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1 ธ.ค. 2017
  • tvN 알쓸신잡2 (2017)
    : 분야를 넘나드는 잡학박사들의 지식 대방출 향연!
    국내를 여행하면서 다양한 관점의 이야기를 펼쳐 딱히 쓸데는 없지만 알아두면 흥이 나는 신비한 '수다 여행'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알쓸신잡1] 보러가기 ▶️ • 다시보는 [#알쓸신잡] 시즌1
    🔮[#알쓸신잡2] 보러가기 ▶️ • 다시보는 [#알쓸신잡] 시즌2
    📜[#알쓸신잡3] 보러가기 ▶️ • 다시보는 [#알쓸신잡] 시즌3
  • บันเทิ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7K

  • @tvNOfficial
    @tvNOfficial  2 ปีที่แล้ว +80

    언제 봐도 유익한 [#알쓸신잡] 시즌2 정주행하기😎
    👉 th-cam.com/play/PLgbB1gJhmG7BW2B6lZ4NFGLlzZTBjzfGH.html

    • @austinclassjasontv9115
      @austinclassjasontv9115 2 ปีที่แล้ว +4

      저기 모여 있는 사람은 모두 강남 살면서 웃기고 있네…1도 동감이 안됌

    • @user-qv6nw9ll4q
      @user-qv6nw9ll4q 2 ปีที่แล้ว +1

      유작가님 밀씀도
      동의는 하나 한국
      시스뗌이 있는
      자 만 살수있게끔
      세상이 돌아간다
      그게 현실이다 정치
      하는 자들도 있는자
      선에서 법 의질서 도
      조율하고 서민들 에
      있어서 선거철만 서민
      들 위함이라고 하지
      모든 시스텀 조율 은
      있는자 선에서 종지부
      찍는다 정치하는자들
      은 가난을 모르닌까
      현제 자기네 주변에는
      모두가 갑 으로 형성
      되어있기 때문에이다

    • @Lily-zg3bq
      @Lily-zg3bq ปีที่แล้ว

      표절 시열에 노무현재단건축비 떼어먹었다는 의혹에 해명도 못 하는 인간에... ㅉㅉ

    • @user-xo2mz8gi2x
      @user-xo2mz8gi2x ปีที่แล้ว +1

      @@austinclassjasontv9115 탁상공론 그 자체

  • @user-fo9cp6fh9z
    @user-fo9cp6fh9z 4 ปีที่แล้ว +5494

    퇴근후 엄마와 밥을 먹고
    강아지 데리고 셋이 산책하고
    가끔 어쩌다 엄마와 외식을하면
    밥 안하고 설거지 안하는거에 행복하고
    편안하게 누워 책 읽다 스스르
    잠드는 별일없는 이 일상이
    제일 행복하다
    sns도 없고 기를 쓰고 사진을 찍어
    어디 올려서 누구에게 보여주기 식의
    삶도 없다
    그저 내 주변의 내 사람을
    돌아보고 나에게 집중한다
    그리고 부정적인 사람은
    거르고 좋은 에너지를 주는 사람과
    교류한다

    • @enduringPEPE
      @enduringPEPE 4 ปีที่แล้ว +212

      공감합니다. 그냥 이 일상이 제일 행복해요. 물질적인 충족감 면에서는 크게 바랄게 없는듯 합니다. 저는

    • @user-pr3kd4gc6s
      @user-pr3kd4gc6s 4 ปีที่แล้ว +269

      맞아요 청소할수있는 건강한몸 안락한집 날보며눈맞추누우리강아지 세수할수있는손 행복하고감사해요 진심으로

    • @user-fo9cp6fh9z
      @user-fo9cp6fh9z 4 ปีที่แล้ว +20

      @ejrh rurni 에너지 낭비입니다
      좋은하루되세요

    • @user-uy2dm9pu3f
      @user-uy2dm9pu3f 4 ปีที่แล้ว +29

      행복이란 그런거죠

    • @user-fs5vq4fm8z
      @user-fs5vq4fm8z 4 ปีที่แล้ว +75

      건강한 삶을 살고 계시네요

  • @weets8276
    @weets8276 3 ปีที่แล้ว +5983

    공부를 해야되는 이유는 성공하기 위함이 아니라 저런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고 좋은 사람을 만나 유익한 시간을 보내기 위함이 아닐까 저들과 너무 동떨어진 삶을 산다면 그런 기회는 오지 않을테니

    • @fforestt
      @fforestt 3 ปีที่แล้ว +291

      공부란 다른 것 보다도, 이런 대화들 속에서 본질을 파악하고 내 삶의 길이 올곧은가 점검하며 살아가는 것 같아요. 그런 기회들을 이런 영상들을 보며 찾아가며 그렇게 살아가야겠네요.

    • @user-rt5pk1eb5w
      @user-rt5pk1eb5w 3 ปีที่แล้ว +151

      ㄹㅇ 어느정도 대화가 통하는 사람들이랑 얘기하고싶다...

    • @bd_95
      @bd_95 3 ปีที่แล้ว +310

      맞아요진짜.
      사실 좋은대학,좋은 직장을 가라고하는이유가 아무래도 더좋은삶을 위한것도 있지만
      그곳에 있는 사람들이 깨어있고, 동기부여되고 말이잘 통하는 그런사람들과 섞일수있는 기회가 주어지기때문이라고 생각해요.
      그릇이 다르거든요 생각하는 방식도 다르고요.

    • @wy7091
      @wy7091 2 ปีที่แล้ว +49

      분별하기 위해서 배워야 되는게 맞는 것 같아요 무지하면 잘못 판단하니까

    • @mmr8133
      @mmr8133 2 ปีที่แล้ว +84

      노노. 영상을 반대로 보고있네ㅋㅋ 유시민의 질문과 유희열의 당황에서 보이는거지만, 대화중에 등장하는 핵심 "인간의 욕망"은 거지,부자, 학자, 무학자를 떠나서 똑같아. 많이 배웠다고 돈이많다고 다르지않아. 다만 그걸 어떻게 관리하고 행복한 인생의 관점을 찾느냐야. 유시민이 말하는 그중간 어디에 존재하는거지. 공부와 행복은 무관해. 돈도무관해. 유시민이 말한 일체유심조. 잘생각하면 냉정한 말지이만 분수를알고 현실에 만족하는게 행복의 시작이라는 말이다. 안테나라는 성공한ceo유희열한테 sm을 비교해서 질문을 하는 이유지. 성공과 실패 행복과불행은 배움도 돈도 아니고 일체유심조라는것.

  • @user-en6oz4mh9c
    @user-en6oz4mh9c 3 ปีที่แล้ว +2561

    이런 프로가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 짧은 유희도 좋지만, 인생과 사회에 대한 이런 생산적인 대화가 현대인에게 유희보다 더 큰 위로가 될때도 있기때문에..

    • @dudthq0148
      @dudthq0148 2 ปีที่แล้ว +39

      @곰도리 한심하다 이런 좋은 댓글에도 제일 먼저 드는 생각이 고작 그거에요,

    • @Abuji_Mohashino
      @Abuji_Mohashino 2 ปีที่แล้ว +19

      @곰도리 이런말하는 애들이 가로세로연구소 이런거 볼듯ㅋㅋㅋㅋㅋㅋㅋㅋㅋ

    • @yyoung3554
      @yyoung3554 2 ปีที่แล้ว +6

      @곰도리 뭘해도 불평불만 늘어놓을 스타일 일듯 싶네요. 그냥 곁에 절대 두고 싶지 않은 유형의 인간이랄까 ㅋㅋ
      이런 댓글에 저런 문장의 답글을 적은 것만으로도 대충 어떤인간인지 심리가 파악됌

    • @Retr0_man
      @Retr0_man ปีที่แล้ว +2

      ​@@dudthq0148 내가하고싶은말

    • @shuya3679
      @shuya3679 ปีที่แล้ว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라면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이런 폭락장에 이게 가능한지 믿어 지지않지만 유튜브에서 실시간으로 매매하니 안 믿을 수도없고 암튼 뭔가 남다르달까..
      주식으로 10만원에서 30억을 만든 인증영상도 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이되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없으시길..

  • @1222_W
    @1222_W 3 ปีที่แล้ว +591

    내 행복한 삶의 기준은.. 사회에서 외향적인 모습의 직장인으로 살았으면
    집에 와서는 내향적인 내 모습을 자연스럽게 풀어놓고, 하루동안 줄어든 에너지를 조용히 편한 방법으로 충전하는게... 그게 제 행복같아요. 산책하거나 벤치에 앉아서 나무 흔들리는걸 가만히 보거나, 조용히 일기쓰거나, 좋아하는 음악 틀어놓고 맛있게 한끼 만들어 먹거나..
    내가 남한테 잘하던 노력 그대로 나에게 잘해주려고 노력하는 제 모습을 깨달으면 그때 진짜 내가 행복하고 나도 내 삶에선 성공을 찾아가고 있구나.. 나 참 괜찮은 사람이구나 하는 생각들어요.
    제 기준의 성공은 그냥 이래요

    • @user-re3yw6fr2o
      @user-re3yw6fr2o 3 ปีที่แล้ว +31

      멋지네요. 스스로를 잘 아시는게 무척 부럽습니다. 난 사십이 넘었지만 저를 잘 모르겠어요. 어떨때 내가 진정행복한지 내가 바라는게 무엇인지요... 누가 물어보면 술술 말할수 있지만 내 스스로가 물어보면 대답할수 없어요. 작년 한해는 내가 좋아하는 것을 찾는게 목표 였는데 이루질 못했어요. 올해 다시 한번 시작 해봐야겠네요.
      사람들에게 인정 받는것도 좋아하고 더 가지고 싶고 가끔은 젊은 날의 향락도 그리워요.
      인간의 가장 일반적인 욕구겠죠. 그래서 다들 비슷하게 조금은 타락하고 조금은 탐욕을 부리며 살아 가는게 아닐까요.
      욕구보단 이성으로 제법 바른 삶을 살아왔는데 그냥 우리가 손가락질 했던 그사람들이 인간의 근원적 행복을 누리며 살아가는 사람들이 아닐까요.
      저도 그렇게 살아 볼까요?

