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이 앞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는 이유 (한동대 ICT창업학부 김학주 교수)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3 พ.ย. 2023
  • 👉언더스탠딩 문의 : gygesring@naver.com
    👉3분만에 글로 읽는 "삼프로TV 하이라이트". contents.premium.naver.com/ba...
    👉중국 전문가 이철 박사의 섬뜩한 경고. “달라진 중국 달라질 중국”
    apps.3protv.com/3pro/home/lec...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558

  • @bali_life
    @bali_lif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1

    그럴싸한데 다 반박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선 인간은 동물과 달리 배가 불러도 사냥하고, 가진 게 충분해도 만족하지 않고 남과 비교하며 더 가지려는 존재라 인구가 줄어들고 먹거리가 남아도 그렇게 동물처럼 싸움이 줄어들 것 같지 않습니다. 더 나아가 기후변화로 살만한 지역, 땅은 인구증가가 줄어드는 것보다 더 빠른 속도로 줄어들 것 같습니다. 격렬하게 늘어나는 화재,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 위기 등이 그런 상황에 불을 끼얹을 것 같고요.
    더불어 소셜미디어와 기타 여러가지 새로운 상황들이 혼란을 부추길 것이고 양극화는 자본주의가 지금까지 그랬듯 더 심화될 겁니다. 에너지 위기는 앞으로 더 심해지겠죠. 언더스탠딩이나 삼프로에서 자주 다두릇 그리드 문제로 친환경이 급속히 전세계로 퍼질 수 없는 상태에서 선진국과 개도국, 후진국의 경제력과 에너지 수급 차이, 그리고 각 국가의 산업 격차 등으로 인해 더 심해질 거라 봅니다.
    따라가면 다 그럴 듯 한데... 언더스탠딩이나 삼프로에서 다룬 내용들만 근거로 봐도 다 의문점이 더 크게 들고 반박할 수 있다는, 반대 증거가 더 많다는 생각이 드네요.

  • @ss-cx2xo
    @ss-cx2xo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얽혀있어서 전쟁이 나지 않는다라... 1차대전때도 그런소리가 나왔지요 유럽 전국가들 왕 왕족들이 혈연관계로 이어져있어서 친척끼리 머하러 전쟁이 일어나겠냐. 하지만 왕족 귀족이 아닌 일반 시민들의 적개적인 민족주의적 감정이 폭발해서 전쟁이 터졌죠.

  • @parkmason
    @parkmason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4

    이런 분석은 물론 합리적이지만
    전쟁은 합리적인 이유로 벌어지지 않으며
    비합리적으로 상대가 전쟁을 벌이면
    상대하는 측도 필연적으로 비합리적으로
    전쟁을 하기 마련이라는게 함정이죠

    • @user-su5ws4nc2g
      @user-su5ws4nc2g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전쟁의 명분이 비합리적인거지 전쟁 자체는 매우 합리적입니다 이해하셨나요? 전쟁을 하는 이유는 합리적인 경제 판단인데 돈 때문에 전쟁하며 학살한다고 하면 명분이 없어 지지를 못 받으니 비합리적인 이유를 만들어 내서 시작하는겁니다

    • @bobhan6395
      @bobhan639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su5ws4nc2g아하, 그런거군요. 그래서 푸틴이 경제적 이유로 우크라이나를 침략했고 경제적으로 작전운영을 잘하여 러시아국민들이 3일보다 200배늘어나도 지지를하는거군요.
      하마스도 경제적이유로 테러존쟁을 시작한거니, 이스라엘이 하마스에게 전쟁을 시작하면 경제적폭망인걸 일깨워주면 이팔분쟁은 평화롭게 끝나겠군요.

    • @user-km2id5tx2j
      @user-km2id5tx2j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여러 측면의 한 쪽만 보는 편협한 생각이네요

    • @browncharly5442
      @browncharly544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su5ws4nc2g이스라엘 팔레스타인은 돈 때문임? ㅎㅎ

    • @ss-cx2xo
      @ss-cx2xo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su5ws4nc2g 비합리적으로 터진 전쟁을 당사자및 주변국들이 이상상황에 합리적으로 맞추어 간다고 보는게 맞는듯

  • @nealkim2149
    @nealkim214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김학주교수님, 삼프로 언더스탠딩~ 감사합니다 ~^^

  • @user-tcookie
    @user-tcooki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우와! 교수님의 인사이트에 감동입니다❤

  • @wolfk3893
    @wolfk3893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24:00 하나 정정하자면
    맥마흔 협정은 아랍인 전체도 아니고, 팔레스타인지방 사람들도 아니고,
    전혀 상관없는 메카의 토후가문(현 요르단 왕가)와 한 약속입니다.
    내용도 팔레스타인 독립국이 전혀 아니라
    해당 가문이 지배하는 아랍국가를 오스만제국에서 독립시켜서 만들어주겠다는 것.

