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억 뱉어낸 서울과학고 학생들…'오히려 좋아!' 이유가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 ก.พ.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3K

  • @신성회복홍익인간
    @신성회복홍익인간 ปีที่แล้ว +2614

    과학고만 만들고 장학금만 준다고 과학인재가 나오겠습니까? 국가에서 의사보다 과학인재를 더 양성하고 싶으면, 과학자가 의사보다 더 대우받는 사회를 만들어야 우수한 인재들이 과학 쪽으로 진로를 잡겠지요.

    • @멍땔와이쿼녹스위브
      @멍땔와이쿼녹스위브 ปีที่แล้ว +43

      공공의대 설립하고 이과계열 학생들 중 우수한 학생들 비인기과 전문의 과목 지정 조건+ 취약의료지역 응급실 7년 근무 조건 달고 뽑아도 무조건 지원자 넘칩니다. 주당 40시간 세후 800 받고 일할 의사들 많습니다. 예비 의대생들 많습니다. 비인기과 묶음 지정 계열로 뽑아서 지정계열내에서만 전문의 변경 가능하도록 제한 두면 됩니다.예비 의대생들 많습니다. 비인기과 묶음 지정 계열로 뽑아서 지정계열내에서만 전문의 변경 가능하도록 제한 두면 됩니다.비인기과 묶음 지정 계열로 뽑아서 지정계열내에서만 전문의 변경 가능하도록 제한 두면 됩니다.

    • @멍땔와이쿼녹스위브
      @멍땔와이쿼녹스위브 ปีที่แล้ว +26

      10년 일하면 은퇴가능한 전문직이 어디 있나요? .....전문의 안 따도 세후 월2000이상 벌 수 있으니 나는 XX과 못해먹겠다...피부시술하고 일반의원으로 전환하겠다 선언......

    • @matthewlee9054
      @matthewlee9054 ปีที่แล้ว +57

      완전 공감합니다!
      과학기술발전으로 대한민국이 여기까지 왔는데... 공부잘하는 친구들이 다 의대로 간다면 우리나라는 망해가겠죠...

    • @유튜브핸들끄는법
      @유튜브핸들끄는법 ปีที่แล้ว +31

      @@멍땔와이쿼녹스위브 헌법위반인데 전문의 과목을 어떻게 지정함?
      그리고 애초에 의사 못되는 애들인데 무슨 7년임? 7년후에 서울가서 성형외과 열라고?
      못해도 2~30년은 되어야 의미가 생기고 취약의료지역에 의사 가져다 놓는다고 의사 혼자 수술 못하니
      그거 인프라도 같이 지원해야함

    • @twilightgarden
      @twilightgarden ปีที่แล้ว +60

      ㅋㅋㅋㅋ R&D 예산 삭감.

  • @mkc1564
    @mkc1564 ปีที่แล้ว +986

    의대 좋아진게 아니라 다른 양질의 직업이 사라진게 문제임. 예전 상위권이 가도될 직업이 없어진 결과 의대쏠림이 생긴 이유.

    • @이름없음-y7n
      @이름없음-y7n ปีที่แล้ว +14

      직업이 없어졌다기보단 대기업 들어가봐야 의사보다 낮은 안정성과 수익 때문 아닌가요?

    • @shenkge9221
      @shenkge9221 ปีที่แล้ว +24

      @@이름없음-y7n 대기업이 의사보다 연봉 낮은 건 대한민국 건국때부터 그랬지....오히려 지금 그 연봉 차이가 줄어들고 있고....솔까 말해서 의대 몰림 현상은 그냥 "돈만 많이 벌면된다"는 물질 만능 주의 때문이지

    • @골드바-p8q
      @골드바-p8q ปีที่แล้ว +2

      ​@@shenkge9221 ai나 프로그래머는 훨씬 벌지 않음?

    • @의악-v5l
      @의악-v5l ปีที่แล้ว +28

      ​@@골드바-p8q전혀 아님 평균으로만 봐도 2배 이상 차이남 부품처럼 쓰이다 버려지는 프로그래머가 한 트럭임

    • @이효건-o4o
      @이효건-o4o ปีที่แล้ว +10

      @@골드바-p8q 구글 본사 개발자랑 한국 의사 비교하신 건가요?

  • @harry-i7y
    @harry-i7y ปีที่แล้ว +1271

    제발 학생 핑계대지말고 ~ 이공계 학생들의 진로를 국가에서 지원해줘야 한다 ~과학기술이 국가의 경쟁력

    • @kengkengee
      @kengkengee ปีที่แล้ว +6

      국가에서 뭘 해줘야 하는데? gdp 대비 r&d 비용 세계 1위 국가인데 돈 많이 써도 학생들이 의대 가겠다는데 돈만 늘린다고 그게 될 거 같음? 2023년 과학자들이 아인슈타인보다 더 좋은 환경에서 연구하는데도 과연 돈 때문일까? 사람 문제일까? 잘 생각해봐라

    • @twilightgarden
      @twilightgarden ปีที่แล้ว +91

      ㅋㅋㅋㅋ R&D 예산 삭감. 우리나라가 R&D예산 세계 1위라는 개소리는 물론 유툽 찌라시에서 배운거겠지?

    • @엥-t3u
      @엥-t3u ปีที่แล้ว

      ⁠​⁠@@kengkengeegdp‘대비’ 니까ㅋㅋㅋgdp가 좆만하니ㅋㅋ

    • @kengkengee
      @kengkengee ปีที่แล้ว +4

      @@엥-t3u 인구수가 물가는 생각 안 하냐? 그렇게 잘난 놈들이 돈 gdp 1위 국가 미국에 있으면 결과가 달라져?

    • @Kim-xg9mi
      @Kim-xg9mi ปีที่แล้ว

      뭐요?

  • @파이어스톰-t1l
    @파이어스톰-t1l ปีที่แล้ว +260

    이공계 가봐야 대학원까지 교수들 갑질 참아 가면서 석사 박사 따도 실질적으로 할수 있는게 대기업 취업 정도인데 그것도 쉽지 않으니 누가 이공계를 사명감을 가지고 할 수 있을까..

    • @Jacksonpops
      @Jacksonpops ปีที่แล้ว +7

      이게 맞지

    • @영석-u8m
      @영석-u8m ปีที่แล้ว

      다 몰아부치지 마소
      그런거 없이 장학금(공대에서주는)으로석 박사 땃소

    • @zxcv225
      @zxcv225 ปีที่แล้ว +14

      ​@@영석-u8m그 박사 따고 대기업 가봐야 월급은 400남짓...

    • @Bba_bar
      @Bba_bar ปีที่แล้ว

      @@zxcv225ㅋㅋㅋㅋ 나도 의사가 더좋은 직업인건 부정안하겠지만
      대기업은 복지가 워낙많아서 연봉이 다가 아닌데 ㅋㅋㅋ
      박사달아야만 대기업가고 고연봉 받는거도 아니고
      의사되는데 들어가는 시간,비용 그리고 업무강도 생각하면 비교안되는 수준은 아님

    • @주원-h6n
      @주원-h6n ปีที่แล้ว

      전문연도 있는디?ㅋㅋ

  • @veteran_k
    @veteran_k ปีที่แล้ว +127

    Rnd 예산을 깎아서 있는 과학인재들도 해외 기관을 알아보는 판인데...학생들이 의대를 선택하는것도 나름 이해가 되네요.

  • @jkim5279
    @jkim5279 ปีที่แล้ว +54

    R&D 예산 삭감한다는데 나라에서 과학자들을 대우해주나

  • @hanmae1123
    @hanmae1123 ปีที่แล้ว +271

    과학 연구원들에 대한 더욱 안정된 보장이 필요하다 생각됩니다
    한국 미래를 위해서는 가장 우대해야할 것 같은데 연구원들에 대한 연금등도 매우 아쉽다는 생각이 듭니다

  • @sungkukpark6838
    @sungkukpark6838 ปีที่แล้ว +193

    3억2천을 47명으로 나누면 1인당 7백만원정도 토해냈다는 건가......의미 없는 금액이네요

    • @꽃길영
      @꽃길영 ปีที่แล้ว

      저도 나눠봄 ㅎㅎ

    • @Tennid
      @Tennid ปีที่แล้ว +36

      저도 1인당 3억인줄 알고 저정도나 토하나했더니..ㅎㅎ 700이면 토할만하죠..

