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떻게 8시간씩 일하는가❓ '자기 착취'의 시대가 된 21세기 인류의 '가짜 노동'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7 ก.ย. 2023
  • 티빙에서 스트리밍 : tving.onelink.me/xHqC/30a78d6f
    #알쓸별잡 #알아두면쓸데없는지구별잡학사전
    #장항준 #김민하 #이동진 #유현준 #김상욱 #심채경
    지구별 수다여행 6일 차
    별난 지구, 별난 도시에서 펼쳐지는 소중한 우리 지구 이야기!
    〈알아두면 쓸데없는 지구별 잡학사전 - 알쓸별잡〉
    🌟매주 [목] 밤 10:30 방송 | tvN
    #티빙에서스트리밍
  • บันเทิ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8K

  • @zyxwvutsrqpon_lk_ihgfedcba
    @zyxwvutsrqpon_lk_ihgfedcba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100

    솔직히 4시간도 길다 ㅋㅋ 사무실에 앉아있으면 내 삶을 죽이는 느낌이 든다. 근데 내 몸뚱아리를 살릴라면 앉아 있어야 되고. 참 아이러니다. 나를 살리기 위해 나를 죽이는 시간들.

    • @katkk43
      @katkk4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9

      내 말이요😂
      제발 출퇴근 한시간씩만 까주세요
      그럼 효율 2배 될 듯

    • @sound9577
      @sound957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아직까지는 몸뚱이 유지 > 개인 삶

    •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5

      제일 건간하던 시절 수렵채집을 했어야. 농업을 하면서 정기적인 일의 개념을 알았고 건강은 더 나빠지고 수명도 더 짧아짐. 요즘은 그걸 약으로 붓잡아 놓는 현실.

    • @ysin9106
      @ysin9106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노동 힘들어요.

    • @nationwide2593
      @nationwide259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7

      인생이 루저네 그런생각이 들면 바로 그만둬 시간하고 돈하고 바꾸지말고

  • @jung464
    @jung46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60

    일을 효율적으로 빨리 끝내면..
    일잘한다고 다른일도 주는 우리문화^^..

    • @user-gp7pq4xb2c
      @user-gp7pq4xb2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7

      ㅇㅈ 그래서 일부러 삘리 안끝내지 빨리 끝낸다고 쉬는게 아니니까

    • @akeiakeh4555
      @akeiakeh455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일 더해서 연봉을 올립시다

    • @ppuzza
      @ppuzza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이거죠..ㅠ

    • @bosedigit
      @bosedigit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어디나 그래요 그래서 프리랜서 합니다만 대부분의 70%는 그럴 능력이 안됨

    • @user-vc6oz8lf9b
      @user-vc6oz8lf9b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ㄹㅇㅋㅋ눈에안띄게 ㅍㅌㅊ가 무조건최고임
      일잘하면 일을 더줄뿐 ㅋㅋ

  • @knowyourdesire
    @knowyourdesir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23

    9 to 6는 인간이 만들어낸 허상일 뿐이고,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생산성이 이렇게 높아졌는데 왜 아직도 8시간 근무를 당연시하는지 늘 의문스러웠어요. 집중해서 일을 마친 후에 시간이 남아도 늘 눈치를 보며 뭔가를 하는 척, 바쁜 척하는 우리네 모습이 노예가 아니고 무엇이겠어요. 추가로 '일하지 않을 권리' 책 추천합니다!

    • @aaaa-bb5qe
      @aaaa-bb5q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

      그나마 일을 하니까 이정도 먹고 사는겁니다. 주 5일? 주 4일이요? 퇴근 후 여가 시간이요? 우리는 산업혁명이 있었기에 여가 라는 시간을 누리고 있는겁니다. 과거 인간에게는 지구상 대부분의 생명체와 마찬가지로 여가 라는 시간 자체가 없었습니다. 인간은 지구상 있는 생물중에 유일한 여가를 누리는 생물이며 우리는 지구에 있는 모든 인간들 중에 언제든지 일자리를 구할 수 있는 상위권의 나라에 살고있는겁니다. 그 상위권의 타이틀은 노동생산성을 유지 해야 유지가 되는거고 그게 하위권이 되면 일하고 싶어도 일 못하는 강제 여가 생활과 아이폰을 500만원에 주고 사야하는 사태가 일어날겁니다.

    • @aaaa-bb5qe
      @aaaa-bb5q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우리는 불공정 덕분에 이정도 생활이 가능한겁니다. 만약 후진국의 값 싼 노동력과 한국의 노동력이 장벽 없이 경쟁한다면 한국사람은 수많은 일자리를 잃겠지요. 그렇기에 외국인 노동자의 체류를 경제 상황에 따라 조정 하고 있는겁니다. 그 조정(불공정)을 없애 버리면 우리는 공정 속에서 진짜 경쟁이 무엇인지 실감하겠지요.

    • @user-sg5cj8cv5h
      @user-sg5cj8cv5h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9t6이하 급여로 생활이 가능하다면 저말이 옳을지도 모르지만 대부분은 9t6의 급여도 모자라서 맞벌이에 투잡러도 있는마당에 너무 단편적인 이상을 현실에 외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 @houstoncity
      @houstoncit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aaa-bb5qe단위시간당 노동생산성 이야기하고있는데 갑자기 뜬구름잡는 공정성 이야기를 하네. 논점파악좀 부탁드립니다요. 그리고 후진국의 막대한 값 싼 노동력에 경쟁성을 갖추려면 국민 1인당 생산하는 가치, 생산성을 늘릴 생각을 해야지. 한국인들의 업무를 보면 절반은 커피담배, 잡담, 스마트폰, 인터넷쇼핑, 멍때리기다. 쓸 때 없는데 시간 쓰는걸 일, 노동이라고 포장하고있지. 현실은 그냥 시간버리기 그 자체인데. 이런 허례허식, 쓸 때 없는 가짜노동을 줄이고 진짜 업무에만 시간을 쓰고 자기 업무끝냈으면 퇴근하고 자기개발이나 여가, 아니면 진짜 다른 업무같은 가치있는 활동에 더 시간을 쏟는문화가 만들어져야된다본다. 한국은 민족특성인지 몰라도 예로부터 쓸때없는 허례허식이 너무 많다.

    • @dhbc6354
      @dhbc635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0

      @@aaaa-bb5qe 산업혁명 때문에 여가를 누린다는 말을 하다니 ㅋㅋ 거의 일제 때문에 한국의 근대화가 빨라졌다와 동급이네

  • @chipmunkmoleskin1033
    @chipmunkmoleskin103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6

    높은 자살률은 우리가 자꾸 접하다보니 그 무게를 잊는데 결코 가벼운 일이 아닙니다.주변 노인, 젊은이가 갑자기 죽으면 사고도 뭐도 아니고 자살일 확률이 높다는, 정말 말도 안되는 일이죠. 안그래도 촘촘히 살아가며 남 눈치 어느정도 봐야하는 한국에서, 이제는 좀 개개인의 행복을 돌아보는 제도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과잉 경쟁은 독입니다... 전에는 옳았어도 지금은 아닙니다..

    • @bluec0w992
      @bluec0w99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지금도 경쟁이 최고 가치로 여기시는 어르신들 댓글 다른 유튜브에서 봤는데(2030 저출산 ,취업난이 노력이 부족해서 능력이 부족해서 그렇다.) 볼때마다 희망은 없는거 같아요

    • @GGolfemiKimchiboGDetector
      @GGolfemiKimchiboGDetecto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bluec0w992 ㄹㅇ 칼들고 협박해야 할듯 ㅋㅋㅋㅋㅋㅋㅋ

    • @user-ib6bd8hq2x
      @user-ib6bd8hq2x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경쟁은 이제는 진짜 지양해야함..한국사회는 지금 과잉경쟁사회임 너무

    • @user-dm6vw2fx6x
      @user-dm6vw2fx6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한국이 과거에 너무 못살았기 때문에 국가성장에 집착하고 먹고사는 일인 무역 수출에 집착하고 그게 결국 경쟁을 과열시킴.. 찢어지게 가난한 가정에서 자란 사람이 돈돈돈 출세출세 거리는걸 보는거같음
      내 생각엔 지금보다 좀 늦게 발전해도 여유를 가져야할 때가 아닌가 하는 생각함
      하다하다 본인 스스로 자기보다 잘난 사람의 sns 염탐하면서 경쟁하고 있는 시대..

    • @Mystic99-1
      @Mystic99-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자살률

  • @user-vc9pf8gu4g
    @user-vc9pf8gu4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43

    한국회사 다니다가 미국회사에서 일하게 됐는데 처음에는 무조건 8-5 의자에 붙어있었어요 그래야하는건줄 알고..
    근데 다들 일 없으면 빨리 퇴근하더라고요 저도 점점 그렇게 됐고 일 많을 때는 늦게까지 하고 없을 땐 대충 마무리 하고 가니까 효율이 더 좋더라고요
    자기 일만 잘하면 출퇴근시간 휴가 병가 쓰는거 아무말도 안하고 지금은 재택근무로 출퇴근 준비시간 기름값 다 아끼니 좋네요 주위 한국회사 다니는 친구들은 사장들이 재택 절대 못하게 하고 일없어도 무조건 5-6시까지 앉아서 버티다가 오는데.. 일 죽어라 하던 문화가 아직 남아있어서 그런듯 해요 분위기가 바뀌어야 한다고 봅니다 지 할일만 잘하면 터치 안하는걸로.. 그대신 일 못하면 짤리는것도 각오해야하구요

    • @user-mx1rk4xb1d
      @user-mx1rk4xb1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6

      그게 진짜 좋은거고, 능력에 따른 차별화가 그렇게 시간이던 연봉이던 엄청난 격차로 있어줘야 각자 발전할 욕구가 생기는건데 이 나라는 극도로 경직된 노동법을 가지고 있어서 회사를 그렇게 못 굴립니다. 회사 힘들어도 직원 한 번 뽑아두면 자르기 진짜 힘들어요...

    • @user-up1hm9ie9y
      @user-up1hm9ie9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우리나라는해고를 못하니;;

    • @triump3411
      @triump341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IT프로젝트 했는데 토요일, 일요일에도 야근하고 어떤 주말에는 밤 꼴딱 새고 일하고 그랬는데. 진짜 파견 업체 갈아 넣는 노동환경. 추석에도 하루만 쉬고 나오라고 하고 삼성계열 그 직원들은 돌아가면서 나와서 감시하더라.
      진짜 더러워서 외국 나왔더니 일년 휴가만 근무일 기준으로 27일.
      한국이 살기 좋다는 인간들 이런거 경험 안해본 인간들.

