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 이 둥근 지붕 안에는 뭐가 있을까? | 과학쿠키 다큐 단편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3 ธ.ค. 2022
  • 과학쿠키는 여러분의 후원을 통해 성장합니다.
    과학쿠키를 후원해주시는 가장 좋은 방법, 멤버쉽 구독! ▼
    / @snceckie
    구글, 카카오로 후원하기!▶toon.at/donate/sciencecookies_
    =============================================
    #
    Shooting Info
    - SONY A7C, A6600 with SONY LENS
    - SONY FDR-X3000 Action CAM
    - IPhone12 PRO
    Edit Software Info
    - Adobe Premiere Pro CC
    - Adobe Aftereffect CC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831

  • @user-qd4zc7bt7f
    @user-qd4zc7bt7f ปีที่แล้ว +41

    감회가 새롭습니다.
    한 때 몸담았던 업무라
    쉽게 보충설명을 하시면서 이해를 높게 잘 만드셨네요
    늘 좋은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ny2wt6pw9n
    @user-ny2wt6pw9n ปีที่แล้ว +65

    원자력 발전소 현직근무자입니다. 일반인들이 잘 모르고있는 부분들을 동영상을 이용한 시청각 자료로 내용전달을 잘 해주셨네요 !! 신입사원에게도 원자력 계통에 대해 잘 설명해줄 수 있도록 영상 제작이 된 것 같습니다!! ㅎㅎ

  • @user-kv4hp8tw4u
    @user-kv4hp8tw4u ปีที่แล้ว +10

    과학쿠키님 일년동안 좋은 영상 감사했습니다
    23년도에도 쭈욱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많은 지식과 정보를 과학쿠키님 영상을 통해 배웠습니다
    감동이 있는 쿠키님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 @hyohyopp
    @hyohyopp ปีที่แล้ว +79

    대단한 영상이네요 일반인이 볼수없는 현장이라 흥미롭네요 앞으로 원자력 발전기술 계속됐으면 좋겠네요

  • @user-ru8st4oq1c
    @user-ru8st4oq1c ปีที่แล้ว +40

    역시 크리스마스 이브 황금 시간에 과학쿠키 영상보는게 힐링이죠!!! 원자력발전소 내부구조는 감탄하게되네요. 서적에서 본것은 정말 극히 일부인것 같습니다. 뭔가 쿠키님도 감탄하셔 평소보다 목소리 텐션이 높으신것 같기도 하하. 덕분에 정말 좋은 간접경험이었어요!!!

    • @polarbear6752
      @polarbear6752 ปีที่แล้ว

      얼마 받고 댓글 쓰냐 ㅋㅋ

    • @user-ru8st4oq1c
      @user-ru8st4oq1c ปีที่แล้ว +4

      미천한 사람은 남을 헐뜯으면서 자기 만족감을 느낀다.

    • @lifereversal2288
      @lifereversal2288 ปีที่แล้ว +4

      @@polarbear6752 어머니 만수무강 하시길 기원

    • @bignose-choonjat
      @bignose-choonjat ปีที่แล้ว

      @@user-ru8st4oq1c 멋있다...

    • @coverwoodshop2334
      @coverwoodshop2334 ปีที่แล้ว

      ​@@bignose-choonjat ?

  • @user-yn7nv9xy3i
    @user-yn7nv9xy3i ปีที่แล้ว +5

    재밌게 잘봤습니다 ㅎㅎ

  • @user-fk4jy6yv2j
    @user-fk4jy6yv2j ปีที่แล้ว +6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 @user-nc5dy6xg6k
    @user-nc5dy6xg6k ปีที่แล้ว +32

    조만간 원전 운영 투입을 위해 교육중인 교육생입니다. 마침 저번주에 배운 안전주입계통, 1차,2차측 계통설비 등등을 실제로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ㅎㅎ 마치 현장에 가서 공부한것처럼 생생하고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

    • @polarbear6752
      @polarbear6752 ปีที่แล้ว

      얼마 받고 댓글 쓰냐 ㅋㅋ

    • @ecureuil9410
      @ecureuil9410 ปีที่แล้ว +15

      @@polarbear6752 니는 국적이 어디고 ㅋㅋ

    • @Fliger-
      @Fliger- ปีที่แล้ว +5

      @@polarbear6752 북한일듯 윗쪽

    • @gbox283
      @gbox283 ปีที่แล้ว +1

      ojt2 하시나보네요 ㅎㅎ
      앞으로 보직 맡으시고 OH 하면서 현타도 오고 그럴텐데
      생각보다 보람있고 재밌어요 특히 알오원은!!
      화이팅하셔요 후배님

    • @user-hj8lp1wf6p
      @user-hj8lp1wf6p ปีที่แล้ว

      @@gbox283 현장에 알오원 알오원 운전원 페이지폰 4번 봐주세요!

