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구요, shell/tube 유체결정은 많은 기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냉각수라고 한적 없구요, hot side도 그냥 뜨거운 물이라고 표현했고, cold side도 차가운 물이라고 이 분야에 대해서 아에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그렇게 표현한겁니다.
@99Toss 압력이 높은 유체를 튜브에다 보내는 경우 많은데요? 쉘에다 보내면 두꺼워지니까요. 결코없다라는 건 무슨 근거인가요? tube side에 hot gas 들어가고 shell side에 cooling water들어가는 경우 결코 없다(??) 하셨는데, 제가 영상 올렸으니까, 보세요, 그리고 댓글 여러분들이 볼 수 있도록 지우지 말아주세요. th-cam.com/video/x39nxF4FZx0/w-d-xo.html
@@99toss41 회전기계엔지니어 같으신데, 잘 아시겟지만, 일단 열교환기는 individual stationary item인데, 갑자기 회전기기에 쓰이는 열교환기를 예로 들어 그것이 마치 모든 열교환기를 말하는 일반적인 디자인이라고 말씀하시는 건 어폐가 있습니다. 저는 분명, 뜨거운 물과, 차가운 물의 열교환을 한다고 예를 들어 설명을 했습니다. 냉각수라고 안 했구요. 제가 열교환기 HTRI로 직접 디자인해서 지금 아프리카, 말레이시아에서 돌아가고 그거 시운전 까지 했는데 뭘 물어 보라는 말이신지요? Updtram gas 는 압력이 100barg넘는 곳도 많습니다 좁은 시각으로 자신이 한 프로젝트만으로 결코 없다라는 건 위험한 의견입니다. 그리고 유체를 shell 로 보낼지 tube로 보낼지 결정하는 건 프로세스 엔지니어가 주도적으로 결정하지 기계엔지니어가 안 합니다. 기계가 한다는 건 프로세스 엔지니어가 잘 몰라서 이거나 회사에 스페셜 팀이 기계팀에 있는 거겠지요.
와 빡세네요 저 많은걸 신입한테 시키진 않겠지만 적어도 기본은 알아야한다는걸 알겠네요ㄷㄷ 만약 전공지식 좀 모르고 (앞에나오는 열교환기 이런 문제들 풀줄모르면.. 이해못하면..ㄷㄷ) 영어 실력도 좀 후달리면 신입때 개폐급으로 찍히겠네요 ㄷㄷ 뭐 익스첸저는 머고 노즐 값 계산하고 머머 해바바 했는데 예? 반문하면 바로 한숨내쉴듯.. 지잡공대인데 진짜 등에 식은땀흐르네요 전공이랑 영어공부 개빡세게해야겠네요 ㄷㄷ
안녕하세요. 동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혹시 여쭤보고 싶은게 있는데, 기계팀 업무 절차에서 MDS->MR->TBE 로 설명 주셨는데, 제가 배웠던 다른 강의에서는 RFQ 작성도 기계설계팀의 업무라고 하시더라구요. 혹시 견적요청서 작성은 기계설계팀 보다는 구매팀 업무에 가까운걸까요?. 항상 좋은 내용의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플랜트 설계(기술직)에 지원하려고 하는데 궁금한 부분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영상 본 후에 궁금점이 생겨서 댓글 남깁니다 플랜트 설계에는 기본설계, FEED설계, 상세설계가 있다고 들었는데 말씀하신 내용이 이중 어디에 속한 부분인지 여쭤볼수 있을까요? 기본설계 즉 개념설계 단계에서 플랜트에 사용하는 공정설계를 한다고 알고있는데 말씀하신 부분이 여기에 속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이번에 중소 플랜트설계회사에 면접을 보게되는데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제가 면접보는 회사가 플랜트기계설계 용역설계를 한다고 나오는데, 이 용역설계라는게 현엔,삼엔 등 대기업에서의 기계설계 업무와 어떻게 다른건지 궁금합니다! 여기서 용역설계라하면 기본설계,feedd,상세설계 중 어떤 업무를 하는건가요?
@@NicksEngineering 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자료 잘 보고 있습니다. 이 부분에서 의견 드리고 싶은 것이 있어서요. 설계용역이라고 한다면 대기업에서 하는것과 동일한 업무를 하는 것이 맞습니다.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서 대기업에서 직접 인력을 투입하여 수행하기에 손익이 맞지 않는다거나 하는 경우 설계용역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MR / TBE / PS / Vendor print등 설계용역회사에서 수행을 하고 대기업에서는 해당 성과물을 Review 하는 형태로 진행 합니다. 강도계산서나 제작도면은 제작업체에서 수행하게 됩니다.