    • @0kjuKim
      @0kjuKi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day2895 성실성으로 월급을 왜타가. 회사가 학교냐? 개근상주게?

    • @0kjuKim
      @0kjuKi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triump3411 ㅇㅈ..한국이 살기 좋다는 인간들 그냥 의자에 붙어서 기생하는 사람들.

  • @dgvdfpiu6205
    @dgvdfpiu6205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84

    직원들은 다 알고 있어요ㅜㅜ 근데 윗분들이 안바뀝니다. 진짜 너무 공감되는 말들을 잘 정리해주시니.. 좋은 내용감사합니다.. 일이 줄어든다면 가족과 지내는 시간도 많아져서 좋을 것 같아요.

    • @NaguKim
      @NaguKi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님도 윗분되면 그렇게 해요. 더 위. 정치인이 바뀌어서 기업들에게 노동시간 줄이고 기계화 자동화에 대한 가치를 독점하지 말고 직원들과 시간적 경제적으로 나누도록 강제하는 방법이 유일합니다.
      근데 우린 언론에 세뇌되서 뽑는 당만 뽑고 썩어가죠. 표심이 바뀌지 않아요. 북한처럼.
      좌든우든.

    • @user-di5nb3hp2x
      @user-di5nb3hp2x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가족과 지내는 시간도 많아서 좋다라...
      코로나 이후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이혼 가정이 늘어났다는 통계도 있던데...

    • @user-cr9sl3hi9i
      @user-cr9sl3hi9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user-di5nb3hp2x 코로나와는 다르죠. 그떈 아예 외부활동이 제한되었을때니까요

    • @user-di5nb3hp2x
      @user-di5nb3hp2x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cr9sl3hi9i 제가 그 내용을 본게 고미숙 고전평론가님의 강연에서였습니다.
      본질적으로 가족은 어떤 존재인가 하는 내용인가?였는데..
      우리들이 보통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적어서 문제다 소통이 문제다 해서 실제 가족들과 보낼 수 있는 시간이 많아진 코로나 시국엔 우리들 예상하고 다르게 갈등에 골이 더 깊어졌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내부 활동이 제한된것과 무슨 관계인지 모르겠는데 적어도 한국은 다른나라처럼 심하게 통제하지 않았습니다.
      저 역시 그렇게 심한 통제 받는 느낌도 없었고요.

    • @user-cr9sl3hi9i
      @user-cr9sl3hi9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di5nb3hp2x 다른나라처럼 심하게 통제하지 않았다니요. 중국을 제외하곤 모든 나라 통틀어 가장 심했죠.
      마스크 의무화에 백신을 안맞으면 식당에 입장조차 불가하고 대중교통도 이용할수없는 백신패스로 헌법 기본권리인 이동의 자유와 신체의 자유를 박탈했는데요.

  • @chumlee225
    @chumlee22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92

    진짜 깨어있는 상사 임원분 중 한명이 진짜4시간만 집중해서 일해도 회사입장에선 생산성있는거라고 말하셨는데 진심 공감함

    • @walehump7216
      @walehump721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그럼 그임원분하고 4시간 근무하는 회사 차려보시면 어떨까요?
      업무효율성도 높고 생산성도 높고
      우수인재도 모이고
      금방 대한민국 아니 글로벌 씹어먹겠는데요

    • @182mm
      @182m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ㄴ 말하는 싸갈탱이 봐라. 자발적 노예인증이네

    • @user-fn2pc7oz5g
      @user-fn2pc7oz5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0

      ⁠​⁠@@walehump72168시간동안 앉아있는 사람보다 4시간 집중하는사람이 더 도움된다는거겠죠
      그리고 어떻게 그런사람만 모으나요?
      하여간 꼬인생각만 할줄알고ㅋㅋ

    • @user-xs4ds6jc6g
      @user-xs4ds6jc6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user-fn2pc7oz5g4시간 집중하는 사람 모은다는게 왜 꼬인 생각이죠?

    • @freef2715
      @freef271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user-fn2pc7oz5g꼬인게 아니라 직접 차려보면 성공하는지 실패하는지 알잖아요.
      그런 회사가 없으니 통계를 내볼수도 없구요.
      진짜 생산성이 배로 는다면 그걸 참고로 다른 사업장들도 적용할껄요? 회사망할까봐 겁나서 적용못하는건데
      다들 잘나가는 회사를 보고 따라하니까 산업표준이나 평균근로시간을 맞춰 유지라도 하려고 하는거죠.
      4시간 근로하는 회사를 차려서 어마어마한 성공을 거두셨으면 좋겠네요. 그럼 그게 산업표준으로 자리잡을테니까요.

  • @TONYBOTTLE
    @TONYBOTTL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6

    나영석 PD가 그랬죠.
    1박2일때 소스영상 10개, 많아봐야 15개로 1억4천짜리 편집기 두개 돌려가면서 방송을 만들려면 일주일에 한번은 밤을 새야했다고.
    그러다가 컴퓨터 성능이 좋아지고 프리미어프로 같은 영상편집툴이 나오니 신세계를 맛보고 '밤샘은 이제 끝났다!!'고 생각했는데
    웬걸, 이제는 일주일에 이틀씩 밤새가면서 소스영상 150개를 편집하고 있다고...
    그런데 나영석PD가 만드는 프로그램이 잘나가니 모든 방송이 다 이제는 소스영상 150개씩 돌려가면서 찍습니다.
    다들 밤새가면서 편집하고...
    인간이 8시간씩 노동하게 만드는건 소비문화도 한몫하지만 인간사회가 너무 경쟁이 강한 것도 이유인듯.
    나는 4시간 일하는데 저쪽에서 8시간 일하면 내가 운영하는 회사는 망합니다. 시장은 한정적이고 냉정하니까...

    • @user-ut7tx9fn9g
      @user-ut7tx9fn9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세상에는 하루에 휴지 300개만 필요한데 로봇의 도입으로 400개가 가능하다면 4시간 8시간 인간이 노동하는건 의미가 없어집니다. 이런 얘기지요. 노동시간이 경쟁력으로 이어진 시대는 인간이 생산의 주체 였을때죠. 그게 로봇이라면 인간의 노동시간이 중요 할 이유가 없죠

    • @user-dm6vw2fx6x
      @user-dm6vw2fx6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ㅋㅋㅋ 그전보다 돈도 더 벌겟지? 통장으로 들어가는 돈도 똑같다면 뮨제가 맞음 근데 아니잖아? 더벌면서 무슨 착취당한다는 듯이 얘기함??

    • @Drstolzman
      @Drstolzm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ut7tx9fn9g그럴 것 같지만 지금까지 역사를 보면 조금은 다른 방향으로 흐르는 것 같습니다. 지금도 예전에 비해 많은 부분 컴퓨터가 일을 대신하고 있고 뛰어난 기술들이 인간을 대신해 주지만 오히려 인간이 필요한 자리가 더 많이 생겨났죠. AI로 많이 대체되어도 그만큼 인간이 필요한 일자리가 계속 생겨날 것 같습니다.

    • @user-ir9sb3uk1p
      @user-ir9sb3uk1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dm6vw2fx6x더벌지 못할 경우가 더 많음 수요보다 공급이 많아져서 경쟁이 치열해지는거니까.

    • @user-ir9sb3uk1p
      @user-ir9sb3uk1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물리적인 쪽은 편해질지 모르지만 (키오스크나 자동화기계) 예술 쪽 산업도 그럼. 원래 한작품 만드는데 몇십 어시스트 쓰는 점프 만화가에서 이제 2-3명으로 공장돌리거나 있는 어시도 3작품 4작품시키다가 3D나 소재 발전이 되면서 더 빠른 작업이 가능해지니 예전에는 10개 제작될거 100개 제작이 되고 아이디어는 딸려서 양산형이 팽배해지며 작가들은 예전보다 작품 2,3배를 만드는데 수입은 똑같음 특별한 작품을 만드는데 아닌 아류 2-3개가 빠르게 나와서 근데 특별한 작품도 제작이 빨라져서 경쟁이 심해졌음 사람들은 10개 있을때 10개 골고루 보겠지만 100개가 있으면 그중 10개만 보고 90개는 버려지는거임

  • @shsj7886
    @shsj7886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70

    난 예전부터 8시간 근무가 너무 많다고 느낌 늦지않게 30분 일찍도착, 밥먹는데 하루2시간, 출퇴근 준비 및 통근시간 평균 3시간까지하면 벌써 13시간반, 잠자는 시간 8시간 빼면 하루에 4시간 반 남음

    • @user-hndle
      @user-hndl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3

      저도 하루 9시간씩 근무하는데 한가한 날엔 일찍 보내줬음 좋겠음 쓸데없이 4시간 일할꺼 6시간으로 늘려서 하고 있는거 보면 뭐하는짓인가 싶음

    • @Gym_sweet
      @Gym_swee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

      맞아요 다 포함하면 정말 하루가없어지네요

    • @user-gr9oj6qt5m
      @user-gr9oj6qt5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1

      맞습니다 9-6 를 지키기위해 새벽 6시반에일어나고 집에 7시반에도착합니다 3시간정도 남네요 ㅅㅂㄹ

    • @user-kt6ql3rs8g
      @user-kt6ql3rs8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그럼 하지말고 집에서놀아

    • @user-gf8hy3ol7r
      @user-gf8hy3ol7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많이 남네요

  • @user-jx9ip5nu1c
    @user-jx9ip5nu1c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64

    소비자본주의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때가 왔음..
    소비하지 않으면 망해가는 세계..
    쓰레기도 탄소도 계속 배출해야 더 살아가능 세계..

    • @AMMMiYOU
      @AMMMiYO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저도 계속 같은 생각을 했습니다..

    • @Ddking10023
      @Ddking1002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소비하지 않으면 기업도 없어지고 산업화 이전 시대로 돌아가는거다 말타고 다니고 산에 땔감해서 불때고....그때의 노동강도를 생각해봣냐. 하루종일 산에서 땔감만들다가 인생 다 보낸다.

    • @user-ej8dy9cs2k
      @user-ej8dy9cs2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산업화이전=노예가 함
      미래사회=인공지능 로봇이 함
      어찌될지 ㅎㅎㅎ

    • @predictionary
      @predictionar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아쉽지만 그 고민은 의미가 별로 없습니다. 미국이 망하지 않는 한 소비자본주의의 대안은 절대 채택되거나 진지하게 고려되지 않습니다.