  • @ponybottle7829
    @ponybottle7829 ปีที่แล้ว

    정말 귀한영상이네요 너무 유익합니다 감사합니다

  • @tv-ju7kp
    @tv-ju7kp ปีที่แล้ว +1

    설명이 쏙쏙 들어오네요.

  • @obeomkwon5192
    @obeomkwon5192 ปีที่แล้ว +11

    이런 현장 리포트 좋습니다 일반인이 언제 반응로 뚜껑을 보겠어요

  • @user-ui7hp4gx9w
    @user-ui7hp4gx9w ปีที่แล้ว

    오늘도 유용한 영상 재작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choidk92
    @choidk92 ปีที่แล้ว +2

    대한민국 너무 멋집니다. 수고해주시는 관계자 분들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 @IloveKEIA
    @IloveKEIA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익한 영상이네요 원자력발전소 안의 모습과 직접 설명을 더해주시니 이해하기 좋네요ㅎ

  • @user-bl4rs5tf8b
    @user-bl4rs5tf8b ปีที่แล้ว

    원전 내부에 상세한 설명까지 보는건 처음인거 같아요.. 정말 신기하네요!!

  • @Chicken_Fried_Chicken
    @Chicken_Fried_Chicken ปีที่แล้ว +10

    원자력발전소 내부를 보다니.. 진짜 감탄이네요

  • @hwangsoon
    @hwangsoon ปีที่แล้ว

    와~
    소중한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 @Kim-sl3wi
    @Kim-sl3wi ปีที่แล้ว +1

    류 부장님 목소리가 너무 좋으십니다 👍 👍 👍

  • @user-kv4hp8tw4u
    @user-kv4hp8tw4u ปีที่แล้ว +3

    과학쿠키님 메리크리스마스~~
    일단. 좋아요 누르고
    집에가서 자시볼께요 ㅎ
    좋은 영상 감사요

  • @minjaeson4041
    @minjaeson404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영상 정말 감사드립니다👍

  • @qwqwqwer6213
    @qwqwqwer6213 ปีที่แล้ว +26

    원자력공학과 학부생입니다. 학부에서 배우는 것보다 이렇게 영상으로 직접보는게 확실히 더 도움이 되긴하네요..

    • @PDH_0325
      @PDH_0325 ปีที่แล้ว +1

      ㄹㅇ 교수들 설명 듣는거보다 이런 영상 보는게 훨씬 도움 됨ㅋㅋㅋㅋㅋㅋ

    • @Lokalokalokak
      @Lokalokalokak ปีที่แล้ว

      킨스 가셔서 한수원 좀 많이 패주세용 오홍홍

    • @count_ing_star
      @count_ing_star ปีที่แล้ว +4

      교수들이 문재인 욕 오지게 하겠네

  • @ff0c0c47
    @ff0c0c47 ปีที่แล้ว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이게 유튜브의 순기능 아닐까요👍

  • @chnops
    @chnops ปีที่แล้ว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 @tveng87
    @tveng87 ปีที่แล้ว +1

    좋은 세상이다 방에서 이런 고퀄영상을 볼 수 있다니!!

  • @leddeee
    @leddeee ปีที่แล้ว

    너무너무 잘봤습니다

  • @hsu0331
    @hsu0331 ปีที่แล้ว

    귀한 영상 감사합니다

  • @HJS8364
    @HJS8364 ปีที่แล้ว

    처음으로 원자력 발전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을 봤는데 정말 흥미롭네요..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 @kwangcheolkang207
    @kwangcheolkang207 ปีที่แล้ว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yq2db1xp3x
    @user-yq2db1xp3x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턴 하면서도 발전소 내부 들어가기에는 쉽지 않았는데... 이렇게 유익한 영상이 있었네요. 신한울 화이팅입니다!!

  • @흠냐
    @흠냐 ปีที่แล้ว +1

    부산에 살다보니 당연히 원전에 대한 궁금증이 있었는데, 이 영상보고 나서 조금 해소가 되었네요!!!!
    그리고 괜히 원전에서 근무하시는 분들이 목숨을 담보로 근무하시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 @onekiss4662
    @onekiss4662 ปีที่แล้ว

    와 매일 같이 지나다니는곳들인데 과학쿠키님 영상으로 보니 괜히 더 신기하네요

  • @user-em3xc5mt2z
    @user-em3xc5mt2z ปีที่แล้ว +11

    출입 키카드 받는거부터 촬영허가도 빡셀텐데 고생하셨네요 ㄷㄷ

    • @polarbear6752
      @polarbear6752 ปีที่แล้ว

      얼마 받고 댓글 쓰냐 ㅋㅋ

    • @sudi0740
      @sudi0740 ปีที่แล้ว +8

      @@polarbear6752 그냥 과학채널인데 얼마받냐고 물어보는 우동사리 수준ㅋㅋ

  • @user-eb8py4pf1u
    @user-eb8py4pf1u ปีที่แล้ว +4

    잘봤습니다..이곳에서 근무하시는 분들..정말 존경스럽습니다...안전한 원자력이 될 수 있도록 고생하시는 분들에게 존경심이 생깁니다.

