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크멘터리 전쟁史] 95회 전쟁의 패러다임에 변화를 준 용병2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7 เม.ย. 2018
  • 전쟁의 패러다임에 변화를 준 용병 두번째 이야기~
    스위스 용병의 처참한 최후?! 인기폭발이었던 스위스 용병~ 스위스 마을은 용병의 수입에 의존해 생활하고~ 은퇴한 스위스 용병의 삶은?!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15

  • @bexel22
    @bexel22 6 ปีที่แล้ว +46

    임교수님 동영상을 여기저기 찾아보는 사람입니다.오늘 말씀 중 '역사란 정답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사고할 수 있는 정보를 주는 것이다'라는 말씀이 가슴에 깊이 와닿습니다.우리나라 교육체계가 정답을 강요하는 식으로 수십년을 오다보니 어느 순간 모든 사람들이 정답에 대한 강박이 생긴 것 같습니다.저또한 그렇구요.오답에 대한 결벽증같은 거부감이 되려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을 더욱 편협하게 만든다는 것을 오늘 영상을 보며 스스로를 성찰하게 됩니다.정말 감사합니다.

    • @user-qs3hr1hm7i
      @user-qs3hr1hm7i 2 ปีที่แล้ว +1

      ㄹㅇ 동양이 전체다 그런지는 모르겠는데 한국서는 보통 이야기의 흐름이 뭔가 수련을 하고 절대진리를 깨닫는방향임 사실 뭘 생각하던 상황에따라 다른법임 믿음이 중요하다생각하면 믿음때문에 돌아가신분들도 발에 치일정도로 많고 또 그렇다고 남을 믿지마라 그러면 안믿어서 돌아가신분들도 정말 많음 중요한건 이념을 무조건 따르지 않고 각제각소에 적용하는거인듯 서양에선 그나마 이게 맞다고 주장하면 넌 그렇게 주장하고 난 그렇게 주장하는데 뭐가 옳은거지? 이런식으로 가는것같은데....흠

    • @user-jjy1015
      @user-jjy1015 ปีที่แล้ว +1

      @@user-qs3hr1hm7i 동양의 시각과 서양의 시각이 달라서 그럼
      실험을 해봤는데
      동양사람들은 과거에서 어떻게 현재까지 이뤄져왔고 이게 어떻게 되는지를 보는 반면
      서양사람들은 현재에서 미래로 가려면 어떻게해야 하지? 라는 관점으로 본다는 실험결과가 나옴

  • @mozart3002
    @mozart3002 6 ปีที่แล้ว +33

    "역사는 정답을 주는 것이 아니라 생각할 수 있는 소스를 주는 것이다" 이 말 명언이네. 이 말과 프리랜서의 어원을 안 것은 커다란 소득이네. '토크멘터리 전쟁사' 감사드립니다^^

  • @jonghyuklee5895
    @jonghyuklee5895 6 ปีที่แล้ว +114

    솔직히 국뽕한사발 들이킨 역사저널그날보다 훨씬 재미있습니다. 1회부터 정주행으로 다 봤네요.

    • @user-or2zh4fd1r
      @user-or2zh4fd1r 5 ปีที่แล้ว +4

      오호호 ㅋㅋㅋㅇㅈ

    • @talkertalker0
      @talkertalker0 4 ปีที่แล้ว +5

      그 방송은 어쩔 수 없음 ㅋㅋㅋㅋ 고등학생 국사교과서 레벨을 벗어나는 정도의 언급을 할 수가 없고.
      그리고 세계사를 접할 때 생각을 더 많이 해보게 되고.

  • @stst7475
    @stst7475 6 ปีที่แล้ว +63

    역사는 정답을 주는것이 아니라 생각할수 있는 소스를 제공해주는것이다. 임교수님의 생각에 공감이 되네요.
    평소 댓글들을 보면서 유독 이런 생각이 자주 드는거 같아요.

    • @user-md6hb7sf8c
      @user-md6hb7sf8c 6 ปีที่แล้ว +1

      본인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판사가 전혀 다른 두 주장 사이에 진실을 찾아 판결하듯이 역사 또한 그런 과정을 거치며 진실을 찾는 과정이죠.

  • @user-pt5fe8kt2l
    @user-pt5fe8kt2l 6 ปีที่แล้ว +38

    밀덕왕, 아이돌팬왕, 시계왕이신
    샤를 "세환"
    이젠 토전사도 공식인정한 왕위

  • @ho-jinkang6164
    @ho-jinkang6164 5 ปีที่แล้ว +13

    역사는 정답을 주는 것이 아니라 그걸 사고 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를 주는 것이다.
    이렇게 즐겁게 역사를 배울 수 있는 컨텐츠가 제 시절에 없었다는게 너무 아쉽습니다.

