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에도 그림/3D를 해야하는 이유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9 เม.ย. 2024
  • AI 기술을 사용해보기 전에 고민해야할 문제에 대해 다뤄봅니다. 동시에 AI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 방법입니다.
    영상을 보는 여러분의 생각도 정리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배경음악 :
    Lena Raine - 'One More Day'(Minecraft)
    Aaron Cherof - 'Echo in the Wind'(Minecraft)
    Lena Raine - 'Left to Bloom'(Minecraft)
    C418 - 'Mice on Venus'(Minecraft)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96

  • @jaeylo
    @jaeylo  23 วันที่ผ่านมา +1

    이 영상의 내용이, 헛된 희망을 주는 것 뿐인가에 대한 영상을 만들기로 했습니다(몇달 뒤에 나올 예정ㅎㅎ)

  • @qlwmf1902
    @qlwmf190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현직 디자이너로써 가장 우려되는건 수요의 파이가 적어진다는 겁니다.
    현 시점 ai의 활용은 참고정도만 하고, 모든 프로세스를 전체적으로 활용하는건 무리가 있는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계속 발전될수록 관련 수요는 적어질 것이고, 말씀하신것처럼 본인의 아이덴티티가 확고히 있지 않은 이상 대부분 사라질 겁니다.
    물론, 시간이 지나도 디자이너들이 갈 방향은 얼마든지 있을겁니다. 하지만, 안주하는 생각으로 나아가면 큰일난다는거죠...
    모두들 화이팅합시다.

  • @user-cr7pl5ti6o
    @user-cr7pl5ti6o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생각이 많아지는 요즘인데 생각이 정리가 되네요

  • @nmnnmn5819
    @nmnnmn581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요즘 sora등 ai 영상 기술이 많이 나와서 아직 학생인 저한텐 앞으로의 먹고 사는 문제와 자아 실현을 어떻게 이룰지 등 진로 고민이 깊어져 가고 있었는데 어느정도 정리를 해 주신거같아 정말 감사합니다 공감되는 말도 너무 많았네요
    감사합니다

  • @dkcgch
    @dkcgch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너무 마음에 와 닿는 내용입니다.

  • @user-es3ry8mm2m
    @user-es3ry8mm2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ㅜㅜ공감합니다! 창작자들 모두 화이팅입니다!

  • @STUDIOKLESIS
    @STUDIOKLESI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정말 핵심을 찌르는 말씀입니다ㅜ

  • @user-nk2lx2iq2h
    @user-nk2lx2iq2h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예술성에 대해선 동감 하지만
    대중 상업 예술에선 고정 비용 줄이기로 홍보용 아티스트 빼고는 대체될 거 같아요

  • @user-pj8zu7kt4s
    @user-pj8zu7kt4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AI시대에 3D를 하는 이유를 예를 들어가며 잘 설명했네요.
    많은 도움이 되네요.

  • @huejqqasdf
    @huejqqasdf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전 아직은 프롬프트를 계속 적어가며 원하는 결과물을 뽑아내는게 피로하게 느껴집니다 마치 풀숲에 숨어서 언제 지나갈지 모르는 사슴을 찍기위해 죽도록 기다리는것 같아 성격에 안맞아요 그냥 제 머리속에 있는거 만드는게 즐거움면에서나 효율성면에서나 좋아요 아직까지는요ㅋㅋ 하지만 언젠가 이것도 변할것같다는 예감은 듭니다 엄청 빠르게 변해가서 결국 저도 제 워크 플로우에 넣어야할지도 모른다는것은 열린마음으로 눈여겨보고있네요

  • @laurenkylian9974
    @laurenkylian997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린 나이에 이렇게 깊은 고찰을 할 수 있다는게 참 대단하네요.
    잘봤습니다.

  • @ShaKillar
    @ShaKilla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Ai의 등장으로 인간은 잠깐의(5~10년정도)시간 동안 경쟁에서 도태되고 설자리 많이 잃을겁니다.
    다만 아이러니하게도 Ai의 발전은 오히려 인간이 자신의 고유성을 더 추구하게 만들어 진정한 인간의 시대로 접어들거 같습니다.
    사회전반적인 시스템들은 인공지능으로 100자율화 될것이며, 인간은 본인의 창의성과 고유성에 오로지 집중할 수 있는 시대가 될거 같아요
    저도 채널장님과 마찬가지로 3d, 혹은 예술분야에 있어서 자신의 세계를 스스로 표현 할 수 있게끔 기본에 충실하는건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 @user-sn3wk7ig5e
    @user-sn3wk7ig5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말 많이 배우고 갑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bung22art
    @bung22art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 @paketome0306
    @paketome030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네요

  • @jaeylo
    @jaeylo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돌이켜 보니 제가 영상에서 설명드렸던 (기술적이지 않은)것은 지금까지 어떤 시대에서든 예술에서 중요했고 앞으로도 유효할 내용이었던 것 같습니다. 다만 AI의 등장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됐을 뿐이고요.
    Soul에 대해 추가적으로 말하자면 추상적인 개념이라서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구분 못하겠지만 적어도 좋은 작품에서는, 또는 만들고 싶다면 그게 필요할거라는겁니다. 당연히 인간성만을 믿고 다른 것은 배제하면 안되겠죠.
    또한 이것은 예술에서 지향해야할 방향이기도 하지만, AI를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알아두어야 할 점이기도 하니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 @rxee
      @rxe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I는 크게 발전하여 산업 전반과 판촉 등에 골고루 사용되고, 반면 사람이 행하는 창작의 영역에서는 산업성이 배제되고 궁극적으로는 대동사회가 도래할 것 입니다. 공장에서 찍어내듯 결과물이 만들어져 사용되더라도 인간 본연의 순수한 창작 욕구는 결코 사라질 수 없다는 것.

