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는 어떻게 날까요?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30 พ.ย. 2018
  • 현대의 비행기들은 공학적으로 정말 놀라운 것입니다. 그들은 공중에서 격동적이고 예측할 수 없는 전류를 극복하며 복잡한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그들의 비행을 완성합니다. 당신은 조종사들이 어떻게 이것을 작동해 낼 수 있는지, 혹은 조종사가 특정한 조종장치를 조작할 때 비행기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생각해 본 적이 있습니까? 이 비디오에서 우리는 비행기가 어떻게 날게 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조종사들이 비행기를 논리적이면서도 간단한 방법으로 조종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Create a free SimScale account to test the cloud-based simulation platform here: www.simscale.com/
    To perform complex CFD analyses using your normal laptop or PC, just create a free community account at SimScale.com and explore.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09

  • @Sabinz
    @Sabinz  5 ปีที่แล้ว +89

    양력 발생의 이유는 버누엘리의 원칙이 아닌, 뉴턴의 세 번째 법칙입니다. th-cam.com/video/w78JT6azrZU/w-d-xo.html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에어포일 형태로 생산된 내리 흐름에 뉴턴의 세 번째 법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이 개념을 완전히 이해하려면 '엔지니어링 학습'의 에어포일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 @hayoun3
      @hayoun3 5 ปีที่แล้ว +7

      공학 코너 버누엘리의 원칙 -> 베르누이의 정리 (혹은 법칙) 영상 좋고 번역도 나쁘지 않은데 단어사용이 조금 애매할 때가 있네요.

    • @user-qm4ht1dx6g
      @user-qm4ht1dx6g 5 ปีที่แล้ว +6

      @@hayoun3 베르누이는 한국식발음이고 관리자분이 쓰신것이 본래발음에 더 가깝습니다

    • @ALBATROSS00
      @ALBATROSS00 5 ปีที่แล้ว +10

      미연방항공청에서 발간한 책에 보면
      3법칙, 베르누이, 매그너스
      다 말하고 있습니다

    • @hayoun3
      @hayoun3 5 ปีที่แล้ว +5

      맞는데 이건 한국영상이니깐요. 뭐같지만 물리협회에서 정한 명칭을 써야죠.

    • @levitate_u
      @levitate_u 5 ปีที่แล้ว

      www.grc.nasa.gov/www/k-12/airplane/wrong1.html

  • @11yo-Pomeranian
    @11yo-Pomeranian 4 ปีที่แล้ว +247

    이론적으로 이해했어도 여전히 비행기가 나는 것은 너무도 신기하다

    • @JohnB-hm5nf
      @JohnB-hm5nf 3 ปีที่แล้ว +1

      양력이 비행기를 날게 한다는건
      틀린말 아닌가?
      물론 양력도 생겨서 뜨는데 도움을 주지만
      실제 동체가 공기중에 뜨는건
      양력이 아니라 받임각
      즉 날개각도라고 해야 맞다고봄.
      만약 양력의 정의를
      날게가 받는힘 으로 정의한다면 맞겟지만
      엄격히 보면 양력은
      밀도차에 의한 물체의 이동으로 봐야함.
      받음각 >> 양력

    • @basketman-zj3gn
      @basketman-zj3gn 2 ปีที่แล้ว

      이렇게 쉽게 이야기해줬는데도 이해를 못하나

    • @user-hi7gu3tu1n
      @user-hi7gu3tu1n 2 ปีที่แล้ว +3

      @@basketman-zj3gn 국평오?

    • @user-hl2oo5ps6p
      @user-hl2oo5ps6p 2 ปีที่แล้ว +11

      이거 진짜 내가 하고 샆은말 ㅋㅋㅋㅋ 여객기 수십번 타보고, 아무리 이론적으로 이해해도 탈때 마다 신기함

    • @stema314
      @stema314 2 ปีที่แล้ว

      @@JohnB-hm5nf 받음각이 양력을 증가함으로 인해 날게되는거니 양력때문에 나는것이죠.

  • @user-qx9ks8rm8m
    @user-qx9ks8rm8m 4 ปีที่แล้ว +2

    쉬운 설명 감사합니다. 영상 퀄이 높네요!!

  • @user-sb3rn4oz8t
    @user-sb3rn4oz8t 5 ปีที่แล้ว +25

    지금까지 본 비행 원리 설명 중에 최고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lp3nr4ix6r
      @user-lp3nr4ix6r 2 ปีที่แล้ว

      설명이 틀립니다 비행기 거꾸로 하면 추락해야 하는 이론입니다 그런데 거꾸로 뒤집혀도 잘만 납니다 빠른속도로 날면 날개 위아래 둘다 압력이 낮아진다 그래서 납니다 이게 정답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날개의 위와 아래의 압력차이가 아니라 날개가 지나가면서 날개 윗면아랫면이 다 압력이 낮아집니다. 이 비디오 설명대로 하면 비행기가 뒤집혀서 날때 추락해야 하는 이론입니다. 그런데 잘만 납니다. 빠른속도로 날면 윗면과 아랫면 모두 압력이 낮아진다 그래서 뒤집혀도 바로 잡혀도 잘만 납니다. 설명이 그래야 맞습니다. 그리고 원래 원리상도 맞습니다.빠른속도로 날면 압력이 낮아진데매!

