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보는 색의 진실!? 색의 비밀 한 방 정리! [안될과학-긴급과학]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8 ส.ค. 2020
  • 우리가 상식으로 알고 있던 '색'은 사실 뇌가 만든 허상이다?!
    동물의 시각을 통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색의 비밀'!
    [동물의 눈과 색]을 한 방에 정리하기 위해, 공진이 긴급히 다뤄봤습니다!!
    #색의비밀 #동물 #무지개 #자외선 #심해
    ◆ Thanks to
    공진의 추천 채널: 널위한문화예술
    (당신이 몰랐던 컬러의 비밀: • 당신이 몰랐던 핑크 색의 비밀? )
    Written and Directed by Resonance
    Editor: Resonance
    Reference:
    [1] T. W. Cronin et al., Nature 339, 137-140 (1989)
    [2] J. Neitz et al., Visual Neuroscience 3, 119-125 (1989)
    [3] J. Neitz et al., Opt. Photon. News , 26-33 (2001)
    [4] D. Osorio et al., Vision Research 48, 2042-2051 (2008)
    [5] A. Kelber et al., Proc. R. Soc. B 277, 1617-1625 (2010)
    [6] R. Zhao et al., Phy. Rev. B 83, 035105 (2011)
    [7] H. H. Thoen et al., Science 343, 411 (2014)
    [8] I. C. Cuthill et al., Science 337, 470 (2017)
    [9] L. S. Carvalho et al., Frontiers in Ecology and Evolution 5, 34 (2017)
    [10] Z. Musilova et al., Science 364, 588 (2019)
    ◆ Music
    Storm Time by Muciojad / muciojad
    Creative Commons - Attribution-ShareAlike 3.0 Unported- CC BY-SA 3.0
    creativecommons.org/licenses/b...
    Music promoted by Audio Library • Storm Time - Muciojad ...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 unreal.science
    ◆ 안될과학 문의
    E-MAIL : MoreScience2018@gmail.com
  • วิทยาศาสตร์และเทคโนโลยี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334

  • @art_for_you
    @art_for_you 3 ปีที่แล้ว +47

    00:42 저희 콘텐츠들을 평소 즐겨보던 안될과학 채널에서 만나 너무 반갑네요🥰🥰 너무 흥미로운 과학 이야기에서 새로운 예술적영감을 얻어 갑니다.감사합니다!!

    • @user-it4dx1hn1k
      @user-it4dx1hn1k 3 ปีที่แล้ว +3

      전 예술 관련 정보에 관심은 적지만 유튜브에서 일반인들에게 쉽게 알 수 없거나 전공 관련 정보들을 흥미롭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는 모든 채널들에게 항상 고맙습니다.

    • @user-mr1no1cd5k
      @user-mr1no1cd5k 3 ปีที่แล้ว +3

      둘이서 콜라보를 한 번 해보시는건 어떠신지..과학과 예술의 융합

    • @kingofthelunchtable
      @kingofthelunchtable 3 ปีที่แล้ว +2

      널 위한 문화예술과 안될과학의 광팬 입니다 ^ ^ 저도 반가웠습니다

    • @HosPital-gd2yu
      @HosPital-gd2yu 3 ปีที่แล้ว +1

      와 정말좋네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5

      이렇게 댓글도 남겨주시다니..!♡ 영상 너무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나중에 문화예술과 과학의 콜라보도 기대기대! O_Ob!!

  • @_sunflower8296
    @_sunflower8296 3 ปีที่แล้ว +2

    2:40 이런 재밌는 농담 요소가 중간중간에 있으면 참 재밌게 과학공부가 되네요!!!
    항상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화이팅!

  • @jinjinzarajin
    @jinjinzarajin 3 ปีที่แล้ว +3

    너무 재밌어요 흑흑 항상 너무 건강한 자료에 개그 향신료 가미해서..과학을 배부르게 느끼게 해주셔서 감사해요💓 과학에 대한 흥미가 막 솟아오르네여 당연하게 여겼던 것들에 대해서 다시 곱씹어보게 돼요 생각해 보면 대부분 외계인을 눈이 왕방울만하다던가 머리가 크다던가 약간의 차이만 줄 뿐 전체적으로 인간과 유사한 모습으로 나타내곤 했으니까요. 우리의 당연한 일상의 모습들을 인간이 아닌 누군가들은 어떻게 느낄지 호기심이 생겨요 사실 그런 것들을 탐구해온 것이 과학인 것이겠죠 일상 속의 궁금증에서 우주의 원리를 깨닫는 것.. 넘멋졍

  • @-h2780
    @-h2780 3 ปีที่แล้ว +1

    역시 믿고보는 긴급과학! 너무 재밌습니다.