  • @user-no8be2qm8q
    @user-no8be2qm8q ปีที่แล้ว +6

    와..생각보다 더작네요... 효율이 어마어마하군요

  • @hanihaya6372
    @hanihaya6372 ปีที่แล้ว

    이것조차도 점점 안전해지는..

  • @bluestripe2
    @bluestripe2 ปีที่แล้ว +8

    한울 원자력 발전소에서 일한 적 있습니다.
    저기 내부에 들어가면 콘크리트에 아이보리색 페인트로 맨들맨들한 벽이 미로처럼 이어져 있고 벽이랑 천장 따라서 무수히 많은 관이랑 배기관들이 지나갑니다. 그리고 지나가면서 중간중간 이름도 모를 큰 기계들이 늘어서 있는 그런 느낌입니다 ㅋㅋ
    보통 주황색 할로겐 등으로 조명을 밝히는게 많구요, 들어갈 때 방호복과 장갑, 양말 등을 착용하고 들어갔다가, 나올때는 해당 방호구들을 모두 벗고 전신계측을 하고 나온답니당.

    • @jaeyoungjang8841
      @jaeyoungjang8841 ปีที่แล้ว

      홀바디 하다가 삐빅소리나면 귀찮아지는...ㅋㅋㅋ

    • @user-mw5rw9dx3f
      @user-mw5rw9dx3f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aeyoungjang8841 특이판독자로 낙찰되면 킨s ㄱㄱ

  • @user-pr2vo7mm3t
    @user-pr2vo7mm3t ปีที่แล้ว +1

    나도 한울 원자력 안이 궁금했는데 이 유투버 덕분에 소원 성취했내여 감사합니다.
    구독 박고 갈게야

  • @user-og1ij3wl1p
    @user-og1ij3wl1p ปีที่แล้ว +4

    예비발전기가 원전1기당 2.5개란것이 인상적이네요.
    그래도 사고는 일어날수있다는거.
    원전은 안전이 최우선...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 @user-px9kq8vb8f
    @user-px9kq8vb8f ปีที่แล้ว +1

    멋집니다...공학기술의 집합체인 곳에서 일하시는 분들은 자부심이 대단하실것 같습니다.

  • @Ithygukdr
    @Ithygukdr ปีที่แล้ว +1

    저 격납건물 안에 한번 들어가보는게 소원인데 잘보고 갑니다

  • @haechulshin3438
    @haechulshin3438 ปีที่แล้ว +4

    직원도 보기 힘든 격납건물 내부를 볼수 있다니 정말 좋은 영상인거 같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handleimoya
    @handleimoya ปีที่แล้ว +1

    이런 거 재밌음

  • @twilight7452
    @twilight7452 ปีที่แล้ว +1

    원자력공학과 학생입니다. 수업시간과 실습때 연구형원전쪽에서는 못봤던 발전소내 저수조등 다양한걸 알기 쉽게 보고가네용

  • @kalsdupk1484
    @kalsdupk1484 ปีที่แล้ว

    최근 한 번 넣고 내년 12월이라...효율은 굉장히 좋네요

  • @kimeme
    @kimeme ปีที่แล้ว +3

    과학쿠키 폼 미쳤다

  • @navierstoke2285
    @navierstoke2285 ปีที่แล้ว +1

    석탄 화력, 복합 화력 발전소에서만 근무 하고 있어 원자력 발전소에 대해 의문점이 많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user-uq4ku2qs5g
    @user-uq4ku2qs5g ปีที่แล้ว +5

    1:32에 기후변화를 "지양"이 옳은 표현 같습니다.

    • @snceckie
      @snceckie  ปีที่แล้ว +1

      앗 그러네요...자동자막으로 처리하다보니 이런 실수를 ㅠㅠ..

    • @user-uq4ku2qs5g
      @user-uq4ku2qs5g ปีที่แล้ว +3

      @@snceckie 실수 하실 수도 있죠~ 항상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 @user-kv4hp8tw4u
      @user-kv4hp8tw4u ปีที่แล้ว

      괜찮습니다 ㅎ
      늘 최고입니다

  • @Rano0oo
    @Rano0oo ปีที่แล้ว

    언젠간 기술발전으로 특정 에너지를 타 에너지로 바로 바꿀수 있는 날이 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직 우리가 파악하지 못한 현상들이 있겠죠... 과학은 무궁무진!!

