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가 퇴사하는 진짜 이유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30 พ.ย. 2021
  • '2022 트렌드 모니터' 마크로밀 엠브레인의 윤덕환 이사님 모시고 이야기 나누어 봤습니다.
    기획: 드로우앤드류 @drawandrew / @drawandrew101
    연출: 세진PD @henryvibes2021
    unttd.cc/drawandrew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9K

  • @drawandrew
    @drawandrew  2 ปีที่แล้ว +2201

    오늘도 조용히 회사 단톡방에 영상을 공유해본다. (우리 부장님이 봤으면 좋겠다...)

    • @suuaaa
      @suuaaa 2 ปีที่แล้ว +23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zp7wu9ld5v
      @user-zp7wu9ld5v 2 ปีที่แล้ว +9

      ㅋㅋㅋ앤드류님 이런 센스 너무 좋아요.똘똘하고 예리한 눈과 창의력,발상도~~멋지고.^^
      유튭 채널 중 가장 집중해서 보는 영상들이에요.

    • @rms154290
      @rms154290 2 ปีที่แล้ว +7

      하고 싶다...

    • @user-kt3xw9ic5v
      @user-kt3xw9ic5v 2 ปีที่แล้ว

      ㅋㅋㅋㅋㅋㅋㅋㄲㅋㅋㄱㄱㄲ

    • @okman6277
      @okman6277 2 ปีที่แล้ว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케

  • @eun5875
    @eun5875 2 ปีที่แล้ว +7664

    어린나이에 사회에서 일한 사람인데, 일단 윗사람들에게 뭐만 물어보거나 실수하면 바로 성질을 막 내며 얘기하는게 특징이었어요. 그런 감정은 시간이 지나서 제가 30대가 되었을때도 "처음 온 사람에게 나는 적어도 그렇게 안가르치겠다"라고 생각이 드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그렇게 막 몰아부치듯이 윽박지르면 상대방은 일하는 집중력, 이해하는 강도보다 혼나는거에 더 신경이 쓰이게 되고 쫄게 되서 일생각은 커녕 퇴사가 절실해지겠죠. 어른들이 다 그런 건 아니지만 제발 나이에 맞게 인성도 성숙하셨음 좋겠습니다.

    • @user-lx4qx5dy5r
      @user-lx4qx5dy5r 2 ปีที่แล้ว +1721

      이게 젤 공감됨 모르는걸 물어보거나 잔실수하면 이것도 모르냐 부터 시작해서 성질내며 잔소리 시작 그게 싫어서 내 생각대로하면 왜 안물어보냐로 시작해서 또 성질냄
      진짜 개ㅈ같다 시발

    • @eahc8961
      @eahc8961 2 ปีที่แล้ว +942

      ㅋㅋ 그런 윗사람들도 업무상 실수하는 게 눈에 쉽게 보이면서 한편으론 실수할 수도 있다는 게 충분히 이해되는데 굴복시킬려는 의도인지 하급자들 실수에 굉장히 민감해있음

    • @user-ic6ct3wi1n
      @user-ic6ct3wi1n 2 ปีที่แล้ว +173

      업무상 실수했는데 어이구 잘했구나 하는 사람있나? 돈을 받으면 돈값을하고 남의돈 먹기가 쉬운줄알았나요? 당신 잘못된 업무로 피해가 있을수도있는걸 아셔야지 뭐 학교야? 그냥물어보는데 화를 낼까요? 그냥 평범한 실수인데 화를 낼까요 그 사람이 싸이코가 아닌 이상 자신을 돌아보세요

    • @timeisgold_dud
      @timeisgold_dud 2 ปีที่แล้ว +807

      @@user-ic6ct3wi1n ㅋㅋ네;

    • @AlpinePP
      @AlpinePP 2 ปีที่แล้ว +369

      나이 많은 사람일수록 잘 삐짐;;

  • @JamesC_
    @JamesC_ 2 ปีที่แล้ว +5847

    댓글 보다가 심히 공감가는 내용이 있네요. 중소기업 문화 중에서 야근하면 일 잘하고 헌신한다는 생각을 가진 분들이 정말 많은데... 크나큰 오해입니다. 근무시간 안에 일을 효율적으로 끝내고 가는게 기업과 개인 모두에게 이득이에요....

    • @user-ln8sl9hz4r
      @user-ln8sl9hz4r 2 ปีที่แล้ว +836

      크나큰 착각이신게 중소기업일들은 근무시간안에 효율적으로 끝내고 그런 개념이 아님 ㅜㅜ

    • @gm-nu8qk
      @gm-nu8qk 2 ปีที่แล้ว +81

      대기업 중소기업 다 똑같은데

    • @user-ks2qk5pi1m
      @user-ks2qk5pi1m 2 ปีที่แล้ว +933

      저는 야근 자주하는 편인데, 인정받고싶은 생각 1도 없음. 일이 너무 많아서 감당이 안되서 할 뿐이지. 근무시간안에 끝낼수 없는 일을 던지니 야근을 부득이하게 하는 경우도 태반임.

    • @hoyajeong8225
      @hoyajeong8225 2 ปีที่แล้ว +127

      허슬하는 분들이 최고의 효율로 야근까지 하고 가시기에 굴러가죠.. 대학 조별과제랑 다르지 않음

    • @user-rm6rq5bu9k
      @user-rm6rq5bu9k 2 ปีที่แล้ว +20

      대기업도 그런데...

  • @sellandbuyedu
    @sellandbuyedu 2 ปีที่แล้ว +595

    공감이 많이 되네요~ ^^ 새로운 시각을 하나 배운것 같아요
    그 세대의 문화와 취향만 보는게 아니라 부모 세대와의 관계까지 고려하시는게 특히 인상깊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duqduqduq1
    @duqduqduq1 2 ปีที่แล้ว +381

    일은 병신같이 시키면서 돈도 병신같이 주니까 퇴사하지. 세상과 물가가 바꼈는데 일하는 방식과 페이가 그대로면 그 회사가 경쟁력이 있겠냐 바로 손절이 답이지. 40대 초반인데 객관적으로 보면 세대간 특성이 문제가 아니라 회사 돌아가는 꼬라지가 문제임. 특히 젊은 인력들 혹사 시켜서 자리 유지하려는 회사 좀 먹는 꼰대들 ㅉㅉ

    • @user-fd7tu2pj5d
      @user-fd7tu2pj5d 2 ปีที่แล้ว +13

      ㅅㅂ 수 많은 댓글들 중에 제일 공감

    • @Missionteam101
      @Missionteam101 2 ปีที่แล้ว +3

      이게 리얼 현실

    • @user-pu5br8dq3e
      @user-pu5br8dq3e 2 ปีที่แล้ว +3

      사이다 ...

    • @user-po5gd9fu4u
      @user-po5gd9fu4u 2 ปีที่แล้ว +5

      와..좋아요 왠만하면 안누르는데 이글보고 뭉클..

    • @user-bc8tr8vb7b
      @user-bc8tr8vb7b 2 ปีที่แล้ว +1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이 댓글 그대로 말해도 못알아 쳐먹는 꼰대들 많습니다. 이게 정답이죠

  • @zzanguya
    @zzanguya 2 ปีที่แล้ว +2218

    M과 Z세대는 확연히 다르다는거 진짜 공감.. 5년만 차이나도 가치관과 양육환경이 생각보다 많이 다름.

    • @MerryGoRound-we3gy
      @MerryGoRound-we3gy 2 ปีที่แล้ว +73

      Mz중간에 있는 세대인데 둘다 느껴봐서 혼란스러움

    • @1278sk
      @1278sk 2 ปีที่แล้ว +61

      90~91년생까지가 딱 커트라인이라고봄.

    • @kwak1696
      @kwak1696 2 ปีที่แล้ว +129

      ㄹㅇ mz묶지말아주라

    • @user-sw6ks8lv1v
      @user-sw6ks8lv1v 2 ปีที่แล้ว +178

      @@kwak1696 2222 묶지말아야지 15~20년이 같은세대라는게 말이되나

    • @user-ge7rm6zx3i
      @user-ge7rm6zx3i 2 ปีที่แล้ว +93

      나 99인데 02년생 이런애들만봐도 차이확남ㅋㅋ

  • @user-gd7ud3np5w
    @user-gd7ud3np5w 2 ปีที่แล้ว +3543

    이걸 MZ세대보다 MZ세대와 마주하는 사람들이 더 봐야하는데

    • @fringggggg
      @fringggggg 2 ปีที่แล้ว +43

      정말요 ㅋㅋㅋㅋ

    • @ssamssamuk
      @ssamssamuk 2 ปีที่แล้ว +13

      ㅋㅋㅋㅋㅋㅋㅇㅈ

    • @sonyeosh
      @sonyeosh 2 ปีที่แล้ว +12

      하..제발요ㅠ

    • @vividarchi
      @vividarchi 2 ปีที่แล้ว +145

      그런사람들은 정치뉴스보러갔음ㅋㅋ

    • @kima1529
      @kima1529 2 ปีที่แล้ว +6

      동감...

