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람 미슬 기반으로 영국 해군과 육군 미슬로 개발된 CAMM 기동성 보기를. 1. th-cam.com/video/Zl-US7xdIX4/w-d-xo.html 영국 해군 SEA CEPTOR 2. th-cam.com/video/hu4s2zVgn1U/w-d-xo.html 영국 육군 LAND CEPTOR = SKY SABRE ---------------------------------------------> 영국 육해공 모두 아스람 미슬 기반으로 부품 공통화를 이룬 미슬 체계. ---------------------------------------------> CAMM = Common Anti-air Modular Missile 영국 공군 아스람 역시 조금 더 발전한 CAMM으로 대체될 예정이지만 공군은 가장 나중에 배치된다고, 현재로선 아스람 계속 사용. ----------------------> 아스람 형태를 보면, 방향 조절하는 핀이 매우 작은 크기 + 갯수도 적어 공기 저항 극소화 + TVC 없이 고속으로 원거리 적 파괴 목적. ----------------------> 여기 영상의 IRIS-T 는 훨씬 많은 커다란 핀으로 기동성 얻은 대신 속도를 잃은. ----------------------> 아스람은 작은 소수의 핀 때문에 항공기 기체에 반매입형 장착 가능한 이점 가진. 영국 공군의 선택은 더 멀리서 + 더 빠른 속도로 적을 제거한다는 것. 현재의 공군용 아스람 역시도 발사 직후 기동성에서 육해군에 배치된 SEA-LAND CEPTOR에 뒤질 것 없이 방향 전환 가능. 긴 사거리와 빠른 속도 얻기 위해 포기한, 아스람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극 근거리에서의 기동성 영역은 사실 실전에서 그런 상황에 처하기 전에 먼 거리에서 처리하는 것이 더 바람직. 아스람은 도입한 곳이 영국, 호주, 오만, 인도로 수가 매우 적지만 -----------------------------------------------> CAMM은 유럽의 이태리 공군 기지 방공용 + 스페인 해군 함정 미슬 + -----------------------------------------------> 영국 전투함정을 수입한 칠레-브라질-폴란드 및 뉴질랜드 등의 해군 방공미슬로 채택되어 아스람의 부진에서 벗어난. -----------------------------------------------> 현재 영-캐-호 3개국 해군이 함께 도입 결정한 TYPE26 및 TYPE31 함정의 개함 방공미슬로 채택될 것도 분명. 육군용은 3대의 차량으로 이루어지며, 미슬 발사대 차량과 미슬 발사 통제 차량은 최대 25KM? 떨어져 배치할 수도, 적에게 타격당하더라도 통제 모듈 생존성 높이는. -----------------------------------------------> 현 우크라이나 전쟁 터진 후에 폴란드에 전진 배치되었고, 아마도 폴란드 육군이 도입할 수도.
21에 다는 거는 단거리 중거리 외에 초 장거리로 200 km 짜리로 달아야 합니다 공대공은 결국은 레이다와 미사일 싸움인데 러시아 중국 일본이 죄다 200으로 가는데 120으로 달고 올라가면 그냥 밥이 되는 겁니다 ~ 국방에서는 안된다고 하면 안됩니다 그 말하는 순간 그냥 다 깨집니다 지려고 최신 무기 만드는 거 안고 배치하는 거 아님!!!!! 계발이 안되면 러시아 산을 사는 한이 있어도 반드시 200으로 달아야 합니다 !!!!
