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합니다. 잘 알고 있습니다.. 영상 다찍고 편집다 하고 발견했네요.. 구멍찌 부분에서는 B의 계념을 옳게 설명했는데..실수가 있었네요.. 이부분은 (B 2개가 2B) 가 아니라는 계산은 누가 만들었는지? 낚시 하는데, 도움이 안되고 수치 이해의 해깔림만 키우네요. 수치라는게 알기 쉽고, 계산하기 쉽게 만들어야 되는데 말입니다.
자립막대찌 채비 다하고 바늘에 추 2호~3호를 달아 포인트에 던져서 찌가 가라앉으면 맞춘 수심 보다 더깊고, 찌매듭을 올려가며 찌가 살짝 보일 정도로 잠기게 조절 하면 그게 던진곳의 수심 입니다. 노리는 수심은 딱 바닥까지 정확히 맞출 필요는 없고 바닥부터 ~ 바닥에서 50cm~1m까지 적게 맞춰도 감성돔이 충분히 입질 합니다.
0.8 호 와 1호의 차이는 크게 없습니다. 한단계 부력차이는 별 의미 없습니다. 찌의 여부력은 회사마다 다릅니다. 예민성은 찌를 사용하는 낚시인이 예민하게 맞추면 됩니다. 조개봉돌 달아서 수면에 조금내어 놓게 만들면 됩니다. 조류가 강하고,바람이 많이 불고, 원거리 (50~100m) 까지 흘리는 낚시는 여부력이 다소 많은게 유리 하고, 그반대 상황 에는 여부력 많이 잡을수 있게 조개 봉돌을 도래아래 목줄에 2B~5B 정도 달아서 사용 하면 됩니다.
@@tyrogi 이해가 잘가지 않습니다. 동영상을 수십번을 봤지만 민물낚시는 오래했습니다. 바다낚시를 조금식 배워가고 있습니다. 여부력이 어떻게 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보통 2호~3호는 반자립은 같은호수 수중찌에 2b를 목줄은 1.5m 정도 중간에 한개 물려서 합니다. 동영상을 수도 없이 즐겨봅니다. 너무 어려워요. ㅠㅠ
@@tyrogi 같은 호수에 찌에 같은호수 수중찌에 목줄달고 바늘 묶고 좁살 봉돌을 물리지 않고 수심 측청봉돌을 달고 던졌을때 수면하고 거의 조금찌가 나오거나 살짝 잠겼을때가 수심인거죠? 거기서 바늘에 미끼 달고 찌를 볼수 있도록 높이 조절은 목줄에 좁살봉돌을 2b나 b2개 이렇게 물리는건가요? 감성돔 낚시 배워볼려고 하지만 호수마다 여부력이 얼마인지 나와있지도 않고 너무 어렵습니다. 수십번을 동영상을 봤지만 채비는 할수 있습니다. 수심이 맞는지 찌를 보기좋게 여부력을 맞추어야되지를 모르겠습니다.
저도 민물 오래 하였습니다.. 민물 올림 낚시시 찌부력과 와 봉돌무게가 제로로 세팅하죠.. 바다에서는 찌가나오게 세팅 합니다.. 떡붕어 중층 낚시처럼요.. 막대찌는 여부력을 찌가 수면에서 5CM정도 나오게 세팅 하시면 됩니다. 직접 봉돌을 달아 맞춰 봐야합니다.. 수심은 꼭 바닥 에 딱 맞출필요는 없구요.. 바닥에서 1미터 까지가 감성돔이 먹이 활동하며 이동 하니 그렇게 맞추시면 됩니다.. 그보다 더 중요한건 들물과 날물이 있으니, 낚시 도중 수심을 들날물에 맞춰서 조절 조금씩 해주면 됩니다.. 어떤 분은 수심을 봉돌로 안재보고.. 바닥에 바늘이 걸릴때 까지 캐스팅 때마다 50C조금씩 주다가, 바닥에 걸리면 다닥에 닿았다 생각하여, 거기서 수심을 50CM~1M줄여서 낚시 하기도 합니다.