  • @bhp3954
    @bhp3954 2 ปีที่แล้ว +103

    요즘 애들은 돈독이 올랐다 = 우리때는 젊은 애들 노동착취는 당연했는데 요즘애들은 정당한 보수를 다 받으려한다

    • @user-en4sd8jm7b
      @user-en4sd8jm7b 2 ปีที่แล้ว

      ㄹㅇㅋㅋㅋㅋ

    • @user-se6ub6zd8u
      @user-se6ub6zd8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군대 월급 올려봤자 최저에도못미치는데 발작하는거보면 그냥 노예마인드가 기본이야.
      그대로 니들 자식한테물려주라해 난 내자식은 노예아니라서 ㅋ

    • @user-su3xd7hz9u
      @user-su3xd7hz9u 18 วันที่ผ่านมา +2

      정당한보수?? 그건 니들이 니들을 과대평가하는거지 법만 아니면 최저시급도 아깝다

  • @JJ-qj8hl
    @JJ-qj8hl 2 ปีที่แล้ว +640

    30대 후반의 자영업자인데 10대부터 60대 까지 고용하고 있는데 정말 공감하는 내용이 많습니다. 고용주 입장에서 항상 공부해야합니다. 개인의 문제로 치부하기에는 세대별로 자라온 환경, 교육 전부 달라서 사고방식 자체가 다른경우가 많아요~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 @user-fy6im7tj8x
      @user-fy6im7tj8x 2 ปีที่แล้ว

      나이가 어릴수록 날먹충 + 무개념 + 무책임이
      계왕권마냥 배로 증가함
      예전이나 군필이였지 지금은 군필도 나이 어리면 의미없고 여자들은 20대에서는 거즘 노답이고
      남자들은 그래도 26,7 넘어가면
      그나마 괜찮아지기 시작함
      차라리 외국인들이 더 났습니다
      추노짓하는것은 어차피 같아요
      다만, 외국인들은 노동청이나 위생과 고발은 안함
      하지만 한국놈들은 조금이라도 트러블이 있어서
      그만두면 무조건 신고함
      나는 허위로 월급미지급 신고도 당해봄 ㅋㅋㅋㅋ
      지가 추노해서 잠수타놓고 노동청에
      돈 안줬다고 고발함 ㅋㅋㅋㅋㅋ
      나는 빨리 ai + 로봇등이 더욱 발전했으면
      좋겠음
      그래야 한국놈들 나중에 일자리 없어지면서
      자연스럽게 3d로 몰리게되어있음
      3d가 페이는 보장되는곳이 많으니
      저도 자영업하면서 10대 학생부터 60대 및 각종 외국인들
      고용해본 결과입니다

    • @uoppeueod7753
      @uoppeueod7753 2 ปีที่แล้ว +30

      마인드가 성공하실, 성공하신 분이시네요 더 번창하시길

    • @user-dy2me8kk5c
      @user-dy2me8kk5c ปีที่แล้ว +9

      저렇게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과 같이 일하는게 쉬운게 아닌데 대단하시네요.

    • @user-iv4rp6ed4q
      @user-iv4rp6ed4q ปีที่แล้ว +4

      이런 분을 사장으로 삼아야 함 ㄹㅇ

    • @Roblox___number1
      @Roblox___number1 ปีที่แล้ว +2

      이런분 밑에서 일하면 일할 맛 나겠다

  • @user-lq2xe9de2c
    @user-lq2xe9de2c 2 ปีที่แล้ว +2074

    마지막에 동료를 만들어주는 경험을 제공해주는 것..
    너무 공감됩니다.
    경력이직으로 직장을 옮겼을 때
    공채기반으로 되어 있던 그 회사에서
    알 수 없는 소외감은 업무에서 문제 없었던 나에게
    자신감을 계속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왔던 것 같아요.
    회사에서는 그 부분에 대한 고려가 계속 없다보니
    저는 어울리려고 해도 어울리지 못하고
    혼자 겉도는 상황이 생기더라구요..
    그 와중에 몇분이 먼저 다가와주셔서 이야기도 걸어주시고 함께 해주시려고 하는 모습에 얼마나 감동이던지 ㅠㅠ 참 별게 아닌거 같이 보일 수 있지만
    어딘가에 소속감과 유대감이 생긴다는 건 정말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해요.

    • @luna-ne4mk
      @luna-ne4mk 2 ปีที่แล้ว +20

      공감합니다 ㅜㅜ

    • @pinkdumbvenom
      @pinkdumbvenom 2 ปีที่แล้ว +98

      뭔가 같은 회사에서 일한다는 소속감과는 별개의 또다른 소속감..ㅠ

    • @fieldkim1901
      @fieldkim1901 2 ปีที่แล้ว +6

      공감합니다..

    • @TheJoker-bz8jn
      @TheJoker-bz8jn 2 ปีที่แล้ว +4

      공감합니다

    • @user-jb3ip8wx8c
      @user-jb3ip8wx8c 2 ปีที่แล้ว +4

      공감해요ㅜㅠ

  • @A_SMR
    @A_SMR 2 ปีที่แล้ว +1871

    회사가 변해야 합니다. 무조건 9시출근,6시퇴근이면 누가 열심히 하나요? 시간만 때우다가 가는거지...
    야근 좋아하는 중소기업 문화도 문제죠 회사에 남아있는다고 일을 하나요? 그냥 빨리 할 수 있는 일을 눈치보면서 천천히 할 뿐입니다...
    제발 사무실에 오래있어야 일한다는 생각은 그만하세요
    시간을 적게 쓰고 일처리하는게 회사든 직원이든 서로에게 좋습니다

    • @TV-eu8vu
      @TV-eu8vu 2 ปีที่แล้ว +22

      저는 아침7시 40분 출근에 저녁 기본8시 늦으면 9시반 입니다,,,, 중소기업입니닷,,,,

    • @user-mj6ki8tt8b
      @user-mj6ki8tt8b 2 ปีที่แล้ว +96

      그래서 저희 아빠는 직원이 업무할당량보다 더 많이 하면 보너스를 주거나 다음해에 연봉을 올려줘요. 이러한 성과급이 있으면 좋은것 같아요

    • @owleyez
      @owleyez 2 ปีที่แล้ว +124

      결과중심이라야죠. 그냥 저는 천재가 좋고 일잘하는 사람이 좋습니다. 일한시간 자랑하고 야근이 무용담인 사람말고.

    • @A_SMR
      @A_SMR 2 ปีที่แล้ว +100

      @@owleyez 야근 많이 하는걸 자랑스럽게 생각하는게 참 신기하더군요

    • @user-pl8pi9qn7e
      @user-pl8pi9qn7e 2 ปีที่แล้ว +30

      야근많이 한다고 실적이 좋은게 아닌데, 휴가도 눈치주고 ,,,

  • @bodybalance153
    @bodybalance153 2 ปีที่แล้ว

    좋은 내용이네요
    잘보고갑니다~!

  • @brie_story
    @brie_story ปีที่แล้ว +66

    제가 33살인데 이래서 회사를 오래 다니고 있는 것 같아요... 회사에서 권한을 많이 주고 코로나 이후로 계속 재택근무 유지해주고 마감기한만 잘 지키면 언제 일을 시작하건 크게 터치를 안 해서, 월급이 많지 않더라도 이런 환경 안에서는 계속 다니고 싶더라구요. 이 영상도 공감되는 부분이 정말 많네요!

  • @hiller3452
    @hiller3452 2 ปีที่แล้ว +556

    출근만으로도 교통비+준비시간+특히 체력소모가 심했는데 재택근무늘 이런소모가 없다는게 좋아요

    • @woochoiwoo
      @woochoiwoo 2 ปีที่แล้ว +122

      진심 지하철 사람 꽉 차있는 공간에서 출근하다가 눈 떠서 바로 노트북 키면 되는것 넘나 환상이요ㅋㅋ

    • @woodland285
      @woodland285 2 ปีที่แล้ว +115

      최소의 품위유지비도 덜들어서 좋아요

    • @user-rm6td5qs5h
      @user-rm6td5qs5h 2 ปีที่แล้ว +51

      이게진짜.. 4시간 근무하는 알바하는데도 준비+왕복 2시간이 걸리니까 할만은한데 퇴근하면 지치는건 매한가지더라고요

    • @user-bq8ff1gx7b
      @user-bq8ff1gx7b 2 ปีที่แล้ว +6

      재택근무 추천쫌요ㅜ

    • @user-vi9pr3lu9t
      @user-vi9pr3lu9t 2 ปีที่แล้ว +20

      출근시간때 버스안 가득찬거보면
      끔찍함
      회사는 무조건 통근버스나 자차로출근해야됨

  • @687potter
    @687potter 2 ปีที่แล้ว +220

    마지막이 핵심이었다… 요새는 모두 퇴사, 회사를 떠난 얘기에만 집중하지 조직생활에 어떻게 잘 적응해서 즐겁게 진취적으로 일하는 지에 대한 유튜브는 많이 안 보이지.. 인기가 없는 것 일 수도 있고.. 하지만 오히려 이런 부분도 집중해서 봐야 한 쪽으로 치우진 생각을 갖지 않을 것 같다.

