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덕후 밀떡] 대한민국 기갑전력 현황, K-1과 K-2 업그레이드 계획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 ก.ค. 2023
  • 네이버 오디오클립 : audioclip.naver.com/channels/...
    팟캐스트 팟빵 주소 : www.podbbang.com/ch/13092
    그밖에 아이튠즈, 애플 팟캐스트, 구글 팟캐스트ㄴ
    네이버 오디오 클립에서 청취 가능합니다.
    팟캐스트에선 더 많은 이야기가 있으니 구독 눌러주세요.
    국방에 대해 모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송!
    무거운 주제도 가볍게 풀어나가는 방송!
    누구보다 나라를 사랑하는 방송!
    나 군대에서 한 가닥 했거든?!
    이런 사람도, 군대에선 도대체 어떤 일들이 벌어질까..
    이런 사람도, 이곳에선 모두 덕후가 된다. 밀떡!
    군사 지식, 이슈, 시사, 역사 등 밀리터리 덕후들과 함께하는 방송
    악의적인 악플, 정치적, 인신공격 댓글, 비방목적 댓글 경고 없이 차단합니다.
    밀리터리 덕후 밴드 가입해주세요.
    문의사항 : rlaaudgns19@hanmail.net
    --------------------------------------
    "Scott Buckley - Legionnaire" is under an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CC BY 4.0)
    Music provided by BreakingCopyright: • 💣 Copyright Free Milit...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24

  • @footstep002
    @footstep00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최근에 공개됐던 k3 그래픽의 경우는 상부 공격에 대해서도 나름 꽤 고민한 것 같다는 느낌이 들더군요. 가면 갈수록 전차도 각종 센서류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테고 아무리 장갑을 강화한들 센서류는 상대적으로 파손되기 쉬울터라 전차에 대해 상부공격을 노리는 무기들의 경우 상부 장갑도 강화되는 추세지만 그 영향을 덜 받는 전차 상부에 튀어나와 있는 여러 센서류들을 무력화 시키는걸 주로 노리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헌데 이번에 공개된 k3 그래픽의 경우 이미 공개된 타국가의 신형 전차들 그래픽에 비해 포탑 상부 여기저기에 튀어나와 있는 센서류들이 확실히 적고 되도록이면 포탑 자체에 매립형으로 설치가 되거나 그나마 있는 포탑위에 튀어나와 있는 전차장 조준경 조차도 rcws 총신 아래에 숨겨져 있더군요. 그리고 포탑 상부에 노출되어 있는 건 어디까지나 rcws 총신이나 aps 회전포드 정도로만 제한되어 있는 모습이 인상 깊었습니다.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좀 더 현실화되었어요.

  • @signsys
    @signsys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우-러 전쟁으로 대전차미사일에 대한 전차의 취약점이 많이 드러났습니다.
    K-2 개량형도 능동방어 추가가 필요합니다.
    K-3는 무인화 가능하고, 드론과 무인 차량과 통합 작전이 가능한 개념이 되어야 합니다.
    장거리 공격을 위한 대전차 미사일도 탑재되어야 합니다.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말씀하신 부분에 상당 부분 공감합니다.

  • @user-wo5xv3jm9v
    @user-wo5xv3jm9v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전차?? 지상전력의 최강....어무리 드론에 파괴되는 영상이 돌지만 그건 일부고 아직도 지상에서 상대적 최강이다....초기 88 전차가 k1에서 k1e1 으로 업되었고 주포가 105mm고 k1a1은 120mm 주포이고 계량형이 k1a2.k1a3로 업했고....

    • @Meowoo0696
      @Meowoo0696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개량형 입니다

  • @user-bn1ch8ot7r
    @user-bn1ch8ot7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전차 무용론은 전차 만능론이 허구 라는 것을 보여 주지만, 전차는 지상전에서 여전히 유용한 존재죠. 단, 아군 전차와 장갑차, 자주포와 다연장포, 전투기와 공격기, 헬기, 보병, 무인 드론 등과의 상호 보완적인 합동작전 능력으로 전투력과 생존성을 향상, 유지시키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질 것 같습니다.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맞습니다. 생존성에 방점을 찍어야죠.

  • @chungfamily1742
    @chungfamily174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고맙습니다.