IRIS-T에서 애초에 IRIS는 아이리스라고 부르게 이름을 지었을 겁니다. 탐색기 부분의 생긴 게 꼭 사람 눈의 홍채 같이 생겨서 떠올렸을 것이고 이미징해서 처리한다는 점에서 이거다 싶었을 것이고 잘 조합해보니 마침 약자로 IRIS로 만들 수 있었던거겠죠. 다른 분야도 많이들 그런식으로 이름 붙이지만 공돌이들 중에서도 이런 식으로 이름 붙이는 사람이 많은지라... 아래는 개발자들 네이밍 센스 입니다. (재귀 약자가 많은 것 같은 건 기분 탓입니다.) LAMP: Linux, Apache, MySQL, PHP (전구와 발음이 같음) WINE: Wine Is Not an Emulator (포도주와 철자가 같음) GNU: GNU’s Not Unix (누라는 동물과 발음이 같음) HURD: HIRD of Unix-Replacing Daemons (herd라는 단어와 발음이 같음) BIRD: BIRD Internet Routing Daemon (새와 철자가 같음) CAVE: CAVE Automatic Virtual Environment (동굴과 철자가 같음) cURL: Curl URL Request Library (곱슬머리와 철자가 같음) Darcs: Darcs Advanced Revision Control System (darks라는 단어와 발음이 비슷함) EINE: EINE Is Not Emacs (독일어로 1을 뜻함) ZWEI: ZWEI Was EINE Initially (독일어로 2를 뜻함) SINE: SINE Is Not Emacs (삼각함수의 하나와 철자가 같음) GiNaC: GiNaC is Not a CAS (gin and tonic이라는 칵테일과 발음이 비슷함)
애초부터 미국에서 이야기한게 KF-21의 '시제품'이 나오기 전에는 인티해주기 어렵다는 거였습니다... 이제 시제기들이 날아다니고 있고, 현실적으로도 통합논의 중이니 해결되겠죠... 미국으로서는 미사일 팔아먹을 시장을 놓칠 이유가 없고 우리나라로서는 유사시에 미군의 물자를 받아야 되는 판국에 미국산 무기 통합은 필수입니다...
형님 AIM은 에임 IRIS는 아이리스로 발음하면 돼요. 해외 밀리터리 전문채널 등 외국인들도 대부분 그렇게 발음해요. 그리고, 애초에 그런식으로 약어를 만든건 그 단어의 본디 의미를 염두에 둔 의도가 다분하죠. aim은 조준하다, iris는 홍채, 그런 의미니까요. 미사일의 특성을 반영해서 풀네임과 약어를 만든 의도가 있는거죠. 특히 IRIS는 infra red ima... 이거 진짜 본말은 너무 뻔하고 허접할 정도의 의미인데 오히려 IRIS라는 그럴듯한 단어로 조합하려고 그렇게 작명한걸로 봐야죠. AMRAAM은 암람으로 쉽게 부르면서 AIM, IRIS는 굳이 글자하나하나 힘들게 부를 필요 없어요.
RCS 0.5cm제곱 이하........... KF21 블록2에서는 내부 무장창이 없으므로 IRIST면 충분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도 개발할 것이니.... KF21 블록3 내부 무잔창에 들어갈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달던지,,, 레이저 무기로 대체 전투기에 레이저 무기가 나오면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과 기총이 필요할 지 궁금하다
이제는 드론하고, 미사일이 핵심전력이야. 전투기보다 드론이 더 위력적이야. 숫자가 더 많고, 미사일 가지고 공격해서 격추되어도 피해가 더 적거든, 같은 돈이면 더 많은 드론을 만들고, 동시에 더 많은 공격을하고, 격추당해도 피해가 더 적고, 무조건 드론이 강한 나라가 군사력이 좋아. 드론 없이는 이제 전쟁에서 못이기는 시대가 된다.
