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과 갤럭시 성능 차이의 이유는?

แชร์
ฝั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1K

  • @asd236678able
    @asd236678able 2 ปีที่แล้ว +1720

    그런데 보통 제국은 2위의 제국이 아니라 전혀모르는 상대에게 무너지더라구요. 노키아는 블랙베리가 아니라 애플에 무너졌고. 스파르타는 아테네가 아니라 마케도니아에게 무너졌죠. 유튜브에 가장 큰 경쟁자는 페북이 아니라 틱톡인것도.

    • @한여름밤-r3i
      @한여름밤-r3i 2 ปีที่แล้ว

      틱톡은 순수 중국내수인구에 치중해서 많아보이는거지 중국사용자 제외하면 페북에 경쟁할수가 없음

    • @kangmyungjae
      @kangmyungjae 2 ปีที่แล้ว +276

      좋은 인사이트네여

    • @zs7974
      @zs7974 2 ปีที่แล้ว +80

      이거 ㅇㅈ..
      보면서 똑같은 생각 들었음..

    • @user-om7qn9gp8t
      @user-om7qn9gp8t 2 ปีที่แล้ว +188

      Wls같은 소리 하나 하면 스파르타는 테베에 무너짐 ㅋㅋ

    • @naver.com701
      @naver.com701 2 ปีที่แล้ว +6

      전기차는요?

  • @SK_infosec
    @SK_infosec 2 ปีที่แล้ว +16

    마지막 말은 이건희 전 회장이 했던 말과 비슷하네요 "선두 사업은 끊임없이 추격받고 있고 부진한 사업은 시간이 없다 다시 한 번 바뀌어야 한다"

  • @tomilee78
    @tomilee78 2 ปีที่แล้ว +146

    그것뿐이 아니라 안드로이드의 한계도 있죠. 네이티브 OS인것과 아닌 것은 큰 차이가 있어요.

    • @bspark28
      @bspark28 2 ปีที่แล้ว +2

      올쏘

    • @bf-1109
      @bf-1109 2 ปีที่แล้ว +28

      근데 안드로이드만의 장점도 분명히 있음
      윈도우처럼 게임모드를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는점(아이폰은 보안땜에 절차가 복잡해서 이게 안됨), 아이폰보다 훨씬 다양한 게임종류(엡스토어에 안올라와 있는 게임이 꽤 많음) , 저사양 최적화(개 똥폰 기준으로 안드로이드가 더 구동환경 좋음)

    • @TheGreatDebunkers
      @TheGreatDebunkers 2 ปีที่แล้ว

      👏 👏 👏

    • @denisrow3908
      @denisrow3908 2 ปีที่แล้ว +3

      안드가 그거 벗어날 수 있나요? 없어서 퓨시아인가 새로 만드는것 같던데..
      폰은 갤럭시 패드는 아이패드 쓰는데 부드러운 동작 넘사벽이긴하네요

    • @namukuksu
      @namukuksu 2 ปีที่แล้ว +3

      어느정도 맞기는 한데 안드로이드도 그냥 바라만 보는것은 아니었고 네이티브의 장점을 가져오기 위해 많은 개선이 있었죠. 사실 지금의 격차는 하드웨어 차이가 더 큰 원인이에요.

  • @눈누난나-o5r
    @눈누난나-o5r 2 ปีที่แล้ว +127

    마지막 한마디가 진짜 가슴에 와닿네요...혁신은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 @peacemercy7276
      @peacemercy7276 2 ปีที่แล้ว

      주 52시간 때문에 한국기업들의 연구역량이 심각하게 훼손되었습니다... 하아... 이게 중국공산당에게 기술패권을 내주기위한 더불어당의 속셈이었습니다...

    • @한대웅-h6q
      @한대웅-h6q 2 ปีที่แล้ว +6

      이건희 회장님이 그래셨죠. 자식마누라부모빼고 다 바꾸라고.

  • @구구-u6g
    @구구-u6g 2 ปีที่แล้ว +428

    잘 모르는 사람들이 성능좋아봤자 게임할때만 좋은거 아니냐 이러는데 성능은 폰의 거의 모든 요소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자면 아이폰은 카메라찍는걸 누르면 바로 찍혀서 출력되므로 연속으로 찍어서 그중 좋은 결과물을 고를 수 있는데 갤럭시는 눌러도 성능땜에 이미지 처리시간이 길어져서 연속으로 누르기힘들다거나 배터리의 물리적인 용량은 갤럭시가 더 높은데도 아이폰은 칩셋성능으로 배터리까지 효율을 끌어올려서 오히려 더 오래가죠 이밖에도 갤럭시사용할때 아이폰에 비해 사용자경험적 측면에서 많이 답답한 느낌도 자주 듭니다 아이폰은 칩셋 덕에 작업전환이 부드럽지만 갤럭시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겠죠 애플을 따라잡으려고 하기는 커녕 달사진 조작,벤치마크 테스트 조작, gos성능 제한 등으로 소비자들의 신뢰를 깎아먹고 점점 반감을 일으키는건 삼성 스스로 자초하고 있습니다

    • @copen938
      @copen938 2 ปีที่แล้ว +56

      @@jaywangjoo4930 진짜에요. 지금 아이폰12프로 까지 쓰고 갤럭시22플러스 왔는데...삼성페이 말곤 진짜..개짱남. 버벅거리고..ㅠ

    • @김정우-e4i
      @김정우-e4i 2 ปีที่แล้ว +37

      @@jaywangjoo4930 하지만 통화녹음이 너무 큼 ㅠㅠ 통화녹음때문에 울며 겨자먹기로 쓰는중 ㅠ

    • @정주영-h7z5x
      @정주영-h7z5x 2 ปีที่แล้ว +18

      @@jaywangjoo4930 저도 아이폰, 갤럭시 같이 쓰고 있는데 아이폰 쓰다 갤럭시 쓰면 체감이 확 납니다. 차이가 너무 큼

    • @자만하면일본같은망국
      @자만하면일본같은망국 2 ปีที่แล้ว +12

      난 캘럭8로 유튜 동영상 무한 보는데 전혀 이상없고만...액정 멍든거 빼곤...;;

    • @namukuksu
      @namukuksu 2 ปีที่แล้ว +26

      진짜 공감. 갤럭시는 쓰는데는 문제가 없을지는 몰라도 완성도가 있다고 말하긴 힘들음... 아이폰을 쓰고 써보면 역체감 오짐

  • @김대영-u4l
    @김대영-u4l 2 ปีที่แล้ว +348

    지난 5년… 분명 삼성은 애플과 비슷한 영업이익과 비슷한 수준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점유를 하던 회사였는데 누가 이렇게 빠른 격차가 날 것이라고 예상했을까요. 삼성의 메모리 사업부가 멱살잡고 버텨주지 못했다면 삼성은 제2의 노키아이지 않았을까요?

    • @윤해찬-q3o
      @윤해찬-q3o 2 ปีที่แล้ว +87

      이미 제2의 노키아인뎁쇼? 애플이랑 시가총액 10배차이 ㅋㅋㅋ 도요타한테도 따라잡히기 직전임
      한 8월쯤에 도요타한테 역전당하고 10월쯤 되면 3만전자 ㄱㅈㅇ~

    • @윤해찬-q3o
      @윤해찬-q3o 2 ปีที่แล้ว +91

      @춘 식 개소리 ㄴㄴ 원래부터 쳐발리고 있던건데 ㅋㅋ 아직도 스위스, 대만법인으로 일본산 소재 맘껏 수입하는 중임.
      일본이 자비를 보여 줬다 이말음

    • @mins0519
      @mins0519 2 ปีที่แล้ว +70

      @춘 식 개소리야ㅋㅋㅋㅋㅋㅋ 참고로 본인 S2부터 지금은 S10 3년째 쓰는 삼성 골수팬인데 소프트웨어 격차 벌어진지 꽤 됐음.

    • @아롱이다롱잇
      @아롱이다롱잇 2 ปีที่แล้ว +18

      애플은 디자인 회사고 삼성은 제조업 회사 차이

    • @오늘-j9q
      @오늘-j9q 2 ปีที่แล้ว +42

      애초에 os에서부터 차이가 크죠
      안드로이드 os가 프리미엄엔 라인에 적합하지 않으니..

  • @비머-u1y
    @비머-u1y 2 ปีที่แล้ว +26

    64비트 코어 개발에서 애플과 다른회사들과의 차이가 딱 나옵니다.
    애플은 ARM과 같이 개발을 시작해서 기본적으로 몇년 전부터 AP뿐만 아니라 OS도 최적화를 시작합니다. 그러면 안드쪽 진영은 시작부터 2년 이상 뒤쳐서저 시작하는 겁니다. ARM레퍼런스가 64비트로 바뀌니 새로만드는 수준과 처음부터 64비트를 쓰기위해 코어개발단계부터 협력하는 회사는 같은 결과가 나올수 없죠. 어느순간 안드쪽 진영이 애플을 따라가지도 못한게 이런 이유가 쌓이면서 입니다.

    • @빈살만-w8c
      @빈살만-w8c 2 ปีที่แล้ว

      한국도 중국 샤오미와 협력하여 세계를 지배하야 함니다. 한국 ♥중국 사랑해요~

    • @Alejandro_2415
      @Alejandro_2415 2 ปีที่แล้ว +1

      @@빈살만-w8c taiwan no.1

    • @evrije
      @evrije 2 ปีที่แล้ว

      ㅇㅇ.. 지네가 설계해서 성능 손실날것도없음. 삼성은 구글로 전환하면서 또 ㅠ나구 ㅠ 칩설계도 어렵다보니

  • @jitae4
    @jitae4 2 ปีที่แล้ว +11

    팬인 팬아웃 기술은 이미 널리 쓰여 있는 기술입니다. 설계에 따라 필요한 패키징을 선택하고 만드는 것이지 해당 패키징 차이로 AP의 성능의 차이는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패키징의 궁극적 목표는 IO카운트를 만족하면서 경박단소 , 즉 가볍고 얇고 작게 만드는게 최종 추구 방향입니다.

  • @FrankYang1000
    @FrankYang1000 2 ปีที่แล้ว +101

    반도체 입장에서만 얘기한 것 같은데 iOS와 Android OS에서 오는 보안과 관련된 리소스 사용 차이가 iOS가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동작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Android OS는 기본적으로 core한 개를 보안에 사용해야 하고 iOS는 OS 태생적으로 보안이 고려되어 있어서 다른 앱간의 메모리 공유를 원칙적으로 막기 때문에 보안 core를 점유할 이유가 없어서 더 빠르게 동작합니다.

    • @woong4619
      @woong4619 2 ปีที่แล้ว

      오호

    • @woong4619
      @woong4619 2 ปีที่แล้ว +3

      성능차를 내는 가장 큰 이유는 근데 가상머신의 유무 아닌가요?

    • @PresidentJaemyungLee
      @PresidentJaemyungLee 2 ปีที่แล้ว +1

      오! good 👍 👌 👏 😋

  • @rreinhardt2393
    @rreinhardt2393 2 ปีที่แล้ว +270

    삼성 반도체 gos 이슈뿐 아니라
    TV gos도 미국에서 터졌는데
    한국에서는 크게 화제가 안됐더군요
    기업 문화 전반이 뭔가 잘못 돌아가는것 같습니다

    • @peacemercy7276
      @peacemercy7276 2 ปีที่แล้ว +1

      주 52시간 때문에 한국기업들의 연구역량이 심각하게 훼손되었습니다... 하아... 이게 중국공산당에게 기술패권을 내주기위한 더불어당의 속셈이었습니다...

    • @Owl_bueong
      @Owl_bueong 2 ปีที่แล้ว

      TV gos는 뭔가요?

    • @구구-u6g
      @구구-u6g 2 ปีที่แล้ว +79

      @@Owl_bueong 구린 화질인데 테스트에서 좋게 속였나봐요 근데 삼성은 테스트에서 거의 항상 조작해왔어서… 오히려 실제스펙보다 낮거나 같게 보여주는 lg와는 정반대죠

    • @777v-7-7
      @777v-7-7 2 ปีที่แล้ว +10

      한국 언론 자체가 공정한편이 아니래요. 광고비로 운영되기 때문에 광고주는 회사 까는 기사 내기는 어렵죠

    • @peacemercy7276
      @peacemercy7276 2 ปีที่แล้ว +38

      @@777v-7-7 요즘 공중파는 기업들 눈치릉 보는게 아니고ㅋㅋ 중국공산덩이랑 더뷸어당 눈치를 봄 ㅋㅋ 시진핑 충견 더뷸어당이 임명한 엠비씨,케이비에스등 사장들이 그대로라서 ㅋㅋ

  • @AGI2025
    @AGI2025 2 ปีที่แล้ว +49

    삼성페이

    • @소울소울메이트
      @소울소울메이트 2 ปีที่แล้ว +8

      10년 갤럭시 쓰다가 아이폰 넘어갔는데 삼성페이는 참을만 한데 오히려 뒤로가기 버튼이 없는거 같이 소소한게 불편해요. ui는 삼성이 좋습니다.