  • @armttin
    @armttin 3 ปีที่แล้ว +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 잘봤습니다 너무 마음에 드는 영상이네요!

  • @jeongwooseong1623
    @jeongwooseong1623 3 ปีที่แล้ว

    이 어렵고 다양한 지식을 이렇게나 편하게 ....정리해서 적절한비유까지.. 존경..

  • @user-lh9me2wj8k
    @user-lh9me2wj8k 3 ปีที่แล้ว

    영상 참잘만드시네요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 @proh6844
    @proh6844 3 ปีที่แล้ว

    매번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parrotvlog1608
    @parrotvlog1608 3 ปีที่แล้ว

    이예~~!! 너무 유익해요. 안될과학 짱짜앙💕

  • @iyotk
    @iyotk 3 ปีที่แล้ว +45

    색을 구분한다는 것을 긴급하게 다시 생각하게 되는 좋은 영상이네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3

      한 줄로 완벽하게 요약해 주신 너무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 @minseok8726
      @minseok8726 3 ปีที่แล้ว

      피부색 빼고

  • @destiny1004s
    @destiny1004s 3 ปีที่แล้ว +2

    내용 전달력 편집 어느거 하나 모자람이없는 최고의 교야채널인듯

  • @mazamaza76
    @mazamaza76 3 ปีที่แล้ว +1

    색 관련 엔지니어인데, 수준 높은 좋은 자료네요.
    아 정말 긴급과학 아이템은 완소. 그 자체.

  • @gsmooc
    @gsmooc 3 ปีที่แล้ว +1

    11:27 빵 터졌습니다^^.
    워낙 당연하게 색을 구분하다 보니까, 색이라는 것에 대한 다른 관점은 생각도 못했네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해요! 너무 좋은 댓글입니다!O_Ob!

  • @user-fx6po8gr2m
    @user-fx6po8gr2m 3 ปีที่แล้ว

    대단한 최신 색과학 잘 보았습니다 훌륭한 영상 및 분석소개 감사드립니다 최고 !!

  • @user-nj2xk5ih9j
    @user-nj2xk5ih9j 3 ปีที่แล้ว +1

    오늘도 흥미만땅 영상 감사합니다✨ 근데 항상 영상제작을 어떻게 이렇게 기깔나게 하시는지 참 궁금하네요 말에 맞게 영상이 딱딱! 머리에 쏙쏙 들어오네요... 완벽ㅠㅠ 따로 편집 해주시는 분이 있나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1

      너무 극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 이번 긴급과학 영상의 경우에는 제가 직접 편집을 진행했습니다O_Ob!

  • @user-uv4gy1mi6u
    @user-uv4gy1mi6u 3 ปีที่แล้ว +71

    '보라' 는 씨스타의 멤버였죠.
    이런 센스는 뇌의 어느 부분 시냅스가 활성화되어야지만 가능한건가요?
    뇌에 대해서도 한번 다뤄주세요.ㅋㅋ

    • @crescendo_999
      @crescendo_999 3 ปีที่แล้ว

      연예계관심세포.

    • @user-sp2qd5sy2v
      @user-sp2qd5sy2v 3 ปีที่แล้ว +2

      드립계 세포가 활성화 되면서 나오는 소리인듯요

    • @theSubtheSub
      @theSubtheSub 3 ปีที่แล้ว +2

      아재력입니다.그건 그냥 당신의 육체와 뇌가 노화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 @Chaelinhan
    @Chaelinhan 3 ปีที่แล้ว

    와 완전 유익해요... 비유도 적절하고 굿굿!

  • @jaeukkwon
    @jaeukkwon 3 ปีที่แล้ว

    정말 유익하고 재밌어요.