@@sunilhan1401 감사합니다. 이런식으로도 하나보군요, 제가 EPC에 있을때는 기계팀에서 다 하고 강도계산을 제작업체에 맡기면 제작업체에서 또 강도 계산만 하는 업체에 다시 맡기는 식으로 했었던 적도 많았습니다 보통 제작업체에서 강도계산 팀이 있지만 요즘은 비용절감에서 따로 강도계산만 설계회사에 주는 경우도 많은 것 같습니다. 현재 강의 올린 강사님도 그렇게 일하고 있구요
일단 이 영상은 기계설계팀이 하는 일의 1%도 채 설명하지 못한 아주 개념적인 설명입니다.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10년 넘게 해도 워낙 공부해야 할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어려운 것이 플랜트 설계입니다. 어떤 기준으로 전문성이 없어보인다고 하시는 지 모르겠습니다. 각 업무별로 설계의 순서가 있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면이 있긴 합니다만, 전문성이 없진 않습니다. 그렇게 보면, 공정엔지니어도, 실제로 무언가 창출하진 않습니다. 이미 conceptual study, FEED 설계 단계에서, 대부분의 공정엔지니어가 생산해야할 문서, 도면들이 다 있습니다. 전문성의 기준을 무언가 개발하고 리드하는 것에 둔다면, 과학자(박사)말고는 학사는 전문성이 없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요. 플랜트에서 기계파트가 가장 비싼 장비들을 다루는 부서입니다. 각 분야마다 전문성이 있고, 또 그렇기에 플랜트가 완성이 됩니다. 물론 각 산업마다 주가 되는 전공이 있긴 하죠.
보통 쉘사이드에 피냉각체가 들어가고
튜브사이드에 냉각체(냉각수)가 들어가지 안나요?
설명이 바뀐듯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구요, shell/tube 유체결정은 많은 기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냉각수라고 한적 없구요, hot side도 그냥 뜨거운 물이라고 표현했고, cold side도 차가운 물이라고 이 분야에 대해서 아에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그렇게 표현한겁니다.
@@NicksEngineering 회전기계에는 튜브사이드에 핫가스나 피냉각체가 들어가는 경우는 결코 없던데요
터빈 콘덴서, 루브오일쿨러, 인터쿨러...
이왕이면 제네랄 프락티스 기준으로 설명해주시면 더 좋겠다 싶어서요.
수고하세요.
@99Toss 압력이 높은 유체를 튜브에다 보내는 경우 많은데요? 쉘에다 보내면 두꺼워지니까요. 결코없다라는 건 무슨 근거인가요?
tube side에 hot gas 들어가고 shell side에 cooling water들어가는 경우 결코 없다(??) 하셨는데, 제가 영상 올렸으니까, 보세요, 그리고 댓글 여러분들이 볼 수 있도록 지우지 말아주세요. th-cam.com/video/x39nxF4FZx0/w-d-xo.html
@@NicksEngineering 회전기계 동기 계시면 한번 물어보시길..수고하세요.
@@99toss41 회전기계엔지니어 같으신데, 잘 아시겟지만, 일단 열교환기는 individual stationary item인데, 갑자기 회전기기에 쓰이는 열교환기를 예로 들어 그것이 마치 모든 열교환기를 말하는 일반적인 디자인이라고 말씀하시는 건 어폐가 있습니다. 저는 분명, 뜨거운 물과, 차가운 물의 열교환을 한다고 예를 들어 설명을 했습니다. 냉각수라고 안 했구요.
제가 열교환기 HTRI로 직접 디자인해서 지금 아프리카, 말레이시아에서 돌아가고 그거 시운전 까지 했는데 뭘 물어 보라는 말이신지요? Updtram gas 는 압력이 100barg넘는 곳도 많습니다 좁은 시각으로 자신이 한 프로젝트만으로 결코 없다라는 건 위험한 의견입니다. 그리고 유체를 shell 로 보낼지 tube로 보낼지 결정하는 건 프로세스 엔지니어가 주도적으로 결정하지 기계엔지니어가 안 합니다. 기계가 한다는 건 프로세스 엔지니어가 잘 몰라서 이거나 회사에 스페셜 팀이 기계팀에 있는 거겠지요.
오....참 재미있네요. 바야흐로 유투브 공해시대의 피로감을 확 날려 주는 실무종사자의 시원시원한 강의를 보니 정말로 "심봤다" 이네요. 앞으로도 현장이야기나 실증적인 설명 영상 많이 올려 주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올해로 4학년 기계과 학생인데요~~ 정말 직무선정에 있어 심히 고민중이였는데, 영상들이 도움됐어요! 감사합니다 ㅎㅎ
넘넘 감사합니다 현존 한국어 플랜트 엔지니어링 유튜브 채널 중 제일이에요.. 이해가 쏙쏙 돼요.