  • @KS42903
    @KS42903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새로운 관점. 전쟁이 줄어들거다. 역시 신선한 생각을 전해주어서 감사히 잘 들었습니다

  • @user-fx4cw1sf8w
    @user-fx4cw1sf8w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_^ 언더스탠딩이여 영원하라~~

  • @yongcho874
    @yongcho874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다는 아니지만 몇몇 투자의 아이디어
    얻고 갑니다 ^^ 고맙습니다😊

  • @jambibibibibi
    @jambibibibibi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교수님 인사이트 놀랍습니다! 강의 듣고 싶을정도로 정말 재미있고 유익하게 들었습니다

  • @daesoonkim314
    @daesoonkim314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김학주교수님 영상은 꼭 여러번 반복시청합니다
    깊은 인사이트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한 일요일 보내세요😊

  • @EPark-gb7fh
    @EPark-gb7fh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초반부터 키야~이야 이런 야기를 어디서 듣습니까~ 하면서 감탄하는게 이해가 안됨… 문과 3명이 모이면 이렇게 되는건가 싶음.

    • @joowonpark7665
      @joowonpark7665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프로 이과에요 ㅎ

  • @user-uf5dj1lm6f
    @user-uf5dj1lm6f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동대 김학주 교수남 진지하게 잘들 엇습니다...부분적으로 적은 문야에서 이견은 있으나 대체로 대부분 공감합니다.. 새롭게 이해한 부분도 있습니다...고맙습니다..

  • @user-vn2ot5ie9v
    @user-vn2ot5ie9v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그냥 이분 혼자 뇌피셜 같음. 전쟁 위험 강도는 더 세지고 있다는데.. 다들 너무 위험 회피에 목을 걸고 있는것 같음. 분쟁 및 전쟁 위험은 훨씬 더 높아지고 있다고 생각됨.

  • @user-pi7no4vh3e
    @user-pi7no4vh3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전쟁이 줄어든다는 제목에 눈이가서 (다들 이제 분쟁초입시기라고해서) 듣게 됐는데, 뭐 다른 관점에서 보는 새로운 맛도 있네요

  • @user-ov8ws6cb1w
    @user-ov8ws6cb1w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늘 유익함이 최고인 언더스탠딩
    감사합니다

  • @power9119
    @power911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세번 보았는데
    큰 도움 감사합니다 ^^
    자주 가르침 주셨으면 합니다

    • @glorygulbi
      @glorygulb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와우 저도 1번시청 했는데 3번시청 했다니 50프로정도만 이해된것 같아서 녹화후 두고두고 재시청 할까합니다

    • @shinyousik
      @shinyousi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ㅇㅁㅁㅇ

    • @parkherenow
      @parkherenow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분은 기술개발은 쉽게 생각하는듯,,,,,,,앞으로 100년 걸릴걸 ,,,,,,
      금방 개발할것으로 생각하는 듯,,,,

  • @user-vk9jq9hr6s
    @user-vk9jq9hr6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4

    이분의 말씀은 사실과..
    다를수있는 본인의 뇌피셜을 기반한것입니다...
    100% 사실에 기반한것이 아닌만큼..
    미래 전망도 틀릴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그럼에도 배울것이 많네요....

    • @querenciakim8983
      @querenciakim8983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뇌피셜이 과하네요
      LFP 100% 삼원계 80% 충전 이야기도 팩트와 차이가 많은데 확신에 찬 목소리로...
      미중간 화해와 협력에 대한 전망은 희망사항인 듯하기도 하고요.
      마치 여의도의 누군가를 대변하는 입장이 겹쳐보이기도 합니다.
      달러채권에 대한 이야기는 새롭습니다.
      전쟁과 인구에 대한 다른 시각도 신박하긴 합니다.

    • @yongsoonjun2858
      @yongsoonjun2858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발상의 출발점이 신선해서 배울게
      많았습니다.
      다만, 몇몇 결론은 저랑 반대라서
      의아하다가 LFP배터리에서 조금 웃었습니다.

    • @makinax8836
      @makinax883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작전일 수도 있음

    • @bobhan6395
      @bobhan639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이분은 코메디수준인데요. 코메디카페 창업교수님이신가?

    • @parkherenow
      @parkherenow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리튬인산철과 삼원계배터리의 이해가 좀 다른것 같읍니다,,,,,
      삼원계가 밀도을 높일수 있는 이유 와 ,,,,,,,화학의 원소주기율표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듯 하다고 생각되네요,,,,😢
      왜 리튬으로 배터리을 만들게 되었는지,,,,,,,이해하면 이런 예측을 하진 않을 것,,!

  • @likewinds
    @likewind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항상 감사합니다.

  • @nuabo02
    @nuabo0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인사이트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뇌피셜

  • @jisungpark8952
    @jisungpark895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

    전고체 배터리는 아직 실험실 수준에서 돌아가고, 공장에서 양산은 힘들다고 합니다. 저 분 얘기대로 라면 마치 일본이 차세대 배터리로 전고체 기술을 완성해서 시장을 장악할 것처럼 설명하는데, 사실과는 상당히 다른 얘기로 들립니다. 판단에 신중하길.

    • @user-kx7he2ht3i
      @user-kx7he2ht3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전고체 상용화 힘들다는 사람도 있어요. 그러니 금방 만든다고 단정짓는건 조심해야죠.

    • @user-si8mc4so4z
      @user-si8mc4so4z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삼프로 얘기 들어면서 주식하며 망합니다. 제가 딱 하나 추천한다면 유튜버 박홍기작가TV 입니다.

