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보다 내부 도체가 십수배 보다 훨씬 두껍게 제작하기 때문에 송전 측면에서 떨어지지 않아요. 필요하면 더 크고 두꺼운걸 쓸 수도 있죠, 저 두꺼운걸 여러번 겹치고 볼트로 압착해서 결합성도 좋아요, 케이블 수십가닥을 저거 하나로 대체하니 고장이 날 확률도 적고, 문제가 생겨도 문제가 되는 부분을 분해 결합하면 되니 케이블보다 수리도 쉽고 안정적입니다.
알류미늄이 구리보다 도전성은 낮지만 상대적으로 가볍습니다. 가볍게 되면 건설비가 줄기 때문에 일정 전압 이상에서는 알류미늄으로 쓰는게 경제적이게 됩니다. 경제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면 구리가 아니라 금을 써도 됩니다. 금이 이론적으로는 도전성이 가장 좋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154KV의 송전선 (철탑)은 ACSR (강심 알류미늄) 전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Busduct LS전선에서 먼저 시작한걸로 알고 있고.. LG 계열사에서 먼저 설치되기 시작했습니다. 주로 고전류가 필요한 플랜트 현장에서는 요즈음 거의 필수 플랫폼입니다. 어차피 고전류가 필요한 장비들은 전원선으로 연결한다해도 많은 비용이 들고 장비별로 굵은 전원선을 전기실에서 각각 끌고와야 합니다. 버스덕트는 일종의 기찻길입니다. 전기 소모량이 많은 쪽으로 기찻길을 놓아두면.. 중간중간 역을 만들어 전기선으로 근처 장비로 전기를 공급합니다.
▼ 영상에 나온 기업 여기요! 여기! ▼
㈜티에스넥스젠
032-580-7300
www.hlbpower.com/
인천광역시 서구 북항로 335번길 51 (원창동)
도전율이 낮은만큼 굵은 알루미늄 사용해도 구리보다 가볍고 저렴해요
부스가 아니고 버스(BUS) 입니다. 표준을 정했으면 표준을 따라가야 됩니다. bus duct입니다.
외래어라서 그렇게 표기를 한거지 그렇게 발음을 따질거면 외래어를 한글로 표기가 아니고 그냥 외래어 자체로 써야됨
@@적비-t7k 그래서 외래어 표기법이 있는 거에요......... 다같이 다르니까 통합해서 이렇게 하자고 약속한.
부스덕트가 아니라 버스덕트입니다.
설명때도 버스 바를 이용하는 것이라 해놓고 부스덕트라 하면 어쩌나요..
버스덕트 라 말하는게 맞습니다 BUSDUCT
정확하게는 버스덕트가 맞지요
이 명칭이 맞는듯..
네 맞아요
현장에서 부스바부스바 거려서 입에 붙어서 그런가보네요
부스부스 거리길래 Booth duct 인줄알았는데 Bus Duct였구나
한국 노가다 특 항상 일본발음함
ㅋㅋㅋㅋㅋㅋㅋ 아휴 수준 떨어져서
표준규격쓰면서 발음은 항상 일본 용어임
요즘 구리가 점점 더 희소하고 비싸지고 AI 관련 설비와 전기차 충전소 대응 전력 확충 때문에 구리가 수급이 너무 불안하니 대체제로 만들어진것 같내요.
이야 덕트도 부스바를쓰느날이오다니
부스 아입니다
bus duct
버스덕트
기존 구리선 대비 장점이 가격인가요 전기료가 적게 나오는것은 이해가 잘 안되네요.. 수전실에서 배전반까지 거리가 멀면 전압강하에 불리하지 않을까요?
케이블보다 내부 도체가 십수배 보다 훨씬 두껍게 제작하기 때문에 송전 측면에서 떨어지지 않아요. 필요하면 더 크고 두꺼운걸 쓸 수도 있죠, 저 두꺼운걸 여러번 겹치고 볼트로 압착해서 결합성도 좋아요, 케이블 수십가닥을 저거 하나로 대체하니 고장이 날 확률도 적고, 문제가 생겨도 문제가 되는 부분을 분해 결합하면 되니 케이블보다 수리도 쉽고 안정적입니다.
저항이 졸라낮음 그래서 변압기 2차측에서 많이써요
와 이거 kddx전투함 같은데 넣으면 좋겠다
버스덕트라하면 다른 방식 제품이 존재해서 부스덕트라하신건가 버스웨이라고 버스 명칭은 쓰시는데
알루미늄이 구리에 비해서 전기 전도성능이 낮을텐데요. 구리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생산 공정이 많아서 일반 전선에 비해서 원가 측면에서도 떨어지는것 아닌가요?
알류미늄이 구리보다 도전성은 낮지만 상대적으로 가볍습니다. 가볍게 되면 건설비가 줄기 때문에 일정 전압 이상에서는 알류미늄으로 쓰는게 경제적이게 됩니다. 경제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면 구리가 아니라 금을 써도 됩니다. 금이 이론적으로는 도전성이 가장 좋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154KV의 송전선 (철탑)은 ACSR (강심 알류미늄) 전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금보다 은이 더 높지 않나요?