낚시초보인데 찌낚시 해보고 싶어 들어왔는데 잘 배워 갑니다.
고양이가 찌 물어서 당황해하시는데
영상보다가 혼자 많이 웃었네요.
감사합니다.
잘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찌낚시 어렵지만 그만큼 재미 있어요.
바다 낚시 공부 제대로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제가 구입한 막대찌의 잔존부력이 너무많아 수중찌외에 봉돌을 주렁주렁달게되어 구입해논 막대찌를 한번은 어찌어찌 븡돌주렁주렁달고써도 두번은 다시 안쓰게되더라구요 이런 방법으로 하면 간단히 해결되는군요 꿀팁 정말감사드립니다
영상방법대로 사용해 보십시요..막대찌도 찍힘도 잘안나고, 내 입맛대로 부력 맞출수 있고 편리 합니다..
막대찌 꿀팁영상 잘봤습니다.저도 한번 실전에서 사용해봐야겠습니다.
통영 여기저기 다니다보면 한번은 뵙겠죠ㅎㅎ
시청 감사합니다..제가 통영에서 여기저기 낚시많이 하니 볼수 있을 겁니다..
통영로기님
저도 통영고향..(무전동에 본가)창원거주.
낚시는 매주갑니다.
주로 도보갯,방파제.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시청 잘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오늘은 구독자 3명 추가 시켰습니다.
로기님 방송 많이 홍보하겠습니다.
ㅎㅎ 이제 29997명 할당량 남았습니다.. ㅎㅎ
@@tyrogi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통영로기 포에버!
영상 잘보고갑니다
감사합니다
잘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도움되었습니다~~
도움 되셨다니, 기쁘네요😁.. 이게 힘들게 몇시간 영상찍은 보람 아니겠습니까~~👍
노하우 공유 감사합니다~.^^
잔존부력 많은 찌에는 아주 효과적 입니다.
낚시는 과학이네요~^^
영상 잘보갑니다~
추석 잘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어려울수 있겠네요.. 낚시 알면 알수록 재미 있고. 어렵죠.. ㅎㅎ추석 잘 보내세요
막대찌는 찌맛이 있죠 영상 잘 보고 갑니다~^^
잘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막대찌 만의 매력이 있죠..
삼성중공업 다니셨나봐요. 선배님 많이 배우고감니다. 안전!!
눈치 빠르십니다..👍
알기쉽게 갈쳐주시네요^^
지식 전달방법이 쉽지 않아서, 어렵지 않을까 걱정 많이 했는데.. 감사합니다..😁
잘 보고 갑니다~~~
관심 감사합니다 .. 고맙습니다
많이 배웠어요
감사합니다
정정 합니다.. 막대찌 바로 아래는 (찌멈춤 봉 &고무) 가 아니라 (엉킴 방지 봉&고무) 입니다. 그리고, B+2B+2B =5B 가 아닙니다.. 그냥 B+2B+2B 입니다.. 이부분 설명 하자면 글로 적기 길어져서 생략하겠습니다.
어?~~해동 해신~~저도 선상용으로 아주 잘쓰고있습니다.찌톱이 얇아서 좀 글치만~
찌톱이 얇아서.. 멀리 채비 흘리는 선상에서는 잘 안보입니다.. 그럴때는 학꽁치 숭어 스티로폼 발포찌(손톱크기)를 개조해서 찌톱 상부쪽 (캐미라이트 꼽는 찌고무 아래)에 끼워 접착해 다는방법도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로기형님 잘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눈맛은 역시 막대찌가 최고죠 ㅋ
저는 보통 반자립 많이 쓰네요ㅎ
예민성 원투성 둘다 잡기위해서
영상 잘 봤습니다.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근데 여부력 잡을때 예로 드셨던 2B+2B+B=5B가 아닙니다..
1호+1호=2호가 맞지만 B.2B.3B.4B.5B는 각 나름의 고유 부력이 달라서 주의를 해야합니다.
