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덕후 밀떡] 조기경보 통제기 2차사업, 보잉만이 선택지가 아니다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4 ก.ค. 2023
  • 네이버 오디오클립 : audioclip.naver.com/channels/...
    팟캐스트 팟빵 주소 : www.podbbang.com/ch/13092
    그밖에 아이튠즈, 애플 팟캐스트, 구글 팟캐스트
    네이버 오디오 클립에서 청취 가능합니다.
    팟캐스트에선 더 많은 이야기가 있으니 구독 눌러주세요.
    국방에 대해 모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송!
    무거운 주제도 가볍게 풀어나가는 방송!
    누구보다 나라를 사랑하는 방송!
    나 군대에서 한 가닥 했거든?!
    이런 사람도, 군대에선 도대체 어떤 일들이 벌어질까..
    이런 사람도, 이곳에선 모두 덕후가 된다. 밀떡!
    군사 지식, 이슈, 시사, 역사 등 밀리터리 덕후들과 함께하는 방송
    악의적인 악플, 정치적, 인신공격 댓글, 비방목적 댓글 경고 없이 차단합니다.
    밀리터리 덕후 밴드 가입해주세요.
    문의사항 : rlaaudgns19@hanmail.net
    --------------------------------------
    "Scott Buckley - Legionnaire" is under an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CC BY 4.0)
    Music provided by BreakingCopyright: • 💣 Copyright Free Milit...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71

  • @user-kp5vg3yc5x
    @user-kp5vg3yc5x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5

    우리가 미군의 링크16에서 벗어나 독자적 네트워크 체계인 링크k를 적용해서 자주 국방의 기틀을 마련하자면 반드시 조기 경보기의 국산화가 필요하다. 더구나 미군은 링크k의 통합을 절대 허용하지 않을 것이다. 공군이 미군에 너무 예속되어 움직이기에 이번 기회를 통해 공군도 대한민국 공군으로 태어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 @user-us7zq3fn6h
      @user-us7zq3fn6h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이게 맞는것 같다

    • @kbkim6497
      @kbkim649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같은 기술 예속문제이지만 사족을 달자면 링크k는 미국이 허용해주냐는 문제도 있겠지만 우리 스스로도 내줄 이유가 없습니다.

    • @user-cb3hy9xe9l
      @user-cb3hy9xe9l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

    • @user-kp5vg3yc5x
      @user-kp5vg3yc5x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user-kv4fg1km9v 나토의 경우 각각의 군대 즉 영국이나 프랑스등등은 자국의 독자적 네트웍을 가지며 단독 작전이 가능하죠. 한국도 단독 작전을 위해 링크k라는 군사 통신 체계 구축하여 자주 국방의 기틀을 마련하는거죠. 미군에 예속되어 링크 16으로 작전을 하다보면 매일 아침 미군이 내려주는 암구호 체계를 받아 미군의 정보력하에서 움직이기에 한국군의 단독 작전 체계는 요원하게 되죠. 실제적 급박한 상황이 온다면 미군에만 의지하는 괴뢰군이 될 수 밖에 없어요. 그래서 한국군 자체적 통신 종합 전투체계를 갖추기 위해 2조원의 돈을 투자해 링크 k를 구축하는 겁니다. 육해공 합동 작전 체계는 단일 네트웍을 구축해야만 가능하죠. 그걸 구축한 나라가 진정한 자주 국방을 하는 나라들이죠. 한국군이 그 방향으로 가는건 지극히 당연합니다. 동맹군으로서 작전할 때는 미군의 네트웍 체계를 사용하지만 단독 작전이 팔요할땐 한국군만의 통신 체계를 사용해야 하죠. 극한 예를 들면 일본과의 분쟁이 있을수 있죠. 한일 모두 미군에 예속되어 있는 상황에 두 국가가 싸운다면 자국의 네트웍이 가장 필요한거죠. 그래서 일본도 일본 스스로 네트웍을 구축한겁니다.

    • @kbkim6497
      @kbkim649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user-kv4fg1km9v 잘못알고계시네요. 국산무장을 자유롭게 인티하고, 우리 스스로 마음껏 네트워크 속도를 개선할수있게끔 하기 위한게 링크k의 의미입니다. 단순히 낙후된 네트워크망의 개선이 아닙니다.

  • @user-ct7jf9ok9m
    @user-ct7jf9ok9m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보잉의 갑질에 또 호구대지말고 제발 국내방산을 위해 거시적관점으로 가자!!

  • @user-kn4oj4cz8y
    @user-kn4oj4cz8y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8

    보잉이 금액을 네고해줘서 보잉을 선택하면 영원하 호구가 되는것이고 샤브를 선택하여 우리가 더 개발하면 세계시장에도 진출할수 있고 여러 가능성이 있다고 봐야지요

    • @user-cp6pf5gv6r
      @user-cp6pf5gv6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그렇죠. 이건 사브가 답이죠.

    • @robertokim1397
      @robertokim139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샤브를 통해 개발해도, 국내수요는 적고, 회수비/개발비가 안맞긴 합니다. ㅡ ㅜ 그렇다고 보잉에게 계속 갑질당하긴 싫지만, 국방부 수뇌부에선 한미 전략자산 공유와 기존 체계와의 호환성, 정비의 편의성등을 이유로 보잉을 밀것이고, 정치권에선 지난번 피스아이 선정때처럼 미국대사나 미국 고위직을 통해 압력을 행사하고, 그동안 국내에선 보잉 비용깍을려고 이런 밀톡 방송이용해서 사브얘기 계속하겠죠. 샤브와 공동개발해서, 해외수출로 발 돌리는것도 괜찮을듯요.

    • @Nisssssss1
      @Nisssssss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응 이미 e737 운용 중이라 e737 사실상 확정 ㅅㄱ

    • @user-us7zq3fn6h
      @user-us7zq3fn6h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운용률 따지면 큰손해도 아닐꺼 같은데오

    • @kbkim6497
      @kbkim649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Nisssssss1이번에 사는건 e737이 아님 ㅅㄱ

  • @user-qc1uz6eb8sfdf
    @user-qc1uz6eb8sfdf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5

    그래서 최고 성능도 좋지만 좀 떨어지더라도 항상 유지관리 가능한 국산 제품이 좋죠. 미국 제품은 정비에 제한이 많이 걸려있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 @StraightLife-bh6ln
      @StraightLife-bh6ln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어리석은 소리 하시네요
      국방이 무슨 사업같은걸로 아시나본데 , 국방은 사업이 아닙니다
      국산이 중요한게 아니라 성능, 오로지 성능이 가장 중요한겁니다
      미사일처럼 대체, 보완 할수있는 종류라면 국산을 선호하는것도 좋겠지만
      우리 집을 떨려고 도둑들이 바글바글하는 동네에 경비를 세우는 상황인겁니다
      경비가 한국인인가 보다 도둑을 잘 발각해내는 뛰어난 경비가 중요한것이죠
      그리고 우리나라 기술은 , 여러분들이 착각하시는것과는 달리 , 모든 분야에서 뛰어난것이 아닙니다
      국방은 늘 현재 상황인것이고 하루라도 빈틈을 주지 않아야합니다

    • @user-hl7tm3nm2v
      @user-hl7tm3nm2v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StraightLife-bh6ln성능이 중요하지만 가동률 부분도 상당히 크다고 봅니다. 러시아 전투기나 각종 무기들이 가동률과 부품수급으로 버림받은 것도 있습니다. 밀떡 내용처럼 가동률이 상당히 나쁜 이유중에서 60%대 이유가 부품수급 문제였다고 하고 이번에 독일의 보병전투차를 보더라도 실제 사용 가동률 또한 너무나도 중요하다고 봅니다. 카달로그 제원표도 중요하지만 절반을 정비공장에만 있는 모 SUV차량 브랜드를 생각한다면 미군이 피스아이를 교체대상으로 한다면 모르겠지만 말입니다.

