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한글문화강좌] 1회차_석독구결, 한문을 우리말로 읽고 기록하다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8 มิ.ย. 2020
  • 국립한글박물관 온라인 한글문화강좌 1회차
    고려대학교 장경준 교수의 '석독구결, 한문을 우리말로 읽고 기록하다'입니다.
    #국립한글박물관 #한글문화 #석독구결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41

  • @menticle6086
    @menticle6086 4 ปีที่แล้ว +57

    나는 존재하는지 조차 몰랐던 걸 이 십년 동안 연구 하신 분이 있다니 말과 언어가 만드는 세계의 넓이와 깊이를 새삼 느낀다

    • @user-hn3pf2fx2t
      @user-hn3pf2fx2t 3 ปีที่แล้ว +5

      진짜 깊이가 느껴집니다.. 이 연구들도 쉽지는 않으셨을듯

  • @heynanana1785
    @heynanana1785 2 ปีที่แล้ว +14

    허이구야;; 이렇게 보는 나도 복장터지는데 세종대왕님은 얼마나 답답하셨을까?! 그 많이 배웠다는 양반님네들도 결국은 자기 생각을 글로 옳기는게 쉽지는 않았을꺼라 생각이 드네요. 오롯히 그 생각이 제대로 전달이 되었을까 하는 생각도 들구요.
    아무생각없이 두드리는 이 자판에 찍힌 자음 모음이 오늘 따라 더더욱 사랑스럽고 자랑스럽게 느껴 집니다.
    감사 합니다!!!세종대왕님!!!

  • @bmay9900
    @bmay9900 4 ปีที่แล้ว +55

    훈민정음 이전에 석독구결이라는 것이 있다는걸 처음 알았고 한자의 부족한 표현을 조상들의 지혜로 풀어논게 굉장히 놀랍네요

  • @user-ub2vz1bk8d
    @user-ub2vz1bk8d 3 ปีที่แล้ว +59

    그래서 '토 달지마' 라는 말이 나왔군요.

  • @elloh2713
    @elloh2713 3 ปีที่แล้ว +34

    이렇게 좋은 강연을 돈 한푼 안내고 집에서 들을 수 있다니...정말 좋은 세상이네요 ...ㅠㅠㅠ❤️

  • @user-vw1rv4jq2r
    @user-vw1rv4jq2r ปีที่แล้ว +8

    교수님 강의를 듣고 나니 훈민정음의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라고 한 세종대왕님의 뜻이 더 마음에 와 닿네요.

  • @huijeongyu2666
    @huijeongyu2666 4 ปีที่แล้ว +58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문자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유익한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jesusforan
    @jesusforan 2 ปีที่แล้ว +11

    좋은 강의에 감사드립니다. 우리 조선이 중국을 사대하면서 원래 우리말 주어 목적어 동사의 한자어순을 버리고 중국의 주어 동사 목적어 한자어순을 따르고 구결을 사용하여 이렇게 어렵게 우리 한자를 읽은 거군요. 세종대왕의 훈민정음은 원래의 우리말 어순도 회복하고 간단한 문자와 발음을 일치시키는 천재성을 발휘한 거네요. 정말 감사한 마음이 듭니다.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이 훈민정음을 창제하지 않았더라면 우리가 이렇게 어려운 한자를 계속 사용하고 있을 것을 생각하니 너무 감사한 마음이 느껴집니다.

  • @user-sm2zy8or6h
    @user-sm2zy8or6h 4 ปีที่แล้ว +114

    집에서도 이렇게 훌륭한 강연을 들을 수 있게 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 @user-yf5ys8qk7b
      @user-yf5ys8qk7b ปีที่แล้ว

      😡😤 무식한 놈 !
      한자는 동이족 문자이다 .
      우리의 말과 현 중공 공산당 한족놈들의 말은 다르다.
      한자의뜻과 중공인들의 발음이 다른이유가 이를 증명하고 있다.

  • @user-mc6qi7en8f
    @user-mc6qi7en8f ปีที่แล้ว +9

    위대한 한글이 나오기까지 주체적인 '구결'을 이용해서 한문의 취지를 이해했던 슬기로운 우리 조상들. 감동적입니다.
    교수님의 자상한 설명 너무 감사합니다.