    • @zerotwodance289
      @zerotwodance28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당장 탄소고 나발이고 빽빽한 대도시에서 너도나도 큰차만 뽑아재끼는 카푸어쉑기들 때매 글러먹음ㅋㅋ

  • @user-wh3uk5tq1c
    @user-wh3uk5tq1c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97

    실제로 8시간 다 집중해서 일을 못하는데 회사에서 영양가없이 죽이고 있는 시간이 너무 아까움.. 출퇴근으로 왕복2시간 점심시간 출근준비시간 등 다 투자하면 하루에 나를위한 온전한 시간은 3시간뿐.. 근무시간을 단축시키면 내수소비도 살아날듯하다 돈쓸시간을 줘라..

    • @ajswlvpdrnjs
      @ajswlvpdrnjs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asdfqwera노공감 댓글을 여기저기 도배해놨네

    • @user-wh3uk5tq1c
      @user-wh3uk5tq1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user-uc5ex6ys5s 님이나하세요 ㅋ 여기저기 시비털고 다니지말고 사회성결여잉여님아

    • @user-dm6vw2fx6x
      @user-dm6vw2fx6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일을 안하시면 됩니다 어차피 영상에서 말한 세상이 온다고 한들 생명체는 욕심이라는 요소가 내재되어 있기에 남들보다 더 가지려고 합니다 그러므로 절대 일을 안한다고 만족할 인생이 오진 않을거라 생각함

    • @ekeks7090
      @ekeks709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코로나때 대기업들 자ㅏ율근무로 풀어줬다가 사무실 근무로 회귀한거보면 느끼는거 없니

    • @ekeks7090
      @ekeks709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근로자가 아니라 고용주 입장에서 봐야지 ㅌㅌㅋㅋㅋㅋㅋㅋ

  • @user-go3hv7ky8r
    @user-go3hv7ky8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7

    초등학생 키우는 엄마들에게는 절실하게 필요한게 "시간"인데 직장맘은 아침 5시30분에 일어나서 밥.반찬 해놓고 아이 먹는 모습도 못보고 출근한다 .8시30분까지 도착해야하므로 ㅜㅜ
    제발 초등학생 키우는 엄마에게도 혜택을 줘야한다는 생각입니다. 어린이집이나 공립유치원등등만 지원될게 아니라 초등돌봄은 진짜 혼자극복해야 시스템입니다
    좋은 직업을 갖는것도 행운인 박사님께 존경심을 표합니다

  • @ededede573
    @ededede57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72

    불과 2~3년전만 해도 주4일제 근무제라든가 기본소득에 대한 논의가 있었는데, 어느샌가 갑자기 그런 논의가 쏙 사라져 버렸네요. 🙄

    • @user-kv6cy7bv9t
      @user-kv6cy7bv9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9

      반대로 52시간도 짧다는 논의가…

    • @user-de6do2ni8z
      @user-de6do2ni8z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그런 논의가 있었군요. 😮😮다시 그런 말이 확산되길 바랍니다. 😊😊😢😊

    • @Lia3349
      @Lia334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8

      지금은 그거 주장하면 여차없이 콩사탕으로 몰릴 판이라

    • @Chid417
      @Chid41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7

      대선 끝나고 분위기가 확 바뀌었죠 120시간을 일해야하니 어쩌니..

    • @user-we9cn3nb6h
      @user-we9cn3nb6h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기본 소득을 주로 이야기 하던 이재명은 검찰 출입을 하고.
      해외 기본소득 실험 아닌 실험도 별성과 없이 끝이났고 코로나 지원금도 돈을 받고 욕하는 이상한 국민들 덕분에

  • @parkigsky
    @parkigsk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35

    50명이 짤리는 게 아니라 4시간만 일해도 되는 환경이 진짜 만들어진다면 적게 일하고 많이 버세요가 어느 정도는 실현이 되는 거겠네요. 긍정적인 부분들이 더 현실화 되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ㅎㅎ

    • @user-yu7jm6nv5v
      @user-yu7jm6nv5v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그래서 최저임금이나 포괄임금제가 존재하는거죠 한국에는 더주기 싫으니까

    • @MrJabshin
      @MrJabshi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5

      사장은 그들을 짜르고
      (50명에 대한 임금)-(로봇 도입운영비)
      을 자기가 가져가겠죠.
      현재 금융쪽에서 퇴직금 넉넉히 주면서라도 인원짜르는 이유가 그겁니다.
      금융에서 스마트한 IT기술 도입과 온라인 시스템 활성화에 필요한 인력과 인프라 도입하면 은행의 수백~수천명의 기존 인력이 필요 없어집니다.
      금융 인력 1인당 억단위 연봉의 수천명을 수십명의 IT인력+인프라 운영으로 커버 할 수 있는데, 경영진이 왜 가만히 있겠습니까?

    • @user-gb8pg9jz6z
      @user-gb8pg9jz6z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6

      인터넷 나왔을 때도 업무 준다고 모두가 말했는데,, 더 높은 효율로 더 많은 업무를 할 뿐

    • @user-sv4mv6nu4m
      @user-sv4mv6nu4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50명이 일안해도 되는 세상이면 전체 일거리도 줄어들텐데 무슨 일을 더 한다는거지??

    • @user-oj7xz9lj3u
      @user-oj7xz9lj3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과학발전으로 세상에 패러다임이 완전히 뒤집졌는데.........아이러니 하게도 정치가 무엇보다 더 중요해진 세상이 됐네요...
      이제부턴 정말 선거에서 한표한표가 중요한 시기인데......걱정이네요.....ㅜㅜ

  • @ceve6931
    @ceve6931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3

    이런 주제를 다룬다니 너무 공감되고 흥미로운 영상이었어요. 우리가 왜 바빠야하는지 더 깊이 고민해봐야 한다고생각해요. 그 시간에 사람들이 더 자기 삶을 즐기고, 자신을 찾고, 하고픈것을 하는 날이 오길...

    • @user-wk4si2he4w
      @user-wk4si2he4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5😅😅

    • @Drstolzman
      @Drstolzm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리스크가 낮을 수록 바쁘고 높을 수록 여유로운게 어쩔 수 없는 현대 사회의 현실 같습니다..

  • @20cmusic
    @20cmusic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5

    아무리 효율적이 되고 생산성이 높아져도 일하는 시간은 줄어들지 안습니다. 일의 가치는 상대적이거든요. 예전에 8시간 걸리던 것이 4시간만에 끝나면 그 일은 4시간의 가치만 있게 되는 것이고 경영자들은 4시간 짜리 두 개를 던져주고 동일한 임금을 지급합니다. 급여는 노동력 수급이 주된 원인이지 노동이 창출하는 가치의 증대와는 별 관련이 없습니다. 특히 임원이 아니라면요.

    • @kevinalex9894
      @kevinalex989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본인이 단순업무나 단순 서비스직만 하는분이면 맞는말이지만 기술직이나 건당 수익창출, 사업, 영업서비스 같은 시간이 가치 창출에 큰 영향을 주는 직종이면 얘기가 많이 달라집니다. 시대가 달라져도 본인이 노력하지 않으면 부품처럼 굴려지는건 같아요

    • @MocoRiel
      @MocoRie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그런일을 하는 사람은 발전하지 못할겁니다. 고로 저임금노동자일 뿐이라는 거에요. 옛날 산업시대에 공장에서 같은 시간을 일하면 같은 결과물만 나오는 일을 하는 사람이라는 말이니까요. 그 개념이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는거고요. 최대한 적게 일하면서 최대의 가치를 창출하는 사람이 곧 능력자이고 부자에 속할 겁니다.

    • @user-io5su6tw1f
      @user-io5su6tw1f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8시간 짜리를 4시간에 끝내면 일의 가치는 상대적이라 하셨으니 단순 노동자가 아니겠죠 남들에 비해 2배이상의 가치로 임원이상 올라가겠죠 4시간짜리 일을 2개 던져주고 8시간 일을 시킬땐 그 일이 실제로 4시간짜리 가치뿐이었던 겁니다

    • @user-dm6vw2fx6x
      @user-dm6vw2fx6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산주의가 쳐 망한 이유

    • @Jack_in_the_jin
      @Jack_in_the_jin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io5su6tw1f 정신차리셈ㅋㅋ

  • @user-vj7lz3pw3w
    @user-vj7lz3pw3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2

    이번편 진짜 너무 좋았음
    전혀 생각도 안해본거라 들으면서도 머리가 띵해졌지..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박사님!!

    • @user-ct8jf3hv9x
      @user-ct8jf3hv9x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시작된게 1935년 이니까 90여년 된 이야기랍니다.

    • @redmist9397
      @redmist939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user-ct8jf3hv9x시작이 아니라 학자들을 제외 이러한 주제가 화두가 된게 최근입니다 ^^

    • @182mm
      @182m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나 머리 띵해쪄 언냐~

    • @user-be5tm2rg2q
      @user-be5tm2rg2q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IDEKILLER83아까운 시간에 돈이 그만큼 들어오는데 그럼 빨리퇴근하고 돈 더 적게받는거 가능?

  • @palletcd3076
    @palletcd3076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0

    일을 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일.
    비효율의 극치

  • @lastppta1934
    @lastppta193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4

    캬 역시 김상욱 교수님 똑똑하면서도 가치관도 너무 훌륭함. 사회모순을 정확히 통찰하는 날카로움

    • @abcde2558
      @abcde2558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기본 소득은 아니라고 봅니다. 기본 소득이 시작되는 순간, 독재와 같은 상황이 펼쳐지죠. 기본소득을 받으려면 무엇무엇을 해야한다는 조건이 붙게되니까요. 어디까지나 정치적인 면이 있죠.

    • @lastppta1934
      @lastppta193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abcde2558 기본소득은 미국 유럽 등의 세계 석학들의 공통적인 의견임. 우리나라에서 나온 얘기가 아니라는 거. 반박하려면 석학들의 사회과학 논문부터 파훼해야함

    • @judiciousspectator9815
      @judiciousspectator981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 사람도 교수직 짤리면 어떻게 입에 풀칠하고 살지 두고봐야함

    • @user-dm6vw2fx6x
      @user-dm6vw2fx6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기본소득은 경제 순환으로부터 나온 개념임 무턱대고 기본소득 주장하는 찢이랑은 다르지 선진국들 학자들은

  • @user-jl3gz4zw7y
    @user-jl3gz4zw7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9

    미국영화계 파업도 그렇고, 웹툰계 일러스트계 항의하는 것도 그렇고 거대자본 즉 대기업의 행태에 불만이 있는거죠. 그게 본질이라고 생각합니다. 아티스트들의 작품들을 데이터기반으로 삼는 AI와 인간을 경쟁시키며 ai를 쓰고 작가들을 고용하지 않겠다는 점에 파업하는 거 아니겠어요? 만약 거대자본이 기계와 인공지능으로만 생산하겠다쳐도 그 벌어들인 수익을 강제로 재분배해서 모든인간들이 부족함없이 산다면, ai가 넘쳐난들 인간은 개의치않고 자기 작품 창작하며 인정받기 위해 노력하고 아님 말고 그렇게 살겠죠...근본적으로 ai등장의 문제가 아니라 기본인권과 자본주의의 약점에 관한 문제...라고 매번 느낍니다

  • @nogooffice
    @nogooffic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0

    잠깐 스쳐지나가듯이 나왔지만, 환경이 갖추어졌는데도 노동자가 8시간씩 일하는 이유는 자본이 결과물을 다 가져간다는 것입니다. 즉, 기계나 로봇, 기술 등을 가진 부자나 기업이 번 돈을 다 가져간다는 것입니다. 😂

    • @user-qq7yg3yx3h
      @user-qq7yg3yx3h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그래서 그게 부당한거임??

