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 좋은 제품 소개시켜주셔서 감사하고 있습니다. 다만 한가지 말씀드리고 싶은것은 안전장비(고글 등)를 착용하시고 작동하시는게 어떨까요? 세밀하게 작업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거라 가까이 다가가다 보면 예기치 못한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본인은 공구들을 자주 사용하시는 입장이라 괜찮을지 몰라도 시청하시는 분들이 다 전문가는 아니거든요. 그리고 전문가도 실수할 수 있으니깐요. 예전에 전동글라인더 사용하다가 시력을 잃어버릴뻔한 기억이 있어서 염려가 되어 한마디 올렸습니다.
드레멜은 실지로 영상과 같이 본체를 저렇게 잡고 쓰시는 분도 계실지 모르지만 저의 경우 드레멜 225-01 플렉스 샤프트 로타리툴부착키트를 이용하여 연결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슬림한 그립감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혹 드리멜을 쓰시는 분이 계시면 참고하시면 됩니다. 영상의 제품은 충전식이라 이동하기 편해서 좋겠네요^^
그립감은 탁월하겠네요~ 근데 본체에 온오프가 스위치가 없어서 그게 발목을 잡을듯 ㅠㅠ 참 초반 설명에 동력부가 따로 있다고 설명하시던데.. 동력부가 모터이니 이를 본체 밖으로 빼는건 말이 안되고..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회로 부분을 별도로 밖으로 빼서 본체를 슬림화 한것으로 봅니다~
구독 잘 보구 있습니다. 영상 보면서 조금 아쉬운 점을 말해 보고자 합니다 공구 소개하면서 작동 영상을 시현 하는데 보호 장구를 착용하지 않고 하더군요. 요즘 산업 현장은 안전재일 주의로 보호 장구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으면 출입조차 못할 정도로 철두철미 합니다. 시현 할 때 만이라도 보안경과 장갑 정도는 착용하고 하였으면 합니다. 특히 배우는 학생들은 안전의 기초 의식이 먼저 자리 잡아야 하기에 20만구독자를 향해 가고 있는 철물점TV의 건승을 위해서 보호 장구의 착용은 필히 권유 드립니다. 계속 발전하는 철물점TV 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마커 엑스 --> 메이커 엑스 , 동력 전달 --> 전력 전달.. 동력을 전달한다는건 움직임을 전달한다는 의미인데, 메이커 엑스와 드레멜 둘다 동력은 본체에서 발생하죠.. 모터가 거기 있으니까. 다만 메이커 엑스 제품은 전력을 전달하는 부분을 외부로 빼고 배터리로 연결했다는 차이이고, 모터 자체의 크기도 차이가 있어서 소형화 된거죠...
아시는분들은 아시겠지만ㅎㅎ
제가 소개를해드리는 가장!큰이유는 호환성때문이예요ㅎㅎ
[웍스 공식영상]
th-cam.com/video/cjKlBFPzWjQ/w-d-xo.html
구매 링크 보고 본체 및 악세사리 모두 구매 하였습니다.
악세사리 내용물이 많이 있는데 각각의 날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목재.석재.철
화장실 벽,바닥타일 자를때도
사용 가능한가요?
너무 웍스 후원 받은거 티납니다~ 예전으로돌아오셔요!~~~
슬슬~ 구독자 늘어나니깐 장사꾼 같아요~ 초심을 잃지마세여~~~ 예전에는 안그랬는데.....
본체에 온오프스위치없어 불편한게 영상에서도 보임ㅡ.ㅡ
좋기는 한데.... 좀 애매하네요. 유선도 아닌것이 무선도 아닌것이... 충전기/배터리도 좋은데 220V용 어댑터도 넣어주었으면 좋을뻔... 드래멜에 연장선 꼽아 쓰는 기분일듯... 배터리도 비싸고... 좋긴한데... 애매하다는 생각이...
전원버턴이 본체에 있어야 할 것 ㄱ같아요?
드레멜 스타일로 있어요.
확인해 보시고 성능 비교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이제품은 드레멜 키레스척이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어 좋아요. 키레스척을 사용하면 편하고 좋아요.
늘 좋은 제품 소개시켜주셔서 감사하고 있습니다. 다만 한가지 말씀드리고 싶은것은
안전장비(고글 등)를 착용하시고 작동하시는게 어떨까요?