  • @salmongom1630
    @salmongom1630 4 ปีที่แล้ว +50

    유튜브 통해 이렇게 고퀄리티 지식 콘텐츠를 접할수 있는 시대가 되었네요. 대중강연도 아니고 진짜 전공수업같은 교수님 직강을 대학교 밖에서 듣고 볼수있다니~

  • @moondemi628
    @moondemi628 3 ปีที่แล้ว +16

    교수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강의 한문 번역을 좋은 강의를 들었습니다..
    저는 인도네시아 한국에서 대학생 한문 한글을 열심히 배우고 있습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

  • @user-zx2hc5tp5l
    @user-zx2hc5tp5l 4 ปีที่แล้ว +63

    한글에 대해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어 흥미로웠습니다 ☺
    유익한 강연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ARMY-es5bi
    @ARMY-es5bi 3 ปีที่แล้ว +14

    존경스러운분 진짜 교수님이네 건강하시길

    • @user-dy6li1cc8u
      @user-dy6li1cc8u ปีที่แล้ว

      우리나라 교수들이 ㅋㅋㅋ
      중화민국 사람들 인거.. ㅋ

  • @boazparson3899
    @boazparson3899 3 ปีที่แล้ว +16

    노력하신 과정과 결과가 대단하십니다. 우리민족의 언어문자 문화의 뿌리가 조상분들의 이러한 고심과 시행착오를 거쳐 이루어 졌다니 감탄할 뿐입니다.

  • @user-wf1ho1dl1g
    @user-wf1ho1dl1g 3 ปีที่แล้ว +10

    훈민정음 창제가 없었으면
    지금 강의가 현재 국어시간에 하고 있을 듯
    머리뽀개짐 고맙습시다
    세종대왕님

  • @hyeinlim619
    @hyeinlim619 4 ปีที่แล้ว +36

    지루하지않고 유익합니다 처음 알게된 부분이 많네요~

    • @hansoochoi2055
      @hansoochoi2055 3 ปีที่แล้ว +2

      솔직히 중간에 졸 졸았싶니다마는 재미난 부분도 있긴 있십니다. 저도 참 첨 안데가 많네요

  • @thevidad-rt5gk
    @thevidad-rt5gk 4 ปีที่แล้ว +51

    한글 창제 이전에도 이렇게 우리 조상들은 지혜롭게 우리 생각과 마음을 전하는 노하우를 만들어 썼군요. 놀라울 따름입니다

    • @justine5804
      @justine5804 3 ปีที่แล้ว +3

      구결자가 일본의 카타카나와 거의 비슷함

    • @user-dy6li1cc8u
      @user-dy6li1cc8u ปีที่แล้ว

      @@justine5804 해방이후 우리나라 기득권이.. 중화민국인 일본인 이였으니까요

    • @user-xw4qm5dc1k
      @user-xw4qm5dc1k ปีที่แล้ว

      @@justine5804 그렇게치면 고대히브리어랑 비슷함.
      히브리인이 중국에 온 기록은 엄연한 팩트이고.
      (유대인)
      그런 가설은 의미없음

    • @justine5804
      @justine5804 ปีที่แล้ว

      @@user-xw4qm5dc1k 카타카나가 뭐냐면요. 그냥 문자가 아니라 외래어만 쓸수있는 특수 문자입니다. 이런 특이한 시스템을 가진 경우는 다른나라에선 찾아볼수 없습니다.

    • @ibtech300ibtech3
      @ibtech300ibtech3 ปีที่แล้ว

      @@user-xw4qm5dc1k 멍청한 소리를 하고 있네 ㅋㅋㅋ

  • @user-nq4mg3rz1c
    @user-nq4mg3rz1c 3 ปีที่แล้ว +21

    아아 더럽게 어렵네 ㅋㅋㅋㅋㅋㅋㅋ 세종대왕 만세~!! ㅋㅋㅋㅋㅋ

  • @user-sx7ik5uy8r
    @user-sx7ik5uy8r 4 ปีที่แล้ว +23

    유익한 강의네요~^^~!!!

