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공기압 33psi 인데 왜 40psi 를 주입할까?

แชร์
ฝั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932

  • @user-xb8ts7lv1y
    @user-xb8ts7lv1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

    차분하게 설명을 잘해주서서 이해가 쉬웠네요 앞으로도 차량정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user-dk4jl8yl7p
    @user-dk4jl8yl7p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저도 이게 궁금했었는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someday5768
    @someday576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자동차공기압 관련 많은 영상들이 있지만 가장 합리적인 내용 이네요~~

  • @user-lc8bw1lm6r
    @user-lc8bw1lm6r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22살 처음 차를 운전할때부터 궁금했던 숙제가 20년만에 풀렸습니다.. 좋아요 박습니다

  • @user-sk2se3sc4g
    @user-sk2se3sc4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정말 좋은 상식이네요
    잘 모르고 애매했었는데 기준이 딱 생겼네요

  • @hanqleee
    @hanqlee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항상 궁금했는데 이제 이해가 갑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kojungchang428
    @kojungchang428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여그 설명이 앞뒤 다 해줘서 제일 알기 좋네요

  • @user-sb9xb2ux2j
    @user-sb9xb2ux2j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정보 감사합니다 궁금했던것이 말씀하신거 였읍니다 운행후 운행전 공기압 차이 감사합니다

  • @user-rx8hp5qz7k
    @user-rx8hp5qz7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정말 유용한 정보입니다..............잘 숙지해서 적용해보겠습니다...........감사합니다...^^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고속주행을 하느냐 시내주행을 많이 하느냐도 중요한 것 같아요
    평소 주행시 38~40이 되게끔 맞춰야지 무턱대고 권장압 맞춘다고 공기압을 낮추면
    타이어가 오래 못가더군요. 편마모데 타이어가 계속 씹히면서 트레드는 남아있는데 크랙이 가서 교체해야 하기도 하더군요.
    간혹 물컹한 승차감 좋다고 28정도까지 낮추는 분들도 계시더군요. 승차감 단단하다고 욕먹던 그 프랑스 회사의 시승차들 영업소에서
    주행중 28 나오게끔 세팅해놓더군요. 사기꾼놈들

  • @yjs8126
    @yjs8126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도 왜 그런지 의문이었는데 정말 좋은 정보 입니다

  • @iyotk
    @iyotk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유용한 정보입니다. 앞으로 오래오래 유용한 정보 보고 싶으니 운전 촬영은 옆에분께서 대신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kimjoungrock
    @kimjoungroc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인천소래포구역근처 수입차정비(예스모터스)입니다. 저도 잃어버린 사실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사장님 파이팅

    • @dgkim3116
      @dgkim3116 8 วันที่ผ่านมา

      아 여기만 거르면 되겠군요
      공기압에 대해서도 저렇게 주저리 변명 일색인데 다른 부분은 오죽할까요

  • @user-ik7yc9gi4e
    @user-ik7yc9gi4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중요한 정보 잘 설명 해 주셨습니다

  • @sunyoppark1716
    @sunyoppark171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joonoj7468
    @joonoj746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잘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user-cc2gg1yl1u
    @user-cc2gg1yl1u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공기압 관련 정보 중 가장 현실적이고 좋은 정보인거 같습니다.
    세단 기준으로 말씀하신 것 같아 덧붙이자면 타이어별 기준치가 다르니 최대업력 기준으로도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laroventus
    @claroventu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오~ 궁금했던 사항이었는데.. 설명 잘 해주셨네요~ 전 카센터 사람들이 개념이 없는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라 그런 이유가 있었던 거였군요...음~~

  • @user-promise1219
    @user-promise1219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한결같은 마음으로 늘 응원 하겠습니다 ^^*~♥

  • @junghoon6855
    @junghoon6855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0

    문제는 공업사나 타이어샵에서 적정공기압과 측정조건을 인지한 상태에서 상황에 맞게 넣는게 아니라는 것입니다.
    공업사에서 일괄적으로 40psi 에 맞추는 이유는 타이어에 표시된 최대 공기압 50psi 의 80% 가 적정공기압이라는 인식이 기본으로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 @xoi00iox
      @xoi00iox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9

      현실은 이거지!! ㅋㅋㅋ

    • @user-ey3tb9mt6q
      @user-ey3tb9mt6q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의견보태자면 일반인들 대부분 오일교환때공기압으로 게속 타면서 중간중간 점검을 안하니
      뭐여러가지가 종합된결과 입니다만 적어서 문제생기는게 대부분이라

    • @teachist
      @teachis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user-ey3tb9mt6q보통 타이어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압력이 50정도니... 40으로 넣어놓으면 많이 팽창해도 44일테니 적은 거보단 많은 게 나은 건 맞는 거 같습니다.. 문제가 생기고 안생기고로 봤을 때...

    • @user-qk6jn7vl8l
      @user-qk6jn7vl8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그게 맞는데요
      타야 최대공기압에 맞춰서

    • @nopay_noplay
      @nopay_nopla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8

      그놈의 타이어최대공기압 80%ㅋㅋㅋㅋ 전세계에서 한국에만 존재하는 출처도 없는 기준ㅋㅋ
      자동차제조사도 그런말 한적이 없고, 타이어제조사에서도 그런기준 제시한적이 없는데ㅋ
      도대체 어느 동호회카페 커뮤니티에서 시작된지도 모르는 최대공기압 80%설은
      진짜 정체가 뭐냐ㅋㅋㅋㅋㅋ
      자동차제조사도 타이어제조사도
      그 어디에서도 그런 기준 제시해준적이 없는데ㅋㅋㅋ

  • @sAn_mm
    @sAn_m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4

    여름에 카센터에서 40psi로 맞춘 후, 뜨거워진 고속도로 달려보세요. 44, 45psi 나올 겁니다. 그리고 카센터에서 35psi로 맞춘 상태에서 집에 주차한 후, 다음 날 아침에 보면 33psi~34psi 정도입니다. 카센터에서 40psi로 맞추는 건 문제가 있습니다.