  • @shalls6595
    @shalls659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정말 다양한 인사이트를 주셨는데, 영상 타이틀때문에 엄한 댓글들이 넘나 무지하게 달리네요 ㅎㅎ

  • @hyehyunkwon7727
    @hyehyunkwon772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아.............. 역시 갓학주 교수님.

  • @whffkqja
    @whffkqja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김학주교수님 역시 대단하십니다..

  • @m-8739
    @m-873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김학주 교수님은 결과를 가지고 원인을 만드는 분 같습니다. 이런 분의 강의는 그럴 듯하지만 전망은 좀 아닌 듯.

    • @parkherenow
      @parkherenow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원인과 상황등은 다르게 생각하지만 , 결론은 비슷할거라 생각합니다,,,
      우 러전쟁도 일방적 전쟁이 되지않토록 관리하는 느낌,,,?
      원자력 예산을 삭감한 정치단체는 정말 뭔생각인지,,,,,,,내부싸움에 경도되어서,,세상이 어떤상태인지 전혀 이해을 못하는 사람들이 정치을 하다니,,,
      한국의 문제는,,,
      정치인이ㅡ국민을 걱정해야지,,,국민이 한국정치을 걱정하는 지경인게,,,,주객이ㅜ전도된 사람들,,,,

  • @user-jw7ll3nm6j
    @user-jw7ll3nm6j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김학주 센터장ㆍ기억하는사람이 있을까 ㅋ 오랜만이라 반갑네요

  • @dlqudwn25
    @dlqudwn2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1

    이분 말씀은 기관총 처음 발명됐을 때만큼이나 근시안적이고 편협한 생각들입니다.
    1800년대 기관총이 발명되었습니다. 1893년 맥심 기관총 4정을 배치한 영국군 50명이 지키는 영국군 진지 앞에 1 km 내로 단 한 명도 진입하지 못한 채 5천 명이 전사했고, 3년 뒤의 전쟁에서도 영국군은 전사자 400명을 낸 것에 비해 5만명이나 죽어나가는 교환비 1:125라는 참혹한 결과를 마주해야 했죠. 기관총이 이렇게 무시무시한 무기라는 것이 실전에서 증명되자 슬슬 서로 이 무기를 가진 유럽인들끼리 싸우는데 쓰이면 어떻게 될 것인지 의문을 품은 사람들이 질문할 때 맥심의 답변은 너무나도 이상적이었습니다.
    "아뇨, 전쟁을 불가능하게 만들 것입니다.(No, it will make war impossible.)"
    1893년 영국의 한 과학자에게 "이 총으로 전쟁이 더 끔찍하게 되지 않겠는가."라는 질문을 받고 하이람 맥심이 한 답변인데, 맥심도 1차대전 이전부터 맥심 기관총이 세계 곳곳에서 서로 쓰이면서 사상자가 많았음을 잘 알기 때문에, 이런 기관총을 수천 정씩 갖고 수백만씩 죽어나가는 전쟁을 하지는 않으리라 생각한 것입니다.
    기관총 뿐만 아니라 핵무기가 개발되었을 때에도 마찬가지였죠. 상식적으로 도시를 증발시킬 수 있는 무기가 있는데 도대체 전쟁이 어떻게 가능할거라고 생각하십니까? 하지만 우리는 그 결과를 알고 있습니다.
    멀리 볼 것도 없습니다 중국이 코로나 철통봉쇄로 인간의 심리가 오랜 기간 통제되고 막히면서 우리는 모두, 전 세계 내로라하는 경제학자들조차 "중국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를 보였습니다. 상식적으로 돈 오래 못 쓰다 풀리면 보복 소비 들어가는게 당연지사죠. 하지만 우리가 접해보지 못한 중국 공산당 덕분에 중국인들 심리는 예상 정반대로 들어가고 리오프닝은 이상에 불과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적어도 예상이 틀릴 수는 있는데 그 예상이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실증적인 데이터란 하나도 없고 따지고 보면 말장난, 전체에 적용하기 힘든 일부 경향과 일부 사례를 가지고 와서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인 이야기만 내뱉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상황을 설정하고 그에 맞는 일부 사례들만 나열하면서 마치 A 이후에 B가 나타났고 B는 보통 C니, A가 나타나면 C가 올 것이라는 말"만", 다시 이야기하자면 구체적인 실증 없이 심증"만"을 영상 내내 반복하고 있습니다. 현실은 A 다음 ㄱ이 오는 경우도 있고 Z가 나타난 적도 있는데 말입니다.
    해당 분야 전문가도 아니고 이런 저런 상황 가져와서 말만 들어보면 그럴듯하게 끼워맞추기 잘 하시는 분입니다. 비전문적인 분야를 마치 다 아는 양 확정하고 이야기 전개하는데 적어도 그중에 언더스탠딩 채널에서 다룰 이야기는 없어 보입니다. 이 말 하는 사람이 개인 채널이었으면 차단했을 거에요. 앞으로 언더스탠딩 수준을 위하여 해당 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와 근거들을 제시할 수 있는 해당 분야 전문가 또는 취재 전문 기자님들만 볼 수 있으면 합니다.
    그동안 진짜 전문가분들만 오시다가 말로만 약파는 사람 불러오는 것은 언더스탠딩 수준과 다른 모든 출연자분 수준을 격하시키는 행위입니다. 수십 시간 자료 정리하고 사실만을 이야기하시는 분들 어떻게 보려고 언더스탠딩 이런 뇌피셜쟁이를 데려온겁니까?

