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차 워밍업 꼭 해야하나? 명쾌하게 논란 종결!! | 차량명장 박병일의 LPG 명불허전 EP.14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3 ก.พ.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72

  • @yc1kkk425
    @yc1kkk425 3 ปีที่แล้ว +84

    특히 겨울철에 잘느낌
    급해서 예열안하고 출발하면
    차가 나한테 승질내듯이 소리도 더 커지고
    평소 예열한것보다 잘안나가긴해요

    • @언니-g7t
      @언니-g7t 2 ปีที่แล้ว +4

      오늘 테스트해볼께요.
      5분정도면 어디까지 내려가는지?

    • @iong1870
      @iong1870 ปีที่แล้ว +5

      그건 엘피지 차량만 그런게 아니고 가솔린과 디젤도 마찬가지에요. 그게 예열 필요의 이유가 될수는 없습니다

    • @밝은빛-i5d
      @밝은빛-i5d 17 วันที่ผ่านมา +1

      난 시간 여유롭다면 겨울철 6분
      여름철 3분 초가을 5분 초봄 5분
      보통 60분후 알피엠 거의다 떨어지고 수온 다오름.
      만약 시간이 없다면 급하다면 1분후 저알피엠으로 천천히 달리면서 수온 올림.

  • @김민성-g6e9w
    @김민성-g6e9w 3 ปีที่แล้ว +37

    미션 워밍업이라니 생각도 못했어요... 많이 배워갑니다

  • @이병옥-f5s
    @이병옥-f5s 3 ปีที่แล้ว +18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행복하세요

    • @김성철-c2s
      @김성철-c2s 3 ปีที่แล้ว

    • @핫핫-o3u
      @핫핫-o3u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두분 결혼하세요ㄱ

  • @MJaehB
    @MJaehB 3 ปีที่แล้ว +111

    아버지께서 항상 RPM 800 이하까지 예열하고 출발하라 하셔서 왠만하면 실천하고 다니는데 하고 안하고 차이가 있더라구요
    이유와 미션 워밍업까지 알게되니 좋네요! 감사합니다!

    • @언니-g7t
      @언니-g7t 2 ปีที่แล้ว +4

      800까지요?
      저는 봄가을에 1분정도해도 1000이상이어서요.
      그냥 한1분정도만 해요.

    • @멸공-e6j
      @멸공-e6j ปีที่แล้ว +3

      왠만이 아니라 웬만이요...

    • @rbtjung
      @rbtjung ปีที่แล้ว +1

      ​@@멸공-e6j 엔만

    • @김우람-y8r
      @김우람-y8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래 니똑똑하다​@@멸공-e6j

  • @chois7846
    @chois7846 3 ปีที่แล้ว +23

    미션 워밍업은 잘 모르고 있었는데 앞으로 꼭 해야겠네요~ ㅎㅎ 감사합니다 명장님~

  • @전천후-c8u
    @전천후-c8u 3 ปีที่แล้ว +9

    아주 유익해요..!
    👍👍🙏🙏🙏

  • @junorhee8772
    @junorhee8772 3 ปีที่แล้ว +73

    자동차 예열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리고 엔진오일 제때 교환 이 두가지만 지켜도 잔고장 없이 오래 탑니다

    • @진규장-s3v
      @진규장-s3v 3 ปีที่แล้ว

      Lpg만 엔진 오일 재때 갈아주니?그럼 다른차는. 돌머리놈

    • @노와무의현결고리
      @노와무의현결고리 3 ปีที่แล้ว +9

      @@진규장-s3v 사는게 팍팍하냐요즘?ㅋㅋㅋ

    • @doomsdayplane
      @doomsdayplane 3 ปีที่แล้ว +4

      @@진규장-s3v 사는게 팍팍하냐?

    • @박준찬
      @박준찬 3 ปีที่แล้ว +1

      닭가슴살 퍽퍽하냐?

    • @영상박스
      @영상박스 3 ปีที่แล้ว

      왓더팍! 팍쥐성 이냐?