  • @arnshutain
    @arnshutain 2 ปีที่แล้ว +7

    1:44 스위스 용병의 말로 3:37 최대 고객은 프랑스 7:24 바티칸. 8:58 장점,강점 10:01 한계 11:17 스위스 기술력. 13:27 란츠크네히트 14:36 말에서 내려. 16:06 모집. 18:33 약탈,강도 23:15 상비군 제도 26:15 미국에서 독일 용병투입 30:00 다양한 이민자. 32:40 이탈리아 용병 34:43 마키아벨리의 '시민군 모집'. 35:55 군주론의 함정 37:30,44:35 명언. 37:48 막 가져다 썼다 38:40 어라?? 39:50 단순화의 오류 42:28 프리랜서

  • @helptarzan
    @helptarzan 6 ปีที่แล้ว +17

    매주마다 이시간이 그렇게 기다려집니다. 멀리 오스틴 텍사스에서 항상 응원합니다. 최고의 팀웍이 돋보이는 방송입니다!

  • @fivewonso
    @fivewonso 6 ปีที่แล้ว +5

    "역사는 정답을 주는 것이 아니라 사고할수 있는 정보를 주는것" ...명언이십니다...

  • @naruhd
    @naruhd 6 ปีที่แล้ว +177

    95회의 명언 "역사는 정답을 주는 것이 아니라 사고할 수 있는 정보를 주는 것"

    •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6 ปีที่แล้ว +14

      저도 역사 전공을 했지만 저런 명언은 아직 들어보지 못했내요, 박사과정까지 거치면 깨닫게 되는가 봅니다.

    • @user-qe4xs9sw8x
      @user-qe4xs9sw8x 6 ปีที่แล้ว +1

      하하하 역사는 원래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가 있어서 당대엔 밝히기 힘든 것도 있다네.
      가해자와 피해자의 기록을 함께 비교하면서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역사는 획일적으로 가르칠 수 없는 법.
      그래서 21세기 이렇게 발달한 한국에서 국정 교과서를 하겠다는 발상은 정말 활당한 것이었지.
      다행히 그들 정신 세계에 어울리는 곳에 있으니... 우리로선 다행이지. 세뇌 교육 안 받게 되었으니까. ㅎㅎㅎ

    •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6 ปีที่แล้ว

      문제는 국정교과서가 아니라도 지금 학교에서 보는 교과서내용은 사건만 대충 정리한거고 그것에 따라서 선생은 사건만 대충 훌터보는 식으로 수업하니, 국정교과서가아니라도 국정 관행으로 가르치고 있는게 사실아닌가요?

    • @user-md6hb7sf8c
      @user-md6hb7sf8c 6 ปีที่แล้ว

      본인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한국 역사 교육의 문제는 가르치는 순서에도 있다고 봅니다.
      고대 ~ 중세 ~ 근대 ~ 현대 이런 식으로 가니까 중요한 근대/현대 오면 질리고 지쳐서...
      고조선, 삼국 시대 어쩌고 하면서 고대 판타지부터 시작을 하니 역사 공부가 재미 없어지죠.
      반대로 거꾸로 가르치거나 고대, 중세, 근현대를 동시에 병렬로 가르치는 방법이 더 좋다고 봅니다.

    • @user-ro5jr2gs2z
      @user-ro5jr2gs2z 6 ปีที่แล้ว

      내 기억으론 처음엔 마치 애들 동화 같은 고조선 얘기부터 나오더니
      나중에 입시해야 하는 바쁜 때에 복잡한 근현대사가 나와서 사람 피곤하게 하더라.
      솔직히 역사 시간에 뭘 배웠는지 모를 정도로 정말 따분하게 배웠었는데... 요즘은 다르게 가르칠까?

  • @allenhwang9129
    @allenhwang9129 6 ปีที่แล้ว +4

    아 정말 너무 짧아요 ㅎㅎㅎ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junamock
    @junamock 6 ปีที่แล้ว +3

    크~ 저두요. 오늘 임박사님의 마지막 엔딩멘트~ 역사는 사고의 소스를 준다~ 크~
    정말 전쟁사는 드라마보다 영화보다 너무나도 재미있고 유익하고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매일매일 재방송 보고 삶의 지식을 얻습니다. 4분 모두 감초같이 찰떡궁합 진행 항상 보기 좋습니다.
    저희 엄마도 모두모두 센스티브한 진행과 화기애애한 분위기가 넘 좋다고 하십니다. 모두 최고복 받으세요^^bb

  • @user-bj2sx9ve4i
    @user-bj2sx9ve4i 6 ปีที่แล้ว +12

    정말 기다린영상입니다. 그런대 기자님 비하인드 스토리가 꽤많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너무 궁금해지네요 ㅎㅎ

  • @user-bi5ri4ul2l
    @user-bi5ri4ul2l 6 ปีที่แล้ว +8

    밀덕왕 ㅋㅋㅋㅋㅋㅋㅋㅋ이번화 정말 역대급입니다. 모든 패널들이 한번씩 빵빵 터뜨리시네.ㅋㅋㅋㅋㅋㅋㅋ

  • @peterson8921
    @peterson8921 6 ปีที่แล้ว +2

    감사감사^^ 계속~ 수고 부탁합니다. 열심히 볼께요.