  • @user-gy5mi6pe2m
    @user-gy5mi6pe2m 2 ปีที่แล้ว +35

    월급 많이줘도 못잡는다... 줘봤음?
    물가 오른만큼만 줘봐 하나 안하나
    대기업도 초년생 연봉3300이상 준다는 소리를 15년전에 들었는데 지금도 3300으로 주더라
    물가가 두배 정도 올랐는데 7천만을 초봉으로 줘봐 서로 한다카지

  • @user-im8oz6ys3o
    @user-im8oz6ys3o 2 ปีที่แล้ว +103

    와 진짜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어요. 94년생 밀레니얼 세대로서 이해 잘해주시고 조언들도 해주셔서 감사하구 앤드류님도 잘 짚어주시고 좋은 질문 많이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steady1986
    @steady1986 2 ปีที่แล้ว +683

    코로나 시즌에 취업한 사람들이 오히려 조직에 적응을 잘 못할 수있다는 거 공감이 가네요! 위드콜나z세대 신입사원으로서 회사 내에서 여러 활동들 할때마다 적극 참여하는것도 향후 조직 적응력을 키워가는데 큰 도움이 될것같네요! 12/1부터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zg4iu7vb4i
    @user-zg4iu7vb4i 2 ปีที่แล้ว +66

    인터뷰 내용이 너무좋아요! 책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정도로ㅎㅎ 작가분도 말씀 넘 재밋게하시고 내용도 유익하네요. 저도 마지막에 나온 얘기가 많이 와닿아요, 그래서 유튜브에서 프리랜서로 성공하신 분들 얘기도 많이 보지만 아무튼 출근 같은 프로그램 보면서 다른분들은 어떻게 회사생활 하시고 계신지도 유심히 본답니다~ㅎㅎ 왕공감이엇어요!

  • @user-ch8qm9vk7r
    @user-ch8qm9vk7r 2 ปีที่แล้ว +44

    솔직히 트렌드관련 책들 가끔 좀 맞지않는다고 생각해서 뭔소리냐 현실이랑 안맞잖아 싶은 책도 있었는데 윤덕환 이사님 설명듣고 놀랐어요. 깊은 이해를 하고있으신게 대단하고 M세대인 저는 저희 세대를 이해해주시는 윗세대의 분이 있다는게 위로도 되네요. 꼭 책도 읽어보겠습니다.

  • @JDNEVERDIE
    @JDNEVERDIE 2 ปีที่แล้ว +370

    퇴사 고민중인 4년차 직장인인 M세대 입니다. 사람들도 좋고 업무 강도도 그렇게 쎄지않고 그냥저냥 다닐만한 회사였는데 요즘 심각하게 퇴사를 고민하고 있어요. 근데 영상을 보니까 이유를 알겠네요... 일단 저에게 통제권이나 주도권 없이 의미없는 일을 계속하는 것 같아서 책임감도 성취감도 못느끼고 있는 게 제일 큰 것 같아요. 이 곳에 버리고있는 제 시간과 인생이 너무나 아까워요. 당장 그만둬도 입에 풀칠은 할 수 있으니 올해는 꼭 퇴사하고 제가 하고싶은 일 공부해서 그걸로 성공하고싶어요. 좋은 영상 감사해요!

    • @cityvelo3600
      @cityvelo3600 ปีที่แล้ว +10

      그런 직장이 과연잇을까요 실수한번에 작은회사들은 무너집니다..

    • @user-uh5im5vd9o
      @user-uh5im5vd9o ปีที่แล้ว +21

      이게 M세대의 개념상태다. 입사하자마자 통제권이랑 주도권을 달란다. ㅎㅎㅎㅎㅎㅎㅎㅎ

    • @rainwinter6179
      @rainwinter6179 ปีที่แล้ว +2

      ㅋㅋㅋㅋ

    • @user-hj7iw6ev5u
      @user-hj7iw6ev5u ปีที่แล้ว

      @@rainwinter6179 ?ㅋㅋ왜웃으세여?

    • @PLVYONI
      @PLVYONI ปีที่แล้ว +47

      @@user-uh5im5vd9o 지금 입사 4년차신데 초반엔 괜찮았는데 요즘에 퇴사생각이 계속 든다고 하시는거보면 4년차인데도 결정권이 없어서 그런것같은데요. 큰건은 몰라도 작은건은 스스로 결정할수 있는 연차라고 생각하는데.. 4년차가 입사하자마자 인가요?

  • @cculsss1996
    @cculsss1996 2 ปีที่แล้ว +80

    사람이 좋으면 어떻게든 버티는거 같아요. 저도 이직 몇번하고 지금 회사에는 적응해서 오래 다니는중인데, 복지나 월급, 워라벨 다 전 회사가 훨씬 좋았어요. 하지만 전직장은 성과압박이랑 상사들 막말때문에 스트레스를 너무 받아서ㅠ 이직하고나서 근무시간도 늘고, 월급도 줄었지만 동료랑 상사들이 다 넘 좋은분들이라 전회사보다 스트레스를 훨씬 덜 받았어요. 회사가 맘에 안드네 어쩌네해도 굶어죽지 않으려면 결국에는 어디에서든 적응하고 일해야하는데, 그 기준이 예전처럼 돈이 아닌것 같아요. 누구는 워라벨이고, 누구는 복지고, 저는 사람이었고

  • @user-wq9re9nh5s
    @user-wq9re9nh5s 2 ปีที่แล้ว +175

    회사 생활이 힘들어서 그런 것도 있지만..
    제가 느끼기에 가장 큰 문제는 이 회사가 나아질 거(월급, 복지, 업무량,근무자의 역량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여부 등)라는 기대감이 없어지는 게 젤 큰 거 같아요.
    그리고 저희 부모님 세대를 보면서 회사에 충성한들 회사가 우리를 끝까지 챙겨주지 않는다는 것도 너무 많이 봤고요.
    mz세대가 선택권을 중요시 여긴다고 하는데 전 모르겠어요.
    솔직히 회사의 무언가를 바꿀 수 있다는 게 권한만 늘어나는 게 아니고 책임도 엄청나게 늘어난다는 뜻인데 책임 지는 게 늘어나면.. 오히려 요즘 시대에 그게 맞나 싶긴 해요..
    책임자만 뒤집어 쓰는 경우가 태반이 되는 세상 아닌가요?

    • @syh1122
      @syh1122 ปีที่แล้ว +2

      너무 공감해요

    • @user-xt8kc5lt2p
      @user-xt8kc5lt2p ปีที่แล้ว +1

      격하게 느끼중입니다. 문제발생에대한 책임을 온전히 저야하고, 회사는 꼬리짜르면그만이라는 식으로 가니 하루빨리 환승이직생각밖에 없네요

  • @KL_ruru
    @KL_ruru 2 ปีที่แล้ว +156

    제 첫 직장의 퇴직 사유는 경리 직원의 실수 때문인데요.
    신입이였던 시절, 5년차 과장님의 월급을 알게되었습니다.
    딱 30만원 차이더군요.
    월급도 월급이지만, 나의 미래 생활을 이 회사는 보장을 절대 해주지 않겠구나 싶어서 퇴직을 했었죠.

    • @user-rl5dy5vq3b
      @user-rl5dy5vq3b 2 ปีที่แล้ว +12

      회사는 개인의 미래를 책임져주지 않죠.. 개인이 회사를 다니는 이유는 자아실현이 아닌 월세와 도시가스 전기세 핸드폰요금 그리고 식비 때문에 다니는거죠.. 먹고 살아야 하니깐..

    • @user-bi5jc3go3i
      @user-bi5jc3go3i 2 ปีที่แล้ว

      과장이 똥짬일 가능성도 있음

  • @skaska12345
    @skaska12345 2 ปีที่แล้ว +1085

    회사생활에 적응을 잘한 사람의 이야기를 심층적으로 들어볼 기회가 없었다는 걸 이 영상을 보고 깨달았습니다...
    앤드류님 이사님의 조언에 따라 그런 영상 한번 기획해주세요!!