  • @bk4995
    @bk4995 3 ปีที่แล้ว +18

    6:14 이예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4

      최초의 조선 통신사죠♡

  • @chgus0101
    @chgus0101 3 ปีที่แล้ว +1

    오늘꺼 정말 흥미롭고 재밌어요

  • @shl0421
    @shl0421 3 ปีที่แล้ว +1

    진짜 강추 영상입니다. 학창시절에 대략적으로는 알고있었던 사실이지만 영상을 보며 더 명확하게 머릿속에 정리되었어요 최고~!

  • @chocolateabc
    @chocolateabc 3 ปีที่แล้ว +1

    항상 흥미로운 영상 감사합니다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좋은 댓글에 더 감사드려요!O_Ob!

  • @ymsong81
    @ymsong81 3 ปีที่แล้ว

    아주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Reference 도 잘 정리해서 주시니 다양한 독자들이 즐거워할 것 같습니다.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너무 좋은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더 좋은 과학 지식들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할게요! O_Ob!

  • @k940621
    @k940621 3 ปีที่แล้ว

    긴급과학 오랜만이에요!!
    역시 긴급과학 숨쉬는지도 모르고 봤습니다

  • @phenixbbang
    @phenixbbang 3 ปีที่แล้ว

    흥미롭고 재미있네요!!

  • @Melki-zedek
    @Melki-zedek 3 ปีที่แล้ว

    공진님 영상중에 제일 좋았습니다.

  • @planetblue3632
    @planetblue3632 3 ปีที่แล้ว

    대단한 영상이네요. 멋집니다.

  • @jihyunglee2734
    @jihyunglee2734 3 ปีที่แล้ว +1

    마지막 영화 시나리오 정말 흥미로운데요ㅋㅋ 긴급과학이 영화에까지 출연하는 날을 기다립니다!

  • @niqyoon4901
    @niqyoon490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결론이 호로로로로록~~ 멋지네요!

  • @user-ec2xx5wu3o
    @user-ec2xx5wu3o 3 ปีที่แล้ว

    유트브에 댓글처음 남깁니다.
    과학관련 분야에 가장 최고 채널입니다.
    아는것이 많아지네요

  • @user-qi9dg1yj9r
    @user-qi9dg1yj9r 3 ปีที่แล้ว

    크.....항상 기대를 뛰어 넘어 최고야!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기대를 뛰어 넘었다니 제 기분이 최고야!♡

  • @taewoo_kim0
    @taewoo_kim0 3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이거 천체사진의 색 얘기할때 한번 씩 틀어주고 설명하면 정말 좋겠네요!!!

  • @luansen0
    @luansen0 3 ปีที่แล้ว +38

    내가 녹적색약인데..
    개나 고양이와 같은 색으로 보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남들이 보기엔 불편하겠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태어날때부터 이랬기때문에 이게 불편한건지 모르겠습니다.
    꽤 많은 남성들 중에 녹적색약이 많다고 알고 있고 흔한 것이라고 알고 있어요.
    종종 게임을 하다보면 색맹보정옵션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정말 감사합니다.
    드물게 진짜 색이 구분안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런 옵션을 발견하면 이 개발자 배려심이 있구나 싶어요.
    색약 색맹이신분들을 놀리지 마세요.
    개와 고양이처럼 물거나 할퀼 수 있습니다^^

    • @user-it4dx1hn1k
      @user-it4dx1hn1k 3 ปีที่แล้ว +5

      게임 마인크래프트에서 주민들과의 거래에 쓰이는 에메랄드도 원래 빨간색 루비로 만들어질 예정이였지만 개발자 중에 적녹색맹을 가지고 있는 dinnerbone의 실수에 의해 에메랄드가 되었다는 썰이 있습니다

    • @user-ry7nt8bc8j
      @user-ry7nt8bc8j 3 ปีที่แล้ว

      게임 코스튭 수박으로 맞추차고 했는데 혼자 초록 배경에 빨간줄 긋는 친구 있다던 사람 생각나네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5

      색약을 가지신 분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어요! 동물들도 서로 다른 색각을 가진 만큼, 어떤 색을 바라보느냐 보다는 어떻게 색을 가치있게 받아들이는지가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 좋은 댓글 감사드려요! ♡

    • @daembie
      @daembie 3 ปีที่แล้ว

      마지막 뭐야...