    • @user-pz8qw5hm4y
      @user-pz8qw5hm4y 28 วันที่ผ่านมา +4

      내가 하고싶었던말👍

    • @woot8876
      @woot8876 10 วันที่ผ่านมา

      45??
      머 이정도 문제 없는데

    • @SUN-et7oq
      @SUN-et7oq 9 วันที่ผ่านมา +1

      45 정도 이면 타이어 정상 및 연비도 매우 좋아짐

    • @theodorech337
      @theodorech337 9 วันที่ผ่านมา +4

      @@SUN-et7oq 40psi 넘어가면 연비 전혀 안좋아집니다 승차감만 개판됩니다

    • @SUN-et7oq
      @SUN-et7oq 9 วันที่ผ่านมา

      @@theodorech337 오래된 차에게는 승차감이 좀 덜하겠고 영향 대신 연비는 대폭 상승합니다

  • @TrGD-cj4lw
    @TrGD-cj4lw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진짜 궁금했던 내용이네요.

  • @user-ho7pq9me5t
    @user-ho7pq9me5t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잘 배웠습니다.....ㅋㅋㅋ 구독합니다~~~~

  • @user-mr8xs3ho8w
    @user-mr8xs3ho8w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정말 쉽고 간단한 이야기를 10분 넘게 복잡하게 얘길 해서 특별한 이야기가 있는 줄 알았네요…

    • @mxr2000ues
      @mxr2000ues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You're being rude

  • @mingunpark3732
    @mingunpark373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1

    그냥 넘어갈 수 있는데 좀 찜찜했던 상황을 훌륭하게 집어 주신 점 너무 고맙습니다.
    현장에 많은 경험이 있으신걸로 사료되어서 부택 드리는건데. 질소 주입과 공기 주입에 진짜 차이가 있는지 시간 되시면 차이점을 한번 더 올려 주시면 감사하겠읍니다

    • @nitealth
      @nitealth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공기의 80%가 이미 질소인데 순수 100% 질소 넣는다고 큰 영향이 과연 있을까요?

    • @mingunpark3732
      @mingunpark373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우문현답 감사드립니더😂

    • @QkrQkrajfl
      @QkrQkrajfl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진짜 질소100%채워서 효과볼려면 어디 레이싱같은거 나가셔야합니다 ㅋㅋ..

    • @user-mo7np7dq9v
      @user-mo7np7dq9v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항공기는 질소100으로 넣습니다.

    • @bravecho184
      @bravecho18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항공기는 타이어는 대기 중 구성비 질소 79% 산소 약 21% 이중 산소로 인한 화재를 방지하기위해서 불화성기체 질소 100%로 충전합니다.

  • @user-fr6ui8pf4t
    @user-fr6ui8pf4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늘 궁금했는데 이제야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 @carrot0204
    @carrot0204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user-zp8vq4yq5s
    @user-zp8vq4yq5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의문이 풀렸습니다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fullbrightjeong8192
    @fullbrightjeong819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반대로 말씀 하신것 같아요. 운행직전 냉간기준으로 ,,
    여름에는 더운날씨 고려하여 공기압 낮추고...
    추운겨울에는 공기압을 높여야
    하는뎁쇼...

    • @chicken_beer81
      @chicken_beer81 26 วันที่ผ่านมา

      공기압 낮추면 스탠딩 웨이브 현상때문에 적정공기압에서 +3 이
      적당하며 겨울은 수축하고 노면이 미끄러우니 적정공기압에서 +2하면
      적당합니다
      공기를 너무넣으면 눈길이나 블랙아이스 주행시 스케이크 탑니다

    • @user-tz7rf5ym6h
      @user-tz7rf5ym6h 17 วันที่ผ่านมา

      설명하신사장님말씀이 정확합니다 여름에 공기압 낮으면 타이어 마찰면적이 많아서 열이나서 고속시 위험합니다

    • @user-ix4ln7hj5z
      @user-ix4ln7hj5z วันที่ผ่านมา

      계절에 상관 없이 넣으면 됩니다

  • @user-du1jb9mw2q
    @user-du1jb9mw2q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의 궁금증을 해결해 주셨네요. 감사합니다.

  • @HY-bh9im
    @HY-bh9im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정보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coollikewater7932
    @coollikewater793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열간시 공기를 더 넣어야 한다는 것은 처음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 @trecime
    @trecim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0

    본인이 셀프로 쉽게 주입할 수 있다면 적정공기압을 맞추는 것이 타이어마모나 승차감, 연비에 가장 좋습니다. 여름이나 겨울이나 상관없이 적정공기압으로 다니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온도가 일정하다면 한달에 1psi정도씩 저절로 빠지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가을, 겨울에는 기온이 점점 내려가니까 더 자주 맞춰주어야 하지만, 봄여름에는 기온이 점점 올라가니까 자주 안 맞춰도 됩니다. 4월쯤에 적정공기압으로 맞춰놓으면 여름에는 빠지는 것 만큼 저절로 올라가니까 여름동안은 안 맞춰도 됩니다. 10월쯤 되면 적정공기압 이하로 내려가니까 적정공기압보다 약간 높게 맞추고, 그 때부터 겨울동안은 2달에 한 번 정도 적정공기압보다 약간 높게 맞추면 됩니다.

    • @user-jn5pf6wy5m
      @user-jn5pf6wy5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답으로 생각됩니다.

    • @milchholstein884
      @milchholstein88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 적정 공기압이라는게 충분히 타이어가 열을 받았을 때 38~40정도가 되는 값이란거죠. 차량 옆에 붙어있는 값이 아니라. 이거를 혼동하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 @user-fp1ts2ki2l
    @user-fp1ts2ki2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8

    공기압 자주 확인하고 관리하는사람은 적정넣으시고 차에대해 잘 모르면 여유롭게 38~40넣는게 맞습니다. 타이어공기는 많을때는 별 문제가 없지만 적을때는 문제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 @user-be5qw4zr9k
      @user-be5qw4zr9k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너무 많아도 접지력 떨어집니다.
      냉간 기준 32-40사이 유지하는게 제일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 @shineshin5767
      @shineshin5767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편마모(가운데)

  • @ssamjbs3785
    @ssamjbs3785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타이어 성능발전, 하중지수(적재량), 승차감, 이를 고려한 메뉴얼압력설정 등을 같이 설명해주시면 더 좋을거 같습니다.