    • @nogooffice
      @nogooffic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5

      @@user-qq7yg3yx3h 정당하다 부당하다 등의 판단이 불가능하지요. 다만 저 현상으로 인해 노동자의 노동시간이 줄지는 않을것 같다는 의견을 말한것입니다 ㅎ

    • @hisleisure
      @hisleisur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그렇게 100년하다가 공산주의가 세상 절반 먹었죠.. 공산주의는 자본주의의 적자

    • @user-ny3xf5hm7q
      @user-ny3xf5hm7q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qq7yg3yx3h부당하죠~

    • @user-mx1rk4xb1d
      @user-mx1rk4xb1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전 전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ㅋㅋㅋ 오히려 대부분의 사람의 생산성이 값어치가 없는 수준일 뿐이거나, 대부분의 조직이 비효율적이기 때문이죠. 당신이 회사와 무관하게 정말 가치를 창출해내는 능력을 출중히 갈고 닦아서, 그리고 그런 1명의 능력치 차이가 정말 큰 차이를 만들어내는 그런 효율적인 조직에 간다면 당신은 부르는 게 값인 사람이 되어 있습니다... 지분이건 월급이던 갑의 입장에서 협상할 수 있습니다. 물론 애초에 비효율적인 직군이라면 이런 건 크게 의미없겠지만 그것또한 선택의 실수겠죠. 이건 해보셔야 알 것 같은데 진리입니다...

  • @user-we6wv2hk7u
    @user-we6wv2hk7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제가 사회에서 일하게 될 미래에는 일자리가 없어 힘들어 지는 것이 아니라 모두가 일과 자기 생활의 밸런스를 가져갈 수 있는 건강하고 행복한 사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재미있는 영상 감사드립니다.

  • @user-jl3gz4zw7y
    @user-jl3gz4zw7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2

    대화 하실 때 언급하신 책들 다 읽어보고 싶어졌어요. 노동관과 소득분배에 대해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 다가오는 것 같이 흥미롭습니다

    • @user-dm6vw2fx6x
      @user-dm6vw2fx6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니가 내는 세금 나한테 들어옴 ㅋ 개꿀 일도 안하는데 ㅋㅋ

  • @BSA21M
    @BSA21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2

    회사다니다가 지금은 프리랜서일 하고 있습니다.
    급진적이지만 전 노동자의 프리랜서화가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소속돼서 일하는순간 생산성도 안나오고 자유도 빼앗기는 고용주-고용인 간의 루즈-루즈 딜이라고 생각합니다.

    • @vanillaflavur7126
      @vanillaflavur712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말씀 들어보니 그것만이 사실상 실질적인 대안이겠네요. 노동자를 어떻게든 계속 회사 안에 묶어두고 규제, 방침, 법제만 바꾸려고 하기보다 (실효도 없으니), 소속되어 일하는 구조가 해체되면 된다...

    • @user-dm6vw2fx6x
      @user-dm6vw2fx6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그럼 복잡해짐 시간 ㅈㄴ 들어요
      대표가 일개미들 하나하나 다 만나야 함? 간부나 우두머리들끼리 만나기도 빠듯한데

    • @Drstolzman
      @Drstolzm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독일이 그렇게 하고 있고 큰 이득을 봤죠. 하루에 적은 시간만 일하는 미니잡(알바)을 많이 만들어서 노동자 스스로가 노동량을 조절하도록 했습니다. 다만 기업에서도 자유롭게 채용, 해고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만들어져야 이런 방법이 먹힐 수 있겠죠. 독일에서는 최저시급을 없애 버리는 방법을 썼건 걸로 기억합니다.

    • @MouseAlive
      @MouseAliv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저도 이게 미래의 직업의 형태가 될거같아요. 그리고 그래야 됩니다.

    • @kjyshawn
      @kjyshawn 19 วันที่ผ่านมา

      아주 공감합니다.

  • @1novak_mini414
    @1novak_mini41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0

    이거 진짜 중요한 이야기 내가 볼때 대부분 직장은 하루에 6~7시간만 일해도 충분하다 제조업도 마찬가지이고

    • @nullerror934
      @nullerror93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다들 그렇게 일하지 않나요?

    • @redmist9397
      @redmist939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

      @@nullerror934그게 맞는데 어떤 곳은 두세명이 작업해야 할 양을 한명에게 몰아주는 기업들도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공무원들도 지역축제행사 열때 총괄담당 공무원이 1명인 곳이 많습니다... 현역공무원이 직접 얘기햇죠 윗사람들이 일을 안하고 있는겁니다. 그런곳이 꽤 많죠 우리사회에

    • @swing_han
      @swing_ha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nullerror934 제조업은 무조건 주.야로 24시간 돌려야 해요 현재는 단가 후려치기로 박리다매라 수량이 많이 나오지 않으면 돈이 안되요 ㅠㅡㅜ 슬픈현실..

    • @user-uf1up8je4o
      @user-uf1up8je4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nullerror934 한국에서 사회생활 안 해보셨나봐요,

    • @user-pm2he3fu9x
      @user-pm2he3fu9x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자영업도 그😂😂랬음 좋겠어요ㅠ

  • @user-gi4ti9tz9l
    @user-gi4ti9tz9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3

    열정적으로 열심히 일을 하는 직장인들…
    너 없어도 회사가 돌아간다는 말이 ..얼마나 잔인하게 들릴까….근데 자기들도 알기때문에 본인을 증명하려고 열심히 자기자신을 일로 학대 하는거 아닐까…?

    • @user-qj3kv6ip3e
      @user-qj3kv6ip3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나 없으면 회사 안 돌아간다는 마인드는 위험한건뎅.....? 만약 그게 사실이라면 당장 탈출 해야되는 직장이고.....

    • @predictionary
      @predictionar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qj3kv6ip3e=책임은 지기 싫고
      돈은 받고 싶고

    • @nasin_j
      @nasin_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열심히에 세뇌를 당해서요

    • @bluec0w992
      @bluec0w99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그래서 새로뽑던가 ㅋㅋ 하고 그만두는 사람들이 많죠.. 사람마다 의견은 다르겠지만 전 좋다고 생각해요
      사람에 대한 존중이 없는 기업에 남을 필요는 1도 없어요

    • @user-kf2jw1pi1y
      @user-kf2jw1pi1y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나 없으면 회사가 안돌아간다? ㅅㅂ ㅋㅋㅋ 그건 바로 도망가야지... 무슨 직원으로서 사장역할 하는 것도 아니고... 너없어도 회사가 돌아간다 가 잔인할 진 몰라도 그게 당연한거지

  • @JenielShin
    @JenielShi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3

    사실 윗사람이 똑똑하고 업무 전반을 다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뛰어나면 굳이 밑에 직원들이 하는 일을 요약해서 설명하는 자료 만들어서 보고할 필요가 없죠. 근데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윗대가리에 있으니 그걸 이해시키기 위해 온갓 자료를 다 만들어야 함. 그나마 중간 관리자가 이해를 하면 실무자가 하는일이 줄어드는데 문제는 중간관리자도 마찬가지면 실무자는 일이 배가된다는 거…

    • @user-ub8qc6uc2f
      @user-ub8qc6uc2f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이거 레알..가짜 노동..

    • @ChallengeDaniel
      @ChallengeDaniel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온갖

    • @ichure
      @ichur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관리자는 모든업무가 한점으로 모이니 그럴수도있다는 생각이듭니다만 개중엔 기본적인것도 납득시키고 추진해야되는 사례도 넘쳐나서 능력있는 상사만나는것도 복인게 되어버렸죠..

    • @Drstolzman
      @Drstolzm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본인이 윗대가리가 되시면 됩니다.

    • @JE-tw9or
      @JE-tw9o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재벌 방계가 자회사 등에 사장으로 있다가 그 바보 아들이 낙하산으로 다음 사장으로 오면 그런 비극이 생기는거같드만 ㅎ

  • @user-vh5pz3pe9g
    @user-vh5pz3pe9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3

    하루를 바쁘게 살지 않으면 자책하게 되는 현실... 도둑맞은 집중력에서도 나온 이야기인데(지금은 대부분 아는 이야기이기도 하고요), 주4일 근무로 바꾼 후에 생각보다 일의 결과물이 줄지 않았고, 오히려 성과가 좋은 경우도 많았다고 하지요. 휴식을 충분히 취하면 오히려 사기가 충전되어 일을 효율적으로 해낼 수 있다고요.

    • @user-dm6vw2fx6x
      @user-dm6vw2fx6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바쁘게 안살면 정신병옴
      사람은 움직여야 함 그래서 잡생각이 나지 않게 호르몬 조절해줘야함
      일 안하면 본인들 DNA 마다 다르겟지만 대체로는 정신병 걸리는게 대부분이지
      노는걸로 만족이 안돼서 더 큰 만족을 원할 수도 잇는거고

    • @Drstolzman
      @Drstolzm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문제는 주 4일 근무하는 대신 동일한 보수를 원한다는 거죠. 지금 현대사회에서 노동력을 줄일 수 있는 유일한 해답은 본인의 인건비를 올리는 것 밖에 답이 없습니다.

    • @bluewater3216
      @bluewater321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럼 왜 4일만 하나요? 그냥 주1일하지?ㅋㅋㅋㅋ

  • @ShrimpRoyalNewRoyal
    @ShrimpRoyalNewRoya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6

    52시간도 빡센데 69시간 논의나 하고 있는 현실이 더 암담하지 않나
    주 40시간이 적당했었고 지금은 하루에 6시간만 타이트하게 일하면 충분한 시대다. 6시간을 일하는만큼 6시간 노동의 가치가
    현재 8시간의 노동의 가치와 같으면 누가 6시간안에 바짝 땅기고 자기의 시간을 되찾고 싶지 않아 하겠나

    • @youarehandsome
      @youarehandsom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한주 69시간 일하면, 다음주는 31시간만 일하면 되는데 난 이게 훨씬 좋음
      애초에 일하고 싶은사람은 일하게 놔두는게 자유임. 왜 다들 통제받고싶어서 난리들을 치는지 노예근성이 제대로 박혀서 못 빠져나오는듯. 자유를 스스로 걷어차는 국민성이 두렵다.