  • @noemaneasy1709
    @noemaneasy1709 6 ปีที่แล้ว +4

    이번 회 내용도 알차고 재미도 있고, 정말 좋았습니다!!!
    국방TV, 토전사 화이팅!!!

  • @user-zm1ug3re3i
    @user-zm1ug3re3i 6 ปีที่แล้ว +4

    이 프로 보면서 점점 역사에 관심이 많아져 요새 교양수업도 역사위주로 수강하고있는데 너무 재밌습니다 감사합니다 토크멘터리전쟁사^^

  • @user-hb7hc2xu4o
    @user-hb7hc2xu4o 6 ปีที่แล้ว +2

    항상 잘 보고 갑니다!

  • @sohyun7313
    @sohyun7313 6 ปีที่แล้ว +26

    미국 독립 전쟁에 독일 용병이 참여 한건 처음 알았어요
    이세환 기자님 말씀데로 용병의 시작과 끝이 그리고 폐단이 결국 상비군의
    필요성으로 이어지는 과정이 아니었나 생각이 들어요.
    잘 보고 갑니다^^

    • @user-zd5uy6dj8q
      @user-zd5uy6dj8q 6 ปีที่แล้ว +1

      혹시 프랑스도 돕지 않았나?

    • @julee0353
      @julee0353 2 ปีที่แล้ว +2

      영화 슬리피 할로우에 등장하는 목없는 기사가
      바로 독일 용병이었죠.ㅎㄷㄷㄷㄷㄷ

  • @ehrflq1234
    @ehrflq1234 6 ปีที่แล้ว +93

    크으 ..... 교수님 마지막 멘트 진짜 화룡점정이다....

    • @user-qe4xs9sw8x
      @user-qe4xs9sw8x 6 ปีที่แล้ว

      어허 이게 좋아요가 23개? 이상한 사람들만 이 방송을 보는가?

    • @ehrflq1234
      @ehrflq1234 6 ปีที่แล้ว

      왜 그러시죠? ㅎㅎ

    • @user-md6hb7sf8c
      @user-md6hb7sf8c 6 ปีที่แล้ว

      마지막 멘트가 뭔지 궁금하게 만드니까 그런가?

    • @user-ro5jr2gs2z
      @user-ro5jr2gs2z 6 ปีที่แล้ว

      그래 좋은 게 좋은 거야. +1점

    • @MKCho-ux7wm
      @MKCho-ux7wm 6 ปีที่แล้ว +2

      크... 이 멘트를 탁상공론만하는 많은 윗대가리들이 봐야하는데

  • @realg79
    @realg79 6 ปีที่แล้ว +3

    구독자 10만!!! 축하드립니다~~~

  • @kyj2299
    @kyj2299 6 ปีที่แล้ว +7

    얼마전부터 느낀거지만 이젠 4분이 대본이 없어도 능숙하게 치고박고 어시스트를 할것같이 팀웍이 최고조 인것 같습니다
    전에처럼 티나게 편집된 부분도 없는것 같고... 아쉬운 점은 4시간을 하고 편집해서 한시간인데 4시간 생방송 안되겠니?

  • @user-lg9gi2ur4p
    @user-lg9gi2ur4p 6 ปีที่แล้ว +4

    최고의 방송임을 자부합니다

  • @gerrard7681
    @gerrard7681 6 ปีที่แล้ว +4

    진짜 개꿀잼...집중 정말 잘되네요..🤤👍

  • @rlagusghek68
    @rlagusghek68 6 ปีที่แล้ว +6

    가끔 허준형님보다 기자님이 더 웃김ㅋㅋ 행동이 뭔가 호감이 이심ㅋㅋㅋ

  • @whistler5843
    @whistler5843 6 ปีที่แล้ว +4

    정말 유용한 공부가 되었습니다

  • @ngr376
    @ngr376 3 ปีที่แล้ว +7

    우리나라에 임용한 교수님이나 샤를 세환 기자님 같으신 분들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 @julee0353
      @julee0353 ปีที่แล้ว +2

      그러게요

  • @user-ci4xo7te8q
    @user-ci4xo7te8q 6 ปีที่แล้ว +2

    푸근하네요^^ 감사합니다

  • @garage2803
    @garage2803 6 ปีที่แล้ว +26

    기다렸습니다 정말!!!