    • @user-ny5qb2bp1o
      @user-ny5qb2bp1o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동감 합니다.
      전쟁을 하는 독재자들 대그빡에 뭐가 들어 있는지 연구 해봐.
      참 갑갑한 양반아,

    • @nuabo02
      @nuabo0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공감합니다.

    • @user-fh6to0qm3u
      @user-fh6to0qm3u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user-wk1uq5nq6i 국제정치학 교수도 아니고 객관적인 데이터 없이 떠들어 대니까 뇌피셜쟁이라고 하지, 교수 말은 성경이고 진리임?

    • @lustkax9975
      @lustkax997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맞음 전쟁이 합리성 갖고 하는줄 아는사람이 제일 무서움 저런 교수가 전쟁을 키우는 거임, 조금아는 지식이 제일 무서운걸 모름 교수씩이나 되서 저런 말도 안되는 주장을 한다는게 한심스러움

    • @user-si8mc4so4z
      @user-si8mc4so4z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삼프로 보시면서 주식투자하면 망합니다. 저 또한 님의 말씀에 적전으로 동의합니다. 비전문가가 나와서 개소리하는데 어이가 없네요. 제가 보는 유튜버는 박홍기작가TV 입니다.

  • @benlex8791
    @benlex879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

    여전히 인간을 합리적으로 보는군요,, 권력 중독에 심취한 자들을 과소평가,
    일면적 고찰로 한 측면만 보는 것이 아쉽군요

  • @sangpark4642
    @sangpark464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댓글들을 쭈욱 읽어보니까 김교수님 말씀중에 어느 한쪽 부분에서는 비린내가 난다고하고 어느 한쪽 부분에서는 향기가 난다고하고 종을 못잡는 냄새때문에 댓글들이 몰리는구나,구린 냄새든 향기로운 냄새든 다양하게 냄새를 맡을수 있는,전쟁,수소,에너지,유가등등 심하게 풍겨주신 김교수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 @gogoavril
    @gogoavri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뉴스에 안나와서 그렇지 이라크, 시리아에 있는 미군기지에 계속 로켓공격이 있었습니다.
    하마스도 무기가 풍부해지니 이스라엘 공격하는거구요
    중국이 이란 이라크 석유 계속 사주니 (미국의 이란경제죽이기 제재가 안통하는거고)
    이란 헤즈볼라 하마스 입장에선 무기가 풍부해지니 외세(미국, 이스라엘)나가라고 계속 괴롭히는거고

  • @user-vt8zl2qw4c
    @user-vt8zl2qw4c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김학주 교수님 알기쉽고 정말 유익합니다

  • @user-wd7tz8rp8k
    @user-wd7tz8rp8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너무 많은 비약적 해석으로 오히려 현 상황에 대한 정확한 분석보다는 혼란만 가중하는 것 같습니다

  • @javaxerjack
    @javaxerjac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한가지 착각 하면 안되는건 여기서 말하는 전쟁이란 건 전통적 의미의 전면전입니다. 우리가 전쟁으로 치지 않는 소규모 분쟁(예를 들면 아프리카에서 활을 들고 싸우는 부족 간 전쟁은 엄연히 전쟁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걸 분쟁이라 여기지 전쟁이라 여기지 않습니다) 특히 식량 자원을 둘러싼 전쟁은 오히려 늘어날 소지가 크다고 봅니다.

    • @glorygulbi
      @glorygulb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공감합니다 국가간 전쟁은 많이 축소되고 개인간 분쟁 노인과 청년간 불화 빈부의 불화 경영자와 노동자불화 도시와 시골의불화 남자와 여자의 불화같은 분쟁이 많을것 같습니다

    • @lustkax9975
      @lustkax997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런글이 전쟁에 대한 두려움을 희석하는 매우 안좋은글 ㅉㅉㅉ 부족간 전쟁도 그들에게은 전면전 입니다. 어떤 전쟁도 가볍지 않아요

    • @javaxerjack
      @javaxerjac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lustkax9975 지금은 사소한 자원이 나중에는 생사 문제가 된단 뜻이에요.

    • @likewinds
      @likewind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오구오구 현자님 등장. 활싸움에 대한민국 수출이 망하겠네요. 😅

  • @Ms_London
    @Ms_London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목만 들어도 좋네요😂

  • @user-ys2fp6dw5r
    @user-ys2fp6dw5r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듣다가 저랑은 다른 관점이 많아 중간에 나갑니다... 아는 지식은 많으신거 같으나 전체적인 관점은 좀 독특하시네요...

  • @MichaelLee-yb8we
    @MichaelLee-yb8w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재목이 내생각과 반대되어 들어 보았는데, 먹이문제 ,지위변동,에너지 3가지로 설명했는데, 설득력이 그리 커지 않고, 기후변화와 기술발달로 개인과 국가간의 빈부격차심화, 일극화 보다는 다극화가 더심화되어 국제경찰상실로 더 분쟁이 많아 질 것이다.

