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돼지고기를 안먹는 종교, 소고기를 안먹는 종교 / 💀 종교는 왜 고기를 못 먹게 할까?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5 ธ.ค. 2022
  • 🏴‍☠️지식해적단 멤버십 가입
    / @studio_pirates
    ☠ 궁금한 거? 구독과 좋아요만 눌러주면 우리가 알아서 약탈해줄게! 🦜
    이슬람교 신자들이 돼지를 먹지 않는 것, 힌두교도들이 소를 먹지 않는 것은 유명합니다.
    최근 열리고 있는 카타르 월드컵도 관광객들이 술이나 돼지고기를 제대로 먹을 수 없어
    여러 불편한 점이 있다는 얘기가 많이 들렸죠.
    한국인에게 익숙한 종교인 불교 역시 육식을 권장하지 않으니
    종교적으로 고기를 금하는 것이 어느 정도 이해는 돼요.
    그런데 왜 이슬람교와 힌두교는 ‘특정한’ 고기만 먹지 못하게 하는 걸까요?
    지식해적단과 함께 알아봅니다.
    #이슬람교 #힌두교 #돼지고기 #소고기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2K

  • @tak1635
    @tak1635 ปีที่แล้ว +34

    소 - 소가죽과 우유를 얻을 수 있고 노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음.
    양 - 양털과 우유를 얻을 수 있음.
    닭 - 달걀을 얻을 수 있음.
    돼지 - 고기가 되서야 비로소 가치가 생김.

  • @user-to2we4nn7x
    @user-to2we4nn7x ปีที่แล้ว +1318

    이런거 보면 진짜 종교는 사람 다스리고 안정시키기 위한 장치였다고 밖에 생각이 안듦 진짜 신이 있는지도 모르겠고 내가 무교라 그런지 몰라도

    • @Nightmare-vo5fl
      @Nightmare-vo5fl ปีที่แล้ว +259

      님말이 맞음. 요즘은 종교가 사실 필요없음. 반박시 천국감

    • @koabounga
      @koabounga ปีที่แล้ว +266

      @@Nightmare-vo5fl 반박시 순교시켜버리겠다는 무서운사람..ㄷㄷㄷ

    • @user-ns2be1xi7u
      @user-ns2be1xi7u ปีที่แล้ว +36

      관점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당장 눈앞에 보이지 않고, 경험해보지 못했기 때문에 더 믿기 어렵기도 하죠.
      육과 영을 이해하는 시선은 다른데 같은 시선으로 생각해서도 있기도 한 것 같아요.

    • @user-bi6tl4tt5f
      @user-bi6tl4tt5f ปีที่แล้ว +198

      없어요. 그냥 체제유지를 위해 있는거에요.

    • @Yuno_tschoe
      @Yuno_tschoe ปีที่แล้ว +54

      @@user-ns2be1xi7u 닉값ㅋㅋ

  • @ohnato
    @ohnato ปีที่แล้ว +69

    금기시 하는 것은 대부부분 나름에 합리적 이유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이유는 잊혀지고,
    금기만 남습니다.
    결국 지켜야할 이유가 없어도, 관습으로 남는 거죠.

  • @Collaintp
    @Collaintp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소 : 노동력 , 가죽 , 육류 , 우유
    말 : 노동력 , 가죽 , 육류
    양 / 염소 : 모직물 , 육류 , 우유
    닭 : 육류 , 계란
    돼지 : 육류

    • @aetel736
      @aetel73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니엄마 : 노동력 , 가축 , 우유 , 육류 , 케찹 , 계란 헉 만능이노

    • @tvseark920
      @tvseark92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etel736
      니아빠: 의 , 식 , 주 , 창조 신이네 ㅅㅂ

  • @yl920
    @yl920 ปีที่แล้ว +1306

    와 진짜 각 종교마다 고기 금지하는게 하나도 이해가 안됬었는데
    이렇게 알기 쉽게 기원을 알려주시니 왜 그런 규율 들이 생겼는지 한번에 이해가 가네요!!

    • @user-qwer1234
      @user-qwer1234 ปีที่แล้ว +34

    • @hamagum
      @hamagum ปีที่แล้ว +4

      되지

    • @yacht-responce
      @yacht-responce ปีที่แล้ว

      인도가 신성시하는건 어려울수 있는데
      돼지가 어떻게 사는지 또 이슬람이 왜 금지하는지(=더럽다고 생각함) 알면 돼지는 너무 쉬움

    • @Kimdohan_1972
      @Kimdohan_1972 ปีที่แล้ว +38

      어떻게 보면 인간의 번식과 생존력을 높이기 위한 장치였던 거죠...

    • @user-vz8on4lq4z
      @user-vz8on4lq4z ปีที่แล้ว

      우리나라도 개빠교라고 개고기 먹으면 큰일나는 줄 아는 종교가 있습니다

  • @tladnwls1234
    @tladnwls1234 ปีที่แล้ว +67

    오늘도 고퀄영상 감사합니다............

  • @musicandsky
    @musicandsky ปีที่แล้ว +15

    먹고 사는 것이 쉽지 않지요..
    재미있게 시청했습니다 ^^
    감사합니다 👍👍

  • @the1church
    @the1church ปีที่แล้ว +5

    유익한 내용 재밌게 잘 봤습니다!ㅎㅎ

  • @user-bp5rk5uu3y
    @user-bp5rk5uu3y ปีที่แล้ว +1039

    종교는 이럴 때 '안전수칙'으로 사용됐다는 말이 너무 표현이 잘됐네요

    • @user-wp6vy3qx4h
      @user-wp6vy3qx4h ปีที่แล้ว +169

      어찌보면 종교는 고대시대의 일종의 안전수칙이자 법이라고 볼 수도 있죠. 남에게 잘대하라는 종교의 가르침은 계층상 상하관계에 윤활유가 되고 종교 최고지도자는 왕 혹은 그이상의 권력을 부여했죠. 현재의 종교는 상대적으로 구시대적인 면모가 있지만 그래도 인류역사를 진보시킨 하나의 방법이었다고 생각해요.

    • @user-bp5rk5uu3y
      @user-bp5rk5uu3y ปีที่แล้ว +47

      @@user-wp6vy3qx4h 그러게요. 그 사회공동체를 다스리기 위한 수단으로 적합한 것을 골랐다는것이라는 관점에서 보니 새로운 느낌이네요

    • @user-wp6vy3qx4h
      @user-wp6vy3qx4h ปีที่แล้ว +25

      @@user-bp5rk5uu3y 물론 사이비 같이 종교의 계급 시스템을 사용해 더러운 방식으로 쓰는 꼬라지는...

    • @ykstrike
      @ykstrike ปีที่แล้ว +1

      @@user-bp5rk5uu3y 그러게요

    • @cookiesandcream9938
      @cookiesandcream9938 ปีที่แล้ว +57

      안전장치맞음
      당시엔 거의 인권 조까라 시대니 종교라는 안전장치를 깔아서 부자들이 빈민을 돌보게하고 선행을 베풀게 할 동기를 부여했다고 봄 또한 나쁜일을 하지않고 착하게 살 동기도 주고 다만 종교가 오래된거다보니 오래된게 많음 크리스도교도 지금 이슬람교같이 성전이나 테러 했었고 시대적으로 맞지 않는거 ex) 자살하면 지옥감 남녀 차별 도 있었지만 종교지도자들이
      고치니깐 그나마 욕 덜처먹는거임

  • @fastfan
    @fastfan ปีที่แล้ว +880

    '안전수칙' 이 말 하나로 요약되는 영상이군요.
    환경과 정치적 이해 관계에 의해 종교에 반영된 동물에 대한 교리... 정말 잘 봤습니다.
    맞다 틀리다를 떠나서 영상 내내 흐르는 의식의 흐름이 너무나 탁월합니다. 엄지 척 하고 갑니다.

