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아파트들은 왜 다 49층으로만 지을까 (언더스탠딩 장순원 기자)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5 ก.พ. 2024
  •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글로 읽는 "언더스탠딩 텍스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68

  • @understanding.
    @understanding.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7

    안녕하세요. 언더스탠딩 장순원 기잡니다. 49층 이하 준초고층 건물은 따로 피난안전구역을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설명을 드렸는데 보강할 내용이 있어서요.
    방송에서 49층 이하 아파트의 경우 피난계단을 설치하면 따로 피난안전구역을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는데요. 구체적으로는 건축법 34조 4항의 내용입니다.
    ④ 준초고층 건축물에는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되는 피난안전구역을 해당 건축물 전체 층수의 2분의 1에 해당하는 층으로부터 상하 5개 층 이내에 1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예를 들어 40층 건물이라고 하면 2분의 1인 20층을 기준으로 15층이나 25층 사이 어딘가에 피난안전구역을 지정해야 합니다만, 예외 규정에 따라 피난층 혹은 지상으로 통하는 계단을 설치하면 따로 지정 안해도 된다는 뜻입니다.
    아파트에는 1층(지상)으로 향하는 계단이 다 있습니다. 이 계단을 제가 피난 혹은 비상계단이라고 말씀드렸는데 이 부분에서 명확하지 않았습니다.
    계단은 크게 직통계단, 피난계단, 특별피난계단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직통계단은 지상으로 직접 연결되는 계단, 피난계단은 직통계단이면서 피난계단의 요건(조명, 방화시설 등)을 충족한 계단이고, 특별피난계단은 계단과 거주시설 사이에 부속실이 있는 구조입니다. 5층 이상 혹은 지하 2층 이상이면 직통계단을 피난 혹은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49층 이하의 경우 이런 특별피난계단 등을 설치하면 피난안전구역을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겁니다.
    참고 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80207&contentsParamInfo=isList%3Dtrue%26navCategoryId%3D58768&cid=58765&categoryId=58768
    아울러 30층 이상 아파트에는 '비상용' 엘리베이터를 설치해야 한다고 말씀을 드렸는데, 비상용이 아니라 '피난용' 엘리베이터가 맞습니다.
    비상용은 화재시 소방관이 이용하는 엘레베이터이고, 피난용은 일반인이 피난용으로 쓰는 용도입니다. 보통 29층 이하에서는 일반용과 비상용 승강기를 겸용으로 쓰니 한 대만 있어도 되는데요. 30층 이상으로 건물을 올리면 엘레베이터를 최소 2대 이상 설치해야 한다는 설명을 드리려다 잘못된 정보를 드렸네요. 죄송합니다.

    • @user-oc1qh7pk1w
      @user-oc1qh7pk1w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정정 감사합니다. 주말임에도 고생많으시네요. 항상 잘듣고있습니다.

    • @bundang901
      @bundang90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담엔 미리 숙지하시고요

    • @hoonlee548
      @hoonlee548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소방시설 성능위주설계 심의대상인경우 29-49층일지라도 피난안전층을 소방서에서 사업승인 조건으로 하는경우가 많습니다.
      법과 상관없이요.

    • @junghwanshin6793
      @junghwanshin6793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주택법인가요? 건축법인가요? 49층 아파트는 어느법을 적용받는가요?

    • @user-bv6kj5om2t
      @user-bv6kj5om2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이인간들이 패널이라고 나와서
      대담이라고 하는짖이
      이봐요 당신들 군대나 갔다왔어요
      나라를 지키는 문제를 이야기하며
      깔깔 거리며 조롱하듯

  • @junghwanshin6793
    @junghwanshin6793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5

    소방관련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소방안전측면에서 아파트는 저층일수록 좋습니다. 아파트 화재시 유독가스 3번 호흡하면 예외없이 사망입니다.

    • @qwe-cn6pr
      @qwe-cn6p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고층에 살다 저층에 사니 화초가 더 잘 자라요
      사람 건강도 좋겠죠

  • @user-hp6ff1ob3f
    @user-hp6ff1ob3f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5

    땅밟고사는게얼마나축복인지 새들과눈마추고 창문열면꽃나무시야에있고 일층넘좋아요

    • @user-wf2ji6wn1r
      @user-wf2ji6wn1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1층은 좋긴한데 차소리가 많이들릴것같아요
      1층에서 10층사이가좋은듯

    • @user-hp6ff1ob3f
      @user-hp6ff1ob3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차안다니는1층요

    • @LeeYuri1000
      @LeeYuri1000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전혀 좋지 않아요. 일단 땅에서 올라오는 습기와 곰팡이, 소음과 방범에도 휠씬 안좋고, 무한이 발생하는 벌레(모기, 파리, 바퀴벌레 등등)와 작은 동물들하며 또한 라돈 발생량이 휠씬더 많아서 전혀 살기 좋은게 아니에요.

    • @user-qs8tm3os7j
      @user-qs8tm3os7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층에 생선 있으면 똥파리 번갲처럼 날아든다 모기 및 똥파리등 37층엔 똥파리 모기 없고 엘레베이트 는 초고속으로 2가구 전속 용이며 블편1도없고 쾌적한 생활이드라 !

    • @user-hc9hs4qs9y
      @user-hc9hs4qs9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LeeYuri1000 동네를 잘골라야 해요. 벌레나 습기 곰팡이는 풍수지리가 중요하고 본인 관리하기 나름

  • @koreago6015
    @koreago6015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6

    아파트는 20층까지가 딱 적당한것 같습니다

    • @user-oi4th5dk4c
      @user-oi4th5dk4c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층도 높아요!
      엘리베이터 고장 나거나 검사하는 날 계단 오르내리기도 정말 힘들고 저는 80년대 처럼 딱 12층 까지만!

  • @user-zs1pr3tg5d
    @user-zs1pr3tg5d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3층 첨 사는데 뒷동산 창문에 보이는 나무들 계절마다 물드는게 너무 예쁘고 캣타워에서 밖 구경하는 우리냥이가 좋아해요ㅋ 이사 예정인데 3~6층 가고싶어요

  • @chloeV02
    @chloeV0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0

    40층 사는데, 고층 엘베 탈때마다 귀먹먹 현상 생겨요ㅠ 그리고 고속엘베다 보니 확실히 더 무섭ㅠ 원래 엘베 공포 없었는데 여기산후부터 생겼어요

    • @user-wd7je7le9s
      @user-wd7je7le9s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아는언니. 이사가서 가봤는데. 저도 핑하고 어지러웠어요.