  • @user-gr1zp6zk5w
    @user-gr1zp6zk5w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 @aigoiaoidoi2215
    @aigoiaoidoi221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채용 면접에서 AI 생성물을 뽑아주면 아에 그림체를 바꿔서 AI 느낌을 빼줄수 있으신가요? 라는 이야기를 하더라구요.

    • @PETBOY
      @PETBO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양산 그림은.피해라 그거죠

    • @user-ou1ep4zn1v
      @user-ou1ep4zn1v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그것도 ai로 가능함

    • @aigoiaoidoi2215
      @aigoiaoidoi221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AI 오픈소스를 받은 다음에 자기 작품을 넣어서 학습시키면 될듯 싶긴 합니다. 이렇게 하면 나중에 저작권 관련해서도 안전하고 다달이 비용을 지불할것도 없으니.

    • @aigoiaoidoi2215
      @aigoiaoidoi221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I 작업물은 그대로 쓸수는 없죠. 일단 실무에서 AI 작업물이라고 뽑아온거가 제대로 되어있는 경우는 거의 못봤어요. 코딩이든 아트든 간에요.

    • @philomayer1740
      @philomayer174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스스로 학습 시킬려면 최소 수천건은 있어야 합니다.. 물론 퀄리티는 시중것 보다 훨 낮을 거구요. 다른 그림 사용 안하고는 본인이 만든 그림만으로는 안될겁니다.

  • @zbfpt72
    @zbfpt7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좋은 말씀입니다.

  • @user-gi2zj1gw5c
    @user-gi2zj1gw5c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런 관점이면 앞으로는 과정을 기록하는게 매우 중요하겠군요.

  • @strokefrost7516
    @strokefrost751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참 어려운 내용들이네요. 함축하자면 개성을 고급지게 잘 표현해야한다는건데... 매우 흥미롭군요

  • @postpaik
    @postpaik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철학하는 예술가

  • @MH8D
    @MH8D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마지막 멘트가 AI 사용에 대해 완벽히 정리하는 말인 것 같네요. 잘 활용할 줄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AI는 똑똑하고 할 줄 아는게 많지만 스스로 할 수 있는 존재는 아직까지는 아니죠. 인간의 지시와 개입이 필요하고 AI에게 훌륭한 결과물을 생성하게 하기 위해서는 지시하는 인간들이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이야기 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인간이 지시하는 일에 대해 잘 알아야 하죠. 잘 알기 위해서는 잴로님이 말한 것과 같이 스스로 많이 해보고 배우고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AI를 통해서 배우고 새로운 인사이트로 얻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비생산적으로 반복하는 일들을 대신하게 할 수 있어 그 시간에 다른 것을 배우고 기획하는 것에 전념할 수 있겠죠. 이처럼 AI를 잘 활용할 줄 아는 사람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네요. 좋은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애니메이션 제작 노하우 영상들도 감사히 잘 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멋진 작품 기대할게요.

  • @KeanusReal
    @KeanusRea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재밌는 고찰이네요. 한번쯤 생각은 해봐야할 것들이고, 진지하게 고민하기엔 미루고싶은 주제였는데,
    이렇게 정리해 토론장느낌같이 얘기해주니 재밌네요. Ai에 의존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인간 스스로의 능력은 퇴하할꺼라는 생각도 듭니다. 그럼 ai에 준하는 실력을 가진사람또한 귀해지는게 아닐까 싶기도해요. 하 어렵다.

  • @Some6909
    @Some690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응원합니다.

  • @vid-ster
    @vid-ste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생각의 정리와 또한 위로가 됩니다.

  • @DrumTimes_
    @DrumTimes_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동의합니다.

  • @5GyouJ
    @5GyouJ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가 ai나 블렌더 둘중하나를 입문 하고 싶어서 찾아보고 있었는데 잴로님 콜로소 영상을 보고 더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제가 그림을 그렸던것도 아니고 이런 분야에 처음 도전하는거다보니 선뜻하기가 무섭네요. 노력만으로도 가능할까요?

  • @rjqnrdl1234
    @rjqnrdl123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내가 머릿속에서 상상하는것을 100%가깝게 구현해준다면 좋을텐데 그렇게까지 못해주니 사실 참고용으로만 쓰지 않을까 싶네요.

  • @strokefrost7516
    @strokefrost751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상을 끝까지 보니 참 여운을 남기네요.