    • @kanghyunyoo6690
      @kanghyunyoo6690 ปีที่แล้ว +2

      감사합니다.

    • @bluerose6658
      @bluerose6658 ปีที่แล้ว +71

      큰 오류가 하나 있는데, 불교에서 육식을 금지한건 중국 양나라 무제 때 일이지 처음 불교가 태동할 때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잘못된 정보를 사람들이 알게 될까봐 적습니다.

    • @user-uh3er2gz5p
      @user-uh3er2gz5p ปีที่แล้ว +2

      @@bluerose6658 ㄳ

    • @user-wp6vy3qx4h
      @user-wp6vy3qx4h ปีที่แล้ว

      @@bluerose6658 그건 ㄹㅇ 걱정됨

    • @thisisgoogleaccount
      @thisisgoogleaccount ปีที่แล้ว +7

      살생을 금지시켰다는 내용이 언급되지 태동하던 시기부터 육식을 금지시켰다는 내용은 없는데?

  • @user-tq5cg6ry8w
    @user-tq5cg6ry8w ปีที่แล้ว +1

    너무 유익하고 재밌습니다 구독~

  • @zihozeon410
    @zihozeon410 ปีที่แล้ว +23

    몽골에도 살생을 금하는 불교가 들어갔는데 유목생활을 하면서 고기를 떼고 먹고 살 수 없었기에 교리가 좀 바뀌어서 물고기, 생선에 국한해서 금지되었다는 얘기를 들었음. 물론 망망대륙 바다 구경 못 하는 몽골에서는 구경도 할 일 없을 물고기니깐.

  • @bangdoll4500
    @bangdoll4500 ปีที่แล้ว +66

    참고로, 유럽에서도 돼지고기는 20세기 이전까지는 소고기 보다 비싼고기 였습니다.
    질소비료를 대량생산 하면서, 돼지와 소를 먹일만한 대량의 옥수수 재배가 가능해 집니다.

  • @PositivePossum518
    @PositivePossum518 ปีที่แล้ว +467

    덕분에 돈까스 우리가 잘 먹을게~ 이슬람 이슬람아 고마워~~~~

    • @banana-milk
      @banana-milk ปีที่แล้ว +63

      ???:어 너 쿠란 안믿으니 너 참수

    • @korean650
      @korean650 ปีที่แล้ว +56

      @@banana-milk???:어 너 기독교 무시하니 화형

    • @user-ws6jr9di7v
      @user-ws6jr9di7v ปีที่แล้ว +40

      @@korean650 ???: 어? 너 불교 무시하네. 너 참수

    • @jih199846
      @jih199846 ปีที่แล้ว +51

      니체: 이래서 내가 신을 죽인 거다.
      카를 마르크스: 니들 약 🧪빨았냐?

    • @korean650
      @korean650 ปีที่แล้ว +2

      @@user-ws6jr9di7vㅋㅋ

  • @user-pz5ws9gm1w
    @user-pz5ws9gm1w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 @user-of4wm9jv9q
    @user-of4wm9jv9q ปีที่แล้ว +54

    예전에 회사 다닐 때 우즈백 출신 외노자가 식사배식 받을 때 돈까스 처럼 생긴 메뉴가 나오면 조리사한테 한국말로 "무슨고기..?" 하고 물어보던 생각나네

    • @moonp3890
      @moonp3890 ปีที่แล้ว

      이슬람 놈은 할랄 아닌 거 할랄이라 뻥쳐서 먹이고 돼지고기 패티 햄버거 구라쳐서 먹여야 함

    • @user-rw9du8kn8z
      @user-rw9du8kn8z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우즈백 외노자 : 돼지 ?! 아잉 좋아

  • @kyubokhan3937
    @kyubokhan3937 ปีที่แล้ว +8

    이번에도 이 주제의 최고의 컨텐츠 뽑아내셨네요!!

  • @dol.destiny
    @dol.destiny ปีที่แล้ว +7

    요즘 정말 업로드가 잦은데 정말 좋아요 ㅜㅜ
    정말 재미 있어요

  • @user-fv8ng4ju2g
    @user-fv8ng4ju2g ปีที่แล้ว +19

    다른 것들도 너무 재밌고 유익하게 보았지만,구룡채성이 가장 인상깊었습니다.
    마지막에 다른 나라에도 구룡채성 같은 도심 속 던전이 있고,기회가 된다면 소개해 주신다고 하셨는데,
    다른 나라의 도심 속 던전도 알아보고 싶습니다.
    다른 나라의 도심 속 던전도 알아봐주세요~!!!

  • @Noneedyourmoney3950
    @Noneedyourmoney3950 ปีที่แล้ว +2

    종교 교리랑 율법을 주제로 동영상이 시작을 했지만, 중간에는 정치랑 역사, 끝에 가서는 동물권과 환경을 생각할 수 있어서 오랜만에 배울 점이 많은 교양서적 한 권을 읽는 기분이였습니다.
    마치 동전의 양면처럼 좋은 점과 나쁜 점을 알 수가 있었네요.

  • @hanbok9225
    @hanbok9225 ปีที่แล้ว +9

    요즘은 특히 해당 종교국 밖에서는 고기 금지가 그다지 엄격하진 않은 모양이에요. 예전에 인터넷에서 썰을 봤는데, 방글라데시 출신 노동자분이 한국에 취업했는데 사장님이 방글라데시(이슬람교)와 인도(힌두교)를 구분하지 못하고 자네 나라는 소를 안 먹으니까~ 하면서 삼겹살을 대접했대요. 근데 그냥 적당히 맞춰줘서 잘 먹고 나서 회식 끝나고 나서 사장님 사실은요, 하고 말하더래요. 신경을 써주면 고맙긴 하지만 이렇게 실수하는 경우도 은근 있고, 타지에서 적당히 맞춰주는 유도리는 있다나봐요.

    • @JH-ek5bn
      @JH-ek5bn ปีที่แล้ว +3

      엄격하지 않다기보단 보는 눈이 없으니 일탈이 가능하다고 보는게 맞을듯
      우리나라 사람도 대마 합법화된 지역에 있으면 하는 사람있는것처럼

  • @user-xl9et9kh3p
    @user-xl9et9kh3p ปีที่แล้ว +334

    소, 양, 염소, 말 같은 동물은 목축민들이 주로 키우는 동물인데, 모두 풀만 먹고 건조한 기후에서도 잘 자라며, 젖을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즉, 인간이 선호하는 먹거리를 피하면서도 도축하지 않아도 부산물을 제공하는 것이죠. 돼지는 주로 열대/아열대에 서식하고, 땅속에 뿌리나 곡식, 벌레, 고기까지 먹는 잡식성입니다. 털이 없어서 피부가 빨리 건조해지기 때문에 습한곳을 좋아합니다. 고기 말고는 얻을 것이 없고요. 앞서 말한 동물들과 함께 다니기에는 너무나도 상극입니다. 게다가 돼지는 목 뒤쪽에 인대가 발달하지 않아서 이동할때 목이 흔들려서 장거리를 이동할 수 없습니다. 이런 돼지를 유목민족들이 키우는 것은 다른 가축을 버리는 것과 다름 없습니다. 초원은 봄여름가을에 먹이를 먹이는 곳과 겨울에 먹이를 먹이는 곳이 다를 정도로 척박한 환경입니다. 이동 없이는 가축을 키우는 것이 불가능하고, 땅 속에는 먹을 것도 없는 환경이며, 물도 부족하기 때문에 돼지는 이동 중에 대부분 죽어버리죠. 이런 곳에서 돼지를 키워 먹던 사람들과 그런 종교는 모두 죽어버리고, 돼지를 먹지 않는 사람과 종교만 살아남은 것이죠.