    • @echo-pi5sc
      @echo-pi5sc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건강을 위해 얼른 이사가셨으면...

  • @user-dt1il1vb5c
    @user-dt1il1vb5c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아파트 층수 보니 공포감이 마구 몰려 오네요.아이고나 무서워요.

  • @user-is9fz2bm7o
    @user-is9fz2bm7o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고층은싢어요
    전기나가며 70층 어떻게올라갑니까
    5층이 가장 적당합니다

  • @lov0in0christ
    @lov0in0chris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5

    한 십여년 전에 29층 사무실에 근무할 때 18층에서 불이난 적이 있었습니다. 그 때 화력 차단 장치가 잘 되어있기는 했지만 만일에 대비해 대피 하라고 해서 랩탑과 중요서류 챙겨서 한시간쯤 줄서서 걸어서 내려온 적이 있었습니다. 1층에 오니까 다리 근육이 벌벌 떨리는데... 어휴. 고층 위험해요.

    • @Uptrend888
      @Uptrend888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겨우 29층 내려와서 다리 아프다고요? ㅋㅋㅋㅋㅋㅋㅋ

    • @iamgroot2674
      @iamgroot267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Uptrend888단순히 계단을 내려왔다고 아픈 게 아니라 무서워서 다리가 벌벌 떨렸던 거겠죠…

    • @leejongmi
      @leejongmi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59층 계단으로 내려오면 다리도 아프겠지만 어지러울거 같아요.@@Uptrend888

    • @lov0in0christ
      @lov0in0chris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Uptrend888 ㅎㅎ 중요 문서철들 어깨에 지고 컴퓨터 품에 안고 20키로쯤 가지고 내려와 보세요. 맨 몸으로는 뛰어서도 내려올 수 있었겠지만요.

  •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3

    영화 타워링 을 보던지, 아니면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 취재 화면을 보면 고층 건물이 위기가 닥치면 어떤 모습이 되는지를 미리 알 수 있습니다.

  • @user-rr1os9qn8y
    @user-rr1os9qn8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6

    30층 초반만되도 귀가 먹먹하던데
    참고사시는분 대단...

  • @user-cp4qu5zq3h
    @user-cp4qu5zq3h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30층이상 고층에 살면 건강에 안좋다는 연구결과가 많다고 합니다
    그래서 어떤나라는 서민아파트용도는 30층이상은 허가가 안난다고 하더라구요

    • @sealjune
      @sealjun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고층에 살아서 무슨 지기를 덜받네 안좋은 공기마시네 이런게 아니라
      밖에 자주 안나가게 되니 아무래도 덜건강하겠죠
      굳이 연구씩이나 안해도 유추가능한 결과 ㅋ

  • @hitage-er4wz
    @hitage-er4wz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4

    건축비도 건축비인데 고층건물이 노후화 되면 관리비가 엄청 높아진다는점

  • @davidshin9200
    @davidshin9200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3

    강변에 49층 70층 허갈 내준 멍청이나 집 짓는 멍청이나. 강 뒷쪽 사람은 모두 돼지만 살게 하려나.. 적당히 해라 적당히 욕망 부려라 .

    •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오세훈?

    • @aikawa1
      @aikawa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왜이리 화가 많이 남?

    • @user-ur6vj1wt3d
      @user-ur6vj1wt3d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오세훈이 걱정돼...

    • @user-xs9hv4hd3e
      @user-xs9hv4hd3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aikawa1 대체이런대댓글은 왜 쓰는거임..별로 화난거 같지도 않구만

    • @aikawa1
      @aikawa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xs9hv4hd3e 멍청이 돼지라는 단어를 쓰는데 화가 안난거냐 ㅋㅋㅋㅋㅋㅋㅋ 웃고간다

  • @dogsnoop963
    @dogsnoop963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6

    많은 해외연구에서 30층 이상에서는 건강에 영향을미치므로 그이상 사는것을 피하라고했음

    • @sealjune
      @sealjun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고산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건강이 안좋은가요 그럼?

    • @user-wk9oy2qv7w
      @user-wk9oy2qv7w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sealjune고산지대 사람들도. 땅은 밟고 삽니다ㅎㅎ

    • @sealjune
      @sealjun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wk9oy2qv7w고산지대 집도 콘크리트 집일텐데 땅을 밟는다니요;

    • @user-wk9oy2qv7w
      @user-wk9oy2qv7w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sealjune 땅의 기운이라는 걸 모르시나봐요

    • @sealjune
      @sealjun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wk9oy2qv7w 그럼 저 지금 반지하 살고 있는데 땅의 기운 많이 받고 있는건가요ㅋㅋ
      말도 안되는 미신입니다

  • @jamesbee7302
    @jamesbee730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2

    고층일수록 사람몸에 안좋다는게 정설

    • @sealjune
      @sealjun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고지대에 사는 사람은 몸이 안좋은가요 산소가 희박해서?

    • @jamesbee7302
      @jamesbee730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sealjune 고지대 문제는 아니고 땅에서 높이 떨어져있는게 문제. 고층일수록 스트레스 우울증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네요.

    • @user-jf7uc7dw7o
      @user-jf7uc7dw7o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sealjune
      흙土은
      나무와 꽃, 곡물, 과일을 자라게 하지요.
      곤충들도 흙을 좋아합니다.
      흙은
      사람도 자라게 합니다.

  • @Tv-bj5dw
    @Tv-bj5dw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3

    전 고작 10층짜리 건물에서 8층에 살고 있는데도 불구하고.....엘베 기다리고 타고하는거.....새벽에 출퇴근 하는게 아니라면 스트레스 일 때 많습니다. 심지어 층마다 서게 되면....어우야.....
    근데 70층이요?? 집집마다 개인용 엘베 있지 않는 이상 와우.........상상만 해도 진절머리 나는데요. 심지어 온 몸에 담배 쪄든 냄새 풍기는 사람이 한명이라도 같이 타고 있으면......와........헬........