  • @langja8624
    @langja862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머신러닝,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등 다양한 분야의 AI를 공부하고 실무에 적용해보고 있는 입장에서, 아직까지 AI를 상업적으로 이용하기엔 많은 무리가 있다는걸 느낄 수 있습니다.
    결국 일을 할 떄에는 회사에서 원하는 구도, 컨셉, 색채, 화풍 등이 있고 클라이언트들 역시 마찬가지인데, 현재 수준의 AI로서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게 거의 불가능합니다.
    물론 단순히 취미의 영역에서 생성형AI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현 수준의 AI조차 혁명적이고 혁신적으로 보일겁니다.
    다만 이걸 준 전문가 이상 수준까지만 끌고오면, 생각보다 써먹을데가 없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죠.
    이유는 명확합니다. AI는 정밀한 작업이 안되기 때문입니. AI의 생성원리는 쉽게 말하면 '입력한 값에 대한 수 많은 확률 중 가장 적합하다 생각되는 값들을 조합해 출력'이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확률에 맡겨야 한다는 크나큰 단점이 있습니다. 물론 확률자체가 예전과는 비견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지고 정밀해지긴 했지만, 그렇다고해서 실제로 출력자가
    원하는 구도나 색채, 그림체, 뭐 음악 생성AI라고 치면 장르나 리듬 이런 것들이 출력자의 의도대로 명확히 도출될 가능성은 여전히 0%에 수렴하니까요.
    다만, 현 수준의 AI라도 '개략적인 틀'을 잡아주거나, '업무 간소화'를 시켜주는 것은 확실합니다.
    쉽게 말하면, 제로베이스에서 시나리오의 틀을 잡아주거나 컨셉과 구도 등을 먼저 잡아주는 기능만은 탁월하죠.
    내가 나만의 캐릭터를 만들고 싶을 때, 어떤 이야기를 쓰고 싶을 때, 어떤 곡을 작곡하고 싶을 때, 특정 컨셉의 영상을 제작하고 싶을 때
    대부분의 창작자들은 제로베이스에서 '첫 단추'를 매는 것을 굉장히 힘들어 합니다. 저도 마찬가지구요.
    이럴 때 AI에게 내가 대충 구상한 컨셉들과 관련된 단어들을 집어넣으면, 이 '첫 단추'를 아주 수월하게 잠글 수 있게 도와줍니다.
    때로는 정말 참신하고 상상도 못한 구도나 아이디어들이 튀어나오기도 하죠.
    그 때부터 내 전문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AI가 세워놓은 조각상을 정교하게 다듬어주는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AI가 각 분야 전문가들의 업무를 완전히 대체하는것은 현 시점에선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AI를 활용할 줄 아는 전문가와 그렇지 않은 전문가의 업무효율 차이는 하늘과 땅 수준으로 날 것 이라고도 생각합니다.
    현재도 그렇습니다. 작곡쪽만 봐도 AI를 활용한 작곡가와 그렇지 않은 작곡가의 창작능력, 생성능력에선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줍니다.
    흔히들 'AI는 창작을 하는게 아니다', '여전히 창작은 인간의 영역이다'라고 말하는 걸 볼 수 있는데, 전 틀린 소리라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이 세상에 '창작'이라는 것은 없습니다. 모든것이 모방이죠. 최초의 창작이라고 불리는 것들도 엄연히 따지고 들어가 보면 '자연의 모방'입니다.
    '창작'이라는건 오로지 이 세계를 구축한 어떠한 존재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그 존재에게나 해당되는 이야기겠죠.
    그러면에서 AI는 인류가 그간 쌓아온 엄청난 양의 '모방과 응용'데이터들을 학습한 녀석입니다.
    전 솔직히 창작이란 말을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쓰는 창작이라는 단어를 굳이 사용해보자면
    AI나 인간이나 둘 다 '창작'을 합니다.
    다만 둘의 창작 방식이 다를 뿐입니다.
    AI는 방대한 모방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적합한 결과물을 뽑아내는 '창작'을
    인간은 방대한 모방데이터를 습득하진 못했지만, 구상 및 상상한 것을 의도대로 매우 정교하게 구상해내는 '창작'을 할 수 있죠.
    즉, 둘 다 창작을 하고 있고 단지 그 영역이 다를 뿐입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두 명의 '창작'이 서로 상호보완적이라는 겁니다.
    인간은 AI가 부족한 점을 채워줄 수 있고, 반대로 AI는 인간이 부족한 점을 채워줄 수 있죠.
    인간에겐 구상 및 상상이 힘들지만 그것을 의도대로 정교하게 구상해내거나 변형시키는게 쉽고
    반대로 AI에겐 결과물을 의도대로 정교하게 구상해내거나 변형시키는건 어렵지만, 구상 및 상상이 너무나도 쉽습니다.
    그래서 콘티를 짜거나 시나리오를 짤 때, AI에게 이를 부탁하면 정말 상상도 못한 참신한 결과물들을 가져와서 저를 만족시키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때로는 인간이 생각치도 못한 전혀 새로운 부분을 도출해내기도 하죠.
    그렇기에 미래에 살아남기 위해선 AI를 공부하는 것이 무조건 이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RemoveWholeChinese
      @RemoveWholeChines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딥러닝은 아직도 연구 중인 분야입니다. 애니메이션은 첨단 과학 기술이 필요하다기보다 수동적으로 만들어도 높은 퀄리티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거 같습니다.

    • @Zealot2049
      @Zealot204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결국 그 Ai를 배우는게 지금 해야할 일이 아니라, 그 Ai를 더 잘 활용하기 위한 실력을 먼저 쌓는게 중요한 것 같네요.
      예전 입시 미술학원에서 미술교사 임용? 준비하는 중년의 정물화 학원 선생님이 계셨는데, 당시 학생들과 함께 '사고의 전환' 을 배우셨던걸 기억합니다.
      비록 정물화 선생님이시고 사고의 전환은 해본 경험이 없으신 분이셨지만, 기본기가 좋으신 분이니 그림의 퀄리티가 금방금방 좋아지더라구요.
      당연히 나중엔 몇년동안 배운 학생보다 퀄리티가 훨씬 좋은 그림이 나오셨구요.
      이와 마찬가지가 아닐까 합니다. 숙련된 프로는 그림의 유행이나 유형, 플랫폼이 좀 바뀌어도
      적응기간만 거친다면 본래의 실력이 금방 드러나더군요.
      기본기를 갈고 닦아라, 잔재주에 신경쓰지 마라... 역시 진리는 단순한 법입니다.

    • @dot7999
      @dot7999 26 วันที่ผ่านมา

      이악물고 ai는 전문가 수준이아니기 때문에 내 밥줄은 안끊겨!! 라고 정신승리하시는데, 이미 님이 생각하는 구도보다 훨씬 잘 짜주는게 ai고 5년안으로 일부 ai 잘 활용하는 디자이너빼고 모든 디자이너 다 짤릴겁니다 ㅋㅋ

  • @pongdangjong7782
    @pongdangjong778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가장 현실적이고 통찰력있게 중도적인 관점으로 잘 정리하신 내용인거 같습니다. ai를 통한 어시스턴트로선 매우 훌륭하지만 보조툴개념에서 크게 벗어나진 않을것입니다. 아직 우리가 말하는 agi 수준은 2030년이후에 현재의 디퓨전과 트랜스포머 계열이 아닌 새로운 적층구조여야 하는데 애초에 엔비디아 gpu 가 agi를 목표하고 만들어진 아키텍처도 아니고 agi를 위한 적절한 ai모델에 대해선 학계에서도 논란이 많습니다.