    • @Mildeog
      @Mildeog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iluwaba1259
    @iluwaba1259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주포를 키우면 반동을 흡수하기 위해서 전차 몸체를 더 키워야 합니다. 140mm 채택하면 더 강화된 방어력을 갖추기 위해 120mm 주포 K2 전차 2배 정도로 커져서 100톤은 훌쩍 넘길텐데 보통의 교량들 허용중량이 50~60 톤은내외인데 100톤 허용하중 교량을 누가 다 지어줍니까? 우리야 우리 전차 건너가야 하니 교량을 더 튼튼하게 짓겠지만 과연 우리의 적국도 그렇게 해줄까요?
    지금 우크라 러시아 전쟁에서도 무거운 독일 레오파드 전차들 진흙탕에서 헤매는 것 못보셨어요?

  • @user-ji3oq1ed7s
    @user-ji3oq1ed7s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차대대랑 같이 훈련 많이 뛰엇는데 ^^ 백골마크가 커다랗게 박아진 m48 백골전차 든든햇지 우리는걷고 전차는 옆에서 가면 그렇게 부러울수가 없엇지

  • @user-ig1oe1xc7u
    @user-ig1oe1xc7u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방어용 장갑부분을 신소재 개발해서 지금의 10배 정도 개량을 해 봅시다
    대공능력과 드론에 대한 대응능력도 준비합니다

  • @1tomahawk752
    @1tomahawk75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22사단 복무하신 작가님 몇 군번이신가요 ㅋㅋ 280포병입니다. ㅎㅎ

  • @jlee3014
    @jlee3014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밀떡은 구체적인 수치나 편제를 제시하면서 설명하는 것이 최대 장점입니다. 항상 흥미롭게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inbaek8054
    @inbaek8054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연료가 수소기반으로 가면
    내연기관에 강국인 독일은 약화
    모터/전자/전지에 강국인 한국은 상승인가요~~~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수소로 가면 연료에 대한 부담이 줄어드는 건 확실하겠죠.

  • @alsgnswjdgns
    @alsgnswjdgns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박찬준위원님에게 질문이 있는데 우리나라 장갑차들이 현대시대에 맞는 전력인가요. 대인지뢰는 막는데 대전차지뢰나 EOD에는 무력한 장갑차가 대한민국 현실에 맞는지 병력구조의 변화가 있는 현재 병력의 안전적 유지가 방어력의 강화로 빨리 이루어져야 하지 않나 싶은데 포방부는 대책이 있는지 궁금하네요.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달해드리겠습니다.

  • @user-xn4xy2tn7f
    @user-xn4xy2tn7f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열화학포는 어찌되었는지?
    수소전지로 하면 가능할까요?

  • @user-qt7xv9rs3v
    @user-qt7xv9rs3v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개발해도 ..판매 어렵겠죠 .. 탄약 규격이 달러서 표준 탄약 사용 어렵고 .. 대량 생산 아니라서 가격도 비싸고 .. 전쟁에서 바로 사용할수 있는 무기를 원하는 국가 만은데 .. 시제품 뽑아서 언제 .. 작전 요구 성능을 기대 하겠어요.. 수출 못하는 내수용 제품으로 10 ~ 20년 정도 굴려야 될꺼고 .. 군 에서 도입을 해주면 개발 할수 있는 거고 .. 기존 제품 활용에 집중하면 .. 개발도 힘들겠죠 ..

  • @MornigBellyFat
    @MornigBellyFat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오늘 영상 감사히 잘 보겠습니다. 😊

  • @user-ls8nb2iw7q
    @user-ls8nb2iw7q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열화학포인가? 개발해서 전차나 함선에 탑재 연구 하는것 어떻게 되고 있는지 혹시 방송 계획 있으신가요?

    • @user.luke.22.42
      @user.luke.22.4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열화학포는 실용성이 없다고 판단되어 연구하는 선에서 그쳤습니다.
      전열화학포는 포탑에 전기적인 구성품들이 많이 추가되므로 운용유지비 및 포탄 호환성등 여러가지가 실용성과 동떨어져 있어서 실전배치는 어렵다고 하더군요

    • @user-ls8nb2iw7q
      @user-ls8nb2iw7q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luke.22.42 네 감사합니다 ^^

  • @user-dh5ej2jt1k
    @user-dh5ej2jt1k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전투기에서 멈티 처럼 유무인복합으로 1대의 유인 기갑 전력이 3~4대의 무인 기갑 전력을 전방에 앞세워 선제 타격 및 관측용으로 쓰고 거기에 더하여 무인 드론도 같이 복합 사용 하는 방안도 좋을 것 같네요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아이디어입니다.