    • @poiuy6655
      @poiuy6655 2 ปีที่แล้ว +2

      @@소울소울메이트 이거 ㄹㅇ ㅋㅋㅋ
      갤노트 20에서 아이폰13프맥으로 넘오왔는데
      뒤로가기버튼이나 이런 사소한거에서 개불편함 아무리 적응해도 편한건아님
      덜 불편해질뿐 그리거 무게.... 액정크기는 똑같은데 체감상 무게는 2.5배는 더 무거움

    • @xxxLuglioxxx
      @xxxLuglioxxx 2 ปีที่แล้ว +2

      @@ddammm8848 맞음 난 스마트폰을 아이폰4부터 현재 13까지 모든기기를 애플만 써서 익숙함이 편한거 . 나같은놈은 갤럭시 어려워서 사용할줄도 모름 ㅋㅋㅋ 편하다는 말은 결국 자기한테 익숙한거

  • @onther6884
    @onther6884 2 ปีที่แล้ว +9

    순다르 피차이 아버지는 GE 출신에 공장을 경영했는데 어려운 가정형편은 잘못된 정보같네요. 인도에서는 저명한 공대에서 학사까지 전공했어요

  • @chs007
    @chs007 2 ปีที่แล้ว +3

    삼성은 무슨 수를 써서라도 애플에 폰 성능을 따라갈 수가 없음..
    애초에 삼성 이놈들은 마케팅 전략이랑 타사의 기술을 배끼고 가격 따라가기에 급했으니까..
    얘네들도 내세울게 폴더블 플립 밖에 없으니까 미국 법인에서 아이폰보고 지금 폰 접을 수 있냐고 ㅇㅈㄹ하고있고..
    삼성은 이제 성능으로 승부 보려하지 말고 가격과 롤러블로 승부해야 할 듯
    처음부터 독자적인 기술을 갈고 닦아 연마해온 애플의 승리지 뭐.. 그저 따라하기에만 급급했던 삼성 휴대폰 부서의 몰락은 이제 시작이고 lg처럼

  • @백재윤-m4v
    @백재윤-m4v 2 ปีที่แล้ว +19

    단순 삼성과 TSMC 의 기술격차로 아이폰과 갤럭시의 성능차이가 나는거라면 삼성이 아닌 다른 AP 제조사들은 왜 애플 성능을 못낼까여? 퀼컵 스냅이 왜 바이오닉 성능을 못따라갈까여? 아이7이후에 지금 몇년이 흘렀는데 ㅎ
    이것저것 다 떠나서 애플이 ARM 기본설계 갖다버리고 자체설계 하고 AP 사이즈를 키운게 성능차이 급격히 벌어진 가장 큰 원인임.....근데 안드로이드는 이미 ARM을 기반으로 발전되고 최적화되서 그걸 버리고 갈아탄다는게 쉽지 않으니 다른 제조사들도 AP성능 안나오는걸 알면서도 쓸수밖에....
    자동차 엔진처럼 한번 만들면 수년 수십년 쓸수있는게 아니라 매년 새로 개발해야되니 제조사들은 중복투자도 쉽지않음

  • @박정진-z5f
    @박정진-z5f 2 ปีที่แล้ว +25

    쥐꼬리만한 땅 인구를 가진 국가에서 치열한 경쟁을 통해 세계와 경쟁할수 있는 기업이 자국에 존재한다는건 대단한겁니다 삼성응원합나다!!

  • @user-im4sc2ye3m
    @user-im4sc2ye3m 2 ปีที่แล้ว +44

    나도 갤럭시 쓸 때는 고작 스마트폰끼리 뭐 얼마나 차이 나겠어 싶었는데 둘 다 써보니 진짜 체감 차이가 생각보다 훨씬 심함
    상향평준화 됐다고 생각한건 정말 너무 큰 착각이었음 오히혀 격차는 점점 더 벌어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 정도

    • @ddkanrjsktmfrp
      @ddkanrjsktmfrp 2 ปีที่แล้ว

      구체적으로요?

    • @워노
      @워노 2 ปีที่แล้ว +4

      성능은 확실히 차이남.. 일단 고사양게임 멀티로 앱을 여러가지 실행 해보면 갤럭시는 발열 렉이 있음 아이폰은 확실시 부드럽고 덜함 하지만 난 갤럭시를 씀.. 이미 갤럭시 구조에 익숙해진것도 있고 고사양을 별로 쓸일도 없으며 국내에선 일상생활 여러가지 기능들이 갤럭시 삼성이 좀 유용하긴함

    • @user-q389
      @user-q389 2 ปีที่แล้ว +6

      @@ddkanrjsktmfrp 모바일게임 원신이전엔
      삼엽이들 앱충이들 서로 비등하게 설전하며 비볐는데 원신나오고는 갤럭시 완전 ko되고
      삼엽이들도 성능은 아이폰이다라는걸 인정.
      이제 경쟁력 해봐야 녹음과 삼성페이라는데
      게임 안할바야는 고성능폰은 그다지 필요없고
      사행심이나 과시용으로 비싸고 고성능 가지고
      비교한다면 디자인과 성능이 압도하는
      아이폰이 훨씬 우월하며 밧데리도 현 아이폰 13 프로맥스가 가장 오래감

  • @alala4290
    @alala4290 2 ปีที่แล้ว +8

    결국에는 혁신의 대상일 될 것이냐 아니면 혁신의 주체가 될 것이냐가 생존의 문제를 가르는 기점이 되겠군요.

  • @mj2678
    @mj2678 2 ปีที่แล้ว +4

    원래부터 과거에도 기술의 애플, 감성의 애플이었고
    지금도 기술의 애플, 감성의 애플이죠
    과거에 기술의 삼성이라는 소리는 사실 한국에서나.. 한국인들이 착각하고 있는것중 하나입니다..
    엘지가 스마트폰 사업 철수하면서 삼성의 기술력이나 품질이 다이렉트로 애플과 비교 당하기 시작하면서 뽀록났죠..

  • @ADAMOTHER
    @ADAMOTHER 2 ปีที่แล้ว +93

    패키징기술의 차이는 스냅드래곤 ap에서도 간접적으로 확인된다. 전전세대인 tsmc파운더리의 sd865~870이 프레임유지력에서 삼성파운더리의 sd888과 SD gen1 을 압살하고 있기에 865+를 탑재한 갤럭시노트20 시리즈의 중고가 방어도 엄청나게 유지되고 있지. 애플도 삼성에게 ap파운더리 맡겼던 시절 아이폰 발열이 안좋았던 이후 떠났었고

    • @peacemercy7276
      @peacemercy7276 2 ปีที่แล้ว +1

      주 52시간 때문에 한국기업들의 연구역량이 심각하게 훼손되었습니다... 하아... 이게 중국공산당에게 기술패권을 내주기위한 더불어당의 속셈이었습니다...

    • @ADAMOTHER
      @ADAMOTHER 2 ปีที่แล้ว +5

      @@liljfjllifllil 좋은 말씀입니다만 나라를 위해 희생한 6.25참전용사에 대한 대우가 지금같은 상황에선 강한 애국심이 생기기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독립운동하면 거지된다는 말도 돌 정도로 국가가 희생한 국민에게 취해야할 의무를 다하지 않고 기득권들이 해처먹기 바빴기에 전 상생관계 정도로 생각합니다. 법을 지키고, 국방의 의무를 하고, 세금 다 내면서 국가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누리면서 남보단 내 가족만이 최우선인 삶을 살고 있습니다. 국가, 특히 입법,사법,행정부가 스스로 자정하지 않는다면 전반적인 국민의 인식은 변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삼성을 맹목적으로 밀어줘야만 애국이 아닙니다. 삼성이 우리나라에서 정말 소중한 기업인건 맞습니다. 허나 휴대폰시장만 봐도 애플을 제외하곤 거의 독과점에 가까운 상황인데요. 그러다보니 스마트폰도 국내시장에선 막대한 수익만을 추구해서 해외처럼 가성비폰을 출시하는걸 줄여왔다가 샤오미같은 가성비폰의 반격 덕분에 a52s같은 가성비폰을 출시해줬지요. 근데 그것도 플래그쉽 덜 팔릴까봐 6/128 모델만 출시하고 타 국가들은 8/256 모델도 출시하는건 정 떨어지는 일이지요. 삼성을 맹신하는건 위험하고 잘한건 칭찬하되 잘못된부분은 적극적인 비판을 해야 합니다.

    • @병순-y9s
      @병순-y9s 2 ปีที่แล้ว +2

      뒷북 치기는 싫은데... 888이랑 gen1은 애초에 설계부터 잘못 되었다고 퀄컴에서 공식적으로 발표되었기 때문에 전세대 프로세서랑 비교대상이 아닐것 같은데요...?

    • @위생천-h8y
      @위생천-h8y 2 ปีที่แล้ว

      대만의 가짜뉴스에 속지맙시다.. 삼성이 제조를 잘못해서 발열발생했다고 우기면서 tsmc에 제조맞겼는데 ㅋㅋ 똑같이 발열이 났음 지들이 설계잘못해놓구 삼성에 덤탱이 씌운거임

  • @뽀얀허벅지
    @뽀얀허벅지 2 ปีที่แล้ว +34

    픽셀을 쓰는 사람을 보기 힘든 이유는 구글이 폰을 더럽게 못만들었기 때문이죠. IOS는 애플제품만을 위한것이고 안드로이드는 구글제품만을 위한게 아닌데 픽셀을 예로 드는건 좀...

    • @deenno4946
      @deenno4946 2 ปีที่แล้ว +5

      더럽게 못만들어서 보기힘든건 아니구요. 국내 미출시기기입니다. 국내에서는 볼일이 잘 없을거에요.

  • @ha_na_se
    @ha_na_se 2 ปีที่แล้ว +3

    ㅋㅋㅋㅋㅋㅋㅋ맞는말 해도 애플에 돈받았냐고 물어보는 국뽕 틀니들… 한국이 망하게 된다면 우물안개구리 무지성 국뽕추종자들때문에 현실파악 못해서 망할듯

  • @365fall
    @365fall 2 ปีที่แล้ว +16

    S20+ 쓰면서 어떻게할지 고민중인데 사실 뽑기운이 좋은건지 난아직도 지금폰 쓰는데 불편함이나 버벅임 문제점 한개도없다... 물론 예전에 아이폰 썼을때보단 영상찍거나 뭐 여러가지로 부드러운정도는 아이폰이 좋긴한데...
    삼성아 다 필요없어 지금 나쁘지않아 몇배 뒤쳐지면 어때 삼성페이 하나로만도 사줄사람 많은데... 그저... 제발
    이쁘게만 만들어줘 진짜 뭐 무식하게 큰 탱크느낌나게만 하지말고 막 그 이쁜 디자인에 이쁜 색깔만 부탁해...ㅠㅠ
    아이폰 고민하는것도 아이폰이 이뻐서 사고싶은거다 나도ㅠㅠ

    • @kiky_witch
      @kiky_witch 2 ปีที่แล้ว

      그것보단 삼성충성고객들은 호환성때문에 사는 거였는데 그 호환성을 포기하더라도 애플의 성능이 월등히 뛰어나고 유지력이 좋고 생태계 조성이 잘되어있습니다. 저는 아직까진 모든 제품을 삼성으로 사용하지만 좀 많이 흔들립니다.

    • @365fall
      @365fall 2 ปีที่แล้ว +2

      @@kiky_witch삼성충까진 아니고 저도 아이폰 쓰다가 은행이다 뭐다 일하기엔 삼성이 낫다 싶어서 갈아탄건데요... (참고로 당시 세금계산서를 보려고 켰는데 실제 금액과 1의 자리 숫자가 다른거 보고 약간 당황했음) 아이폰이 그리울만큼 성능 좋은건 압니다... 심지어 6s를 아직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해줌....
      그치만 삼성이 이쁘게만 만들어주면 저같은 케이스의 사람은 삼성 쓸 것 같아요 ㅋㅋㅋㅋ
      그리고 생태계 좋은건 맞는데 생태계 조성하는게 요즘처럼 힘든 시기에 저같은 사람에게는 금전적으로 부담도되긴 합니다ㅠㅠ 조성하고싶다...