  • @user-ni9pk8qv7d
    @user-ni9pk8qv7d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지금쯤 이블킥 하고 계시겠군요... 전쟁이 줄어들기는 커녕 세계가 난리인데 ㅋ

  • @SHKim-uv4wo
    @SHKim-uv4wo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100만 드론 양병설"을 주장합니다. 전쟁이 없을떄 드론을 생산해 두어야 합니다.

  • @sungwookchoi824
    @sungwookchoi824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이분의 말이 맞고틀리고를 떠나 그냥 이런 토픽을 던져줬다는거에 잘 들었다는 생각하고있고 내가 또 스스로 찾아보게됨.. 남들이 할 수 없는 말을 해야 전문가 아닌가? 삼프로 금리무새들과는 다른 인사이트이긴한데 왜다들 화나있냐 ㅋㅋ 이분말듣고 소형원전 스스로 찾아보게됨

  • @user-en9nm5eg1m
    @user-en9nm5eg1m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쭉 듣다가 우러 전쟁이 일어날 걸 알았다는 말 듣고 웃겨서 껐다 ㅋㅋㅋ
    어이가 없네...

  • @meiziok
    @meiziok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 사람 반대로 행동하면 개꿀..
    전쟁은 그런 요소와 큰 상관이 없다

  • @angelside3588
    @angelside3588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이건 그냥 뇌피셜인데...

  • @fullman0015
    @fullman001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자기전 복습 😊

  • @user-mv4nc4hg2k
    @user-mv4nc4hg2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자기만의 상상의 나래를 현실이라고 믿는 ㅋㅋㅋㅋ

  • @user-lb3zz7jm6y
    @user-lb3zz7jm6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중국은 시주석 때문에 안됩니다

  • @user-rj3pl8mq7s
    @user-rj3pl8mq7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이학주교수님 강의를 들으면 항상 새로운세상이 보입니다ㆍ
    완전 차별화된 강의!

  • @user-th9zp8rn5l
    @user-th9zp8rn5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관점이 다르겠으나, 앞으로 전쟁은 증가합니다.

  • @shalls6595
    @shalls659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신재생은 송전망이 문제! 감사합니다

  • @Yoon-yq6fc
    @Yoon-yq6fc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제발 배터리의 기술에 대해서 논할 때는 업계에 정통한 엔지니어 전문가나 금속, 재료, 화학 공학 교수님 모셔오면 안되나요?
    1. LFP가 재조합으로 진화하면 할 수록 재료, 성능검수, 안전성 확보 등의 추가 비용으로 싼 가격의 장점도 사라지는 겁니다. 마찬가지로 다원계 배터리도 좀더 싼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진화하고 있는 것은 마찬가지이구요.
    2. 다원계 배터리가 80%까지만 충전해서 쓰면 훨씬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매번 100% 충전해서 사용해도 10~20년은 충분히 사용 가능합니다. (엔지니어들이 바보가 아니라서 충전 안전 마진을 잡아 놓습니다.) LFP 배터리의 4배 수명으로 40~80년 동안 같은 차를 타고 다닐 사람이 얼마나 있을지 궁금하네요.
    3. 다원계는 100%충전이든 아니든 상황대로 대응해서 충전할 수 있지만 LFP는 오히려 매번 100% 충전해서 써야만 하는 단점 있다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LFP는 전압강하현상이 가장 큰 문제인데 그 때문에 BMS가 SOC를 정확하게 표시하기 어렵습니다.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연료량이 정확하게 표시되지 않는다면 그 차를 계속 타고 다닐 수 있을까요? "LFP는 100% 충전이 가능해서 좋아" 뿐만아니라 "LFP는 100% 충전하지 않으면 SOC 신뢰도가 떨어지고 말아"도 아셔야 한다는 겁니다.
    4. 일론 머스크 이야기를 하시는데 테슬라는 현재까지는 다원계 배터리에 대해서 자체 생산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어느 쪽의 배터리를 테슬라가 더 우선시하고 있는지 이 이상의 답이 필요한가요?

    • @user-jy6sy2vr9l
      @user-jy6sy2vr9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자세한설명 감사드립니다.

  • @bwaa1933
    @bwaa1933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잘 들었습니다. 하지만 전쟁 안 줄어든다 한표요

  • @mapx2100
    @mapx2100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지난 영상도 그렇고 이번 영상을 보고 나니 확실히 이 분은 넓고 얕게 훑어보시는 것 같네요.
    짧은 시간에 많은 내용들을 가볍게 둘러보기에는 좋지만 투자에 참고하려면 스스로 충분히 해당 분야에 공부를 하셔야 할 거 같습니다.

  • @chjk83ify
    @chjk83if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세상이 돌아가는 흐름은 경쟁과 순환인데 전쟁이 안생길수 가 없음

  • @user-sr5sg8ox6v
    @user-sr5sg8ox6v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오늘도 깊은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 @user-nv9qk6yi9p
    @user-nv9qk6yi9p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젊은이들이 보고 꿈을 갖기를..

