 부분들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버튼 A와 B가 연계되어 동작하게 되어 있는 경우가 있지만 A와 B는 팔의 길이보다 멀리 있다거나 하는 식으로 말이죠.
    이런 부분에서는 에어버스가 더 인체공학적이라 보잉도 오랫동안 고집해오던 시스템의 일부를 787부터 에어버스식으로 바꾸기는 했는데 에어버스 특유의 단점들도 따라오게 되어서 777의 구닥다리지만 신뢰성만은 높았던 시스템이 낫다는 현장의 평가도 있습니다.

  • @Missed_Me
    @Missed_M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그렇게 창립된 보잉이..요즘 나사빠져서(진짜 나사도) 일하는거 보면..세월이 참 무상하네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오늘도 또 하나 배웠네요~

    • @plane_sense
      @plane_sens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애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B747-400을 탈 때 아름답고, 완벽하다고 생각했었는데 아쉬움이 많이 남습니다.

    • @하얀고양이-d2v
      @하얀고양이-d2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요즘 보잉은 살ㅇ전차같음..무서워서 못타겠어요

  • @미소한잔-p3u
    @미소한잔-p3u ปีที่แล้ว +23

    저는 지금 보잉을타다 에어버스로 전환한 부기장입니다
    기장님의 설명과 이해가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2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 @jasmine6504
    @jasmine6504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내용도 내용인데 기장님의 귀에 쏙쏙박히는 명확한 발음과 비문없는 문장도 굉장히 인상적입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과찬이십니다. 격려 감사히 받겠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lillyholy6261
    @lillyholy626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완벽주의자와 독재의 공통점은 해당 대에서만 잘나간다는거...

  • @dermakim9612
    @dermakim9612 ปีที่แล้ว +11

    조종사의 실수를 비행기가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에어버스지만 2010년 에어프랑스 447편이 부기장 개삽질로 기수를 비정상적으로 들어서서 실속빠지고 추락한 사고는 막지 못 했죠. 그때 에어버스 기종의 스틱위치랑 이런 저런 이야기 나왔던 거 같습니다. 그렇지만 보잉 max8의 개삽질은 용서 받지 못할겁니다. 저는 요즘에도 비행기 예약전에 확인후 보잉max기종은 피하고 있습니다

  • @백정빈-x8r
    @백정빈-x8r ปีที่แล้ว +20

    보는 내내 전문성에 감탄하고, 이런 내용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너무 나도 영광이었습니다...
    늘 좋은 영상 정말,정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2

      안녕하세요? 항상 애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커버댄스영상쟁이
    @커버댄스영상쟁이 ปีที่แล้ว +439

    조종사의 조종을 우선시하던 보잉은 보잉MAX에서 비용 절감을 위해 어마어마한 쓰레기짓을 하고 마는데...

    • @KimKanghyeon
      @KimKanghyeon ปีที่แล้ว +1

      610...

    • @brightskyhan6969
      @brightskyhan6969 ปีที่แล้ว +31

      반은 맞고 반은 틀린게 맥스의 그 기술이 에어버스처럼 조종사를 뛰어 넘어 컴퓨터가 알아서 했을때의 결과 였음
      불안전한 인간이 만든 컴퓨터는 누가 안전하다 그래? 에어버스가?
      보잉의 기술력과 안전데이타는 타의 추종을 불허함
      다만 누가 어떻게 활용 하냐에 따라 이런 결과가 보여지기도 하는 구나 라는 생각은 들게 함.

    •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ปีที่แล้ว +189

      ​@@brightskyhan6969님이 실드치면 안되는걸 실드치려고 하니까 글에 두서가 없어지는것같음.
      사고는 보잉이 쳤는데 에어버스를 혼내고 보잉의 안전데이터를 칭찬하고있으니...

    • @커버댄스영상쟁이
      @커버댄스영상쟁이 ปีที่แล้ว +68

      @@brightskyhan6969 보잉MAX 사건은 해당 안전 기능이 있다는 걸 교육비 아깝다고 조종사에게 교육 시키지 않아서 해당 안전 기능이 오류를 일으켰을때 조종사가 대처하지 못하고 추락한 사건입니다.

    • @h__mnnv
      @h__mnnv ปีที่แล้ว

      ​@@brightskyhan6969무지성 보잉빠 ㅋㅋㅋㅋ

  • @booybje
    @booybj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현직 정비사인데 정비에 있어서도 에어버스가 상대적으로 직관적이고 용이한 면이 없잖아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식으로 설계부터 철학이 달랐다는것은 이번에 처음 알았네요.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재미있게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ericyoon6053
    @ericyoon6053 ปีที่แล้ว +47

    보잉의 철학은 전투기에 적용되는 것과 동일합니다. 적의 탄환이나 미사일에 피탄되어서 유압라인 등과 같이 1차 조정기능이 유실되더라도 2차 방법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조종사가 그 기체를 착륙할때까지 조정 가능하도록 해야한다는 것이죠. 그런데, 평화적인 목적인 여객기에 까지 그 걸 요구한다는건... 조금 오버스펙이기도 하죠.

