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콘크리트 구조에 대한 이해

แชร์
ฝั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61

  • @velim4409
    @velim4409 2 ปีที่แล้ว +5

    집 구조상 안전상 철콘크리트가 제일 튼튼하고 안전한 건 당연지사... 미국에 있을 때 플로리다 같은 곳은 정기적인 태풍과 하리케인 닥치면 집들이 다 날라가는데 그 이유는 거의 목조
    건물들... 왜? 싸니까... 쉽게 짓기 쉽고 자연재해만 없다면 100년도 넘게 갈수도 있으나 그걸
    바라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 생각되고... 어제만 해도 런던에 태풍 몰아쳐 지붕 날라가고 난리도 아닌데... 이제는 자연재해를 준비하고 집을 지어야 합니다.
    지붕까지 철근 콘크리트를 하는 게 좋습니다. 한국에서도 목조나 경량철골 돌풍에 지붕 날라가 버리는 동영상 여러 본 적도 있는데... 그 무엇보다 안전이 제일 우선이 되어야 겠지요.
    한국의 건설인부들 욕나옵니다. 정말로 때려 박살내고 싶을 만큼... 아니 왜 옥상에 레미콘 타설하고 철근 대충하고 때우려고 하길래 내가 직접 타설망사와서 이것 만이라고 깔고 작업해달라고 했는데 완전히 투덜되면서 자기는 그렇게 작업을 안했다나?? 조금이라도 일이 늘어나면
    지랄들을 떨어요... 매번 옆에서 감시고 꼼꼼하게 지시하지 않으면 개판 쉽게 쉽게 일 처러하는데 죽여버리고 싶을 정도로 속 터집니다.
    아직 멀었어요. 직업관이나 생각하는게 50년전하고 다를 게 별로 없는게... 콘크리트 타설 전에
    다지고 습기 보호제 깔고 잡석깔고 다지고 마사토나 조금 부드러운 흙으로 깐 다음에 다지고 나서 철근 깔고 높이 맞쳐서 레미콘 부어야 하는데 대충... 파고 그냥 콘크리트 붓고 높이 그런거
    대충 높이 미장질은 바닥 자국남기고 하고 끝... 에라잇~!
    콘트리트 마감 후에 미장하면서 팽창수축으로 갈라짐 방지를 위해 반드시 줄눈을 해줘야하는데
    한국에 그거 하는 사람 한 사람도 본 적이 없으니... 마당이건 지붕이건 콘크리트 타설 후에 100%
    갈라지지... 미국에선 미장이 얼마나 깔끔하냐면 타일같을 정도로 마당도 그렇게 하는데...
    한국은 기술자가 아니라 어디서 굴러먹은 애들이 와서 막장으로 공사들을 하니... 더 이상
    뭔 얘기를 해봐야 내 속만 터지지 헷~!
    참고 th-cam.com/video/epBYAfMkTO8/w-d-xo.html
    th-cam.com/video/5h6Ov3ZqnEQ/w-d-xo.html
    th-cam.com/video/re8_klsF5pk/w-d-xo.html

  • @GSI_Party
    @GSI_Party 4 ปีที่แล้ว +6

    이야호~ 기다렸습니다!!
    선리플 후감상!!

  • @wontaeklim9580
    @wontaeklim9580 4 ปีที่แล้ว +5

    핵심을 잘 전달하시네요. 감사합니다.

  • @user-eg4my4rp9m
    @user-eg4my4rp9m 4 ปีที่แล้ว +3

    좋은정보 항상감사합니다
    분양 하시는일도 잘되시길...

  • @camper2
    @camper2 4 ปีที่แล้ว +10

    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햇살가득님 설명은 이해가 쏙쏙~~!!

  • @smw6535
    @smw6535 4 ปีที่แล้ว +5

    설명이 뇌속에 주사맞은듯이 쑤욱 들어와요~~~명강사이십니다!~~:-)

  • @candleproducer3106
    @candleproducer3106 4 ปีที่แล้ว +3

    건축을 쪼매 아는 사람으로써 완벽한
    설명입니다.
    녹슨 철근과 부실시공이 가장 문제입니다.
    거푸집 형틀 목수들이 거의 90프로 조선족입니다.
    이들의 기술력 오합지졸이고
    일도 정밀하게 하지 못합니다.
    ,,,,,,
    우리 젊은이들이 할 수 있도록 정치적 행정적으로 무슨 수를 써야 해요.
    일자리 없다고 할게 아니라
    일을 할 수 있도록 만들면 될걸,,,,
    나라가 망쪼다.
    ,,,,,
    요즘도
    일부 젊은 친구들
    용접 건축 등등 임금을 많이 주는
    외국으로 나가드만

  • @user-mg6jn7dc6f
    @user-mg6jn7dc6f 4 ปีที่แล้ว +9

    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명강의입니다~~^^♡

  • @TV-jc8mr
    @TV-jc8mr 4 ปีที่แล้ว +5

    예비 건축주로서 늘 감사한 마음으로 배우고 있습니다.
    제가 집 지을때 좋은 팀 소개도 부탁 드립니다.