    • @user-ug5we3mn5h
      @user-ug5we3mn5h 3 ปีที่แล้ว +1

      눈물이

    • @jk108102
      @jk108102 3 ปีที่แล้ว +5

      좋다... 그저 그런 삶이라 보일지언정 평안한게 행복이죠 ㅎㅎ

    • @user-fi3ly4bb9c
      @user-fi3ly4bb9c 3 ปีที่แล้ว +1

      완전 공감

    • @TENET-hy3fq
      @TENET-hy3fq 3 ปีที่แล้ว +1

      멋져요 배워갑니다

  • @night83ryu
    @night83ryu 4 ปีที่แล้ว +2618

    궁금하다. 말씀들에 이해는 한다. 결국은 남과 비교보다는 적절한 자기 통제와 만족이 행복을 줄수 있다.
    그런데...세상은 그렇게 균형잡혀 있지 않다. 상당히 불균형적이고 비이상적으로 양극화 되어 있다.
    누구는 타워팰리스 살면서 더 좋은 아파트 이야기 하지만.
    실제로 대다수 70퍼 이상의 사람들은 서울이 아니라 지방에 집도 없는게 현실 아닌가?
    내 예를 들어 보면.
    우리집은 IMF 시절에 처참하게 망했다. 누구는 부모님이 김밥 장사를 하면서 키웠다고 가난하다 하지만 우리집은 어머니가 병에 걸리셨다.
    아버지는 빚보증으로 평생을 도망 다니셨다.
    대학을 떠나서 당장 먹고 살기도 힘들도 부사관으로 돈을 벌려고 군으로 갔다.
    12년 동안 일해서 부모님 병원비 생활비 등으로 모셨고 지금은 다 떠나 보내 드렸다.
    12년 동안 내 욕심 부려서 차 한대 구매 안하고 평생을 걸어 다녔다. 그런데 부모님 다 모시고 남들 보기 효자노릇 했지만 난 빈털털이 수급자가 되어 있다.
    너무 힘들고 고통스러웠지만 괴로워 하는 것? 고통도 사치다. 아프기라도 하면 그걸로 인생 게임오버다.
    사지육신 멀쩡한 것을 행복으로 삼고 다시 살아갈려고 자격증도 취득하고 발버둥 치는 중이다.
    내가 왜 이런 이야기를 하는가? 나 하소연 하려고? 아니다. 난 아직 괜찮다. 난 15살부터 내려 놓음이 훈련이 되어 있어서 그런지아직 버틸만 하다.
    바닥에 바닥으로 내려와 보니 나만 이런게 아니더라 세상에 나 같은 사람 수두룩하더라. 이런 사람들은 평생 벌어도 집하나 못 사면서 살다가 간다.
    기준을 어디에 두는지에 따라 다르다고 본다. 그나마 집이라도 한채 있는 사람이 더 좋은 집을 보면서 욕심을 내는 것이지.
    세상은 균형잡혀 있지 않다.
    중간이라도 가야지..적절한 자기 통제와 만족으로 행복을 얻지 않겠나??
    빈털털이로 아무것도 없는 인생들은 하루 하루 스스로를 다독이며 내려 놓기 바쁘다.
    없어도 행복하다는 사람들은..스스로 얼마나 많은 채찍질을 하면서 살기 위해 현재의 자신을 다독거려 왔을지 생각만하면 아프다...
    그래서 그런지 요즘 들어 부쩍 눈물이 많아졌다.

    • @Noranhyunji
      @Noranhyunji 4 ปีที่แล้ว +180

      보면서 저도 울컥했습니다..제 마음을 잘 대변해주시는거 같아서

    • @zamzomzaza6347
      @zamzomzaza6347 4 ปีที่แล้ว +74

      맞는 말씀이에요

    • @user-dz8qr2qv4l
      @user-dz8qr2qv4l 4 ปีที่แล้ว +73

      토닥토닥

    • @night83ryu
      @night83ryu 4 ปีที่แล้ว +356

      @@user-op9hx2mg2n 아닙니다. 저도 지치고 힘들어서 몇번이고 포기하려고 했습니다. 옥상 끝에서 하늘을 보고 바닥을 내려 본게 몇번인지..나약하다 보니 죽을 용기는 없고..무엇보다 너무 억울해서요. 돌아보니 내 삶을 살은 기억이 없더군요.
      그리고 바닥으로 내려와보니 이런저런 이야기 해도 저보다 힘든 사람이 너무 많아요. 사지육신 멀쩡한게 그나마 복이지요.
      아버지가 70을 못넘기고 가셨는데 저는 70까지는 살아보려고요.
      현재 목표입니다.
      부모님 다 보내드리고 이제 제 길을 가면되니 한번 살아 봐야지요.
      그때가서 웃을 수 있는 인생이였는지 다시 돌아 보겠습니다.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 @night83ryu
      @night83ryu 4 ปีที่แล้ว +48

      @@Noranhyunji 노란님도 앞길에 행복만 있기를 기원합니다.

  • @user-ej2gp8ln7d
    @user-ej2gp8ln7d 4 ปีที่แล้ว +1048

    0:35 나는 이말에 솔직히 훨씬 공감하고 동의한다. 백날 세상은 내맘먹기 나름이라해도 우리나라 자살률만 봐도 개인적인 문제로만 다 해결할 수 없는 고질적 문제가 있다고 본다.

    • @nokbbang_Han
      @nokbbang_Han 3 ปีที่แล้ว +9

      슬프지만 맞는거 같아요

    • @user-uc2ht9qb9y
      @user-uc2ht9qb9y 2 ปีที่แล้ว +6

      저도 이 영상에서 제일 공감가는 부분

    • @monkeymoonky7900
      @monkeymoonky7900 ปีที่แล้ว +5

      @@user-pv2yl1vo7x 진짜 현실적으로 그런거 같아요. 모두 다 특별할수 없는것처럼

  • @saycluaa
    @saycluaa 2 ปีที่แล้ว +748

    3:55 윤현준 교수님 말에 공감합니다.
    전쟁 직후에 황무지에서 "우리 자손들은 배불리 먹으며 살게 하겠다"며 산업화해서 "한강의기적"을 이루고 그 기반으로 최루탄 마셔가며 싸워서 "민주화"까지 이루어낸 것은 사실이고 박수받아 마땅한 역사지요.
    그렇지만 이제는 좀 다음단계로 넘어가야 할텐데 아직도 그 "한강의 기적"에 발목잡혀서 MZ세대에게 맨땅에 헤딩하던 "헝그리정신"을 강요하는것은 착오라고 봐요.

    • @peterkim4965
      @peterkim4965 2 ปีที่แล้ว +26

      Mz세대 지지율보세요 한강의기적에 매달린 산업화세대보다 민주화세대에 더 화를 내고있음. 민주화세대도 글러먹었다는거지

    • @user-zz9ye2tf4v
      @user-zz9ye2tf4v 2 ปีที่แล้ว +15

      그렇게 말씀해주셔서 감사해요. 죽어라 일만해라 하며 강요하고 그렇게 하지 않는 너는 열정과 노오력이 부족하다고 하세요. 옳은 것을 되게 부정적인 말투? 를 사용해서 채찍질 하십니다. 저는 "칭찬"을 무기로 "당근"을 주며 후배에게 열심히해달라고 "부탁"할 거에요. 열심히 해볼게요 :)

    • @amorffatti
      @amorffatti 2 ปีที่แล้ว +1

      @@peterkim4965 걔네가 왜 화를 내는지 봐야함 ㅋㅋㅋㅋ 이대남 움직이려면 그냥 여성가족부폐지하겠다정도의 미봉책만내도 표줌 ㅋㅋㅋㅋ 신 6070스타일로 선동하기 쉬움

    • @8282kbsmc
      @8282kbsmc 2 ปีที่แล้ว +1

      @@amorffatti ㅋㅋㅋ얼마나 페미정부였으면
      이념갈등없는 20세대들이 움질일까 ㄹㅇ븅닭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sq6xs2yn1x
      @user-sq6xs2yn1x ปีที่แล้ว

      얼마나 보이지 않는희생이 있었나 모르지?
      한국만큼 보이지 않는 살인을 저지른 나라는 없다고 본다 지금도
      고통받은사람들 많다

  • @bastyoonga
    @bastyoonga 3 ปีที่แล้ว +283

    비침하게 살고 싶다면 비교하며 살고 행복하게 살고 싶다면 비유하며 살아라. 수많은 꽃들이 자기만의 아름다움이 있듯이 우리 각자의 인생은 의미가 있고 가치가 있다. -누군가의 말-

    • @San-gr3vl
      @San-gr3vl 3 ปีที่แล้ว +2

      비유하며 살아라
      ㅡ 예시좀 들어주세요

    • @sksinfndkxk7
      @sksinfndkxk7 3 ปีที่แล้ว +9

      이것또한 힘들지 않기에 할 수. 있는 말이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정작 힘들어 미치는 사람은 이런 생각할 여유도 없고 이런 허상을 말할 생각도 못한다.
      꼭 가난하지 않고 평범한 사람들이 속편한 소리함 ㅋ

    • @ee-xh8ze
      @ee-xh8ze 3 ปีที่แล้ว +7

      @@sksinfndkxk7 맞아요..정말 극빈한 사람은 아름다운 문구 하나를 볼 정신적인 여유도 없다는게 너무 안타깝고 ..슬프네요

  • @user-cz5dl1lt6d
    @user-cz5dl1lt6d 4 ปีที่แล้ว +2078

    유시민 선생님 말씀에 갑자기 소름 돋았네요 "모든 문제를 사회구조 탓으로 돌리는 데 동의 안 한다" "일체유심조 세상사 모든 일은 마음먹기에 달렸다" 둘다 동의하지 않는다 "사회구조탓을 하면 내가 벗어 날 길이 없고 일체유심조를 믿으면 사회적 해결이 어렵다......얼마나 많이 공부하고 생각하고 이해하고 있어야 저런 말이 나오는 걸까요? 존경합니다

    • @user-jq4gr1em4h
      @user-jq4gr1em4h 4 ปีที่แล้ว +32

      @@user-cw7zu1hh9s 유시민이 말하는 일체유심조의뜻을 말그대로 자포자기 노력도안하고.이만하면됬어로 이해하셨다니 유시만이하고자하는 말을 잘이해못하셨군요 자본주의 사회에 인간이 갖는 양쪽의 딜레마같은걸 말하고자한건데

    • @gomgomsoo
      @gomgomsoo 4 ปีที่แล้ว +90

      @@user-cw7zu1hh9s 유시민 말을 잘 이해를 못하신 것 같네요. 행복은 자기 마음속에 있기는 하나 그 중에 반 정도는 사회 제도로 부터도 기인한다는 점을 말한 겁니다. 우리가 행복하기 위해서 마음을 다스리는 것 만큼 사회 제도도 발전 시키고 가꾸어 나가는 노력을 모두가 해야하고 그 두 가지가 균형을 이룰때 정말로 행복을 느끼게 된다는 뜻인거죠.

    • @user-nw8rl2ys7n
      @user-nw8rl2ys7n 4 ปีที่แล้ว +5

      참 일체유심조도 천국 지옥같은 허무맹랑한 소린가~종교는 먼가 정신승리랑 똑같은거 같음

    • @user-vh5cb5cx6j
      @user-vh5cb5cx6j 4 ปีที่แล้ว +2

      @@user-cw7zu1hh9s
      저기 앉은 사람들과
      영상 보는 사람들은 다 이해했는데
      혼자 다른 소리 하는 건 알죠?