    • @king_god_super_hamster
      @king_god_super_hamster ปีที่แล้ว +1

      ​@@user-lp3nr4ix6r 항공기는 거꾸로 하면 추락해요
      전투기랑 햇갈리신거 같은데 전투기는 날개가 다르게 생겼어요

  • @woodlover701
    @woodlover701 5 ปีที่แล้ว

    유익한 동영상입니다. 신기하기도 하고요
    즐거운 설명절 보내세요. ^^

  • @Todays_stock
    @Todays_stock 5 ปีที่แล้ว

    비행원리에 대해서 영상으로 잘 설명하고 있네요

  • @Chicago_L
    @Chicago_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3D 이미지로 설명해주니 훨씬 이해하기 쉽네요 ㅎㅎ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si1wv1no9z
    @user-si1wv1no9z 3 ปีที่แล้ว +2

    이번 영상에서 많은걸 배우고 갑니다.ㅎㅎ

  • @ohlaksil
    @ohlaksil 4 ปีที่แล้ว +11

    와우 이러한 공학 유튜버도 있구나 !!!

  • @user-jc9vm1yf9i
    @user-jc9vm1yf9i 5 ปีที่แล้ว

    좋은 자료 입니다.

  • @user-yl8zx3xw1v
    @user-yl8zx3xw1v 5 ปีที่แล้ว +5

    쉽게 설명되어 있어 이해하기가 좋네요

  • @davinciair4882
    @davinciair4882 5 ปีที่แล้ว +2

    고정익 비행기 원리 설명이 가장 잘 된 영상인 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pianoworship2950
    @pianoworship2950 4 ปีที่แล้ว

    설명 넘 좋아여♡

  • @kimkyle4607
    @kimkyle4607 4 ปีที่แล้ว +1

    Adverse yaw까지 잘 설명되있네요.

  • @FLYK_forever
    @FLYK_forever 3 ปีที่แล้ว +3

    우와 멋진 영상입니다 알기 쉽게 설명해주시네요 ^^고퀄에 감탄합니다~

    • @user-lp3nr4ix6r
      @user-lp3nr4ix6r 2 ปีที่แล้ว

      설명이 틀립니다 비행기 거꾸로 하면 추락해야 하는 이론입니다 그런데 거꾸로 뒤집혀도 잘만 납니다 빠른속도로 날면 날개 위아래 둘다 압력이 낮아진다 그래서 납니다 이게 정답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날개의 위와 아래의 압력차이가 아니라 날개가 지나가면서 날개 윗면아랫면이 다 압력이 낮아집니다. 이 비디오 설명대로 하면 비행기가 뒤집혀서 날때 추락해야 하는 이론입니다. 그런데 잘만 납니다. 빠른속도로 날면 윗면과 아랫면 모두 압력이 낮아진다 그래서 뒤집혀도 바로 잡혀도 잘만 납니다. 설명이 그래야 맞습니다. 그리고 원래 원리상도 맞습니다.빠른속도로 날면 압력이 낮아진데매!

    • @user-hi7gu3tu1n
      @user-hi7gu3tu1n 2 ปีที่แล้ว

      @@user-lp3nr4ix6r 네 다 찐

    • @catlove1111
      @catlove1111 2 ปีที่แล้ว

      @@user-lp3nr4ix6r FLY K 님 현직 파일럿입니다..

  • @tokashini
    @tokashini 4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 @yngsklee
    @yngsklee ปีที่แล้ว +9

    양력이 그 무거운 여객기를 들어올릴 수 있을 정도로 커질 수 있다는 것을 도저히 믿을 수 없다.

  • @user-yj2ei2gt1z
    @user-yj2ei2gt1z 4 ปีที่แล้ว

    이론적인 부분을 알게되어 좋았습니다

  • @KB-nx3yv
    @KB-nx3yv ปีที่แล้ว

    고교물리에서 베르누이 법칙 정도만 알고있으면 이해하기 수월합네요 감사합니다

  • @luterkim9908
    @luterkim990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궁금증을 풀어주셨네요
    감사

  • @user-mp3kr2oy8z
    @user-mp3kr2oy8z 4 ปีที่แล้ว

    재밌어요 구독합니다

  • @user-mh7fw4ts6b
    @user-mh7fw4ts6b 5 ปีที่แล้ว +2

    이렇게 쉽고 자세하게 설명 감사

  • @user-xo8lj3ft7y
    @user-xo8lj3ft7y ปีที่แล้ว

    최고에요!!!!!!

  • @kznfwkd
    @kznfwkd 4 ปีที่แล้ว

    김상중 씨 변성기 때의 목소리를 듣는듯 합니다 굉장히 집중이 잘되는 나레이션 입니다

  • @user-np9ch3tk3q
    @user-np9ch3tk3q 5 ปีที่แล้ว +30

    알겠습니다.
    저도 양력을 알게됬습니다.
    정말 기쁩니다.
    이제 사람들에게 자랑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snowflakeperv
      @snowflakeperv 4 ปีที่แล้ว

      그래서 양력이 먼데요? 저기 설명에선 양력따위 1도 제대로 설명되어 있지않음요. 공기가 밑으로 흐르면 양력이 생김? 글머 날개를 수직으로 세워 날지 그래욤..
      오류투성이 설명임.

    • @j.wbmwgst-max
      @j.wbmwgst-max 4 ปีที่แล้ว +1

      눈꽃변태 이해를 해서 이해 한다는게 아닙니다.
      번역기 돌려서 말한것입니다.
      그래서 저렇게 쓴것입니다.
      우리는 이해를 한것이 아니다.
      우리는 구글번역기를 실뢰 할수 없다.