    • @user-jz2mg6do5x
      @user-jz2mg6do5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고층 아파트 에레베이트는 속도가 엄청 빠르더라구요.

    • @jajajamjom
      @jajajamjo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50층 짜리 건물에 택배아저씨 한번타면, 엘베 10분은 걸리겠네.

  • @user-lx1bo9mn5o
    @user-lx1bo9mn5o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8

    애들 초딩 졸업전까지 1층에서...그뒤 5층에서 10년정도 부모님 모시면서 다시 1층을 구했으나 나온게 없어 2층.. 난 5층 이하가 제일 좋은 것 같음..신호초에 2년정도 20층에 살았는데..가끔 츨근 때 서류 나두고 다시 올라가려고 하면 졸라 짜증남..

  • @manevemaa5367
    @manevemaa536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7

    언덕과 강 가까운데는 낮게, 멀수록 높게 지어야 함. 강과 언덕은 누구 혼자 갖고 누리게 해서는 안되야,

  • @9sugaff
    @9sugaff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해가 덜드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신축저층으로 오니 삶이 더 편안해요 엘베안타니 좋음 이십층이상만 살때는 밖에 자주 나가기 귀찬았는데

  • @stockholder8740
    @stockholder8740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2

    대한민국은 전쟁에 위험이 있는 나라고 대공포는 필요한데, 당연히 새로운 비용을 유발시킨 건물주가 비용을 부담해야지
    새로짓는 건물때문에 온 국민이 비용을 부담해야하나요?

    • @user-nv1ps6fk7t
      @user-nv1ps6fk7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니까요,
      극단적으로 매일 초고층빌딩 생기면 매일 수입억의 진지구축 및 이사비용을 국민이 내야합니까

    • @benhamster-ft2iu
      @benhamster-ft2iu 19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러니까요. 건물 생길때마다 세금으로 낼순 없잖아요

  • @user-lu6iv8ks3o
    @user-lu6iv8ks3o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사람이면 땅을 밟고 살아야 됩니다 그래야 건강에도 좋습니다 너무 고층 가시면 어지럽지 않으십니까 ~

  • @limminsup
    @limminsup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3

    고층으로 가면 피난 시간 및 안전공간 확보를 해야하기 때문에 비용이 당연히 더드는겁니다 돈의 문제가 아니라 그런 대형 건물은 화재나면 답없습니다

    • @user-uq8tb3ei8p
      @user-uq8tb3ei8p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돈 문제라는건데...뭐가 돈문제가 아니라는건지;;;
      안전과 각종 조건들 때문에 비용을 더 내야하니, 입주민들은 층수를 낮게 짓는것에 투표한거죠.

    • @newtonisaac3769
      @newtonisaac376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또한, 고층빌딩에서는 사람 성격에 유형에 따라 다양한 스트레스 받는다고 합니다.

    • @user-br9li7hg2d
      @user-br9li7hg2d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newtonisaac3769 돈 문제가 아니고 썸네일이 문제

    • @user-xs9hv4hd3e
      @user-xs9hv4hd3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user-uq8tb3ei8p 영상은 돈문제라고 하는게 맞는데 이영상과는 별개로 불나면 답이 없다는거도 맞는거죠..그런 극닥적상황을 사람들이 생각하기 싫어하는거같아요 .단독주택은 본인이나 바로옆집만 불안나면되는데 고층은 수백가구중 한가구만 불나도 나까지 위험하니

    • @user-yy7pt5gp2m
      @user-yy7pt5gp2m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고층엔 방사능도 더 많지

  • @pionarlesmordo9310
    @pionarlesmordo9310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

    20층만 넘어가도 현실적으로 화재에 엄청나게 취약함

  • @user-sl5su2hg7j
    @user-sl5su2hg7j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1

    49층에 살고 있는데.... 엘레베이트 탈때 마다 귀가 멍멍하고 ㅠㅠ 다시 밑에서 살고 싶어요 ㅠㅠㅠ 엘레베이트도 5개 있는데도, 잘 못 걸리면 내려 가는데도 3분 걸려요 ㅠㅠ

    • @newtonisaac3769
      @newtonisaac376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고층빌딩에서는 성격에 유형에 따라 다양한 스트레스 받는다고 합니다.

    • @handle1a2b
      @handle1a2b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네 ㅎㅎ

    • @suklyu2547
      @suklyu254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요즘신축은 저층부 중층부 고층부 로 나뉘어있어서 불편이 없어요

    • @suklyu2547
      @suklyu254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그리고 고층입주는 본인들이 고층좋아해서 선택하는거라 대부분 스트레스 안받고 즐기는 편이에요

    • @user-zt8wb3zf4k
      @user-zt8wb3zf4k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어렸을때 예민해서 그랬는지 우리집이 11층 이였는데 앉아 있으면 흔들리는 느낌이 들었고 잠이 잘 안 왔다.
      결혼후 저층에 사니 그런것이 없어졌다.나이들어 둔해져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 @user-bh7fhs32g
    @user-bh7fhs32g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7

    저는 10층도 높고 5층정도가 적당한거같아요. 49층은 한번 가볼순 있어도 거기서 매일 사는건 생각하기 싫으네요

    • @guk1120
      @guk1120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전 58층에 6년 가까이 살았고 그전에 9층, 지금은 5층에 살고 있는데 단지 교통 때문에 이사한거 빼고는 최고 였습니다. 요새는 수압 문제 같은건 전혀 없고 무엇보다 조용&고요합니다. 심지어 흔히 화장실 배관 소리도 안납니다. 엘베는 지금 5층 사는곳 보다는 좀 더 걸리지만 불편할 정도는 아닙니다. 살아보시면 왜 돈 값하시는지 아실꺼라 생각됩니다.

    • @yyk2331
      @yyk233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맞아요 저희 부모님도 50층 십년 넘게 사시는 중인데 여름에 모기 없는 것도 너무 좋아요. 생각보다 사는 데에 불편한 점은 없습니다.

