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 핫플 경리단길은 왜 망했을까?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2 มี.ค. 2024
  • 이 영상을 보라. 비어있는 가게들과 그 앞에 멋대로 버려진 쓰레기들, 휑한 대로변. 여기는 한때 ‘~리단길’의 시초로 전성기를 누렸던 경리단길인데 상가 곳곳이 텅 비어있다. 유튜브 댓글로 “경리단길 근황이 궁금하다”는 의뢰가 들어와 취재했다.
    #경리단길 #궁금증 #취재대행소왱
    ▼▼▼ 댓글로 취재를 의뢰하세요! ▼▼▼
    - 링크 -
    인스타그램 : / wng_project
    페이스북 : / wngproject
  • แนวปฏิบัติและการใช้ชีวิต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551

  • @user-ym8pk9iv9c
    @user-ym8pk9iv9c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64

    서울에 몇년전만 해도 잘됬는데 망한 지역을 보면 임대료를 끝도 없이 올리다가 다 나가떨어짐. 그리고 건물주들의 안바뀌는 생각중 하나가 임대료 낮추면 건물가격하락이라고 생각해서 절대 안낮춤.

    • @won1853
      @won185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마인드만 그런게 아니라 실제로 그래요. 기업의 가치가 기업의 영업이익으로 계산된다면 부동산의 가치는 지대(임대료)로 계산됩니다. 임대료를 낮추면 그 건물이 미래에 벌 수 있는 수익이 줄어드니 평가가치가 하락합니다. 건물주 입장에서는 지금 당장 임대료 푼돈 벌려다가 수억 수십억을 손해볼 수 있으니 차라리 공실로 두는 선택을 하는거죠.

    • @bossv7067
      @bossv706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won1853 `임대료를 낮추면 건물 수익이 하락하고 결국 평가가치도 하락하니, 차라리 공실로....`
      - 이런 양악스러움은 일본이 30년 전 시작했고, 지금은 미국이 그 짓거리를 하고 있다.
      경제학에서 유일하게 변치않은 원칙은
      [한정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다.]
      인간의 현명한 짓거리는 대부분 비효율의 누적이었다.
      오류를 다른 오류로 대체하는 짓거리의 반복이었다.
      부가가치 없는 돈을 마구잡이로 찍고서
      경제가 좋아지길 기대하는 어처구니 없음이 지금 상황이다.

    • @sjjfh3j48js
      @sjjfh3j48js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주택 가격은 "전세"라는 제도 때문에 계산하기가 굉장히 까다로운데, 상가 가격은 계산하기가 비교적 쉬움. 거의 대부분 임대료를 대출금리로 역산해서 나온 원금이 거의 상가 거래가격에 수렴함. 그래서 예전에 금리가 낮을때 상가 거래가가 미친듯이 올라갔던거. 임대료 내려가면 상가 가치가 떨어지는건 사실이고, 그래서 임대료를 안내리고 공실로 비워놓는건데, 그렇게 공실이 많아지면 인근 상권 전체의 몰락이 가속화되기 때문에 결국 자기살 파먹기임. 그리고 임대료 못받는 기간 동안 은행이자를 자기돈으로 계속 메꿔야하는데 그거 메꿀 돈 없으면 결국 파산하는거지. 코로나 저금리 시절에 빚을 한도끝까지 끌어서 건물주된 사람들이 이제 슬슬 한계까지 와서 무너지는 사람들이 하나둘씩 생겨나는 중... 세입자 안들이고 버티다가 감당 안돼서 뒤늦게라도 임대료를 내려서 세입자를 들여보려고 해도 이미 그런 식으로 공실로 버티던 건물주들 덕분에 상권 자체가 망해서 임대료를 내려도 세입자가 들어오지 않으면 결국 원리금 못내고 상가는 경매로 넘어가는거...

    • @sunhojung6803
      @sunhojung680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미국과 유럽의 부동산 상승은 중국에서 주도한 면이 많아요. 일본과 미국은 전혀 다르구요. 부동산 소유권이 있다는 자체와 생각만으로 저렇게 되는게 아닙니다. 인건비, 세금, 중국이 보통 전세계의 부동산 상승세의 뿌리인 경우가 많아요. 일본은 열도개조론이라고 일본판 세종시 정책이 엄청난 자산증발에 크게 일조했습니다.

    • @handle189
      @handle18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sjjfh3j48js 아 그럼 정확하게는 저기 건물주들도 서로 치킨게임을 하고 있는거네요 나는 내릴생각 없는데 니들이 내려서 상권좀 회복시켜봐~ 같은

  • @user-bf3ze7sl8l
    @user-bf3ze7sl8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12

    모든 상권이 저렇게 죽어감.
    그리고 살릴 생각은 없음. 건물주 돈 못 번다고 안 내림.
    저게 온 나라에 펼쳐져 있음

    • @user-kt3zk9ly6p
      @user-kt3zk9ly6p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저 건물에 무료로 노숙자들 숙소로 만들자 아니면 이슬람 사원으로 😂😂😂😂

    • @wernerschlager2813
      @wernerschlager281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user-kt3zk9ly6p남의 일이라고 그렇게 조롱하면 좋은지? 이해가 안간다

    • @user-kt3zk9ly6p
      @user-kt3zk9ly6p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wernerschlager2813 어차피 건물주들은 돈 많으니 걱정하지 맙시다ㅋㅋㅋㅋㅋ

