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쪽이 더 증거가 많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길가메시 서사시가 더 오래된 기록으로 창세기에 영향을 미쳤다는 학설은 고고학적 발견과 문헌적 유사성을 기반으로 설득력을 가지지만, 성경 기록과 관련된 고고학적 증거는 주로 이스라엘의 고대 역사와 문화와 연결되기 때문에 단순히 길가메시 서사시의 영향을 받아서 작성된것이 아닌 성경의 신학적 독창성을 강조하는 측면에서는 독립성을 주장하는 이론도 설득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withbard 현대적 기술인 전자기장을 사용하였거나 일차문서 등의 고전적 고고학 영역에서나 수많은 고고학 증거들은 성경의 역사성 증명에 수백년간 엄청난 증거들을 보여줬습니다만.. 고대 근동 신화 텍스트는 그 진위와 출처 등에서 성경의 정확도에 비해서 지나치게 떯어지는 정확도와 신뢰도를 보여줍니다. 아프리카와 고대 근동 신화는 신학으로는 성장 자체가 불가능하고 신화의 언저리에서 극 소수의 학자들이 추측성 기사를 내고 명확하지 못한 결론을 남기고 많이 사라졌습니다. 예를 들어 JEDP이론 등인데 이론 주창자들은 추측하고 사라지기 일수입니다. 정밀한 논쟁을 버기지 못합니다. 더군다나 성경 네러티브는 이러한 고대 근동 신화와 아프리카 우상숭배 신화등에 도전적인 논쟁신학 구조가 포함이 되어 거의 조롱 수준으로 네러티브가 형성이 되고 있는데 이 문학적 구조 영역에서 근동과 아프리카 신화의 내용은 조잡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이 현주소입니다. 이러한 논쟁 구조를 성경에 포함한 이유의 핵심은 이스라엘과 수메르, 힛타이트 등이 같은 셈족 문화권에서 문화 공유 현상이 필수인데 상호 같은 여건에서 시작한 서사 구조가 한쪽은 신화로 머물고 한 쪽은 유일신 사상 체계로 확립된 후 신학으로 넘어가는 고차원으로 길이 갈립니다. 근동의 신은 정액이나, 침으로 세상을 만들었다 주장하죠.
길가메시 서사기 혹은 바빌론의 신화가 성서의 원본이 아니라, 그 시대의 중동인들이 공유하는 가치관과 세계관이 있었고, 이것이 구약성서와 "길가메시 서사시"로 표현된 것이 아닌가 합니다. 뭐가 원본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의미없는 것 같습니다. 원본은 고대중동인이 공유하는 생각이겠죠.
@@daug_jang 고문서비평학문과 고고학에서 일차문서의 위치는 확고합니다. 일차 증거로서의 가치가 실제 보존되지 아니하면 그 증거의 우선 순위는 떨어지게 되는 기본 구조입니다. 일차, 이차 문서나 고고학 유물이 없이 무언가 말한다는 것은 화자의 상상에 근거하는 꼴이 됩니다.
학문적 영역에서 반대 이론은 어떻게 진행되왔을까요? 어는 것이 교리적 고고학적 증거가 더 많을까요?
어느 쪽이 더 증거가 많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길가메시 서사시가 더 오래된 기록으로 창세기에 영향을 미쳤다는 학설은 고고학적 발견과 문헌적 유사성을 기반으로 설득력을 가지지만, 성경 기록과 관련된 고고학적 증거는 주로 이스라엘의 고대 역사와 문화와 연결되기 때문에 단순히 길가메시 서사시의 영향을 받아서 작성된것이 아닌 성경의 신학적 독창성을 강조하는 측면에서는 독립성을 주장하는 이론도 설득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withbard 현대적 기술인 전자기장을 사용하였거나 일차문서 등의 고전적 고고학 영역에서나 수많은 고고학 증거들은 성경의 역사성 증명에 수백년간 엄청난 증거들을 보여줬습니다만.. 고대 근동 신화 텍스트는 그 진위와 출처 등에서 성경의 정확도에 비해서 지나치게 떯어지는 정확도와 신뢰도를 보여줍니다.
아프리카와 고대 근동 신화는 신학으로는 성장 자체가 불가능하고 신화의 언저리에서 극 소수의 학자들이 추측성 기사를 내고 명확하지 못한 결론을 남기고 많이 사라졌습니다. 예를 들어 JEDP이론 등인데 이론 주창자들은 추측하고 사라지기 일수입니다. 정밀한 논쟁을 버기지 못합니다.
더군다나 성경 네러티브는 이러한 고대 근동 신화와 아프리카 우상숭배 신화등에 도전적인 논쟁신학 구조가 포함이 되어 거의 조롱 수준으로 네러티브가 형성이 되고 있는데 이 문학적 구조 영역에서 근동과 아프리카 신화의 내용은 조잡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이 현주소입니다.
이러한 논쟁 구조를 성경에 포함한 이유의 핵심은 이스라엘과 수메르, 힛타이트 등이 같은 셈족 문화권에서 문화 공유 현상이 필수인데 상호 같은 여건에서 시작한 서사 구조가 한쪽은 신화로 머물고 한 쪽은 유일신 사상 체계로 확립된 후 신학으로 넘어가는 고차원으로 길이 갈립니다.
근동의 신은 정액이나, 침으로 세상을 만들었다 주장하죠.
길 가메시는 해평 길씨의 시조가 되시는 분입니다.
길씨 성을 가진 가메시라는 분은 언제 태어나신분인가요? ㅎㅎ
성경학자들이 바빌론 유수때에 창세기를 쓸때 중동신화를 참조해서 쓴것임. 창세기자체가 수메르시놔 이란의 신하를 참조했지
학자들 중에서 어느 근의 주장들인지요? 일차문서 증거는 어떻게 될까요?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길가메시 서사기 혹은 바빌론의 신화가 성서의 원본이 아니라, 그 시대의 중동인들이 공유하는 가치관과 세계관이 있었고, 이것이 구약성서와 "길가메시 서사시"로 표현된 것이 아닌가 합니다. 뭐가 원본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의미없는 것 같습니다. 원본은 고대중동인이 공유하는 생각이겠죠.
@@daug_jang 고문서비평학문과 고고학에서 일차문서의 위치는 확고합니다. 일차 증거로서의 가치가 실제 보존되지 아니하면 그 증거의 우선 순위는 떨어지게 되는 기본 구조입니다. 일차, 이차 문서나 고고학 유물이 없이 무언가 말한다는 것은 화자의 상상에 근거하는 꼴이 됩니다.
인류 6천년설은 파기 되었나요
문명의 시작을 6천년으로 볼수는 있지만, 인류 기원으로 보는것은 타탕하지 않다고 봅니다
파기될 일이 없어요. 그냥 주장일 뿐이지 ~설 을 붙일 만한 것도 아닌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