  • @mgseooseo5190
    @mgseooseo5190 ปีที่แล้ว

    20대에...원자력발전소 시운전을 담당했었는데...내부를 다시보니 새롭네요 눈감고도 다닐수있을정도였는데
    그때 같이 일했던 동료들도 생각나고...영상 잘 봤습니다

  • @Maker741
    @Maker741 ปีที่แล้ว

    이학, 공학도로써 대한민국 기술력의 발전을 눈 앞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이 부럽습니다

  • @Richard-rz2qs
    @Richard-rz2qs ปีที่แล้ว

    오~ 이렇게 생긴거였군요.
    덕분에 좋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 @horizonto_6376
    @horizonto_6376 ปีที่แล้ว

    15:30 필연적으로 만들어지는 수소가스라면 수소발전산업(수소충전소 등)과 연계 할 순 없는것일까요? 안된다면 생산되는 수소의 형태가 수소충전소 등에서 사용되는 수소와 많이 달라서일까요 아니면 압축시키는데 드는 비용이 이미 시장가치를 넘어서는것이어서 일까요?

  • @12il12
    @12il12 ปีที่แล้ว +7

    여기 화력, 복합보다 보안등급 빡센데 ㄷㄷ

  • @jaehoon8354
    @jaehoon8354 ปีที่แล้ว

    진짜 현대과학의 집결체다

  • @jamescho4105
    @jamescho4105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과학쿠키님 혹시 15:25 경에 사용하시는 카메라가 나오던데 혹시 어떤 모델 / 렌즈를 사용하시나요??

    • @snceckie
      @snceckie  ปีที่แล้ว

      a7m4 + 탐론 35-150 렌즈 쓰고 있어요!

  • @KOR_Daegu
    @KOR_Daegu ปีที่แล้ว

    폐연료봉 재활용하는방법이랑 만약에 적으로 인한 폭격 또는 공격예방계획도 있으면 좋을듯

  • @user-hr2qi9ql4s
    @user-hr2qi9ql4s ปีที่แล้ว +1

    대단하다...

  • @sinhwa1030
    @sinhwa1030 ปีที่แล้ว

    쿠키님 부러워요 ㅎㅎ 15:36 수소가 환원되서 물로 --> 수소가 산화되서 물로

  • @JUNYOUNGMUN-mz1bq
    @JUNYOUNGMUN-mz1bq ปีที่แล้ว

    잘 봤습니다! 자막중에 오타가 하나 있어 말씀드립니다. 1:36에 기후변화를 지향한다고 나와있는데 지양이 맞는 것 같습니다!

  • @oxzs6698
    @oxzs6698 ปีที่แล้ว +1

    토륨은 다시 재사용 못하나요? 우라늄 -> 토륨으로 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 @user-ls8qr9gz6f
    @user-ls8qr9gz6f ปีที่แล้ว +1

    스케일과 구성이 공영방송 수준 이네요

  • @q35871542
    @q35871542 ปีที่แล้ว

    과학쿠키 이 분의 빽은 어디에서 온걸까!!! 난 외장공사할때 들어갔는데.내부를...부럽

  • @kyusangtux
    @kyusangtux ปีที่แล้ว

    귀하다...

  • @dsj3790
    @dsj3790 ปีที่แล้ว

    와...원전 내부는 처음보네요 크...

  • @user-sy7ty1sg5g
    @user-sy7ty1sg5g ปีที่แล้ว

    문뜩든 생각인데 원전에 패인트칠하면 화재에 취약하지 않나요? 그래서 회색시멘트 상태로 나둔거같은데

  • @margo2jp
    @margo2jp ปีที่แล้ว

    깔끔

  • @TheMan-gn2sl
    @TheMan-gn2sl ปีที่แล้ว

    부장님 수고 많으셨습니다

  • @unborndreams1615
    @unborndreams1615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웹에서 검색하여 발전소의 구조를 살펴보면 냉각수로 사용되는 해수라인과 원자로 내부에서 증기로 변하여 터빈을 돌리고 다시 냉각되어 순환되는 라인이 독립적으로 존재하여 해양으로 배출되는 오염수는 없는것으로 표현됩니다. 그런데 최근 뉴스를 보니까 우리원전에서 한해 해양으로 배출되는 삼중수소의 량이 상당하던데 왜 배출이 필요한걸까요? 원자로 내부에서 순환되는 오염수들이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한걸까요? 너무 궁금합니다.

  • @luansen0
    @luansen0 ปีที่แล้ว +5

    핵폐기물을 사용가능한 소재로 만드는 기술이 나오면 얼마나 좋을까요?
    오늘 영상에서 핵연료가 손상될 수 있다는 것은 처음 알았습니다
    정말 어려운 분야라고 생각하고 그곳에서 종사하시는 모든 분들이 대단하십니다
    내일이면 크리스마스인데 모두들 잘 보내시길 바랍니다^^

    • @hyun-87
      @hyun-87 ปีที่แล้ว +8

      기술은 있습니다...
      다만, 그 과정이 랙무기를 만드는 과정과 겹쳐서 문제가 생기고 있는거죠...

    • @luansen0
      @luansen0 ปีที่แล้ว

      @@hyun-87 그렇습니까?
      음..
      하필..
      좀 답답한 상황인 거군요?