  • @beruzzi
    @beruzzi 2 ปีที่แล้ว +39

    갤럭시 시리즈만 써와서 이젠 익숙한 맛에 쓰는 갤럭시지만 솔직히 항상 2년도 채안돼서 유튜브 영상 볼때나 각종 어플들을 쓸때 버벅임이 증가하고 폰을 쓰면서 쾌적하다는 느낌은 완전히 사라진다. 어딘가 항상 느껴지는 갤럭시만의 딜레이.. 느낌상 아이폰은 왠지 항상 빠릿한 느낌이던데.. 계속 이러면 도태되는건 시간 문제겠네

    • @evrije
      @evrije 2 ปีที่แล้ว

      갤 폰에 아이패드 프로 쓰는데 얜 왜케 버벅이냐.. 리퍼받아야겟지.. ㅠㅠ 뭔가 잘못된거 같다

  • @LinksArc
    @LinksArc 2 ปีที่แล้ว +96

    삼성이 이랗게 되리라는건 꽤 오래전부터 예견된 일입니다. 이미 2015 년에도 삼성의 벤치마크 치팅은 유명했습니다.

    • @이영준-z6l
      @이영준-z6l 2 ปีที่แล้ว +38

      @mon mon 저 시절의 치팅은 IT 덕후들에게만 유명했지만 GOS로 일반인들에게 널리 퍼진게 치명적

    • @kwj07
      @kwj07 2 ปีที่แล้ว +1

      @mon mon ㄹㅇㅋㅋ

    • @숟가락들힘만있는나이
      @숟가락들힘만있는나이 2 ปีที่แล้ว +2

      @@이영준-z6l 그떄 당시에는 지금처럼 성능 향상폭이 그렇게 크지 않았음 그냥 발열제어 수준이구나 하고 크게 말이 없었던거지

    • @띠리릿-y4h
      @띠리릿-y4h 2 ปีที่แล้ว

      애플 배터리게이트 보면 놀라겠누 ㅋㅋㅋㅋㅋㅋㅋㅋ

    • @Blueberrybanana
      @Blueberrybanana 2 ปีที่แล้ว

      @@띠리릿-y4h 노태문 짤리지마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그만싸우고고기나먹어
    @그만싸우고고기나먹어 2 ปีที่แล้ว +2

    삼전 칭찬하는 붕신들 ㅋㅋㅋㅋ
    앞서 올 초 출시된 스냅드래곤8 1세대는 전량 삼성 파운드리 4나노(nm·나노미터) 공정으로 만들어졌고 해당 칩은 갤럭시S22에 탑재됐다. 이후 퀄컴은 올 1분기 처음으로 삼성전자의 5대 고객사에 이름을 올리며 양사의 동맹 관계는 최고조에 이르렀다. 하지만 퀄컴은 스냅드래곤8 1세대의 발열 문제로 어려움을 겪다가 다음 모델인 스냅드래곤8+ 1세대에 이어 오는 11월 출시될 스냅드래곤8 2세대도 TSMC에 위탁생산를 맡겼다.
    스냅드래곤8+ 1세대는 스냅드래곤8 1세대보다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 성능을 최대 10% 끌어올리면서도 전력 효율성은 30%가량 개선된 것으로 알려졌다. 퀄컴이 TSMC 4나노 공정에 만족했다는 말도 들린다.
    중국 IT 업계에서도 퀄컴이 차세대 중급 칩인 스냅드래곤7 2세대 위탁 생산을 TSMC에 맡길 것이라는 루머가 돌고 있다.
    암요 칭찬충들 꼭 대출 받고 카드 대출 받고서채써서 주식사라 제발 엌 ㅋㅋㅋㅋ

  • @ganzi3703
    @ganzi3703 2 ปีที่แล้ว +7

    삼성에게 스마트폰은 한 분야일뿐 애플보다 더 많은 분야를 담당하고있으므로 접목시킬수 있는 미래기술은 더 많을거라 생각합니다. 디스플레이 기술부터 다른 많은 기술들이 접목했을때 성능보다 기능으로 승부볼수도 있는거고 애플의 세계화는 애초에 삼성이 방해에 성공했고 중국기술이 아직 멀긴했어도 치고올라온다면 안드로이드 기반의 호환성으로 출시할때를 생각한다면 애플의 폐쇄된 마케팅에는 한계가 있다고 봅니다. 전세계 가전을 섭렵하고 모두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만 호환이 된다면 그저 스마트폰 기술 하나로는 따라잡긴 힘들것으로 생각되네요.

    • @ktkice1
      @ktkice1 2 ปีที่แล้ว

      정말 짧고 무식한생각;;;

    • @신-q9r
      @신-q9r 2 ปีที่แล้ว

      애플 점유율은 계속 상승하고 있고 콘크리트들 때문에 힘들어보이네요. 삼성이 애플을 이기기전에 샤오미가 삼성을 이기는게 쉽죠.

    • @ganzi3703
      @ganzi3703 2 ปีที่แล้ว

      @@ktkice1 님 댓글이 짧고 무식. 앱등이는 반박할 논리는 항상없고 근거를 못댐. 앱등이들과 논쟁에서 단한번도 밀린적없음. 그냥 단순무식하게 디자인때문에 불편을 감수하고 쓴다고 솔직히 말해ㅋ

    • @vonderheide6101
      @vonderheide6101 2 ปีที่แล้ว

      애플이 과연 폰만 팔아서 세계 시총 1위, 세계 최초 시총이 조 달러대 넘고 세계 시총 1위 기업을 지키고 있을까요? 오히려 미래기술이 많다는 말은 제조업 중심에다가 삼성이 아닌 애플에 해당되는 말이에요. 애플보다 더 많은 분야라고 하는데, 보험 패션 호텔 다 건드리는 한국식 재벌 사업은 전혀 무의미하죠. 애플은 애초에 사람이 기기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혁신해서 인간의 삶을 바꿔놓은 기업입니다. 그걸 한국에서 잘 모르는 사람들이 그냥 보기만 이쁜 감성이라고 듣고 오해하고 있는데, 애플은 단순히 스마트폰만 잘 만드는 기업이 아니라 어마어마한 가치와 영향력을 지닌 기업입니다. 정말정말 짧은 생각이에요.

    • @ganzi3703
      @ganzi3703 2 ปีที่แล้ว +1

      @@vonderheide6101 뭐가 혁신인지 말해주실수있나요?

  • @dontgo5929
    @dontgo5929 2 ปีที่แล้ว +30

    자꾸 칩셋=게임성능으로 오해 하는 사람들 많은데 칩셋은 게임성능 뿐만 아니라 배터리,렘,사진 후보정 등등에 영향이 갑니다..갤은 칩셋이 씹구대기라 사진 셔터도 늦게 찍히고 아이폰 보다 렘도 2~3배 많은데 리프레시가 더 자주 발생 하며 배터리 용량도 더 많은데도 아이폰이 더 오래 갑니다.. 제발 삼엽충분들 "일반인은 게임 별로 안해 성능 필요 없다" 이딴식으로 자기위로 좀 하지마세요..님들이 삼성 망치는 주범임

    • @mb2458ks
      @mb2458ks 2 ปีที่แล้ว

      심성에서 ㅈ같이 만들어도 어짜피 삼엽충들은 억지로 빨아주니 멍청한 삼성애들은 지금 당장의 수요층은 있다고 생각하고 계속 ㅈ같이 만드는거죠 ㅋㅋ 이따위로 운영하면 몇년뒤만 해도 삼성전자 망하지 않을까요..

    • @굿모닝밀크
      @굿모닝밀크 2 ปีที่แล้ว +8

      근데 실제로 성능 신경 안쓰는 사람들은 다 보급형기기씀 플래그십 써도 진짜 게임 빼고는 체감 하기도 힘들고 게임을 해봐야 기술격차가 이정도구나 뼈저리게 느낌

    • @artificial_intelligence12
      @artificial_intelligence12 2 ปีที่แล้ว

      @@굿모닝밀크 맞긴함

    • @guririririririririri
      @guririririririririri 2 ปีที่แล้ว +1

      애플도 보면ㅋㅋ 케이스얘기많이하지
      성능얘기안함ㅋㅋ
      갤럭시는 성능이 어떻고 게임할때 프레임이 어떻고
      아니ㅋㅋ 플래그십을 사면 플래그십 만큼 성능을 내야하는데 성능을 못냄ㅋㅋ

    • @highereven8592
      @highereven8592 2 ปีที่แล้ว +1

      os가 아주 중요해서 ..안드로이드가 미친듯한 극강의 업데이트가 없다면 아이폰을 절대 이길수 없죠

  • @하냑-g9m
    @하냑-g9m 2 ปีที่แล้ว +5

    한국에선 갤럭시가 편하니까 삼성폰 써야 한다는 사람들은 스스로 갈라파고스화를 자처하는 꼴

    • @NewJH19
      @NewJH19 2 ปีที่แล้ว

      ㅋㅋㅋㅋㅋㅋ
      아이폰 쓴다고 거의 천룡인된거마냥 갈라파고스화 ㅇㅈㄹ 하네 ㅋㅋㅋㅋㅋㅋㅋ

    • @Pepsi_Cola
      @Pepsi_Cola 2 ปีที่แล้ว

      AP 원툴 아이폰

  • @알아보자-p2b
    @알아보자-p2b 2 ปีที่แล้ว

    00:07:40 [오타발견] 예 -> 얘 입니당! 좋은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comtingy
    @comtingy 2 ปีที่แล้ว +4

    삼성은 평생 카피로 성장을 해왔는데요. 왜일까요? 돈때문이죠. 가장 저비용으로 성장할수 있으니까요.

  • @shc0018
    @shc0018 2 ปีที่แล้ว +20

    솔직히 애플 한국사람이 쓰기 불편한 부분 고쳐지면 아무도 삼성 안쓸듯

    • @j장강
      @j장강 2 ปีที่แล้ว +5

      절대 그럴수 없습니다
      미국은 학력이 낮아서 모든 ui나 가전제품 차량등이 단순 합니다
      반면에 한국은 고학력 세상이라서 기능에 집중합니다 모든 가전에도 최첨단기능을 심죠

    • @이영차-z6o
      @이영차-z6o 2 ปีที่แล้ว +6

      @@j장강 ..?

    • @shc0018
      @shc0018 2 ปีที่แล้ว +8

      @@j장강 애플에 취직하는게 쉬울까요 삼성에 취직하는게 쉬울까요

    • @JS-dr8qe
      @JS-dr8qe 2 ปีที่แล้ว +6

      @@j장강 ..? 이건 좀;;

    • @레날라
      @레날라 2 ปีที่แล้ว +2

      @@j장강 ?

  • @jjk1035
    @jjk1035 2 ปีที่แล้ว +7

    이 미묘한 차이가 정말 틀립니다. 남들은 비싼 아이폰 왜 쓰냐고 하지만 좋은 컴퓨터 쓰다가 안좋은 컴퓨터 쓰면 바로 느끼듯이 아이폰도 똑같습니다. 이번 13시리즈는 배터리조차도 개선되어 더욱 만족입니다.

    • @Dkdhdhjajaksksk
      @Dkdhdhjajaksksk 2 ปีที่แล้ว +1

      저는 둘다 써봤는데.. 뭐가 그렇게 쾌적할 정도로 차이가 나요? ㅎㅎ 도대체 폰으로 무슨 대단한 작업들을 하시길래.. 이거 진심 까는게 아니라 궁금해서.
      컴퓨터야 그렇다 치지만 스마트폰으로 무슨 대단한 작업들을 하시길래 ㅎ 그래봤자 카톡 인터넷 문자 전화 유튜브 폰게임 정도인데..
      그리고 틀린게 아니라 다른거죠.