    • @tgjun09
      @tgjun0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부등산 문제는 미국도 일본도 못막은 문제임 우리라고 다를까
      그거보면 어디든 사람생각 다 비슷함
      내재산 가치 내가 높이겠다는데 자본주의사회에서 그걸 정부가 제동 걸어버리면 사회주의가 되버리는 아이러니

    • @gordon-chang
      @gordon-chan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국가든 상권이든 흥망성쇠가 있기 마련인데 과거엔 핫플로 뜨면 적어도 한세대는 명성이 이어져가다 건물이 노후화되고 구도심화 되면서 서서히 망가졌다면 지금은 그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게 문제겠죠
      뜨고 지는데 10년이 못가는듯 하네요

  • @user-sj9bg1rn1o
    @user-sj9bg1rn1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48

    세상에서 제일 쓸데없는 걱정이 건물주 걱정ㅋㅋㅋㅋ 저걸 공실로 놔둬도 먹고 살 수 있는 사람들을 정치인이 왜 신경써주고 걱정해줘ㅋㅋ

    • @user-yw9bu7rx2c
      @user-yw9bu7rx2c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3

      먼소리 지금 건물주는 서울 수도권 제외하곤 한물 간지가 언젠데
      쿠팡이랑 네이버스토어 생긴뒤부터 상가 건물주는 내리막길 시작임
      월세 안내고 도망간 인간들도 얼마나 많은데, 집기류들 함부러 건들지도 못하고 폐업하면 공실이고.. 잘 알지도 못하면서

    • @HackyDrone
      @HackyDron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니가 돈이 없어봐서 모르는 모양인데 대부분의 건물주는 부동산에서 나오는 임대수입이 전부라 이게 줄어들거나 끊기
      면 자기 소득은 고사하고 은행이자 관리비용 때문에 빚내야해
      부동산은 항상 더 좋은것을 사기. 위해 영끌하거나 적더라도 빚을 지게 되어있거든
      하긴 넌 돈이 없어서 모르겠군나

    • @oankiekim9128
      @oankiekim912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ackyDrone 모르면 입닥쳐라.
      경리단길 건물주가 임대수입이 전부라서 쩔쩔 맬 것 같으면 진작에 내놓던가 경매로 나왔다.
      경험도 하나도 없는 게 어디서 지적질이냐
      빛내서라도 몇년씩 버틸 수 있으면 그게 돈이 없어서냐?
      그리고 영끌해서 부동산 투기 한 것들은 그만한 댓가를 치러야 한다.

    • @oankiekim9128
      @oankiekim912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9

      @@user-yw9bu7rx2c 경리단길이 서울 수도권이 아니고 어디 백령도냐?
      그리고 경리단 길 상점이 쿠팡, 네이버 스토어랑 경쟁하는 업종들이냐?
      잘 알지 못하는 주제에 아는 척은

    • @abusemachine1945
      @abusemachine194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1

      ㄹㅇ임 그렇게 힘들면 건물 팔고 일하면 되겠네

  • @thswkdi
    @thswkd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3

    사실 별 메리트가 없는 곳인데 왜 떴는지 의문인 곳이죠.
    주차하기도 힘들고 언덕도 높고
    미군기지 있었을때나 희소성이 있던 곳이었지 지금은..

    • @user-kr7iq7be6o
      @user-kr7iq7be6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잘 될 초기 당시에는 메리트가 있었어요.
      특이한 거, 재밌는 게 다양하고 많아서 구경하고 먹고 마시고 재밌게 놀았었죠.
      주차, 언덕, 후진 것, 그런 건 유행이 일어나는 데에는 큰 상관은 없습니다.
      재밌는 거, 맛있는 거 있으면 후지고 외지고 먼 곳, 대기시간 긴 곳이라도 찾아가는 게 요즘 유행소비자들의 특성입니다.

    • @user-ft4zh7np9z
      @user-ft4zh7np9z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임대료가 싸고 특색이 있어서 유지됐던건데 잘되니까 임대료가 폭등하고 바로 망한거죠

    • @user-kr7iq7be6o
      @user-kr7iq7be6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ft4zh7np9z 맞습니다. 유행이 되는 재미있는 가게라는 게 실상은 품질은 높고 가격은 낮아서 소비자들이 많이 오는 가성비 제품이 많은데, 실상은 수익성이 낮을 수밖에 없는 가게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새롭고 특이하고 재미있는데, 이 가격에 이 정도 퀄리티? 와 좋다' 이런 인식이 전반적으로 퍼져서 떴던 건데,
      월세가 올라버리면 바로 직격탄이 되어버리죠.
      가게가 가격을 그대로 두면 버티지를 못 하고, 가격을 올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어버리면
      '이제 뭐 새롭지도 않고 이 가격? 흠... 다른 데로 갈까?' 이렇게 되는 거죠.

    • @user-tg7in5wo9x
      @user-tg7in5wo9x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지금 동네마다 있는 ~~리단길의 원조인데 왜떴는지 의문이라니요. 지금도 생기면 핫해지는게 리단길인데 그게 처음 생겼는 곳인데.