    • @user-zd5uy6dj8q
      @user-zd5uy6dj8q 6 ปีที่แล้ว

      기다리면 살고, 안 기다리면 죽입니다.

  • @minisaram
    @minisaram 6 ปีที่แล้ว +5

    오오 재미져요 ~~~~

  • @lee30011
    @lee30011 3 ปีที่แล้ว +10

    요즘도 보시는분들이 계실지 모르겠네요...

    • @user-be4wy1fq8b
      @user-be4wy1fq8b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아직도 보는 중입니다

    • @user-bk8hf2pf8s
      @user-bk8hf2pf8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이주전부터정주행중

    • @sungsenahong7541
      @sungsenahong7541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정주행중

    • @user-ux6hm8pi9g
      @user-ux6hm8pi9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볼게 없을때 찾아서 계속 보고 있습니다

    • @user-sd8op8qk6x
      @user-sd8op8qk6x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예, 봅니다. ㅎㅎㅎ 두 세번 씩

  • @KOR-Petrus
    @KOR-Petrus 6 ปีที่แล้ว +2

    너무나도 기다렸습니다!!!!!!!

  • @user-sx7zm9or2t
    @user-sx7zm9or2t 2 ปีที่แล้ว +1

    다시 봐도 정말 최고의 컨텐츠!

  • @user-bl6rs9wp5c
    @user-bl6rs9wp5c 6 ปีที่แล้ว +6

    좋은 자료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예전 용병들이 어떤 형태로 이루어졌는지 몰랐는데 이렇게 알게되어서 좋네요.
    부끄러운 말이지만 판타지 소설 등에서 나오는 용병같이 많은 사람들이 용병활동에 엄청 많이 활동했다고 생각했는데, 스위스같은 국가적으로 운영했다고는 몰랐네요.

  • @manhokim347
    @manhokim347 6 ปีที่แล้ว +5

    올라왔다 용병이야기 2탄. 기다렸습니다~~~

  • @kloto00
    @kloto00 6 ปีที่แล้ว +4

    아니 정주행이 끝나니 다음주까지 기다릴 수가 없다...

  • @Ima184mm
    @Ima184mm 6 ปีที่แล้ว +8

    교수님 마지막쯤 말씀 정말 황금같은 말 같습니다

  • @orbanga9209
    @orbanga9209 6 ปีที่แล้ว +9

    프리랜서라서 그런가 허준씨 말대로 프리랜서에서 확 와닿데요 ㅋㅋㅋ그런 유래가 있을줄이야 ㅋㅋ

  • @MrPegasusfeather
    @MrPegasusfeather 6 ปีที่แล้ว +30

    여전히 명언 제조기 이십니다. 단지 좋은 책을 보고 그말을 따라 하는것이 아니라 세월의 깊은 경험으로 나오는 명언에 제가 다시한번 놀라고 가네요

    • @user-qe4xs9sw8x
      @user-qe4xs9sw8x 6 ปีที่แล้ว +1

      뭐 그렇게 명언은 아니고 역사 공부하면 누구나 느끼는 그런 것인데 국방 TV 시청자들 중에는 모자란 사람들이 많아 그 본 뜻을 잘 모를 겁니다. 예를 들어 한국사만 해도 좌우가 주장하는 것이 서로 다르거든요. 역사의 비밀을 캐는 것은 탐정이 추리하는 것과 같죠. 증거를 수집하고 비교를 해서 뭐가 맞고 틀리고를 판단하고 전체 스토리를 엮는 것.

    • @MrPegasusfeather
      @MrPegasusfeather 6 ปีที่แล้ว +4

      너같은 벌레 보라고 쓴글 아니다. 정치충 새끼들은 꺼저.

    • @user-md6hb7sf8c
      @user-md6hb7sf8c 6 ปีที่แล้ว

      하하하 착한 척 하는 극우 꼴통이었군. 하하하 이렇게 본색을 드러내면 어떻게 하나?
      방송하시는 분들께서 자네를 어덯게 생각 하겠는가? 아 얘는 좀 모자란 극우 꼴통이로구나. 하하하하
      세월의 깊은 경험에서 나오는 명언이 되려면 정말 많은 것을 읽고 겪어 봐야 한다네.
      자네 같은 극우 꼴통들은 세상 보는 눈이 너무 좁아 뭐가 똥이고 뭐가 오줌 구분도 못 하던데...

    • @user-ro5jr2gs2z
      @user-ro5jr2gs2z 6 ปีที่แล้ว

      아부하면 뭐가 생기나? 오프 모임이라도 하나?

    • @user-xo2zo4sf5d
      @user-xo2zo4sf5d 6 ปีที่แล้ว

      아이디 봐라. 도박이나 하고 살고 있겠지.