면접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덕분에 19년 상반기 4개 플랜트 회사 면접을 봤는데 좋은결과 거뒀습니다.
별것 없는 영상에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좋은 결과 얻으시고, 기뻐하시기 바쁘실텐데, 굳이 다시와 주셔서 댓글까지 달아주시니 너무 감사합니다. 역시 좋은 사람들은 회사에서 알아보나 봅니다. 화이팅입니다.
어디 어디 보셨는지 알 수 있을까요???
정말 좋아서 홍보하고싶다가도 정말 저만알고 싶은 채널 ㅠㅠ
홍보하지말고 혼자보세여 쉿
안녕하세요 현재 기계과 3학년 학생입니다. 오늘 우연히 채널 알게되어서 정주행을 다 했습니다. 영상들을 보면서 느끼는 것은 플렌트 엔지니어링이 생소했지만 너무 매력있는 것 같습니다. 취업할때에도 참고가 될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유익한 영상 잘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빅월 네 플랜트는 전공을 100% 살릴 수 있는 매력적인 직종입니다
좋은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최종 목표는 해외 엔지니어링 업체 근무인데, 많은 힘이 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리겠습니다!
진짜 잘알려주신다 good 멋있습니다
좋은 내용과 영상 감사합니다.
와 빡세네요
저 많은걸 신입한테 시키진 않겠지만 적어도 기본은 알아야한다는걸 알겠네요ㄷㄷ
만약 전공지식 좀 모르고 (앞에나오는 열교환기 이런 문제들 풀줄모르면.. 이해못하면..ㄷㄷ)
영어 실력도 좀 후달리면 신입때 개폐급으로 찍히겠네요 ㄷㄷ
뭐 익스첸저는 머고 노즐 값 계산하고 머머 해바바 했는데 예? 반문하면 바로 한숨내쉴듯..
지잡공대인데 진짜 등에 식은땀흐르네요
전공이랑 영어공부 개빡세게해야겠네요 ㄷㄷ
이 기계는 토크가 왼쪽으로 도는건데
학부때 공부안해놔서 이해못해서
이거.. 힘이 왼쪽으로 걸리는건가요?
이런 상황생기면 오우쉣 ㅜㅜ
영상 너무 좋네요 형님 , 면접 준비 정말 도움 많이 됐습니다!!
네 면접준비에 도움이 되었다니 저도 기쁩니다 형님, 감사합니다 형님.
유익하네요....
진짜 감사합니다ㅠㅠ 플랜트 설계가 뭔지 감도 안잡혔는데 ...완전도움 짱!
정말 감사합니다!너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혹시 괜찮으시다면 회전기계부분에 대한 영상도 만들어주실수 있나요??
ㅎㅇ
안녕하세요. 동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혹시 여쭤보고 싶은게 있는데, 기계팀 업무 절차에서 MDS->MR->TBE 로 설명 주셨는데, 제가 배웠던 다른 강의에서는 RFQ 작성도 기계설계팀의 업무라고 하시더라구요. 혹시 견적요청서 작성은 기계설계팀 보다는 구매팀 업무에 가까운걸까요?. 항상 좋은 내용의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든 기술 관련 된 것은 엔지니어가 합니다. MR은 구매를 위한 기술 중점적인 문서이며, RFQ는 견적을 받기 위한 용도로, 기술 및 구매관련 정보도 들어가므로, RFQ는 구매팀과 기계팀이 각자 관련된 항목을 나누어서 작성합니다.
@@NicksEngineering 답변 감사드립니다. 항상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한국 기계엔지니어 연봉은 얼마인가요?
기계 시공팀이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개념 설명 영상은 없나요?!!
잇어요 인터뷰
@@NicksEngineering EPC 플랜트 시공, 그 뒷 얘기
이거 말씀하시는건가요?!
플랜트 설계(기술직)에 지원하려고 하는데 궁금한 부분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영상 본 후에 궁금점이 생겨서 댓글 남깁니다
플랜트 설계에는 기본설계, FEED설계, 상세설계가 있다고 들었는데 말씀하신 내용이 이중 어디에 속한 부분인지 여쭤볼수 있을까요? 기본설계 즉 개념설계 단계에서 플랜트에 사용하는 공정설계를 한다고 알고있는데 말씀하신 부분이 여기에 속하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올린 영상 중 베이직 FEED 영상 보셧나요? 그거 보면 좀 감이 오지 않을 까 싶습니다
영상에 나온 기계직군은 화공플랜트 기계설계직무를 설명하신거죠? 전력, 에너지플랜트 기계직무도 똑같은 직무를 수행하는건가요??