  • @RIM-lt6vr
    @RIM-lt6v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영상이 너무 좋아요~! 미대 작년에 졸업한 사람입니다
    저는 지방 애니과(를 나왔는데 애니는 안하고 게임 일러스트, 라투디 쪽으로 빠졌습니다)
    너무 공감되는 말도 많고 저도 배워야하는 부분도 정말 많은 영상이였습니다.
    저는 이 영상을 보고 느낀점은
    ai일러스트는 누군가 정해준 질서가 없어서
    사람들이 더 혼란스러워 하는거 같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특정 작가의 그림을 학습시 1장당 만원이라도 벌 수있었다면,
    특정 작가의 그림을 학습해서 만들었다고 출저라도 남겼으면
    이렇게 까지 파국으로 치닫는 일은 없었을거 같습니다.
    저도 처음에 ai를 정말 싫어했지만
    빛 효과, 색감을 공부하기 위해 ai 일러를 모작하거나, 참고하는 일이 생기기도 합니다.
    ai로 커미션 열어서 돈 버는 사람들은 금방 없어지고
    ai를 적절히 활용을 잘 하는 사람이 위너가 되는 세상이 곧 온다고 생각합니다.

  • @user-kv8ho9zp7w
    @user-kv8ho9zp7w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맞는말이지만 감각+기본기가 좋은 아티스트가 ai로 생성하고 고르고 하는게
    훌륭한 ai관리자랑 똑같은거 아닐까요?
    뭐 표현의 차이일뿐 결국 ai 엔지니어 소수만 살아남을거라는건 다르지않고 결국 소수의 아티스트 빼고 죽을거라는건 다름이 없으요 브랜딩같은것도 지금의 ai를 생각하면 곤란... ai가 1년 발전한다고 1년10년이라는 애초에 인간의 영역이라고 생각하는거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물론 어쩔~ 다죽자~ 때려쳐~~ 이런건 아니지만 결국 부정적인건 변함이 없다는...

  • @user-by2gt7ft3p
    @user-by2gt7ft3p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모델링 실력이 상당하신데 현업으로 하고계신건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단순히 취미이신건지도 궁금합니다

  • @user-nl6zj2xj6t
    @user-nl6zj2xj6t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정말 마음에 와닿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do3sj2wx2k
    @user-do3sj2wx2k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맞아요. 그래서 디자인 분야가 아니라 순수미술로 들어갔습니다. 내 것을 얼마든지 베낄 수 있는 시장이라...

  • @RemoveWholeChinese
    @RemoveWholeChines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그래픽에 AI나 4D기술을 도입하는 컴퓨터 그래픽스는 아직 연구 중입니다. 몇 십년이 걸릴 만한 연구에요. 아직은 3D 컴퓨터 그래픽스를 적용해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NVIDIA처럼 애니메이션에 머신러닝 기술을 적용하는 게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분야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 @Zealot2049
    @Zealot204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저는 게임원화를 하고있음 저의 짧은 생각을 적어보자면,
    일단 Ai가 시장을 점령한다 해도 Ai의 작업물이 프로젝트 방향성과 맞는 컨셉/디자인인지 판단하는건 결국 사람임
    쉽게 비유하면 트위터식 아마추어 커미션들~세미프로들이 힘들어진다는거.. 왜냐하면 나중엔 순수 퀄리티에 있어서는 사람을 아득히 능가하기 때문임
    그래서 미래에는 단순히 그림만 잘 그리는 '기술자'가 아니라 프로젝트의 방향성에 맞는 컨셉 디자인을 할 수 있는 '창작자'는 살아남을거임
    비유하자면 Ai에게 한식을 만들라고 지시하면 김치찌개, 된장찌개 개별개체는 기가 막히게 잘 만들지만,
    '외국인 정상급 귀빈들의 입맛에 맞는 한식' 이라는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Ai는 이 일관성을 잘 지키지 못함
    수백번의 음식을 만들어야 이 외국인 입맛에 맞는 음식이 한두개 나온다는거임 차라리 사람이 만드는거 훨씬 빠르고 정확함
    만약 한두번의 시안 과정만에 클라이언트와 소비자가 만족할만한 퀄리티의 작품을 만들어 낼 때가 온다면, 그 땐 이미 아트직군 뿐만 아니라
    블루칼라를 제외한 태반의 직군이 대부분 박살난 세상일 것임

  • @mapx2100
    @mapx210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예술작품이 예술가로부터 다른 사람에게 전달되는 매개로써 기능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면, 인간 예술가는 AI 예술가를 뛰어 넘을 수 없습니다.
    반면, 예술작품의 서사가 매개에 포함되어 전달된다면 말씀하신대로 인간성이나 열정, 작가의 성장과정 등이 작품의 외부요인으로 감상자에게 전달되어 큰 감동을 줄 수도 있겠죠.
    하지만, 제 생각에는 AI 예술가가 이 모든 것을 흉내내어 작품의 외부요인으로 포장할 수 있다면 감상자는 그 무엇으로 AI 예술가를 배척해야겠다는 판단을 할 수 있을까요?
    인간들은 조금 더 생각해봐야 합니다.

  • @dhakshdu
    @dhakshdu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신입이 2명이고, 둘다 ai를 다루고 임금도 동일하면 당연히 더 잘하는 사람 쓰죠.