  • @Chumji2504
    @Chumji2504 6 ปีที่แล้ว +5

    일주일동안 기다리느라 힘들었습니다 ㅠㅠ

  • @user-el6kx9rl7g
    @user-el6kx9rl7g 6 ปีที่แล้ว +3

    항상 재미있게 봅니다.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이 나온 배경이 재미있내요^^ 항상 화이팅하세요!!

  • @Palace_LONDON
    @Palace_LONDON 6 ปีที่แล้ว +1

    오늘도 잘보고 갑니다..
    월요일 이걸로 버팁니다 ㅋㅋ

  • @hyprk5590
    @hyprk5590 ปีที่แล้ว +2

    마지막에 박사님이 말씀하신 역사는 사고할 수 있는 정보를 주는 것이라는 이야기에 정말 공감합니다.
    학교 다닐 땐 시험 때문에 무조건 외외야 하는 상황이라 무척 싫어했는데 지금은 그럴 필요가 없어 부담없이 사고할 수 있는 역사로 바라볼 수 있어서 너무 재밌어요.
    학교 다닐 때 암기 위주가 아니라 이렇게 생각하고 토론하는 방식이였다면 인문계 쪽 과목을 싫어하진 않았을텐데 좀 아쉬움이 많이 남긴 합니다.

  • @bravoyourlife7364
    @bravoyourlife7364 6 ปีที่แล้ว +2

    밀리터리 강의 하셨던..그분이군요. 다시보니 정말 반가워요.

  • @rbrb2546
    @rbrb2546 6 ปีที่แล้ว +4

    이세환 기자님 ㅋㅋ 시계 빵 터졌어요 ㅋㅋㅋㅋㅋㅋ 커피마시다 뿜을뻔 ㅋㅋㅋ

  • @sickvery7167
    @sickvery7167 6 ปีที่แล้ว +2

    월요일엔 토크멘터리!

  • @sohgyu
    @sohgyu 6 ปีที่แล้ว +4

    오래 전에 군주론을 읽었는데, 이제서야 이해를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6 ปีที่แล้ว

      시민군이 공화제와 연결되어 있는 애기는 안하더군요. 조금 마키아벨리의 이해시키기에 부족했던 내용 같습니다.

  • @asds7002
    @asds7002 6 ปีที่แล้ว +6

    용병편 재미있어요!

  • @user-nibiru
    @user-nibiru 6 ปีที่แล้ว +1

    잘 보겠습니다

  • @user-qi1je1rb7w
    @user-qi1je1rb7w 6 ปีที่แล้ว +2

    재미있습니다

  • @basemoon7377
    @basemoon7377 4 ปีที่แล้ว +1

    가장 즐겨보는 방송!! 국방TV 최고의 방송!!!

  • @user-cm7kf2lo9x
    @user-cm7kf2lo9x 6 ปีที่แล้ว +1

    Thank you

  • @user-hw1qd3cp9z
    @user-hw1qd3cp9z 6 ปีที่แล้ว +6

    저도 프리랜서라 프리랜서의 어원이 굉장히 신기하네요. 1회부터 쭉 달렸는데 다음거 기다리기 힘들어서 다시 정주행하러 갑니다. ㅜㅜㅜㅜㅜㅜㅜ 샤를세환.... 청동대포.... 너무 강렬한 단어들이라 다시 청동대포를 찾으러 갑니다. ㅋㅋㅋㅋㅋㅋㅋ

  • @user-jp2fm1kb6b
    @user-jp2fm1kb6b 6 ปีที่แล้ว +1

    본방 or 국방 TV 다시보기 한번 & 유튜브 채널로 또 한번 (물론 어떤 분은 본방 다시보기 유튜브 까지 보시겠지만) 크으... 너무 좋은 것

  • @_DonJuSeYo_
    @_DonJuSeYo_ 6 ปีที่แล้ว +1

    자기 전에 보기 딱 좋다.

  • @tbel8223
    @tbel8223 6 ปีที่แล้ว

    안록산의난같은것도 다뤄주실수 있을까요?

  • @jeongwanhan
    @jeongwanhan 6 ปีที่แล้ว +3

    진짜 월요일 띵품방송

  • @user-sh7mo3wj4y
    @user-sh7mo3wj4y 6 ปีที่แล้ว +1

    작가님, 제작팀도 화이팅 입니다

  • @iNakmj
    @iNakmj 6 ปีที่แล้ว

    15:28 부분에 사진이 좌우가 바뀐 것 아닌가요? 왼쪽이 란츠크네히트 용병단 아닌가요...?

  • @Varely258
    @Varely258 6 ปีที่แล้ว +1

    보불전쟁도 다뤄주셨으면 합니다

  • @user-vj8ft4xf5o
    @user-vj8ft4xf5o 6 ปีที่แล้ว +3

    토크멘타리여 영원하라 구독자100만 가자!!!!