    • @user-chh0613
      @user-chh061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그때 좀 개인 맛집이나 개성 넘치는 가게들이 사람들을 끌어모앗죠
      프렌차이즈 가게가 아니라서 사람들이 모였는데
      임대료가 올라가면서 그 가게들이 이동한거죠

  • @FiveRiceReligion
    @FiveRiceReligio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5

    진짜 먹고살기 힘들면 건물 팔고 나가겠지. 걍 먹고살만 하니까 배짱장사 하며 임대로 절대 안낮추는거임. 죽겠다 죽겠다 해도 건물주의 죽겠다는 어제 먹은 투플 한우가 오늘은 원플 한우로 바뀌었다 수준

  • @user-ii4jj7sr8q
    @user-ii4jj7sr8q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1

    결론 건물주의 지나친? 욕.심. 임대료

  • @user-pd8bz3wc8s
    @user-pd8bz3wc8s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1

    임대료 안내리고 저렇게 공실로 두고
    재개발같은 호재때 한방에 다 끝
    임대료 내리면 건물값만 떨어진다는 마인드
    건물주 걱정따위는 1도할 필요가 없는것임

  • @goodjob3314
    @goodjob3314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9

    한국은 공실세가 없죠. 여기는 벨기에인데요. 여긴 공실세라는게 있습니다.
    벨기에 뿐 아니라 프랑스도 있고 주변국가들 다 있어요. 이게 뭐냐면,
    건물을 지어놓고 공실로 있으면 특정기간이 지나면 무거운 세금이 나옵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건물주들이 월세를 엄청나게 올려놓고 세가 안 들어와도
    신경을 쓰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빈 건물이 많습니다. 그러면 보기도 그렇고
    도시미관이나 안전범죄 우려도 있으니 공실세를 도입했는데 효과 좋아요.
    월세 안받아도 상관없다는 건물주들이 건물때문에 오히려 돈이 나가게 되니까.
    세를 놓던지. 아니면 건물을 팔던지의 갈림길에 서게 만드는 세금 입니다.
    세를 놓았는데 안나간다? 그러면 월세를 내릴수 밖에 없어요. 한국은 답답합니다.

    • @user-xz1nn1bv8s
      @user-xz1nn1bv8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벨기에가 이상한거 같아요 ㅋ
      공실로 놔두던 말던
      그런건 개인의 자유인데
      세금으로 그런걸 막는다는게 ㅋㅋ

    • @user-yd2xf1ql2b
      @user-yd2xf1ql2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xz1nn1bv8s그림을 크게 못 보는게 한국인의 특징인듯 본인 욕심만 채우려다가 남은 살피지도 않는…ㅎ 왜 출산율 제일 낮고 사기 범죄가 전세계에서 가장 높겠어요 본인만 생각하고 큰 그림을 못 보니까 경리단길 사례가 우후죽순 생기는 거에요;;;

    • @onlyoneforever5586
      @onlyoneforever558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user-xz1nn1bv8s 좋은 생각이긴 한데 국회의원들 분명 건물 많이들 가지고 있을텐데 법이 통과할리가 없죠

    • @user-ky5me9oq8i
      @user-ky5me9oq8i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캐나다도 시행

    • @dongheekang2779
      @dongheekang277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기득권 층이 다 건물주인데 국개의원들이 지목을 조르겠어요?? 선진국 되려면 정치인들을 바꿔야함

  • @user-fg1sf8sb9q
    @user-fg1sf8sb9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공실세 유럽처럼 물려야겠어요 그래야 월세가 많이 낮아져서 자영업자들도 살아날 거고요 전국 공통적인 현상이에요 월세가 다 너무 비싸서 가게가 몇달 주기로 없어져요

  • @user-ff6vd3po3s
    @user-ff6vd3po3s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9

    아파트에서 주기적으로 벌레를 제거한다고 소독약을 뿌리고 가는데 소독하는걸 보면 대충 찍찍 뿌리고 가는데 이게 진짜 효과가 있는건지 취재해주세요

    • @user-se6uf5yt4r
      @user-se6uf5yt4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우리집만 그런게 아닌가보네요.
      어처구니가없어 문도 안열어준지 10년도 넘었음

    • @edwardjeon3255
      @edwardjeon325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4

      저도 그게 효과가 있긴 한가 의문이었는데, 효과가 있더라고요.
      무엇보다 벌레라는게 내 집을 관리를 해도 외부에 벌레가 있으면 다양한 경로로 유입이 될수밖에 없는데,
      아파트는 별거없이 그냥 몇번 칙칙 뿌리고 가는거 같아도 앞집 옆집 윗집 아랫집 할거없이 공동으로 관리를 받는다는것 자체가 큽니다.
      이런거 별로 알고싶진 않았는데 주택으로 이사가고 나서 저절로 알게 되더라고요..

    • @oxo6282
      @oxo628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입구만 뿌려도 벌레를 막긴 하는데
      안에 이미 있는건 못잡아요

    • @ajmasrphm
      @ajmasrph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2

      ​@@user-se6uf5yt4r
      대박..
      10년동안 바퀴벌레약 안뿌리는 집이 아파트에 있다니
      이러니..아래윗집 소독받는집이 제대로 효과를 못보지..
      다세대건물은 전체가 다 벌레약을 뿌리거나 약먹이를 짜 놔야하는데
      꼭 안받는집이 있어요..