세밀하게 작업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거라 가까이 다가가다 보면 예기치 못한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본인은 공구들을 자주 사용하시는 입장이라 괜찮을지 몰라도 시청하시는 분들이 다 전문가는 아니거든요.
그리고 전문가도 실수할 수 있으니깐요.
예전에 전동글라인더 사용하다가 시력을 잃어버릴뻔한 기억이 있어서 염려가 되어 한마디 올렸습니다.
드러멜 앞에 팁대신에 연장해서 쓰는게 있을텐데요? 옵션으로 그립도 얇아서 좋구요 물론 안에 와이어로 연장되는거라 약간 덜리적 거릴 수는 있겠지만요 rpm보다는 힘이 중요 힐듯요
선이 뻑뻑하기도하고 불편하더라구요ㅜㅜ저는 잘안쓰게되더라구요
와이어로 연장되는거라 걸리적거려서 안쓰게되더라구요^^;
@@HWS_TV 네 다음 개소리
이런 종류의 기기 중 저가 제품 같은 경우 날이 안정적으로 돌지 못하고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들이 있는데 위의 제품은 괜찮은 것 같네요.
이럴꺼면 콘센트 꼽는방식이 났겠네요. 어차피 사용장소가 야외보단 작업실, 가정집이겠는데..
배터리가 아닌 유선연결 어뎁터 포함, 제품 자체에서 온오프(전원의 온오프 보다는 작동의 일시중지/재개)를 할 수 있도록 했더라면 완벽했을 텐데요...아쉽네요.
본체에 온오프스위치없어요 조금은불편한생각이 있네요
드레멜 연장케이블(?) 사용하면 훨씬 더 얇고 가벼운데 그것과도 비교해주셨으면 좋았겠네요.
혹시 8v 짜리 wx106은 안나올까요?~저번에 웍스본사 방문영상에서 나올예정이라고 해서 기다리고있었는데~마커x만 출시됬네요~알아봐주시면 안될까요?~ㅎㅎ
안녕하세요 2021년 5월말 혹은 2021년 6월초 경 입고 예정으로 확인되고 있는데요...사실 정확한건 입고되어봐야 압니다.
@@ustool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드레멜 7760 충전기 없이 받았는데요
5v 휴대폰 충전기 써도 돨까요?
아니면 전용 충전기 별도 구입해야 되는지
드레멜은 실지로 영상과 같이 본체를 저렇게 잡고 쓰시는 분도 계실지 모르지만 저의 경우 드레멜 225-01 플렉스 샤프트 로타리툴부착키트를 이용하여 연결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슬림한 그립감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혹 드리멜을 쓰시는 분이 계시면 참고하시면 됩니다. 영상의 제품은 충전식이라 이동하기 편해서 좋겠네요^^
안녕하세요
로타리툴을 구입해야 해서 여기저기 알아보고 있습니다
ACADA 님이 사용하시는 제품명을 좀 알려 주실래요?
그러면 드레멜 225-01 샤프트 로타리툴 부착키트를 사서 사용하면 되네요..
감사합니다
충전은 그다지..좋아졌다해도 220v못따라가쥬..
화장실 줄눈제거시
기본배터리로 가능한가요?
배터리 소진시 전원연결로
사용이 되는 아답터별도 구매가
되는지요??
베어툴이라 하더라도 풀셋으로 더 싸게 팔지 않을까해서 존버해 봅니다 ㅋㅋ
근데 저걸 사는 순간 전동 임팩이나 드릴도 오렌지 18v로 가야 하는게 단점 이네요 12v가 아쉽네요...
드레멜 플렉스 샤프트 비슷한 제품이네요.
블프 때 드레멜 8220 놓치고 계속 간만 보고 있었는데 히트건하고 에어브러시 출시하면 같이 구매해야겠습니다.
개인적으론 그냥 자체 배터리 모델 하나 내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ㅎ
영상 고맙습니다.
이럴꺼면 유선쓰는게 좋지않나요? 어차피 선 대롱대롱매달고하는데
드레맬 무겁고 그립두껍고 두꺼운전선 때문에 잘안쓰게돼죠 하지만 구관이 명관 이라고 기타 메이커는 심리적 저항감이 있어서 좀미니멀한 충전드레멜 구입하고 싶네요
안녕하세요.