  • @user-cx9pp9fq3e
    @user-cx9pp9fq3e 6 ปีที่แล้ว +1

    윤아나님 다음주 기대되네요

  • @patrickyu8552
    @patrickyu8552 5 ปีที่แล้ว +3

    네분이서 EBS 세계테마기행 형식으로 전쟁사 유적지 다녀오시는 프로그램 만들어도 재밌을듯 합니다.

  • @moai6099
    @moai6099 6 ปีที่แล้ว +6

    다음방송은 기자님 안방에서 하는거네 ㅋㅋㅋ

  • @kalv4704
    @kalv4704 6 ปีที่แล้ว +3

    드디어 올라왔다 ~

  • @xlgalasy681
    @xlgalasy681 6 ปีที่แล้ว

    교수님, 언젠가 한번 러시아의 세력 팽창도 주제로 다뤄주실수 있나요? 주로 타타르의 멍에부터 이반 4세, 표트르 1세로
    대표되는 러시아의 몽골계 칸국에 대한 전쟁, 시베리아 개척, 대북방전쟁, 러시아-투르크 전쟁 등의 확장과,
    19세기-20세기까지 이어졌던 영국과 러시아의 그레이트 게임에 대해서 나중에 한번 다뤄주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 @sickvery7167
    @sickvery7167 6 ปีที่แล้ว +1

    교수님 마무리 멘트 존나 훌륭한네요

  • @JungSungMock
    @JungSungMock 6 ปีที่แล้ว +5

    토탈워 시리즈를 다시 하고 있는데 자꾸 토멘사 본거때문에 고증오류만 찾게되네요

  • @kwp6950
    @kwp6950 6 ปีที่แล้ว +2

    업로드 감사합니다^^ 그런데 저번편에서 전쟁이 주로 봄에 벌어진다는 말이 있었는데 이유가 뭔가요? 전 봄은 씨뿌리며 농사시작해야되는 때라서 봄에는 전투가 잘안벌어 질거라고 생각했었는데요. 혹시 이유를 알려주실수 있나요?

    •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6 ปีที่แล้ว

      저도 몰랐는데, 가장 살맛나는 계절에 죽으러 가는군요.

  • @riskest
    @riskest 2 ปีที่แล้ว +3

    30:13 뉴욕은 원래 뉴 암스테르담으로 네덜란드 식민지였습니다 ㅎㅎ 치고박고 싸운 끝에 영국이 뺏아서 새로운 요크 즉 뉴욕으로 이름을 바꾸죠.

  • @ltk108
    @ltk108 6 ปีที่แล้ว +7

    프리랜서가 창을 자유롭게 쓰는 사람이라는 말에서 나온 거였구나...

  • @user-og2wq9ze3x
    @user-og2wq9ze3x 5 ปีที่แล้ว

    아니,, 뭐가 이리 재미진다냐...잠을 잘 수가 없네

  • @user-op7dj8co4u
    @user-op7dj8co4u 6 ปีที่แล้ว +28

    마키아벨리의 경우를 보니까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가 얼마나 어리석은 짓인지를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하긴 천하의 패권을 잡은 로마군은 시민군이라서 강했던 것이 아니라 직업군인으로서의 훈련상태,결집력,단합력이 받쳐주었기 때문에 강했다는 것을 마키아벨리는 간과하였던 것이었네요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토크멘터리 전쟁사 파이팅

    •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6 ปีที่แล้ว

      저야 군주론과 결론 두개를 읽었는데. 그래도 80%는 맞다고보는 사람입니다. 극단적으로 치우친 부분도 있지만. 그래도 그의 생각이 결국 현대 징병제와 시민군을 만들고 오늘날 모두가 대부분 상비군을 주둔시키지 않은 나라가 없으니까요. 세계군사역사에 한 획을 그었던건 사실이죠.
      마키아벨리도 로마 전 역사를 봤을때 항상 강했던게 아니고 로마 공화정 그것도 가장 위기의 상황이던 하니발과 전투에서 파비우스 막시무스를 6개월 독재관(게엄령 사령관)으로 상원들이 임명했는데, 그는 자신의 무제한적 권력을 남용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 하니발의 공격을 막고 6개월안에 다시 제자리로 복귀하였다해서 키케로의 의무론을 빗대어 진정한 군대와 시민의 의무가 나라의 부귀영화을 가져다준다는 생각이 있었죠.
      그리고 카이사르가 공화정을 무너트리면서 결국 로마의 운이 땅으로 향해 천천히 곤두박쳤다라는 인식을 가졌던 사람입니다. 그렇니까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결국 마지막에 군주제에서 공화정으로 가는게 목표고 공화정을 달성해야 강성한 나라가된다는 논리를 만들어 오늘날에 공화제와 민주제가 우월하다는 사상을 만든 정치론 아버지 입니다.
      물론 사상과 생각은 있고 Art of War 이라는 병법서도 썼지만 군사 경험이 없었고 시민군도 얼마 훈련되지도 않은걸 최고군대라 과찬한게 오류를 만든거죠.