    • @dumbstruck1111
      @dumbstruck111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user-se6uf5yt4r그러면 님 집으로 벌레들 다 몰림
      남들 다 소독 받을 동안 우리집만 안 받은적 있었는데
      평소에 벌레 없었는데도 그날만 바퀴벌레들 우리 집으로 몆마리 올라왔었음

  • @hayeonkim7838
    @hayeonkim7838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

    와 무슨 리단길 원조가 저기였구나..처음 알았네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흥미로운 영상 넘 감사합니다 ㅋㅋㅋㅋ

  • @달기Dargi
    @달기Darg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모르던 길이였는데 무도에서 나와서 알게되었죠. 그래서 그 이후에 친구랑 놀러가서 츄러스도 먹고 구경하다 근처 물가가 넘 세길래 걍 구경만하다 다른데서 놀고 집 간 기억이 있는데... 지금은 그것 조차 볼 수 없게 됐군요... 쓸쓸한 마을이 되었네요...

  • @user-ml9yf9fg4j
    @user-ml9yf9fg4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경사진 길은 한 번 망하면 다시 뜨기 더 힘듦. 서울의 계속되는 핫플들은 다 평평하다 강남, 홍대, 을지로, 여의도, 성수

  • @RyuhansolAXEL
    @RyuhansolAXE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4

    집주인들 곡소리나도 봐주면 안되는 이유...

  • @user-uo8dr8fx9g
    @user-uo8dr8fx9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 @user-zx6zf8wi2w
    @user-zx6zf8wi2w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그래도 옛날에는 옷사고 다른곳에 없은 해외 음식들 먹으로 갔지만 지금은 특색이 없음요

  • @user-bt1wo4ep7b
    @user-bt1wo4ep7b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우유가 안 팔려 재고가 쌓여도
    가격 안 내리고 국민들이 싸게 사먹으면 기분 나빠서 갖다 하수구에 버리는 나라입니다!!!
    그리고 음주운전살인뺑소니의사는
    집행유예를 받는 나라입니다!

  • @Mist1113
    @Mist111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한번무너진 곳은 회복은 힘듬

  • @gangnamguesthouse
    @gangnamguesthous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신논현도 요새 12시 넘으면 텅텅이에요 ㄷㄷ

  • @yanoq6
    @yanoq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용산 재개발 노리고 일부러 공실 늘리려 노력중이라네요. 재개발 때 내보내느니 미리 공실 만드는게 낫다고

  • @user-pj9fj3xo4m
    @user-pj9fj3xo4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보 감사합니다

  • @saenaroo
    @saenaro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건물 비어도 건물 팔 생각만 하지 가게로 채울 생각들은 더이상 안함.. 상권붕괴가 전국적으로 펼쳐지고 있음....

  • @youljjjj
    @youljjj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외국처럼 빈건물세를 받아야함 자업자득입니다

  • @jinyoungjang2
    @jinyoungjang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그 상권에 기여하는 잘나가는 가게가 분명 있었을텐데, 건물주가 얼마나 못났으면 그런 가게를 내쳤을까

  • @user-yc3if7ij7v
    @user-yc3if7ij7v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7

    홍석천씨가 살려보려고 애를 써 봤는데도 잘 되지 않았죠....

    • @THEMINJU
      @THEMINJU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민주당 지지하던 홍석천도 민주당이 발의한 이태원 특별법으로 망해서 나감

    • @vblings
      @vblings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7

      @@THEMINJU참사전에 접고 나갔는데 헛소리 마라

    • @Patrick-vo7fv
      @Patrick-vo7fv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vblings문재앙이 올린 최저임금때문에 망함ㅅㄱㅋㅋ

    • @user-jt4qh5lz8y
      @user-jt4qh5lz8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THEMINJU 이태원 특별법 같은 막장법을 180석으로 그냥 통과시킨 민주당도 문제지만 이태원 사고 자체는... 이태원에서 ㅠㅠ

    • @ohmalub
      @ohmalub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jt4qh5lz8y 일베신가? 막장법 ㅋㅋ 에휴 그럼 국힘이 나라 윤석열이랑 시원하게 말아먹고 있는건 잘하는거임? 이태원 법도 윤정권에서 사고 책임안지려고 거부권 행사한건데 아 진짜 유튜브에 일베들 왜케 많냐 한심하다

  • @chpark4473
    @chpark447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건물주가 임대료를 낮추면 건물 가치가 떨어지면서 대출받은 금액의 차액정도를 토해내야 되기때문에 임대료 못 낮추는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임대료는 못내리면 들어올 자영업자들이 없을테니 나중엔 완망 할듯하네요.

  • @maricomkj
    @maricomk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투자인데 누가뭐라고하겠노...책임은 자신이 지는건데...인상적인 거리가 사라진게 아까울뿐이지...버티다가 땅값오르면 성공한 투자인거고..
    그냥 실패시 나중에 못살겠다고 징징거리지만 않았으면 한다

  • @user-kdg3hsjab8n
    @user-kdg3hsjab8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오히려 경주 황리단길이 관광지 컨셉에 맞는 메리트가 있어서 아직까지 흥하고있지 경리단길은 주변에 대체 가능한 상권이 너무 많고

  • @user-wr9re5hc3j
    @user-wr9re5hc3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맨처음 나오는 큰건물 1층이 초기에 돼지갈비집 이었어요.
    실외에 테이블 짝깔아놔 좀 멋적었지만 가격도 싸고 맛있어서 외국인들이 많이좋아했었는데. .사람들이 오후5시경 이른저녁 때리고 옆 카페나 해방촌길로 술먹으러 향했었는데.

  • @dfdfsdfa
    @dfdfsdf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항상 유명하면 땅값 오르고 나가 엔딩이네요
    상생 좀 합시다!