    • @kissgray2576
      @kissgray2576 2 ปีที่แล้ว

      @@Dkdhdhjajaksksk 차이가 심하게 나던데.. 일단 터치감부터 다름 그냥 답답함

    • @vonderheide6101
      @vonderheide6101 2 ปีที่แล้ว

      @@Dkdhdhjajaksksk 갤럭시랑 비교를 떠나서 기기 성능이 좋으면 여러 창 띄어놓고 검색하거나 여러 어플 돌리면서 왔다갔다할때 렉도 없고 매끄럽죠. 또 사진 및 동영상 편집 많이 하는데 여기서도 특히 사양 차이가 많이 나죠. 사진 찍을 때도 사진 촬영 속도나 사진 보정 및 촬영 보조 기능에서도 차이가 나고, 속도같은 경우 야간 모드에서 1초라도 더 빨리 찍히는 건 유의미한 차이죠. 또 게임 하는 사람들은 고사양 게임 돌리면 차이가 엄청나고요. 또 배터리 효율도 좋고 및 발열도 덜하고요. 성능이 좋으면 훨씬 오래 잘 쓸 수 있죠. 또 스마트폰 배경에서 조용하게 돌아가는 센서들과 앱들이 많은데, 음성 감지라던지, 센서 GPS 등 정보 기반으로 명령 실행한다던지 이런 일상생활을 편리하게 만드는 것들도 있고 성능이 좋을 수록 기기가 매끄럽게 처리할 수 있는 작업량도 많아지고요. 사실상 스마트폰의 모든 기능이 성능 좋은 칩셋을 전제로 가능한거죠. 저는 아이폰 6s를 6년동안 썼는데 요즘 폰은 카메라로 찍으면 자동 번역되고, 텍스트 추출되고 인물만 따로 추출도 가능하고, 카메라 떨림방지, 여러 동영상 모드, 밝고 선명하면서 매끄러운 적응형 디스플레이 등등 6s의 하드웨어로는 아예 불가능한 기능들이 많죠, 이 모든 걸 옛날 하드웨어에 넣어봤자 제대로 돌아가지도 않을 거고 성능이 덜한 휴대전화도 덜 매끄럽게 돌아가겠죠. 스마트폰 성능은 단순히 특정 전문 기능이 돌아가고 안 돌아가고를 떠나서 휴대 전화 사용 전반을 좌우하는 거예요.

  • @zonzonpictures
    @zonzonpictures 2 ปีที่แล้ว +7

    애플쓰고 싶지만 안드로이드에서 저세상급 편한 어플들때문에 못넘어가겠다ㅠㅠ

  • @jjjun
    @jjjun 2 ปีที่แล้ว +16

    s7 > g7+ > 아이폰12프로맥스 이렇게 총 7년? 써왔는데
    2년이 지나도 처음 삿을때랑 달라졌다는 느낌이 안든던 아이폰이 유일했어요. 다른건 느려지는게 눈에 보였는데 아이폰 너는..

  • @mulmandu1
    @mulmandu1 2 ปีที่แล้ว +1

    몇번 보니 이 분은 약간 흥분하는 말투로 몰입감을 줘서 흥행하시는것 같네요.

  • @innomvation
    @innomvation 2 ปีที่แล้ว +22

    아이폰에 c타입이랑 애플페이만 되도 넘어간다 ㅂㄷㅂㄷ..

    • @nicespirites1460
      @nicespirites1460 2 ปีที่แล้ว +9

      C타입만 되도 감 ㅠ

    • @리스폰-e5e
      @리스폰-e5e 2 ปีที่แล้ว

      혁신님 휴대폰을 그냥 꽂으면 프라이버시가 생길수 있어요 와이파이 그냥 연결 한것처럼요

  • @oNAMUo
    @oNAMUo 2 ปีที่แล้ว +23

    저도 평생 삼성폰만 사용해왔고 현재도 갤럭시 s10 5g 사용중인데
    영상 시청하고 나니 더욱더 아이폰14프로 구매욕구가 오네요ㅠㅠ
    항상 양질의 정보, 펙트를 전달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sang9479
      @sang9479 2 ปีที่แล้ว +4

      애플 생태계가 넘 폐쇄적이라 적응하시는 대 좀 빡치실 겁니다.

    • @DYN777
      @DYN777 2 ปีที่แล้ว +2

      저도 같은기종쓰는 라이트유저이지만 성능보단 편의성위주라 애플은 그닥. .안되는게 넘많은거 같아요

    • @남이-v8x
      @남이-v8x 2 ปีที่แล้ว

      개인적으로 애플 별룬데. 구글이 짱이지.구글은 네트워크에 기반한 회사니까.솔까 인터넷 없음 무용지물 아니노.

    • @hermess7077
      @hermess7077 2 ปีที่แล้ว +5

      아이폰 사지말라는 엽이들 보이시죠?왜이리 아이폰살까봐 겁낼까요ㅎㅎㅎ 아이폰 사세요 ㅎ

    • @profit3816
      @profit3816 2 ปีที่แล้ว +2

      @@hermess7077 인생 최대 업적 아이폰 사용 ㄷㄷ 나도 아이폰, 워치, 노트북 다 산 흑우 애플 노예인데 이런애들보면 그래도 난 얘내보단 덜하구나 하고 위안 얻는다

  • @아현량
    @아현량 2 ปีที่แล้ว +132

    형님 삼성에 물리셨습니까

    • @우아아아앙-t8d
      @우아아아앙-t8d 2 ปีที่แล้ว +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softdragon
      @softdragon  2 ปีที่แล้ว +60

      ㄴㄴ 1주도 없어요.
      근데 요 근래 삼성제품들에 돈을 많이 썼는데 좀 만족을 못하기도 했고...
      빠가 까로 돌아서면 더 가혹해지는 걸지도.

    • @history_Korean
      @history_Korean 2 ปีที่แล้ว

      @@softdragon ㅂㄷㅂㄷ...

    • @JC_on_board
      @JC_on_board 2 ปีที่แล้ว +1

      아웃곀ㅋㅋㅋㅋ

    • @나쵸
      @나쵸 2 ปีที่แล้ว +9

      @신칸센-노조미호 1절만~

  • @parkwar
    @parkwar 2 ปีที่แล้ว +1

    저는 삼섬반도체 협력사 다니는사람입니다 보안어플인 mdm이 갤럭시는 출입구에서만 어플실행및 해제가능 아이폰은 출입구외에 집에와서다 해제 및 설정가능합니다 아니 삼성일하러가는데 자사제품쓰는사람이 불편하게 하는데 누가삼성꺼쓰고싶겠습니까 아이폰 14나오면 아이폰으로넘어갈예정입니다
    이제삼성제품 안사렵니다

  • @fhrhjghh914
    @fhrhjghh914 2 ปีที่แล้ว +3

    레거시 차이가 젤크죠
    정해진틀에서 만들어야만 하는건
    범용성은 좋더라도 아무래도 성능은 떨어질 수 밖에 없어서

  • @dreamofblueturtle
    @dreamofblueturtle 2 ปีที่แล้ว +175

    리뷰 하신 대로 공감 하는 부분이 지금 12 프로 맥스 쾌적하게 사용하고 있는데 이렇게 폰 사용하면서 쾌적하다는 느낌을 받았던 폰이 아이폰7플러스 부터 였습니다. 지금도 그폰은 아버지가 사용하고 계시는데 정말 명기라는 느낌이 들정도로 일반적인 사용 부분에서 전혀 딜레이가 느껴지지 않습니다. 사진도 예쁘고 빠르게 잘 나오고요. 분명 7 부터 애플 아이폰 약빨고 만들고 있습니다.

    • @songone9628
      @songone9628 2 ปีที่แล้ว +11

      인정합니다 저도 지금 8플 4년째 쓰는중인데 전혀 딜레이가 느껴지지 않습니다 차이는 해상도정도? 배터리만 성능떨어질때마다 바꿔준다면 계속 사용할 수 있을정도인듯요

    • @유승민-y6x
      @유승민-y6x 2 ปีที่แล้ว +26

      @@liljfjllifllil 국가에 대한 기여는 개인의 선택이고, 자유임.. 애초에 간섭할 영역이 아니라는거
      몹쓸 짓이라 규정하는 부분 또한 전체주의적인 태도이며, 나치즘과 별반 다를게 없어 보이는데?
      애초에 자유주의와 자유시장경제의 입각해서 만들어진 나라에서 국가에 기여하라는 말이 얼마나 병신같이 들리는 줄 아셈? 국가의 기여하는건 의무, 개인의 소임이 아니라 오로지 선택임.

    • @나는쭝식
      @나는쭝식 2 ปีที่แล้ว +1

      @@유승민-y6x 내가 이 말을 하고 싶었는데 굳

    • @박태경-c5i
      @박태경-c5i 2 ปีที่แล้ว +1

      @@유승민-y6x 완전 공감

    • @youbless9520
      @youbless9520 2 ปีที่แล้ว +10

      편하긴 갤럭시가 더 편함

  • @user-xy1yh1g
    @user-xy1yh1g 2 ปีที่แล้ว +6

    Gos로 삼성 기술력 개똥이란걸 나타냈지 ㅋㅋㅋ괜히 국뽕들만 현실 부정하고 긱벤치 점수가 몇년전 아이폰함테도 지는게 삼성 현실임

  • @kyk9839
    @kyk9839 2 ปีที่แล้ว +186

    삼성이 우선 TSMC를 앞서야 동맹구도에서 조금 앞서 나갈 확율이 높아 질듯합니다. 3nm에서 과연 어떤 성과를 보여줄지 삼성이 앞서가길 바라고있습니다. 수율도 개선했다는 말도 있고 소재도 실리콘에서 다른소재로 바꾼다는 말도 있는거 같던데 3nm에 관련해서도 이야기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 @윤해찬-q3o
      @윤해찬-q3o 2 ปีที่แล้ว +38

      삼성 3나노 = TSMC 6나노 ㅋ
      백엔드 스팩, PDK 다 떳음
      밀도는 고작 145Mtr/mm^2
      성능이나 전력효율은 더 처참

    • @kyk9839
      @kyk9839 2 ปีที่แล้ว +9

      @@윤해찬-q3o 그럼 기대가치도 없는거군요?

    • @윤해찬-q3o
      @윤해찬-q3o 2 ปีที่แล้ว +25

      @@kyk9839 당연하죠. 저는 2025년 1만전자 2030년쯤 되면 상장폐지 봅니다.
      D램 기술력도 마이크론이 삼성 쳐바르는건 알죠?
      이번에 화웨이에서 게임체인저 3D D램 개발했고요

    • @kyk9839
      @kyk9839 2 ปีที่แล้ว +3

      @@윤해찬-q3o 1만전자 기다려보겠습니다

    • @artificial_intelligence12
      @artificial_intelligence12 2 ปีที่แล้ว

      @@윤해찬-q3o 팩트

  • @bumkyukim9950
    @bumkyukim9950 2 ปีที่แล้ว +2

    기술격차는 칩에만 해당되는듯 합니다
    애플은 팬도없고 되지도않는 그냥 옛날스타일 핸드폰이데
    그렇다면
    팬기능없는아이폰이 갤럭시보다 뒷떨어졌다고 만할수있는거네요?

  • @JBH2192
    @JBH2192 2 ปีที่แล้ว +5

    픽셀롬 써보니 많이 버벅이지도 않고 완성도 괜찮던데 하드웨어가 가장 큰 문제네요. 텐서 잘되길 바랍니다
    그래도 애플이 너무 압도적이라..

  • @nanana8354
    @nanana8354 2 ปีที่แล้ว +78

    애플은 철도이외 아무도로로 달릴수 없는 KTX 같은 느낌이고
    안드로이드 쪽은 도로를 가리지 않고 달릴수있으나 비교적 느린 자동차 느낌이지
    자기네 특화된 프로세서를 이길수가 있나

    • @nameandsung
      @nameandsung 2 ปีที่แล้ว +2

      적절한 비유

    • @peacemercy7276
      @peacemercy7276 2 ปีที่แล้ว +1

      주 52시간 때문에 한국기업들의 연구역량이 심각하게 훼손되었습니다... 하아... 이게 중국공산당에게 기술패권을 내주기위한 더불어당의 속셈이었습니다...

    • @김현조-r7x
      @김현조-r7x 2 ปีที่แล้ว +10

      ㅋㅋㅋ 아 근데 세상은 ktx가 더 편하게 발전 중ㅋㅋㅋㅋㅋㅋㅋ ㅜㅜ…

    • @정치병자조지는분자
      @정치병자조지는분자 2 ปีที่แล้ว +1

      해무 가즈아

  • @최규성-m3w
    @최규성-m3w 2 ปีที่แล้ว +4

    국뽕이 아닌 현실을 얘기하는것만으로도 너무 좋습니다~

  • @쿠쿨칸-q1o
    @쿠쿨칸-q1o 2 ปีที่แล้ว +8

    영원한 제국은 없다. 그런대 이번에 삼성 소프트웨어 업뎃 하고나니 속도가 더 느려짐 휘바휘바

  • @성이름-g3m7d
    @성이름-g3m7d 2 ปีที่แล้ว

    근데 tsmc는 파운드리 회사지만 애플로부터 칩 설계도를 받아야 생산할 수 있을 텐데 그러면 애플 AP칩 설계도 기술이 애플이 아닌 tsmc라는 다른 회사에 유출되는 거 아닌가요? 물론 비밀유지서약 같은 거 했겠지만 그렇다면 tsmc가 마음만 먹으면 다른 기업에 기술을 넘기거나 아니면 자체 칩 생산해서 아이폰과 같은 고성능의 스마트폰을 만든다던가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지 않나요? 제가 잘 몰라서 질문 드립니다…ㅜㅜ 스마트폰이 칩셋 외에도 다양한 부품과 기술력이 들어가겠지만 꼭 스마트폰 아니어도 애플칩 만들 수 있는 설계도가 있다면 그 기술 베껴서 다양하게 이용해먹을 수 있잖아요,,

    • @가시나무-k7i
      @가시나무-k7i 2 ปีที่แล้ว

      tsmc는 제조사지 설계사가 아닙니다.
      그리고 tsmc의 기업운영의 1원칙이 고객과 경쟁하지 않는거에요
      오로지 위탁생산만 하는 업체죠. 그것만으로도 이미 시총 11위의 대만을 먹여살리는 거대 기업입니다.