    • @xxx-rq3zx
      @xxx-rq3zx 4 ปีที่แล้ว

      @@snowflakeperv 날개가 있으면 그 주변 공기가 날개를 타고 흐르고 그렇게 되면 위에있던 공기가 아래로 밀려 내려간 것이기 때문에 공기 덩어리가 운동을 한 겁니다. 그러면 그 공기 덩어리를 운동하게 한 힘이 있을 것이고 그 힘은 아래로 작용했겠지요. 그 아래로 밀어내는 힘의 반작용이 양력과 같다는 겁니다. 물론 압력을 가지고 설명할 수도 있지만 어떤식으로 설명하든 두 설명이 본질적으로 다른 건 아닙니다. 어쨌든 영상 설명은 개떡같네요. 다만 윗면과 아랫면의 공기가 동시에 통과해서 압력차가 생겨서 양력이 발생한다 이게 틀렸다는 것이죠. 압력차가 생기는 게 아니라 동시에 통과한다가 틀린 겁니다.

    • @Mizuna_Rei
      @Mizuna_Rei 4 ปีที่แล้ว

      세상에 존재하는 4가지 힘 약력,강력,중력,전자기력은 고등학교 물리2 과정 입니다... 문과는 안배우죠

  • @user-zz7db7ix5w
    @user-zz7db7ix5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고맙습니다

  • @-msg
    @-msg 5 ปีที่แล้ว +20

    내셔널 지오그래픽 같아...

  • @user-lh5mb9cy9w
    @user-lh5mb9cy9w ปีที่แล้ว

    와 짝짝짝 동영상 잘 만들었네요 ㅎㅎㅎ

  • @user-gb5yb1df6h
    @user-gb5yb1df6h 5 ปีที่แล้ว +12

    조종사 헤어스타일 멋지넹ㅋ

    • @jim6140
      @jim6140 4 ปีที่แล้ว

      ㅋㅋㅋㅋㅋㅋㅋㅋ나도 그생각함ㅋㅋㅋㅋㅋㅋ

  • @jm7783
    @jm7783 4 ปีที่แล้ว +2

    개쩔어... 너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ㅜㅜ

  • @user-pt3eh6wh5f
    @user-pt3eh6wh5f 4 ปีที่แล้ว +5

    항공기에 관심이 많은 1인입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구독과 좋아요 꾹!! ^^

  • @odiohead180
    @odiohead180 5 ปีที่แล้ว +1

    동영상좀 자주 올려주십쇼

  • @anan-lf8jg
    @anan-lf8jg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user-qt5mu7xt7u
    @user-qt5mu7xt7u 3 ปีที่แล้ว

    선외기나 고속 선박 만타도 이해가되실꺼에요 빠르게 추진 하면 배앞이들리는현상이발생하죠.

  • @user-oq7eo1gd2n
    @user-oq7eo1gd2n 3 ปีที่แล้ว

    사랑합니다.

  • @user-qb1cw5yd4p
    @user-qb1cw5yd4p 3 ปีที่แล้ว +13

    영상보니까 한방에 이해가 되지만
    그래도 저 무거운 쇳덩이가 날아가는건 언제봐도 신기해요.

    • @user-zq9oq7db6w
      @user-zq9oq7db6w 3 ปีที่แล้ว

      대기를 가로지르는 비행기의 속도가 어마무시하니까요

    • @GazaeMan
      @GazaeMan 2 ปีที่แล้ว

      빠르니까 그게 되는거지ㅣ

    • @GazaeMan
      @GazaeMan 2 ปีที่แล้ว

      비행기 속도에서 님 손 뻗으면 부러질듯

  • @user-kt6vp3bk8q
    @user-kt6vp3bk8q 2 ปีที่แล้ว

    조심해서 잘 날아요~

  • @user-no6zq8uu5m
    @user-no6zq8uu5m 5 ปีที่แล้ว +2

    공학코너, 항상 응원할게용

  • @_M1N9YU_
    @_M1N9YU_ 3 ปีที่แล้ว +2

    진짜 영상 올리신분 제대로 양력 공부하신것 맞음?
    나사나 미국항공청에서 양력 발생원리에 베르누이 법칙이 적용된다는 것을 자명한 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는뎈ㅋ
    물론 뉴턴법칙도 포함해서,, 나비에-스톡스 방정식이 뒤지게 복잡하니까 오일러 법칙으로 설명하는거
    그리고 나사에 incorrect 양력 논문보면 압력차를 설명하는 방식들이 틀린거지(긴경로 이론, 벤츄리 이론 등등) 베르누이 법칙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정확히 나와있음.

  • @user-eh6ur6yz1m
    @user-eh6ur6yz1m 4 ปีที่แล้ว +2

    어려울 수 있는 비행기의 원리를 그림으로 쉽게 설명해주니 이해가 속속 되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From 발명의 탄생)

    • @user-lp3nr4ix6r
      @user-lp3nr4ix6r 2 ปีที่แล้ว +1

      고전 설명이고 현대적 설명도 틀립니다 비행기 거꾸로 하면 추락해야 하는 이론입니다 그런데 거꾸로 뒤집혀도 잘만 납니다 빠른속도로 날면 날개 위아래 둘다 압력이 낮아진다 그래서 납니다 이게 정답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날개의 위와 아래의 압력차이가 아니라 날개가 지나가면서 날개 윗면아랫면이 다 압력이 낮아집니다. 이 비디오 설명대로 하면 비행기가 뒤집혀서 날때 추락해야 하는 이론입니다. 그런데 잘만 납니다. 빠른속도로 날면 윗면과 아랫면 모두 압력이 낮아진다 그래서 뒤집혀도 바로 잡혀도 잘만 납니다. 설명이 그래야 맞습니다. 그리고 원래 원리상도 맞습니다.빠른속도로 날면 압력이 낮아진데매!

