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밀리 유도로켓을 장착하고 공기부양정 등을 격파하는 군사용 비행선박 아론 MK80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0 ธ.ค. 2020
  • 대한민국 국가핵심기술로지정된 군사용 비행선박 아론 MK80 소개 영상입니다. 최고 속도 280km/h, 최저고도 1m 비행이 가능한 아론 MK80은 감시 및 정찰, 탐색 및 구조, 대잠작전, 70밀리 유도로켓 장착으로 경공격까지 가능한 비행선박인데요 자세한 내용은 소개 영상을 참고하세요
  • วิทยาศาสตร์และเทคโนโลยี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661

  • @young-ilkim5150
    @young-ilkim5150 3 ปีที่แล้ว +25

    조금더 크게 만들고 무장을 강화하면특수침투용 CB-90 고속정 도입을 대체하고 창의적으로 해병대 초수평선 상륙작전용으로 딱일듯

    • @thaumazein1506
      @thaumazein1506 2 ปีที่แล้ว +1

      24
      군사용 위그선을
      대형 모함에 여러대 싣고 있다가
      모함과 연동되는 시스템으로 여러 잇점을 살릴 수 있을겁니다
      시동끄고 해수면에 떠서 침묵할 수 있는 장점 살려
      작전시 사방 주위로 보내 음파탐지를 할 수도 있고
      모함의 원거리에서 포착한 적잠함 폭뢰나 어뢰 공격시에도 좋고
      진로 방향으로 미리보내 기뢰 등등을 미리 파악할 수도 있고
      운송력은 적지만 환자.특수병력.긴급물자 수송도 가능하고
      300미터 까지 라던가 고도로 비행도 가능하다니
      초수평선 전탐도 훨씬 넓어지고
      낙도 등등 접근성 취약한 전장에 소규모 긴급 보급도 가능하고
      해병대 상륙작전시 활용도도 잇점이 많고...
      SSU 해난구조 작전에도
      UDT/SEAL 침투 작전에도...
      뭐 군사적 활용도가 무궁무진할 겁니다
      ...

  • @user-gj2zm8ui4t
    @user-gj2zm8ui4t 3 ปีที่แล้ว +17

    삼면이이 바다인 한국의 국토에 용도가 다양할듯 많은 발전이 있기를 기대해 볼랍니다.

    • @taehoyum2925
      @taehoyum2925 ปีที่แล้ว

      서해안으로 침투해오는 북한 공기부양정에 대비하는 최적의 무기로 보임

  • @user-bi4jv2st2z
    @user-bi4jv2st2z 3 ปีที่แล้ว +107

    중국 집단어서 격파하는데 좋을 듯

    • @user-dq7kj1bu1j
      @user-dq7kj1bu1j 3 ปีที่แล้ว +4

      아 러샤한테 외주 맡기면 안되나 러샤형님들은 노빠꾸로 쏴제끼던데 짜피 미국급 아닌이상 어선새끼들 조지기에 리스크도 클 테고

    • @user-lk4ty8yw9o
      @user-lk4ty8yw9o 3 ปีที่แล้ว +14

      요샌 단속못합니다.
      중국어선 떠도요.
      윗선 때문에요.

    • @anonanonym9872
      @anonanonym9872 3 ปีที่แล้ว +1

      로켓은 너무 돈낭비고 캐리바 50 기총을 몇개 달아야할듯

    • @user-vf9pb7ns5s
      @user-vf9pb7ns5s 3 ปีที่แล้ว +12

      훠훠훠 중국어선 건드리면 건드린 군,경이 격파 됨니돠~

    • @user-fm1od8cp4o
      @user-fm1od8cp4o 3 ปีที่แล้ว +1

      중국 어선 미사일로 격파하면 걔네가 잡은 해산물도 다 버려야 하는거 아님?

  • @user-ec8uy2ce6t
    @user-ec8uy2ce6t 3 ปีที่แล้ว +47

    한국 섬지킴이에 좋겠습나다.
    급발진도 가능할것 같고 종횡무진으로 활약하겠다 생각이듭니다..독도부터 배치해서 경찰업무에 날개를 달아야겠습니다 응원합니다.

    • @user-ec4sm8px7n
      @user-ec4sm8px7n 3 ปีที่แล้ว +5

      독도 같은 먼바다나 파도가 심한곳은 사용 불가입니다

    • @risingsunflagsamemeaningas7472
      @risingsunflagsamemeaningas7472 3 ปีที่แล้ว +1

      @@user-ec4sm8px7n 날라 다니면 안된??? 궁금하네~ 비행기처럼 세게 바람불면 못날라???

    • @user-ec4sm8px7n
      @user-ec4sm8px7n 3 ปีที่แล้ว +2

      @@risingsunflagsamemeaningas7472 나르면 뭐해 착륙을 못하는데 열료 떨어질때까지 게속 나르다 추락 할레 ? 파도 높으면 착륙을 못한다고 병신아

    • @lyankim2012
      @lyankim2012 ปีที่แล้ว

      @@risingsunflagsamemeaningas7472 악천후비행을 하려면 엔진의 출력이 좋아야합니다. 최고시속 300km도 안되는 출력의 프롭기는 악천후에 비행하는건 그냥 조종사를 죽이자는것밖에 안됩니다.

    • @risingsunflagsamemeaningas7472
      @risingsunflagsamemeaningas7472 ปีที่แล้ว

      @@lyankim2012 아~~

  • @anim4u1
    @anim4u1 3 ปีที่แล้ว +59

    배보다 빠르고 항공기보다 연료효율 좋아서 연구는 계속될수밖에 없음 여객선으로라도 굴려먹기위해서

    • @arangyu4164
      @arangyu4164 3 ปีที่แล้ว +6

      날씨에 영향을 많이받는 구조라 군사용으로는 부적합

    • @shoring326
      @shoring326 3 ปีที่แล้ว +1

      @@arangyu4164 뇌피셜은 그만좀 하자!

    • @js4ng.u
      @js4ng.u 3 ปีที่แล้ว +12

      @@shoring326 뇌피셜이 아니라...지면효과로 양력을 최대화하는게 위그선입니다.
      기상악화로 해수면이 심하게 출렁이면 지면효과가 약화되고 이는 양력저하로 이어집니다...