  • @장영찬-v6t
    @장영찬-v6t 2 ปีที่แล้ว +8

    패키지의 문제라기보다는 안드로이드의 오픈소스의 한계라는게 격차의 이유 아닐까요,?

    • @람가-q8o
      @람가-q8o ปีที่แล้ว

      각자 다른회사라는게 문제죠
      반대로 애플은 AP 하드웨어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개발언어 개발환경까지 전부하죠
      안드로이드진영은 저그가 조별과제한다면 사과진영은 프로토스의 조별과제죠..

  • @hyeon-cheolpark4252
    @hyeon-cheolpark4252 2 ปีที่แล้ว +8

    제가 삼성에서 S3C2440/6440 이후 세대가 개발되고 있을때 기흥에 있는 삼성 시스템 LSI 부서를 방문해 임원분들에게(상무님, 전무님) 삼성이 DRAM 말고 System LSI에 많은 투자를 했으면 한다고 이후 분명이 더 큰 시장이 될 것이라고 그리고 제가 삼성 AP를 사용하면서 느끼는 문제점을 이야기 했던 적이 있는데 다음 세대에서 그런 부분이 개선된 것을 봤습니다.(그분들은 System LSI 사업부 임원이시니 좋아하셨죠) 예를들어 AP에 전원과 GND 핀이 신호선 가운데 들어가 있는 경우가 있어 PCB Artwork 할때 Routing하기 어려운 문제들이 있고, PMIC가 없어서 일일이 LDO나 BUCK을 사용해 제어해야 하는 문제들을 이야기 했었는데 이후 AP가 개선되고 PMIC가 도입되는 것을 봤습니다. 그렇게 노력하시는 분들인데 왜 이후 Qualcomm을 못 넘어서는지 모르겠습니다. 삼성에는 좋은 분들이 실력 있는 분들이 많이 있는데 그분들이 창조적으로 일할 수 있기 바랍니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다. 다른 기업은 몰라도 삼성은 많은 아이디어 수준 연구들이 시제품화 해보고 실패해도 무너니지 않을 수준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런 도전을 많이 했으면 합니다. 더불어 소프트웨어에 대한 투자도 열심히 했으면 합니다. 제가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과거 삼성에 입사 제안을 받았는데 중소기업 경력 3년을 1년으로 인정해준다고 해서 포기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틀에 메이는 것이 싫어서 당시 마이크로소프트 입사 제안도 거절했었지만요. 여하튼 인재를 구함에 있어 삼성이 정한 규칙에 따르는 것도 좋지만 때론 그것을 넘어 설 수 있어야 합니다. 고 이건희회장이 이야기 하셨던가요? 한명의 천재가 나라를 먹여 살린다고 하셨던가 여하튼 비슷한 발언을 하셨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마지막으로 삼성, SK, 동부, 와이솔 등등 이런 기업들이 빨리 경쟁력을 갖기 바랍니다. 가끔 제가 강의할 때 이런 이야기를 합니다. 사람들이 System LSI 규모를 잘 모르는 것 같은데 우리가 사용하는 리모컨, 블루투스 이어폰, 선풍기, 에어컨, TV에도 RAM은 없어도 시스템 LSI는 들어 있다고, 저들 제품에 사용되는 MICOM 내부에 RAM이 들어있기는하죠.

  • @송근호-g4d
    @송근호-g4d 2 ปีที่แล้ว +4

    근데 기술격차가 몇 년 차이난다 이런 계산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건가요? 궁금하네요

    • @GuSeuReuTteum
      @GuSeuReuTteum 2 ปีที่แล้ว +1

      저도 문외한으로서 궁금하네요

    • @이영준-z6l
      @이영준-z6l 2 ปีที่แล้ว +1

      보통 3년 차이를 2배의 스펙 차이로 보는걸로 압니다.

  • @won-son
    @won-son 2 ปีที่แล้ว +7

    아이폰 삼성 엘지 다 써봤지만 성능면에서 차이를 느낀다기보다는 그냥 자신에게 맞는 폰을 쓰게되는듯. 다들 앱등이라고 욕할때 아이폰 썼었고 다들 엘지는 폰 쓰레기다 할때 엘지 윙 썼었다 지금은 물론 다들 단점이 많다고 난리인 지플립을 쓰고있지만 현재로서 지플립 너무 만족스럽고 최고임. 그냥 마음에 드는거 쓰면됨 싸울 필요가 없음. ( 몇몇 서로 욕하는 인간들있길래 몇자 써봄)

  • @나는돌떵이
    @나는돌떵이 2 ปีที่แล้ว +2

    삼성이 반도체 공정에서 tsmc를 넘지 못하는 이유...집중도의 차이임 삼성은 챙겨야할게 반도체 말고도 너무 많음

  • @dododede875
    @dododede875 2 ปีที่แล้ว +2

    웨이퍼가 그냥 생각없이한게 아니고 원을 사용함으로써 바깥것은 버려도 안에있는것들은 아주 완벽함에 가까운 제품으로 만들수있어서 사용한다고 한데요

  • @boongao
    @boongao 2 ปีที่แล้ว +3

    대체 뭐가 그리 좋다는 거죠... 둘다 현재 사용중인데 다음엔 절대 아이폰 안 쓰려고 하는데..

  • @이름바꾸지마라-t7t
    @이름바꾸지마라-t7t 2 ปีที่แล้ว +3

    그냥 AP의 성능차이도 있지만 독자 OS가 너무 크다 OS 하나로 성능을 말도 안되게 올릴 수 있는데 게임기 플스나 XBOX도 PC에 비해 형편 없지만 게임 전용 OS라 잘 돌아가는 것임 안드로이드는 아직까지 최적화가 안되어 있는 OS임

  • @dksfjieoslmakljsd
    @dksfjieoslmakljsd 2 ปีที่แล้ว +3

    전자기기 좋아해서 폰에 노트북에 태블릿에 워치까지 쓰는 사람으로 뭐가 더 좋다고 확확 넘어가기 힘들죠 아이폰이 좋다고 넘어가면 노트북 태블릿 워치 다 바꿔야하는 상황이 발생....

  • @yb9630
    @yb9630 2 ปีที่แล้ว +2

    갤럭시22울트라유저입니다 전혀 불편함이 없습니다 오히려 활용도가 일반피씨랑 너무도 궁합이 좋아 업무에 잘활용하고있습니다 그냥 그렇다고요 칩이 어쩌고 저쩌고 잘모르겠습니다

  • @홍성민-m1l
    @홍성민-m1l 2 ปีที่แล้ว +2

    이런평가해주시는 한국사람이잇어서 좋다. 한국은 더 발전할것이다.

  • @cw-gr6gi
    @cw-gr6gi 2 ปีที่แล้ว +56

    TSMC에서 FOWLP적용했을때 삼성전자에서도 특기인 Fast-follower 작전으로 적용하려고 했죠
    하지만 아직까지도 적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당시 패키지 개발의 위상은 반도체사업부에서 연구소내 개발실 정도였고 패키지 공장도 아산에 따로 있었죠
    당시 분위기는 FAB이 파워가 있었고 패키지는 빵 포장 비닐만드는 정도 취급이였습니다
    심지어 패키지쪽에 불량이 나면 빵은 명품인데 빵봉지 찢어져서 불량났다는 높으신분의 농담도 있고 했어요
    부랴부랴 패키지개발실 강00 당시 전무님 주도로 테스트 장비도 들여오고 평가하긴 하였으나 대만-일본의 패키지쪽 기술 장비 소재를 따라잡기는 역부족이였죠
    지금도 그렇지만 OSAT 넘버원이 대만의 ASE 그리고 SPIL 등이 대만업체이고 PCB 쪽도 대만 강세 일본의 이비덴 장비는 일본의 Y사, T사.. 소재는 N사, SB사 등등 삼성이 아무리 잘나간들 이쪽의 동맹 연합세력을 단기간에 따라잡는건 불가능 했습니다
    황의 법칙이다 뭐다 하며 FAB쪽만 신경썼지 back end는 많이 신경 못쓴게 사실이였거든요
    그래서 삼성전기와 협력하여 PLP를 하게되지만 warpage나 수율 뿐아니라 미세 패턴화에도 문제를 겪으며 임원이 바뀌고 버려진 카드가 되었습니다
    사실상 웨이퍼에 하는 이유가 노광 설비로 패턴.미세화 하겠다는 건데 PLP는 PCB에 쓰는 기계적 패턴화 도금공정등으로 미세화에서 따라갈 수가 없거든요
    FOWLP가 성능도 성능이지만 두께도 얇고 발열에서도 압도적입니다
    PCB는 대충 러프하게 0.1t정도라고 보면 RDL로 하는 WLP는 0.03t정도 된다고 알고있어요
    이게 사실 GOS사태의 나비효과 이기도 합니다 다만 지금 삼성에서도 열심히 하고있고 조만간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다.. 하지만 특허나 몇년 간의 기술격차가 따라잡기 쉽지않다 보시면 될것같고 그래도 삼전 열심히 하고있으니 너무 까지 말아주세요

    • @레노-p6b
      @레노-p6b 2 ปีที่แล้ว +1

      FOPLP도 RDL last로 하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나 삼성의 경우 RDL first (PCB) 로 인해 한계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Die shift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서 그런건가요 warpage를 못잡아서 그런건가요

    • @cw-gr6gi
      @cw-gr6gi 2 ปีที่แล้ว

      @@레노-p6b IP(지적재산권) 문제가 커서 TSMC와 다른방법으로 하는걸로 알고 있어요
      PLP는 패터닝 방법이 PCB랑 거의 비슷하다고 보시면되고 Warpage나 다이shift 같은건 초기에 있었던 이슈사항이지 지금은 크게 문제되지는 않을겁니다
      소재나 공정으로 어느정도 잡았거든요 일본 AJ사의 ABF film으로 라미네이팅하듯이 하니 그다지 그런건 문제가 안될거에요..
      PLP는 아마 RDL안쓰고 PCB처럼 패터닝하니 미세화나 두께적인 측면에서 뒤쳐지는 걸거에요

    • @이광복-n7n
      @이광복-n7n 2 ปีที่แล้ว

      @@cw-gr6gi 미세화나 두께보다는 지금 고질적인 문제가 있어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걸로 들었어요. 뭐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대표적으로는 판이 휘는 정도가 위치 별로 다르게 나타내지고 현 공정에서 Polishing할 때 슬러리가 고르게 퍼지지 않아 깎이는게 평탄하지 않다는 정도..?

    • @wxynz362
      @wxynz362 2 ปีที่แล้ว +4

      gos가 열심히 너력하는건가요 ㅋㅋㅋ

    • @user-mslaanap
      @user-mslaanap 2 ปีที่แล้ว +1

      @@wxynz362 ??난독있나ㅋㅋ

  • @ssdhdd124
    @ssdhdd124 2 ปีที่แล้ว +6

    5년 내로 괄목할 만한 성과가 없다면 삼성은 넥스트 노키아가 되겠네요.
    솔직히 이 상황에서 혁신을 바라기는 어려워서 그냥 그러려니..

    • @TheGriface
      @TheGriface 2 ปีที่แล้ว

      @@liljfjllifllil 이건 왜 복붙짓이야?

  • @deenno4946
    @deenno4946 2 ปีที่แล้ว +49

    싱글코어 퍼포먼스를 중요시하던 애플과 멀티코어 전략을 고수해야했던 퀄컴, 삼성의 격차가 반도체 공정으로 인해 가속화 되었다고 볼 수 있겠네요.
    프로세서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성능은 좋아지겠지만 싱글코어 퍼포먼스가 뒷받침해주지 않으면 그한계가 명확하니까요.
    VM이 필수적인 안드로이드에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봅니다. 그 반대로 네이티브로 돌아가던 ios에서는 좀 더 선택지가 많았구요.