하늘에서 운행 중에 공중 급유를 하는데~~~왜 무기 장착은 하늘에서 운행 중에 공중 내부 무 장착이 안될까요 그렇게 되면 더 효율 적이고 정말 좋을 텐데~~~~ k9도 자동으로 무기 공급이 되는데~~~비행기도 자동으로 하늘에서 무기 공급이 되면 좋을 텐데요 ~~~전쟁 중 이륙과 착륙하느라 소모되는 시간을 줄이면 엄청 도움이 될 텐데요~~
만약 한쪽만 스텔스기라면 님이 말하는 먼저보고 멀리서 때리는 장거리 교전(BVR) 얼마든지 가능함. 그런데 쌍방이 스텔스기라면 서로 극도로 짧은 레이더 탐지거리 이내까지 와야 할거고, 통상 요격 임무에서도 근거리까지 조우하는 경우는 얼마든지 있음. 이때 쓰이는게 단거리고, 단거리 미사일의 기동 성능과 추적 능력은 중거리보다 훨씬 우월함. 중장거리 미사일은 발사 초반에는 적기를 직접 추적하지 않고 대략적인 위치에 GPS+관성유도로만 날아가다가, 중간~종말단계부터 탐색기가 작동하는 특성상 최소 사거리가 존재함.
RUPIAH BANK INDONESI 188.000 EMISI 2022 I HAVE SPENDING MONEY TO BUY SATE BAKWAN KAWI INDO MART : RS dr YAP ES DAWET , BANK MANDIRI JL.KALIURANG HALTE TRANS JOGJA : SANATA DHARMA ETC
미사일도 끊임없이~ 진화되고 발전되어 왔다는것~~~~~울나라도 맨땅에 헤딩하면서 기술개발 루틴을 짜야합니다~
오늘도 깔끔하고 정확한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생각보다 성능도 좋은 미사일이었네요.
공대공 미티어 미사일은??
넘 좋네요
IRIS-T : InfraRed Imaging System-Tail Thrust Vector Controlled
......아, 조별과제의 한계로. 말 듣자마자 아... 하면서 이해가 된ㄷ..
Asraam은 운용목적 자체가 일반적인 단거리 공대공 유도탄과는 다른 단거리 공대공 체계라 저평가 받는 경우가 많은데, 애초의 운용목적은 훌륭하게 달성한 무장이기도 합니다. 가격적인 문제와 더불어 각 군의 요구사항이 다르다보니 도입이 시원찮은게 아쉬운 무장이죠.
아스람 미슬 기반으로 영국 해군과 육군 미슬로 개발된 CAMM 기동성 보기를.
1. th-cam.com/video/Zl-US7xdIX4/w-d-xo.html 영국 해군 SEA CEPTOR
2. th-cam.com/video/hu4s2zVgn1U/w-d-xo.html 영국 육군 LAND CEPTOR = SKY SABRE
---------------------------------------------> 영국 육해공 모두 아스람 미슬 기반으로 부품 공통화를 이룬 미슬 체계.
---------------------------------------------> CAMM = Common Anti-air Modular Missile
영국 공군 아스람 역시 조금 더 발전한 CAMM으로 대체될 예정이지만 공군은 가장 나중에 배치된다고, 현재로선 아스람 계속 사용.
----------------------> 아스람 형태를 보면, 방향 조절하는 핀이 매우 작은 크기 + 갯수도 적어 공기 저항 극소화 + TVC 없이 고속으로 원거리 적 파괴 목적.
----------------------> 여기 영상의 IRIS-T 는 훨씬 많은 커다란 핀으로 기동성 얻은 대신 속도를 잃은.
----------------------> 아스람은 작은 소수의 핀 때문에 항공기 기체에 반매입형 장착 가능한 이점 가진.
영국 공군의 선택은 더 멀리서 + 더 빠른 속도로 적을 제거한다는 것.
현재의 공군용 아스람 역시도 발사 직후 기동성에서 육해군에 배치된 SEA-LAND CEPTOR에 뒤질 것 없이 방향 전환 가능.
긴 사거리와 빠른 속도 얻기 위해 포기한,
아스람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극 근거리에서의 기동성 영역은 사실 실전에서 그런 상황에 처하기 전에 먼 거리에서 처리하는 것이 더 바람직.