  • @이런정말
    @이런정말 ปีที่แล้ว +14

    유튜브 보면서 댓글 잘 안다는데, 너무 유익하고 좋았던 내용이어서 댓글달아봅니다. 끝까지 차근차근 잘 들었어요. 설명도 너무 간결하고 이해하기 쉽게 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2

      따뜻한 격려와 구독 시청 감사합니다.

  • @caesarpaul9551
    @caesarpaul955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설계의 철학이 이유일줄은 몰랐습니다. 훌륭한 내용 잘 배우고 갑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과찬의 말씀이십니다.
      늘 애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almyung
    @almyung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제가 조종사라도 사이드 스틱이나 테이블 같은 사소한 편의시설? 면에서 에어버스를 선호할거 같습니다. 그러나 제가 요즘 주목한 에어프랑스 330 에어아시아 320 사고를 보면 보잉의 철학도 결고 틀렸다고 할수 없을거 같습니다. 역시 인간은 감정적인 동물이고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요크 시스템의 장점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FBW 시스템은 보잉도 777 787 같은 최신기종에는 적용을 하지만 제작사의 철학에 따라 특성이 달라지는게 재밌네요. 결국 항공사 입장에서 좋은 비행기는 기름을 조금이라도 덜 먹는 효율좋은 비행기 승객 입장에선 조금이라도 여행에 쾌적한 비행기가 아닐까요. ㅎㅎ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ccj3372
    @ccj3372 ปีที่แล้ว +7

    과거에는 은행원들이 자기 돈을 세고 기계로 확인했지만 지금은 돈을 세지 않고 2번 3번 넣어서 확인하죠. 이제 사람보다 기계를 더 신뢰하는 시대가 된거죠.

  • @user-playmaker
    @user-playmaker ปีที่แล้ว +13

    요즘은 보잉보단 에어버스가 더 놓은것같음 FMC 보다 MCDU 입력이 더 간편한데다 에어버스같은경우 STAR 절차때 MCUD에 입력된 값 그대로 시스템이 판단하고 하강되는게 장점인듯 거기다 오토스로틀 기능 도 편해요~ 편함을 따지면 에어버스이고 조종에 재미를 따지자면 보잉일듯

  • @AeroTok
    @AeroTok ปีที่แล้ว +17

    항공기 뿐만 아니라 모든 기계에서 UX는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정답이 없는 문제이기에 그 기업에 지닌 철학이 그대로 들어난다는걸 다시한번 느꼈습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1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jaehwanlee3301
    @jaehwanlee3301 ปีที่แล้ว +7

    아주 중요한 설계 철학의 차이이네요.

  • @seungalpha
    @seungalpha ปีที่แล้ว +27

    우와, 기장님 너무 재미있게 들었어요😮
    전 비행기는 자주보고 주식도 가지고 있는 보잉이 좋았지만, 오늘 영상을 보니까 시스템 특성은 컴퓨터가 크로스로 한번 더 체크해주는 에어버스가 더 제 취향인것 같아요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2

      안녕하세요.
      재미있게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MenuMcBlue
      @MenuMcBlu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간은 100%의 컨시스턴시를 가질 수 없는 불완전한 존재죠. 기계는 직관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자동차를 탈때도 자동장치들 다 끄고 매뉴얼 차량처럼 단순하게 타는 편인데 수백명의 승객을 태우고 다니라면 각종 리미터가 되어있고 간섭이 들어오는 기체 선호할거 같네요.승객수송에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는 우선순위가 아닐테니 말이죠.

  • @꼬꼬빠빠
    @꼬꼬빠빠 ปีที่แล้ว +8

    출장갈때 보잉기나 에어버스기를 모두 타봤는데 일반인들은 얼마나 좌석이 편하냐 차이점임 하지만 새로운 분야를 알게되어 유익하네요

  • @stellina4557
    @stellina4557 ปีที่แล้ว +11

    보잉의 비행기 철학은 군용기에도 적용이 되고 회피기동을 할때도 컴퓨터는 보조고 인간이 주라서 에어버스에서 만든 공중급유기나 수송기와는 다르게 배면 비행 뻬고 다 할수있다고 합니다.

    • @ashfordstainer1924
      @ashfordstainer1924 ปีที่แล้ว

      아마 할 이유가 없어서 안하겠지만 배면비행도 고도 충분히 잡고 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ㅎㅎ
      여객기 날개의 포일 형상 특성 때문에 양력 부족으로 고도를 잃겠지만 어느 정도는 배면으로 날 수는 있지 싶습니다 ㅋ
      이걸 해 볼 미친 기회는 없겠지만요

    • @stellina4557
      @stellina4557 ปีที่แล้ว

      @@ashfordstainer1924 공중급유기를 모는 조종사들은 언제 어디서 뭔가가 날아올수있어서 온갖 회피기동 훈련을 하는거 같았습니다.
      KC-46 홍보영상에서도 이런게 있었고여
      심지어 B737기반의 P-8A 대잠초계기도 마찬가지고여