  • @kingofthelunchtable
    @kingofthelunchtable 3 ปีที่แล้ว

    유머와 재치가 어울어진 우리가 알아야 할 이야기들... 오늘도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 ^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1

      너무 좋은 댓글에 감동ㅠㅠ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nanakim5117
    @nanakim5117 3 ปีที่แล้ว +15

    푸르키녜. 푸르키녜. 불을 키네ㅋㅋ공진님 아재개그 넘 죠아용ㅋㅋㄱ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5

      한 문장만으로 저의 심금을 울리셨습니다..♡

  • @Cesor7vonia0wlk
    @Cesor7vonia0wlk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캬~~ 재밌고 또 유익했어요!!!

  • @happyfreak2022
    @happyfreak2022 3 ปีที่แล้ว

    안될과학 백만 갑시다 3번 연달아 숨차게 재밌게 듣고 갑니다. 할수만 있다면 한마디 한마디 다 뇌에 입력해 놓고 싶네요 ㅎㅎ

  • @cheolwoonglee
    @cheolwoonglee 3 ปีที่แล้ว

    와 인식의 지평을 넓혀주는 긴급과학이네요. 멋집니다.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1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

  • @user-qr9lf3in4k
    @user-qr9lf3in4k 3 ปีที่แล้ว

    긴급과학이야말로 안될과학의 아이덴티티이자 근본 아니겠습니까!
    긴급과학 좋아요 많이 올려주세요 최고!

  • @HosPital-gd2yu
    @HosPital-gd2yu 3 ปีที่แล้ว

    너무재밋어요 사랑해요

  • @lye0909
    @lye0909 3 ปีที่แล้ว

    이번 주제는 불교의 공(空) 사상이나 도교의 상대적기준과 많은 연관이 있네요. 생각을 다시 한 번 정리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fire-st
    @fire-st 3 ปีที่แล้ว

    이번 영상은 특히나 화질이 좋아보이네요 ㅎㅎ

  • @wandering_user
    @wandering_user 3 ปีที่แล้ว +16

    x레이로 보는 외계인은 우리놀릴때 헐벗은 뼈다귀 놈들아 이러는건가요 ㅋㅋㅋㅋㅋ 꿀잼각

    • @user-hp4gxl1c6s
      @user-hp4gxl1c6s ปีที่แล้ว

      그들은 x레이를 막을 수 있는 납으로된 옷을 입겠다ㅋㅋㅋ
      안그럼 서로 발가벗어 보이니
      우리보면서 옷(납)도 없다니ㅜㅜ 그럴지도..

  • @FGSRL
    @FGSRL 3 ปีที่แล้ว +2

    0:17 01ㅔ16
    아 공젵님 갑쟈게 빛을 쏘ㅑ서 앞이 앙 보이잔ㅅ아요 ㅜㅜㅜㅠㅜㅠㅠㅜ

  • @yhwanjo3621
    @yhwanjo3621 3 ปีที่แล้ว

    공진님 영상이 제일 흥미롭습니다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극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culpamea539
    @culpamea539 3 ปีที่แล้ว

    *영상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색약이라 그런지 더욱 내용에 집중 할수 있었습니다.*
    *괜챦으시다면 다음에 ‘색약’에 대해서도 다뤄주실수 있을까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색약도 다뤄볼 수 있도록 공부해볼게욥!!♡

  • @Terry_De_Black
    @Terry_De_Black 3 ปีที่แล้ว

    개인주읰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웃겨 ㅋㅋ
    처음 보고 바로 구독 !!

  • @user-jy3if4pn7x
    @user-jy3if4pn7x 3 ปีที่แล้ว +6

    7:08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tn5sn6hz7p
    @user-tn5sn6hz7p 3 ปีที่แล้ว +35

    사람마다 보는 색은 다르지만 서로 다르게 보는 색을 노란색이라 약속해서 의사소통에는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 처음 이 사실을 듣고 굉장히 새로웠는데 동물들의 시각에서 본 세상을 영상으로 보니 정말 신비로워요. 개인적으로 지금까지 본 안될과학의 모든 영상 중 가장 아름답고 완벽합니다.
    1:16 이런 장면은 직접 만드신 건가요 다른 영상을 가져오는 건가요?

    • @user-it4dx1hn1k
      @user-it4dx1hn1k 3 ปีที่แล้ว +8

      서론의 그 이야기는 흥미롭고 논리적으로 가능하기야 하겠지만 저희는 유전적으로 가까우므로 뇌의 구조와 뉴런 또한 비슷하기에 모두 같은 색을 보고 있을 가능성이 더 높을 겁니다.