아스람은 도입한 곳이 영국, 호주, 오만, 인도로 수가 매우 적지만
-----------------------------------------------> CAMM은 유럽의 이태리 공군 기지 방공용 + 스페인 해군 함정 미슬 +
-----------------------------------------------> 영국 전투함정을 수입한 칠레-브라질-폴란드 및 뉴질랜드 등의 해군 방공미슬로 채택되어 아스람의 부진에서 벗어난.
-----------------------------------------------> 현재 영-캐-호 3개국 해군이 함께 도입 결정한 TYPE26 및 TYPE31 함정의 개함 방공미슬로 채택될 것도 분명.
육군용은 3대의 차량으로 이루어지며,
미슬 발사대 차량과 미슬 발사 통제 차량은 최대 25KM? 떨어져 배치할 수도, 적에게 타격당하더라도 통제 모듈 생존성 높이는.
-----------------------------------------------> 현 우크라이나 전쟁 터진 후에 폴란드에 전진 배치되었고, 아마도 폴란드 육군이 도입할 수도.
4:27
I see you~
우리도 빨리 단거기 공대공미사일과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만들어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수 있습니다.
실전 테스트 제대로 하고 있네요
우리도 빨리 자체 공대공 미사일을 개발해야 하는데......
21에 다는 거는 단거리 중거리 외에 초 장거리로 200 km 짜리로 달아야 합니다
공대공은 결국은 레이다와 미사일 싸움인데 러시아 중국 일본이 죄다 200으로 가는데
120으로 달고 올라가면 그냥 밥이 되는 겁니다 ~
국방에서는 안된다고 하면 안됩니다 그 말하는 순간 그냥 다 깨집니다
지려고 최신 무기 만드는 거 안고 배치하는 거 아님!!!!!
계발이 안되면 러시아 산을 사는 한이 있어도 반드시 200으로 달아야 합니다 !!!!
미슬 사거리가 길다고 능사가 아니오 할배
IRIS-T에서 애초에 IRIS는 아이리스라고 부르게 이름을 지었을 겁니다.
탐색기 부분의 생긴 게 꼭 사람 눈의 홍채 같이 생겨서 떠올렸을 것이고 이미징해서 처리한다는 점에서 이거다 싶었을 것이고 잘 조합해보니 마침 약자로 IRIS로 만들 수 있었던거겠죠.
다른 분야도 많이들 그런식으로 이름 붙이지만 공돌이들 중에서도 이런 식으로 이름 붙이는 사람이 많은지라...
아래는 개발자들 네이밍 센스 입니다. (재귀 약자가 많은 것 같은 건 기분 탓입니다.)
LAMP: Linux, Apache, MySQL, PHP (전구와 발음이 같음)
WINE: Wine Is Not an Emulator (포도주와 철자가 같음)
GNU: GNU’s Not Unix (누라는 동물과 발음이 같음)
HURD: HIRD of Unix-Replacing Daemons (herd라는 단어와 발음이 같음)
BIRD: BIRD Internet Routing Daemon (새와 철자가 같음)
CAVE: CAVE Automatic Virtual Environment (동굴과 철자가 같음)
cURL: Curl URL Request Library (곱슬머리와 철자가 같음)
Darcs: Darcs Advanced Revision Control System (darks라는 단어와 발음이 비슷함)
EINE: EINE Is Not Emacs (독일어로 1을 뜻함)
ZWEI: ZWEI Was EINE Initially (독일어로 2를 뜻함)
SINE: SINE Is Not Emacs (삼각함수의 하나와 철자가 같음)
GiNaC: GiNaC is Not a CAS (gin and tonic이라는 칵테일과 발음이 비슷함)
미국에서 사이드와인더 통합 허가 안해준게 오히려 좋은 결과를 만든 것 같네요
맞는 말 같아요!
결국 해주긴할걸요.
그럼 kf 21은 유럽무장과ㅜ미국무장 둘다 운영가능
애초부터 미국에서 이야기한게 KF-21의 '시제품'이 나오기 전에는 인티해주기 어렵다는 거였습니다...