    • @Chid417
      @Chid41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

      @@youarehandsome대개 회사에서 다음 주에도 50시간 근무를 요구하니까 실현되지 못해서 문제죠..

    • @youarehandsome
      @youarehandsom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Chid417 52시간 이상 요구하는 회사도 많으니 52시간도 실현되지 못하는데, 어차피 52시간 규제도 있을필요가 없네요

    • @user-kq8cd2oo6t
      @user-kq8cd2oo6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Chid417 현실성이 없는 방안이라는 점은 동의하지만, 정책이 추구하는 바는 필요하다고 봅니다.
      근무시간 유연화 외에, 총 근무 시간은 오히려 약간 줄었었죠

    • @youarehandsome
      @youarehandsom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user-kq8cd2oo6t 네 그러니까 근무시간이 줄고 기업도 근로시간 유연화로 효율성을 갖출수 있는 체계를 갖추면 더 좋겠네요.

  • @user-xj1gl3rs3p
    @user-xj1gl3rs3p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이런 좋은 유튜브를 이제야 알았네요. 구독하고 갑니다. 널리 전파되길..좋은 영양분 잘 섭취하고 소화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jomunim
    @jomuni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6

    후반부 연희전문학교 이야기는 따로 떼서 다뤄주면 좋을 정도로 중요한 역사 속 얘기네요.

  • @Ace-el1we
    @Ace-el1w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7

    11명의 사원님들과 같이 일하고 있습니다.
    이영상을 듣고 저는 내일부터 당장 실천할일
    1. 팀회의를 없애고 일해볼생각입니다.
    (가까노동의 시간이라 인지되었습니다)
    가짜노동의 시간이 뭐가 있는지
    체크체크해서 더 효율적으로 일해보겠습니다.
    영상 너무 훌륭합니다.❤

    • @Fragrance937
      @Fragrance93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바로 실행에 옮기는 모습 너무 멋있네요 :) 하는 일 잘 되시기 바랄게요~!

    • @hoho_ine
      @hoho_in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다시 회의가 생겼겠죠???

    • @Keyreebo
      @Keyreeb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어떻게 되었나요?

    • @user-og7pk8do1y
      @user-og7pk8do1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가짜노동시간=그나마 눈치보며 쉴틈없앰 ㅠㅠ
      소기업부터~돈주는 사람 및 오너가 너그러워지는 순간 정글에서 살아남기 힘든게 사실이죠.
      무슨일이 짦은시간안에 극대화 효율을 발휘해 끝낼수 있는지..
      (직원으로써 무서운 말이네요)
      설치작업자가 마감시간안에 밤새며 작업하는데
      납품업자가 4시간일할수 있는건지
      영업팀장이 4시간일하면서 작업자,자영업자,납품업자를 상대할수 있는건지..
      그런 영업팀이 있어야
      관리사무직도 돌아가는건데
      관리사무직이 영업팀눈치안보고 일끝났다고
      일찍 간다는게... ㅎㅎㅎ
      이미 영상에서 언급한
      고위층 전문직들은
      프리랜서 및 근무시간 유동적으로
      쓰시면서 근무하고, 고연봉 가져가심
      서민한텐 미친소리입니다.
      어떤회사가 비용아낄려고
      경리직을 3시간씩 잘라 채용하는것도 봤습니다. 일양은 풀타임급 이었죠.
      ㅡㅡ;;; 조삼모사..

    • @language4today295
      @language4today29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팀 회의를 없애고 독재를 하시겠다는 건가요? 아이디어를 모으는 대안이 있어야 할 거 같은데

  • @kimkimkim3797
    @kimkimkim379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7

    솔직히 가슴에 손을 얹고 얘기해보자
    야근? 전혀 필요 없음
    딱 집중해서 일하고 쉬고
    5~6시간이면 충분
    주 4일도 좋고 하루 6시간 근무도 좋을듯

    • @i-wanna-
      @i-wanna-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주6일해도좋으니까 딱 4시간만하고싶다

    • @user-mz6fp6kd5h
      @user-mz6fp6kd5h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8시간 일하니 솔직히 집중력도 줄어들고 딴짓하는 시간도 많긴함. 프로젝트성으로 빡시게 일하고 한가로울땐 휴가도 주고 하면 얼마나 좋을까..

    • @user-dm6vw2fx6x
      @user-dm6vw2fx6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응 일안해도 돼 내가 그러고 있음 이런 미천한 것들

    • @Drstolzman
      @Drstolzm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본인이 그런 회사를 만들어 주시면 안 되나요? 한국에 새로운 바람이 불 것 같은데..

    • @user-sp2yf2xh3s
      @user-sp2yf2xh3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가슴에 손을 얹고 하루에 14시간 일합니다. 토요일도 일하고 공휴일에도 일합니다. 제 분야는 절대로 50년 안에 AI가 대체 불가능합니다. 차라리 좀 대체 해줬으면.

  • @Woowan
    @Woowa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기득권(사업주)이 만든 시스템에서 자신이 노예인줄 모르고 살 고 있는 우리의 현실.

  • @hoho-kw8uj
    @hoho-kw8uj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회의 공감해요 ㅋㅋㅋ 잡담하며 보내는 시간이 절반이 넘고

  • @btv_piarchia
    @btv_piarchia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가 정말 바빠서 나온 말이 아닌,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스스로 믿어야하는 말이 되었던 걸수도 있겠네요..!

  • @user-ww4pl5fp5z
    @user-ww4pl5fp5z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교수님 학자임에도 현실 감각도 너무 좋으셔요
    정확한 이슈입니다

  • @spchebsdmvl5435
    @spchebsdmvl5435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1

    이 회차에 보면 김상욱 교수님이 '그럼 내 일이 가짜노동이라는 거야?'라는 생각을 하지 말아달라고 완곡하게, 잘 넘어가셨는데, 진짜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었다면 그건 저 사람이 말하는 내용이 정확하게 무슨말인지 못알아들은 것이다. 가짜노동이라고 불리는 것의 성질을 들여다보면, 결국 자신의 업무를 하기 위해 그닥 할 필요가 없었던, 오히려 시간만 축내고 안하는게 나을법한 그런 류의 것들을 말하는 것이므로, 올바르게 내용을 이해했다면 저런 불편한 생각같은게 들 리가 없지.
    저 교수님이 저렇게 말씀하시는걸 보면 그런 반응들이 꼭 나와서 본인을 곤란하게 하셨던 경험이 있으셨을지 모른다는 추측도 해본다.(아님말고.)
    만약 그랬다면, 그건 오해한 사람들이 잘못이지 저분 말씀이 틀린건 아닌듯?

    • @meowbooks5045
      @meowbooks5045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이미 과학적으로 직장에 8시간 있어도 실제 업무집중 시간은 얼마 안되는걸 밝혔죠.

    • @user-wb1sy4bp4s
      @user-wb1sy4bp4s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근데 근무시간을 내가 정하나? 회사에서 정하지 짧게 일하고 돈 똑같이 주면 당연히 좋지 어느 누가 많이 일하고 싶냐

    • @redmist9397
      @redmist939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user-wb1sy4bp4s영상은 보셨나? 그러니까 사회학자랑 제도적으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잖아... 내 맘대로 4시간 일하자가 아니라...

    • @guns_germs_steel
      @guns_germs_stee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

      단어 하나에만 꽂혀서 혼자 ㅈㄹ 하는 허수아비들과 맥락맹인들이 너무 많아서 아무리 옳고 좋음 얘기를 해줘도 못알아들어요. 20초짜리 쇼츠만 보고 살아서 ㅡㅡ

    • @lastppta1934
      @lastppta193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사람들이 기본 지식이 너무 적어서 그럼. 책도 안보고 유투브도 책처럼 지식을 쌓는 도구로 써야 되는데 엄한 쓸데없는 거나 보고 그러니 어리버리해져서
      이정도 자세한 내용을 말해주는데도 말뜻 자체를 못알아먹는 사람이 너무 많은듯

  • @user-bn9lw9yp9n
    @user-bn9lw9yp9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실은 평생 일안해도 먹고 사는데 지장없는 환경에 속한 사람이 현 세대에서 가장 행복한 게 아닐까...

  • @user-uf8ss6yj7e
    @user-uf8ss6yj7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셀프착취.. 너무 공감되네! 가짜노동 읽어보고 싶어졌어요

  • @user-gotywla
    @user-gotywla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3

    방송을 통해 이런 좋은 화두를 던지시다니. 감사합니다. 생각이 많아지네요.

  • @user-zq8zx6zw3y
    @user-zq8zx6zw3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8

    정말…4시간 노동시대가 오면. 좋겠다..

    •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소련이나 중국이 그랬죠.

    • @youarehandsome
      @youarehandsom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고통스럽게 4시간이나 일할필요있나 1시간만 일하면 정말 좋을듯

    • @user-me4dt9vg9k
      @user-me4dt9vg9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4시간이 딱 맞다고 봄. 투잡할사람은 또 하는거고 아닌사람은 하나로 끝.

    • @youarehandsome
      @youarehandsom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user-me4dt9vg9k 4시간은 무슨 1시간도 많음. 일주일에 1시간이 적당함.

    • @hdko4809
      @hdko480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러면 진짜 좋겟네

  • @182mm
    @182m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9

    노예들이 최대한 딴 생각 못하도록 막아야지. 그래야 윗 계급에 반역할 생각조차 못할테니까. 그러므로 최대한 선발시험에 몰입하게 만들고, 그 후에는 야근 등으로 최대한 옭아매는거다.

    • @jaeho6962
      @jaeho696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정답

    • @user-cy4hp4fr5x
      @user-cy4hp4fr5x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중진국 마인드, 쌍팔년도 마인드
      적게 일하고도 고효율을 내어 기업의 성장을 이끌어낼 생각을 해야지
      구글 처럼 굴려야 한다
      아주 잔인한 인사평가 무능력자들 결과안좋으면 가차없이 퇴사시키고
      실력좋으면 진급 팍팍 시키고
      대신 일하는건 자유롭게
      무능력자는 사라지고 능력자만 남아 시간활용하며 일할수 있는 회사.
      그럼 당연히 정신차리고 일하겠죠? 물론 시간활용 잘 하면서요.. 재택도하면서 자기맘대로
      실력만 발휘하면됨.