  • @jihye9480
    @jihye9480 4 ปีที่แล้ว +29

    좋은 강연을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inncrispr7554
      @inncrispr7554 3 ปีที่แล้ว

      어렵지만 어떤 부분이 가장 멋지셨는지 궁금하네요 저는 정말 어려워요

  • @longing340
    @longing340 3 ปีที่แล้ว +13

    어마어마 하군요... 특히 외국어를 구사할 줄 아는 분이라면. 이건 .. 혁명..
    이 노가다를 한글로...

  • @moowanjang2652
    @moowanjang2652 ปีที่แล้ว +11

    너무 좋은 프로그램이라고 여깁니다!!
    귀중한 우리의 옛 문자를 알기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hajenurircn
    @hajenurircn 3 ปีที่แล้ว +18

    아시아권에서 문자가 없으니 한자를 썼던 건 어쩔 수 없었으나 말이 다른 각 나라들이 서로 자기들만의 표기방법을 찾아 어떤 경우엔 한자를 변형해 쓰고, 우리도 구결자를 통해 우리말을 써오다가 결국 세종대왕께서 만드신 과학적인 문자를 만드셨기에 후손들이 그 혜택을 단단히 누리고 있네요.
    그저 감사할 뿐입니다.

    • @user-dy6li1cc8u
      @user-dy6li1cc8u ปีที่แล้ว

      인류의 발생지가 중국 (쿨럭)

    • @user-dy6li1cc8u
      @user-dy6li1cc8u ปีที่แล้ว

      전주이씨도.. 중국성씨??
      그런데 고려를 어느나라로
      보아야 하나요? 지금은 중국땅인데..

    • @user-oi8vn4kl2l
      @user-oi8vn4kl2l ปีที่แล้ว

      ​@@user-dy6li1cc8u 대한민국 이 찿아야 할 옛 우리땅.

    • @LoveIsLuv_
      @LoveIsLuv_ ปีที่แล้ว

      @@user-dy6li1cc8u 국경은 변하는 것이니 언젠가 찾아야죠.

    • @dolgum826
      @dolgum826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oi8vn4kl2l찿--->>찾!!!

  • @user-wk7zl6jn9u
    @user-wk7zl6jn9u 3 ปีที่แล้ว +6

    자토구결 점토구결(각필구결) 이두문자 ... 정신문화의 수준을 알겠습니다.
    대단한 조상과 대단한 문화역사를 후손들이 제대로 이어받아 잘 지키고 발전시켜야 되겠습니다.
    방해세력이 외부가 아닌 내부에 있다는 것이 얼른 해결되어야 합니다.

  • @hoonheelee6641
    @hoonheelee6641 4 ปีที่แล้ว +29

    유익한 강연 감사합니다.아이들에게도 가르켜줘야겠네요~^^

  • @dkcho2031
    @dkcho2031 ปีที่แล้ว +9

    명강연을 들을 수 있어서 행복합니다...감사합니다.

  • @sungkim2606
    @sungkim2606 3 ปีที่แล้ว +11

    정말 좋은 내용과 좋은 강연입니다. 잘 배우고 갑니다.

  • @gardengod8663
    @gardengod8663 4 ปีที่แล้ว +47

    저는 처음에 재미없을줄 알았는데
    교수님이 20년을 아무렇지 말하는걸 보곤 이거구나 싶었.. 느낌 딱
    대가는 자기가 좋아하는게 일이라 짐까지의 시간이 100년이던 뭐건 아무렇지 않게 여긴다는게 사실인듯 재밋었어요^^ㅋㅋㅋㅋ

  • @toshio77
    @toshio77 3 ปีที่แล้ว +9

    한글의 우수함을 일꺠워주시는 분이군요.

    • @user-ku6qw7gp8j
      @user-ku6qw7gp8j 3 ปีที่แล้ว +1

      훈민정음의 위대함이 세계적으로 독보적이라는 것을 절실하게 느끼게하는 강의입니다.