    • @jamiehuh301
      @jamiehuh30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StraightLife-bh6ln 방위'사업'청

    • @user-qc1uz6eb8sfdf
      @user-qc1uz6eb8sfdf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StraightLife-bh6ln 오로지 성능만 찾다가 전력에는 보탬이 안되고 개털되는 수가 있어요. 님 말대로라면 KF-21은 개발하면 안되는 전투기겠네요. K9 자주포도 더 성능좋은 독일산 자주포로 바꿔야되고요. 구축함도 최고성능으로 만톤이상 되는걸로만 뽑고요. 실제 전력에 보탬이 되려면 항상 준비가 되어있어야되는데 뭐하나 고장나면 우리는 손도 못대고 고쳐줄때까지 수개월씩 기다려야되는데 성능만 좋으면 뭐하나요? 누가 어리석은지 모르겠네요.

    • @user-cr3le4zh6u
      @user-cr3le4zh6u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traightLife-bh6ln국방도 돈으로 하는거임~~ 돈이 없으면 없는대로 살림하는거지~~연봉 오천 받는 사람이 람보르기니 타면 파산하는거임~

  • @whiteelan7
    @whiteelan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1기 단가가 정조대왕급 구축함과 거의 같습니다.
    2기가 아니라 4기로 오더를 하면 보잉은 단가를 낮출 수 있다고 했지만 결국 표시도 안 나는 것 같더군요.
    SAAB가 사각지대 커버를 위한 옵션과 레이더 성능 업그레이드 등 한국이 원하는 요구를 모두 들어주겠다고는 했지만 플랫폼이 너무 작습니다. 물론 작다고 해서 항속거리가 안나오는게 아니라 E-737보다 더 깁니다.

    • @yongkim2118
      @yongkim2118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앗! 그런가요 그러면 당연히 사~브로 가야죠

    • @whiteelan7
      @whiteelan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yongkim2118 베이스 기체가 봄바디에르 비즈니스 제트기인데 매우 공간이 협소한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왜 이런 류의 항공기를 전용기로 대기업 총수들이 미국까지도 날아갈 수 있는지를 보면 항속거리는 짐작이 나오죠.
      E-737이 공중급유없이 8시간 작전이 가능하고, 덩치는 작지만 글로벌아이가 약 11시간이라고 하네요.

  • @user-iu5zx8uk6m
    @user-iu5zx8uk6m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미래를 생각하는 혜안이 중요하죠...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맞습니다. 앞날을 바라봐야죠.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정말 샤브에 기술 받아서 미래에 e2d 비슷한것도 나오면 대박이겠네요^^ 정말 바라는게 이건데 초계기랑요^^ 그리고 군집위성.... 어쩌면 지금에 중고도무인기에 저거 인티해서 고고도무인기로 조기경보기 안나오는 법도 없죠^^ 물론 중고도무인기도 아직 시기상조지만요^^ 어차피 2030이후 아님^^ 합동화력함도 20년대 후반이라고 하지만 그거야 정조급에 먼저실고 합동화력함에 실으니 어차피 2030이후구요^^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상상만해도 행복하네요.

    • @younggullkim2132
      @younggullkim213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샤브샤브를 평소에 많이 드신모양. 어떻게 SAAB를 샤브라고 발음하는 가요? 영어로 단어가 같은 알파벳이 겹친다고 ㅑ 로 발음합니까? 사브 가 맞습니다.

  • @user-vn6ub4hs3t
    @user-vn6ub4hs3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갑질 대명사인 보잉사 조기경보기를 집어치우고 유럽산 샤브로 바꿔라
    한번 갑질은 바뀌지 않는다

  • @user-nf1wo8rp7m
    @user-nf1wo8rp7m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보는 입장에서 익숙해져서일까요? 근래 고현준 진행자님과 세분의 적절한 케미가 물이 오른듯 합니다. ^^ 심각할수도 딱딱할 수도 있는 얘기를 적절히 재미있게 풀어주셔서 항상 재미있게 듣고 있네요. 감사합니다.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재미있게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jo9xm3mw6x
    @user-jo9xm3mw6x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공군이 과연 사브를 채택을 할 여유가 있을지 없을지는 모르지만... 공군의 선택이 3군의 감시체계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도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죠.

  • @dooyeolChoiMusictravel
    @dooyeolChoiMusictravel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레이시온도 본격적으로 참전하고 있죠 LIG랑 (사브가 끌어들인건 안비밀) 레이시온도 해당 기술력이 없는거 아니죠 ㅎㅎ 고추자의 밀떡 꾸준히 성장중이네요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앞으로도 계속 응원해주세요.

    • @user-ul4bc2gv4g
      @user-ul4bc2gv4g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 @dooyeolChoiMusictravel
      @dooyeolChoiMusictrave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ul4bc2gv4g 레이시온 사브 LIg협업중입니다. ㅎㅎ

    • @dooyeolChoiMusictravel
      @dooyeolChoiMusictrave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ul4bc2gv4g 사실 레이시온 뒤에는 미공군 장관의 입김도 들어가 있고 .. 대놓고 보잉 및 록마 못믿겠다고 하고 조기 경보기 E7역시 잠시 땜뺑용입니다. 결국 동맹국들이 개발해서 괜찮으면 그 기술 채용해서 레이시온이 만들어 미공군에 팔겠단 의미죠..

  • @taifeng77
    @taifeng7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사브에서 기술이전을 받아 국내생산을 한다해도 국내수요는 많아야 10대 + 정도 일 겁니다. 결국은 수출인데 사브도 그렇게 힘들었던게 조기경보통제기를 살 만한 나라가 매우 소수이고 그나마 미국과의 경쟁을 뚫어야 한다는 거겠죠. 보잉이 우리한텐 비싸게 팔아도 막상 우리가 개발해서 수출하려면 우리를 밟기 위해 지들도 싼 값에 후려치겠죠. 동남아국가들도 수입할 수 있을 만한 저가의 모델을 제시하거나 아니면말씀처럼 무인화를 해서 운영유지비를 감소시키던가 또는 가능 할진 모르지만 사브에서 기술이전을 받은 뒤에도 어디라도 공동개발을 해서 조금이라도 부담을 줄이고 수요를 더 확보할 수 있는 길이 있다면 좋을 거 같네요.

