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꽃 소년 ( THE TEAR BLOSSOM BOY ) - 박노해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3 ก.พ. 2025
  • 디지털화사회에서 액체사회로 넘어가는 우리는 기술의 급류 속에 발을 디디며 공존을 모색해야 합니다. 우리가 잃지 말아야 할 본질은 무엇이며, 지켜내야 할 우리의 원형은 어디에 있을까요?
    특히, 올겨울 한국은 유난히 매서운 체감온도를 느끼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마음의 냉기도 깊어지는 지금,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지켜가야 할 가치가 무엇인지 를 찾는 여정에서 한 작가의 자전수필속 소년의 발자국을 따라가며 답을 찾았습니다.
    그 책은 박노해 작가님의 '눈물꽃 소년'입니다.
    박노해 작가님은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뜨겁고도 진실된 목소리로 기억되는 분입니다. 1984년, 그의 첫 시집 '노동의 새벽'은 노동자들의 고된 삶과 꿈을 사실적이면서도 가슴 뜨겁게 담아내어 많은 이들의 심금을 울렸습니다. 이후 그는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서, 세계 곳곳을 다니며 사회적 약자들과 고통받는 이들의 이야기를 직접 보고 듣고 기록하며, 그들의 아픔에 깊이 공감하고 연대해 왔습니다. 그는 단순히 글을 쓰는 작가가 아닌, 우리 시대의 아픔과 희망을 온몸으로 살아낸 진정한 증인이었습니다.
    그럼 소년의 발자국을 따라 답을 찾아 보겠습니다.
    In the digital age transforming into a liquid society, we find ourselves navigating the torrents of technological advances, seeking ways to coexist harmoniously. Amid this whirlwind, we must ask ourselves: what is the essence we must not lose, and where lies the archetype we must protect?
    This winter, Korea is experiencing an unusually harsh chill, a cold that seems to seep into our hearts as well. Yet, even in this frostbitten season, the journey to uncover the values we must uphold remains vital. On this path, I found answers by following the footsteps of a boy depicted in the autobiographical essays of one remarkable author.
    The book in question is 'The Tear Blossom Boy' by Park, No - hae.
    Park, No- hae is remembered as one of the most passionate and authentic voices in modern Korean history. In 1984, his debut poetry collection, 'Dawn of Labor,' resonated deeply with readers, capturing the arduous lives and dreams of workers with a raw, heartfelt realism. Since then, he has become not only a poet but also a social activist, traveling across the globe to document and empathize with the stories of the marginalized and the suffering. His life and work stand as a testament to bearing witness to the pain and hope of our era with unwavering sincerity.
    Now, let us follow the footsteps of the boy from his memoir and discover the answers we seek.

ความคิดเห็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