이제 시제기들이 날아다니고 있고, 현실적으로도 통합논의 중이니 해결되겠죠...
미국으로서는 미사일 팔아먹을 시장을 놓칠 이유가 없고
우리나라로서는 유사시에 미군의 물자를 받아야 되는 판국에 미국산 무기 통합은 필수입니다...
통합허가를 안해준게 아니라 조건부로 시제기가 나온이후에 통합을 허가해준다는건대 이건 국내 전투기를 포함해 모든 전투기에 공통조건입니다
어설프게 인터넷 뉴스만 보고 말하면 이런소리를 하게됨
사거리보단 기동력을 살린 IRIS-T
한국도 재밍에 강한 국산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개발을 해야 한다.
맞소이다.우리도 이런미사일을 개발해야합니다. 마냥 수입할수없습니다. 정부과 방위산업이 연합해서 개발해야합니다. 안되면 일본과협력해서라고 개발해서 생산하면 저렴하고 우리가 필요한양을 보유할수있으니 좋을듯합니다.
국산 미사일 개발 완료전에는 외국거 도입해야. 장거리 공대공. 공대지. 공대함 미사일 서둘러 달고 전투기. 헬기 양산배치 서둘러야
이제는 최고의 자랑을 할수있는 미사일을 만들수 있도록 조언 부탁합니다
IDAS라 과거 90년대 한참 회자되던 폴리펨의 재림 이군요 당시의 개념도 비슷 했었는데 기술이 따라주지 못했었고 구소련이 망해버려 유야무야 되었었죠.. 이게 현실화 되면 대잠 헬기등이 잠수함 잡겠다고 잠수함 위 수면에서 호버링 하기 까다롭겠는데요..
한국 공군 은 공대공 미사일 개발 소식이 있나요?
파이썬-5 미사일 해주세요
미샬 잘만들어 팔아도 좋겠다~
공대공 잘만들어 팔아먹자~
뱅기 만들었는데 미샬 못만들겠어??
아이리스 tea AAM
IDAS에서 광섬유만 빼면 대박이겠내요
좋은말씀 잘들었읍니다.
그러나. 우리가 독일재 잠수함을 썼던결과나 부품이 들어간경우 수출에 많은 재약이 걸리던데 국산화또한 시급히 요구가 되겠네요.
넋놓코 KF21수출 계약해놓고 저나라엔 팔지마 하면은 말짱 도루묵이 될태니까요.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보라매에 달 국산 공대공 미사일도 개발중인가요?
공대공 공대지 미사일 개발중입니다.
미티어 미사일
Aim-120 미사일
해주세요
Kf21 그럼 헬멧 지원하겠죠
잠수함 발사 미사일이 좋군요!
우리가 언저 개발을 합시다.
형님 AIM은 에임 IRIS는 아이리스로 발음하면 돼요. 해외 밀리터리 전문채널 등 외국인들도 대부분 그렇게 발음해요. 그리고, 애초에 그런식으로 약어를 만든건 그 단어의 본디 의미를 염두에 둔 의도가 다분하죠. aim은 조준하다, iris는 홍채, 그런 의미니까요. 미사일의 특성을 반영해서 풀네임과 약어를 만든 의도가 있는거죠. 특히 IRIS는 infra red ima... 이거 진짜 본말은 너무 뻔하고 허접할 정도의 의미인데 오히려 IRIS라는 그럴듯한 단어로 조합하려고 그렇게 작명한걸로 봐야죠. AMRAAM은 암람으로 쉽게 부르면서 AIM, IRIS는 굳이 글자하나하나 힘들게 부를 필요 없어요.
아이알아이에스티라고 부르지 마시고 외국처럼 편하게 아이리스티라고 하세요 ^^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 헬기도 지상발사형으로 박살냈어요
😂😂😂😂😂😂😂😂😂😂😂😂😁😁😁😁😁😁😁😁😁😁😁😁👍👍👍👍👍👍👍👍👍👍👍👍👍👍👍👍👍👍👍👍
ISFP - T 도 좀...