    • @user-bl6sh2co3x
      @user-bl6sh2co3x 4 ปีที่แล้ว +15

      별로 어려운말도아닌데 대단한깨달음도아니고 그냥책좀읽다보면 다자기마다 생각이달라지는거고 자기생각을 얼마나 설득력있게 표현해내느냐에따라 사람들이 공감하고 따르는건데 그정도에 감탄한다는건 님은평소에 얼마나책을한권도안읽고 사색하지않고 사유하지않고 자기반성하지않고살았는가 밖에 안보여짐

  • @user-st1mc8jq2v
    @user-st1mc8jq2v 4 ปีที่แล้ว +766

    타인의 잣대가 내 삶에 중요한 결정권에 개입 되지 않는 삶. 감시 받지 않는 삶, 악연은 자연스레 스쳐지나가는 삶. 살면서 누명과 억울한 상황에 당사자로 놓이지 않는 삶. 이 네 가지만 있음 행복하겠지. 더불어 백년해로할 낭군님과 가정의 보금자리, 봄바람 살랑 살랑부는 경치좋은 오두막에서 술잔 기울일 2명의 친구와 함께라면 사계절 내내 더할나위없는 행복한 인생이긴 하겠다.

    • @user-gb5ti1lq8n
      @user-gb5ti1lq8n 4 ปีที่แล้ว +30

      절로 캬 소리 나오는 그림이네요 ㅋㅋ

    • @doyoungsun7641
      @doyoungsun7641 4 ปีที่แล้ว +27

      표현에 감탄하고 그 내용에 또 공감합니다..!

    • @dltjrqls
      @dltjrqls 4 ปีที่แล้ว +8

      문과신가요 ㄷ

    • @user-gb1fx3bf1j
      @user-gb1fx3bf1j 4 ปีที่แล้ว

      님은 부처세요?

    • @heounjeongjo8360
      @heounjeongjo8360 4 ปีที่แล้ว +2

      진심 인정합니다.

  • @missj8357
    @missj8357 3 ปีที่แล้ว +403

    욕망의 힘으로 우리나라가 빠른 발전을 이뤄왔고, 또한 지금은 발목잡히고 있다는 말에 깊이 공감한다. 각자의 욕망이 다양하면 괜찮을텐데 방향성이 대부분 비슷해서 문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사회적으로 보여지는 '좋은 삶 = 성공한 삶 = 행복한 삶'이라는 이미지가 너무 획일화되다보니 사람들의 욕망도 비슷해져서 그 열심의 크기만큼 경쟁이 치열해질 수 밖에. 욕망 자체는 좋은거다. 그 크기가 큰 것도 괜찮다. 다만, 각자의 방향이 다양하기만 하다면 대체적으로 건강한 사회로 갈 수 있을거라 본다.

    • @warcjh333
      @warcjh333 2 ปีที่แล้ว +14

      @곰도리 획일화의 유산

    • @oldorrich
      @oldorrich ปีที่แล้ว +6

      욕망도 있지만 그 이유 중 하나는 좁은 영토에 비해 인구수는 높은 편인데 그마저도 수도권에 다닥다닥 붙어 살다보니 원하든 원하지 않는 비교당하고 비교할 수 밖에 없는 환경임. 그러다보니 욕망과 경쟁이 과열된 것이라 봅니다. 뭐 그래서 한국이 잘 살기는 하죠...

    • @seongilchoi1334
      @seongilchoi1334 ปีที่แล้ว +1

      고견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 욕망을 통제하는 수단이 필요하다는 입장이거든요. 선생님 말씀 신선합니다.

  • @user-ff7lg7md9s
    @user-ff7lg7md9s 3 ปีที่แล้ว +988

    난 전적으로 뇌과학자 장동선 님께 한표던집니다. 경쟁에 찌든 사회에선 국민의 행복을 위한 미봉책들만이 존재한다 생각합니다. 본인의 삶에 충실해지고 책에 자연스럽게 손을 대는 순간, 공부를 즐기며 하는 순간은 먹고사는 걱정을 하지 않는 환경에서 나타난다고 생각해요.

    • @tikitaka8042
      @tikitaka8042 2 ปีที่แล้ว +38

      저도 독일에서 공부 하신분 말이 가장 현실적이고 유시민씨 말은 가장 약자의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 현실적으로 좀 와닿지는 않네요. 그리고 유희열님은 멋지네요.

    • @user-nm4hd5sj7l
      @user-nm4hd5sj7l 2 ปีที่แล้ว +35

      사회적인 구조는 너무 중요한 문제이죠 ..유시민의 말의 이해는가지만 사회의탓만으로 돌리진말자라는말뜻알긴알죠..하지만 우리가 선진국 복지국가라는 타이틀을 가지고싶어하는 이유는 사회가 그노력을 안해준다면 인간은 자본주의사회에서 절대적 빈곤에서 벗어날수 없으니 그건 국가나 사회가 만들어주자는 취지가 있는것이죠

    • @learnerc.2247
      @learnerc.2247 2 ปีที่แล้ว +52

      유시민씨가 저렇게 화제를 돌린이유는.. 제생각에는 본인도 유학경험도 했고 무슨말을 하는지 너무 잘 알지만 방송이 정치적 방향성을 가지고 결론을 내게 될까봐 일부러 그러신듯 하네요... 본인이 아무튼 그런 방향에 있는 당사자이기 때문에 부담스러웠을듯ㅎㅎ

    • @jakelyu1600
      @jakelyu1600 2 ปีที่แล้ว +5

      유시민씨 말 뜻을 다들 이해 못하신거 같네요;
      저기 앉아 계신분들 다 이해하고 끄덕이는데 댓글은 누가 맞냐틀리냐 이러고 있으니 ..

    • @joyfulpeace4726
      @joyfulpeace4726 ปีที่แล้ว +7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우리 나라 사회는 사회적 구조의 문제가 너무 심각합니다.

  • @user-ch1ml8sn3v
    @user-ch1ml8sn3v 4 ปีที่แล้ว +1451

    부유한 사람에게는 너무 살기좋은 나라지만 가난한 사람에게는 아주 기본조차 유지할 수 없는 나라가 되었다는게 슬프네..

    • @honey7856
      @honey7856 4 ปีที่แล้ว +8

      종강하고싶다 기본소득세 어느당에서 추진하는지 알고계시죠..?

    • @user-dp4dh2sg9d
      @user-dp4dh2sg9d 4 ปีที่แล้ว +35

      그게 뭐가 그렇게 슬픔? 극빈곤은 조금의 노력만 해도 금방 벗어날수있는데

    • @honey7856
      @honey7856 3 ปีที่แล้ว +11

      모든건내탓 대한민국에 그 푼돈만으로도 굉장히 도움되는 사람들 대다수입니다..세금충당요? 보드블록 그만 가뒤집고 부실기업 혈세지원안하고 쓸데없는 지자체 행사축소하고 등등 재정확보 될것같은데요 ㅎㅎ미통당의 시선으로 보면 답답해보이죠 ㅎㅎ

    • @honey7856
      @honey7856 3 ปีที่แล้ว +9

      모든건내탓 기본소득정책으로 북유럽국가들 국민들에게 인기많아요. 리포트도 좋은결과로 나온게 많구요. 부동산정책으로 인한 보유세인상으로 국민세금올린다고 생각하는건 아니죠?

    • @user-dq5qs8so6w
      @user-dq5qs8so6w 3 ปีที่แล้ว +3

      집값이 올랐다고요? 그런 소리는 처음 듣는데요.. 가정으로 확증을 지어버리시는데 애초에 집값은 청정부지로 올라서 떨어질 기미도 안보이는데 억지로 끌어 내리는 것이 당연한 것 아닌가요? 미국 역시 이같은 방법으로 내린 것으로 아는데

  • @Dokgo96
    @Dokgo96 4 ปีที่แล้ว +696

    바빠서 떡꼬치못먹는 삶보다
    한가해서 떡꼬치을 앉아서먹는 삶보다도
    나는 적당~해서 떡꼬치 먹으면서 걸을수있는 그런삶

    • @user-rd9bi9bg3g
      @user-rd9bi9bg3g 4 ปีที่แล้ว +115

      머리를 한 대 얻어맞은 느낌이에요. 저는 바빠서 못먹는 삶, 한가해서 앉아서 먹는 삶 두 가지만 있다고 생각했거든요. 곰곰이 보니 걸어가니면서 먹을 수도 있군요.. 저를 흑백논리로부터 꺼내주셔서 감사합니다.

    • @ddudde
      @ddudde 4 ปีที่แล้ว +20

      떡꼬치ㅎㅎㅎㅎㅎ 귀엽

    • @user-pc8cx7ho1e
      @user-pc8cx7ho1e 3 ปีที่แล้ว +5

      진짜 적절한말이다 ㅋㅋㅋㅋ

    • @daldal5142
      @daldal5142 3 ปีที่แล้ว +7

      너무 귀엽다 이댓ㅋㅋㅋㅋ 전 호떡이요... 겨울에 호호 불며 호떡 먹으며 걷고싶다ㅠㅠ

    • @neiger88
      @neiger88 3 ปีที่แล้ว +6

      바빠서 미친여자처럼 뛰다가 어느순간 드러누워서못일어나고있었는데 이제 내가가고싶은곳을향해걸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떡꼬치 먹고싶을때말씀하세요 두개사드릴게요~^^

  • @nnntst
    @nnntst 4 ปีที่แล้ว +562

    안테나는 다른 대형 기획사와 결이 다른 느낌이라고 해야할까. 많은 돈을 벌어오지 못하는 뮤지션들의 비율이 높은 안테나. 유희열은 좋은 뮤지션들에게 공연과 음악할 환경을 제공하면서 함께 음악에 대해 고민하고 함께 즐겁게 하고싶은 음악을 하자..는 주의를 갖고 기획사을 운영하는 것 같다. 상업적 음악도 있을 수 있지만 그게 메인이 아닌. 돈이 메인이 아닌 음악 자체가 메인인 회사

    • @user-bw9xq5cy8g
      @user-bw9xq5cy8g 3 ปีที่แล้ว +14

      그 운영 방식에서 배울점이 있는거같아요

    • @San-gr3vl
      @San-gr3vl 3 ปีที่แล้ว +2

      건물주가 된다면
      소속 뮤지션들에게 좀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겠죠

    • @user-mq4jg4bj4h
      @user-mq4jg4bj4h 2 ปีที่แล้ว +4

      돈은 유희열이 벌드라고욬ㅌㅋㅋ 광고 찍으면서 ㅋㅋㅋ

    • @hangong5967
      @hangong5967 2 ปีที่แล้ว

      브랜딩 기깔나게 했네

    • @mctam2753
      @mctam275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음악 자체가 메인인 회사 안테나!