  • @user-cl4yh3uz7j
    @user-cl4yh3uz7j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사람의 끝은 모두 같기에 더더욱 살아가는 삶에 있어 다른 이들과 나의 차별화를 이끌어 내는 방법은 그 끝에 달하기까지의 과정일 터입니다
    자신이 추구하는 길 위에서 헤매이기도 해 보고, 옳은 가치를 좇고 있는 것인지 고민해보기도 해 본 이들이 급변하는 물살과도 같은 세상에서 길을 잃지 않을 수 있겠죠
    AI 기술이라는 세간의 논쟁거리 또한 하나의 파랑입니다 이것이 큰 파랑이었을지 엷은 물결이었을지는 지나가 보아야 알 수 있겠지만, 이런 시기일수록 자기 자신의 가치관을 굳혀 나가고, 해야 할 일을 직시하기에 좋은 때라고 생각됩니다
    좋은 고민과, 생각에 대한 영상 감사합니다
    스스로가 추구하는 예술에, 즐거움에 닿을 수 있으시길 기원합니다

    • @badori6168
      @badori616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 @snghwan513
      @snghwan51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말 공감합니다.

  • @user-fx9fd8wk3y
    @user-fx9fd8wk3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언어나 이미지는 인간이 정보전달과 소통을 하기위해 사용하는 표현의 도구 중 하나로 우리가 타인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모든 정보들은 현 시대와 상황의 맥락을 담고있습니다. 이건 역사의 흐름에 따라 예술의 경향성과 언어사용의 방식이 달라진다는 의미입니다. AI가 훗날 스스로 발전한다고 해도 소비의 주체인 인간의 변화속도를 쫒을 수 있을까요? 당사자인 인간이 아닌이상 정확히 파악할 수는 없다고 봅니다.
    창작을 하지 않는 일반인들은 예술가와 다른 시각으로 결과물을 바라보기 때문에 예술은 아름다우면 된다. 그러니 대체된게 아니냐 하고 여기기 마련이지만 '시각적인걸 아름답게 디자인하던 사람들이 어떻게 기계와 경쟁해 살아남을 것인가?' 라는건 마치 수학자들에게 계산기를 사용하라는 말을 하고 예술이 모방을 통해 만들어지니 과정은 의미없다는 식으로 여기는 것과 같습니다.
    본인들은 남들이 그 분야에서 더 나은 가치를 얻을 수 있었던 동기와 이유에 공감도 하지 못하고 전혀 모르니까요.
    어찌보면 현재까지의 사회가 보이는 기술적 결과에 집중한 나머지 결과를 제작하기 위해 꾸준히 쌓이는 인간 마음 속의 더 본질적인 가치인 계획적이고 설계적인 사고방식과 개인철학의 존재는 별 중요하지도 않게 취급하는 인격적으로 부족한 세상이었다는 증거가 아닐까 싶습니다... 본인의 적성을 알지도 못하는데 유튜브의 동기부여 영상을 보고 좋은 대학을 가고싶다는 사람들이 넘쳐나고, 남이 한다고 따라해야하는 결과주의 풍조가 만연한 것은 좋고 나쁨을 언제나 결과에 맞추기 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 인간 삶의 가치라는건 인류 역사 등장이래로 수없이 바뀌던 것인데도요.
    모든 학문과 분야가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생존만을 목표로 수요에 따라 생겨나고 사라졌다면 사실 쓰지도 않을 수학을 학교에서 공부하고, 순수미술이나 철학과가 대학 곳곳에 존재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는 없겠죠. 인간이 도구를 더 고차원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학습하고 사고를 확장하기위해 반드시 기계와 다른 일정한 훈련의 과정과 절차가 필요하기에 학교에서도 되도록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못하게 막는거라 봅니다.
    때문에 영상에서도 말씀해주신 것 처럼 저도 예술가는 자신의 감정과 개성에 집중하면 충분히 살아남을 수 있을거라 생각해요. 그리고 나의 행복과 AI를 잘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는건 가치있는 일입니다. 남이 알아주지 않는다고 해도 세상은 언제나 단념하는 사람보다 나은 방향을 찾으려 고민하는 사람의 편을 들어줘요. 진정한 도태는 기술을 따라잡지 못해 뒤쳐지는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 배우고 아는 지식을 최대한 이용해 자신의 삶을 가치있고 풍요롭게 만드는 법을 모르며, 보기에만 좋고 실질적으로는 위험부담이 큰 도박성 분야에 귀가 팔랑여서 돈쓰고 투자하는 사람들에게 있습니다. 투자'만' 하는 사람이 자신만의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을 리가 없죠. 그건 투기꾼이 사람 현혹하는거에 불과합니다. 투기꾼이 아니라 스스로의 철학이 튼튼한 예술가가 되기 위해 함께 노력합시다.

  • @shinyoungsoon
    @shinyoungsoo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애니메이션을 해왔던 사람으로써 애니는 좋아서 하는게 맞고, 애니는 그저 즐기는 것도 맞지만 항상 현상을 이해하고 , 구성하고, 법칙을 정확하게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개인적으로 몰라서 될 건 아니라고 생각하기에 공부한다는 것의 중요성이 사라지는 건 아니라는 입장에 동의합니다. 단지.. 그렇게 치열히 해보고 느낀 건 이걸 알아주기 위해 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도 모르는 것이 진짜 자연스럽고 좋은 액팅이고, 좋은 연출이라 생각하고 일하니까 정말 극소수만이 좋아하는 연기를 하게 된 것이, 과연 이게 맞나? 는 생각도 하게 되더라구요. 노력이란 졸은 것이지만 적당한 타협, 그리고 어느정도의 개성은 필요한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asdd2a
    @asdd2a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현직 게임 개발자인데 AI로 뭔가 콘텐츠를 잘 만들기 아직은 부족합니다. 뭐 스킬 아이콘 정도가 최선?, 페르소나 같은 rpg 만드는데 AI로 만든 캐릭터 쓸거임? 아니잔아
    기획을 다 해놓고 거기에 맞춰서 만들어야하는데

    • @senggyu
      @senggyu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ai는 솔직히 어씨나 아이디어 정도 줄정도이지 컨텐츠 낼려면 아직 몇년더 필요해보입니다.