    • @user-yp7uv8fs7p
      @user-yp7uv8fs7p ปีที่แล้ว +1

      ㄹㅇ 의미없음 7억씩 토해내는것도 아니고ㅋㅋㅋ

    • @oopilbara9004
      @oopilbara9004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당입니다.

  • @ytuoon977
    @ytuoon977 ปีที่แล้ว +208

    "과학기술 출연연 R&D 예산 30% 삭감 " 이런식으로 정책을하니
    있던 과학 인재들이 떠날수 밖에 없죠. 그런걸 보고 들은 자식들이
    이공계에 대학을 진학하려 할까요 ?

    • @ねこおうじょ
      @ねこおうじょ ปีที่แล้ว +3

      그거랑 이공계 무슨관련? 뭐 이공계애들중에 연구하는애들 몇이나돼요? 삼전이나 취직하려는 병신들밖에없는데

    • @김병휘-y2b
      @김병휘-y2b ปีที่แล้ว +21

      ​@@ねこおうじょ저사람들이 삼전에 취직해서 연구하는건데 뭔 개소리를 지껄이는거임? 삼성이 공장 노가다나 시킬려고 이공계학생들 뽑아가는줄 알고있는거냐?ㅋㅋㅋ

    • @ねこおうじょ
      @ねこおうじょ ปีที่แล้ว

      @@김병휘-y2b 삼전 취직하는 이공계 대부분은 연구가 아니라 기능직이구요. 그리구 연구직도 대부분은 그냥... 뭐 공부를 해보셧으면 알텐데 성균관대 이딴 쓰레기 잡대면 모르실듯

    • @AI-ee1db
      @AI-ee1db ปีที่แล้ว +5

      ⁠​⁠@@김병휘-y2b삼성이 정부의 R&D 예산을 끌어다 쓰나요

    • @vpalqudtls-ls6fs
      @vpalqudtls-ls6fs ปีที่แล้ว +1

      에휴 누가보면 예산 삭감해서 이공계 지원 안하는줄...

  • @aleph1240
    @aleph1240 ปีที่แล้ว +219

    정부가 과학R&D 예산도 줄이는 마당이니
    무슨 비전이 있어서 이공계로 가겠냐고.

    • @Nabi_socute
      @Nabi_socute ปีที่แล้ว +11

      맞습니다

    • @유자-l2p
      @유자-l2p ปีที่แล้ว +3

      진짜요... 저도 서울대 공대 지망하는 고3인데 주변에서 다 공대 가면 망한다고 메디컬 가라고 난리라 너무 스트레스에요...ㅠㅠ

    • @bbase290
      @bbase290 ปีที่แล้ว +1

      ​@@유자-l2p성적되는데 수학,물리 재능이 애매하면 의대가 정배

  • @0121eun
    @0121eun ปีที่แล้ว +878

    의사보다 과학자가 더 인정받는 사회를 만들어야지 ㅡㅡ

    • @MrGl2u
      @MrGl2u ปีที่แล้ว +11

      우리나라 상황에서 의사를 빼고보면 사실 그리 나쁜 건 아니지. 의사증원 반대가 만든 폐해일뿐

    • @흥카쿨러
      @흥카쿨러 ปีที่แล้ว +7

      그딴 사회는 존재 안 함.

    • @Ame-y1t
      @Ame-y1t ปีที่แล้ว +11

      의사도 과학자임

    • @jack-n2n
      @jack-n2n ปีที่แล้ว +4

      ​@@MrGl2u네다꼰 몇등급이냐? ㅋ

    • @ysoserious7403
      @ysoserious7403 ปีที่แล้ว

      ​@@흥카쿨러외국엔 존재하는데?

  • @김빱-r9u
    @김빱-r9u ปีที่แล้ว +95

    이공계 인재들이 개발한 의료 기기, 기초과학, 인프라 등등이 아니었으면 모든것이 불가능 했음을 알았으면… 이공계 가고자 하는 영재고 과학고 학생들 의대 가고싶게 조장하는것은 학생들의 탓이 아닌 사회적 분위기가 큼

  • @조라니-o2b
    @조라니-o2b ปีที่แล้ว +95

    이 와중에 과학예산 삭감이하니 안그래도 박봉인데 과학계 사람들 힘빠져서 연구하고 싶겠습니까
    저도 아들이 과학고 입학했을때 나라를 빛내는과학자가 되길 바랬지만 지금 정부 정책을보고 의대가라고 말하고싶은....ㅠㅠ 과학을 무지 사랑하는 한 사람으로써 나라의 미래가 걱정입니다ㅠㅠ

  • @user-ou2ut8kh9d
    @user-ou2ut8kh9d ปีที่แล้ว +134

    과학자 처우 개선하면 됩니다. 의사만큼 돈 벌게 해주고 하고 싶은 연구할 수 있게 지원해주면 가지 말래도 갑니다.

  • @충무공이순신-k6t
    @충무공이순신-k6t ปีที่แล้ว +123

    우리나라에 스티브잡스, 마크저커버그, 일론 머스크같은 인재가 안나오는 이유다.. 서글프다

    • @healthnlife0
      @healthnlife0 ปีที่แล้ว +1

      그 부모들의 이기적인 목적이 영향을 준다

    • @김진우-c6q
      @김진우-c6q ปีที่แล้ว +13

      대신 이재용.구광모.정의선 같은 다야몬드 수저가 나옴 ㅋㅋ

    • @shdj1hshs1shshs1
      @shdj1hshs1shshs1 ปีที่แล้ว

      우리는 한번 줄에서나가면 그걸로 회복불가라 어쩔수없음

    • @Jacksonpops
      @Jacksonpops ปีที่แล้ว +7

      그렇게 될 애들은 의대가라고 해도 안가고 스타트업 하니까 걱정마셈

    • @remc4262
      @remc4262 ปีที่แล้ว

      70~80년대 과학자들이 눈치봐가며 외국의 기술 습득하여 나라 키웠고 잘살게된게 불과 몇십년인데, 의사만 많다고 이날가가 계속 성장발전할수 있을까 생각좀 해봐야. 할 태인것같다.

  • @KimJunNyoung
    @KimJunNyoung ปีที่แล้ว +50

    불이익 준다고 안갈까??
    이공계해서 열심히 해봐야 의약대 가서 일하는 것보다 못하니.........
    애초에 이런 환경 만들고 방치한 정부와 사회가 문제이다!!

  • @sws-dl8ki
    @sws-dl8ki ปีที่แล้ว +18

    의대가는 학생이 문제가 아님....
    말그대로 과학자 돼봐... 깡통차게 생겼는데 누가가???? 미쳤다고??
    연구원, 과학자들한테 제발 전폭적인 지원 해줬으면 한다...
    정말 보면 우리나라도 마른수건으로 짜내듯이 인재양성하고 연구성과내는거 같음...
    이게 언젠가는 한계에 봉착할텐데...아니 이미 봉착했다고 본다
    자원도 없고 이제 인구도 줄어가는 나라에서 어떻게 하려고 이런 고급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기회를 날려먹는지 참 답답하다

  • @삽이Sab_E
    @삽이Sab_E ปีที่แล้ว +26

    이공계 대우를 잣같이하니 기술직이 천대받지

  • @YARURU001
    @YARURU001 ปีที่แล้ว +101

    의대도 의대 나름일꺼에요... 외과나 소아과 같은곳은 오히려 인원이 너무 부족해서 기존 선생님들 은퇴하면
    막막한곳 한두곳이 아님...