  • @IGLOO-n2z
    @IGLOO-n2z 3 ปีที่แล้ว +21

    잘못 알고 있었던 정보..바로 수정! 언제나 좋은정보,바른정보 감사합니다 👍👍

  • @까만봉다리-o8p
    @까만봉다리-o8p 3 ปีที่แล้ว +9

    명장님덕분에 많이 배움니다 감사합니다

  • @동생방신기-s3d
    @동생방신기-s3d 3 ปีที่แล้ว +16

    유익한정보 매번 감사합니다

  • @이승모-j4m
    @이승모-j4m 3 ปีที่แล้ว +33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명장님! 제 첫차가 LPG차량인데 명장님 말씀대로 잘 관리해서 오래오래 탈없이 운행하겠습니다~

  • @JDD4444
    @JDD4444 3 ปีที่แล้ว +15

    진짜 잘 만들었다 정확도 100프로

  • @김영구-u5o
    @김영구-u5o 3 ปีที่แล้ว +8

    정말정말 감사합니다~^_^

  • @kain7424
    @kain7424 3 ปีที่แล้ว +15

    박병일 명장님 좋은 정보 항상 감사합니다 ~~

  • @이종진-c6e
    @이종진-c6e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네 감사하신 말씀 잘 들었읍니다😅😅😅😅

  • @대중-i6m
    @대중-i6m 3 ปีที่แล้ว +9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수국-s8o
    @수국-s8o 2 ปีที่แล้ว +4

    명장님 너~무 감사합니다 무대뽀인 제가 얼마나 명장님 도움을 받고 있는지 모릅니다 참 소중한 분이십니다 오늘도 수고 하시고 건강 하세요 명장님 마음씨만 예쁘신게 아니라 얼굴도 엄청 미남이세요 ~~

  • @Tsushimiku
    @Tsushimiku 3 ปีที่แล้ว +5

    명장님 영상만 믿고 워밍업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그대-z6v
    @그대-z6v 3 ปีที่แล้ว +44

    엘피지 차량 운행하게 된후..오렌지 테레비 꼭 찾아보게 됩니다..감사합니다 🥰

    • @그대-z6v
      @그대-z6v 3 ปีที่แล้ว +3

      워밍업 은 겨울에만 필요한 지 알았는데..
      봄 가을 여름까지 필요하다는거 다시보고 배웠습니다.감사해여🥰

  • @j_h_0119
    @j_h_0119 3 ปีที่แล้ว +48

    예열하는 것이 좋습니다👍

    • @구독-Subscription
      @구독-Subscription 2 ปีที่แล้ว +5

      맞습니다.
      lpg차는 여름에도 해야하고 겨울엔 무조건 더 많은 시간 예열 워밍업 해야 합니다.
      가솔린차보다 무조건 더오래 해줘야 해요

  • @Adam-qk4my
    @Adam-qk4my 2 ปีที่แล้ว +13

    저도 약 800rpm 까지 떨어질때까지 워밍업 하고 있습니다. 워밍업이 차량관리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들었기에~^^영상 잘 봤어요^^

  • @조성식-g3f
    @조성식-g3f 3 ปีที่แล้ว +11

    99년 12월 첫트라제..
    겨울 달달떨며 온도게이지
    올라갈때까지 앉자있던기억..
    아직 고장없고 조용히 곁에..

    • @언니-g7t
      @언니-g7t 2 ปีที่แล้ว

      벌써 20년이 넘었네요.

  • @suah4004
    @suah4004 3 ปีที่แล้ว +6

    첫 냉간 시동후 RPM이 1천이하로 떨어지며 안정적인 진동과 소리가 유지되는 시점 30초정도면 엔진오일 윤활 다되고 이때 천천히 출발 저알피엠에서 주행 그리고 엔진오일 온도 오르면 그때부터 정상주행함