    •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ปีที่แล้ว

      정반대로 생각하면 성가신건 핵보유국들이지요 한국에 사용후 핵폐기물이 많다는건 핵무기를 만들 자원과 기술이 많다는 의미가 되니까요

    • @murbong
      @murbong ปีที่แล้ว

      @@luansen0 핵연료 재처리 = 플루토늄 코어 제조여서 핵무기 못만들게하는거,,,

    • @hawksuelee
      @hawksuelee ปีที่แล้ว

      미국과 공동으로 사용후 연료 처리에 대한 연구가 오랫동안 진행되었고 지금은
      사용 후 연료 재처리 과정에서
      플로토늄을 생산하지 않는 공법도 연구되었습니다. 재처리한 연료는 소형원자로의 원료로 최종 사용되고
      방사능 폐기물을 기존에 비해 극히 적은 양을 배출이 되는 연구가 계속 되고 있습니다.

  • @user-nq2uc6jo1b
    @user-nq2uc6jo1b ปีที่แล้ว

    재밌다…

  • @Jun-sq2pv
    @Jun-sq2pv ปีที่แล้ว

    원전에서 일하고 싶은 학생인데 정말 부럽네요

  • @user-fs6ct4ei4t
    @user-fs6ct4ei4t ปีที่แล้ว +2

    그 안으로 일하러 다니는 사람입니다 ㅋㅋㅋ 마침 제가 근무중인 신한울 사진이라니 반갑네요!! 왔다가셨다니 ㅠㅠㅠㅠㅠ

  • @bsyoo6171
    @bsyoo6171 ปีที่แล้ว

    궁금했던건데 해결됬네요

  • @user-dt3bx7uq8t
    @user-dt3bx7uq8t ปีที่แล้ว

    원자력발전소와 핵융합발전소는 1차부분만 다르고 발생한 증기로 터빈을 돌려 발전하는 것은 같은 건가요?

    • @snceckie
      @snceckie  ปีที่แล้ว

      맞습니다 :)

  • @user-uj8vo3ok6t
    @user-uj8vo3ok6t ปีที่แล้ว +3

    0:02
    원자폭탄이요.

  • @ma_melten
    @ma_melten ปีที่แล้ว

    국내 일부 발전소의 피동형수소촉매재결합기에서 성능 결함(화재발생) 의혹이 있는 상태인데, 한울 1, 2호기의 피동형수소촉매재결합기는 괜찮은 상태인가요...?

    •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ปีที่แล้ว

      생각보다 성능이 부족하지않나? 라는 의견이 있던것뿐입니다 나중에 다는게 안다는것보다 나은걸로 결론 났고요

  • @tr.2279
    @tr.2279 ปีที่แล้ว

    비상발전 디젤 발전기는 몇 시간 비상 구동 될수있는지 궁금 합니다. 과학쿠키님 알수 있을 까요?

    • @mgseooseo5190
      @mgseooseo5190 ปีที่แล้ว

      오래전이라 시간은 기억이 잘 안나지만 길지는 않습니다.
      발전기가 가동된다는 것은 발전소 자체가 고장 등으로 정지된 상태에서 옆에있는 다른 호기의 원전도 정지되고 또 비상시 타지역에서 지역에서 공급받는 전원까지 차단되어야만 자동으로 가동되고 발전기 가동은 원자로를 안전하게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전력을 생산하는 목적입니다. 시간이 정확히 기억이 안나서 말씀 못드리겠네요
      원자로가 안전하게 정지되어 핵분열이 정지되면 발전기는 목적을 다한겁니다.

    • @ho2hoe331
      @ho2hoe33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일주일치 디젤 들어있고 디젤 계속 넣어주면 무한으로갑니다

  • @user-sd7su8qn3f
    @user-sd7su8qn3f ปีที่แล้ว +1

    1차 냉각재가 뭘까요...?
    몇도까지 올라갈까요..?

    • @ziK-sd7yx
      @ziK-sd7yx ปีที่แล้ว

      1차 냉각재는 노심과 직접 접촉하는거고 노심에서 발생한 열을 2차 냉각재가 있는 증기발생기로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해요
      최대 평균 325도씨까지 올라가요

  • @user-eb6uc3mo7v
    @user-eb6uc3mo7v ปีที่แล้ว

    질문)) 왜 터빈을 돌린 후에 식어버린 증기를 바로 다시 원자로로 보내지 않고, 애써 가열한 열을 바닷물에 다 버리고 차갑게 해서 다시 원자로로 보내는 건가요??? 예를 들면 20도의 물을 원자로로 가열하는 것보다 90도의 물을 원자로로 보내면 더 많은 증기를 만들어내고 효율적으로 터빈을 돌릴 수 있을텐데 말이죠

    • @user-yq1de6ec9w
      @user-yq1de6ec9w ปีที่แล้ว

      만약 90도의 물을 원자로로 그대로 보내버린다면 내부의 연료봉을 제대로 식혀줄 수 없을 겁니다. 더 높은 효율보다 안정성을 추구하는 것이겠죠.