    • @노바-j2i
      @노바-j2i ปีที่แล้ว +2

      소아과 인원 부족하다는건 대학병원으로 가는 소아과 의사가 부족하다는거고 개원하는 소아과 의사는 진짜 많습니다.
      그냥 소아과 의사 여론 몰이에 놀아나신거에요. 소아과 폐과한다 그지랄 했는데, 그냥 대학병원에서 소아과 돈 안되고 사람도 없으니까 소아과 진료 안본다는거에요. 의사들이 진짜 메스컴을 잘 이용하고 쇼를 잘한다니까요. 개원하는 소아과 의사 월 3000 그냥 법니다.
      그리고 그렇게 따지면 대학병원 외과 쪽도 사람이 없는데, 그쪽은 뭐 어쩝니까? 뭐 그쪽으로 가는 의사들 진짜 망하는걸까요?? 아니죠~ 실제 거리에보면 마취통증의학과 신경외과 정형외과등등 외과 넘쳐납니다. 다들 도수치료, 신경주사, 체외충격파 등으로 떼돈 벌고 있쥬 ㅎㅎ

    • @더시드도로시
      @더시드도로시 ปีที่แล้ว

      애초에 의대간목적이
      적성, 흥미가 아니라
      명예, 돈 이라서
      피부과, 성형외과로 쏠리지

  • @최가네-r2f
    @최가네-r2f ปีที่แล้ว +30

    공대졸업하고 취준생인데 200프로 공감함... 수출안좋아지고 매출떨어지니까 삼전부터, 하이닉스까지 뽑는 인원 확줄고... 몇년전만해도 전화기학과가 유명했는데, 지금은 기계공학과(본인졸업)폭망.......... .계속 산업트렌드가 바뀜 지금은 전자전기나 컴공이 잘나가는데 그마저도 요즘취업이 쉽지않음

  • @Djsnduckdie
    @Djsnduckdie ปีที่แล้ว +2

    R&D 예산 삭감에 석박 처우가 그따군데 누가 이공계 지원해서 연구를 하겠냐..

  • @phillipchoi3845
    @phillipchoi3845 ปีที่แล้ว +111

    의대 블랙홀 시대가 되어가고 있지만 피부미용, 미용성형 의사들만 더 많아지고 정작 사회에 정말로 필요한 외과, 소아과 등의 전문의들은 너무 부족해지는 현실.

    • @today23915
      @today23915 ปีที่แล้ว +13

      소아과 외과는 3D에 노동집약적이고 벌이도 낮고 더욱이 늘어나는 고소로 징역 위험성이 나날이 늘어나는데, 누가 가려하겠나.
      외과의사들 의료과실 형벌만 줄여도 갈사람 훨씬 많다.
      수술실 cctv에 생명다루는 의사를 예비적 범죄자 취급하는데 의사가 신도 아니고
      치료하다 실패하면 감빵가는 나라에서 누가 하겠어요
      미용의사들 중에 미용하고 싶어서 하는 사람 소수입니다.

    • @노바-j2i
      @노바-j2i ปีที่แล้ว

      ​@@today23915개소리 ㅋㅋㅋㅋ 소아과 의사 개원의 평균 월 소득 세후 2000~3000

    • @매타-o7p
      @매타-o7p ปีที่แล้ว

      못말림 걍 병원많아져서 병원비까지면 그만😊

    • @m.a.b.167
      @m.a.b.167 ปีที่แล้ว +5

      ​@@노바-j2i돈도 돈이지만 진상짓하는 부모가 옛날보다 너무 많아요.. 툭하면 뭐 신고하고 고발한다 그러고.. 교사들이 괜히 자살하는게 아닙니다. 소아과라고 다를거같습니까. 물론 금전적인 측면에도 지금 당장 2천 버는게 중요한게 아니고 출산률이 이모양인데 미래는 생각 안합니까? 다른 과는 더 버는데요? 굳이? 소아과를 갈까요?

    • @hijklmnopqr
      @hijklmnopqr ปีที่แล้ว

      ​@@노바-j2i 소아과가 2 3천이라고? 제발 어딘지 알려줘라 나부터하게ㅋㅋㅋ 경기도권은 지금 800도 버거워서 다 망하고 남은 병원끼리 그나마 나눠먹어서 살만하지 올해만 소아과 폐업한게 몇백개인줄은 아냐?ㅋㅋ

  • @모라니-g9k
    @모라니-g9k ปีที่แล้ว +42

    비단 학생들만 문제가 아닌듯
    이공계 나와서도 먹고살 미래를 만들어줘야지

  • @elainejhang6905
    @elainejhang6905 ปีที่แล้ว +185

    영재고 입학할 때는 수학 과학 좋아해서 공부할 수 있었던 거죠. 그런데 막상 대입 생각할 땐 좋아하는 것만으로 과를 정할 수 있나요 꿈만으로 살 수 있냐고요. 나라가 이들에게서 꿈을 빼앗은 겁니다

    • @user-yp7uv8fs7p
      @user-yp7uv8fs7p ปีที่แล้ว +3

      그럼 자퇴하고 검고치고 의대가던가

    • @SL-ze8pc
      @SL-ze8pc ปีที่แล้ว

      ⁠​⁠​⁠​⁠@@user-yp7uv8fs7p뭐래 그래도 욕할거잖아.. 그리고 현역 영재고생인데 님 생각만큼 영재고 애들 수시로 의대 못가요; 서울과고는 등수가 절반 밑으로 떨어지면 쌤들이 수능 준비할 거냐고 물어본답니다. 실제로 영재고 졸업해서 의대 갔다는 사람들 보면 거의 다 n수생, 정시러들이고.. 애들이 머리는 워낙 좋아서 다들 재수하면 의치한은 가구요

  • @jinnypark9855
    @jinnypark9855 ปีที่แล้ว +11

    직업정 안전성이라는 말 자체가 우리 나라처럼 변화가 빠른 곳에서는 희소성이 높아지면서 의대의 가치가 더 올라가겠죠...
    지금은 사회 분위기가 달라졌지만 교사, 공무원이라는 직업을 선호했던 이유도 사회적 안전성이 높고, 주위로부터 인정도 받을 수 있다는 이유로 인기가 높았을 때가 있으니까요...
    의대중에서도 개원해서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는 피부과 성형외과, 치과, 한의대 같은 곳으로 쏠리는 건 지금의 제도나 의식안에서는 더 심화 될 것 같아요..의대가기 위해 투자했던 부모님들의 지원과 공부하는 학생의 노력 생각하면.. 고생한만큼 댓가를 받을 수 있는 곳을 선호하는 마음이 이해가 안되는 건 아니예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 꼭 필요한 가치들이 더 많기 때문에
    저런 특수한 과가 가지는 안전성과 부가가치들의 매력을 차치하고라도 다양한 가치들이 존중받는 사회가 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될 때인 것 같아요...
    입시제도나 교과과정에 대한 방향성 검토가 시급해 보입니다.. 이제 아이들도 줄어드는데 줄 세우기식 구시대적 교육으로는 점점 더 살기 어려워 질 것은 자명해 보이거든요..
    대학을 들어가는 건 쉽게, 졸업하는 건 어렵게 하는 방법도 있고...
    뭔가 엔지니어나 이공계 진학의 실질적인 어드벤티지를 위해 초등 교과부터 과학,수학,예술,언어 교육을 특화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구요...
    엔지니어하면서 예술가도 될 수 있고, 수학자 하면서 글을 쓸 수도 있고..공교육에서 생각의 틀을 깨는게 중요한 것 같아요
    우리는 위기에 강해지는 dna가 세포에 심어져 있고 여러 위기를 함께 지혜롭게 극복한 경험도 가지고 있죠.. 너무나 돈이 중요한 세상이지만 지켜져야 될 가치들에 대한 방향성만 도출되고, 공감만 되면 극복할 에너지를 만들어 낼 충분한 잠재력을 가진 민족이라 생각해요

  • @LoMarrowGar
    @LoMarrowGar ปีที่แล้ว +19

    저학생들이 한 결정은 너무나도 똑똑한결정이지.
    우리나라에서 미래가 있나? 과학계가? 정부에서는 과학계에서 멀어지라는 시그널을 보냈지 않은가. R&D예산 삭감하면서. 그런데 저 학생들이 얼마나 먼미래를 보고 과학계에 몸담기 위해서 뛰어들어야 하는가? 힘들어도 어지간하면 떵떵거리면서 먹고살기 좋은 의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버릴 수 있을까?

  • @soo8894
    @soo8894 ปีที่แล้ว +15

    의료계가 카르텔이라서 이익이 엄청나잖아. 처리안하냐 윤정부?

  • @personal3
    @personal3 ปีที่แล้ว +7

    R&D예산 깍았으면서 이공계 가라고?

  • @천대식-s8k
    @천대식-s8k ปีที่แล้ว +162

    연대를 5학기 마치고 의대에 합격한 인터뷰이인 오유진씨도 얼굴에 만족감과 자랑스러운 감정이 그대로 드러나네. 의대 쏠림 현상을 지적하는 뉴스에서 의대 쏠림 현상을 더욱 조장하는 듯.