    • @언니-g7t
      @언니-g7t 2 ปีที่แล้ว


      1분가지고는 1000이상이더라고요.
      그리고 저는 항상 출발후 1분정도는 천천히해요.
      그러니 진동이 거의 없어요

  • @金晳浩
    @金晳浩 3 ปีที่แล้ว +1

    2021,4월식 QM6차주입니다
    항상응원합니다👍

  • @mungmung38
    @mungmung38 3 ปีที่แล้ว +10

    좋은 영상 잘봤습니다 ㅎㅎ 미션워밍업 잘 배워갑니다

  • @venice1559
    @venice1559 11 วันที่ผ่านมา

    1. 시동나눠걸기 -> acc 상태가 아닌 (key) on 상태에서 쉬었다가 거는게 맞음. 영상처럼 노란불에서 거는건 다 꺼진상태에서 거는거랑 똑같음.
    2. 예열 -> 시동초기에 rpm이 높게 뛰고 시간지나면서 rpm이 떨어지는 가장 큰 목적은 배기가스처리장치 촉매온도를 빠르게 맞춰주기위함임. rpm 다 떨어질때까지 기다리는게 예열상식이 아님. 지하주차장 기준으로 시동 후 30초, 한겨울 1분 이내로 예열 후 악셀링 없이 주차간에서 나오기 시작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함.
    3. 미션오일 예열 -> p r n d 옮겨다닐 필요 없음. 냉각수와 미션오일이 서로 열교환하는 부품이 있기때문에 냉각수가 40~50도 까지만 올라오면 그때부터는 부하줘도 상관없음. 이게 현기차 기준으로 냉각수 눈금(디지털식으로 1칸 딱 올랐을때) 찔끔이라도 올라갈때임
    한겨울에 옥외에 주차했을때는 차량 입장에서 극단적인 상황이므로 예열 필수입니다.

  • @김청춘-z4v
    @김청춘-z4v 3 ปีที่แล้ว +17

    운전한지가 40년이 넘었는데도...이렇게 항상 배울것이 많습니다.
    엔진예열과 후열이 필요한지는 알고 있었는데...
    미션까지 예열은 몰랐습니다.... 대한민국에서 그래도 춥다고 하는
    양구근처에서 살고 있는데.... 이젠 미션의 온도까지 신경써야 겠습니다.

    • @okok7
      @okok7 2 ปีที่แล้ว +1

      ㅋ ㅋㅋ 양구 허걱~~~ 징하게 추어뻐러~~~~

    • @별볼래-d3e
      @별볼래-d3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터빈 달린 차 아님 후열은 안해도 될겁니다

  • @조항겸-t8x
    @조항겸-t8x 3 ปีที่แล้ว +6

    역시 명장님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낫든할아범-l3s
    @낫든할아범-l3s 3 ปีที่แล้ว +6

    좋은정보 득템하고 갑니다

  • @아뿔샤
    @아뿔샤 3 ปีที่แล้ว +8

    ㅜㅜ 제가 명장님 얘기 듣고 예열하다가 우연찬게 모 유튜브 방송을 보니 엔진은 10~30초면 충분하고 연료 절감한다는 말에 팔랑귀라서 봐꿨더니 전후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Lpi 엔진 소리가 조용했는데 지금은 엔진 소리가 크게 납니다 ㅜㅜ

    • @Gurumi99
      @Gurumi99 3 ปีที่แล้ว +2

      무슨찬가요 ? 날씨 따뜻해지면 조용해질건데용

    • @해피트리
      @해피트리 3 ปีที่แล้ว +4

      차를 오랫동안 관리잘해서 탈생각이라면 예열은 필수에요.
      특히나 가스차는요...
      또한 열이많은 lpg특성상 한여름 장거리주행시에는 휴게소에서 쉴때 본넷좀 열어두는것도 도움되더라구요~

    • @길냥이-y1m
      @길냥이-y1m 3 ปีที่แล้ว

      @@해피트리 엔진 커버 벗기고 타세요 전여름에 벗겨버려요 엔진룸안에서 공기가 순환되도록이요

    • @nos7169
      @nos7169 3 ปีที่แล้ว +1

      @@길냥이-y1m 아하 조은방법이네요
      바로내려가서 벗겨나야지

    • @아재아재박아재
      @아재아재박아재 2 ปีที่แล้ว

      디젤차 예후열 개무시했다가 지금 경운기 됐어요. 그리고 엔진 작살나서 중고엔진으로 300넘게주고 교체했습니다. 소모품관리 예후열 꼭해주세요.