    • @what2958
      @what2958 2 ปีที่แล้ว +3

      깨달

    • @user-oo2ys2ly7d
      @user-oo2ys2ly7d 2 ปีที่แล้ว +4

      사회생활과 직장생활은 낭만이 아니란다 게으른 것들아 ~그냥 그렇게 살고 싶으면 니가 능력을 쌓고 프리랜서로 살어 그럼 돼 ^^
      지 능력이나 노력이 부족한 건 생각 안 하고 환경탓만 하고들 있네

    • @user-wf3xq9jq4n
      @user-wf3xq9jq4n 2 ปีที่แล้ว +17

      @@user-oo2ys2ly7d 문맥에 맞는 댓글인가?

    • @ZIALlU
      @ZIALlU 2 ปีที่แล้ว +3

      @@user-oo2ys2ly7d 울부모님은 아조띠같지 않아서 넘 다행이에요ㅠ

    • @user-oo2ys2ly7d
      @user-oo2ys2ly7d 2 ปีที่แล้ว +1

      @@ZIALlU 음 그래여 밖에 나가면 더 할 수도 ~
      당신은 그렇게 생각 안해도 다른 집 자식들은 님 부모님의 말 한 마디 한 마디를 잔소리나 꼰대짓으로 생각할듯

  • @timefree_
    @timefree_ 2 ปีที่แล้ว +703

    퇴사자가 아니라 적응 잘한 사람 인터뷰라니...!
    역시 경험에서 나오는 조언들은 새겨들어야겠어요

    • @JenLee-hr2xz
      @JenLee-hr2xz 2 ปีที่แล้ว +9

      진짜 감탄했어요

    • @PARELOL
      @PARELOL 2 ปีที่แล้ว +11

      맞습니다.. 항상 퇴사브이로그, 인터뷰만 많지 조직내에서 잘 적응한사람 인터뷰는 본적이없네요

    • @dri13829
      @dri13829 2 ปีที่แล้ว +27

      @@PARELOL
      왜냐면 잘 적응한 사람은 회사 업무 하느라 그런거 찍어서 편집하고 올릴 시간이 없기 때문임.
      가끔 취미 생활 영상은 올릴 수 있어도 일상 vlog 찍어서 올릴 시간이 어디 있음 일 하기 바쁜데.

    • @PARELOL
      @PARELOL 2 ปีที่แล้ว +3

      @@dri13829 이 댓글적을때 취준생이었는데ㅋㅋㅋㅋㅋ 두달뒤 직장 점심시간에 답글을 보네요. 진짜 공감합니다 너무바빠서 하루하루 챙기기바쁘네요

    • @PARELOL
      @PARELOL 2 ปีที่แล้ว +3

      좋아요 알림이 자꾸와서 일기마냥 적습니다..하 적응은잘했는데 회사에 너무 과몰입해서 나를 잃어버리는 느낌

  • @wwhh7263
    @wwhh7263 2 ปีที่แล้ว +39

    저도 20대중반이고 대기업을 2년 전쯤 퇴사했었는데 말씀하신 내용이 정말 공감이 가고 흥미롭네요
    그 당시에 이런 걸 봤으면 제 상황이나 마음을 이해하는데에 더 도움이 됐을 거 같네요 ㅋㅋㅋㅋㅋ ㅠㅠ 영상 얘기가 너무 좋네요 잘봤습니다!!!

  • @kingpin666
    @kingpin666 ปีที่แล้ว +5

    제일 문제는, 회사를 위해 희생을 강요하는데 ' 굳이 왜? ' 라는 생각 딱 듬. 굳이 쓸대없는 부조리 에 복종을 강요함.

  • @user-cf3kz5fl5l
    @user-cf3kz5fl5l 2 ปีที่แล้ว +211

    지금까지 본 영상들 중에 가장 공감이 많이 되는 영상인 것 같아요! 물론 투자나 이런 부분도 중요하지만 지금 내가 겪는 현실을 풀어내서 말로 설명해주시니 최근 느껴온 감정과 해온 과정들이 스스로도 더 잘 이해되는 것 같아요.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 @Sophy891026
    @Sophy891026 2 ปีที่แล้ว +794

    퇴사율이 높아지면 돈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4050들이 제발 이 영상을 보고 깨달아주셨음 좋겠어요. 사람적인 부분이 높고 일의 의미가 중요하다는걸..

    • @justinkim5640
      @justinkim5640 2 ปีที่แล้ว +41

      더큰 문제는 이런 상황을 보고도 이해 못한다는 것이죠...

    • @THEBASKETBALLRUSS
      @THEBASKETBALLRUSS 2 ปีที่แล้ว +15

      근데 금융치료가 제일 잘먹히긴합니다

    • @user-ze6jp7kq6b
      @user-ze6jp7kq6b 2 ปีที่แล้ว +31

      꿀빨이 4050들은 절대이해못함 ㅋㅋ

    • @Seika_park
      @Seika_park 2 ปีที่แล้ว +14

      근데 웃긴건 30대 들은 돈 많이줘도 조까트면 사표집어던지는데 20대들은 돈 많이주면 다님ㅋㅋ

    • @Aaaaaa123rakdjckee
      @Aaaaaa123rakdjckee 2 ปีที่แล้ว

      돈이 크죠

  • @cheolkwak7378
    @cheolkwak7378 2 ปีที่แล้ว +50

    30대 중반 이직 고민러입니다. 굉장히 공감되는 부분이 많네요..연봉보다도 업무에 대한 권한과 자율성을 주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 것 같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하고 책도 읽어볼게요

  • @eden9850
    @eden9850 2 ปีที่แล้ว +29

    공감도 많이 되고 새로운 시각을 배워갑니다. 특정 세대를 이해할 때 그 세대의 문화와 취향만 보는게 아니라 부모 세대와의 관계까지 고려하시는게 특히 인상깊네요!

  • @user-tj6kz2rf3b
    @user-tj6kz2rf3b 2 ปีที่แล้ว +57

    진짜 많은 회사의 부장급 차장급이 봐야 하는 영상입니다
    교육자료로도 써야 할것 같아요
    30대 초중반인데 주변 가장 힘들어 하는건 인간관계입니다
    더불어 성장이 아닌 자기 밥그릇 지키키에 급급해서
    일을 위한 일을하고 험담을 하고 정치를 하고...
    이런 부조리는 당신들 세대에서 끝내야 합니다 정말

  • @mmlc7862
    @mmlc7862 2 ปีที่แล้ว +46

    앤드류님 영상 오랜만에 와서 보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양질의 컨텐츠가 올라오는 것 같아요!
    퇴근 후 가벼운 마음으로 클릭한 영상이었는데 굉장히 흥미롭게 보고 책 사러 갑니다. 이런 이야기들을 이렇게 편하기 들을 수 있다니 참 감사해요!

  • @jinglejinglehan
    @jinglejinglehan 2 ปีที่แล้ว +25

    우선 '못버틴다'라고 표현하는것 자체에서 이미 생각이 전혀 다른것같아요. 부당함을 부당하다고 말못하던 세대에서 부당한 것을 부당하다고 말하거나 바뀌려는 의지가 있고, 안되면 피할수 있는 세대가 된거죠. 부당한것을 참고 버티는것이 상책이 아니잖아요. '못'버티는게 아니라 버텨주면 안되는 겁니다. 악습은 끊어야죠

  • @커밍쏜
    @커밍쏜 ปีที่แล้ว +21

    퇴사 1개월 차입니다
    30대 중반 살고 싶은 라이프가 있어 퇴사를 결정하게 됐습니다
    하루하루가 불안하지만 너무 행복합니다
    내가 하는 일이 나에게 쌓이고, 내가 원하는 커리어를 쌓는다는게
    핵심인 것 같아요..
    세상엔 많은 시선들이 있겠지만. 나다운 길에서 행복을 찾아보겠습니다

  • @user-je3pw4il4g
    @user-je3pw4il4g 2 ปีที่แล้ว +79

    이번에 취직하게 되서 공감되는 부분이 많아서 더 공감되고 재밌었던거 같아요 정말 반대로 직장생활 적응 완벽히 하신 분(계시다면;)의 의견도 궁금하네요 ㅋㅋㅋㅋㅋㅋ

  • @FQ_lemon
    @FQ_lemon 2 ปีที่แล้ว +541

    41살 조리사였던 사람입니다
    mz세대가 퇴사하는이유는
    그들이아니라
    꼰대같이 나만 살면돼 하면서
    오너들의 갑질이나 불이익도
    아무말없이 버티고만있는
    그 들이 더문제입니다
    아무리 개선하려해도
    그들이 막아서고 있는한
    변화는 쉽지않더군요
    이제 저는 조리일을 그만두고
    귀농을 택했지만
    아직 현역에서 일하시는분들은
    조금더 나은환경이 되었으면합니다

    • @user-pu5br8dq3e
      @user-pu5br8dq3e 2 ปีที่แล้ว +42

      정말 조리사란 직업내에도 심각하죠 특히 호텔 주방 ㅠㅠ 신입들이 적응못하는 이유를 무작정 신입한테만 찾으니.. 더 도태되고 ..