  • @SoulbomB
    @SoulbomB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낙후된 골목을 상인들이 들어가서 살려놓으면 이때다 싶어서 대형 프렌차이즈 들어가고 월세는 덩달아 올라서 막상 살려놓은 상인들은 쫓겨나는 젠트리피케이션 반복인데,
    그걸 몰라서 묻는 것도 같잖고 알면서 방치하는 건 혐오스럽다.

  • @Dracopekr
    @Dracopek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요즘 상권 기울어가는 곳들 원인이 건물주인듯

  • @jeongwholee9026
    @jeongwholee902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대형마트 대형플랫폼에서만 사용가능한 농할쿠폰에 대해서 취재해주세요.

  • @Gimlet6051
    @Gimlet605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런 공실현상을 고치기 위해서는 두가지가 필요한데 첫째, 횡포 수준으로 한번에 많이 월세를 올리는 갑질을 막게하는 임대료 인상 상한선 관련 법이 필요함 두번째, 부동산 가치 하락을 막기위해 일부러 공실을 유지하는 경우 과태료나 별도의 세금을 부과 하도록 해야함 도시의 인프라는 공짜가 아니기에 도시를 슬럼화 시키는 부도덕적 공실은 당연히 재제를 가해야함

  • @HoS_Joa
    @HoS_Joa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리단길의 원조 일리단님께서는 말씀하셨다
    "너희는 아직 준비가 안 됐다!!!"
    준비가 안 돼서 망햇던거임

    • @JAY.K
      @JAY.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거지 ㅋㅋㅋㅋㅋ

  • @hyeseounjang
    @hyeseounjan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홍석천도 세개 식당 운영하다 정리했잖아요.

  • @catthestupid2686
    @catthestupid268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이런 내용보면 전지역 공통인데 임대료를 흐름에 맞게 낮춰서 다시 시장 활성화 시키고자 하는 생각이 단 1도 없어 보인다

  • @kjh275
    @kjh27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임대료를 한번 낮추면 다시 올리기 힘들다 하소연 하는데
    이제까지 여러번의 젠틀리피케이션이 같은 패턴으로
    인기 얻으면 바로바로 권리금 임대료 올라서 망하는거 보면 전혀 어렵지 않아보임

  • @mi_dong
    @mi_don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건물주 걱정은 할 필요가 없고, 사람들이 열심히 골목상권을 활성화시키면 그 꿀은 건물주가 다 빨고 노력은 다 물거품이 된다는게 문제임.
    비싼 건물 비워놓으면 세금 빡시게 물려야만 해결된다고 봄. 그 돈 부담되겠다며 집 없는 사람들이 걱정하는게 대한민국의 안타까운 현실.
    수십, 수백억짜리 집을 가지고 있는 사람한테 세금 많이 걷으면 돈벌이가 없어서 결국 그 집 팔아야 한다고 말하는게 불쌍해보이냐?
    진짜 이상한 사람들 많아...
    그리고 복지 같은거 막 반대하면서 그러면 일 안 한다고 난리치는데 그런식이면 건물주가 진짜 불로소득자들 아닌가?
    일 안 하면서 편하게 돈 버시면 세금이라도 많이 내시라고요...
    수백, 수십억짜리 집 있으면서 일자리 없으시면 수억짜리로 이사하시라고요...

  • @skyrimsonata3629
    @skyrimsonata362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이제는 동대문구 청량리쪽과 성수동이동하는듯

  • @user-bp9xj3kn1h
    @user-bp9xj3kn1h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취재 의뢰합니다 급식표(군대, 학교)의 랄라피뇨, 코슬로우의 정체가 알고싶습니다

  • @KwangZeroCustom
    @KwangZeroCusto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상가도 농지처럼 놀리면 벌금물게 해야함.

  • @lunchtime5673
    @lunchtime567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eeeee뎃글을 보랑:)!취재대행소는 어떻게 취재를 이렇게 잘 하는지 대략적인 방법을 취재해주세요:) 61

  • @hanhwaegles
    @hanhwaegles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임대가 안되면 오피스텔시설로 바꿔서 활용할거 같네요.

  • @dpfhtm
    @dpfht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돈맛 봤는데 임대료 내릴 가능성이 없다.

  • @humanplusscience4449
    @humanplusscience444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상주의자들이 정치하면 안되는 이유] 임대료를 한번 낮추면 그 다음에는 경기가 좋아져도 5%씩만 올릴 수 있기 때문에 건물주들이 임대료를 낮출 수도 없음

  • @luansen0
    @luansen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훌륭한 교훈이 남아서 좋구만
    이런 사례가 있어야 다른 상권에서 고민이라도 해보지
    활성화 좋은 상권 대부분이 저런 결말을 맞이하더라
    상권이 계속 바뀌면서 다른 지역도 발전하고 그런거라 그렇게 나쁘다고 볼 필요가 없다

  • @scko933
    @scko93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대입구 그렇게 잘나가더니ᆢ지금은 ㅉㅉᆢ신사동 뒤 가로수길 상가도 그렇게 잘나가더니 투자자 몰리고 임대료 올려대더니 마찬가지 쇠락ᆢ적당히 서로가 배려하고 먹고 살아야 했거늘 ㅠㅠㆍ황금알 낳는 거위를 욕심에 배가른격이네요ㆍ홍대입구도 타산지석 삼아 상점주나 상인들이 서로 배려하고 잘 살아갔으면 해요ㆍ

  • @kTMK4sTDMdGdrOf
    @kTMK4sTDMdGdrO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상권이 망하는 코스는 다 똑같음.
    방송나와서 핫하면
    임대료가 올라가고,
    임대료를 감당할수 있는 프랜차이져만 남고,
    프랜차이즈만 남아 있는 상권은 특색이 사라지고
    그렇게 망함.

