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조주택 최고의 단열재는? 수성우레탄 폼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4 ก.พ. 2025
- 목조주택의 단점은 긴밀성유지가 어렵습니다. 현대건축에서는
긴밀성이 중요한다. 아무래도 콘크리트보다는 긴밀하지 못하죠.
이부분을 한방에 정리하는 단열재가 있습니다.
바로 수성우레탄폼입니다. 강력추천합니다. 아니 무조건 이거 쓰세요.
*유선 건축 상담 : 1533-2291 / 02-718-3390
*온라인 건축 상담 : docs.google.co...
*실시간 건축 상담: pf.kakao.com/_x...
*이현욱건축가 진행현장 유튜브(광장건축사사무소) :
/ @광장건축사사무소
*광장건축사사무소 카페 : cafe.naver.com/...
건축수업 정주행 중입니다. 일반인에게는 귀중한 정보 감사하게 듣고 있습니다^^
네 감사합니다
꿀정보입니다 이렇게 정확히 알려주시니 너무 감사합니다~
네 감사 힘이 나네요
궁금한점을 콕콕 짚어 말씀해주시니 너무 좋아요. 잘 보겠습니다:D
네 감사합니다
몇년간 계속 이런저런 정보를 접하고 있네요.
따로 계속 정리중인데 이러다가 책 한권은 가볍게 넘어갈 것 같습니다.
오늘도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
저는 수성경질폼으로 예전부터 정해뒀습니다. 공사현장에서 봤더니 믿음직 하더군요.
그럼에도 저는 불안한 마음도 있어서 지붕에 에어벤트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맘이 드네요.
다락이 있나요? 경질우레탄에 비닐치고 석고마감 이게 정답입니다. 에어벤트로 완벽하지 못해서요
정말 쉽게
핵심만 꼬집어서 설명 해주니
너무 좋네요
대충 그냥 막 설명하는거 같은데ㅋㅋㅋ
장단점 귀에 쏙 감기네요
네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수성경질우폼으로 가야겠네요👍
네 감사합니다
치명적 단점ㅡ모든 전선등이 다 묻힌다. 따라서 수리에 문제가 크다
목조집은 초기3년간 약간 움직이는데 우레탄폼과 목재구조물 사이에 틈이 벌어질수 있다. 따라서 그라스울이 길게 볼때 추천.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항상 궁금했던게, 단열을 했는데, 목조 주택은 숨을 쉰다고 말하는게 이해가 안됐는데, 드디어 해답을 찾았네요. 문제는 결로였어요ㅎㅎ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내용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돈없으면 비닐,, 돈있으면 인텔로 가변형 투습방습지.. 기밀테이프도 비싸더군요.. 우리나라는 여름 겨울 실내외 습도가 바뀌는 성질때문에 가변형이 좋은거 같더라구요..
네 의견감사합니다
건축가님 감사합니다. 전에 답변 덕분에 투습방수지 없이 수성연징폼 아이씬으로 정해서 공사 중입니다. 아직 단열공사는 시작 안했는데. 목조는 통기성하고 습기 배출이 잘되아야 구조채가 안 썩는다고 하는데...수성연질폼하면 문제가 심각한 된다고 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습기가 남아서 문제라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상관없어요. 완벽합니다
건축가님 좋은 정보와 정리 정말 감사드립니다. 집을 구상하는데 정말 도움이 됩니다. 질문이 있는데 수성우레폼 하면 가변형 투습방습지 안해도 되는걸까요?아니면 꼭 해야할까요? 생각보다 투습방습지 시공이 비싸다고 하는데...작은집 예산이라..고민인데 어디 물어봐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안해도 됩니다.
@@architect-hyunwook 감사합니다! 많은 유튜브에선 꼭 해야할것 처럼 설명해서..건축가님 같은 진정한 전문가에게 여쭈어 보고 싶었습니다
잘지은 목조주택은
철근 콘크리트만큼 유지가 되나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나무사이에 글라스울이나 우레탄 폼을 쏘는데요. 그럼 나무의 열교는 어떻게 막는 건가요?
나무는 단열재입니다. 단열성능이 어느정도는 있어요
@@chp6162인정ㅎㅎ 유튜버는 전문가 아닌듯..