혹시 고무판에 스페너 모양을 일정한 두께로 홈을 내려고 하는데 어떤 공구를 사용하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 영상보고 마커엑스 구매하였습니다.
혹시 0.8mm 드릴비트를 앞에 끼우고 싶은데 방법이 있을까요?
드레멜 옵션에 연장? 그거랑 별차이 없을듯 한데요
오~~사고싶네요
하나만 물어볼께요
집에있는 드레멜 툴 체결되는 자루부 사이즈가 2.34mm 입니다 이것도 척에 체결되나요?
웍스꺼에 찾아보니 체결되는 척에 구성품 사이즈는 3.2mm가 같아서요
척에 체결되는 사이즈가 대략 최소 ~ 최대 얼마까지 가능한가요?
혹시 드릴 피스 튀어나온 부분도 자를수 있나요??
어제방송보고 주문해서
오늘 도착..방금 테스트 해봤는데
아주 만족스럽습니다~~^^~♡
드레멜에 비해 큰 메리트 못 느끼겠네요. 플렉시블샤프트 쓰는거라 뭐가 다른지...
공식영상의 다른 제품들도 출시되면 베터리 호환도 되어서 범용적이니 참 좋겠네요.
오늘 구입했는데요..
드레멜 키레스척 호환될까요?
선 달린 충전식인가요? 그럴 바에야 그냥 비충전식으
로 하지 왜 그랬나요?
잘 봤습니다. 사실 저는 궁금한게 기존 전동드릴에 저 팁들을 써도 괜찮을런지요 ㅎㅎㅎ 보통 저런 팁 등으로 간단한 쇠(나사 등)좀 자르고 하고싶어서요, 또는 그런 비트를 뭐라고 검색하면 나올까요? 드릴은 보쉬 10.8v 제품 씁니다.
웍스가 확실히 재밌는거 많이 만드네요 ㅎㅎ
맞아요 재미진 개구쟁이 같은 느낌입니다.
속도 조정을 본체에서 할 수 없네요.
배터리에서 조정 해야 하는 거 너무 불편해 보여요.
혹시 웍스 4v에 끼워서 조각기 비슷하게 쓸 수 있는 제품은 없을까요?
웍스 충전열풍기도 한번 리뷰해주세요..
그립감은 탁월하겠네요~ 근데 본체에 온오프가 스위치가 없어서 그게 발목을 잡을듯 ㅠㅠ 참 초반 설명에 동력부가 따로 있다고 설명하시던데.. 동력부가 모터이니 이를 본체 밖으로 빼는건 말이 안되고..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회로 부분을 별도로 밖으로 빼서 본체를 슬림화 한것으로 봅니다~
좋은공구이네요.석재에 20cm×20cm크기 음각글씨 파기.가능한가요
온 오프 스위치가 따로잇으면 더 좋앗을텐데 배터리쪽에 잇는게 흠이네요..
다 마음에드는데 ..쩝
어디서 많이본 막가위 참 좋은 제품입니다^^
흔히 알고있던 장비를 미니화를 해서 종합적으로 뭉쳐놓은 것이 드레멜인가요?
그리고 길가에 많이있는 철물점에도 판매하나요?
유리도 잘리나요?
웍스 원형톱 530L.9 이그젝트랙 모델은 언제정발하나요?
저도 기다리고있어요ㅜㅜ
전파인증은 벌~~~써 끝났을텐데...
왜 판매를 못하고 있을까요??ㅎㅎㅎㅎ
On/off 버튼이 본체에 없는게 좀 불편해 보이내요 특히 톱날 사용시에는 더욱 위험해 보이는 기분이 드네요 급하게 꺼야할 필요두 있을텐데
알리 익스프레스에 마끼다18v 배터리-> 웍스 오렌지 배터리 변환 어댑터 구했습니다ㅋㅋㅋ 그리고 오늘은 배어툴이랑 허브 커넥터 주문했어요 무진장 기대중입니다!!항상 좋은영상 고맙습니다!!
죄송하지만 이제품으로 벽채 타일 줄눈도 제거할수 있나요?
드레멜로 타일도 자를수 있나요?
동력전달이 외부에 있다고 해서...플렉시블샤프트 방식인가...? 했네요...