    • @user-ix6sl8ue8y
      @user-ix6sl8ue8y 2 ปีที่แล้ว +41

      조리사 딱 자기 입에 풀칠하고 살정도 돈 벌지만 육체적 정신적 고통이 직업 탑급이라고 할수있음 요리를 정말 사랑하고 뜻이 있어 목표가 있는거 아니면 절대 하지말아야 할 직업

    • @user-rm1ve3ti8b
      @user-rm1ve3ti8b 2 ปีที่แล้ว +6

      제가 군대있을때 손목 파손되서 나왔는데 조리사는 꿈도못꾸겟더라구요 취사병했었는데 대인용 요리하게되면 손목이 너무아파서 ㅜ 생각보다 무거운것도 많이들고 주방열기랑 쾅쾅거리는 소리때문에 예민해져서 못하겠어요 조리사 진짜 힘든직업임

    • @user-bq8km6uk7c
      @user-bq8km6uk7c 2 ปีที่แล้ว +2

      맞아..

    • @user-lg5ml7bx7b
      @user-lg5ml7bx7b 2 ปีที่แล้ว +4

      이것도 공감.ㅠㅠ 다같이 바뀌어야되지 않을까요..

  • @user-lf5yk6uv7c
    @user-lf5yk6uv7c 2 ปีที่แล้ว +27

    와 진짜 이거네요!! 자기 마음대로 세팅할 수 있는 환경이였다.. 맞아요 저도 회사가 안 맞는게 이 이유같아요ㅠㅠ 그래서 지금 영어 학원에서 영어 가르치는데 원장님이 크게 신경 안쓰시고 제 마음대로 해서 좋아요 ㅋㅋㅋㅋㅋㅋ

  • @yyyyyy5551
    @yyyyyy5551 ปีที่แล้ว +14

    진짜 인정합니다, 제가 의견 내세우면 그건 ~ 해서 안되지 않나? 그렇게 하면 힘들텐데, 라고 제 의견이 부정적인면으로 자꾸 받아지니 회의 시간에도 함부로 의견도 못세우고 높은 직위 분들 의견에만 고개 끄덕이고 그러다 보면 이 회사에 애정심도 떨어지고 일에 대한 열정도 떨어지더라구요ㅠ 어린 친구들이 의견을 내세워도 긍정적이게 ( 오 이건 괜찮은 방법인거 같아~ 이걸 좀더 방안해서 ~ 하는 방식으로 가봉까? ) 이렇게 순환 시켜준다던지 해주면 뿌듯함도 생기고 그래질듯 ㅠ

  • @user-tv5vt8ll2x
    @user-tv5vt8ll2x 2 ปีที่แล้ว +58

    12:43 네 제가 바로 그 20학번입니다ㅠㅜㅜ 저는 2년동안 아직도 대면수업 못해봤어ㅇ...
    사회초년생의 관점에서 말씀해주셨지만 2020년에 대학 입학을 한 저의 관점도 그와 별반 다르지 않다고 느꼈어요. 고등학교에서 대학교로 나의 사회생활의 범위가 더 넓어져야 하는데 갑자기 어이없게 확 좁아져버린 느낌이에요. 근데 그와중에 이제는 취업/직장이라는 더 큰 사회생활을 준비해야하니 이게 맞나...? 싶더라구요.

  • @empty_7027
    @empty_7027 2 ปีที่แล้ว +196

    퇴사의 이유가 여러 가지 이유겠지만, 상사후임 통틀어 직장동료와 합이 잘맞으면 경제적인 이유가 아니라도 퇴사율이 현저히 낮아지는게 팩트.

    • @user-vo8xn7up1f
      @user-vo8xn7up1f 2 ปีที่แล้ว +30

      사회에서 만난 사람들은 서로 존중하는게 당연한건데 군대의 수직구조를 격하게 경험하고 오신분들이라 그런지 아니면 학교에서부터 이미 다 형성되어온건지 몰라도 자신의 위치에 대한 권위를 너무 중요하게 생각함 당연히 무시하는건 혼내고 화내야하지만 어떤 액션을 취하기 전부터 이미 권위를 주장하는게 지금 mz세대가 거부감을 느끼는 이유일듯

    • @sports-allday
      @sports-allday 2 ปีที่แล้ว

      @@banada098 어차피 2,30대 저들한테 말해봤자 안 듣는걸 알기에 상종을 안하죠

    • @user-en4sd8jm7b
      @user-en4sd8jm7b 2 ปีที่แล้ว

      ㅇㅈ일좆같애도 직장동료만괜찮으면버팀

  • @happypositive6558
    @happypositive6558 2 ปีที่แล้ว +3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두분이 겉으로 보기엔 세대차이가 있어보이지만 공감대 형성이 너무 잘 되는거 같네요.

  • @user-xq5rk3if4w
    @user-xq5rk3if4w 2 ปีที่แล้ว +5

    자라온 환경이 사람의 자립심, 사회생활에 영향을 많이 끼친다는 게 정말 공감갑니다.. 아이들이 1차로 사회생활을 배우는 곳이 가정이거든요 다른 관점에서 보면 유치원 학교보다 가정에서의 교육이 제일 중요하다는 거죠 제 세대만 해도 틀 안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맨발로 밖에 쫒아내져지고 부모님이나 선생님한테 매를 맞는 게 흔한 세대였습니다 지금은 학교에서도 가정에서도 상상할 수 없는 거죠

  • @ttvv9329
    @ttvv9329 2 ปีที่แล้ว +112

    복지도 안좋은데 돈을 적게 주거나 직장 상사가 싸이코거나 계속 야근을 시키니깐 퇴사하지 다른이유가 있나... 시대에 따라 회사도 변해야 하는데 첫회사가 뼈묻회사 충성충성 마인드인 사람들이 죄다 높으신분이 되니까 생각이 부딪힐수밖에

    • @jung_daniel
      @jung_daniel ปีที่แล้ว +1

      능력은 있고?

  • @4LS
    @4LS 2 ปีที่แล้ว +110

    2030에 대한 통찰과 공감 때문에 고개를 끄덕이며 듣게 되네요.ㅎㅎ 마지막에 조언까지 유익했습니다. 트렌드 코리아를 읽고 있었는데 트렌드 모니터 책도 꼭 읽어보고 싶네요!

  • @user-hy8ih6jg6g
    @user-hy8ih6jg6g 2 ปีที่แล้ว +27

    이 영상 너무 공감되네요.. 20살부터 8~9년째 다니고 있던 직장에 회의감이 심해서 사표낼까 고민 중인 입장에서 ... 전권을 주고 몰입감을 줄 수 있게 할 수 있나... 이것이 진정한 민주사회의 조직문화 아닐까 싶네요 ...

  • @kanadian9418
    @kanadian9418 ปีที่แล้ว +11

    회사처음 들어갔는데, 몰르는걸 가르쳐준다기 보다 화를 내고 성질부리고 감정에 상처를 준다면 바로 퇴사하세요. 하루가 아깝습니다. 그런 집단은 즉 '나르시시스트'집단으로 구성 된 회사일 가능성이 100프로 입니다.

  • @j_nyang
    @j_nyang 2 ปีที่แล้ว +229

    와 처음부터 끝까지 엄청 공감가는 영상이었네요. 처음으로 트렌드 책을 사고 싶어질 정도..
    하고 있는 일이 의미도 없고, 점심시간 30분에, 8 to 6 라서 내가 계속 이렇게 살아야하는 건가 회의감으로 매일을 보내고 있는데..그 시간이 너무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요. 월급도 정말 중요하지만 일 자체에서 얻는 보람과 의미, 시간선택권이라는게 참 중요하다고 느낍니다

  • @hailey_1021
    @hailey_1021 2 ปีที่แล้ว +58

    와… 트렌드 코리아만 읽었었는데 트렌드 모니터 꼭 읽어 봐야겠어요. 통찰이 엄청나시네요

  • @swy2797
    @swy2797 2 ปีที่แล้ว +21

    버티다가 공황장애 생기고 만원 지하철로 퇴근하다 발작와서 퇴사....그냥 어릴때 사랑받고 자라고 학교에서도 인간은 소중하고 평등하다 이렇게 배우면서 자랐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걸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정신건강이 많이 망가졌네요. 강인한 친구들은 버텼지만, 저는 많이 아파서 그만뒀고 그 후로 운동도 열심히 하고, 마음 공부도 해서 새로운 직장으로 옮겨 여기서는 마음 굳건히 잘 버티며 밥벌이 하고 있습니다. 퇴사가 꼭 회사의 문제, 그 사람이 부족해서가 아니라...그냥 타이밍일수도 있는거 같아요 그 사람이 아직 사회의 냉험한 현실에 적응할 준비가 덜 된 상태로 사회에 나온거죠...그래서 대학때 많은 알바 등 사회 경험 해보는게 도움이 되는거 같네요.