  • @user-fu7qb3sy3k
    @user-fu7qb3sy3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참 많은것을 생각하게 하는 영상인것 같아요.다시금 우리 사람에 대해 생각해볼수 있을것같네요

  • @user-qf3cg9sh8k
    @user-qf3cg9sh8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해 뜨기 전에 출근해서 해 지고 퇴근
    수당도 안주면서 왜이리 회사에 잡아두려는건지 퇴근하고 싶고 푹 쉬고싶다

    • @user-xk4jk7jj6z
      @user-xk4jk7jj6z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님 괴롭히려고!

  • @Rock-im9ou
    @Rock-im9o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토요일도 출근하고 등교하던 시대였고 9to5 란 제도 처음도입된 시절 대기업 입사초기 ᆢ 놀란것!
    기계적이고 의무적인 브리핑,회의들과 일을 쭉 늘려서 쓸떼없는 군더더기의 일들이 많고, 인간관계에서의 감정노동도 많아 불필요한 에너지까지 써야한다는것.

  • @jjuny0123
    @jjuny012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유익한 정보네요

  • @MetaVoxelArt
    @MetaVoxelAr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항상 이런 생각했었는데 이미 오래전에 이론이 나왔었군요 사무직해보면 정말 비효율의 끝장을 보는데 시간낭비 에너지낭비 너무 심하다고 생각했어요

  • @user-ge6ef7pq1p
    @user-ge6ef7pq1p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7

    4시간만 일해도 생계 유지가 된다면 4시간만 일하겠지...하지만 한국 사회는 8시간을 일해도 소득 불균형이 너무 심각해서...

    • @user-dm6vw2fx6x
      @user-dm6vw2fx6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의사는 4시간만 일해도 몇십 몇백 버는데 진짜 명의면 몇백 몇천 벌기도 하고
      반면 편의점 알바는 4시간 일하면 4만원 조금 넘게 벌음 ㅋ
      이렇게 자기가 노력해서 쌓아놓은 커리어에 따라서 다른거지 뭔

    • @Drstolzman
      @Drstolzman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 와중에 암울한 이야기이지만 한국은 빈부격차가 매우 작은편에 속하는 나라 중 하나입니다.. ㅠㅠ 파라다이스일 것 같은 독일도 빈부격차는 우리보다 심하죠..

  • @hhh5383
    @hhh538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상욱좌 진짜 말 잘한다ㅋㅋ

  • @user-vq2bc2ww8c
    @user-vq2bc2ww8c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변화하는 세상을 알아간다는게 너무나도 가슴 설레이는구나
    애니메이션 기획 준비 하는 사람으로써 뇌과학 진화학 사회학 경제학 심리학 여러가지 책들을 읽고 소재가 끊임 없이 나온다… 오늘도 크게 배웠습니다ㅠ

    • @kkkirraatt
      @kkkirraatt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앗 동지 발견.......저도 애니메이션 졸작 기획 준비하면서 이것저것 찾아보다 여기까지 왔네요😂 화이팅입니다!!

  • @madstorm4604
    @madstorm460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엄청난 인사이트를 주는 내용이네요

  • @spamdeny
    @spamden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4

    김상옥 교수께서 매우 중요한 지점을 짚었다고 생각하는데, 산업사회가 발전하면서 복지는 직접적인 노동 바깥의 것까지 보장하게 되었습니다. 쉽게 말해 더 적게 일해도 더 폭넓은 댓가를 지불하게 되었습니다.
    그런 점에서 새로운 #패러다임 이 열리고 있는 지금에서, 기존 복지도 하면서 새로운 복지 시스템-여러 나라가 시험하고 있거나 고려하고 있는 #기본소득 같은 것도 심각하게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물론 그 깊이나 방식 같은 것은 숙고해야 할 것도 많고 나라마다 사정에 따라 조금씩 달라져야 겠지만,...)
    역사 상으로 새로운 시대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쫓아가지 못해 도태되는 경우는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그것이 단지 낯설다, 미덥지 못하다는 것으로 고려해 보지 않고 시도해 보지 않다가는 제대로 발전을 맛보지도 못하고 도태되는 수가 생길 수 있다고 봅니다.
    지금은 노동의 성격이 옛날과는 달라지고 있기 때문에......

    • @andythiel9777
      @andythiel977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민주당이 어설프게 시도하다가 역풍 제대로 맞고 국짐당이 집권하는 최악의 결과를 맞이했지요. 민주당의 큰 방향은 맞았을지 몰라도, "복지를 할 테니 여태껏 꿀빨고 가해자처럼 살아온 너희 20대 남성들, 노인들, 주택보유자들은 너희의 죄를 알고 뉘우치며 입 다물고 쥐죽은 듯 살도록 하여라"하는 태도는 일부 극렬 페미들과 국짐의 범죄를 생생히 기억하는 사람들 외의 나머지 유권자들에게 씻을 수 없는 반감을 사기에 충분했습니다. 10대 20대 30대들의 무지성 국짐당 지지가 광범위하게 굳어진 게 현실이라 윤석열이 나라를 팔아먹는다 해도 민주당에게 또다시 기회가 올지는 모르지만, 만의 하나 그런 기회가 또 온다면 복지가 옳다는 이유만으로 유권자 대다수를 쓰레기로 몰고 증오를 조장하는 악랄하고 어리석은 행태는 제발 반복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 @user-dm6vw2fx6x
      @user-dm6vw2fx6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일도 안하는데 돈주면 개꿀이지 ㅋ 나이스~~

  • @myhopeisinyou
    @myhopeisinyo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1

    항상 영상 볼 때 마다 한대 맞은 기분. 나름 이것 저것 보고 듣고 있다 생각했지만, 결국 이런 생각을 해내는 사람들의 생산분을 뒤늦게 흡수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도 먼저 더 개척해 나가는 생각을 하는 창의적인 사람이 되고싶다.

    • @hanun114
      @hanun11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응원합니다!

  • @user-ip3pc8wz6o
    @user-ip3pc8wz6o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하루 8시간씩 빡시게 일하면 일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되겠냐. 정작 다 집중하는 시간은 4시간 밖에 안됨. 그러니 다들 일하는 거다. 나머지 4시간은 그냥 허비하는 시간. 출근해서 어영부영 1시간 보내고 점심식사시간 2시간 보내고 마감 1시간전 일 끝나고. 울나라는 시간을 참 비효율적으로 쓴다는 생각밖에 안듦

  • @hjlee252
    @hjlee25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무슨 말인지도 알겠고 무릎을 탁치게 하는 말도 맞는데...인간이 효율성 으로만 사는 존재가 아니기도 하고 노동이라는것 자체가 먹고살기 위한 수단으로서만 존재하지도 않으니 한편으론 인간이 갈수록 기술적으로든 인문학적으로든 진화하고 존재에 대해 물음을 가지고 탐구하는 활동 때문에 아이러니하게도 내가하는 모든것이 하찮게 느껴지기도 한다는게 씁쓸하긴합니다.

    • @user-chanwon
      @user-chanwon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렇죠 먹고사는 것 외의 노동의 의미

  • @user-lb1fg4rj1q
    @user-lb1fg4rj1q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다알고있습니다 자기없어도 회사가 돌아간다는걸..그걸 ..아니라는걸 증명하기위해 열심히 하는거죠 안짤리기위해............

  • @tryars
    @tryar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경제는 기득권의 의지로 움직인다
    정치는 중장년의 의지로 움직인다
    젊은이는 단순히 착취의 수단일뿐이다

  • @danieltado
    @danieltad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말의 본뜻을 파악하지 못하고 궁금해하지 않는 사람은 말에 휘둘리게 되나봐요.
    전부 이러한 의문을 갖게되진 못하더라도 말의 참뜻을 이해한 사람들이 믿음을 올바르게 사용해서 다른 사람들을 이끌어줄수 있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jhrhew
    @jhrhe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여기 나온 사람들은 기술 분야에서 프로젝트 안 해본 사람들이다. 19세기 20세기 노동과 집단의 창의적 노동을 구별해서 얘기해야 할 거 같다. 테크 기업에서 20년 일해 본 경험은 소위 10배 혁신을 지속적으로 한다 해도 자동화가 되어 불필요한 노동을 대체하는 것보다 풀어야 할 문제의 복잡성이 증가하는 속도가 빠르고 일이 계속 늘어난다. 이건 사람 수를 늘린다고 해결되지 않고 복잡한 문제를 푸는 집단 지성이 문제의 복잡도 증가를 따라잡을 만큼 지속적으로 향상돼야 해결된다. 또한 경쟁에서 이기려면 AI가 해결해 주는 것 만큼 목표치의 문제의 복잡성도 같이 올라가고 새로운 형태의 문제는 기존 패턴을 학습한 AI로 해결되지 않는다. 대표적인 예가 무어의 법칙. 회의에서 결정 못하고 시간을 끌게 되는 이유도 자기 강박이나 최면 때문이 아니라 일이 복잡해지면 아무리 데이타를 모아도 확신을 갖고 결정하기 어려워지고 잘못 내린 결정은 엄청난 비용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4시간 노동하는데 누가 비용을 8시간에 맞춰 주려하겠나? 무어의 법칙 자체가 같은 비용에서 나오는 전자회로의 성능을 2년마다 2배로 올리는 건데 2배 좋은 성능에 가격도 2배 지불하라면 아무도 안 산다. 또 시간이 기준이 아니라 영향력과 파급력을 기준으로 임금을 정해야 하지만 복잡한 일은 입력과 출력의 관계가 비선형적이라 이 또한 모두가 납득할만 하게 기준이 정리되지 않는다.

  • @jeehye_life
    @jeehye_lif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관건은 기계노동/AI로 창출한 가치를 어떻게 분배하느냐, 그 시스템을 어떻게 만드느냐이죠. AI를 두려워할 게 아니라 그로 인해 창출되는 가치 분배 체계를 어떻게 만드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패러다임 자체가 바뀌어야 하는데 그게 과연 가능할 것인가가 의문입니다.

  • @minari-muchim
    @minari-muchim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고용자의 입장으로 내가 굳이 4시간 노동비를 8시간 노동비로 제공 할 필요가 없어요. 인간의 노예근성안에 성실함이 포함되어있지 않거든요. 누군가는 8시간동안 7시간 집중하고 있다면 누군가는 2시간만 일하죠. 4시간으로 줄어든다고 모두가 4시간 바짝 일하지 않습니다. 다시 30분만 일하는 사람들이 생기거든요. 저시간 고효율 근무는 노동자의 허상일뿐입니다. 그만큼 임금을 적게 가져가는 게 맞아요.