  • @정재성-i8w
    @정재성-i8w 3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꼭 하고 있습니다.
    수동

  • @독바우
    @독바우 ปีที่แล้ว

    소중한 정보 고맙습니다
    꼭 실행하면서 운행 하겠습니다

  • @merong1238
    @merong1238 3 ปีที่แล้ว +20

    qm6 LPG 타는데 지금까지 시동 걸고 바로 출발하는 습관이었는데 좋은영상과 정보 감사합니다 지금이라도 예열을 충분히 해야겠네요

  • @한상진-x8h
    @한상진-x8h 2 ปีที่แล้ว +5

    밋션워밍업은 파킹에 놓고 기다니면 워밍업이 됩니다 냉간시 기어를 움직이는것 자체가 무리입니다

    • @한상진-x8h
      @한상진-x8h 2 ปีที่แล้ว

      기어축이 연결 되어 있기때문에 파깅에 놓으면 미션 워밍업됩니다

    • @Zaxqsc-l6j
      @Zaxqsc-l6j 24 วันที่ผ่านมา

      맞는말임 요즘차들은 p.n단에 놓아도 미션예열이 자동으로됨. 냉간시 미션움직이는게 미션을 갈가먹게됨(미세한 쇠가루)

  • @user-I.O.U
    @user-I.O.U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미션은 p에 그냥 놓고 2,3분간해도 예열(악셀금지)이 되는데;;
    특히 미션이 안좋은 중고차는 예열이 안된 상태에서 변속레바를 움직이면
    쿵 또는 움찔하고 변속 충격(슬립)이 일어 납니다.. (경제적 충격, 1백만원이상)
    시동걸면 P 나 D나 엔진오일도 돌고, 동시에 미션 안에서는 미션오일이 돌아갑니다.
    그러므로 엔진이나 미션은 함께 동시에 예열되니, 예열중 변속래버 작동, 악셀링은 자제하시는게 좋습니다.😅
    -정신적, 경제적 충격이 서서히 옵니다. 따다닥, 끼릭 끼릭 .이 소리는 어디선가 미션 나간 소리.😅
    출처: 유튜버 차박사, @@@ 내차를 부탁해, 매르카바 등에서
    경차를 타는 노신사 (백) 😊

  • @munjunsik
    @munjunsik 3 ปีที่แล้ว +6

    감사

  • @안터-v1u
    @안터-v1u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 @karen5291
    @karen5291 3 ปีที่แล้ว +2

    휘발유차 k5 엔진오일 자주 갈고 예열안하고 출발했다가 6년밖에 못탔어요ㆍ요즘 제가 궁금하던 내용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 @뉴인소프트와이드펜
    @뉴인소프트와이드펜 3 ปีที่แล้ว +3

    사람도 운동할때 워밍업 준비운동 필요한거라 같은 이치지요~^^
    잘 지키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중규-u4h
    @김중규-u4h 3 ปีที่แล้ว +2

    매일 합니다.

  • @정의가살아있는세-d8t
    @정의가살아있는세-d8t 3 ปีที่แล้ว +2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명장님~~!!!

  • @감사-m6h
    @감사-m6h 3 ปีที่แล้ว +2

    설명 너무 잘해주시네요. 워밍업 앞으로는 꼭 할게요

  • @nova7856
    @nova7856 3 ปีที่แล้ว +9

    LPG 차량 이용하는데 RPM 800 이하까지 예열 안하면 엔진소리가 딸딸거리고 소음이 매우 커집니다. 확실히 워밍업 하는 것과 안하는것 차이가 매우 크더군요.

    • @언니-g7t
      @언니-g7t 2 ปีที่แล้ว

      800이하는 조금 오래걸리지않아요?
      저는 1분가지고는 1000이상이어서요.

    • @morningcall93
      @morningcall93 ปีที่แล้ว

      @@언니-g7t엔진 예열은 엔진 오일이 50도 이상 올라올 때까지 하는게 예열이 됐다고 볼 수 있고 6분~11분 사이까지 해야 올라오는 온도입니다

  • @바나나미니언즈
    @바나나미니언즈 3 ปีที่แล้ว +9

    좋은 정보이긴 한데 이걸 매번 어찌하고 타나 이런 생각이 ㅠ

    • @신재호-x4x
      @신재호-x4x 3 ปีที่แล้ว

      출발시간 보다 10분 먼저 나오면 되요

    • @Rider-Ruff92
      @Rider-Ruff92 3 ปีที่แล้ว

      습관되면 계속하게됩니다ㅋㅋㅋ
      전 이륜차타는데 처음탈때 예열하던습관 키웠더니 차탈때도 예열을 하게되더라고요

  • @strong_88
    @strong_88 3 ปีที่แล้ว +2

    명장님 말씀데로 예열 워밍업합니다.
    시동걸고 우선 N단으로 놔두고
    3분이상되면 D로 이동후 출발합니다
    명장님 감사합니다.