  • @kunkilee9331
    @kunkilee933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8

    계절이 바뀔때 마다 타이어 공기압을 확인하고 적정공기압(33~37)을 주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철이 되면 타이어 공기압 부족 경고메세지가 뜨는 것은 공기압이 온도에 따라 낮아지기 때문이고 여름철대비 5~6정도 낮아집니다. 고속도로 주행을 주로하시면 적정 공기압보다 3~4psi 정도 높이면 주행성능과 연비와 내마모에 좋습니다. 반면 공기압이 높으면 통통 튀는 경항이 있습니다.

    • @user-yb7yf1ey4q
      @user-yb7yf1ey4q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오 좋은 정보 감사요

    • @TENGU13
      @TENGU1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럼 고속도로 주행은 36-37이 좋은건가요

    • @kunkilee9331
      @kunkilee933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TENGU13 고속도로 주행시 36~37정도이면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여름철 장거리 고속주행시는 타이어 마찰열 때문에 40정도 까지 올라갑니다. 일반적인 타이어 최대 공기압 50정도이니 무난한 수준입니다.

    • @TENGU13
      @TENGU13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kunkilee9331 넹

  • @whiteporridge
    @whiteporridg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주행했었다 또는 기온이 높다는 가정 하에 적정값보다 약간 높게 잡으면 되겠군요. 배워갑니다

  • @user-fl3wm8ut5o
    @user-fl3wm8ut5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user-fb1vg6dw8m
    @user-fb1vg6dw8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매번 센터에 갈수는 없어서 휴대용 펌프로 셀프 주입 하는데 정보 감사합니다.
    차대 공기압은 냉간시 기준이라는것만 알고 외부기온에 따라서 하루정도 주차 해놨으면 다음날 출발전 공기압 확인후 보충 해주는게 좋겠군요..

    • @ohnato
      @ohnato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휴대용 사셨나요?
      요즘차는 차에 기본으로 있습니다.

    • @erichseo7212
      @erichseo721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ohnato안 써보셨군요.
      한 번 써보고 말씀하시죠.
      설령 잘만 되는데 뭔 소리냐고 따질수도 있지만,
      그건 님 차만 그렇거나 착각하는 겁니다.
      타이어가 아까워서 수리킷 넣어두는 넘들 입니다.
      펌브라고 좋은거 넣어두겠음?

    • @ohnato
      @ohnato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richseo7212 나는 잘만 쓰고 있음.
      구성품에 문제가 있으면, AS를 받는게 맞지 않나 싶네요.

    • @user-th3cs1pd6s
      @user-th3cs1pd6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ohnato둘다 써봤는데 그건 유선이라 너무 불편해요 차문열고 시가잭에도 꼽아야하고 걍 휴대용 충전해서 쓰는게 훨편함

    • @user-oj9wg2cu4v
      @user-oj9wg2cu4v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ohnato 텅텅 대가리님 휴대폰 쓰지말고 유선전화 쓰세용

  • @stlee2953
    @stlee295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봄여름가을겨울,아침점심저녁,햇빛받고안받고,고속주행저속주행,몇시간주행인지,동승자가 몇명인지 등등 변수가 너무 많죠.

  • @Que55
    @Que55 วันที่ผ่านมา

    영상 멋져요 적으면 적은데로 많으면 많은데로 각각 또 다른문제를 야기 시키죠 돈좀 써서라도 공기앞센서 달아서 수시로 조정하면서 타시는게 내차 아끼고 승차감 좋게 즐기는 방법이아니까요 영상에 모든걸 함축시켜서 말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 @jameslee8790
    @jameslee879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2

    맞는 부분도 있는데, 틀리는 부분도 있네요. 계절에 상관없이 냉각 상태에서 규정 공기압을 맞추는 것이 맞습니다. 여름에서 가을거쳐 겨울로 접어들때 공기를 조금 더 넣게 되고, 반대로 여름으로 접어들때는 냉각상태에서 측정하면 좀 높은 경우가 있는데, 약간 빼서 적정하게 맞추는 것이 맞습니다.

    • @colt7057
      @colt705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정답! 여름에는 조금만 달려도 금방 높아짐

    • @th-jx5gb
      @th-jx5gb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지금처럼 온도가 내려가는 시즌에는 낮에 냉각기준으로 넣어서 세단은 38 suv 40이 적당함 아침이면 세단은 34~35까지 내려가고 suv 36 ~37 내려감 그리고 겨울 들어가는 이런 시즌에는 한달에 한번 정도는 타이어공기압 체크 필수

    • @pj1993
      @pj199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5

      이게 맞지.. 여름엔 더 팽창하기 쉬운데 많이넣으라고..?

    • @pj1993
      @pj199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user-qv5he3xx7y 그런 논리라면 추울 땐 공기가 더 응축하니 겨울에 더 많이 넣어야죠. 더울 때 많이 넣어놓으면 아스팔트도 겁내 뜨거운데 조금만 주행해도 타이어압에 더 무리가는거고.

    • @seongwookjeon6522
      @seongwookjeon652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맞아요!!!

  • @phaeton-xy9lf
    @phaeton-xy9lf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1

    냉간시 측정해야죠. 많이넣으면 편마모에 승차감 떨어지고 제동도 떨어짐. 매뉴얼대로 넣는게 가장 좋음

  • @Pleasure_will
    @Pleasure_will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내용 잘보고 갑니다

  • @S2HOONI
    @S2HOONI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그래서 세차장에서 세차 후 공기압 맞추면 됩니다. ㅎㅎ 문제는 겨울 낮시간에 낮게 주입하다가는 다음날 아침에 저압경고등 뜨죠. 그거 없애려면 40이상 주입하고 다시 적정공기압으로 낮춰야하는 번거로움이 생깁니다. 낮에 주입한다는 기준에서 보면 겨울엔 더 넣어야 저압경고등을 안봅니다.