  • @scotth712
    @scotth712 4 ปีที่แล้ว +1

    너무너무 잘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tv_1471
    @tv_1471 4 ปีที่แล้ว

    교수님 항상감사 합니다

  • @bjjbbcab
    @bjjbbcab 4 ปีที่แล้ว +4

    햇살님 요 며칠간 영상 너무 잘 보고있습니다. 좋은 정보 너무 감사하고 영상들을 보면서 제 꿈을 품을 수 있어서 좋네요. 건강하세요!

  • @farmacy_in_Gongju
    @farmacy_in_Gongju 4 ปีที่แล้ว +3

    훌륭한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정말 많이 배우네요.

  • @wink584
    @wink584 2 ปีที่แล้ว +2

    정말 훌륭한 강의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nc6ih3hr6h
    @user-nc6ih3hr6h 4 ปีที่แล้ว +1

    구독 눌렀어요. 앞으로 계속 활동 부탁요.

  • @user-fc4ys2nk5h
    @user-fc4ys2nk5h 4 ปีที่แล้ว +1

    양질의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평소의 궁금증이 이해되어 좋았습니다~ 좋은겅부했네요^-^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4 ปีที่แล้ว +4

    굿입니다.
    구조에 다 장단점이 있으니 지역 기후의 특성에 맞춰서 지으시면 됩니다.

  • @HCLee-rp4hw
    @HCLee-rp4hw 4 ปีที่แล้ว +12

    토목공헉을 전공한후 건설회사에서 31년을 근무했는데 여기서 철콘강의를 접하니
    놀랍습니다.

  • @juc576
    @juc576 4 ปีที่แล้ว

    잘만드셨네요. 귀에 쏙쏙들어옴

  • @user-qe2jm7db7x
    @user-qe2jm7db7x ปีที่แล้ว

    귀에 쏙쏙 들어오는 명강의입니다

  • @smj6008
    @smj6008 4 ปีที่แล้ว

    최고의 강의 입니다

  • @user-lz7jb4yf2w
    @user-lz7jb4yf2w 4 ปีที่แล้ว +1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bt6lj2ph6t
    @user-bt6lj2ph6t 4 ปีที่แล้ว +3

    오늘은 목소리가 평소보다 다르네요..감기조심하세요..

  • @user-pi7ox3mm6r
    @user-pi7ox3mm6r 4 ปีที่แล้ว +5

    크~정말 좋은정보 감사합니다...제가 토목건축을 전공을 하는건 아니지만.. 이런쪽에 관심이 많아서 과거 네이버에서 정보를 찾아가 블로그로 처음 접했던것 같은데..유튜브에서 보고 채널 구독하고 간간히 시청하고 있습니다.ㅋ감사합니다.ㅋ

  • @lim-xl7qm
    @lim-xl7qm 4 ปีที่แล้ว +4

    건물들이 어떻게 안 무너지고 단단 할까 라는 궁금증이 커서 철근과 콘크리트 등을 알아왔는데 좋은 영상 이네요 배우고 갑니다

  • @jeffhong3693
    @jeffhong3693 4 ปีที่แล้ว +1

    짱입니다요!!

  • @user-fc3qn6zi3f
    @user-fc3qn6zi3f 4 ปีที่แล้ว +1

    이야 설명이 아주 굿입니다요!!

  • @user-dp7hd4yc3t
    @user-dp7hd4yc3t 4 ปีที่แล้ว +2

    영상감사합니다.

  • @user-eb7fr2tx1d
    @user-eb7fr2tx1d 4 ปีที่แล้ว +6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외단열에 대해서는 거의 신경쓰지 않았는데 엄청난 차이가 있군요. 구독했습니다.

  • @yoko9242
    @yoko9242 17 วันที่ผ่านมา

    잘들었습니다

  • @ccssp4
    @ccssp4 2 ปีที่แล้ว

    멋진 강의

  • @user-og9xq7gx6y
    @user-og9xq7gx6y 3 ปีที่แล้ว

    모든 공정의 설명 잘보고갑니다

  • @user-cg6ug9yk7u
    @user-cg6ug9yk7u 4 ปีที่แล้ว +4

    영상 감사합니다..!!