    • @Loveteeth
      @Loveteeth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좁은 지역의 국지전에는 헬륨풍선 사용해도 괜찮을듯 합니다.

  • @yarn75
    @yarn75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포구 속도가 올라가면 베이스몸체와 완충장치들과 약실 포구수명 고려해서 실험후 양인지 질인지 결정하겠지요.

  • @user-ef2tj3be7o
    @user-ef2tj3be7o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M48A3K 전차 의외로 750마력의 디젤 엔진으로
    강원도 야지에서 적응하면서 사격 통제 장치도
    정확 한 편 그러나 30년 세월에 도태 수순 이네요

    • @CRUISERLEE
      @CRUISERLEE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저는 보내드려야죠...
      박물관에서 쉬셔야지요.....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맞습니다. 보내드려야죠.

    • @CRUISERLEE
      @CRUISERLEE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xn4mj2zo6p 저는 5차양산까지 하고 K1 105mm는 향토사단으로 가고 나머지는 K1 120mm는 해병대나 육군에 마저 썼으면 좋겠네요….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CRUISERLEE 찬성입니다.

  • @user-mc6wt2bu2g
    @user-mc6wt2bu2g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전차병 1178기입니다 철혈기갑 기갑선봉

  • @user-rt1xt6qm8u
    @user-rt1xt6qm8u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밀떡 정명섭님 K-3 전차 개발하나요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개발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습니다.

  • @orangehunter6903
    @orangehunter690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에너지 원은 뭐가 될지 진짜 알 수 없는게, 수소는 밀도가 낮아서 운반성이 떨어지고, 용기도 제작이 어렵습니다. 오히려 배터리쪽이 더 나을 수도 있겠죠. 여하튼 지켜봐야 할 문제입니다.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군은 수소쪽에 좀 더 관심이 있는 거 같습니다만 말씀하신대로 지켜봐야죠.

    • @KW-zb3sf
      @KW-zb3sf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질량이 무거울수록 베터리는 쉽지 않은게 당연한것 아닌가?
      대형 화물차도 수소를 보고있는데... 하물며 전차라니..

  • @CRUISERLEE
    @CRUISERLE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차양산가자!!!
    M48은 박물관으로!!!!
    동원사단에 있는 M48퇴역!!!!!
    K1을 대체해서 육군은 차세대전차&K2 흑표로 가고 K1은 해병대로 가자!!!

  • @user-gd9tx1sf7v
    @user-gd9tx1sf7v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m48?? 정작가 올해 나이가 어떻게 되시나여.? 제 군생활때는 88전차 였는데 ㅋ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3군번입니다. ㅎㅎ

    • @user-gd9tx1sf7v
      @user-gd9tx1sf7v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xn4mj2zo6p 저두 93군번입니다

  • @sisotag2
    @sisotag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고성능 소총 탄환 개발한거 방송안해주시나요?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자료 살펴보고 있습니다.

  • @parmenideskim9739
    @parmenideskim9739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아파치 헬기를 실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해 본 군대는 당연히 미육군인데 미육군의 아파치에 대한 평가는 그다지 좋지 못 합니다. 그래서 아파치를 업그레이드하지 않고 퇴역시키기로 결정했습니다. 사실 우크라이나전에서도 공격헬기는 제대로 된 방공망에 걸리면 그냥 날라다니는 사격표적에 불과했씁니다. 미공군은 A10도 전부 퇴역시키기로 결정했는데 현대의 방공망에선 둘 다 살아남기는 걸렀다고 보는 것 같습니다. 미육군이 아파치를 싫어하는 이유는 1.너무 느리다, 2.실전에서 헬파이어의 성능이 형편없다. 3.기체 소프트웨어가 너무 구식이라 유무인 복합으로 개량이 불가능하다. 이런 판국이 미육군은 버리는 아파치를 데딩 F-16만큼의 돈을 주고 구입하는 게 맞을까요?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격헬기는 상당 부분 드론이 대체할 거 같습니다.