  • @hyeon-cheolpark4252
    @hyeon-cheolpark4252 2 ปีที่แล้ว +1

    제가 유튜브 채널 가운데 2번째로 멤버쉽 가입을 했습니다. 1번째는 역사 채널이니 과학기술로는 첫번째입니다. 우선 경험해 보고 VIP로 변경하려고 합니다.

    • @softdragon
      @softdragon  2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 @WooSup111
    @WooSup111 2 ปีที่แล้ว +4

    영상 수준 존나 낮다..
    능력인되는데 노력한게 너무 티나네
    뭐 기술적인거 하나도 설명을못해 ㅜ

  • @user-fd7tu2pj5d
    @user-fd7tu2pj5d 2 ปีที่แล้ว +4

    그나마.. 쓰면 간편기능이 편리하긴 하고 특히나 한국에서 쓰기엔 더 편한 부분들이 있지만 나는 개인적으로 녹음 기능 딱 하나 때문에 씀..
    별에 별 미친 인간들 때매 저거 없으면 진짜 불안해서 못 살겠음;
    아이폰에 유사 녹음만 나와도 나 같은 사람들 조차 애플로 갈아탈듯..

  • @chulsootv3507
    @chulsootv3507 2 ปีที่แล้ว +5

    진짜 성능차이는 느낄수 밖에 없음 ;;;;

  • @_Climbthesky_
    @_Climbthesky_ 2 ปีที่แล้ว +4

    성능차이를 인정하지 못하고 GOS로 성능 다운시키고 성능 테스트에서는 올려치기를 해버리는...

  • @김수현-g8i5d
    @김수현-g8i5d 2 ปีที่แล้ว

    자세한 설명에 감사함을 느낍니다. 저장해서 완벽히 이해될때 까지 볼생각입니다

  • @TV-ns2wm
    @TV-ns2wm 2 ปีที่แล้ว +2

    예전 방송이 기억나네요. 마이크로소프트의 가장 큰 경쟁자는 현재 차고에서 무언가를 개발하기 위해 준비중인 엔지니어라고.

  • @j29374
    @j29374 2 ปีที่แล้ว +11

    궁금한게 있어서 여쭤봅니다. 말씀해주신 패키징 기술에서의 문제점쪽으로 지목된 내용은 수율 및 경제성 그리고 휘어짐(폐기율?)에 관련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 앞단 설명에서 애플의 AP는 안드로이드의 AP성능을 압도하고 있고, 이는 제조기술의 문제 (TSMC와 삼성의 제조기술격차)에서 기인한 문제점이라는 느낌의 인트로로 느껴지지만, 실제 반도체의 성능과는 관련이 없는 문제라고 느껴집니다. 소개해주신 패키징 기술이 아이폰 AP의 성능을 결정하는 최대 요인인가요?

    • @Js0923
      @Js0923 2 ปีที่แล้ว +2

      일단 본문에서 말하는 요인에서도 성능에 차이가 나겠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결국 설계에 따라서 많이 달라집니다.
      애플은 기본적으로 칩셋을 설계를 하고 생산은 외주를 맡기는데 이 외주를 맡는곳이 TSMC 인거구요
      기본적으로 애플은 어마어마한 판매량을 기반으로 엄청난 양을 외주에 맡기다 보니 최신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생산하더라도 생산 단가가 내려갑니다. 보통 이걸 "규모의 경제"라 말합니다.
      거기다 애플은 독자규격(IOS 생태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흔히 말하는 호환성이 굉장히 좋습니다.

    • @noooma5757
      @noooma5757 2 ปีที่แล้ว +2

      @@Js0923 삼성전자, 퀄컴 정도여도 충분히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물량이 나옵니다. 애시당초 도입할 수 있는 기술의 수준이나… 혹은 호환성 문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 보는 편이 합당하겠죠

    • @evrije
      @evrije 2 ปีที่แล้ว

      칩설계가 짱이지

  • @user-cz3go4lo7t
    @user-cz3go4lo7t 2 ปีที่แล้ว +3

    한마디로 삼성 기술력 쓰레기. 이걸 11분동안 말씀해주셨군요.

  • @GaryPark
    @GaryPark 2 ปีที่แล้ว +5

    와 설명을 이렇게 쉽게 잘해주시는분음 처음이에요!!! 감사합니다

  • @pygism
    @pygism 2 ปีที่แล้ว +1

    Ios가 안드로이드보다 운영체제가 단순하고 ios에만 최적화되여
    차이가 더나는거

  • @독수리-c9z
    @독수리-c9z 2 ปีที่แล้ว +24

    기술은 경쟁하면서 발전하므로 구글-삼성 vs 애플-TSMC 구도는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대만이 국운을 다해서 밀어주는 TSMC( 대만 기업들이 왜 잘 나가는 TSMC를 그렇게 지원하냐 불만일 정도)와 삼성 죽이기에 올인했던 이전 정권의 행태를 보면 어쩌면 당연한 결과일지도... 그러나 이제 시작이라고 본다! 삼성을 응원한다!

    • @우주-t9z
      @우주-t9z 2 ปีที่แล้ว +8

      ㄹㅇ 이제 우리나라도 인력양성에 집중한다니까 뭐라도 나오겠지 연구원분들 화이팅입니다ㅜ 애플이 넘사긴 해도 삼성이 항상 잘 되었음 좋겠네여

    • @Kimgu1187
      @Kimgu1187 2 ปีที่แล้ว +10

      ??? : 훠훠훠~ 줘는 이제 고만 잊혀지고 쉽슙니돠~

    • @akioppa
      @akioppa 2 ปีที่แล้ว +2

      삼성 물어 뜯는 단체 이름들이 떠오른다. 참여연대, 민변, 정의구현사제단, 정의당, 더불어추행당.... 대만정부 반 만 해봐라~~

  • @Tren-g7jt
    @Tren-g7jt 2 ปีที่แล้ว +11

    삼성은 꼭 1위를 쟁취할순 없어도 어떻게서든지 악착같이 살아날것 같은 근거없는 확신이든다. ㅋㅋㅋ. 그게 반도체가 되었든 뭐가되었든간에

  • @Chang-ja-Bba-jim
    @Chang-ja-Bba-jim 2 ปีที่แล้ว +3

    아니 댓들 다 왜이랰ㅋㅋㅋ 그냥 팩트로 후둘겨 패고있는뎈ㅋㅋ….그리고 결론적으론 모두 좋은 기기들임. 내년 S23에 tsmc 3나노 들어간다니까 성능면도 일단 바난하기전에 결과를 봐야함 ㅇㅇ. 이번에도 발열 못잡을꺼 같긴한데 벤치보면 정말 잘 따라옴

  • @moonari790
    @moonari790 2 ปีที่แล้ว +27

    진짜 .. 애플 아이폰.. 정말 좋아 졌습니다.. c타입으로 변경되어 서 나온다면 .. 저는 갈아탈 예정 입니다.

    • @풍선방울
      @풍선방울 2 ปีที่แล้ว

      법적으로 바꿀 수밖에 없는 애플

    • @로봇이아닙니다1
      @로봇이아닙니다1 2 ปีที่แล้ว +6

      난 그래도 애플은 쓰기 싫은게 한번쓰면 나오고 싶어도 못 빠져나와서...
      연동성만 좋고 호환성이 너무 안 좋음.
      또 가격도 비싸서 계속 돈 많이 주고 사야 되는 구조.
      그래서 나는 자율성 높은 삼성이 더 좋아.
      갈아타고 싶으면 얼마든지 갈아탈수도 있고.

    • @Valerian-1000
      @Valerian-1000 2 ปีที่แล้ว +6

      @@로봇이아닙니다1 그걸 보고 호완성이 안좋다고 하는거임

    • @welcome9666
      @welcome9666 2 ปีที่แล้ว

      원래 아이폰자체가 성능이 안드로이드보단 좋긴했었음...

    • @diary2101
      @diary2101 2 ปีที่แล้ว

      아이폰까진 ㄱㅊ은데 맥북만큼은 ㄹㅇ 쓰면 안됨. 집에 데탑이 따로 있지 않는 한

  • @rockhard99
    @rockhard99 2 ปีที่แล้ว +1

    장담하건데 삼성은 절대 애플을 앞설 생각이 없다. 물론 할 능력도 없을 뿐더러. 삼성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한국기업들의 행태가 그렇다. 어떤 기술을 선도적으로 만들어내기 보단 지켜보고 있다가 돈이되고 시장성이 있겠다 생각하는 분야에 몰빵하는 식이기 때문이다. 왜? 성공할지 안할지 모를 기술개발에 돈을 퍼붓지 않고 적당히 따라 가기만 해도 어느 정도는 시장을 장악할 수 있으니깐 굳이 위험을 감수하고 모험을 하지 않는 것이다.

  • @조윤호-m3z
    @조윤호-m3z 2 ปีที่แล้ว +1

    한국경제 신문에서 문정부가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립화를 위해 2조를 지원했음에도 지지부진 했다는 기사가 이제야 떳네요.
    이에 대해 한 번 더 대한민국의 소부장 산업 현실을 알리는 영상제작해보시는건 어떨까요?

  • @K금줄기
    @K금줄기 2 ปีที่แล้ว +5

    우리사회의 엘리트들이 혁신을 두려워하지 않고 혁신을 주도하지 못한다는 현실이 두렵습니다.

    • @haim7512
      @haim7512 2 ปีที่แล้ว +5

      노예 생산공장 이라서 그렇습니다. 엘리트들이 창업을 해야되는데 안정적인 사짜 직업이나 공무원, 대기업 입사하는게 꿈이니까요.

    • @Iminlove579
      @Iminlove579 2 ปีที่แล้ว +3

      혁신은 새로운 질서를 받아들이는 것인데 새 질서는 기득권의 질서와 같지 않음... 애초에 기존의 목적에 맞는 구조를 형성하고 거기에 맞게 엘리트들을 고용함. 목적이 달라졌는데 같은 구조와 같은 사람을 쓸순없음. 특히 인간은 노화되기때문에 지식과 생각구조를 변화시키거나 새로 추가하는게 점점 어려워짐.

  • @om_WHAT
    @om_WHAT 2 ปีที่แล้ว +6

    동감합니다.
    익스플로워,노키아 아성이 무너질 줄은 생각도 몬 했슴~
    세상의 흐름이라는 것이.. 있을 것이라는 것을 상상해 봅니다.
    그리고 영원한 것도 없다~라는 것도 알 수 있다..
    100년이 육체의 한계이다.

    • @Iminlove579
      @Iminlove579 2 ปีที่แล้ว

      기업과 나라는 체질을 개선하면서, 구조조정을 통해 영속할 수 있으나... 오랜 기간의 문제가 축적되어 미국의 양극화와 일본의 디플레이션, 유로존의 부실국가들의 문제가 지속되는 걸 보니 인간이 만든 제도는 인간의 속성을 어느정도는 지닌다는 것을 생각해보게 됨. 최근 중국의 부상을 보면서 제도도 기존의 것을 고치는 것보다는 한번 밀고 바닥에서 출발하면 새로운 구조를 만드는데 훨씬 유리하다는 것도 생각해보게됨. 물론 과도기에 기득권들은 피해를 볼것이니... 구조조정의 핵심 과제는 기득권의 불만을 어떤식으로 잠재울지가 될것이며, 역사적으로는 혁명과 전쟁, 강력한 권력을 통해 이 과정이 해결되었으나 민주제도는 상당히 오래걸린다는 것을 일본 미국 유럽의 사례를 통해 배움. 사회주의 지지자는 아니나... 혼합자본주의를 지향하는 정부를 구성하는 것이 미래를 위한 길이라고 보여짐.

  • @LansAki
    @LansAki 2 ปีที่แล้ว +7

    참 대단한 방송입니다

  • @realpotatospapa3884
    @realpotatospapa3884 2 ปีที่แล้ว +1

    좋은 내용이네요. 그런데 아래 여러 사람이 글을 썼는데 아이폰은 os와 칩을 자체 설계 최적화, 갤럭시 등 안드로이드 진형은 칩은 퀄컴 os는 구글... 여기서 오는 한계가 더 큰것 같습니다만... 패키징 기술력 차이도 분명 있겠으나...