오~ 갖고 싶어지는 물건입니다. 소개 감사합니다. 저... 그런데 MAKER는 "메이커"... 라고 읽으셔야 할 것 같아요 ^^
저기에선 메이커보단 마커가 맞는거같은데요 ㅋㅋ
드레멜 2050 이라는 모델도 있습니다.. 잘 안 사용 하긴 하지만...
마커엑스가 아니라 메이커엑스아닌가요?ㅎㅎ;
돌조각용으로 살려는데 돌도 갈릴까요?
목재타공도 가능할까요?사각타공요
드레멜 키레스척 4486과 호환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된다면 되는 척이라도 알려 주시면...
연결부위 선이 3선인걸 봐서는 BLDC모터 다이렉트로 들어가고 콘트롤러는 배터리쪽으로 뺴서 최대한 손잡는 부분 부피와 무게를 줄인듯. 나름 좋은 최적화 라고 생각함. 다만 배터리 빼고 더 싼가격에 팔았으면 하는 ...
드레멜 있는데 가지고 싶긴 하다. 전동공구에 너무 익숙해졌어. 그나저나 저걸 사면 배터리가 벌써 3종류가 되는데.... 참아야지.
드라멜 스타일로라고 한손에 들어오는 제품 있는데... 그것도 힘이 약한데... 별반 차이 안나보이네요 ㅣ...
어 이건 내가 원하던 그 제품... 그런데 그 중간에 락 버튼은 나중에 버튼이 아닌 제끼는
형식으로 수정해서 나와주면 좋겠군요.
나도 누르고 싶...;;;;
구독 잘 보구 있습니다. 영상 보면서 조금 아쉬운 점을 말해 보고자 합니다
공구 소개하면서 작동 영상을 시현 하는데 보호 장구를 착용하지 않고 하더군요.
요즘 산업 현장은 안전재일 주의로 보호 장구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으면 출입조차 못할 정도로 철두철미 합니다.
시현 할 때 만이라도 보안경과 장갑 정도는 착용하고 하였으면 합니다.
특히 배우는 학생들은 안전의 기초 의식이 먼저 자리 잡아야 하기에 20만구독자를 향해 가고 있는 철물점TV의 건승을 위해서
보호 장구의 착용은 필히 권유 드립니다. 계속 발전하는 철물점TV 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좋은말씀감사합니다^^
유의하도록하겠습니다
그린과 오렌지는 배터리 호환이 안되겠조?
이것도 그린베터리랑 호환시켜서 쓸수있나요?
저는 타제품 사용하는데 타일줄눈팔때 사용한다구 구입하긴 햇는데 부하가 좀 잇더라구요 진작 이걸볼걸 1달전에만 나왓어두 ;;
전 로텍스780 쓰는데 배터리 방식이라 끌리네요.
웍스 와 웍스프로 같은 회사인가요
찾아봐도 안나와 있어서요
안전을 위해서 본체에 적어도 온오프 스위치 하나정도는 달아 줬으면 좋겠네요.
좋네요 .
같은생각.. 잠깐잠깐 쓰는거야 그렇다쳐도
매번 베터리쪽에 손가서 조절하고 온오프하는거 자체가 일인듯
@@꿈꾸는바닷가 급할때 바닥에 놔야 하는데 아차하면 위험할거 같네요.간단하게 가변 스위치 하나 달아주면 될거 같은데 말입니다.^^
영상보면서 같은 생각을 했습니다. 안전을 위해서 전원을 끊어버리는 스위치하나는 있어야할것 같은데...
드레멜에서도 유선식으로 그립감 높인 드레멜스타일로 라고 나오지만
이런거 저런거 써보니까 힘은 좀 달리지만 그립감과 정밀한 작업을 하는덴 핸드피스 만한게 없더군요..
웍스도 충전식에 브러시리스모터, 그립감, 가격 등등다 좋은데
가변속도조절을 작업하면서 할수있게 본체에 조절부를 하나더 달아서 스위치 누르듯 떼면 꺼지고 세게 누르면 누를수록 속도가 올라가는 식으로 스위치를 달아놔서 배터리 아답터 조절부랑 둘중하나선택해서 쓸수 있게 해놨으면 어떨까 싶기도 합니다.
좋은생각이네요^^
고속 회전체를 소개하시는데 보안경 착용을 안하셔서 조금 불안해 보였네요.
보안경 광고도 함께 해주세요~^^
에어드라멜은 크기가더작다는 매직펜크기만해욤
보통 이런연장은 포터블은 크게 쓸모가 없쥬?