    • @user-rn3pv4od8k
      @user-rn3pv4od8k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초고층에 우울증과 유산율이 많답니다 청소년 임산부 또 조용하다보니 주변과 왕래가 적어 고독사문제가 있는거죠 오래토록 발견이 어렵죠
      일본 유명인도 이문제로 난리났던가봅니다

    • @user-il9ib6yw8e
      @user-il9ib6yw8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높은층살다보면 익숙해져서 눞은지 못느껴요
      그래도 땅밟고 사는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 @user-rc4lw7ss5i
      @user-rc4lw7ss5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평소에는 문제가 없지만,
      유사시에 전기, 물공급 차단되면 7~8층 이상은 사실상 주거가 불가능하다 봐야..

  • @_revival
    @_revival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3

    공사비가 엄청 많이 든대요.2~2.5배.초고층이..건설쪽 분왈.

    • @user-wx4mp8hc8l
      @user-wx4mp8hc8l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성수동은 물이 치는 곳이라 홍수에 위험하고 겉은 멀정해도 땅밑으로 물이 흘러 계속 파이는 곳.

    • @manevemaa5367
      @manevemaa536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찐 기술쟁이라면 2배건 3배건 랜드마크 예술 첨단기술 초고층 지어서 찐기술 알아보는 이에게 제 값받음. 이런 기술쟁이 쳐주지는 않고 약한 지진 한 방에 아파트 크랙 난리 침. 순살아파트 나왔는데 뭐가 문제냐는 분위기, 35년 경력의 장관후보자가 아파트 중심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 고 주저리 대는 거보 면 대한민국 기술 미래전망이 구리구리.

  • @Panorama-memory
    @Panorama-memor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0

    추가로.. 지하를 파는 공사비가 위로 올리는 것 2배로 비쌉니다. 위로 올라갈 수록 지하도 비례해서 깊게 파야 되지요. 땅 파는데 단단한 암반층이라도 만나면 거기서 또 공사비 2배요.

    • @user-uq8tb3ei8p
      @user-uq8tb3ei8p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2배가 아니고 4배 이상입니다.
      지하로 1층 파는것이 지상으로 7층 올리는것과 비슷한 비용이 듭니다.

    • @ulsanbsk708
      @ulsanbsk708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그래서 주차공간 확보때문에 기계식 만들고 이용 안하는거임
      실 사용의 경우 땅을 파거나 기계주차 양자택일

    • @user-hx6zk4fy6b
      @user-hx6zk4fy6b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50층이하 피난비상계단은 각 세대내에 있어요.
      공용 빗

    • @user-ju8hd7df4r
      @user-ju8hd7df4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그래서 요즘 지하 안파고 1층만 살리고 2~4층을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윗층에 오피스텔 짓는 경우가 많습니다.

    • @saintfarc8411
      @saintfarc841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50층 이상이면 3-4배 건축비 드갑니다.

  • @ubnstory5876
    @ubnstory5876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7

    누가 쓸지 모르는 공원 학교 기부체납은 당연한거고 모두의 목숨 지키는 국방 기부체납은 불합리하다고 생각하는 어느나라 국민인지

    • @kenlee1704
      @kenlee170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기부채납, 무료사용이 좀 문제긴 하죠..

  • @AliceCG5000
    @AliceCG5000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호기심 자극~ 재밌고 유익한 내용이네요~👍😊👍

  • @sssyyypjtpjt
    @sssyyypjtpj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1

    광주아이파크도 피난구역때문에 완전히 안무너진거임
    영상이나 사진보면 피난구역에서 멈췄음

    • @user-hq4lw7cq1t
      @user-hq4lw7cq1t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피난구역이 아닌 피트층이라고, 설비시설 넣는 층에서 멈춘거에요

  • @user-dj6sc8yy6v
    @user-dj6sc8yy6v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10년이상 살면 이명현상 생겨요... 한마디로 맛이가는겁니다

  • @환타가조아
    @환타가조아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좋은정보 좋네요~~그런데 MC들이 종종 비아냥 거리는게 거슬립니다. 설명도 끊고

  • @thunderbird3927
    @thunderbird392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7

    비상용엘리베이터는 화재시 소방관이 이용하는 엘리베이터이고 피난용엘리베이터가 거주자가 이용하요 피난하는 엘리베이터입니다! 그리고 특별 피난용 계단 및 부속실 제연을 위한 제연시설 등도 갖춰야 하고 30층 마다 피난층 설비도 갖춰야 하기 때문에 50층 이상 초고층으로 짓게되면 특급소방안전관리 대상물이 되는 등 설계/건축 및 관리비용이 추가로 엄청 발생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저도 소방법이나 건축법을 공부하기 전에는 전혀 생소한 부분이었기 때문에 이해는 하지만 브리핑하려 했다면 좀더 준비했어야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 @sooshin3569
    @sooshin356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잘 들을께요. 감사합니다.

  • @user-vs9pz6jz8c
    @user-vs9pz6jz8c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고층 건물은 년수가 지날수록 관리비가 엄청 늘어납니다. 건강상문제, 나중에 재건축은 거의 불가능하고

  • @nobodylovesnow
    @nobodylovesnow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대공포 설치는 안보상의 사유로 요구되는 것들인데 고층 빌딩을 지으면서 시장에서의 편익은 전부 민간이 가져가고, 공공이 순수하게 그 부담을 지어야 한다면 지금보다 세금이라도 훨씬 많이 내자고 하던가 하는게 맞지요. 대안 없이 무조건적인 반대로 해석될 소지가 있습니다. 군대는 무료로 돌아가는 곳이던가요? 이런 논리면 공공시설은 어디에 지어야 하나요?

  • @user-nv3eb7cn6d
    @user-nv3eb7cn6d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1

    사람은 땅과 가까이 살아야합니다. 흙을밟고 살어야되는데 자꾸 공중에 떠서 살게 하네요

    • @aikawa1
      @aikawa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님 좋겠네요. 반지하 살아서 땅 기운 많이 받겠다

    • @user-yk7hk6ez5h
      @user-yk7hk6ez5h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맞는 얘긴데 지기를 잘받지 않으면 몸이 상한다 초고층 빌딩은 상업용이지 거주는 별로 큰부자들이 높은곳 안사는이유

    • @user-hm7vz2me3h
      @user-hm7vz2me3h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저층 주민일수록 외출을 많이한다는 통계가 있거라구요. 자주 운동하게 되고 그래서 건강해지는 거.