  • @익명-e7b-x7u
    @익명-e7b-x7u 3 ปีที่แล้ว +10

    미션 예열 n단에만 뒤면 되는 줄 알었는데 아니였네
    좋은거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lr2bn9rz1n
    @user-lr2bn9rz1n 3 ปีที่แล้ว +8

    정말 감사합니다

  • @tunamayo8918
    @tunamayo8918 3 ปีที่แล้ว +2

    알고있는 부분도 있는데 귀찮아서 건너뛰고 했어요. 다시 반성하고 예열하고 출발해야겠네요~

  • @CBKLOVEJH
    @CBKLOVEJH 3 ปีที่แล้ว +14

    미션이 약한 쉐보레차 타는데 미션 워밍업 처음 알았네요.

    • @블루버드s
      @블루버드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ㅊㅊㅊㅊ😊

  • @조프로-t2i
    @조프로-t2i 3 ปีที่แล้ว +4

    Hg lpj인데 항상 3분에서4분 예열합니다
    겨울은 7분정도
    예열하면 확실히 연비좋아집니다

    • @30kim44
      @30kim44 3 ปีที่แล้ว +1

      야외라면 이해할수 있는 수치인데 실내라면 공회전수준..

    • @조프로-t2i
      @조프로-t2i 3 ปีที่แล้ว

      @@30kim44 그런가요 습관이라 그렇게 합니다 온도게이지와 알피엠 1000이상일때도 서행운전 출발합니까?

    • @iong1870
      @iong1870 ปีที่แล้ว +1

      예열과 연비는 상관 관계가 없습니다만

    • @이슬밤
      @이슬밤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회전 오염 그만시키길 ㅋ 예열 연비에서 웃김

    • @조프로-t2i
      @조프로-t2i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나만 바보짓을 10년넘게 햇네 ..

  • @볼륨-e7i
    @볼륨-e7i 3 ปีที่แล้ว +6

    토스카 가스를 타고 있는데 시동걸고 나서 LPG ACCEL이 꺼질때까지 예열하고 차를 굴립니다. 꺼질때까지 오래걸리기는 하지만 그냥 운행을 했을때 악셀밟을때부터 차가 무겁게 느껴지고 연비도 확떨어지더라고요

    • @고사리맛집
      @고사리맛집 ปีที่แล้ว

      겨울 아니면 빨리 불 꺼질줄 알았는데 은근히 시간 걸림. 그래도 그 시간에 벨트매고 내비 찍고, 다른 사람 벨트 매었는지 확인하고, 미션도 한바퀴 돌리고 시간 잘 보내면서 준비함

    • @한상진-x8h
      @한상진-x8h 23 วันที่ผ่านมา

      잘하고 계시네요?인젝터도 보호됩니다

  • @동탄한승율
    @동탄한승율 3 ปีที่แล้ว

    아 그렇군요 ! 귀한 정보네요 여기까지는 전혀 몰랐는데 😄 👏

  • @이태영-j5u
    @이태영-j5u 3 ปีที่แล้ว +2

    역시 명불허전 박병일 명장님 따봉~~♡

  • @user-xd6so4wc3v
    @user-xd6so4wc3v 3 ปีที่แล้ว +3

    감사합니다

  • @kimgunrun
    @kimgunrun 3 ปีที่แล้ว +7

    2001년 1월식 카렌스 탑니다. 워밍업 30초 무조건 하고 탓더니 아직도 쌩쌩합니다.
    후열도 30초 하시면 좋더라구요.

    • @siruthecat
      @siruthecat 3 ปีที่แล้ว

      후열이 멀까요?

    • @30kim44
      @30kim44 3 ปีที่แล้ว +2

      @@siruthecat 시내는 필요없고 고속도로 타시고나서 엔진 바로 끄지마시고 몇분후에 끄는거요. 시내도 팬 멈춘후 끄는게 좋죠. 후열 -터보는 필수고 일반차량도 최소 고속주행후에는 호흡좀 가다듬어주고 꺼라는거죠.