  • @user-vi6ft4yx1w
    @user-vi6ft4yx1w 4 ปีที่แล้ว +2

    그렇쿤요~
    잠~보았습니다~×~쿡~

  • @user-op3zj9us2y
    @user-op3zj9us2y 2 ปีที่แล้ว

    건축을 배우고있습니다
    좋은 정보 얻고갑니다^^

  • @135-dh2id
    @135-dh2id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화면 영상도 좋고 강의내용도 좋았습니다. 학생들 강의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njkim0909
    @njkim0909 4 ปีที่แล้ว +1

    철근과 시멘트가 그렇게 궁합이좋다고 들었습니다.

  • @TV0100
    @TV0100 3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가설tv입니다^^ 영상 잘 봤어요 좋아요 꾸욱 누르고 갈게요~^^!!

  • @user-wv4fb4ii2f
    @user-wv4fb4ii2f ปีที่แล้ว

    알고싶은 정보를 정확히 알려줘서 감사합니다

  • @veiltalker7889
    @veiltalker7889 4 ปีที่แล้ว +2

    단열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많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구독좋아요 안할수가 없네요.
    (레미콘 날씨(일기)에 따른 타설일자 확정이 정말 중요합니다. 콘크리트가 이런 것에 영향을 받는 것은 물과 시멘트의)
    (수화반응이기 때문에 콘크리트 내의 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감소시킬수록 안정적이 됩니다. 하지만, 많은 중소...)

  • @bongsuko8261
    @bongsuko8261 4 ปีที่แล้ว

    이분 정말 글을 잘 쓰시는 분이네요. 문장이 짧고 가독성이 정말 좋습니다.

  • @mollo9437
    @mollo9437 4 ปีที่แล้ว +3

    비문학 지문에 철근콘크리트 나와서 궁금해서 검색해봤는데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re8hg7xz9u
      @user-re8hg7xz9u 2 ปีที่แล้ว

      ㅋㅋㅋㅋㅋ 저도

    • @mollo9437
      @mollo9437 2 ปีที่แล้ว

      엌ㅋㅋㅋ 전 이제 대학교 왔네요

  • @kf22n51
    @kf22n51 4 ปีที่แล้ว +1

    확실히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관리가 쉽죠.

  • @KYYOO-nn8nr
    @KYYOO-nn8nr 4 ปีที่แล้ว +2

    쩗지만 강한 팩트 설명이 인상이 깊네요!

  • @user-de2tv9nb6o
    @user-de2tv9nb6o 4 ปีที่แล้ว +22

    정말로깔끔히 정리해 주셨네요
    건설관련 종사자입니다ᆞ
    저층 전원주택의경우 누가머라하더라도 1.단열은 외단열 시공해야 합니다ᆞ단열은 흙과접하는 부분부터 해야합니다 (이부분에서는 해석이 분분합니다ᆞ그러나 건축주 입장에서는 가격차이크게나지않습니다.즉 해서나쁜건없죠)
    2.방수와 투습또한 외부에서 처리해야합니다
    3.기초의경우 많은 시공업체에서는 온통기초(mass)를 시공하려고 노력합니다ᆞ왜일까요^^;
    콘크리트가 두껍다고 튼튼한거 아님니다ᆞ저라면 깊이를 동결선이하로 하는 줄기초 독립기초로 합니다
    왜 많은 시공업체가 온통기초로 하려는 이유는 시공이 간편하다는것 이외에는 없습니다
    아마도 신축 상담과정에서 상기 3가지 관철시키기가 어렵습니다^^;

    • @WoongKim0830712
      @WoongKim0830712 4 ปีที่แล้ว +2

      님처럼 양심적인 업자들이 적정한 수입이 확보되는 공사에서 자신의 집을 짓듯이 알아서 꼼꼼히 해주면 무슨 하자가 발생하겠습니까. 하지만, 그저 편하게 귀찮은 공정은 생략하고 공사 후 돈 받을 생각만 하며 시공하는게 문제지요. 제발 설계도면대로 양심적으로 시공하는 공사시공자들이 많아지기만을 바랍니다. 제발.

    • @burk1125
      @burk1125 4 ปีที่แล้ว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외단열로 시공을 하는 경우에도 마감재간의 연결부위에서는 결국 열교가 생기는거 같은데 결로와 단열을 위해 특정하게 사용하시는 재료가 있나요?
      아니면 따로 열교를 막는 시공 노하우가 있으신가요??