    • @user-gr5wz1ku9e
      @user-gr5wz1ku9e 19 วันที่ผ่านมา

      글쎄요 이미 해외 게임머기업들은 ai회사나 관련 기술들 인수하고있더라구요 대표적으로 소니나 닌텐도. 앞으로 어떻게될지는 조만간 판가름날거같아요.

    • @senggyu
      @senggyu 19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gr5wz1ku9e 한 2-3년내로 뭔가 사고 크게 칠것같습니다

  • @mt3devtty
    @mt3devtt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확실한건 지금 진로를 결정해야 하는 학생들은 절대로 이 길을 선택하면 안된다는 겁니다. 이미 이 진로로 깊숙히 들어가서 공부를 했거나 일을 하고 있는 사람들은 영상 내용처럼 ai를 접목시켜서 활용하는 식으로 자신의 경쟁력을 키워야합니다. 하지만 그것마저도 너무 작아진 파이때문에 쉽지 않을겁니다. 깊숙히 들어가지 않았다면 반드시 탈출하세요. 벌써부터 인간은 ai와 사람이 만든것을 구분하지 못하는 단계에 들어섰으며 영상에서 나오는 soul 이런것도 다 허울뿐입니다.
    아예 수요가 없는건 아니겠죠. 하지만 그 수요는 공장에서 나오는 신발 대비, 사람이 직접 만드는 수제화의 비율 만큼이나 혹은 훨씬 적을 것입니다.

    • @user-kt2lq4et4y
      @user-kt2lq4et4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싫음 할꺼임

    • @denebkim6828
      @denebkim682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i로 아트직군이 축소된다면 대화형 ai 때문에 결국은 아트 외 직종도 대체될텐데 ai 때문에 포기하라는건 아직 너무 이른 판단 같아요. ai는 분명 잠재력이 있지만 이런 과도기적인 과정에서 ai가 어떤 법률적 제재를 받을지, 최종적으로 ai 생성물에 대한 어떤 대중적 인식이 형성될지는 아무도 모르니 아직 함부로 할 수 있는 말은 아닌 것 같네요

    • @Zealot2049
      @Zealot2049 26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런 세상이 온다면 이미 블루칼라를 제외한 태반의 일자리도 초토화 된 후 아닐까요

  • @GoldGiver
    @GoldGive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프롬프트로 복붙한다고 차별화가 되진 않죠. ( 물론 같은 프롬프트도 어떤 모델이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직접 해보시면 알겠지만 내 머릿속에 있는 이미지에 맞게 퀄리티있는 결과물을 출력하는건 결코 쉬운 작업이 아닙니다. 모델 붕괴현상 역시 반드시 일어나는 건 아니고 AI 결과물 병합으로 더 좋게 개선될 수도 있습니다.) 추가로 많이들 착각하시는게 AI 는 결국 그냥 도구일뿐입니다. 결국 결과물은 말씀주신 것처럼 사람이 다듬고 자신만의 스타일이 녹아들어가야 합니다. 그래서 논쟁이 있는 부분을 떠나 자신의 결과물을 더 좋고 빠르게 제작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로 활용하시면 개인적으로는 오히려 아티스트분들에게 더 좋은 기회가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 @nikson-ksh6-86
      @nikson-ksh6-8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금까지는 도구이지요. 정신승리 접자

  • @myourmother
    @myourmothe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i 느낌 빼달라는 건
    3d 처럼 안보이게
    특정 유명 모델의 전형적인 모습 안보이게
    보기에 자연스러워 보이게.. 등등
    암튼 포토샵 후보정이 필수라늠 이야기

  • @alxososnddux
    @alxososnddux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일반인 입장에서 써보자면..
    일반인 눈에는 "좋아보인다" 까지만 알 수 있다고 하셨는데
    클라이언트도 일반인이고
    좋아보이기만 하면 되지 않을까요

    • @CreaFox_0203
      @CreaFox_020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트위터 등에서 커미션 요청하시는 분들도 생각보다 그런 식의 좋아보인다는 좋아하지않습니다. 외주주시는 분들은 더 예민하고요

    • @jaeylo
      @jaeylo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아보인다'라는 것이 만들어지려면 직관적이지 않은 많은 표현과 연출이 들어가서 그렇게 되는건데
      관객의 입장에서는 그럴 수 있지만 만드는 사람의 입장에서도 좋아보인다는 것으로만 판단하면 안될 것 같네요 😅

  • @goddd2
    @goddd2 27 วันที่ผ่านมา

    소울 명확한 실체없는 감성만으로는 명확한 실체로 판단하는 경쟁시장에선 도태될 수 밖에 없음

  • @CreaFox_0203
    @CreaFox_020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디자이너분들은 제 분야가 아니라 잘 모르겠지만, 이런 느낌이죠.
    트랜스포머나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 이런 작품들이 나왔을 때, 트랜스포머의 CG와 뉴 유니버스의 비주얼, 서사가 대중들에게 어떤 식으로 호평받았는지 생각해보면 됩니다
    "와 이걸 어떻게 만들었지?"
    AI는 발전을 해도 결국 인간의 창작물을 소스로 이것저것 만드는거라 인간의 고점을 뛰어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고 애초에 고점을 연출하는 것도 AI를 활용하는 사람이 아티스트라고해도 힘들고 비용도 많이 듭니다.
    그래서 AI모델들이 더 발전하기보다는 상용화, 보급되는데에 집중하는 거고요.
    지금 AI그림들이 본격적으로 나온지 몇 년 지나지도 않았는데 벌써 아무리 고퀄로 나와도 대중들의 반응은 하나같이
    "오 신기하다"
    "와"
    이게 끝이고, 심지어 클라이언트들도 AI풍을 원하지않습니다.
    AI그림이라는 장르가 하나 생긴 것 뿐이에요.
    이런 관점에서 바라봤을 때 이 영상에 공감이 안된다하시는 분들은 대부분 예술이라는 걸 돈을 벌기위해, 즉 돈만 벌 수 있다면 자신이 아마추어여도 상관없으신 분들이라 생각되네요