  • @취학묵담
    @취학묵담 ปีที่แล้ว +1

    넘 감사합니다 ()()()

  • @김상호-g1o
    @김상호-g1o ปีที่แล้ว +2

    예열 반드시 필요 합니다

  • @하면된다-m5t
    @하면된다-m5t 3 ปีที่แล้ว +6

    아 한번에 시동 걸고 미션 워밍업 안했는데 꼭 해야 겠네요

  • @崔兰英
    @崔兰英 3 ปีที่แล้ว +2

    늘. 좋은 가르침. 감사합니다

  • @동해곱단이
    @동해곱단이 3 ปีที่แล้ว +1

    오늘 넘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

  • @mkchoi102
    @mkchoi102 3 ปีที่แล้ว +1

    정말 귀한 정보네요. 고맙습니다!

  • @산타kim
    @산타kim 3 ปีที่แล้ว

    최고❤️❤️❤️

  • @이송이-e7f
    @이송이-e7f ปีที่แล้ว

    최종 결론 편 이내요
    감사합니다
    항상 믿고 보고 따릅니다 하하

  • @진태진-m9i
    @진태진-m9i 3 ปีที่แล้ว +17

    레이와 k7 까스차 갖고있는데 예열하는게 확실히 차도 가볍게 나가고 변속충격도 없고 좋더라구요

    • @언니-g7t
      @언니-g7t 2 ปีที่แล้ว

      진짜요!

    • @건물주-w1j
      @건물주-w1j 7 วันที่ผ่านมา

      어쩐지 미션충격이 생기더군요 예열없이 가니까

  • @상식적으로-e1c
    @상식적으로-e1c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 @일상의지평선
    @일상의지평선 3 ปีที่แล้ว +2

    모든 기계는 자동차 뿐만아니라 공장기계도 예열이 필요합니다 ...... 안에 부드럽게 동작을 도와주는 각종오일류들이 돌아야 오래 쓸수 있습니다

  • @아이뭘
    @아이뭘 3 ปีที่แล้ว

    수고하셨습니다

  • @안성국-f7i
    @안성국-f7i 2 ปีที่แล้ว

    잘 들었습니다

  • @J성진-g4x
    @J성진-g4x 3 ปีที่แล้ว +8

    근데 rpm이 750까지 떨어지는데 너무 오래 걸립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전문가는 요즘 나오는 차는 1분 후 출발해주면 된다고 합니다

    • @언니-g7t
      @언니-g7t 2 ปีที่แล้ว

      그쵸.
      봄가을에 1분가지고는 1000이상이어서요.

  • @康촛불다웟
    @康촛불다웟 3 ปีที่แล้ว

    수고하십니다요

  • @hg-hu3xk
    @hg-hu3xk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잘배웠읍니다

  • @공적
    @공적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자동차 워밍업 방법
    1. 엔진 시동은 2번에 나눠서 걸기
    (그냥 시동버튼 누르기 → 브레이크 밟고 완전히 시동걸기)
    2. 예열 확인 방법 : rpm이 750정도가 될때까지 기다린다.

  • @김산하-b9x
    @김산하-b9x ปีที่แล้ว

    와~~ 영상보고 차를 잘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알게되었네요 감사합니다.

  • @real_recognize_real777
    @real_recognize_real777 3 ปีที่แล้ว +5

    미션 워밍업은 처음 배우네요~!!!
    근데 1200에서 800~750까지 떨어뜨리려면
    5분이상 걸리든데..

    • @k-fa-fso2367
      @k-fa-fso2367 3 ปีที่แล้ว +1

      엑셀안밟고 D상태로 주차장 빠져나가도 문제없는거로압니다

  • @mgkim8363
    @mgkim8363 3 ปีที่แล้ว +19

    예열은 얼피지 뿐만아니라
    모든 차량에 해당된다고
    봅니다.
    명장님의 무료 강연으로
    고급 정보를 얻었습니다.
    늘 감사합니다.

    • @whenever0807
      @whenever0807 ปีที่แล้ว

      오히려 경유차가 가장 예열을 해야 하죠

  • @초이자유수호
    @초이자유수호 ปีที่แล้ว +1

    해야한다

  • @fkeo3l
    @fkeo3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겨울에 야외주차장에 세워놓고 워밍업할때 rpm750 까지 떨어뜨리려면 10여분 걸리더만요....
    그러나 차는 정말 부드러워지는건 맞는거 같습니다.