    • @ibrahimo6075
      @ibrahimo6075 3 ปีที่แล้ว

      이스터 이게 맞죠.. 만약 사람들 각자가 보는 색이
      다 다르다면 색이 인간에게 가져다 주는 심리적 효과도 사람마다 다 달라야겠져

    • @user-it4dx1hn1k
      @user-it4dx1hn1k 3 ปีที่แล้ว

      @@ibrahimo6075 근데 그 주장은 '사람마다 보는 색은 다르지만 그 색을 나타내는 파장이 주는 느낌은 같을 수 있다'라는 말로 반박이 가능해서요. 제가 논리적으로 가능하다고 한 이유가 이거 때문이죠

    • @sjmtech7572
      @sjmtech7572 3 ปีที่แล้ว +5

      ㄹㅇ 어릴 때부터 궁금했던 주제다. 사람 마다 보는 색이 다른 것을 그냥 '노란색' 마냥 정의해서 의사소통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ㄹㅇ로 같은 색인 것인지 모르겠다. 이를 알아보려면, 무수히 많은 색들을 펼처놓고 각자 생각하거나 알고있는 혹은 인지하고 있는 '노란색'을 지목하도록하여 비교해보면 되지 않을까??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3

      너무 극찬을 해주셔서 감동감동 ㅠㅠ 해당 장면은 Storyblocks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O_Ob!

  • @user-ww6en6mi4d
    @user-ww6en6mi4d 3 ปีที่แล้ว +1

    와 진짜 새로운 시각이네요 ㅋㅋㅋㅋㅋㅋㅋ 정말 알수도 있었을 지식이지만 생각을 못했네요 정말 그러네요 ㅋㅋ 외계인이 받아들이는 시각이 우리와 같지 않다면 우리의 모습이 우리가 생각하는 모습 아니겠어요

  • @pe_pe59
    @pe_pe59 3 ปีที่แล้ว

    이야~~ 질좋은 컨텐츠

  • @user-xp9so3ig1n
    @user-xp9so3ig1n 3 ปีที่แล้ว

    너무 재밌어..

  • @user-hr8jl1ol8o
    @user-hr8jl1ol8o 3 ปีที่แล้ว

    대학에서 배우던걸 다시 또 보니까 좋네요 ㅎㅎ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색의 신비는 봐도바도 재밌는 거 같아요!O_Ob!♡

  • @user-mg2px3st4i
    @user-mg2px3st4i 3 ปีที่แล้ว +1

    사람중에도 4색각을 가진사람이 있다는 말을 들은 것 같은데 그게 안나와서 아쉬워요 ㅠ 같은 사람인데 더 많은 색을 본다니 너무 부러운 것 . .

  • @amootoon4032
    @amootoon4032 3 ปีที่แล้ว +1

    놀라운 과학이네요.

  • @user-mo8nx4vw8s
    @user-mo8nx4vw8s 3 ปีที่แล้ว

    언제나 그렇듯 먹고 사는데 도움은 안됐지만, 재밌으니까 좋아욤 구독

  • @andreseungyeobsong4899
    @andreseungyeobsong4899 3 ปีที่แล้ว

    잼써영!!! 그럼 따뜻한 색이라고 하는 빨간색을 내가 인식하는거랑 다른사람이 인식하는거랑 다를 수 있겠네요??? 막 내가 느끼는 파란색의 그 시원한 파랑의 모습을, 다른 사람이 빨강을 볼 때 그 파랑을 느끼게 된다거나???

  • @seren3047
    @seren3047 3 ปีที่แล้ว

    ㅋㅋ잘봤숩니당

  • @hellonicetomeetu7951
    @hellonicetomeetu7951 3 ปีที่แล้ว

    정신없이 빨려들어가듯 재밌게 봤습니다~

  • @user-mo8bz3ip6f
    @user-mo8bz3ip6f 3 ปีที่แล้ว

    내용도 굳 드립도 굳

  • @user-bc8nm7on6r
    @user-bc8nm7on6r 3 ปีที่แล้ว

    특정색을 나타내는 물체들의 표면은 어떤원리로 특정파장의 빛만 반사시킬수있는지 설명해주세요

  • @Dolby_Cinema
    @Dolby_Cinema 3 ปีที่แล้ว +3

    눈이 바이오닉 안테나라는걸 서른즈음에야 통찰할 수 있었는데.. 단 10분만에 이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요즘 세대들은 얼마나 큰 복일까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1

      좋은 댓글에 감동했어요 ㅠ 저희 노력들이 다음 세대로 하여금 더 많은 과학 지식들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발판이 되면 좋겠습니다!O_Ob!