  • @pshgo83
    @pshgo83 ปีที่แล้ว

    나이 40에 궁금해서 들어왔어요ㅋㅋ가르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zp2tm8xl7x
    @user-zp2tm8xl7x 5 ปีที่แล้ว +1

    날개의 형상 디자인 때문에.. 엔진의 추진력으로 항공 기체를 밀어 낼때.. 아래 쪽은 고압 유지 되고 위쪽은 공기의 속박 와류 발생시켜 날개 아래 쪽은 압력이 높아 지고 위쪽은 압력이 내려 가서 항공 기체가 위쪽으로 상승한다.. 이런 내용이죠.. 진행 방향은 엔진 추진력 . 상승 방향은 공기 압력을 낮아서 이고... 밀어 올리는 쪽은 압력이 높아서 이고..항력 /중력 /추진력 /양력 등등 복잡하게 설명 어려운 내용을 있다 이런거죠..

  • @user-kz9hl4si1g
    @user-kz9hl4si1g 4 ปีที่แล้ว +18

    출력을 높힌뒤 플렙을 내리는게 아니라 푸시백하고 대기할때 먼저 플랩을 내리고 이륙합니다 정확한 정보 부탁드립니다

  • @user-th3ox5vg6w
    @user-th3ox5vg6w 5 ปีที่แล้ว +1

    재밌다!

  • @tokashini
    @tokashini 4 ปีที่แล้ว +13

    06:00 방향 전환 원리

  • @user-ch3zm6zw2m
    @user-ch3zm6zw2m 3 ปีที่แล้ว +1

    대단한 열정과 정보입니다. 이런 유튜브가 앞으로 100년은 지식채널을 지배할 듯 합니다.

    • @user-lp3nr4ix6r
      @user-lp3nr4ix6r 2 ปีที่แล้ว

      설명이 틀립니다 비행기 거꾸로 하면 추락해야 하는 이론입니다 그런데 거꾸로 뒤집혀도 잘만 납니다 빠른속도로 날면 날개 위아래 둘다 압력이 낮아진다 그래서 납니다 이게 정답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날개의 위와 아래의 압력차이가 아니라 날개가 지나가면서 날개 윗면아랫면이 다 압력이 낮아집니다. 이 비디오 설명대로 하면 비행기가 뒤집혀서 날때 추락해야 하는 이론입니다. 그런데 잘만 납니다. 빠른속도로 날면 윗면과 아랫면 모두 압력이 낮아진다 그래서 뒤집혀도 바로 잡혀도 잘만 납니다. 설명이 그래야 맞습니다. 그리고 원래 원리상도 맞습니다.빠른속도로 날면 압력이 낮아진데매!

    • @kim_human
      @kim_human ปีที่แล้ว

      @@user-lp3nr4ix6r 배면 비행 말하시는거 같은데
      일반 여객기에 경우에는 뒤집혀 날 때는 양력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불가능하지만
      전투기의 경우의 뒤집혀도 양력을 받을 수 있고 연료도 정상적으로 공급이 되기 때문에 배면 비행이 가능 한 것입니다.

  • @clauselan
    @clauselan 4 ปีที่แล้ว +7

    4:05 부분에 오류가 있습니다. 항공기 속도가 빨라지면 플랩과 슬랫을 작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항공기의 조건과 외부적 조건에 따라 계산된 결과에 맞춰 플랩을 미리 설정해 놓습니다. (슬랫은 따로 조작하는 게 아니라 플렙의 단계에 따라 연동되게 되어 있음) 그 상태에서 항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상승속도에 다다르면 승강타를 조종하여 이륙하게 되는 것입니다.

  • @joonsun100
    @joonsun100 5 ปีที่แล้ว +8

    목소리가 정말 예술 입니다. 성우를 쓰시나요 ? 아님 직접 녹음을 하시나요 ? 그리고 과학을 쉽게 풀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user-zxsdwrq
    @user-zxsdwrq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쉬운걸 어렵게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하무니다

  • @busanpad2998
    @busanpad2998 5 ปีที่แล้ว

    ㅎㅎ감사하다라는 말씀 받게 없습니다 ㅎㅎ
    실은 저도 비행기 관련영상을 제작중 이랍니다 ㅎㅎ Finish!!^^♡

  • @kalipapo8794
    @kalipapo8794 3 ปีที่แล้ว

    Very good

  • @_inmm
    @_inmm 3 ปีที่แล้ว +1

    이 채널은 번역가를 구합니다.

  • @cychoi3363
    @cychoi3363 3 ปีที่แล้ว

    연속방정식, 나비에-스톡스 방정식, 에너지 방정식 3가지를 풀어야합니다~

  • @TVBlindBonsai
    @TVBlindBonsai 3 ปีที่แล้ว

    항공 여객기는 회오리바람 실험용으로 쓰이지만 실험용으로도 사용되는 비행기는 A380-900(GEnx-1B), B747-8i(RR Trent-900), A380-800(GE90-115B), B747-400(RR Trent 700) 기종이 실험 겸용으로 사용합니다.(Feat. 쿠삼 Kusam)

  • @calmcrowman
    @calmcrowman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와....조종사가 되려면 머리로 외우는거 보다 몸에 익히려는 거에 더 시간을 투자해야겠네

  • @user-te4cj8oe3o
    @user-te4cj8oe3o 2 ปีที่แล้ว +1

    이정도면 성우 섭외하신거 아닌가요

  • @user-ut2kr8st5i
    @user-ut2kr8st5i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비행기가 이륙, 비행, 착륙까지 아동에게 알기 쉬운 설명입니다
    Easy-to-understand explanations for children about how an airplane takes off, flies, and lands.
    为孩子们简单易懂地解释飞机如何起飞、飞行和着陆。
    飛行機が離陸、飛行、着陸まで児童にわかりやすい説明です
    상세하고 재미있는 내용입니다
    Detailed and interesting content.
    内容详细、有趣。
    詳細で面白い内容です

  • @jiseopkim9386
    @jiseopkim9386 2 ปีที่แล้ว

    4:34 추진력 보다는 운동량이 더 어울리는 단어인것 같아요

  • @Aviation_Mania
    @Aviation_Mania 5 ปีที่แล้ว +283

    비행기가 나는 원리를 알아도 비행기가 나는것이 신기함......