    • @road544
      @road544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미국은 조기경보기 같은 기체를 아무 국가에나 판다고 생각합니까?
      돈만 있으면 살수 있는 기체가 아닙니다
      적어도 신뢰할수 있는 동맹국이 아니면 미국은 절대 첨단무기를 팔지 않습니다
      괜히 프랑스 무기나 러시아 무기를 사는게 아니라는 겁니다
      미국의 M61 발칸포 하나 달려고 해도 깐깐하게 검사하고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한국도 얼마전까지는 원하는 무기 하나도 팔지 않아서 구입 못한 나라입니다
      한국이 사브사 무기를 살 확률은 거의 없습니다
      경쟁시켜서 가격을 낮출려는 의도일뿐.
      한국군은 미군장비 선호도가 높아서 미국이 팔지않거나 없는 물건이 아니면 다른나라 무기는 잘안삽니다

  • @user-cp6pf5gv6r
    @user-cp6pf5gv6r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우리공군의 미래전략적 기술자립확보와 향후 수출전략까지 먼 혜안으로 보면, 반드시 사브가 되어야만 답이라고 봅니다.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어떤 형태로든 손을 잡아야 할 거 같습니다.

  • @user-jd9sx1pj6l
    @user-jd9sx1pj6l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미래를 위해서도 샤브로 가야한다.

  • @johnlee4302
    @johnlee430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현재 대비 추가 해야 할것이,,,
    조기경보기 4대 + 공중급유기 4대 필요하지요,,,

  • @chriskim2958
    @chriskim2958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네. 공감합니다. 이젠 대한민국도 기술이전을 받을수 있다면 그걸 토대로 자체개발이 가능한 국가이기에. 수출을 떠나 자체 개발로 조기경보기를 가질수 있다면 저도 샤브를 선택할듯합니다. 다만 과연 샤브사가 기술이전을 제대로 해줄지 그걸 확인이 필요.

  • @user-mr3pp8jb7w
    @user-mr3pp8jb7w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사브 찬성입니다.... 조기통제기는 계속해서 필요한 중요장비입니다.... 우리가 기술이전 받아 잘 만들고.. FA-50처럼 동남아에 팔자구요....가격만 적당하다면 살 국가 많을것 같은데...

  • @ycjung6358
    @ycjung6358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사브로 가야죠. 기술이전.이런 기회를 놓치면 안됩니다.우리 수종기 개발해서 조기경보통제기술 채택해요

  • @hitgirl6201
    @hitgirl620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F15k 업그레이드를 비싸더리도 그냥 진행해버렷어니(무인기사태때 상관없는 하이급전투기를 밀어붙인 ..) .... 보잉이야 옛날부터 계속 비싸게 부르는거죠 한국은 호구

  • @user-gd9tx1sf7v
    @user-gd9tx1sf7v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보잉을 위시한 미국 방산기업들의 갑질이 어디 하두해 였던가..? 이제는 보잉 갑질 지겹다 한번쯤은 정신 차리기게 해주자 단 사브의 기술 이전에 관한 계약 확실히 하자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기술 이전에 솔깃해집니다. ㅎㅎ

  • @hauysruk
    @hauysruk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우리 공군의 철학은 금액이 비싸던 말던 최고 무기만 고집하는게 문제. 장기적인 안목이
    없는게 문제 입니다. 아마도 90% 이상 보잉으로 갈겁니다.
    피스아이 가격이 떨어진다고 해도 운용유지비로 빼먹어서 전체적인 비용은 떨어진 가격을
    상쇄시킬거고... 한마디로 조삼모사 라는거죠. 방산시장에서 고전하는 보잉을 먹여살리는게
    우리나라죠.

    • @MAXIM_MOCA_GOLD
      @MAXIM_MOCA_GOLD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상식적으로 생각을 해보길...사브는 전세계에 6~8기가 전부이고, E-737은 미국 빼도 전세계에 30기 가까이 뿌려져 있어요. 여기에 베이스가 보잉 737-800이라 민항기 자체는 전세계에 800계열 모델만 따져도 5000기가 운용되는 베스트셀러죠. 사브의 글로벌 6000 비즈니스 젯 모델은 전세계에 100여기 팔린 물건이고 여기에다 시스템 총합이 한국까지 쳐도 10기가 안 되는 체계가 유지비가 쌀 것 같아요? 상식적으로 생각해 봅시다.
      엘타의 G550모델 민수형 유지비는 1비행시간당 3000달러, 미군이 신호감청기로 운용하는 군용 모델은 8000달러 수준입니다. 헌데 글로벌 6000은 민수 모델 1비행시간당 유지비가 3700달러예요.
      군용으로 운용한다면 당연히 G550보다 비싸겠죠. 보잉 737NG형 미군 군용 모델 유지비가 시간당 5000달러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글로벌 6000은 레이더나 전자전 장비 유지비를 제외하고 기체 자체의 유지비는 E-737보다 더 비쌀 수 밖에 없습니다. 아마 비례 추산한다면 기체 자체의 유지비는 시간당 2배가 비쌀 겁니다.
      아울러 미군이란 강력한 물주가 붙을 보잉 737과 관련된 부품과 유지비는 떨어질 요인이 가득합니다. 어떤 확실한 근거로 유지비가 비싸고, 싸다고 하시는 걸까요?
      실상은 기체 자체의 유지비는 사브측 모델이 더 비쌀 수 밖에 없고, 규모의 경제 때문에 레이더 체계 자체유지비도 사브측이 더 비쌀 수 밖에 없습니다. 향후 업그레이드 역시 마찬가지에요.

    • @alsid_
      @alsid_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MAXIM_MOCA_GOLD 그 예상 차액들을 전부 보잉의 영업이익으로 돌릴게 뻔해서요... 사브쪽이 운용유지비가 더 쌀것이라는 예측은 틀렸지만, 보잉이 규모의 경제로 낮아지는 비용들을 순순히 실제 공급가격에 반영해줄 거란 전제 역시 틀린 것입니다.
      특히 경쟁사가 하나라도 더 사라지고 나면 가격을 올리겠죠. CIWS의 경우를 보세요. 우리나라가 팰렁스를 도입해본 뒤 경쟁사인 네덜란드 탈레스가 골키퍼 사업을 접자마자 그 이후 팰렁스 가격이 두 배로 뛰었죠.