  • @ljs91389142
    @ljs91389142 3 ปีที่แล้ว +2

    너무 재밌엉😁😁😁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1

      재밌게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 @qpwoqpwo5154
    @qpwoqpwo5154 3 ปีที่แล้ว +1

    서로 같은 것을 바라보고 있더라고 서로 다른 것을 인지하고 있군요

  • @user-nu6mt7sm1s
    @user-nu6mt7sm1s 2 ปีที่แล้ว

    와 외계인이 지구인을 볼때 어떻게 다를지에 대한 내용이 충격적이면서 너무 재밌는 상상이에요

  • @user-hg8fd3zg1j
    @user-hg8fd3zg1j 3 ปีที่แล้ว +1

    몰입도 오집니다 ㄷ ㄷ ,.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집중해서 봐주시다니 감동감동 ㅠㅠ♡

  • @user-qq8nb8gx7v
    @user-qq8nb8gx7v 3 ปีที่แล้ว +1

    실생활에 도움이되네요 그래서 물고기는 빨강을 못본다는거죠? 이젠 낚시 미끼색을 더이상 고민할 필요가 없네요 ㄱㅅㄱㅅ

  • @B2spirit_ap
    @B2spirit_ap 3 ปีที่แล้ว

    예전부터 상상을 했는데. 인간이 더 많은 감각기관을 가지게 되거나, 기존 감각기관들이 크게 발달된다면... 그래서 우리가 더 많고 다양한 자극과, 파장과, 현상과, 에너지와, 물질들을 느낄 수 있게 된다면. 우리가 느끼는 세상은 과연 어떨까. 오랜만에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는 영상이네요.

  • @soundcollector414
    @soundcollector414 3 ปีที่แล้ว

    생물마다 보는 색이 다르다는건 알았지만
    인간에게 보이지 않는 파장의 전자기파를 다른 생물들이 볼 수 있다는것은 놀라운거같아요.. 심오하게 생각해 본적이없었던 터라 더 흥미로운거같습니다 😯

  • @yaong_i
    @yaong_i 3 ปีที่แล้ว

    긴급과학 기다렸어여 ㅠㅠ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기다리게 해드려 죄송해요!ㅠㅠ♡

  • @JHqums
    @JHqums 3 ปีที่แล้ว +1

    시신경세포의 수가 중요한게 아니라 그 파장대의 얼마나 새새하게 나눠볼수잇는 분해능이 중요하다고봅니다.
    16비트의 시신경, 8비트 시신경 뭐이런거?
    38종의 세포를가진 심해어는 암흑에서 38종의 명암만 구분할수있을지도모르죠...

  • @user-qx1kd2vq5s
    @user-qx1kd2vq5s 3 ปีที่แล้ว

    와 간만의 긴급과학 ♡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기다리게 해드려 죄송해요!♡

  • @code_zero
    @code_zero 3 ปีที่แล้ว +1

    이게 얼마만의 긴급과학이야!!!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1

      이렇게나 기다려주시다니 감동감동 ㅠㅠ♡!

  • @youngha4057
    @youngha4057 3 ปีที่แล้ว +5

    사람들중에서도 원추세포가 4개가있어 일반사람이못보는색을 감지하는 사람도 있다고합니다 아주 드물지만요..그리고 유투브에 색맹안경 검색하시면 색맹도 색을보게끔 히더군요 그안경을 사용한 색맹인들은 정말 어쩔줄몰라합니다. 평생 자기가 보았던 세상과 너무다른 아름다운 세상이 펼쳐져서 울더군요~

    • @user-it4dx1hn1k
      @user-it4dx1hn1k 3 ปีที่แล้ว

      이 정보가 확실한지는 알 수 없지만 만약 그렇다면 그분이 보는 색 스펙트럼의 가장 좌측에는 저희가 절대 이해할 수 없는 색이 있다는 거네요..