잘몰라서 그러는데
수성우레탄폼 쏠꺼면
목조가 아니라 싼 판넬집으로 지으는게 좋은거 아닌가요??
가격 면에서요
판넬에 사용하는 우레탄폼이 종류가 달라요. 대부분 판넬은 유성입니다.
@@architect-hyunwook 아하...감사합니다!
수성경질폼이 기밀성은 좋지만, 수리 및 보수에는 글래스울 구조보다 불리하지 않을까요.
뜯어내기도 힘들텐데요.
보수시 일부분은 글라스울로 합니다
볏짚은 어떤가요?
압축볏짚이 있던데요~
제가 잘 몰라서요. 우선 추천하지 싶지는 않아요
셀룰로오스는 어떤가요? 기밀성이 좋다고 하던데요
기밀은 좋은데 시간에 의해 처지는 경향이 있어요. 위에 상부에 구멍이 생기죠. 글라스울도 같은 단점입니다.
ㅋㅋ 진짜 몰입도가 좋네요
어느 미국 목조주택 동영상 보면 [ zip보드벽체 + atlas사 energy shield라는 브랜드명의 단열재]로 외단열을 하더라고요. 지붕도 warm roof 방식으로 외단열로 단열재를 지붕합판위에 덮고요. (벤트도 필요없더군요) 목조주택 외단열재로 많이 사용하는 미네랄울보다 가격이나 시공이 더 장점이 많은 것 같고요. 전 목조주택도 외단열을 할 수 있으면 외단열로 가는 게 낫다는 생각인데 전문가님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벤트에 대해서 영상 올리겠습니다
건축가님 수성폼이나 아이씬폼 단열 채택 하면 벤트 없어도 되나요>?? 통보온병 같이 만들면 괜찮나요??
네 가능합니다
편집이 재미있네요.
감사합니다
샷시 우레탄 폼과는 다른건가요? (너무 무식한 질문이 아닌지 ,,,)
벽체와 창호사이에 간극이 생겨 틈이 있습니다. 이부분을 단열재로 채워줘야 하는데 이곳을 우레탄폼으로 많이 채우죠.
같은 방식이지만 양에 차이가 있죠. 창호주변은 소량 벽체 단열재는 대량입니다.
@@architect-hyunwook 여기 틈도 경질을 사용하는게 좋은가요?
@@강물바람 네
기존 지어진 콘크리트 건물에 외부 조적벽인데요 이 콘크리트와 벽돌벽 사이를 우레탄 폼을 채우는 시공도 있나요?
못봤어요
유리섬유 양쪽을 타카로 잘 고정시켜도 시간 지나면 다 처지나요?
넹 약간 처져요. 그렇다고 엄청나게 문제가 있는건 아니지만 점점 좋은 자재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수성폼 쏘고난후 석고보드 치기 전에 열반사단열제 한겹 더 붙이면 단열에 더 효과 적인가요?
네 가능합니다
경질우레탄은 화재시 유독가스가 치명적이라는데 괜찮은가요?
유성말고요. 무조건 수성입니다.
수성연질우레탄폼. 수성경질우레탄폼이죠.
개인적으로 궁금한게있습니다 목조주택 내단열에 미네랄울을 쓰는경우도 있나요??
네 많은데요
@@architect-hyunwook 60평대 목구조로 건축 예정인 건축주입니다. 요즘은 하우징업체들도 대부분 아이씬 폼을 많이 사용하더라고요. 수성경질폼 정품회사라는 타이틀 때문에 저도 아이씬 폼 고려중인데. 수성폼이라고 해도 아무래도 폼 종류다 보니깐 .. 무기질 단열재보다는 믿음이 안가서.. 보통 화재가 나서 불에타죽는 거보다 유독가스 로 죽는 경우가 많다고 들어습니다 혹시 단열재 비교해서 가스 유해성 비교하는 영상 같은게 있을까요 ??
@@박종일-z7i 아이씬은 물을 사용합니다.
@@박종일-z7i 아이씬은 물을 사용해서 상관이 없어요
경질폼의 경우, 목재의 변형에 따라 우레탄과 목재가 분리되어 기밀에 문제가 발생할 여지는 없는지요?