    • @supyoo
      @supyoo 3 ปีที่แล้ว +1

      @@js4ng.u 그래도 못할게 전혀 없어요.
      애초에 지면효과를 받는 높이는 7미터 정도로 개발된 제원이고
      100미터 이상 날때는 연료효율은 떨어지지만 비행기처럼 날수 있어요.
      그러니 파고와 상관없이 작전 수행자체는 충분히 가능하다는거죠.
      저게 7미터 이상 못나는 거라면 님 말씀이 맞지만
      비상상황에 효율성 무시하면 돈좀 뿌리고 쓰면 되요.
      물론 뿌려봐야 저거 한대가 타우러스 미사일 한대 값과 같으니 개꿀

    • @leemd2343
      @leemd2343 3 ปีที่แล้ว

      대양에선 힘들수도 있지만 우리나라같이 연안작전이 주가 되는 국가들은 유용하겠죠

  • @user-qf7mc4ci1e
    @user-qf7mc4ci1e 2 ปีที่แล้ว

    좋은영상 고맙습니다!!!

  • @ksjin72
    @ksjin72 3 ปีที่แล้ว +66

    어선 침몰해서 해난구조할때 엄청 좋을거 같은데.. 헬기는 띄워봐야 현장까지 빨리도착하지만, 바다위에서 인명구조에는 한계가 있잖아.이건 바다위에 착륙할수있고,내부도 더 넓어서 좋을듯.

    • @user-yn1kp8oj6b
      @user-yn1kp8oj6b 3 ปีที่แล้ว +3

      해상구조용으로도 괜찮겠네요

    • @joshuachi6313
      @joshuachi6313 3 ปีที่แล้ว +17

      현실은 바람좀 불고 파도치면 무형지물을듯.

    • @user-cv1qo9ls1f
      @user-cv1qo9ls1f 3 ปีที่แล้ว +5

      그러게요. 해군 전투용보다는 해경 수색구조용 수요가 더 현실적일듯 하네요.

    • @dojaichung2074
      @dojaichung2074 3 ปีที่แล้ว +8

      해상 사고와 해난구조가 파도가 잔잔할때만 일어나면 딱이네요

    • @jkj8242
      @jkj8242 3 ปีที่แล้ว +5

      웬만한 파도는 고도 올리면 되고 태풍 불고 하면 아무것도 못 나가

  • @user-vz8nx9ur1b
    @user-vz8nx9ur1b 3 ปีที่แล้ว +5

    정말 대단하네요.. 내가 본건만 12년간 1년에 1번씩 언론플레이.. 저 무거운걸 그냥 경찰 구조용으로 만족하시는게..

  • @jakeshin1782
    @jakeshin1782 3 ปีที่แล้ว +26

    우리 동,서해의 도서의 구조용과 해안 경비대에 사용하면 최적일듯

    • @user-ul6qh7zo1k
      @user-ul6qh7zo1k 3 ปีที่แล้ว +1

      해경한테는 진짜 좋겠다

    • @Warboy-mk1
      @Warboy-mk1 3 ปีที่แล้ว

      @@bandargomzzang 위그선이 그정도로 허접은 아님

    • @universeparrot1329
      @universeparrot1329 3 ปีที่แล้ว

      @@bandargomzzang 이착륙이 어려워 지는거지 그 외엔 별 이상 없음

  • @user-jg5jk6hk8f
    @user-jg5jk6hk8f 3 ปีที่แล้ว +1

    짱 입니다 화이팅

  • @user-wq5mg8uv4r
    @user-wq5mg8uv4r 3 ปีที่แล้ว +103

    군사용은 잘 모르겠고
    구조용으로는 효과 좋을 듯

    • @ignatiokim2597
      @ignatiokim2597 3 ปีที่แล้ว +7

      WIG는 황천시에 착수 이수가 불가능함.. 오히려 헬기가 구조에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보다 먼 거리는 수상 비행기를 사용하면 되고요.. WIG는 단지 경제성에 그 이유가 있고요.. 군사용은 수면에 붙어 비행하기에 레이다에 의한 피탐 가능성이 현저히 낮고 항속 거리가 헬기에 비해 길고 함정보다는 빠르다는 건데.. 서북도서야 빤히 보이는 거리에서 뭔,,? 유용원 기자의 군사적 안목에 실망입니다.

    • @user-sd8rq7ts2f
      @user-sd8rq7ts2f 3 ปีที่แล้ว +1

      구조용도 좋지만...전략적 군사용 무기로 좋을거 같네요..

    • @supyoo
      @supyoo 3 ปีที่แล้ว +14

      @@ignatiokim2597
      1.한척당 35억이면 되는데 400억은 되어야 하는 공격기에 비하면 말씀하신 경제성이 군사적 경제성에도 적용이 되고요.
      2. 경 항모에 수직 이착륙기가 필요하네 뭐네 하고 아직 우리 공군은 독도를 지키는데 있어서 항속거리가 문제가 되어 공중급유시스템까지 계약한반면
      이런 위그선은 무장탑재가 가능한 비행체로서의 성능을 보여주면서도 독도함등에 상륙정처럼 수납이 가능하고 비행기와 달리
      그냥 바다로 나와서 뜨기만 하면 되는거고 착륙도 경함모근처에 내리기만 하면되니 완전 쉽고
      3. 현대 제공권은 날이 갈수록 비행기의 도그파이팅 성능보다는 미사일 발사체의 속도와 거리능력이 중요해지는바
      저런 비행기 같지 않은 비행제라도 공군의 비행기를 보조해주는 개념으로
      전투기는 육지에서 출발해서 독도에 도착해도 항속거리 생각하면 작전시간이 10~20분 밖에 안되는데
      저런것들이 값싸게 독도함에서 근방에 대기하고 있다가 시속 200키로 속도로 전투기 뒤에 합류해서
      전투기의 통합레이더 체계의 지휘를 받아서 타우러스 미사일이라도 두발 탑재할수 있으면
      상상만 해도 개꿀인듯.
      KFX 4기정도만 출동해도 한 30대 출격한 무장량을 대당 35억으로 도와줄수 있다는건 미친것 아님?
      미사일 가격이 한발에 25억인데 그 발사체의 본체가 35억이란건
      전투비행단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미사일 창고가 시속 200킬로로 날라와서 비행기를 따라다니는 느낌임.
      일반 배로 저런 보조 무장의 역할을 하려면 항시 독도에 있어야 하지만
      스크램블 상황이라면 이런 위그선은 좀 멀리 대기하고 있어도 신속하게 공군과 협조할 수 있을듯.
      난 경제성입장에서 보면 아무리 봐도 대박인거 같은데.

    • @ignatiokim2597
      @ignatiokim2597 3 ปีที่แล้ว +3

      @@supyoo 전혀 동의할 수가 없구만요. 뭔 헬기보다도 느린 위그로 함대 방어 대공 대지 공격을 한다고요? 공중전에서 결국은 열주적 단거리 미사일인걸 몰시나요? 그리고 미사일을 실으면 뭐 하나요? 적을 탐지할 레이더 또 사통장치 등등. 독도함에 탑재한다고요? 연안도 아니고 독도 해역에서 이수 착수한다고요? 독도 가보셨어묘? 그 파도에 위그 이,착수 불가할겁니다. 울릉도 도동항 앞에서도 이,착수 불가능 할걸요?