    • @kimsuhyeok
      @kimsuhyeok 3 ปีที่แล้ว

      @@user-it4dx1hn1k 약간 하얀 보라색(?) 이라고 들었던 것 같네여

    • @user-it4dx1hn1k
      @user-it4dx1hn1k 3 ปีที่แล้ว +1

      @@kimsuhyeok 수정체와 각막이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수정체를 적출하거나 각막이 벗겨진 사람은 자외선이 푸른 듯한 흰색으로 보인다는 얘기는 들었는데... 찾아보니 푸른 듯한 흰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제 4의 원추세포가 있기 때문이 아니라 rgb를 감지하는 세 종류의 원추세포 모두 자외선에 어느 정도 반응하고 그 중에서 blue를 감지하는 원추세포의 반응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제 4의 원추세포를 가진 분은 좀 다르지 않을까요?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너무 흥미로운 댓글이네요! 좋은 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O_Ob!!

    • @user-gw2zu5do2r
      @user-gw2zu5do2r 3 ปีที่แล้ว

      정말 흥미로운 정보군요. ^^

  • @user-it4dx1hn1k
    @user-it4dx1hn1k 3 ปีที่แล้ว +8

    0:57 우리에게 눈이 존재하기에 이 모델분의 아름다운 눈을 볼 수 있다..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우리에게 눈이 준 행복감은 이루 말할 수 없죠!O_Ob!

    • @daembie
      @daembie 3 ปีที่แล้ว

      ♥♡ㅗㅜㅑ~♥ㅗㅜㅑ♥

  • @yoochangchang
    @yoochangchang 3 ปีที่แล้ว

    1분과학의 신은 수학자일까? 꼭 보세여 그리고 수 에 대해서도 한번 다뤄주세여

  • @user-hp6nv5sw5y
    @user-hp6nv5sw5y 3 ปีที่แล้ว +1

    항상 좋은 영상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ω`❁)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항상 재밌게 봐주셔서 더 감사합니다!O_Ob!

  • @jrlee7643
    @jrlee7643 3 ปีที่แล้ว

    안녕하십니까! 인사할 시간은 없어도 반복할 시간은 있습니다! ㅋㅋㅋ
    역시 인간 중심의 사고 에서 벗어나야 더 많은 진실을 대면 할 수 있는거군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해 ㅎㅎㅎ

  • @kimggungown
    @kimggungow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볼수없는 색은 상상하지도 못하겠지... 너무 궁금하네요

  • @user-pm7sk1uv3b
    @user-pm7sk1uv3b 3 ปีที่แล้ว

    형형형형 !! 대작이 아주 맘에 들어 고마어 흐힣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댓글이 아주 맘에 들어요 고마어요 흐힣♡

  • @user-ib4bs3pc2j
    @user-ib4bs3pc2j 3 ปีที่แล้ว

    인간의 눈이 새우의 원뿔세포와 심해의 막대세포를 가진다면 더 재밌겠네요 ㅋㅋㅋ

  • @gainblue
    @gainblue 3 ปีที่แล้ว

    찬체관측 할 때 붉은 색 헤드렌턴으로 장비 설치하고 별지도를 보는데요. 붉은색이라야 눈이 어둠에 적응하여 동공이 커진 것을 보호하여 암적응이 덜 깨진답니다. 이에 대한 과학적인 이유가 궁금하네요. ^^

  • @user-jo3no9qj5j
    @user-jo3no9qj5j 3 ปีที่แล้ว

    색맹이나 색약이 있는 분들은 그색을 회색으로 보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시각세포의 종류가 많아지면 우리가 보는 회색이 회색이 아닐 수 도 있지 않을까요?

  • @mrkim5450
    @mrkim5450 3 ปีที่แล้ว

    4:20 창문에 자외선 코팅을 한다는건 무슨 말이죠? 자외선 차단 코팅 아닌가

  • @eunjulee4055
    @eunjulee4055 3 ปีที่แล้ว

    믿고 보는 공진님의 긴급과학! 오늘도 많이 배웁니다 :)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1

      믿고 보신다니 감동감동ㅠ 더 좋은 주제로 또 찾아오겠습니다!♡

  • @user-mn8xs1jd8e
    @user-mn8xs1jd8e 3 ปีที่แล้ว +2

    인사할시간도 없지만 드립할 시간은 많은게
    개꿀포인트 ㅋㅋㅋ

  • @joshnmud
    @joshnmud 2 ปีที่แล้ว

    이 집 맛집이네!!