    • @Jacksonpops
      @Jacksonpops ปีที่แล้ว +18

      ​@@user-wv7mi8hn9l공대가면 평생 후회

    • @이름없음-s1f5w
      @이름없음-s1f5w ปีที่แล้ว +5

      ㅋㅋㅋㅋ 의대 못가서 열등감 폭발함?

    • @김지훈-p3b3l
      @김지훈-p3b3l ปีที่แล้ว

      @@user-wv7mi8hn9l ㅋㅋ 후회랑 힘든거랑 구분 못하냐 그 본1만 넘겨도 충분히 숨쉴만해지는데 의대 다녀보고 경험해본거처럼 얘기하네
      현실은 그냥 의사랑 1도 관련없는 삶이면서

    • @user-pp1yz5jb4f
      @user-pp1yz5jb4f ปีที่แล้ว

      @@이름없음-s1f5w 팩트)OECD국가 중 한국의사가 연봉 1위다 ㅅ1ㅂ ㅋㅋㅋㅋ 누가보면 의료강국인줄..

    • @김지훈-p3b3l
      @김지훈-p3b3l ปีที่แล้ว +1

      @@user-pp1yz5jb4f 오고 오고.... 그래서 배아프고 열등감 느껴져떠요...? 하던 벽돌 마저 날라요~ 오구오구

  • @시에나-v7g
    @시에나-v7g ปีที่แล้ว +4

    저 국회의원은 대안을 마련하고 패널티운운하는건지? 자기자식이 영재고졸업하고 의대로 맘바꾼다고 패널티주고싶은지 묻고싶네

  • @hj-wi1te
    @hj-wi1te ปีที่แล้ว +9

    저도 명문대 이공계에 과기원에서 석사를 했지만 석박사 졸업 후에 결국은 미국이나 외국으로 나가요ㅜㅜ 한국에서는 임금이나 대우가 너무 안 좋으니까요ㅜ

  • @IdeaTimeService
    @IdeaTimeService ปีที่แล้ว +11

    의대정원 좀 열배정도로 늘려라... 그래야 정상화 되지...

    • @박지훈-c9g
      @박지훈-c9g ปีที่แล้ว

      애초에 전문의 숫자자체를 확늘려야됨.

  • @torydo7237
    @torydo7237 ปีที่แล้ว +9

    이공계열을 죽여놓은 것이 큰 거 같네요.

  • @eunyoungko3302
    @eunyoungko3302 ปีที่แล้ว +10

    100세 시대, 너무 짧은 55-60세 정년이 가장 큰 문제.. 정년을 없애던지, 그 나이 이후에도 계속해서 일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해 줘야 전문직 선호가 줄어들 듯.

  • @2689joan
    @2689joan ปีที่แล้ว +25

    구글이나 애플같은 이공계 영재들이 꿈을 펼칠 수 있는 기업들이 없으니까...

    • @일숭
      @일숭 ปีที่แล้ว

      역시 우리나라 클라스

    • @골드바-p8q
      @골드바-p8q ปีที่แล้ว

      it거대기업 널렸고, 대기업에서도 많이 데려가고, 외국계도 갈 수 있는데 그거랑 관계없이 그냥 공대부터 막막하고 자연계는 그냥 그지행임

  • @iopiopiop9946
    @iopiopiop9946 ปีที่แล้ว +1

    세금 부족하다고 R&D 예산 깎는데 있던 사람들도 도망갈 판이다 ㅋㅋㅋ

  • @dooja8781
    @dooja8781 ปีที่แล้ว +12

    생명과학, 생화학등 전공하면 취업이 힘들다던데, 의대 나오면 선택지가 많다. 의사해도 되고, 의사과학자 해도 되고, 의학기자, 교수등등... 혜택이 너무 많은 듯.. 공부는 비슷한 공부인데...

    • @한나래-p3n
      @한나래-p3n ปีที่แล้ว +4

      공부가 비슷이라....

  • @J.Y.Park81
    @J.Y.Park81 ปีที่แล้ว +10

    본질적 해결을 해야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억압하지 말고
    다만 쏠림을 해결하려면 사회에서 이공계 대우를 해줘야지 그럴려면 국가기관부터 의무적으로 도입을

    • @bbase290
      @bbase290 ปีที่แล้ว

      ㄹㅇ댓글들 답답함ㅋㅋ꿈은 언제든 바뀔수있는거고 막말로5억뱉으라해도 뱉을애들은 뱉는데 차라리 의사되면5억이상버니깐ㅋㅋ 이공계에 메리트를 느끼게해줘야지 그저 의대못가게하는방법을 구안하면 뭐 달라지나ㅋㅋ 가고싶은애들은 어떻게든가지

  • @joo-youngson4193
    @joo-youngson4193 ปีที่แล้ว +23

    개인의 자유와 행복을 위해 의대지원을 욕할순 없지만 어째 한국사회가 다양한 길을통해 부와 직업적 전문성을 가지기엔 적합하지 않은 풍토로 더욱더 변하고 있는 것 같아요 우리나라 산업전체가 위기인것 같습니다😢😢😢

  • @talim-y9z
    @talim-y9z ปีที่แล้ว +1

    과학계는 실적안나오면 지원금도 줄이는데 누가 과학계를 가겠어요

  • @michaelkim4103
    @michaelkim4103 ปีที่แล้ว +2

    과학자들 처우가 개판인데, 되겠냐?
    생각 좀 하고 법을 만들고 사회를 개혁해야지.. 멍청한 정치인들.

  • @1212kairos
    @1212kairos ปีที่แล้ว +255

    애초 과학고 취지대로 과학을
    진심 좋아하는 인재를 선발
    해야하고 의대를 갈꺼면 애시당초 과고지원을 막아야 하고 실질적인 패널티로 과고졸업생은 의대지원자체를
    법적으로 지원을 금지해야
    한다고 봄

    • @샴브레이레빗
      @샴브레이레빗 ปีที่แล้ว +64

      이상한 말씀이네요
      아이들의 꿈은 바뀔수 있고 기본전 인권을 잘못알고 계신듯합니다
      졸업후에는 충분히 선택할수 있죠
      인생을 저당잡힌것도 아니고.

    • @shdj1hshs1shshs1
      @shdj1hshs1shshs1 ปีที่แล้ว +56

      @@샴브레이레빗그럼 과학고 영재고같은 국가세금받는데 안가고 혼지 공브해서 의대가몀됨 다른사람기회뺏는거자나 이기적이라생각은못하지

    • @LikeAway770
      @LikeAway770 ปีที่แล้ว +20

      기회를 뺏는거라니 ㅋㅋ
      기회란것도 본인 스스로 만드는거 아니겠음?

    • @KOEMDoc
      @KOEMDoc ปีที่แล้ว +26

      중학교 3학년이 과학에 재능이 있다는 걸 아는 정도면 이미 자기 적성을 많이 찾은 거지. 많은 과학 분야 중 의사가 될지 다른 직업을 선택할지는 더 지나봐야 알 수 도 있다. 대학 졸업하고도 자기 적성 진로 못 찾는 사람들이 수두룩하다.

    • @샴브레이레빗
      @샴브레이레빗 ปีที่แล้ว

      @@shdj1hshs1shshs1 👀
      님 말씀 이해는되나.
      현정부도 이공계 연구지원 대폭 줄였습니다 무슨 전망이 있겠습니까 쯧.
      그리고 교육 입시가 🐕 판이거늘.
      무슨 물리 화학 필수선택도 안하는 수능으로 공대가는 나라가 이공계 양성은 🐕가 짖는소리이고.
      영재학교 학생들이 순수하게 연구에 전념할수 있는 환경도 안되고.
      고작 고등학교 교육 3년 지원으로 바라는건 많고.

  • @myname__zxc
    @myname__zxc ปีที่แล้ว +8

    걍 서울대공대 학비지원에 용돈주고 나라에서 운영하는 공학기업 설립해서 월1000 때리면 자연스레 입결 의대급으로 올라가고 사람몰릴 거 아니냐? 머리나쁘고 공부쳐안해도 갈 수 있는 공대처우를 어떻게 보완해줘야됨? ㅋㅋ

  • @GOLDMAMA73
    @GOLDMAMA73 ปีที่แล้ว +6

    최고의 자영업자임은 분명함.