    • @user-md5ii1gk6r
      @user-md5ii1gk6r ปีที่แล้ว +6

      그렇지만, 돼지는 털이 있는데요?

    • @Sirandrewiles
      @Sirandrewiles ปีที่แล้ว +1

      @@user-md5ii1gk6r 양

    • @okinykim4044
      @okinykim4044 ปีที่แล้ว +34

      추가해서 냉장시설이 없던때 고온기후에 다른고기보다 잘 상하는 특성으로 식중독이 많았습니다. 한마디로 잘못먹으면 위험한 고기입니다. 만약 종교에서 허용했으면 많은사람들이 목숨을 잃었을 것입니다.

    • @VoidX930
      @VoidX930 ปีที่แล้ว +5

      환경이 모든것을 결정. 환경론

    • @alsid_
      @alsid_ ปีที่แล้ว +7

      생물 진화와 마찬가지로 종교 역시 무수히 많은 무작위 종교들이 등장했다가 적합한 하나의 종교만 남기고 사라졌다는 견해로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생물이 가진 유전형질의 경우 유전자 변이가 무작위적이고 통제 불가능한 반면, 종교 교리는 충분히 사제계급이 의도를 가지고 특정 방향성으로 바꿔버릴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이 브라만교가 힌두교로 바뀔때 등장했고, 특정 의도를 가지고 교리를 바꾼 종교를 만들어낸 가장 유명한 사례는 결혼문제 때문에 카톨릭으로부터 독립한 영국국교회 입니다.
      말씀하신 무작위 형질들 중 적합한 형질만 살아남았다는 원리를 적용하려면, 종교 단위가 아닌 종교 내 개별 교리까지는 내려가야 하고, 그 중에서도 교리 개정안 단위에 적용하는게 맞을겁니다.
      실제로도 어떻게 교리를 수정해야 될지에 대한 여러가지 방안들이 특정 사제의 머릿속에서, 사제들의 회의 과정에서 다양하게 튀어나왔다가 없어지고 다듬어지고 하는 과정을 거쳤으니까요.
      하지만 이 과정은 사람들의 다른 "이성적인" 대안 탐색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과학이론조차 다양한 이론이 난립하다 관측 결과를 가장 잘 설명하는 이론만 살아남는 과정을 거치지 않나요?
      사족. 종교가 원본 표현대로의 meme으로 간주되는 핵심적인 이유는 자기 자신을 복제하여 자식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퍼뜨리도록 유도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 @SupporterYi
    @SupporterYi ปีที่แล้ว +2

    오... 교육적인 영상 고마워요 지식해적단!

  • @user-ts8mh9uh4o
    @user-ts8mh9uh4o ปีที่แล้ว +1

    너무 유익한정보 감사합니다^^

  • @user-bh9kq8qx1j
    @user-bh9kq8qx1j ปีที่แล้ว +72

    그와중에 종교조차 막지 못해 스스로 종교가 된 치느님

    • @user-yh7je8wq4l
      @user-yh7je8wq4l ปีที่แล้ว +26

      먹어라, 이것이 나의 피와 살이다. (진짜로)

    • @glorytoukraine6198
      @glorytoukraine6198 ปีที่แล้ว +9

      닭은 어디서 키우든 상관없이 잘 자라니까
      +돼지보다도 가성비 쩐다

    • @Muskoka-Bala
      @Muskoka-Bala ปีที่แล้ว +7

      ㅋㅋㅋㅋㅋ 에이맨!

    • @user-ok4zf6hj7h
      @user-ok4zf6hj7h ปีที่แล้ว +4

      공룡 마시쩡

    • @isthefirstwhat7649
      @isthefirstwhat7649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요즘에는 가격 올라서 배교함

  • @user-yr4cc5ln1x
    @user-yr4cc5ln1x ปีที่แล้ว +27

    돼지는 과거 사하라 지역이 거대한 녹지와 숲지였고, 남아메리카부근이 사막이였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기후가 바뀌어 아마 이러한 이유로 한 몫 했을 것같아요. 소는 농경에 중요해서 토착 농민들에게는 귀중할 수 밖에 없었어 고요. 그런 소를 상류층이 계속 잡아먹으니..

  • @kingofny7749
    @kingofny7749 ปีที่แล้ว +5

    이 영상 보고 지식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hanskr9976
    @hanskr9976 ปีที่แล้ว +9

    대부분 좋은 내용으로 이루어진 영상입니다만, 초반부에 조금 오류가 있네요. 고기는 인류 역사 대부분의 기간에 가장 중요한 식량이고 결코 채집 따위로 대체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닌 대체불가 식량이었습니다. 그 이유는 인류가 진화한 장소와 시기가 초기에는 건조한 사바나 평원이고, 특히 본격적으로 인간이라고 부를 수 있는 에렉투스 시기부터는 아예 빙하시대였기 때문이죠. 흔히들 인류가 진화한 장소가 열매와 씨앗이 풍부한 정글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인류는 엄연히 동아프리카 사바나에서 처음 탄생했고 이 지역은 과일은 아예 없다시피하고, 작물 품종화도 안된 수백만년전에 제대로 된 곡류 씨앗을 구하기도 힘들었으며 이걸 배를 채울 수 있을 정도까지 구하는건 어불성설이었습니다. 빙하기에는 더 심해서 아예 전 지구가 사실상 건조스텝이었고 가는 곳마다 목초지 뿐이었죠. 따라서 인류 역사기간 동안 침팬지와 막 분화된 극초기 시기를 제외하면 인류는 거의 대부분 기간동안 육류가 가장 중요한 대체불가능한 식량인 시기에 살았습니다. 빙하시대에 이르면 한 가족이 메머드 한마리를 사냥해 배터지게 먹다가 비타민 A 과잉으로 인한 중독증세로 사망할 정도로까지요.

    • @user-rm5zm1et4k
      @user-rm5zm1et4k ปีที่แล้ว +2

      2 채집도 분명 중요한 에너지 공급 행위는 맞는데 육식을 대체하기 불가능한건 조금만 생각해 보면 맞을거에요. 지금 우리가 먹는 많은 야채 과일은 다 영양가와 맛이 좋게 계량된 애들이에요. 왜 초식동물이 하루종일 먹겠어요. 그만큼 효율이 떨어져서죠.우리가 아는 초식동물도 기회가 있으면 얼마든지 동물성 음식을 먹습니다. 완전한 초식은 드물어요. 고열량 에너지니까 굳이 마다할 필요가 없죠. 식물이 울창한 정글은 녹색사막이라 하죠. 생각보다 먹을게 널려있지 않아요. 과거 인류는 어땠는지 모르지만 성인 남자가 원시처럼? 야생 생활이랄까요 그렇게 살아간다 치면 하루 6000칼로리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고기를 먹으면서 뇌도 발달하고(단백질원이 공급되고, 사냥을 위해 머리를 쓰고 협력해야 하니 의사소통도 중요해지고 등) 고기로 필요 열량을 일찍 채우고 남는 시간에 여가 활동을 하면서 생각도 많아지고 손기술도 늘었다고 해요. 실제로 농경시대보다 수렵채집 시대가 더 자유시간도 많고 고열량을 섭취했다고 하고요.