    • @gurmiro
      @gurmiro ปีที่แล้ว

      보잉 707의 배면비행 일화가 유명하죠

  • @나루토-j8u
    @나루토-j8u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비행기 공포증을 극복해보고자 이런 자런 영상 보다가 여기까지왔는데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김한석-q2p
    @김한석-q2p ปีที่แล้ว +7

    TBC와 AI를 비교한 내용중 가장 잘 정리된 내용입니다. 그러나 최종 결정은 인간이 갖는다가 더 맞는 철학이라 봅니다. A320 초기 시범비향하다 활주로 끝 나무를 피하지 못하고 추락해서 탑승객 죽었죠. 조종사는 Up을 땡겼으나 Stall Speed에 근접해 컴퓨터가 Up을 안시킨겁니다. 나무만 피했으면 엔진 추력이 오르며 추락 안했을텐데...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따뜻한 격려와 애독 감사합니다. 언급해 주신 에어프랑스 296 케이스는 곧 영상으로 소개할 예정입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skywan6
    @skywan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비행기를 제작하는 사람으로써 새로운 차이점을 보고갑니다 . .보잉 , 에어버스 미국과 유럽 제작에도 많은 차이가 있지만 조종에 관한 메커니즘 차이도 크네요

  • @Kim-qb6hp
    @Kim-qb6hp ปีที่แล้ว +7

    항공사의 철학차이란 재미있는 정보를 접할 수 있어 감사합니다.
    컴퓨터와 부속시스템 또한 사람이 만든 것이기에 완벽하지 않겠지만, 그렇기에 저는 에어버스의 철학에 더 끌리네요.
    노련하고 자신감 넘치는 기장의 자만으로 인한 사고들을 많이 들었기에 더더욱..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재미있게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Ajae_Kawooli
    @Ajae_Kawooli ปีที่แล้ว +20

    경쟁 기종인 A-350과 B-787 중 어느 것이 더 좋은 비행기인가를 두고 어리석은 싸움을 하는 친구들에게
    답을 줄 수 있는 내용이네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3

      오늘도 변함없이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Ebdkc9dh2cl
      @Ebdkc9dh2c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많이들 오해하시는데 A350의 경쟁기종은 777입니다
      787의 경쟁기종은 330neo입니다

    • @dongincheonrapid
      @dongincheonrapid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350은 B777과 경쟁합니다

  • @littlestep7660
    @littlestep7660 ปีที่แล้ว +3

    에어버스가 더 좋아 보임
    보잉은 주주에게 배당을 위해 개발비용을 줄인다고 들었습니다
    요즘 보임 비행기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라고 봅니다

  • @hanhan0401
    @hanhan0401 ปีที่แล้ว +3

    좋은 정보 공유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별말씀을요.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2C2848
    @2C2848 ปีที่แล้ว +4

    너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이 영상을 보고 214 sfo 사건을 조금 이해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4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보잉은 Stall 속도가 되어 추락할 때까지 "Speed, Speed"하고 Warrning을 줍니다. 조종사에게 액션을 하라는 것입니다.
      똑 같은 상황에서 에어버스 비행기는 스스로 파워를 넣고 기수를 들어 올립니다.

  • @secondov1
    @secondov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보잉과 에어버스 철학이 대단합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기술 이전에 철학이 있었던 회사의 스토리는 정말 흥미롭습니다.
      [플레인 센스]와 [세계사를 뒤흔든 19가지 비행 이야기]에 풀어 놓았습니다.🤣

  • @woenho
    @woenho 25 วันที่ผ่านมา

    정말 좋은 유익한 정보입니다.

  • @pilotchoi5596
    @pilotchoi5596 ปีที่แล้ว +4

    궁금증 해소되는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약플러-t8y
    @약플러-t8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기장님 딜리버리가 고막에 꽂히네요
    굿❤❤❤

  • @sms6284
    @sms628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어떤게 우수하다 할 수 없고 설계 철학의 차이라고 볼 수 있네요.
    그래도 제가 느끼기에는 보잉은 군용기에 에어버스는 민항기에 적합하다고 보여지네요

  • @supporttheleast2598
    @supporttheleast2598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흥미롭고 생각거리 가득한 이야기,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carfyein
    @carfyein ปีที่แล้ว +1

    말씀대로어떤게 더 좋다고 말하기엔 참 애매합니다. 마지막 부분에 항공사가 두 기종을 운영하면서 조작방식을 통합하기보다 그 항공사가 추구하는 성격의 기종을 중점으로 단일화 하는게 더 나을거란 생각이 듭니다.(이미 아시겠지만 실제로 그런 항공사들도 있죠. 그런 의도인지는 모르겠지만, 항공사 중엔 그런 의도를 갖고 그렇게 운영하는게 아닐까 생각도 듭니다.)

  • @helloworld-i9v
    @helloworld-i9v ปีที่แล้ว +6

    저의 생각으로는 컴퓨터문제로 추락한것보더는 인재로 추락한게 많아서 에어버스가 좀더 그리고 멕스랑 전파고도계...