    • @supyoo
      @supyoo 3 ปีที่แล้ว +6

      @@ignatiokim2597 군사적 지식이 전혀 없으셔서 동의하실수 없는겁니다.
      미사일 서포트로 운용할떄에는 위그선에 레이더가 중요한게 아니라 에이왁스 운용과 데이터 링크면 충분합니다.
      이지스함이 주변 함들의 미사일발사를 통제하고 표적할당등을 혼자하는 것과 똑같습니다.
      공중전이 열추적 단거리 미사일이라니 쌍팔년도 이야기를 하시나요.
      외국에서 왜 우리나라랑 타우러스 미사일을 같이 개발하자고 하는지 좀 보시고.
      우리나라가 왜 미티어 미사일 체계를 도입하려는지도 좀 보시고.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미래의 공대공 공대지 공대함 전술은 전부
      이런 장거리 공격능력이 중요합니다. 보는 것은 에이왁스 같은 전문기가 보면 충분하고요.
      저것들은 미사일 셔틀만 되도 됩니다.
      울릉도에서 독도까지 직선거리 100키로가 채 안되는데 독도함이 독도 주변에 가서 있을 이유가 뭡니까?
      울릉도 해역에서 맴돌고만 있어도 출격하는 공군 입장에선 추가 미사일이 바다에 떠도는 것과 같은효과이니 얼마나 든든하겠습니까?
      나라의 전문가들이 바보라서 되지도 않는데 저걸 군사용으로 이용해보겠다고 연구중인걸까요?
      방구석에 앉아서 상상만 하는 누가 바보일까요?

  • @user-oc7xb8fn3k
    @user-oc7xb8fn3k 3 ปีที่แล้ว

    와우 최고로 좋아요^^

  • @user-nr5wn5qd5s
    @user-nr5wn5qd5s 3 ปีที่แล้ว +1

    진짜위그선우리기술끝네준다내나라너무사랑고싶네화이팅ᆢ정치만 잘해주면밥안먹어도배부르겟네ᆢ

  • @sangkim3809
    @sangkim3809 3 ปีที่แล้ว +3

    오! 이거 아이디어 좋은데요!!!!

  • @JS-zi7jo
    @JS-zi7jo 3 ปีที่แล้ว +3

    날씨 좋은 날을 골라야 하는 선택적 사용의 한계를 뛰어넘지 못한다면 결국 소련이 포기했던 위그항공모함의 길을 따를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그러나 아론은 꼭 성공하길 바라며 더 나아가 해병대 잠수함에서 헬기를 싣고 작전을 펼치는 날이 오기를 기대하며 최강 해병대 화이팅~

  • @hyun000228
    @hyun000228 3 ปีที่แล้ว +8

    정찰 및 감시
    로거나 히드라 로켓 운영
    대잠 초계 운영
    탐색구조에 쓰기 적합한 기체인거 같네요ㅎ
    아론 제작사에 돈 더주고, 수륙양용기 만들라고 하는 것도 기술개발 측면에서는 괜찮을거 같네요.

  • @WestWood_M
    @WestWood_M 3 ปีที่แล้ว +4

    오호, 굿..!!
    요거 신기허네..

  • @user-zh4fq9lk6w
    @user-zh4fq9lk6w 3 ปีที่แล้ว +1

    굿굿 좋아요 속히
    도입하기를

  • @user-qj7qq8wh9j
    @user-qj7qq8wh9j 3 ปีที่แล้ว +1

    파도가 높으면 해상에서 구조활동이 가능할까요??
    해양기상의 영향을 아겨내기 쉽지않은 점을 극복할 수 있나요?

  • @user-jm6xu6oj9d
    @user-jm6xu6oj9d 3 ปีที่แล้ว +8

    진짜 군사티비 응원함다

    • @junkerhaft
      @junkerhaft 3 ปีที่แล้ว

      위그선하고 수상약육선하고 차이가???

    • @user-ps7tj4zo9t
      @user-ps7tj4zo9t 3 ปีที่แล้ว

      공중부양의 차이입니다

    • @k.bm17
      @k.bm17 3 ปีที่แล้ว

      위그선이 지면효과이용한거아닌가요

    • @user-ps7tj4zo9t
      @user-ps7tj4zo9t 3 ปีที่แล้ว

      @@k.bm17 네네 맞죠

  • @copynow4114
    @copynow4114 3 ปีที่แล้ว +20

    독도함에 여러대 올려서 작전하면 유용할듯

    • @user-zo9lt6db1z
      @user-zo9lt6db1z 3 ปีที่แล้ว +3

      배위에서 저걸 어떻게 운용하냐

  • @showersheets
    @showersheets 3 ปีที่แล้ว

    Wow good work ....finally some positive true identity

  • @user-rq2zp2on6i
    @user-rq2zp2on6i 3 ปีที่แล้ว +3

    정말좋네요~~~~~~군사용~~구조용

  • @kremlin9898
    @kremlin9898 3 ปีที่แล้ว +14

    오, 아이디어 좋아.
    바퀴 달아서 해병대 공격기로도 일부 주라.

  • @nuwandakim2052
    @nuwandakim2052 3 ปีที่แล้ว

    아주 좋아보임!!!!

  • @user-bf9qx7vh1t
    @user-bf9qx7vh1t 3 ปีที่แล้ว +3

    와 좋네 👍

  • @user-re8hs1ci4w
    @user-re8hs1ci4w 3 ปีที่แล้ว +2

    멋있다~ 좋다~ 세계 최고로 상용화 합시다~ ^^

  • @user-ng5wz4ym8g
    @user-ng5wz4ym8g 3 ปีที่แล้ว

    멋지네요.

  • @MornigBellyFat
    @MornigBellyFat 3 ปีที่แล้ว +12

    구소련의 위그선 일명 카스피 해의 괴물을 스케일 다운한 것처럼 생각하면 될 것 같네요.

  • @user-ki5qw3ef5q
    @user-ki5qw3ef5q 3 ปีที่แล้ว +8

    이거야말로 잠수함 킬러 같은데

  • @guyverpae4094
    @guyverpae4094 3 ปีที่แล้ว +4

    해군, 해병대 그리고 해양경찰에서 사용하기에 최적이겠네요.
    백령도, 울릉도와 독도에 배치하면 인근 영해를 감시하는데 큰 도움이 되겠네요.

    • @ksb6221
      @ksb6221 2 ปีที่แล้ว

      음~~~그게 말이 되네..

  • @user-lj1em7su2i
    @user-lj1em7su2i 3 ปีที่แล้ว +3

    군사용 위그선이라면 최소 기관포 1정이라도 있어야 하지 않나요?