  • @최지훈-z5i
    @최지훈-z5i 2 ปีที่แล้ว +2

    설계방식의 변화가 성능을 완전히 뒤집어 버리네요

  • @쿜쿜-f5m
    @쿜쿜-f5m 2 ปีที่แล้ว +3

    아 솔직히 노트 2 이후로 최근에 20으로 바꿧는데...그때보다 차이가 더 심한거 같긴함..xs4년넘게 썼는데 어찌된게 xs가 더 빠름,,성지에서 구매해서 요금제 기간 끝나면 다시 애플로 넘어 갈 생각중,,

  • @jhkim5388
    @jhkim5388 2 ปีที่แล้ว +3

    구글 크롬이 익스플로어를 무너뜨린것 처럼
    중국이 삼성을 압도할 가능성이 없지않아 있다고 봅니다.
    중국이 압도하는 미래가 멀어질 수 있도록 우리나라 기업들은 혁명적인 제품을 만들도록 노력하길 바랍니다 :)

    • @jhkim5388
      @jhkim5388 2 ปีที่แล้ว +4

      @순대국밥 내글 어디에 구경만 한다고 되어있는것도 아닌데; 엄청 이상한 글로 사람 피곤하게 만들라고 하네....

  • @twoluna
    @twoluna 2 ปีที่แล้ว +9

    고사양 요구 게임을 하지 않는 유저 입장에서 칩셋 보다 더 중요한게 디스플레이라고 생각하는데.........
    애플의 넓은 베젤과 탈모 디스플레이는 성능이고 뭐고를 떠나서 5년 이상 뒤쳐진 느낌으로 너무나 언밸런스 합니다.
    최대 밝기고 주사율이고 뭐고 일단 디스플레이의 형상이 직사각형을 구현하지 못하고 또는 펀치홀 정도도 아직도 못하고 또는 안하고 있다는게.......
    사용자가 어디에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호불호가 갈리겠지만.......포르쉐를 정말 속도만을 위해 타는 사람은 없습니다. 독일 아우토반 이외에는 모두 단속대상이니까요........
    삼성의 하드웨어에 애플의 칩셋이면 정말 좋겠지만........둘 줄에 뭐가 더 좋다를 칩셋으로 생각하기는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게다가 시장은 안드로이드가 압도적으로 많이 차지하고 있죠. 저가폰 때문에......
    중요한건 애플 고객들의 니즈가 칩셋이 좋아서는 아니라는게 치명적 문제.......중고딩들은 이쁘니까....다들 쓰니까....유행이니까......있어보이니까.......
    심지어 애플은 신형 구형을 가리지 않고 오히려 사양이 낮아도 작은 사이즈의 미니를 찾는 등 성능과 상관없는 취향을 보임.
    애플의 집요한 성능 자랑은 오히려 불안한 미래를 보여주는 듯 함......즉 애플은 더 이상 하드웨어의 혁신이나 성능으로 어필 할 수는 없다는 걸 꺠닫고 플랫폼으로 투자를 옮긴 것........
    음악, 영화, TV, 자동차, 쇼핑......등등 애플 생태계를 이용한 다양한 컨텐츠 플랫폼 사업와 점점 모바인디바이스화 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분야로 펼쳐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오히려 삼성은 디스플레이의 강자 답게 다양한 방식의 접이식디바이스를 몇 년 앞서 선보이며 혁신을 보여주고 있죠.
    모바일폰 분야에서 애플의 감성팔이가 얼마나 오래 갈 수 있을지.......재밌게 지켜 볼 일이네요~

    • @jpyo8532
      @jpyo8532 2 ปีที่แล้ว

      영상 안보신거죠?
      진짜 딱 40~50대 전형적인 꼰대 삼빠 국뽕 마인드.
      ap가 게임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모든 동작에 전부 관여한다고 입술이 부르트록 설명해도,
      게임 안해서 난 사양 상관없다 충.
      그런 무지하고 안일한 생각 때문에
      삼성이 고객의 니즈를 반영해 자국민을 호구 만들고 gos로 물먹인거.
      통녹 페이만 되는 큰사이즈 똥폰을 최신폰이라고 패키징해서 비싸게 팔아먹는.
      왜 애플이 구형 신형 가리지 않고 다 잘팔리는가는 세대를 막론하고 전부 평균 이상의 안정되고 높은 성능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수년전꺼를 써도 갤럭시보다 압도적.
      애플이 하드웨어로는 안되겠으니 플랫폼에 투자한다고? m1 칩 보고 그런 소리가 나옴?
      아재요 아빠라는 닉 단거보니 부모같은데
      부디 자녀들은 제발 현명하게 키우세요.
      우동사리 대물림 하지 마시고.

    • @trap_autostudio
      @trap_autostudio 2 ปีที่แล้ว +5

      참 말도 안되스는 소리를 길게도 적어 두셨길래 좀 말할게요.
      애플이 삼성에게 디스플레이 납품받습니다. 그리고 내 현재는 120 hz주사율이 프로에만 들어가죠. 근데 삼성은 네 A시리즈에도 120 헤르프 들어가죠 근데 AP 가 쓰레기라 발열이 생기면 그래픽 엔진에 제어를 걸고요 그로 인해서 그 좋은 디플을 못쓰는게 문재라는 겁니다. 그리고 애플이 설마 기술력이 없어서 펀지홀 구현을 못할까요. 대표적인 예시로 BMW를 보세요 걔네가 키드니 그릴 못없애서 안없앱니까 ? 더 좋게 공기 저항을 최소화 할수 있는데요. 요즘 스마트폰 다 앞이 똑같고 전 애플 삼성 다 있는 사람으로써 애플은 앞에만 봐도 음 애플 폰이구나 합니다 근데 요즘은 개나 소나 펀치홀이라 그 브랜드를 나타내는 아이덴티티가 너무 없다고 생각 합니다 앞에. 삼성은 과거 홈버튼 있을때만 해도 이걸 가지고 있었죠 지금은 없지만. 네 노치 써서 게임 할때 손해 볼때도 있죠 근데 그게 구식 ? 베젤이 두껍다 ? 언제쩍 이야기를 하세요 ? ㅋㅋㅋㅋㅋ 아니 좀 써보고 말을 하세요. 삼성은 AP 땜에 그 좋은 디플 쓰지도 못하는데
      중고생들이 이쁘니까 애플만 산다 ? 네 그럴수도 있겠죠. 근데 너무 한면만 보시는거 아닙니까 ?근데 학생들은 게임 잘되고, 이쁘고, 셀카 잘나오고, 발열 적으면 됩니다. 근데 여기서 삼성이 충족하는게 단 한개 라도 있나요. ? 발열 CPU 온도 개판에 셀카 여핵생들 한테 가서 물어 보세요 삼성 특유의 차가운 그거 풍경에선 좋지만 셀카에선 치명 적이죠. 그렇다고 게임이 잘되요 ? S22U 아이폰 13 현재 AP 2.6 배 차이납니다 성능 GOS 끈 기준으로요. 그리고 학생이면 요즘 아이패드 애플펜슬 그리고 에어팟은 약간 필수품 처럼 됫죠. 근데 삼성 패드 ? 아이패드 ? 좀 둘다 써보세요 그럼 답이 나와요. 삼성 체질 마감 원가절감 하신다고 플라스틱으로 치키치키 다 교체하고
      그리고 애플이 성능 만 믿는 다고요 ? 애플페이 (아그리고 삼성 페이 또 이러실까봐 글로벌 삼페 점유율 보세요 애플페이 93 프로 삼성페이 3 프로 입니다 진짜 외국인들 불편하다고 안쓰는게 삼페에요), 그리고 원가절감 하는 누구와는 다르게 마감, 감성, 미친 연동성, 스피커, 에어팟, 셀카, 등등 애플을 살 이유가 점점 많아 지고 있죠 특히 코로나 시대가 닥치면서요.그리고 애플 뮤직 애플 TV 그걸로 투자를 옮겼다고요 ? 뭔 소리 세요 ㅋㅋㅋ 애플이 지금 대부분의 수익을 기기 판매로 얻는데. 투자를 얼마전에 시작했다 ? 아니죠 애플 카플레이, 애플 뮤직, 애플 TV 다 지원 한지 한참 됫고. 차에 집중을 한다 그건 가봐야 알죠 지금 님이 예언가도 아니고 뭘 판단을해요. 삼성을 디스플레이를 접는게 혁신이다 ㅋㅋㅋㅋ 아 그래요 제가 폴드 플립 다 있길래 드리는 말씀입니다 폴드는 좋아요 진짜 성능 편의성 빼곤 괜찮은거 같아요. 근데 플립? 배떠리 5 시간 가는게 혁신 ? 성능 3 배 낮은개 혁신이에요 ? 아주 그냥 소설을 쓰시네요 존경합니다 ㅋㅋㅋㅋㅋ
      애플을 옹호 하는게 아니라 제가 S2 부터 단 한번도 빠짐 없이 노트, S 시리즈, 플립, 폴드, 일부 A 시리즈 다 사보고 가지고 있는 입장에서 말하는 겁니다. 애플도 마찬 가지에요 신제품 나올때 나다 쓰고 비교 하는데. 이제는 삼성과 애플은 글로벌에서 경쟁 불가능한 구도에도 현실 직시를 하세요 좀 폴더블이 혁신적 기술 ? 폰에 그걸 넣어서 배떠리 5 시간 넣는게 혁신 인지 다시 한번 여쭤 보겠습니다 ㅎ

    • @twoluna
      @twoluna 2 ปีที่แล้ว +2

      @@trap_autostudio 배터리 사기 이슈는 애플이 원조인데? 요즘 어떤 폰도 3년지났다고 느려지는 폰이 있나? 각자의 무기가 있는거고 애플의 혁신은 3년째 제 자리이고 칩셋만 바꿔서 내놓는 상홤이고 플랫폼사업으로의 전환은 애널리스트들의 분석인데
      댁이야 말로 뭔데 답정너른 하는지......애플의 장점이 있고 삼성의 장점이 있는거지 앱등이들은 숲은 못보면서 나무만 보고 하악~거리는 전형적인 특징이 있네요......애플이 좋으면 애플 쓰는거고 삼성이 좋으면 삼성 쓰는거지 무슨 애플의 칩셋 성능이 엄청나니 삼성은 쓰레기다? 우리집에도 아이폰 프로부터 미니13 아이패드 에어까지 다 있수다.
      각자 편한걸로 골라쓰는거지 무슨 애플이 그리 대수라고 물고빠는지 객관적으로 설명도 못하면서......탈모디스플레이 만들줄 몰라서 못만드는게 아니다? 참 내 이번 신형 프로모델부터 i형 펀치홀 나오는거 모르시나? 그럼 삼성 따라한거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폰도 고려중이라는데 이것도 삼성 패널 사다 써야하는데 이것도 삼성 따라한거고??펜은 또 어떻고? 한참 뒤쳐진 기술 가지고 레이져모듈이 어쩌고 쉴드 열심히들 치던데 페이스언락 풀리는거 이미 증명된지가 언젠데 애플이 하면 보안 때문이고 삼성이 하면 잔재주고? 그냥 칩셋은 애플 디스플레이는 헉신은 삼성.....그 이상도 이하도 아님.

    • @trap_autostudio
      @trap_autostudio 2 ปีที่แล้ว

      @@twoluna ㅋㅋㅋㅋㅋㅋㅋㅋ 배떠리 사기 이슈 ㄹㅇ 애플이 병신짓 한거임, 근데 현재를 보고 말을 좀 하자고요. 3 년이 지났다고 느려지는 폰은 내 안드로이드 특성이죠 수명이 짧은거 애플은 배떠리만 갈아주면 그래도 4~5 년은 쓰는데. 플랫폼 사업으로 전환? 걔네가 100 프로 전환 할거 같나 ? 비중이 많이 차지해 봐야 20 % 인데 뭔 애널 리스트 애널리스트.
      삼엽충 들은 애플 감성 하악 삼성디스플레이는 무조건 혁신 하악 이러나 ? ㅋㅋㅋㅋ 삼엽충들은 숲은 못보면서 디플만 보고 하악 하악 혁신대스 이러는 전형적인 특징이 있네요.삼성 칩셋이 쓰레기라고 말하는 이유. 아니 그럼 과장 광고를 하지 말던가 광고에선 뉴스테이트 원신 뭐 다 돌아가는 척 다 하더니 현실에선 S21 보다 실사용에서 못 하는 성능 보여준게 누군데. LG나 중국 제조사들 보다 싸면 모를까 다들 100 만원 이상씩 받아 먹는 놈들인데. 그 가격 생각 하면 절대 좋다고 말할수 없지. 그리고 내가 언제 무조건 좋고 편한거 골라 쓰는게 아니라 아닥 애플이라고 했나. ?
      그리고 애플 14 프로 펀치홀 그게 삼성이랑 비슷하게 생겼냐는 거지 아직도 앞을보면 어떤 브랜드 인지 인식이 가게끔 만들어 뒀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뭔 지네가 사가지고 공급 받아서 만들겠다는데 그게 따라 만드는 건가 ? 그리고 애플은 아직까지 폴더블 폰을 좋게 보지를 않고 있는데. 솔직히 적용 안하면 좋겠다는거지 리스크가 한둘이 아닌데. 갤럭시가 지금 폴더블로 넘아가서 기존 폰에서 잃은게 얻은거 보다 많은데. 케어 불가능한 발열, 내구성이 아직까진 딸리고, 성능도 노답이고, 그렇다고 배떠리가 오래가나 ?
      플립 평상시 5 시간 게임 하면 2 시간 정도면 순삭. 이렇게 디스플레이 접히게 해두고 잃는게 지금 몇갠데 이게 진짜 혁신인지 대답이나 들어 봅시다.