    • @user-ot3xf5hq8f
      @user-ot3xf5hq8f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저시간 고효율 근무는 노동자의 허상 ㅇㅈㄹㅋㅋㅋㅋㅋㅋㅋㅋ 이미 유럽에서 나온 연구결과들은 뭐 다 거짓말임? 방구석 자칭 고용자가 유럽의 전문가들보다 더 전문성 있다고 착각하는거 줫나 웃기네

    • @minari-muchim
      @minari-muchim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ot3xf5hq8f 연구결과 가져와보시고. 실질적으로 성장시켰다는 근거 가져와보세요. 유니콘 클럽 달성한 기업 중 근무 시간 어떻게 쓰는지 알면 님같이 망상으로 댓글 못달죠. 자원도 없는 가난한 나라에서 어설프게 쉬고싶은 게으름을 보아하면 님 삶이 어떨지 뻔히 보이네요.

  • @Eric-zo8wo
    @Eric-zo8w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0:29: 🤖 인공지능과 자동화의 급증은 직업 안정성과 인간 노동의 가치에 대한 주요 우려입니다.
    6:53: 🤔 이 비디오는 가짜 노동의 개념에 대해 논하며, 기술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발전함에도 불구하고 왜 우리가 여전히 하루에 8시간을 일하는지 의문을 제기합니다.
    12:53: ✍ 일하지 않으면 먹을 수 없다는 개념은 부분적으로 사실이지만, 아우슈비츠의 예로 도전될 수도 있습니다.
    17:49: 🎓 연세대학교는 그 아이비리그와 같은 캠퍼스로, 천문학에 대한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에서 서양식 천문학 교육을 처음 도입한 대학이었습니다.
    23:44: 🌟 이 비디오는 이원철 박사의 천문학 분야에서의 연구와 성과에 대해 논의합니다.
    Recap by Tammy AI

  • @user-qc6ys6yk3e
    @user-qc6ys6yk3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한 번뿐인 인생,, 효율도 중요하지만 삶을 굽어볼 수 있는 시간을 더 가졌으면,, 사회가 좀 더 천천히 가면 좋겠습니다

  • @SojinHa-yf3yq
    @SojinHa-yf3yq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20:22 이렇게 자기가 좋아하는 분야와 관련된 정보가 드러났을 때의 표정이 너무 재밌고 좋다 ㅋㅋㅋㅋㅋ 뭔가 동심이 남아있는 듯한 표정

  • @user-lm8ic9bp4u
    @user-lm8ic9bp4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25년전 직장에 다닐때 직원들은 자신의 능력을 입증해 보이기 위해 자꾸 일을 늘리고 그렇게 안 해도 되는일을 .. 정성껏 한다는 이유로 아주 많은 시간을 할애해서 어떻게든 자신이
    중요한 인재라는것을 어필한다. 웃긴건 그런 직원들이 10명중8명이라는것. 한가하면 가치없는 인간이고 짤려야 되는 1순위라서 그런것인지 엄청 가짜노동에 힘을 쓴다.
    그리고 순서에 의해 퇴직을강요 당한다. 지금 와서 생각해 보는건 .. 역시 사람은 시간과 자유를 내 의지대로 살아가는게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 @oldbbie
    @oldbbi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흥미롭네요

  • @uncle-charles
    @uncle-charles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야... 발리도 기대가 됩니다. 저도 아내와 정말 좋은 추억이 많은 곳이에요. ^^. 건강하게 즐거운 여행 보내세요. ^^

  • @user-qj3kv6ip3e
    @user-qj3kv6ip3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

    4시간 노동이 선진국이 추구하는 목표라고 알고 있습니다 ai와 기계가 노동을 대신해 주는 것이 지향하는 미래 아니었나요
    모두가 4시간만 일하면 불안할 일이 없는데 남들보다 잘 살고 싶은 욕심이 불안하게 하는 것 같네요

    • @user-yn2ir7fe1b
      @user-yn2ir7fe1b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대한민국이 선진국인가?

    • @user-dm6vw2fx6x
      @user-dm6vw2fx6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과연 그럴까? 4시간만 일해도 행복해질거라는 보장도 없으면서 뭔 개소리여

  • @tan4ru004
    @tan4ru004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지금 6시간 근로하면서 중견기업 수준의 복지와 급여를 받고있음
    늦게 출근하고 빨리 퇴근하는게 삶의 질을 이렇게 높일 수 있다는걸 깨달음
    인간은 결국 나의 업무가 가치가 있고
    그 가치를 돈으로 정당하게 교환되는게
    정말 중요하구나 느낌
    이런 사장이 존재한다는게 신기하고
    사장이 더 잘되길 바람
    이유는 내가 성장하는 길이라서 잘하고 싶음
    하루가 즐거움 매일 감사하고..

    • @user-dm6vw2fx6x
      @user-dm6vw2fx6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 백수고 나라에서 돈 나오는데
      일안해서 그런건지 우울증 걸림

    • @user-hv6ym5kr6p
      @user-hv6ym5kr6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혹시 초등행정실 세입 담당 아님?
      초등 행정실 세입담당자 육아시간 2시간 풀로 쓰고 하루 4시간40분 일하던데..

  • @ugwangho02
    @ugwangho0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잘 보고 갑니다. ^^

  • @user-cn3ee1ec5l
    @user-cn3ee1ec5l 19 วันที่ผ่านมา +2

    솔직히 일찍 퇴근할 수 있으면 진짜 집중해서 일 파바박 할 수 있고 그렇게 시간이 남으면 업무관련해서도 여러가지 더 생각할 수 있는데 무조건 6시까지는 앉아있어야되니까 오히려 세월아네월아 하게됨

  • @landi263
    @landi26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진짜 이런걸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데, 직종에 따라 다르더라도 사무직 쪽은 특히 효율성과 일하는 시간이 반드시 비례하지가않고 또 일하는시간과 수익성도 반드시 비례하지않지만,
    일하는 시간과 임금은 비례하고 일하는 시간과 피로 스트레스는 비례하기에 .. 참 이게 지표로 표현하기도 어려워서 안타까워요 회사다니면 은행이나 병원 30분-1시간 내기도 쉽지않다는 것이 .. 기술의 발전이 있다면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는 부분들이 있을텐데도 인간의 노동은 똑같은 시간이란말이지요 그 시간을 채우지않으면 마치 일을 덜 한것같은 그런

  • @user-np9rz4uf8y
    @user-np9rz4uf8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시간대비 낮은 급여를 받는것도 시간을 소비하는것이지만, 급여가 높아도 타인에 의해 부과되고 스스로 별 가치가 없는 일에 시간을 소비했다면 의미가 없기는 마찬가지겠죠..
    노동시간을 줄여가는 방향이 무조건 어렵다 안된다하고 단정지을 부분이 아니라, 우리가 어떻게 좀더 적게 일하고 인간답게 행복하게 살것인가에대해 같이 논의하고 바꿔가야 하지않나 싶습니다. 인생이란게 결국 우리의 시간을 향유해야하는것인데 돈의 노예가 되는것은 아닌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user-dm6vw2fx6x
      @user-dm6vw2fx6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근데 누가 그일 하라고 시킴? 학교 다닐때 놀거 다 놀고 이제와서 평등 어쩌고 하는게 너무 괘씸한데

  • @chic007
    @chic007 2 วันที่ผ่านมา

    늦게나마 고 이원철 박사님의 업적을 알게 되어서 너무 좋네요👍

  • @user-qt9qq7zb9i
    @user-qt9qq7zb9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가짜노동을 파악하고
    생산성을 높이면
    더 효율적인
    살수 있겠네요
    그 시간을 소중한시간에
    투자 하면 더 가치 삶 사는게
    더 행복한 삶 일듯
    항상 질문하고 항상 배운다는
    자세로 끊임없이 살아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user-dm6vw2fx6x
      @user-dm6vw2fx6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로봇임? 4시간으로 바꿔도 가짜노동는 생겨남 왜냐? 사람이니까 ㅋㅋ

  • @parkigsky
    @parkigsk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노동을 신성시? 하는 것에 길들여졌다는 말이 공감이 가는 게 영상에서 이야기하는 주제와 조금 다를 수도 있지만 보통 누군가를 처음 만나게 되면 의례적으로 무슨 일 하세요?를 물어보잖아요. 상대방은 이야기를 이어나가기 위한 수단으로서 물어보는 것도 있겠지만 어떤 일을 한다는 것으로 그 사람의 가치를 판단하는 경우도 많은 거 같고 말하는 입장에선 조금이라도 더 그럴싸하게 얘기하려는 경향이 있는 거 같아요.

    • @user-gm9ed5zb1v
      @user-gm9ed5zb1v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일을 통한 자아정체성은 심리학 교과서에도 써있는말 아닌가?

    • @user-kq8cd2oo6t
      @user-kq8cd2oo6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gm9ed5zb1v 모든 사람이 중학교때 심리학 과목을 배우는 것도 아닌데 모를수도 있지;

    • @user-gm9ed5zb1v
      @user-gm9ed5zb1v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kq8cd2oo6t 모르면 입다물어야지

    • @user-gm9ed5zb1v
      @user-gm9ed5zb1v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kq8cd2oo6t 모르는건 괜찮아 ..근대 왜 하나같이 ㅈ문가나 일반 네티즌들이나 잘모르면서 입을 함부로들 놀리냐고? 마치 어거지라도 아는체라도 해야 자기존재감 증명하느냥 발광들을하냐고?

    • @user-kq8cd2oo6t
      @user-kq8cd2oo6t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gm9ed5zb1v ? 이정도면 아는체 까진 아닌거 같은데;; 걍 자기 생각 말한거잖음.
      뭐 어디 책에서 무슨 구절이 있는데~ 거기에 따르면~ 이런식으로 겉핥기 정보 킹받게 이야기하는거도 아니고.
      요즘 심적으로 좀 힘드신듯 편하게 보세요..

  • @hyunkyungchoi4212
    @hyunkyungchoi421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1

    일하지 않을 권리 라는 책을 읽었는데 비슷한 논조의 책인 것 같아요. 생각해볼만한 이야기이고 자신의 업무에 대해서, 여가를 어떻게 보내야할 것에 대해서도 본격적으로 생각해 봐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 @user-dm6vw2fx6x
      @user-dm6vw2fx6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ㅇㅇ 난 백수임 백수여도 열심히 일하는 의사들 간호사들과 동급임 ㅅㄱ

  • @user-ys6lz6eo9r
    @user-ys6lz6eo9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리나라에 인재가 많았네 이원철박사님 존경스럽네요

  • @user-ou6om3ww5d
    @user-ou6om3ww5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문제는 4시간만 일해도 사용자가 8시간 일한 만큼의 돈을 주느냐이지요. 사용자는 최소비용 최대효과를 기대하며 50명분 일을 하는 로봇을 사는 데 적지 않은 돈이 들었을 테니까요. 모자란 돈은 국가가 기본 소득으로 지급해 줄라나요.