    • @alsid_
      @alsid_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군이 제한된 전술기 숫자에서 최선의 공중전 작전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전투기 기준으로는 고성능 무기를 고집하는 경향이 있는건 맞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국산화입니다. F-4, F-5 다룰때부터 국산 장비가 아닐 때 어떤 문제점들이 생기는지 잘 배워 왔거든요.
      조기경보기는 전술기 숫자 제한에 들어가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어서, 이번 2차 사업의 향방은 알기 어렵습니다.
      지원기도 숫자 제한이 있다면 당연히 고성능의 비중이 올라가서 보잉걸 하겠지만, 아니라면 (장비 통일성 + 고성능) vs (국산화 기반)의 싸움이거든요. 이건 사브쪽의 미세한 우세같긴 한데, 보잉이 충분히 양심적인 가격을 제시한다면 뒤집힐 수도 있다고 봅니다.

  • @krauskim7662
    @krauskim766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우리군의 최고스펙 기조도 문제라고 봅니다.
    미국과 동일한 혹은 그에 준하는 스펙만을 고집하니 이용당하는거죠.
    그러니 요즘은 국방비가 증액됐음에도 댓수들이 점점 줄어들고 있음
    막말로 스웨덴꺼 해도 지금 아무 문제없이 방어하고 정보 가져올수 있습니다.
    크게 보고 차근차근 밟아 나가도 될걸
    최고 아니면 나라 국방이 망할것 처럼 하는 호들갑 버려야 할때

  • @user-cf2lb5ts8f
    @user-cf2lb5ts8f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사브 한표

  • @signsys
    @signsys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E-737의 가동율은 공군이 보잉과 성과기반군수지원계약을 체결하여 많이 향상될 것 입니다.
    다만 보잉의 재정과 기술력이 매우 후퇴하여, 개발역량과 품질에서 문제가 생기는 등 미래가 암울한 것이 더 걱정입니다.
    E-737와 E-7은 베이스 기체만 동일할 뿐 전혀 별개의 기종입니다.
    미공군은 E-7을 2가지 버전으로 개발한다고 합니다.
    보잉이 여러모로 부실해지자, E-7을 급하게 개발하고, KC-Y까지 속행하는 것 같습니다.
    조기경보기 2차 사업이 4대로 늘어나서, E-737이 아닌 기종을 선택해도 무방합니다.
    이 번 사업에서 기술이전을 해주는 기종을 선택하여, 미래 조기경보기 및 해상초계기 개발의 초석으로 삼으면 좋겠습니다.

  • @user-gy7jt6zy8g
    @user-gy7jt6zy8g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비지니스 제트도 대형화 추세고 기체 가격 유지비 측면에서 유리한게 많음

  • @user-ks1ws3uc4j
    @user-ks1ws3uc4j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최대한 교섭으로 가격을 조정하여 피스아이 를 2대 사고,
    사브를 조건에 마춰서 2대를 사면서 우리가 기술을 도입할수 있어야 된다고 봅니다
    지금까지 우리 능력을 보았을때 빠를 시일에 보잉을 능가할수있는날이
    올수있지 않을가? 하는 기대감이 생깁니다

  • @snowflakeperv
    @snowflakeperv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당연히 사브가 너무 좋아보이네요.( 계약할때 기술이전을 확실히 못박아야됨)
    고스팩을 추구할필요는 없어요.. 적당한 가격에 적당한 기체.. 전쟁은 가성비입니다. 전쟁은 돈으로 하는거임. .
    mcx 사업도. 보급수송선이지만.. 국내용 민간항공으로쓰고 울릉도도 쓰고 제주도도 쓰고 화물용으로도 쓰고 수출화물로도쓰고.. 군용으로도쓰고. 군이 민간화물 운용하면서 돈도벌고 유지비도 충당하고 400대정도 만들어쓰다 전시때 4륜차처럼 징집형으로 바꾸고... 다양하게 이용하면 좋겠다는 생각이들어요.
    다만 말씀하신 초계기용는 수송선이 공기역학상 부적합한 기체이기에 동체부분은 미국사막에 중고기체를 사거나. 신형 어에버스가 좋아보이네요.
    초계기는 정말 오래 날아야하거든요. . 고전력을 내야함.
    전쟁은 돈으로하는거며 전쟁에 이기려면 보급에 따라 좌지 우지 되며 전쟁은 질보단 양입니다.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이번기회에 샤브거 8기 사봅시다^^ 어차피 글로버호크도 운영률이 저조한데 말이죠.... 신호감시도 안돼고....
    신호감시가 돼야 나중에 좌우 탐지할때도 전파수집 데이터 하고있어야죠^^ 일본도 초계기 광게토태함에 그런식 전파수집 하는데 말이죠....
    이건 샤브로 가야겠네요 정말 가동률보면 이거 나중에 포세이돈도 또 그럴겁니다 개량시기때... 포세이돈도 아직 못 들어오고 있잖아요.... 아니 일본에 e2d는 언제부터 들어오는데...

  • @user-tn5rs8ho9n
    @user-tn5rs8ho9n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샤브사 선택합시다

  • @user-su9br6lz4v
    @user-su9br6lz4v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대한민국의 자주국방을 짓밟는 미국 백바리의 짓거리로 봤을때는 기술이전을 받을수있는 샤브가 올바른 산택인것 같아요. KF21 개발시 당한 미국 백바리의 사기에 가까운 행태을 봤을때는 미국 백바리 무기갑질에서 빨리 벗어나야합니다.

  • @luckygood970
    @luckygood97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결론은 사브 사브 사브

  • @user-wo5xv3jm9v
    @user-wo5xv3jm9v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좋아요...100번째...샤브의 기술에 에어버스의 300기종과 결합하면 됨...경보기에도 하이.로 계념으로 가면 고강도 지역에 피스아이 보내고 저강도에는 샤브 보내고....얼마던지 가능하지....

    • @alsid_
      @alsid_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경보기 하이로우는 고강도/저강도 기준과는 조금 다릅니다. 피스아이가 전체적으로 감시하면서 이어도나 독도 등 멀리 떨어진 민감 지역을 선택적으로 사브쪽 체계로 커버하는 것이 기본이기에 어찌보면 저강도에 피스아이, 고강도에 사브걸 투입하는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피스아이의 낮은 가동율로 인해 비는 시간을 커버해주는게 더 크죠.

    • @CRUISERLEE
      @CRUISERLEE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lsid_ 저도 여기에 한표 얹습니다.

    • @CRUISERLEE
      @CRUISERLEE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lsid_ 제의견을 좀더 이야기 하자면..... 피스아이가 지역 광역적으로(동해전체/서해전체/중부전체/남부전체) 이렇게 사브가 지역지역을 보고... 그렇게 갈수도 있지 않을까요?

  • @user-ke1mf1gu9z
    @user-ke1mf1gu9z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기사 떳네요. 비행기 플랫폼. 사와서 국내개발 하기로!!!! 진작 플랫폼 사다가라도 할것이지 KAI 돈벌이 해주려고 어느 세월에 수송기 만들어서 그 플랫폼으로 해상초계기 만들까요.