  • @gennn752
    @gennn752 2 ปีที่แล้ว +441

    오늘 저녁에 급 우울해져서 눈물 쏟다가 진정하려고 유튜브 켰는데, 이 영상이 떠있길래 봤음… 보고 다시금 객관적으로 내 삶을 볼 수 있게 마음을 다잡을 수 있었음.. 고마워요 알쓸신잡! 고마워요 유튭!

    • @manready3318
      @manready3318 ปีที่แล้ว

      @곰도리 그만큼 정신적으로 피폐하고 멘탈이 바닥친 사람들이 있다는 거다. 부모 잘만나서 ㅈ같이 살면 모르는 인생관이 있는거다

    • @user-gm8up1ju6z
      @user-gm8up1ju6z ปีที่แล้ว +1

      @곰도리 어우 ㅋㅋ 이런 댓글 달고 다니는 당신도 참

  • @San-gr3vl
    @San-gr3vl 3 ปีที่แล้ว +118

    한국 사회는 한국인들에게 행복해지기 위해선 지속적인 수양을 요구하는 곳
    자연스럽게 행복해지기는 어렵고
    일체유심조니 비교하지말자느니
    마인드컨트로를 끊임없이 해야만
    행복해지는 곳

  • @user-jy9jh1lx7z
    @user-jy9jh1lx7z 4 ปีที่แล้ว +1270

    알뜰신잡에 신해철 형이 있었다면 더 많은 청춘들에게 위로가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상상을 해본 1인..

    • @user-dk5cd1fh6m
      @user-dk5cd1fh6m 4 ปีที่แล้ว +31

      크 재밌었겠네요

    • @Meaningless_01
      @Meaningless_01 4 ปีที่แล้ว +55

      뫙님도 통찰력이 어마어마하시죠... 뮤지션으로써 뿐만이 아니라 철학가로써도 존경했었고, 존경할것입니다.

    • @intoxicatedtiger4529
      @intoxicatedtiger4529 4 ปีที่แล้ว +37

      진짜.. 인생은 보너스게임이라 말한걸 좌우명 삼게 해준 위인

    • @Meaningless_01
      @Meaningless_01 4 ปีที่แล้ว +16

      Intoxicated Tiger 그 한마디로 인해서 앓고있던 우울증이 완쾌된건 아니나, 나아지기 위해서 노력을 시작할 수 있었어요.

    • @youthbeauty2136
      @youthbeauty2136 4 ปีที่แล้ว

      ㅇ ㅈ

  • @user-sg3kt3fh2t
    @user-sg3kt3fh2t 3 ปีที่แล้ว +105

    직장생활로 힘들 때 행복이 너무 절실하게 필요했어요. 행복을 찾아서라도 행복해져야겠다 생각했고, 얼마 지나지않아
    행복을 찾을 수 있었어요.
    날 지지해주는 언니, 늘 최고라고 말해주는 남자친구, 좋은사람이 될거라고 응원해주는 친구들, 전 긍정과 부정중 긍정적인것에 집중하기로 했어요.
    따뜻한 매트 위에서 이렇게 누워있을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얼마나 행복하고 감사한 일인지, 다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오늘도 행복하세요 :)

    • @dearmydeer2812
      @dearmydeer2812 3 ปีที่แล้ว +7

      사랑받는 느낌, 지지받는 느낌, 긍정적 시선

    • @user-ww9qc9qt3n
      @user-ww9qc9qt3n 2 ปีที่แล้ว

      삶의 마음가짐은 선택하기에 따라 달렸군요

  • @San-gr3vl
    @San-gr3vl 3 ปีที่แล้ว +178

    부의 빈부격차는 당연히 존재하는 것이고
    결코 나쁜 것이 아닌데
    한국은 좁은공간에 많이 몰려사는데다가
    못살던 역사에 특유의 뽐내고 무시하는 문화 그리고 체면중시하고 남눈치많이 보는 문화 여러가지가 섞여서 괴로워진 사회
    비교하고 무시하고 질투하고 혼내고

    • @babourihyeong
      @babourihyeong 3 ปีที่แล้ว +2

      빈부격차는 생기지만 그정도의 차이가 있은거죠 단순히 인간성 발달의 문제 뿐 아니라 제도적으로 상대적 격차가 더 늘어나 버리는거죠

    • @user-om2xx8ob9t
      @user-om2xx8ob9t 2 ปีที่แล้ว +5

      진짜 맞네요ㅠㅠ
      빈부격차가 큰 문제라기보다는
      비교하고 무시하는 일부 사람들때문에 힘든거였어요ㅜ

  • @misteryshopper4849
    @misteryshopper4849 5 ปีที่แล้ว +330

    어느 교수가 했던 말이 생각나네요 우리는 질문해야한다 .. 행복이란 무엇인가

    • @alchemist7212
      @alchemist7212 4 ปีที่แล้ว +33

      행복이란 좋아하는 사람과 밥을 먹는 것이라고 하던데 그게 제일 공감되더라고요 편안하고 유쾌한 시간ㅎㅎ

  • @phj940425
    @phj940425 4 ปีที่แล้ว +458

    만족을 안 하면 불행하고 만족을 하면 발전하지 못한다는..

    • @Junalism0524
      @Junalism0524 4 ปีที่แล้ว +51

      유희열씨가 말한 욕망의 모습이 얼굴만큼 다양한 것 처럼, 만족이라는 개념도 사람마다 다 다르죠. 지식을 쌓는것에 끊임없이 불만족하고, 부를 쌓는것엔 적당히 만족하는 사람은 발전하면서 행복할거 같은데요.
      돼지의 만족과 인간의 불만족은 물질적인 것을 뜻하고, 바보의 만족과 소크라테스의 불만족은 내면의 양식을 말합니다. 전자와 후자의 만족이 같은 뜻이 아닙니다. 남과 비교하고 경쟁하면서 물질적 부유를 따라가는 돼지가 되지말고, 내면을 끊임없이 발전시켜 나가는 인간이 되라는 뜻이에요. 그럼 남들이 보는 내가 어떤 모습이건 상관없이 나의 자존감으로 행복할 것이고, 스스로는 발전할 겁니다. 남따라가는 속이 텅텅빈 돼지가 아니라요. 돼지무리 따라가려니 불행한겁니다. 영상에서 말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에요.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은 만족하고 동시에 발전도 해요. 남들이 (돼지들이) 보기에 그 만족과 발전이 다른의미 이겠지만^^

    • @user-lx4qt6ni5x
      @user-lx4qt6ni5x 4 ปีที่แล้ว +19

      현재에 만족 즉 안주가 아닌 감사하고 발전를 지향하는 삶을 살면 어떨까요?

    • @kevinchoi9932
      @kevinchoi9932 3 ปีที่แล้ว +2

      성취의 행복이 가장 크지 않나요?

    • @david-ji8tw
      @david-ji8tw 3 ปีที่แล้ว +10

      @전진 거기서 만족이란건 연봉1억 2억 받기 위해 재산 100억 까지 모으기 위한 불만족이 아닌 자신의 학문이나 연구, 직업적 본질에 도전하는걸 의미함. 재산 축적은 아님. 고액 연봉 좋은 직장, 빌딩을 위해 불만족하는건 그냥 돼지임. 돈 많이 벌려고 발버둥 치면서 저걸 만약 응용한다면 만족하는 돼지랑 만족못하는 돼지 임. 오해 없길

    • @user-ih3tz8qr4m
      @user-ih3tz8qr4m 2 ปีที่แล้ว

      @@user-lx4qt6ni5x 정말 좋은 말씀인것 같습니다.

  • @oldiesmood
    @oldiesmood 2 ปีที่แล้ว +45

    우리나라는 남들이 어떤 모습으로 어떻게 살던지 신경 끄고 함부로 평가하지 않는것도 여기서 말하는 스스로의 행복을 추구하는 사회분위기를 만드는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user-pg7nz2tu2s
    @user-pg7nz2tu2s 2 ปีที่แล้ว +39

    저도 장동선 선생님께 한표요
    선생님은 상대적 박탈감이 포커스가 아니라
    제도적으로 구조적으로 도와주지못하고
    힘겹게 살아가는 이들에 대해서
    설명하신것 같아요 송파 세모녀 사건이나 생활고로 자살하시는분들.. 우리사회는 여러 사건을 겪었는데 그들에게 부자가되고싶어? 욕심버려~라고 감히 어느누가 말할수있을까요..그들도 독일만큼 삶의 질이
    좋아졌으면하는 선한 마음에 얘기를 꺼내신것 같아요!
    이건 제도나 사회구조적으로 도와줘야하는게 맞습니다.
    쓸데없는 외국인 청년 저축 이자주기 이런거 하지말고
    사각지대 놓이신분들 구조적으로 도와야해요..

  • @user-dw6rq9nj8n
    @user-dw6rq9nj8n 3 ปีที่แล้ว +41

    사회적 구조가 삶을 불행하게 만드는것은 맞다고 생각해요. 인간을 상품화 시키고 시장에서 더욱 가치있고 매력적이어야 인정 받을수있는데 그렇게 해나가는 과정도 힘들겠지만 어느 정도 타고 나야겠죠. 외모나 집안 등등이요. 우리나라는 행복을 추구하기보다 어떻게 하면 덜 불행해질수 있을까에 초점을 맞추어야 살아갈 수 있는 나라인것 같아요.. 안타깝지만

  • @youngboii_NB
    @youngboii_NB ปีที่แล้ว +46

    3:12 가장 좋아하는 부분입니다. 타인의 그름을 지적하고 자신의 의견을 분명히 표현하는 장면이 참으로 인상 깊습니다. 본받아 행동하도록 하겠습니다.

  • @user-jq7uz3rg7f
    @user-jq7uz3rg7f 3 ปีที่แล้ว +40

    어떻게 사는 삶이 좋은 삶인지 생각해본적도 없는 것 같아요. 그저 주어진 것에 만족해하며 하루를 치열하게 살아가는 것 말곤 제가 진정으로 제 삶을 돌아본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많은 것을 배우고 가는 영상이네요.

  • @user-hb6gq3ky1q
    @user-hb6gq3ky1q 4 ปีที่แล้ว +1016

    유시민,유희열 말에 100프로 동감하는데
    갑자기 해피투게더에서 이진아가 사장님 종류별로 외제차 4대인가 5대 있다고 한게 생각남ㅋㅋㅋㅋ
    유희열도 잘나가고 안테나도 잘나가는거 맞음ㅋㅋㅋ

    • @yan-hw
      @yan-hw 4 ปีที่แล้ว +99

      안테나 잘나가는거 맞음~ 3대 대형기획사랑 비교해서 그렇지! 잘나가는 중소기업 사장님들도 외제차 끌고 다니는데 대기업 회장님들이랑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초라한거지//

    • @chldnqhd
      @chldnqhd 4 ปีที่แล้ว +2

      이진아가 안테나 소속?
      유희열이 외제차 그렇게 있다고?