  • @gt6606b
    @gt6606b ปีที่แล้ว +2

    최소한 박사는 사기업에서도 정년을 없애야한다!

  • @jhr4705
    @jhr4705 ปีที่แล้ว +17

    좋은 양질의 직업이 없기때문에 이해가 됨. 회사와 연봉을 걱정하지않아도 의대를 나오면 보장받는 수입이 있기때문에 머리좋으면 당연히 갈수밖에 없음. 막말로 지방 병원에서 연봉 3억을 제시해도 오는 의사가 없을정도였잖아요. 도대체 얼마나 많이 받길래 3억 연봉은 쳐다도 안보냐고요? 아무리 지방병원이라도요.

  • @이효건-o4o
    @이효건-o4o ปีที่แล้ว +1

    의대 대비 메리트가 아무것도 없음
    공부 기간이 오래 걸린다고 하는데 이공계 석박사 인원이 늘어서 그것도 단점이 아닌 게 됐고
    애초에 사지만 멀쩡하면 죽을 때까지 돈 벌 수 있어서 손익분기점을 논하는 거 자체가 넌센스임

  • @yhpark329
    @yhpark329 ปีที่แล้ว +22

    과학계도 높은 보수를 보장하던지 아니면 의학계도 차고 넘치는 의사들로 미래엔 부와명예가 보장이 안된다는걸 인식시켜야

    • @노바-j2i
      @노바-j2i ปีที่แล้ว

      의사가 개원하면 월 2000~3000을 그냥 버는데, 과학계에 어떻게 그런 보수를 보장해 ㅋㅋㅋㅋㅋㅋ

    • @yhpark329
      @yhpark329 ปีที่แล้ว

      @@노바-j2i 다 그런건 아닌듯.
      장사 안되서 파리 날리는 곳도 있고 개원하느라
      빚 많아서 스트레스 받는곳도 있고 개원하면 무조건 돈 버는건 아님.

  • @Kim-cn5bl
    @Kim-cn5bl ปีที่แล้ว +1

    이공계 엔지니어들 기술사들 연봉 3억쯤 받게끔 바꿔 나가야 한다

  • @jmkj3401
    @jmkj3401 ปีที่แล้ว +37

    의사 직업이 쉽지 않은데
    과학에 나라에서 지원을 많이 해줘야 하는데ㅜㅜ

  • @unknownsoldier597
    @unknownsoldier597 ปีที่แล้ว +166

    제발 의사는 돈말고 적성으로 가라 제발 ㅠㅠ 생명을 다루는데 참 간호사 돌리고 대충 수술하고 안에 수술도구 넣어서 봉합하고 어휴

    • @johndavid6338
      @johndavid6338 ปีที่แล้ว +3

      ????????????????? 그래 니말대로 생명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데는 잘 안가???????

    • @unknownsoldier597
      @unknownsoldier597 ปีที่แล้ว +19

      @@johndavid6338 뭔 말을 하고싶은거임 말을 똑바로하셈

    • @HAHAAT
      @HAHAAT ปีที่แล้ว +7

      ​@@johndavid6338🎉국어 5등급🎉

    • @ASH-gq3kc
      @ASH-gq3kc ปีที่แล้ว

      @@unknownsoldier597 마이너과에 간다는거잖아 정재영 피안성

    • @KOEMDoc
      @KOEMDoc ปีที่แล้ว +7

      의사는 30여 가지의 다양하고 특색있는 전공이 있고 그 전공들 중에는 심지어 환자는 전혀 안보는 전공들도 있다. 졸업 후 고급 공무원, 교수가 되거나 대기업, 보험회사, 제약회사 에 취업하기도 용이하고, 같은 전공이라도 개업의, 월급쟁이 나누어지고, 서울 수도권 지방 등 어디든 자기가 원하는 지역에 취업하기가 가능하다. 이 다양한 조건들 중에 몇가지만 고르면 그 안에 원하는 적성, 근로형태가 없기도 어렵다. 그래도 없다면 예술이나 연예인을 하거나 운동선수를 해야할 사람. 뚜렷한 꿈이 없고 자기 적성이 뭔 지 모르겠다 싶은 사람이 하기 제일 좋은 게 의사.

  • @ekma80
    @ekma80 ปีที่แล้ว +91

    과고출신은 의대지원자체를 불가능하도록하면된다.삼수이상만 가능토록, 단 지원받은걸 다 물어내고나서

    • @TV-yg9we
      @TV-yg9we ปีที่แล้ว +18

      삼수이상도 안되죠
      세금으로 공부했는데 의대 지원 아예 못하게 해야 합니다

    • @또로록땍때굴
      @또로록땍때굴 ปีที่แล้ว +14

      국민의 기본권이 교육권 직업선택의 자유 일반적 행동자유권인데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고 있네~
      헌법재판소 결정문이나 좀 읽어~

    • @아무거나-o9n
      @아무거나-o9n ปีที่แล้ว +9

      ​@@또로록땍때굴그럼 과고나 영재고를 가지 말던가. 애초에 과학 공학 인재 키울려고 만든 학교인데, 중간에 진로가 바꿔어서 그렇다고 쳐도 양심상 먹은거는 뱉고 가야 하는 거 아니냐

    • @user-bu8hv4my5g
      @user-bu8hv4my5g ปีที่แล้ว

      ​@@아무거나-o9n그래서 먹은거 뱉잖아 ㅋㅋ

    • @shdj1hshs1shshs1
      @shdj1hshs1shshs1 ปีที่แล้ว +2

      @@또로록땍때굴 가라고강요안했어요

  • @user-eudes-410
    @user-eudes-410 ปีที่แล้ว +6

    이공계를 더 대우해주면 되는데... 정말 과학 좋아해서 과고 준비했다가 사교육 고수들, 시험고수들에 밀려난 진짜 영재들이 수도 없이 많을텐데. 의대가고 싶으면 그냥 일반고에 가면 될 일을 권리는 누릴대로 누리면서 말이 안 되는 행동을 하고 있다. 돈이 좋으면 돈이 많이 벌릴 구조를 만드는 방향으로 가면 좋겠다. 꼭 의대를 가지 않아도 되는 구조 말이다.

  • @천대식-s8k
    @천대식-s8k ปีที่แล้ว +6

    사회가 변해 지금의 진로 선택이 나중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모르지만, 요즘에는 의대 진학에 성공한 사람들이 위너가 되고, 다른 분야로 진학한 사람들이 루저가 되는 분위기. 이것이 어떤 부작용을 갖게 하냐 하면 ... 아무리 뛰어난 수재라도, 그가 너끈히 서울의대에 합격할 수 있는 성적을 내더래도, 자기 소신대로 이공계로 진학하면 그는 '루저'로서 도매급으로 취급당할 수 있다는 점.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에 큰 장애로 작용할 듯.

  • @guchana1004
    @guchana1004 ปีที่แล้ว +2

    대기업에서 사람을 쓰다가 버리니까 더이상 그쪽으로 갈 필요가 없는거지

  • @박서정-q2c
    @박서정-q2c ปีที่แล้ว +6

    나라에서 과학계 지원 예산을 줄이고 있으니 당연한 결과지요! 과학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연구비 지원이 줄고 있어 너무 힘든 상황입니다!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의 문제입니다.

  • @SWOh-xx4me
    @SWOh-xx4me ปีที่แล้ว +1

    반도체 학과랑 의대랑 연봉차이가 몇배 차이가 나는데 그 머릴 가지고 누가 공대를 간다고...
    아무리 정부에서 대책을 내놔도 소용 없다. 연봉 차이가 현격해서.

  • @Young.L
    @Young.L ปีที่แล้ว +18

    저런 학생들 떄문에 다른 이공계 학생들이 장학금을 못받고 불이익을 받았는데
    고작 장학금 환수에 그칠 것이 아니라 5년간 다른 계열 진학 제한하는 수준으로 불이익을 주어야 합니다.

  • @errorwindows-1
    @errorwindows-1 ปีที่แล้ว +1

    의사가 최고다! 지방에서 연봉 4억 준다고 해도 배때지 불러서 안가는 집단이 바로 의새다 ㅋㅋㅋ

  • @디듀-b5k
    @디듀-b5k ปีที่แล้ว +5

    "졸업만으로도 평생이 보장되는 그 학과"
    타학과 졸업장 유효기간은 뭐...