  • @ounwan
    @ounwan 2 ปีที่แล้ว +2

    와 윤덕환 이사님 통찰력이 어마어마하시네요. 듣다가 탄성이 절로 나왔어요. 감사합니다 mz 화이팅 ㅠ

  • @user-rm6de8cy4g
    @user-rm6de8cy4g 2 ปีที่แล้ว +202

    주도권을 줘서 진짜 3년동안 미친듯이 일했는데
    딱 3년뒤에 내 연봉을 봤는데 너무 처참해서 그만 뒀네요.
    연봉은 상황에 맞춰 올랴줘야 합니다

    • @user-bq8km6uk7c
      @user-bq8km6uk7c 2 ปีที่แล้ว +17

      저도 비슷한 입장인데... 주도권을 주더래도 연봉이 뭐가 중요하냐 햇는데 중요해요..

    • @b79419991
      @b79419991 2 ปีที่แล้ว

      인정

    • @mkkoo3343
      @mkkoo3343 2 ปีที่แล้ว

      근데 연봉을 개인단위로 올려줌? 직급 같고 호봉 같으면 다 같은 돈 주는데

    • @user-ep5ep3js2k
      @user-ep5ep3js2k 2 ปีที่แล้ว

      @@mkkoo3343 직무급제 연봉제 성과급제 처럼 체계에 따라 다를듯

    • @printf1810
      @printf1810 2 ปีที่แล้ว +4

      @@mkkoo3343 그러면 누가 머리쓰고 노력해서 성과를낼까요??? 대충 짬만 차면 열심히하는사람이랑 같은 돈을받는데

  • @user-ht9lk1qh3h
    @user-ht9lk1qh3h 2 ปีที่แล้ว +135

    이번 영상 정말 좋네요. 어쨌거나 계속해서 직장생활을 지속해야하는 밀레니얼 세대로서, 어떤 관점으로 봐야하는지 새삼 느끼게 됐어요. 또 z세대들과 묶이기 힘들다는 사실도 완전 공감합니다.
    조직생활 잘 하는 사람의 인터뷰도 좋은 복지 안에서(는 당연히 만족할 테니까) 근무하는 사람과 평범한 복지 안에서도 정말 일에 대한 보람으로 만족하는 사람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으면 좋겠네요.

  • @k2manbo
    @k2manbo 2 ปีที่แล้ว +2

    영상을 보면서 제일 느꼈던 것이 서로간에 이해를 해주고 그 것을 통해 좁혀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눈 것울 느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es3si8zf8d
    @user-es3si8zf8d 2 ปีที่แล้ว +3

    와.. 진짜 제 알고리즘에 나와주셔서 감사합니다. 배우는 영상같은데 재밌어요.. 사회에 얼마나 무감각했는지 반성하게되네요. 감사함다!

  • @sangdonam758
    @sangdonam758 2 ปีที่แล้ว +36

    코로나로 인해, 원래 회사생활이 이런건가? 라고 생각할 수 있다는 점이 참 와닿네요. 그리고 그 해결책으로 회사내 소통할 수 있는 모임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점도 참 좋습니다.

  • @sakulover3
    @sakulover3 2 ปีที่แล้ว +23

    공감 많이 가는 내용이라 끝까지 스킵없이 다 봤네요^^
    이전에 있던 회사는 분명 대기업에 좋은 복지도 있었지만, 그냥 내가 이 회사의 소모품 이다 라는 생각만 들 뿐이라.. 1년반 정도 일하고
    다른 회사 대표님께 이직 제의 받아 옮기게 되었는데, 지금 회사는 작은 회사에 대기업에 비하면 복지도 아주 좋은편은 아니지만
    제 일에 관해서 제 권한이 분명하고, 제 의견을 경청하고 수용할부분은 수용해주는 대표님이어서 오래 일하게 되는것 같아요!

  • @ho-jeonglee5860
    @ho-jeonglee5860 2 ปีที่แล้ว +16

    정말 유익한 토크였네요.
    30대 초반에 패기롭게 사업을 시도해보고 몇 년 후 폐업도 겪어보고 지금은 월급쟁이를 하고 있다보니 특히 제게 생각을 하게 만든 요소중 하나라면 흔히 `라떼는 말이야~` 라고 하는 부분의 그것에 대한게 유독 많았던 것 같아요. 그것에 대해 나는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는가 부분이 개인적으로 생각의 정리가 된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윗 세대의 그런 부분이 꼰대스러워서 짜증이 난다- 라기보다는 굉장히 어이없고 화가 나는 관점이라고 정리하게 됐습니다.
    현 세대를 사는 나는 다음 세대를 위해서 뭘 해줄 수 있고 해줘야 하는가- 에 대해 좀 생각을 하게 된 것 같아요.
    나와 연결점도 없는 타인을 위해 그저 후배 세대니까... 하며 맹목적으로 그런다기 보다는 떳떳하고 싶다고 생각하게 됐습니다.
    앞선 세대 선배 세대들이 우리 세대와 다른 고생을 한 것은 이해합니다만 공감이 되지 않는 이유는 단지 경험의 차이 때문 보다는 태도가 너무 어처구니가 없다고 느꼈던거 같네요.
    힘들었던 그 고충을 똑같이 겪는게 당연하다는 것인가? 지금 그런 요구를 하는 것인가?
    거기까지 생각하니 끝내 정리 된 것은 '그런 태도를 내가 다음 세대에게 보이지 말아야겠다- 는 당연하고, 뒷 세대에게 부끄러움이 없는 세대가 돼야겠다. 그러려면 뒷 세대가 우리 세대가 겪는 고충들을 아예 못 겪지는 않아도 조금이나마 나은 세상으로 만들 수 있게 힘쓰는게 맞는 것 같다.' 라는 생각이었습니다.
    왜냐하면,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상 이러한 태도를 보이는 선배 세대들은 열에 아홉 뒷 세대에게 도움이 될 만한 것은 하나도 이루지도 노력하지도 못 한 자기중심적이기만 했던 사람들이었거든요.

  • @parkjina7721
    @parkjina7721 2 ปีที่แล้ว +9

    저 또한 MZ세대로서, 현재 특정 세대가 부각되면서 사회에 긍적적인 부분과 트렌드를 가져오는 것도 사실이지만, 윤덕환 이사님의 마지막 말씀을 곰곰히 생각해보니 다각화 된 시각에서 여러 세대를 아우러 보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앤드류님, 윤덕환 이사님 좋은 말씀 너무 감사합니다!

  • @littleforest2020
    @littleforest2020 2 ปีที่แล้ว +37

    문화적 취향은 뒤로 가지 않는다…완전 공감입니다~!!^^

  • @true778
    @true778 2 ปีที่แล้ว +80

    한달, 열흘, 나흘만에 그만두는 신입 막내들 붙잡지못하고 퇴사처리 하면서 내가 했던 고민들입니다.. 팀장님들은 요즘애들 다 그래- 이러고 다시 뽑자시는데 우스개소리로 빚 많은 막내면 좀 다닐 수도 있겠네요 했던게 떠오르네요

    • @user-ff4ok6we2d
      @user-ff4ok6we2d ปีที่แล้ว +1

      일단 요즘 부모들이 끈기있게 안키웁니다.. 누가 힘든일 하려할까요? 요즘 사람들 똑똑 하구요..

  • @boramlee6816
    @boramlee6816 2 ปีที่แล้ว +94

    솔직히 연봉 2400주는데서 일하다가 200이라도 더 준다고 하면 옮겨야 합니다. 그게 맞는겁니다. 내 대우 내 가치 조금이라도 알아주는 곳 찾아나서는게 살길입니다. 요즘 오너들도 그렇게 말해요. 저 20대떄 면접보던 사장님은 여기서 경력 쌓아서...업계 더 큰 곳으로 옮기라고 했어요. 예전처럼 한 회사 머물러서 꾸준히 다니기에는 너무 불안전한 곳이 많고 대부분 나를 부품취급하는 곳이 너무 많습니다. 이제는 이직 많이 한다고 뭐라말할 수 있는 시대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부모님세대떄는 월급적어도 꾸준히 다니면 은행이자가 높아서 구멍가게 회사도 다니면서 차곡차곡 돈모을 수 있었지만 지금 시대는 아닙니다.

    • @user-ux5qf5bx4p
      @user-ux5qf5bx4p 2 ปีที่แล้ว +1

      2400이면 공부를 더해서 본인 스팩을 키워야할것같은데요?