  • @힌데뿌웨데
    @힌데뿌웨데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승객으로서 개인적 경험으로 보잉보다는 에어버스가 비행중 승차감이 좋은것 같더군요

  • @DoNotDreaming
    @DoNotDreaming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기장님들 밥먹을때 보잉은 뜨거운거 허벅지에 올리고먹고 에어버스는 그래도 따로 올려놓고 먹을수있다고 들었어요 ㅋㅋ

    • @plane_sense
      @plane_sens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맞습니다. 에어버스는 사이드 스틱이 있어 조종석 앞에 조종간이 없거든요. 그래서 순항 중에는 계기판 아래에 내장되어 있는 테이블을 꺼내 사용합니다.
      보잉은 조종석 앞에 육중한 조종간이 있어서 테이블 설치가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무릎에 식판을 올려 놓고 식사를 합니다.

  • @CaptJohn
    @CaptJohn ปีที่แล้ว +6

    좋은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1

      격려 감사합니다.

  • @lottofirstprize1809
    @lottofirstprize1809 ปีที่แล้ว +2

    좋은정보네요ㅋ 보잉과 에어버스의 비행철학에 대해 알게되었습니다~

  • @그래-y8d
    @그래-y8d ปีที่แล้ว +4

    비행기, 공항, 항공사고, 공항 이용 방법까지 몽땅알려주세요 넘재밌어욥 ㅎㅎ😊😊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1

      재미있게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주제들 하나 하나 풀어 나가겠습니다.

    • @그래-y8d
      @그래-y8d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plane_sense 넵^^감사합니당😆😆❤

  • @songhyonchoi9988
    @songhyonchoi9988 ปีที่แล้ว +2

    일장일단
    사람의 실수를 커버해주는 컴터, 컴터의 실수를 커버해주는 사람...
    사람이 미치지 않는한, 컴터가 맛가지 않는한 서로를 온전히 커버하겠지만..
    완벽하게 양자의 조화로 최고 안전한 뱅기가 생산되어지기를 바랍니다.

  • @user-6muUZgnW
    @user-6muUZgnW ปีที่แล้ว +30

    737 Max MCAS 문제를 보고 보잉이 주장하는 철학이 점점 빛바랜 현대의 보잉을 바라보는것 같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에어버스의 관점에 동의 합니다. 그래서 절차와 크로스체크도 존재하는것이죠.
    현재도 에어버스, 보잉 모두 최고의 항공기 제작사 임에 틀림없습니다.

    • @seulkilee438
      @seulkilee438 ปีที่แล้ว +17

      원가절감을 위해 철학 따윈 쓰레기통에 버린 보잉, 제발 정신차리길 바랍니다.
      두번의 사고에 희생된 승객과 승무원들의 명복을 빕니다.

    • @nitealth
      @nitealth ปีที่แล้ว +10

      요즘엔 보잉이 맛이 간것 같습니다.

  • @jaehuhn
    @jaehuhn ปีที่แล้ว +3

    👍정보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psh1491
    @psh149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객관적으로 보면 보잉 조종핸들이 스틱보다 안정성이 있어 보이네요
    스틱은 소형 기체에 맞을것 같기도 하고

  • @tHomaspiloy
    @tHomaspiloy ปีที่แล้ว +4

    재가 기억하기론..... 777부터는 보잉 역시 FBY가 적용된걸로 기억합니다. 단, 기업의 철학은 그대로 반영해서 오토파일럿으로 운항중에도 요크를 돌려서 오토파일럿을 꺼버리는건 가능하고요. 그래서 보잉에선 조종의 이질감을 없애기 위해 칼럼이랑 스로틀 레버에 액추에이터를 달아서 포스피드백을 준다고 하네요.
    그리고...... 이건 세팅 차이 같아보이는데... 에어버스의 오토파일럿은 뭐랄까... 좀 샤프한 느낌이 들고 이건 누가봐도 컴퓨터가 조종하는 느낌이 들더라고요ㅋㅋㅋ 오토파일럿의 기동이 샤프하기도 하고 특히 2시간 이상 비행하는 330 이상급 되는 에어버스들은 고도랑 속도 조절하는게 가끔 아다리가 안맞아서 순항중에 주기적으로 풀스로틀 + 다운힐 약간 이후 업힐 기동을 하는게 대표적이고요....

  • @LLL-ci9sz
    @LLL-ci9sz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두 기체를 타보면 훨씬 안정적인건 에어버스임이 분명하다
    비행기 공포증 있으신분들은 에어버스 타는게 맞음
    진동도 덜하고 뭔가 편안하고 안정적임

  • @jasoncrouch99781
    @jasoncrouch99781 ปีที่แล้ว +1

    에어버스에 네트워킹 장비를 만드는 엔지니어와 이야기 한적이 있습니다. fpga시스템으로 만들며 제로 레이턴시를 구현하는 장비인데 상당히 인상적이었습니다.