  • @유럽스따일
    @유럽스따일 ปีที่แล้ว +1

    이공계 인재들을 박봉에 쓰고 버리는 일회용품 개차반 취급하고 이직도 못하게하고 산업스파이라는둥 하는데 누가 공대 가고싶겠냐 ㅋㅋㅋ

  • @andyjung7181
    @andyjung7181 ปีที่แล้ว +4

    현실적으로 의사는 정년이 보장되지만, 이공계열 모두 50대가 정년이니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인데, 기업이 바뀌지 않으면 이런 현상이 계속 될 것입니다. 정부가 개인기업한데 50대 퇴직자들을 어찌 막을 수 있겠는지 ;;

  • @babyp5009
    @babyp5009 ปีที่แล้ว +1

    정부에서. 말로는. 과학기술인재를. 키운다고. 하면서두. Rnd예산을. 요번에. 30프로 삭감했다는데ᆢ최상위권인재가 불안해서. 누가. 이공계가려하겠나?ᆢ당연히. 의대가지ᆢ쯧쯧. 국가의. 미래를. 위해서두 대통령이. 이공계출신이. 되야한다

  • @iejfkrksh2p
    @iejfkrksh2p ปีที่แล้ว +8

    당연한 결과. 인구분포가 제일 많은 나이가 40대 이상인데 향후 20년간 병원이 호황이지. 하지만 지금 초등학생이 의사 준비하는건 아닌거 같다. 그때되면 의사도 공부한거에 비해 돈벌이 안될수도.

  • @kysm4893
    @kysm4893 ปีที่แล้ว +1

    다들 아는거지,,, 서울대 반도체학과 나오고 박사 따도 삼성 취업하는거 어렵다는거..... 의대 가면 대기업 연봉 보다 훨씬 받는 100% 의사되니깐............. 저렇게 똑똑하니깐 S대 의대 가려는거지 ㅋㅋㅋㅋ

  • @파트라슈-o4l
    @파트라슈-o4l ปีที่แล้ว +133

    다른 학생들에게 뺏은 기회비용은 ? 3억갖고 되겠냐 ? 한 10억은 빼야지.

    • @TV-yg9we
      @TV-yg9we ปีที่แล้ว +20

      완전 동의합니다
      10배씩 회수해야 합니다

    • @dongjaelee4190
      @dongjaelee4190 ปีที่แล้ว +14

      얼핏 생각하면 그게 타당하겠으나 너무 과한 징벌적 패널티를 부과하면 많은 영재들이 처음부터 과학고를 안가버리겠지요...직업선택의 자유를 보장하는 헌법과도 충돌하는 면도 있구요...결국엔 쩐의 전쟁 아니겠어요...근본적인 해결책은 과학자들에게 충분한 대우를 해주는 것이 가장 타당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matthewlee9054
      @matthewlee9054 ปีที่แล้ว +30

      48명에게 3억이고 인당 680만원 밖에 안됩니다...

    • @exploration-m5p
      @exploration-m5p ปีที่แล้ว +25

      한명이 3억을 낸것도 아니에요 ㅋㅋㅋㅋㅋ 47명에게 3억 받은겁니다.

    • @CHD1204
      @CHD1204 ปีที่แล้ว +1

      10000배해서 집을 풍비박산내자.

  • @jeongeunlee2841
    @jeongeunlee2841 ปีที่แล้ว +1

    이런 기사 좀 쓰지 마시길... 정말 열심히 이공계인재로 성장하는 다른 아이들이, 루져가 된 느낌을 받는다. 이런 분위기는 언론이 조장한다 정말.. 더 많은 아이들은 열심히 과학자 된다고 공부하고 있는데

  • @healthnlife0
    @healthnlife0 ปีที่แล้ว +85

    영재학교에서 의대를 가는 사람들은 개인목적이 더 크므로 지원을 끊어야한다. 지원을 하지 말아야 한다. 이공 영재학교로 전환해야 나라가 발전한다.

    • @샴브레이레빗
      @샴브레이레빗 ปีที่แล้ว +12

      연구 지원 끊은게 현 정부입니다 이공계 연구지원을 대폭 줄였습니다
      현재로선 이공계는 진로가 더 심각하게 밝지않아요
      그리고 수능이 왜 물리 화학 필수 선택도 안하고 이공계 진학할수 있는 입시체계에서 이공계 발전을 소리내는게 웃겨요
      입시부터 🐕판인데 무슨 발전요

    • @scs2697
      @scs2697 ปีที่แล้ว +9

      누구는 개인목적이 아닌 공익목적으로 공대가나여? ㅋㅋ 다 각자 자기 능력과 적성 맞춰서 가는거지 이공계 지원 ㅈ같이 하면서 능력있는 애들 의대진학 막으려는 못된 심보네요. 공부 안해봤으면 이게 무슨말인지 공감도 못하겠죠 ㅋㅋ 가만히 계세요 걍

    • @이름없음-s1f5w
      @이름없음-s1f5w ปีที่แล้ว +1

      ㅋㅋㅋㅋㅋ 의대 못가서 열등감 폭발했노

    • @user-yp7uv8fs7p
      @user-yp7uv8fs7p ปีที่แล้ว

      ​@@scs2697그렇게 능력있으면 그냥 일반학교에서 의대가면 되는거지 세금쳐먹으면서 과학고 타이틀따고 의대가서 피부과나 해먹으려니까 욕먹는거임

    • @scs2697
      @scs2697 ปีที่แล้ว +3

      @@user-yp7uv8fs7p 과학고 지원할 당시에는 과학자가 꿈이었다가 공부하다보니 의사로 꿈이 바뀔수도 있음. 그런 경우 생각보다 많음. 중3때 정한 진로로 평생 살라고 하는게 오히려 폭력 아니냐? ㅋㅋ

  • @주번하사
    @주번하사 ปีที่แล้ว +1

    이와중에 과학연구가관에 예산을 오히려 더깍고있어니.ㅡ망조가 코앞이지

  • @알래스카북극곰
    @알래스카북극곰 ปีที่แล้ว +5

    의대가 정원이 정해져있는데 재수를 넘어서 N수 하는 사람들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면 그만큼 일하는 인력이 줄어들고 있다는 얘기겠네요...

  • @sjahn9187
    @sjahn9187 ปีที่แล้ว +1

    국가인재가 다양한 영역으로 진출해야 하고, 특히 공대에는 인재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의대쏠림 현상을 학생들 탓만 할수없겠지요. 이공계 처우개선이 절실합니다.

  • @chordzin
    @chordzin ปีที่แล้ว +158

    다른 사람의 기회를 뺏은 거잖아
    그냥 장학금 몰수 말고 입학 무효화 해야지
    그래야 아무나 진학 안하지
    물론 학생 없어서 운영이 안되면 폐지하든가

    • @sise-vy3xz
      @sise-vy3xz ปีที่แล้ว +26

      기회를 왜 뺏는거임 쟤네한테 밀린건데 그럼 성적이 딸린다는거고.. 뺏는게 아니라 그냥 밀린 애들이 과고 들어간 애들보다 부족했던거임

    • @quodlibet170
      @quodlibet170 ปีที่แล้ว +5

      ​@@sise-vy3xz이게 맞긴 하지

    • @이름없음-s1f5w
      @이름없음-s1f5w ปีที่แล้ว +2

      능지박살 그자체ㅋㅋㅋ

    • @균균-r1o
      @균균-r1o ปีที่แล้ว +1

      네다음 능지 밀려서 기회뺏긴 능지처참 견민ㅋㅋ

    • @MrGl2u
      @MrGl2u ปีที่แล้ว +8

      ​@@sise-vy3xz 먼저 예약들을 해버려서 더 이상 주문을 할 수 없어. 예약시간 되니 생각이 바꼈다고 안와버리네? 흔히 노쇼라고 한다
      식당 주인에게도 손혜를 끼친건 당연하고, 예약 순서에 밀려서 뒤에 예약실패한 사람들에게도 피해다. 생각은 하고 살자

  • @manggaechimchim13
    @manggaechimchim13 ปีที่แล้ว +1

    나라 망하라고 고사를 지내는 것도 아니고 imf 때도 늘리던 과학기술 예산을 3조원이나 줄이겠다면서요
    박사후들 재계약 못 해서 연구하던 거 그만두고 나가야 할 판이리는데
    국가부터 과학을 경시하는데 공부하고 연구하고 싶겠나

  • @Kim-xg9mi
    @Kim-xg9mi ปีที่แล้ว +35

    의대 진학이 문제라기보다ㅠ 간절히 원하는 과학고 입학생 자리를 빼앗은게 크죠. 이공계 인재가 될 수 있었는데..
    패널티를 줘야 의대 합니다..