감사합니다. 잘 알고 있습니다.. 영상 다찍고 편집다 하고 발견했네요.. 구멍찌 부분에서는 B의 계념을 옳게 설명했는데..실수가 있었네요..
이부분은 (B 2개가 2B) 가 아니라는 계산은 누가 만들었는지? 낚시 하는데, 도움이 안되고 수치 이해의 해깔림만 키우네요.
수치라는게 알기 쉽고, 계산하기 쉽게 만들어야 되는데 말입니다.
영상잘보았습니다
구멍찌채비도한번올려주시면안될까요
구멍찌 꿀팁 영상에 구멍찌 채비 방법이 빠졌군요.. 다음 영상에 참조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런데 잔존 부력을 상쇄할때 찌에 좁쌀봉돌을 부착해도 되나, 도래위 원줄에 좁쌀을 부착하면 어떤지요? 저는 그렇게 한번씩하는데 잘 모르겠네요~~
어떻게하든 낚시줄에 손상 덜주는 정도로 물려주고, 붙여 주면 됩니다.
낚시에 정확한 정답은 없는듯 합니다.
와 시마노 조끼 제꺼랑 같네요 ㅎㅎ
그런가요. 관찰력 좋으십니다.. 오래 사용해 천이 삭아서 바꿔야 됩니다.ㅠㅠ
잘봤습니다
사장님구멍찌채비에서수중찌도고정시키면좋은가요
추 종류는 고정 시키는게 좋은점이 더 많 습니다.
고정 시키는데 불필요한 채비가 낚시줄에 많이 들어 가면 더 손해이구요.
채비는 간결한 구성이 좋습니다.
막대찌도 한번 사볼까요 ㅋㅋ
막대찌 잘 사용 하면 좋습니다.
막대찌 길이도 길고해서 채비운용하는데 불편할수도 있겠다싶어 한번도 안써봤어요...로기님 영상보면 항상 막대찌 사용하시던데 구멍찌보다 편하신건지... 여러 장점들이 있겠죠?
구멍찌보다 채비운영(수면에 휘어진 원줄관리) 은 원활하지는 않으나, 예민성,시인성, 채비 안정성은 단점입니다.. 수심이 깊고, 조류가 빠른곳 감성돔 낚시에서 특화 되어있는것 같습니다..
낚시줄은 어디 것을 쓰시나요
자립막대찌 수심채크는 우찌하나요 초보이고 감성돔은 바닥고기있데 자립찌면 무조건빨딱스잖아요 바닥을우찌아나요 비자립찌는 수심측정편한데요
자립막대찌 채비 다하고 바늘에 추 2호~3호를 달아 포인트에 던져서 찌가 가라앉으면 맞춘 수심 보다 더깊고, 찌매듭을 올려가며 찌가 살짝 보일 정도로 잠기게 조절 하면 그게 던진곳의 수심 입니다.
노리는 수심은 딱 바닥까지 정확히 맞출 필요는 없고 바닥부터 ~ 바닥에서 50cm~1m까지 적게 맞춰도 감성돔이 충분히 입질 합니다.
구멍찌낚시할때도수중찌를고정해주는게좋은가요
수중찌는 고정하는게 좋습니다.
고정할려고 고정 채비가 길어지고 많아지면 안하는게 좋습니다. 뭐가 많아 길어지면 채비다루기가 힘들거드요.
양이 귀엽다 ^^
로기님 낚시하다가 바람따라 부드럽게 캐스팅 했는대요. 전유동 홀더 핀도래가 펼처서 찌만 날라가고 그런경우 있더라고요. 예방 방법 있으시거나 추천하시는 찌홀더나 있으신가요?
안전한건 중형 핀도래를 쓰시면 됩니다.. 핀도래의 핀 쪽이 ㄱ자로 꺽여 있는 제품도 있는데, 이런 제품은 절대 안빠집니다.
@@tyrogi 로기님 머사용 하시나요?