    • @sealjune
      @sealjun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건 좀ㅋㅋ
      현대인들 1층이나 초고층이나 퇴근하면 집에서 죙일 누워있거나 자는건 똑같은데
      1층에 살면 무슨 흙밟고 사나요 ㅋㅋㅋ

    • @sealjune
      @sealjun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yk7hk6ez5h 나 반지하 사는데 지기 엄청 받고 사는건가요 ㅋㅋ

  • @user-ic8vl9ni2r
    @user-ic8vl9ni2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20층 시상 아파트들 엘베 기다리다 돌아 버림. 진짜 비추.
    아파트 밀집지역 신호등 너무 많음. 돌아 버림.

  • @professional9332
    @professional933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주거는 5층까지가 최적입니다.태양의 햇살이 땅과 화학적 반응으로 에너지를 발산하여 사람은 그 기운으로 신체의 균혀믈 이루게 됩니다.

    • @user-mh2tf6ug7j
      @user-mh2tf6ug7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햇빛않들어서 ㅠ

    • @user-vr2gx4tk9o
      @user-vr2gx4tk9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이들 키울때 5층이 엘베타기시간없을때 계단으로 다녀서 자유롭고 소음이 없고 이사할때 사다리차 안전하게 옮기는거같아좋아요

    • @user-vr2gx4tk9o
      @user-vr2gx4tk9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남향이라 오후 4시까지 겨울에도 따뜻하고 난방비 적게나옵니다

  • @sunkhan4252
    @sunkhan425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고층건물은 전시에 대공포의 가시권 시야를 막을뿐만 아니라 사각 방해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여기 저기 일정 거리마다 그 지역일대 고층건물에 대공포 진지를 당연히 설치해야 합니다~!
    비용 또한 안보상 팔요하기도 하지만, 애초 그 고층건물을 짓지 않는다면 기존 시설이나 지상포대로 가능한데, 새로운 고층건물 신축으로 기존 대공포 시설이 못쓰게 되거나 방해를 초래하기 때문에 원인자 비용부담 원착상 사업시행자가 부담하는 것이 부당하다 할 수는 없습니다~!
    물론 국방비가 충분히 남을만큼 여유가 있다면 국가에서 부감할 수도 있겠지만 우리나라 예산이 늘 빠듯한 현실이니, 사업자에게 사업인허가 조건으로 부담시키고 있는 것입이다~!

  • @user-yl5fs2bj6e
    @user-yl5fs2bj6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 @MrSimultr
    @MrSimult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일반적으로, 산악지형에서는 강 위에 저항체가 없어서 적 침투로로 최적입니다. 그래서 강위 위주로 전투와 진격.큰 길도 마친가지죠. 그래서 강주변은 무조건 쫌쫌하게 방어 진지가 있죠. 그러다보니 강주변은 전시 우선 공격대상이 되겠죠.

  • @YWG111
    @YWG11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길이가 2배가 되면 제일 높은층을 기준으로 8배 더 흔들립니다.

  • @sdy8442
    @sdy844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앞으로 몇십년후 이 아파트 처리 할려면 폐기물 처리비용 감당이 안될건대

  • @user-cr6ri6jq5o
    @user-cr6ri6jq5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오세훈은 한강변에 땅가진자만 서울시민인줄 아는지 ?
    다른곳은 고도제한도 안플어서 겨우 7층도 못 지는곳도 수두룩합니다

  • @user-lj5ct4eb2e
    @user-lj5ct4eb2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초고층은 사람이 살곳은 결코 아니다 !
    미친 놈들 , 어는 한놈 초고층이 사람에게
    위해 하다는 팩트를 언급 한 놈이 없다 !
    이게 이나라가 부동산 투기 공화국이라는 걸 여실히 증명하고 있다 !

  • @user-rc4lw7ss5i
    @user-rc4lw7ss5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평소에는 문제가 없지만,
    유사시에 물, 전기공급 차단되면 7~8층 이상은 사실상 주거가 불가능하다 봐야..

  • @user-fw7fr2uj9r
    @user-fw7fr2uj9r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잠실 롯데 타워 꼭대기층(123층?)은 군사시설입니다.
    일반인 출입금지이며 엘베 가지 않아요.
    롯데타워 방문시 122층에서 아무리 찾아봐도 꼭대기층 가는 계단이 안보였음.

  • @user-ig3xr5dk9g
    @user-ig3xr5dk9g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잘 보고 있습니다 장기지님 장위 15 구역도요

  • @junyshin5843
    @junyshin5843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근데 대공포 있는 건물은 타켓 1순위겠네....

  • @bondjamse940
    @bondjamse940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항상 재밌는 정보

    • @user-lu6iv8ks3o
      @user-lu6iv8ks3o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높게 짓는 건 무서워요 ~

  • @nar-lk3ty
    @nar-lk3t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5

    피난계단이랑 그냥계단이랑 달라요.
    그냥계단은 그냥계단입니다.
    피난계단은 이중으로 되어있어요. 계단칸 가기 전에 빈 공간이 존재하죠. 쉽게 말해서 복도에서 계단으로 가려면 문을 2번 열어야한다는겁니다.

    • @user-cg8fu7eq2d
      @user-cg8fu7eq2d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이중으로 되있는 계단전실이 있는 계단은 특별피난계단입니다. 그냥 피난계단하고 달라요

    • @alexlee1123
      @alexlee1123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특별피난계단 들어가는 중간인
      전실은 연기가 없도록
      제연설비가 들어가 있어서
      일부연기가 들어가더라도 연기는 배기되고
      신선한 공기는 화재시에는 특별히 계속 공급됩니다.
      언더스탠딩은 바보들의 대화이군요.

    • @newtonisaac3769
      @newtonisaac376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고층빌딩에서는 사람 성격에 유형에 따라 다양한 스트레스 받는다고 합니다.

    • @user-hl6so3mg9h
      @user-hl6so3mg9h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보통 35층짜리 아파트라면 안방 실외기실에 가보면 바닥에 철판으로 덮힌 무엇인가가 있을겁니다. 그게 그겁니다

  • @tui3ksgk2yxh
    @tui3ksgk2yxh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고층의 붕 뜬 느낌 싫음. 5층 내외가 제일 적당하고 쾌적함.