  • @user-zm2rx9gp2j
    @user-zm2rx9gp2j ปีที่แล้ว +17

    와 진짜 이런 영상은 영어 자막 달아서 외국인도 보게해야한다 진짜루

  • @siwontravel
    @siwontravel ปีที่แล้ว +7

    우와 영상 너무 재밌어요 혹시 가능하면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인도 가 어떻게 종교가 다르게 되서 갈라졌는지도 알려주세요!!

  • @denniswie4607
    @denniswie4607 ปีที่แล้ว

    공부 많이 하셨네요 ㅎㅎ지식님 👏👏

  • @ABC-kx5gy
    @ABC-kx5g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런 영상물을 보면 '지식의 쾌감'을 느낍니다. 몰라도 불편한건 없는데, 알면 더 재밌죠.

  • @user-tq8ho8ws5f
    @user-tq8ho8ws5f ปีที่แล้ว +319

    다른 곳에서도 이미 다룬 소재지만
    첫머리에 '더워서 못 키운다'에서 이미 끝났네요.
    위의 대목은 많이 빠트리더군요.
    그리고 더워서 냉장기술이 전무한 곳엔 돼지고기가
    특히 더 쉽게 상한다는 점도 작용합니다.
    영상도 영상이지만 자료수집까지 철저히
    하시는 지식해적단 늘 애청합니다.

    • @INTJJJ
      @INTJJJ ปีที่แล้ว +2

      그런데 이렇게 보면 기독교가 돼지를 제제하지 않은게 이상함

    • @kin-ho7kl
      @kin-ho7kl ปีที่แล้ว +16

      @@INTJJJ 기독교는 유럽 봉건제 사회라 서민들이 먹을 곡식이 없어도 착취해서 고기 먹었어야 하니까 아닐지요.

    • @user-zr3uf8oh7u
      @user-zr3uf8oh7u ปีที่แล้ว +2

      그래서 무슬림식 도축방식이 나온걸까요?

    • @user-rx8nx5yk7e
      @user-rx8nx5yk7e ปีที่แล้ว +26

      @@INTJJJ 신약(유대교와 이슬람교에선 안 받아들인 성경 내용들)에서 하나님이 베드로에게 돼지 등을 허용했다는 내용이 나오는데,
      이게 신학적으로도 유대인들의 (굳이 식생활이 아니더라도) 관습을 따르지 않더라도 이방인들이 믿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게한다는 걸로 해석됩니다.
      때문에 그 두 종교와 달리 고기, 수산물, 유제품을 먹는 거에 제약이 없고요

    • @honeykris5113
      @honeykris5113 ปีที่แล้ว +7

      @@INTJJJ 영상 속에 답이 나온 것 같네요. 기독교가 퍼진 지역은 사막 기후도 아니고 숲이 많고 풀도 많은 지역이니 돼지를 굳이 금할 필요가 없지요. 돼지가 먹을 벌레와 열매가 가득하고 농사도 지을 수 있은 인간과 식량을 공유하지 않거든요. 짚단이나 인간이 먹다 남긴 음식 찌꺼기를 먹여도 되고요. 사막기후는 돼지가 인간과 식량을 공유할 수밖에 없다 보니 돼지를 키우면 사람 먹을 게 부족해지고 이로 인해 민중들의 반발이 심하다고 영상에서 설명하면서 유럽에 이슬람이 뿌리 내리지 못한 이유를 말씀하셨어요.

  • @oksuljeon432
    @oksuljeon432 ปีที่แล้ว +252

    60이 넘게 살아오면서 처음으로 듣는 내용입니다.
    딱히 깊게 생각해본적이 없는데 새로운 내용을 들으니 갑자기 마음 한구석이 뿌듯해 집니다. 왜 이제야 알게 되었을까요?
    지식이나 뉴스에는 상당히 밝은 편이고 종교쪽도 나름 잘 안다고 자부했는데 완전히 한방 얻어맞은 기분입니다.
    기분좋은 충격, 감사드립니다

    • @june.c5848
      @june.c5848 ปีที่แล้ว +24

      총균쇠, 채사장작가의 지대넓얕시리즈 책을 조심스레 추천드립니다.정말 재밌어요!

    • @DoNotFight2
      @DoNotFight2 ปีที่แล้ว +14

      이 채널에 재미있는 내용 많아요 ㅋㅋㅋㅋ

    • @ananta_2000
      @ananta_2000 ปีที่แล้ว +30

      어르신 진지잡수시면서 들으면 진지시간 뚝딱입니다. ㅎㅎㅎ

    • @user-mc9bq5xt4o
      @user-mc9bq5xt4o ปีที่แล้ว +7

      @@ananta_2000 진지시간뚝딱이랰ㅋㄱㅋㅋㅋ 이댓 개웃겨요ㅋㅋㄱㄱㅋ

    • @ai293h6
      @ai293h6 ปีที่แล้ว

      유튜브라는게 그거지요 알 필요도 없고 알 가치도없는 내용인데 신선하게 다가오는 그런거요. 머릿속 저장용량에 쓸때없이 자리만 차지하게되니까 이런 영상은 왠만하면 보지마세요.

  • @user-sq6vq2mt7u
    @user-sq6vq2mt7u ปีที่แล้ว

    영상 퀄리티 진짜 좋다

  • @jibagmyo
    @jibagmyo ปีที่แล้ว

    잘 보고 갑니당 :>

  • @user-ou6kh2xy9z
    @user-ou6kh2xy9z ปีที่แล้ว +170

    예전에 지리선생님이 가르쳐주신 내용이네용. 그때도 참 흥미롭게 들었는데 퀄리티 좋은 영상과 함께하니 더 이해가 잘 되고 재미있네요

    • @user-uh1ww3ze2c
      @user-uh1ww3ze2c ปีที่แล้ว +8

      지리쌤 지리네요...

    • @user-em8ge7ml3w
      @user-em8ge7ml3w ปีที่แล้ว

      네용이내용

    • @hanskr9976
      @hanskr9976 ปีที่แล้ว +6

      대부분 좋은 내용으로 이루어진 영상입니다만, 초반부에 조금 오류가 있네요. 고기는 인류 역사 대부분의 기간에 가장 중요한 식량이고 결코 채집 따위로 대체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닌 대체불가 식량이었습니다. 그 이유는 인류가 진화한 장소와 시기가 초기에는 건조한 사바나 평원이고, 특히 본격적으로 인간이라고 부를 수 있는 에렉투스 시기부터는 아예 빙하시대였기 때문이죠. 흔히들 인류가 진화한 장소가 열매와 씨앗이 풍부한 정글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인류는 엄연히 동아프리카 사바나에서 처음 탄생했고 이 지역은 과일은 아예 없다시피하고, 작물 품종화도 안된 수백만년전에 제대로 된 곡류 씨앗을 구하기도 힘들었으며 이걸 배를 채울 수 있을 정도까지 구하는건 어불성설이었습니다. 빙하기에는 더 심해서 아예 전 지구가 사실상 건조스텝이었고 가는 곳마다 목초지 뿐이었죠. 따라서 인류 역사기간 동안 침팬지와 막 분화된 극초기 시기를 제외하면 인류는 거의 대부분 기간동안 육류가 가장 중요한 대체불가능한 식량인 시기에 살았습니다. 빙하시대에 이르면 한 가족이 메머드 한마리를 사냥해 배터지게 먹다가 비타민 A 급성중독으로 사망할 정도로까지요.