  • @MornigBellyFat
    @MornigBellyFat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2등, 오늘 영상 감사히 잘 봤습니다.

  • @shinhj72
    @shinhj72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브 글로벌아이를 여러대 구매하면 구지 360도 탐색은 필요가 없지 않나요? 동해에 1대 남해에 1대 띄우면 피스아이 1대 띄우는 것 만큼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180도 아니라 90도만 탐색해도 될 것 같은데요? 거기다가 파격적인 기술이전까지 받아낸다면 메리트는 확실한 것 같은데요?

  • @footstep002
    @footstep002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보잉이 가격을 쎄게 부른 이유로 우리나라가 해상 초계기로 포세이돈을 구매한 영향도 다소 있다고 봅니다. 애초에 둘다 보잉 737 기반 기체라 운용 유지 측면에서도 아무래도 유리한 부분이 있을 수 밖에 없고 게다가 우리나라에서 p8 추가로 더 계약한다는 얘기까지 나왔으니...완전 별개의 비즈니스 제트 기종을 기반으로 한 조기경보기를 선택할 가능성이 낮다고 보는 측면도 있겠죠. 더군다나 미공군에서도 향후 조기경보기를 동일계열인 e737로 바꾸겠다고 했고 향후 e737의 수요가 늘어날게 뻔한 이상 그런 기체를 우리나라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잉은 판단하고 있겠죠. 누가 뭐래도 방산 시장의 가장 압도적인 큰손은 미국이라...그런 미국의 방산업체이기에 부릴 수 있는 배짱이라고 봅니다.

  • @user-rt1xt6qm8u
    @user-rt1xt6qm8u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조기경보통제기 2차사업 밀떡 정명섭님 과연 성공할수있을까요 😂?!

  • @ahnnak
    @ahnnak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국은 자국의 민간 기술 장비는 분해 못하게 하는게 있어서 고장나두 미국 기술자랑 미국 장비 오기까진 손못대는게 있음
    결국 그건 가동율 떨어 뜨리게 되는거지 엄청 비싼 부품을 무조건 예비 부품으로 모두 사두 기도 현실적으로 힘든거구
    KF-21 같은 자주 출동해야 하는 기체는 그래서 자국산이 되야 하는게 가동율 올리려면 부품 수급이랑 내가 뜯어서 고칠 권리가
    있어야 하니깐 미국산은 예전에 한번 고치려구 뜯었다가 미국에서 난리난 경우 봐서 다들 잘알거임 개들거 함부러 못뜯음

  • @user-we4tx1wh6n
    @user-we4tx1wh6n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조기경보기 더 필요한게 아니고 아주 많이 필요 하죠!

    • @user-jx3hx5zc2u
      @user-jx3hx5zc2u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일본 16대 운용중

  • @banksybanksy9147
    @banksybanksy914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원래 미국군사기업들은 초갑질로 매우 유명하죠..그렇다고 성능이 좋은 데 안 쓸수 없고, 쓰자니 너무 비싼데에다가 수리도 마음대로 못하게 하며 그들이 수리하면서 수리비를 터무니 없이 천문학적인 비용을 청구하니..,,이것은 칼 안 든 강도나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 미국 기업만큼 성능 좋은 무기를 제작하는 나라들이 별로 없는게 더 문제겠죠...러시아는 가격은 매우 싼데 성등은 별로 안 좋고,,중공은 가격은 싸구려인데 짝퉁이라 하도 잔고장으로 문제가 많고...어쩔수 없이 국산화하려니 고비용에 기술이전받을 곳도 없고, 거기에 비싸게 사준다고 해서 미국이 좋아서 기술이전 해줄리는 만무고,,그얘들은 전세계에서 절대 기술이전 안 해주기로 유명하고...

  • @eteratic
    @eteratic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플랫폼 구입해서 자체제작한다면 B-777 이나 787 플랫폼이 어떨까 생각합니다.

  • @carlosj8637
    @carlosj863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사브도 좋아보이네요.. 고급혈통 아니면 어떻습니까. 고양이가 쥐만 잘 잡으면 되지..

  • @user-dz6rq3mi8f
    @user-dz6rq3mi8f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보잉 쓰레기사

  • @user-ps1ur9be1r
    @user-ps1ur9be1r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유럽여객기 기체에 E-2레이다 얹으면 안되나요?

  • @user-gy1tf5yw3n
    @user-gy1tf5yw3n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보잉 한대 살것으로 사브 두대사고 기술이전까지 받으면 금상첨화 아닌가요? 설마 두대가 한대보다 못하진 않겠죠 😊

    • @robertokim1397
      @robertokim139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사브가 기체가 작답니다. (내부 공간이 당연히 좁음) 그리고, 레이다 탐지거리가 보잉에 비해 짧다는게 약점이죠.

    • @alsid_
      @alsid_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60도 감시 기능이 갖춰지기 전에는 두 대가 한 대보다 못하던 상황이었습니다.
      간단히 반원 두 개와 원 한개인데, 원쪽이 반원들보다 반지름이 더 컸으니까요.

    • @user-ue9kw9lo5y
      @user-ue9kw9lo5y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보잉 1대 살걸로
      사브 2대 사고
      유지비로
      보잉 40대 가격 내는게 현실...
      ㅉㅉㅉ

      유럽 국가들도 미제 무기를 선택하는지
      안 보이는건가..
      도입 결정하고. 나면
      납기 ?
      A/S 보장 못 함
      유지비는 기본이 바가지+삽질
      기술 이전? 깨몽..

    • @user-gy1tf5yw3n
      @user-gy1tf5yw3n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user-ue9kw9lo5y 요즘은 보잉도 우린 손도 못대게하고 수리비 업데이트비용 따따블로 바가지 씌우잖아요 사브에게 기술이전 받으면 자체수리 가능한데 유지비 저렴해 질듯 싶네요

  • @user-ci2bp5de4y
    @user-ci2bp5de4y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물론 보잉만 선택지는 아니지만 미군이 E-3 후계기로 E-7을 도입하기로 했으니
    우리나라도 미군이 E-7을 도입 할 때 보다 싼 가격으로 도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 @wilson73417
    @wilson7341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고고도위치에서 무인 비행선을 날리면, 오래 위에서 정찰할 수 있습니다.

  • @josephpark1096
    @josephpark1096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조금은 부족하더라도 기술이전을 많이해주는 기종을 구입합시다. 언제까지 보잉에 끌려다닐건가요? 국산화를 위한 초석을 놓읍시다.

  • @dinhomomo
    @dinhomomo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리가 예전에 금강 백두사업을 한 후에, RC-12 RC-7 RC800 이 하루 종일 떠있질 않았지요. U2S 도 온 종일 나와있던게 아니구요. 레이다를 보고 있으면 매일매일 나오는 것도 아니었구요. 물론 경보통제기랑 정찰기는 용도가 다르지만, 레이다 사이트가 잘 돌아가는 평시 상황인데, 저걸 24시간 운영을 시킬 것도 아닐것이고... P.M. 과 고장을 염두에 뒀을때, 두어대 정도만 있으면 좋을 것 같기도 한데요. 물론 돈이 많으면 더 있어도 되죠. 효율성을 생각하고 공군에서 잘 처리를 했으면 좋겠네요. 이런 기회에 모든 레이다를 싹 국내 개발로.. 힘내자!