  • @user-bq9xm6qf3o
    @user-bq9xm6qf3o 4 ปีที่แล้ว +2

    뜬금없지만 수능국어기출문제에 철근콘크리트의 지문이 나왔던 기억이나서 영상재밌게봤네용

  • @contiguous1
    @contiguous1 4 ปีที่แล้ว +1

    구독하고 갑니다

  • @jackpotchiken
    @jackpotchiken 4 ปีที่แล้ว +11

    1.업체선정
    시공사는 기초부터 탄탄하게 정밀하게 시공잘하는 업체 선정하기
    (경험량,보유 기술)
    2.기후나 배합의 영향
    날씨는 너무덥거나 추울때 공사 되도록 금지 아무리 워커빌리티가 안 좋더라도 현장에서 콘크리트에 물을 뿌리는건 금지
    사전에 배합조절 잘하기
    3.형상구조에 따른 공기량 하자율
    벽체 지붕 모양 단순한 구조로 하기
    너무 복잡하고 정밀이 필요할수록
    나중에 여러 하자나 문제가 생길확률이 많아짐
    4.설비
    상하수도배관,전기배관 매립전에 신중하게 점검하기
    5.단열
    단열은 외단열하기
    추천 외단열 일체타설방법

  • @latus5068
    @latus5068 4 ปีที่แล้ว

    매우 감사합니다!!

  • @user-lx3ry3qs3o
    @user-lx3ry3qs3o 3 ปีที่แล้ว +1

    뭐하시는분이길래 이리 잘알죠?

  • @MidoumChoi
    @MidoumChoi 4 ปีที่แล้ว +1

    잘보고 갑니다 :)

  • @user-xe3oj2tv5x
    @user-xe3oj2tv5x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교수님 안녕하세요 교수님 강의 여러 번 듣고 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다름 아니라
    철근 부실 시공 업체 어디다 신고해야 됩니까?

  • @user-oi6do4mw7k
    @user-oi6do4mw7k 3 ปีที่แล้ว

    잘봤습니다

  • @user-vq4iv5ig5q
    @user-vq4iv5ig5q 2 ปีที่แล้ว +1

    매립형 수도관 전기선 차후 고칠때 문제 교체 가능한 방식을 해야 백년 주택 조건 특히 노후 수도관에서 매립형은 수리시 많은 비용 고치기도 힘듬

  • @goansekd
    @goansekd 3 ปีที่แล้ว

    이태리는 2천년 전에 건물에서 지금도 오페라 공연을 하더군요.
    우리나라 아파트 수명은 40년.. 자동차도 아니고 걱정입니다.

  • @user-fi6ye4mx5u
    @user-fi6ye4mx5u 4 ปีที่แล้ว +1

    이런영상 좋네오ㅡ

  • @sungungchoi7097
    @sungungchoi7097 4 ปีที่แล้ว +68

    10:01 "그것은 바로 김일성 때문입니다" 듣다가 깜짝 놀랐네ㅋ

    • @spogolfer
      @spogolfer 4 ปีที่แล้ว +1

      기밀성? 김일성 ㅎ 발음이같네요

    •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4 ปีที่แล้ว +2

      ㅋㅋㅋㅋ 저도 김일성으로 듣고 읭??? 함ㅋㅋㅋ

    • @KYYOO-nn8nr
      @KYYOO-nn8nr 4 ปีที่แล้ว +1

      kimilsung or kimilsung ㅋㅋㅋ

    • @nowandhere1958
      @nowandhere1958 4 ปีที่แล้ว +2

      ㅋㅋㅋ저도 잉? 김일성? ㅋㅋㅋ

    • @yaletowngirl
      @yaletowngirl 4 ปีที่แล้ว

      이 부분부터 듣고 보기 시작....기밀성..ㅎ하하하 빵터졌어요

  • @WonshikAlex
    @WonshikAlex 3 ปีที่แล้ว +2

    일체타설 문제는 조금 다른 견해가 있을 것 같습니다.

  • @user-nt8xl8fn9i
    @user-nt8xl8fn9i 4 ปีที่แล้ว

    지반은요 그만큼 하중도증가하죠

  • @Sjauwhfbciwjqhaochr
    @Sjauwhfbciwjqhaochr 4 ปีที่แล้ว +7

    오늘도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화면에 나오는 단열재 정보좀 알수있을까요?? 일반 단열재는 아니고 굉장히 특수한 단열재 같은데요?? 저렇게 생긴 단열재는 처음봅니다.