    • @MomitoSeo
      @MomitoSeo 6 ปีที่แล้ว

      공화정 시기엔 로마도 시민군이었고 국방세 개념이었기 때문에 세금을 내는 중산계급의 자부심도 강하게 있었습니다.
      하지만 로마가 커질수록 전쟁도 잦아졌고 전쟁터로 소집되는 동안 농사를 지을수 없어 가난하게 되는 경우도 많아졌죠.
      공화정에서 제정으로 넘어가고 로마가 제국화의 길을 걸으며 상비군체제가 필요하게 되어 직업군인화 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시민군 체제에서도 로마군이 강했기 때문에 성장할수 있었죠.
      물론 전문적인 직업군인체제가 더 효과적이었음은 당연하지만요.

    • @user-op7dj8co4u
      @user-op7dj8co4u 6 ปีที่แล้ว +1

      영원한 제도는 없나보네요

    •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6 ปีที่แล้ว

      로마 공화제의 시민군이라고 문제가 없는건 아니죠. 빵보다는 귀리 죽먹고 싸우고, 10년 징병제에, 무기 갑옷 신발 마저 젊은 청년들이 집안 재산 털어서 알아서 준비해서 군에 입대해야 했습니다. 무기 살돈이 없으면 군을 못가죠, 대신 가문에 명예와 영광을 빛낼 기회를 놓치는거고 신분상승도 꿈꿀수 없는겁니다.
      이렇게 나라가 군대에 돈 대주는게 없으니 다 실업자되는거죠. 잡아온 많은 노예들은 4차산업 인공지능 저리 가라할정도로 일자리 다 차지했고, 그럼 다 길 바닥에 앉아 빵달라 해야 하던 시대에 카이사르가 등장합니다. 카이사르가 인기가 있었던것은 배고픈자의 배를 채우고 빚를 되갚아주는 복지 군주였기 때문에 인기가 있었던겁니다. 즉 좋은군대도 사회안전망이 잘 구축되야 의무를 버리지 않겠죠.
      옥타비아누스 황제 시대 되서야 국가에서 샌덜을 무료제공해 주었습니다.

    • @JungSungMock
      @JungSungMock 6 ปีที่แล้ว +1

      그래도 정치학의 선두구자인건 변하진 안는거 같아요 시작에 있어 실수도 실패도 있지만 그런 실패한 정치학과 정책이 기반이되어 지금의 우리의삶이 있고 미래도 있으니까요 마키아벨리가 징집제 연구와 고민 많이 했다고 하셨자나요

  • @whansho8493
    @whansho8493 6 ปีที่แล้ว +1

    오 기다렸어 !!!!! 음ㅎㅎㅎㅎㅎㅎㅎ

  • @user-ix4sk5vv3n
    @user-ix4sk5vv3n 6 ปีที่แล้ว

    가리발디얘기가 나올줄알았는데 언제쯤나올까요?

  • @orcon4937
    @orcon4937 6 ปีที่แล้ว +1

    다음주에 pcm의 전설 EO와 블랙워터 이야기가 나올까나.. 기대됩니다

  • @giyeonlee4988
    @giyeonlee4988 6 ปีที่แล้ว +2

    그래요
    손자병법을 자주 읽으면 감정의 동요가 없을텐데 ㅋㅋㅋㅋㅋ
    도발에 잘 흔들렸던거 같네요
    다행히 얼마전 손자병법을 몇구절 읽었습니다 ㅋㅋㅋㅋㅋ
    감사합니다

  • @sovereigntylux
    @sovereigntylux 4 ปีที่แล้ว

    스위스하면 빅토리녹스, 그리고 시계가 생각나네요. 독일도 쌍둥이 칼 유명하죠. 그나저나 샤를세환님의 번뜩번뜩한 시계는 무엇일까요 ㅇㅅㅇ 13:00

  • @engoversea5432
    @engoversea5432 5 ปีที่แล้ว +1

    정말 해외서 일하면서 큰 즐거움 계속 해주셔야 되요 홧팅

  • @user-yy8yg3fs8g
    @user-yy8yg3fs8g 5 ปีที่แล้ว +5

    진짜 샤를왕이 이세환기자님이랑 너무 닮았네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왜 샤를세환이라하는지 알겠어욬ㅋㅋㅋㅋㅋㅋㅋㅋ