  • @justusk1620
    @justusk1620 4 ปีที่แล้ว +41

    좋은 기획의도네요
    한번쯤 궁금했던 것인데 쉽게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jiniqeee
    @jiniqeee 3 ปีที่แล้ว +12

    고교 국어 시간 - 중세국어 배울 때 무척 궁금했었는데(20년 전 즈음에), 감사합니다.

  • @kimweonill
    @kimweonill ปีที่แล้ว +2

    정말 흥미롭고, 또 감동적입니다. 우리가 한글을 가지고 있고, 오늘날 이렇게 만인이 쉽고 자유롭게 한글로 소통한다는 것이 얼마나 기적적인 일인지 깨닫게 됩니다. 일본은 비록 현대에는 그들의 어순으로 문자를 적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한자와 훈점의 문화를 답습하고 있는 듯 보이네요. 한눈에 봐도 일본어의 가나는 우리나라 과거의 이두, 구결과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라는 말의 무게, 그런 말로 시작하며 새 글자를 반포하는 조상들의 결기와 지혜에 깊이 고개를 숙이게 됩니다. 아울러, 이런 것을 연구하고 알려주시는 분들이 계시는 것이 얼마나 귀한 일인지도 깨닫게 됩니다. 한 분, 한 분 소중한 분들이십니다. 감사합니다.

  • @toshio77
    @toshio77 3 ปีที่แล้ว +8

    우리는 서로싸우지말고 세종대왕님에게 백만년 억만년까지 고마워하며 살아갑시다.
    그리고 한자를 숭배하는분들은 반성하고 또반성하시기바랍니다.

  • @yongraechoi5555
    @yongraechoi5555 4 ปีที่แล้ว +22

    알기쉽게 잘정리된 영상인거 같아요 공유해야겠다!!

  • @jongshikpark4129
    @jongshikpark4129 3 ปีที่แล้ว +4

    모든 발명이란 선인들 지혜의 점진적 개선이지,
    어느날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이나, 어느 천재의 뛰어난 재기로 창조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sb2470
    @sb2470 4 ปีที่แล้ว +21

    코로나때문에 강연들으러 가본지가 언젠지 기억도 잘 안나는데 너무 반가운 영상이네요

  • @bebest8298
    @bebest8298 ปีที่แล้ว +2

    이런 좋은 훌륭한 명강의를 하시는 선생님, KBS는 주말마다 웃고 놀고 개그토크쇼만 5년내내 봤다.

  • @0406kim5
    @0406kim5 ปีที่แล้ว +5

    와.. 너무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옛 조상님들의 한자읽는방법이나 선생님 설명이나 모두 이해하기가 쉽네요

  • @user-ey5ch6qe6b
    @user-ey5ch6qe6b ปีที่แล้ว +4

    한문으로부터 독립된 문자가 없었다면, 이 말도 안되는 구결로 원문에 첨삭해가며 글을 읽었을걸 생각하니....그저 빛입니다. 세종 ㄷㄷㄷㄷㄷ

  • @user-hz5jo1qw4o
    @user-hz5jo1qw4o 4 ปีที่แล้ว +21

    쉽게 설명해주시는 좋은강의 잘봤습니다^^

    • @emoflex7591
      @emoflex7591 3 ปีที่แล้ว +1

      곰돌이가 정말 귀엽습니다

    • @choiceann5402
      @choiceann5402 3 ปีที่แล้ว +2

      몇십년간 연구해 주신 것을 축약하기 쉽지 않으셨을건데 전 이렇게 단숨에 보게되네요

  • @spigeljin5071
    @spigeljin5071 3 ปีที่แล้ว +13

    오래된 이야기이나 유익하고 참신하다

  • @user-vc5nt6oi6b
    @user-vc5nt6oi6b 4 ปีที่แล้ว +38

    이렇게 유익한 강연을... 감사합니다~

  • @handh0766
    @handh0766 4 ปีที่แล้ว +13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게 봤어요~!