  • @dojang002
    @dojang00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론 위그선 파이팅 축하해요 👍♥️💕🎉🙏

  • @myoungnamchio6724
    @myoungnamchio6724 3 ปีที่แล้ว

    파도가 치는 날씨에도 출동 가능합니까?
    얼마의 높이의 파도까지 인지 궁금합니다.

  • @sunny-wn5do
    @sunny-wn5do 3 ปีที่แล้ว +33

    날개접어서 배에 실을수 있게하면 군함에 적재하고 다니면서 정찰용이나 구조용으로 쓸수있겠네요.

    • @WestWood_M
      @WestWood_M 3 ปีที่แล้ว +1

      굿..!!

    • @user-zq7sc7zl3r
      @user-zq7sc7zl3r 3 ปีที่แล้ว +4

      파고가 심할때는 드론택시처럼 활주거리없이 해상에서 바로 뜨게 만들어도 좋을 듯

    • @user-uy4ft7eu4y
      @user-uy4ft7eu4y 3 ปีที่แล้ว +1

      좋은 아이디어네.

    • @user-yn1kp8oj6b
      @user-yn1kp8oj6b 3 ปีที่แล้ว +2

      아론비행선박과 드론수직이착륙 기술이 합쳐진다면 엄청날것 같네요

    • @user-hw9cf6gg2q
      @user-hw9cf6gg2q 3 ปีที่แล้ว +1

      헬파이어달면 좋겠다

  • @cheulkyunlim8389
    @cheulkyunlim8389 3 ปีที่แล้ว +3

    지면효과익은 소련에서 룬으로 이미 만들었었고 파도가 치면 운용이 어려워서 폐기된 아이디어입니다. 기술적으로 얼마나 극복 가능할지 궁금하군요

  • @user-sy4ii9cj7o
    @user-sy4ii9cj7o 3 ปีที่แล้ว +3

    굿,,!!!!!!!!!

  • @Hyuchan1002
    @Hyuchan1002 3 ปีที่แล้ว +1

    날개를 전진익으로 만들어서 앞쪽의 공간을 확보하면 따로 구명 부이를 띄우지 않아도 직접 동체로 사람등을 끌어올릴 수 있을 듯.

  • @user-nr5wn5qd5s
    @user-nr5wn5qd5s 3 ปีที่แล้ว

    우와우리나라만세ᆢ✌

  • @seongjaekim4887
    @seongjaekim4887 3 ปีที่แล้ว +1

    정말 좋네요...더불어 국가전략자산으로 분류 되었다고 해서...여러 용도로도 활용가능하겠네요..이미 몇나라에서 구입했다고 하던데..많은 대수는 아니지만...홧팅 아론 ^^)/

  • @k920011
    @k920011 3 ปีที่แล้ว +5

    최신 함정들에게는 딱 먹히기 쉬운 표적이 될듯.

    • @leewilliam8111
      @leewilliam8111 3 ปีที่แล้ว

      레이더에 안잡힘

    • @ksb6221
      @ksb6221 2 ปีที่แล้ว

      @@leewilliam8111 안 잡힌다는 근거는?

    • @leewilliam8111
      @leewilliam8111 2 ปีที่แล้ว

      @@ksb6221 잡힌다는 근거는?

    • @ksb6221
      @ksb6221 2 ปีที่แล้ว

      @@leewilliam8111 안 잡힌대메?그래서 물어 보는거 임..잡히는지 안잡히는지 내가 알리가 없지.

  • @user-cr6wx2yc1f
    @user-cr6wx2yc1f 3 ปีที่แล้ว +4

    대박 물건하나 잘나오길

  • @inbaek8054
    @inbaek8054 3 ปีที่แล้ว +4

    유용할듯합니다 ㅋㅋㅋㅋ^^

  • @user-js9rg2rw9s
    @user-js9rg2rw9s 3 ปีที่แล้ว +1

    와 죽이네요

  • @teadori003
    @teadori003 3 ปีที่แล้ว +17

    이것이 그무시라 위거선이라는?
    군사용으로 도움이 많이되겠네요
    그런데 이위거선이 파도가잔잔한 연안에서는
    도움이 되나 먼바다에서는 파고가높아서
    쓸모가없다고 합니다.

    • @SJLEE-wc1yn
      @SJLEE-wc1yn 3 ปีที่แล้ว

      위그선이란게 파도와 상관없이 운항 가능하게 하려고 나온 선박임니다 일반 선박보다 파도에 훨씬 유연한 대처가 가능해요

    • @younhwankim8581
      @younhwankim8581 3 ปีที่แล้ว +3

      @@SJLEE-wc1yn 반대 인데??? 위그선의 단점이 파도에 취약함

    • @user-zq7sc7zl3r
      @user-zq7sc7zl3r 3 ปีที่แล้ว +3

      해상에서 바로 뜨는 드론형으로 만들면 좋을 듯

    • @alexjeon660
      @alexjeon660 3 ปีที่แล้ว

      @@user-zq7sc7zl3r '

  • @junok1321
    @junok1321 3 ปีที่แล้ว +1

    공기 부양정이나 여러 해안 경비용으론 24 시간 체공 비행하는 정찰 드론이 최고죠 ... 프레데터 같은 종류나 그거보다 좀 작은 종류로 여러대 교차 순찰 시키면 짱이쥬 ~

  • @user-tv7tc1op9d
    @user-tv7tc1op9d 3 ปีที่แล้ว +1

    고도를 높이올릴수있으니 고속에의해 자칫발생할 사고등에서도 자유로울듯. 첨 위그선 나오는거보고 안전에 불안이 느껴졌는데 저렇게 올라가버리면 충돌사고회피도 쉽고 높은파도에 당할일도 없을듯. 마지막 영상처럼 해경에 매우 유용해보임. 일단 빠르니까 좋고 고도를 올려서 수색능력도 가질수있어더좋고. 해병대에 미국도 포기한 비싼 상륙정만든다는 계획있던데.. 그거 날리고 저걸로 가는게 좋을듯함. 기관총진지같은게 가장문제인데 유도로켓한두방 날려주면 침묵시킬수있을듯. 또 좋은게 이쪽이 공격한다고 고도를 높이면 휴대용지대공미사일 맞을수도있는데 헬기정도도 속수무책인데 위그선은 저렇게 빠르게 날으면서 고도도 헬기보다 극단적으로 낮출수도 있으니 저속도에 저고도라면 사실상 휴대용지대공 미사일중 저거 맞출수있는게 있을까란 생각도듬. 상대적으로 느린 현궁같은 대전차미사일로도 맞추기어려울거같고..
    날개를 확접에서 상륙함에 여러대 집어넣으면 아파치보다 더도움될지도.. 다만 미사일포드 달랑 하나단거보면 무장능력이 빈약한건가?? 뒤에 사람타는거 아에없애버리고 엔진출력더올려서 천검도 운용하면 아파치 뺨칠거같은데

    • @alexjeon660
      @alexjeon660 3 ปีที่แล้ว

      아파치 한대면 저 위그선 15대 살수 있다고 합니다 가성비면에서 짱일것 갚읍니다

  • @SKCCP
    @SKCCP 3 ปีที่แล้ว +1

    엔진 두개 장착한 모델 있던데요. 아론 M200. 쌍발 엔진 모델 덩치키우고 골격 강화하면, A-10 비스무레한 지상공격기 개발 가능.