    • @user-eb6uc3mo7v
      @user-eb6uc3mo7v ปีที่แล้ว

      @@user-yq1de6ec9w 고온의 물이 더 적게 연료봉을 식힌다면 더 강하고 빠르게 순환을 시키면 될 거 같은데 역시 안정성을 위해서 냉각하여 재순환시키는 방법이 선택됐나보군요.

    • @jhcheon1028
      @jhcheon1028 ปีที่แล้ว

      바닷물로 차갑게 냉각을 시켜 복수기(증기->물이 되는곳)를 진공으로 만들어 터빈 효율을 높이기도 하구요
      복수기가 증기를 응축수로 상태변환을 하면서 2차계통의 전체 압력을 낮추는 역활을 하게됩니다. 계통의 압력이 높아지면 전체 계통의 구도물의 강도도 높아져야 하지요

    • @user-vz8gu8ge7q
      @user-vz8gu8ge7q ปีที่แล้ว

      원자로와 터빈은 구조적으로 분리가 되어있습니다. 증기는 터빈을 돌리기 위해 생산될 뿐이죠. 터빈을 돌리기 위해선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이때 복수기에선 터빈을 구동 후 남은 증기와 해수가 열교환을 하게 되는데 아시다시피 증기의 부피는 물의 부피의 수천배에 달할 정도로 부피의 차이가 많이 납니다. 증기를 해수로 응축시키게 되면 복수기 안을 가득 메우던 증기가 물이 되며 부피가 순식간에 줄어들고 줄어든 만큼 빈공간이 생기며 흔히 말하는 진공 상태가 됩니다. 이 진공은 다시 터빈에서 나온 증기를 빨아들이는 힘을 만들게되고 이로 인해 터빈을 움직이는 에너지가 더 커지는 효과가 나타납니다. 자세한 건 랭킨 사이클을 보면 더 공부하실 수 있으십니다

    • @user-eb6uc3mo7v
      @user-eb6uc3mo7v ปีที่แล้ว

      @@user-vz8gu8ge7q 오 터빈을 더 강력하게 돌리는 힘을 만들기 위해 바닷물 냉각을 하는 것도 있군요.

  • @mean328
    @mean328 ปีที่แล้ว +1

    벤치보드 타입이 뭔가요 아시는 분 있으면 답변 부탁 드려요..

  • @ohbim23
    @ohbim23 ปีที่แล้ว

    자주 들어가는데 첨엔 진짜 무서웠음 ㅋㅋ

  • @kinbro9460
    @kinbro9460 ปีที่แล้ว

    미네랄 200하고 가스 200은 언제 보여주실껀가요?

  • @user-hn1ex8in8k
    @user-hn1ex8in8k ปีที่แล้ว +1

    1:31 지향하는 --> 지양하는

  • @user-km4uw6jp4t
    @user-km4uw6jp4t ปีที่แล้ว +16

    언제나 그렇듯 소중한 영상 잘 봤습니다.
    다짜고짜 질문드리는 식이라 실례입니다만 효율성은 좋은데 안전성과 폐기물관리가 문제라는 지적이 있는데 해결책을 다음편으로 이어지면 좋겠다 바라봅니다^^

    • @user-uu5sc1xs5j
      @user-uu5sc1xs5j ปีที่แล้ว +6

      해결책이 아니라 현실을 지적하는 영상이 나와야겠죠

    • @cubing_song
      @cubing_song ปีที่แล้ว +2

      공감합니다.

    • @user-pt5gx6jo6q
      @user-pt5gx6jo6q ปีที่แล้ว +1

      핵폐기물에 대한 해결책이라는건 안타깝게도 아직 없어서요..

    •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ปีที่แล้ว +2

      안전성은 신재생만큼 안전하다는 사실이 통계적으로 증명되었고 폐기물관리는 영구처분장 지으면됩니다

    •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ปีที่แล้ว +1

      @@user-pt5gx6jo6q 우리 인류가 멸종할때까지 인류에게 피해가 오지않는다면 그게 해결이죠

  • @APR1400
    @APR1400 ปีที่แล้ว

    대한민국은 정말 대단한 나라야.

  • @iromotnemem
    @iromotnemem ปีที่แล้ว +1

    터빈을 뭘로 돌리느냐가 관건이네요.

  • @user-ub2sk4kf5m
    @user-ub2sk4kf5m ปีที่แล้ว

    헉 쿠키님 언제 여기 오신 거에요. 만나뵙고 싶었는데!

  • @leedooyoung1
    @leedooyoung1 ปีที่แล้ว +4

    원자력은 진짜 사용후 생기는 방사능 폐기물만 아니였음 최고의 에너지 였을텐데..
    사용후 생기는 방사성 폐기물이 2만년 이상 지나야 겨우 사라질 정도로 엄청난 치명타를 주는
    폐기물이라 이걸 처리하는게 가장 문제인듯.. 이걸 계속 쌓아둘수도 없는 노릇이고..