  • @user-oj8bt5gl2s
    @user-oj8bt5gl2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공기주입기 오차도 있습니다. 계기판에 나오는 숫자로 확인하시고, 냉간시(운행전)기준으로 공기압 조금 더 넣는게 좋고, 자주 확인해주고요

  • @user-qx6dx6tt6y
    @user-qx6dx6tt6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2

    같은 차종도 트림에따라 휠 직경이 커질수록 권장 공기압 수치는 낮아집니다 재차는 15인치트림은 36/35 16인치는 35/34 17인치는 34/33
    입니다 설명하신부분과 함께 예전 차량들의 휠 직경이 요즘차량에 비해 작았죠 요즘은 아반떼급도 상위트림은 17인치 휠이 다 들어갑니다
    예전엔 중형차도 국민인치가 16인치정도였습니다 상대적으로 요즘보다 권장 공기압이 높았죠
    거기에 요즘은 의무가 되버린 실시간 공기압 모니터링(TPMS)도 없었던차량이 대부분이라 약간 보수적으로(겨울철에 낮아지는거 감안해서)
    많이 넣던 버릇하던게 지금도 남아있는거죠
    제차도 34/33 권장이고 제 개인용 측정기로 36/35정도 넣으면 여름주행시 40프사이 까지도 올라가고 겨울엔 냉간시 33/32까지 낮아져서 조금 더 채워서 다니는 편입니다
    공기압 많이 넣는 버릇하는게 정비사들이 나빠서 그런것도 아니고 경험적으로 안전이 허락하는 선에서 40프사이 정도는 전혀 문제도, 과주입도 아니기에 넣는거고
    요즘은 정비사분들이 얼마 채워 줄까하고 물어보는 분도 많이 계시므로 논란이 될 문제는 없다고 봅니다
    오히려 승차전 타이어 육안점검은 커녕 달아준 TPMS공기압도 한번 모니터링 하지 않고 타는 운전자들이 잠재적 도로의 흉기라고 봐야돼겠죠

    • @user-qx6dx6tt6y
      @user-qx6dx6tt6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리고 타이어 전문점 마다 같은집이라도 데크마다 주입기마다 조금씩 편차가 있지요
      따뜻한곳의 콤프에서 밀어넣은거랑 야외 콤푸에서 들어간 찬바람이랑도 나중에 냉간시 차이가 분명 있고요

    • @benettekarl3600
      @benettekarl3600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그래서 여름철엔 적게 넣고 겨울철엔 압이 떨어지니 더 넣으라는데 여기 유튜버는 거꾸로 말하네요 ㅋㅋ

    • @SnakePlantCollector
      @SnakePlantCollector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benettekarl3600유튜버가 거꾸로 얘기한건 아닌 것 같아요. 여름에는 온도가 올라가니 주행 상태에서 주입을 하러 오면 그 높은 온도에 알맞게 40 psi 를 맞춰줘야 나중에 온도가 낮아졌을 때 3~5 psi 낮아진다는 것이죠. 겨울에는 타이어 온도가 여름보다 덜 올라가니 40 psi 보다는 낮게 맞춰주는게 맞을 것 같고요. 즉, 주행을 하고 주입하러 왔냐 멈춰있던 차를 끌고 1km 이내 거리로 왔냐에 따라 다르게 주입을 해야 된다는 의미.

  • @veronica-yd2kn
    @veronica-yd2kn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샤오미 공기주입기 하나 사서 겨울, 여름에 한번씩 적정 공기압으로 넣고있음~

  • @podori6408
    @podori640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감사합니다~~^^

  • @wizardlhd
    @wizardlhd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저도 1년전 첫차를 구매하고 6개월째에 첫 엔진오일 교환 하러 갔을 때, 타이어 공기압을 40으로 맞춰서 넣어주셨길래, 왜 제대로 안보고 넣어주시냐는 오해의 말을 할 뻔 했는데, 큰 차이 아니니 넘어갔고, 아직도 그분이 대충해주신것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었는데, 저의 오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분께 그런 마음을 가졌던 것이 조금 죄송하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ve1db9vh9n
    @user-ve1db9vh9n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8

    돈도 안되는데 자꾸 찾아 오면 귀찮으니까.

    • @yjl2653
      @yjl265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

    • @user-xo6oz8cv4o
      @user-xo6oz8cv4o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실컷 설명을 해줘도 ㅋ

    • @ysydeath
      @ysydeath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요즘은 돈 받더라고요. 5천~1만원

    • @user-er5di8kj2n
      @user-er5di8kj2n 29 วันที่ผ่านมา +1

      차에 펌프 있자나요

    • @asas-oo8ik
      @asas-oo8ik 26 วันที่ผ่านมา +2

      ㅋㅋㅋㅋㅋ미친

  • @rotaryj5480
    @rotaryj548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기압 게이지 정확한걸로 사용하셔야 합니다 카센터 공기돌이 5이상 높게 표기됩니다 대부분 카센터가 정확하지 않은 공기압게이지를 사용합니다

  • @ipad1652
    @ipad1652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되네요

  • @leandre5982
    @leandre598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8:03 열간시 적정 공기압 기준에 있는데 좀더 높이 올려서 집어넣어 버리면 휠 옵셋에 마지노선으로 타이어폭을 셋팅 했을 경우 전륜에서 조향간섭 하중이 많이 걸리는 특히 무리한 하중이 걸릴때 타이어 이탈 합니다, 특히 suv 는 위험 해요,,,

  • @cooouna
    @cooouna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7

    오랜만입니다~~ 작년에 제가 첫 차를 중고로 구매하고 타면서 얼라인먼트, 하체 정비하다가 알게 된 채널인데 유익하게 봤었어요 ^^
    정확한 좋은 정보를 많이 알려주셔서 감사했습니다. 앞으로도 종종 알려주세요~ 직장을 옮기시고 열심히 동분서주하시는 것 같았는데 일은 할만하시죠???
    하시는 일 화이팅입니다!

  • @tv-gs4wr
    @tv-gs4wr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래서 그랬군요. 감사합니다.

  • @user-zq7wk1vn7f
    @user-zq7wk1vn7f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평균치가 스무드하고 좋지.
    하이브리드도 ev잘튀고 안전한 주행느낌도 나고

  • @user-ld1wr3gp5k
    @user-ld1wr3gp5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7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평소 아침에 출발후 5분 정도 지나는 시점에 38정도 유지하고 있었는데 엔진오일 교환 하는날은 42까지 공기압을 높여 놓아서 이상하게 생각 했습니다. 주행을 끝낸후 정차하고 38정도로 다시 맞추어 놓곤 했는데 자동차 공업사에서도 경험에 의한 합리적인 근거가 있었네요.

