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무사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궁금한점은 제가 부모님과 함께 농사를 지으며 ,제조업(관리직)에 종사하는데 하루 8시간씩 주3일만 근무하고 연봉 3000만원을 받고 있는 상시근로자인데 영농상속인에 해당하는지 궁금합니다. (현재 농업경영체등록이 되어있고, 농협조합원에 가입하여 농자재를 구매하고 있습니다)
좋은 강의에 감사드리며 질문 두가지 드립니다. 1. 만일 피상속인이 10년전부터 해당농지에서 자경, 재촌 하고 계신 상태에서 최근 사망하셨는데 상속개시일 1년 전쯤에 주소지를 약 2개월 정도를 해당농지에서 30km 벗어난 지역(서울)으로 옮기셨던 이력이 있다면 영농상속공제 피상속인 자격이 박탈되는지요? 간단히 말해서 재촌 자격이 상속개시일 현재 재촌하면 되는건지 아니면 상속개시일 2년전부터 쭈욱 재촌을 하고 계셔야 되는건지 입니다. 2. 피상속인(아버지:자경농민)과 상속인(아들: 자경농민)이 같은 주소지(한집)에 거주하면서 함께 농사를 짓고 있는 중에 피상속인이 사망하면 영농상속 공제가 가능한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강의감사합니다. 혹시 자녀가 해외에 있어 가끔씩 출국할꺼 같은데요. 1년중 (3월부터 ~10월) 농사일 다른직업없음. 그리고 11월부터 ~2월 해외에 있다고 가정하면 혹시 문제의 소지가 있을까요? 아니면 1년중 365일중에 몇일이상 해외에 체류하면 안된다는 조항이 있나요?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1. 피상속인이 돌아가시는 날까지 농사를 지어야 한다는 것. 2. 아버지의 농지에서 자식들이 농사를 지으면 피상속인이 자경을 한 것이 아니라서 자격요건에서 탈락 된다는 것.
대체 영농상속공제의 목적은 무엇인지 알 수가 없네요. 황당합니다.
상속인이 다른 농지가 없고 공동경영으로 가능하다면... 농업경영체등록에 상속인의 이름이 올라 가 있으면 영농 종사가 증명 되는 건가요? 별도의 상속인 명의의 영수증 같은게 필요 한건가요?
질문하나 드려도 되겠습니까.. 상속인 과 피상속인이 공동으로 상속대상 농지의 영농에 종사해도 가능 한건가요? 아니면 상속인이 별도의 다른 농지를 2년간 경작하고 있어야 가능 한건가요?
증여은
농업인아니면
팔아서 돈으로주면되
농업인은 9년자경해야되고
농지300평 형이 준다는데
양도.매매 어느쪽이 유리한가요?
세금을 비교해봐야 유불리를 알수있습니다
'실제농사증빙들' 이라면 무엇인지 예좀 들어주세요... ^^; (_ _)
농협조합원이라시라면 일자별 농약비료구입내역, 농약사등 구입내역,직불금수령내역, 추곡수매내역, 판매내역, 이양기트랙터탈곡기이용내역,농사일지등입니다.
@@류창헌세무사와부동산
감사합니다... (_ _)
강의 감사합니다. 상속인이 상속개시일 2년전부터 영농에 직접 종사한다는것을 증빙하려면 농지를 매입하여 농지원부,경영체등록 등 증빙을 준비해야하나요? 현재는 농지원부에 세대원으로 아버지를 도와 농사중인 상태입니다.
세무사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궁금한점은 제가 부모님과 함께 농사를 지으며 ,제조업(관리직)에 종사하는데 하루 8시간씩 주3일만 근무하고 연봉 3000만원을 받고 있는 상시근로자인데 영농상속인에 해당하는지 궁금합니다. (현재 농업경영체등록이 되어있고, 농협조합원에 가입하여 농자재를 구매하고 있습니다)
노동력의 1/2을 얼마나 잘 입증하시냐가 관건인거 같습니다. 결국은 증빙과 자료 싸움이니깐요.
좋은 강의에 감사드리며 질문 두가지 드립니다.
1. 만일 피상속인이 10년전부터 해당농지에서 자경, 재촌 하고 계신 상태에서 최근 사망하셨는데 상속개시일 1년 전쯤에 주소지를 약 2개월 정도를 해당농지에서 30km 벗어난 지역(서울)으로 옮기셨던 이력이 있다면 영농상속공제 피상속인 자격이 박탈되는지요?
간단히 말해서 재촌 자격이 상속개시일 현재 재촌하면 되는건지 아니면 상속개시일 2년전부터 쭈욱 재촌을 하고 계셔야 되는건지 입니다.
2. 피상속인(아버지:자경농민)과 상속인(아들: 자경농민)이 같은 주소지(한집)에 거주하면서 함께 농사를 짓고 있는 중에 피상속인이 사망하면 영농상속 공제가 가능한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세무사님 저는 17년전에
토지상속받아서 지금까지
농사짓고 있는데
지금매매하면 양도세가 얼마나
나오나요?
지금 매애하면12억정도에
매매가능합니다
취득가액(상속당시 공시지가)도 알려주세요
강의감사합니다. 혹시 자녀가 해외에 있어 가끔씩 출국할꺼 같은데요. 1년중 (3월부터 ~10월) 농사일 다른직업없음. 그리고 11월부터 ~2월 해외에 있다고 가정하면 혹시 문제의 소지가 있을까요? 아니면 1년중 365일중에 몇일이상 해외에 체류하면 안된다는 조항이 있나요?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궁금한게 있어서요!
영농증여는 수증자 각각 세액에서 1억 감면 가능하다고
하셨는데 영농상속도 상속자녀 각각 15억
감면 가능한가요?
감사합니다~~^^
증여세는 반는사람 세액기준이고, 상속세는 돌아가신분 세액기준입니다.
도움 많이 되었네요. 상속 공제 받은후 5년후는 매매해도 상속세는 없는 건가요?
그리고 축사와 밭으로 구성된 밭인데 축사를 일반 임대를 준상태 인데요. 이경우도 영농상속에 문제 없을까요?
강의 감사합니다. 농지 증여는 해당 안됩니까? 농지 증여에 관한 규정은 없는지요?
유익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제가 영농상속 받을예정입니다 그런데 아버지가 축사 위에 태양광을 하고계십니다 태양광 소득이 3천정도 되고 임대소득도 3천 정도 됩니다 그리고 연금소득도 있으신데 영농상속이 가능한지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