  • @user-fz9nu8mq6w
    @user-fz9nu8mq6w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아파치를 또 도입한다고요?
    이미, 양산 중단 선언된 아파치를 왜?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포방부가 좋아하니까요.

    • @user-kq7hx3yl9l
      @user-kq7hx3yl9l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국호구 무인기시대

    • @user-ue9kw9lo5y
      @user-ue9kw9lo5y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수입 신청하고
      줄 서 있는 대기 국가가 ?개 국가에
      예상 물량이 200++대인데
      양산 중단?
      왕서방...?

  • @kwh1871
    @kwh187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리 K2전차 성능도 디자인도 입벌어지게 멋지긴한데.. 세부 성능은 잘 모르겠으나 이스라엘 메르카바 MK5 전차포탑상부다지인은 입이 한번 더 벌어질정도.. ..위에서 아래로 포탑 뚜껑따는건 몰라도.. 측면에서 공격으론 미사일이 맞혀도 대부분 빗겨 튕겨나갈듯한 느낌....전장에서 탱크에 대한 섣부른 공격은 곧 죽음이다라고 할때, 디자인적 위압감은 세계최고인듯

  • @user-fy5zr3wh5i
    @user-fy5zr3wh5i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전열화학포 얘기 는 쏙들어 갔내요 최강포가 될탠대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연구가 벽에 부딛친 거 같습니다.

  • @user-kq9hg3bq8d
    @user-kq9hg3bq8d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9개 대대?? 전차대대 편제가 45대로 확대됐나요???

    • @user-zg1if6yo5x
      @user-zg1if6yo5x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좀 이상하긴합니다
      사단수랑 대대수가 비슷하다는게

  • @dooyeolChoiMusictravel
    @dooyeolChoiMusictravel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고추자의 밀떡 ㅋㅋ 아침부터 ㅋㅋ 좋네요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도 좋습니다.

  • @kwh1871
    @kwh187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구의 최강 군사무기 생산 3축 국가의 새로운 발현이되는 국가... 지형학적으로 지구전체를 둘러싸고 3등분위치의 미국,이스라엘, 한국(과거 한 때 일본이었다가 최근 중국이 떠오르기는 하지만)

  • @warmtomorrow
    @warmtomorrow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열화학포는....

  • @dawnwalker8672
    @dawnwalker867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k3는 130미리 전열화학포에 최근 개발중인 신형탄두 (날탄도 개량될지 모르겠지만...)를 장착하면 무장량, 사거리, 파괴력 증대 효과까지 볼수 있다면 140미리보다 전장에서 더 유용할듯합니다.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동의합니다. 140밀리는 너무 무거워요.

  • @wojung
    @wojung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야수의 심장 소리를 들으면 오금을 지릴 수 밖에 ㅎㅎ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북한 놈들이 지렸으면 좋겠어요.

  • @SPY-Moon_Jae_i
    @SPY-Moon_Jae_i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가~~슴에 빛나는..
    삼각형 마크..
    한국에서 최초로 창설된
    1 tank.

  • @user-xu4zi2nw8k
    @user-xu4zi2nw8k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약간의 취기 우리는 대한남아 바다의 사나이 그 시절 병장월급 120000원 ㅅㅂ 하지만 즐거웠다 지원자의 환희라고 해야 하나 내 자식에게는 ㅈ대로 해라 ㅋㅋㅋ 세대는 변화 한다고 했나......ㅁㄹ

  • @anakin95
    @anakin95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창원에 기계 제작공장에 친구에 따르면 로뎀과 위아 에서 하청업체들에게 다른 작업 다 중지시겼다고 합니다. K2 부품 납품위해서 겠죠? ^^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추가 양산에 들어가니까요. 좋은 소식입니다.

  • @user-pr8yb4sc4v
    @user-pr8yb4sc4v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진짜 k1은 어케좀 해야됨ᆢ엔진교체하고 장갑보강하고 포탑들어내서 120미리급으로 가야됩니다

  • @CRUISERLEE
    @CRUISERLEE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105mm를 저반동포해서 장갑차에 올렸으면 좋겠네요.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기존의 전차포는 어려울 거 같고, 새로 만들어서 올려야 할 거 같아요.