  • @gearrichard8831
    @gearrichard883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8

    정비소에서 계절에 무관하게 40psi 주입은 단점이 존재하니 운전자가 주입전 요청하거나 셀프주입시 가감하는 편이 옳다고 봅니다.

    • @teachist
      @teachis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

      ㄹㅇㅋㅋㅋ 정비소 가면 무조건 40으로 때려넣더라구요...

    • @yijaimo
      @yijaimo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일정시간 운행하고 주유소가서 바로 40넣는건 어차피 열간이니 타이어 과잉 공기압에 속하지 않으나
      하절기에 냉간 규정대비 추가로 더 넣는건 잘못된 상식입니다
      그상태로 열간이면 40~++이상일텐데 타이어팽창으로 수명과 오래된 타이어일경우 파손의 위험이 있습니다
      오히려 동절기에 더 넣어야 원칙이죠

    • @YJW-tf3pr
      @YJW-tf3pr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걍 그러려니함.
      너무 많으면 내가 걍 뺌.

    • @mcohammer
      @mcohamme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차종마다 다른건데 왜 다들 40으로 과하다고 한정하는건지 이해불가 g80은 43넣고 다니다가 40되면 다시 보충하는데

    • @GGenx
      @GGenx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 차는 센터에서 40넣어주니까 요철 지날때 너무 통통 튀는 느낌이 나더라구요...
      적정공기압이 괜히 있는게 아니더라구요

  • @backnunAndy
    @backnunAndy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자동차 타이어 브랜드 모델별 차가운 타이어 (cold pressure) psi 도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장착 위치에 따라서도 다르게 가이드 합니다.

  • @user-jl5rc1tk2x
    @user-jl5rc1tk2x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맞는 말씀이에요. 싼타페CM 차량 기본이 한국타이어HP2인데요. 33에 넣으면 가장자리만 마모가 일어납니다. 웃긴건, 한국타이어 본사에 전화해서 귀사의 OEM타이어 적정 공기압이 얼마냐고 물어보면 모릅니다... 타이어는 종류에 따라 공기압이 다른데 말이죠...

  • @hdi08
    @hdi08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봄, 가을 날씨를 기준으로 시동 걸고 출발하자마자 TPMS에 뜨는 공기압이 B필러에 표기된 공기압이랑 일치하면 됩니다.
    주행하면서 공기압이 상승하는 건 지극히 정상입니다.
    같은 맥락에서 한참 주행을 하고 난 뒤에 공기압을 맞출 때는 B필러에 33psi라고 적혀있는 차량 기준으로 38~39psi정도로 넣으면 됩니다.

  • @moti8876
    @moti8876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3

    현실은.... 카센타에 한겨울에 가도 그냥 40PSI 쏴버림. 분명히 겨울엔 온도가 낮아 공기의 부피가 줄어드는데도. 그냥 40psi 넣어버림. 카센타 입장에서는 그냥 바람 넣어달라고 오는 손님 귀찮기도 하고 하니 그냥 기온 같은거 안따지고 그냥 40 때려 넣는듯.

    • @user-jn5pf6wy5m
      @user-jn5pf6wy5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러면 충격이 많아 고장율이 높으리라 생각됨니다.

    • @user-mz3vo4nk7l
      @user-mz3vo4nk7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냥 무식해서 그런것 같아요. ㅎ

  • @yeo2127
    @yeo212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자동차 회사의 메뉴얼은 다양한 환경의 연구와 오랜 테스트후에 만들어진 표준인데 그래서 자동차 오너들이 숙지하고 지켜야 하는데
    개인의 생각에 좌우 된다면 메뉴얼이 무슨 의미가 있나요?

  • @carinoil3798
    @carinoil379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무조건 냉간 39.5 적정으로 넣으면 편마모 연비저하
    타이어별로 여러가지 공기압으로 실험-연비 가장 좋은거로.

    • @1veryveryvery.130
      @1veryveryvery.13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th-cam.com/video/bc8pb9YSlqk/w-d-xo.htmlsi=IO1wxohwLHeJxolC
      공기압 높다고 연비더잘나오는거 뇌피셜입니다.
      미미합니다

    • @user-os1iu5xx6n
      @user-os1iu5xx6n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스카이통통 ㅋㅋ

  • @ebj1600
    @ebj1600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거 배웠습니다.

  • @kimwonjune
    @kimwonjun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역시 튀어도 저도 안정감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보통 보다 10은 더 넣습니다. 커브에서 대처가 좋아요.

    • @hyeonkibaek6542
      @hyeonkibaek6542 11 วันที่ผ่านมา

      공기압 더 넣으면 커브에서 더 흐르는데... 서킷 안타보셨군요...

  • @user-dn6ft6ht9l
    @user-dn6ft6ht9l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k.c.k1278
    @k.c.k1278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오래전 모 자동차동호회에 여름철 고속도로 주행하면 5psi 정도 올라간다고 했다가 거짓말쟁이라며 융단폭격 당한적 있었는데, 유튜브 덕에 쓸데없이 입씨름 할 필요가 줄어들어 참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eo5im7re3f
      @user-eo5im7re3f 15 วันที่ผ่านมา

      그것도 모르고 자동차 동호회를 어찌 하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ㅎㅎ

  • @jjshim1
    @jjshim1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적정공기압은 타이어 온도도 변수이지만, 차의 무게도 고려해야 합니다.
    운전자 혼자 주행할 때와 좌석에 다른 탑승자가 있을 때는 다르거든요.
    높아진 차량 무게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높은 타이어 공기압을 필요로 합니다.

  • @arddiyeo1196
    @arddiyeo1196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08:40 겨울보다 여름에 공기압을 오히려 더 넣네요. 제가 반대로 알고 있었네요. 여름에 공기압이 올라서 오히려 조금 빼고 다년는데 말이죠.