  • @wst1778
    @wst1778 6 ปีที่แล้ว

    오프닝에 나오는 전쟁영화 제목아시나요?~~

  • @user-ib6dv4xn7e
    @user-ib6dv4xn7e 6 ปีที่แล้ว +3

    이용한 교수님 말씀이 와닿네요..프로그램과 관계없는 내용이지만,별도로 요즘 대한민국은 논쟁거리를 만들어서 공론화 시키고 아니면 말고 또 다른논쟁거리도 안될걸 주쑤쎠서 만들어내는 사람들이 SNS 및 댓글조작하는 시대라 참 피곤합니다. 이것도 후세에 이 시대를설명할 추잡한 일중에 하나가 되겠지만..SNS, 댓글, 국민 청원...순기능보다 갈수록 악의적인 방향으로 흘러가는 모습에씁쓸합니다. 이 또한 역사의 한페이지..혼란의 시대..적폐의 시대.. 이럴때 역사의 교훈을 보고 배워야 하는데..배울 역사가없네요 워낙 이상한 시대라..

  • @user-zz3dh3uq6v
    @user-zz3dh3uq6v 6 ปีที่แล้ว

    7:11 나온 그림 베르사유 궁전이 아니라 바스티유 감옥아닌가요?

  • @woong2306
    @woong2306 6 ปีที่แล้ว +1

    본방이일요일아님?

  • @kencoikim2209
    @kencoikim2209 5 ปีที่แล้ว +1

    많이 배우고 가요~

  • @user-ow1fv4tn7e
    @user-ow1fv4tn7e 5 ปีที่แล้ว +1

    분량이 없어서 그런지 몰라도 동양쪽 용병은 다뤄지지 않은거같아요.. 동양쪽도 궁금해요.

  • @user-ci4xo7te8q
    @user-ci4xo7te8q 4 ปีที่แล้ว +1

    그동안 시청했지만 엄지를 까먹은 편에 꾹 누룹니다

  • @exelre827
    @exelre827 6 ปีที่แล้ว +4

    이번화는 블링블링~
    샤를 세환이 캐리했다! ㅋㅋ

  • @eugenekim8646
    @eugenekim8646 6 ปีที่แล้ว +3

    샤를 밀떡왕님~ 팔 떨어지겠어욬ㅋㅋㅋㅋ

  • @jsy5415
    @jsy5415 6 ปีที่แล้ว +5

    교수님 마지막멘트 ㄹㅇ 지렸습니다 진짜 명언제조기 ㄷㄷ

    • @julee0353
      @julee0353 ปีที่แล้ว +2

      뉴전사에서도 명언 제대로 쏟아내셨지요

  • @weiss4124
    @weiss4124 6 ปีที่แล้ว +2

    그래서 저기 스튜디오에 책상 언제 놔주실꺼죠? 옆동네 본게임은 해줄꺼 다 해주시면서ㅡㅡㅡ

  • @Fucidin_ointment
    @Fucidin_ointment 5 ปีที่แล้ว +1

    재밌다 ㅎㅎ

  • @daewonyoon3086
    @daewonyoon3086 5 ปีที่แล้ว +1

    정주행중..

  • @onlyelaine
    @onlyelaine 4 ปีที่แล้ว +2

    뉴욕 '맨하탄'.. 하면 뉴욕에서도 중심가로 유명하죠..'맨하탄'이 인디언 말로 '돌섬'.. 원래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걸로 알고 있어요.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5 ปีที่แล้ว +1

    44:50 0과 1사이엔 무수히 많은 수가 존재하는데 1비트 사고능력을 가진 아메바가 너무나도 많습니다.

  • @user-fl4nz2hp3t
    @user-fl4nz2hp3t 6 ปีที่แล้ว +1

    우리나라에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30년 전쟁도 다뤄주셨으면 좋겠어요

  • @user-ne3oe8me1z
    @user-ne3oe8me1z 6 ปีที่แล้ว +2

    꿀잼😄

  • @user-pb9dn6uq1r
    @user-pb9dn6uq1r 5 ปีที่แล้ว +8

    44:10프리랜서어원

  • @user-wk8dd5xx4s
    @user-wk8dd5xx4s 6 ปีที่แล้ว +2

    역사는 사고할 수 있는 틀을 주는 것이다.

  • @keonk1625
    @keonk1625 6 ปีที่แล้ว +1

    요즘 댓글을 안 다는데 안 보는게 아니라 본방 사수 하느라 그렇슴다
    예비군 훈련 언제인지 보러 들어가는 것도 안 하는데 이 프로 하나 때문에 국방티비 앱 깔았음
    현대전에서 베트남전 다루기에는 너무 민감한가요?
    아직도 보고 싶은 전쟁사가 넘나 많습니다만.....30년 전쟁 큰 기대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