    •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ปีที่แล้ว +2

      방사성폐기물 있어도 최고의 에너지임 계속 쌓아두면 왜 안됨? 지하 깊숙한곳에 쌓아두기만해도 가능성없다시피해지는데

    • @dongincheonrapid
      @dongincheonrapid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ul4kb4yd6i공간이 한정되있느니..

    • @user-wq3zh7dy7p
      @user-wq3zh7dy7p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ul4kb4yd6i 사용후 핵연료가 지금 원전내 수조에 보관중인데 문제는 이제 얼마 않남음
      이걸 처리하려면 핵폐기물을 저장할 방폐장을 만들어야 하는데 아직 삽도 않떴음

    •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wq3zh7dy7p 그럼 임시저장소를 지으면 시급한 불은 끌수있는거고 방폐장은 만들어야하는거지 신규원전 짓지말자고 우길일이 아니라

  • @homes8454
    @homes8454 ปีที่แล้ว +1

    현 발전사에 터빈 주기기 공급하는 회사에서 일하고있는 사람입니다 좋은 교육영상이네요ㅎㅎ

  • @김투잰
    @김투잰 ปีที่แล้ว

    공중파 다큐멘터리급 영상 ㄷㄷ

  • @kaesory
    @kaesory ปีที่แล้ว

    ㅎㅎㅎ... 유사시... 냉각수... 공급이 원활치 않을때 대비.... 자연배수형식으로 물이 유입되게 했다는데...
    실제론 보지 못해서... 첨에 신형 원자로 나왔을 때 참 열심히 공부했었는데... uae 수출직전에요 ^^

    • @ziK-sd7yx
      @ziK-sd7yx ปีที่แล้ว

      SG에서 RV로 가는 유로가 중력에 의해서 가는걸로 알고 있어요

  • @hjp7250
    @hjp7250 ปีที่แล้ว +1

    👍

  • @mint-chocokorone
    @mint-chocokorone ปีที่แล้ว +1

    물끓이기 참힘들다

  • @swans27
    @swans27 ปีที่แล้ว +2

    해수로 냉각하는 설비가 어마어마하게 거대하네요.
    버려지는 열을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방법은 없는 걸까요?
    지역난방 같은 형태로 주민에게 제공되면 좋겠네요.

    •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ปีที่แล้ว

      두가지 이유로 압니다 안전상의 이유와 경제성의 이유요

    • @odyyx9e6osydyodyo75
      @odyyx9e6osydyodyo75 ปีที่แล้ว +1

      지역난방 할수만 있으면 정말 좋죠... 솔직히 소각장 폐열보다 훨씬 효율 좋지 않습니까. 원자력발전소 들어갔나 나온 냉각수라는데서 오는 지역민들의 심리적인 거부감이 너무 큰게 문제죠... 당장 고리발전소 주변에서 하는 해수담수화플렌트가 돌지 못하는 이유가 고리발전소에서 나오는 냉각수가 섞인다는 말 때문인것도 큰데, 원전에서 나온 냉각수가 우리집 바닥으로 들어오면...

    • @user-mm9tf5sb2w
      @user-mm9tf5sb2w ปีที่แล้ว +3

      월성원전의 경우 온수를 이용하여 양식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jaydenkim2294
    @jaydenkim2294 ปีที่แล้ว

    원자력의 폐혜는 없나요?

  • @Air-choi
    @Air-choi ปีที่แล้ว

    우와~~~ 결국 물끓이는 방법 ㅋㅋㅋㅋㅋ 어떻게하면 물을 효율적으로 끓일수있을지..

  • @asdfmpml
    @asdfmpml ปีที่แล้ว

    빌 게이츠가 소형원자력에 투자하고 있던데 미중 갈등으로 인해 요즘은 소식이 뜸하네요

  • @211st4
    @211st4 ปีที่แล้ว

    고리지나갈때 궁금했는데 ㅎ 터빈이었군

  • @user-zo6cw4fc6e
    @user-zo6cw4fc6e ปีที่แล้ว

    원자력발전소를 배경으로한 판도라영화는 진짜 일어날수 있는 일인지 그것도 궁금해요 가능할까요?