연질의 경우라면, 문자 그대로 목재의 변형에 따른 우레탄과의 분리시에도 어느정도 유연하게 기밀이 파괴되지 않고 잘 대응할 것처럼 보이는데요..
건알못이라 무식한 질문일 수도 있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질문을 했는데.. 뭐가 좋다는건지요..
목재와 우레탄은 접착력이 좋아요. 문제없습니다.
수성우레탄이여야 합니다.
둘다 좋은데 경질이 단열성능이 더 뛰어나요.
박리가 거의 없다는 말씀이시군요?
감사합니다.
혹시 글라스울로 했을때 비닐을 시공한다고 했는데, 혹시 비닐에서 결로는 안생기나요~??
내부의 습기를 단열재부터 차단의 목적. 안생겨요
@@architect-hyunwook 감사합니다^^ 집 짓고 싶어서 단열에 대해서 궁금한게 많이 생기네요~ 글라스울로 할지 수성연질폼이 좋을지.. 고민입니다. 내벽과 외벽의 온도차로 비닐에 결로가 생기진 않을까 고민해봤어요~
@@K라벤 글라스울도 문제 없어요. 차라리 외단열을 가볍게 해주는게 도움이 됩니다
비닐로 하시면 겨울에는 도움이 되지만 여름에 에어컨 냉방을 하면 비닐에 결로가 생기는 것으로 알아요. 비닐 대신 가변형방습지로 시공하셔야 할거에요.
흠...
글라스울에서 생기는 습기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알려주지도 않고,
글라스울의 잘못된 시공으로 쳐짐이 발생한다는 점도 숨기는 것은 좀 아닌 듯합니다.
첫째, 글라스울 안쪽에서 생기는 습기는 습기와 공기가 빠져나가는 통로를 만들어주지 않았거나,
벽체의 경우 가변형 투습지를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레인스크린 시공을 생략했거나
지붕의 경우 벤트(글라우스울과 OBS 사이에 넣는 플라스틱)를 설치하지 않아서 지붕의 온도차로 생기는 습기가 벤트를 통해서 나가지 않고
그대로 글라스울이 먹게 잘못시공된 것입니다.
그리고 쳐지는 이유는 글라스울 양옆과 상하의 날개 종이를 쫙쫙 펼쳐서
나무 기둥 정면 (즉 사람이 서서 정면으로 보이는 나무각재의 표면)에 고정을 시켜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나무와 나무 사이에 글라스울을 누르듯이 우겨넣으면서
글라스울 사방의 날개 종이를 나무 각재 옆면에 고정시키는 잘못된 시공방법이 만연해 있기 때문에...
억지로 눌렸던 글라스울이 시간이 지나면서 글라스울 내부의 공기층 형성으로 부풀어 오르는데,
그 부풀어 오르는 만큼 나무에 고정시킨 날개부분의 종이가 견뎌줘야 함에도...
나무 옆면에 밖아 버리니까 타카로 고정된 종이가 글라스울의 부푸는 힘을 이겨내지 못하고 찢어지니까 쳐지는 겁니다.
그리고 석고보드가 처지는 것을 막아주는 겁니다.
그리고 가등급 글라스울 사용하고 벽체용과 지붕용 글라스울이 다른데..
나등급 다등급의 글라스울을 가지고 벽체와 지붕을 같이 시공해버리니까 결로와 습기와 곰팡이가 생기는 겁니다.
그리고 지붕이 웜루프냐 쿨루프냐에 따라 시공도 달라지고요..
다만 벽체와 벽체가 만나는 그 공간에 제대로 글라스울을 채워넣는 시공자들이 많으냐?
그건 결코 그렇지 못하죠...
좀 제대로 알고 설명하시죠?
그리고 수성우레탄폼 전체가 다 난연입니까?
난연인 것도 있고 아닌 것도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4계절이 뚜렸한 나라입니다.
목재도 여름에는 늘어나고 겨울에는 수축합니다.
나무의 나이테가 더울때에는 간격이 크고 추울때에는 간격이 작은 것이 같은 이유입니다.
그런데 우레탄폼은 처음에는 수성이고 연질이겠지만...