  • @leejlnyoung-car
    @leejlnyoung-car 3 ปีที่แล้ว

    많이 배웁니다

  • @뚜뚜-b2i
    @뚜뚜-b2i 2 ปีที่แล้ว

    영상 잘봣습니다 감사합니다

  • @효샛기
    @효샛기 3 ปีที่แล้ว +4

    솔직히 LPG 차량 뿐만 아니라 내연기관(가솔린,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들은 예열 무조건 해줘야함

  • @김민호-h1p
    @김민호-h1p 3 ปีที่แล้ว +2

    미션 예열은 N 에 놓으면 되는건줄 알았는데.. 방법이 있었군요.. 이런걸 누가 말해줘야 알지.. 차량 설명서에도 안 나오는걸.. 어찌 아나요.. 미션오일만 제때 갈아주면 되는 줄 알았는데.. 왔다갔다 해줘야하는구나..

  • @wlsdls5601
    @wlsdls5601 ปีที่แล้ว

    고장만 안나면 오래탈 수도 있지요 감사히 잘봤습니다.

  • @일청송
    @일청송 ปีที่แล้ว

    뭔차든 워밍업은 필요" 출발전 시동후 예열 게이지(바늘)이 움직이기 시작하면 rpm도 정상수치가 됩니다 이때 서서히 출발허면 됩니다. 내차2001년식 lpg 수동 카렌스 현 주행거리 43만 주행중입니다. 잘 나갑니다~

  • @일청송
    @일청송 ปีที่แล้ว

    스타트해 시동되면 온도계 게이지가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이때 RPM도 정상 수치가 됩니다. 계절에 따라 3분 5분도 좋지만 온도계 바늘 올라가기 시작 RPM정상 수치때 출발하면 됩니다.

  • @remisgood73
    @remisgood73 ปีที่แล้ว

    자세한 설명 좋습니다

  • @Rich.Chance
    @Rich.Chance ปีที่แล้ว +3

    예열꼭하시고 시동도 어지간하면 나눠서 거세요 당장은 티가안나겠지만내구성면에서 데미지가 누적됩니다.
    관리한차량이랑 안한차량이랑 진짜 달라요
    근데 시동나눠거는게 불편한게 원격시동을 안하게되서 가끔 답답하죠ㅋ

  • @junytt
    @junytt 3 ปีที่แล้ว +9

    겨울에는 5분있어도 750근처에도 못가요..끽해야 900정도내려올까?

  • @한국아빠와필리핀엄마
    @한국아빠와필리핀엄마 3 ปีที่แล้ว

    저는 항상하고 있습니다^^

  • @moicarTV
    @moicarTV 2 ปีที่แล้ว

    예열 후열 너무나 중요합니다. 저는 예열은 1-3분정도. 후열도 1-3분 정도 꼭 합니다. 후열은 시동 끄기 전 N상태에서 주차브레이크 당기고 가만히 있으면 됩니다. 엔진에 과다한 열을 식히는 용도인데, 다들 시동을 빨리 끄면 열을 더 많이 식힐 줄로 알지만, 여름철 같은 경우는 오히려 냉각수를 통한 N상태가 엔진 열을 더 빠르게 식혀줍니다.
    그리고 물컵 올려놓은 상태에서 과도하게 튀게 되면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적당하게 튀는 것은 괜찮습니다. 제가 과도하게 튀는 차 3년 정도 탔었는데 엔진으로 크게 문제 된 적은 없었습니다. 오히려 악셀을 밟았을 때 잘 안 나가는 느낌이 드는 차를 거르는게 좀 더 구분하기 쉬울 겁니다.

  • @지동수-q5j
    @지동수-q5j 3 ปีที่แล้ว +4

    명장님 다 너무 좋은데요. 예시들어주시는 기준들이 다 요즘 버튼식 시동 자동차로만 이야기 해주셔서 햇갈리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ㅜ 제 차는 2010년식이라 키를 삽입하여 시동을 거는 차인데 말씀대로라면 워밍업할 때 브레이크 밟지 않고 키만 넣고 반시동만 먼저 켜고 그 다음에 엔진까지 시동걸어서 미션 워밍업 하라는 말씀이실까요?