  • @Maplestory0614
    @Maplestory0614 ปีที่แล้ว +1

    와우 정말 친절한 설명이네요!! 처음부터 끝까지 집중해서 봤어요. 좋아요 구독도 누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시청과 구독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lehrerkd
    @lehrerkd ปีที่แล้ว +4

    평소 궁금했던 내용 잘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ㅎㅎ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1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dnkqn8062
    @dnkqn8062 ปีที่แล้ว +13

    제주도 갈 때는 에어버스, 올 때는 보잉을 탔는데, 에어버스는 순항 중에 기수를 들거나 내리지 않았는데 보잉은 주기적으로 기수를 들었다 내렸다 하더라구요. 기장님이 빠르게 가고 싶으셨나 했어요ㅋㅋ 다른 차이로는 보잉은 객실 진동이 있는데 그게 뭔가 뒤를 받쳐주는 안정적(?)인 느낌이고 에어버스는 진동도 없고 받쳐주는 느낌도 없는 듯했네요.

  • @mirage-46
    @mirage-46 ปีที่แล้ว +4

    설명 감사합니다. 컴퓨터는 센서에 의존 하는데 정비불량으로 센서 고장나면.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1

      센서에 의존하는 대부분의 시스템은 센서가 고장나면 (1) 조종사 경고, (2) 해당 센서 자동 제외, (3) 해당 시스템 자동 OFF
      가 됩니다.
      시스템 중요도에 따라 여러 개의 백업 센서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 @mirage-46
      @mirage-46 ปีที่แล้ว +2

      감사합니다. 이전에 항공 사고 관련 영상들을 보다보니. 이상하게 우연히 모든게 겹쳐서 사고 발생하는 경우들이 있더라구요

    • @gurmiro
      @gurmiro ปีที่แล้ว +2

      @@mirage-46 꽤나 적지않은 영세한 항공사에서 저런 특성을 이용. 센서 한두개가 고장나도 수리하지 않은 상태로 그냥 운항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당장 비행에는 문제가 없다는 이유에서죠.
      때문에 그러다가 결국 그런 사고가 나는겁니다. 아무리 좋은 기계라해도 사람이 근본이죠.

    • @팔괘장
      @팔괘장 ปีที่แล้ว

      @@plane_sense 엔진 한곳에 문제가 있어도 정상 착륙이 가능하다니 과학 기술은 참 대단 합니다.

  • @북방흰수염고래
    @북방흰수염고래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지금은 에어버스가 매출이 높지요..사고는 보잉사가 많이 나고요

  • @lde1
    @lde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오... 드디어 보잉과 에어버스의 차이를 명확히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 @이트라웃
    @이트라웃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깊이가 있는 0:36 좋은 내용입니다. 😊

    • @plane_sense
      @plane_sens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 @user-boeingbus
    @user-boeingbus ปีที่แล้ว +1

    두 회사 각각의 장단점이 있어 좋다 나쁘다 이야기할 수는 없지만 개인적으로 저는 모든 조종사들이 보잉창시자와 같은 책임감을 갖을 수 없다고 생각하기에 에어버스가 더 좋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 )

  • @taeoh667
    @taeoh667 ปีที่แล้ว +3

    Air Boooos A-320 Paris Air show 에서 computer 와 Pilot 간 의 싸움으로 비행기는 결국 추락하고 말았죠.

  • @노란딱지-q2z
    @노란딱지-q2z ปีที่แล้ว +1

    조종간 부분은 f16과 호넷이 생각나네요

  • @bella-uh2nn
    @bella-uh2n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기장님 많이 바쁘신가봐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kkaupapa5469
    @kkaupapa5469 ปีที่แล้ว +5

    너무 좋은 내용이네요. 이런 이야기를
    일반인이 어디서 배우겠어요?? 😅👍👍👍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cacarote12
    @cacarote12 ปีที่แล้ว +2

    조종사분 차이가 있긴하더라고요 타이항공 타는대 태국갈때는 집으로 퇴근이라 그런지 30분빨리 도착하고 한국올때는 30분늦게 온듯요

    • @Theg1492
      @Theg1492 ปีที่แล้ว +3

      그건 바람때문입니다. 편서풍때문에 동남아 갈때가 오래걸리고 반대로 한국올때는 시간이 적게걸리죠. 편서풍이 쎄지는 겨울에 그 시간차이는 더 커집니다

    • @thang6524
      @thang6524 ปีที่แล้ว

      한국에서 태국갈때가 시간이 더 소요되고, 태국에서 한국으로 올때는 시간이 덜 소요됩니다.

    • @박귀원-s6w
      @박귀원-s6w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Theg1492 지구의 자전 때문인듯

  • @jjhh0011
    @jjhh0011 ปีที่แล้ว +2

    파일럿들은 어느 회사 선호하는지?