금은 부식성에 강한게 장점으로 알고 있는데요.
도전율은 은>구리>금 일겁니다.@@liuyoo5459
알미늄선은 가설에도 쓰입니다 어쩌피 철거할텐데 무거운 구리 쓸 필요가 없지요
ACSR 검색해 보시면 알루미늄은 고압에서도 많이 쓰입니다.
@@liuyoo5459 금이 아니라 은이요ㅎㅎ
Busduct
LS전선에서 먼저 시작한걸로 알고 있고.. LG 계열사에서 먼저 설치되기 시작했습니다.
주로 고전류가 필요한 플랜트 현장에서는 요즈음 거의 필수 플랫폼입니다.
어차피 고전류가 필요한 장비들은 전원선으로 연결한다해도 많은 비용이 들고 장비별로 굵은 전원선을 전기실에서 각각 끌고와야 합니다.
버스덕트는 일종의 기찻길입니다. 전기 소모량이 많은 쪽으로 기찻길을 놓아두면.. 중간중간 역을 만들어 전기선으로 근처 장비로 전기를 공급합니다.
글쎄........장점을 딱히...모르겠는데
가격측면에서 엄청싸지않으면 나중에 증설이나 뭐할때마다 이업체만 불러와야되고...
흐음.......지진이나 침수사고같은경우에는 더위험해보이기도하는데..
구리가 최고고 소재 차이는 극복이 불가능함.
알미늄은 부식성이 구리보다 강해서 10년 넘어가면 저거 죄다 삭음. 코팅기술이나 합금으로 그걸 얼마나 지연하냐 수준이지.
설치가 어려움..
회사에서는 부스 덕트라고 하는데 댓글은 아니라고 하네 ㅋㅋㅋ 도대체 누가 맞는거야?
부스덕트가 아니고 버스덕트요!
이렇게 좋은 시스템을 삼성반도체 공장에서는 왜 사용하지 않는 걸까요?.....삼성반도체 공장의 전기 배선은 덕트내에 전기선과 통신선을 같이 매설해서 그런가요? 버스덕트에 추가 통신선 매설이 불가능해서 일까요?
삼성 반도체에서도 씁니다.
나중에 증량하려면 케이블 트레이는 선만 깔면 되지만 저건 덕트를 사야하네 추가로.😊
대신 화재에 용이하고 케이블이 끊어질상황이와도 전력공급이 가능한점 장점은 많지요
보통 초기 설계시에만 버스덕트로 설치하고 증설할때는 그냥 케이블로 하는 경우가 많음
저러면 허용전류의 개념이 사라지나요?
그대로인데 버스덕트를 두면 허용전류가 많이 늘어나지요. 배전반 열어보면 있는 버스바랑 같은개념입니다.
사라질순 없습니다. 다만 굵기 면적에 따라 허용 전류가 일반 전선보다 크게 유리하죠.
큰전류를 사용할수록 크고 두꺼워져요
전문성을 가진 게 아니라서
영상만 보고는 모르겠는데
특별한 시설 외에는 사실 상 평소에 보기 힘들겠는데 ..
향후 확정성에서 불리함..유연성에서 불리한점도 많음....
오
뚜껑열면 그냥 전선 있을줄 알았는데 와 뭔 엄청난게 들어있었네 ㅋㅋㅋ
잘못 만져서 감전되면 뼈밖에 안 남을듯
솔직히 한국에서 만드는건 너무 비쌈 인건비니 환경규제니 하면서 비쌈 중국에서 똑같은거 더 싸게 살수 있음
눈에 잘만 보이는구만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
부스덕트라고 말하는건 이것도 일본의 영향인가? 영어발음 이상하게 정착된거 찾아보면 대부분 일본에서 넘어온거던데. 그리고 덕트는 제대로 말하는건 또 왜 이런겨
대체 bus를 부스라고 발음하는 이유가 뭐임 ㅋㅋ
전기쟁이들 잘봐라 늬들 밥이다 ㅋㅋㅋㅋㅋㅋ
영택이형은 뭐 먹고 살아?
@@owingtolight2994 배관 ㅋ
@@홍영택-u1i거짓말 ㅋ
솔직히 홍보하시는 분이 전기요금을 전기세라고 부르는건 불편하네요. 일반인도 아닌데 요금과 세금을 혼돈하시면 대중은 더 헷갈릴수 밖에 없습니다. 용어정리도 안되어서 뒤죽박죽 사용하고, 제품은 좋지만 규격화가 안된 상황에서는 특정 제품만을 써야해서 고객의 선택지가 줄어드는 역효과도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이 프로그램은 중국에 정보를 보여주기 위해 방송 프로그램을 가장한 중국 스파이들이 만드는 것이 아닌지요?
이런 상상... 새롭지만 맞는거 같기도;;;;;;
광고를 해야 쟤들도 먹고살지...
애초에 외국에서도 쓰는 공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