    • @user-he3td5oj4p
      @user-he3td5oj4p  4 ปีที่แล้ว +2

      미트하임에서 생산하는 에어폴 이라는 단열재 입니다. mitheim.com/

    • @nskyrich
      @nskyrich 4 ปีที่แล้ว +3

      단열재가 어디 제품인가 보다는 정밀시공이 더 중요합니다.
      바늘구멍으로 황소바람 들어온다는 옛말이 절대 헛소리 아닙니다.
      열영상으로 보면 단열재 고정철물들이 점처럼 다다다 찍혀 보이죠. 거기 더해서 단열재를 이어 붙일때 약간의 공극이 생기면 그쪽으로 단열이 거의 안되는걸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같은 등급의 단열재라면 어느회사제품이 좋다기보다 얼마나 정밀시공을 했느냐가 엄청나게 중요한겁니다.
      또한 외벽 배선부분은 입선 후 반드시 폼 충전을 해줘야 단열 및 방음이 좋습니다.
      콘센트나 그외 부분의 배관을 타고 들어오는 단열 및 소음이 무시못할 정도니까요.

    • @davidnoh1110
      @davidnoh1110 3 ปีที่แล้ว

      미트하임에서 나오는 에어폴 단열재 품질 좋습니다. 제가 그걸로 사서 직접 외단열 시공해보고 말씀드리는 겁니다. 단열재 설치에 있어 기밀성이 생명인데, 끼워맞춤 형식의 단열재는 이러한 시공의 편리를 가져다주며, 면도 고르게 나오기에 마감재 과정이 한결 수월합니다. 단열재 품질도 상당히 좋구요, 비드의 분리도 잘 알어나지 않고, 난연성능도 굿입니다.

  • @user-lg8ie5hn5f
    @user-lg8ie5hn5f 4 ปีที่แล้ว +1

    가수하지말라고해도 꼭가수하고 문제생기면 다 나몰라라 하고 항상 책임은 품질관리부가 지지..

  • @forestthe7596
    @forestthe7596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건축 비용에 대한 언급을 해주시면 어떨지요 다른공법과의 비용차이가 궁금합니다

  • @user-nb7dn4xw6s
    @user-nb7dn4xw6s 4 ปีที่แล้ว +4

    철근 빼먹지 맙시다!

  • @joungsimsin8413
    @joungsimsin8413 ปีที่แล้ว

    이 건물은 몇평인가요?

  • @user-de2tv9nb6o
    @user-de2tv9nb6o 4 ปีที่แล้ว +10

    혹시전공하셨나요^^;
    너무나도 깔끔하시네요ᆞ
    기술사를 가지고있는 제가 부끄러워요ᆞ

  • @user-nk8yk8wh6q
    @user-nk8yk8wh6q ปีที่แล้ว

    이러한 공법을 안하는이유는 폼을 끼울때 핀을 끼우는데 단열제를 뚤고 핀을 꼽아야 함으로 시공자가 불편함이 있습니다
    후행 단열 설치는 폼을 제거후 핀을 뽑지않코 나와있는 핀에 망치질로 꼽아서 단열 시공을 편하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힘들게 잡아주는 게 없이 부착 하기 편하게 시공하기 위함임니다 핀도 많이 꼽을 필요 없이 조금만 나와있으면 돼기 때문이죠
    핀역시 철 임니다 긴 핀을 쓰는것보다 작은 핀으로 하면 가격면에서 저렴하기 때문이기도 함니다
    시공 방법 이 편하게 하는건 인건비와도 연관있습니다 요즘 현장 인건비 상당함니다

  • @user-bz1ls6mu5u
    @user-bz1ls6mu5u 3 ปีที่แล้ว

    잘보고았습니다 궁금한점이 단열제 일제타설치 평수가 줄어들진 않나요?

    • @user-he3td5oj4p
      @user-he3td5oj4p  3 ปีที่แล้ว +1

      외단열 부분은 건축면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user-fy8cw7ww4m
    @user-fy8cw7ww4m 4 ปีที่แล้ว

    금전 앞에 임금도 신하도
    머리 숙여지는 세상

  • @user-jp8fb5wk5l
    @user-jp8fb5wk5l 2 ปีที่แล้ว

    실속한 해설 단연 탑 입니디ㅡ

  • @user-xn9zh6xn1v
    @user-xn9zh6xn1v 3 ปีที่แล้ว +2

    영상 9:59 콘크리트 구조가 결로에 취약한 이유가 "김일성" 때문이라는 말에 뭐지? 했습니다. ㅋㅋ ㅋㅋ 기밀성 인데...김일성으로 들렸어요 ㅋㅋ

  • @stanfordleeham8922
    @stanfordleeham8922 4 ปีที่แล้ว

    건설로봇은 철근은 도와주는 것과
    철근 설치 철근 해채 정도의 건설로롯

  • @kres2024
    @kres2024 4 ปีที่แล้ว +5

    양평 오시는분들중 ...거의 70%이상은 RC구조를 선호하십니다. 이유는 최근 몇년간 흔히들 " 날림건축 경목구조 " 주택들때문에 ...목조주택이 이미지가 좋지 않은게 ... 큰 이유중 하나 아닐까 싶습니다 . 철근콘크리트 구조도 날림주택들이 꽤 있기는 한데... 왠지 구조체 이름에서 오는 아우라가 단열문제와 별개로 ...사람들에게 호감을 주는것일지도...