  • @chicken_beer81
    @chicken_beer81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냉간시 적정 공기압기준으로 해야하며
    예를들어서 33psi 이면
    운행시 37~39psi까지 올라갑니다
    겨울에는 35~36psi까지요
    제가 갖고있는 공기압 주입기는
    설정 psi보다 1~2psi 더 주입됩니다
    그래서 35psi에 맞추고 주입합니다
    사계절 36psi 입니다
    즉, 사계절 최대 40psi까지만 도달하게
    합니다

  • @tank0222
    @tank022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다필요없고 카센터 불신한다면 넣고싶은양 얘기하고 신뢰한다면 넣어주는데로 다니세요 20년째 40넣고다녀도 이상없었음 국산 수입 승용RV 다 타봤습니다 불변한점은34넣으면 경고등이 금방들어와서 카센터 가서 또 넣어야함

  • @thsutleosmswlsfl
    @thsutleosmswlsf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겨울되기 전, 9월부터 11월까지 40정도 넣으면 겨울철 자연스럽게 낮아집니다.
    그래서 엔진오일 교환과 공기압충전을 가을에 하면 편해요. 특히 자가관리 잘 못할수록 적당합니다.
    그러고 봄되면 다시 공기압 오르니 36psi정도까지 빼주시면됩니다.

    • @YeongYangjuk
      @YeongYangjuk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님 말이 맞는거 같네요

  • @user-jn5pf6wy5m
    @user-jn5pf6wy5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타이어 등급에 따라서 많이 다르겠지요? 국내타이어 등급이 3~4등급이 대부분으로 생각됩니다.

  • @user-dt2mh4uq8e
    @user-dt2mh4uq8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AS 지정점을 가서 공기압 맞춰달라고하면 대략 +3정도 해서 넣어 주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관심이 많거나 세부적으로 관리하시는 분들은 수시로 넣었다 뺐다 하시는걸로 아는데 거의 2~4왔다 갔다 하지요
    +5는 쉽게 못본것 같습니다

    • @teachist
      @teachis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는 승차감이 확 떨어져서 별로더라구요...

  • @withG1007
    @withG100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7

    여름에 많이, 겨울에 적게가 아니라 반대죠 겨울에는 공기가 수축하니 더 넣어줘야 합니다.

    • @user-xw4lt7hp2l
      @user-xw4lt7hp2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부피로는그렇지만 압력으로 넣으면 똑같음 !!! 겨울에 미끄러지니까 압을 좀 빼는게 아닐까요?

    • @junghakim7149
      @junghakim7149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user-xw4lt7hp2l겨울에 높게안넣으면 33넣는다치면 금방 공기압경고등 들어올걸요?

    • @withG1007
      @withG100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같은 양의 공기라도 온도가 낮으면 부피가 적어지고 온도가 높으면 부피가 커지잖아요

    • @user-dh5kx8zj9t
      @user-dh5kx8zj9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위드글라스 말이 맞음. 같은 psi 넣어도 차가워지면 공기가 수축. 더위지면 팽창함

    • @user-mv6dh1wc7i
      @user-mv6dh1wc7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우선 타이어의 재질특성상 신축성이 좋지만 외부 온도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겨울엔특히 딱딱해지죠 여러 이유가 있지만 통상 겨울엔 적게 여름엔 많이 넣습니다...

  • @cgs9313
    @cgs9313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사업소나 카센터 가면 38이상 넣음 6개월간 공기압 빠진다고 생각하고 많이 넣어줍니다 본인이 한달에 한번 냉간시 차량표시 공기압 넣고 다니는게 승차감도 좋구 둔턱도 잘 넘어갑니다

    • @user-hm1wr6lg3v
      @user-hm1wr6lg3v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맞습니다.

    • @solewalk
      @solewalk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 뿐 아니라 타이어의 수명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 @tv-bq4fu
    @tv-bq4fu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Tps 센서의 정확성도 문제지만
    솔찍히 5이하 차이는 큰 의미 없죠 그리고 셋팅값도 문제가 있죠 30이하로 지정 해놓는다면 33을 넣을경우 주행하다가 경고등이 들어올수도 있습니다

  • @tonykim4069
    @tonykim4069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하루이상 주차한 차량은 매뉴얼대로 주입. 운전해서 카센터에서 공기압 맞출경우 권장 타이어공기압보다 2~3psi 정도 더 넣을것. 타이어 식으면 매뉴얼 권장량 수치로 내려가게 됨. 계절마다 공기압체크하고 넣어주고나 빼주는게 정석인데 여름, 겨울에 확인추천.

  • @user-hm7ju1co8q
    @user-hm7ju1co8q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전 카센타에서 넣어주면 확인후
    빼냄 냉간 외부온도 가장 낮을때
    기준으로 넣음

  • @user-wz3qj5qe9i
    @user-wz3qj5qe9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1. 타이어 종류 와 타이어별 공기압
    2. 그날의 온도 와 공기압넣는 시간때
    3. 공기압 넣기직전 차량의 운행거리
    이세가지를 모두 생각해서 공기압을 넣는게 가장 이상적이지만 현실적으로 판단하긴 불가능하죠
    그래서 타이어의 최대공기압 표시의 80%를 넣는게 일반적입니다 그걸 평균으로 잡거든요

  • @user-qf1cq7sw2v
    @user-qf1cq7sw2v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차량 스티커에 있는 수치는 냉간시에, 공차일때 얘기고 실제로 운행하다가 열간시에 넣으니 10~15프로 정도 더 넣어야되고(스티커숫자에서 3~5psi 더 넣으면됨), 겨울철에는 좀 더 넣어야됨.

  • @challo9427
    @challo9427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여름철엔 도로온도때문에 압이 올라가고 겨울철엔 온도에 의해 압이 내려감..그에 맞게 알아서 공기압을 채워주는것이 ..운전자취향에 맞춰서 넣으시면 됨.