  • @gogoavril
    @gogoavri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전고체는 재료가 비싸서 상용화되도 수십년간은 핸드폰 이상에는 적용 못해요
    삼원계 배터리가 80년대 나왔어도(도시바 재충전가능 AAA 건전지) 40년지난 지금에야 자동차에 적용될정도로 단가가 낮아진것처럼

    • @user-hl3wo3xz3z
      @user-hl3wo3xz3z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네, 에코프로 주주님

  • @gogoavril
    @gogoavri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국력은 정책으로 결정되는게 아니고 과학기술력으로 결정되는겁니다.
    꼼수(정책)써 봤자 잠깐이에요
    미국이 금리 높여서 미국의 수입이 약 10% 줄어 중국 수출이 10% 줄었긴 하지만 여전히 무역흑자중이고
    중국 주식시장 외인지분 10%밖에 안됩니다.
    게다가 자국인의 대외(미국)투자도 엄격히 제한하고 있습니다.
    GDP의 130%인 미국부채가 금리5% 오르면 채권이자로만 GDP의 8%가 나갑니다. 재무부 채권 평균 10년만기라고 치면 금리 5%기간이 1년연장될때마다 GDP의 0.8%씩 이자비율이 늘어나는거에요

  • @kailask1856
    @kailask185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고체 배터리가 나오면 좋은데, 과연 실용화 까지는 ....

  • @gracefirst5597
    @gracefirst559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금리가 떨어지면 더 상황이 좋지않았어요!제경험으론..금린ㅐ리면 더 무서운게 온다는거죠~

  • @sushinjeon9182
    @sushinjeon918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핵폐기물은 출연자가 안전하게 보관해라

  • @Bartes2063
    @Bartes2063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색다른 인사이트가 생겼네요

  • @user-fp2eu8rp3e
    @user-fp2eu8rp3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전고체배터리가 앞으로 대세라지만 가격문제?

  • @usa0201k
    @usa0201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삼프로에서 한양대 임형록 교수와 2인 츨연 프로 한번 만들어 보세요

  • @cp-sb6cp
    @cp-sb6cp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김학주 교수님...
    지식도 많으시고 말씀도 잘 하시고 많이많이 부럽습니다. 다른 분들에게서는 듣지 못하는 미래에 대한 고견에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다음시간 학수고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moaaom885
    @moaaom885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리 투자한곳에 대해 관심사항인가요?

  • @riahappy7713
    @riahappy7713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러시아가 전쟁일을킬줄몰랐죠 전쟁은 비상식적으로일어납니다

    • @mansoo2256
      @mansoo2256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합리적으로 생각하면 안일어나지만 현실은 대체로 반대죠...

  • @user-ig3wq2vp2f
    @user-ig3wq2vp2f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쟁이 줄거라는 가장 중요한 것은 SNS 발달로 공작 모함이 줄어들고 정보, 진실이 알려진다 는 것
    기술은 미국이 훨씬 앞선다는 건 잘못된 말, 그 차이가 중국, 러시아와 큰 차이 없다
    디지탈 경제도 중요하지만 제조업도 중요하다 4차산업만 하고 다 수입해서 살래?
    미국의 패권 약화의 주요인은 제조업 붕괴다

  • @user-xq1eb6gx2j
    @user-xq1eb6gx2j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人生똑바로 (회원)

  • @koodeta2000
    @koodeta2000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

    이 아저씨가 얘기했던거 별로 맞은거 없음. 특히 투자목적이라면 시간낭비임.
    대표적으로 CTLT 유망하다고 했을때 샀으면 지금까지 하락빔 쳐맞았을듯.

    • @user-physiotherapy
      @user-physiotherap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동감입니다. 교수님들이 투자 잘했으면 교수 때려치웠을듯합니다. 교수할 시간에 투자하면 돈도 더 많이 벌고 돈이 많으면 굳이 교수안해도 연구나 책은 쓸수 있으니...

  • @user-ld4zd6vu8i
    @user-ld4zd6vu8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미국의 부채가 심각한건 사실입니다. 그동안 빚을 갚지못했어요.다른방향으로 몰고 가는것은 심히 걱정됩니다.미국에 사는 친구가 중앙정부의 부채가 심각하다고 말하더라구요.인플레이도 심각하구요.

  • @inshikkim4850
    @inshikkim4850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먼 훗날 그럴수도 있겠죠..

  • @niconicnicole
    @niconicnicol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댓글보니 정치적으로 해석하는애들진짜많네. 이런애들이 투자를한다고ㅋㅋ

  • @user-mk6dd1jj1e
    @user-mk6dd1jj1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 Revolution >
    1차 농업혁명
    2차 산업혁명
    3차 에너지혁명
    Enegia는
    resource이고
    Iand,labor,capital이며
    권력(authority,potentia)이다
    에너지혁명의 중심은
    Hint: heaven, hell
    #에너지혁명에서 만은
    부의 불평등을 허용해서 안된다

  • @user-ze7br2ln8r
    @user-ze7br2ln8r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김학주 교수님 자주 나와주세요. 나올때마다 늘 신선한 충격을 받습니다. 깊은 인싸이트에 감동..

  • @flyingpan2639
    @flyingpan263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5

    친환경 발전의 걸림돌인 그리드 문제 때문에
    원전이 더 주목받는 듯 착각할수있는데
    그리드는 그래도 누군가 깔면 되는게
    원전 폐기물 문제는 아무나 정할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최소 국가적인 합의가 필요하고
    핵연료 재처리에 있어서는 국제적인 합의까지 필요하다
    말마따나 '그냥 깔면되는' 그리드랑이랑은 또 차원이 다른 문제임

    • @hammkers7
      @hammkers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그리드가 환경오염 발생시키는게 원전 폐기장 짓는것보다 더 많으니까 문제죠....
      특히 친환경 발전시설 자체가 희토류 대량으로 사용해서 오히려 탄소오염을 일으키는것 아니냐는 문제가 제기되는중임.