    • @user-kw4dr7lz5y
      @user-kw4dr7lz5y 2 ปีที่แล้ว +1

      @@user-ux5qf5bx4p 인정합니다 2400 이면뭐… 술집 알바수준아닌가요

    • @JJ-ny6yq
      @JJ-ny6yq 2 ปีที่แล้ว +24

      하여간 멍청한 사람들은 글 전체의 내용인 숲을 이해하지 않고 그냥 중간에 자기가 꽂힌 맥락 하나만 물고 넘어짐. 그냥 예를 들어서 연봉 2400을 말한거지 이걸로 댓글까지 달고 앉아있다 진짜 답답

    • @jjeongmi8370
      @jjeongmi8370 ปีที่แล้ว

      맞는말씀입니다

    • @user-mj9hs9vg4r
      @user-mj9hs9vg4r ปีที่แล้ว

      mz세대 꼰대를 나누더니 이젠 2400번다고 지들끼리 물어뜯내 ㅋ ㅋ ㅋ ㅋ ㅋ

  • @user-go8ms7ji8t
    @user-go8ms7ji8t 2 ปีที่แล้ว

    윤덕환 이사님이 진짜 정확하게 잘 파악하고계신거같아요 보는내내 진짜 아 이렇게 잘이해하시는분도 있구나 느끼고 갑니다.

  • @ikelee3624
    @ikelee3624 2 ปีที่แล้ว +45

    근무환경이 70~80년대 인곳이 많아요
    회사가 대기업이든 오래된 중소기업이든
    근무환경이 요즘 시대에 맞지않는 상황이라서
    퇴사와 이직률이 높은겁니다
    아직도 갑질 이랑 폭언이 많으니까요
    근데 퇴사하는 이유가 더 있어요
    나는 여기아니여도 다른데 가면 그만이다~
    하는 생각때문에 쉽게 퇴사를 합니다
    지금 근무하는곳도 5개월째인데
    저 생각때문에 더 좋은곳으로 가고싶어요 ㅋㅋ

  • @user-fi8on1xf1z
    @user-fi8on1xf1z 2 ปีที่แล้ว +70

    30대 초반 직장인인데 정말 공감되는 부분들이 많아요! 이렇게 잘 이해하시고 풀어주시니 더 재밌게 인터뷰봤어요!! 책도 한번 사서봐야겠어요 ^^

  • @Ddddd.0_0
    @Ddddd.0_0 2 ปีที่แล้ว

    아 이번 영상도 너무 재밌어요
    조직 생활에 잘 적응한 사람도 얼른 초대해주세요
    ㅋㅋㅋㅋ너무 기대되요 ㅋㅋㅋㅋ 잘봤습니다!

  • @whathefox624
    @whathefox624 ปีที่แล้ว +4

    마지막에 해주신 이야기가 넘 와닿아요. 유튜브에서 다양한 관점을 보여줬음 좋겠다고. 뭔가 너무 한가지 취향, 가치관, 경험들의 비슷한 분들만 나오는 것 같아요. 그리고 전 어릴때부터 어른들 말은 잘 새겨 들어 나쁠게 없다고 지금까지도 생각하고 있는데 (30살) 어른들을 무조건 꼰대로 칭하는게 좀 안타까움

  • @user-fs1xo8qo7j
    @user-fs1xo8qo7j 2 ปีที่แล้ว +16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트렌드를 알아볼 생각은 못했는데 공부 욕심이 생기네요

  • @hojunjung749
    @hojunjung749 2 ปีที่แล้ว +108

    88년생입니다... 약간 젊은세대가 부모세대가 자신에게 맞추는 양육방식으로 자기에게 맞게 회사와 조직을 바꾸지 못해 퇴사한다는 거 같은데... 그것도 맞지만 회사에서 배울게, 배울사람도 없는게 크고 보람도 찾지 못하는게 큽니다... 더 일하고 배우면 손해인 곳이 지금의 회사고, 누구보다 게으르고 배울려고 하지 않고 잘 못 됨을 인정하지 않는 지금의 5060 꼰대들 혹은 꼰대가 되버린 젊은 관리자 때문이 가장 큽니다. 관리라는 미명하에 행해지는 노동가치 절하와 착취는 말도 안 되고요. 다른건 몰라도 좀 보람이 있었으면 합니다. .. 배움이든 돈이든 칭찬이든..

    • @chanhim6316
      @chanhim6316 2 ปีที่แล้ว

      ㅋㅋㅋㅋ 공공기관이든 공무원이든..................사기업이든......윗세대는 시키는거에 익숙하고......그거까진 괜찮아. 어떻게든 일을 하면 되니까. 문제는...........운동문화권 세대들이라 그런지 정치질하는거 겁나 좋아하고.......일터지면 신입한테 책임 떠넘기고 자기는 나몰라라...즉 꼬리자르기. 이런거 얼마나 하는지 진짜 놀라움. 신입이안 계약직원이 했는 일을 본인이 했다고 하거나 성과 가로채기 하는거 보면 완전 놀라움의 극치임. 신입들 인성검사 피티면접 이런거 하지말고. 승진할때도 신입들 공채 채용 하듯이 똑같이 해라고.

    • @lee-zf6hc
      @lee-zf6hc 2 ปีที่แล้ว +2

      근데 이건 주변문제보단.. 스스로 해결될 문제같음. 주변사람들 정말 배울게 없나요? 아닐걸요? 보람이란것도 내가 이 업무를 어떤 시각으로 보는지에 관련된것 같구요.. 의미는 내가 부여하는거죠.

  • @king8a_egg915
    @king8a_egg915 2 ปีที่แล้ว +1

    저렇게 세대간 소통하는 모습 보기 좋네요..!

  • @user-zg4xm6go1x
    @user-zg4xm6go1x 2 ปีที่แล้ว +10

    진짜 세대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시네요 ㄷㄷ

  • @etj7560
    @etj7560 2 ปีที่แล้ว +71

    와 유튜브에서 공감 댓글은 웬만하면 안 다는데 저분은.. Z세대를 너무 잘 아시네.. 소름끼칠 정도로

  • @joy8637
    @joy8637 2 ปีที่แล้ว +34

    저 연세때 분들중 저정도로 오픈되어있는 분
    극히 드물어요.. 현명함이 여기까지 느껴집니다

  • @royalfrigern5297
    @royalfrigern5297 ปีที่แล้ว +1

    두분이 모두 현대경제사회에서 잘 적응하실수 있을 마인드를 가지셨네요, 저도 동료와 본인 모두 2022년이나 미래에 모든 구성원을 만족시키고 적응시킬수 있는 마인드를 가지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무한경쟁시대니까요

  • @user-bk3mh4tr3e
    @user-bk3mh4tr3e 2 ปีที่แล้ว +1

    최근에 본 MZ세대 분석 중에 가장 공감가고 설득이 됩니다. 책 구입하고 채널 구독하겠습니다.

  • @cyr3101
    @cyr3101 2 ปีที่แล้ว +114

    교수님들이 제발 유튜브를 자주 보셨으면 좋겠고 제발 알고리즘에 떴으면 좋겠고 제발 실수로라도 보셨으면 좋겠다^^

    • @hennimm
      @hennimm 2 ปีที่แล้ว +1

      회사에 대한 이야긴데 왜 교수가 나오나요...? 어느부분때문인가요. 궁금해서요.

    • @whereishappiness
      @whereishappiness 2 ปีที่แล้ว

      @@hennimm 랩실 연구님...?

    • @sanghahwang
      @sanghahwang 2 ปีที่แล้ว +1

      혹시... 대학원생?

    • @user-gg2ni7rb7f
      @user-gg2ni7rb7f 2 ปีที่แล้ว +10

      대학원생들 고생하는건 아는데 직장인이랑 비교하거나 직장인코스프레하는건 좀 별로더라

    • @foreverlv4802
      @foreverlv4802 2 ปีที่แล้ว

      직장사회생활이 ㅈ으로보이노 ㅋㅋㅋㅋㅋ대학원이랑다르다 지옥이다지옥

  • @ahnjitheillustrator8172
    @ahnjitheillustrator8172 2 ปีที่แล้ว +115

    저는 혼자 일하는 프리랜서지만, 귀국해서 앤드류님 회사에 취직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영상! 역시 앞서가는 복지군요.

  • @Kimdoldol_
    @Kimdoldol_ 2 ปีที่แล้ว +6

    와우.. 정말 엄청난 영상이네요.. 저도 직장생활에 잘 적응한 케이스인데 사수가 육아휴직을 가게되면서 초창기부터 통제권을 얻으며 현재 4년째 근무중이며 그러면서 뭔가 몰입도가 생겼고 힘듦에도 불구하고 적응이 잘 된거군요... 처음엔 싫었지만 강제로 회식(?)에 참여하며 선배들과의 유대감도 쌓은 것도 있는 것 같고.. (당시에는 ㅈ내 싫었음) 이제 슬슬 직급이 올라가는 시기라 밑에 후배들을 어떻게 이해하고 다뤄야될지 어려운 부분이 있었는데 간접적으로나마 이해했습니다. 공감가는 부분도 많아서 아주 좋은 영상이네요. 팀카톡방에 실수인척 하고 몰래 이 영상 올려야겠습니다.