네 비슷해요
매번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혹시 설비에서 나오는 발열을 감소시키거나 발열로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들은 어떤게 있을지 알수있을까여 ㅠ
보온이 있습니다
열교환기 각 부분 명칭
1. Stationary Head - Channel
2. Stationary Head - Bonnet
3. Stationary Head Flange - Channel or Bonnet
4. Channel Cover
5. Stationary Head Nozzle
6. Stationary Tubesheet
7. Tubes
8. Shell
9. Shell Cover
10. Shell Flange - Stationary Head End
11. Shell Flange - Rear Head End
12. Shell Nozzle
13. Shell Cover Flange
14. Expansion Joint
15. Floating Tubesheet
16. Floating Head Cover
17. Floating Head Flange
18. Floating Head Backing Device
19. Split Shear Ring
20. Slip-on Backing Flange
21. Floating Head Cover - External
22. Floating Tubesheet Skirt
23. Packing Box Flange
24. Packing
25. Packing Gland
26. Lantern Ring
27. Tie Rods and Spacers
28. Transverse Baffles or Support Plates
29. Impingement Plate
30. Longitudinal Baffle
31. Pass Partition
32. Vent Connection
33. Drain Connection
34. Instrument Connection
35. Support Saddle
36. Lifting Lug
37. Support Bracket
38. Weir
39. Liquid Level Connection
안녕하세요 제가 이번에 중소 플랜트설계회사에 면접을 보게되는데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제가 면접보는 회사가 플랜트기계설계 용역설계를 한다고 나오는데, 이 용역설계라는게 현엔,삼엔 등 대기업에서의 기계설계 업무와 어떻게 다른건지 궁금합니다!
여기서 용역설계라하면 기본설계,feedd,상세설계 중 어떤 업무를 하는건가요?
상세 설계에 속하구요. Vessel 용역 설계라면 강도계산 수행 후 제작 도면 만드는 작업을 합니다. 보통 대기업에서 ‘기계 data sheet’및 제작 specificqtuon을 용역회사에 주면 용역 회사에서 그 받은 것을 토대로 해서 강도계산 및 제작 도면 만듭니다
@@NicksEngineering 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자료 잘 보고 있습니다. 이 부분에서 의견 드리고 싶은 것이 있어서요. 설계용역이라고 한다면 대기업에서 하는것과 동일한 업무를 하는 것이 맞습니다.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서 대기업에서 직접 인력을 투입하여 수행하기에 손익이 맞지 않는다거나 하는 경우 설계용역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MR / TBE / PS / Vendor print등 설계용역회사에서 수행을 하고 대기업에서는 해당 성과물을 Review 하는 형태로 진행 합니다. 강도계산서나 제작도면은 제작업체에서 수행하게 됩니다.
@@sunilhan1401 감사합니다. 이런식으로도 하나보군요, 제가 EPC에 있을때는 기계팀에서 다 하고 강도계산을 제작업체에 맡기면 제작업체에서 또 강도 계산만 하는 업체에 다시 맡기는 식으로 했었던 적도 많았습니다 보통 제작업체에서 강도계산 팀이 있지만 요즘은 비용절감에서 따로 강도계산만 설계회사에 주는 경우도 많은 것 같습니다. 현재 강의 올린 강사님도 그렇게 일하고 있구요
화공플랜트/ 발전플랜트둘다 해당되는내용인가요?
네 비슷합니다.
결론은 그냥 공정엔지니어가 계획한거 그대로 진행하는 거네요... 뭔가 전문성 없어보이네요 기계설계팀은
일단 이 영상은 기계설계팀이 하는 일의 1%도 채 설명하지 못한 아주 개념적인 설명입니다. 오해 없으시기 바랍니다. 10년 넘게 해도 워낙 공부해야 할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어려운 것이 플랜트 설계입니다.
어떤 기준으로 전문성이 없어보인다고 하시는 지 모르겠습니다. 각 업무별로 설계의 순서가 있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면이 있긴 합니다만, 전문성이 없진 않습니다. 그렇게 보면, 공정엔지니어도, 실제로 무언가 창출하진 않습니다. 이미 conceptual study, FEED 설계 단계에서, 대부분의 공정엔지니어가 생산해야할 문서, 도면들이 다 있습니다. 전문성의 기준을 무언가 개발하고 리드하는 것에 둔다면, 과학자(박사)말고는 학사는 전문성이 없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요. 플랜트에서 기계파트가 가장 비싼 장비들을 다루는 부서입니다. 각 분야마다 전문성이 있고, 또 그렇기에 플랜트가 완성이 됩니다. 물론 각 산업마다 주가 되는 전공이 있긴 하죠.
돈주고도 못배울 내용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