    • @user-vc4yj6qy1y
      @user-vc4yj6qy1y 5 ปีที่แล้ว +11

      목욕탕에 손날 핀다음에 물에 좌우로 흔들면 손이 아래로 내려가거나 위로올라가던데 그거랑 비슷한원리인듯

    • @user-tv7km9ue9p
      @user-tv7km9ue9p 5 ปีที่แล้ว +1

      옹 여기서 또보네요ㅋㅋ

    • @user-ye5uh2vg5k
      @user-ye5uh2vg5k 5 ปีที่แล้ว +5

      난 아직도 엔진이 왜 물로는 안가고 휘발류 경유만 가는지 신기함
      아무리 설명들어도 신기하지.. 같은 액체물질인데

    • @user-ye5uh2vg5k
      @user-ye5uh2vg5k 5 ปีที่แล้ว +2

      @@user-xt9zt7yc8w 문맥을 이해못하시나

    • @djwoo93
      @djwoo93 5 ปีที่แล้ว +26

      @@user-ye5uh2vg5k 아니 ㅋㅋㅋㅋㅋㅋ 엔진이 연료를 태워서 거기서 에너지를 이용하는거다, 물은 안된다니까 거기에 문맥을 이해못하시나? ㅋㅋㅋㅋ 빵터졌네

  • @veridisquo7993
    @veridisquo7993 3 ปีที่แล้ว

    나는 감탄 한! 이 비디오는 나에게 도움

  • @catlove1111
    @catlove1111 2 ปีที่แล้ว +1

    7:48 보다가 현웃터졌네ㅋㅋㅋㅋㅋㅋ

  • @user-ej8qn9ke2u
    @user-ej8qn9ke2u ปีที่แล้ว +1

    민항기와 전투기의 추력 속도차이에 따른 기체의 중심점 그 변화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또 자동항법장치가 기체의 중심을 어떻게 변화시켜서 안정되게 나는지 매우 궁금하네요

  • @user-dj3hh6wd4r
    @user-dj3hh6wd4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투기와 여객긱의 시동거는 방법이 확연히 다른지요?

  • @user-ew9zm3lq4x
    @user-ew9zm3lq4x 4 ปีที่แล้ว

    제가 알고있던거와 마니마니 다르네요....

  • @geunhyemin276
    @geunhyemin276 4 ปีที่แล้ว

    유익한 영상 정말로 감사합니다ㅠㅠ 그런데 혹시 내리흐름이 무엇인지 알려주실수 있으신가요??ㅠㅠ

  • @Still_Life723
    @Still_Life723 5 ปีที่แล้ว

    신기하네요

  • @dylon5817
    @dylon5817 4 ปีที่แล้ว

    승강타에서 날개를 올리면 왜 공기가 위에서는 누르는거죠? 뮤슨 원리가 적용되는 것 입니까?

  • @user-ss432
    @user-ss43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초음속기일수록 날개 위부분이 둥근 설계를 피한다고 합니다.

  • @stay6337
    @stay6337 5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공학코너님 영상보다 궁금한게 잇어서 글써봅니다 영상에서 비행기가 좌우로 이동할때 방향타와 에일러론을 사용한다햇는데 방향타만 사용했을때 승객들이 불편을 겪는다햇는데 오히려 에일러론을 사용하고 역요현상이 더 불편하지않을까요?

    • @minsubkim4554
      @minsubkim4554 5 ปีที่แล้ว

      동영상에서 역요현상을 상쇠시키 위해 방향타(러더)를 같이 사용한다고 나와있네요.

    • @stay6337
      @stay6337 5 ปีที่แล้ว

      @@minsubkim4554 같이쓰면 역요현상이 사라지나요?

    • @user-wq5lo3ns5i
      @user-wq5lo3ns5i 5 ปีที่แล้ว

      에일러론만 사용하면 역요가 발생하기에 러더(방향타)를 같이 사용하여 역요를 잡아준다고 나와있네요. 말그대로 역요를 없애는 것 같습니다

    • @blackish_reddish
      @blackish_reddish 5 ปีที่แล้ว

      빠른거북님, 평평한 운동장에서 승용차를 우회전이나 좌회전하면 몸이 (회전하는) 반대편으로 쏠리는 것처럼, 방향타만 사용하게 되면 비행기가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방향만 전환되어 몸이 한쪽으쏠릴 테니까 그것을 상쇄하고자 에일러론을 사용해서 비행기를 기울이는 것입니다.
      그리고 역요는 에일러론만 사용했을때 양쪽 날개의 추력에도 차이가 발생해, 원하는 만큼 회전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현상입니다. 즉, 회전하는 정도보다 기울어지는 정도가 더 심해서, 승객들의 몸이 오히려 회전하는 쪽으로 기울어 지겠죠. 그래서 방향타를 같이 써주어 (즉, 더 많이 회전시켜) 원심력과 중력을 상쇄하는 것입니다.