  • @user-yl2ss6ed2t
    @user-yl2ss6ed2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누워서 돈벌면서 욕심은 그득하네

  • @user-bb6gd8ik8z
    @user-bb6gd8ik8z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 나라는 정치가 썩었음. 이런 현상이 있으면 적당한 제도라도 만들어서 건물주들의 저 악독한 이기주의를 부실 생각을 해야지 그냥 두고만 두나? 진짜 공실세라도 만들어야지 도대체 뭐하는건가 그 많은 국회의원들 정부부처 공무원들 게네들은 그냥 세금만 빨아먹는 거리들이야?

  • @victor27040
    @victor2704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임대료 낮추면 은행에서 원금회수한다던데..

  • @yky6220
    @yky622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황금알을 낳는 거위 작가님도 이 젠트리피케이션을 경험하고 작성했다는게 학계의 정설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

  • @user-sb6un2ss3g
    @user-sb6un2ss3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일본은 건물주가 세입자 거의 못 쫓아냄. 월세도 한국처럼 막 못올림. 세입자 내보내고 월세 올릴려면 시설비용 물어줘야지 내보낼 수 있음.그래서 오래된 가게들이 넘쳐남.

  • @qkrdmsgml11
    @qkrdmsgml1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버스를 탈 때 태그를 하지 않거 탈 수 있는 태그리스가 생긴지 생각보다 시간이 지났는데 왜 사용하는 사람이 별로 없는지 궁금합니다.

  • @hunhun5571
    @hunhun557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대화괜찮으신가요
    답장바랍니다
    밑도끝도없이 저런식으로 문자 하나달랑오는 거 자주 있습니다. 답장해도 대답없고 전화걸면 통화중으로나와요. 이거어떤유형의 스팸일까요

    • @handle189
      @handle18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거 요즘 많던데 정확하게는 모르지만 친한척 접근해서 앱 깔게해서 개인정보 빼가는 식일 껍니다

  • @haje0
    @haje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젠트리피케이션 흔하죠

  • @vnfma7
    @vnfma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임대료는 곧 건물가격이라, 절대로 무슨일이 있어도 그거 자발적으로 안내림. 설사 비어도 상관없음. 그냥 버틸뿐

  • @elee2
    @elee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크몽, 숨고 이전에 댓글 달았는데 취재해주시나요? ㅎㅎ

  • @shiltarae1047
    @shiltarae104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임대 못두고 공실로 오래 두면 벌금 먹여야 한다 상가를 놀리는거잖아
    전답은 놀리면 벌금먹이면서 상가는 왜 냅둬?

  • @MrWhiteCloudy
    @MrWhiteCloud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상권이고 나발이고 어차피 땅만 비싸게 팔아먹으면 된다는 마인드인데 임대료 올라서 공실나도 알빠노 이지.

  • @winner247
    @winner24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지방에는 싸게 내줘도 사람이 없어서 장사하기 힘들어 서울에는 사람많아서 장사하기 좋은데 사람이 많아서 그만큼 장사수요도 있어서 건물주는 가격 안내려 완전 양극화네

  • @jun31230
    @jun3123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뭐 좀 된다 싶으면 임대로 미친듯이 치솟고 상인들 다 내쫒으니, 정말 황금알 낳는 거위 배 가를거지. 저런데는 그냥 안가는게 답임

  • @user-fk4fn3vn3f
    @user-fk4fn3vn3f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문래동은 젠트리피케이션의 영향이 적은 곳인데 그곳마저 그러하면 정말 큰일

  • @sinirq
    @sinir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초반에 바짝 떙긴 업주들은 다들 강남에 건물샀어요 (팩트)

  • @user-cp1zf2fr7b
    @user-cp1zf2fr7b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대한민국 홍대 상권 임대료 == 미국 뉴욕 맨하탄 상권 임대료......다른 나라에서는 임대료 인상에 제한이 있지....하지만 한국의 경우는 사실상 건물주 마음.....

  • @user-qv7jt4cr8g
    @user-qv7jt4cr8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그럼데 임대료를 안내리는걸까? 못 내리는걸까?
    이런건 생각해보지 않은걸까?
    내가 알기로 법으로 임대료를 함부로 올릴수 없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내리면 절대 쉽게 못올리지....
    500짜리 300으로 내리면
    다시 500으로 올릴라면 20년도 더걸림...

  • @user-dt4mh9dr1m
    @user-dt4mh9dr1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취재의뢰합니다
    비행기 기장이랑 부기장은 식중독 예방 등을 위해 기내식을 다른 메뉴로 먹습니다. 그런데 다른 메뉴를 먹었는데도 불구하고 기장이랑 부기장 모두 식중독에 걸려서 조종을 못한다면 어떻게 대처하는지 궁금합니다.

    • @user-bt1wo4ep7b
      @user-bt1wo4ep7b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승객 중에서 비행기 몰수있나 찾아봐야죠!

    • @acidholic
      @acidholic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대리부르겟지

    • @user-bt1wo4ep7b
      @user-bt1wo4ep7b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여객기 추락할듯!