  • @mymyr
    @mymy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49층이 낮아? ㅡㅡ 상대적으로 낮다고 하겠지만 49도 너무 높다

  • @user-hb9qy9rq7n
    @user-hb9qy9rq7n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피난계단을 일반계단으로 인식하세네요. 무역센터 가보면 비상계단과는 별개로 피난계단이 있습니다. 별도의 공간으로 만들어 운영하고 있죠. 사무실 벽에 그 공간으로 가는 문이 존재하죠.

  • @user-tc6lt1ez6z
    @user-tc6lt1ez6z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감사합니다.

  • @user-pn5vx3it8b
    @user-pn5vx3it8b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5

    30층 이상에 살면 대분분 건강이 안좋고 제 주변 어르신들은 일찍 돌아가시더라고요.. 의사도 그러시던데 그래서 저도 20층 이하로 찿아요ㅜ

    • @user-pe1du7vy3r
      @user-pe1du7vy3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전 3~4층만 몇달전 3층에서 불났는데..4층 사는 30대 가장이 떨어져서 숨져서..ㅠㅠ..비극..아파트공화국

  • @seunghyunpark3196
    @seunghyunpark3196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전 웃긴게 두개 있습니다. 하나는 우리나라 건물은 왜 30년만 되면 재건축해야하나요? 아파트를 흙으로 짖나요?3-40년 만에 새로 지을꺼면 건축비 또 내야할텐데 그럼 임대해서 사는게 좋치
    집을 사는건 봉이 아닌가요? 더욱이 초고층으로 지었다가 3-40년 후에 재건축 할껀가요? 그땐 새아파트를 사는 비용보다 재 건축비가 더 비쌀듯한데요
    두번째는 우린 국가가 부담해야 할 껄 국민에게 부담시킵니다. 집을 수리하는데 유적이 나와도 개인이.. 건물에 방공 시설을 설치하는데도 국민이..(이렇게 깡패처럼 하는게 의외로 다양하게 많습니다.) 70년대는 국가가 돈이 없고 빨리 무언가를 하고 발전을 해야하니 그렇다고 칩시다. 그런데 지금 국가가 돈이 없습니까? 왜 이런겁니까?

    • @Panorama-memory
      @Panorama-memor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콘크리트 건물들 기본적으로 반영구적이라서 100년도 넘게 쓸 수 있어요. 미국만 해도 100년 가까이된 마천루들 잔뜩 있음.
      한국에서 재건축을 하는 이유는 여지껏 재건축하면 공짜로 새집을 받기 때문이었지요. 왜 30년 마다 냐면 그때부터 재건축 허가가 나기 때문이고요. 그때부터는 더 빨리 망가지라고 관리 자체를 안하거나 빨리 허름해지라고 온갖 짓을 하거든요.
      당연히 배관이건 뭐건 다 수리 리모델링 가능합니다. 안하는거에요. 재건축 하려고..
      근데 이제는 공사비가 너무 올라서 사업성이 안나옵니다. 지금도 10층 이상되는 아파트들은 사업성이 없어요. 분담금 5억씩 내야함.

    • @user-lz4lm1sn5m
      @user-lz4lm1sn5m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이제는 국가에서 건축에대한꼼꼼한 안전관리필요

    • @user-wf6yx8ce9l
      @user-wf6yx8ce9l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그 국가돈이 어디에서 나온다고 보십니까? 우리 월급봉투에서 나갑니다.

    • @seunghyunpark3196
      @seunghyunpark319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니깐요 제가 하고 싶은 말이 자원의 낭비라는 겁니다.. @@Panorama-memory

  • @soohwanoh3483
    @soohwanoh3483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0

    엘리베이터가 노후되어서 재설치하려면 지옥문이 열리죠.
    보통 아파트 보면 두 집에 엘리베이터 한 개 구조로 되어있는데...
    옜날 복도식 처럼 만들고 엘베가 2개 이상 있으면 한개씩 교대로 교체하면 되는데...
    한 달간 그 구조에서 엘베를 못 쓰면...

    • @user-qx9yd5hf4s
      @user-qx9yd5hf4s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고층 안살아보셨나? 30층만 넘어도 두집에 엘베 2개가 기본이에요 고층은. 초고층은 두집에 3개 이상이고. 근데 평수가 작은 동이라면 모르겠네요 전 큰평수라서

    • @soohwanoh3483
      @soohwanoh3483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user-qx9yd5hf4s 30층 미만 여의도나 분당에 안살아봤나봐요?
      50평인데도 다 엘베 하나랍니다.
      새로 생긴 동네에 사나봐요

    • @user-om5jm5bh8r
      @user-om5jm5bh8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user-qx9yd5hf4s얄밉게 말하시네

    • @FOCUS_ON_777
      @FOCUS_ON_77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user-qx9yd5hf4s 초등학생도 이걸 자랑이랍시고 말 안할 것 같은데

    • @user-wk1ft1nr2f
      @user-wk1ft1nr2f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그리고, 생각해 보면, 복도식 아파트가 보안에 훨씬 더 좋음.
      1)당연히 집이 많으면, 지나가는 사람이 많아, 더 안전함.
      2) 외부에서 복도쪽에 잘보여 더 안전함.
      다만, 어쩔 수 없이 복도쪽에 창문을 내야 하니, 사생활 존중이 안되고,
      그 창문을 넘어 올 수 있으나, 감시의 눈은 많아, 어려울 것 임.
      나라도 누군가 창문으로 넘어가는 걸 목격하면 경비실에 전화해 줄 것임.
      그리고, 엘리베이터도 여러집에서 여러개를 같이 쓸 수 있는
      복도식이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어 훨씬 좋음.
      복도식 아파트 사는데, 집에 갈 때마다, 아래서 동 전체 복도가 훤히 보여, 진짜 안전한 느낌 들었음.

  • @user-ll7rv8io4c
    @user-ll7rv8io4c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초고층도 너무 초고층입니다. 관리비 내고 살수 있을까요?

  • @user-tz7vx5tf6g
    @user-tz7vx5tf6g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휴전 국가에서 초고층 아파트를 허용하는 것도 이해가 안된다. 전쟁 안난다는 보장도 없는데 전쟁나면 제일 쉬운 공격 타킷이 된다.

  • @KoreanFarM-bj9cx
    @KoreanFarM-bj9cx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소방차가 진입가능한 곳까지만요. 15층 이하. 관리소 소방시설 믿으면 안됩니다 .