  • @miya3057
    @miya3057 ปีที่แล้ว +11

    항공사고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게 조종사 과실이란걸 생각하면 그 사상이 이해되긴 하는데 인간도 완벽하지 않은데 하물며 그 인간이 만든 소프트웨어가 어떻게 완벽하겠냐는 보잉의 철학도 이해되는 부분임

  • @Nevergiveup_227
    @Nevergiveup_227 ปีที่แล้ว +4

    완전 완벽한 설명 감사합니다ღ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애청과 격려 감사합니다.

  • @saralee5801
    @saralee5801 ปีที่แล้ว +5

    어렴풋이 몸으로 느꼈던걸 설명해주시니 너무 좋네요 기장님 ㅎㅎㅎ

  • @팔괘장
    @팔괘장 ปีที่แล้ว +2

    영상 그리고 내레이션 잘 들었습니다. 사사로이 A 321 320 을 좋아하고 느낌상 편안하게 느껴지는 것 은 개인차 이겠지요 이착륙시에 부드러움이 A 321 320 에서 더 편안함을 몸으로 체험이 되는듯 하였는데 오늘 영상을 시청하고 보니 두 회사의 차이를 잘 알 수 있게 됐습니다. 잘 시청 하고 갑니다.^^ 김 동현 조종사님의 늘 건강과 안전운항을 기원 합니다.^^ 플레인센스 책 사 보아야 겠네요 헤브어 굿 플라잇 하세요 ^^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1

      따뜻한 격려와 구독 큰 힘이 되었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하세요.

  • @mygolf72
    @mygolf7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너무 멋진 영상이네요.
    내용이 정말 좋습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멋지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ปีที่แล้ว +3

    설명이 정말 명확하네요. 감사히 듣고 갑니다. %%^^;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forpastudy
    @forpastudy ปีที่แล้ว +11

    기장님, 좋은 영상 재밌게 잘 봤습니다. 이번 기회에 플레인센스도 찾아 읽어보려고 합니다.
    실려가는 승객 입장에서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휴먼에러로부터) 안전한 에어버스를 선호하게 만드네요.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2

      안녕하세요? 영상 재미있게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까지 찾아 읽어주신다는 말씀, 출판사에 얘기해야 겠어요. 감사합니다.

    • @blueite
      @blueite ปีที่แล้ว +1

      의외로 에어버스도 휴먼에러 사고가 그럭저럭 있습니다. AF447라든가 말이죠.

    • @gurmiro
      @gurmiro ปีที่แล้ว +2

      모든 항공사가 항공기를 잘 정비하고 조종사를 잘 교육시켜서 운항하면 좋겠지만... 불행히도 그렇지 못한 항공사와 교육받지못한 조종사들이 적지않게 있습니다. 그때는 오히려 보잉의 직관적인 방식이 나을때도 있죠.
      근본적으로 휴먼에러라는건 예측불가라 방지한다고 했던 조치가 예상하지 못했던 역작용을 일으키는 경우도 많거든요.

    • @simontempler5094
      @simontempler5094 ปีที่แล้ว +2

      에어프랑스 대서양 추락사고의 경우는 보잉이었다면 일어나지 않을 사고였습니다. 부조종사의 사이드킥 조작 오류를 기장이 바로 알아차렸다면 벌어지지 않을 사고였죠.
      그리고 센서고장시에는 컴퓨터의 개입은 오히려 사고를 만들기도 합니다.

  • @Johnassu
    @Johnassu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실제로 몰아본 분의 의견을 들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 @plane_sense
      @plane_sens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doonchi1199
    @doonchi1199 ปีที่แล้ว +3

    아주 유익한 정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1

      시청과 격려 감사합니다.

  • @달빛항해
    @달빛항해 ปีที่แล้ว +3

    제 생각은 실질적으로는 보잉이 먼저 제작사로서의 지위를 다지면서 각종 특허를 가졌고, 에어버스는 그를 피해가기 위한 설계를 정립하다보니 그런 것 아닌가 싶습니다. 그 후로 보잉도 에어버스의 특허,지적소유권을 제한하지 않는 범위에서 발전하고 있고요. 한 예로 b737max의 경우 조종사의 입력보다 컴퓨터가 개입을 많이 해서 생긴 사고이지 않습니까. 또한, 이는 민항기만 타 본 조종사가 하는 생각이지 군용기까지 범위를 넓히면, 또 다릅니다. 같은 미국 회사라도 보잉과 록히드마틴은 다릅니다. f-16이후로 f-22,f-35등 미 해공군 전투기를 독식하고 있는 록히드 마틴은 이미 80년대부터 사이드스틱, 플라이바이와이어 등 에어버스와 동일한 길을 걷고 있습니다. 보잉은 그저 f-15,f-18(이 조차도 맥도널 더글러스가 원조이죠)에 머물러 있죠. 서로 타 회사의 기술과 장점을 취합하려 하지만 못 하고 있을 뿐인 것 같습니다.