    • @finisher111
      @finisher1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비행기는 어차피 자동항법으로 운행 가능하기때문에 기상악화가 심하지않다면 착륙 할때만 잠깐 봐주면 됨

    • @royal9787
      @royal978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기장포함 승객들 전원 육편으로 만드는거보다 똥지리면서 운전하는게 훨 낫습니다 ..

  • @foullhhjohn1833
    @foullhhjohn1833 18 วันที่ผ่านมา

    경주 황리단길 상황 취재해주세요

  • @oyi8104
    @oyi8104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취재 부탁드립니다. 집에서 높은 산에보면 송전탑이
    엄청 많은데요. 송전탑 전기를 한전에서 전기를 어떻게 공급하고 관리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취재대행소왱에서 취재 부탁드립니다.

  • @Himizu2023
    @Himizu202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코로나 전에 시장 초입에 ㅈㄴ맛있는 그리스음식점 있었는데... 사라짐... ㅠ

  • @user-cx8kj6yu4k
    @user-cx8kj6yu4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리봐도 저리봐도 전국에 유명한 거리들이 망하는 절대0순위는 오만한 임대료임. 물론 여러가지 이유들이 많겠지만 임대료를 넘을순없음.

  • @P40WarHawk
    @P40WarHaw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망하는 이유
    이제는 안봐도 공식

  • @HackyDrone
    @HackyDron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있을 때 잘 하라는 말이 금과옥조
    조또 아닌 것들이 무슨 권리인양 거드름 부리다 꼴좋다 영원한 건 없어 사람들의 관심과 인기는 정말 새벽 안개처럼 덧없는 것이거늘

  • @ccacao5904
    @ccacao5904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건물가격평가의 정상화랑 공실세가 답이다
    공실나면 평가가격을 깍고 세금이 왕창 나와야 저 지랄을 안 함
    세금으로 인프라 깔아놓은 자리인데 알박기를 해서 국가에 피해를 입히는 행위임

  • @user-ln4so9el7g
    @user-ln4so9el7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리동네..저 근처 남산대림 사는데 그래도 금요일 토요일엔 사람이 좀 오긴 함ㅋㅋㅋㅋ 물론 예전만큼은 아니지만ㅋㅋㅋ근데 남매국밥은 참 맛있음ㅋㅋ

  • @gogogamany
    @gogogaman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빈공실 세금이나 때리면 저절로 가격 내려가지 않나? 아니면 빈상가 몇 개를 예술인에게 내줘서 명노를 만들던가.

  • @sjy231
    @sjy23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장사하는 사람들이 다 키워 놓은 상권을 건물주들이 다 말아먹네~~

  • @linegang09
    @linegang0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우리나라는 그저 조금만 유명해지면,,
    그 망할 과도한 욕심들이 모조리 조지고 있다.
    >
    심지어는 제주도 도 바로 이렇게 망했고,
    동해안도,, 소위 유명 관광지 수십곳도 다 이런식으로 거덜이 났다!
    정말 한국의 건물주들은 보고 배우는게 없다,, 없다,,,,
    그냥 수십년동안 비싸게 수업료 내고 배워야 정신을 차린다 !!

  • @user-qg2vh9gb2d
    @user-qg2vh9gb2d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행하는 곳은 20~30대들만 쫓아다니는데 어디가 핫하고 또 유행하면
    딴곳으로 가기 마련이지.
    오래되고 전통있는 곳들은 끊임없이 5~70대가 찾으니 그나마 유행 덜 타고.
    40대는 애들이랑 갈수 있는 곳이나 유행보다 주차장 있고 가족들 함께
    갈수 있는 곳으로 자주 가는 것 같고.
    한때는 유행 쫓는 20~30대였지만 인구구조상 그 수요도 많지 않을뿐더러,
    너무 빨리 변하니까 유행 쫓아다니는 것도 다 부질없어짐.

  • @user-ez4je6ln1z
    @user-ez4je6ln1z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물주들이 제일 문제죠

  • @yangmodaily
    @yangmodail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건물주도 굳이 상권 살릴 생각이 없는 거죠. 재개발 때 한방에 대박 노리거나, 땅이야 비싼 땅이니까 팔아도 되고요. 사람들도 이태원역 앞 번화가 가면 되고, 좀 색다른 데 가고 싶으면 해방촌(용산동2가)이나 후암동 루프탑카페 가면 되니까 굳이 무리해서 인근 두 지역과 상권경쟁할 필요성도 적어 보여요.

  • @birdsky8622
    @birdsky862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상권도 유행도 변하기 마련이다~ 어떤곳이 뜨면 다른곳에서 빠지는것이이다~ 경리단길, 홍대, 이대, 신촌, 가로수길, 망리단길, 성수동 등등

  • @nopregnant
    @nopregnan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경주가 경리단길로 들어왔다가.. 경주도 좀 알려쥐요!

  • @user-li4in7nf5r
    @user-li4in7nf5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대한민국 날씨가 너무 덥고 추워서 실제로 1년에 장사할수있는 기간은 7개월정도
    그래도 너도나도 대형쇼핑몰로 들어감 장사 한 30년 해보니 장사는 아무나 하는게 아닌듯

  • @user-vu1lw2kf2j
    @user-vu1lw2kf2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자업자득입니다. 건물주 걱정은 하는게 아닙니다.~~~

  • @mother-is-pink
    @mother-is-pin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취재: 짱구는 못말려에 나오는 짱구 말을 엉뚱하게 하는거(한 글자~한 단어 틀리게 말하는거) 부탁해요.