    • @user-qi8nt7xs5c
      @user-qi8nt7xs5c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ammkers7자라 희토류가 머시라? 자라 철강보다 더? 화학섬유보다 희토류가 더? 자라

    • @user-ib4zb4uq2x
      @user-ib4zb4uq2x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먼 국제적 합의여...미국이 찬성하면 그걸로 끝인 세상인데... 일본 재처리 합니다...
      지구 경제는 미국과 얼마나 친하냐...가깝냐.. 이걸로 승부가 납니다. 유엔? 국제적합의?
      국제정치는 힘...

    • @flyingpan2639
      @flyingpan2639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세계 정세의 다극화와 국지적 분쟁으로 미국이 세계 경찰 노릇 피곤해서 못하겠다는 낌새만 보이면
      누구나 자기 나라 지키려고 원자력(폭탄) 손댈거고
      이미 100년된 쉬운(?)기술이라 억제할 수가 없게 될텐데
      마지막에 무서운 얘기를 슬쩍하시네 ㅋㅋ

    • @user-mw9fo7uf7x
      @user-mw9fo7uf7x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방사능 때문에 다 죽을판인데...아직도 원전 원전하니... 탈원전은 피할 수 없습니다. 지금 당장은 원전이 필요하다는 말도 답답한게..지금 준비하지 않으면 후꾸시마가 우리나라에서 펼쳐집니다. 답답한게..후꾸시마 방사능이 언제쯤 안나온다고 합디까? 영원히 나오는거에요. 방사능이 영원히 나온다구요. 그런데 한국에서 그 사고가 또 나기를 바랍니까? 인간이 만든 기계가 어떻게 완벽하다는건지..말도 안되는 소리나 하고 말이죠!
      미국도 수소 경제한다고 천문학적인 돈을 투자하는 판에... 답답하네요. 구한말 나라가 망할때 봉건시대에 머물렀던 마치 그상황 같습니다. 그리고... 미국은 핵무기에 사용할려고 원전을 쓴다고 하지만...한국은 뭡니까? 농축도 못하는데..쓸데없는 플루토늄만 잔뜩 쌓이고 있잖아요. 이거 어쩔겁니까?

  • @paullee1792
    @paullee179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쟁은. 욕심과 정치의 갈등이요.

  • @user-fd4bh9wd5b
    @user-fd4bh9wd5b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다시보기 합니다

  • @user-np5gw6oe4k
    @user-np5gw6oe4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나트륨전지는 에너지밀도 문제로 자동차에 사용하기는 곤란할텐데..

  • @user-fx4re5hh4j
    @user-fx4re5hh4j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한동대 교수

  • @user_humans_are_omoshiroi
    @user_humans_are_omoshiro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출산률하락으로 인간이 줄어드니 문제도 줄어든다카이~~!!❤

  • @user-es4my3yy3q
    @user-es4my3yy3q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그짝이나 우라늄 많이 드시개

  • @user-ig3wq2vp2f
    @user-ig3wq2vp2f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국산 주력 밧데리 좋은지 알지만 가격 경쟁력이 없다 누가 그 차이를 돈주고 사겠나
    전기차를 살때 돈을 더 주더라도 그 가치가 있어야 한다 이게 밀리는 것

  • @TV-ms6qh
    @TV-ms6qh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양적완화하여 가계부채 청산하자.

  • @sieunlee6411
    @sieunlee641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7

    RE100에 써먹을수도 없고, 미국의 허락없이 수출을 할 수도 없는데, 뭐가 유망하다는건가?

    • @hectorlee8403
      @hectorlee8403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원자력회사 직원입니다
      수출 잘하고 있고요
      re100 대심 cf100으로 바꾸면 됩니다

    • @jihyunkim8040
      @jihyunkim8040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건 한국의 바램이죠. cf100은 아무도 인정 안해줘요 @@hectorlee8403

    • @sieunlee6411
      @sieunlee641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hectorlee8403 CF100을 국제표준으로 만든 다음 그런 말씀을 하십시오, 무조건 원하면 바꿔지나요?

    • @user-xm6nx4ks8s
      @user-xm6nx4ks8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무조건 원하면 바뀔 가능성은 없지만 CF100 행복회로 돌릴 근거 2가지는 있습니다.
      1. 가디언발 기사 현재 저품질 RE100 때문에 네임드 기업들도 그린워싱에 얽힐까봐 손절하고 있습니다.
      2. 미국이 중국을 글로벌 공급망에서 노골적으로 배제하고 한국을 파트너로 삼으려고 하는데 내수에서 원전이 커버할수 있는 에너지 믹스 수요 커버할 가능성이 있습나다.
      다만, 문제는 RE100이나 원전이나 수요지로 대규모 송전해야한다는 공통점, 그리고 내수는 잘 모르겠지반 UAE에 수출한 바라카 운전 역량 부족이 지적됐고, 운영진들에서 한국인들이 배제 되었는데 추후엔 개선될지 잘 모르겠네요.