  • @hyeondosa
    @hyeondosa ปีที่แล้ว +2

    차이점이 머리속에 쏙들어오네요~~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쉽게 이해가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utuv7879
    @utuv7879 ปีที่แล้ว +7

    통일절차는 처음에는 우습다가 이해를 못하거나 안전상의 이유로 거부하는 각 기종에 충실한 조종사들은 엄청난 불이익과 직업윤리적
    최악의 스트레스를 강요받음. 거의 고문 수준이였음 중요한것은 아무도 책임을 안짐 이런 개같은 경우가..
    수많은 승객의 목숨과 회사의 운명을 가지고 실험을 했는데 아무도 책임을 안지고 잘먹고 잘 삼
    머가 잘못 됬는지 그런 행위가 왜 위법인지 왜 강압적으로 적용해선 안되는지 직업적 윤리의식을 인지조차 못하는 우리나라 항공수준임.

  • @당신e빛나는상민씨
    @당신e빛나는상민씨 24 วันที่ผ่านมา

    에어버스 시스템을 기본으로 하다가 비상키로 기장 운항으로 변경 가능하면 간단한데요

  • @llillillilli1657
    @llillillilli165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어쩌다보니 에어버스 위주로 타고다니는데 요즘같이 AI와 기술이 발달한시대에는 에어버스 좀더 안전한것같음. 안그래도 이미지도 보잉이 엔지니어 무시하고 원가절감하는 사업가들이 지배하고나선 불호였는데.... 근데 조종하는 입장에선 보잉이 더 재밌을거 같네요

    • @winterson6938
      @winterson6938 24 วันที่ผ่านมา

      선견지명 ㄷㄷ

  • @JHSEO120
    @JHSEO120 ปีที่แล้ว +1

    흥미롭네요. 재밌게 들었습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재미있게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daehanminkuksaram
    @daehanminkuksaram ปีที่แล้ว +7

    시스템 개요를 담은 기술자료를 보면 보잉이 더 맘에 들더라구구요.인간의 판단을 우선시 하는거나, 오토에서 요크나 쓰로틀이 움직임이 눈에 보이고 수동에서도 조종간의 움직임과 항공기의 움직임 둘다 조종사가 물리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것이라든가...

  • @DH-m9899u
    @DH-m9899u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유익한 영상이다..

  • @leo_8383
    @leo_838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에어버스의 철학에 훨씬 신뢰가 가네요.
    최근 보잉기의 사고가 많은것도 이 철학적 차이의 연장선인지 궁금하기도 하구요

    • @dongincheonrapid
      @dongincheonrapid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제 생각은 737 MAX가 오히려 기존의 철학을 갖다 버리고 만들어서 생긴 느낌

  • @Honey-Crunch
    @Honey-Crunch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스로틀이 엔진 출력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 건 꽤 비직관적인 것 같아요.
    그리고 요크에 비해 스틱을 선호하긴 하지만 에어버스 스틱은 너무 장난감같이 보이긴 하네요.
    FBW도 비행 한계는 설계하기 나름이긴 하지만 한계 하중계수를 넘지 않게 하는 기능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개인적으로는 에어버스보단 FBW 알고리즘이 좀 더 풀어져있는 게 좋지 않나 싶습니다.

  • @turboromy
    @turboromy ปีที่แล้ว +2

    오늘건 시작전에 flight envelope protection 얘기 아닐까 했는데, 오 맞췄습니다. 주제한가지 요청하고 싶은게 있습니다. 조종석 사이에 red white red 있는거 (9:04) 에 대해서 알려주십시요. 의자 높이 조종하는거라고 들어본것 같은데 역시 줏어들은거라....

    • @Desert_DUSK
      @Desert_DUSK ปีที่แล้ว

      맞습니다

    • @beo-ruk-obuma
      @beo-ruk-obuma ปีที่แล้ว

      ​@@Desert_DUSK?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3

      조종사는 아니신 것 같은데 에어버스의 protection 시스템까지 이해하고 계시다니 놀랍습니다.
      조종석 높이 조절하는 레퍼런스 볼 맞습니다. Red ball이 White Ball을 완전히 보이지 않도록 좌석을 조절하면 조종사의 시야각이 가장 크게 나오게 됩니다.
      에어버스와 보잉의 모든 비행기의 같은 위치에 이 장비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 @turboromy
      @turboromy ปีที่แล้ว +1

      @@plane_sense Private 이기는 합니다. protection이 개념이야 어렵지는 않고, 실제로 적용하는건 훨씬 어렵겠죠. 요즘에야 관심있는 분야를 알아보는게 쉽지만, FBW를 인터넷 이전 시대에 이해를 하는건 참 어려웠었던게 기억납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1

      역시 조종사셨군요. 반갑습니다. @@turboromy

  • @royalfrigern5297
    @royalfrigern5297 ปีที่แล้ว +1

    에어버스사의 베티유가 좀더 실용적인 항공기산업 철학같네요... 우린 그동한 무수히 많은 항공사고를 봤고 인간은 실수를 하는 존재라는걸 느꼈죠. 지금 보잉은 많이 추락하고 있기도 하고요. 에어버스는 잘 나가고 있죠.