    • @user-zi4wk8wr1l
      @user-zi4wk8wr1l 4 ปีที่แล้ว

      마당발부동산TV용PD ㅣㅣ

    • @hojinche5996
      @hojinche5996 4 ปีที่แล้ว +2

      한국사람들에게 자리잡은 집의 대표적인 형식이 아파트라서 중량구조를 선호해요. 실제로 연교차가 높고 습도 변화가 큰 한국 기후에 잘 맞기도 하구요. 일본이나 유럽 공법인 경량 철골, 목조가 잠깐 유행하기도 했지만 차라리 블럭조를 하는게 낫지 않을까 합니다.

  • @user-ps8wp7eg3h
    @user-ps8wp7eg3h ปีที่แล้ว

    일체타설하면 타이핀 구멍은 우얌???

  • @user-ng6dq1sg8g
    @user-ng6dq1sg8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일체타설이 누수와 창호결로의 원인으로 패시브하우스협회에서 지적하던데요..양측의 주장이 다릅니다.

  • @jodh1971
    @jodh1971 4 ปีที่แล้ว +1

    부실시공 ----------->>> 제가 가서 콘크리트컷팅 ^_^

  • @user-zu7vw9zc1y
    @user-zu7vw9zc1y 3 ปีที่แล้ว

    철근배운지 5년된 29살 남자입니다. 알면알수록 넘. 어렵네요 ㅜ 밴다랑 램프 넘 어려워용 ㅜ 알려주세요

  • @user-vg9he5jo5s
    @user-vg9he5jo5s 4 ปีที่แล้ว +2

    아파트는 구조적으로 외부단열재
    부착 불가능..
    결로 방지하려면
    외부와 비슷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창문을 열어놓는 수밖에..
    그쵸?

    • @karihandae
      @karihandae 4 ปีที่แล้ว

      그런데 요즘 고층빌딩이나 오피스텔보면 가끔 외단열 하는 것 같던데요...

  • @AaaAaa-hl2ld
    @AaaAaa-hl2ld 4 ปีที่แล้ว +3

    노가다 아재들은 이런거 안알려주던데 유튜브 너무좋은것......

    • @user-sx7di9me8u
      @user-sx7di9me8u 4 ปีที่แล้ว +5

      노가다가 아니고 건설 노동자라고 해야 맞는 표현입니다
      여러분들이 살고 계신집들
      모두 그분들이 지은 겁니다

  • @European_Rabbit
    @European_Rabbit 4 ปีที่แล้ว

    좋은 영상 잘 보았습니다~^^ 혹시 영상 집보면 바로 뒤에 경사가 급한 산이 있는데 그곳은 어떻게 마감했는지 알 수 있을까요 ㅎㅎ 저희도 절토하면 3-4미터 저정도 생겨서 석축을 쌓으려는이 조언을 받고자 합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user-he3td5oj4p
      @user-he3td5oj4p  4 ปีที่แล้ว +1

      옹벽의 선택편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user-sx7di9me8u
      @user-sx7di9me8u 4 ปีที่แล้ว

      개인적으로 문양이 들어간 콘크리트 옹벽 시공을 추천 드립니다 석축은 경사도로 인해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보강토 작업또한 절사면을 충분히 확보해야 되므로 콘크리트 옹벽을 추천하고 싶네요

  • @nowandhere1958
    @nowandhere1958 4 ปีที่แล้ว +1

    햇살가득님 혹시 직접시공 하시는분이실까요?

    • @user-he3td5oj4p
      @user-he3td5oj4p  4 ปีที่แล้ว +1

      직접 시공은 하지 않습니다.

  • @user-yt3hb6nh7v
    @user-yt3hb6nh7v 4 ปีที่แล้ว +2

    여름에 공구리 마르고나서 갈라지지 말라고 물뿌리는것도 안좋은건가요??

    • @user-he3td5oj4p
      @user-he3td5oj4p  4 ปีที่แล้ว +1

      양생시 물을 뿌려주는 것은 도움이 됩니다.