    • @CRUISERLEE
      @CRUISERLEE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xn4mj2zo6p 그렇죠… 그래서 K1포탑은 다릉데 고대로 못올리죠….
      스트라이커처럼 가능핮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 @yongohkim1315
    @yongohkim1315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K2 와 K9A2 관련 위키피디아 수정했음....보러들 오세요..ㅎㅎ

  • @oidgun02
    @oidgun0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차 실제로 적으로만나면 무서버

  • @y57661
    @y5766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차 장갑차도 드론 1~2기씩 내장해야됨

  • @Loveteeth
    @Loveteeth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0mm로 줄이고 초고속 신형탄 장착하면 100발 실을수 있는데.

  • @user-zg2od9qo2x
    @user-zg2od9qo2x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기갑 인원이 없다

  • @sjs2063
    @sjs2063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5세대이상 전차 자주포 항공기 있다해도 빨리 군사소형 위성을 띄워야한다 봅니다
    (러 우 이번전쟁을 보면) 우리가 한 중 전쟁이 일어난다면 만약 우리가 중국땅으로 진격한다면 미국은 빠질겁니다
    중국에서 핵무기 사용 (징후가 보이면) 그건 미국에서 막아주겠지만요
    미국이 정보를 주겠지만 우리도 하늘에서 보고 있어야만 순간 포착이 빠라지고 승리길이 기도하지요
    한중 전쟁은 없을겁니다 러 우 전쟁을 보면 중국이 욕심을 냈다면 중국 소수민족때문에 여러나라로 쪼개지기에----

  • @user-ys3bu4eo6s
    @user-ys3bu4eo6s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능동방어 하드킬은 수출용 만
    측면 장갑 보강도 수출용 만
    돈이 최고여 우리병사의 안전은 나몰라
    이게 말이되나
    하기사 수출차가 싸고좋은건 국룰인가
    이런건 하지말기를

  • @mukum6343
    @mukum634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6.25때 쓰던 M-48땡크를 일산에 있는 9사단과 광탄의 1사단 정문에 세워놨던 걸 몇 년 전에 봤었는데 지금도 자~알 있는지 모르겠음. 그 때 그 걸 보고서 " 저런 고물을 여태껏 썻다니...ㅉㅉ~" 했었음.

    • @miragecomp
      @miragecom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즈씨.. 한국전쟁에는 m46 이에용..

    • @user-yo7hg5hr5f
      @user-yo7hg5hr5f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ㅉㅉ 배부른 소리. M48 전차포도 명중률이 90% 정도되고 그동안 이 나라 지켜온 주력임.
      과거 전방 GOP 보병사단의 전차중대는 한마디로 결사 정신의 표본이였습니다.

  • @tunypark9516
    @tunypark9516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애들 고글 좀 쓰게해줘라. 하사관은 고글쓰고 병은 못쓰고 사제장비들 어느정도 허용해줘야지, 언제까지 k2쓰게할건가??

  • @Ulsanman3
    @Ulsanman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7광구를 개발해서 유전이 나온다면 전차 육군 항공 전력 동시에 올릴수 있을텐데
    아마 어려울것 같네요
    우리나라가 산유국이 되는 유일한 방법이 7광구 개발인데 일본이 막고 있으니 답답함

    • @user-yo7hg5hr5f
      @user-yo7hg5hr5f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냥 반일이라 해라.

    • @user-be8cd5ui1s
      @user-be8cd5ui1s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yo7hg5hr5f 오냐

  • @18MedCom
    @18MedCom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직도 m48, 1대대를 쓴다는게 말이 되냐

  • @user-ld2ps5yo4z
    @user-ld2ps5yo4z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기갑전력은 되었고 정찰드론 자폭드론 늘려라

  • @user-sj4po2sl3n
    @user-sj4po2sl3n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뺄수도있지

  • @user-db2mm7og6f
    @user-db2mm7og6f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북한과 전쟁 시 7일전쟁. 7일만에 전쟁 끝남. 한국이 이김.

  • @user-lg4xz6mc3n
    @user-lg4xz6mc3n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퀄리티에 비해 구독자가
    적은..대표적 채널
    좀 세게 하시면 구독자
    많아질것 같아요
    신윤균씨 처럼 아무말
    대잔치 말고요..