  • @user-zv1hx1zz2c
    @user-zv1hx1zz2c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무인정찰 비행기,무인정찰 헬기등 해상, 육상에서 단독으로 정찰할수있도록 만들려면 기술확보가우선이죠.

  • @user-or8le7vn6q
    @user-or8le7vn6q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보잉은 기술을 주기않기 때문에 제외시기는 것이 좋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산화가 정답입니다. 보잉꺼 4대. 사브사 4대해서 8대 운영하면 되겠네요. 보잉에게 아닌것 아니라고 해야된다.

  • @user-nh5jh4or7j
    @user-nh5jh4or7j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E-737의 장점 (지금도 그렇지만 향후에도)은 뭐니뭐니 해도 상호운용성이겠죠.
    앞으로 미 공군 역시도 E-7이라는 이름으로 22대 도입을 할테니 .... 심지어 나토에서도 E-3 대체품으로 이걸 선택했다는 소리까지 나오니까요.
    그렇게 되면 규모의 경제가 형성된다는 점도 무시할수 없을껍니다. 동시에 가격도 훨씬 더 저렴하겠지요.
    하지만 지금 운용하고 있는 4대로도 그건 충분히 구현할수 있는 것이고 ... 부품수급만 잘 되어서 가동률이 지금보다 더 높일수 있다면 더할나위 없겠죠.
    하지만 말씀하신대로 앞으로의 미래를 생각해서 우리가 기술을 도입해서
    우리 자체적인 조기경보통제기 플랫폼을 개발할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면
    이건 또 차원이 다른 문제일껍니다. 단 플랫폼이 수송기가 아닌 조금 동체가
    큰 A330 같은 상용기 플랫폼을 들여와서 조금 더 공간을 여유있게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 같네요.

    • @user-ue9kw9lo5y
      @user-ue9kw9lo5y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1990년대말
      대한민국은B747급 기체의 AWW를 고려 했읍니다
      일본은 B767을 기체로 선정했고
      호주/튀르키에/대한민국이 B-737을 선정시 운용 비용이
      일본 767의 1/3을 제시했읍니다.
      사실상 미공군이 E-737+형을 결정한 현실상
      E-2D를 배제하면
      🌎 에서 가장 우수하고 저렴한 조기 경계기가 E-737이 됩니다..
      유지비도 저렴하고..

      대한민국 도입 수량이 30~50대라면
      국산화 찬성..입니다..

  • @CRUISERLEE
    @CRUISERLEE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비싸더라도 일단을 피스아이를 FMS구매+피스아이 업그레이드+F-15EX 내놔라하고
    차기조기경보통제가 개발사업해사 사브랑 공동개발가는게 맞을듯???

  • @user-hs5yk3vo8c
    @user-hs5yk3vo8c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샤브 저런 상태로는 어떻게든 우리에게 수출한다고 쳐도 다른 나라에 수출할 가능성이 적겠네요.
    보잉의 조기경보기가 엄청 비싸기 때문에 스웨덴에 중고로 빌려쓰고 샤브랑 카이가 공동개발해서
    기체는 유럽기체로 쓰고 업그레이드 해서 쓰는게 어떨까요.
    레드백도 혼종이고 폴란드크랩도 차량은 우리나라 포탑은 영국제이니깐요.
    그리고 우리나라와 군사동맹수준의 나라를 선정하여 잉여무기들을 랜탈개념으로 공동이 사용할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건 어떨까요??
    그 시스템을 잘만 구축하면 폭발적인 군사무기 수요를 대처할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 @user-cm7ec4no8i
    @user-cm7ec4no8i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피스아이 4대 살돈으로 사브 글로벌아이 8대를 사면 좀더 촘촘하게 영공방어가 될듯하고여.
    거기다 기술이전이라..매력적이네여.
    어차피 그돈 이라면 피스아이 2대 더사서 메인 가져가고 보조로 사브 4대 사면서 기술이전 받겠습니다. 둘다 먹으면 되지여.

  • @user-qt7xv9rs3v
    @user-qt7xv9rs3v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다른 경보기는 모두 들러리 이고 . .보잉만 바라 보고 있는 건가요 !!

  • @user-mg5ju4wp7q
    @user-mg5ju4wp7q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뭐 1~2대만 살거면 짜증나지만 피스아이 사는게 맞겠죠...
    근데 우리나라는 븍한 중국 러시아 라는 말도 안되는 나라들 사이에 있으니 어떤무기던 대량으로 있어야합니다.
    그러면 기술이 조금 달려도 사브를 선택해 기술이전 받고 우리가 독자적으로 업그레이드 시키는게 맞습니다. 우리나라 기술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 @user-sy1wp8wd3x
    @user-sy1wp8wd3x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사브로 6대 구매해라.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개읹거 의견으로 그런 시나리오가 미공군 통제기에 있다하더라도 어차피 f15 16도 최근 업데이트를 끝으면 퇴역처리 될겁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럼 포세이돈과 지금에 피스아이밖에 안 남습니다 어차피 미군이 도입한다고 해도 그게 언제일지도 모르구요.... 희망고문은 안하는게 좋은거 같아요 샤브가 그전에도 성능이 낮아서 안했던거지.... 그것만 돼면 우리기술 습득하고 일석이조임.... 저런 소형기체도 한번 운영도 해봐야 나중에 고래수송기도 제대로 운영할거임^^ 그때는 조기통제기 해상초계기 수송기에까지... 부품개량측면에서두요.... 갈아타는게 맞음요.... 포세이돈도 아마 10년후면 저런 개량에 대한 운영률 문제 나올겁니다.... 단지 성능이 좋아서 그런데로 쓰겠지만요... 헬기 2,3시간 움직이는 대잠헬기 보다 훨씬 차이나죠 프로펠러형 기존거 보다두요....단지 미래를 보면.... 샤브로 요번에는 갈 의지가 있어보입니다^^ 어차피 미국은 상대해주 줍니다 자기처럼 힘이 있어야 동맹이지 아니면 버립니다 기존과 똑같이....그게 이기주의 나라에 힘이 있어야 동지이지..... 한국인에 심리가 없을때는 그런거 따라가기 급급했지만 남따라하기 좋아하고....지금은 아닙니다 누구는 경제의 규모7위라 하고 누구는 다 따져서 35위라 하는데 그게 뭐가 중요합니까 기술이 있고 세상물정 알면 의지죠^^ 모르고 따라가는거와는 차이가 큽니다 개인신념이.... 없을때야 개인신념하면 어느 코메디언이 무섭다 하는데.... 머리에 든거 없고 고함치고 우기면 그렇죠....지금은 그러합니까.... 샤브도 제대로됀 성능스펙을 따져보구요.... 합시다^^