  • @미르옹-r4y
    @미르옹-r4y 3 ปีที่แล้ว +8

    워밍업 하면 엔진소리가 다른데, 왜 워밍업을 안하는지. 회사 여직원 새차사고 겨울철에 워밍업안하고 막 다니더니만, 엔진 이상 떠서 두번이나 서비스센터 들어가서 뭐 고치더만. 감사합니다. 명장님! 최고에염

  • @이터-y2q
    @이터-y2q ปีที่แล้ว

    겨울철에 700대까지 떨어질라면 3분은 걸려서 그냥 1000밑으로 내려오면 서서히 출발하네요 너무 오래 공회전 두는것도 좋진 않은거같아서요

  • @타호-u3n
    @타호-u3n 2 ปีที่แล้ว

    K5lpi 주행중 저속에서 시동이꺼짐니다. 전기장치는 거의교체를 한 상태인데 기아정비업체에서는 원인을 모른다고 합니다.

  • @DIRCHr
    @DIRCHr ปีที่แล้ว

    겨울철은 조금 예열에 신경쓰는데 그 외에는 1분정도면 충분한듯

  • @roly2336
    @roly2336 3 ปีที่แล้ว +59

    박명장님이 차주에게 득되라고 예열하면 좋다고 하는데 고깝게 알아듣는 분들은 왜 그르시는지?

    • @동네총각-f9y
      @동네총각-f9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기양 냅둬요
      그런사람 그르든지 말든지
      고깝게 듣고서 차 망가지면 지 책임이지

  • @케이딘-v5h
    @케이딘-v5h 3 ปีที่แล้ว +1

    보통 차몰고 바로 달리는사람 없다 주차장나가서 길 나가는데까지 서행 및 신호대기하는데 그러면서 웜업됨... 로체 2009년식 lpg 13년 타고32만타고있음...

  • @정상철-r8d
    @정상철-r8d 3 ปีที่แล้ว +1

    알피엠750까지 되려면 전 10분은 있어야되는데요. 집이 산자락 마을에 있고 그러다보니 지하주차장은 상상도 못할 일인데다가 산 이슬이며 찬바람, 눈,비를 전부 밖에서 감당해야하는 가혹조건입니다. 이런 곳에서 영하권...아니 지금처럼 외부온도가 10도 미만일 때는 5분 가지고는 어림도 없습니다. 이럴 경우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알피엠750...시간이 지나면 되겠지만 아침 출근시 5분차이로 도로가 사정이 달라지는데 마냥 기다릴 수도 없는 노릇인데요

    • @봄-s8k
      @봄-s8k 3 ปีที่แล้ว +3

      예열 개념은 엔진 오일이 엔진 내부에 골고루 돌아서 윤활작용을 하고 출발하라는 소리입니다 온도 온도 하는데 그건 초기시동시 오일이 뻑뻑해서 골고루 오일이 작은 틍새까지 오일이 침투가 힘드니 온도 이야기가 나오는것이구요 그러니 대충 반정도 수온센서가 올라오면 오일순환은 됐다는 말이 됩니다 후열은 엔진 온도가 운행후 고열인데 바로시동끄면 온도가 확~올라갑니다 그래서 냉각수가 충분히 돌아 냉각시키고 엔진 끄라는 소리이구요 미션오일은 회로도 보면 P나N이나 미션오일 흐름이 동일합니다 P는 걸쇠로 톱니에 걸려 미션브레이크 걸린 상태일뿐 대신 R 후진은 다르니 기어변속 10 초해서 오일순환하라는 소리입니다 쉽습니다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

  • @paulcho3235
    @paulcho3235 2 ปีที่แล้ว

    1~2년 안에 차를 살 예정인데 좋은 정보 얻어갑니다~

  • @jslee3124
    @jslee3124 2 ปีที่แล้ว

    미션 워밍업 이라고 표현하셨지만 '자동변속기 내부 오일 순환작업' 이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변속기 각 부위에 기름칠 한번씩 하고 주행하라는 뜻입니다.

  • @kuroihako
    @kuroihako ปีที่แล้ว

    가타부터 말들이 많은데.. 뭐가 되었든.. 예열 하는게 나쁜건 아니죠... 겨울에는 5-10분 예열해야죠...
    엔진 소리부터 틀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