    • @kim-wo4mk
      @kim-wo4mk 2 ปีที่แล้ว +1

      후배들은 썸네일 보고 으익 꼰 하면서 대충 답장만 한 뒤에 달아날듯ㅋㅋㅋ

  • @mellissa493
    @mellissa493 2 ปีที่แล้ว +14

    와 나 30대 중반이지만 이 공감되는 말들은 뭘까.... 내가 주도권이 없고 위에서 시키는 일만 했을때 현타가 제일많이 온다.
    일보다 사람이 더 중요하다는걸 깨닫게 되는 ㅋㅋㅋㅋ 이거 진짜 진 강의인듯

  • @mirr_9
    @mirr_9 2 ปีที่แล้ว +80

    하루 통으로 9시간, 5일 근무 너무 빡셉니다. 왜 저 근무형태만 정규직인지 이해가 안되요. 그리고 권한도 없이 책임만 부여하는 것은 사람을 지치게 만들죠.

    • @user-ki1rw7sh1u
      @user-ki1rw7sh1u 2 ปีที่แล้ว +13

      주 35시간이 기준이되어야 할 것 같아요. 주 40시간도 길죠.

    • @crymtonym
      @crymtonym 2 ปีที่แล้ว

      주 40시간이라도 됐으면 좋겠는데..

  • @ralee8675
    @ralee8675 2 ปีที่แล้ว +5

    오늘내용 공감할부분도 많고 회사분들에게 추천해주고싶어요🤭

  • @user-ny5ri4rk6c
    @user-ny5ri4rk6c 2 ปีที่แล้ว +7

    진짜 확실히 공감되네요. 군대에서도 느낀거지만 좀만 뭐라하면 잔소리다, 꼰대다 이러고 하는 일에 금방 싫증내는 사람들이 많더라고요. 예전엔 10년정도 세대차이를 느꼈다면 지금은 3~5년정도만 해도 느껴지는거 같네요

  • @user-db1lq3jr8w
    @user-db1lq3jr8w 2 ปีที่แล้ว +3

    정말 공감많이 되는 영상이에요 전 이직한 회사에 20년가까이 근무한 50대 언니들이 넘 많아서 소통도 문제지만 기존의 업무습관이랄까 . . 은근 강요받는 기분이 들때가 많아요. 말하기도 에매하고말하면 나만 유별나 보이는것 같고 . . 전직장보다 월급이 많아져서 돈보고 다녀야지 싶다가도 점점 나를 잃어가는 기분이 들어요. . 그래서 심각하게 고민중이에요 . . 하루하루 겨우 버티는 기분들고 그러네요. 오늘도 연장 3시간 할수도 있는데 그걸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문화. . 좀 무서워요😢

  • @bitnalee4167
    @bitnalee4167 2 ปีที่แล้ว +31

    리더십에 대한 블로그 글쓰고 우연히 자기전에 봤는데.. 두분의 케미와 내용의 통찰력이 넘 좋은 영상입니다 👍 낼 맑은 정신에 또한번 볼게요 ❣ 양질의 컨텐츠 올려주시는 앤드류님 감사해요!

  • @user-kv1eb4pm3o
    @user-kv1eb4pm3o 2 ปีที่แล้ว +6

    이런 종류의 영상 너무 좋다 너무 유익하네 최근 봤던 것 중에 가장 유익한 영상

  • @user-rn4nm8oz5g
    @user-rn4nm8oz5g 2 ปีที่แล้ว +7

    진짜 공감되네요 큰 회사들에선 주어진 일만 하니까 몇 개월 못 버텼는데 저에게 선택권을 주고 몰입을 할 수 있던 곳에서 더 오래 일을 했던 것 같아요

  • @hoon3285
    @hoon3285 2 ปีที่แล้ว +1

    맞아요 ㅠ 저는 첫회사를 들어왔는데 재택업무를 하다보니깐 오히려 적응 더 못하겠고 좋은 점을 찾지 못하겠어요 ㅠ 일이 더 힘들고 뭔가 혼자서 끙끙 앓으면서 해야되기 때문에 쉽지 않네요

  • @HJ-ue7os
    @HJ-ue7os 2 ปีที่แล้ว +47

    2030 돈독이 아니라 투자를 안하면 집을 못사는 세대이기때문에 투자에 목숨 거는거같습니다 ㅜ 그렇게 생각하시는분들은 현사회에 대해서 좀더 생각하실필요가 있는거같습니다.

  • @fringggggg
    @fringggggg 2 ปีที่แล้ว +19

    영상 넘 좋아요 ㅠㅠ... 오늘도 인사이트 줍줍하고 갑니다. 항상 MZ이 같이 묶여서 언급되곤 하는데, Z과 차수가 많이 떨어진 M이라 더 공감되는 이야기였어요. 책도 구입해서 읽어보겠습니당 !!

  • @hajun1111
    @hajun1111 2 ปีที่แล้ว +12

    제가 본 어른중에 제일 지금 세대를 이해하고 계시는 분인거같아요~

  • @jiyu5602
    @jiyu5602 2 ปีที่แล้ว

    제널리스트 정말 느끼는 요즘이네요. 저도 뾰족하게 디자인을 못하지도 잘하지도 않아서 그게 더 불안하다고 했는게 지금 제 업을 스타트 하는데 있어서 그게 도움이 되는거 같아요. 그 때 경험이 있기 때문에 더 제가 더 돋보이게 되는거 같아요.

  • @user-ew8kr7qk6y
    @user-ew8kr7qk6y 2 ปีที่แล้ว +6

    와 윤덕환님 말씀을 정말 공감되고
    딱딱 맞는말만하셔서 멋지십니다

  • @kangfam3
    @kangfam3 2 ปีที่แล้ว +20

    3:42 나인가

    • @drawandrew
      @drawandrew  2 ปีที่แล้ว +5

      형이 왜 여기서 나오세요...🤭

    • @user-mj2ih6hy1n
      @user-mj2ih6hy1n 2 ปีที่แล้ว +2

      이 조합 보고싶,,,,

  • @rebirth_Nther
    @rebirth_Nther 2 ปีที่แล้ว +10

    MZ세대 직장인으로서 공감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저 또한 한 회사에 계속 몸 담고 있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업무 자율성 때문입니다.
    직급은 높지 않지만 제 업무에 대한 전권을 가지고 업무를 추진할 수 있어 일에 대한 만족도가 큽니다.
    새로운 프로젝트가 들어오면 검토도 하고, 조사하고, 도입하고. 그런 부분들이 제게는 "나의 일" 이라는 명확한 인식을 심어준 것 같습니다.
    대신 그렇게 되기 위해서 저 또한 많이 노력했죠. 이건 내 일이고, 책임 또한 내가 진다는 생각으로 일해야 가능한 일입니다.
    맡겨두면 알아서 잘 한다는 신뢰감을 심어주기 전에는 회사 입장에서 전권을 내준다는 것은 참 어려운 문제죠.
    아무에게나 전권을 줬다간 그 리스크도 회사의 몫이 될테니까요.
    또 그렇게 성장한 인원이 낸 아웃풋을 확실하게 보상해주는 제도 또한 필요하구요. 그렇지 않으면 그 인원은 이직해버릴테니까요.

  • @user-fq5bd1rg2j
    @user-fq5bd1rg2j ปีที่แล้ว +1

    서로서로 이해하면서 배려하는 세상이 왔으면 좋겠네요

  • @earth2298
    @earth2298 2 ปีที่แล้ว +19

    알고리즘에 떠서 우연히 보게 됐는데 이해받는 느낌이 들어서 너무 좋은 것 같아요..

  • @hdfo2420
    @hdfo2420 2 ปีที่แล้ว +26

    오늘 퇴사하기로 마음먹고 이영상보니까 어느정도 이해가 되네요 2030세대는 확실히 감정노동에 취약한거같아요ㅠ

  • @gamevideochannel1550
    @gamevideochannel1550 2 ปีที่แล้ว +1

    댓글들도 다 읽어보구 영상도 다 봤지만 정말 공감되는 내용들도 많고 유익한 영상이었네여 ㄹ

  • @user-ue7kz3qh5o
    @user-ue7kz3qh5o ปีที่แล้ว +8

    월급도 월급이지만 사람관계도 무시못함 여기서 오는 스트레스가 장난아님 심하면 목숨을 버리는 경우도 있음 뉴스에 단골로 나오는 소재 중 하나가 직장 괴롭힘임 거기에 양질의 일자리는 줄어드는데도 청년들이 쉽게 퇴사하는건 불안함에서 오는것도 있지 아무리 괜찮은 직장이어도 집값은 너무 높고 생활에 필요한 비용도 자꾸 커져만 가니 더 높은 목표를 잡을 수 밖에 없게 만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