ㄱ자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ㅠㅠ
@@tyrogi 중형핀도래라면 찌낚시 몇호정도 적당한가요?
막대찌다는 핀도래는 예민한거 안써도 됩니다.. 작은건 가끔벌어져 찌가 날아 가버리기만 합니다.. 그냥 핀도래가 힘 있는 중간 싸이즈 크기의 핀도래(700원~1000원 짜리) 쓰시면 안전합니다.
@@Phillip_Chef 8-9 사용하시면 됩니다.
혹시 로기님 자립 막대찌를 비자립으로 못 만드나요?
네 불가능 합니다.
자립막대찌 하단에 무게추가 내장 되어 있거등요
안녕하세요 로기님, 구독자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 통영에 일요일 샤량도 흘림낚시를 가려고하는데 조과가 좀 괜찮을까요?
사량도 선상에서는 간혹 4짜 중후반의 큰씨알이 잡히더라구요.
질문있습니다 . 0.8호찌와 1호찌의 예민성 차이가 큰가요..? 그리고 통영찌 1호를 통영간김에 구입했는데 찌톱 전체가 물위로 올라오는데.. 여부력이 많은게 정상인지요..? 전자찌만 쓰기 수제찌가 처음이라서ㅠㅠ
0.8 호 와 1호의 차이는 크게 없습니다.
한단계 부력차이는 별 의미 없습니다.
찌의 여부력은 회사마다 다릅니다. 예민성은 찌를 사용하는 낚시인이 예민하게 맞추면 됩니다.
조개봉돌 달아서 수면에 조금내어 놓게 만들면 됩니다.
조류가 강하고,바람이 많이 불고, 원거리 (50~100m) 까지 흘리는 낚시는 여부력이
다소 많은게 유리 하고, 그반대 상황 에는 여부력 많이 잡을수 있게 조개 봉돌을 도래아래 목줄에 2B~5B 정도 달아서 사용 하면 됩니다.
통영로기 아..어차피 방파제에서 생활낚시 위주로 하니 여부력을 많이 줄이면 되겠군요 감사합니다
잘보고있습니다 목줄은 몇호사용합니까?
봄~가을 1.5~1.7호 , 주로 큰게 나오는 겨울에는 2호 사용합니다.
로기님 뒤에 다이와 불매 운동중인디요 살짝 가려주심이^-^
나온줄도 올랐었네요.. 신경 쓰겠습니다.
로기님.시간이 흐른.지금도 가성비막대찌는 영상속의.찌인가요 ㅎㅎ 그런데요 막대찌가.80센티나 되는.이유는.먼가요 한.50센티정도 막대찌는.사용안하시나요
물묻으면 테잎 안띠어지나요
테잎 맨끝쪽만 잘붙혀지면 안떨어 집니다.
로기님 핀도래 몆호정도 사용하나요?
중형이라면 어느정도 써야되요?
찌톱을 어느정도 나오게 맞춰야 하나요..?
저는 보통 수면에서 3~5cm정도 나오게 합니다.
통영로기 감사합니다!
4호에서봉돌 0.8 하고 테잎감으면 5호가. 되는것 아닌가요 어째서 3호가 되죠 저는 호수 가 높을수록 무거운건 아닌가요
4호 막대찌의 뜨는 부력을 1호정도 잡았으니 3호가 되죠.. 뜨는 부력이 (+), 가라앉는 침력의 봉돌은 (-)
찌 +4 봉돌 (-1)을 달면 3호 부력이 됩니다.
면사매듭은 어디에 해요?
현장 포인트 바닥 수심에 맞춰서 조절 (바닥보다 1~1.5m 띄우면됨) 하면 됩니다.
수심을 어떻게 맞추어야하나요. 잘모르겠어요
막대찌
채비 다 하시고 바늘 묶기전 1~2호 추를 달아 던져 찌를 수면에 약간 잠기게 찌매듭을 위치 하시면 됩니다.