  • @paul-rhee
    @paul-rhe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근데 대공방어는 해주면 좋은거지 저걸 단점으로 보면 안되죠 휴전국가입니다.

  • @cheongbj
    @cheongbj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저는 작년말에 65층 아파트 41층 살고 있고 엘베는 저층 중층 고층 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제 연령은 58세이고 와이프 두딸과 살고 있습니다.. 그전에 살전 아파트는 20층 아파트 8층 살았었고 인생 대부분 비슷한 층에서 살다가 신축아파트 이사왔는데, 저희가족 의견 들어보니 대부분 반응이 좋습니다. 물론 층이 높아서 엘베기다리는 시간도 있고 불편한점도 있지만 근래 신축 주상복합같은 경우 편의 시설이 잘되어 있고, 일단 고층은 해충이 없어서 너무 좋습니다. 사람마다 호불호가 있지만 어쨌든 저는 고층은 처음 살아보지만 만족도는 좋습니다. ~ 해당 동영상의 경우 주택을 실제 소유하는 입장에서 주로 얘기하신것 같은데, 임대인 입장에서는 너무 좋습니다. 참고하세요.~

    • @user-vs9pz6jz8c
      @user-vs9pz6jz8c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해충같은 건 요즘에는 저층에도 없습니다. 어차피 도심에서는 문 열어 놓고 살 지 않습니다.

  • @mestorylife
    @mestorylif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20층 넘어가면 무섭더라

  • @user-ft3qv8es7s
    @user-ft3qv8es7s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국방 먼저죠 하지만 일부 국방비 지원은 해야한다
    멸공해야합니다

  • @jihoonjang3737
    @jihoonjang373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1층이 얼마나 좋은데 ㅋㅋ 채광문제가 없는 앞동에 살면 최고입니다.

    • @user-bn8tm4ej9d
      @user-bn8tm4ej9d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1층 살아봤는데
      바닥에서. 냉기올라오는게. 장난 아닙디다
      난방비 더나와요

    • @hellensung-1675
      @hellensung-1675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환기도 윗층들 보단 잘 안돼요.

    • @user-cq5ms6vc9y
      @user-cq5ms6vc9y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단독주택이 최고! 특히 시골집.

  • @user-zw5en9zt6m
    @user-zw5en9zt6m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 조사 연구된 발표에 의하면,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고층아파트에 사는 사람일수록 병원에 가는 횟수가 많아진다고 합니다. 여러가지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고 하는군요. 인터넷에서 찾아보면 그러한 기사들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고층아파트의 또다른 문제는 약30여년후 재건축시 어마어마한 철거비와 재건축비를 감당하기 어려워 빈민 슬럼가로 변할 것이라는 것입니다.
    기타 다른 문제도 있지만 생략합니다.

    • @sealjune
      @sealjun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고층이면 귀찮아서 외출이나 운동을 자주 안나가게 되겠죠
      한마디로 생활 습관의 차이지지
      그 외엔 특별한 상관 관계는 없을거 같네요
      재건축은 요새
      일반 아파트들도 분담비가 점점 늘고 있는 추세라
      고층 저층을 떠나 전체적으로 슬럼화 될것 같고
      이제 아파트로 돈버는 시대가 끝나가는 상황이라고 봐야할듯

  • @MrLittletarzan
    @MrLittletarzan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대공포가 설치된다면 적의 1번째 타겟도 되겠네요. 공습전에 상대방의 레이더(기지)와 대공미사일, 포대를 먼저 정밀타격하는 것이 기본이니까요. 물론 드론공격이나 북한의 경우 레이더에 걸리지 않는 방법으로 특수부대를 보낼수도 있겠고. 어째되었든 비용대비 효용이 낮아 보입니다. 보안, 안전, 비용 쾌적함 면에서 모두.

    • @ab-xo6xl
      @ab-xo6xl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뭐 대공포있다고 제1타깃이면 ㅅㅂㅋㅋㅋㅋㅋ
      휴전선 근처 군부대가먼저겠지

  • @user-tr4en2dt3u
    @user-tr4en2dt3u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난 17층에 살아봤는데
    고층이라고 좋은게아니다
    뷰? 환기할때 잠깐열고
    일주일에 7일은 커텐치고삼
    바쁘면 비상계단으로 내려갈수있는
    1~5층 저층이 훨낫다

  • @daehwanhan
    @daehwanhan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비상식량??
    기둥은 굵다로 표현하는게 일반적이지 않나요?? 벽이나 두껍다고 하는거 아닌가요?

  • @user-qk4wy8pf9v
    @user-qk4wy8pf9v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언더스탠딩이 젤재밌넹~~두프로

  • @ljs2358
    @ljs2358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좋은 취재 감사합니다!

  • @user-no6rf6ho6r
    @user-no6rf6ho6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대한민국 현실은 분명히 종전이 아닌 휴전상태ㅠ

  • @user-zs4zp1wx4m
    @user-zs4zp1wx4m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고층아파트는 세월가서 재건축 하려면..수지타산이 안맞으니 그냥 날라가는 돈 아닙니까?

  • @LeeGabrielWhoamI
    @LeeGabrielWhoamI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한강변 또는 주요 거점에는 차기 이동수단인 UAM(AAM) 착륙장 등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용하기 위한 고도제한도 있습니다.

  • @user-yp7cs6do3m
    @user-yp7cs6do3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누가 높은건물 지라고 했냐고 ..그러니 고층건물짓는쪽에서 대공포시설과 피난처도 마련해야하는게 맞는거지요.

  • @yoonmiparkinbris
    @yoonmiparkinbris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사람도 결국 자연의 일부다. 만물의 영장은 자고로 땅의 기운, 자연의 소리를 느끼며 사는것이 진리다...... 허공에 붕 떠서 오래 살면 몸에 병이 나기 마련....

    • @sealjune
      @sealjun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 반지하 사는데 땅의 기운 듬뿍 받네요 ㅋㅋ

  • @user-younataemin
    @user-younataemin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1

    저는 고층아파트 보고는..
    야.저거 20년지나 구축되면 골아프겠다 싶더군요.