  • @hyunwoo5604
    @hyunwoo560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음 좀 수정하자면~여름에는 도로 열기로 공기가 더 팽창하기 때문에 냉간시 좀 적게넣고 겨울에는 공기의 수축과 주변 낮은 온도때문에 공기압을 좀더 주입후 운행하면 거진 38-40 매계절 유지됨~

  • @soolee2962
    @soolee2962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여름철에 대기 온도가 올라가면 자동적으로 타이어 속 공기압도 올라가고 겨울철에는 반대가되니 제 생각에 여름에는 규정공기압보다 타이어 공기압을 좀 낮게하고 겨울철에는 더 높게하는 것이 맞을 것같은데요 아닌가요

    • @bsy2421
      @bsy242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닙니다. 규정공기압은 기준이 냉간 10도 때일때 공기압을 그렇게 맞추라고 한거니다. 그럼 여름엔 냉간시(운행 안하고 오래 정차된 상태)에도 20도가 넘는데
      그때는 몇 넣어야 할까요? 더 넣어야죠. 그래야 10도 될 때는 공기압이 낮아져 매뉴얼의 규정치로 맞춰질 수 있기 때문이죠

  • @user-wf6qo4zm3t
    @user-wf6qo4zm3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기압은 아주 적은 압력이거나 아주 많은 압력이 아니고 33psi나 40psi 이정도는 그냥 같이 취급하면 됩니다 그리고 자동차는 주행하면서 타이어공기의 온도가 상승 하면서 압력이 변합니다

  • @user-js2pp1wf8h
    @user-js2pp1wf8h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인치 높은, 즉 편평비 낮은 타이어는 psi 기준 40이 딱입니다.^^

  • @user-hq2ed4sl7w
    @user-hq2ed4sl7w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고객의 타이어가 냉간이던 열간이던 상관없이 40으로 넣어버리니까 문제지 ㅋㅋㅋ

  • @SamiKim-kp9il
    @SamiKim-kp9i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외부 온도가 10도일 때가 아니라 자기가 그 차를 사용하는 환경 중 가장 추울 때를 기준으로 함. 그러므로 한여름에 아침에 출근 하는 사람은 약 20도 정도일 때를 말하는 것이고, 한 겨울에는 영하 5도, 10도가 될 수도 있음. 그러므로 여름에 더 넣는다는 말도 틀림.

    • @user-hm1wr6lg3v
      @user-hm1wr6lg3v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정확히 이해하고 계시군요

  • @user-vr6ci9tu2q
    @user-vr6ci9tu2q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냥 카센터에서는 일일히 모든차를 확인하기 귀찮아서 제일표준 PSI인 38~40을 넣는것같구요
    정확히 넣으려면 적정공기압 확인해서 계절에따라 +-해서 넣어야됩니다

  • @MrKim9445
    @MrKim9445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올3월초에 집에서 카센터 거리 1킬로 안되고 골목길이라 서행~
    공기압 34에 마추고 지금까지 운행,
    아침 시동걸고 출근길에 33시작해서 35정도 나옴 (거리가 짧음.,4키로, 최고속도 50~60 정도 )
    고속도로 운행 하면 37~ 38까지 나옴, (쏘렌토 타이어 235-50-19)
    후배 그랜저 출고 상태로 타고 와서 시승 하는데 그랜저면 승차감이 좋을줄알앗는데 너무 튐~
    그래도 좋다고 옆에서 ㅎㅎ 바로 카센터 가서 38로 (51 들어 잇음;;) 나추고 다시 같은 코스 시승함~ 이제야 그랜저 같다고 ,,,,
    겨울엔 냉간시 전 36 정도 넣고 봄 가을까진 33~34 정도 넣습니다~ 승차감도 좋고 40 넘으면 통통 튀어서...
    차량에 따라 다르긴 해도 거기서 거기인거 같아요~

  • @userjnh3340
    @userjnh334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7

    자동차 매뉴얼에 보면 규정 공기압은 계절이나 온도에 대한 언급없이 한 가지 값을 제시하고 있고, 해발고도 상승으로 대기압이 낮아지는 경우에 한해 기준을 더 높인다고(+1.5 psi/km)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자동차 공기압 센서의 경고등 기준도 계절이나 온도에 상관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매뉴얼에서도 규정공기압을 유지하라고 할 뿐 계절에 따라 다르게 하라고는 하지 않습니다.
    출고시 또는 서비스센터에서 특히 여름철에 공기압을 더 높게 넣는 이유는 온도에 따라 적정 기준이 달라져서가 아니라, 동절기 공기압 감소에 대비하여 적정 공기압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편의상의 기준이 아닐런지요? 요즘들어 운전자가 수시로 공기압 확인하고 조절하는게 용이해지긴 했지만, 대부분의 운전자는 공기압 경고등이 켜지지 않는한 신경 쓰지 않고, 센터에서 공기 주입 한번 하고 나면 1년 이상 그대로 타게 됩니다. 따라서, 주입 시점이 하절기라면 동절기를 염두에 두고 조금 더 높게 세팅을 해 주는 것이 안전하고 합리적이기에 그렇게 관행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예를 들어, 여름철 냉간시에 규정 공기압 33 대신에 36 정도로 세팅을 했다고 하면, 고속 주행중 40을 훌쩍 넘어가 버리므로 그리 이상적이지 않습니다만, 겨울철이 되면 자연스럽게 냉간시 규정 공기압인 33으로 유지되므로 저압으로 인한 위험성과 경고등 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즉, 계절마다 공기압을 자주 확인하고 조절하지 않는 다는 전제 하에 주입 시점의 온도에 따라 세팅 값을 다르게 하는 게 합리적이라는 거고, 자주 조절할 수만 있다면 계절마다 규정 공기압 그대로 세팅하는 게 가장 이상적일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 @juhyeonglee7026
      @juhyeonglee7026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제조사에서의 권장 공기압은 냉간시 공기압으로 주행 후 8시간 이상 지난 후에 완전 냉간시에 맞춰 놓으면 됩니다. 냉간 후 여름 25도에 33을 맞추면 되고 겨울 -10도에서도 33을 맞추면 됩니다. 주행하면 타이어 온도가 올라가서 공기압이 올라가는데 이건 정상이고 수입차들은 주행 시 타이어 온도에 따라서 적정 공기압이 계속 바뀌는데 냉간 시 권장으로 맞춰 놓으면 맞습니다.
      영상에서는 겨울에도 33으로 맞추는게 모순이라는데, 냉간 시 33이기에 30, 10, 0, -10, -20에서도 최저 33을 넣으면 되는겁니다. 그리고 20인치에 사이드월 적은 것들은 주행 전에 공기압 체크하고 나가야 되는거죠.