  • @jwj2793
    @jwj2793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인간의 탐욕이란... 에휴~

  • @user-pf8fv8lh2m
    @user-pf8fv8lh2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거기보다 교통좋고 입지 좋은 곳들에 비슷한 거리가 많이 조성됐으니까요. 성수동, 신용산, 연남동처럼 접근성 좋은 곳들이 경리단길을 대신하게 된 거죠. 그런 곳들은 임대료가 비싸도 잘 되는데 경리단길은 입지가 안 좋은데 건물주들이 월세 올리는 건 웃긴 일이죠 ㅋ

  • @newstream100
    @newstream10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부동산 업자들이 기획하여 만든 경리단길 언론들에 돈 주고 마케팅 겁나 때리고 그렇게 임대료 미친듯이 올리고 그렇게 작업해서 만든 건물주들은 팔고 나감

  • @user-hj1mq3ol9v
    @user-hj1mq3ol9v 20 วันที่ผ่านมา

    건물주의 저 마인드가 특색있는 인테리어와 아이템을 만들기 힘들게 만드는 큰 원인임 그러니까 어딜가도 갈 데가 없지 자기 건물있는 주인이 아닌 이상 실험적이고 특이한 시도 같은 건 없을 거임

  • @user-wc2tp7rx7w
    @user-wc2tp7rx7w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취재를 의뢰힙니다
    기본정보 이름은 왜 모두 홍길동인지 궁금합니당!!

    • @zS2un
      @zS2u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 이거 옛날에 1분만 채널에서 봤던 기억이 있어요!!

  • @sross1027
    @sross102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신규상권은 계속 늘어남.. 구 상권은 퇴보할 수 밖에 없음.. 거기에 좀 떴다고 임대료 올리면 망하라고 휘발유 붓는격.
    건물주는 당장의 이익만 생각하기에 경리단길 같은 핫한 상권조차 망하는 것도 어찌보면 당연한 일.
    차리라 꾸준한 상권이 낫지 너무 핫해져도 안좋은듯 하다ㅎㅎ

  • @buna775
    @buna77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런 공실은 강제로 세금 왕창 내게끔 해야한다

  • @ohmalub
    @ohmalub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2018년에 가봤을때도 이미 좀 죽어가고 있었던걸로 기억남 유명하다고 해서 가봤는데 ....
    2017년이였나 18년이였나? 하여튼 그랬음 ㅎ

  • @byungjooman
    @byungjooman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고가의 부동산은 보유세를 잔뜩 메겨야 한다. 주거용 1주택 제외

  • @user-bg4py9xw9u
    @user-bg4py9xw9u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임대료를 낮추면 나중에 사람이 들어왔을때 임대료를 올리는데 제한이 있어서 원래의 임대료수준까지 올리는데 너무 오래걸린다고 임대료를 안낮추고 버틴다고 하던데...
    그냥 그대로 망해서 영원히 임대료 못받는 상황을 당해봐야 정신차리지
    아니다 그래도 정신 못차릴꺼같다 쟤네는

  • @landgold9799
    @landgold979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취재 의뢰 합니다 요즘 물가가 폭등중인데 그중에서도 외식 가격이 많이 올랐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국제 밀가루(소맥)가격도 코로나 전 가격으로 폭락했고
    국제 원유 가격도 2008년도와 지금 비슷 한데 왜 외식비는 오르기만 할까요?
    특히 평양냉면은 16000원 받는곳도 있다는데 평양 냉면 만드는데 재료비는 5000원도 안들어갈꺼 같은데 왜 그렇게 비싸게들 파는지
    궁금합니다!!!!!!

    • @user-di2jn3ct9r
      @user-di2jn3ct9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1. 한국수입가격
      2. 기후변화/전쟁 등 농식품 가격높아짐
      3. 유럽 농민파업시위
      4. 현정권의 국내 농민지원 부족으로
      농민들의 재정 악화로 내수농업생산
      량 확보부진
      5. 수입생산 FTA 협정국중 농수산
      값싸게 들여와서 현재 물가 안정
      시킬 여력의 여유자본금(국가비상금)
      없음

    • @juliokim3786
      @juliokim378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윗 대댓글의 이유에 추가해서 치솟는 월세와 인건비도 모두 녹여서 책정되기 때문도 큰것 같아요

    • @staywarmzza1
      @staywarmzza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건비 월세 기타 세금요율등을 보면 ..ㅋㅋ 자영업 폐업률은 왜이렇게 높을까요? 장사해보시면 알듯 합니다

  • @ravvitlittle
    @ravvitlittl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ㅋㅋㅋㅋ 서울 근방 지역에 사는데 여기가 잘 나가는 동네도 아닌데도 구석진자리 2층 월세가 200임 6-7년이 지났는데도 아직 공실인데 내릴생각없다고함 징하다 징해... 쟤네는 월세 받아먹는게 목적이 아닌거같음 건물파는게 목적인가

  • @user-uf5rb1ug6k
    @user-uf5rb1ug6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지금 핫하다는데 다 망하고 모든 상권을 홍대가 다 잠식한 느낌임, 과거 홍대 가까히 있던 큰 상권들 다 줄어들고 있고 반면에 홍대는 점점 화려해지고있음

    • @Kwakcheolyong
      @Kwakcheolyong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그..요새 홍대도 홍대 정문가는 길에 공실이 줄줄이 있는 게 심상찮더군요;

    • @mrblackrown
      @mrblackrow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놀랍게도 홍대 정문 가는 길은 공실 넘친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