  • @user-lr7ps3gr3m
    @user-lr7ps3gr3m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aesa레이더 기술은 유럽도 인정한기술이고 통합체계만 기술이전받으면 자체기술로 개발및 유지보수할수있으니 훨씬 장점이다

  • @gbcszcfdcvc001
    @gbcszcfdcvc00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국이 E-737 조기경보통제기 등 신규 체계 도입에 소극적인 이유는
    새로 도입 된/될 5,6세대 기체가
    표적획득, 전자정보 수집 및 데이터 허브 기능까지 겸해 개발되어
    기능적 중요성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 @user-om9ni3ii2g
    @user-om9ni3ii2g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샤브가 잠수함의 X방향타 기술과 소음제거설계기술도 준다고 한거 같은데요. 대함초계기도 기술이전 받고 돈먹는 하마인 소나도 기술이전받고. 대함미사일기술도 받는다면 해군 공군 모두 이익인데 샤브가 선정되길 원합니다.

  • @user-bc3uf8hv5i
    @user-bc3uf8hv5i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두 한번 분석해보자면 유지비도 생각해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구입비용도 비싸지만 유지비도 만만찬으니깐요 사브 같은경우 유지비가 많이 들어갈것 같습니다 위에서도 말했듯이 전세계에 기체가 몇대 없기에 부품가격이 상당할것으로 보입니다 당연히 보잉쪽이 유지 보수쪽은 훨씬 유리한것도 맞습니다 그런데 기술이전이 상당히 매력적으로 보입니다 저 기술 받으면 이곳저곳 써먹을데가 많이 보이니깐요 그리고 항모조기경보기 무인기로 갈꺼다 라고 말하시는데 전 모르겠다 쪽입니다 이유는 미국에서 진행중인 인공지능무인기프로잭트가 점점 실패쪽으로 가는 기울어지고 있어서입니다 요즘처럼 조종사를 멀리두고 위성을 이용해 조종하는 무인기도 생각하수 있지만 제가보기에는 유인기쪽에 손이 올라가는건 어쩔수 없는것 같습니다 모르죠 획기적인 기술이 나와서 완전무인기를 인간의 조종없이 운용이 가능할 날이 빨리 올지도요

  • @winwinlee7027
    @winwinlee702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스웨덴 사브 활용 극대화 방안. 평소에는 공군 공중조기통제기로 사용하다가, 한국 항모에서 E-2D 발진 어렵거나, 항모가 근해와 가까우면, E-2D의 또다른 기능인 유도탄/탄도탄을 유도하는 역할을 구현해서, 적어도 근해 항모운영에 이용한다면, 1석 2조이고, 이 기술 라이센스는 한/스웨덴이 공동 보유한다. 미국 보잉은 유도탄 기술을 접목할 필요성이 매우 낮아서 추가 자금을 요구 할 수 있음.

  • @orangehunter6903
    @orangehunter690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런 변수가 있는줄은 진짜 몰랐네요. 보잉도 제정신차리기를.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말씀하신대로 소탐 대실이 될 겁니다.

    • @user-xn4mj2zo6p
      @user-xn4mj2zo6p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rugosarose8701 장사군이 이문만 찾아가는 폭망합니다. 인생 역시 이득만 찾다가는 망하는 거죠. 댓글도 마찬가지고.

  • @user-rf3ke7lv5p
    @user-rf3ke7lv5p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샤브는 풀렛폼이 너무 작습니다. 교육비증가, 종종수 증가 승무원 피로도가 심할것 같습니다

  • @kgegleable
    @kgegleabl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번에는 울며겨자먹기로 보잉 구매하고.. 나중에 우영우 수송기 개발되면 독자 조기경보통제기 만들자는 의견을 보자니~~ ㅎㅎ 그게 플랫폼 하나 생겼다고 뚝딱! 만들수 있는 물건이 아니라는거에요. 일단 우리는 기반기술 자체가 거의 전무한 상태라 지금 사브로부터 어느정도 기술이전을 받아야~ 그 기술을 기반으로 고도화 시켜야 되는거죠. 보잉 갑질은 진짜 끝이 없네요. 같은 이유로 아파치 도입 사업도 먹구름일듯 하네영

  • @user-gk4fk1sx9y
    @user-gk4fk1sx9y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왜이리 구독자가 안늘어요?! 10만은 넘어야지요 ㅋᆢ 분발하세요

  • @user-cv4zg2nt9w
    @user-cv4zg2nt9w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에어버스 321도입하고 국내계조하는게 좋을듯 인도랑 공동개발로

  • @yh441
    @yh44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가격이 다 인플레된 것 아닌가요 ? 미국이나 독일 탱크 한대에 3백억 한다는데.. 전투기들도 두세배로 다 올랐던데..

  • @user-fh3se9rk4y
    @user-fh3se9rk4y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기체가 아무리 좋다한들 운영 안되면 주차나 하는 신세니
    사브로 사면서 계약 유리하게 잘해서 추후 수출 안되더라도
    우리 기술로 국내 운영 유지하는게 비용적으로 이득일거 같네요 물론 시간은 걸리겠지만 대한민국 국방관련 연구 기술자들을 믿습니다

  • @chch-md8it
    @chch-md8it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원천기술 확보가 최우선이죠.
    흔들리지 않으려면...

  • @user-wp9cs3ud4k
    @user-wp9cs3ud4k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브로 하고. 기술이전100퍼 다받고. 절출교역으러 50퍼는 fa50으로 주고받는걸로 하면 쿨거래!! 일듯

  • @jonathanyang3967
    @jonathanyang3967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군거는 덩도 향기롭다고 생각하시는 공군이 결국은 기승전 보잉이겠죠 😊 한나라가 스스로 자립하기 위해서는 유학이라도 지금처럼 미국편중으로 가서는 않됩니다. 내가 배운것이 미국인데 결국 어디로 갈까요? 군도 마찬가지 아닌가요?

  • @binhero3673
    @binhero367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자주국방. 기술추가적으로.가야. 미래가. 보장된다. 서브. 가자. 그리고. 최고의. 장비를. 개발하자

  • @user-vn5ms3vi8s
    @user-vn5ms3vi8s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지구상에 기술이전 해준다고 말해놓고 핵심기술까지 그대로 다 이전해주는 흑우 국가는 한국말고는 없습니다.
    그러니까 그어떤나라든지 기술이전 같은말을 해도 무조건 한쪽귀로 흘려 듣는게 나을 겁니다.