  • @teasankim9715
    @teasankim9715 4 ปีที่แล้ว

    기초 일층 이층 3층 거푸집 전기시설 배수관 상수도 비닐 스티로폼 단순한구조로 설계
    토지와 외부 설비

  • @kash-narhmak
    @kash-narhmak 4 ปีที่แล้ว +1

    기.... 김일성이요???

  • @imsong91
    @imsong91 4 ปีที่แล้ว +3

    일체타설? 이거 좋아 보이네요... 근데 얼마전 뉴스를 보니 바닥 단열을 돈을 아낄려고 건너띄는 업자들이 많다고 하네요.
    사실 아무리 외단열을 잘 해도 바닥 단열을 건너띄면 말짱 꽝 아닐까요? 쩝....
    그러고 보면 비싸서 그렇지 목조가 여러 모로 장점이 많네요...

    • @user-ss3kz4zt9x
      @user-ss3kz4zt9x 4 ปีที่แล้ว +2

      목조가 콘크리트조보다 가격이 더 쌉니다.

    • @imsong91
      @imsong91 4 ปีที่แล้ว +1

      그런가요? 목조가 평당단가가 훨씬 비싸다던데.... 음 물론 집이라는 게 평당으로 할 수는 없디만요...
      그럼에도 불구라고 철콘을 선호하는 이유가 뭘까요?

    • @user-he3td5oj4p
      @user-he3td5oj4p  4 ปีที่แล้ว

      목조의 장점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 @YOONSUNGYUL
      @YOONSUNGYUL 4 ปีที่แล้ว +6

      @@user-he3td5oj4p 중목 제외하고 경목주택의 가장 큰 장점은 자기 만족 및 자기 합리화 입니다 미국에서는 넓은 땅과 쉽게 구할 수 있던 목재로 싼맛에 짓던 건데 한국에서는 그러한 상황이 안되죠 결국 사람들의 오해와 그걸 노린 업자들의 친환경이라는 상술은 전원주택이라는 니즈와 부합되서 도시=콘크리트 자연=경목구조로 사람들 머리속에 각인되버려서 도시에 살다 시골로 가는 사람들은 경목을 선호합니다 원래부터 농촌에 살던 사람들은 경목 안 짓죠 경목주택을 지어야만 비로소 도시탈출에 성공했다는 자부심을 느끼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서 도시에서도 콘크리트에 파뭍혀서 살았는데 시골에서까지 그래야 하냐고들 합니다 그러면서도 석고보드는 구석구석 빠짐없이 붙이지만...

    • @imsong91
      @imsong91 4 ปีที่แล้ว +1

      @@user-he3td5oj4p 철콘 집, 외장은 벽돌,이랑 목조주택, 인슐레이션 단열만 한 집,에 모두 오랜 세월 살아 봤는데, 목조는 난방비가 월등히 적게 들더군요. 또한 저처럼 아토피가 있는 사람에게는 좀 덜 간지러웠구요. 뭐 남들은 불나면 유독가스가 없어서 탈출하기 좋다고는 하는데 그건 모르겠고요 불이 안나봐서리. 지진에도 좋다는데 것도 잘 모르겠고요... 지진을 안 당해봤으니. 저 두 가지말고 또 장점이 있는지는 ? 아 공기?공사기간이라고 하나요? 그건 목조가 짧다고 하더라고요.

  • @shs892
    @shs892 3 ปีที่แล้ว

    말은 쉽죠
    경험이 많은 시공자에게 시공한다
    현실은 구분이 불가

  • @stanfordleeham8922
    @stanfordleeham8922 4 ปีที่แล้ว

    Reinforce steel installer robot coming soon

  • @namo5844
    @namo5844 4 ปีที่แล้ว +2

    혹시 라돈 없는 콘크리트 주문하는 방법도 있을까?요??

    • @jackpotchiken
      @jackpotchiken 4 ปีที่แล้ว +1

      천연석회석,천연골재를 해외(그리스)에서 수출해야 됩니다.
      그리고 배합비용을 공정 사이클별로 인건비포함해서 레미콘회사에게
      거금주고 맡기셔야 됩니다.

  • @user-fq2qe1yw9n
    @user-fq2qe1yw9n 2 ปีที่แล้ว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13층 짜리 빌딩을 올릴수도 있나요??

    • @user-he3td5oj4p
      @user-he3td5oj4p  2 ปีที่แล้ว +3

      높은빌딩은 거의다 철콘이죠

  • @videomaking494
    @videomaking494 4 ปีที่แล้ว +2

    결로 문제는 외부기온과 내부기온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것입니다. 환기를 잘 해주면 해결 할 수있습니다.

  • @sosok6270
    @sosok6270 4 ปีที่แล้ว

    철근콘크리트에서 창호프레임부분에 단열방법이 없는건가요?