    • @hanskr9976
      @hanskr9976 ปีที่แล้ว +5

      그리고 덧붙여서 석가모니께서는 육식을 금하지 않았습니다. 수도자들이 자신을 위해 살생하는걸 금하였을 뿐이지요. 도리어 공양 받은 대로 가리지 말고 먹으라고 하셨죠. 이에 따라 현재도 상좌부 불교에서는 신도들은 물론이고 승려들도 얼마든지 고기를 잘만 먹습니다. 육식 금지는 중국에서 시작된 문화로, 탁발 문화가 사라지고 승려들이 스스로 먹을걸 경작하게 된 상황에서 양 무제가 승려들의 육식을 금하는 단주육문(斷酒肉文)을 시행하였기 때문입니다. 즉 불교의 계율과는 큰 상관이 없습니다.

    • @user-cc2yw1cs8j_kosanho22
      @user-cc2yw1cs8j_kosanho22 ปีที่แล้ว

      @@hanskr9976 그걸 여기 대댓글에 적지 말고 그냥 댓글로 적으시면 됩니다 ~

  • @user-tq2pw2le9r
    @user-tq2pw2le9r ปีที่แล้ว +7

    진짜 지식해적단.......... 최고다 마지막 끝마무리 마저 멋져부러

  • @khryu1679
    @khryu1679 ปีที่แล้ว +3

    배경 음악소리를 조금 낮추면 스토리에 집중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 @yschi608
    @yschi608 ปีที่แล้ว +17

    환경적 요인과 생존을 위해 교리를 바꾼것이 지금은 진리미냥 굳어진것이였군요

  • @user-zt2lc1my5w
    @user-zt2lc1my5w ปีที่แล้ว +5

    지식해적단
    항상 느끼는건데
    그냥보기 미안할 정도의 퀄리티와 내용
    고맙습니다

  • @LA-Hyun
    @LA-Hyun ปีที่แล้ว +2

    궁금했는데, 종교보다는 환경적인 조건이 제일 컷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nn4sk4qy6p
    @user-nn4sk4qy6p 26 วันที่ผ่านมา

    항싱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LSangChul
    @LSangChul ปีที่แล้ว +11

    좋은 내용이네요. 취재에 사용한 자료나 책 논문들을 게시해주시면 더 좋겠네요.

    • @JE_Kim
      @JE_Kim ปีที่แล้ว +1

      12:03 부분에 취재에 사용된 책제목 공개하셨습니다

  • @user-jn8fu8bv2j
    @user-jn8fu8bv2j ปีที่แล้ว +4

    종교얘기 너무 흥미롭고 좋다ㅠㅠ

  • @IslamChatKo
    @IslamChatKo ปีที่แล้ว +91

    여러 종교에서 돼지고기를 안먹는 이유에 대해 쉽고 자세히 설명해주는 영상이네요. 이슬람에 대해서는 조금 다른 부분도 있지만 학생들 눈높이에 맞는 유익한 영상 잘 보았습니다.

    • @islandtree7577
      @islandtree7577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대교(이스라엘), 이슬람 둘다 뿌리가 같아서 돼지고기 금지해요.

  • @jih199846
    @jih199846 ปีที่แล้ว

    해적단님 다음 편에는 고대 제국하면 바로 떠 오르는 로마제국과 현재의 초강대국인 미국을 역사적 특징을 비교하는 영상 제작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 @Harry_Mione
    @Harry_Mione ปีที่แล้ว +48

    이참에 특정 지역이나 나라에서 유독 발달한 음식 같은 게 있다면 그 기원이나 그 음식이 발달한 계기 등을 다뤄봐도 재밌을 거 같아요! 먹거리 얘기는 언제 들어도 재밌으니까.. 절대 고기얘기 듣고 배고파서 쓴 글은 아님

    • @starlightgoldstar
      @starlightgoldstar ปีที่แล้ว

      야채로만 가득한 음식은 그렇잔아ㅋ

  • @ahaaowkrtkf
    @ahaaowkrtkf ปีที่แล้ว +28

    와.....소 돼지 안먹는 나라들, 다들 이유가 있겠지 했는데.....너무 좋은 영상입니다!

    • @user-fm7lh6kc7y
      @user-fm7lh6kc7y ปีที่แล้ว

      유명한 보🐾예🐾노🐾지 🎈유튜브 영상 맛보기지림🎈

  • @user-bq9nw3ks6m
    @user-bq9nw3ks6m ปีที่แล้ว

    4분쯤에 이슬람지역의 사막화 진행이라는 부분을 따로 주제로 해서 영상을 만들어주실 수 있을까요...?ㅎㅎ 너무 궁금합니다!!!

  • @user-mn1rh4nk8v
    @user-mn1rh4nk8v ปีที่แล้ว +1

    아 이거 진짜 궁금했었는데 ㅋㅋ

  • @sinju628
    @sinju628 ปีที่แล้ว +32

    개인적으로 유대교에서 돼지를 부정하다고 한 이유는 실제로 위생적으로 불결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실제로 돼지처럼 피나 죽어있는 동물사체 같은 것도 부정하다고 했거든요. 4,5천년전이니 종교법이니 위생법이니하는 구분도 없고 뭉뚱그려 부정하다고 적은 거라 생각했습니다.
    근데 유대교만이 아니라 힌두교나 불교 같은 다른 종교와 비교해서보니, 위생적인 문제만이 아니라 사회경제적인 측면이 더 강했겠구나라고 알게됐네요.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user-dv3mh9sf4b
    @user-dv3mh9sf4b ปีที่แล้ว +18

    처음에는 무슬림들이 돼지고기를 왜 안 먹는냐는 것에 도저히 이해가 안 갔는데 이 영상을 보니 아주 조금은 이해가 되네요. 중동쪽은 그렇다고 치고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는 사막은 없지만 돼지의 특성 상 열대지방에 전염병에 훨씬 더 취약하니 영상 후반부에 나온 일종의 '안전수칙'이었네요.

    • @islandtree7577
      @islandtree7577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대교(이스라엘), 이슬람 둘다 뿌리가 같아서 돼지고기 금지해요.

  • @user-ns9zw3ec5c
    @user-ns9zw3ec5c ปีที่แล้ว

    맞고 안맞고를 떠나서 나름의 의견을 잘 투영한 영상이라고 생각 됩니다. ㅎㅎ

  • @user-rl4zg1fm8s
    @user-rl4zg1fm8s ปีที่แล้ว +2

    좋은 지식 감사합니다.

  • @hanykim2112
    @hanykim2112 ปีที่แล้ว +17

    당신같은 현실을 깨우쳐주는 사람이 이세상에는 많이필요합니다...