  • @dolt09
    @dolt09 3 ปีที่แล้ว

    수륙양육 가능 하기 때문에 운송 및 바다에서 실종자 찾기에 진짜 유용한 배이죠.
    기름 도 적게 들고.

  • @korea214
    @korea214 3 ปีที่แล้ว +1

    자기탐지기 달고 소노부이 여러개 달고 다니면서 대잠초계기 역할을 할수도 있음... 공격용으로 몇개의 경어뢰를 탑재하는 것도...

  • @nightrush0129
    @nightrush0129 3 ปีที่แล้ว +2

    감시 정찰용 으론 최고네요 유지비도 적게들고

  • @mount7582
    @mount7582 2 ปีที่แล้ว +2

    이런걸 빨리 개발해서 실전배치해야 합니다. 특히 서해5도등에 기습 남침하는 적 선박및 소형잠수정등을 격퇴하기에는 적합할듯
    기관포라도 달면 더 좋을텐데

  • @jkrjacob
    @jkrjacob 3 ปีที่แล้ว +1

    용도는 어디까지나 수송기 아니면 대잠초계기의 역할이 적당할 것 같은데요?

  • @bhlee64
    @bhlee64 3 ปีที่แล้ว +5

    군사용은 속도가 느려서 좋은 표적이 될 것 같고
    구조용은 날씨 좋을 때만 운영이 가능한데, 날씨 좋은 날 물에 빠질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레져용으로 최고일 것 같습니다.

    • @user-wf6cl2tb4f
      @user-wf6cl2tb4f 3 ปีที่แล้ว

      날씨영향은 그렇다쳐도 함정보다 6배이상빠르다는 장점때문에 개발한건데
      속도가 느리다는개소리는....비행기 대체용으로 개발한게 아닙니다 ㅋ

  • @gilgamesh8184
    @gilgamesh8184 3 ปีที่แล้ว +2

    바다에서는 헬기보다 더 활용하기 좋겠네요..
    많이 구입해 군사용으로 활용하면 좋겠습니다.

  • @SmartRevolver
    @SmartRevolver 3 ปีที่แล้ว +5

    생각보다 높이 나네요.

  • @cms8112
    @cms8112 3 ปีที่แล้ว +1

    2차대전 태평양전선에서 미군이 운용한 PBY 카탈리나 같은 수상기들을 좀더 발전시키고 현대화한 개념인가보네요.
    2차대전 당시에 카탈리나도 대잠 대함임무 정찰임무 구조 등 많은 분야에서 맹활약한만큼
    꽤나 괜찮은 다재다능한 무기가 될듯합니다.

  • @user-cp3xm2zy8c
    @user-cp3xm2zy8c 3 ปีที่แล้ว +2

    그런데 이란이나 일본 같은 자살 특공대가 아니면, 이런 속도로 대공 미사일은 어떻게 피합니가?
    요즈음 나오는 전차용 유도탄 직격 보호장치난 혹은 함대공 미사일을 붙여야 하는 거 아닌지요?
    다만 전기 구동으로 저소음 고속 설계를 하면 침투용이나 신속 수송 용도는 도움이 되겠습니다.
    크기를 좀 키워 공대함과 공대공 및 AESA 만 붙이면 전함보다 더 넓은 영역의 방어가 되겠습니다.

  • @user-td1cn3nn9g
    @user-td1cn3nn9g 3 ปีที่แล้ว +3

    안녕하세요 저는 성줄초등학교 2학년 2반 다니고 있는 초등학생입니다. 여러분들 짱전문가십니다

  • @risingsunflagsamemeaningas7472
    @risingsunflagsamemeaningas7472 3 ปีที่แล้ว +1

    바람조금 세게 불면 못날으나요???
    주변 환경적인 요소에 대한 내용도 알려줘요 호기심에...

  •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3 ปีที่แล้ว

    위그 선을 군사용으로도 쓰는 군요. 이란 쪽에서도 비슷한 걸 쓰는 모양이던데... 연안감시, 구조, 기습침투 대비나 기습용으로도 쓸모 있을듯?

  • @user-zg8fn3he1y
    @user-zg8fn3he1y 3 ปีที่แล้ว +1

    관광용이나 섬 이동수단용 ,그리고 ,4대강 활용 어떨까요?

  • @minjaekim2799
    @minjaekim2799 3 ปีที่แล้ว +1

    상륙할때 상륙공격헬기처럼 상륙병력 엄호용으로 쓰거나 특수전부대 침투용으로 괜찮을거가튼데?

  • @bambikim4433
    @bambikim4433 2 ปีที่แล้ว

    무인 위그선 군사용으로 만들어서 활용하면 좋을거 같아요 군사용 무인헬기는 물 위에 떠 있을수 없지만 무인 위그선은 물 위에 떠 있으며 작전 대기 대잠작전을 할수 있고 작전 시간도 헬기에 비해서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 @Warboy-mk1
    @Warboy-mk1 3 ปีที่แล้ว +3

    저런게 있었눈지도 몰랐다

  • @nuwana8504
    @nuwana8504 3 ปีที่แล้ว +1

    바다에 랜딩이 가능하니 탐색구조에 있어서는 헬기보다 훨씬 유용하겠네요.
    군사용도 괜찮을듯, 북한 공기부양정이 100대가 넘는다는데, 거기다 반잠수정까지 밀고 내려오면 헬기로는 힘들듯.
    다목적으로 만들어 보아용. 공격시에는 로켓달고, 구조시에는 구조장비달고, 잠수함 찾을때는 소나달고ㅎㅎ

    • @alexjeon660
      @alexjeon660 3 ปีที่แล้ว

      적의 저가치 비대칭 전력인 어뢰정 고속정 공부정등에 아군의 아파치나 F-15 등 고가치 장비들이 충분하면야 상관없지만 비용대비 효율성면에서 위그선에 경무장을 하고 최전선에서 한바탕 잡아주고 나면 아군 항공력의 운영에 여유가 있을것 같기도 합니다

  • @user-md2rf2ub7i
    @user-md2rf2ub7i 3 ปีที่แล้ว +3

    해병대 상륙장갑차와 결합시켜 해안 근접시 장갑차 이탈시켜 상륙하고 위그선은 상승하여 해안 저고도 선제 공격용으로 활용 가능할 듯 하네요. 물론 그에 따른 위그선 전용 항공모함이나 수송선이 필요하겠지만, 해상저고도 이동속도가 280Km라는 경이적인 속도는 반드시 상륙작전시 병력을 해안선 접근시 아군 피해를 최소화 시킬 것으로 예상이 되네요.