그립감을 엄청 강조하시는데...
드레멜 연장샤프트를 모르실분은 아니실테고...
이번 영상은 정말 너무 편파적이네요.
타일 메지 제거하는데 도움이될까요?
충전기와 컨트롤러를 바로 연결할 수 있으면 좋겠는데....
혹시 pvc자를수 있나 궁금하네요
저정도 사이즈 드레멀 스타일로 제품이 있긴한데. 저는 드레멜 스타일로 잘 사용중이네요.
가격도 1/3정도고. ㅎ
조각용으로는 스타일로만으로도 충분해요. ㅎ
사용중 비상정지버튼이있었스면 좋을꺼같은대요
마지막 아쉬운 점이 치명적 단점 일수도 있어요~~~ ㅋㅋㅋ
카본 브러시V/S 브러시 러시 장단점 관련 디테일 하게 리뷰 부탁했는데요 아직... 챔피온 BL7000 BL 7500 "리뷰 부탁 드려요..
댓글을 확인해보니 저보다 훨씬 전문가시던데 왜 리뷰가 필요하신거죠?
번창하세요!!!!!!!!!
무좀발톱 갈수있나요?
어짜피 유선이면 배터리/전원연결 둘다 지원했으면 좋았을 텐데요.
파워쉐어는 앞으로 나올 공구들(인두기 등등)과 호환을 염두에 두고 만드거같네요. 그점은 엄청 편할듯
신형모델에서 아마 지원가능하게 만들지 않을까 하는 뇌피셜입니다. 나중에 베어툴 나오면 배터리전원방식은 다 호환되겠네요 진짜.
형 이걸로 ..빵칼 톱날부분도 연마할수있는건가용 ㅠ
살짝 불편해 보여요. 본체에서 전원을 껐다 켰다 할수 있음 좋을텐데요
드레멜에도 그립감은 비슷하게 있는 악세사리가 있긴합니다만 동력전달에있어서 선의 제약이 좀 있죠.
선이 자유롭게 휘고 베터리 타입으로 되어있는것이 매력적이군요!
영상 마지막에 타일 줄눈 제거하는 영상 보여주신다고 했는데 한번 테스트 해주세요~~~^^
척 3.2라고되있던데 0~3.2인건가요?
구멍은 못뚧나보네요 그럼 드레멜 따라올수가없죠 저건그냥 그라인딩 역활인가보네요
구멍악세사리 끼우면 뚫을수있죠
마커 엑스 --> 메이커 엑스 , 동력 전달 --> 전력 전달.. 동력을 전달한다는건 움직임을 전달한다는 의미인데, 메이커 엑스와 드레멜 둘다 동력은 본체에서 발생하죠.. 모터가 거기 있으니까. 다만 메이커 엑스 제품은 전력을 전달하는 부분을 외부로 빼고 배터리로 연결했다는 차이이고, 모터 자체의 크기도 차이가 있어서 소형화 된거죠...
토크드라이버 추천해주세요
구매했습니다... 잘 사용해보겠습니다....
차라리 드레멜에 연결하는 플렉시블 사는게 나을듯? 너무 불편해보이는데? 그리고 그립이 문제라면 저정도 사이즈 전동공구는 이미 널렸는데..?
인두기 열풍기 등등과 호환됩니다ㅎㅎ 아직안들어왔을뿐..
금속제품도 갈리나요
진짜 오래 기다림요
얇은 쇠도 자를수 있을까요?
넵
그라인더 쓰세요. 이건 조각기입니다.
영상감사합니다
얇은 저가형 드레멜 원하는분들은 동성전자에서 나온 ds1800 괜찮습니다. 4만원대이며 저거만큼 얇습니다. 몇년동안 잘 썼습니다.
근데 충전식 보니까 탐이 나긴 하네요. 전원 없는곳에서 참 유용할거 같은데.... 쩝
전선이 아닌 샤프트케이블을 사용한 제품의 드레멜은 30년 전에도 있었읍니다....
아..사서 발 뒷꿈치 각질 벗겨내고 싶네요..ㅎㅎ
시워~~~언 할것 같습니다~!
다른배터리도 호환돼나요?
마음에 쏙 드네요
본체에 스위치 없슴, 전원을 바로 연결할 수 없슴, 밧데리 충전기를 별도 구매해야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