    • @hogroman_moriyang
      @hogroman_moriy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극히 맞는 말씀입니다
      첨언하자면 예술이 돈을 벌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어도 돈을 벌기위해 예술을 하는건 피해야하는 행동이죠

    • @MozziDog
      @MozziDo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돈만 벌 수 있다면 ->
      돈을 벌면 그 순간 프로죠.

    • @CreaFox_0203
      @CreaFox_020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MozziDog 외주 몆 번 받다보니 생각보다 그렇지는 또 않더라구요..실력이 한참 딸리는데도 돈버는 사람들도 꽤 있었어요. 물론 프로라는 게 주관적 관점이긴하지만

    • @dot7999
      @dot7999 26 วันที่ผ่านมา

      이악물고 밥줄끊길가봐 부정하시네요 ㅋㅋ 지금 비디오생성 ai도 완전 초창기고 5년안으로 어떤 장르 어떤구도 다 선택을 해서 비디오를 만들수있게끔 개선이될거고 님 밥줄은 끊길겁니다... 정신승리가 전부가아니에요. 위기의식을 느끼고 대처방법을 찾아야죠 ㅋㅋ

    • @hogroman_moriyang
      @hogroman_moriyang 26 วันที่ผ่านมา

      @@dot7999 음....연예인의 경우라면 ai가 다 장악해서 기존 사람연예인의 밥줄이 끊길거라는거면 완전 맞는말일지도요

  • @user-uh7fg6fu7m
    @user-uh7fg6fu7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결국 디렉팅은 인간이 해야한다는 점에서 ai는 한계가 있죠. 도구가 똑똑해졌다고 겁먹을 필요 없습니다. 우리가 과거엔 종이위에 그림을 그리다가 컴퓨터의 보급으로 디지털 드로잉이 등장했다고 해서 평면그림 작업자들이 다 실직했나요? 오히려 새로운 형식의 산업이 파생되고 훨씬 많은 일자리가 생겼죠. Ai 사태도 똑같습니다. 레퍼런스 제공방식에 있어서 구체적인 시각화가 한단계 진화한거에요. 앞으로 예술가들에게는 포괄적인 디렉팅 능력이 시장에서 살아남는 키포인트가 될거고요. 공부할게 미친듯이 늘어난거죠. 단순히 테크닉적으로 실제와 똑같이 만들거나 예쁘게 만들어봤자 누구든 내 작업물 훔쳐서 기계에 넣고 돌려버리면 끝이거든요. 게다가 대중의 눈은 우리 생각보다 훨씬 냉철하고 객관적이에요. 네이버 대배너에 뜨는 중국산 ai일러스트 양산형 웹게임엔 사람들이 열광적으로 반응하지 않아요.
    이제 창작자가 Ai와 같이 가는것은 불가피하고, 다만 저작권에 대한 법제화가 선행되어야합니다. 극초기 Ai학습에 들어간 그 수많은 리소스들… 과연 제작자에게 정당한 댓가를 지불했을까요? 대부분의 창작자들이 분노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거든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님도 ai 작업물을 추잡한 도둑질이라고 평가했죠.
    저는 한국에 ai작업물에 비판적인 성숙한 소비자층이 적지 않게 있어서 너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업계인으로서 솔직히 고맙기도 하고요.

  • @tutmstudio
    @tutmstudio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새로운 문화가 형성이 되면 과거의 기술은 퇴물이 됩니다. 지금은 AI의 시작을 알리는 시대입니다. 하지만 점차 미래가 된다면 과연 지금 우리들이 가지고 있는 기본에 대한 생각을 고집할수 있을까요? 정말 많은 것을 고민하고 있지만.. 미래는 변할것이라는 것은 자명합니다. 3D 툴을 배우는 기술이 AI가 만들어내는 아웃풋을 따라가지 못한다면 과연 미래가 밝을지?. 그에 대응할려면 3D 툴이 AI를 흡수해서 3D 툴을 활용한 제작이 좀더 수월해져야 될겁니다.지금까지 사장된 3D 툴들만 봐도 제작에 한계가 느껴지면 한 시대를 호령했지만 결국은 앞선 툴을 따라잡지 못해 퇴보되고 역사속에 사라졌으니까요. 미래에 대한 생각은 툴을 잘 다루는것보다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고 어떤 컨텐츠를 가지고 있느냐가 더 중요한 시대가 되지 않을까 조심스레 생각해봅니다.예술가들이 그동안 어떻게 변해갔는지만 생각해봐도 기술의 발전은 예술가들의 위치를 바꾸고 확대하며 과거의 기술을 가진 예술가들은 점차 사라지고 잘 알려진 보다 대중적인 작품만 예술적 가치라는 명목으로 살아 남지 않을까요? 무엇보다 AI로 인한 시간,사람들의 눈높이가 높아지는것을 3D 제작자가 따라가는게 점차 힘들어진다는것이죠.모든 예술 전분야에 걸쳐 생각해보면 어느정도 미래는 보이며 그런 미래가 예상되기에 다들 걱정하는게 아닐까요? 기본에 충실하라? 글쎄요. 이부분도 이젠 고민해봐야 할 부분인것 같네요. 어디서 부터가 기본인지를. 기본부터 시작해서 어느새월에 자기 작품 하나 만들수 있는 시간까지 갈수 있을지? 그리고 그 때 과연 내가 만든 작품이 시장에서 가치가 있을지도 생각해봐야 할것 같네요. 어벤져스를 보고 영화를 판단하는 이 시대에 90년대 슈퍼맨 영화를 만들고 나온다면 과연? ex: 디워

  • @user-it5xw9zb2d
    @user-it5xw9zb2d 29 วันที่ผ่านมา

    AI를 이용한 렌더링은 아직 엄청나게 느립니다. 전기에너지 소모가 극심해서 공공연하게 원하는 영상을 만들어 쓰기가 아직은 참 어려울겁니다.