사인드와인더 최신형대비 장점없슴
체적도 더 커서 내부무장창효율측면에서도 딸리고
사거리도..
IRIS=T가 국산화는 되고 있나요?
아이리스-T는 다 좋은데 사거리가 사이드와인더 X 보다 사거리가 짧은게 단점.. 사거리 좀만 더 늘렸어도 좋았을텐데
일명 물고기눈깔 미사일라고하죠 ㅋㅋ
아이리스 티 ㅋㅋㅋ....
어제 뉴스는 이리스-티 라고 읽던데 참...ㅋㅋㅋ
@@bundesadler1326 외신들도 이리스랑 아이리스랑 혼용해서 발음 하더라고요 ~
@@싹다금지 영어의 고질적인 문제점이라 어쩔수 없나보네요
딕션이 부정확해요
핵무장 국회해산
RCS 0.5cm제곱 이하........... KF21 블록2에서는 내부 무장창이 없으므로 IRIST면 충분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도 개발할 것이니....
KF21 블록3 내부 무잔창에 들어갈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달던지,,, 레이저 무기로 대체
전투기에 레이저 무기가 나오면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과 기총이 필요할 지 궁금하다
사이드와인더가 처음 실전 배치된지 반세기가 지났지만 한국은 이제야 걸음마 단계죠.
흔히 자국산 전투기가 없어서 개발할수 없었다는 개소리들을 하지만
자국 기체도 없는 이스라엘은 어떻게 개발했을까 ....
궁금한게있는데
지금 우크라이나에게
많은나라들이무기지원을하고있는데
이거 무상지급인가요?
아니면전쟁끝나면 다시돈으로댓가를줘야되나요?
아시는분답변좀
빌리는거라 다시 줘야됨
돈으로든 뭐든간에는요
뭔가 좋다고 나오는데 느낌상 한국이 선택햇다고 하니까 진짜 좋은거 빼고 돈때문에 뭔가 쪼금 하자있는거 샀을듯 안봐도 비디오일듯
이제는 드론하고, 미사일이 핵심전력이야. 전투기보다 드론이 더 위력적이야. 숫자가 더 많고, 미사일 가지고 공격해서 격추되어도 피해가 더 적거든, 같은 돈이면 더 많은 드론을 만들고, 동시에 더 많은 공격을하고, 격추당해도 피해가 더 적고, 무조건 드론이 강한 나라가 군사력이 좋아. 드론 없이는 이제 전쟁에서 못이기는 시대가 된다.
IRIS-T AIM-9X AIM-2000 공대공 미사일 도입할까?!
핵심 부분인 유도 방식 원리 를 소개해 주세요.. 비례항법과 유도 루프, 안정도, 롤 제어 등을 소개하고 구체적 설계변수 등을 알려주세요..
딱봐도 IRIS-T 는 KF-21 매립무장창에 못달기 때문에, 이거 달고 출격하면 스텔스효과(세미이긴 하지만)는 포기해야죠.. 사실 이건 F-35도 마찬가지이긴 합니다. F-35도 AIM-9 달고 출격하믄 스텔스 포기 해야 함, F-22만 가능항
어짜피 스텔스기 아니기 때문에 큰 문제 없뜸
KF-21의 저피탐 설계를 비웃는 분이군요
@@홍차왕자-f7k 그러게요。。그래서 결론은 무어라는 건지¿
솔직히 발에서 머리끝까지 전부 자체 자체 국산화 하시는데
님의 의견을 반박하는 아닙니다。 경제성도 따져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우린 무조건 =이거 해야되、 이거 해야되。제가 국방연구원 같으면 이직할 것 같아요~
그건 블록3 가서 걱정해도 전혀 늦지 않고 조만간 암람 인티하면 됨. 씰데 없는 방구석 걱정 ㄴㄴ
하늘에서 운행 중에 공중 급유를 하는데~~~왜 무기 장착은 하늘에서 운행 중에 공중 내부 무 장착이 안될까요 그렇게 되면 더 효율 적이고 정말 좋을 텐데~~~~
k9도 자동으로 무기 공급이 되는데~~~비행기도 자동으로 하늘에서 무기 공급이 되면 좋을 텐데요 ~~~전쟁 중 이륙과 착륙하느라 소모되는 시간을 줄이면 엄청 도움이 될 텐데요~~
비행기 아니라도 되는구나
저것도 국산화하고 핵도 만들자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 IRIS-T; 난 이게 갑이라고 생각합니다.