    • @trap_autostudio
      @trap_autostudio 2 ปีที่แล้ว +5

      @@twoluna
      뭐만 하면 혁신 혁신 혁신. 혁신은 다른 모든걸 지키고 다른 장점이 추가될때 혁신이라는 거죠. 그리고 애플이 아이폰 7 부터 격차가 난걸 삼성이 인지를 했을거잖아요 그리고 그걸 커버를 할려고 장장6 년이라는 시간이 있었습니다 삼성에겐 근데 GOS로 계속 미뤘죠. 굥고 롭게도 딱 아이폰 7 생길때 GOS 가 생겼습니다.

  • @dunkundv9512
    @dunkundv9512 ปีที่แล้ว +1

    애플이 M1칩하고 휴대폰 부품들…아마 얘넨 프레임워크 컨트랙트 베이스로 그때그때 SO 때릴건데, 맨 처음 SO 발행시 MIP부터 MRR을 어떻게 했을지 생각하면 앞이 깜깜해질정도로 아득하긴 하네. 저만한 성능을 어떤 기준으로 다 퀄리티 테스트를 하면서 MRR을 통과했을까..

  • @TyoungG
    @TyoungG 2 ปีที่แล้ว +1

    누가보면 애플이 제조회사줄 알겠네.....이곳저곳에서 납품받아 조립하는 회사가 기술을 운운하노...
    분명하건 삼성이 삼성 엘지가 애플에 납품안하면 그냥 중국산됨....
    삼성이 문제가 아니라 안드로이드가 문제임.....만약 구글이 맘먹고 삼성을 죽일라하면 안드로이드로
    장난칠수있음...

  • @yeuxpurs
    @yeuxpurs 2 ปีที่แล้ว +9

    다음에 서울대 논문표절도 다뤄주세요..

  • @beombom292
    @beombom292 2 ปีที่แล้ว +3

    요즘 삼성 여기저기 사건 터지는 거 보면 업이긴 한데, 그래도 어찌어찌해서 좀 다시 올라갔으면 좋겠다.

  • @정의진-y5d
    @정의진-y5d 2 ปีที่แล้ว +4

    삼성은 칩셋 기술력이 애플보다 딸린다는 걸 이미 오래전부터 알고있었다 따라잡을 수준이 아닌 걸 알고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술에 집중했다

  • @Hobijak
    @Hobijak 2 ปีที่แล้ว +2

    갤노트 쓰다가 개 이유없이 뒤져가지고 서비스센터 가져가보니 메인보드 나갔다함 딱 2년쓰니까 뒤져버리는 개 어이없는 상황 ㅋ 내모든걸걸고 맹세하는데 내 인생에 이제 삼성제품은 없음

  • @user-sr8qh9os3l
    @user-sr8qh9os3l 2 ปีที่แล้ว +2

    갬성 샘숭 왜 애플이랑 싸워서 ㅋㅋ 걍 반도체나 납품하지 이젠 애플 따라가지도 못해 뒤 따라오는 중국폰에도 쫓기지 가전은 lg지 이제 샘숭은 이도 저도 아닌 기업으로 남겟네 애플은 신의 한수였네 삼성이랑 손 끊고 tsmc랑 손 잡은게 ㅋㅋㅋㅋ

  • @acasia123
    @acasia123 2 ปีที่แล้ว +15

    저는 200km이상 달리지 않으니, 불편한 스포츠카 보다, 여라모로 실생활에 쓰기 고급 세단을 탑니다. 저는 150키로 이상 잘 안달리는데, 전혀 버벅거리지 않고 속도에서 전혀 불편한 거 없습니다. 차값도 부품값도 합리적이고, as는 상대가 안될 정도로 저렴하고 편리하네요.
    단, 일반세단은 2년 넘으면 버벅거립니다.
    꼭 세단중에 고급기종을 사세요.

    • @seongmin_choi1123
      @seongmin_choi1123 2 ปีที่แล้ว +4

      @@liljfjllifllil 말의 가치는 공급양에 반비례합니다

    • @user-pc5wf7kb3c
      @user-pc5wf7kb3c 2 ปีที่แล้ว

      근데 그 스포츠카와 고급세단이 가격이 같죠ㅋㅋㅋ 그리고 그렇게 고급인지도 모르겠네요? 외국 가면 아무도 거들떠도 안 보는데

    • @vonderheide6101
      @vonderheide6101 2 ปีที่แล้ว

      한국 사람들은 자꾸 이분법적 사고를 해야하는 강박관념이 있는지 자꾸 애플은 성능이 좋지만 불편할거고 갤럭시는 성능은 딸려도 편하다 이렇게 정의를 무리하게 내리려 하는데 아이폰이 불편하다라는 생각은 한국이라는 우물만 넘어가면 들을 일 없을 겁니다. 비교가 전혀 공감이 안 가네요

  • @iam21111
    @iam21111 2 ปีที่แล้ว +3

    운영체제 언어/성능/운영방식 차이도 크지.
    비교하려면 동일 OS로 운영해서 실험해야지.
    맥컴이 윈도우컴 보다 좋다며?
    맥컴도 같은 인텔아녀??
    맥컴에 윈도우 깔아도 빠른겨??

    • @이화세계수
      @이화세계수 2 ปีที่แล้ว

      그걸 안 하고 선택한건 삼성인데 뭔 소리

    • @sinbi718
      @sinbi718 2 ปีที่แล้ว

      맥이 인텔 쓰던 시절 지난지가 언젠데.. 지금 자체 생산 M칩 사용함
      그리고 맥은 맥OS를 사용하고 윈도우OS를 사용하는 피씨와는 당연히 1:1 비교가 불가능함.
      맥에 윈도우 깔아서 빠르냐고?
      반대로 윈도우 피씨에 윈도우 지우고 맥OS 깔면 빠를 것 같음? (애초에 깔리지도 않지만 깔린다고 쳤을 때)
      비교가 안되는 소릴 하고 있어. 애초에 서로 다른 OS에 최적화된 기기라 그런 식으로 비교 불가능함. 잘 모르면 가만히 계세요. 맥과 윈도우는 그냥 서로 용도가 다른거지 뭐가 더 좋고 어쩌고 한게 아님. 애초에 아이폰 얘기하는 유튜브에서 맥 얘기는 왜 나옴?

    • @iam21111
      @iam21111 2 ปีที่แล้ว

      @@sinbi718 둘 다 칩이 들어가니 비교한 거지.
      엔진성능을 따지려면 동일한 차체를 얹어 비교해야지..
      하나는 경차를 얹고 다른 하나는 트럭을 얹어 비교하면 말이 안된다는 소리임.
      윈도우/안드로이드는 맥os/ios를 베낀 짝퉁 운영체제다.
      역사/개발언어/운영방식도 다르다.
      현재 제대로 비교하려면..애플이 지극히 폐쇄적 운영체제이기 때문에..양쪽 칩에 안드로이드를 얹어 비교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삼성과 TSMC 각각에 최고의 APU(동일 GPU 등 동일조건)를 만들라고 해서 안드로이드로 비교해야 진정한 칩 성능/제조능력을 비교할 수 있는 거지.

    • @iam21111
      @iam21111 2 ปีที่แล้ว

      @@이화세계수 그건 다른 문제고..칩 제조기술과 운영체제는 다른 거지.
      그 폐쇄적인 애플을 상대하는데 뭔 선택의 여지가 있었다고??
      애플은 1980년대 애플컴 시절부터 운영체제를 만들던 전문업체였고..삼성은 그냥 가전/반도체 등 하드웨어업체였잖어?
      노키아/모토롤라 등 막강 휴대폰 선두주자들도 스마트폰을 앞세운 애플에 무너지던 형국에 삼성/LG 등은 안드로이드 밖에 선택의 여지가 없었고 뒤늦게 타이젠도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초기엔 애플칩도 삼성이 만들다가 이후 대만 TSMC에 뺏기다 보니 현재 이런 삼성칩이 애플칩에 기술적으로 딸린다는 소리가 나오는 거고..
      그래서 요즘 삼성이 파운더리 분야를 주분야로 육성하려고 대규모 투자를 하며 3나노에서는 역전시키겠다니 어쩌니 하는 거고..
      대만은 원래 전자부품 산업(PC 등)이 한국보다 월등했던 나라임.
      다만 한국처럼 완제품 시장 보다는 부품산업에 치중하다 보니 휴대폰 시장에 진출이 늦었지만 기존 앞선 전자기술을 바탕으로 뒤늦게 TSMC가 애플 칩제조를 뺏어오고 중국과 합작하여 세계 제1의 파운더리 업체가 된 거지.

  • @jg0902lee
    @jg0902lee 2 ปีที่แล้ว +5

    아마 15년전에 FPGA 컴파일을 486컴퓨터에서 할때도 하루종일 걸려서, 하루에 한번 컴파일, 테스트하고 퇴근했는데, 지금은 노트북에서 10분도 안걸리고 테스트 끝냅니다. 소프트웨어 최적화라는 말이 그때도 많았지만, AP성능이 올라갈수록 최적화라는 말은 의미가 없게 되지요. 사실 안드로이드폰들이 느린 이유는 오픈소스이기에 좀 더 아이폰보다 최적화에 엉망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삼성이 엑시노시 AP를 잘 살려서 끌고 갈 수 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소비자에게도 피터지는 경쟁이 있는게 유리하기 때문이죠. AMD가 거의 인텔에 밀려서 오랜시절을 굴욕을 당해지만, 결국은 부활하고, 소비자입장에서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그리고 UI적인 소프트웨어 입장에서 삼성은 폴드블폰의 개척자라고 생각합니다. 화면이 접혀지는 하드웨어 기본아래에서 UI나 거기에 맞는 소프트웨어가 나올 수 있기에, 애플이 폴드블을 낸다면, 해당 폴드블에 대한 소프트웨어는 애플이 이제는 후발주자가 되지 않나 싶습니다. 아무리 미워도 삼성을 응원해 줄 수 밖에 없는게 아무리 애플이 뛰어나고, 어느 뛰어난 외계인이 개발을 해도, 한글을 읽고 쓰는 한국인 개발자 기업이 있기에, 한국인을 조금 더 배려하고, 우리 한국 문화와 습성을 알게 모르게 넣을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노키아가 망하고, 그 자리를 삼성이 차지했듯이, 삼성이 망하면 누가 그 자리에 오겠습니까? 하웨이, 오포 , 샤오미 ,아이폰 누가 와도 미운 오리 삼성만큼 한국을 위해 해줄 수 있는지 의문입니다.

  • @godstudio2385
    @godstudio2385 2 ปีที่แล้ว +1

    하드웨어를 제끼고서라도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최소 기술력 격차가 5년 이상 납니다. 소프트웨어적인 해킹을 대비한 보안성 자체가 레벨 자체가 다릅니다. 아이폰을 쓰는 사람들이 괜히 쓰는게 아니죠.

    • @bonoksh3388
      @bonoksh3388 2 ปีที่แล้ว +3

      보안성은 뭐 대비하냐 안하냐애서 오는 차이가 아니라 OS의 범용성 차이에서 오는거 뿐임
      애플이 특출나개 보안기술이 뛰어난게 아니라 극도로 폐쇄적인 OS환경에서 부수적으로 따라오는게 보안성인거지
      안드로이드는 오픈소스OS로서 범용성을 택한 대신에 상대적으로 애플보다 보안성이 떨어지는거

    • @godstudio2385
      @godstudio2385 2 ปีที่แล้ว +1

      @@bonoksh3388 그 특출나지 않은 보안성이 깨기가 개어려운건 어찌 설명할런지 ㅎㅎㅎ

    • @성이름-m6h8y
      @성이름-m6h8y 2 ปีที่แล้ว +1

      @@bonoksh3388 그 os를 만들 수 있는 기술력이 1도 없는 삼성은 어찌 설명할런지ㅎㅎㅎ

  • @불발-h8x
    @불발-h8x 2 ปีที่แล้ว

    애국을 외치는 지식인 및 우리나라 노인 분들 보세요 이게 진정한 애국자입니다 유튜브의 정말 제대로 된 순기능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