우리나라 여름을 몇번 지내고 나면 경질화되고 경질화된 상태로 목조주택 골조가 미세하게 늘었다 줄었다하면...
경질화된 우레탄은 가루가 되기 시작합니다.
시간이 갈 수록 가루가 떨어지기 시작하여 그 떨어지는 가루의 면적이 늘어날 것인데 단열이 될까요?
그리고 사계절에 따라 미세하게 목조이든 철곤이든...
집은 수축과 늘어남이 반복됩니다.
하지만 우레탄폼은 집의 골조가 늘어나든 수축하던 그모양 그대로입니다.
그러면 세월이 갈 수록 목조와 단열재인 우레탄 폼 사이의 간격이 글라스울보다 더 넓게 형성이 되고
여기서 결로와 습기와 곰팡이가 피어나게 됩니다
또한 화재상황에서의 불이 직접적으로 우레탄폼에 석고보드로 인하여 닿아서 연소점이 되지는 않겠지만,
복사열로 인해서 녹고 그로인하여 유독가스가 발생할 위험성과 확률은 글라스울보다 우레탄폼이 더 높습니다.
대구지하철 참사가 바로 복사열에 의한 유독가스와 화재복사열로 인한 기도 손상으로 참사인원이 늘어난 것이지...
화재 확산으로 참사로 희생된 인명수가 늘어난 것이 아님을 봐도 알 수 있는 겁니다.
마지막으로 우레탄폼은 시공자의 기술력에 매우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우레탄폼 시공자가 아무리 꼼꼼하게 천천히해도
우레탄폼 안의 공기구멍이 100% 안생기게 시공할 수는 없는 겁니다.
아무리 작은 공기구멍이 우레탄폼 안에 하나라도 생기면...
그 공기구멍 안에서 결로가 생기고 물이 고이고...
시간이 지나면서 경질화된 우레탄폼이 그 물을 머금게 되고...
경질화된 우레탄폼의 가루들이 벽체에서 미세하게 하나둘 탈락하기 시작하면
그 미세한 탈락자국들을 따라 물이 우레탄폼 사이사이로 퍼져나가서
결국은 우레탄폼이 물을 먹게되는 겁니다.
물을 머금은 우레탄 폼의 속은 결코 마르지 않습니다.
글라스울이 100% 다 좋은 것은 아니지만..
마치 궁극의 단열재인냥 난연도 안되는 우레탄폼이 최고라는 말은 삼가해야겠습니다.
목조주택 콘크리트보다 소음에 약하다는말 들은적있는데 화재에 강하다 이 것은 먼 듯이지요? 나무가 화재에 강하다 ?
모든 건축물은 타요. 목조가 생각보다 오래 버텨줍니다. 사람이 사는게 중요. 건축에서는 피난시간을 벌어주는게 목표입니다.
연질보다 경질폼이 불이 더 좋아한다던데요.
그럴리가요. 수성입니다. 유성 말고요
스틸하우스에는 어떨까요?
별로 권하고 싶지않네요. 결로 단열문제
ㅠㅠ
목조주택과 스틸하우스는 비슷한 형태이지만 스터드만 다른 것 아닌가요?? 어떤 부분에서 추천 안하실까여??
@@핳하핳-p5u 나무자체는 단열성능이 있어서 결로가 없어요. 스틸은 단열성능이 없어 이부분을 신경써서 공사해야 합니다.
그렇다면외장재 뒷부분에 외단열(비드법) 시공 이후 중단열, 즉 스터드부분에 우레탄폼을 쏘는 것은 괜찮을까요??
@@핳하핳-p5u 네 그렇기 많이 해요
영상 잘보고있습니다~~혹시 목조주택 시공하시나요? ㅎ
저는 설계합니다
혹시 시공사 추천할만한곳 있으신가요? 실례가 안된다면..
참고로 저는 더존하우징이란곳을 보고있거든요
@@김창수-r9q 네 좋은 회사입니다
@@김창수-r9q 네 상담신청하시면 비교견적 받으세요.
그럼 수성보다 경질폼이 더 좋지않을까요
네 경질이 좋아요
경질 단점 유투브 보면 수성보다 훨씬더 비쌈.