IRIS-T는 아이리스티라고 모든 메니아들이 발음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스팰을 일일이 읽네..
아스람과 아처는 왜 스팰을 읽지않나요ㅎ 밀리터리 전문가가 맞나? 아님 원고를 그대로 읽는 아나운서인지..
IRIS -T VS 천궁 지대공미사일 누가 더 우수할까🤔?!
애초에 같은 비교선상에 있질 않아요
군알못 ....😢
진짜 하나도 모르나보네...
그냥 아이리스T라고 발음하면 됩니다.해외 군사채널에서도 다 그렇게 발음해요.
이상하고 비정상적인건 영국이 잘만들지 ㅋㅋㅋ
아이리스라고 부르면 되지않음?
아이리스티 라고 하면되지 뭔 아이알아이에스티 이 ZR ㅋ
어차피 먼저보고 더 멀리서 때리는게 현대전 필승법인데 단거리 의미가 있나 중거리나 장거리 쳐맞고 격추되면 시마이인데 ㅋㅋㅋ
에휴 진짜 그러게나말입니다
그게 항상 발생하는게 아니니까 단거리를 준비하지 않을까요?
치고빠지고 교전을 해도 전체적인 중심은 양쪽이 서로 가까워지는 양상을 띄고 종국에는 10키로 내에서 교전이 벌어지게 되니까..
아직까지 소량이라도 기총을 탑재하는거랑 유사함 이유라고 생각함
핵무기 하나만 있음 되지 재래식병기는 왜 만듬?? 같은 초딩식 생각이네. ㅋㅋㅋ
그러믄비행기없어두되겠내요먼지보고쏘면힘들게비행기띄워서왜쏘나요육지에서쏘던지바다에서쏘면되지않나요
만약 한쪽만 스텔스기라면 님이 말하는 먼저보고 멀리서 때리는 장거리 교전(BVR) 얼마든지 가능함. 그런데 쌍방이 스텔스기라면 서로 극도로 짧은 레이더 탐지거리 이내까지 와야 할거고, 통상 요격 임무에서도 근거리까지 조우하는 경우는 얼마든지 있음. 이때 쓰이는게 단거리고, 단거리 미사일의 기동 성능과 추적 능력은 중거리보다 훨씬 우월함. 중장거리 미사일은 발사 초반에는 적기를 직접 추적하지 않고 대략적인 위치에 GPS+관성유도로만 날아가다가, 중간~종말단계부터 탐색기가 작동하는 특성상 최소 사거리가 존재함.
Infrared 를 엉터리로 표기허고
PD 는 영어 꽝. 국어는 잘하셔 ?
RUPIAH BANK INDONESI
188.000
EMISI 2022
I HAVE SPENDING MONEY TO BUY
SATE
BAKWAN KAWI
INDO MART : RS dr YAP
ES DAWET , BANK MANDIRI JL.KALIURANG
HALTE TRANS JOGJA : SANATA DHARMA
ETC
미국은 말로만 우방 자기들 보다
앞서는것은 눈뜨고 못보는
추잡스럽고 더러운 갑질하는
망해가는 전조현상 저물어 가는
지는해 대한민국은 뜨는해
미국은 추잡하다고 하지만, 영토욕심은 전혀없다
중국은 한반도 땅을 먹을려고 하는데, 누굴 선택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