    • @user-hj8lp1wf6p
      @user-hj8lp1wf6p ปีที่แล้ว +2

      1. 원자력 발전소 정비는 한전 자회사인 한전KPS가 주로 하는데 10년차 과장급이 파견비까지 합하면 큰거 1장 정도 나옵니다.
      영화서처럼 술퍼먹다가 출근해서 일하는 모습은 악의적으로 과장되었다고 볼 수 있겠네요. 발전소 안의 어느 회사도 그런 문화를 가진 곳은 없으니까요. 아침에 회사 내에서 자체적으로 음주 검사를 하기도 하고 실제로 가보시면 직원들 굉장히 차분하고 여유롭고 깔끔한 느낌입니다. 아무래도 공기업이다 보니...ㅋㅋㅋ 다른 작업 현장처럼 날카롭고 신경질 적인 면이 없죠. 원청인 한수원 직원들은 더하구요. 그렇다고 일을 대충하는 것은 아닙니다. 워낙 까다로운 절차 때문에 일 진행이 더뎌질 정도로 안전하게 일하거든요.
      그러니까 영화 내에서 보여지는 체계적이지 못하고 어중이 떠중이 모아놓은 것 같은 현장 분위기는 모두 허구란 말씀을 드리고 싶네요.
      2. 그리고 가장 중요한 사고의 원인인 지진.
      원자력은 지진에 강합니다. 다만 지진으로 인해 쓰나미가 발전소를 덮치고 정전이 되면 문제가 달라지는데
      원전 운영시 발생하는 고열은 냉각수로 식힙니다. 관을 따라 도는 냉각수가 고열로 인해 증발해 팽창하면 터지게 되는데
      이를 막기 위해 냉각수에 강한 압력을 가합니다. 압력이 강해지면 냉각수의 끓는 점이 높아져 핵분열로 인한 고온에도 버틸 수 있게 됩니다.
      '그 압력을 가하는 것에 전력이 소모'가 되는데 쓰나미로 인해 정전이 되면 압력을 가해줄 수 없게 되고 냉각수가 터져나오게 됩니다. 그럼 핵분열로 인한 열을 식혀줄 수가 없게 되고 고열로 인해 녹아내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 후에는 터질 수 있는거죠..
      그래서 비상시 압력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도록 디젤 발전기를 발전소마다 가지고 있습니다. 비상시 디젤 발전기로 전기를 만들어 냉각수에 압력을 유지 시켜 주기 위함이죠. 그 밖에도 이동식 발전차량 등을 고지대에 배치하여 디젤발전소 마저 사용하지 못할 때를 대비해 운영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쓰나미가 와서 전력 공급이 멈춘다면 디젤발전기를 사용하면 되고 그마저도 안되면 이동식 발전 차량을 이용하면 됩니다.
      영화상의 시나리오가 현실이 되려면
      1. 강력한 쓰나미를 동반한 지진이 한반도를 덮쳐야 한다
      2. 디젤발전기를 사용할 수 없어야 한다
      3. 이동식 발전차량을 사용할 수 없어야 한다
      이 세 가지 조건이 만족되면 판도라가 열리겠네요.

    • @adelfofo5894
      @adelfofo5894 ปีที่แล้ว

      @@user-hj8lp1wf6p 그 판도라 예시가 후쿠시마같은…ㄷㄷㄷ

    • @dminnn
      @dminnn ปีที่แล้ว

      @@adelfofo5894 일본이라는 좋은 방파제가 있죠

    • @23_1
      @23_1 ปีที่แล้ว +1

      ​@@adelfofo5894 거기는 비상발전기도, 이동식 발전차량도 없던 형태입니다. 안전수칙을 어기고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곳에 지은거죠

  • @user-bv3wv3tz4p
    @user-bv3wv3tz4p ปีที่แล้ว +1

    PAR에 대한 신뢰도 문제가 뉴스에서 대동된적이 있는데 한번 다뤄주실수 있나요?

    •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ปีที่แล้ว +2

      PAR의 신뢰도 문제는 안전상의 이익이 위험성보다 크다로 정리됩니다.
      불꽃이 튈만한 상황이 생길 가능성도 매우 낮고 그런 상황이 생기더라도 안전상 이득이 큽니다

    •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ปีที่แล้ว +1

      @@user-ul4kb4yd6i 아니죠. PAR에 불꽃이 튈 환경 = 후쿠시마 사고와 같은 환경입니다. 사고시 못쓰는 장치가 뭔 의미가 있습니까

    •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ปีที่แล้ว +2

      @@user-tm1fm5jg4j 아닌데요? 원래 수소제거기는 수소농도 4퍼센트에 잘 작동하는지가 안전의 기준이고 후쿠시마는 수소 4퍼센트내에서 제거하는 장치만 있어도 막을수있었습니다.
      근데 독일에서 한계치를 알아보려고 수소농도 8퍼센트에서 훨씬 더 높은온도로 강한조건으로 실험해본것일뿐입니다.
      불꽃이 튀는것조차도 수소를 제거하기때문에 오히려 수소폭발의 위험을 낮춘다고 하고요

    •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ปีที่แล้ว +2

      @@user-tm1fm5jg4j 안전벨트가 10톤만 버텨도 안전하게 버틸수있는데
      한 1000톤정도 가혹조건으로 실험해서 끊어졌으니 위험한 안전벨트라고 주장하는거랑 같습니다.

    •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ปีที่แล้ว +1

      @@user-ul4kb4yd6i 후쿠시마도 사고 날 거라고 생각한 사람 있나요. 그러나 터졌죠. 조건에 조건을 붙여가며 괜찮다는 건 완벽하지 않다는 겁니다. 당장 사고 상황에서 PAR 몇 대가 고장나면 PAR 자체가 불쏘시개가 되는 거쟎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