    • @안녕하세요-v3b1w
      @안녕하세요-v3b1w ปีที่แล้ว +5

      진로은 계속 바뀔수있는거 아닌가요 자리를 빼앗았다라는 표현이 맞는건가....

    • @BogleVanguardZealot
      @BogleVanguardZealot ปีที่แล้ว +2

      @@안녕하세요-v3b1w 최소한 의대 목적은 아니라는 의미로 과학고 영재고를 운영하는데
      진로가 바뀔 수 있다는 거랑 뭔 상관이죠? 그따구로 책임이 없는 권리들 때문에 사회가 망가지고 있습니다.
      그저 개인에게 들어간 돈만 돌려주면 끝인 것이 아니고, 제도를 운영한 기회비용 (특히 시간) 생각해야지요.

    • @안녕하세요-v3b1w
      @안녕하세요-v3b1w ปีที่แล้ว +3

      @@BogleVanguardZealot 아 그러면 님은 고등학교때 이미 진로를 정하고 들어가서 그거에 맞는 대학교에 들어갔나요? 아니 3년 공부하다가 자신이랑 안맞아서 다른학과 간다는데 그거 가지고 뭐라고 하는거는 ㅋㅋㅋㅋ

    • @한재민-b3c
      @한재민-b3c ปีที่แล้ว +1

      남의 자리 뺏은게 문제라면 자신이 선택한 학과와 직업의 연관성이 약간이라도 떨어지는 사람은 다 문제네요? 뭐 당연히 자퇴생이나 대학 중간에 바꾸는 사람도 욕 먹어야겠고요.

    • @hoboong28
      @hoboong28 ปีที่แล้ว

      과학고가 인재 양성하는 곳인가

  • @Forty-Eighters
    @Forty-Eighters ปีที่แล้ว +1

    국가가 인재를 키워 지 밥벌이만 하는 의사가 되거나 or 과학기술에 관심 있는 친구는 외국에 다 뺏김..

  • @Zhy0428
    @Zhy0428 ปีที่แล้ว +5

    저렇게 입시경쟁하는 아이들만 있으니..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며 공부해야할 영재는 결국 자퇴하구.. 넘 안타깝네요..

  • @loveseoul7305
    @loveseoul7305 ปีที่แล้ว +1

    의대정원수를 늘려라

  • @yuri_rainbow
    @yuri_rainbow ปีที่แล้ว +4

    과학분야에 더 많은 지원과 격려가 필요하네요. 과학기술이 국가의 경쟁력이거늘.. 투자를 줄이고 대우는 안좋고… 😢

  • @또로록땍때굴
    @또로록땍때굴 ปีที่แล้ว +2

    이공계 과학연구에 예산을 15퍼센트나 줄여버리면서 인재들더러 이공계학과 전공하세요~~ 하면 퍽이나 지원하겠다.
    연구비로 연구인력 열심히 지원해도 안가는데 연구비 예산을 그냥 도려네 버리는데 이공계 가려는 학생이 바보지.

  • @jay1wa
    @jay1wa ปีที่แล้ว +24

    영끌 현상이랑 비슷해보인다. 미래를 못내다보고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 5-10 년 뒤 어떤 직업이 존엄성을 유지할지 불확실한 마당에 아이들이 기성의 관습을 아무생각없이 따르고있단 생각이…

  • @user-h10-l3i
    @user-h10-l3i ปีที่แล้ว +2

    아니 과학자 대우가 바뀌지가 않는데 당연한 현상 아니냐 현재 상황이라면 나도 저정도 머리면 과학계에 남는것보다 의대 가고 싶을듯

  • @SungJinKim-qr4cs
    @SungJinKim-qr4cs ปีที่แล้ว +3

    기득권들 때문에 불가능합니다.. 의대 쏠림현상을 완화하는 정책을 내놓는다는건 그들의 현재 이권을 침해해야한다는 것인데, 그런일이 있으면 의사들이 뭉쳐서 국민 들먹이며 의료 서비스 저하 어쩌구저쩌구하면서 결국 무산시켜버림.

  • @강경희-t5y
    @강경희-t5y ปีที่แล้ว +1

    과학자가 우대 받도록 정부는 조치를 취해주세요

  • @hja6003
    @hja6003 ปีที่แล้ว +26

    47명에 3억이면 한 명당 7백만원도 안 되는데, 이게 무슨 패널티가 되겠어요? 뉴스 제목을 잘못 뽑으셨네요. 제목만 보면 한 명당 3억인 줄. 원금 환수만으론 부족해요. 최소 몇 년간은 관련 분야 진학과 종사를 의무화해야지요. 그래야 영재고-의대 로드맵이 엎어지고, 진짜 이공계를 원하는 학생들이 지원하겠지요. 그 길을 간절하게 원하는 다른 누군가의 기회를 뺏았다는 말은 정말 맞는 말입니다. 그런데, 이공계 지원 예산을 줄이니 당연히 미래가 불안한 이공계로 진로를 정하기 쉽겠어요? 더구나 우수한 아이들이. 원래 맘 먹었던 애들까지 이탈을 막으려면 이공계 지원을 늘려야 하겠지요.

    • @음-w7x
      @음-w7x ปีที่แล้ว +1

      진짜 왜사는지 모르겠다 이런애들은
      청소년기 학생이 이공계열의 꿈을 갖고 입학한 후 진로에 대한 고민과 의사결정으로 메디컬 계열로 꿈이 바뀐거면 어떻게 할거니 진짜 과고 입시를 들어나 본 적이 있는인간인지는 모르겠다만 그냥 단순한거 하나 알려주자면 영재고입시는 나이가 상관없다 아지매요

    • @BogleVanguardZealot
      @BogleVanguardZealot ปีที่แล้ว

      @@음-w7x 그렇게 원하는 거면 제발 검정고시로 해~ 그 수준이면 검정고시 금방 할 수 있잖아.
      왜 굳이 거기서? 사회의 기회비용을 축내면서 거기에 있나? 아지매요ㅇㅇ?

    • @BogleVanguardZealot
      @BogleVanguardZealot ปีที่แล้ว

      @@음-w7x 댁 같은 사람들보면 진짜 왜 사는지 모르겠다. 인생의 시각이 겨우 개인 입시에 머물러 있음?
      나라 전체가 안 보임? 무슨 어린애도 아니고.. 20대 초반 정도까지만 그따구 생각을 해야지. 그 이후에도 이러면...
      딱 보니 아지매가 아니고 국가 위기가 뭔지 생각해 본 적이 없는 2000년 이후 출생자처럼 말하네?

  • @alphago292
    @alphago292 ปีที่แล้ว +1

    반도체학과 + 석사학위 박사학위 졸업하고 나오면 공고나와서 고졸직무전환제로 사무직하는 애들 밑에서 시키는거 해야됨
    프로세스나 고도화 그런거는 없음. 그런거 시도해서 성과낸애들은 네카라쿠베에 이직했고 실력없는 공고출신 고인물만 남음
    네카라쿠베랑 반도체기업 둘중 하나를 가라고 하면 무조건 네카라쿠베임.

  • @SSLee-rs6uf
    @SSLee-rs6uf ปีที่แล้ว +5

    70이 넘어도 대우 받으면 서 자영업 할 수 있는 직업이라서 의대,약대를 선호하는겁니다.