경질, 연질의 문제점을 자세히 제시 안하시네요...결로에의한 합판 부패, 갈라짐현상 등
처음듣는 얘기군요. 이유가 뭐죠?
결로가 어디에 어떻게 생긴다는거죠...? 결로는 틈새가 있어야 생길텐데..?
그럼 콘크리트주택에도
수성경질우레탄폼이
효과있나요?
당연히 있죠. 문제는 상을 대서 공간을 만들고 뿌려야해서 콘크리트주택은 불리합니다.
왜목조주택건축하시는분들이
폼은
시간지나면단열값이떨어지고
통기가안돼서
나무가썩는다고
유리섬유하라고 ...ㅜ
뭐가맞을지
수성우레탄폼은 문제 없어요. 유성이 시간에 싹는다고 하죠.
통기가 안되 나무가 썩는다? 처음들어요. 글라스울도 좋지만 시간에 의해 처져서 틈이 생깁니다.
답변감사합니다 ㅎ
골조까지는했지만
단열을 어떻게할지 아직고민중이라ㅠ
@@청년농부강소망 글라스울 하세요. 나쁘지 않아요
궁금한게 폼을 쏜 집이, 센트위치 판낼과 다른건 어떤 건가요? 건축사님 영상 중 재질이 다르면 5년후 팽창도 차이로 떨어지고 벌어진다고 했는데 , 나무와 폼은 습기먹는 차이 온도 팽창도 등 엄청 차이 날 듯도 한데 이 경우는 어떤 차이로 그게 커버 되는 걸까요?
목조가 생각보다 수축팽창이 작아요. 폼도 어느정도 유격을 유지합니다
@@architect-hyunwook
그렇다면..?
합판 중간에 폼이 들어간 ..
한판 센트위치 판넬이 있다면
조립식 경량목조가
가능한 걸까요?
@@이소이소중한세상 있는데요. 영상 올릴게요
혹시 경질유레틴 폼은 시간이 지나먄서 단열성능이 저하되거나 하진 않나요?
수성은 문제 없습니다
@@architect-hyunwook 경질폼으로ㅠ시공하려했는데요
어떤분이ㅜ그러더리구요
폼은 기밀에 적합한 단열재는 맞는데
추천을 안한다고
패시브 협회에서도 추천인하는 이유가 있다 말하시더라구요
그래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열성능에ㅜ대한자료를 찾아보려해도ㅠ찾기가 아려워서 ㅠㅠ
@@윤태진-z3r 이해가 안 가네요 경질 우레탄폼수성은 추천합니다. 비싸서 좀. ㅎㅎ
@@architect-hyunwook 이거도 정품이 있다던데 그게 장품인지 아닌지 일반인이 알수엤나요?
@@윤태진-z3r 수성우레탄폼 정품은캐나다 아이신이라는 회사뿐입다
보면볼수록 왜 국내 목조는 이사장님 말 반대로 하구앉앗을까 둘중에 하나는 그짓인디 ㅋㅋ
참 이론만 공부한 사람이 큰일입니다.
의견감사합니다
콘크리트주택 지붕외단열시 단면평활도 문제로 단열제 밀착이 문제인데 아연도각관세우고 경질우레탄으로 단열하는방법은 어떨지요?
경질우레탄은 내부에 하는거라
그냥 외단열재/솔리드단열재 쓰시고 틈부분에 우레탄과 테리핑을 열심히 하시면 되요
한국패시브건축협회 기술자료 4-04. 단열재의 종류 및 특징 - 바. 수성연질폼
수성연질폼의 특성은 아래의 물성에서 비롯된다.
1. 폴리우레탄의 일종이며,
2. 오픈셀 구조이며,
3. 밀도가 6~9 kg/㎥ 으로 매우 낮다.
4. 발포제로 지구온난화물질(CFC)을 사용하지 않는다.(CO2 발생 - 온난화물질)
5. 생산업체에서는 난연3급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어떠한 증거도 찾지 못했다.
수성연질폼을 내단열재로 사용할 경우는 글라스울과 마찬가지로 "실내측에 방습층"을 형성해야 한다. 물론 "가변형방습층"을 형성하면 더 좋다.
좀 더 깊이 있는 자료나 내용 전달이 필요해 보여서 기술자료 남겼습니다.
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