    • @shunchae
      @shunchae 4 ปีที่แล้ว

      러더로 역요 발생한 것을 상쇄시키는 것이구요, 방향 전환시 러더만 사용하면 양쪽 날개에 속도차가 발생해서 어차피 비행기가 기울게 됩니다

  • @dgan-sk9kg
    @dgan-sk9kg 3 ปีที่แล้ว

    엔진의 원리 간단하게 설명함
    공기 흡입 -> 압축 (압축한 공기=bleed air)
    -> 압축한 공기를 연료 같이 연소 시킴--> 고온 고압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
    근데 문제점 터보 팬 엔진 에서 나온 jet (위쪽 과정을 통과한 공기) 는 추진력에 20%~30%만 차지만
    나머지 추진력 70%~80%는 by pass air 였나?
    암튼 이 공기가 차지 by pass air는 흡입구에서 흡입후 고대로 바로 배출 되는 공기
    이렇게 하는이유 쉽게 말해 연비가 좋다 즉 돈을 좀 덜 먹는다 그래서 터보팬엔진을 많이씀 아마 엔진 역추진 하는 방식 cas cade 에도 by pass air를 쓸거임 아마도
    (영상에서 나온 엔진의 원리가 jet 생산(?)원리임)
    (영상에서의 역추진 방식은 pivoting door 일 꺼임)

  • @user-oy5mt2wz7z
    @user-oy5mt2wz7z 4 ปีที่แล้ว

    이 영상의 일부를 골프 공 비행의 원리 설명에 이용해도 될가요?
    출처를 밝히겟읍니다
    상업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읍니다

  • @appi779
    @appi779 2 ปีที่แล้ว

    7:30 어.. 기장님?

  • @koreadronetravle1337
    @koreadronetravle1337 5 ปีที่แล้ว +5

    한때 항공정비 교관으로 근무할때가있었는데 시청각 교보재가 부족했었거든요 그때 이런 자료가 절실해서 비행시뮬레이션을 가지고 수업을 했던 기억이 나네요. (지금은 그때 수업에활용했던 전동 헬리콥터랑 드론을가지고 취미활동을 하고있지만요.) 잘보고갑니다.구독과 좋아요 꾹 눌렀어요!

  • @user-ux5vc9ob5q
    @user-ux5vc9ob5q 4 ปีที่แล้ว

    잠수함 원리도 해주시나여 ㅎ

    • @moontube7322
      @moontube7322 4 ปีที่แล้ว

      잠수함은 물을 채우고 빼서 잠수하는 원리였는데 요즘 잠수함은 다르다는게 기억이 안나네요

  • @user-zt9ji5ur2k
    @user-zt9ji5ur2k 3 ปีที่แล้ว

    조종사의 이번달 보너스에 달렸습니다.

  • @dylon5817
    @dylon5817 4 ปีที่แล้ว

    방향타가 역요를 막기위해서 어떻게 하나요?

  • @user-yo1pm6ql7h
    @user-yo1pm6ql7h 2 ปีที่แล้ว

    항공기에 관한 이론을 공부하는것이 즐겁다 상업 조종사까지 도전을 할지는 모르겠지만...

  • @zxcasd694
    @zxcasd694 4 ปีที่แล้ว +2

    신기한데 어렵겠다 조종하기..

  • @SJ-K
    @SJ-K 5 ปีที่แล้ว +10

    옆날개 뒤쪽을 아래로 내리면 뒷날개 원리처럼 아래로 내려갈줄 알았는데, 기압차에 의해서 양력이 생겨 상승한다니... 신기하네요.

    • @Aviation_Mania
      @Aviation_Mania 5 ปีที่แล้ว +1

      플랩???

    • @user-ot3hj2xo9b
      @user-ot3hj2xo9b 5 ปีที่แล้ว +1

      생각하시는것과 조금 다른것같아서 말씀드릴게요! 간단히 생각하시면 되요! 나무젓가락이 비행기의 몸체라고 생각하시고 두 손가락으로 옆날개와 꼬리날개를 만들어보세요. 여기서 포인트는 꼬리날개쪽 손가락을 위로 힘주면 몸체가 아래로 향하고, 옆날개쪽의 손가락을 위로 힘주면 몸체가 위쪽을 향할거에요! 즉 뒷날개 원리와 같은 원리로 움직이되, 힘주는(양력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윰직이는 방향이 다른거에요.

    • @mochalatte8129
      @mochalatte8129 5 ปีที่แล้ว

      모형비행기에서 플랩만 작동했을때 기수가 내려가더군요

    • @JohnB-hm5nf
      @JohnB-hm5nf 2 ปีที่แล้ว

      날개모양이 양력을 만드는건 맞지만 그게 다가 아니고
      대다수의 양력은 날개의 기울어짐 (받임각) 에서 만들어지는 약력이 대다수임
      날개모양에 의해 생기는 양력만으론 날수 없음
      즉 날개모양을 아무리 멋지게 만들어도
      날개가 기울어져서 생기는 상승력이 비행을 사는케하는 힘

    • @youdieee
      @youdiee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ohnB-hm5nf날개 모양에 의해 생기는 양력만으론 날도록 만들면 불안정해지고 조종성과 안정성이 나락을 가버리죠.