@@tyrogi 이해가 잘가지 않습니다. 동영상을 수십번을 봤지만 민물낚시는 오래했습니다. 바다낚시를 조금식 배워가고 있습니다. 여부력이 어떻게 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보통 2호~3호는 반자립은 같은호수 수중찌에 2b를
목줄은 1.5m 정도 중간에 한개 물려서 합니다.
동영상을 수도 없이 즐겨봅니다. 너무 어려워요. ㅠㅠ
@@tyrogi 같은 호수에 찌에 같은호수 수중찌에 목줄달고 바늘 묶고 좁살 봉돌을 물리지 않고 수심 측청봉돌을 달고 던졌을때 수면하고 거의 조금찌가 나오거나 살짝 잠겼을때가 수심인거죠?
거기서 바늘에 미끼 달고 찌를 볼수 있도록 높이 조절은 목줄에 좁살봉돌을 2b나 b2개 이렇게 물리는건가요? 감성돔 낚시 배워볼려고 하지만 호수마다 여부력이 얼마인지 나와있지도 않고 너무 어렵습니다. 수십번을 동영상을 봤지만 채비는 할수 있습니다. 수심이 맞는지 찌를 보기좋게 여부력을 맞추어야되지를 모르겠습니다.
저도 민물 오래 하였습니다..
민물 올림 낚시시 찌부력과 와 봉돌무게가 제로로 세팅하죠.. 바다에서는 찌가나오게 세팅 합니다.. 떡붕어 중층 낚시처럼요..
막대찌는 여부력을 찌가 수면에서 5CM정도 나오게 세팅 하시면 됩니다. 직접 봉돌을 달아 맞춰 봐야합니다..
수심은 꼭 바닥 에 딱 맞출필요는 없구요..
바닥에서 1미터 까지가 감성돔이 먹이 활동하며 이동 하니 그렇게 맞추시면 됩니다.. 그보다 더 중요한건 들물과 날물이 있으니, 낚시 도중 수심을 들날물에 맞춰서 조절 조금씩 해주면 됩니다..
어떤 분은 수심을 봉돌로 안재보고.. 바닥에 바늘이 걸릴때 까지 캐스팅 때마다 50C조금씩 주다가, 바닥에 걸리면 다닥에 닿았다 생각하여, 거기서 수심을 50CM~1M줄여서 낚시 하기도 합니다.
@@tyrogi 아하 이제 어느정도 이해가 됩니다.
현장 에 가서 채비를 바늘까지 다묶고 목줄에 좁쌀 봉돌 달지 않고 수심측청추를 달아서 낚시 할곳을 던진후 막대찌 캐미 꽃이 끝부분을 수면에 잠방 잠방 하거나 캐미 끝만 나오면 바닥을 찍었고 면사매듭 까지가 수심이고 여기서 수심 측청추를 빼고 캐스팅 해서 막대찌가 상승 을하면 좁쌀 봉돌로 찌의 높낮이를 한다는거죠 2B를 목줄에 달으면 찌가 밑에가 더 무거워 지니 찌가 조금 잠기게 된다는거죠?
찌무게순서 가르쳐주세요 찌낚시는 처음이라 ㅋㅈ
봉돌(납)은 무게가 무거운 것이 숫자가 높습니다 순입니다.
0.5호
B찌 2B 3B 5B
이렇게 순서됩니까?
@@김학용-f1o 네..찌의 부력이 숫자가 높을수록 많습니다..
수중봉돌은 몇호을 사용합니까?
찌 부력에 맞춰서 사용합니다.
막대찌 1호를 2호로 늘리려면 어떻게 하나요?
처음산 막대찌 호수를 늘릴수는 없습니다.
오래된 영상이지만 참고하시라고 댓글 답니다
영상 10분 넘기면 지루해서 끝까지 안봅니다 참고해주세요
메인수중봉돌 혹시 어느제품인가요?
바다를빌려쓰는분들 인간 전부다 특히 어민들
,
수중찌 반대로 끼운거 아닌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