    • @eduardkchvatov
      @eduardkchvatov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양반 반대로 알고 있네 주행중 공기압을 켜놓고 주행하는 스탈인데 10월에 정식 서비스센터방문해서 신차 점검1회차 받았는데 공기압매뉴얼이 36인데 40까지 넣어놨길래 센터를 다시방문해서 따져물으니 추워지기 시작하는 10월에 공기압 차량방문이 많은데 40으로 다 맞춘다고 하더이다 그래서 미심쩍은 마음으로 2주정도 타봤는데 실졔로 주행중 40에서 38-7까지도 떨어집디다 그래서 왜 40을 넣어줬는지 납득이 감

    • @userjnh3340
      @userjnh3340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eduardkchvatov 위에 댓글에서도 말씀하셨지만, 서비스센터에서는 대부분 "냉간시"가 아니기 때문에 매뉴얼 권장 대로 넣어선 안되고, 매 계절마다 센터 방문해서 공기압을 주입할 거라는 보장이 없으므로, 동절기까지 대비하여 어느정도 높게 주입하는게 가장 합리적이라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매뉴얼 권장 공기압이 냉간 기준 34라면, 센터에서 비냉간시 상승압 감안하여 +3-4, 만일 하절기라면 동절기 공기압 감소 감안하여 거기에 +3-4 정도 더 높게 기준을 설정해야 동절기 냉간시 권장수치 보다 낮아지는 위험을 피할 수 있겠지요.
      그래서 서비스센터에서는 하절기에 메뉴얼보다 상당히 더 높은 기준을 적용한다는게 말이 됩니다.
      그래서, 10월이라면 비냉간시 40정도 넣으면 냉간시 35~38 정도 나오고, 한겨울 냉간시 32~35로 유지되어, 저압 알람이 뜨는걸 예방할 수 있을겁니다.
      그리고 만일, 집에서 냉간시에 직접 주입할 때에는 계절 상관없이 무조건 매뉴얼대로 하는 게 맞다는 게 결론입니다.

    • @dragonjo71
      @dragonjo71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jnh3340 저두 셋팅압력에 자동으로 멈추는 공기주입기 구입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님말씀처럼 계절별로 수시 확인해서 보충 및 공기빼기 하고 있습니다.
      특히 겨울이 다가 올 쯤에는 기온이 계속 내려가므로 자주 공기보충을 하게 되더군요.

  • @azzinny
    @azzinn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7:35 1번이 편의상 이렇게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약간은 잘못된 정보 같습니다. 섭시 10도 기준으로 맞추는 게 아니고, 실제 주행할 곳의 온도(편의상 그 지역의 외부 월 평균 기온이 타협점이 될 수 있겠죠)에서 측정된(측정되리) 공기압이어야 하고, 한 겨울에 실제 주행할 곳(외부)의 온도와 콜드 타이어 프레셔를 측정하는 곳의 온도(예를 들어 난방이 된 주차장) 다른 경우 보정을 해 주라고 되어 있습니다.

  • @user-vs8ki2mp8d
    @user-vs8ki2mp8d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현대차는 신품 tpms 40psi 이상 넣어야 공기압경고등 소거되고 공기압 정상인식 되더라구요
    혹 빵꾸로 저압경고등 띄웠을 경우도 똑같이 40psi이상 넣어야 인식되구요

    • @user-tz4en3xe4k
      @user-tz4en3xe4k 29 วันที่ผ่านมา

      차량내 타이어압력 적정값 설정된 수치가 40psi로 되어 있어서 그럴 것 같네요. 일반적으로 적정공기압 값은 차량소유자가 센터페시아 같은 곳에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적정공기압을 넣으시고 지금 현재 타이어압력값이 적정값이다라고 설정을 해주면 그 값보다 떨어지면 저압경고등이 뜨는 것입니다.
      타이어압력은 수시로 변하고 타이어마다 다르고 계절마다 다른데 차량제조사에서 상식적으로 그 값을 절대값으로 지정해 놓을리 없죠. 절대값아닙니다. 사용자가 지정하시면 되는거에요.

  • @chamjalhaesseoyo
    @chamjalhaesseoyo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규정되로 넣고 다니시는분은 겨울보다 여름에 더 넣으시고 (여름에서 가을겨울로 넘어가면서 자연적인 빠짐과 온도가 낮아짐으로 규정압보다 낮아짐으로 위험)
    원래 빵빵하게 40이상 넣고 다니시는분은 겨울보다 여름에 적게 넣으면 된다고 이해하면 되겠죠(온도 상승으로 압이 높아져 max값 근접)

  • @user-qb1ws9hd9d
    @user-qb1ws9hd9d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승차감차이가 워낙 많이나서 그냥 33하는게 짱 달리면 5올라가긴하는대 진짜 승차감차이 심하게남 승차감은 쇼바고 비싼차고 다필요없음 타이어압이 90프로라봄 무슨소리하는지 궁금하면 30넣고 10분운전 40넣고 10분운전해보면 확실히 무슨소리하는지 알게됨
    압이높으면 접지력이않좋아 급브래이커시 사고위험증가 잔진동 증가로 모든부품 수명단축 승차감개판 멀미남

  • @NONAME-MOTOSOLO
    @NONAME-MOTOSOLO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기온과 관계없이 냉간시 항상 같은양의 공기를 넣어야 주행중 오르는 압력도 비슷해지는거 아닌가요 ? 여름에 냉간 33을 넣었다면 겨울이 되면 기온이 내려가 압력도 내려갈테니 33으로 보충 해주면 되고 , 다시 여름이 되면 33보다 높아 졌을테니 바람을 빼서 33으로 맞추는게 맞는거 아닌가요 ?,,,

    • @dgkim3116
      @dgkim3116 8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렇게 하는게 맞습니다
      갸울이라고 공기압 상승이 덜 되는거도 아니거든요
      그만큼 타이어와 지면의 마찰열이 많이나서요

  • @Lime_This
    @Lime_Thi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메이커마다도 다르지 않을까 싶네요
    모델X 타는데 적정 공기압이 45로 돼있네요
    얘기대로라면 48~50을 넣어야한다는건데 50이면..

  • @user-ml6cn5yb7c
    @user-ml6cn5yb7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여름에 달리면 5psi쯤 올라 터질까 걱정하는 사람들있음
    50psi 타이어 터질려면 100psi이상 넣어야 터집니다 44psi타이어도
    마찬가지 100psi는 넣어야 터저요
    40넣고 타다 50까지 올라도 문제없다 이겁니다