  • @Yomanghangeot
    @Yomanghangeot 4 ปีที่แล้ว

    이 자료가 유일하다. 비행기가 이륙하는 원리가 궁금했음. 그래서 찾아보면 맨날 양력 얘기밖에 없는데 내가 진짜 원했던건 어떻게 지상에 붙어있던게 하늘로 올라가냐 그 부분임. 승강타 얘기 나오는 영상이나 자료는 이게 거의 유일함.

  • @jsjsnnjssk9923
    @jsjsnnjssk9923 2 ปีที่แล้ว

    굿

  • @socalguy8428
    @socalguy8428 3 ปีที่แล้ว +3

    아무리 생각해도
    새가 나는건 이해가되도
    바행기가 날아가는건 이해하기 어려움.

  • @user-or8uu9dq8m
    @user-or8uu9dq8m 4 ปีที่แล้ว +2

    사실 실제로 타보시면 날개 펄럭펄럭해서 날아감 기러기마냥

  • @user-nq2wq1qj1p
    @user-nq2wq1qj1p 3 ปีที่แล้ว

    영상 시작하고 잠깐 졸았더니 비행기가 착륙하고있네 ;
    양력이 중력하면 난다고했었나요?

  • @sing-sing_686.
    @sing-sing_686. 4 ปีที่แล้ว

    번역은 오역이라 했습니다. 자연스러운 번역을 하실 수 있을거에요.

  • @user-ys7ks1wr8v
    @user-ys7ks1wr8v 4 ปีที่แล้ว +1

    기름통이 날개에 있다는게 제일 신기

  • @wannabe36
    @wannabe36 3 ปีที่แล้ว +1

    3:38 이륙

  • @biuesky1145
    @biuesky1145 4 ปีที่แล้ว +3

    날개가 엔진 무게를 버티는게 대단 하네요

  • @terioops
    @terioops 4 ปีที่แล้ว +5

    07:38 일반여객기의 하강은 영상에서처럼 기수를 아래로 향하면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 @user-zh9es9ny7t
      @user-zh9es9ny7t 4 ปีที่แล้ว

      저정도면 그냥 추락하는거죠 ㅋㅋ

  • @yjeong1392
    @yjeong1392 3 ปีที่แล้ว

    대형 여객기가 이륙할때. 추력은 오로지 제트엔진의 힘으로만 가속을 하는지요?
    아니면 바퀴에 별도의 구동력이 전달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 @anaheimelectronics9347
      @anaheimelectronics9347 3 ปีที่แล้ว +1

      제트엔진의 가속력만 작용합니다. 바퀴에는 브레이크만 달려있습니다

    • @user-wj5ch6on1c
      @user-wj5ch6on1c 3 ปีที่แล้ว

      엔진 하나가 12000kg의 힘을 내는것도있어요

  • @user-ps2rj6bh1g
    @user-ps2rj6bh1g 4 ปีที่แล้ว +1

    기어는 이륙하고 300피트 정도면 올립니다 이륙한 후 플랩 올리기 전 부터요 ㅎㅎ

  • @user-ef9dw6ik2t
    @user-ef9dw6ik2t 3 ปีที่แล้ว

    이 영상을 사용해도 되나요 학생인데 발표를 해야 해서요

  • @user-tm1ev3sk4y
    @user-tm1ev3sk4y 3 ปีที่แล้ว +2

    전투기 개발하고 있는 연구원입니다...
    사실 저도 입사하기 전까진 베르누이법칙인줄 알았네요

    • @user-ri73bdis88h7
      @user-ri73bdis88h7 ปีที่แล้ว

      이분 절대 연구원 아닙니다. 이분 지능수준으로는 절대 연구원 못함

    • @hbj927
      @hbj92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ri73bdis88h7 베르누이법칙때매 양력이 생기는건 틀린 설명임 교과서에도 그렇게 나와있지만 틀렸음.

  • @Idiopathic_Scar
    @Idiopathic_Scar 5 ปีที่แล้ว +17

    원래 비행기 타는거 무서워하는데 원리를 따지니 복잡해서 오히려 어느 한 상황이 충족되지 못하면 위험할거 같아 비행기 타는게 더 무서워지네...ㅠㅠ

    • @swaggolf9786
      @swaggolf9786 5 ปีที่แล้ว

      님 글보고나니 더 무서워짐 ㄷ ㄷ

    • @user-sn6dg5uf4m
      @user-sn6dg5uf4m 4 ปีที่แล้ว

      간이 배밬으로 나오면 암것도 아님

    • @pgi5124913
      @pgi5124913 4 ปีที่แล้ว

      비행기 사고확률이 자동차랑 비슷함 그만큼 안전해서 수백명씩 타고 다니는거에요 대부분 비행기 사고는 다 인재라서.. 그것만 좀 철저히 지켜서 운행한다면 괜찮아요 매번 사고나면 원인 분석해서 대응책 꾸리고 운항하고요 하지만 뭔가 비행기의 웅장함 같은 것과 하늘 높이 매달려 있다고 생각하면 여전히 무섭기는 하죠. 한 2년간 직장 때문에 제주도에서 일한적이있어서 비행기를 자주 탔는데 매번 이착륙할때마다 무섭기는 하더라구요 ㅋㅋㅋ 착륙할때 비행기 조금만 덜컹하면 심창 철렁하고 어휴...

    • @moontube7322
      @moontube7322 4 ปีที่แล้ว

      @@pgi5124913 자동차 사고율보다 현저히 낮습니다. 자동차 사고는 비행기 사고처럼 기계결함, 운전미숙, 천재지변도 있지만 다른차가 와서 받아버리잖아요

    • @Aviation_Mania
      @Aviation_Mania 4 ปีที่แล้ว

      항공기가 사고날 확률은 우리가 자주 타고다니는 자동차보다 엄청 낮고
      현제 이동수단중 가장 안전한 이동수단 입니다!