  • @user-kz3fr3bk4r
    @user-kz3fr3bk4r ปีที่แล้ว +10

    구결에 대해 잘 몰랐는데
    덕분에 자세히 쉽게 알 수 있었어요!
    감사합니다😊

  • @calmy__
    @calmy__ 4 ปีที่แล้ว +20

    👏👏👏👏

  • @boyanguk3040
    @boyanguk3040 4 ปีที่แล้ว +22

    강의같기도 하고 약간 다큐느낌도 있어 좋네요

  • @dallhyounglee616
    @dallhyounglee616 3 ปีที่แล้ว +10

    항상 궁금했던 점인데 잘 설명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colone4269
    @colone4269 ปีที่แล้ว +3

    좋은 영상을 볼 수 있게 해주심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학창시절 궁금했었는데 답을 주실 분이 없었습니다😅

  • @user-qc7bj2nk8n
    @user-qc7bj2nk8n 3 ปีที่แล้ว +16

    정말 알고 싶었던 내용이었습니다
    고급 강의를 들을수 있게 되어서
    좋습니다

  • @user-pi9gu7fg6z
    @user-pi9gu7fg6z ปีที่แล้ว +2

    자랑스러운 우리 문화 계승해주시는 분! 감사합니다.

  • @user-qo6rt5vn4i
    @user-qo6rt5vn4i 2 ปีที่แล้ว +8

    일본의 가타카나에 영향을 준 구결문자.. 그리고 우리의 한글… 너무 자랑스럽네요. 정말 재밌는 강의 감사합니다

    • @dolgum826
      @dolgum826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향을 줬다는 증거 없다

  • @user-wf7wd9dt2o
    @user-wf7wd9dt2o 2 ปีที่แล้ว +5

    이 강의는 국문학과 4학년 과목입니다. 귀한 강의 갑사합니다.

  • @ATPLable
    @ATPLable 3 ปีที่แล้ว +10

    알차고 유익해요

  • @peilles
    @peilles 4 ปีที่แล้ว +23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 @user-nf4gd3de8e
    @user-nf4gd3de8e 3 ปีที่แล้ว +5

    한문 의 글자 풀이 고맙습니다 문의 글월 문 을 잃어버린 식자들뿐이라서 슬펐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uw9wo7zw2k
    @user-uw9wo7zw2k 3 ปีที่แล้ว +6

    매우 유익한 내용입니다. 대중과의 지식나눔에 감사를 드립니다.

  • @oxdoxx
    @oxdoxx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말 재미있고 유익한 강의였습니다.
    몇 년 전에 tv에서 석독구결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본 적이 있는데 그땐 훈민정음으로 연결된다는 것까진 다루어지지 않았는데
    이 강의에서는 그 연결고리를 이해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고대에서부터 우리 조상들은 어떡하든지간에 우리의 입으로 소리나는 우리말을 제대로 표현하기 위해 엄청나게 노력과 엄청난 시간을 투여했다는 것을 잘 보여줍니다.

  • @jeong2218
    @jeong2218 ปีที่แล้ว +2

    지금 봐도 대단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uk6hg4hg2c
    @user-uk6hg4hg2c 3 ปีที่แล้ว +2

    가려운곳 긁어주는 느낌
    고맙습니다 ~
    몇번 두고 보려 더 이해해 보려 저장해둡니다

  • @hansoochoi2055
    @hansoochoi2055 3 ปีที่แล้ว +7

    서성호 연구관님 강의듣고 함 찾아보고 왔다 손 하이소~~~~

  • @yesno9065
    @yesno9065 3 ปีที่แล้ว +6

    평소 궁금했던 것인데, 다는 이해 못하겠지만 궁금증이 많이 풀렸습니다.

  • @2junhyunghi
    @2junhyunghi ปีที่แล้ว +4

    세종대왕이 얼마나 큰 업적을 남기셨는지 다시한번 느낌니다.

  • @N.A665
    @N.A665 2 ปีที่แล้ว +3

    훈민정음 창제 이전에 얼마나 백성들이 책을 읽기 위해서 개고생했는지 알게 해주는 훌륭한 강의 였습니다.

    • @user-dy6li1cc8u
      @user-dy6li1cc8u ปีที่แล้ว

      조선사람이 지금 한글을 보면 못 읽어요 ~

  • @MichaelLee-yb8we
    @MichaelLee-yb8we 3 ปีที่แล้ว +4

    아주 귀한 내용을 알기쉽고 선명하게 강의해주신 장경준 교수님께 심심한 사의를 표합니다!