  • @user-yv7lp1sf9u
    @user-yv7lp1sf9u ปีที่แล้ว +19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메리카 원주민의 전쟁에 대해서도 자세히 다루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특히 타슝카 위트고 추장과 운디드니에 대해 자세한 영상이 없어서 항상 아쉬웠는데 꼭 부탁드립니다.

  • @rngksk
    @rngksk ปีที่แล้ว +24

    지식해적단 너무너무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신기하고 새로운 내용이 많아 내가 이렇게 무지했다니! 하며 놀라는 경우가 많아요 - 지식의 출처도 공개해 주신다면 더욱 좋을 거 같습니다!!!

  • @jW_Hv
    @jW_Hv ปีที่แล้ว +6

    종교와 교리 그리고 그밖의 생활양식 등을 얘기할 때
    영상 내용과 같은 기후적, 지정학적인 인과관계를 전혀 모르면서 그냥 단순무식하게
    그러라니까 그러고 저러라니까 저런다는 사람이랑은 깊은 대화가 안 됨. 너무 좋은 영상

  • @handle_so_annoying
    @handle_so_annoying ปีที่แล้ว +42

    연구실에 힌두교, 이슬람교 친구들이 있어서 훨씬 와닿게 본 편을 시청했습니다. 덕분에 조금 더 이해할 수 있겠네요 감사합니다!!

  • @kinplayer58
    @kinplayer58 ปีที่แล้ว +2

    궁금한데 찾아보긴 귀찮은 이런 토픽 너무 좋아요!

  • @user-nu6mi4bq8c
    @user-nu6mi4bq8c ปีที่แล้ว

    짱좋아 넘잼있어요

  • @user-kn2gq4in1s
    @user-kn2gq4in1s ปีที่แล้ว

    한마디로 ..................
    참 조타 !

  • @Modfet
    @Modfet ปีที่แล้ว +18

    와 어떻게 딱 이슬람교 사람이랑 일주일간 같이 출장하면서 친해지고 이런저런 얘기 하고 해어진 그날 이런 재밋는 이야기가.. 안그래도 오늘 이거 관해 물어봣지만 너무 독실한 분이라 이런 관점으로 설명해주진 않앗네요.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 @hyejinlee-iz7ej
      @hyejinlee-iz7ej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 생각에는 이런 관점에 대해 설명을 해주지 않은게 아니라 이 사실을 모르고 있을수도 있을것 같아요 그냥 신이 먹지 멀라니까 무슨 큰 의미라도 있어서 먹지 말라고 하는지 아는 사람이 대부분일것 같아요 알고보면 이유가 참 단순한데..

  • @user-yl7wy9cr3v
    @user-yl7wy9cr3v ปีที่แล้ว +21

    우리 회사에도 인도네시아 직원들이 있는데 이번에 신입사원들과 기존에 있던 직원들은 10살 이상 차이남. 기존에 있던 직원들은 회사 급식에 돼지고기가 나오면 무조건 거르지만, 신입으로 들어온 직원들은 과한 양념만 안 되어 있으면 그냥 먹는데 이런 종교 문화도 그들만의 세대차이가 있나 싶네요~

    • @starlightgoldstar
      @starlightgoldstar ปีที่แล้ว

      안산 외노자들은 알라가 다 봐준다고 먹음

    • @europa_jupiter_moon
      @europa_jupiter_moon ปีที่แล้ว +1

      동남아랑 중동의 이슬람은 차이가 큼

    • @Fidlestick
      @Fidlestick ปีที่แล้ว

      ​@@europa_jupiter_moon인도네시아가 중동보다 이슬람 더 빡세게 믿지않나요??

    • @AtrueservantofAllah
      @AtrueservantofAllah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uropa_jupiter_moonthere's no big difference between south East Asian Islam vs middle eastern Islam coz we all believe the one true God of Abraham and we follow our Islamic beliefs and laws.

    • @user-im3ld5me6p
      @user-im3ld5me6p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Fidlestick 아님

  • @user-qz7mu9ch1g
    @user-qz7mu9ch1g ปีที่แล้ว +8

    아바타의 감독 제임스 카메론은 채식을 '미래의 식단(Futurevore)'이라고 했죠. 기후변화 등으로 공장식 축산이 어려워진 환경이 되면, 옛날 종교들이 사회와 교세의 유지를 위해 교리를 걸어 두었듯 미래에도 고기 소비를 줄이는 방향으로 산업 구조와 식문화가 개편되어 나갈 가능성이 다분하지 싶어요.

    • @isthefirstwhat7649
      @isthefirstwhat7649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배양육이 희망이다...

    • @user-gi4wb3uc2s
      @user-gi4wb3uc2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돼지 보다 맛있는 고기가 있나?

    • @islandtree7577
      @islandtree7577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단백질을 섭취하기 위해서 고기 보다는 콩이 더 널리 이용될 것은 확실하죠.

  • @user-pg3hp9mi4r
    @user-pg3hp9mi4r ปีที่แล้ว +4

    마빈 해리스 음식문화의 수수께끼 예전에 수행평가 교재였는데 이렇게 영상으로 보니 반갑네요.

  • @june.c5848
    @june.c5848 ปีที่แล้ว +26

    터키지역은 인류가 다른 지역보다 약 2000년 앞서게 처음으로 농경을 시작하고 가축을 기르기 시작한 곳으로 잘 알려진 지역입니다. 농경이 시작되고 인구가 급증하니 자원이 부족해지고 종교로서 이를 제한했다는건 그 시대에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농경과 기술의 발전은 기후에 맞게 위도를 중심으로 횡이동을 했는데 유럽과 동아시아는 자원이 훨씬 풍부해서 이런 종교적 제약이 없었을 수 있지요(물론 추정입니다)
    종교의 힘이 약해지고 기술과학이 앞서가는 현시대에 앞으로 종교의 미래와 역할, 다음 세대들이 어떤 인식으로 지금 시대를 바라볼 지가 참 궁금합니다

  • @jy42745
    @jy42745 ปีที่แล้ว +9

    결국 모든것은
    기후(천)와
    대지(지)의 조건에의해
    인간(인)의 규칙이 만들어지는거임

  • @dongwooklee7047
    @dongwooklee7047 ปีที่แล้ว

    타 채널에 가우잡는 인간하고는 다르네요 고민 많이 하시고 영상 만드신게 느껴집니다. 감사합니다.

  • @H0NGYUN
    @H0NGYUN ปีที่แล้ว

    최근 댓글에서 영상 출처를 모르겠다는 댓이 좀 많았긴 했나보네요.... 화이팅 지식해적단

  • @brightknowledges
    @brightknowledges ปีที่แล้ว +16

    혐오의 백신은 지식이라는 말이 떠오르네요. 서로를 알고 이해하면 언젠간 모두가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미래가 오리라 믿습니다

  • @leeandy5952
    @leeandy5952 ปีที่แล้ว +7

    의외로 우리나라도 돼지고기를 먹게된것도 비교적 최근이였죠.(고구려제외) 한반도는 돼지키우기엔 부적합한 땅이였다고 합니다. 돼지가 먹는 먹이와 사람이 먹는건 완벽하게 겹치므로 키우기엔 가성비가 떨어졌다죠. 게다가 토종돼지는 덩치도 매우 작아서 먹을 고기도 적었다구하구요. 예외적으로 중국사신 맞이용으로 왕실에서 몇마리 키우는거 제외 먹는경우가 없었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가 소고기 조리법은 매우 발달했지만 돼지고기 조리법은 상당히 떨어지는 이유입니다. (반대로 소를 먹는걸 금기시 했던 중국은 소고기 요리가 덜 발달했구요)

    • @Ycmjg37143
      @Ycmjg37143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리고 삼겹살은 일본쪽이 자신들의 입맛에 안 맞던 삼겹살 부위를 버리기는 아깝고 그래서 일제강점기 때 식민지에 처분한다고 저렴한 값에 우리나라에 보냈다고 해요. 그런데 그게 우리나라 입맛에 맞아서 삼겹살 식당이 쫙 퍼진거라고 합니다.