  • @user-vc9zr1df1z
    @user-vc9zr1df1z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답은 사브다...ㅎㅎ

  • @user-qb5yb1bm5y
    @user-qb5yb1bm5y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무리 e737이 스팩상 성능이 좋다하여도 유지비가 그리 들고 그렇게 가동율이 안좋다면 차라리 다른걸 하는게 나을것으로 보입니다
    가동도 안되는거 격납고에 맨날 1억짜리 차 쳐박아놓고 버스타고 다니느니 가동되는 5천만원 짜리가 낫겠죠

  • @chickim7299
    @chickim7299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각중에 갑 보잉에 갑질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되야 한다.

  • @ujgt2873
    @ujgt287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근데
    소량만 구입할거라
    나중엔 국산화할지도.
    어차피 보잉꺼 사겠지.
    유지관리체계 통일.
    가격 좀 깍으려고 경쟁시키는거고.

  •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방위사업청 행동도 참 잘했지만.... 샤브사에 성능이 조금만 앞뒤로 좋았더라면 충분이 저걸로도 활용가능한데 이런게 아쉽네요....
    이러면 7기도 살수있을테데요... 이미 피스아이 운영률 때문에 저러는데 이건 좌우 탐지자산으로 돌리구요....
    ps 또 문제는 개량사업시기때 또 어떤 샤브가 푼수짓을 할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이구요....
    하시면서 영상시간도 늘어나게 포세이톤에 흐름도 같이 해주시지 아쉽네요^^ 적다보니 또 생각나서 적네요^^;;

  • @valarmorghulis9850
    @valarmorghulis9850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더이상 글로벌 호구 되지 말고 샤브 선택해서 기술이전 받아 자체 개발하는 중장기 플랜으로 진행했으면 한다. 이제 그만 호구짓좀 하지 말자..

  • @user-ks5mf2zp3m
    @user-ks5mf2zp3m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구독 구독 구독 구독 구독 구독 겁나 ♥️ 왕좋와요

  • @user-vn9mu8vf6d
    @user-vn9mu8vf6d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사브가 파놓은 함정을 잘 간파해야함 그리펜만 봐도 자국 기술이 들어갔겠지만 만국 조립품임 잘알아서 하겠지만 보잉 엘타한테도 뻐꾸기 보내면서 밀당하면서 진행해야함
    방산 시장은 계약전에는 사는 사람이 갑 이다가 막상 사고나면 파는 놈이 갑이되는 사례가 많으니 조심하고 인도네시아kfx 같이 호구같은 계약서 쓰면 안될거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솔직하게 사브가 어느정도 기술이 있을지가 의문이긴함...

  • @jinsoojun1298
    @jinsoojun1298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가독률 떨어지는 것은 피스아이 도입대수가 적어서 그런거야 피스아이의 대체품은 없어

  • @user-hw2rh1yy7m
    @user-hw2rh1yy7m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보잉은 이제는 신뢰성이 아주 밑바닥이고 우리 안보측면 에서는 밑빠진독 입니다.도입을 반대합니다.

  • @user-S55555
    @user-S55555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브 사는게 상책으로 보입니다.
    가격을 떠나 기술이전과 유지보수에
    큰 이점이 잇어보입니다.

  • @user-qu6cr8ug1z
    @user-qu6cr8ug1z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

  • @WD40a
    @WD40a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보잉이라 욕하는거 아니야
    욕하고 보니까 보잉인거지

  • @user-mr4of3vp8z
    @user-mr4of3vp8z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미 보잉 선택했음!!

  • @gmania2k
    @gmania2k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보잉이 웃긴게 사실상 본체인 조기경보 시스템을 납품하는 그루만사에서 왜 우리는 시스템 가격을 그대로 받는데 보잉은 2~3배 올려서 여러나라 사업을 좌초시키고 판매 댓수를 줄이냐고 불만이 이만저만 아니라고ㅋㅋㅋ

    • @alsid_
      @alsid_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노스롭 그루먼 체계를 에어버스 항공기에 실어 조기경보통제기를 개발하자는 얘기가 괜히 나오는게 아니었군요.

    • @user-ue9kw9lo5y
      @user-ue9kw9lo5y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lsid_ㅉ ㅉㅉ...
      그 레이다를 A 시리즈 항공기 탑재?
      미 공군 허락도 😢😢😢😢
      그 추가 개량비,개조비..
      금액?..
      누구도 모릅니다
      호주 잠수함 사업?
      프랑스와 손 잡아도 병신
      미국 원잠 도입도 육갑,ㅈㄹ 중..
      더우기
      면허생산?
      2040+년이면
      대한민국은 우주 항모? 취역 가능한 시기.. ?
      ET가 대한민국과 혈맹?이 되었을 때...😅😮😢😂🎉

  • @Mustela001
    @Mustela00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걍 싸브랑 해라! 보잉은 미공군 훈련기도 망쳤고, 이빈 기회에 버르장머리 고쳐서
    방산시장에서 퇴출시켜야! 망해봐야 정신차림!

  • @user-ng3nm8do2k
    @user-ng3nm8do2k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쉬운게 왜 비행기 동체를 저 3사의 뱅기로 하는지 몰겠어요 A300계열 비행기도 있고..............레이더는 우리가 만들수 있는데 개조해서 만들면 될텐데

  • @user-tn2pm7mi8r
    @user-tn2pm7mi8r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거 미군이 e7 구입할때 fms하기로 이미 결정된사항
    공군이 이미 결정했음

  • @user-ml9il8lg5k
    @user-ml9il8lg5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국갑질에서벗어나야지요언제까지끌려다녀야해야하나요

  • @R_u-n-
    @R_u-n-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다들 말들이 많은데 조기경보기 레이다는 어떤거요??? 에이사 같은건가요?? 정작 중요한 그게 어떤건지는 얘기가 없어요.

    • @R_u-n-
      @R_u-n-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대충 뭐 이런거다라고도 얘기가 없으니 원..

    • @user-ue9kw9lo5y
      @user-ue9kw9lo5y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국이
      유럽제
      전자전 장비를 구입하지 않을까요?
      쓰레기를

      외국에서 수입합니까..😢😮😂

  • @user-rp3je3ps2x
    @user-rp3je3ps2x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퇴출 단종기종
    가동울 비용등등
    기술이전 갑질 참고
    제외시키길

  • @user-xk8hc4yk3y
    @user-xk8hc4yk3y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 가량을 보고 욕할 시간을 줘서 답글을 남긴다.
    사회자. 지금 뭐하자는 플레인가? 툭하면 패널의 말을 끊고 웃기지도 않는 농담으로 맥락을 끊어버린다.
    무거운 내용을 가벼운 분위기로 정보를 전달하는 목적이었겠지만 정보전달 자체를 막아버렸다.
    그야말로 본말이 전도됐다.

  • @user-ir3ky3xf8b
    @user-ir3ky3xf8b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최근 미국 무역수지가 흑자라서 결국 보잉 살 듯 합니다. 일본이 그런거 처럼여.게다개 사실 이런 무기 도입은 실무진보다 위에 계신분 마음이 크고여...

  • @user-if3so5iu9w
    @user-if3so5iu9w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브로 갑시다
    기술을 배워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