    • @lyankim2012
      @lyankim2012 ปีที่แล้ว

      최고속도 300km도 안되는 기체가 저공선회비행하는건 사격연습표적 만들어주는것과 같습니다

  • @powerful4232
    @powerful4232 3 ปีที่แล้ว +1

    배 밑바닥에 렌딩기어 작은거 수납해서 수륙으로 양용으로 이용가능하겠음~격납고는 육지에~^^

  • @user-bj9zu3xt4s
    @user-bj9zu3xt4s 3 ปีที่แล้ว +1

    국가안보전략기술로
    키워야 ~^^
    아론,, 기술보호~!!!
    기술개발 및 실전배치
    국가지원 필요한 사업~@@@

  • @seongjaekim4887
    @seongjaekim4887 3 ปีที่แล้ว +2

    무용론을 얘기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과연 그럴까요? 그럼 식사할때 손으로만 먹나요? 젖가락(쇠, 나무, 대나무, 상아 등)은 수저는...포크, 나이프...등...아니면 그냥 국자 한가지만 있으면 되지 않나요?
    참고로 비호나 비호복합이.... 더불어 만들어 봐야 활용도를 더 자세히 알수 있습니다..그냥 봐도 헬기보다 빠르고 해상에서도 내려앉아 활용할 수 있는 것을...

    • @alexjeon660
      @alexjeon660 3 ปีที่แล้ว

      정확한 진단이십니다 우리 서해안 은 적의 고속정 어뢰정 공부정의 운영하기 좋은 조건 입니다 그래서 위그선이 필요 한것이구요

  • @user-yp3yj7bv2d
    @user-yp3yj7bv2d 3 ปีที่แล้ว +1

    근해 정찰. 방어. 구조용으로 효율적일 듯 싶네요.

  • @andrewchoi5901
    @andrewchoi5901 3 ปีที่แล้ว +1

    실용고도라봐야 파도에 닿을듯한 20미터, 안전순항속도 250킬로, 게다가 파고가 높으면 뜨지도 못하고. 저 정도 고도라면 북 고속정 함교에 거치된 14.5mm 기관총에 벌집되기 딱 좋죠, 잘하면 AK에 격추될 정도로 방호력도 취약하고 너무 저속 저고도에요.
    업체들이 신성한 국방사업에 달려들어 뜯어먹는 소리 나옵니다. 와일드캣 20여대 도입하여 대잠장비는 탈거해서 별도 치장하거나 대잠장비 없는 것으로 도입한뒤 해성이나 시스쿠아 공대함미사일 4기와 보조로 발칸달고 고속정 사냥하는게 효율이 높습니다.
    해상구난 작업 역시 호버링이 가능한 링스 헬기가 훨씬 유리하고 영상에 나온 일부 임무는 무인기로도 할수 있어요. 왜 쓸데없는데다 예산을 낭비해서 업체 주머니나 채워주려 하는지.

  • @bluesea9753
    @bluesea9753 2 ปีที่แล้ว

    오래전에 이기술을 러시아에서 이전받아 활용하다 폐기된 줄
    알았는데 살아있었네 좀 더 기술이 발전되서 무장을 많이하고 용량을 크게 했으면 좋겠습니다

  • @koso5697
    @koso5697 2 ปีที่แล้ว

    저 위그선 하고 물에 착륙 가능한 경비행기 하고 차이가 있나요? 그냥 개념이 같은거 아닌가

  • @parkminsick6169
    @parkminsick6169 3 ปีที่แล้ว +1

    예전에 림팩갔다 오는길에 환자생겨서 해자대 us-2 도움받았다는 이야기를 얼핏 들었는데, 유용할거 같네요

    • @alexjeon660
      @alexjeon660 3 ปีที่แล้ว

      그당시 생도가 급히 수술해야 해서 국방부가 외교부를 통해 일본해자대 us-2가 출동해서 위기를 넘겨다고 들었는데 ~그래서 많이 부러웠지요

    • @joshuachi6313
      @joshuachi6313 3 ปีที่แล้ว

      해자대 위크선은 꽤 크지요. 소형은 걍 장난감 수준인듯. 바람과 파도를 감안하면 어느정도의 중량이 필수있듯.

  • @user-xh1nr7rc4y
    @user-xh1nr7rc4y 3 ปีที่แล้ว +2

    해양정찰구조에는 헬기보다 더 좋은것 같읍니다
    해양경찰, 해군에는 필수 장비가 될 것 같군요

  • @user-hb2oj9sw8q
    @user-hb2oj9sw8q 3 ปีที่แล้ว +2

    군사용으로 튼튼하게 잘만들고 무장도하고 다용도 구조 용으로도 좋을듯합니다 해군 해양 해병용.

    • @alexjeon660
      @alexjeon660 3 ปีที่แล้ว +1

      아군의 비싼첨단장비에 앞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기뢰제거 ~~같은 임무요

  • @user-kf1ov1ms9t
    @user-kf1ov1ms9t 3 ปีที่แล้ว +1

    비궁 유도로켓을 위그선에 이용한다는 것은 연평도나 백령도에 대한 공방급의 기습적인 강습을 저지하는데 상당한 위력을 발휘할듯합니다.
    공방급의 속도를 한참 상회하는 헬기급의 속도로 움직이는 위그선은 해경이나 해군의 초계용도로 상당한 강점을 지닐것으로 보입니다
    동영상은 비궁만 보여주고있는데 장갑이 약한 호버크래프트를 상대로는 12.7mm RCWS를 장착하는 것도 충분히 위력을 발휘할 듯하네요.

    • @Fight4victory_Forever
      @Fight4victory_Forever 3 ปีที่แล้ว

      저도 공감합니다. 결론은 MCSOP에 운용되는 것이 제일 좋은 방책이라고 생각합니다.

  • @user-lo9rp3gt1o
    @user-lo9rp3gt1o 3 ปีที่แล้ว +9

    기존 위그는 수심에서 불과 1, 2m 떠 다녀 위험 했는데. 이건 많이도 올라가네요. 기술이 더 발전 된듯. 거의 비행기 인데요.