    • @user-he3td5oj4p
      @user-he3td5oj4p  4 ปีที่แล้ว +1

      창틀도 규격을 보시면 열관류율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단열성이 좋은 창틀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 @sosok6270
      @sosok6270 4 ปีที่แล้ว

      @@user-he3td5oj4p 음~~제가 정확한 이름을 몰라서 창호프레임이라고 했는데 그 창틀 말고 창을붙이는 접합 부분인데 개구부(?) 제가알기론 그쪽을 미장마감후 창호를설치하는걸로알고있어서 그렇게시공했을때 그분은 단열재가없고 그냥 시멘트가 들어가서 창호주변에 결로가생기는 원인이 된다더라구요~그래서 다른방법은없는것인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설명을잘 못하겠네요ㅜ.ㅜ

    • @YOONSUNGYUL
      @YOONSUNGYUL 4 ปีที่แล้ว +1

      @@sosok6270 현재 일명 폼이라고 우레탄폼을 쏩니다 만약 폼을 안 쏘고 미장 마감했다면 몇년후에 창틀 주위로 결로로 젖어있다보니 벽지가 얼룩져있죠 옛날집들이 그래요

    • @user-sx7di9me8u
      @user-sx7di9me8u 4 ปีที่แล้ว +3

      스프레이 우레탄 폼이 사용되는데 창호시공시 대충하고 가기때문 입니다
      시공시 우레탄 폼 시공을 확인해 주시면 충분한 시공이 될것입니다

    • @moontube7322
      @moontube7322 4 ปีที่แล้ว +1

      창호 프레임 자체는 단열바를 쓰시면 돼고, 개구부와 창호 사이에는 우레탄폼을 충진해주면 됩니다.

  • @user-hd3fp1nm6v
    @user-hd3fp1nm6v 3 ปีที่แล้ว +1

    불량시멘트 배송받으면 말짱황

  • @user-gr7pi3ix1s
    @user-gr7pi3ix1s 2 ปีที่แล้ว

    에어폴 단열재 사용하자.

  • @stanfordleeham8922
    @stanfordleeham8922 4 ปีที่แล้ว

    Steel setup robot
    Sized put and installatie robot

  • @user-gv8wd9dt7w
    @user-gv8wd9dt7w 4 ปีที่แล้ว +5

    reinforced 레인포스드x 리인포스드o

    •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4 ปีที่แล้ว +1

      헐.... 수업때 레인보스드로 배웠는데ㅋㄱㅋ

    • @user-ej3rk8uf9d
      @user-ej3rk8uf9d 4 ปีที่แล้ว +1

      강화된 보강된

    • @user-pz7vs7me6y
      @user-pz7vs7me6y 4 ปีที่แล้ว +1

      레인포스가 맞습니다.

  • @user-ex9bz3yd6u
    @user-ex9bz3yd6u 3 ปีที่แล้ว +1

    영상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일체타설 언급하셨는데요. 다른 견해를 갖고있는 영상도 있어서 공유차 링크 남겨요
    th-cam.com/video/3_7iWYYt-jc/w-d-xo.html

  • @gregory000
    @gregory000 3 ปีที่แล้ว

    집이 숨을 쉰다=기밀 실패=부실시공

    • @gregory000
      @gregory000 3 ปีที่แล้ว

      집을 애초에 왜 짓는건데 ㅋ

    • @gregory000
      @gregory000 3 ปีที่แล้ว

      집=기밀정도를 0에서 100퍼센트 까지 자유롭게 조절하려고 짓는 것.

  • @user-ut3gv5bb9x
    @user-ut3gv5bb9x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철콘은. 크래이 가드라도 철근은 많이 너어야 한다 크랙은. 바닥미장으로. 마감 하면 해결된다. 그래서 철근은 많이 너어야 한다 그래야 튼튼하다

  • @user-ve5qj2no5n
    @user-ve5qj2no5n 4 ปีที่แล้ว +1

    중국 인류 왈 음 대나무로 해야지 ㅋㅋㅋ

  • @zeuj2
    @zeuj2 4 ปีที่แล้ว

    기밀성 vs 김일성

  •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4 ปีที่แล้ว +2

    철근 넣는 방법을 누가 알아냈을까. 진짜 노벨상 열개를 줘도 모자랄듯

    • @AAL-nj4kz
      @AAL-nj4kz 4 ปีที่แล้ว +2

      그건 별로 크다고 생각은 안하는데
      철과 콘크리트의 팽창계수가 똑같다는게 신기하고 자연이주는 축복이라는게 신기함
      서로 완전히 다른 재료가 계수가 같다는게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