  • @user-rm2kj7yv7f
    @user-rm2kj7yv7f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인간의 욕심과
    상반된 논리
    중세의 전쟁은
    나는요 벤츠탈래..
    팔인거를탈 래하면
    나는가마탈거요😅

  • @user-by4zm3sp7k
    @user-by4zm3sp7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2

    삼성이 RE100 선언했지만, 정작 구할 전력이 없다. 한국의 원전은 재 처리도 못하고, 저준위 조차도 지역 반대로 방폐장을 짓지 못한다. 하물며 고준위 방폐장을? 원전이 기저 에너지로써 의미는 있지만, 지금 당장 발등에 불 떨어진건 재생에너지 늘려야 하는 거다. 주구장창 원전 주장하면 누가 알아서 재처리랑 방폐장 해결해 줄 거라고 자빠진 건지...

    • @sweetnap841
      @sweetnap841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재생에너지 그리드랑 효율은 알고 얘기 하시나요

    • @user-mh4pk6fb7x
      @user-mh4pk6fb7x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사람들이 재생에너지는 반대안함? 어차피 반대하는건 디폴트고 효율은 원전이 압도적으로 좋으니까 원전을 이야기하는거임

    • @user-op8pk1hh9c
      @user-op8pk1hh9c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닛뽕이 원전 폐기물 처리장 쓰시마 에 한다고 함.
      지진에 안전하고 자국민들 관광도 안간다고 ㅋㅋ
      닛뽕보다 부산에서 더 가까운 쓰시마에
      닛뽕 물고 빠는 부산 사람들 환장하것쥬~
      이런 기사는 왜 안나오는지 대한민국 굥거니 정권과 기레기 카르텔 역겹다 정말~

    • @user-nz7fn2un9p
      @user-nz7fn2un9p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mh4pk6fb7x효율을 따지려면 생산만 보실게 아니라 위에 언급된 폐기물, 재처리 이슈도 같이 따져야죠

    • @user-zi7cb6np9n
      @user-zi7cb6np9n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삼성이 무슨재주로 RE100선언함? Where is the evidence?

  • @trigemxx
    @trigemxx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체 인구수가 줄어드니 식량이 남아돌아 안 싸울것이다 라는 논리인거 같은데... 단순... 인간의 욕망 이라는것을 간과하는듯.. 신.냉전 시대 아주 위험한 생각😮

  • @user-nc9jk3jw6k
    @user-nc9jk3jw6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영국의 분양사기 😂😂

  • @jac256
    @jac25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쟁도 다 돈. 경제적 이익 때문에 일어나는거죠.

  • @user-xb4wo6dn1b
    @user-xb4wo6dn1b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전쟁이 늘어나는데요?

  • @user-ez5jk9ym9k
    @user-ez5jk9ym9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성경을 경제로 푸는 한 방법을 잘 배웠읍니다.

  • @user-dk2rf5kl8e
    @user-dk2rf5kl8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김학주 교수님 방송은 자본주의에 대한 사심없는 투자를 할 수있는 기준지표랑 같습니다..
    정말 빠르게 바뀌는 전세계일을 알 수 있어 좋습니다..

  • @skycloud2023
    @skycloud2023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채널이름이 웃기네요.ㅎㅎㅎ

  • @keunjung5940
    @keunjung5940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Pepple can make an natorium electric cells? So it would be very cheap from now on if can make it. People can easily gather Natorims from Salt. Hope so to make a natorium electic cells so people I the world live so eaily and economically.

  • @jakekim7873
    @jakekim7873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미국에 피터자이한이 있다면 ㅋㅋ한국엔 명문 한동대 김학주 교수가 있음 ㅋ 초전도체급 예언 잘 봤습니다 ㅋ

  • @user-dn9jj4qc8t
    @user-dn9jj4qc8t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와우 수준 높은 폭넖은 큰그림 강의
    공부 많은 도움 됬습니다
    계속 수고해 주세요

    • @glorygulbi
      @glorygulb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진짜좋은 방송인것 같습니다 이런강의는 수업료 티켓은 몇십만원짜리 될것같네요 깨어있는 살아있는 피가되고 살이되는 좋은정보 같네요 이방송을 보는분들이 진짜 현명한 국민이다

    • @user-dn9jj4qc8t
      @user-dn9jj4qc8t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glorygulbi
      예 같은생각입니다
      감사합니다

  • @LightMightKnight
    @LightMightKnight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RE100 모르시나 글로벌스탠다드 에서 멀어지면 도퇴되는 지름길

  • @usa0201k
    @usa0201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대단하시네요 경제사회역사 전반적으로 .

  • @user-vm9jz9oe6z
    @user-vm9jz9oe6z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듣다 듣다 짜증나서 나간다. 그래도 😊이프로는 좋아.

  • @user-ir9vg1so7l
    @user-ir9vg1so7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Steele's, computor-data,astro -,MONEY,EDUCATION 이 부분 1위 미국 압도적 1위 2위와 격찬 서울대와 연고대 차(중국과 러시아)성한은 (일본과 독일) 인도는 엥국 한국은 거의 한국이나 대만

  • @anallogenglish8408
    @anallogenglish8408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쟁은 늘어날 수 밖에 없다..
    앞으로 세상이 살기 좋아진다면 전쟁이 줄겠지만.. 그럴 수가 없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