    • @ignatiokim2597
      @ignatiokim2597 3 ปีที่แล้ว +2

      WIG선은 수면 위 1~2m에서 효율이 가장 좋은 것이지 추진장치가 작동하는 한 어느 고도까지도 올라갈 수 있구만요. 단지 WIG선이 항공기가 아닌 선박으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항공기로 분류되면 안전 장치 등등.. 엄청나게 돈이 들어가니) 순항 고도 50m 이내 순간 회피 기동 150m이내로 운항해야 하는게 항공법이구만요.

    • @ignatiokim2597
      @ignatiokim2597 3 ปีที่แล้ว +2

      오히려 수면에 붙어서 기동하는 것이 더 어렵기에 고도의 기술이 필요함.. 본 동영상에서 고도가 높은 것은 시험 비행시에 불의의 사고를 염려해서 WIG 본연의 기능을 무시한 것이구만요.

    • @ignatiokim2597
      @ignatiokim2597 3 ปีที่แล้ว +2

      WIG선의 개념은 본래 경제성을 앞세워 항공기와 열차 운송의 틈새 시장을 확보하기 위함이구만요. 60년대에 소련이나 중국이 개발해 놓고서 전력화 못한 것은 파도에 대한 제한으로 운용 일수 감소 그리고 해수 침식에 의한 부품의 내구성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인데 그 문제는 WIG의 태생적 한계로 극복하기가 어려울 듯하구만요.

    • @supyoo
      @supyoo 3 ปีที่แล้ว

      @@ignatiokim2597 그건 대형 위그선이라 그래요. 대형은 애초에 비행기처럼 나는걸 고려치 않았죠.
      이건 소형위그선이라 연료 효율을 감수하면 비행기처럼 운행이 가능한거구요.
      과거에는 대형이 아니면 폭장량도 떨어지고 문제가 많았지만
      지금 미사일 기술이 발달한 시점에는 저런 소형도 충분히 의미가 있습니다.
      탑재중량이 1.7톤인데 이건 경공격기 FA-50의 절반 가량 되는 무장량입니다.
      60년대 기술로 1.7톤은 아무것도 아니어서 대형으로만 개발하다가 파도에 밀렸지만
      지금 기술로 1.7톤이면 순항미사일 2개 정도 달고 가는건 일도 아니죠.
      비행기가 구입비만 따질수 없고, 업그레이드 버전에 따른 차이, 시스템비용, 운용비용 다 따져야 하지만 대충
      F-16 대당 400억 Fa-50 대당 250억에 비교도 할수 없이 싼 대당 35억 정도입니다. 이것도 초도가격일뿐이지 대량주문하면 더 싸져요.
      미국 같은 나라야 애초에 이런 위그선이 필요도 없고 먼 이국땅에서 빠르고 좋은 비행기 투사밖에 답이 없지만
      독도와 서해 정도를 지켜야 하는 우리 입장에서 아직도 공군의 항속거리가 문제가 되는 이 시점에서
      이런 비행체를 본격 보조로 운용하면 충분한 화력지원이 될 수 있죠.

    • @ignatiokim2597
      @ignatiokim2597 3 ปีที่แล้ว +2

      @@supyoo 유섭님의 생각에 많은 부분 동의하지 못하겠네요. 첫째 대형 위그선도 회피 기동을 위해서라도 어느 정도의 고도까지 기동 가능하구요. 미국도 최초에 고속 상륙용으로 위그와 LACG를 동시에 고려했는데 강습상륙함에 탑재 문제로 위그를 포기한거구요. 자꾸 항공기와 비쿄하시는데 위그는 어디까지나 선박입니다. 작전시에도 공간적 기동이 아닌 평면적 기동 개념이구요 또한 적 탐지 거리도 제한적이기에 중거리 유도탄 운용도 어렵습니다. 그리고 독도나 서해5도까지 갔다고 쳐도 거기서 어떤 적을 상대할건대요? 위그는 그야말로 고속 기동 함정이지 항공기가 아닙니다.

  • @crowndia97
    @crowndia97 3 ปีที่แล้ว +40

    해경 쪽에서 쓰면 딱일 듯.

    • @user-ec4sm8px7n
      @user-ec4sm8px7n 3 ปีที่แล้ว

      1년에 장판같은 파도 와 날씨가 아주 좋은날에만 사용가능 할걸 미쳐따고 해경에서 사서 쓸까요

    • @user-dm4eu6jn7x
      @user-dm4eu6jn7x 3 ปีที่แล้ว +2

      @@user-ec4sm8px7n 그건 소형 경비선도 마찬가지.

    • @spk6371
      @spk6371 3 ปีที่แล้ว +2

      300미터 상공까지 날아요...

  • @user-xz3wy6rp2h
    @user-xz3wy6rp2h 3 ปีที่แล้ว

    멋지네!

  • @user-xn4dj6ck2w
    @user-xn4dj6ck2w 3 ปีที่แล้ว +1

    한강에서 구조 및 수색용으로 또는 레저용으로 민간에서 사용해도 좋을 듯 합니다.. 그러나 군사용으로는 너무 위험하지 않을까요.

  • @younghoonkim9199
    @younghoonkim9199 3 ปีที่แล้ว +1

    울릉도나 연평도에서 사용 시 방어력 좋음

  • @junokjs.3660
    @junokjs.3660 3 ปีที่แล้ว

    진짜 최고다 빨리
    전투선으로 개량 합시다

  • @user-ky7gu5tt5h
    @user-ky7gu5tt5h 3 ปีที่แล้ว +3

    완전...압빵맨...이네...한가자~♡
    미사일양끝...달고가자...압빵맨ㅎㅎ

  • @user-tv7tc1op9d
    @user-tv7tc1op9d 3 ปีที่แล้ว +1

    해병대용으로 객실이 분리되는타입으로 만들수없나? 그러니까 수면과 거의 맞닿는지점에서 분리하고 위그선은 살짝 상승해 이탈하고 객실은 물수제비처럼 쭉나가서 해변에 도착하는거지. 안에 탑승병력이 좀 아프겠지만 최대한 충격흡수장치달아서 해변에 때려박는거지. 물론 암초많은데나 해변이 바위면 던져넣지는 못하고 최대한 속도줄여서 혹은 정지해서 놓고 가는거지. 병력이 내리는동안 멈춰설필요없이 즉시 이탈해서 적의 공격지점에 유도로켓퍼붙고 이탈하는식으로. 파도가 거쎄면 또 힘들어지긴하지만 요즘은 컴퓨터예측능력이 좋아서 그냥 멍텅구리폭탄도 과거에비해서는 굉장히 정확히 떨굴수있다던데.. 시뮬레이션과 빈캡슐투하를 수없이 반복하면 제법안전하과 정확하게 병력을 밀어넣을수있을듯.