  • @annechoi3378
    @annechoi3378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KMC-rx6pb
    @KMC-rx6pb ปีที่แล้ว

    아하 그런 이유가
    그 이유가 사실아라면 타당한 선택사항이네요

  • @seank8050
    @seank8050 ปีที่แล้ว +19

    예전에 주제 떨어지셨다고 생방 키고 방송하셨을때 할랄푸드 코셔푸드 주제 아이디어 냈던 사람입니다! 이렇게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10 번 100 번 시청하겠습니다

  • @LEEkyouho
    @LEEkyouho ปีที่แล้ว +11

    종교의 문제는 시대의 변화를 따라가는게 너무 느리다는거죠... 기술발달로 사막에서 호수를 만들고 분수대에 심지어 눈썰매장까지 만드는 현대에...😅😅

  • @doaa649
    @doaa649 6 วันที่ผ่านมา +2

    돼지 혈장에는 크산틴 산화효소와 요산 효소가 부족하지만 신장에는 없기 때문에 많은 양의 요산이 조직에 남아 있습니다. 돼지는 이 산의 2%만 제거하고 나머지는 제거합니다. 이는 소 혈장에서 '잔틴산화효소'를 이용해 요산을 분해해 배설되는 다량의 요산을 제거하는 것과 정반대다. 소의 오줌에서 매우 다량으로 발견되며, 소의 오줌을 통해 배설되어 혈액을 맑게 하고 고기를 맑게 해준다. 요산을 분해하여 양의 신장을 통해 배설시켜 양을 순수하고 건강하게 만듭니다.

  • @user-st2tr3gi5u
    @user-st2tr3gi5u ปีที่แล้ว

    해적단님 야간투시경 한번도 안하셨는데 함 추천해봅니다.

  • @user-tn7mn5se6f
    @user-tn7mn5se6f ปีที่แล้ว +12

    이슬람교의 정의에 대해 너무 자세히, 그리고 간단히 요약을 해주셨네요.

    • @Wicle
      @Wicle ปีที่แล้ว +2

      이슬람교의 정의에 대해선 안 다뤘는데여

    • @muratovamexriniso9836
      @muratovamexriniso9836 ปีที่แล้ว

      틀린 것 많다

  • @Cerevisiae
    @Cerevisiae ปีที่แล้ว +7

    사실 직관적인 이유 없이 미신, 종교, 금기, 그 외 이것저것을 붙여서 하지 말라고 하던 것들은 대부분 그 관습이 처음 만들어지던 때에 나름대로 납득할 만한 실용적인 이유가 있었던 경우가 많죠. 영상에서 기독교가 유대교의 교리를 수정한 것처럼 진짜 아무런 실용적 이유 없이 뜬금없이 자유를 제한하는 걸 억지로 밀어붙였다면 애초에 사회에 받아들여질 리 만무하니까요. 아예 권위를 가지고 종교가 되어버린 케이스들은 과거 그 관습을 정당화할 수 있었던 합리적 이유가 무력화된 상황에서도 신앙의 이름으로 감내하겠지만 아직 미신의 선에 머물러 있던 것들은 현대에 와서는 거의 의미가 사라졌죠. 그렇게 사라진 관습 중 '문지방 밟지 말라는 미신은 아마 문지방이 닳고 깨지기 쉬우니까 라는 합리적 이유에서 왔을 것이다' 라는 것처럼 따로 기록되지 않아서 관습이 생긴 마땅한 이유가 전해지지 않는 옛 안전수칙들에 대해서 문화와 기술 등 만들어진 환경을 근거로 이유를 추론하는 것도 나름 재밌는 일일 것 같습니다.

  • @MenuMcBlue
    @MenuMcBlue ปีที่แล้ว +4

    소는 우리도 옛날에 숭배는 아니더라도 굉장히 소중히 여겻죠. 농사에 도움되고 큰 살림 으로 여겨짐. 어릴때 시골가면 사촌들이 매일 소 풀먹이러 다님.

  • @user-ki6zd9ty6y
    @user-ki6zd9ty6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우리공장 무하마드 존나게 잘먹음. 알라는 거기있다고.

  • @cnhlr6217
    @cnhlr6217 ปีที่แล้ว +7

    사실 소 도축이 금기시되는 건 모든 농경 기반 국가가 마찬가지였음.
    삼국~고려는 불교 영향으로 육식 자체가 쇠퇴한 것과는 달리, 육식을 허용한 조선마저 농경에 문제가 생긴다고 소만큼은 함부로 도살하지 못하게 법적으로 막기도 했고. 다만 그렇게 막았어도 "소고기는 못 참지." 라며 꾸역꾸역 잡아먹긴 했지만....

  • @user-tu3hv9xg3h
    @user-tu3hv9xg3h ปีที่แล้ว +404

    한국은 국민의 60%이상이 무교라서 너무 좋음. 그리고 교회, 성당, 절에 간다는 사람들도 믿어서 간다기보다는 사실상 인간관계나 사업관계 때문에 가는경우가 많음. 즉, 실제 한국에서 종교를 믿는비율은 전체 인구의 20%도 안될거라고 본다.

    • @Yoon...
      @Yoon... ปีที่แล้ว +93

      무교는 사랑입니다
      종교를 가지고 있는 사람도 정상이지만 자기 자신보다 종교를 더 소중하게 생각하는 한쪽으로 너무 치우친 사람들이 문제인거 같아요

    • @user-3rhwlwbdle97
      @user-3rhwlwbdle97 ปีที่แล้ว

      저도 무교인데 살아보니 종교인 생각보다 많은데.. 천주교나 불교는 원래 티 많이 안내는 사람 많고 기독교는 생각보다 수가 많아요 한명이 믿으면 보통 가족도 다 믿고 모태신앙(이라고 쓰고 세뇌라고 읽는다)이 많아서..

    • @user-jt8sc9xd5t
      @user-jt8sc9xd5t ปีที่แล้ว

      개인적으로 종교는 정신병이라고 봄

    • @user-ts5bs8ll3r
      @user-ts5bs8ll3r ปีที่แล้ว +31

      @@user-rn1mu6oc4o 정치인들이 왜 교회간다고 생각하냐 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di9me8hf1p
      @user-di9me8hf1p ปีที่แล้ว +4

      @@user-ts5bs8ll3r 교회나 절에 가보고 하는소린가

  • @user-rt5ic7ob5g
    @user-rt5ic7ob5g ปีที่แล้ว

    문화나.지리적 특성 측면애서는 그럴듯 하네요. ㅎㅎ

  • @seung-jeyang3746
    @seung-jeyang3746 ปีที่แล้ว +17

    이래서 닭고기가 세계적으로 소비량이 많이 늘어나고 있죠. 올해 소비가 1억톤에 육박한다고..
    닭아 미안해

  • @Kallisuma
    @Kallisuma ปีที่แล้ว +4

    최고의 채널이야...