    • @chldnqhd
      @chldnqhd 4 ปีที่แล้ว +55

      유희열의 재력에 놀란게 아니라
      성향에 놀란거
      외제차 크게 관심없을거 같아보여서

    • @huckleberryhong9199
      @huckleberryhong9199 4 ปีที่แล้ว +33

      이런 댓글이 제일 싫어
      행복에 대해서 말하는거고 남과 비교 하면 행복에서 멀어진다고 말하는 얘기를 하고 있는데..
      그래서 YG와 비교하고 싶지 않고 난 나대로 행복하다는 얘기를 한건데.
      갑자기 유희열이 외제차가 종류별로 몇대 있더라..
      외제차 갖고 있으면 속물이니?
      정말 이해 못할 족속들...

    • @pyo4588
      @pyo4588 3 ปีที่แล้ว +70

      Huckleberry Hong 저기요 ... 외제차가 많아서 속물이다 라는게 아니라 외자차를 몇대를 소유할 만큼 이미 경제적으로도 높은 위치에 있으니 저런 말을 할 수 있다는 라는 의미입니다. 그쪽이나 문맥파악 잘하시길...;;

  • @user-kk9qb3ux8d
    @user-kk9qb3ux8d 4 ปีที่แล้ว +147

    내가 만족하면 그걸로 충분하다

    • @7221taiji
      @7221taiji 4 ปีที่แล้ว +9

      완전 공감해요!

  • @TV-bp7pg
    @TV-bp7pg 3 ปีที่แล้ว +54

    행복한 사람은 큰 행복이 아니라 작은 행복들이 많은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작은 행복들이 계속 이어지는 게 정말 찐행복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그렇게 살려고 노력중이구요^^

  • @user-zu7oh1cl6j
    @user-zu7oh1cl6j 2 ปีที่แล้ว +30

    이런 어른들과 함께 하고싶다 속에서 인생을 배우고 알아가고 상상만해도 너무 행복하다

  • @user-qz5rg7zz8l
    @user-qz5rg7zz8l 4 ปีที่แล้ว +129

    난 진짜 가진게 없어도, 행복지수100인 사람인데 이게 바라보는 측면에 따라 다르나봄. 나보고 몇몇은 나태하다 발전이 없다 욕심이 없다..라고 해서 내가 그런가?? 근데 난 하루하루 행복한데.. 좀 덜 행복해지더라도 바쁜삶을 살아야하나싶고 ㅋ

    • @adamsodams2581
      @adamsodams2581 3 ปีที่แล้ว +8

      그게 삶의 목적성에 따라 다름. 님 목적이 행복이면 그런 삶의 방식이 맞는거고, 보다 사회에 훌륭한 공적을 세우는 게 목적이라면 아닐 수도 있는거고

    • @user-qz5rg7zz8l
      @user-qz5rg7zz8l 3 ปีที่แล้ว

      @Real Art 30대입니당

    • @user-om2xx8ob9t
      @user-om2xx8ob9t 2 ปีที่แล้ว +1

      어떻게하면 그렇게 행복지수를 올릴 수 있을까요?
      저는 지금 행복하지 않은 것 같아요ㅠㅠ
      그런 생각은 타고난 부분이 크겠죠?

  • @user-ob2ig1lk6m
    @user-ob2ig1lk6m 4 ปีที่แล้ว +132

    어머 말을 왜이케 잘해... 진짜 순간 압도되었어...

  • @anna-vm9nz
    @anna-vm9nz 2 ปีที่แล้ว +119

    이런 대화가 소통된다는게 멋져요.

  • @eunoia8866
    @eunoia8866 ปีที่แล้ว +12

    정말 인생에 도움이 되는 수확이 되는 말을 영상을 통해서 볼 수 있어서 그저 감사합니다. 사람들마다 개성이 다르기 때문에 내 것에 의미를 부여하면 된다라는 말이 와닿았습니다. 남들의 개성을 이해하고 내 것을 찾는 게 진정한 행복의 삶인 것 같아요.

  • @user-jd6vs1ol1n
    @user-jd6vs1ol1n 4 ปีที่แล้ว +44

    일단은 장기적인건 따로 보되,
    ‘어느정도의 발전’을 기준으로 보면,
    우리가 롤모델이라는 걸 내정하잖아요.
    그 사람의 전부가 됐든 일부가 됐든.
    내가 생각하기에 그 사람의 그러한 모습처럼 되고싶은 욕망이거든요.
    롤모델은 욕망의 화신이에요.
    욕망을 가지고, 그 욕망이 커져서 특정 인물이나 캐릭터에 투영이 되는거거든요.
    그래서 욕망이 사람마다 다 다르듯이,
    롤모델도 다 다른데,
    우리가 학교에서 어릴 때 맨날 숙제같은거 보면
    ‘롤모델에 대해 적어보기’이런거 꼭 있잖아요.
    그런데 어릴때는 뭐 지금처럼 유투브가 있어 뭐가 있어.
    집에서 볼 수 있는건 위인전이랑 tv 말고는 없는거에요.
    그러다보면 위인전에는 명예 가득한 사람들이 나오고
    tv에는 돈 많거나, 잘생기고 예쁜 사람들이 나와요.
    어릴때부터 욕망에 대해 굉장히 한정적으로 주입되는거에요.
    부와 명예, 아름다움. 사실상 이 3개.
    물론 인간의 본능적인 욕망일 수도 있어요.
    워낙 본능적인거라 tv에서 뭘 봐도 그거만 눈에 들어오는 건데 제가 확증편향의 오류를 범하고 있는 거일수도 있어요.
    그런데 제가 정말 아쉬운 것은,
    왜 아이들을 교육할 때 조금 더 많은 것들이 있다는 가능성을 좀처럼 열어주려고 하지 않느냐는 거죠.
    선생님들도 마찬가지고 부모님들도 마찬가지고 그런 같은 교육을 받아왔고
    거기에 따라야만 생존 가능성이 높은 사회에서 버티로 버티며 살아오다보니 어쩔 수 없다는건 잘 아는데,
    이제는 좀 깨달을 때가 됐다는 거에요.
    인생은 사람마다 각자 종목이 다른 경기를 하는 올림픽이에요.
    물론 근본적으로 자원이 제한되어있기 때문에 경쟁은 필연적이지만.
    어쨌든 궁극적으로는 각자 자신의 게임을 해나가면 되는거거든요.
    그럼 각자 자신의 욕망을 성취하도록 한다면
    우리 모두가 조금은 서로 여유를 가지고 적절하게 각자의 욕망을 추구하기도 하면서 적절하게 삶의 여백을 즐기기도 하고. 그럴 수 있는건데.

    • @soyeonkim1631
      @soyeonkim1631 4 ปีที่แล้ว +4

      우와... 동감입니다

    • @MrDoeriam
      @MrDoeriam 4 ปีที่แล้ว +1

      👏🏻👏🏻👏🏻

  • @saycluaa
    @saycluaa 4 ปีที่แล้ว +190

    3:45 유시민 작가님 말에 백프로 동의합니다. 누군가와 비교하지않고 그냥 내길을 가는거죠.
    안그래도 입시위주의 경쟁교육이 심한 한국에서 경쟁을 부추기는 온갖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이 난무하고 있는 와중에 '인싸(인싸이더: 사람들의 중심에 있는)'와 '아싸(아웃싸이더: 사람들의 바깥테두리에 있는)'라는 신조어보다 '마싸(마이 사이더:주변인의 시선과 방식에 구애받지않고 자기만의 길을 고집하는)'가 더욱 사회적으로 널리 퍼지길 바랍니다. 그러기위해선 자기 스스로에게 엄격한 룰을 세울 지성과 그것을 따르는 의지가 필요하겠죠.

    • @San-gr3vl
      @San-gr3vl 3 ปีที่แล้ว +6

      마싸
      처음알고가는데 좋네요

    • @saycluaa
      @saycluaa 3 ปีที่แล้ว +5

      @@San-gr3vl 저도 즐겨보는 ‘옥탑방문제아들(KBS) 79회차에서 문제로 나와서 알게됬어요. 추우니 감기조심하세요.^^

    • @user-yw5mr4so5z
      @user-yw5mr4so5z ปีที่แล้ว +2

      뭐든 욕심! 이 문제!
      제발 인간들아 !
      욕심좀 버리라구요

  • @user-ww5pk2yr4m
    @user-ww5pk2yr4m 3 ปีที่แล้ว +14

    내 소원은 항상 같다. 자본은 얻기 위해 열망하고는 이유는 사치스러운 물질적 욕망보다는 꿈, 배우고 싶은 것 처럼 하고싶은건 걱정없이 도전해볼 수 있는 안정감을 위해서다. 근데 사실 여기까지 도달하는 것 마저 꿈에 불과하다.

  • @existwithmusic
    @existwithmusic ปีที่แล้ว +3

    "어떻게 살아야 행복한 삶인가"라는 고민을 하지 않는 삶. 그게 행복한 삶 아닐까
    행복에 기준은 내가 정하는 거니까, 그 기준치를 "0"으로 낮춰버리면 모든게 다 행복해지던데

  • @user-zt1ue7rk8r
    @user-zt1ue7rk8r 4 ปีที่แล้ว +56

    욕망엔 양면성이 있다는 말이 결국 가장 맞는 말이라고 생각함. 무언가를 갈망하고 하고싶다거나 이루고싶은 욕망이 있어서 우리가 어떻게보면 이렇게 동기부여를 받으며 살아갈 수 있는데 이게 가끔 독이 되가지고 그 욕망을 이루려고 노력하지만 현실이 쉽지 않기에 그런 자신의 모습을 보고 비관하고 자꾸만 타인과 비교하게 되고.. 우리가 살아가면서 자신을 비관하고 채찍질하는 건 결국 인간의 '욕망' 때문이 아닐까 싶음. 진짜 이 부분에서는 사회구조 탓을 안할래야 한 할 수 없는데 우리나라 사회구조 상 남들의 시선이 따가워도 남들이 뭐라고 하건 그냥 쉽지 않겠지만 내가 행복할 수 있는 삶의 방향을 정해서 사회가 정한 기준이 아닌, 오로지 내가 정한 행복한 삶의 기준을 향해서, 조금씩 내려놓으면서 살면 되지 않을까

  • @eeh886
    @eeh886 4 ปีที่แล้ว +166

    유시민씨 의견도 맞는데 처음 이야기한 구조 문제도 맞는다고 생각합니다.. ㅎㅎ 좌절할 필요는 당연히 없고 개인의 노력이 훨씬 중요하지만 출발선이 다른 문제에 대해선 짚고 넘어가야하죠! 모두가 똑같은 출발선으로 만들어달라는게 아니라 그 차이를 이해하고 사회구조를 좀 더 좋게 바꾸는걸로요

    • @toplu1036
      @toplu1036 2 ปีที่แล้ว +18

      유시민 말이 그거임 구조 문제도 맞고 개인 문제도 맞고 어느 한쪽의 문제가 아니라고

  • @cocojjlove
    @cocojjlove 3 ปีที่แล้ว +65

    있는사람 가진자들은
    욕심없는척 잘도 말한다
    없는사람 덜가진 사람은
    그냥 죽기전까지 그냥 별탈없이 돈걱정 안하고 살고싶은 작은욕심 밖에 없는데....ㅠ

  • @noonann9309
    @noonann9309 2 ปีที่แล้ว +83

    알쓸신잡 3는 없나요? 이런 건전하고 조금은 삶에 대해 고찰하는 프로그램이 가끔씩 나왔으면 하네요~!