  • @user-ec1zg1hh5f
    @user-ec1zg1hh5f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대민업무도 사실상 4시간이면 각기 행정업무 끝나긴 하는데, 고객 입장에선 운영시간이 너무 짧아지는지라... 교대제가 필수가 되겠네요

  • @user-dh8he9yp9m
    @user-dh8he9yp9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세상의 모든 팀장이 봐야될 영상

  • @newsgood6617
    @newsgood661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기계를 둬서 100명이 4시간만 일하지 못하는 이유는 옆 경쟁 공장에서도 기계를 두고 100명이 8시간씩 일을 하고, 노동자에게 8시간 만큼의 임금을 주기 때문입니다. 공무원이 아닌 이상 적용될 수 없는 얘기에요

  • @Su-ob8fz
    @Su-ob8fz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역시 알쓸 시리즈는 최고였다..

  • @user-cl6ig3ju3i
    @user-cl6ig3ju3i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저라는 개인은 일을 덜하고 놀수만 있다면 놀고 싶습니다.
    진짜 적당히 일하고 운동다니고 쉬고 책읽고 하면서 놀고싶은데... 일끝나서 퇴근하고 쬐끔 운동하면 진짜 자야할 시간이네요. 하루에 일을 제외하고 한가지 이상 활동을 못해요... 😢😢 하...
    근데 과연 사회가 4시간 일하고 지금의 급여를 그대로 줄까요...ㅠ
    주4일근무 조차도 하네마네 하다가 연봉을 까네마네 하다가 쏙들어갔는데ㅠㅠ
    방법이 있어도 기득권은 어떻게든 사람들의 시간을 사서(빼앗아서) 권력을 누릴려고하지 않을까 하는 의문도 듭니다.

  • @MrParkjaejung
    @MrParkjaejun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가짜노둥 정말... 감명받았습니다

  • @user-nd4cp2ee7o
    @user-nd4cp2ee7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26:10에 나오는 브금 제목이 뭘까요??ㅜ 넘좋네요

  • @jisong3823
    @jisong382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별얘기 너무 재밌다

  • @user-ni8ce3rz7y
    @user-ni8ce3rz7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생산활동을 하는 공장이야 시간=생산량이지만 사무직들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회사이곳저곳을 다녀봤지만 정말 일을 위한 일을 하는 곳이 많습니다 저는 지금 있는 곳에서 저혼자 하는 일은 쓸데없는 일은 다빼고 10시간걸릴거 1시간으로 줄여서 출근하면 3시간 바짝 일하고 퇴근할때까지 놀고있습니다 대부분의 중소기업들 임원들은 일 안하면 큰일나는 줄 알아요 생산성과 효율성보단 무조건 오랜시간회사에 앉아있는 것을 일 잘하는 사람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강요야근동안 90%는 멍때리고 있음

  • @Awesome-im1sf
    @Awesome-im1sf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먹고 살아야 하니 일하는게 큰듯 솔까 돈이 썩어나서 생활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으면 취미생활.사회생활 좀 하고 쉬는 사람이 훨씬 많겠지 지금 중년.노년 분들이 말하시는 놀면 뭐해 뭐라도 하는게 낫지 라는건 그만큼 그분들이 자기만의 취미거리나 놀거리같은게 없고 지금 세상에 있는 그런 꺼리들을 접하기 힘들고 몰라서 그러신거고 자식들 키우느라 노후대비 못해서 더 벌어야되고 일한 시간도 오래되셔서 익숙하고 일하는걸 당연하게 생각하니까 그러시는거..우리가 하던 일의 가치가 안좋아진게 아니라 세상이 그만큼 변화했고 기술이 발전했으니 우리도 좀 바뀌고 놓을건 놓고 그럴수 있다는게 핵심인듯

  • @user-qq8dn1zq4g
    @user-qq8dn1zq4g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가짜 노동. 좋은 책 알게 되어 감사합니다.

  • @user-ou3ek9ey1d
    @user-ou3ek9ey1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인간의 욕망을 제어할수 있는가. 없다면 사회적 합의로써 강제해야 하는데 어떻게 할지의 문제가 남죠.

  • @ededede573
    @ededede57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4:40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당황하는 모습 😂

  • @karlla1220
    @karlla122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다들 공부를 안하면 나도 공부를 덜해도 되지 않을까? 라는 고등학생 수준의 이야기에서 끝내야될 생각이라고 생각함. 다들 4시간 일하면 꼭 6시간 일해서 자기 가치를 입증하려고 하는 배신자가 생김.

    • @user-yh4qi7mq3o
      @user-yh4qi7mq3o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이게 문제죠 😂
      뭐 공산주의 아닌이상 다같이 대충하자가 힘들다..

    • @20years-hawaii
      @20years-hawai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근데 내가 들은 독일회사 이야기들어보면 그들은 일보다 가족이 우선이라 정해진 시간보다 더 오래 열심히하려는 사람들 보고 우리의 문화를 해치지 말라며 압박한다고 함. 결국 그 사회가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냐의 차이인것 같음. 성공이란 가치를 부로 두는 우리나라의 현 사회가 받아들이기엔 시간이 필요하지 않을까.

  • @osanraven
    @osanrave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흠 참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영상이네요

  • @dsk1500
    @dsk1500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0

    정치인들도 같이 고민해봐야할 이야긴데 아직도 빨갱이타령이나하고있으니 정치인 잘못이라기보다 그런 사람들에게 투표한 우리의 잘못이겠죠

    • @user1wb6jm1e26
      @user1wb6jm1e26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이 띵언을 알아먹을 궁민이 몇이나 될런지요

    • @user-oe2pq5yl7l
      @user-oe2pq5yl7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용산 뷰 운운하면서 지식인인척 하는 유현준 겉은 부류를 방송에 부르는 언론도 문제였죠.

    • @mufama9995
      @mufama9995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지난 정부에 대장동 부패나 성추행등등 자살당함 선거 3일전 가짜뉴스 은 뭐로 설명할까요 북한 불법송금으로 핵만들고..일반인들이 정신차리고 투표하는 이유죠.

    • @user-cq1tn2hk9r
      @user-cq1tn2hk9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oe2pq5yl7lmit 하버드 나온 저분이 너같은 백수 보다는 지식인일듯

    • @user-fm9hh9gm2u
      @user-fm9hh9gm2u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ppororiya간첩은 원래 잡아야하는거고 정치인이 국민행복대신 빨갱이타령만 한다고 잡히는 것도 아닌데 ㅉ

  • @user-pb9oh4vh5l
    @user-pb9oh4vh5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근로시간 줄이는게 무언갈 생산할때는 적용이 좀 덜 됨.
    예를들어 내가 카페알바 할 때 출근 시간대에 둘이서 하고 있었음. 그땐 매출이 하루 70만원 정도 됐음. (여의도라서 오후까지만 하는 가게) 근데 최저임금 오르고 사장님이 부담스러웠는지 자기가 바쁠땐 좀 서브해줄게 해주고 다른친구를 짤라버림. 그리곤 결국 나혼자 하게됨. 그럼 분명 사장은 돈을 더 벌어야 하는데 매출이 평균50으로줄어버림. 내가 모든 손님을 외울수 없겠지만 분명 평소오는 단골들의 비중이 적어짐. 그렇게 또 해가 지나고 임금이 또 오르자 내 근로시간을 앞뒤로 총 한시간 짜름. 그리고 매출은 또 줄음.
    얼마 뒤 나는 그만뒀고 근로신고 안되어있어 신고하려고 고용뭐시기 알아보니 폐업신고 돼있었음.
    사무직은 내가 안해봐서 모르겠지만 물건 팔때는 시간 줄이고 인원줄이는게 도움되는거 같진 않음.

  • @asap_dongtak
    @asap_dongta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너무 현실성이 없어보이기도 한게 애초에 자본주의 사회에서 의사결정을 저렇게 하지 않죠.. 어느 자본가가 '4시간만 일해도 되니 반반 나누어서 고용하자' 이럽니까. 절반은 아니더라도 어느정도 해고를 하고 생산량을 극대화하는 최적점에 맞춰서 시스템 돌리겠죠. 패널분들 모두 존경하지만, 이런 얘기 할 경우 경제학자가 한명 추가되는게 좋겠어요!!

    • @jeslee2527
      @jeslee2527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걍 컨셉을 전문가들이 자기 전공 아닌 분야에 대해 떠드는 프로그램인듯요

    •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냥 50명이 아니라 2-3명만 고용되고 나머지는 길바닥에 앉아서 자본주의가 소수에게만 납득되는 사회가되면 자본주의 존재가 불가능하게 되겠죠.

    • @asap_dongtak
      @asap_dongtak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dennythedavinchi3832 답글 고맙습니다. 제생각엔 길바닥에 앉는 사람이 90명이 넘기보다는 시간이 지나면서 각자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보입니다. 늘 새로운 기술이 등장할때마다 그랬듯이요.

    • @Golfgool
      @Golfgoo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수많은 글중에 이분 생각만 현실성 있는 답이네요

    • @user-jz6cp8sb1j
      @user-jz6cp8sb1j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일자리나누기라고 원래 있었던 개념이에요. 줄어드는 임금에 대한 보전을 어느수준으로 해야하는지 사회적합의가 필요하지만 개인마다 사정이 다르기때문에 이 시스템을 선호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 @LeeMyeongjae
    @LeeMyeongjae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스토리도 퍼포먼스도 다 기계가 가능한데, 그런걸 대안으로 말하는게, 아이디어가 없다라고 고백하는 것 같아요

  • @beng5747
    @beng574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산업화 시대 이후로 가짜노동이 늘 존재했겠네요. 조금 더 늘어난 시간과 여유속에서 열심히 일할려는 사람들과 그 여유의 빈공간을 풍성하게 대채해줄 컨텐츠와 기술들이 나오면서 인류가 계속 발전을 해왔겠죠. 반도체의 발전, 통신의 진화, 스마트폰의 출현,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 그리고 우리가 이렇게 매일 보고있는 유튜브까지.
    현재 시대는 과도기로 보면 되겠네요. 베이비 붐시대의 폭발적인 성장이 지나가고 인구 노령화와 더불어 스마트폰과 SNS의 부작용으로 고생하는 젊은 세대간의 부조화가 가득한... 시간이 지나면서 새로운 조화의 시대가 오기를 바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