    • @jin26341
      @jin2634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요즘 밀덕들이 볼만한 수준이 아니다
      그냥 일반인에 맞춘 내용의질이다

  • @MarshalStars
    @MarshalStars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동해안은 7번국도 외통수 길이고 전지역이 함포 사격권이라서 탱크의 효용성이 떨어짐.

  • @rayc495
    @rayc495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K3에 대한 상상을 팩트인냥 얘기하는 것이 황당하군요~~

    • @KW-zb3sf
      @KW-zb3sf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상상으로 기대로 말하고 있는데???

  • @user-of8qj1ob6z
    @user-of8qj1ob6z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차병이 5명? 한명은뒤에서 밀어주나

    • @sjl8315
      @sjl8315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미 오래전에 사라진 M-47은 5명... 전방 기총 가수가 있음

  • @dojaichung2074
    @dojaichung2074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5mm포 전차는 3세대가 아닙니다

    • @gmania2k
      @gmania2k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영국이 초밤장갑 개발한 이후 복합장갑 장착하고 열상을 전자식 사통장비에 통합 등등을 달성한 서방전차를 3세대라고 구분하지 포구경이 아닙니다. 그래서 k1뿐만 아니라 m1 초기형도 105미리 장착했지만 3세대로 구분합니다.같은 이유로 이스라엘에서 m60패튼에 복합장갑을 장착한 후기 개조형도 3세대로 넣습니다.

    • @user.luke.22.42
      @user.luke.22.4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포구경으로 세대구분하는건 처음듣네요ㅋㅋㅋ

    • @dojaichung2074
      @dojaichung2074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luke.22.42 이제 알았으니 다행이네요

    • @dojaichung2074
      @dojaichung2074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gmania2k 네이버에 3세대 전차라고 쳐보시고 말하셔
      네이버보다 유식한 사람이길

    • @dojaichung2074
      @dojaichung2074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70년대 후반 이후 등장하여 21세기 초까지 활약하고 있는 주력전차들을 가리킨다. 120㎜ 또는 125㎜ 활강포, 우수한 사격통제장치, 복합장갑, 헌터킬러능력 등을 공통적으로 갖추었다. 한국이 개발한 K1 전차와 K1의 화력과 방어력을 강화한 K1A1도 3세대전차에 포함된다.

  • @user-sl2dp7pv4b
    @user-sl2dp7pv4b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K21 k808 방어력 보면 답답하다...타이곤 및 레드백급으로 배치해라..
    국내산 저급, 수출용 고급용....ㅋㅋㅋ

    • @MornigBellyFat
      @MornigBellyFat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렇다고 막상 레드백급으로 K21을 개량해 배치하기도 난감한 것이 우리나라 군의 요구 성능이 레드백은 너무 오버 스펙이라는 거죠.
      지금은 비록 제외를 검토 중이라고 하지만, 하천이 많은 한반도의 지형 특성으로 인해 도하 작전이 불가피한 경우가 있을 텐데, 타 군종 대비 투자가 덜해 공병 부대의 도하 장비가 부족한 관계로 자력 도하 능력을 요구했고, 그래서 자력 도하 가능 중량인 25t를 맞추기 위해 부득불 방어력이 희생되었습니다.
      반면, 레드백의 경우, 애초에 호주군이 요구한 성능이 반영이 되었죠.
      자국의 부족한 전차 전력, 방대한 영토, 잦은 해외 파병으로 인해 장갑차 이상, 전차 미만의 성능을 갖출 것을 요구했고, 그래서 거기에 맞춘 것이 레드백입니다.
      K-21의 방어력 문제는 아마도 아까 위에서 언급했던 자가 도하 능력을 삭제한다면, 남은 여유 중량을 이용해 방어력 향상에 투자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user-fz4ss8tz5x
      @user-fz4ss8tz5x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돈이없죠...전차만 바꾸는게아니라 공군 해군등 앞으로 300조를 투입해도 모자랍니다

  • @user-sv9cm1iw7o
    @user-sv9cm1iw7o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러시아처럼 말로만 대단한 스펙으로 떠버리지 말고
    제대로 된 기갑장비를 만들어야 한다.

  • @user-xs9nk6yn4i
    @user-xs9nk6yn4i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건밀가루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