    • @Huirou_
      @Huirou_ 2 ปีที่แล้ว +1

      3 이미 나왔어요!

    • @user-gm8up1ju6z
      @user-gm8up1ju6z ปีที่แล้ว

      @곰도리 ㅉ

  • @user-ey8kk4qs6m
    @user-ey8kk4qs6m 4 ปีที่แล้ว +30

    너~무좋은 알쓸신잡

  • @user-so3xz6kx3t
    @user-so3xz6kx3t 4 ปีที่แล้ว +84

    시선을 내 자신에 집중하는 연습을 해야할거 같아요. 그래야 남과 비교하며 상대적인 박탈감에 불행하지 않을거 같아요. 한편으론 시선을 밖으로 돌려야할 거 같아요. 내가 사는 이곳 대한민국이 그래도 조금씩 공정한 곳이 되려면 말이죠. 알쓸신잡 다시 보고 싶네요.

    • @user-lq8fc3fg2s
      @user-lq8fc3fg2s 4 ปีที่แล้ว +3

      그러기 위해선 트위터 페북 인스타를 끊어야져

  • @user-vf4fx6mv8d
    @user-vf4fx6mv8d 2 ปีที่แล้ว +79

    이런프로가 있었다니!! 점점 시덥잖지않은 떠드는방송만 늘어나던데 이런 본질적인 대화를 나누는 유익한방송 넘 좋고 만들어졌으면 좋겠네요

  • @user-zs2pl6sv2o
    @user-zs2pl6sv2o 3 ปีที่แล้ว +14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으니 그 욕심을 채우면 행복해질거라는 생각은 착각이다.
    행복이란 지금의 나에게 만족하는 마음에 있는 것이다.

  • @canwilled
    @canwilled 4 ปีที่แล้ว +146

    저런 마인드 가지고 사는 것도 힘든 사회긴 함. 오지랖이 오져서리.
    난 그냥 집에서 뒹굴거리는게 좋은데 긴 연휴기간 뭐했어 어디갔다 왔어? 왜 해외 안갔어? 등등 아주 옆에서 지랄을 함.
    그리고 그냥 집에 있었다고 말하면 무슨 불쌍한 사람 쳐다보듯 함.
    그렇게 떠밀려 한번 계획해 가본 여행은 나랑 도저히 맞지 않았음.
    근데 그게 그 사람에게 악의가 있어서 그런거냐? 그건 또 아님.
    간단한 연휴도 이럴진대, 직장이나 결혼 등등 아주 개성을 무시하고 사람을 못살게 굼.
    이게 근데 4~50대 아저씨들 이야기냐? 아니 전혀. 충분히 젊은 청춘 2~30대 이야기임. 심지어 정치관도 올바른 명문대 사람들이.
    요새는 점점 바뀌어 가고 있다지만 아직 저런 마인드를 가지고 사는 사람은 소수파고 동정의 눈초리를 받아 기분 나쁘기 십상임.

    • @mister90
      @mister90 4 ปีที่แล้ว +41

      ㅇㄱㄹㅇ ㅋㅋㅋㅋㅋ 20 초중반 애들이 어른들하는거 그대로 보고 자라서 그대로 함.. 개성을 존중받지 못하는 애들이 스스로 개성 깔아 뭉개면서 살고 있고, 자기가 그런 세상 만들어가고 있다는걸 인지조차 못하는 무서운 현실.

    • @user-om2xx8ob9t
      @user-om2xx8ob9t 2 ปีที่แล้ว +1

      완전 공감이요ㅠㅠ
      그럴때 너무 답답해요
      근데 초딩들도 그러더라구요
      해외여행 어디어디 가봤냐
      자기네끼리도 방학때 해외 어디갈거냐
      이게 당연한 관심사인가봐요ㅜ
      저한테 친하지도 않은 분이
      소개팅시켜주고싶다고
      당연히 아파트는 있지? 위치는 어디야? 부모님은 뭐하시냐고하시는데
      그분 수준이 보여서 너무 실망스럽고 기분이 더럽더라구요

    • @user-yp9ot4kt6j
      @user-yp9ot4kt6j 2 ปีที่แล้ว

      맞아용ㅠ.ㅠ

  • @yoochan2499
    @yoochan2499 6 ปีที่แล้ว +472

    나는 유시민씨의 상대적 비교에 대한 예에 대해서 동의한다. 그게 한국사회의 가장 큰 문제. 일생을 불행하게 끝내는 원인이라고 본다. 내가 어떻게 살고자 고민하기보다, 찾기보다, 주어진 주입된 가치관에 개개인도 맞춰서 살아왔고, 한방향만 제시된 삶을 살아온 획일주의의 결과가 아닐까?

    • @sunghyunlee8865
      @sunghyunlee8865 6 ปีที่แล้ว +62

      ㅇㅈ합니다. 외국에서 살다가 한국 여행오면 진짜 너무 바쁘고 경쟁 심하고 좀 삐죽삐죽 어불어불거리면 쉽게 짜증내고 눈치보게되네요ㅠㅠ 참 한국이 편리함은 최강이지만 그 편리함의 대가가 바로 열심히 빡쎄게 살아야된다는것...

    • @user-ou9hl9sv5o
      @user-ou9hl9sv5o 4 ปีที่แล้ว +2

      @@sunghyunlee8865 모든것이 완벽할수는 없군요

  • @HAYU_Family
    @HAYU_Family 2 ปีที่แล้ว +75

    알쓸신잡 정말 좋아요..!! 이 세상에 살면서 필요한 고민과 생각이라 좋고, 나오시는 분들의 생각도 많이 도움 되네요 :)

  • @user-vl8bu6uc4n
    @user-vl8bu6uc4n 2 ปีที่แล้ว +65

    남과 비교하며 발버둥치는 모습에서 불행을 느낀다는 유시민 작가님 말에 너무 공감해버리면서 동시에 위로까지 함께 받는 기분이었어요… 오늘도 나는 나에게 너무 각박했구나 싶기도 하고 남과 비교하는 것이 아닌 나 자신 자체에 대한 긍정의 에너지를 키우기 위해 오늘도 노력하겠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

  • @saycluaa
    @saycluaa 4 ปีที่แล้ว +16

    2:14 유희열 SM 방문기 마지막편 감독판에서 볼 수 있을 줄 알았는데 못봐서 참 아쉬워요.

  • @user-il5hf7vp9k
    @user-il5hf7vp9k 2 ปีที่แล้ว +141

    유시민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외국 나가 살아봤고 여러 선진국 복지 시스템 비교도 해보는데 한국이 그리 못살거나 후진 수준은 절대 아니다. 한국은 이제 무한 경쟁에서 조금씩 벗어나 삶의 질과 가치에 점차 촛점을 맞춰 사는 방향으로 나가는 중이라고 본다

    • @user-ddrtye3_TV
      @user-ddrtye3_TV ปีที่แล้ว

      삶의 가치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말에 공감합니다

  • @user-cc9mj6dw9i
    @user-cc9mj6dw9i 2 ปีที่แล้ว +21

    저런분들의 얘기를 듯고 공감할수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넘 좋아요

  • @ggggol99
    @ggggol99 ปีที่แล้ว +2

    요즘 코로나때문에 많이 힘들었는데 이 영상을 접하고 많은 힘을 얻어요. 어떤삶이 저에게 큰힘이되고 어떻게하면 제게 어떤것이 도움을 주고 행복을 같다주는 지에 대한 생각을 주어서 너무 좋았어요. 너무 유익했어요

  • @user-nf5ti6sz4c
    @user-nf5ti6sz4c 4 ปีที่แล้ว +13

    근데 인정못받고,돈없어도 행복하게 힘들다..비교를 안 한다는 것도 힘들고... 물론 긍정적인 사람도 있는데 대부분 사람들은 마음을 굳게 먹어도 어느 순간 불쑥불쑥 튀어나오고 그 감정이 괴롭다.

  • @user-mk7qj4tr8n
    @user-mk7qj4tr8n 4 ปีที่แล้ว +21

    난 그냥 타인말고 내 자신과 경쟁하는 삶을 살고싶은거 같고 그게 내행복 같음

  • @user-vn7fl3cg9n
    @user-vn7fl3cg9n 3 ปีที่แล้ว +7

    세상이 정해놓은 기준에 나를 비교하면 불행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는 게 중요한것 같네요..
    다들 행복해 보여도 사람들은 저마다의 인생의 짐을 짊어지고 살아가는 것 같더군요..
    행복을 할 줄 아는 사람이 행복하다고 합니다. 🍵

  • @tmxkfldna750
    @tmxkfldna750 ปีที่แล้ว +14

    지금의 한국 사회는 성장하고자 하는 욕망은 예전 INF시절과 비슷한데 전처럼 급격한 성장은 안되는 상황이라 더 괴로운 시점이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부모세대처럼 어거지로 노력해서 좋은 직장에 취직할 수 있는 시대도 아니고 무언가에 피땀흘려 고생해도 그만큼의 보상을 받기 어려운 환경인 것 같아요

  • @paulcezann2923
    @paulcezann2923 2 ปีที่แล้ว +6

    난 저 파란 하늘만 봐도 참 행복하다. 후덥할 때 잠깐 스쳐가는 설렁 바람에도 나는 너무 행복하다. 내가 행복하다고 생각한 순간 나는 이미 행복하다. 내가 뭘 하든 뭘 입든 뭘 먹든 간에 상관없이...

  • @pineappletree8893
    @pineappletree8893 2 ปีที่แล้ว +10

    사회에 나가 열심히 일하고 치이고 발전하고 배우고, 가족들과 만나 각자의 생활속의 스토리를 공유하고 같이 먹고 마시고…. 그게 난 행복이다.

