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개인 일상에 있어 모든 근간이 되는 건축물에 대해 도대체 왜 이렇게 할까 아쉬움으로 시작된 궁금함에 관심이 많아졌는데 비전문 일반인이 들어도 이해가 쉽게 설명해주셔서 궁금함이 재미있게 해소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 번 지은 건축물 적어도 15년 이상은 철거 안 되고 땅에 남아 있고 그 안에 사람들이 치열하게 살아가는데 이렇게 꼼꼼하게 잘 건축하시는 분들이 많다면 일이나 일상을 위해 어디로든 거처를 옮기려 했을때 얼마나 걱정없이 짐을 쌀 수 있을까 생각이 드네요 티내기식 산학협력보다 더 피부로 와닿는 현장학습 따라다니는 기분이예요
철근에 변형을 안 주는 선에서 용접을 하면 기분 상 좀 더 튼튼해 질 것 같기는 하나 그렇다고 철근량을 줄일 수는 없으므로 경제성 등을 고려하면 큰 의미는 없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철근 양이나 강도가 무조건 많거나 쎄다고 좋은 게 아니라 콘크리트와 어느 정도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크릭이 많이 가는게 문제가 아니고 공구리 칠때 공구리가 잘 안들어가요 잘안들어가면 기포가 생기고 잘 채워 지지 않은 부분이 생기면 건물이 어떻게 될지 생각 해보기 바라고요 철근이 설계도면 보다 많이 들어가게 되면 안전할거라 생각 하는데 오히려 부실 우려가 그런부분에서 생길수 있으니까 항상 철근 양이 기준보다 많이 들어갔는지 아니면 철근 기리바이를 그냥 막 묶어서 처리 했는지 잘봐야 하네요 철근 빠진것만 볼게 아니고 철근이 기준치보다 많이 들어갔는지도 중요하네요
결속선의 결속 비율이 구조체의 강도와 전혀 상관이 없다? 글쎄요.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고 계십니다. 콘크리트가 타설되서 완전 양생 된 상태에서 별다는 힘이 작용하지 않았을때는 그렇지만 양생 되기 전 또는 그 이후라도 외력이던 내력던 콘크리트를 무너트릴 만한 힘이 작용 할때는 전혀 다릅니다. 전문가 분들이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면 안됩니다.
일, 개인 일상에 있어 모든 근간이 되는 건축물에 대해 도대체 왜 이렇게 할까 아쉬움으로 시작된 궁금함에 관심이 많아졌는데
비전문 일반인이 들어도 이해가 쉽게 설명해주셔서 궁금함이 재미있게 해소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한 번 지은 건축물 적어도 15년 이상은 철거 안 되고 땅에 남아 있고 그 안에 사람들이 치열하게 살아가는데
이렇게 꼼꼼하게 잘 건축하시는 분들이 많다면 일이나 일상을 위해 어디로든 거처를 옮기려 했을때 얼마나 걱정없이
짐을 쌀 수 있을까 생각이 드네요
티내기식 산학협력보다 더 피부로 와닿는 현장학습 따라다니는 기분이예요
아직 많이 부족한데 좋게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힘내서 더욱 열심히 영상 만들어보겠습니다!
유익한 내용을 알기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넵~ 시청 감사드립니다!!
좋은 지식 배우고 갑니다.
감리로써 똑띠하겠습니다👍
아 넵~ 감리자이시군요~ 화이팅입니다^^
박카사탕 같은 시원한 설명 감사합니다.
넵~시청 감사드립니다!
올해 첫 발령받은 신규감리로서 아키윤님 영상은 너무 도움이 많이 됩니다ㅠㅠㅠ
도움이 되신다니 다행입니다^^ 자주 놀러 오세요~
@@archiyoontv3226 제가 아직 신규감리이기도 하고 현장에 여자가 저 혼자라 특급분들께 아무래도 여쭤보기가 좀 어려운 부분이 많았는데 한줄기 빛을 발견한 기분이에요...앞으로 많이 찾아보겠습니다...!
항상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넵~시청 감사드립니다!!
유익한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넵~ 시청 감사드립니다!^^
참 알기쉽게 철근표기법까지 너무 잘 설명해주시네요~ ♥
기둥철근이랑 포스트 파일이 같은열에 있는것 같은데 ,, 그럼 차후 시공될 보철근정착이나 이음시 포스트파일 간섭을 어떻게할지 연구가 필요할듯 보입니다
넵~잘 고려하여 시공하고 있습니다~의견 감사합니다!!
쪼인트(이음부분) 이 지그자그로 해야하는데 전부 몰쪼인이 되었내요! 감리가 지적하면 올데나우시(전부고침) 입니다!!
제가 감리입니다^^ B급 이음 기준이라 몰조인 괜찮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영상 한 번 만들어 올리겠습니다!^^
자료잘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넵~시청 감사드립니다!
영상들 너무 재밌고 좋은 정보 최고입니다👍
넵~시청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넵~시청 감사드립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넵~시청 감사드립니다^^
모범 현장이네요 수고하십니다
넵~시청 감사드립니다!
제가 말하고 싶은 것은 철근 공 들이 아니면 배근 간격 을 줄자 로 재면 서 배근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철근 간격 은 어떻게 배근을 하나요?
철근 결속이 괭장히 중요하다는 어느 건축가 말과 상충되네요. 지진많이 나는 일본 영상에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하는데요.