  • @yunjeongjin2738
    @yunjeongjin2738 4 ปีที่แล้ว +18

    우왕🤩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非常感谢很有用的讲课😁

    • @armudi5947
      @armudi5947 3 ปีที่แล้ว

      中國人?

    • @ADeeSHUPA
      @ADeeSHUPA 3 ปีที่แล้ว

      @@armudi5947 中國人

    • @Dou_Y
      @Dou_Y 3 ปีที่แล้ว

      @@ADeeSHUPA No, there is no “jeong” in Chinese name

    • @ADeeSHUPA
      @ADeeSHUPA 3 ปีที่แล้ว

      @@Dou_Y 正 정

    • @Dou_Y
      @Dou_Y 3 ปีที่แล้ว

      @@ADeeSHUPA Thats 朝鲜语 pronunciation

  • @lj_castle
    @lj_castle 3 ปีที่แล้ว +5

    세종대왕님 감사합니다. 너무 어렵네요...

  • @martinhaejuha9625
    @martinhaejuha9625 3 ปีที่แล้ว +7

    너무 훌륭한 강의 입니다.

  • @user-hs5go1tt2f
    @user-hs5go1tt2f 3 ปีที่แล้ว +5

    많은 옛자료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해서 인공지능과 연계해서 좀더 찾기쉽고 이해하기쉽게 만들어서 누구나 역사를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야한다.
    옛 자료의 보존과 우리 역사의 해석의 정확성을 높여서 중공이나 일본의 역사왜곡을 바로잡고 빠르게 대응할수있는 토대가 필요하다.

  • @moxhart3310
    @moxhart3310 4 ปีที่แล้ว +18

    참 한국사람들 머리좋다. . .어떻게 한자를 이렇게 응용해서 썼을까

  • @user-uw4pm2xz6h
    @user-uw4pm2xz6h 3 ปีที่แล้ว +4

    참으로 유익한 내용입니다.

  • @iannaiyu
    @iannaiyu ปีที่แล้ว +2

    이런 유익한 영상을 이제서야 보내요. 감사합니다.

  • @summer_12325
    @summer_12325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구결 자료를 쉽게 같이 읽어주신 것이 너무 좋았어요~

  • @user-ns3sr3tl1e
    @user-ns3sr3tl1e 2 ปีที่แล้ว +2

    새로운 것을 알게 되어 고맙습니다 선생님

  • @srwagner324
    @srwagner324 3 ปีที่แล้ว +3

    와~~♡
    감사 합니다.

  • @ecoro81
    @ecoro81 2 ปีที่แล้ว +3

    귀한 강의 감사합니다.

  • @kimseonghan-HAN
    @kimseonghan-HAN 3 ปีที่แล้ว +5

    강의 감사 드립니다 🙏

  • @sainbainauu2784
    @sainbainauu2784 3 ปีที่แล้ว +2

    복잡할 것이다 지레斟酌 했었는데
    장 교수님 또 나오시면 좋겠습니다 😊

  • @kyeongeun6696
    @kyeongeun6696 3 ปีที่แล้ว +3

    수업 진짜 재미있었고 졸업한지 수년이 지났어도 아직도 기억나는 수업이었음 약간 암호해독 하는 기분도 들고 옛날 사람들이 자기 생각과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온갖 노력과 시도를 다한 점이 느껴져서 뭉클해지기도 함... 교수님이 엄청나게 연구하고 강의를 몹시 열심히 해서 그랬겠지? 진심 연구해볼까 1초 생각하고 그만둠(충분히 똑똑하지 않다고 여겨짐,,)

  • @ysng-yz7xe
    @ysng-yz7xe 3 ปีที่แล้ว +16

    한문원문=언해=
    석독구결(우리말로 해석)
    각필 ㅡ신라의 이두문의 각필이 일본으로 전해져
    지금의 "가나"를 형성

    • @dolgum826
      @dolgum826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뭔 개소리노? 신라 각필이 일본에 전해졌다는 개피셜좀 그만!!