  • @노바-j2i
    @노바-j2i ปีที่แล้ว +1

    이건 시스템적인 문제임. 의사가 월 2000~3000씩 떼돈 벌수있는건 국민건강보험 때문임. 전국민이 십시일반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돈을 내면, 그 돈을 의사에게 주는 꼴임. 그리고 사람들이 우리나라 의료비 싸다 그러는데, 님들 월 10~20만원씩 계속 의료비 내고 있는거임. 건강한 사람은 진짜 개 씹손해. 나라가 국민들한테 뜯은 돈을 의사에게 대신 진료비를 내주는거임. 국가가 대신 진료비를 지불하니 기초수급자, 차상위 거지 사람들이 미친듯이 병원 이용함. 그 사람들이 병원을 500원에 이용해도 의사는 건강보험공단에 청구해서 진료비 10만원씩 받음. 의사와 거지들은 누이 좋고 매부좋고.
    그런데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없어져서 미국처럼된다??? 그러면 사람들이 조금만 아픈건 병원에 안가고 참을거임. 그러면 의료비가 정말 대폭 줄어들거임. 그러면 의사들 수입도 대폭 줄겠지
    지금 대한민국의 의사공화국을 없앨려면 국민건강보험 없애야함. 하지만 그렇게 안되겠지 ㅎㅎ 의사들이 결사반대할거고 의사들 재력으로 국회의원 싹매수 쌉가능
    그리고 국민건강보험 덕택에 의료비 싸지 않냐 하는놈들. 매달 건강보험료 20만원씩 내는데, 그럼 1년동안 240만원씩 의료비로 나감. 매년 240만원씩 의사한테 돈 주는거임. 자~ 우리나라 의료비 진짜 싼걸까???
    다시 생각해봐야함
    그냥 국민건강보험도 그냥 국민연금처럼 없어지는게 맞지 않을까???

  • @춍춍춍-p4k
    @춍춍춍-p4k ปีที่แล้ว +8

    정치권에서 제일 쉬운게 의사 때리기지. 사람들이 쉽게 만족하니까. 공부하고 투자해서 미래산업개발하고 인재육성하고 다양한 직업 만들고 큰틀에서 국가발전이 이뤄져야 쏠림현상이 덜하고 각자 만족하면서 다양한 직업 찾을건데 문제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노력은 안하면서 그나마 나은 직업으로 의사 찾는 현상을 강제로 억제하면 안된다

  • @Tennid
    @Tennid ปีที่แล้ว +2

    47명 합쳐서 3억2천 뱉어냈다는거 아닌가요..? 1인당 3억2천인줄..ㅎㅎ

    • @김준영-w3y
      @김준영-w3y ปีที่แล้ว

      인당 맞아요

    • @Tennid
      @Tennid ปีที่แล้ว +1

      @@김준영-w3y 인당 아니에요~ 1인당 3억2천이면 돈 없어서 의대 못가죠..

    • @김준영-w3y
      @김준영-w3y ปีที่แล้ว

      @@Tennid 엥 제가 영재고 졸업인데 대충 그정도 낸다 들었던거같은데

    • @Tennid
      @Tennid ปีที่แล้ว

      ​@@김준영-w3y 저는 현역 의사인데.. 3억2천을 내라고하면 그냥 설포카공대가는게 나을거같네요..ㅎㅎ

    • @김준영-w3y
      @김준영-w3y ปีที่แล้ว +1

      @@Tennid 제 주변에선 3억 내는 사람은 거의 없었고 보통 그냥 중간에 자퇴/일반고 전학하고 재수학원 들어가서 정시로 의대가는게 일반적이에요

  • @게임돌-b2p
    @게임돌-b2p ปีที่แล้ว +5

    입학하면 26살까지 의대지원 안 되게 하면 됨

  • @이얌-k4y
    @이얌-k4y ปีที่แล้ว

    대학원 처우좀 개선 해야지

  • @skk8549
    @skk8549 ปีที่แล้ว +3

    R&D 예산을 줄이는데 굳이 자연과학으로…?라는 생각을 생명과학도인 제가 합니다….😢

  • @한때착한
    @한때착한 ปีที่แล้ว +1

    나라에서조차 예산줄이는 마당에 학생들에게 뭐라할수있나?

  • @asradazero
    @asradazero ปีที่แล้ว +4

    공동체의 발전을 위해 과학고를 만들고, 세금으로 지원하는 것입니다.
    학생들이 진로가 변경될 수 있다지만, 이것은 단순히 세금의 사유화를 넘어,
    과학자로의 진로를 꿈꾸고, 공동체 과학발전에 이바지 할 인재 생성의 기회를 침해하는 매우 이기적인 행위입니다.
    의대 진학이 목표라면, 과학고와 같이 설립목적에 어울리지 않는 학교를 가서는 안됩니다.
    이것은 불공정행위이자, 공동체 구성원의 신뢰와 헌신을 무시하는 이기적인 행위입니다.

    • @이름없음-s1f5w
      @이름없음-s1f5w ปีที่แล้ว

      과학이 좋아서 과학고 갔는데 현실을 보고 답이 안나오니까 의대 간거겠지ㅋㅋㅋ 애초에 공동체가 이런 세상을 만들어놨는데 신뢰와 헌신 웅앵웅~

  • @Dandardan-gr9qm
    @Dandardan-gr9qm ปีที่แล้ว

    연구비 지원이 80년대 이후 발전이 없어 연구자에 대한 취급이 열악한데 누가 과학자를 해,,, 석사랑 박사과정 준비하시는 대학원생들만 봐도 제대로 된 지원이나 취급이 노예 수준인데

  • @ditto7
    @ditto7 ปีที่แล้ว +59

    영재고,과고를 지망한 다른 학생의 기회를 뺏은 건 어떻게 할 건가요?
    더 큰 패널티를 줘야 합니다.

    • @선묘조제_재경수연도
      @선묘조제_재경수연도 ปีที่แล้ว +1

      ㅋㅋ그러면 영재고 과고 지원하는 학생들이 거의 없어서 과고 폐교해야함

    • @지우개-x1q
      @지우개-x1q ปีที่แล้ว +11

      그렇게 따지면 대학 자퇴생들 모조리 큰 패널티 줘야함 ㅋㅋ

    • @Luxanna747
      @Luxanna747 ปีที่แล้ว +12

      그딴 논리면 이직하는 직장인도 다 패널티 줘야지 ㅋㅋㅋㅋㅋ

    • @이름없음-s1f5w
      @이름없음-s1f5w ปีที่แล้ว +2

      본인이 떨어진걸 왜 남탓을 하노ㅋㅋㅋㅋ 그논리대로면 대학 자퇴생이랑 이직하는 직장인들도 페널티 주지 그러냐ㅋㅋㅋㅋ지능 수준이 처참합니다

    • @음-w7x
      @음-w7x ปีที่แล้ว

      똥을 싼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 기회는 씹ㅋㅋㅋㅋㅋㅋ 과고 입시에 대한 것은 일절 모르면서 뉴스 나오니까 쪼르르 달려와서는 댓글 써대는 틀딱 상태 봐라😂

  • @eoddl0
    @eoddl0 ปีที่แล้ว +1

    과학자가 대우받는 세상을 만들어야 의대쏠림현상을 해결하지..
    누리호 성공했을때도... 성에 기여한 연구진 320여명한테 겨우 포상금42억 배정했더만

  • @robina6563
    @robina6563 ปีที่แล้ว +4

    겨우 700 환수하다니 충격적입니다

  • @3초만기다려봐
    @3초만기다려봐 ปีที่แล้ว +1

    경제만 어려우면 명퇴시키는 기업때문에 중년아닌 30-40세도 하루하루가 불안합니다.언제 짤릴지.의대평생직장에 보수도 높으니

  • @MrGl2u
    @MrGl2u ปีที่แล้ว +5

    의대를 수요에따라 증원할수 없게 제한하는 부분에서 시작된 왜곡이다. 경제 급성장에따라 의료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해왔는데, 의대는 증원되지 않았고 그게 쌓여 의료시스템문제 뿐만아니라 교육, 과학, 국가경쟁력 등 여러 폐해를 만들고있다. 미용/성형쪽은 기준을 갖춘 별개의 학과로 만들어 자유롭게 개설할수 있게하고, 의대도 상황에 맞게 증원해야만 풀릴 것이다.

    • @deokhyeonlee7809
      @deokhyeonlee7809 ปีที่แล้ว

      화성에서 오셨어요?
      합계 출산율 0.78!
      그게 뭘 의미할까요?
      우리나라는 의사 수 증원이 아니라 감소해야 할 겁니다.
      인구 감소로 인구 1,000명당 의사 수가 OECD국가 중 가장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말 못 들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