  • @user-gc3rq8cl9u
    @user-gc3rq8cl9u 3 ปีที่แล้ว +2

    위그선 실용화 위해선 웰독있는 강습상륙함이 필수임.
    AESA레이더와 초음속 대함미사일 운용하면 좋을듯합니다.
    시속 250Km면 헬기보다 느린데 최소 500Km이상은 되야할듯 합니다.

    • @Yurii831
      @Yurii831 3 ปีที่แล้ว +1

      위그선 운용하는데 웰독 있는 상륙함은 왜 필요한가요? 그리고 저만한 크기에 뭔 에이사 레이더고 초음속입니까?

    • @user-gc3rq8cl9u
      @user-gc3rq8cl9u 3 ปีที่แล้ว

      @@Yurii831 상륙함에 탐재해서 사용하면 원거리 작전도 가능하죠!
      그렇지 않으면 항구서 정박시켜 놓고 사용할수바께 없음.

    • @alexjeon660
      @alexjeon660 3 ปีที่แล้ว

      아론에서 8인승에 이어 20인승을 개발 중이라고 하는데 그러면 군사용이나 여객용이나 효율이 훨씬 좋을 것입니다

  • @dmkim78
    @dmkim78 3 ปีที่แล้ว

    위그선 모함 말들어도 괜찮을등 항모전단이랑 같이움직고, 최종 무인화 경격위그선

  • @wetwhite9201
    @wetwhite9201 3 ปีที่แล้ว

    이거 바람 불고, 파도 칠때도 사용가능한가?
    지중해같은 곳에서나 쓸만한거 아닌가 싶은데..

  • @hughwilliams2122
    @hughwilliams2122 3 ปีที่แล้ว +2

    섬과 섬, 해상 오지 물자 수송 및 승합버스 같은 날으는 교통 수단으로... 빠른 배송과 정찰 탐색 구조... !!!
    군용과 민간 교통 운반 서비스로도 손색이 없을 듯 싶다
    PS: 좀 더 공기 저항을 줄인 디자인과 성능 계량으로... 속도도 올리고 전기 모터로 바꾸어 소음도 줄이고 몸체 및 날개 솔라판넬
    달면 더 좋을 것 같다.

    • @alexjeon660
      @alexjeon660 3 ปีที่แล้ว

      양산되면 국내보다 수출이 더 많을 것입니다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를 비롯한 전세게의 바다 강 호수 등 물길이 위그선의 항로가 될것입니다

  • @user-du3rx5lw9m
    @user-du3rx5lw9m 3 ปีที่แล้ว +2

    적함이 패일랭스 비슷한 무기체계가 있으면, 방콕

  • @user-pf8we1ky7w
    @user-pf8we1ky7w 3 ปีที่แล้ว +1

    핼기나 일반 항공기보다는 수상비행기와 비교하는게 맞을것 같은데
    수상비행기대비 뭐가 좋죠?
    정찰용이면 수상비행기가 고도 항속거리 면에서
    더 낳은데

  • @wjdk3063
    @wjdk3063 2 ปีที่แล้ว

    헬기 엔진과 위옆으로 움직이는 소형 로터 사용해서 파도 높을때 사용할 수 있지않나? 파도 높을때 출발은 방파제 안에서.

  • @svr5021
    @svr5021 3 ปีที่แล้ว +1

    특수전용으로 udt나 특수부대침투할때 쓰면 좋을듯

  • @kggkd12
    @kggkd12 3 ปีที่แล้ว

    저기다가 견인용 소나 패시브레이더까지 달면 해상감시기로 완벽할듯
    일반 해상핼기보다 작전범위도 더 넓고 가격이 좀더 싸니까 편대로 한번에 작전하고 비싼 헬기는 정보 통합하는데 쓰이면 초계기 시스템 미니멀 버전이 될 가능성이 높겠다.

  • @user-ei7wq6ip9y
    @user-ei7wq6ip9y 3 ปีที่แล้ว

    부칸 공기부양정 격침용~
    쭝공 불법어선 격침용으로
    제격인거 같네요~

  • @jaysbar4u
    @jaysbar4u 3 ปีที่แล้ว +2

    이거 하느니, 그냥 KA-1 웅비(공군 20대 보유)에 비궁 무장시켜 내보내는 게 낫겠네요. 인천공항 근처 남아 도는 매립지 한 쪽에 1,500미터 활주로와 격납고만 준비하면 다른 게 필요 없죠. 백령도까지 25분이면 갈 수 있는데. 위그선이면 1시간 걸리네요. 위그선 한 대 가격이 30억원인데, 군이 원하는 ROC 맞추려면 가격은 치솟을 테고 이미 개발되어 있는 KA-1은 한 대에 60억원 하니 그게 그거 같습니다

    • @alexjeon660
      @alexjeon660 3 ปีที่แล้ว

      백령도 사곳활주로 김포 통천 비행장 양주 포천 양구 속초 활주로에 KA-1 200여대 좌~~악 깔면 좋을겁니다 알기체 60억원에 탐지장비 부터 무장 죄다 달면 200억원 넘어 갈겁니다

    • @jaysbar4u
      @jaysbar4u 3 ปีที่แล้ว +2

      @@alexjeon660 KA-1이 이미 공격기 입니다. 기본 하드포인트, 임무 컴퓨터, HUD, 건 포드, 다 장착되어 있습니다. 레이더와 헬멧 정도만 업그레이드하면 꽤 쓸만한 기종이구요. 무엇보다 이,착륙 거리가 압권이죠. 비궁 한 발에 4천만원 수준이니 무장까지 하더라도 100억원 안쪽으로 맞출 수 있을 것 같네요.

  • @mysygisun3335
    @mysygisun3335 3 ปีที่แล้ว +1

    黒海で此れの10倍以上の機体が使われてますが、此の機体では、波高1mでの離着水が困難と成るでしょうね。
    飛行可能気象条件も風速何m雨量何mmでしょうか。

  • @user-wc7im7kf5g
    @user-wc7im7kf5g 3 ปีที่แล้ว

    현재로서는 어려워도 가까운 미래에 해군에서 또다른 형태의 항모가 될수도!

  • @RARKROA
    @RARKROA 3 ปีที่แล้ว +5

    이거면 공중부양선박이 아니라 아예 비행기에 선박 하부 부착한 느낌이네요 ㅋㅋㅋㅋㅋ 멀리도 올라가네~~~

    • @alexjeon660
      @alexjeon660 3 ปีที่แล้ว

      @@user-ic5fl2id2p 국제해사기구와 해양수산부법에 150m 까지만 올라가라고 햇읍니다 성능은 3km까지 올라 갈수 잇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