  • @happymallard
    @happymallard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승객입장에선
    보잉 : 조종사가 실수로 오조작을 할 경우 비행기가 뒤집어 지는 등의 위험이 높음
    에어버스 : 조종사가 실수로 오조작을 하여도 컴퓨터가 통제할 수 있기에 안전? 할수 있지만 컴퓨터가 오류를 일으키면 역시 위험할 수 있다.
    결론 : 조종사가 실수 하든 컴퓨터가 오류 일으키든 둘다 위험한건 마찬가지

  • @평경장-c5z
    @평경장-c5z ปีที่แล้ว +2

    궁금한게 실제 조종사 분들은 보잉과 에어버스 중 어느비행기가 조작하기 편리한가요?
    제 생각이지만 자동차로 치면
    보잉은 스틱기어라서 운전하는 재미가 있고
    에어버스는 오토기어라서 운전하기에 편하다 뭐 이런개념인가요?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11

      안녕하세요. 조작 면에서 보잉은 처음엔 어렵지만 숙달되면 점점 완벽한 조작을 할 수 있는 비행기입니다. 에어버스는 처음엔 쉽게 조작할 수 있는 듯 하지만 정교한 조작은 어렵습니다.
      보잉 비행기는 숙달되면 내 팔다리처럼 움직입니다. 에어버스는 살살 달래가며 내 의도를 따라 움직이게 만들어야 하는 비행기입니다.

    • @평경장-c5z
      @평경장-c5z ปีที่แล้ว +2

      @@plane_sense 자세한 답글 정말 감사합니다

    • @팔괘장
      @팔괘장 ปีที่แล้ว +4

      @@plane_sense 진짜 예리한 표현 이세요 ^^ 조종이란 것이 기상과 밀접한 부분이라 인간의 직감에 한계성이 있다는 철학이 참 마음에 듭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1

      구독과 격려 감사합니다.

  • @yangpuenguuuzerNo.1
    @yangpuenguuuzerNo.1 ปีที่แล้ว +1

    너무 유용했습니다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시청과 격려 감사합니다.

  • @creon11
    @creon11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겉모습만 비슷한 비행기지만 내부구조가 보잉과 에어버스는 꽤 방식이 다르네요 ㅎㅎ
    보잉은 어찌됬든 인간이 개입하는 대로 움직이고 에어버스는 컴퓨터에 의해서 오조작을 막아주는 시스템이군요. 유지보수를 잘 한다는 가정하에서 에어버스 방식이 좀더 안전해 보이긴하네요. 유지보수를 잘 한다는 가정하에요 ㅎ
    돈 없는 애들이 돈 아낀답시고 제대로 안고치고 그러면 사단날듯. 자동시스템의 단점은 유지보수를 제대로 안하면 전체가 먹통되는 경우가 가끔씩있으니까요. 백업시스템이 있다고 하지만 그것도 주기적으로 테스트를 하고 그래야 아는거니.
    새로운 지식을 알고가네요.

  • @ej3358
    @ej3358 ปีที่แล้ว +2

    그런데 보잉 737 Max 두 대 떨어졌죠...

  • @admiralblue9324
    @admiralblue9324 ปีที่แล้ว +1

    아주 유익한 내용이네요, 잘 봤습니다. 영어 필로소피는 오타가 있네요,

    • @plane_sense
      @plane_sense  ปีที่แล้ว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필로시피 ㅠㅠ 오타 지적 감사합니다.

  • @woosikkim2343
    @woosikkim2343 ปีที่แล้ว +1

    인간은 붏확실하고 예측 불가능한 존재죠. 거기에서 사고 예방이 시작되는 거겠죠.

  • @yespakman
    @yespakman ปีที่แล้ว +2

    40녀년전 이민오면서 내 생전 처음탔던 대한항공 DC 10. 아직까지 기억한다 세탁기 탈수 할때 같이 존나게 털털 거리면서 태평양을 건넜다. 그뒤 타본 보잉 747 😃..캐나다 갔다 오면서 타보았던 에어버스 는 나르는게 보잉보다 더 안정적인 것 같았음.

  • @bllluskyz
    @bllluskyz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보잉 에어버스 다 FBW+비행 컴터를 사용하긴 하나
    보잉은 마음껏 조종할 수 있게 하는 반면
    에어버스는 컴퓨터 판단이 우선이라 에어아시아 8501편 추락사처럼 아예 컴터를 끄지 않는 한 위험할 것 같은 조작은 컴터 선에서 자동 차단한다는
    이런 사고를 보면 이젠 에에버스가 모든 면에서 보잉보다 월등하다고 말 해주고 싶습니다
    승무 편의성부터 에어버스가 훨 좋아 보이던데용 식탁 있는것부터

  • @승부사장필우-w6q
    @승부사장필우-w6q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항공기관사가 있던 시절 유압이 완전히 상실되어 조종불능 상황에 엔진의 좌우 엔진 추력을 조절하며 기체 움직임을 통제한 상황에서는 허용하는 보잉이 나을 것이고 사례로 주신 일본 항공 사례는 에어버스가 더 나은 시스템이라 할 수 있겠네요. 역시 정답은 없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