  • @Entp363
    @Entp363 ปีที่แล้ว +55

    와 진짜 개인적으로 이런 프로 너무 좋네요
    저도 책도 더 많이 제대로 읽고 지적인 면과 어느 정도 직위도 잘 갖춰서 꼭 저렇게 훌륭한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고 싶습니다
    다들 화이팅!!!

  • @user-tx5rc2eh7p
    @user-tx5rc2eh7p 3 ปีที่แล้ว +10

    학생도 취준생도 행복을 느끼는 세상이 되어야한다고 시작된 얘기가 갑자기 자족하는 삶이 답이라는 쪽으로 가네.
    이야기의 시작은 사회 시스템에 관한거고 자족은 삶의 철학에 관한건데 말입니다.

  • @user-jd5rv7io5u
    @user-jd5rv7io5u 3 ปีที่แล้ว +26

    행복을 수중에 넣는 유일한 방법은,
    행복 그 자체를 인생의 목적으로 삼지 말고
    행복 이외의 어떤 다른 목적을 인생의 목적으로 삼는 것이다.
    -존 스튜어트 밀

    • @user-jd5rv7io5u
      @user-jd5rv7io5u 2 ปีที่แล้ว +6

      @@user-di5li9lp4s 조금 더 풀어서 이야기하면, 행복은 의도적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내 삶에 몰입하고 충실히 살아갈 때 부산물로 얻어진다는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bs7gu3nc7u
      @user-bs7gu3nc7u 2 ปีที่แล้ว

      철학도 ㅋㅋ 닉바꾸라

    • @user-gl8de7dm7w
      @user-gl8de7dm7w 2 ปีที่แล้ว

      공감해요 행복한가 아닌가의 추상적인 느낌만의 기준으로 인생을 나누면 자신이 서고 걷고 뛰어도 갈 수 있는 영역에 언젠가는 한계가 있다고 느껴요

  • @user-hr4sy5ri3x
    @user-hr4sy5ri3x ปีที่แล้ว +20

    잘 산다는 것. 이 뭘까
    꼭 돈만으로 치부해버릴 수 없는데.
    잘 산다고하면 마치 부자를 떠올리는
    지금 사회 통념들과 유연하지 못한 우리 현실이
    너무 안타깝다.
    모든 것은 마음에 달려있음을.
    힘들 때일수록 나를 들여다보고
    나를 정성껏 돌보고
    나에게 가치있는 것들에 집중할 수 있기를.
    뭐든 본질을 보자.
    군더더기는 걷어내버리고.

  • @teammadmax4905
    @teammadmax4905 ปีที่แล้ว +6

    지상 최대의 난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행복한삶이 란 어떤것인지 .. 물론 객관적을 정량화된 기준은 널리 있다 생각했지만 이영상을 보고 또 다르게 생각하게 되네요 인생이 뭔지 삶이 뭔지를 조금더 ㅅ액가할수 있게 자극 해주고 지식인의 생각을 엿볼수있는 좋은 회차였습니다.

  • @user-re6xp1qx8y
    @user-re6xp1qx8y 2 ปีที่แล้ว +33

    유희에 관한 유튜브만 보다가 (그게 나의 사회적 스트레스를 줄여줄줄 알고)
    심리적인 채움이 필요해 보게 된 영상인데 댓글들이 대부분 수준있고 격려하는 답글들이 많아서 너무 보기 좋네요..
    성인들도 역시 댓글을 많이 단다는걸 느꼈습니다~♡

  • @user-yr5jz9wr8f
    @user-yr5jz9wr8f 2 ปีที่แล้ว +14

    유희열은 상대방의 의견을 맞서지않고 부드럽게 답을해주네요 어느조직이나 중간에 저런 유한 사람이 필요한듯요

  • @saram0612.
    @saram0612. 3 ปีที่แล้ว +21

    아니 아조씨들;; 나 자야되는데 왜 자꾸 재밌는 얘기해줘;;

  • @user-hk5dt5xn1h
    @user-hk5dt5xn1h 2 ปีที่แล้ว +45

    와...@.@.좋은말들이다..
    배운사람들의대화..현실엔없지만
    티비에서라도 들으니..너무 좋네요..

    • @user-oq8xr2oz2x
      @user-oq8xr2oz2x 2 ปีที่แล้ว

      맞아요.현실엔 존재하지 않죠

  • @user-re2db1zi2h
    @user-re2db1zi2h 2 ปีที่แล้ว +3

    이런 건강한 토론을 보고 듣고 싶어요~

  • @jjy656
    @jjy656 2 ปีที่แล้ว +78

    행복이 무엇인지 엄청 알고 싶어서 책도 읽고 인터넷도 찾고 했는데 이게 정답이라고 생각해요.
    행복 = 건강 × (가진 것 / 원하는 것)

    • @amorffatti
      @amorffatti 2 ปีที่แล้ว +1

      @@user-ch7jz4cx1o 유시민한테 무슨 깊은 원한이라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따라다니면서 내용없는 욕설배출하네 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yt7tw1pq2m
      @user-yt7tw1pq2m 2 ปีที่แล้ว

      나...이거 모고에서 봤어...

    • @thinsilkconehat
      @thinsilkconeha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yt7tw1pq2m평가원 영어 빈칸 문제였나

  • @user-eq8qp6su5l
    @user-eq8qp6su5l 3 ปีที่แล้ว +40

    와 봐도 봐도 좋다. 대한민국 각계지식인들의 수다

  • @user-zd8os2rd6q
    @user-zd8os2rd6q 3 ปีที่แล้ว +7

    주제가 어떻게 사는 삶이 행복한 삶인가인데, 물론 각자 마음의 문제이지만 그래도 배우고 가진 사람들이 어렵게 사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면 더 행복하고 좋은
    사회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 @user-gg5lt7xr9k
    @user-gg5lt7xr9k 2 ปีที่แล้ว +18

    살아간다는 거 자체가 정말 기적인 동시에 행복이죠!! 살아갈 수 있음에 감사하고....이 좋은 세상에 살아가는 것이 저는 정말 좋아요. 하늘만 봐도 행복한 걸요. 또 부모님과 함께 있을 수 있는 것도 행복이고요^^ 그래도 원하는 대학 붙으면 더 좋을 듯 ㅎㅎ 😭

  • @user-ny6il8zb3t
    @user-ny6il8zb3t 4 ปีที่แล้ว +38

    혹시 저 유시민씨가 입고계신 후드티,,어디 브랜드인지 아시는분 있나요

  • @user-cl5es2bo3k
    @user-cl5es2bo3k 3 ปีที่แล้ว +18

    우리나라 경제가 짧은 시간만에 이렇게 된것은 서로를 이기고 1등이 되려는 욕망과 비교와 경쟁으로 인해 발전 했을진 몰라도 우리나라의 정신병은 지금이 제일 높다. 공황장애란 병도 생긴지 얼마 안됬다.
    무엇이 본질인가? 무엇이 정말 행복인가? 타워팰리스에서 사는것이 정말 행복인가? 좋은 차를 끄는것이 행복인가?
    멏십년 전만해도 '정'이 있는 시대였다. 반지하에 살아도 이웃과 서로 이야기를 나누며 함께 식사하고 장을 보고 자신의 것을 나누어 주며 그 안에서 행복을 느끼고 정을 느끼며 살아가는 시대였다. (초코파이 '정' 이라는 CF가 기억이난다..) 지금의 시대는 냉소적이고 이기적이며 자기를 사랑하는 시대이다. 나의 유익과 만족을 위해, 더 높은 명예,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이웃을 짓밟는 시대이다. 내꺼,내꺼 나,나,나, 내가 먼저!하며 자신의 그릇을 점점 더 좁히는 시대이다. '대인배'라는 단어는 어느새 사라진것 같다. 어떻게 살아가야할지 몰라서 고작 눈앞에 보이는것에, sns에서 보이는 친구들의 모습을 보며 비교하고 경쟁하는 이 뫼비우스띠와 같은 욕망에 사로 잡혀서 살고 있다. 이렇게 사는것이 정말 행복한가? 행복하다고 느끼는가? 순간은 행복할 수 있다. 근데 잠시 뿐이다. 그 끝은 결국 공허할 뿐이고 헛될 뿐이다. 이것이 심할 경우 정신병에 걸린다.
    무엇이 진정한 행복인가? 행복의 기준이 나의 유익을 위한 삶이 아니라 행복의 기준과 가치관 자체가 이웃의 행복을 위한 삶일때 진짜 행복이 시작된다. "이게 말이 되냐"라고 할 수 있지만 말이 된다. 나의 욕심과 욕망을 잠시 내려놓고 이렇게 살아보면 껍데기가 아닌 진짜 내 마음속 깊은곳에서 행복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지금까지 경제성장만을 위해 살아왔던 우리나라였다면 지금 우리나라에 정말 필요한것은 서로를 내 몸과 같이 사랑하는 '정'이 필요한 시대이다.

  • @mijinjo1857
    @mijinjo1857 3 ปีที่แล้ว +5

    알쓸신잡 실시간 스트리밍 해주세요 ㅠㅠ
    24시간 정주행 할뜻 ㅜㅜ

  • @user-ex9fm2rr3r
    @user-ex9fm2rr3r 2 ปีที่แล้ว

    이 이야기를 듣고 정말 유익하 시간을 보냈내요
    감사합니다

  • @user-tw2du9yz2c
    @user-tw2du9yz2c 3 ปีที่แล้ว +38

    나중에 저런 깊이있는 대화도 할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음 좋겠다

  • @user-nh2zv1yz3z
    @user-nh2zv1yz3z 2 ปีที่แล้ว +7

    어릴 때는 행복하게 사는 것이 목표였는데 어느 순간부터 행복만을 바라볼 수는 없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무언가를 얻으려면 무언가를 버려야 한다는 사실에서 모든 걸 다 선택하는 완벽한 행복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제 생각에는 계속 고민하는 것이 행복해질 수 있는 유일한 답이 아닐까 싶네요. 좋은 말씀들 감사합니다.