결속이 안 중요하다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철근이 안 움직이게 하기 위해선 당연히 결속이 중요하지요~ 하지만 그 이상은 의미 없다는 뜻입니다^^
6:09 저거 주근에 용접한거 아닌가여? 쇠막대 세워둔거여. 용접하면 안되는거 아닌가여?
용접 부위가 많으면 당연히 문제가 되겠지만 저 정도로는 크게 문제될 것 없습니다^^
@@archiyoontv3226 영상에서 보면 꽤 여러곳 나오는것처럼 보여서여. 알겠습니다.
용접하면 왜? 안되는데요?
@@kihojoa 철근에 열을 가하면 제성능을 못내기 때문에하면 안됩니다. 건축이야기유투브에서 자세히 설명 하셨기때문에 보시면 도움 될겁니다
상하부이음이 한방향으로 되있는데 괜찮나요?
넵~ b급 인장기준이라 같은 곳에서 이음이 되어도 무방하며 해당 현장은 일부 구간에서만 몰려있고 이음 길이도 충분히 여유있게 하였기에 괜찮다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허세요. 철근코크리트 배근상세 책 추천좀해주시면 감사하겠어요.
앗.. 저도 그런 책은 따로 본 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네요ㅠㅠ
죄송합니다!
철근배근 감리는 구조사무소에서 감리 하는게 아닌가요?
일정 규모 이상일 때에는 구조기술사가 해야 하나 그렇지 않으면 건축사가 할 수 있습니다^^
건설은 철근하나하나를 도면 대로 하는게 진짜 신기함 존경합니다
좋게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모든 구조물은 연성파괴를 위해서 적당량(구조계산에 의한)을 넣어야 합니다
철근을 구조계산 보다 많이 넣으면 취성파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과한것은 아니됩니다
연성파괴는 사람들의 피난을 유도할 수 있지만, 취성파괴는 나도 모르게 한방에 훅 갑니다.
넵~ 맞습니다~ 시청 감사드립니다!
기초 하부 슬라브 상부근의 인장부인데 이음이 몰려있네요
구조설계시 압축부에 이음을 두는게 보통인데 다른이유가있나요?
다른 이유가 있다기 보다 시공 상의 이유가 큽니다.. 그리고 b급 이음에서는 괜찮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철근 배근이 몰배근으루 되 잇는거 아닌가요? 상하부도 몰 배근아닌지 궁금해서요
b급 이음 기준이라 몰조인 괜찮습니다!
결속이50프로70프로상관업다고요저개인적으로100프로결속이좋타고봅니다
제가 올린 결속에 관한 영상 보셨던데 그 영상에서 이유는 충분히 말씀드렸고요^^;;
그럼에도 100%가 좋으시면 100% 하시면 됩니다~
이음이 지그재그 시공으로 알고 있는데, 이음이 한 쪽으로 몰려 있는데........괸찮은건가요?
b급 인장이음
건설사업님~ 좋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철근공 기공기준 일당이 얼만가요?(철근배우고싶은 청년입니다)
아.. 제가 일당까지는 잘 모르겠네요ㅠㅠ
지역마다 현장마다 그리고 일의 숙련도에 따라 천차만별 입니다
실무를 배우실 때는 사수를 잘 만나야 하고 이론 공부도 병행 하시면 큰 도움이 됩니다.
20~24 정도
철근을 용접하면 안되는데,용접한데가 있네요
영상의 어느 부분을 보셨을까요?
맞습니다
규정대로
좀편하려고ㆍ좀 아끼려다ㆍㆍ
보다는ㆍㆍ
넵~ 시청 감사드립니다!^^
철사로 묶고, 용접을 하면 > 철근 구조와 몰탈 구조체가 훨씬 튼튼해 질까요?
철근에 변형을 안 주는 선에서 용접을 하면 기분 상 좀 더 튼튼해 질 것 같기는 하나
그렇다고 철근량을 줄일 수는 없으므로 경제성 등을 고려하면 큰 의미는 없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철근 양이나 강도가 무조건 많거나 쎄다고 좋은 게 아니라 콘크리트와 어느 정도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크랙이 가더라도 철근은. 만이너어야. 한다
시청 감사드립니다!
크릭이 많이 가는게 문제가 아니고 공구리 칠때 공구리가 잘 안들어가요 잘안들어가면 기포가 생기고 잘 채워 지지 않은 부분이 생기면 건물이 어떻게 될지 생각 해보기 바라고요 철근이 설계도면 보다 많이 들어가게 되면 안전할거라 생각 하는데 오히려 부실 우려가 그런부분에서 생길수 있으니까 항상 철근 양이 기준보다 많이 들어갔는지 아니면 철근 기리바이를 그냥 막 묶어서 처리 했는지 잘봐야 하네요 철근 빠진것만 볼게 아니고 철근이 기준치보다 많이 들어갔는지도 중요하네요
결속선의 결속 비율이 구조체의 강도와 전혀 상관이 없다? 글쎄요.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고 계십니다. 콘크리트가 타설되서 완전 양생 된 상태에서 별다는 힘이 작용하지 않았을때는 그렇지만 양생 되기 전 또는 그 이후라도 외력이던 내력던 콘크리트를 무너트릴 만한 힘이 작용 할때는 전혀 다릅니다.
전문가 분들이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면 안됩니다.
워낙 논란이 많은 부분이라 제가 결속율에 관한 영상을 따로 만들었었습니다.
th-cam.com/video/v9J2Lkn7Agk/w-d-xo.html
위 영상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잘못 배근 하면 해체 후 재 시공 하면 됩니다
넵~ 시청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