  • @user-gk9im7od5w
    @user-gk9im7od5w 4 ปีที่แล้ว

    양력에 대한 설명에 오류가 있네요. 양력의 발생 원리는 뉴턴 3법칙 작용 반작용에 의한 힘입니다. 양력이 발생함에 따라 내리흐름이 발생하는데 이는 유도항력을 나타내는 것 입니다. 양력은 내리흐름이 증가해야 양력이 발생하는 것이 아닌, 양력이 발생함에 따라 유도항력이 발생하고. 양력의 발생은 작용 반작용 즉 날개 아랫면의 공기흐름이 부딪치면 그 반작용으로 항공기가 올라가게 되는 힘입니다. ref-NASA's Lift theory . 여하튼. 그 외에 베르누이의 정이에 따른 유체의 흐름속도에 의한 압력으로 lift도 증가하는 것은 맞습니다 다만 추력이 더 발생함에 따라 유속의 흐름이 빨라져 더 증가하거나 항공기가 level flight 가 가능하지요. 그 외에도 매그너스효과 쿠타-츄코프스키의 양력이론(와류에 의한 운동에너지 법칙)을 이용합니다.
    날개면적증가는 내리흐름의 문제가 아니라 캠버증가로 인한 유속의 흐름을 증가시킴입니다..

    • @xxx-rq3zx
      @xxx-rq3zx 4 ปีที่แล้ว

      압력에 의한 설명과 뉴턴 3법칙에 의한 설명을 별개의 것이 아니라 같은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달리한 것입니다. 작용 반작용 일부 압력차 일부 두개 더하면 양력 전체 이게 아닙니다. 아주 큰 착각을 하고 있는 것 같네요. 그리고 아랫면에서 공기흐름이 부딪혀서 양력이 발생하는 게 아니라고 NASA에서 잘 소개하고 있으니 동시통과이론이 틀렸다는 것만 찾아보지 말고 그것도 같이 보도록 하세요. 유도항력은 3차원에서 양력에 의해서 발생하는 항력입니다. 여기서 downwash라는 게 날개 주변을 지나면서 흐름이 아래로 꺾인 주변 유동과 같은 게 아닙니다. 혼동하지 마세요. 유도항력에서 말하는 downwash는 wingtip vortex에 의한 것을 말하는 겁니다.

  • @user-zm4hx4pz4p
    @user-zm4hx4pz4p 2 ปีที่แล้ว

    비행기 기술력이 신기함

  • @hwan2909
    @hwan2909 3 ปีที่แล้ว

    비행기 상승에 대한 부분이 잘못되었네요. 비행기는 가속하며 양력이 커져 상승하는게 아닙니다. 오히려 pitch는 들고 파워를 올리지 않는다면 양력은 감소합니다.
    파워를 유지한채로 상승하는 비행기를 예를들어보죠.
    피치를 들게되면 우선은 비행기 진행방향이 지면과 나란하지 않게 바뀝니다.
    이때 받음각증가로 인해 양력이 증가하고 지면과 수직이던 양력성분이 뒤쪽으로 기울게됩니다.
    그러나 이때 비행기의 중력방향은 그대로이기 때문에 중력성분을 비행기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 수평 성분으로 분해하여 생각해주어야합니다.
    이때 진행방향에 수직인 중력 성분이 증가된 양력보다 작기때문에 일시적으로 비행기는 양력에 영향을 받습니다.
    그러나 진행방향에 수평인 중력성분은 항력이 되어 비행기의 속도를 느리게 합니다.
    결국 속도 감소에 따라 양력과 항력이 감소하는데 이는 힘의 평형이 만들어질때까지 감소하여 결국 추력=항력, 양력=진행방향의 수직인 중력요소 가되어 결과적으로 양력이 감소하게됩니다.
    이렇게 비행기가 힘의평형을 이루며 상승할 때 stabilized climb이라고 합니다.
    즉, 비행기는 가속으로 인한 양력의 증가가 아니라 진행방향이 바뀜으로써 추력에 의해 상승하는것이죠.

  • @user-nd6hs6zp5w
    @user-nd6hs6zp5w 4 ปีที่แล้ว +2

    비행기는 착륙 아닌가요?
    상륙은 육지보다 낮은 바다에서 육지에 오를 때 쓰는 말입니다.

    • @user-gn2zv1yz1l
      @user-gn2zv1yz1l 4 ปีที่แล้ว

      영어 단어인 landing이 착륙과 상륙 둘다 의미하기에 번역오류로 보입니다.

  • @user-wc2dh9qv6p
    @user-wc2dh9qv6p 2 ปีที่แล้ว

    스포일러 하중 더 싫어 비행기
    정지 에 많은 도움
    사진의 보잉사 비행기 엔진은 최초
    소음 을 줄여주는 세브론 엔진
    직접 들어보면 엔진 소리 조용 합니다

  • @moonsuhyun
    @moonsuhyun 5 ปีที่แล้ว +18

    대본 영어로 적었다가 한국어로 번역했어요?

    • @user-yk5ph8jt8u
      @user-yk5ph8jt8u 5 ปีที่แล้ว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tubeyou9549
      @tubeyou9549 4 ปีที่แล้ว +1

      진짜 직영한 티가 너무 많이 나요..

    • @user-th3ox5vg6w
      @user-th3ox5vg6w 3 ปีที่แล้ว

      원래 영어로 된 영상임
      그걸 한국어로 번역해서 만든게 이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