    • @jinyoung4166
      @jinyoung4166 2 ปีที่แล้ว

      이미 행복을 느끼시면서 좀더 많은 행복을 위해 가시는 길이 아닐까요?
      초심

  • @user-rn8fy1kj2z
    @user-rn8fy1kj2z 2 ปีที่แล้ว +10

    2022년 1월에 이영상을 보고있습니다. 원래 알쓸신잡을 좋아했던 사람으로서...20대 중반이 되어 영상들을 다시보니 새롭네요. 지루해서 건너뛰었던 부분들과 너무 정치적이지 않은가? 하고 넘겼던 부분이 이젠 흥미롭고 호기심이 생겨 찾아보고 있네요.
    .
    .
    .
    행복하게 살고싶다 생각은 하는데 행복이라는게 항상 저에게는 끊임없는 질문이고 무엇인지 궁금해지는 단어네요. 몇년전만 해도 새해 소망은 내 행복함을 말하는 것 보다 다른 사람의 행복함을 듣는 삶을 달라했는데 올해는 내가 행복해지려고 하니 이런 영상들이 눈에 들어오네요. 오랜만에 깊은 생각을 할 시간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the.bugs.bunny.
    @the.bugs.bunny. ปีที่แล้ว +87

    누가봐도 사회적으로 명예도 있고 돈도 충분히 많은 사람들이 이런 논의하면서 행복은 각자 생각하기에 달렸다라고 말하는건 공감이 잘 안가는게 솔직한 제 마음이에요 저와 같이 매월 200만원 벌면서 하루종일 회사에 얽매여있는 삶을 살아도 그럴수있을지 궁금해요

    • @user-so6ph5cc9q
      @user-so6ph5cc9q ปีที่แล้ว +29

      솔직하게 행복의 기회로 봤을 때 돈과 시간은 좀 많이 중요하다고 봐요 비행기타고 해외로 놀러가서 호텔에 살고 레스토랑에서 밥먹고 좋은 차 타고 그게 행복이라고 생각한다면 돈도 시간도 많이 필요해요 근데 집에서 손으로 뭘 만들거나 차를 마시는 걸 좋아하거나 산책하는 거 음악듣는거 그런게 행복이라고 느낀다면 비교적 외부요인이 부족해도 괜찮겠죠
      유시민 작가님은 마냥 사회적 문제도 마냥 마음의 문제도 아니라고 하셨는데 저도 동의하거든요 마냥 돈과 시간, 사회 구조의 문제라면 내가 행복해지기까지 너무 오래 걸리고 행복해질 수 있을지 분명하지 않아요 날 불행하게 하는 그 구조가 언제 바뀔지 불투명하니까요 그러나 마냥 마음의 문제라고 보기에는 야근을 안할 수 없고 돈을 많이 벌기 위해서 드는 기회비용도 사실 너무나 크고 그런 사회 구조 문제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거죠
      그래서 중요한 건 나를 아는 거예요 내가 행복해지려면 내가 뭘할 때 행복해지냐를 찾아보는 거죠 놀러가고 차사고 그런 여건이 안된다면 조금 더 소소한 행복을 찾아보는 거죠 밥먹고 달달한 후식이 날 행복하게 한다거나 비오는 날에 파전 먹는게 행복이라거나 길가다가 보이는 꽃이 예뻐서 즐겁다든지 여러가지가 날 행복하게 할 수 있죠 다만 남에게 피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요 일상에서 조그만 행복들을 하나씩 찾아보셨으면 좋겠어요 점심시간에 5분 정도 잔다거나 그런 사소한 것 부터요
      그리고 거시적으로는 .. 정치적으로 내 행복에 필요한 정책을 내도록 목소리를 내고 행동해야겠죠...
      어디서 들은 말인데 행복은 크게 보면 절망에게 진대요 오늘 하루는 행복했다 이렇게 보면 절망이 행복보다 압도적일 수 있는 거죠 그러니까 오늘은 좀 자주 행복했어 라고 빈도의 문제로 봐야 한다는 거예요
      그러니까 제가 하고 싶은 말은 가능한 선에서 나를 행복하게 하는 것들을 많이 찾고 자주 행복하셨으면 좋겠어요 안되는 것보다 내가 할 수 있는 것들에 조금 더 집중하셨으면 좋겠어요 때론 내가 바꿀 수 없는 문제도 분명 있어요 그런데 바꿀 수 없는 것들에 매몰되면 끊임없이 지옥이더라구요 날 불행하게 하는 것에 너무 오래 골몰히 고민하지 않아도 되더라구요 그렇다고 회피하는 것도 좋지는 않지만요 .. 참 어렵지만 어쩔 수 없죠 뭐든 어떻게든 굴러가겠죠!

    • @unfuhahaha
      @unfuhahaha ปีที่แล้ว +12

      그렇긴 한데 저 양반들 모두 금수저도 아니고 어떤 분은 감옥까지 가서 세속적으로는 인생 쫑났다고 여겨지는 순간까지 지나쳐온 사람들의 축척된 얘기이니 받아들여도 되실겁니다. 재벌 2세들이 저런 얘기하면 웃기지마라라고 하겠죠.

    • @user-xz8uj2ve5s
      @user-xz8uj2ve5s ปีที่แล้ว +2

      저분들도 처음부터 명예나 부가 있던것도 아니고 비교하자면 늘 나보다 명예나 부가 있는사람에 비하면 자신이 부족한거죠.

    • @alaaala
      @alaaala ปีที่แล้ว +1

      공감해요

  • @user-uu3pl4hk8y
    @user-uu3pl4hk8y 4 ปีที่แล้ว +56

    최근 몇년간 급속히 형성된
    가치의 획일화
    (돈 권력 외모 학력)의 절대가치화
    이로 인한
    비교. 욕망. 좌절이
    불행한 사회를 만들었다고 봐요.
    ㅡ천박한 사회분위기
    ㅡ승자독식 사회
    가 문제라봅니다

    • @worldwide4242
      @worldwide4242 4 ปีที่แล้ว +7

      @@milk-zy3ky 기본 욕구 아니고 사회가 만들어 낸 시스템 맞아요. 그 안에서 남보다 더 잘 살고 싶다는 욕심으로 채워가고 있는거죠. 물질만능주의 시대 속에서 어떻게 하면 더 건강한 마인드로 잘 살 수 있는지에 고민하는 영상을 보시면서 그걸 개인보고 노력해서 취득하라는 답은 방향성이 맞지 않는 것 같습니다.

    • @user-dp4dh2sg9d
      @user-dp4dh2sg9d 3 ปีที่แล้ว

      @@milk-zy3ky 애쓰지마삼 이해할 지능이 있었으면 저런 댓글 쓰지도 않음

  • @aef215412
    @aef215412 4 ปีที่แล้ว +5

    자기 삶에 만족하며 산다라는 생각을 하고 있는 사람들은 소득이 그리 좋지는 않지만 가진 것에 만족하며 사는 사람들이 대다수인거 같아요
    실제로
    이런 얘기를 듣고 맞는 말이다 라는 느낌보다 실제로는 이런 말이
    자신에게 위로가 되는 말이지 않나요 ?

  • @user-uq2kt7km3d
    @user-uq2kt7km3d 3 ปีที่แล้ว +2

    마음이 편안하고 정말 마음이 편안했으면 좋겠어요 혼자 있어도 재밌고 혼자서도 온전한 사람이 되고싶어요

  • @Okokok000
    @Okokok000 ปีที่แล้ว +2

    그냥 지금의 소중함을 아는것 …
    어떤 상실감이나 좌절을 맛보고 다시 금방 털고 힘낼수있는 힘을 기를수 있게 사는 것

  • @deebrad1601
    @deebrad1601 4 ปีที่แล้ว +76

    우리나라는 특히나 돈 없는 사람이 더욱 살기 힘든 사회적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회 탓만 해서는 해결되는게 없어요. 사회적 구조라는게 결코 단기간에 바뀌는게 아니기 때문에..
    결국은 내가 불리한 위치에서 시작하더라도 조금 더 노력해서 극복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 @jlee3361
      @jlee3361 4 ปีที่แล้ว +8

      진짜 다행인게 요즘 온라인 플랫폼들이 기존에 있던 유리천장을 많이 깨는 역할을 하고있다는거죠

    • @hsl-eh3fp
      @hsl-eh3fp 3 ปีที่แล้ว +3

      미국 가면 돈 없으면 병원 입구도 못가고 죽는데..

  • @user-ir8zy7mc8q
    @user-ir8zy7mc8q 4 ปีที่แล้ว +85

    사람들은 답을 원한다.
    만고불변의 진리를 원하지만
    인생에 답은 없다.
    스스로 생각하고, 책을 읽고, 타인들과
    토론하면서 세상에 존재 하지 않은
    그 답을 찾아가는
    그 길이 인생일뿐이다.
    그래서 토론하고 생각 나누는 알쓸신잡이
    재미있는거고 시즌 4를 기다리는 거다

  • @wygdkid720
    @wygdkid720 2 ปีที่แล้ว +1

    좋은 주제로 나누는 대화들~~ 27청년인데 요즘 인생을 관통하는 키워드가 듣고싶었어요 흥미로운 얘기들인데 짧아서 좀 아쉽네요ㅠ

  • @user-ty2gi2cj1l
    @user-ty2gi2cj1l 2 ปีที่แล้ว +5

    행복은 사람마다 다른 것 같애요. 누구는 조용한 시골에서 살고 싶은 사람이 있고, 누구는 사람이 많은 도시 한가운데서 살고 싶어해요..
    욕심이 있는 사람은 그걸 가지려고 노력하는 순간이 행복한 순간이고. 욕심이 없는 사람은
    일상생활이 행복한 순간이에요.
    하지만, 욕심은 있는데 노력을 안하고 가지려고만 하면 힘들어지죠.

  • @hh-oq7xs
    @hh-oq7xs 4 ปีที่แล้ว +79

    비교하는순간 힘들어짐

  • @user-hx6eo5wi4l
    @user-hx6eo5wi4l 3 ปีที่แล้ว +7

    지밖에 모르는 삶은 우선 잘사는것처럼 보여도 서로에게 지옥임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상대를 위하는 삶으로 바꿔야됨

  • @lavita6928
    @lavita6928 2 ปีที่แล้ว +7

    유희열 말에 공감하네요 욕망의 종류는 다 다르다는 것 돈으로만 치환하긴 힘든 거

  • @xmen2088
    @xmen2088 ปีที่แล้ว +3

    본질? 무슨 본질? 이거 내가 진짜 좋아하는 프로그램이야. 때돈 벌어서 잘나가고 싶었어? 아니면 자존심 때문이야?

  • @dashayogalove
    @dashayogalove 3 ปีที่แล้ว +6

    외부의 물질적인 조건이 아무리 풍요롭게 갖춰져도 우리가 우리 자신한테 대하는 것이 달라지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살아있는 모든 것은 존재하기에 소중하고 귀중한.. 그러기에 값진...
    자신을 소중하게 대하시기를...
    모든 것은 자신 안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 @udrking
    @udrking 2 ปีที่แล้ว +19

    가진게 많으신 분들이 현실에 만족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것으로 열띤 토론을 하는게 참 재미있네.

  • @ekk22
    @ekk22 2 ปีที่แล้ว

    이거보고 우울해서 힘들었는데 행복해졌어요 감사합니당

  • @user-qc3zr3my8n
    @user-qc3zr3my8n 3 ปีที่แล้ว +1

    감성 지성이 함께 빛을 뿜을때에 그에 공감되면 사람들이 함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