  • @red_lipped_poong
    @red_lipped_poong ปีที่แล้ว

    단백질 기반 안테나...학교다닐때 이런 쉬운 표현으로 생물 수업을 들었다면 훨씬 재밌게 배웠을 듯...

  • @asdfghjk4876
    @asdfghjk4876 3 ปีที่แล้ว

    지구온난화에 대한 과학적 접근도 컨텐츠로 내주세요 ㅇㅇ 큰 위기가 오고 있네요

  • @seojulia6918
    @seojulia6918 3 ปีที่แล้ว +1

    이런 콘텐츠가 안될 과학이지. 요즘 뜸해서 심심했어요.

  • @YYeaf
    @YYeaf 3 ปีที่แล้ว

    내가 생각한 것 중에 만약 인류와 외계 생명체가 만난다면 언어를 교환할 때 가장 임의적이고 추상적인 단어인 "색"을 어떻게 번역할수 있을까였는데 최근에 생각난 건 뇌의 해석 파장을 분석해보면 좋지 않을까임

  • @hst615
    @hst615 3 ปีที่แล้ว

    10:36 이 시점의 영상 출처를 알 수 있을까요?
    북극광이 너무 예뻐서

    • @Unrealscience
      @Unrealscience  3 ปีที่แล้ว

      storyblocks에서 제공하는 영상입니다! cg일 수 있어욯ㅎㅎ

  • @user-te4tt6cs2w
    @user-te4tt6cs2w 3 ปีที่แล้ว

    이거 틀자마자 잠이 쏟아졌어요

  • @korea3407
    @korea3407 3 ปีที่แล้ว +1

    내가 바라보는것과
    당신이 바라보는게 과연 같을까?

  • @Ggongqi
    @Ggongqi 3 ปีที่แล้ว

    이런 미친 영상을 만드는 사람은 대체~ 놀라울 뿐...

  • @Kinnryuukenn07
    @Kinnryuukenn07 3 ปีที่แล้ว

    이채널 잼다 ㅋㅋㅋ

  • @9921051
    @9921051 3 ปีที่แล้ว

    안될과학 정말 너무 좋아요. 요즘 종교가 난장판을 만들고 있는데, 이렇게 재밌게 만든 과학이야기들이 멀리멀리 퍼져서 망상에 빠져있는 종교인들이 망상에서 빠져나오면 좋겠어요.

  • @KOR87MATH
    @KOR87MATH 3 ปีที่แล้ว

    여기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우리가 보고 있는 564nm는 적색으로 해석되죠.
    그리고 그것에 기반하여 프로그래밍하니 당연히 컴퓨터나 측정기도 그렇게 인식 됩니다.
    하지만 다른 생물들도 564nm가 우리가 느끼는 적색일까요?
    어쩌면 애초에 파장의 크기에 기반한 색구분이 다를지도 모릅니다.
    우리가 보는 것은 564nm의 파장인 것이지. 그것이 모든 생물에게 빨강이라는 보장이 없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보는 물체의 색상 또한 그 색상이 맞을까요? 아마도 우리는 적외선이나 자외선을 보지 못하여
    그 물체에 섞여있는 적외선과 자외선의 파장을 반사하는 물질을 걸러내지 못했을 수 있습니다.
    그것을 보는 생물에겐 뭔가 하나의 색이 아닌 얼룩과 무늬의 물체일 수 있겠죠.
    어쩌면 동물들은 적녹색맹이 아니라 534nm 564nm에 해당하는 또다른색의 색맹일 수 있습니다.
    물론 우리에게는 적녹색이겠지만요. 실험하게 될 물체의 파장을 534nm 564nm 주면 녹적일테니까요.
    파장에 의한 색인식으로 본다면
    파장이 일정한 색이 되는 것은 절대적일까요? 궁금하네요...

  • @user-ku4ne3qv1r
    @user-ku4ne3qv1r 3 ปีที่แล้ว

    색을 더 많이 보게 되면 중력파나 입자의 파동을 볼수 있지 않을까?

  • @nodice365
    @nodice365 3 ปีที่แล้ว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