  • @skskzmmsmsm9913
    @skskzmmsmsm9913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옛날 인간은 힘이 약해서 신이라도 믿고 싶은 마음에 종교를 만들고 했겠지만 요즘은 그런게 필요 없음에도 종교가 너무 깊숙히 뿌리 내리고 있어서 없애기가 힘듦.

  • @dlweed88
    @dlweed88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진짜 종교는 지역의 역사, 교육의 역사에 있어서는 그 가치가 남아있다고 생각합니다만, 이런 역사적 가치를 모르고 맹목적으로 믿는자들이 공교육이 발전한 현시대에도 남아있다는건 참 안타깝습니다.
    이런 정보가 더 많이 알려졌으면 합니다. 매우 유익하네요.

    • @CJ-pc1ir
      @CJ-pc1ir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닥요,,,,,, 인간은 믿음 없이는 못살지요? 굳이 하나님 부처님이 아니더라도,,,,,, 대다수 선진국 시민들이 모든 인간은 법적으로 평등하다고 믿으면서 살지요?? 종이조각일 뿐인 화폐에 천부적인 가치가 있다는 믿음으로 사는 사람도 있구요,,,,,, 역사가 일직선으로 발전하며 언젠가 공산주의 낙원이 도래한다는 믿음으로 사는 분도 계시지요~

    • @CJ-pc1ir
      @CJ-pc1ir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천부인권을 믿는것과 알라를 믿는것, 둘 사이에 본질적인 차이가 있는가? 효용의 차이는 있을 수도 있겠지만.......

    • @islandtree7577
      @islandtree7577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유대교(이스라엘), 이슬람 둘다 뿌리가 같아서 돼지고기 금지해요.

  • @user-wh3fg9jd4j
    @user-wh3fg9jd4j ปีที่แล้ว +8

    고기는 금지하지만 사람은 쉽게 죽이는...

  • @jwj2793
    @jwj2793 ปีที่แล้ว +5

    마호메트가 삼겹살 가격안정에 기여한 공로 하나는 인정할만한듯~

  • @user-zu8bx9bx5m
    @user-zu8bx9bx5m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거 듣고 보니 일리가 있어요. 저런 종교가 있어서 그나마 더 육식을 하려고 환경이 더 황폐화되지는 않는것 같아요.

  • @user-hb4qj2rp4o
    @user-hb4qj2rp4o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역시

  • @user-xl9et9kh3p
    @user-xl9et9kh3p ปีที่แล้ว +6

    인도가 소를 신성시하여 죽이지 않는 것은 이슬람이 돼지를 먹지 않는 것과 정 반대의 이유입니다. 인도는 주로 열대/아열대 지방이고, 인구밀도가 높으며 쌀농사를 많이 짓습니다. 사람이 너무 많고, 쌀의 생산성이 가축이나 밀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소가 주로 먹는 풀을 키우면 사람이 굶어 죽게 되죠. 그래서 소들은 먹을 것이 없고, 사실상 집 밖으로 내놓습니다. (소를 신성시 한다지만 인도의 소들 중에 살 찐 소는 하나도 없는 건 이 이유 때문입니다.) 소들은 들판을 다니며 자투리 풀을 뜯어 먹으며 연명하고, 운이 좋으면 우기를 잘 만나서 새끼를 낳고 우유를 제공합니다. 더 운좋은 암소는 시장을 돌아다니면서 자기를 죽이지 않는 사람들의 농작물을 뺏어 먹고 집으로 돌아옵니다. 그러면 그 주인이 젖을 짜서 먹는 거죠. 인도에 소 보호소가 많은 이유는 소들이 돌아다니다가 인가나 시장에 가서 불편을 초래하기 때문입니다. 인도 농민들은 자기 소가 돌아오지 않으면 소 보호소에 가서 아주 작은 돈을 내고 소를 대려 옵니다. 혹시 자기 소를 누가 가두고 있으면 소의 신성함을 주장하면서 자기 소를 내 놓으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가난한 인도 농부들이 곡식 한 톨 먹이지 않았지만 쓰레기나 다름 없는 풀을 뜯어 먹고 우유나 새끼 소를 제공하니 당연히 죽이지 않고 키울 수 밖에 없습니다. 인도인과 소가 활용하는 칼로리는 현대 농업국가의 그것에 비해서도 훨씬 효율이 좋다고 합니다. 소가 죽으면 가죽을 다루는 카스트들이 그 소를 가져갈 권리가 있고, 이들은 소를 해체한 후에 고기는 상위 카스트들에게 판매합니다. 상위 카스트들은 이 영상에서 얘기한 것처럼 남들이 보지 않는 곳에서 소고기 스테이크를 즐기고요.

  • @dr.c196
    @dr.c19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돼지는 식용 말고는 아무데도 쓸대가없음.

  • @user-yi7im1io3t
    @user-yi7im1io3t ปีที่แล้ว

    출처도 있으면 좋을거같아요!

  • @user-ux8ei5ro8v
    @user-ux8ei5ro8v ปีที่แล้ว +1

    6:14 써먹기에따라 최고의짤!

  • @user-ir6ly8fo8f
    @user-ir6ly8fo8f ปีที่แล้ว +19

    제발 바뀌지 말길. 저들이 먹기시작하면 가격오르는건 시간문제일듯

    • @user-ve4us3yp9k
      @user-ve4us3yp9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먹지마 중국이개방하고 자동차기름 건축시멘트 모두 고갈시켰잖아요

  • @user-pb5rn6xt6q
    @user-pb5rn6xt6q ปีที่แล้ว +2

    초기 기독교 발현과 활동도 중동 지역이 주를 이뤘는데, 돼지를 금하지 않는 것이 궁금합니다!
    영상에 나온 문제들을 이미 해결할 수 있는 후였던 걸까요?

    • @JH-ek5bn
      @JH-ek5bn ปีที่แล้ว +1

      기독교에선 예수가 빡빡한 유대교식 율법을 개혁해서 날려버린 인물이라 로마제국 전체로 퍼져나가고 정립되는 동안 세부 종교적 해석으로 규율 정하기가 자유로웠죠 그치만 천몇백년전 극초기에 갈라져 나온 중동지역 기독교 종파는 여전히 유대교처럼 합니다

    • @iconoclast2072
      @iconoclast2072 ปีที่แล้ว +1

      유럽의 기후와 풍습에선 돼지가 문제 안 되기도 했고
      교리적으로도 사도행전 10장에서 베드로가 본 환상으로 해결됩니다

    • @user-pb5rn6xt6q
      @user-pb5rn6xt6q ปีที่แล้ว

      @@iconoclast2072 답 감사합니다 ㅎㅎ 교리적으론 이해 됩니다!
      다만 영상에서 푸는 방식은 교리적 접근은 아니기에..
      바울이 전도했던 곳 중 무슬림 지역이 된, 예로 터키 같은 곳은 위 영상과 같은 이유로 돼지고기도 금하는 걸로 볼 순 없을까요?

    • @iconoclast2072
      @iconoclast2072 ปีที่แล้ว

      @@user-pb5rn6xt6q 무슬림은 돼지고기를 금하는 교리를 변개한 적이 없습니다

    • @user-pb5rn6xt6q
      @user-pb5rn6xt6q ปีที่แล้ว

      @@iconoclast2072 없다 함은 무슨 말씀이시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