  • @user-nl3pz4uv4j
    @user-nl3pz4uv4j ปีที่แล้ว +1

    오 메~~~~ 궁금 했었는데 이런 강의를 듣다니 감사합니다. 장경준 교수님!
    그런데 한글학자님들은 그동안 왜? 참나 정말 감격스럽네요.

  • @user-rs6vg9yn4i
    @user-rs6vg9yn4i 2 ปีที่แล้ว +2

    '저렇게 고생했구나' 정도로 이해하면 되겠네요.

  • @user-fr8mq4lc7r
    @user-fr8mq4lc7r ปีที่แล้ว +1

    방종현 선생님 훈민정음통사 앍기 전에 공부 중인데 아주 유익하네요. ❤

  • @choiceann5402
    @choiceann5402 4 ปีที่แล้ว +27

    고대에 이런 국보급 보물같은 분이 있었나요?

  • @user-zj4if2ks6j
    @user-zj4if2ks6j 3 ปีที่แล้ว +3

    유익하고 재밌습니다

  • @user-lm2pg1zr6q
    @user-lm2pg1zr6q 3 ปีที่แล้ว +16

    구결,각필,이두가 일본으로 넘어가 지금의 일본문자 히라가나,가타카나가 된것으로 보는 학설도 있어요.

    • @user-lj9zw8fi4n
      @user-lj9zw8fi4n 3 ปีที่แล้ว

      삼국시대때 일본에 우리문물 전수 하더시피 했으니

    • @user-sf3vo2hz3d
      @user-sf3vo2hz3d 3 ปีที่แล้ว +1

      설이라기보단 거의 확실한듯

    • @sjpark8860
      @sjpark8860 2 ปีที่แล้ว

      히라가나아니라 카타카나요

    • @dolgum826
      @dolgum826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개소리들좀 그만해라.

  • @user-pu1zp8yo3e
    @user-pu1zp8yo3e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끝부분 훈민정음 탄생에대해서 자음모음등의 표현 감사합니다. 견강하시고 그훈민정음과의 연걸부분 한번더 헤주세여 ! 건강하세여 !

  • @user-mg7ts4ju2g
    @user-mg7ts4ju2g 3 ปีที่แล้ว +2

    장경준 교수님 응원합니다^^

  • @user-qv9if9fn2f
    @user-qv9if9fn2f 3 ปีที่แล้ว +2

    제가 이릴때는 심심치 않게
    이런식으로 접했던 방식의 글들을
    많이 보았었읍니다.
    70년대 이후로 급격히 사라져 버렸죠!

  • @thovennep8223
    @thovennep8223 3 ปีที่แล้ว +8

    집현전 학자를 직접 뵙는 것 같습니다!
    한글에 대한 목마름이 있었기에 가능했네요. 어려운 주제인데 쉽게 설명해주시려 노력하셔서 잘 따라 갈 수 있었습니다!

  • @Lee-sv4yi
    @Lee-sv4yi 3 ปีที่แล้ว +4

    예 감사합니다
    제가 아주아주
    궁금하던것 ~~

  • @user-lm4mg7mi4v
    @user-lm4mg7mi4v 2 ปีที่แล้ว +2

    오레전에 시족간 전쟁이 빈번한 때부터 우리 조상들은 위치와 요긴한 표식이 필요 하여 깃발을 새우고 표식을 사용한것이 여러분이 아는 한자의 근원입니다 세모 꼴 둥근 모양등 다수가 밣혀져 있고 황하강 유역에 정착한 동의족들 서해의 용궁에 보내는일종의 편지 같은 신지문으로 갑골 문자 입니다 수해를 입어 먼저간 조상들에게 예를 드리는것입니다

  • @farastarta1732
    @farastarta1732 4 ปีที่แล้ว +23

    한글 창제 전에도 이런 우리만의 언어가 있었다는 건 처음 알았다. 일본어 배울 때 한자 독음이 신기하고 낯설었는데 뭔가 오랜 미스테리가 풀린 기분..