  • @curvedair3830
    @curvedair383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세상에 돈이 되는 일 중에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란 건 없다

  • @user-hk9jv3uh3v
    @user-hk9jv3uh3v 16 วันที่ผ่านมา

    영혼조차 AI가 영혼이 존재하는 것처럼 카피 할 수 있습니다. AI가 침범할 수 없는 오프라인 그리고 인간이란 개체의 삶과 경험에 근거한 독립된 모든 예술적 행위의 사조 모두가 아주 개인화된 현대예술로 접어드는 길목에 있다 생각합니다.

  • @user-se5mz0fi3l
    @user-se5mz0fi3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32
    14:18
    15:47

  • @user-jy2os5jh9j
    @user-jy2os5jh9j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음....대부분의 사람들이 모르긴 하지만 이 영상도 ai가 뭔지 모르셔서 나오는 겁니다.
    지금의 ai는 굉장히 하찮은 수준입니다. 곧 창의력과 열정조차도 인간을 뛰어넘는 ai가 나옵니다. 기술이 멈춰있지 않습니다.
    물론 그때가되면 그림 말고도 정말 많은 직업들이 박살날거고 더 나아가면 모든 직업이 사라질거긴합니다.
    그때가 언제인지 정확히 모르기에 지금 달려나가야하는것은 맞지만...오래가지는 않습니다
    상당히 오래전부터 특이점을 믿어왔는데...그림 ai와 gpt도 상당히 오래전부터 봐왔습니다. 대중들에게 알려지기 전에요
    이것들이 나오기 고작 몇년전에 이분야는 아직 몇십년은 멀었다는 전문가분들의 반응이 갑자기 입장이 바뀌어 버린다든가하는것을 계속 계속 계속 보고있습니다.
    또다시 입장이 바뀔날이 머지않았습니다.
    기술발전이 우리 생각보다 수백배는 빠릅니다.

    • @rxee
      @rxe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는 사람 본연의 고유한 창작 본능은 굳건히 존속될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AI그림이 인간의 실력을 뛰어넘는 특이점이 찾아오는 것은 사실상 예견되어 있다 라는 것에 동의합니다.

  • @minalim6999
    @minalim699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너무 설명이 두리뭉실라공 명확하지 않음 . 걍 soul만을 믿고있기엔 AI의 발전은 상상초월임

    • @bango_soil
      @bango_soi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저도 영상 내에서 본인의 주장에 근거가 명확하지 않은것 같다고 느껴졌습니다. 그랬으면 좋겠다는 바램 정도로 들리네요. 예술이라는 것에 대해 조금 편협한 시각을 가지고 계신것 같습니다. 이미 노동력 절감을 위해 디지털의 도움을 엄청나게 받아가며 작업을 하시면서 어쩌면 그 최종 목적지에 가까운 ai기술에 soul…? 그냥 본인 생각에 보기좋고 듣기좋은것만 취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ai를 활용하고, 혹은 ai가 스스로 명령없이 작품을 만들어내도 충분히 누군가는 그 작품에서 감동할 수 있습니다. 작품의 해석은 주관적이기 때문이죠.

    • @bango_soil
      @bango_soi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차라리 남의 저작물을 동의도없이 학습시키는것이나 혹은 범죄에 무분별하게 이용되는 점을 지적했다면 좋았을 것 같습니다

  • @user-pp5zy5cw5c
    @user-pp5zy5cw5c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제목보고 딸깍이들 발작옴

  • @user-gk5mh3vj4e
    @user-gk5mh3vj4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올해들은 이야기중 가장 웃긴이야기네 ㅋㅋㅋㅋㅋㅋㅋ

  • @Oizman
    @Oizma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이런 소리는 초기 이니까 나오는 말이지...아직 초기중에 초기이다 ai는 앞으로 말도 안돼게 발전할것인데.

    • @skarjsdn325
      @skarjsdn32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맞는 말이지만 영상을 끝까지 안보셨죠?

    • @Zealot2049
      @Zealot2049 26 วันที่ผ่านมา

      그 말도 맞는데 그 ai를 이용해서 작품을 만드는건 숙련된 프로 아티스트들임
      뭐가 부족하고 더 필요한지 셀프피드백이 되는 아티스트가 사용한 ai 작품과, 기반지식 없이 일반인이 만들어 낸 ai 제작품의 퀄리티는 다를 수 밖에 없음
      문턱 허들이 낮아진다는건 그만큼 경쟁력이 심화된다는 말이지만, 그만큼 개나소나 한다는 뜻이고, 그만큼 가치있는 작품의 수요는 더 올라간다는 뜻임
      만약 ai가 인간의 피드백 없이 단 한두번만에 프로젝트의 방향성에 맞는 일관된 작품을 프로아티스트 뺨치게 생산한다면,
      그 땐 아트 뿐만 아니라 다른 직군들도 많이 위험한 세상일 것임

  • @rickpat1255
    @rickpat125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와닿지는 않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