  • @user-rf7rx1yg8d
    @user-rf7rx1yg8d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서울에.한강주변은.성냥곽처럼,세게에서.큰강을끼고잋는도시중에,다른나라들도시를보면.엄청화려하고.아름답고.서울은.한강유람선을타보면,아파트가.기게로찍어내것처럼.성냥곽처럼둘려싸여.도시스카이라인이없이,한강변은,도시경관은,60.70년대건물그대로.방치되여.시대에한참뒤떨어지고,.강을낀세게다른도시는.서울처럼이른도시경관은.유레를찾아보기힘들다

  • @user-kp4si6zx2k
    @user-kp4si6zx2k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나는 이푸로의 유머에 항상 웃는다ㆍ! 머리가 휙 휙 도는게 너무 재미있다ㆍ

  • @raykim1812
    @raykim181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담배 1개비를 피우는데 3분정도 걸린다고 계산하면 1갑(20개비)은 60분..하루에 1갑을 피우면 1시간을 흡연으로 허공에 날리는 셈이다. 이것과 마찬가지로 앨리베이터를 기다리고 오르내리는데 소비되는 시간 또한 인생에서 낭비되는 것은 분명하다.

  • @user-hr3lt4bh9e
    @user-hr3lt4bh9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60층아파트의 54층에 사는데 지하4층, 엘베 8대입니다. 저층,고층,전층 나눠져있으며
    엘베 초스피드라 눈깜빡할사이 도착. 별로 불편하지않아요.

  • @user-ms8zr7dx9s
    @user-ms8zr7dx9s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기자님, 공기의 질 등 위생적으로 고층, 저층, 등 가장 위생적인 층이 궁금하네요.

  • @hanvieths1363
    @hanvieths1363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안보의식이제로네.장난처럼 말하는것좀고쳐라

  • @user-xg1fj6hw5k
    @user-xg1fj6hw5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20층이하가 조은것같아요ㅡ2ㅡ7층 까지가ㅡ젤 몸에조은듯

  • @user-gu1tz6qm1g
    @user-gu1tz6qm1g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초고층 빌딩 지을 때마다 국방부가 방공시설을 지어야 한다고 말하시네. 대한민국 국방비가 화수분인가? 고층건물 미사일 날아와 피폭되면 사람 목숨값, 건물값 등 손해가 막심할텐데 거대 건물주가 그 돈을 아껴요? 화재보험료처럼 전시 보험료로 생각해야지.

  • @user-jv2ug8ks7v
    @user-jv2ug8ks7v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매번 느까는데,, 패널로 나오시는 분들의 이야기를 경청 하고 싶어요
    사회자분들의 계속되는 질문에 듣기가 힘들어요. 조금 자제해 주시죠

    • @user-xm5qv5xw6k
      @user-xm5qv5xw6k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경첨만하면 무슨잼

  • @user-ch6vl5be1l
    @user-ch6vl5be1l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초고층 아파트는 나중에 재앙입니다 . 아니 초고층이 아니더라도 10층 이상만 되도 나중에 다시 지니건축 할때는 재앙입니다 .

  • @mwseo777
    @mwseo77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정확히 이야기해요

  • @jeongsucheol
    @jeongsucheol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3

    군대 전역하고 대학교에서 군대 썰 풀었는데 서울에 고층 빌딩에 방공포대 있다고... 발칸 설치 되있다고 이야기하니깐 전부 안 믿었음..

    • @alexlee1123
      @alexlee1123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

    •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로봇 태권브이 기지가 설치 되어 있다고 해야 믿습니다.

    • @aikawa1
      @aikawa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수방사 전우군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kd3ow1qn3d
      @user-kd3ow1qn3d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63빌딩 팔당댐..저는 26사 방공..

    • @user-uy7bz7de9j
      @user-uy7bz7de9j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초탄필추 웅비방공

  • @Gyumigyumi616
    @Gyumigyumi616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이프로님 역시 한번 웃겨주시네 ㅋㅋ 국가기밀드립 ㅋㅋㅋㅋ.

  • @user-cb7xz8bv8i
    @user-cb7xz8bv8i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대한민국의 비극적인현실을놓고 웃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ㅡ농담따먹기식으로하지마시고 슬픕니다

  • @ygeehan399
    @ygeehan39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항상 긍금한건 그 건물 수명은 무제한 입니까?? 재건측할때가 되면???

  • @Black-pj9xq
    @Black-pj9xq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ㅋㅋㅋ 낮게 저도 설치해야할 골조도 다빼먹고 짓는데
    30-40층 건물 골조를 제대로 짓겠나
    완전 차이나 수준의 한국 건설회사들의 자랑스런 긍지가 있는 마인드로

  • @anna-xm9wo
    @anna-xm9wo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 @09182ji
    @09182ji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9-14층이 살아보면 제일 좋아요. 편리성이나 여러모로 딱 좋더라고요. 살아보니 하늘만 보이는 곳이 가장 안좋은거 같아요. 전 그다음 안 좋은 곳이 큰 대로변이나 강이 주로 보이는 곳이 정신적으로나 건강적으로 안 좋더라고요.

  • @pialee4570
    @pialee4570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드론같은게 어디까지 영향을 미칠지 모르지만 미래세대를 위해 하늘은 좀 남겨야하지 않나?
    오히려 층수를 낮춰야할판인듯

  • @user-qe5ez1wk8g
    @user-qe5ez1wk8g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대공포 올라간다?
    반대로 적 타격 목표 지점이 되네요
    유사시 미사일 한방씩은 다 맞는다
    생각 해야 할듯

    • @sang-hyun7594
      @sang-hyun7594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쟁시 미사일 한발이 얼만지 아세요? 그 비싼 지대지 미사일을 대공포 하나 때려잡자고 사용 안합니다 대공포 정도는 유도탄으로 전투기나 폭격기에서 투하해서 쓸어버리지 발당 수십억 하는 미사일을 대공포 하나 잡자고 ㅎㅎㅎ 대공포 진지를 고층 빌딩에 설치하는것은 전쟁시 적 항공기 전투기나 무인기 드론을 사격해서 잡아야하는데 고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좀더 빠른 시간에 잡을수있고 대공포 탄 의 사거리가 한정되어있기 때문에 또 사격 각도가 도심지 빌딩 밀집지역에서는 주위 건물로 인해서 각도가 안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