    • @armudi5947
      @armudi5947 3 ปีที่แล้ว +7

      언어가 아닌 문자죠

    • @user-tw1dr2lv7y
      @user-tw1dr2lv7y 3 ปีที่แล้ว +3

      문자라고욧

    • @UpanddownQ
      @UpanddownQ 3 ปีที่แล้ว +4

      언어랑 문자 구분못하는 건 상당히 위험한 사고방식이에요..

    • @user-im4do2sn5z
      @user-im4do2sn5z 3 ปีที่แล้ว

      칙각할 수도 있는거지 왤케 말이 날서있누...

    • @user-jy6ii7lx6c
      @user-jy6ii7lx6c 3 ปีที่แล้ว +4

      한글창제 이전에는 무슨 벙어리었음? ㅋㅋㅋㅋㅋ

  • @sgmk1223
    @sgmk1223 3 ปีที่แล้ว +1

    국민
    교양을 높이기 위한 훌륭한 강론이십니다.
    이런 방송이 제도적으로 확립 되면 좋겠습니다.
    사회의 지식인들이
    꼭 정책 자금이 없더라도, 개인적으로 국민 교양 방송을 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실로
    인류 문명이 문자가 쓰이면서 발달했죠.
    거북을 그리고 龜 거북 구, 답답함을 그리고 鬱 답답 울, 위 上, 아래 下 등등.
    보시다 시피
    극한 원시적 야만적 문자가 한자이죠.
    중국이 달 반대편
    달의 시료를 가져 오는 현대에도
    아직도 이런 야만적 문자 짓거리를 상용하고 있죠.
    기껏 생각 했다는 게 간자체~
    지금도
    중국 초딩들은 핵교에서도 첨 글을 배울때
    일단 로마자 발음 기호를 배워 익힌 후에사
    그 발음 기호로
    지들의 문자를 읽는 영상을 보고 놀랬습니다.
    워낙 악질적인 한자의 숫자도 많고
    같은 문자에 다른 발음이 많으니, 로마자로 발음 기호는 필수인 처지죠.
    게다가
    각 음에다 성조까지 붙여 리듬으로 말하고 읽고.
    우리가
    고대 부터 고려 때 조선 때까지
    저 골 때리는 야만문자를 우리글도 없이 우리말로 읽고 이해 하려면
    당시 선조들이 얼매나? 고생을 했을지가 대충은 감이 잡힙니다.
    중국어나 왜구어를
    글자 마다 발음 기호 찾아서ㅡ 디지털 컴 자판으로 치는 것을 보면
    시간도 몇 배나 더 걸리고요, 마치 원시인들 같아 보였습니다.
    순수 소리글인 우리 한글의 위대함과
    인류사에 최고의 발명품임을 또 실감하게 하는 방송입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ry3iv7wu4y
    @user-ry3iv7wu4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릴때 부터 예전사람들은 한문을 실제 어떻게 읽었을까 궁금했는데, 너무 감사합니다!

  • @user-hh3yz8xt6k
    @user-hh3yz8xt6k 3 ปีที่แล้ว +3

    한글을 주신 세종대왕 께 감사

    • @user-iq8tv8xo6x
      @user-iq8tv8xo6x 2 ปีที่แล้ว

      매일 글을 쓸때 마다 세종대왕님의 위대함에
      감사를 드리고 있습니다~~

  • @factforfreedom2998
    @factforfreedom2998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조상님들 진짜 천재적이셨구나...

  • @edwardreesekimhappton5844
    @edwardreesekimhappton5844 3 ปีที่แล้ว +9

    이건 뭐;; 세종대왕이 괜히 문자를 만든게 아니네 한자만 줄줄 외운다고 아는게 아니라 읽을 수 있는 스킬까지 있어야하네

    • @user-om3xm2qw8c
      @user-om3xm2qw8c 3 ปีที่แล้ว

      저도 그부분이 가장 들어오더라구요!

  • @TG-pn9yp
    @TG-pn9yp ปีที่แล้ว +1

    2년이 지나 오늘 영상을 이제야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ov1do2fs2l
    @user-ov1do2fs2l ปีที่แล้ว +1

    한글 창제 이전에는 어떻게 읽고 썼는지가 궁금했는데...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